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628A -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628A
KR20220152628A KR1020210059742A KR20210059742A KR20220152628A KR 20220152628 A KR20220152628 A KR 20220152628A KR 1020210059742 A KR1020210059742 A KR 1020210059742A KR 20210059742 A KR20210059742 A KR 20210059742A KR 20220152628 A KR20220152628 A KR 20220152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nformation
air volume
wireless communication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9870B1 (ko
Inventor
박정휘
Original Assignee
박정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휘 filed Critical 박정휘
Priority to KR102021005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87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40Details of construction of the flow constriction devices
    • G01F1/46Pitot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IoT 기반의 풍량 제어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풍량 제어 설비는, 상기 설비가 설치된 영역의 풍량 정보 및 차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획득하는 피토관을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계측 정보를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AIR MEASUREMENT FACILITY BASED ON INTERNET-OF-THINGS AND SMOK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원은 IoT 기반의 풍량 제어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형 전시장, 대형 마트, 멀티플렉스 몰 등의 대규모 건물 내의 실내 공간에는 실내 공기 제어, 소방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설비가 천장 상부, 벽체 내부, 바닥 하측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건물의 천장의 경우 다수의 덕트, 전원 배선 등이 복잡하게 배치되며, 이러한 다양한 구조물과 근접하여 환기 또는 소방 목적의 다양한 설비가 다수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천장 상부, 벽체 내부, 바닥 하측 등 매립된 위치에 설치되는 각종 설비에 대하여 점검, 진단, 보수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설비에 접근하는 것 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비 각각의 구동 상태를 작업자가 직접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최근 들어,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설비에 무선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있기는 하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더라도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접한 통신 모듈 간의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 다수의 설비가 배치되는 대형 건물 등에서는 개별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정밀하게 획득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943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풍량 정보, 차압 정보 등의 계측 정보를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전송할 수 있는 IoT 기반의 풍량 제어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비의 동작 범위에 대응하는 실내 공간을 이루는 벽체 내부로 매립 설치되되, 무선 통신 모듈은 벽체 외측에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용이하게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풍량 제어 설비는, 상기 설비가 설치된 영역의 풍량 정보 및 차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획득하는 피토관을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계측 정보를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계측 정보를 상기 설비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통합 제어 장치 또는 상기 통합 제어 장치와 상기 설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계측 정보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초과하면, 상기 계측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계측 정보가 상기 허용 수준 이내이면, 미리 설정된 통신 주기마다 상기 계측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경고 신호가 전송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통신 주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풍량 제어 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설비로부터 수신한 상기 계측 정보를 출력하는 인버터 판넬 장치로 상기 계측 정보를 유선 통신에 기반하여 전송하는 유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NFC(Near-Field Communication), RFID 및 Wi-Fi(Wireless Fidelity)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계측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풍량 제어 설비는 상기 피토관을 감싸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은, 상기 설비가 설치된 영역의 풍량 정보 및 차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획득하는 피토관 및 상기 계측 정보를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 및 상기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로부터 상기 계측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통합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통합 제어 장치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로부터 직접 상기 계측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계측 정보를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계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 각각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는, 몸체부,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분석부 및 상기 설비에 대하여 할당된 식별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를 통합 제어 장치로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설비의 동작 범위에 대응하는 실내 공간을 이루는 벽체 내부에 매립 설치되되,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벽체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설비의 구동과 연계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설비가 설치된 층수 정보 및 층내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돌출 방향 및 돌출 정도는 상기 통합 제어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설비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이웃 설비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설비마다 개별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비는 화재 발생시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연 설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통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는 상기 실내 공간의 천장이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천장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비는 덕트에 대하여 설치되어, 상기 덕트와 연계된 풍량 정보 및 압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피토관 설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덕트를 이루는 벽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상기 벽체 외측에 대한 돌출 방향은 상기 덕트의 연장 방향 및 절곡 방향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의 구동 방법은, (a)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설비에 대하여 할당된 식별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통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통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설비의 구동과 연계된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풍량 정보, 차압 정보 등의 계측 정보를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전송할 수 있는 IoT 기반의 풍량 제어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설비의 동작 범위에 대응하는 실내 공간을 이루는 벽체 내부로 매립 설치되되, 무선 통신 모듈은 벽체 외측에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용이하게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를 포함하는 IoT 설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몸체부는 벽체 내부에 매립 설치되고, 무선 통신 모듈은 벽체 외측에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덕트에 대하여 설치되는 설비의 무선 통신 모듈이 덕트의 연장 방향 및 절곡 방향을 고려하여 돌출 방향이 설정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의 구동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에 관련된 용어(수평 방향, 상부, 상향, 하향, 폭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은 12시에서 6시 방향이고, 수평 방향은 3시에서 9시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향 설정은 본원 설비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는 도 3 기준 상향이 수평 방향(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도 3 기준 상향이 비스듬한 경사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은 IoT 기반의 풍량 제어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를 포함하는 IoT 설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100)(이하, '매립형 설비(100)'라 한다.)를 포함하는 IoT 설비 시스템(10)은 매립형 설비(100), 통신 중계 장치(200), 인버터 판넬 장치(300), 통합 제어 장치(400), 스토리지 서버(500a) 및 사용자 단말(500b, 500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중계 장치(200)는 건물(1) 내부의 복수의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통신 중계 장치(200a, 200b)로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매립형 설비(100)는 해당 설비가 설치 영역의 풍량 정보 및 차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형의 설비인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100)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도면부호 100은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100) 또는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100)를 지칭하도록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IoT 설비 시스템(10)은 건물 내 화재 발생 상황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연 기능을 수행하는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100)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10)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도면부호 10은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를 포함하는 IoT 설비 시스템(10) 또는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10)을 지칭하도록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매립형 설비(100), 통신 중계 장치(200), 인버터 판넬 장치(300), 통합 제어 장치(400), 스토리지 서버(500a) 및 사용자 단말(500b, 500c)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500b, 500c)은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400)는 IoT 설비 시스템(10)을 구비한 건물 내 다양한 위치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형 설비(1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매립형 설비(100)의 구동과 연계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매립형 설비(100)로 네트워크(20)에 기반하여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설비에 대한 통합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특히, 통합 제어 장치(400)는 IoT 설비 시스템(10)이 구비된 건물의 화재와 연계된 각종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IoT 설비 시스템(10)에 포함된 각종 설비(예를 들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매립형 설비(100) 등)를 제어하는 관제실(Control Room), 상황실 등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합 제어 장치(400)는 예시적으로 IoT 설비 시스템(10)이 구비된 건물 내 일부 영역(예를 들어, 지하실 등)에 마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통합 제어 장치(400)는 IoT 설비 시스템(10)이 구비된 건물 외부에 마련된 관제탑 등의 공간에 별도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IoT 설비 시스템(10)이 구비된 건물의 화재 발생 시에 요구되는 화재 대응 기능과 관련하여, 매립형 설비(100)는 화재 발생시 건물 내의 실내 공간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연 설비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합 제어 장치(400)는 건물과 관련한 소정의 공간(예를 들면, 실내 공간 또는 건물과 인접한 실외 공간 등)에 대한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제연 설비인 매립형 설비(100)에 제연 관련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제연 설비에 해당하는 매립형 설비(100)는 급기 댐퍼, 제연 댐퍼, 급기 팬(송풍기), 배기 팬(송풍기), 차압 댐퍼, 방화문 개폐를 위한 모터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b, 500c)은 매립형 설비(10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매립형 설비(100)를 조작하거나 수리/보수/점검하기 위하여 매립형 설비(100)가 설치된 영역 주변부로 근접하는 사용자(예를 들면, 설비 관리자, 점검자 등)가 휴대할 수 있는 이동형(Portable)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매립형 설비(100)는 실외의 공기를 건물(1) 내부로 공급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실내에서 순환시키거나, 건물(1) 외부인 실외로 내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덕트(2)에 대하여 설치되어 덕트(2)와 연계된 풍량 정보 및 압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획득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매립형 설비(100)는 특히 피토관 설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토관 설비 유형의 매립형 설비(100)는 라인 피토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IoT 설비 시스템(10)은 복수의 매립형 설비(100)와 복수의 매립형 설비(1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합 제어 장치(400)의 통신을 중계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중계 장치(도 2의 "WAP", 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IoT 설비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매립형 설비(100)로부터 수신한 계측 정보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버터 판넬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인버터 판넬 장치(300)는 해당 건물(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저층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매립형 설비(10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매립형 설비(100)는 몸체부(110), 분석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분석부(120)는 측정부(121)를 포함하고,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부(131) 및 유선 통신부(13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분석부(120)는 매립형 설비(1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몸체부(110)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120)는 몸체부(110) 내부에 탑재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매립형 설비(100)의 상태 정보는 해당 설비의 정상 작동 여부, 해당 설비가 제공하는 기능의 동작 수준,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의 정상 작동 여부, 점검 이력, 구동 기록(로그), 전원 정보, 수명 정보, 연한 정보 등을 폭넓게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립형 설비(100)가 풍량 측정 설비(100) 타입인 경우, 분석부(120)의 측정부(121)는 매립형 설비(100)가 설치된 영역의 풍량 정보 및 차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획득하는 피토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분석부(120)는 계측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매립형 설비(100)에 대하여 할당된 식별 정보 및 분석부(120)에 의해 획득된 매립형 설비(100)의 상태 정보를 통합 제어 장치(400)로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131)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NFC(Near-Field Communication), RFID 및 Wi-Fi(Wireless Fidelity)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태 정보(계측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에서는 종래에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무선 통신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몸체부는 벽체 내부에 매립 설치되고, 무선 통신 모듈은 벽체 외측에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매립형 설비(100)의 몸체부(110)는 매립형 설비(100)의 동작 범위에 대응하는 실내 공간을 이루는 벽체(2000)의 내부(2)에 매립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매립형 설비(100)의 무선 통신부(131)의 무선 통신 모듈은 벽체(2000)의 외측(2')에 배치되도록 몸체부(1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벽체(2000)에는 매립형 설비(100)의 무선 통신 모듈을 벽체(2000) 외측으로 돌출 배치하기 위한 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매립형 설비(100)는 몸체부(110)와 매립형 설비(1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분석부(120)는 건물의 실내 공간을 이루는 벽체(2000) 내측으로 배치하고, 상태 정보 등을 외부 디바이스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거나 매립형 설비(100)의 구동과 연계된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벽체(2000) 외측에 노출되도록 몸체부(110)로부터 돌출 형성함으로써, 매립형 설비(100)의 전체적인 형태가 실내 공간 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실내 공간의 심미감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매립형 설비(10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예를 들면, 소방 기능, 제연 기능, 공조 기능, 센싱 기능 등)을 수행하고, 매립형 설비(100) 각각의 상태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용이하게 송신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모듈을 벽체(2000) 외측에 배치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131)에 의해 송신되는 매립형 설비(100)의 식별 정보는, 매립형 설비(100) 각각에 대하여 할당된 식별자(Identification, ID), 해당 매립형 설비(100)가 설치된 건물(1) 내 층수 정보, 해당 층내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정보는 통합 제어 장치(400)가 수신한 상태 정보를 복수의 매립형 설비(100) 중 어느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활용되거나 통합 제어 장치(400)가 상태 정보 등을 고려하여 생성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매립형 설비(100)를 특정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통합 제어 장치(400)는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100) 각각으로부터 직접 계측 정보(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통신 중계 장치(200)로부터 계측 정보(상태 정보)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신 중계 장치(200)는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을 보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매립형 설비(100) 각각의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의 돌출 방향 및 돌출 정도는 통합 제어 장치(400)의 위치 및 해당 매립형 설비(100)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이웃 설비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복수의 매립형 설비(100) 각각에 대하여 개별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예시하면,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매립형 설비(100)가 상대적으로 우측에 도시된 매립형 설비(100) 대비 통합 제어 장치(400)와 근접한 설비인 경우, 우측의 매립형 설비(100) 대비 통합 제어 장치(400)와의 무선 통신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좌측에 도시된 매립형 설비(100)의 무선 통신 모듈보다 우측에 도시된 매립형 설비(100)의 무선 통신 모듈이 벽체(2000)로부터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되는 형태(예를 들면, 벽체(2000)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긴 형태 등)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의 벽체(2000)에 대한 돌출 방향은 통합 제어 장치(400), 통합 제어 장치(400)와 매립형 설비(100)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 장치(200) 및 인버터 판넬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고려하여 해당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방향이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립형 설비(100)가 설치되는 벽체(2000)는 건물(1) 내부의 실내 공간의 천장일 수 있으며, 이러한 천장에 대하여 설치되는 매립형 설비(100)의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천장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덕트에 대하여 설치되는 설비의 무선 통신 모듈이 덕트의 연장 방향 및 절곡 방향을 고려하여 돌출 방향이 설정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매립형 설비(100)가 덕트(2)에 대하여 설치되어, 덕트(2)와 연계된 풍량 정보 및 압력(차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 정보(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 유형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덕트(2)를 이루는 벽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의 벽체 외측에 대한 돌출 방향은 덕트(2)의 연장 방향 및 절곡 방향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1점쇄선의 원형으로 표시된 영역이 덕트(2)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하여 구비되는 두 개의 매립형 설비(100)를 각각 나타내는 것일 때, 좌측에 도시된 매립형 설비(100)의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덕트(2)의 연장 방향 및 절곡 방향을 고려하여 제1방향(d1)을 향하여 돌출되되, 상대적으로 우측에 도시된 매립형 설비(100)의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덕트(2)의 연장 방향 및 절곡 방향을 고려하여 제2방향(d2)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렇듯, 덕트(2)에 대하여 설치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경우, 덕트(2)의 형태를 고려한 설비별 무선 통신 모듈의 상대적인 돌출 방향 설정을 통해 매립형 설비(100)와 통신 중계 장치(200), 인버터 판넬 장치(300), 통합 제어 장치(400) 등과의 개별 통신시의 상호 간섭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립형 설비(100)가 화재 발생시 건물(1) 내의 실내 공간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연 설비인 경우 등 실내 화재에 대응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설비 유형인 경우, 매립형 설비(100)의 무선 통신부(131)는 실내 공간에 대한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매립형 설비(100)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통합 제어 장치(400)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합 제어 장치(400)는 화재 감지 정보에 대응하여 매립형 설비(10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로부터 화재 발생 상황과 연계된 정보(예를 들면, 화재 발생 위치, 화재 발생 강도 등)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립형 설비(100)가 화재 발생시 건물(1) 내의 실내 공간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연 설비인 경우 등 실내 화재에 대응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설비 유형인 경우, 통합 제어 장치(400)는 파악된 화재 발생 상황과 연계된 정보를 고려하여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의 통합 제어 장치(400)로의 송신 주기를 단축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소정의 매립형 설비(100)로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요청 신호를 수신한 매립형 설비(100)는 기 설정된 송신 주기 대비 단축된 송신 주기로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통합 제어 장치(40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발생 상황과 연계된 정보를 고려한 요청 신호의 선택적인 전송은, 화재 발생층에 설치된 매립형 설비(100)를 선택적으로 선정하거나 재실자의 피난 경로에 대응하여 설치된 매립형 설비(100)를 선택적으로 선정하는 등 화재 상황을 고려할 때 상태 정보의 신속한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매립형 설비(100)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매립형 설비(100)는 해당 설비의 유형에 따라 상태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통합 제어 장치(400)로 전송하는 송신 주기가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속적인 상태 정보의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유형의 매립형 설비(예를 들면, 소방 설비 등)는 상대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지 않는 유형의 매립형 설비(예를 들면, 단순 공조 설비 등) 대비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통합 제어 장치(400)로 전송하는 송신 주기가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매립형 설비(100)는 해당 설비의 유형에 따라 상태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통합 제어 장치(400)로 전송하는 송신 시점이 구분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유형(예를 들면, 소방 설비 등)에 해당하는 복수의 매립형 설비(100)의 상태 정보 및 식별 정보의 송신 시점은 제1유형과 상이한 제2유형(예를 들면, 단순 공조 설비 등)에 해당하는 복수의 매립형 설비(100)의 상태 정보 및 식별 정보의 송신 시점과 구분되도록 설정되어 다수의 매립형 설비(100)로부터 통합 제어 장치(400)로의 송수신되는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따른 시계열적인 통신 부하가 소정의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여, 과도한 양의 데이터가 특정 시점에 집중적으로 송수신되어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량 측정 설비(100)에 해당하는 복수의 매립형 설비(100)에 대하여, 통합 제어 장치(400)는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100)로부터 각각 전송된 계측 정보 사이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100) 중 풍량 정보 또는 차압 정보가 비정상적으로 측정된 풍량 측정 설비(100)를 특정하고, 해당 풍량 측정 설비(100)에 대하여 확보된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확인요청 신호를 점검자 등의 사용자 단말(500b, 500c)로 전송하여 점검자 등이 해당 풍량 측정 설비(100)에 대한 점검/보수/확인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합 제어 장치(400)는 각각의 풍량 측정 설비(100)가 덕트(2)에 대하여 설치된 위치, 풍량 측정 설비(100) 간의 이격 간격, 덕트(2)의 연장 방향, 절곡 방향 등의 풍량 측정 설비(100) 관련 설치환경 정보를 기 보유하고, 설치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계측 정보가 비정상 범주에 해당하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인접 풍량 측정 설비(100) 간의 풍량 또는 차압의 허용 편차를 사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제1풍량 측정 설비와 제2풍량 측정 설비로부터 각각 획득된 계측 정보간의 차이가 해당 제1풍량 측정 설비와 제2풍량 측정 설비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허용 편차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합 제어 장치(400)는 제1풍량 측정 설비 또는 제2풍량 측정 설비에 대한 점검/보수/확인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확인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500b, 500c) 등으로 전송하고, 해당 이력을 스토리지 서버(500a)에 저장(기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량 측정 설비(100)의 무선 통신부(131)는 측정부(121)에 의해 획득된 계측 정보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초과하면, 계측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신호를 통합 제어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량 측정 설비(100)의 무선 통신부(131)는 측정부(121)에 의해 획득된 계측 정보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 이내이면, 미리 설정된 통신 주기마다 계측 정보를 통합 제어 장치(400)로 전송하되, 경고 신호가 전송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통신 주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부(132)는 적어도 하나의 매립형 설비(100)로부터 수신한 계측 정보를 출력하는 인버터 판넬 장치(300)로 계측 정보를 케이블 등을 통한 유선 통신에 기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매립형 설비(100)는 무선 통신 방식과 유선 통신 방식을 함께 활용하여 계측 정보, 상태 정보 등을 외부 디바이스(통신 중계 장치(200), 인버터 판넬 장치(300), 통합 제어 장치(400) 등)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통합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 단말(500b, 500c)의 제1위치 정보 및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b, 500c)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 단말(500b, 500c)을 통해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 간의 변위 정보를 출력하여 점검자 등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로부터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가 위치하는 영역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500b, 500c)은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출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제1위치 정보와 제2위치 정보 간의 변위 정보는 청각적 출력 방식(BEEP 음, 음성 안내, 음향, 음악, 경보음, 지시음 등), 촉각적 출력 방식(진동 방식 등), 시각적 표시 방식(사용자 단말(500b, 500c)에 마련된 디스플레이(LCD, OLED, LED 등)을 이용한 화면 출력) 등을 폭넓게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 단말(500b, 500c)의 제1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합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 단말(500b, 500c)로부터 제1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 단말(500b, 500c)에 마련된 관성 센서(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등), 위치 센서 등의 센싱 결과, GPS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500b, 500c)로부터 수신하는 방식으로 제1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합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 단말(500b, 500c)에 마련된 카메라 모듈 또는 해당 건물 내에 마련된 촬영 디바이스(예를 들면, CCTV 등)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제1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통합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 단말(500b, 500c)에 구비된 음향 센서(마이크 등)로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500b, 500c) 주변 공간의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1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일 수 있다.
종합하면, 사용자 단말(500b, 500c)의 위치 정보인 제1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프로세스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한 측위, 카메라, 소리, 조명 등을 이용한 위치인식 방식 등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 장치(400)는 획득된 제1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를 포함하는 건물 내의 대상 영역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 장치(400)는 생성된 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b, 500c)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경로 정보를 기초로 대상 영역에 도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대상 영역은 통합 제어 장치(400)로 전송된 식별 정보 등에 기초하여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가 위치하는 것으로 미리 파악된 층, 호실 등 건물 내부의 구획된 영역(공간)으로서, 통합 제어 장치(400)는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가 위치하는 대상 영역에 대한 대략적인 경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1차적으로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를 탐색할 수 있는 영역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대상 영역 내에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획득된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위치 정보(제2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 장치(400)는 건물 내의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로부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해당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이 탑재된 설비의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소정의 주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전송(발산)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이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전송(발산)하는 주기는 해당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이 탑재된 설비의 점검 이력 등에 연동하여 가변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지막 점검 시점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근접한 설비일수록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전송(발산)하는 주기가 길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합 제어 장치(400)는 제1위치 정보와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제2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b, 500c)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위치 정보와 제2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b, 500c)을 통해 제공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 간의 변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b, 500c)의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합 제어 장치(400)는 기 확보된 대상 영역의 평면도(도면), 실내 지도 데이터 등에 식별된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위치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위치 정보는 미리 설정된 표기 방식(예를 들면, 아이콘 등)으로 표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500b, 500c)은 대상 영역을 3차원적(입체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 상에 식별된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위치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영역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란 제1위치 정보와 연계하여 스토리지 서버(500a)에 저장된 대상 영역을 나타내는 기 확보된 이미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대상 영역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500b, 500c)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실시간 이미지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합 제어 장치(400)는 스토리지 서버(500a)에 저장된 대상 영역에 대한 기 확보된 이미지와 사용자 단말(500b, 500c)을 통해 획득된 실시간 이미지에 대한 비교를 통해 실시간 이미지에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위치 정보(제2위치 정보)를 반영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위치, 현재 위치로부터의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근접도를 반영하는 아이콘의 규격(크기) 등을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어 장치(400)는 2차원 평면 상에 변위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1차적으로 표출하되, 변위 정보(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대상 영역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인터페이스를 전환하여 사용자가 입체적으로 제2위치 정보를 파악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합 제어 장치(400)는 변위 정보(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실시간 이미지의 촬영 및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500b, 500c)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500b, 500c)이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실시간 이미지를 제공하면 해당 실시간 이미지를 활용하여 변위 정보를 3차원적(입체적)으로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500b, 500c)의 사용자는 시각적 표시 방식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제공되는 제1위치 정보와 제2위치 정보 간의 변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b, 500c)을 통해 확인하면서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에 근접하도록 대상 영역(예를 들면, 해당 건물 내부 등)를 이동(탐색)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 장치(400)는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로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에는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로 전송된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에 대응하여 유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정보 출력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정보 출력 수단(미도시)은 청각적 출력 방식(BEEP 음, 음성 안내, 음향, 음악, 경보음, 지시음 등), 촉각적 출력 방식(진동 방식 등), 시각적 표시 방식(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에 탑재된 디스플레이를 통한 유도 정보 표시, LED 등의 점멸 방식 등)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유도 정보를 출력하여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에 근접한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게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로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기준인 제1위치 정보와 제2위치 정보 사이의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는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최근접 설비와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 간의 이격 거리,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가 설치된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치 대수, 밀도 등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에서 출력되는 유도 정보의 출력 수준(예를 들면, 음향 볼륨 등)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을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로 전송하기 위한 식별 범위가 큰 값으로 설정될수록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에서 출력되는 유도 정보는 상대적으로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는 고수준(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큰 볼륨을 가지는 음향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 장치(400)는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사용자 단말(500b, 500c)을 통해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에 대한 근접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합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가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로 소정 수준 이상 근접하여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로 진입하면, 사용자 단말(500b, 500c)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에 근접한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근접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통합 제어 장치(400)는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로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을 전송하여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로부터 유도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과 더불어 사용자 단말(500b, 500c)을 통해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로부터 유도 정보가 출력됨을 안내하는 근접 안내 신호를 표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500b, 500c)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 주변에서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를 보다 적극적으로 탐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어 장치(400)는 복수의 설비 각각의 점검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복수의 설비 각각의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제어 장치(400)는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점검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무선 모듈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점검 이력 정보는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에 대한 점검이 마지막으로 이루어진 시점에 대한 정보,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에 대하여 수행된 점검 내역의 목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상태 정보는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의 기능과 연계하여 확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풍량 측정 설비(100)가 해당 기능을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상태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의 구동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의 구동 방법은 앞서 설명된 매립형 설비(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매립형 설비(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의 구동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분석부(120)는 (a) 매립형 설비(1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통신부(130)는 (b) 매립형 설비(100)에 대하여 할당된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통합 제어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통신부(130)는 통합 제어 장치(400)로부터 매립형 설비(100)의 구동과 연계된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의 구동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의 구동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
100: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
110: 몸체부
120: 분석부
121: 측정부
130: 통신부
131: 무선 통신부
132: 유선 통신부
200: 통신 중계 장치
300: 인버터 판넬 장치
400: 통합 제어 장치
20: 네트워크

Claims (10)

  1.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에 있어서,
    상기 설비가 설치된 영역의 풍량 정보 및 차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획득하는 피토관을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계측 정보를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는, 풍량 측정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계측 정보를 상기 설비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통합 제어 장치 또는 상기 통합 제어 장치와 상기 설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것인, 풍량 측정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계측 정보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초과하면, 상기 계측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풍량 측정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계측 정보가 상기 허용 수준 이내이면, 미리 설정된 통신 주기마다 상기 계측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경고 신호가 전송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통신 주기를 단축하는 것인, 풍량 측정 설비.
  5.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설비로부터 수신한 상기 계측 정보를 출력하는 인버터 판넬 장치로 상기 계측 정보를 유선 통신에 기반하여 전송하는 유선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풍량 측정 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NFC(Near-Field Communication), RFID 및 Wi-Fi(Wireless Fidelity)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계측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풍량 측정 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는 상기 피토관을 감싸는 몸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인, 풍량 측정 설비.
  8.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비가 설치된 영역의 풍량 정보 및 차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획득하는 피토관 및 상기 계측 정보를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 및
    상기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로부터 상기 계측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통합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통합 제어 장치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 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로부터 직접 상기 계측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통신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계측 정보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것인, 제연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계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풍량 측정 설비 각각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것인, 제연 시스템.
KR1020210059742A 2021-05-10 2021-05-10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 KR102609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42A KR102609870B1 (ko) 2021-05-10 2021-05-10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42A KR102609870B1 (ko) 2021-05-10 2021-05-10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628A true KR20220152628A (ko) 2022-11-17
KR102609870B1 KR102609870B1 (ko) 2023-12-05

Family

ID=8423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742A KR102609870B1 (ko) 2021-05-10 2021-05-10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8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8537A (ko) * 2016-01-25 2017-08-02 유철권 일정한 방연풍속을 제공하는 제연설비
JP2017151689A (ja) * 2016-02-24 2017-08-31 株式会社エイビット 計測システム
KR102014099B1 (ko) * 2018-02-19 2019-08-26 에이엘 주식회사 사물제어유닛을 이용한 IoT기반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8537A (ko) * 2016-01-25 2017-08-02 유철권 일정한 방연풍속을 제공하는 제연설비
JP2017151689A (ja) * 2016-02-24 2017-08-31 株式会社エイビット 計測システム
KR102014099B1 (ko) * 2018-02-19 2019-08-26 에이엘 주식회사 사물제어유닛을 이용한 IoT기반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870B1 (ko)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085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robot relocalization
US111435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responses to an event detected by a monitoring system
US1077652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home mapping
EP3116200A2 (en) Passenger conveyance way finding beacon system and method
JP6948374B2 (ja) Iot対話システム
CN106796110A (zh) 网络元件和用户设备在室内环境中的位置确定
KR102452504B1 (ko) 단말 및 이의 위치 측정 방법
EP3811163A1 (en) Device location network
US20220139199A1 (en) Accurate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20140067144A (ko) 무선 디바이스를 둘러싼 환경의 지도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과 그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무선 디바이스
CN111033175A (zh) 用于导航的系统和方法
CN109205430A (zh) 电梯的安全检查装置、系统以及方法
JP2019149742A (ja) 通信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66312A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CN106354105B (zh) 用于基于位置来控制设备和设施资源的系统和方法
KR102558389B1 (ko) 통신 인프라와 연동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00017B1 (ko)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20152628A (ko) IoT 기반의 풍량 측정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
KR102464954B1 (ko) 무선 통신 기반의 IoT 설비 시스템
KR20160096466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대피 안내 시스템
JP6773581B2 (ja) 測位端末並びに当該測位端末を用いた測位システム及び測位方法
JP6609415B2 (ja) 端末装置
US11581010B2 (en) Drone assisted setup for building specific sound localization model
US11127170B1 (en) Multi-level premise mapping with security camera drone
KR102552307B1 (ko)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