KR20220152822A -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52822A KR20220152822A KR1020210060239A KR20210060239A KR20220152822A KR 20220152822 A KR20220152822 A KR 20220152822A KR 1020210060239 A KR1020210060239 A KR 1020210060239A KR 20210060239 A KR20210060239 A KR 20210060239A KR 20220152822 A KR20220152822 A KR 202201528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cohol
- time
- driver
- decomposition
- digital ke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7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4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5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8 electrochem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51 Re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19 revalid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7—Predicting future cond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2—Limiting control by the driver depending on vehicle state, e.g. interlocking means for the control input for preventing unsafe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3—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preventing starting of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4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memory of pos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산출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각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이 분해되는데 소요될 분해시간을 연산한 후 그 분해시간 동안 해당 디지털 키를 이용한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는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를 포함하여, 각 운전자의 개인 정보와 실제 알코올 분해율을 토대로 차량의 시동이 제한되는 분해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운전이 가능한 시간에 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산출된 알코올 분해시간 동안 차량의 시동을 제한할 수 있게 한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주 운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음주 운전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의 일환으로 알코올이 검출되면 차량의 시동을 제한할 수 있게 하는 알코올 이그니션 인터락(Alcohol Ignition Interlock)기능을 차량에 구비할 수 있도록 규제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알코올 이그니션 인터락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구비된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운전자의 날숨으로부터 알코올을 검출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차량의 시동 제한 여부를 제한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차량의 시동을 제한할 경우 운전자로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야 차량의 시동이 걸리게 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무작정 기다리면서 임의의 시간마다 반복적으로 시동을 걸고자 시도하거나 아예 차량의 이용을 포기하게 되므로, 차량 이용의 편의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람의 체중, 성별에 따라 알코올 분해 시간에 현저한 차이가 발생하게 됨은 물론, 개인별 체질에 따른 알코올 분해 시간의 차이도 상당하게 되는바, 운전이 가능할 정도로 알코올이 분해되는 시점이 언제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섭취한 알코올을 센싱하기 위해서는 마우스 피스를 사용하는 전기화학 방식과, 마우스피스를 사용하지 않는 광학 방식 모두 운전자의 호기(날숨)를 알코올 센서에 최소 1회 이상 불어 넣어야 한다.
그에 따라,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날숨을 불어넣기 위해 알코올 측정 센서쪽으로 몸을 상당히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산출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각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이 분해되는데 소요될 분해시간을 연산한 후 그 분해시간 동안 해당 디지털 키를 이용한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는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를 포함하여, 각 운전자의 개인 정보와 실제 알코올 분해율을 토대로 차량의 시동이 제한되는 분해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운전이 가능한 시간에 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은, 차량과의 무선통신으로 차량의 사용 권한을 인증 받는 디지털 키; 상기 차량에 구비되어 있으며, 운전자의 호기(날숨)를 수신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산출하는 알코올 측정 센서; 및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산출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각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이 분해되는데 소요될 분해시간을 연산한 후, 상기 분해시간 동안 해당 디지털 키를 이용한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는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는,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전송되는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분해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해시간을 연산하는 분해시간 산출부; 및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에서 연산된 분해시간동안 상기 디지털 키를 이용한 시동을 제한하는 시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는, 혈중 알코올 농도를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로 나누어 분해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는, 분해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동일 운전자가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재측정할 경우, 재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준으로 재산출된 분해시간과 기존에 산출되었던 분해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경과시간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을 증감 조정하는 알코올 분해율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부는, 초기에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에서 산출되었던 제1분해시간(h1)에서 경과된 시간(t1)을 차감한 잔여 시간(h1-t1)과, 현재 재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라 재산출된 제2분해시간(h2)의 비교 결과에 따라 특정 운전자에 개별화된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을 증감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부는, 상기 제2분해시간(h2)이 잔여 시간(h1-t1)보다 짧을 경우, 알코올 분해율을 일정 비율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부는, 상기 제2분해시간(h2)이 잔여 시간(h1-t1)보다 길 경우, 알코올 분해율을 일정 비율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는, 분해시간의 경과 여부를 차량에 구비된 타이머에 의해 인지한 후, 분해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시동을 위한 디지털 키의 재인증과 혈중 알코올 농도 재측정이 가능함을 알리는 문구나 음성을 차량에 구비된 클러스터 또는 운전자의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여 알리는 분해시간 경과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는,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을 위해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할 경우, 운전자의 입이 알코올 측정 센서로 날숨을 내뱉기 편한 알코올 측정 위치에 놓이도록 운전자의 개인정보에 따라 운전석의 시트를 자동 조절하는 IMS(Integrated memory System)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MS 제어부는,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의 측정 결과가 음주운전에 해당하는 기준값을 넘지 않을 경우, 차량의 시동을 걸고 운전하기 편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전 위치로 운전석 시트를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은, 디지털 키와 차량 상호간의 무선통신에 의해 디지털 키의 고유번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 디지털 키 정보 수신단계; 알코올 측정 센서로 입력되는 운전자의 호기(날숨)를 수신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산출하는 알코올 측정단계; 및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산출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각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이 분해되는데 소요될 분해시간을 연산한 후, 상기 분해시간 동안 해당 디지털 키를 이용한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는 알코올 인터락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단계는,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전송되는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분해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해시간을 연산하는 분해시간 산출과정; 및 상기 분해시간 산출과정에서 연산된 분해시간동안 상기 디지털 키를 이용한 시동을 제한하는 시동 제한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해시간 산출과정에서는, 혈중 알코올 농도를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로 나누어 분해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단계는, 분해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동일 운전자가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재측정할 경우, 재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준으로 재산출된 분해시간과 기존에 산출되었던 분해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경과시간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을 증감 조정하는 알코올 분해율 조정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과정에서는, 초기에 상기 분해시간 산출과정에서 산출되었던 제1분해시간(h1)에서 경과된 시간(t1)을 차감한 잔여 시간(h1-t1)과, 현재 재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라 재산출된 제2분해시간(h2)의 비교 결과에 따라 특정 운전자에 개별화된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을 증감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과정에서는, 상기 제2분해시간(h2)이 잔여 시간(h1-t1)보다 짧을 경우, 알코올 분해율을 일정 비율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과정에서는, 상기 제2분해시간(h2)이 잔여 시간(h1-t1)보다 길 경우, 알코올 분해율을 일정 비율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단계에서는, 분해시간의 경과 여부를 차량에 구비된 타이머에 의해 인지한 후, 분해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시동을 위한 디지털 키의 재인증과 혈중 알코올 농도 재측정이 가능함을 알리는 문구나 음성을 차량에 구비된 클러스터 또는 운전자의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여 알리는 분해시간 경과 판단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코올 측정단계 전에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개인정보에 따라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 날숨을 불어 넣기 편리한 알코올 측정 위치에 운전자가 위치하도록 운전석의 시트를 자동 조절하는 알코올 측정위치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의 측정 결과가 음주운전에 해당하는 기준값을 넘지 않을 경우, 차량의 시동을 걸고 운전하기 편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전 위치로 운전석 시트를 자동 조절하는 운전위치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키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개인 정보와 실제 알코올 분해율을 토대로 차량의 시동이 제한되는 분해시간을 산출함으로써, 음주운전의 예방을 위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면서도 운전자에게 운전이 가능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차량의 이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탑승 시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음주 측정을 위한 날숨을 배출하기 용이한 위치로 운전석 시트가 자동 조절되게 함으로써, 측정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알코올 측정 결과에 따라 예상분해시간 동안 시동이 제한되는 것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운전자의 알코올 분해율이 조절되는 것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알코올 측정 결과에 따라 예상분해시간 동안 시동이 제한되는 것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운전자의 알코올 분해율이 조절되는 것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은, 차량과의 무선통신으로 차량의 사용 권한을 인증 받는 디지털 키(100)와, 상기 차량에 구비되어 있으며 운전자의 호기(날숨)를 수신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산출하는 알코올 측정 센서(200)와,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산출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각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이 분해되는데 소요될 분해시간을 연산한 후 상기 분해시간 동안 해당 디지털 키를 이용한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는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키(100)는,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카드에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되며, 차량에 구비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에 의해 도어 개폐나 시동 등의 차량 제어를 위한 사용 권한을 인증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고자 인증 받는 운전자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에 구비된 IMS(Integrated memory System) 제어부에서는 상기 디지털 키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IMS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 인증된 운전자의 키와 몸무게, 성별, 앉은 키 등 개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그에 따라, 상기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석 시트의 위치 조절, 사이드 미러의 방향 조절 등 개별화된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키(100)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Lock/Unlock) 제어, 시동 제어, 키 관리 및 차량의 원격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유닛과 연동하면서 현재의 연료로 주행 가능한 거리, 타이어의 공기압 등에 대한 차량 정보도 수신하여 차량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200)는, 운전자가 내뱉는 날숨을 수신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산출하는 센서로서, 전기화학 방식이나 광학 방식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200)는, 운전석에 앉는 운전자의 측정 편의를 도모하도록, 스티어링 휠 상단부나, 클러스터 앞쪽 또는 오버헤드 콘솔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혈중 알코올 농도가 음주운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은 국가별 음주운전 처벌 기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300)는,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전송되는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분해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해시간을 연산하는 분해시간 산출부(310)와,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에서 연산된 분해시간동안 상기 디지털 키를 이용한 시동을 제한하는 시동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300)에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혈중 알코올 분해에 요구되는 분해시간을 연산하고, 그 시간 동안만 차량의 시동을 제한함으로써, 음주운전의 실행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운전자로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야 차량의 이용이 가능한지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이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310)는,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위드마크(Widmark) 공식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분해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해시간을 연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국의 도로교통공단에서는 운전자가 사고 당시 마신 술의 종류(술의 양)와, 운전자의 체중과 성별에 기반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계산하는 위드마크 공식을 확장시켜, 성별과 몸무게에 따른 알코올 분해시간을 제시하고 있다.
이때,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을 0.008% ~ 0.03%으로 설정하며, 평균적으로는 시간당 0.015%의 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분해시간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로 나누어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310)는, 이와 같이 위드마크 공식을 확장시켜 운전자의 성별과 체중에 따라 결정되는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기준값 이하로 낮아지는데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해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은 성별에 따라, 그리고 체중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나타난다. 그에 따라, 체중이 무거울수록 시간당 알코올 분해량이 많아서 알코올 분해시간이 단축되며, 여성보다는 남성의 시간당 알코올 분해량이 많아서 알코올 분해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동일한 성별과 체중을 갖고 있더라도 운전자 개인의 체질에 따라 알코올 분해시간이 단축되거나 연장되기도 한다.
그에 따라,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310)는 상기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성별과 체중 등의 개인정보에 기반하여 알코올 분해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해시간을 산출함으로써, 운전자 개인의 알코올 분해 능력에 특화되어 있는 분해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지털 키(100)의 인증에 의해 상기 IMS 제어부에서 추출될 수 있는 운전자의 키, 몸무게, 성별, 및 앉은 키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310)에서의 분해시간 산출을 위한 개인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각 디지털 키(100)에 설정되어 있는 디지털 키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300)에서 디지털 키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310)는 디지털 키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특정하고 상기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한 농도의 혈중 알코올을 분해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해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분해시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시동 제어부(320)로 전송되어 해당 디지털 키를 이용한 운전자에 의해 시동이 걸리는 것을 분해시간 동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300)는,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에서 산출되었던 분해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동일 운전자가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재측정할 경우, 재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준으로 재산출된 분해시간과 기존에 산출되었던 분해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경과시간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을 증감 조정하는 알코올 분해율 조정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에 의해 알코올 분해에 소요되는 분해시간을 재산출함에 있어,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부(330)에 의해 증감된 운전자의 실제 알코올 분해율이 반영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산출되는 분해시간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먼저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최초로 측정되는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임의의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310)에서 혈중 알코올이 분해되는데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1분해시간(h1)을 연산하고, 상기 시동 제어부(320)에서는 상기 제1분해시간(h1) 동안 해당 디지털 키 사용자에 의한 차량 시동이 걸리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310)에서는 알코올 분해율을 운전자의 성별이나 몸무게 등을 이용한 평균값으로 결정(예를 들어,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을 0.015로 결정)하여 분해시간을 산출하거나, 미리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과거 알코올 분해율을 기준으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분해시간(h1)에 이르지 못하는 일정시간이 경과 한 후 운전자가 다시 동일한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알코올 측정을 할 경우,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에서는 재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라 남아 있는 혈중 알코올이 분해되는데 소요될 분해시간을 다시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부(330)는, 재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에 상응하는 혈중 알코올이 분해되는데 소요될 분해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알코올 분해율을 결정함에 있어, 초기에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에서 예상되었던 제1분해시간(h1)에서 경과된 시간(t1)을 차감한 잔여 시간(h1-t1)과 현재 다시 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라 재산출된 제2분해시간(h2)을 비교한 후, 상기 제2분해시간(h2)이 잔여 시간(h1-t1)보다 짧을 경우에는 알코올 분해율을 일정 비율 상향 조정하고, 상기 제2분해시간(h2)이 잔여 시간(h1-t1)보다 길 경우에는 알코올 분해율을 일정 비율 하향 조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알코올 분해율을 평균값인 0.015에서 0.020으로 상향 조정하거나, 0.010으로 하향 조정하여 운전자의 체질에 적합하게 혈중 알코올의 분해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310)는 상향 조정 또는 하향 조정된 알코올 분해율을 운전자의 현재 알코올 분해율로 결정한 후, 이를 이용하여 분해시간을 다시 연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시동 제어부(320)는 해당 디지털 키를 이용한 시동을 제한하는 시간을 조정된 알코올 분해율에 의해 재산출된 분해시간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차례에 걸친 동일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측정과 그 측정 결과에 따라 조정된 운전자의 실제 알코올 분해율에 기반하여 분해시간을 산출함으로써, 각 운전자의 개인적인 차이를 고려할 수 있어 분해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해시간이 산출되는 일 예로서, 어느 특정의 디지털 키를 이용하는 운전자의 1회차 알코올 테스트 결과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에서 분해시간이 8시간으로 산출되고, 1시간 경과 후 2회차 알코올 테스트 결과 분해시간이 6시간이 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제 경과 시간인 1시간 보다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분해시간이 1시간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운전자의 알코올 분해율을 조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는 조정된 알코올 분해율을 반영하여 2회차 알코올 테스트 결과에 따른 분해시간을 재산출할 수 있다. 또한, 조정된 운전자의 알코올 분해율을 저장하고 있다가 이후 운전자가 다시 3회차 알코올 테스트 결과에 따라 분해시간을 산출함에 있어 조정된 알코올 분해율을 반영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300)는, 분해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 경우에는 차량에 구비된 클러스터(400) 등을 통하여 "현재는 알코올이 감지되어 시동을 제한합니다"와 같은 안내를 제공함은 물론,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분해시간 및 잔여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분해시간 및 잔여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키가 설치되어 있는 운전자의 스마트폰 등으로 전송하여 운전자가 차량을 이탈하더라도 분해시간의 경과 여부와 잔여 시간에 대한 정보를 간편히 확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300)는, 분해시간 동안에는 동일한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음주를 측정하고 분해시간을 연산하는 알코올 테스트를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측정 재시도 횟수를 일정 횟수 이내로 제한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제한되는 음주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반복 측정으로 인한 차량 전원의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알코올 테스트를 재시도할 수 있는 횟수를 5회로 설정하였으나, 이러한 재시도 횟수는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 증감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300)는,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에서 연산된 분해시간의 경과 여부를 차량에 구비된 타이머에 의해 인지한 후, 분해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시동을 위한 디지털 키의 재인증과 혈중 알코올 농도 재측정이 가능함을 알리는 문구나 음성 등을 상기 클러스터 또는 운전자의 스마트 폰 등으로 전송하는 분해시간 경과 판단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해시간 경과 판단부(340)는, 분해시간 동안 차량으로부터 디지털 키가 멀어지게 되면, 해당 디지털 키의 식별번호와 분해시간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분해시간 내 차량의 시동을 제한함과 아울러, 분해시간의 경과 여부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운전자로서는 일일이 분해시간의 경과 여부를 기억하거나 확인하지 않더라도 상기 분해시간 경과 판단부로부터 전송되는 알림 등을 통하여 시동 제한이 해제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분해시간이 설정된 디지털 키가 아닌 다른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차량 시동을 걸고자 하는 경우, 알코올 측정 센서에 의한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과 그게 기반한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에서의 분해시간 산출 및 시동 제한이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300)는,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을 위해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할 경우 운전자의 입이 알코올 측정 센서로 날숨을 내뱉기 편한 알코올 측정 위치에 놓이도록 운전자의 개인정보에 따라 운전석의 시트를 자동 조절하는 IMS(Integrated memory System) 제어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MS 제어부(350)는, 운전자의 차량 탑승 시 상기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알코올 측정 위치로 운전석의 시트를 자동 조정하여 알코올 측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휠 상단부나, 클러스터 앞쪽 또는 오버헤드 콘솔 등에 설치되어 있는 알코올 측정 센서에 날숨을 불어 넣기 위해서는 상체를 앞쪽으로 기울여야 한다. 그에 따라, 상기 IMS 제어부(350)는 알코올 측정 센서에 날숨을 불어 넣는 위치에 가깝도록 운전석 시트의 위치를 자동 조절하여 측정 편의를 도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MS 제어부(350)는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의 측정 결과가 음주운전에 해당하는 기준값을 넘지 않을 경우(측정결과 Pass)에는, 차량의 시동을 걸고 운전하기 편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적의 운전 위치로 운전석 시트를 자동 조절하여 차량 조작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MS 제어부(350)는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의 측정 결과가 음주운전에 해당하는 기준값을 넘을 경우(측정결과 Fail)에는, 차량의 시동이 제한되어 운행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승하차에 편리한 위치로 자동 조절되어 운전의 하차 편의 또는 대기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후, 재측정을 원하는 경우 등에는 별도의 버튼 조작 등의 입력을 통하여 알코올 측정이 편리한 위치로 운전석 시트의 위치가 조절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은, 디지털 키와 차량 상호간의 무선통신에 의해 디지털 키의 고유번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 디지털 키 정보 수신단계(S100)와, 알코올 측정 센서로 입력되는 운전자의 호기(날숨)를 수신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산출하는 알코올 측정단계(S200)와,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산출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각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이 분해되는데 소요될 분해시간을 연산한 후 상기 분해시간 동안 해당 디지털 키를 이용한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는 알코올 인터락 제어단계(S300)와, 상기 혈중 알코올 농도가 기준값 미만이거나 분해시간이 경과한 후 차량의 시동 제한을 해제하는 차량 시동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키 정보 수신단계(S100)에서는,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카드에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된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차량에 구비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에 의해 차량의 사용권한을 인증 받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차량에서는 디지털 키를 소지한 운전자를 특정하고, 차량에 구비된 IMS 제어부에서 상기 디지털 키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IMS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 인증된 운전자의 키와 몸무게, 성별, 앉은 키 등 개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그 운전자에 맞춰져 있는 운전석 시트의 위치 조절, 사이드 미러의 방향 조절 등 개별화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측정단계(S200)에서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상단부나, 클러스터 앞쪽 또는 오버헤드 콘솔 등에 설치되어 있는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운전자가 내뱉는 날숨을 수신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코올 측정단계(S200) 전에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개인정보에 따라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 날숨을 불어 넣기 편리한 알코올 측정 위치에 운전자가 위치하도록 운전석의 시트를 자동 조절하는 알코올 측정위치 제어단계(S5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단계(S300)는,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전송되는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분해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해시간을 연산하는 분해시간 산출과정(S310)과, 상기 분해시간 산출과정에서 연산된 분해시간동안 상기 디지털 키를 이용한 시동을 제한하는 시동 제한과정(S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해시간 산출과정(S310)에서는,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혈중 알코올 분해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해시간을 연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해시간 산출과정(S310)에서는, 혈중 알코올 농도를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로 나누어 분해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은 0.008% ~ 0.03%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평균적으로는 0.015%의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을 적용하여 분해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은 성별에 따라, 그리고 체중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날 뿐만 아니라, 동일한 성별과 체중을 갖고 있더라도 운전자 개인의 체질에 따라 알코올 분해시간이 단축되거나 연장되기도 한다.
그에 따라, 상기 분해시간 산출과정(S310)에서는 상기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성별과 체중 등의 개인정보에 기반하여 알코올 분해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해시간을 산출함으로써, 운전자 개인의 알코올 분해 능력에 특화되어 있는 분해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단계(S300)는, 분해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동일 운전자가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재측정할 경우, 재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분해시간을 산출함에 있어 기존에 산출되었던 분해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경과시간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을 증감 조정하는 알코올 분해율 조정과정(S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해시간 산출과정에서 재측정 결과에 따른 분해시간을 재산출함에 있어,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과정에 의해 증감된 운전자의 실제 알코올 분해율이 반영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산출되는 분해시간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처음에 산출된 제1분해시간(h1)에 이르지 못하는 일정시간이 경과 한 후 운전자가 다시 동일한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알코올 측정을 할 경우, 상기 분해시간 산출과정(S310)에서는 재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라 남아 있는 혈중 알코올이 분해되는데 소요될 제2분해시간(h2)을 다시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과정(S340)에서는, 재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에 상응하는 혈중 알코올이 분해되는데 소요될 분해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알코올 분해율을 결정함에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상기 분해시간 산출과정에서 예상되었던 제1분해시간(h1)에서 경과된 시간(t1)을 차감한 잔여 시간(h1-t1)과 현재 다시 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라 재산출된 제2분해시간(h2)을 비교한 후, 상기 제2분해시간(h2)이 잔여 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알코올 분해율을 일정 비율 상향 조정하고, 상기 제2분해시간(h2)이 잔여 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알코올 분해율을 일정 비율 하향 조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운전자의 개인적인 차이가 개별적으로 반영된 실질적인 알코올 분해율에 따른 분해시간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분해시간 산출과정(S310)에서는 상향 조정 또는 하향 조정된 알코올 분해율을 운전자의 현재 알코올 분해율로 결정한 후, 이를 이용하여 각 운전자의 현재 알코올 분해율이 반영된 분해시간을 다시 연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동 제한과정(S320)에서는 해당 디지털 키를 이용한 시동을 제한하는 시간을 조정된 알코올 분해율에 의해 재산출된 분해시간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차례에 걸친 동일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측정과 그 측정 결과에 따라 조정된 운전자의 실제 알코올 분해율에 기반하여 분해시간을 산출함으로써, 각 운전자의 개인적인 차이를 고려할 수 있어 분해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단계(S300)에서는, 분해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 경우에는 차량에 구비된 클러스터 등을 통하여 "현재는 알코올이 감지되어 시동을 제한합니다"와 같은 안내를 제공함은 물론,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분해시간 및 잔여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단계(S300)에서, 분해시간 동안 동일한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음주를 측정하고 분해시간을 연산하는 알코올 테스트를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측정 재시도 횟수를 일정 횟수 이내로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단계(S300)에서는, 분해시간의 경과 여부를 차량에 구비된 타이머에 의해 인지한 후, 분해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시동을 위한 디지털 키의 재인증과 혈중 알코올 농도 재측정이 가능함을 알리는 문구나 음성 등을 상기 클러스터 또는 운전자의 스마트 폰 등으로 전송하는 분해시간 경과 판단과정(S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해시간 경과 판단과정(S330)에서는, 분해시간 동안 차량으로부터 디지털 키가 멀어지게 되면, 해당 디지털 키의 식별번호와 분해시간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분해시간 내 차량의 시동을 제한함과 아울러, 분해시간의 경과 여부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운전자로서는 일일이 분해시간의 경과 여부를 기억하거나 확인하지 않더라도 상기 분해시간 경과 판단과정(S33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전송되는 알림 등을 통하여 시동 제한이 해제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랑 시동단계(S400) 전에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의 측정 결과가 음주운전에 해당하는 기준값을 넘지 않을 경우(측정결과 Pass), 차량의 시동을 걸고 운전하기 편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적의 운전 위치로 운전석 시트를 자동 조절하는 운전위치 제어단계(S5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의 측정 결과가 음주운전에 해당하는 기준값을 넘을 경우(측정결과 Fail)에는, 차량의 시동이 제한되어 운행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승하차에 편리한 위치로 자동 조절되어 운전의 하차 편의 또는 대기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디지털 키
200 : 알코올 측정 센서
300 :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 310 : 분해시간 산출부
320 : 시동 제어부 330 : 알코올 분해율 조정부
340 : 분해시간 경과 판단부 350 : IMS 제어부
400 : 클러스터
500 : IMS
200 : 알코올 측정 센서
300 :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 310 : 분해시간 산출부
320 : 시동 제어부 330 : 알코올 분해율 조정부
340 : 분해시간 경과 판단부 350 : IMS 제어부
400 : 클러스터
500 : IMS
Claims (20)
- 차량과의 무선통신으로 차량의 사용 권한을 인증 받는 디지털 키;
상기 차량에 구비되어 있으며, 운전자의 호기(날숨)를 수신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산출하는 알코올 측정 센서; 및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산출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각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이 분해되는데 소요될 분해시간을 연산한 후, 상기 분해시간 동안 해당 디지털 키를 이용한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는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는,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전송되는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분해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해시간을 연산하는 분해시간 산출부; 및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에서 연산된 분해시간동안 상기 디지털 키를 이용한 시동을 제한하는 시동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는,
혈중 알코올 농도를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로 나누어 분해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는,
분해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동일 운전자가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재측정할 경우, 재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준으로 재산출된 분해시간과 기존에 산출되었던 분해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경과시간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을 증감 조정하는 알코올 분해율 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부는,
초기에 상기 분해시간 산출부에서 산출되었던 제1분해시간(h1)에서 경과된 시간(t1)을 차감한 잔여 시간(h1-t1)과, 현재 재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라 재산출된 제2분해시간(h2)의 비교 결과에 따라 특정 운전자에 개별화된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을 증감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부는,
상기 제2분해시간(h2)이 잔여 시간(h1-t1)보다 짧을 경우, 알코올 분해율을 일정 비율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부는,
상기 제2분해시간(h2)이 잔여 시간(h1-t1)보다 길 경우, 알코올 분해율을 일정 비율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는,
분해시간의 경과 여부를 차량에 구비된 타이머에 의해 인지한 후, 분해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시동을 위한 디지털 키의 재인증과 혈중 알코올 농도 재측정이 가능함을 알리는 문구나 음성을 차량에 구비된 클러스터 또는 운전자의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여 알리는 분해시간 경과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부는,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을 위해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할 경우, 운전자의 입이 알코올 측정 센서로 날숨을 내뱉기 편한 알코올 측정 위치에 놓이도록 운전자의 개인정보에 따라 운전석의 시트를 자동 조절하는 IMS(Integrated memory System)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IMS 제어부는,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의 측정 결과가 음주운전에 해당하는 기준값을 넘지 않을 경우, 차량의 시동을 걸고 운전하기 편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전 위치로 운전석 시트를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 디지털 키와 차량 상호간의 무선통신에 의해 디지털 키의 고유번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 디지털 키 정보 수신단계;
알코올 측정 센서로 입력되는 운전자의 호기(날숨)를 수신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산출하는 알코올 측정단계; 및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산출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디지털 키의 인증에 의해 IMS 제어부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각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이 분해되는데 소요될 분해시간을 연산한 후, 상기 분해시간 동안 해당 디지털 키를 이용한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는 알코올 인터락 제어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단계는,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 전송되는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분해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해시간을 연산하는 분해시간 산출과정; 및
상기 분해시간 산출과정에서 연산된 분해시간동안 상기 디지털 키를 이용한 시동을 제한하는 시동 제한과정;
을 포함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분해시간 산출과정에서는,
혈중 알코올 농도를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로 나누어 분해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단계는,
분해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동일 운전자가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재측정할 경우, 재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준으로 재산출된 분해시간과 기존에 산출되었던 분해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경과시간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을 증감 조정하는 알코올 분해율 조정과정;
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과정에서는,
초기에 상기 분해시간 산출과정에서 산출되었던 제1분해시간(h1)에서 경과된 시간(t1)을 차감한 잔여 시간(h1-t1)과, 현재 재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라 재산출된 제2분해시간(h2)의 비교 결과에 따라 특정 운전자에 개별화된 시간당 알코올 분해율을 증감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과정에서는,
상기 제2분해시간(h2)이 잔여 시간(h1-t1)보다 짧을 경우, 알코올 분해율을 일정 비율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분해율 조정과정에서는,
상기 제2분해시간(h2)이 잔여 시간(h1-t1)보다 길 경우, 알코올 분해율을 일정 비율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인터락 제어단계에서는,
분해시간의 경과 여부를 차량에 구비된 타이머에 의해 인지한 후, 분해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시동을 위한 디지털 키의 재인증과 혈중 알코올 농도 재측정이 가능함을 알리는 문구나 음성을 차량에 구비된 클러스터 또는 운전자의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여 알리는 분해시간 경과 판단과정;
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측정단계 전에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개인정보에 따라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 날숨을 불어 넣기 편리한 알코올 측정 위치에 운전자가 위치하도록 운전석의 시트를 자동 조절하는 알코올 측정위치 제어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측정 센서에서의 측정 결과가 음주운전에 해당하는 기준값을 넘지 않을 경우, 차량의 시동을 걸고 운전하기 편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전 위치로 운전석 시트를 자동 조절하는 운전위치 제어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0239A KR20220152822A (ko) | 2021-05-10 | 2021-05-10 |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US17/527,587 US20220355801A1 (en) | 2021-05-10 | 2021-11-16 | Interlock control system linked to digital key and interlock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DE102021212837.8A DE102021212837A1 (de) | 2021-05-10 | 2021-11-16 | Sperrsteuerungssystem, das mit einem digitalen schlüssel verbunden ist, und sperrsteuerungsverfahren für dasselbe |
CN202111415936.7A CN115402097A (zh) | 2021-05-10 | 2021-11-25 | 与数字钥匙链接的联锁控制系统及其联锁控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0239A KR20220152822A (ko) | 2021-05-10 | 2021-05-10 |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2822A true KR20220152822A (ko) | 2022-11-17 |
Family
ID=8369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0239A KR20220152822A (ko) | 2021-05-10 | 2021-05-10 |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355801A1 (ko) |
KR (1) | KR20220152822A (ko) |
CN (1) | CN115402097A (ko) |
DE (1) | DE10202121283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45533A1 (fr) * | 2023-02-07 | 2024-08-09 | Psa Automobiles Sa | Gestion du démarrage d’un véhicule automobile selon l’alcoolémie du conducteur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97666A (en) * | 1986-09-16 | 1987-10-06 | Guardian Interlock Systems, Inc. | Sobriety interlock with time-locked interlock mode |
US7413047B2 (en) * | 2004-04-14 | 2008-08-19 | Brown Betty J | Alcohol ignition interlock system and method |
EP1957973B1 (en) * | 2005-11-29 | 2016-03-23 | Alco Systems Sweden AB | A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time when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has passed a threshold level |
DE102007047709A1 (de) * | 2007-10-05 | 2009-04-09 | Robert Bosch Gmbh | Alkohol-Wegfahrsperre mit Notfall-Fahroption |
JP4450859B1 (ja) * | 2009-03-23 | 2010-04-14 | 東海電子株式会社 | 車載用呼気中アルコール測定装置 |
US8760300B2 (en) * | 2012-04-25 | 2014-06-24 | Gabriel Sezanayev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riving of a vehicle by an alcohol intoxicated person |
KR20220077707A (ko) * | 2020-12-02 | 2022-06-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
-
2021
- 2021-05-10 KR KR1020210060239A patent/KR20220152822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11-16 US US17/527,587 patent/US20220355801A1/en active Pending
- 2021-11-16 DE DE102021212837.8A patent/DE102021212837A1/de active Pending
- 2021-11-25 CN CN202111415936.7A patent/CN115402097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402097A (zh) | 2022-11-29 |
DE102021212837A1 (de) | 2022-11-10 |
US20220355801A1 (en) | 2022-1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49929B2 (en) | System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access and/or engine start authorization of a user in a vehicle | |
CN106575478B (zh) | 驾驶员监视装置 | |
US7970517B2 (en) | Passive control of vehicle interior features based upon occupant classification | |
EP385050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user authentication for accessing a communication device | |
JP2006306191A (ja) | 車両用個人認証システム | |
US11042614B2 (en) | Authentication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 |
KR20220152822A (ko) | 디지털 키와 연계된 인터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
JP2015505284A (ja) | 車両の乗員を識別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 |
CN107284413B (zh) | 车辆控制方法及系统、语音口令识别钥匙和云端服务器 | |
US20200124589A1 (en) | Alcohol Testing Machine With Lock Controller | |
US20080196963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ar | |
JP2018176971A (ja) | 飲酒運転防止装置 | |
CN111591135A (zh) | 预防酒驾的方法和装置 | |
KR101745329B1 (ko) | 홍채인식 기반 알코올 인터락 시스템 | |
CN108790958A (zh) | 用于汽车的驾驶位座椅的控制系统 | |
KR100684594B1 (ko) | 자동차의 리모콘 키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장치 및 그방법 | |
KR20230021312A (ko) | 강화된 인증 방식의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 |
KR101520172B1 (ko) | 운전자 인증 시트 및 그의 인증 방법 | |
CN203110939U (zh) | 一种酒精控制器 | |
JP2020090133A (ja) | 車載システム | |
JP2008310496A (ja) | 飲酒運転防止システム | |
KR20130076213A (ko) | 운전자 체형 정보를 이용한 운전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 |
TWI432706B (zh) | A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weighing detection | |
JP2006350566A (ja) | 利用者認証装置 | |
KR20220141125A (ko) | 음주운전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