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645A - 채취봉을 사용하여 바이오 샘플을 채취하는 키트 - Google Patents

채취봉을 사용하여 바이오 샘플을 채취하는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645A
KR20220152645A KR1020210059787A KR20210059787A KR20220152645A KR 20220152645 A KR20220152645 A KR 20220152645A KR 1020210059787 A KR1020210059787 A KR 1020210059787A KR 20210059787 A KR20210059787 A KR 20210059787A KR 20220152645 A KR20220152645 A KR 20220152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kit
cap
ro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9716B1 (ko
Inventor
박상현
김병철
Original Assignee
바디텍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디텍메드(주) filed Critical 바디텍메드(주)
Priority to KR1020210059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716B1/ko
Priority to EP22167316.3A priority patent/EP4088667A1/en
Priority to US17/734,171 priority patent/US11781951B2/en
Priority to CN202210484716.8A priority patent/CN115326472A/zh
Publication of KR2022015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9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using sw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5Displaying results or values with integrated means
    • B01L2300/028Grad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2001/028Sampling from a surface, swabbing, vapor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56Disposable (single-use) sampler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채취봉을 사용하여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바이오 샘플을 채취할 수 있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채취봉을 사용하여 바이오 샘플을 채취하는 키트에 있어서, 중앙부의 하부에 필터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의 상부에 커버부가 형성된 캡과, 채취부와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채취봉과, 상기 캡이 체결되고 추출 용액을 수용하는 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채취봉을 사용하여 바이오 샘플을 채취하는 키트{A kit that collects a bio sample using a collecting rod}
본 발명은 바이오 샘플을 채취하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채취봉을 사용하여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바이오 샘플을 채취할 수 있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왑(swap)(또는 채취봉)을 이용해 covid-19 검체를 채취하는 키트에는 비강용과 구강용이 있다.
비강용 채취 키트를 이용한 현장 검사에서는 검체를 면구에 부착시키고, 추출 용액이 담긴 유연한 튜브에서 면구를 흔들어 검체를 추출 용액에 용해하고, 튜브를 눌러 면구를 압착하면서 스왑을 빼낸다. 다음에 노즐을 갖는 캡을 튜브에 체결하고, 튜브를 뒤집어 압착하여 추출 용액에 용해된 검체를 캡을 통해 판독 장비에 제공한다. 한편,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검사에서는 스왑을 추출 용액이 담긴 튜브에 넣고 가위로 스왑의 일정 부분을 절단한 후에 뚜껑을 닫고 튜브를 운송한다. 임상 병리사는 운송된 튜브의 샘플을 농축하고 RNA를 추출하여 판독한다. 현재까지 스왑에서 채취된 검체를 자동화된 판독 장비에서 처리하는 방법은 없었다.
자동화된 판독 장비에서 스왑으로 채취된 검체를 처리하기 어려운 이유는 다음 2가지이다. 첫째는, 검체 용기(튜브)에 스왑이 있으면 자동화된 판독 장비로 샘플 채취가 어렵다. 자동화된 판독 장비는 니들 또는 파이펫을 사용하여 검체를 채취하는데 스왑이 들어 있으면 한쪽으로 스왑을 정렬 또는 고정하지 않으면 채취 구멍이 스왑에 의해 막힐 우려가 있다. 둘째는, 스왑이 없더라도 비강 속의 검체의 경우 점액질인 콧물이 많을 경우 콧물에 의하여 니들 또는 파이펫의 채취 구멍이 막힐 가능성이 있다.
또한, 현장 검사의 경우, 사용한 스왑은 바이오해저드(biohazard)의 우려 때문에 폐기에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11288호 (등록일자 : 2021.01.28)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1199호 (등록일자 : 2012.06.20)
따라서 본 발명은 스왑으로 채취된 검체를 자동화된 판독 장비에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채취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왑에 의한 바이오해저드의 우려가 없는 채취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된 판독 장비에서 사용이 용이하여 인력의 수고를 줄이고 검사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채취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채취봉을 사용하여 바이오 샘플을 채취하는 키트에 있어서, 중앙부의 하부에 필터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의 상부에 커버부가 형성된 캡과, 채취부와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채취봉과, 상기 캡이 체결되고 추출 용액을 수용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일 측면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는 상기 추출 용액과 상기 채취봉을 함께 수용한다. 또한, 상기 튜브는 상기 채취봉을 가이드하는 회피부가 내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은 주변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채취봉의 손잡이부가 상기 관통구에 밀착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외력에 의해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취봉은 상기 손잡이부에 절단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채취부의 경계에 상기 캡에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채취봉은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실링부를 구비한다.
전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스왑에 의한 바이오해저드의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채취 키트는 자동화된 판독 장비에서 사용이 용이하여 인력의 수고를 줄이고 검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채취 키트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취 키트에서의 채취봉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채취 키트에서 튜브와 캡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채취 키트에서의 채취봉과 캡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채취 키트에서 추출 용액에 용해된 검체가 팁에 의해 채취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채취 키트에서 추출 용액에 용해된 검체가 팁에 의해 채취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채취 키트에서 추출 용액에 용해된 검체가 팁에 의해 채취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채취 키트(100)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채취 키트(100)는 캡(102)과 채취봉(104)과 튜브(106)를 구비한다.
채취 키트(100)에서 바이오 샘플(또는 검체)는 채취봉(104)에 의해 채취되고, 캡(102)이 체결된 튜브(106)에 수용된다. 튜브(106)에는 검체와 추출 용액이 수용되므로 캡(102)은 기밀성을 위해 탄성 재질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취 키트(100)에서의 채취봉(104)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채취 키트(100)에서 캡(102)과 튜브(106)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봉(104)은 채취부(202)와 손잡이부(204)를 구비하는 막대기 형태이고, 쉽게 만곡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채취부(202)와 손잡이부(204)의 사이에는 연장부(206)가 형성된다. 연장부(206)는 캡(102)과 튜브(106)가 체결된 상태에서 채취부(202)가 튜브(106)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한다.
손잡이부(204)는 채취부(202)와의 경계에 걸림턱(208)을 구비한다. 걸림턱(208)은 캡(102)이 채취부(20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손잡이부(204)에서 걸림턱(208)의 상부에는 절단홈(210)이 형성된다. 절단홈(210)은 걸림턱(208)으로부터 대략 캡(102)의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검체 채취시에 코 속으로 삽입되는 채취봉(104)의 길이가 튜브(106)의 길이보다 더 길어야 검체를 제대로 채취할 수 있다. 하지만 긴 채취봉(104)은 이송을 어렵게 하므로 검체 채취 후에는 절단홈(210)에서 채취봉(104)를 절단하여 이송을 용이하게 한다. 절단홈(210)이 걸림턱(208)으로부터 대략 캡(102)의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면 절단홈(210)에서 채취봉(104)이 절단되었을 때 캡(102)의 상면으로 돌출된 채취봉(104)의 길이는 매우 작게 된다.
걸림턱(208)과 절단홈(210)의 사이에는 실링부(212)가 형성된다. 실링부(212)는 캡(102)과 채취봉(104) 사이의 틈새로 추출 용액 또는 검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절단홈(206)의 상부에는 깊이 표시선(214)이 형성된다. 깊이 표시선(214)은 채취봉(104)을 사람의 몸(예를 들어, 콧속)에 삽입하는 깊이의 기준선이 된다.
도 3(a)는 캡(102)이 튜브(106)에 체결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3(b)는 AA'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3(c)는 저면도이다.
캡(102)은 중앙부의 하부에 필터(304)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캡(102)의 주변부에는 관통구(302)가 형성된다. 관통구(302)에는 채취봉(104)의 손잡이부(204)가 밀착되게 삽입된다. 관통구(302)의 하단에는 걸림홈(303)이 형성된다. 채취봉(104)을 관통구(302)에 삽입하여 튜브(106)의 일측에 고정하므로 자동화된 판독 장비에서 니들, 파이펫, 채취 팁 등으로 검체를 채취할 때 채취봉(104)의 간섭을 막을 수 있다. 캡(102)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관통구(302)와 채취봉(104) 사이는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필터(304)의 상부(또는 캡(102)의 중앙부 상부)에는 커버부(306)가 형성된다. 커버부(306)는 절개부(306a)와 비절개부(306b)를 구비한다. 절개부(306a)는 캡(10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 형태이며, 비절개부(306b)를 제외하고 얇은 두께를 갖는 막으로 구성되고, 채취 및 이송 과정에서는 절단되지 않은 상태이다. 절개부(306a)는 자동화된 판독 장비에서 채취 팁 등의 압박과 같이 외력이 작용하면 비로소 절단된다.
튜브(106)는 검체를 용해하는 추출 용액(307)이 담긴 용기부(308)와, 튜브렉(도시되지 않음) 등에 장착되기 위한 몸체부(310)를 구비한다. 용기부(308)의 내면에는 일 측면에 용기부(308)의 하단까지 도달하는 채널 형태의 회피부(312)가 형성된다. 회피부(312)는 캡(102)과 튜브(106)이 체결된 상태에서 관통구(302)와 인접한다. 회피부(312)는 중앙부를 향하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채취봉(104)을 용기부(308)의 하단 중앙부로 가이드한다.
튜브(106)는 회피부(312)의 하부에 경사부(314)를 구비한다. 하방으로 경사부(314)를 지나면서 용기부(308)의 내경은 작아진다. 경사부(314)는 필터(304)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용기부(308)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채취 키트(100)에서의 캡(102)과 채취봉(104)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채취봉(104)를 사용하여 검체를 채취하는 상태에서의 캡(102)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4(b)는 튜브(106)에 캡(102)을 체결하는 상태에서의 캡(102)의 위치를 나타낸다. 캡(102)은 걸림홈(303)이 채취봉(104)의 걸림턱(212)에 도달할 때까지 채취봉(104)을 따라 아래로 이동한다.
도 4(b)와 같이 캡(102)이 아래로 이동한 상태에서 회피부(312)를 따라 채취봉(104)을 튜브(106)에 삽입하면 회피부(312)의 경사를 따라 채취봉(104)이 만곡된다. 깊이 표시선(214)을 이용하여 채취봉(104)을 튜브(106)에 적절한 깊이로 삽입하고, 캡(102)을 튜브(104)에 체결하면 검체가 부착되어 있는 채취부(202)가 용기부(308)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절단홈(210)을 이용하여 채취봉(104)의 손잡이부(204)를 절단하고 자동화된 판독 장비(도시되지 않음)로 채취 키트(100)를 이송한다. 절단된 손잡이부(204)는 검체가 전혀 묻어 있지 않으므로 바이오해저드의 우려가 없어 자유롭게 폐기할 수 있다. 실링부(212)는 이송 과정에서 캡(102)의 관통구(302)와 채취봉(104) 사이의 틈새로 추출 용액 또는 검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검체가 묻어 있는 채취부(202)가 튜브(106) 내에 수용된 상태로 이송되므로 추출 용액에 의해 충분히 용해되어 판독 장비에서 검체가 더 많이 추출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채취 키트(100)에서 추출 용액(307)에 용해된 검체가 채취 팁(502)에 의해 채취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봉(104)은 절단홈(210)에서 절단된 상태로 자동화된 판독 장비에 장착된다.
채취 팁(502)이 자동화된 판독 장비(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되어 채취 팁(502)가 커버부(306)를 압박하면 절개부(306a)가 절단된다. 채취 팁(502)이 판독 장비에 의해 더욱 아래로 이동하면 캡(102)의 중앙부 하부에 설치된 필터(304)를 경사부(314)까지 이동시킨다. 경사부(314)는 필터(304)가 용기부(308)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채취부(202)에 묻어 있는 검체는 추출 용액(307)에 의해 용해되고, 검체가 용해된 추출 용액 중에서 콧물 등은 필터(304)에 의해 걸러지고, 필터(304)를 통과한 상층의 추출 용액(307a)만이 채취 팁(502)에 의해 채취된다. 이와 같이 채취 키트(100)를 사용하면 검체 판독을 위해 별도의 전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자동화된 판독 장비에서 사용이 용이하여 인력의 수고를 줄이고 검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채취부(202)로부터 걸림턱(212)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채취부(202)에 묻어 있는 검체가 추출 용액(307)에 충분히 잠기지 않을 수 있고, 채취 팁(502)에 의해 아래 쪽으로 이동한 필터(304)의 상부에 채취부(202)가 위치할 수 있다. 검체가 추출 용액(307)에 충분히 잠기지 않으면 검체의 일부가 추출 용액(307)에 용해되지 않게 된다. 필터(304)의 상부에 채취부(202)가 위치하면 콧물 등이 채취 팁(502)의 채취 구멍을 막을 수 있다. 채취부(202)로부터 걸림턱(212)이 너무 멀면 필터(304)가 추출 용액(307)에 충분히 잠기는 것을 채취봉(104)이 방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채취 키트(600)에서 추출 용액에 용해된 검체가 팁(612)에 의해 채취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채취 키트(600)에서는 채취봉이 밀착되게 삽입되는 관통구가 캡(602)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대신에 채취봉에서 채취부(604) 상부의 적당한 지점을 가위 등으로 절단하여 채취부(604)를 튜브(606)에 수용한다. 판독 장비(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 팁(612)이 외력을 가하면 커버부(610)가 개방되고, 팁(612)은 캡(602)의 중앙부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필터(608)를 튜브(606)의 하부로 이동시킨다. 채취부(604)에 묻은 검체는 추출 용액에 의해 용해되고, 필터(608)에 의해 필터링된 후에 채취 팁(612)에 의해 채취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채취 키트(700)에서 추출 용액에 용해된 검체가 팁(712)에 의해 채취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채취 키트(700)에서는 채취봉이 밀착되게 삽입되는 관통구가 캡(702)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채취부에 묻은 검체는 튜브(706) 내에 수용된 추출 용액에 의해 용해되고 채취봉은 바로 폐기된다. 판독 장비(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 팁(712)이 외력을 가하면 커버부(710)가 개방되고, 팁(712)은 캡(702)의 중앙부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필터(708)를 튜브(706)의 하부로 이동시킨다. 추출 용액에 의해 용해된 검체는 필터(708)에 의해 필터링된 후에 채취 팁(712)에 의해 채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채취 키트 102 : 캡
104 : 채취봉 106 : 튜브
202 : 채취부 204 : 손잡이부
206 : 연장부 208 : 걸림턱
210 : 절단홈 212 : 실링부
214 : 깊이 표시선 302 : 관통구
304 : 필터 306 : 커버부
306a : 절개부 306b : 비절개부
307 : 추출 용액 308 : 용기부
310 : 몸체부 312 : 회피부
314 : 경사부 502 : 채취 팁
600, 700 : 채취 키트 602, 702 : 캡
604 : 채취부 606, 706 : 튜브
608, 708 : 필터 610, 710 : 커버부
612, 712 : 채취 팁

Claims (8)

  1. 채취봉을 사용하여 바이오 샘플을 채취하는 키트에 있어서,
    중앙부의 하부에 필터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의 상부에 커버부가 형성된 캡과,
    채취부와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채취봉과,
    상기 캡이 체결되고 추출 용액을 수용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추출 용액과 상기 채취봉을 함께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주변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채취봉의 손잡이부가 상기 관통구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봉은 상기 손잡이부에 절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채취봉을 가이드하는 회피부가 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채취부의 경계에 상기 캡에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봉은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실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키트.
KR1020210059787A 2021-05-10 2021-05-10 채취 수단이 장착된 판독 장비에 사용되는 바이오 샘플을 채취하는 키트 KR102629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87A KR102629716B1 (ko) 2021-05-10 2021-05-10 채취 수단이 장착된 판독 장비에 사용되는 바이오 샘플을 채취하는 키트
EP22167316.3A EP4088667A1 (en) 2021-05-10 2022-04-08 Kit for collecting bio-samples using a collection rod
US17/734,171 US11781951B2 (en) 2021-05-10 2022-05-02 Kit for collecting bio-samples using a collection rod
CN202210484716.8A CN115326472A (zh) 2021-05-10 2022-05-06 使用采集棒采集生物样本的试剂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87A KR102629716B1 (ko) 2021-05-10 2021-05-10 채취 수단이 장착된 판독 장비에 사용되는 바이오 샘플을 채취하는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645A true KR20220152645A (ko) 2022-11-17
KR102629716B1 KR102629716B1 (ko) 2024-01-29

Family

ID=8130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787A KR102629716B1 (ko) 2021-05-10 2021-05-10 채취 수단이 장착된 판독 장비에 사용되는 바이오 샘플을 채취하는 키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81951B2 (ko)
EP (1) EP4088667A1 (ko)
KR (1) KR102629716B1 (ko)
CN (1) CN115326472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5385A1 (en) * 2004-12-01 2006-06-01 Meridian Bioscience, Inc. Specimen collection system
JP4961029B2 (ja) * 2010-05-31 2012-06-27 株式会社シン・コーポレイション 検査用キット
KR200461199Y1 (ko) 2010-10-19 2012-07-19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보호튜브를 가지는 실리콘 스왑
JP5065503B2 (ja) * 2010-02-05 2012-11-07 株式会社シン・コーポレイション 検査用キット
JP5379061B2 (ja) * 2010-03-31 2013-1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抽出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抽出容器および抽出キット
KR102211288B1 (ko) 2020-06-19 2021-02-03 주식회사 케이에스 요철형 스왑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9061U (ko) 1976-12-01 1978-07-01
US5624554A (en) * 1993-11-22 1997-04-29 Biomedical Polymers, Inc. Collection and transfer device
IT1393104B1 (it) * 2009-02-25 2012-04-11 Sentinel Ch S P A Provetta perfezionata per la raccolta, il trasporto e l'estrazione di campioni di feci
US20110048981A1 (en) * 2009-08-27 2011-03-03 Arkray, Inc. Sample collection implement
WO2011095559A1 (de) 2010-02-04 2011-08-11 Magna Powertrain Ag & Co Kg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nebenaggregat
JP2013217707A (ja) * 2012-04-05 2013-10-24 Bl:Kk 検体採取用具および検体採取用キット
ITUB20160397A1 (it) * 2016-02-05 2017-08-05 Thd Spa Contenitore per la raccolta di campioni di feci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5385A1 (en) * 2004-12-01 2006-06-01 Meridian Bioscience, Inc. Specimen collection system
JP5065503B2 (ja) * 2010-02-05 2012-11-07 株式会社シン・コーポレイション 検査用キット
JP5379061B2 (ja) * 2010-03-31 2013-1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抽出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抽出容器および抽出キット
JP4961029B2 (ja) * 2010-05-31 2012-06-27 株式会社シン・コーポレイション 検査用キット
KR200461199Y1 (ko) 2010-10-19 2012-07-19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보호튜브를 가지는 실리콘 스왑
KR102211288B1 (ko) 2020-06-19 2021-02-03 주식회사 케이에스 요철형 스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81951B2 (en) 2023-10-10
CN115326472A (zh) 2022-11-11
US20220357241A1 (en) 2022-11-10
KR102629716B1 (ko) 2024-01-29
EP4088667A1 (en)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0260B2 (ja) 生検試料の連続的な収集及び保存によって原位置での固定及び試料処理を行う取り外し可能な先端部の内部カセット装置
EP2741675B1 (en)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biological samples, and corresponding method
US8071058B2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biological samples
ES2218628T3 (es) Soporte para un tubo capilar provisto de medios de obturamiento y destinado para el examen sanguineo.
US3460529A (en) Sterile device for extracting urine samples and the like and package for same
EP2965731A1 (en) Evidence collector with integral quantified reagents and method of modulating specimen drying time
JP2013228235A (ja) 検査用キット
CN108780028A (zh) 包括血液采集器以及血液收容器的血液采集器具
US3406573A (en) Capillary pipette and adapter-holder therefor
EP1504722A2 (en) Device for drawing biological and/or chemical samples
US200700563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ing a fluid
KR20220152645A (ko) 채취봉을 사용하여 바이오 샘플을 채취하는 키트
KR20110043483A (ko) 검체 처리 유닛 및 검체 처리 방법
JP3219313B2 (ja) 試料採取器具
US5952239A (en) Cytology chamber with port to receive collection bottle and method of use
WO2022050399A1 (ja) 液体採取具、液体採取具の製造方法、及び検査キット
EP0960327B1 (en) A perforating analytical test device
CN207798479U (zh) 一种采样装置
JP3050685U (ja) 検診用サンプル容器用蓋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検診用サンプル容器
KR100604145B1 (ko) 배지용기
JP2011209107A (ja) 検体採取用具
CN217659878U (zh) 一种干血斑采集卡及其采集装置
CN104605948A (zh) 一种临床检验专用末梢血采血箱
CN216485078U (zh) 用于从封闭腔室提取流体样品的装置
JPH064667U (ja) 検便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