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198A - 경구 용해성 필름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경구 용해성 필름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198A
KR20220152198A KR1020227026506A KR20227026506A KR20220152198A KR 20220152198 A KR20220152198 A KR 20220152198A KR 1020227026506 A KR1020227026506 A KR 1020227026506A KR 20227026506 A KR20227026506 A KR 20227026506A KR 20220152198 A KR20220152198 A KR 20220152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ly soluble
soluble film
active pharmaceutical
pharmaceutical ingredien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우믹 파텔
Original Assignee
큐어 파마슈티컬 홀딩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어 파마슈티컬 홀딩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큐어 파마슈티컬 홀딩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5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7Arylalkylamines, e.g. amphetamine, epinephrine, salbutamol, ephedrine or metha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61K31/36Compounds containing methylenedioxyphenyl groups, e.g. sesa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8Ergoline derivatives, e.g. lysergic acid, ergot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9Compounds containing 9, 10- seco-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 A61K31/5939,10-Secocholestane derivatives, e.g. cholecalciferol, i.e. vitamin D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75Phosphorus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yridoxal phosph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구 용해성 필름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경구 용해성 필름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본 출원은 2019년 12월 3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955,48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투여되는 경구 약물의 생체이용률은 비교적 낮다. 또한, 민감한 활성 성분(예: 수분, 산소, 빛, pH, 및/또는 열에 민감함)은 적합한 투여 형태 및 투여 경로를 선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여기에는 경구 투여용으로 구성된 투여 형태가 포함된다.
현재, 수분, 산소, 빛, pH, 및 열에 대해 증가된 장벽을 가짐으로써 민감한 활성 성분에 대한 보호를 부여하는 약학 제형물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또한, 덜 강력한 활성 성분이 저용량에서 사용되도록 하는 덜 강력하고 덜 생체이용가능한 활성 성분의 개선된 생체이용률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또한, 다양한 약학 제형물에서, 활성 성분에 의한 점액 층의 침투 및 교차를 증가시켜 활성 성분이 전신 순환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한 바는 간/GI 독성 또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a) 활성 약학 성분; (b) 계면활성제; (c)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 (d) 필름 매트릭스; 및 (e) 물;을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하고; 여기서, (1) 활성 약학 성분이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경우: (i) 계면활성제는 친유성 또는 소수성이고, 및 (ii)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는 친유성 또는 소수성이고; 및 (2) 활성 약학 성분이 소유성 또는 친수성인 경우: (i) 계면활성제는 소유성 또는 친수성이고, 및 (ii)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는 소유성 또는 친수성이다.
본 발명은 또한 (a) 친유성 활성 약학 성분; (b) 친유성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오일 담체; (c) 친유성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자가-유화 친유성 계면활성제; (d) 하나 이상의 보조-계면활성제; (e) 하나 이상의 친수성 계면활성제; (f) 필름 매트릭스; 및 (g) 물;을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친수성 활성 약학 성분; (b) 친수성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물 담체; (c) 친수성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수성 계면활성제; (d) 하나 이상의 보조-계면활성제; (e) 하나 이상의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f) 필름 매트릭스; 및 (g) 물;을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활성 약학 성분을 제1 용매계에 용해시켜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i) 활성 약학 성분이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경우, 활성 약학 성분을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용해시키는 것이거나; 또는 (ii) 활성 약학 성분이 친수성 또는 소유성인 경우, 활성 약학 성분을 친수성 또는 소유성 용매, 친수성 또는 소유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용해시키는 것인 단계; (b) 제1 혼합물 및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를 접촉시켜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제2 혼합물을 물 및 친수성 또는 소유성 계면활성제와 접촉시켜 제3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d) 제3 혼합물을 필름 형성 성분과 접촉시켜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슬러리를 기재 상에 주조하고 경화시켜 경구 용해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경구 용해성 필름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정의
다음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그것에 부여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될 때 "포함하다", "포함하는", "포함", "포함하여", 및 "포함해서"라는 단어는 명시된 물질, 특징, 정수,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물질, 특징, 정수, 구성요소, 단계, 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은 활성 약학 성분, 계면활성제,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 필름 매트릭스, 및 물로부터 형성된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경구 필름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선택적 추가적인 부형제(대안적으로 "첨가제"로 지칭됨)는 예를 들어, 점막접착성 중합체, 가소제, 결합제, 충전제, 증량제, 타액 촉진제, 안정화제 및 증점제, 겔화제, 향미제, 맛 차폐제, 착색제, 안료, 윤활제, 이형제, 보조제, 감미료, 가용화제 및 유화제, 향료, 유화제, 계면활성제, pH 조정제, 완충제, 지질, 활택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점착방지제, 습윤제, 용매, 침투 촉진제, 및 보존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필름의 제형물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부형제 또는 첨가제는, 예를 들어, Lachman, et al., "Theory and Practice of Industrial Pharmacy," 4th Edition (2013); Rowe et al.,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8th Edition (2017); 및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2nd Edition (2015)에 기재되어 있다. 규제적 관점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필름의 제형물에 사용되는 모든 부형제 및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경구 약학 투여 형태에 사용하도록 승인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용해성 필름"은 약학 또는 식품 등급 성분으로 구성되고, 비교적 평평하고, 불연속 치수를 가지며, 액체(예: 점막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에 용해되도록 구성된, 연속 물질인 단위 투여 형태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용해성 필름은 또한 자체-지지될 수 있거나, 다시 말해서 별도의 지지체 없이 그의 완전성 및 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적절한 치수로 크기조정하기(이로써 단위 투여 형태를 제공하기) 전에, 용해성 필름은 풀린 형태(예: 시트) 또는 감긴 형태(예: 벌크 롤)로 존재할 수 있다.
투여될 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해성 필름은 구강 점막, 혀, 눈, 질 또는 직장과 같은, 신체의 점막 표면에 효과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한, 임의의 원하는 형태 및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해성 필름은 스트립, 테이프, 패치, 시트, 또는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태와 같은 물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해성 필름은 약 0.025㎜ 내지 약 0.30㎜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비교적 얇을 수 있거나, 약 0.30㎜ 내지 약 0.775㎜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더 두꺼울 수 있다. 일부 용해성 필름의 경우, 두께는 훨씬 더 클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0.775㎜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용해성 필름"이라는 용어는 단일-층 조성물(예컨대 단일-적층 필름), 이중층 조성물(예컨대 이중-적층 필름), 뿐만 아니라 다중-층 조성물(예컨대 다중-적층 필름)을 포함한다.
용해성 필름은 일반적으로 포장, 운송 및 보관 시 마주하게 되는 장기간에 걸쳐, 그 안에 존재하는 성분(비활성 및 활성)의 필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용해성 필름은 포장, 운송 및 보관 시 일반적으로 마주하게 되는 장기간에 걸쳐 이러한 성분의 비교적 균일한 분포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규제적 관점에서, 용해성 필름은 필름의 단위 면적 당 허용 편차 이하의 활성 성분을 가질 것이다.
용해성 필름은 특정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예: 인간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위 투여 형태 내의 활성 성분(들)의 선택은 치료될 특정 질환 또는 장애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The Physician's Desk Reference, 2018 Edition; The Merck Index, 15th Edition (2013); United States Pharmacopeia (USP) (2018); National Formulary as the USP-NF (2018); 및 the International Pharmacopoeia (Pharmacopoeia Internationalis, Ph. Int.) (2017)는 특정 활성 성분이 제품의 마케팅 및 판매에서(예: 미국 또는 유럽 내), 승인된(예: 미국 FDA 또는 EMA에 의해) 질환 또는 장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숙련된 기술자는 특정 관심의 특정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기초하여, 단위 투여 형태 내에 존재하는 활성 성분(들)의 선택에 대한 지침을 위해 이러한 참조를 찾을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임).
경구 용해성 필름(대안적으로 경구 용해성 필름, ODF, 경구 용해성 필름 스트립, 식용 필름, 식용 스트립, 경구 필름 스트립, 경구 약물 스트립, 협측 필름, 설하 필름, 경구 가용성 필름 등으로 알려져 있음)은 단위 투여 형태이며 여기서 용해성 필름은 구강 내 투여되고 원하는 기간 동안 붕해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용어 "경구 용해성 필름"은 경구 투여를 위해 구체적으로 구성된 용해성 필름을 지칭한다. 경구 용해성 필름은 식용 또는 섭취용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으로 구성된다. 경구 용해성 필름은 다중- 또는 단일방향성 방출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우표와 크기 및 형태가 유사한 경구 용해성 필름은 경구 투여용으로 설계되며, 사용자는 스트립을 혀 위(장내), 혀 아래(설하), 구강 점막을 통해(점막), 볼의 내부에 대해(협측), 또는 치은 위(잇몸)에 둔다. 장내 경로를 제외하고, 이들 약물 전달 옵션은 약제가 초회 통과 대사를 우회하게 하고 이로 인해 약제가 보다 생체이용성이 되게 한다. 필름이 용해될 때, 약물은 장내로, 점막으로, 협측으로, 잇몸으로, 및/또는 설하로 혈류에 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혀 또는 입속에서 용해되어서, 액체와의 접촉이 일어날 때 용해를 통해 약물을 전신 순환으로 전달하는 친수성 중합체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경구 필름 약물 전달은 입안에서(협측으로, 설하로, 또는 잇몸으로) 및/또는 소장을 통한(장내로) 흡수를 통해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용해 필름을 사용한다. 특히 초회-통과 효과에 의해 대규모로 대사되는 약물의 경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필름은 더 신속하게 작용하고 더 나은 흡수 프로필을 가질 기회를 제공한다.
전신 전달(예: 점막경유 전달)이 요망될 때, 치료 부위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접착성 필름이 혈액, 림프, 또는 다른 신체 유체 내에서 원하는 수준의 의약을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치료 부위는 구강 점막(예: 혀 위, 혀 아래, 치은, 볼 가까이, 등)을 포함한다.
모양이 직사각형일 때, 경구 용해성 필름은 일반적으로 최대 약 65㎜의 길이 및 최대 약 35㎜의 폭의 2차원 프로필을 가질 것이다. 모양에 관계없이, 경구 용해성 필름은 일반적으로 가장 큰 길이, 너비, 직경, 또는 단면의 길이가 약 75㎜ 미만이 되도록 하는 프로필을 가질 것이다.
경구 용해성 필름은 일반적으로 스트립-형성 중합체(예: 점막접착성 중합체), 활성 약학 성분(API), 및 용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형성된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할 것이다. 경구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인 추가적인 부형제(대안적으로 "첨가제"로 지칭됨)는 예를 들어, 가소제, 결합제, 충전제, 증량제, 타액 촉진제, 안정화제 및 증점제, 겔화제, 향미제, 맛 차폐제, 착색제, 안료, 윤활제, 이형제, 보조제, 감미료, 가용화제 및 유화제, 향료, 유화제, 계면활성제, pH 조정제, 완충제, 지질, 활택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점착방지제, 습윤제, 및 보존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필름의 제형물에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Lachman, et al.,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dustrial Pharmacy," 4th Edition (2013); Rowe et al.,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8th Edition (2017); 및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2nd Edition (2015)에 기재되어 있다. 규제의 관점으로부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필름의 제형물에 사용되는 모든 부형제는 바람직하게는 경구 약학 투여 형태에 사용하도록 승인되어야 한다.
용어 "구강 박막"(OTF)은 특정 성능 특성 및 물리적 치수를 갖는, 본 명세서에 달리 기재된 바와 같은 경구 용해성 필름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OTF는 약 0.400㎜ 미만 (및 일반적으로 약 0.250㎜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경구 용해성 필름이고, 약물 부하에 관계없이, 점막접착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타액과 접촉 시 매우 빠르게 용해 및/또는 붕해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OTF는 비교적 짧은 시험관내 붕해 시간(예: 약 120초 이하)으로, 구강(예: 구강 점막 표면)에서 붕해될 수 있다.
경쟁 세력이 OTF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한편, "얇은" 덕분에, 기존 OTF는 일반적으로 높은 약물 부하(예: 200㎎ 또는 40중량% 초과의 활성 성분)를 갖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약물 부하를 증가시키기 위해 OTF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어느 시점에서 생성된 필름은 더 이상 "얇은"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이러한 필름은 OTF의 미학 및 성능 특성을 잃을 위험이 있다. 구체적으로, 높은 약물 부하를 지지하기 위해 기존 OTF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생성된 필름은 타액과 접촉시 효과적으로 침식, 용해, 및/또는 빠르게 붕해되지 않을 수 있다. 생성된 필름은 필름에 필요한 필수 점막접착성을 갖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필름이 침식될 때 점막 표면에 "고착"되어 남아있게 한다. 추가로, 생성된 필름은 일반적으로 제품의 포장, 운송 및 보관시 마주하게 되는 장기간에 걸쳐 필수적인 기계적 특성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더욱이, 생성된 필름은 의도된 바와 같이 대상체에게 치료적으로 유효량의 활성 성분을 전달하는 능력을 보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해성 필름은 일반적으로 슬러리로부터 형성될 것이다. 용어 "슬러리"는 액체에 현탁 및/또는 용해된 고형물의 혼합물을 지칭하고, 압출하고, 기재 상에 주조하고, 경화시켜 용해성 필름을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고체 및 액체는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구 용해성 필름의 제조에 사용되는 고체 물질은 액체에 용해 및/또는 현탁될 수 있다. 경구 용해성 필름은 주조 슬러리를 경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경화는 일정 기간 동안 상승된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상당한 양의 용매(예: 물)가 제거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활성 약학 성분"(API) (및 "활성 성분" 등과 같은 동등한 용어)으로 지칭되는, 소정의 원하는 물질을 (1) 대상체의 치료와 같은 원하는 결과를 얻고, (2) 대상체에서 원하는 수준의 API를 얻으며(예: API의 혈장 수준에 의해 입증됨), 및/또는 (3) 대상체에서 원하는 수준의 API 활성 대사산물을 얻기에(예: API 활성 대사산물의 혈장 수준에 의해 입증됨) 충분하거나 효과적인 양으로 투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용해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용어 "활성 약학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은 임의의 "약물", "생물활성제", "제제", "약제", "치료제", "생리학적 제제", "뉴트라슈티컬(nutraceutical)" 또는 "의약"을 포함하고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물질을 포함하기 위해 사용된다. 건강 보조식품, 비타민, 기능성 식품(예: 생강, 녹차, 루테인, 마늘, 리코펜, 캡사이신 등)도 이 용어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The Physician's Desk Reference, 2018 Edition; The Merck Index, 15th Edition (2013); 및 United States Pharmacopeia (USP) (2018)와 같은 표준 참조문헌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해성 필름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특정 활성 약학 성분,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계면활성제"는 두 액체 사이, 기체와 액체 사이, 또는 액체와 고체 사이의 표면 장력(또는 계면 장력)을 낮추는 물질을 지칭한다. 계면활성제는 세제, 습윤제, 유화제, 발포제, 또는 분산제로 작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쯔비터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다.
용어 "용매"는 용질을 용해시켜 용액을 생성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서, 용질은 예를 들어 필름 형성 중합체, 활성 성분 및 부형제 예컨대, 가소제, 감미료, 향미제, 결합제, 보존제, 착색제, 및 pH 조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의 경우, 슬러리는 용액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용매는 슬러리 (및 후속적으로 경구 용해성 필름)에 포함될 원하는 물질을 용해시켜 슬러리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용매는 수성 용매일 수 있으므로, 물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용매는 에탄올과 같은 유기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하는 물은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물은 가소제, 공정 보조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선택적으로 추가로 기능할 수 있다. 용어 "용매"는 또한 "공-용매"를 포함하고, 이는 용매와 함께 존재하며, 용질의 용해를 돕거나, 용이하게 하거나, 촉진하여 용액(예: 슬러리)을 제공하는 물질이다. 공-용매는 일반적으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유기 액체를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는 활성 약학 성분을 특별히 용해시킬 수 있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용매를 지칭한다.
용어 "매트릭스", "필름 매트릭스", 또는 "중합체 매트릭스"는 활성 성분이 내부에 임베드(embed)된 필름 형성 중합체의 매트릭스를 지칭한다. 활성 성분에 더하여, 중합체 매트릭스는 그 안에 임베드된 추가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는 슬러리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물질이 포함된다. 주조 슬러리가 경화되어 용해성 필름을 제공함에 따라, 내부에 임베드된 활성 성분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추가 물질)을 함유하는 중합체 매트릭스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슬러리가 활성 성분, 필름 형성 중합체, 용매, 결합제, 및 가소제를 함유하는 경우, 용해성 필름을 제공하기 위해 주조 및 경화시, 각각의 활성 성분, 필름 형성 중합체, 용매, 결합제, 및 가소제를 함유할 수 있는 중합체 매트릭스가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활성 성분, 필름 형성 중합체, 결합제, 및 가소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매트릭스(즉, 용매 없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단일 필름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다중(예: 2, 3, 4 등) 필름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친유성"은 지방, 오일, 지질, 및 헥산 또는 톨루엔과 같은 비-극성 용매에 용해되는 화합물의 능력을 지칭한다. 이러한 비-극성 용매는 그 자체로 친유성이며("지방을 선호하는" 또는 "지방을 좋아하는"으로 번역됨), "유사한 것끼리 용해된다"는 공리는 일반적으로 사실이다. 따라서, 친유성 물질은 다른 친유성 물질에 용해되는 경향이 있지만, 친수성("물을 선호하는") 물질은 물 및 기타 친수성 물질에 용해되는 경향이 있다. 친유성, 소수성, 및 비-극성은 용어가 종종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런던 분산력에 참여하는 것과 동일한 경향성을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용어 "친유성" 및 "소수성"은, 소수성이지만 친유성은 아닌, 실리콘 및 플루오르화탄소에서 볼 수 있듯이 동의어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소수성"은 물 덩어리(소수성 물질(hydrophobe)로 알려짐)로부터 겉보기에 반발되는 분자의 물리적 특성이다. (엄밀히 말해, 수반되는 반발력이 없고; 인력이 없는 상태이다.) 반대로, 친수성 물질은 물에 끌린다. 소수성 분자는 비극성 경향이 있으므로, 다른 중성 분자와 비극성 용매를 선호한다. 물 분자는 극성이기 때문에, 소수성 물질은 그들 사이에서 잘 용해되지 않는다. 물의 소수성 분자는 종종 함께 뭉쳐서 마이셀을 형성한다. 소수성 표면의 물은 높은 접촉각을 나타낼 것이다. 소수성 분자의 예는 일반적으로 알칸, 오일, 지방, 및 기름기가 많은 물질을 포함한다. 소수성 물질은 물에서 오일 제거, 오일 유출 관리, 및 극성 화합물에서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화학적 분리 공정에 사용된다. 소수성은 종종 친유성, "지방을 선호하는"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두 용어는 동의어가 아니다. 소수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친유성이지만, 실리콘 및 플루오르화탄소와 같은 예외가 있다. 용어 소수성 물질은 고대 그리스어 '물'과 고대 그리스어 '공포'로 구성된, 고대 그리스어 "물을 무서워하는"에서 유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소유성(lipophobicity)"은 종종 리포포비아(lipophobia)(그리스어 "지방" 및 "공포"에서 유래함)라고도 하며, "지방 거부", 문자 그대로 "지방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하는 화합물의 화학적 특성이다. 소유성 화합물은 지질 또는 기타 비-극성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화합물이다. 다른 관점에서, 이들은 지방을 흡수하지 않는다. "혐유성(Oleophobic)"(라틴어 "오일", 그리스어 "오일" 및 "공포"에서 유래함)은 오일로부터 겉보기에 반발되는 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지칭한다. (엄밀히 말해, 수반되는 반발력이 없고; 인력이 없는 상태이다.) 가장 흔한 소유성 물질은 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친수성"은 물에 용해되는 화합물의 능력을 지칭한다. 이러한 극성 양성자성 용매는 그 자체로 친수성이며("물을 선호하는" 또는 "물을 좋아하는"으로 번역됨), "유사한 것끼리 용해된다"는 공리는 일반적으로 사실이다. 따라서, 친수성 물질은 물 및 기타 친수성 물질에 용해되는 경향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친유성 또는 소수성"은 (i) 친유성, (ii) 소수성, 또는 (iii) 친유성 및 소수성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소유성 또는 친수성"은 (i) 소유성, (ii) 친수성, 또는 (iii) 소유성 및 친수성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칸나비노이드"는 뇌에서 신경전달물질 방출을 억제하는 세포 상의 칸나비노이드 수용체에 작용하는 다양한 화합물의 부류를 지칭한다. 이러한 수용체 단백질은 엔도칸나비노이드(인간과 동물에 의해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됨), 파이토칸나비노이드(대마 및 일부 다른 식물에서 발견됨), 및 합성 칸나비노이드(화학적으로 제조됨)를 포함한다. 가장 주목할만한 칸나비노이드는 대마의 주요 향정신성 화합물인, 파이토칸나비노이드 Δ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HC)이다. 칸나비디올(CBD)은 식물의 또 다른 주요 성분으로, 식물 수지 추출물에서 최대 40%를 차지한다.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대마에서 단리된 적어도 85가지의 상이한 칸나비노이드가 있다. 칸나비노이드는 합성으로 제조(또는 생합성)되거나, 대안적으로 자연적으로(예: 식물 물질에서) 얻을 수 있다. 어느 쪽이든, 칸나비노이드는 필요한 순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뉴트라슈티컬 또는 식이 보충제로 판매되는 경우, 칸나비노이드는 적어도 80중량% 순수, 적어도 85중량% 순수, 또는 적어도 90중량% 순수한 순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약학 제품으로 판매되는 경우, 칸나비노이드는 적어도 95중량% 순수, 적어도 98중량% 순수, 적어도 99중량% 순수, 또는 적어도 99.5중량% 순수한 순도를 가질 수 있다.
대마에서 단리된 칸나비노이드
1. 칸나비게롤 ((E)-CBG-C5)
2. 칸나비게롤 모노메틸 에테르 ((E)-CBGM-C5 A)
3. 칸나비네롤산 A ((Z)-CBGA-C5 A)
4. 칸나비게로바린 ((E)-CBGV-C3)
5. 칸나비게롤산 A ((E)-CBGA-C5 A)
6. 칸나비게롤산 A 모노메틸 에테르 ((E)-CBGAM-C5 A)
7. 칸나비게로바린산 A ((E)-CBGVA-C3 A)
8. (±)-칸나비크로멘(CBC-C5)
9. (+)-칸나비크로멘산 ACBCA-C5 A
10. (+)-칸나비바리크로멘 또는 (+)-칸나비크롬바린 (CBCV-C3)
11. (+)-칸나비크롬바린산 A (CBCVA-C3 A)
12. (-)-칸나비디올 (CBD-C5)
13. 칸나비디올 모노메틸 에테르 (CBDM-C5)
14. 칸나비디올-C4 (CBD-C4)
15. (-)-칸나비디바린 CBDV-C3
16. 칸나비디오르콜 (CBD-C1)
17. 칸나비디올산 (CBDA-C5)
18. 칸나비디바린산 (CBDVA-C3)
19. 칸나비노디올 (CBND-C5)
20. 칸나비노디바린 (CBND-C3)
21. Δ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Δ9-THC-C5)
22. Δ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C4 (Δ9-THC-C4)
23. Δ9-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Δ9-THCV-C3)
24. Δ9-테트라히드로칸나비오르콜 (Δ9-THCO-C1)
25. Δ9-테트라히드로- 칸나비놀산 A (Δ9-THCA-C5 A)
26. Δ9-테트라히드로- 칸나비놀산 B (Δ9-THCA-C5 B)
27. Δ9-테트라히드로- 칸나비놀산-C4A 및/또는 B (Δ9-THCA-C4A 및/또는 B)
28. Δ9-테트라히드로- 칸나비바린산 A (Δ9-THCVA-C3A)
29. Δ9-테트라히드로- 칸나비오르콜산 A 및/또는 B (Δ9-THCOA-C1A 및/또는 B)
30. (-)-Δ8-트랜스-(6aR,10aR)-Δ8-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Δ8-THC-C5)
31. (-)-Δ8-트랜스-(6aR,10aR)-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산 A (Δ8-THCA-C5 A)
32. (-)-(6aS,10aR)-Δ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시스-Δ9-THC-C5)
33. 칸나비놀 (CBN-C5)
34. 칸나비놀-C4 (CBN-C4)
35. 칸나비바린 (CBN-C3)
36. 칸나비놀-C2 (CBN-C2)
37. 칸나비오르콜 (CBN-C1)
38. 칸나비놀산 A (CBNA-C5 A)
39. 칸나비놀 메틸 에테르 (CBNM-C5)
40. (-)-(9R,10R)-트랜스- 칸나비트리올 ((-)-트랜스-CBT-C5)
41. (+)-(9S,10S)-칸나비트리올 ((+)-트랜스-CBT-C5)
42. (±)-(9R,10S/9S,10R)- 칸나비트리올 ((±)-시스-CBT-C5)
43. (-)-(9R,10R)-트랜스- 10-O-에틸-칸나비트리올 ((-)-트랜스-CBT-OEt-C5)
44. (±)-(9R,10R/9S,10S)- 칸나비트리올-C3 ((±)-트랜스-CBT-C3)
45. 8,9-디히드록시-Δ6a(10a)-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8,9-디-OH-CBT-C5)
46. 칸나비디올산 A 칸나비트리올 에스테르 (CBDA-C5 9-OH-CBT-C5 에스테르)
47. (-)-(6aR,9S,10S,10aR)- 9,10-디히드록시- 헥사히드로칸나비놀, 칸나비립솔 (칸나비립솔-C5)
48. (-)-6a,7,10a-트리히드록시-Δ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칸나비테트롤)
49. 10-옥소-Δ6a(10a)-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OTHC)
50. (5aS,6S,9R,9aR)- 칸나비엘소인 (CBE-C5)
51. (5aS,6S,9R,9aR)- C3-칸나비엘소인 (CBE-C3)
52. (5aS,6S,9R,9aR)- 칸나비엘소산 A (CBEA-C5 A)
53. (5aS,6S,9R,9aR)- 칸나비엘소산 B (CBEA-C5 B)
54. (5aS,6S,9R,9aR)- C3-칸나비엘소산 B (CBEA-C3 B)
55. 칸나비글렌돌-C3 (OH-이소-HHCV-C3)
56. 디히드로칸나비푸란 (DCBF-C5)
57. 칸나비푸란 (CBF-C5)
58. (-)-Δ7-트랜스-(1R,3R,6R)-이소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59. (±)-Δ7-1,2-시스- (1R,3R,6S/1S,3S,6R)- 이소테트라히드로- 칸나비바린
60. (-)-Δ7-트랜스-(1R,3R,6R)- 이소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61. (±)-(1aS,3aR,8bR,8cR)- 칸나비시클롤 (CBL-C5)
62. (±)-(1aS,3aR,8bR,8cR)- 칸나비시클롤산 A (CBLA-C5 A)
63. (±)-(1aS,3aR,8bR,8cR)- 칸나비시클로바린 (CBLV-C3)
64. 칸나비시트란 (CBT-C5)
65. 칸나비크로마논 (CBCN-C5)
66. 칸나비크로마논-C3 (CBCN-C3)
67. 칸나비쿠마로논 (CBCON-C5)
68. 칸나비엘소인산 A (CBEA-A)
69. 10-에톡시-9-히드록시-델타-6a-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70. 칸나비트리올바린(CBTV)
71. 델타-9-테트라히드로칸나비오르콜산 (THCA-C1)
72. 델타-7-시스-이소-테트라히드로칸나
73. 칸나비크로마논 (CBCF)
일반적인 칸나비노이드의 구조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합성 제조된 칸나비노이드(예: 퓨리시스™, Athens, GA)는 아래에 제공된다.
일반 명칭 다른 명칭 알킬 꼬리 길이 CAS #
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계열
Δ9-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Δ9-THCV C3 31262-37-0
Δ8-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Δ8-THCV C3 31262-38-1
Δ9-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나프토일에스테르 Δ9-THCV-NE C3 N/A
Δ8-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나프토일에스테르 Δ8-THCV-NE C3 N/A
Δ9-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산 Δ9-THCVA-A, Δ9-THC- VA-B C3 39986-26-0
일반 명칭 다른 명칭 알킬 꼬리 길이 CAS #
칸나비디올바린 계열
(-)-칸나비디바린 (-)-CBDV C3 24274-48-4
(+)-칸나비디바린 (+)-CBDV C3 1637328-94-9
칸나비디바린산 CBDVA C3 31932-13-S
칸나비디바린 퀴논 CBQV C3 N/A
일반 명칭 다른 명칭 알킬 꼬리 길이 CAS #
테트라히드로칸나비부톨 계열
Δ9-테트라히드로칸나비부톨 Δ9-THCB C4 60008-00-6
Δ8-테트라히드로칸나비부톨 Δ8-THCB C4 51768-59-3
Δ9-테트라히드로칸나비부톨 나프토일에스테르 Δ9-THCB-NE C4 60007-98-9
Δ8-테트라히드로칸나비부톨 나프토일에스테르 Δ8-THCB-NE C4 N/A
Δ9-테트라히드로칸나비부톨산 Δ9-THCBA-A, Δ9-THC- BA-B C4 60007-98-9
일반 명칭 다른 명칭 알킬 꼬리 길이 CAS #
칸나비디부톨 계열
(-)-칸나비디부톨 (-)-CBDB C4 60113-11-3
(+)-칸나비디부톨 (+)-CBDB C4 N/A
칸나비디부톨산 CBDBA C4 N/A
일반 명칭 다른 명칭 알킬 꼬리 길이 CAS #
희귀 칸나비노이드
칸나비놀 CBN, USP 불순물 C5 521-35-7
칸나비놀산 CBNA C5 2808-39-1
칸나비게롤 CBG C5 25654-31-3
칸나비게롤산 CBGA C5 25555-57-1
칸나비크로멘 CBC C5 20675-51-8
칸나비크로멘산 CBCA C5 185505-15-1
칸나비시클롤 CBL C5 21366-63-2
칸나비시클롤산 CBLA C5 2283314-84-9
칸나비바린 CBNV C3 33745-21-0
칸나비바린산 CBNVA C3 64846-02-2
칸나비게리바린 CBGV C3 55824-11-8
칸나비게리바린산 CBGVA C3 64924-07-8
칸나비크롬바린 CBCV C3 57130-04-8
칸나비크롬바린산 CBCVA C3 64898-02-8
칸나비시클롤바린 CBLV C3 55870-47-8
칸나비시클롤바린산 CBLVA C3 2281847-63-8
3-부틸칸나비놀 CBNB C4 60007-99-0
3-부틸칸나비놀산 CBNBA C4 N/A
칸나비게롤 부틸 CBGB C4 N/A
칸나비게롤 부티르산 CBGBA C4 N/A
칸나비크로멘 부틸 CBCB C4 N/A
칸나비크로멘 부티르산 CBCBA C4 N/A
칸나비시클롤 부틸 CBLB C4 N/A
칸나비시클롤 부티르산 CBLBA C4 N/A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테르펜"은 천연 생성물로서 발견되고 이소프렌 단위의 올리고머화에 의해 생합성되는, 탄화수소 또는 그의 유도체를 지칭한다. 테르펜은 비환식, 단환식, 이환식, 또는 다중환식일 수 있다. 예로는 예를 들어, 세스퀴테르펜(예: (-)-β-카리오필렌, 후물렌, 베티바줄렌, 구아이아줄렌, 롱기폴렌, 코파엔, 및 파출롤), 모노테르펜(예: 리모넨 및 풀레곤), 모노테르페노이드(예: 카르본), 디테르펜(예: 탁사디엔), 및 트리테르펜(예: 스쿠알렌, 베툴린, 베툴린산, 루판, 루페올, 베툴린-3-카페에이트, 알로베툴린,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한다. 테르펜은 합성으로 제조(또는 생합성)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자연적으로(예: 식물 물질로부터) 얻을 수 있다. 어느 쪽이든, 테르펜은 필요한 순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뉴트라슈티컬 또는 식이 보충제로 판매되는 경우, 테르펜은 적어도 80중량% 순수, 적어도 85중량% 순수, 또는 적어도 90중량% 순수한 순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약학 제품으로 판매될 때, 테르펜은 적어도 95중량% 순수, 적어도 98중량% 순수, 적어도 99중량% 순수, 또는 적어도 99.5중량% 순수한 순도를 가질 수 있다.
테르펜 식물
미르센 머틀즈 머투스 커뮤니스; 니벨레이; 필리레아폴리아
대마 칸나비스 사티바; 루데랄리스; 인디카
리날룰 민트 멘타 스피카타; 아르벤시스; 카나덴시스
라벤더 라벤둘라 (아속: 파브리시아; 사바우디아) 스피카; 안구스티폴리아; 라티폴리아; 라나타; 덴타타; 스토에차스; 페둔쿨라타; 비리디스
테르피네올 오렌지 껍질 시트러스 레티쿨라타
주니퍼스 주니페러스 커뮤니스; 키넨시스; 콘페르타; 리지다
캠펜 국화 크리산세멈 인디쿰
생강 진기버 오피시날레
비사보롤 카모마일 매트리카리아 (또는 카마에멜룸) 카모밀라 (또는 노빌레)
현삼 미오포룸 크라시폴리움
네롤리돌 대마 칸나비스 사티바; 루데랄리스; 인디카
리모넨 시트러스 레몬 시트러스 리몬
후물렌 후물루스 루풀루스; 자포니쿠스; 윤나넨시스
테르피놀렌 대마 칸나비스 사티바; 루데랄리스; 인디카
카렌 로즈마리 샐비아 로즈마리누스; 조르다니
삼나무 세드루스 아틀란티카; 브레비폴리아; 데오다라; 리바니
유칼립톨 유칼립투스 유칼립투스 오블리쿠아
대마 칸나비스 사티바; 루데랄리스; 인디카
캄포 로렐 시나모뭄 캄포라
월계수잎 라우루스 노빌리스
향쑥 아르테미시아 불가리스
오시멘 후물리스 루풀루스; 자포니쿠스; 윤나넨시스
금귤 시트러스 자포니카
망고 망기페라 인디카
바질 오시뭄 바실리쿰
베르가못 오렌지 시트러스 x 아우란티움
카로필렌 후추열매 파이퍼 니그룸
정향 시지기움 아로마티쿰
대마 칸나비스 사티바; 루데랄리스; 인디카
로즈마리 샐비아 로즈마리누스; 조르다니
후물루스 루풀루스; 자포니쿠스; 윤나넨시스
발렌센 누트카 사이프러스 캘리트롭시스 누트카텐시스
게라니올 장미 로사 (아속: 뱅크시아나, 브락테아타, 카니나, 캐롤리나, 키넨시스, 갈리카나에, 짐노카르파, 라에비카타, 핌피넬리폴리아, 신스티라에) 페르시카; 미누티폴리아; 스텔라타
와인 포도 비티스 비니페라
보르네올 용뇌수 드라이오발라놉스 아로마티카
은가이 캄포; 삼봉 블루메아 발사미페라
풀레곤 캣닙 네페타 카타리아
페퍼민트 멘타 피페리타
페니로얄 헤데오마 풀레지오이데스
구아이아줄렌 카모마일 매트리카리아 (또는 카마에멜룸) 카모밀라 (또는 노빌레)
유창목 나무 구아이아쿰 생텀, 안구스티폴리움, 쿨테리, 오피시날레
루페올 루핀 씨앗 루피누스 루테우스
루판 루핀 씨앗 루피누스 루테우스
베툴린 자작 나무 베툴라 (아속: 베툴렌타, 베툴라스터, 뉴로베툴라, 카마에베툴라) 알레가니엔시스, 코르디폴리아, 글란둘로사, 렌타, 미쇼시, 마이너, 나나, 네오알라스카나, 니그라, 옥시덴탈리스, 파피리페라, 포퓰리폴리아, 푸밀라, 우버
베툴린산
루페올
스쿠알렌 아마란스 씨앗 아마란투스 (아속: 아크니다; 알베르시아) 아칸토키톤, 아쿠틸로부스, 알부스, 안데르소니, 캘리포니쿠스
밀 배아 트리티쿰 아에스티붐
올리브 올레아 유로파에아
카르본 캐러웨이 씨앗 카룸 카르비
스피어민트 멘타 스피카타
아네툼 그라베오렌스
파출롤 파출리 포고스테몬 카블린
코파엔 코파이바 나무 코파이페라 랑스도르피
롱기폴렌 파인 피누스 롱기폴리아
피넨 파인 피누스 (아속: 스트로부스; 피누스) 덴사타, 덴시플로라, 파니아, 실베스트리스
베티바줄렌 베티베르 크리소포곤 지자니오이데스
네롤 레몬 그라스 심보포곤 나르두스; 시트라투스; 플렉수오수스; 마르티니; 쇼에난투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합성으로 제조된 테르펜(예: 퓨리시스™, Athens, GA)은 아래에 제공된다.
테르펜 CAS#
알파-피넨 51634232009
베타-피넨 51634232109
베타-미르센 51634232209
알파-테르피넨 51634232309
리모넨 51634232409
베타-오시멘 51634232509
테르피놀렌 51634232609
리날룰 51634232709
펜칠 알코올 51634232809
보르네올 이성질체 51634232909
알파-테르피네올 51634233009
트랜스-카리오필렌 51634233109
알파-후물렌 51634233209
트랜스-네롤리돌 51634233309
구아이올 51634233409
알파-비사볼롤 51634233509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플라보노이드"는 다양한 폴리페놀성 구조를 갖는 흔한 식물 천연 생성물을 지칭한다. 플라보노이드는 과일, 야채, 곡물, 나무껍질, 뿌리, 줄기, 꽃, 및 차에서 추출하거나 생합성으로 생산할 수 있다. 식물에서 플라보노이드의 역할은 자외선 차단, 식물 성장 보조, 플라크 방어, 및 꽃의 색과 향기 제공 등을 포함한다.
플라보노이드는 B 고리가 부착된 C 고리의 탄소 및 C 고리의 불포화도와 산화도에 따라 부류(예: 안토시아닌, 칼콘, 플라본, 플라보놀, 이소플라본, 및 플라보논) 및 하위부류로 나눌 수 있다.
Figure pct00019
플라보노이드 부류 하위부류 천연 공급원 천연 공급원의 예
안토시아닌 시아니딘, 말비딘, 델피니딘, 페오니딘 과일, 야채, 견과류, 말린 과일, 약용 식물 크랜베리, 자두, 체리, 고구마, 블랙 커런트, 적포도, 메를로 포도, 라즈베리, 딸기, 블루베리, 빌베리 및 블랙베리
칼콘 플로레틴, 아르부틴, 플로리진 과일, 야채, 약용 식물 토마토, 배, 딸기, 베어베리 및 특정 밀 제품
플라보논 헤스페리틴, 나린진, 나린게닌, 에리오딕티올, 헤스페리딘 과일(시트러스), 약용 식물 오렌지, 레몬, 포도, 로즈힙
플라본 아피게닌, 탄게레틴, 바이칼레인, 포이폴린 과일, 약용 식물 샐러리, 파슬리, 고추, 카모마일, 민트, 은행나무, 브로콜리, 피망, 백리향, 민들레, 들깨, 차, 당근, 로즈마리, 오레가노, 대마 사티바
플라보놀 케르세틴, 미리세틴, 루틴, 모린, 캠페롤 과일, 야채, 약용 식물 양파, 케일, 상추, 토마토, 사과, 포도, 베리, 차, 적포도주, 브로콜리, 감자, 방울양배추, 스쿼시, 오이, 상추, 녹두, 시금치, 복숭아, 블랙베리
이소플라보노이드 게니스틴, 게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세틴, 다이드진 콩과 식물, 약용 식물 대두, 루핀, 누에콩, 칡, 서레일리아, 붉은 토끼풀, 알팔파 새싹, 땅콩, 병아리콩
플라보노이드 부류 플라보노이드 부류의 구조
안토시아닌 C 고리의 1 및 2, 3 및 4 위치 사이의 이중 결합; A 고리의 5 및 7 위치 및 B 고리의 3', 4' 및/또는 5' 위치에 있는 히드록실기; A 및 B 고리의 히드록실기에서 메틸화 또는 아실화는 다양하다
칼콘 기본 플라보노이드 골격 구조의 'C 고리'의 부재
플라보논 C 고리는 포화되어 있다(이중 결합을 함유하지 않음)
플라본 C 고리의 2 및 3 위치 사이의 이중 결합과 4 위치의 케톤; 대부분은 A 고리의 A 고리의 5 또는 7 위치 또는 B 고리의 3' 및 4'에 히드록실기를 가지고 있다(특정 식물의 분류학적 분류에 따라 다르다)
플라보놀 C 고리의 2 및 3 위치 사이의 이중 결합, 4 위치의 케톤, 및 3 위치의 히드록실기; C 고리의 케톤기는 또한 글리코실화될 수 있고; 메틸화 및 히드록실화 패턴이 매우 다양하다
이소플라보노이드 B 고리는 C 고리의 3 위치에 붙어있고 4' 위치에 히드록실기를 함유한다; A 고리의 히드록실화는 다양하다
플라보노이드에 대한 연구는 수많은 전-염증성 및 전-산화 효소(예: 크산틴 옥시다제(XO), 시클로-옥시게나제(COS), 리폭시게나제, 포스포이노시티드 3-키나제,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를 억제함으로써 항-산화성, 항-염증성, 항-돌연변이성, 및 항-발암성 특성을 나타내는 많은 건강 상의 이점이 증가함을 밝혀냈다. 이는 수많은 질환 및 의학적 상태(예: 통증, 암, 동맥경화증, 알츠하이머병)에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대마(칸나비스 사티바, 칸나비스 인디카, 칸나비스 루데랄리스)의 의학적 특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프레닐화 플라본인 칸나플라빈 A 및 칸플라빈 B는 아스피린보다 항-염증 특성이 더 뛰어나다. 칸플라빈 A 및 B는 칸나비스 사티바에서 단리되고 생합성될 수 있다. 최근 보고에 따르면 플라보노이드 FBL-03G는 췌장암으로 고통받는 대상체의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합성 제조된 플라보노이드(예: Toronto Research Chemicals의 칸플라빈 B)는 아래에 제공된다.
플라보노이드 CAS#
칸플라빈 A 76735-57-4
칸플라빈 B 76735-58-5
미리세틴 529-44-2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989-51-5
녹차로부터의 폴리페논 60 138988-88-2
(-)-갈로카테킨 3371-27-5
캠페롤 520-18-3
(+)-카테킨 수화물 7295-85-4 (무수)
갈랑인 548-83-4
헤스페리딘 520-26-3
바이칼레인 491-67-8
이카린 489-32-7
오리엔틴 28608-75-5
리퀴리티게닌 578-86-9
아카세틴 480-44-4
디오스메틴 520-34-3
스쿠텔라레인 529-53-3
루테올린 491-70-3
플라보노이드는 합성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자연적으로(예: 식물 물질에서) 얻을 수 있다. 어느 쪽이든, 플라보노이드는 필요한 순도를 가질 수 있다(예: 적어도 95중량% 순수, 적어도 98중량% 순수, 적어도 99중량% 순수, 또는 적어도 99.5중량% 순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타당한 의학적 판단 범위 내에서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에 비례하여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다른 문제 또는 합병증이 없이 인간 및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합물, 반대이온, 염, 부형제, 활성 성분, 물질, 조성물, 및/또는 투여 형태를 지칭한다. 여기에는 예를 들어, FDA의 비활성 성분 데이터베이스(IID)(https://www.accessdata.fda.gov/scripts/cder/iig/index.Cfm)에 있는 물질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인식되는 것으로(GRAS) 여겨지는 물질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환각제" 또는 "환각성 물질"은 세로토닌 2A 수용체 작용을 통해 비-일상적인 의식 상태(환각적 경험 또는 "트립"으로 알려짐)를 촉발시키는 주요 효과가 있는 환각유발 계열의 향정신성 약물을 지칭한다. 이것은 특정 심리적, 시각적 및 청각적 변화를 일으키고, 종종 의식 상태를 크게 변화시킨다. "고전적인" 환각성 약물은 메스칼린, LSD, 실로시빈, 및 DMT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환각성 약물은 트립타민, 펜에틸아민, 또는 리세르그아미드의 세 가지 화합물 계열 중 하나에 속한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모두 감각 지각 및 인지와 관련된 뇌의 주요 회로 활동을 조절하는, 세로토닌 5-HT2A 수용체를 활성화시키지만, 환각성 물질이 5-HT2A 수용체를 통해 지각 및 인지 변화를 유도하는 방법의 정확한 특성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환각적 경험은 종종 명상에서의 경험, 신비로운 경험, 및 근사 체험과 같은 비-일상적인 형태의 의식과 비교된다. 자아 해체 현상은 종종 환각적 경험의 주요 특징으로 설명된다.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 LSD(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 일명 산)는 호밀을 감염시키는 균류인, 맥각에서 발견되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 실로신은 실로시빈 버섯에서 발견되는 자연 발생 물질이며 세계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 메스칼린은 멕시코 페요테와 산 페드로 선인장에서 유래되며 LSD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 DMT(디메틸트립타민)는 실로시빈 버섯에서 발견되는 알칼로이드인, 실로신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실험실에서 합성할 수 있지만 여러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성분이기도 하다.
· DOM은 높은 효능, 긴 지속시간, 및 환각과 각성 효과의 혼합으로 알려진 DOx 계열 화합물의 구성원이다.
· 2C-B (4-브로모-2,5-디메톡시펜에틸아민)는 1974년에 처음 합성된 환각성 약물이다. 2C-B는 환각제 및 가벼운 엔탁토겐(entactogen) 둘 다로 간주된다. '엔탁토겐'은 '내면을 만지는'을 의미하며 정신과의사가 MDMA 및 관련 약물을 분류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이다.
· 페요테(로포포라 윌리엄시)는 가장 작고 가장 느리게 성장하지만, 가장 잘 알려져 있고 강력한 환각성 선인장이다. 위로 자라서 기둥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지면으로 내려가는 '버튼'처럼 자란다. 이것은 5000년 이상 동안 아메리카 원주민에 의해 사용되었다.
· 25-NBOMe (N-메톡시벤질)은 환각 효과가 있는 일련의 약물의 이름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다양한 버전의 NBOMe를 사용할 수 있으며 - 모두 효과가 다르다.
· 엑스터시 (대안적으로 몰리 또는 MDMA라고도 함)는 3,4-메틸렌디옥시메탐페타민이다. 이것은 암페타민이라고 불리는 각성제와 유사한 "하이(high)"를 만드는 실험실-제조 약물이다. 또한 환각유발 메스칼린 및 LSD와 유사한 환각 효과를 생성한다.
용어 "단위 투여량" 또는 "단위 투여 형태"는 개별 필름이 원하는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도록, 적절한 치수로 크기조정된 경구 용해성 필름을 지칭한다. 적절한 치수로 크기조정하기(이로써 단위 투여 형태를 제공함) 전에, 용해성 필름은 풀린 형태(예: 시트) 또는 감긴 형태(예: 벌크 롤)로 존재할 수 있다.
용어 "가소제"는 중합체(들)에 첨가될 때, 중합체를 보다 유연하고 부드럽게 만들어 필름의 유연성 및 가소성을 향상시키면서 취성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지칭한다. 가소제는 중합체 구조에 침투하여, 분자간 수소 결합을 방해하고, 분자간 인력을 영구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여겨진다. 가소제는 초기 필름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취성을 감소시키고, 생성된 필름의 가공성 및 유연성을 개선함으로써, 예를 들어, 경화 공정 동안 균열을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가소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물, 폴리에틸렌 글리콜, 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아세틴, 트리아세틴,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소르비톨, 1,3-부탄디올, D-글루코노-1,5-락톤, 디에틸렌 글리콜, 피마자유,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항균제"는 미생물을 사멸시키거나 이들의 성장을 정지시키는 제제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자가-유화"는 경구(PO) 투여, 협측 투여, 설하 투여, 장내 투여, 또는 치은 투여용으로,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한 후(예: 구강 내에 배치되는 경우) 에멀젼을 형성하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해성 필름의 능력을 지칭한다. 에멀젼은 예를 들어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한 후 120초, 90초, 60초, 또는 30초 이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대상체"는 인간, 개, 고양이, 및 기타 포유동물과 같은 살아있는 유기체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경구 용해성 필름에 포함된 약제의 투여는 대상체의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 및 기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인간 대상체는 남성 또는 여성일 수 있으며, 추가로 성인, 청소년, 어린이, 유아, 또는 영아일 수 있다.
용어 "입자 크기 분포" 또는 "PSD"는 크기에 따라 존재하는 입자의 상대적인 양(일반적으로 질량 기준)을 정의하는 값의 목록 또는 수학적 함수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질량-중앙-직경(MMD)(예: d10, d50, d90 등으로 표현됨)은 로그 정규 분포 질량 중앙 직경을 지칭한다. MMD는 질량을 기준으로 한 평균 입자 직경으로 간주된다. 입자 크기 분포는 맬버른 마스터사이저(Malvern Mastersizer)로 얻을 수 있다.
입자 크기 분포 D10(또는 d10)은 X10, D(0,1) 또는 X(0,1)로도 표시된다. 이는 누적(0 내지 100%) 10% 이하 입자 크기 분포에 해당하는 입자 직경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입자 크기 D10이 7.8㎛인 경우, 시험된 시료에서 입자의 10%가 7.8㎛보다 작거나, 7.8㎛보다 작은 입자의 백분율이 10%이다. D10은 입자 크기 분포 분석의 전형적인 지점이다. D10은 또한 Dv10, Dw10 및 Dn10으로 나뉜다. Dv10은 부피 D10을 의미하는 한편, Dw10은 질량 D10이고 Dn10은 수 D10이다.
입자 크기 분포 D50(또는 d50)은 X50, D(0,5) 또는 X(0,5)로도 표시된다. 이는 누적(0 내지 100%) 50% 이하 입자 크기 분포에 해당하는 입자 직경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입자 크기 D50이 7.8㎛인 경우, 시험된 시료에서 입자의 50%가 7.8㎛보다 작거나, 7.8㎛보다 작은 입자의 백분율이 50%이다. D50은 입자 크기 분포 분석의 전형적인 지점이다. D50은 또한 Dv50, Dw50 및 Dn50으로 나뉜다. Dv50은 부피 D50을 의미하는 한편, Dw50은 질량 D50이고 Dn50은 수 D50이다.
입자 크기 분포 D90(또는 d90)은 X90, D(0,9) 또는 X(0,9)로도 표시된다. 이는 누적(0 내지 100%) 90% 이하 입자 크기 분포에 해당하는 입자 직경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입자 크기 D90이 7.8㎛인 경우, 시험된 시료에서 입자의 90%가 7.8㎛보다 작거나, 7.8㎛보다 작은 입자의 백분율이 90%이다. D90은 입자 크기 분포 분석의 전형적인 지점이다. D90은 또한 Dv90, Dw90 및 Dn90으로 나뉜다. Dv90은 부피 D90을 의미하는 한편, Dw90은 질량 D90이고 Dn90은 수 D90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점막(mucous membrane)" (및 관련 "점막(mucosa)" 및 "점막 표면")은 신체의 다양한 공동을 둘러싸거나 이러한 표면을 덮는 막을 지칭한다. 이것은 느슨한 결합 조직의 층 위에 놓인 하나 이상의 상피 세포의 층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대부분 내배엽 기원이며 눈, 귀, 코 안쪽, 입 안쪽, 입술, 질, 요도 구멍 및 항문과 같은 다양한 신체 구멍의 피부와 연속적이다. 일부 점막은 두꺼운 보호액인 점액을 분비합니다. 막의 기능은 병원체와 먼지가 신체에 들어오는 것을 막고 신체 조직이 탈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점막 표면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구강 점막, 혀, 질 점막, 비점막, 및 항문관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점막경유(transmucosal)"는 점막 또는 점막 표면을 통한 임의의 투여 경로를 지칭한다. 예로는 협측, 설하, 코, 질, 및 직장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협측 투여"는 (볼 내의) 협측 영역에 수용 또는 적용된 약물이 구강 점막(입의 막을 형성하는 조직)을 통해 확산하고 혈류 내로 직접 들어가게 되는 국소 투여 경로를 지칭한다. 협측 투여는 약제가 소화 시스템을 통해 통과하지 않고 이로 인해 초회 통과 대사를 피하기 때문에, 경구 투여와 비교하여 일부 약물에 더 나은 생체이용률과 보다 신속한 작용의 개시를 제공할 수 있다. 간 및 GI 독성도 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협측 공간(협근(buccinator) 공간으로도 명명됨)"은 머리 및 목의 얼굴 공간을 지칭한다(때로는 얼굴 조직 공간 또는 조직 공간으로도 명명됨). 이것은 볼 내의 잠재적 공간이며, 각각의 측에 쌍을 이룬다. 협측 공간은 협근 근육에 피상적이고, 광경근 근육 및 피부에는 심부이다. 협측 공간은 머리부터 발가락까지 연속되는 피하 공간의 일부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구강" 또는 "입" 또는 "입속"은 많은 동물이 음식을 섭취하고 음성을 내는 구멍을 지칭한다. 이것은 또한 소화관의 상단에 위치한 구멍으로, 외부는 입술로 내부는 인두로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고등 척추동물에서는 혀와 치아를 포함한다. 인체 해부학에서, 입은 음식물을 받아들이고 타액을 생성하는 소화관의 첫 번째 부분이다. 구강 점막은 입의 내부에 막을 형성하는 점막 상피이다. 입은 전정과 구강의 두 영역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촉촉한, 입은 점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치아를 포함하고 있다. 입술은 점막에서 신체의 대부분을 덮는 피부로의 전환을 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구강 점막"은 입 내부의 점막 라이닝을 나타내며, 구강 상피로 명명되는 중층 편평 상피(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와 고유층(lamina propria)으로 명명되는 그 아래의 결합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강 점막은 기능 및 조직학에 기반하여 3가지 주된 카테고리로 나누어질 수 있다: (1) 혀, 경구개 및 부착된 잇몸(gingiva)의 배부에서 발견되는 케라틴화 중층 편평 상피인 저작 점막; (2) 다음을 포함하는 구강의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되는 비케라틴화 중층 편평 상피인 라이닝 점막: (a) 협측 점막은 볼 및 구강저의 라이닝 내부를 나타내고 라이닝 점막의 일부이다; (b) 입술 점막은 입술의 라이닝 내부를 나타내고 라이닝 점막의 일부이다; 그리고 (c) 치조 점막은 협측과 입술 점막 사이의 라이닝을 나타낸다. 이것은 많은 혈관을 가져서 더 밝은 붉은색으로, 매끈하고 빛나며, 망상 돌출(rete pegs)에 의해 그 아래의 조직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및 (3) 특히 일반적인 감각 수용 및 미각 자각을 위한 신경 말단부를 함유하는 혀의 배부 표면의 설유두(lingual papilla) 상의 미뢰(taste bud)의 영역에서의 특수 점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구강 점막 표면"은 구강 점막의 표면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라틴어의 "혀 아래"로부터 유래된 용어 "설하 투여"는 혀 아래의 조직을 통해 물질이 혈액으로 확산하는 약리학적 투여 경로를 지칭한다. 약물이 혀 아래의 점막과 접촉할 때, 약물은 흡수된다. 상피 아래의 결합 조직은 말초혈관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물질은 여기로 확산하고 정맥 순환으로 들어간다. 이와 대조적으로, 장 내에 흡수되는 물질은 일반 순환으로 들어가기 전에 간에서 초회-통과 대사가 되기 쉽다. 설하 투여는 경구 투여에 대해 소정의 이점을 갖는다. 보다 직접적이기 때문에, 이것은 종종 더 빠르고, 물질이 혈류로 들어가기 전에 타액 효소에 의해서만 분해될 위험성이 있음을 보장하는 반면에, 경구 투여된 약물은 위장관의 가혹한 환경을 통과하는 것을 견뎌야 하며, 위산 또는 담즙, 또는 모노아민 옥시다아제(MAO)와 같은 효소에 의해 이들이 분해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위장관으로부터 흡수된 후, 이러한 약물은 간을 통과해야 하며, 여기서 상기 약물은 대규모로 변경될 수 있다; 이것은 약물 대사의 초회 통과 효과로 알려져 있다. 위 및 장의 소화 활성으로 인해, 경구 경로는 일부 물질에 대해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잇몸 투여"는 치은 내의 조직을 통해 물질이 혈액으로 확산하는 약리학적 투여 경로를 지칭한다. 치은 또는 잇몸(복수: 잇몸들)은 입 내부의 하악 및 상악 위에 놓여 있는 점막 조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장내 투여"는 인간 위장관을 통한 약물의 투여를 지칭한다. 장내 투여는 식도, 위, 소장 및 대장(즉, 위장관)이 관련된다. 투여 방법은 경구 및 직장을 포함한다. 장내 투여는 GI 관 내로 들어가는 지점에 따라 3가지 상이한 카테고리로 나누어질 수 있다: 경구(입에 의해), 위내(위를 통해), 및 직장내(직장으로부터). (위내 도입은 비도를 통한 튜브(NG 튜브) 또는 위에 직접 유도하는 배 안의 튜브(PEG 튜브)의 사용이 관련된다. 직장 투여는 대체로 직장 좌약이 관련된다). 장내 약제는, 예를 들어, 삼키거나, 씹거나 물에 녹이기 위한 정제; (위 또는 창자에서 용해되고 거기서 약제를 방출하는 코팅을 갖는) 캡슐 및 저작가능한 캡슐, 경구 용해성 필름, 시간-방출 또는 (약제를 점진적으로 방출하는) 지속-방출 정제 및 캡슐, 삼투 전달 시스템, 분말 또는 과립, 및 액체 약제 또는 시럽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경구 투여" 또는 "PO"는 물질이 입을 통해 섭취되는 투여 경로를 지칭한다. 많은 약제가 경구로 섭취되는데, 그 이유는 약제가 전신 효과를 갖고, 혈류를 통해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도달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수분 함량"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해성 필름에 함유된 물의 양을 지칭한다. 수분 함량은 결합된 물과 결합되지 않은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수분 함량은 0(완전히 건조됨)에서부터 포화시 용해성 필름의 다공성의 값까지의 범위일 수 있는, 비율로서 표시된다. 이것은 부피 또는 질량(중량) 기준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분 함량은 중량%(예: 10중량%)로 표시될 것이다.
수분 함량은 건조 오븐을 사용하여 직접 측정될 수 있다. 시료의 수분 함량을 결정하는 다른 방법에는 화학적 적정(예: 칼 피셔 적정), 가열시 질량 손실 결정(비활성 기체가 있는 경우), 또는 동결 건조 후 결정이 포함된다. 딘-스타크 방법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건조 손실(LOD) 방법을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해성 필름의 수분 함량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붕해"는 물질(예: 경구 용해성 필름의 매트릭스)이 부서지거나 파괴되는 것을 지칭한다. 상기 물질은 응집력 또는 강도를 잃을 것이고, 더 작은 조각으로 단편화될 수 있다. 입에 넣으면, 물질은 타액에서 부서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생체이용성"은 흡수의 하위범주를 나타내며 전신 순환에 도달하는 투여된 약물의 분율(%)이다. 약제를 정맥 주사할 때, 생체이용성은 100%이다. 그러나, 정맥 이외의 경로로 약제를 투여하는 경우, 장 내피 흡수 및 초회-통과 대사로 인해 일반적으로 생체이용성이 정맥내 투여하는 경우보다 낮다. 따라서, 수학적으로, 생체이용성은 혈관외 제형물에 대한 시간 대비 혈장 약물 농도 곡선 아래 면적(AUC)을 혈관내 제형물에 대한 AUC와 비교한 비율과 동일하다. AUC는 전신 순환에 들어간 용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AUC가 활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용해"는 물질(예: 활성 성분 또는 경구 용해성 필름의 매트릭스)을 용해시키거나 용해되는 것을 지칭한다. 입에 넣으면, 물질은 타액에 용해될 것이다.
용어 "유효량"은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상체의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하는 활성 성분의 양을 포함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대상체와 관련하여 "치료하는"이라는 용어는 대상체의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증상을 개선하는 것을 지칭한다. 치료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증상을 치유, 개선,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약동학"(때로는 "PK"로 약칭됨)은 살아있는 유기체에 투여되는 물질의 운명을 결정하는 데 전념하는 약리학의 한 분야를 지칭한다. 그것은 화학물질 대사를 분석하고 화학물질이 투여되는 순간부터 체내에서 완전히 제거되는 지점까지 화학물질의 운명을 발견하려고 시도한다. 약동학은 유기체가 약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인 반면, 약력학(PD)은 약물이 유기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PK/PD 모델에서 볼 수 있듯이, 둘 다 함께 투여, 이점, 및 부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PK는 신체에 의한 약물 흡수, 약물이 겪는 생체변형, 조직 내 약물 및 그의 대사산물의 분포, 및 일정 기간 동안 신체에서 약물 및 그의 대사산물의 제거에 대한 연구를 지칭한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약동학적 지표이다:
약동학적 지표
특성 설명
투여량 투여된 약물의 양.
투여 간격 약물 투여량 투여 사이의 시간.
Cmax 투여 후 약물의 최고 혈장 농도.
Tmax Cmax에 도달하는 시간.
Cmin 다음 투여량이 투여되기 전에 약물이 도달하는 최저(트로프) 농도.
분포의 부피 약물이 분포되는 겉보기 부피(즉, 혈장 내 약물 농도와 체내 약물 양을 관련시키는 매개변수).
농도 주어진 부피의 혈장에 있는 약물의 양.
흡수 반감기 경구 및 기타 혈관외 경로에 대해 약물 농도가 원래 값의 2배가 되는 데 필요한 시간.
흡수율 상수 경구 및 기타 혈관외 경로에 대해 약물이 체내로 들어가는 속도.
제거 반감기 약물의 농도가 원래 값의 절반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
제거율 상수 약물이 체내에서 제거되는 속도.
주입 속도 제거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주입 속도.
곡선 아래 영역 (단일 투여 후 또는 정상 상태에서) 농도-시간 곡선의 적분.
제거율 단위 시간당 약물에서 제거된 혈장의 부피.
생체이용률 약물의 전신적으로 이용가능한 분획.
변동 정상 상태에서 1회 투여 간격 내 최고 최저 변동.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기재"는 슬러리가 그 위에 경화된 기본 물체를 지칭한다. 일단 슬러리로 코팅되면, 기재는 일반적으로 슬러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건조기를 통해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한 롤의 기재를 풀기 스테이션에 놓고 라인에 장력을 가한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실리콘화 종이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기재가 사용될 수 있다. PET는 제품의 코팅 및 건조시 기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열가소성 중합체 수지이다. 마찬가지로, 실리콘화 종이는 양면이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고 한 면이 실리콘 중합체로 코팅되어 제품을 코팅 및 건조할 때 기재로 사용되는 안정적인 이형지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경화"는 (본 명세서에도 기재된) 슬러리로부터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용해성 필름을 생성하는 화학적 공정을 지칭한다. 상기 공정은 용매(물) 제거, 슬러리에 존재하는 중합체 물질의 강화 또는 경화, 중합체 사슬의 가교 등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경화라는 용어는 액체(또는 반고체) 용액(예: 슬러리)에서 시작해서 고체 제품(예: 용해성 필름)이 수득되는 공정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경화는 열, 방사선, 전자 빔, 또는 화학 첨가제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IUPAC에서 인용하자면: 경화는 "화학 경화제와의 혼합이 필요하거나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 Compiled by A. D. McNaught and A. Wilkins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997). Online version (2019-) created by S. J. Chalk. ISBN 0-9678550-9-8. https://doi.org/10.1351/goldbook. 따라서, 두 가지 광범위한 부류는 (i) 화학 첨가제(경화제, 경화물질이라고도 함)에 의해 유도되는 경화 및 (ii) 첨가제가 없는 경화이다. 중간 사례는 경화를 유도하기 위해 외부 자극(빛, 열, 방사선)을 필요로 하는 수지 및 첨가제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점막접착제"는 점막 표면(예: 구강)과 접촉시 점막 표면에 부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점막과 접촉하여 구강 내에 위치될 때 점막접착제는 점막에 부착될 것이다. 점막접착제는 경구 용해성 필름 조성물의 점막에 대한 접착을 촉진하고, 조성물로부터 활성 성분의 방출을 촉진함으로써, 경구 용해성 필름의 조성물과 대상체의 점막 표면의 밀접하고 연장된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점막접착제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같은 중합체 화합물일 수 있지만, 천연 검, 알기네이트, 펙틴, 또는 이와 유사한 중합체일 수도 있다. 점막점착제의 농도는 필름이 점막에 접착되는 시간을 변경하거나 필름과 점막 사이에 생성되는 접착력을 변경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점막접착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CMC-Na),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포비돈), 나트륨 알기네이트,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실 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카르보폴, 폴리카르보필, 카르복시비닐 공중합체, 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 알긴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트라가칸트 검, 구아 검, 카라야 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 블록 공중합체, 펙틴, 키토산, 카라기난, 크산탄 검, 젤란 검, 아라비아 검, 로커스트콩 검, 및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결합제"는 성분을 함께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 일반적으로 중합체를 지칭한다. 결합제는 경구 용해성 필름이 필요한 기계적 강도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결합제는 또한 용해성 필름에 존재하는 적은 양의 활성제에 필요한 부피를 제공한다. 결합제의 존재는 또한 경화된 필름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결합제는 주조 슬러리에 존재하고 경화시, 경화된 필름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물질을 포함한다. 결합제는 또한 "필름 형성제", 또는 더 구체적으로는 이것이 중합체인 경우 "필름 형성 중합체"로 지칭될 수 있다. 중합체는 천연 중합체 또는 합성 중합체일 수 있다. 천연 중합체는, 예를 들어, 풀루란, 나트륨 알기네이트(Na 알기네이트), 펙틴, 젤라틴, 키토산, 및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한다. 합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Na),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MCC), 폴리비닐 알코올(PVA),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및 콜리코트®(예: 콜리코트® 프로텍트 또는 콜리코트® IR)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충전제" 또는 "증량제"는 제약 투여 형태에 부피를 추가하여, 소비자가 매우 작은 활성 성분 구성요소를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충전제는 이러한 제품의 제조 및 안정화를 돕기 위해 제약 투여 형태에 첨가된다. 충전제는 투여 형태를 결합하고 안정화시킨다. 이것은 활성 약학 성분(API)의 효과를 변경하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 예에는 락토오스, 글루코오스, 식물 셀룰로오스,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MCC), 및 탄산칼슘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타액 촉진제" 또는 "타액 촉진물질"은 타액의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타액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을 지칭한다. 적합한 타액 촉진제는 유기산(예: 아스코르브산 및 말산), 부교감신경 흥분제 모방약(예: 콜린 에스테르 예컨대 필로카르핀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피소스티그민, 및 기타 물질(예: 자일리톨, 자일리톨/소르비톨, 및 니코틴아미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안정화제 및 증점제" 또는 "겔화제"는 주조 전에 슬러리의 점도 및 일관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활성 성분 함량 균일성은 종종 모든 투여 형태, 특히 저용량의 매우 강력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투여 형태에 대한 요구사항이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독특하게 충족시키기 위해, 경구 용해성 필름 제형물은 전체 제조 공정에 걸쳐 활성 성분의 균일한 분산을 함유할 수 있다. 안정화제 및 증점제의 예는, 예를 들어, 알긴산, 나트륨 알기네이트, 칼륨 알기네이트, 암모늄 알기네이트, 칼슘 알기네이트, 한천, 카라기난, 로커스트콩 검, 펙틴, 및 젤라틴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향미제"는 향미를 부여하기 위해, 예를 들어, 대상체에 의한 매력도 및 수용도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기본 미각은 짠맛, 단맛, 쓴맛, 신맛, 및 감칠맛이다. 향미는 천연 및 합성 향미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제제의 예시적인 목록은 휘발성 오일, 합성 향미 오일, 향미 방향족, 오일, 액체, 올레오레진 또는 식물, 잎, 꽃, 과일, 줄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된 추출물을 포함한다. 향미제는, 예를 들어, 꿀, 아니스, 체리, 민트,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멘톨, 레보멘톨, 워터민트, 진저민트, 레몬그라스, 카르다몸, 세이지, 계피, 생강, 올스파이스, 정향, 유제놀, 오렌지, 윈터그린, 레몬, 라임, 귤, 생강, 및 육두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향미제는 고체(예: 분말), 액체(예: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이용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맛 차폐제"는 제형물에 존재하는 물질의 불쾌한 맛을 차폐하여, 대상체의 매력도 및 수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맛 차폐제는 활성 성분의 쓴맛을 차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서, 맛 차폐제는 예를 들어 꿀, 아니스, 민트, 페퍼민트, 계피, 마그나 스위트, 시트러스, 및 과일(예: 체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향미를 부여하는 것 외에도, 향미제는 또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하는 임의의 불쾌하거나 쓴맛 물질(예: 활성 성분)의 맛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동일한 물질이 향미제 및 맛 차폐제 둘 다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착색제", "착색물질", 또는 "안료"는 예를 들어 대상체에 의한 외관 및 매력도를 개선하기 위해 색상을 부여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색상 일관성은 대상체에게 약제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중요할 수 있다. 또한, 색상은 종종 약제의 미적 모양과 느낌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관능적 특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대상체는 자신의 일정을 준수할 가능성이 더 높아지고 치료 목표도 대상체에서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방출 조절제"는 경구 용해성 필름으로부터 활성 성분의 방출을 조절하고 및/또는 대상체에게 투여될 때 활성 성분의 흡수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변형된 약물 방출은 즉시 방출(IR)과 대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장된 방출(XR) 또는 지연된 방출(DR)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보조제"는 활성 성분의 효과 또는 효능을 변경(예: 증가)시키는 물질(예: 약리학적 또는 면역학적 제제)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감미료" 또는 "감미제"는 단맛을 제공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감미료는 천연 또는 인공일 수 있다. 적절한 감미료는 설탕(예: 글루코오스, 옥수수 시럽, 프룩토오스, 및 수크로오스)과 설탕 대체물(예: 꿀, 꿀 과립, 아스파탐, 네오탐, 아세설팜 칼륨(Ace-K), 사카린, 나트륨 사카린, 아드반탐, 수크랄로스, 몽크 과일 추출물(모그로사이드), 스테비아, 레바우디오사이드 A, 소르비톨, 자일리톨, 및 락티톨)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가용화제 및 유화제" 또는 "유화제"는 에멀젼을 형성하거나 촉진할 수 있는 물질을 지칭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대해 언급하면, 유화제는 상(예: 수성 및 지질)의 분리를 촉진하는 동시에 이들이 혼합되도록 한다. 적합한 유화제는, 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 80,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용어 "에멀젼"은 액체-액체 상 분리로 인해 일반적으로 혼화될 수 없는(혼합할 수 없거나 섞을 수 없는) 둘 이상의 액체의 혼합물을 지칭한다. 두 가지 액체는 상이한 유형의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일 및 물은 먼저, 오일이 분산 상이고 물이 연속 상인, 수중유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물이 분산 상이고 오일이 연속 상인 유중수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다. "수중유중수" 에멀젼 및 "유중수중유" 에멀젼을 비롯한 다중 에멀젼도 가능하다. 액체인 에멀젼은 정적 내부 구조를 나타내지 않는다. 연속 상에 분산된 액적(때로는 "분산 매체"라고도 지칭됨)은 일반적으로 대략 구형 액적을 생성하기 위해 통계적으로 분포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액체-액체 상 분리 중에 분자가 정렬되는 경우, 분자들은 에멀젼이 아닌 액정을 형성한다. 모든 살아있는 유기체에 의해 사용되는 지질은 에멀젼(예: 구형 마이셀, 지질단백질) 또는 액정(지질 이중층 막)을 형성할 수 있는 분자들 중 하나의 예이다.
액적은 비정질, 액체-결정질,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다. 분산 상을 구성하는 액적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100㎛ 범위이다; 즉, 액적은 콜로이드 입자에 대한 일반적인 크기 제한을 초과할 수 있다. 에멀젼은 분산 상이 유기 물질이고 연속 상이 물 또는 수용액인 경우 유/수(o/w) 에멀젼으로 명명되고 분산 상이 물 또는 수용액이고 연속 상이 유기 액체("오일")인 경우 수/유(w/o)라고 명명된다.
100㎚ 미만의 액적 크기를 갖는 마이크로에멀젼 및 나노에멀젼의 두 가지 특정 부류의 에멀젼은 반투명하게 보인다. 이 특성은 액적의 크기가 입사광 파장의 약 1/4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광파가 액적에 의해 산란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가시광선의 스펙트럼은 390 및 750 나노미터(㎚) 사이의 파장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멀젼의 액적 크기가 약 100㎚ 미만이면, 빛이 산란되지 않고 에멀젼을 투과할 수 있다. 외관이 유사하기 때문에, 반투명 나노에멀젼 및 마이크로에멀젼은 자주 혼동된다. 생산하는 데 특수 장비가 필요한 반투명 나노에멀젼과 달리, 마이크로에멀젼은 계면활성제, 보조-계면활성제, 및 공-용매의 혼합물로 오일 분자를 "가용화"함으로써 자발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마이크로에멀젼에서 필요한 계면활성제 농도는 반투명 나노에멀젼보다 몇 배 더 높으며, 분산 상의 농도를 훨씬 초과한다. 계면활성제에 의해 야기되는 많은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 때문에, 계면활성제의 존재는 많은 적용물에서 불리하거나 금지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에멀젼의 안정성은 희석, 가열, 또는 pH 수준의 변화로 인해 종종 쉽게 손상된다.
용어 "지질"은 지방, 왁스, 스테롤, 지용성 비타민(예컨대 비타민 A, D, E, 및 K),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트리글리세리드, 인지질 등을 포함하는 자연 발생 분자 군을 지칭한다. "지질"은 또한 에톡실화 지방 알코올 예컨대 올레스-10 및 라우레스-10 및 에톡실화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의 혼합물 예컨대 PEG-16 마카다미아 글리세리드 및 PEG-10 해바라기 글리세리드를 지칭할 수 있다. 화합물은 소수성 또는 양친매성 소분자이다. 일부 지질의 양친매성 특성으로 인해 이들 지질은 수성 환경에서 소포, 리포솜, 또는 막과 같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생물학적 지질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두 가지 다른 유형의 생화학적 하위단위 또는 "구성요소": 케토아실 및 이소프렌 군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접근방식을 사용하면, 지질은 8가지 범주로 나뉠 수 있다: 지방산, 글리세로지질, 글리세로인지질, 스핑고지질, 사카로지질, 및 폴리케타이드(케토아실 하위단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됨); 및 스테롤 지질 및 프레놀 지질(이소프렌 하위단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됨). 지질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지방의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지방은 트리글리세리드라고 불리는 지질의 하위그룹이다. 지질은 또한 지방산 및 그 유도체(트리-, 디-, 모노글리세리드, 및 인지질을 포함함)와 같은 분자,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과 같은 기타 스테롤-함유 대사산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지질은, 예를 들어, 아몬드유, 아르간유, 아보카도유, 카놀라유, 캐슈 오일, 피마자유, 코코아 버터, 코코넛유, 종유, 옥수수유, 면실유, 포도씨유, 헤이즐넛유, 대마유, 히드록실화 레시틴, 레시틴, 아마인유, 마카다미아유, 망고 버터, 마룰라유, 몽곤고 너트유, 올리브유, 팜핵유, 팜유, 땅콩유, 피칸유, 들기름, 잣기름, 피스타치오유, 양귀비씨유, 호박씨유, 쌀겨유, 홍화유, 참기름, 시어버터, 대두유, 해바라기유, 호두유, 및 수박씨유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향료"(대안적으로 방향제 또는 방향 화합물로 알려져 있음)는 원하는 냄새 또는 향기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pH 조정제"는 수용액(예: 슬러리)에 첨가될 때 pH를 변화시키는 물질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pH 조정제는 수용액(예: 슬러리)에 첨가될 때 pH를 감소시키는, 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pH 조정제는 수용액(예: 슬러리)에 첨가될 때 pH를 증가시키는, 염기일 수 있다. 염기는 유기 염기(예: 중탄산나트륨) 또는 무기 염기(예: 수산화나트륨)일 수 있고, 산은 무기산(예: 염산) 및/또는 유기산(예: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완충제"는 다른 산 또는 염기의 첨가 후 선택된 값 근처로 용액(예: 슬러리)의 pH(예: 산성 또는 염기성)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산 또는 약염기를 지칭한다. 즉, 완충제의 기능은 산 또는 염기가 용액(예: 슬러리)에 첨가될 때 pH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완충제는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일부는 다른 것보다 더 잘 용해된다; 일부는 산성이고 다른 일부는 염기성이다. 산은 유기산, 광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염기는 유기 염기, 무기 염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용어 "윤활제" 또는 "활택제"는 가공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제형물(예: 슬러리)에 첨가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윤활제는 입자간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슬러리의 흐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합한 윤활제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수소화 식물성 오일(예: 스테로텍스, 루브리탭, 및 큐티나), 광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0-6000(PEG),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SLS), 나트륨 히알루로네이트, 수크로오스 에스테르, 글리세릴 베헤네이트(스텔리에스테르), 디메틸 프탈레이트, 디에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시트레이트, 트리아세틴,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에틸 아디페이트, 디(2-메틸에틸) 아디페이트, 디헥실 아디페이트, 당의 부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 알코올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2-에톡시 에탄올, 에틸 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펜틸 알코올, 헥실 알코올, 헵틸 알코올, 옥틸 알코올, 디부틸 타르트레이트, 피마자유,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안정화제"는 슬러리 및/또는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하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물질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이것은 활성 성분과 임의의 비활성 성분(예: 부형제 또는 첨가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항산화제"는 슬러리 및/또는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하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물질의 산화를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이것은 활성 성분과 임의의 비활성 성분(예: 부형제 또는 첨가제)을 포함한다. 항산화제의 예는,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비타민 A, α-토코페롤(비타민 E), 베타-카로틴, 글루타치온, 유비퀴놀(코엔자임 Q), 및 셀레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점착방지제"는 분말 또는 과립 물질의 덩어리(케이크화)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점착방지제의 사용은 슬러리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고체 분말의 유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결정질 고체는 종종 액체 브릿지의 형성 및 후속적인 미세결정의 융합에 의해 케이크화된다. 비정질 재료는 유리 전이 및 점도 변화로 인해 케이크화될 수 있다. 다형성 상 전이 또한 케이크화를 유도할 수 있다. 그 예는, 예를 들어, 규산칼슘, 탄산칼슘,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습윤제"는 슬러리 및/또는 경구 용해성 필름을 촉촉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습윤제는 흡수를 통해 근처 공기 중의 수분을 끌어당기고 유지하여, 경구 용해성 필름 표면 내부 또는 아래로 수증기를 끌어들인다. 이것은 수분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건조제로서 사용되는 흡습성 재료와는 반대 용도이다. 습윤제는 경구 용해성 필름에 사용되어 활성 성분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활성 성분이 점막 표면을 관통하는 능력, 또는 그의 활성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예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알로에 베라 겔, 알파 히드록시산(예: 젖산), 글리세릴 트리아세테이트, 및 당 알코올 또는 폴리올(예: 글리세롤, 소르비톨, 자일리톨, 및 말티톨)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투과 촉진제"는 생체내(예: 경구) 투여될 때, 원하는 체표면(예: 구강 점막, 예컨대 협측, 설하, 점막, 또는 치은; 또는 장 표면)에 걸쳐, 활성 성분의 전달을 증가시킴으로써 활성 성분의 증가된 흡수를 초래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보존제"는 미생물 성장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화학적 변화에 의한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약학 제형물에 사용되는 몇 가지 전형적인 보존제는: 비타민 A, 비타민 E, 비타민 C, 비타민 C 팔미테이트, 레티닐 팔미테이트, 및 셀레늄과 같은 항산화제; 아미노산 시스테인 및 메티오닌; 시트르산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 파라벤: 메틸 파라벤 및 프로필 파라벤과 같은 합성 보존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있어서, 보존제는 예를 들어, 나트륨 벤조에이트, 벤조산, 나트륨 니트레이트, 나트륨 소르베이트, 칼륨 소르베이트, 및 아스코르브산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오일"은 주변 온도에서 점성 액체이고 소수성(물과 혼합되지 않음, 문자 그대로 "물을 두려워함") 및 친유성(다른 오일과 혼합됨, 문자 그대로 "지방을 선호함") 둘 다인 임의의 비극성 화학 물질이다. 오일은 탄소와 수소 함량이 높으며 일반적으로 가연성이며 표면 활성이 있다. 대부분의 오일은 실온에서 액체인 불포화 지질이다. 오일의 일반적인 정의는 구조, 특성, 및 용도에서는 달리 관련이 없을 수 있는 화합물의 부류를 포함한다. 오일은 기원이 동물성 또는 식물성일 수 있으며,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일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식품(예: 올리브 오일)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오일 담체"는 용매로서 유용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오일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수성 액체"는 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열풍 오븐"은 대류열을 방출하는 오븐을 지칭한다.
용어 "대류열"은 대류에 의해 얻어지는 열을 지칭한다. "대류"는 유체(예: 공기와 같은 기체)의 이동에 의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지칭한다. 대류는 일반적으로 액체와 기체에서 열 전달의 지배적인 형태이다. 별개의 열 전달 방법으로 종종 논의되지만, 대류 열 전달은 미지의 전도(열 확산) 및 이류(벌크 유체 흐름에 의한 열 전달)의 결합된 과정을 포함한다. 두 가지 유형의 대류 열 전달로 구별될 수 있다: (1) 자유 또는 자연 대류 및 (2) 강제 대류.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대류열은 (1) 자유 또는 자연 대류 및/또는 (2) 강제 대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유 대류 또는 자연 대류는 유체의 열 온도 변화로 인한 밀도 변화로부터 생긴 부력에 의해 유체 운동이 초래될 때 발생한다. 내부 소스가 없는 상태에서, 유체가 뜨거운 표면과 접촉하면, 그의 분자가 분리되고 산란되어, 유체의 밀도가 낮아진다. 그 결과, 더 차가운 유체는 밀도가 높아지고 유체가 가라앉으면서 유체는 변위된다. 따라서, 더 뜨거운 체적은 그 유체의 더 차가운 체적 쪽으로 열을 전달한다. 친숙한 예로는 불이나 뜨거운 물체로 인한 공기의 위쪽 흐름과 아래에서 가열된 냄비의 물 순환이 있다. 대조적으로, 강제 대류는 팬, 교반, 및 펌프와 같은 내부 소스에 의해 유체가 표면 위로 강제로 흐르거나, 인위적으로 유도된 대류 전류를 생성할 때 발생한다.
용어 "두께"는 경구 용해성 필름의 양면 사이의 거리를 지칭한다. 두께는 3차원(길이, 폭, 및 두께) 중 가장 작은 것이다. 필름의 두께는 마이크로미터 나사 게이지 또는 보정된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할 수 있다. 두께는 5개의 다른 위치(4개의 모서리 및 중앙에 하나)에서 평가될 수 있으며 특정 구현예에서 두께는 필름의 투여량 분배의 정확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될 수 있기 때문에, 필름 두께의 균일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용어 "질량"은 물체에 얼마나 많은 물질이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을 지칭한다. 질량은 물체 내 총 원자 수, 원자 밀도, 및 원자 유형의 조합이다. 질량은 일반적으로 그램(g으로 축약됨) 또는 밀리그램(㎎으로 축약됨)으로 측정된다.
용어 "약물 부하" 또는 "활성 성분의 부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또는 슬러리)에 존재하는 활성 약학 성분의 양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높은 약물 부하를 가질 수 있으므로, 활성 약학 성분은 비교적 많은 양(예: 경구 용해성 필름의 30중량% 초과)으로 내부에 존재한다.
용어 "밀도"는 물체(예: 경구 용해성 필름)의 단위 부피 당 질량을 지칭한다. 밀도는 물체의 질량을 물체의 부피로 나누어 계산한다. 물체의 부피는, 둘 다 동등하기 때문에, 입방 센티미터 또는 밀리리터로 나타낼 수 있다.
용어 "건조 손실(LOD)"은 특정 조건 하에서 물체(예: 경구 용해성 필름)에서 제거될 수 있는 물 및/또는 휘발성 물질로 인한 중량 손실(백분율 w/w로 표시됨)을 지칭한다. 이 기술에서는, 재료(예: 경구 용해성 필름)의 시료를 칭량하고, 오븐에서 적절한 기간 동안 가열하고, 데시케이터의 건조 분위기에서 냉각한 후, 다시 칭량한다. 중량의 차이는 건조 손실(LOD)이다. 예를 들어, 경구 용해성 필름은 10 ± 2중량%의 건조 손실(LOD)을 가질 수 있다.
용어 "점착성"은 경구 용해성 필름이 필름과 접촉하도록 눌러진 부속품(종이 조각)에 접착되는 끈기를 지칭한다.
용어 "인장 강도"는 경구 용해성 필름 시편이 파손되는 지점에 적용되는 최대 응력을 지칭한다. 이는 파열시 가해진 하중을 경구 용해성 필름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아래 방정식과 같이 계산된다:
인장 강도 = 파단시 하중 × 100/필름 두께 × 필름 폭
용어 "% 연신율"은 응력 적용시 길이의 양에 있어서 상대적인 증가를 지칭한다. 필름 시료에 응력이 가해지면, 필름은 늘어난다. 이것을 변형(strain)이라고 한다. 변형은 기본적으로 응력으로 인해 필름이 파손되기 전에 필름이 변형되는 것이다. 이는 하운스필드 유니버설 시험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름의 연신율은 가소제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이것은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 연신율 = 필름의 길이 증가 × 100/필름의 초기 길이
용어 "인열 저항"은 필름 시편에 일부 하중이나 힘이 가해질 때 필름이 제공하는 저항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시편을 찢는 데 필요한 최대 힘이다. 주로 가해지는 하중은 매우 낮은 비율의 것(예: 51 ㎜/분)일 수 있다. 인열 저항의 단위는 뉴턴 또는 파운드-힘이다.
용어 "영률" 또는 "탄성률"은 용해성 필름의 강성의 척도를 지칭한다. 이것은 탄성 변형 영역에서 변형에 대한 적용된 응력의 비율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영률 = 기울기 × 100/필름 두께 × 크로스 헤드 속도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운 스트립은 작은 연신율로 높은 인장 강도 및 영률을 나타낸다.
용어 "접힘 내구성"은 필름이 부서짐 또는 눈에 보이는 어떠한 균열 없이 접힐 수 있는 횟수를 지칭한다. 접힘 내구성은 필름의 취성을 부여한다. 내구성 값을 결정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방법은 필름 시편이 파손되거나, 눈에 보이는 균열이 관찰될 때까지 동일한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접히는 것이다. 필름이 부서짐 또는 눈에 보이는 균열 없이 접힌 횟수가 계산된 접힘 내구성 값이다.
용어 "약물 함량 균일성", "투여 단위의 균일성" 또는 "CU"는 투여 단위 간의 약물 물질의 양의 균일성 정도를 지칭하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USP-NF 일반 챕터 <905> 투여 단위의 균일성에 명시되어 있다.
경구 용해성 필름의 제조는 (1) 주조(예: 용매 주조 또는 반-고체 주조), (2) 압출(예: 핫 멜트 압출 또는 고체 분산), 및 (3) 롤링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경구 용해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으로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다음 문헌들을 참조한다: "Manufacturing Techniques of Orally Dissolving Films," Pharmaceutical Technology, Volume 35, Issue 1 (Jan 02, 2011); "Current Advances in Drug Delivery Through Fast Dissolving/Disintegrating Dosage Forms," Vikas Anand Saharan, pp. 318-356 (39) (2017); A short review on "A novel approach in oral fast dissolving drug delivery system and their patents," M.N. Siddiqui, G. Garg, P.K. Sharma, Adv. Biol. Res., 5 (2011), pp. 291-303; "Orally disintegrating films: A modern expansion in drug delivery system," Ifran et al., Saudi Pharmaceutical Journal, Volume 24, Issue 5, pp. 537-546 (September 2016);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fast-dissolving films containing levocetirizine," D.R. Choudhary, V.A. Patel, U.K. Chhalotiya, H.V. Patel, A.J. Kundawala; Sci. Pharm., 80 (2012), pp. 779-787; "Orally disintegrating preparations: recent advancement in formulation and technology," R.R. Thakur, D.S. Rathore, S. Narwal; J. Drug Deliv. Therap., 2 (3) (2012), pp. 87-96; "Development of innovative orally fast disintegrating film dosage forms: a review," B.P. Panda, N.S. Dey, M.E.B. Rao; Int. J. Pharm. Sci. Nanotechnol., 5 (2012), pp. 1666-1674.
여러 구현예에 걸쳐,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하는 물질은 그 안에 존재하는 물질의 양을 특징으로 한다. 물질은 활성 약학 성분(들) 및/또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부형제일 수 있다.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그 안에 존재하는 물질의 양은 무수 필름(예: 물을 함유하지 않는 경구 용해성 필름)을 기준으로 한다. 주목할만한 예외는 용해성 필름에 존재하는 물(수분)의 양이다. 설명을 위해, 아래 표에 설명된 제품을 참조한다(100 스트립 배치에 대해 계산된 양). 용해성 필름은 활성 성분(CBD 분리물)이 230.82㎎ 스트립 당 50㎎(21.66중량%)으로 존재하는 슬러리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20
이 계산에 도달하기 위해, 물은 건조 중량(무수) 스트립의 질량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것은 활성 성분(CBD 분리물)이 6.5중량%로 존재하는 슬러리와 대조된다. 이 계산에 도달할 때, 물은 슬러리의 질량에 포함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21
슬러리의 질량(769.4㎎)은 건조 중량(무수) 스트립의 양(질량)(230.82㎎)에 슬러리에 첨가된 정제수의 양(질량)(538.58㎎)을 더하여 수득된다.
재료 기능 양 (mg)/ 스트립 %W/W 건조 양 (g)/ 100 스트립 % W/W 슬러리
CBD 분리물 활성 성분 50 21.66 5.00 6.50
트윈 20 친수성 계면활성제 25 10.83 2.50 3.25
스팬 80 친유성 계면활성제 5 2.17 0.50 0.65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친유성 계면활성제/API용 용매 50 21.66 5.00 6.50
향미제
수크랄로스 USP/NF 감미료 1.573 0.68 0.16 0.20
민트향 향미제 7.289 3.16 0.73 0.95
필름 형성 시스템
변성 식품 전분 필름 형성 중합체 56.23 24.36 5.62 7.31
풀루란 필름 형성 중합체 20.03 8.68 2.00 2.60
글리세린 99.7% USP 가소제 15.55 6.74 1.56 2.02
칼륨 소르베이트 항균제 0.1 0.04 0.01 0.01
옐로우 5 착색제 0.03 0.01 0.00 0.00
레드 40 착색제 0.015 0.01 0.00 0.00
정제수* N/A 538.58 53.86 70.00
230.82 100 76.94 100.00
*정제수 양은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는 건조 중량 스트립 제형물의 일부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글리세릴 모노카프릴레이트"는 IUPAC 명칭 1,3-디히드록시프로판-2-일 옥타노에이트; CAS 번호 4228-48-2; 화학식 C11H22O4; 및 몰 질량 218.29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글리세릴 모노카프릴레이트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는 IUPAC 명칭 2-히드록시프로필 옥타노에이트; CAS 번호 23794-30-1, 68332-79-6; 화학식 C11H22O3; 및 몰 질량 202.29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는 IUPAC 명칭 2,3-디히드록시프로필 (Z)-옥타덱-9-에노에이트; CAS 번호 111-03-5, 25496-72-4, 67701-32-0, 37220-82-9; 화학식 C21H40O4; 및 몰 질량 356.5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는 IUPAC 명칭 2-히드록시프로필 도데카노에이트; CAS 번호 142-55-2, 27194-74-7; 화학식 C15H30O3; 및 몰 질량 258.4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는 IUPAC 명칭 11-(2,3-디히드록시프로폭시카르보닐)헵타데카노에이트; CAS 번호 73398-61-5; 화학식 C21H39O6; 및 몰 질량 387.5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는 IUPAC 명칭 2,3-디히드록시프로필 (9E,12E)-옥타데카-9,12-디에노에이트; CAS 번호 2277-28-3; 화학식 C21H38O4; 및 몰 질량 354.52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스팬 80)"는 IUPAC 명칭 [(2R)-2-[(2R,3R,4S)-3,4-디히드록시옥솔란-2-일]-2-히드록시에틸] (Z)-옥타덱-9-에노에이트; CAS 번호 1338-43-8, 9015-08-1; 화학식 C24H44O6; 및 몰 질량 428.6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스팬 80)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글리세릴 디베헤네이트"는 IUPAC 명칭 도코사노산;프로판-1,2,3-트리올; CAS 번호 99880-64-5; 화학식 C25H52O5; 및 몰 질량 432.7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글리세릴 디베헤네이트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프로필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는 IUPAC 명칭 2-도데카노일옥시프로필 도데카노에이트; CAS 번호 22788-19-8; 화학식 C27H52O4; 및 몰 질량 440.7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프로필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트리카프레이트"는 IUPAC 명칭 2,3-디(옥타노일옥시)프로필 옥타노에이트; CAS 번호 538-23-8; 화학식 C27H50O6; 및 몰 질량 470.7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트리카프레이트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글리세롤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는 IUPAC 명칭 11-(2,3-디히드록시프로폭시카르보닐)헵타데카노에이트; CAS 번호 73398-61-5; 화학식 C21H39O6; 및 몰 질량 387.5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글리세롤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데카글리세롤 모노 올레에이트"는 IUPAC 명칭 (Z)-옥타덱-9-엔산;프로판-1,2,3-트리올; CAS 번호; 화학식 C48H114O32; 및 몰 질량 1203.4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데카글리세롤 모노 올레에이트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데카글리세롤 디 올레에이트"는 IUPAC 명칭 [2-히드록시-3-[2-히드록시-3-[2-히드록시-3-[2-히드록시-3-[2-히드록시-3-[2-히드록시-3-[2-히드록시-3-[2-히드록시-3-[2-히드록시-3-[2-히드록시-3-[(Z)-옥타덱-9-에노일]옥시프로폭시]프로폭시]프로폭시]프로폭시]프로폭시]프로폭시]프로폭시]프로폭시]프로폭시]프로필] (Z)-옥타덱-9-에노에이트; CAS 번호 33940-99-7; 화학식 C66H126O23; 및 몰 질량 1287.7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데카글리세롤 디 올레에이트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올레오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는 살구핵유로부터 수득된 성분을 지칭한다. 올레오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는 올레산의 모노-(MG), 디-(DG) 및 트리글리세리드(TG) 및 모노-(MPEGE) 및 디 PEG-6 에스테르(DPEGE)로 구성된, 복합 혼합물(18:1)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올레오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라우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는 옥수수유로부터 수득된 성분을 지칭한다. 라우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는 리놀레산의 모노-(MG), 디-(DG) 및 트리글리세리드(TG) 및 모노-(MPEGE) 및 디 PEG-6 에스테르(DPEGE)로 구성된 복합 혼합물(18:2)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라우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스테아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는 글리세롤의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및 트리에스테르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지칭한다. 사용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300 및 4000 사이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이것은 주로 스테아르산의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포화 오일을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부분 알코올분해하거나, 지방산으로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에스테르화하거나, 또는 수소화 오일의 지방산과 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의 혼합물로서 생성된다. 히드록실 값은 표지된 명목 값의 85% 이상 115% 이하이고, 비누화 값은 표지된 명목 값의 90% 이상 110% 이하이다. 스테아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는 유리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스테아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스테아로일 폴리옥실글리세리드"는 글리세롤의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및 트리에스테르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지칭한다. 사용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300 및 4000 사이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이것은 주로 스테아르산의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포화 오일을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부분 알코올분해하거나, 지방산으로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에스테르화하거나, 또는 수소화 오일의 지방산과 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의 혼합물로서 생성된다. 히드록실 값은 표지된 명목 값의 85% 이상 115% 이하이고, 비누화 값은 표지된 명목 값의 90% 이상 110% 이하이다. 스테아로일 폴리옥실글리세리드는 유리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스테아로일 폴리옥실글리세리드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폴리옥시에틸렌"은 IUPAC 명칭 1-(2-메톡시에톡시)헥사데칸; CAS 번호; 화학식 C19H40O2; 및 몰 질량 300.5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폴리옥시에틸렌은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리드"는 팜핵유 또는 코코넛유로부터 제조된 유성 액체를 지칭한다.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리드는 글리세린 골격에 부착된 카프릴릭 및 카프릭 지방산으로 구성된 혼합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리드는 지방산이 탄소 원자 6-12 범위의 사슬인 트리글리세리드로 대부분 구성되며, 이 경우 에스테르는 카프릭(탄소 원자 10개) 및 카프릴릭(탄소 원자 8개)으로 구성된다.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리드는 낮은 수준의 코코넛유 및 팜핵유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리드는 오일이 분리되고 특정 지방산(카프르산 및 카프릴산)이 단리되고 글리세린 골격과 재조합되어 순수한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리드를 형성한 다음 점토, 열 및 증기를 사용하여 추가로 정제(표백 및 탈취)될 때 수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리드는 적어도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폴록사머"는 양친매성 특징 및 이로부터 나오는 유용한 회합 및 흡착 특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및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PO)의 블록 공중합체를 지칭한다. 폴록사머는 화합물의 가용화 또는 안정화가 필요하고 낮은 독성을 포함한 주목할만한 생리적 특성을 갖는 많은 적용품에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폴록사머는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폴리옥실 피마자유"는 에톡실화 글리세롤의 트리리시놀레에이트 에스테르와 소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마크로골) 리시놀레에이트 및 상응하는 유리 글리콜의 혼합물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폴리옥실 피마자유는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은 주로 유화제 또는 가용화제로 사용되는 비이온성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지칭한다. 폴리옥시에틸렌 부분은 친수성인 반면 폴리옥시프로필렌 부분은 소수성이다.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은 조성물이 화학적으로 유사하고, 제조 중에 첨가되는 프로필렌 및 에틸렌 옥사이드의 상대적인 양만 다르다. 이들의 물리적 및 표면-활성 특성은 광범위하게 다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은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트윈 20)"는 라우르산을 첨가하기 전에 소르비탄을 에톡실화하여 형성된 폴리소르베이트-유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지칭한다. 이것의 안정성 및 상대적인 무독성은 많은 과학적 적용품에서 세제 및 유화제로서 이것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트윈 20)는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트윈 80"은 라우르산을 첨가하기 전에 소르비탄을 에톡실화하여 형성된 폴리소르베이트-유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지칭한다. 이것의 안정성 및 상대적인 무독성은 많은 과학적 적용품에서 세제 및 유화제로서 이것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트윈 80은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 60)"는 라우르산을 첨가하기 전에 소르비탄을 에톡실화하여 형성된 폴리소르베이트-유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지칭한다. 이것의 안정성 및 상대적인 무독성은 많은 과학적 적용품에서 세제 및 유화제로서 이것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 60)는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데실 글루코사이드"는 IUPAC 명칭 (3R,4S,5S,6R)-2-데콕시-6-(히드록시메틸)옥산-3,4,5-트리올; CAS 번호 54549-25-6, 68515-73-1; 화학식 C16H32O6; 및 몰 질량 320.42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데실 글루코사이드는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라우릴 글루코사이드"는 IUPAC 명칭 (2R,3R,4S,5S,6R)-2-도데콕시-6-(히드록시메틸)옥산-3,4,5-트리올; CAS 번호 59122-55-3; 화학식 C18H36O6; 및 몰 질량 348.5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라우릴 글루코사이드는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옥틸 글루코사이드"는 IUPAC 명칭 2-(히드록시메틸)-6-옥톡시옥산-3,4,5-트리올; CAS 번호 4742-80-7; 화학식 C14H28O6; 및 몰 질량 292.37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옥틸 글루코사이드는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트리톤 X-100"은 친수성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사슬(평균적으로 9.5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가짐) 및 방향족 탄화수소 친유성 또는 소수성 기를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지칭한다. 탄화수소 기는 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 기이다. 이 물질은 IUPAC 명칭 2-[4-(2,4,4-트리메틸펜탄-2-일)페녹시]에탄올; CAS 번호 2315-67-5, 63869-93-2, 9002-93-1; 화학식 C16H26O2; 및 몰 질량 250.38 g·mol-1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트리톤 X-100은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노녹시놀 9"(때로는 N-9로 약칭됨)는 IUPAC 명칭 2-[2-[2-[2-[2-[2-[2-[2-[2-(4-노닐페녹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탄올; CAS 번호 26571-11-9, 26027-38-3, 14409-72-4; 화학식 C33H60O10; 및 몰 질량 616.8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노녹시놀 9는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는 IUPAC 명칭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CAS 번호 151-21-3, 1335-72-4, 8012-56-4; 화학식 NaSO4C12H25 또는 C12H25O4S.Na 또는 C12H25NaO4S; 및 몰 질량 288.38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는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칼륨 라우릴 설페이트"는 IUPAC 명칭 칼륨 도데실 설페이트; CAS 번호 4706-78-9; 화학식 C12H25KO4S; 및 몰 질량 304.49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칼륨 라우릴 설페이트는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브리즈(Brij)" 또는 "브리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계열을 지칭한다. 적합한 브리즈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25, 37 및 40℃에서 브리즈 78(C18H37E20), 브리즈 98(C18H35E20) 및 브리즈 700(C18H37E100)(여기서 E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사슬의 OCH2CH2 단위를 나타냄)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브리즈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브리즈 23, 브리즈 30, 브리즈 35, 브리즈® S20, 브리즈® O20, 브리즈® O10, 브리즈® C10, 브리즈® C20, 브리즈® L4, 브리즈® S2, 브리즈® S20 및 기타 브리즈® 제품을 포함한다. 특정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는 브리즈® L4 및 브리즈® S20을 포함한다. 브리즈® 제품은 시그마-알드리치(St. Louis, MO) 및 크로다(East Yorkshire, U.K.)에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브리즈는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글리세릴 라우레이트"는 IUPAC 명칭 1,3-디아세틸옥시프로판-2-일 운데카노에이트; CAS 번호 120602-37-1; 화학식 C18H32O6; 및 몰 질량 344.4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글리세릴 라우레이트는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인지질"은 IUPAC [2-[데실(히드록시)포스포릴]옥시-3-(10-메톡시-10-옥소데콕시)프로필] 2-(트리메틸아자늄일)에틸 포스페이트; CAS 번호; 화학식 C29H61NO10P2; 및 몰 질량 645.7 g·mol-1인 물질 또는 이의 유도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인지질은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n-도데실 포스포콜린"은 IUPAC 명칭 도데실 2-(트리메틸아자늄일)에틸 포스페이트; CAS 번호 29557-51-5; 화학식 C17H38NO4P; 및 몰 질량 351.5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n-도데실 포스포콜린은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콜레스테릴 에스테르"는 IUPAC 명칭 [(3S,8S,9S,10R,13R,14S,17R)-10,13-디메틸-17-[(2R)-6-메틸헵탄-2-일]-2,3,4,7,8,9,11,12,14,15,16,17-도데카히드로-1H-시클로펜타[a]페난트렌-3-일] (Z)-헵타덱-9-에노에이트; CAS 번호; 화학식 C44H76O2; 및 몰 질량 637.1 g·mol-1인, 17:1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와 같은 물질, 또는 비제한적으로 17:0, 15:0, 22:4, 20:3, 및 22:3 콜레스테릴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의 유도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콜레스테릴 에스테르는 적어도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은 6-12개의 탄소 원자의 지방족 꼬리를 갖는 2개 내지 3개의 지방산을 갖는 트리글리세리드를 갖는 물질을 지칭한다.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은 비제한적으로 헥산산 또는 카프로산, 옥탄산 또는 카프릴산, 데칸산 또는 카프르산, 도데칸산 또는 라우르산과 같은 지방산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은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코코넛유"는 IUPAC 명칭 (1-데카노일옥시-3-옥타노일옥시프로판-2-일) 도데카노에이트; CAS 번호 68991-68-4; 화학식 C33H62O6; 및 몰 질량 554.8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코코넛유는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옥수수유"는 옥수수의 배아 및 그것의 물리적으로 변형된 유도체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지칭한다. 옥수수유는 IUPAC 명칭; CAS 번호 8001-30-7; 화학식; 및 몰 질량 g·mol-1인, 지방산 리놀레산, 올레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의 글리세리드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옥수수유는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올리브유"는 IUPAC 명칭 헥사데칸산;(9Z,12Z)-옥타데카-9,12-디엔산;옥타데칸산;(9Z,12Z,15Z)-옥타데카-9,12,15-트리엔산;(Z)-옥타덱-9-엔산; CAS 번호 92044-96-7; 화학식 C88H164O10; 및 몰 질량 1382.2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올리브유는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팜유"는 IUPAC 명칭 1-히드록시프로판-2-올레이트;3-옥소도데칸산; CAS 번호 91052-70-9; 화학식 C15H29O5 -; 및 몰 질량 289.39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팜유는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카놀라유"는 에루크산이 낮은 여러가지 평지씨로부터 유래된 물질을 지칭한다. 카놀라유는 십자화과 과 식물의 임의의 여러 품종의 종자에서 생산된 오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놀라유는 브라시카(브라시카 나푸스, 브라시카 라파, 또는 브라시카 윤세아) 속의 종자에서 추출한 오일을 포함하고, 이 오일은 그의 지방산 프로필에서 2% 미만의 에루크산을 함유해야 하고 고체 성분은 공기-건조, 오일-프리 고체의 그램 당 3-부테닐 글루코시놀레이트, 4-펜테닐 글루코시놀레이트, 2-히드록시-3 부테닐 글루코시놀레이트, 및 2-히드록시-4-펜테닐 글루코시놀레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혼합물을 30 마이크로몰 미만으로 함유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카놀라유는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홍화유"는 잇꽃 식물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홍화유는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참기름"은 참깨에서 추출한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참기름은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는 IUPAC 명칭 2-히드록시프로필 옥타노에이트; CAS 번호 23794-30-1, 68332-79-6; 화학식 C11H22O3 https://pubchem.ncbi.nlm.nih.gov/ - query=C15H29O5-; 및 몰 질량 202.29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는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는 IUPAC 명칭 2-히드록시프로필 도데카노에이트; CAS 번호 142-55-2, 27194-74-7; 화학식 C15H30O3 https://pubchem.ncbi.nlm.nih.gov/ - query=C15H29O5-; 및 몰 질량 258.4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는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는 IUPAC 명칭 2,3-디히드록시프로필 (9E,12E)-옥타데카-9,12-디에노에이트; CAS 번호 2277-28-3; 화학식 C21H38O4 https://pubchem.ncbi.nlm.nih.gov/ - query=C15H29O5-; 및 몰 질량 354.5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는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세틸 알코올"은 IUPAC 명칭 헥사데칸-1-올; CAS 번호 2277-28-3; 화학식 C16H34O https://pubchem.ncbi.nlm.nih.gov/ - query=C15H29O5-; 및 몰 질량 242.44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세틸 알코올은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스테아릴 알코올"은 IUPAC 명칭 옥타데칸-1-올; CAS 번호 112-92-5, 68911-61-5; 화학식 C18H38O https://pubchem.ncbi.nlm.nih.gov/ - query=C15H29O5-; 및 몰 질량 270.5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스테아릴 알코올은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세토스테아릴 알코올"은 IUPAC 명칭 헥사데칸-1-올;옥타데칸-1-올; CAS 번호 67762-27-0; 화학식 C34H72O2 https://pubchem.ncbi.nlm.nih.gov/ - query=C15H29O5-; 및 몰 질량 512.9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세토스테아릴 알코올은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올레일 알코올"은 IUPAC 명칭 (Z)-옥타덱-9-엔-1-올; CAS 번호 143-28-2; 화학식 C18H36O https://pubchem.ncbi.nlm.nih.gov/ - query=C15H29O5-; 및 몰 질량 268.5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올레일 알코올은 적어도 오일 담체로서 또는 활성 성분에 대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시클로스포린"은 IUPAC 명칭 30-에틸-33-[(E)-1-히드록시-2-메틸헥스-4-에닐]-1,4,7,10,12,15,19,25,28-노나메틸-6,9,18,24-테트라키스(2-메틸프로필)-3,21-디(프로판-2-일)-1,4,7,10,13,16,19,22,25,28,31-운데카자시클로트리트리아콘탄-2,5,8,11,14,17,20,23,26,29,32-운데콘; CAS 번호 59865-13-3; 화학식 C62H111N11O12; 및 몰 질량 1202.6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시클로스포린은 적어도 활성 약학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리토나비르"는 IUPAC 명칭 1,3-티아졸-5-일메틸 N-[(2S,3S,5S)-3-히드록시-5-[[(2S)-3-메틸-2-[[메틸-[(2-프로판-2-일-1,3-티아졸-4-일)메틸]카르바모일]아미노]부타노일]아미노]-1,6-디페닐헥산-2-일]카르바메이트; CAS 번호 155213-67-5; 화학식 C37H48N6O5S2; 및 몰 질량 875.106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리토나비르는 적어도 활성 약학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사퀴나비르"는 IUPAC 명칭 (2S)-N-[(2S,3R)-4-[(3S,4aS,8aS)-3-(tert-부틸카르바모일)-3,4,4a,5,6,7,8,8a-옥타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3-히드록시-1-페닐부탄-2-일]-2-(퀴놀린-2-카르보닐아미노)부탄디아미드; CAS 번호 127779-20-8; 화학식 C38H50N6O5; 및 몰 질량 670.8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사퀴나비르는 적어도 활성 약학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암프레나비르"는 IUPAC 명칭 [(3S)-옥솔란-3-일] N-[(2S,3R)-4-[(4-아미노페닐)술포닐-(2-메틸프로필)아미노]-3-히드록시-1-페닐부탄-2-일]카르바메이트; CAS 번호 161814-49-9; 화학식 C25H35N3O6S; 및 몰 질량 505.6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암프레나비르는 적어도 활성 약학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발프로산"은 IUPAC 명칭 2-프로필펜탄산; CAS 번호 99-66-1; 화학식 C8H16O2; 및 몰 질량 144.21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발프로산은 적어도 활성 약학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칼시트리올"은 IUPAC 명칭 (1R,3S,5Z)-5-[(2E)-2-[(1R,3aS,7aR)-1-[(2R)-6-히드록시-6-메틸헵탄-2-일]-7a-메틸-2,3,3a,5,6,7-헥사히드로-1H-인덴-4-일리덴]에틸리덴]-4-메틸리덴시클로헥산-1,3-디올; CAS 번호 32222-06-3; 화학식 C27H44O3; 및 몰 질량 416.6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칼시트리올은 적어도 활성 약학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벡사로텐"은 IUPAC 명칭 4-[1-(3,5,5,8,8-펜타메틸-6,7-디히드로나프탈렌-2-일)에테닐]벤조산; CAS 번호 153559-49-0; 화학식 C24H28O2; 및 몰 질량 348.5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벡사로텐은 적어도 활성 약학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트레티노인"은 IUPAC 명칭 (2E,4E,6E,8E)-3,7-디메틸-9-(2,6,6-트리메틸시클로헥센-1-일)노나-2,4,6,8-테트라엔산; CAS 번호 302-79-4, 4759-48-2, 97950-17-9; 화학식 C20H28O2; 및 몰 질량 300.4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트레티노인은 적어도 활성 약학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이소트레티노인"은 IUPAC 명칭 (2Z,4E,6E,8E)-3,7-디메틸-9-(2,6,6-트리메틸시클로헥센-1-일)노나-2,4,6,8-테트라엔산; CAS 번호 4759-48-2, 97950-17-9; 화학식 C20H28O2; 및 몰 질량 300.44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이소트레티노인은 적어도 활성 약학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티프라나비르"는 IUPAC 명칭 N-[3-[(1R)-1-[(2R)-4-히드록시-6-옥소-2-(2-페닐에틸)-2-프로필-3H-피란-5-일]프로필]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술폰아미드; CAS 번호 174484-41-4; 화학식 C31H33F3N2O5S; 및 몰 질량 602.7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티프라나비르는 적어도 활성 약학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LSD)"는 IUPAC 명칭 (6aR,9R)-N,N-디에틸-7-메틸-6,6a,8,9-테트라히드로-4H-인돌로[4,3-fg]퀴놀린-9-카르복사미드; CAS 번호 50-37-3; 화학식 C20H25N3O; 및 몰 질량 323.4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LSD)는 적어도 활성 약학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3,4-메틸렌디옥시메탐페타민(MDMA)"은 IUPAC 명칭 1-(1,3-벤조디옥솔-5-일)-N-메틸프로판-2-아민; CAS 번호 42542-10-9; 화학식 C11H15NO2; 및 몰 질량 193.24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3,4-메틸렌디옥시메탐페타민(MDMA)은 적어도 활성 약학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N,N-디메틸트립타민(DMT)"은 IUPAC 명칭 2-(1H-인돌-3-일)-N,N-디메틸에탄아민; CAS 번호 61-50-7; 화학식 C12H16N2; 및 몰 질량 188.269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DMT는 많은 식물과 동물에서 발생하며 트립타민의 유도체이자 구조적 유사체인 화학 물질이다. 이것은 환각성 약물로 섭취될 수 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목적으로 엔테오겐으로 준비되었다. DMT는 O-아세틸실로신(4-AcO-DMT), 5-MeO-DMT, 실로시빈(4-PO-DMT), 실로신(4-HO-DMT), 및 부포테닌(5-HO-DMT)과 같은 다른 환각 트립타민의 기능적 유사체 및 구조적 유사체이다. DMT의 구조는 세로토닌 및 멜라토닌과 같은 일부 중요한 생체분자 내에서 발생하여, 그것을 DMT의 구조적 유사체로 만든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N,N-디메틸트립타민(DMT)은 적어도 활성 약학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실로시빈"은 IUPAC 명칭 [3-(2-디메틸아미노에틸)-1H-인돌-4-일]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CAS 번호 520-52-5; 화학식 C12H17N2O4P; 및 몰 질량 284.252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실로시빈은 200종 이상의 균류에 의해 생성되는 자연 발생 환각 전구약물 화합물이다. 가장 강력한 것은 P. 아주레센스, P. 세밀란세아타, 및 P. 시아네센스와 같은 실로사이베(Psilocybe) 속의 구성원이지만, 실로시빈은 또한 약 12개의 다른 속에서 단리되었다. 전구약물로서, 실로시빈은 신체에 의해 실로신으로 빠르게 전환되며, 일부 측면에서는, LSD, 메스칼린, 및 DMT와 유사한 정신-변화 효과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효과에는 희열, 시각적 및 정신적 환각, 지각의 변화, 왜곡된 시간 감각, 및 지각된 영적 경험이 포함되며, 메스꺼움 및 공황 발작과 같은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메스칼린"은 IUPAC 명칭 2-(3,4,5-트리메톡시페닐)에탄아민; CAS 번호 54-04-6; 화학식 C11H17NO3; 및 몰 질량 211.261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메스칼린은 LSD 및 실로시빈에 필적하는 환각유발 효과로 알려진, 치환된 펜에틸아민 부류의 자연 발생 환각성 프로토알칼로이드이다. 이것은 페요테 선인장(로포포라 윌리엄시), 산 페드로 선인장(에키놉시스 파차노이), 페루 토치(에키놉시스 페루비아나), 및 기타 선인장 종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아카시아 베르란디에리를 포함한 파바세아(Fabaceae)라는 콩 과의 특정 구성원에서도 소량 발견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이보가인"은 IUPAC 명칭 12-메톡시이보가민; CAS 번호 83-74-9; 화학식 C20H26N2O; 및 몰 질량 310.441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이보가인은 타베르난테 이보가, 보아캉가 아프리카나, 및 타베르나에몬타나 운둘라타와 같은 아포키나세(Apocynaceae) 과의 식물에서 발견되는 자연 발생 향정신성 물질이다. 이것은 분열 특성을 가진 환각제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이버멕틴"은 IUPAC 명칭 22,23-디히드로아버멕틴 B1a + 22,23-디히드로아버멕틴 B1b; CAS 번호 70288-86-7 및 71827-03-7; 화학식 C48H74O14(22,23-디히드로아버멕틴 B1a) 및 C47H72O14(22,23-디히드로아버멕틴 B1b); 및 몰 질량 875.106 g·mol-1(22,23-디히드로아버멕틴 B1a) 및 861.079 g·mol-1(22,23-디히드로아버멕틴 B1b)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이버멕틴은 적어도 활성 약학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프로필렌 글리콜"은 IUPAC 명칭 프로판-1,2-디올; CAS 번호 57-55-6, 25322-68-3, 63625-56-9; 화학식 C3H8O2 또는 CH3CHOHCH2OH; 및 몰 질량 76.09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프로필렌 글리콜은 적어도 가소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글리세린"은 IUPAC 명칭 프로판-1,2,3-트리올; CAS 번호 56-81-5, 8043-29-6, 25618-55-7, 8013-25-0; 화학식 C3H8O3 또는 CH2OH-CHOH-CH2OH; 및 몰 질량 92.09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글리세린은 적어도 가소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트리아세틴"은 IUPAC 명칭 2,3-디아세틸옥시프로필 아세테이트; CAS 번호 102-76-1; 화학식 C9H14O6 또는 C3H5(OCOCH3)3; 및 몰 질량 218.2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트리아세틴은 적어도 가소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트리에틸 시트레이트"는 IUPAC 명칭 트리에틸 2-히드록시프로판-1,2,3-트리카르복실레이트; CAS 번호 77-93-0; 화학식 C12H20O7 또는 (CH2COOC2H5)2COHCOOC2H5; 및 몰 질량 276.28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트리에틸 시트레이트는 적어도 가소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IUPAC 명칭 에탄-1,2-디올; CAS 번호 107-21-1, 25322-68-3; 화학식 C2H6O2 또는 (C2H4O)nH2O(n = 분자량 6000에 해당하는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의 수, 약 140) 또는 HOCH2CH2OH 또는 CH2OHCH2OH; 및 몰 질량 62.07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적어도 가소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풀루란"은 IUPAC 명칭 [(2R,3S,4R,5R,6S)-4,5-디히드록시-3-[(2R,3R,4S,5S,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옥산-2-일]옥시-6-[[(2R,3S,4S,5R,6R)-3,4,5-트리히드록시-6-[(2R,3S,4R,5R,6S)-4,5,6-트리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옥산-3-일]옥시옥산-2-일]메톡시]옥산-2-일]메틸 헥사데카노에이트; CAS 번호 53572-58-0; 화학식 C40H72O22; 및 몰 질량 905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풀루란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아라비아 검"은 IUPAC 명칭 17-아세틸-3,7-디히드록시-4,4,10,13,14-펜타메틸-2,3,5,6,7,12,16,17-옥타히드로-1H-시클로펜타[a]페난트렌-11,15-디온; CAS 번호 97653-92-4; 화학식 C24H34O5; 및 몰 질량 402.5 g·mol-1인 아카시아 세네갈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아라비아 검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구아 검"은 IUPAC 명칭 이나트륨;[[[5-(6-아미노푸린-9-일)-3-히드록시옥솔란-2-일]옥시-메톡시포스포릴]옥시-옥시도포르포릴]히드로겐 포스페이트; CAS 번호 9000-30-0; 화학식 C10H14N5Na2O12P3; 및 몰 질량 535.15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구아 검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말토덱스트린"은 IUPAC 명칭 (3R,4S,5S,6R)-2-[(2R,3S,4R,5R)-4,5-디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6-[(2R,3S,4R,5R,6S)-4,5,6-트리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옥산-3-일]옥시옥산-3-일]옥시-6-(히드록시메틸)옥산-3,4,5-트리올; CAS 번호 9004-53-9; 화학식 C18H32O16; 및 몰 질량 504.4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말토덱스트린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는 IUPAC 명칭 2-[4,5-디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6-메톡시옥산-3-일]옥시-6-(히드록시메틸)-5-메톡시옥산-3,4-디올; CAS 번호 9004-34-6; 화학식 C14H26O11; 및 몰 질량 370.35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는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키토산"은 IUPAC 명칭 메틸 N-[(2S,3R,4R,5S,6R)-5-[(2S,3R,4R,5S,6R)-3-아미노-5-[(2S,3R,4R,5S,6R)-3-아미노-5-[(2S,3R,4R,5S,6R)-3-아미노-5-[(2S,3R,4R,5S,6R)-3-아미노-5-[(2S,3R,4R,5S,6R)-3-아미노-5-[(2S,3R,4R,5S,6R)-3-아미노-4,5-디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옥산-2-일]옥시-4-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옥산-2-일]옥시-4-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옥산-2-일]옥시-4-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옥산-2-일]옥시-4-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옥산-2-일]옥시-4-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옥산-2-일]옥시-2-[(2R,3S,4R,5R,6S)-5-아미노-6-[(2R,3S,4R,5R,6R)-5-아미노-4,6-디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옥산-3-일]옥시-4-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옥산-3-일]옥시-4-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옥산-3-일]카르바메이트; CAS 번호 9012-76-4; 화학식 C56H103N9O39; 및 몰 질량 1526.5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키토산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펙틴"은 IUPAC 명칭 (2S,3R,4S,5R,6R)-3,4,5,6-테트라히드록시옥산-2-카르복실산; CAS 번호 18968-14-4; 화학식 C6H10O7; 및 몰 질량 194.14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펙틴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카라기난"은 IUPAC 명칭 아연;1-(5-시아노피리딘-2-일)-3-[(1S,2S)-2-(6-플루오로-2-히드록시-3-프로파노일페닐)시클로프로필]우레아;디아세테이트; CAS 번호 9000-07-1; 화학식 C23H23FN4O7Zn; 및 몰 질량 551.8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카라기난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HPMC" 또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하이프로멜로스"는 CAS 번호 9004-65-3을 갖는 반합성, 불활성, 점탄성 중합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HPMC는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HPC" 또는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는 IUPAC 명칭 1-[[(2R,3R,4S,5R)-3,4,5-트리스(2-히드록시프로폭시)-6-[(2R,3R,4S,5R,6R)-4,5,6-트리스(2-히드록시프로폭시)-2-(2-히드록시프로폭시메틸)옥산-3-일]옥시옥산-2-일]메톡시]프로판-2-올; CAS 번호; 화학식 C36H70O19; 및 몰 질량 806.9 g·mol-1;인 물질 또는 이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HPC는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변성 옥수수 전분"은 IUPAC 명칭 5-[5-[3,4-디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5-메톡시옥산-2-일]옥시-6-[[3,4-디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5-메톡시옥산-2-일]옥시메틸]-3,4-디히드록시옥산-2-일]옥시-6-(히드록시메틸)-2-메틸옥산-3,4-디올; CAS 번호; 화학식 C27H48O20; 및 몰 질량 692.7 g·mol-1인 물질 또는 이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변성 옥수수 전분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카보폴 974P"는 고분자량의,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또는 이의 유도체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카보머 계열의 구성원을 지칭한다. 카보폴은 비제한적으로 카보폴 단독중합체: 알릴 수크로오스 또는 알릴 펜타에리트리톨과 가교결합된 아크릴산; 카보폴 공중합체: 알릴 펜타에리트리톨과 가교결합된 아크릴산 및 C10-C30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카보폴 혼성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장쇄 알킬 산 에스테르의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카보머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카보폴 974P는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카보폴 934P"는 고분자량의,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또는 이의 유도체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카보머 계열의 구성원을 지칭한다. 카보폴은 비제한적으로 카보폴 단독중합체: 알릴 수크로오스 또는 알릴 펜타에리트리톨과 가교결합된 아크릴산; 카보폴 공중합체: 알릴 펜타에리트리톨과 가교결합된 아크릴산 및 C10-C30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카보폴 혼성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장쇄 알킬 산 에스테르의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카보머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카보폴 934P는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콜리돈 25"는 고분자량의, 가교결합된 중합체 또는 이의 유도체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피롤리돈 계열의 구성원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콜리돈 25는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솔루플러스"는 IUPAC 명칭 2-히드록시에틸 12-히드록시옥타데카노에이트; CAS 번호 105109-85-1, 6284-41-9; 화학식 C20H40O4; 및 몰 질량 344.5 g·mol-1인 물질 또는 이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솔루플러스는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라이코트 NG73"은 히드록시프로필 완두콩 전분 계열의 구성원, 예컨대 중합체 또는 이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라이코트 NG73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콜리코트" 또는 "콜리코트®"는 BASF(Florham Park, NJ)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제품을 지칭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콜리코트® 프로텍트 및 콜리코트® IR을 포함한다. 용어 "콜리코트® 프로텍트"는 (i) 35-45중량% 폴리비닐 알코올(PVA), (ii) 55-65중량% 폴리비닐 알코올(PVA)-폴리에틸렌 글리콜(PEG)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iii) 0.1-0.3중량%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상용 제품을 지칭한다. 콜리코트® 프로텍트는 수용성 콜리코트® IR 및 폴리비닐 알코올의 조합이고, 콜리코트® IR은 폴리비닐 알코올(PVA)-폴리에틸렌 글리콜(PEG) 그래프트 공중합체이다. 콜리코트® IR의 PEG 부분은 PEG 6000이다. 콜리코트® 프로텍트의 화학명은 폴리비닐 알코올-폴리에틸렌 글리콜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알코올(PVA)이다. 콜리코트® 프로텍트의 CAS 번호는 콜리코트® IR 96734-39-3, 폴리비닐 알코올 9002-89-5, 및 이산화규소 7631-86-9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콜리코트® 제품(들)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폴리옥스 N-10"은 IUPAC 명칭 2-메틸옥시란을 갖는 물질의 중합체;옥시란 또는 그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 CAS 번호 691397-13-4, 9003-11-6, 106392-12-5; 화학식 C5H10O2; 및 몰 질량 102.13 g·mol-1;과 같은 폴리옥살렌 계열의 구성원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폴리옥스 N-10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폴리옥스 N-80"은 IUPAC 명칭 2-메틸옥시란을 갖는 물질의 중합체;옥시란 또는 그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 CAS 번호 691397-13-4, 9003-11-6, 106392-12-5; 화학식 C5H10O2; 및 몰 질량 102.13 g·mol-1;과 같은 폴리옥살렌 계열의 구성원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폴리옥스 N-80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폴리옥스 N-750"은 IUPAC 명칭 2-메틸옥시란을 갖는 물질의 중합체;옥시란 또는 그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 CAS 번호 691397-13-4, 9003-11-6, 106392-12-5; 화학식 C5H10O2; 및 몰 질량 102.13 g·mol-1;과 같은 폴리옥살렌 계열의 구성원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폴리옥스 N-750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메토셀 E4M"은 IUPAC 명칭 6-(히드록시메틸)-5-메톡시-2-[4,5,6-트리메톡시-2-(메톡시메틸)옥산-3-일]옥시옥산-3,4-디올을 갖는 물질의 중합체 또는 그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 CAS 번호 99638-59-2; 화학식 C17H32O11; 및 몰 질량 412.4 g·mol-1;과 같은 메틸셀룰로오스 에테르 계열의 구성원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메토셀 E4M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메토셀 E10M"은 IUPAC 명칭 6-(히드록시메틸)-5-메톡시-2-[4,5,6-트리메톡시-2-(메톡시메틸)옥산-3-일]옥시옥산-3,4-디올을 갖는 물질의 중합체 또는 그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 CAS 번호 99638-59-2; 화학식 C17H32O11; 및 몰 질량 412.4 g·mol-1;과 같은 메틸셀룰로오스 에테르 계열의 구성원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메토셀 E10M은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나트륨 CMC" 또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는 IUPAC 명칭 나트륨;2,3,4,5,6-펜타히드록시헥산알;아세테이트; CAS 번호 9004-32-4; 화학식 C8H15NaO8; 및 몰 질량 262.19 g·mol-1;인 물질 또는 그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나트륨 CMC는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는 IUPAC 명칭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 CAS 번호 111-90-0; 화학식 C6H14O3 또는 CH3CH2OCH2CH2OCH2CH2OH; 및 몰 질량 134.17 g·mol-1인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는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카프릴로카프리올 폴리옥실-8 글리세리드"는 IUPAC 명칭 2,3-디히드록시프로필 데카노에이트;2,3-디히드록시프로필 옥타노에이트; CAS 번호; 화학식 C24H48O8; 및 몰 질량 464.6 g·mol-1;인 물질 또는 그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구 용해성 필름에 존재할 때, 카프릴로카프리올 폴리옥실-8 글리세리드는 적어도 필름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특정 범위, 값, 및 구현예
아래에 제공된 범위 및 값을 설명하는 특정 구현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고,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개시된 주제의 범위를 달리 제한하지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활성 약학 성분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친유성 및 소수성인 활성 약학 성분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친유성 및 소수성인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를 포함하고, 여기서 용매는 친유성 또는 소수성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를 포함하고, 여기서 용매는 친유성 및 소수성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1)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활성 약학 성분, (2)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계면활성제, 및 (3)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용매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1) 친유성 및 소수성인 활성 약학 성분, (2) 친유성 및 소수성인 계면활성제, 및 (3) 친유성 및 소수성인 용매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소유성 또는 친수성인 활성 약학 성분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소유성 및 친수성인 활성 약학 성분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소유성 또는 친수성인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소유성 및 친수성인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를 포함하고, 여기서 용매는 소유성 또는 친수성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를 포함하고, 여기서 용매는 소유성 및 친수성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1) 소유성 또는 친수성인 활성 약학 성분, (2) 소유성 또는 친수성인 계면활성제, 및 (3)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를 포함하고, 여기서 용매는 소유성 또는 친수성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1) 소유성 및 친수성인 활성 약학 성분, (2) 소유성 및 친수성인 계면활성제, 및 (3)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를 포함하고, 여기서 용매는 소유성 및 친수성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계면활성제는 친유성 또는 소수성이고;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는 친유성 또는 소수성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스팬 80), 글리세릴 디베헤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트리카프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데카글리세롤 모노 및 디 올레에이트, 올레오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라우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스테아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또는 스테아로일 폴리옥실글리세리드, 및 폴리옥시에틸렌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리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모노카프릴레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스팬 80), 글리세릴 디베헤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트리카프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데카글리세롤 모노 및 디 올레에이트, 올레오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라우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스테아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스테아로일 폴리옥실글리세리드, 폴리옥시에틸렌, 및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리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스팬 80), 프로필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 및 데카글리세롤 모노 및 디 올레에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및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스팬 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0.5-40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3-25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8-14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11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범위의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
구현예 A 구현예 B 구현예 C
글리세릴 모노카프릴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글리세릴 모노카프릴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스팬 80) (i): 2%
(ii): 1-3%
(iii): 0.5-25%
(iv): 0.5-4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스팬 80) (i): 2%
(ii): 1-3%
(iii): 0.5-25%
(iv): 0.5-4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스팬 80) (i): 2%
(ii): 1-3%
(iii): 0.5-25%
(iv): 0.5-40%
글리세릴 디베헤네이트 (i): 5%
(ii): 3-7%
(iii): 0.5-25%
(iv): 0.5-40%
프로필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 (i): 5%
(ii): 3-7%
(iii): 0.5-25%
(iv): 0.5-40%
프로필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 (i): 5%
(ii): 3-7%
(iii): 0.5-25%
(iv): 0.5-40%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트리카프레이트 (i): 5%
(ii): 3-7%
(iii): 0.5-25%
(iv): 0.5-40%
글리세롤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i): 5%
(ii): 3-7%
(iii): 0.5-25%
(iv): 0.5-40%
데카글리세롤 모노 및 디 올레에이트 (i): 5%
(ii): 3-7%
(iii): 0.5-25%
(iv): 0.5-40%
데카글리세롤 모노 및 디 올레에이트 (i): 5%
(ii): 3-7%
(iii): 0.5-25%
(iv): 0.5-40%
올레오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i): 5%
(ii): 3-7%
(iii): 0.5-25%
(iv): 0.5-40%
라우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i): 5%
(ii): 3-7%
(iii): 0.5-25%
(iv): 0.5-40%
스테아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또는 스테아로일 폴리옥실글리세리드 (i): 5%
(ii): 3-7%
(iii): 0.5-25%
(iv): 0.5-40%
폴리옥시에틸렌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리드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특정 구현예에서, 계면활성제는 소유성 또는 친수성이고;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는 소유성 또는 친수성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 폴리옥실 피마자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트윈 20), 트윈 8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 60), 데실 글루코사이드,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옥틸 글루코사이드, 트리톤 X-100, 노녹시놀 9,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칼륨 라우릴 설페이트, 브리즈,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인지질, n-도데실 포스포콜린, 및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트윈 20), 트윈 8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 60), 트리톤 X-100,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브리즈, 인지질, n-도데실 포스포콜린, 및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트윈 20), 인지질, 및 n-도데실 포스포콜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 폴리옥실 피마자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트윈 20), 트윈 8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 60), 데실 글루코사이드,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옥틸 글루코사이드, 트리톤 X-100, 노녹시놀 9,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칼륨 라우릴 설페이트, 브리즈,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인지질, n-도데실 포스포콜린, 및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0.5-40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0.5-25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3-7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5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하기와 같은 양/범위의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
구현예 A 구현예 B 구현예 C
폴록사머 (i): 5%
(ii): 3-7%
(iii): 0.5-25%
(iv): 0.5-40%
폴록사머 (i): 5%
(ii): 3-7%
(iii): 0.5-25%
(iv): 0.5-40%
폴록사머 (i): 5%
(ii): 3-7%
(iii): 0.5-25%
(iv): 0.5-40%
폴리옥실 피마자유 (i): 5%
(ii): 3-7%
(iii): 0.5-25%
(iv): 0.5-40%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i): 5%
(ii): 3-7%
(iii): 0.5-25%
(iv): 0.5-40%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i): 5%
(ii): 3-7%
(iii): 0.5-25%
(iv): 0.5-40%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i): 5%
(ii): 3-7%
(iii): 0.5-25%
(iv): 0.5-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트윈 20) (i): 5%
(ii): 3-7%
(iii): 0.5-25%
(iv): 0.5-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트윈 20) (i): 5%
(ii): 3-7%
(iii): 0.5-25%
(iv): 0.5-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트윈 20) (i): 5%
(ii): 3-7%
(iii): 0.5-25%
(iv): 0.5-40%
트윈 80 (i): 5%
(ii): 3-7%
(iii): 0.5-25%
(iv): 0.5-40%
트윈 80 (i): 5%
(ii): 3-7%
(iii): 0.5-25%
(iv): 0.5-4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 60) (i): 5%
(ii): 3-7%
(iii): 0.5-25%
(iv): 0.5-4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 60) (i): 5%
(ii): 3-7%
(iii): 0.5-25%
(iv): 0.5-40%
데실 글루코사이드 (i): 5%
(ii): 3-7%
(iii): 0.5-25%
(iv): 0.5-40%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i): 5%
(ii): 3-7%
(iii): 0.5-25%
(iv): 0.5-40%
옥틸 글루코사이드 (i): 5%
(ii): 3-7%
(iii): 0.5-25%
(iv): 0.5-40%
트리톤 X-100 (i): 1%
(ii): 1-5%
(iii): 0.5-10%
(iv): 0.5-40%
트리톤 X-100 (i): 1%
(ii): 1-5%
(iii): 0.5-10%
(iv): 0.5-40%
노녹시놀 9 (i): 1%
(ii): 1-5%
(iii): 0.5-10%
(iv): 0.5-40%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i): 0.5%
(ii): 0.5-2%
(iii): 0.5-5%
(iv): 0.5-10%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i): 0.5%
(ii): 0.5-2%
(iii): 0.5-5%
(iv): 0.5-10%
칼륨 라우릴 설페이트 (i): 0.5%
(ii): 0.5-2%
(iii): 0.5-5%
(iv): 0.5-10%
브리즈 (i): 1%
(ii): 1-5%
(iii): 0.5-10%
(iv): 0.5-40%
브리즈 (i): 1%
(ii): 1-5%
(iii): 0.5-10%
(iv): 0.5-40%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i): 1%
(ii): 1-5%
(iii): 0.5-10%
(iv): 0.5-40%
인지질 (i): 5%
(ii): 3-7%
(iii): 0.5-25%
(iv): 0.5-40%
인지질 (i): 5%
(ii): 3-7%
(iii): 0.5-25%
(iv): 0.5-40%
인지질 (i): 5%
(ii): 3-7%
(iii): 0.5-25%
(iv): 0.5-40%
n-도데실 포스포콜린 (i): 0.5%
(ii): 0.5-2%
(iii): 0.5-5%
(iv): 0.5-10%
n-도데실 포스포콜린 (i): 0.5%
(ii): 0.5-2%
(iii): 0.5-5%
(iv): 0.5-10%
n-도데실 포스포콜린 (i): 0.5%
(ii): 0.5-2%
(iii): 0.5-5%
(iv): 0.5-10%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i): 0.5%
(ii): 0.5-2%
(iii): 0.5-5%
(iv): 0.5-10%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i): 0.5%
(ii): 0.5-2%
(iii): 0.5-5%
(iv): 0.5-10%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는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코코넛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팜유, 카놀라유, 홍화유, 참기름,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는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코코넛유, 올리브유, 참기름,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및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는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올리브유, 참기름,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및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는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코코넛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팜유, 카놀라유, 홍화유, 참기름,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는 0.5-40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는 3-25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는 8-14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는 11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소유성 또는 친수성 용매는 물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소유성 또는 친수성 용매는 0.5-20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소유성 또는 친수성 용매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소유성 또는 친수성 용매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범위의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을 위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 오일 담체
구현예 A 구현예 B 구현예 C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코코넛유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코코넛유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옥수수유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올리브유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올리브유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올리브유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팜유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카놀라유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홍화유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참기름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참기름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참기름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세틸 알코올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스테아릴 알코올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i): 11%
(ii): 8-14%
(iii): 3-25%
(iv): 0.5-40%
올레일 알코올 (i): 11%
(ii): 8-14%
(iii): 3-25%
(iv): 0.5-40%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친유성 또는 소수성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소유성 또는 친수성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칸나비노이드, 테르펜, 플라보노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플라보노이드는 FBL-03G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시클로스포린, 리토나비르, 사퀴나비르, 암프레나비르, 발프로산, 칼시트리올, 벡사로텐, 트레티노인, 이소트레티노인, 티프라나비르,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환각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LSD) 및 3,4-메틸렌디옥시메탐페타민(MDM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각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이버멕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0.5-40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0.5-30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0.5-20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0.5-10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적어도 10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10-40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10-35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10-30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10-25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10-20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0.01-5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0.01-2.5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0.01-1.0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0.01-0.5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최대 2.5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최대 1.5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최대 1.0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약학 성분은 최대 0.5중량%로 존재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가소제 및 필름 형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트리아세틴,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소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소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글리세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소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0.5-20중량%로 존재하는 가소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3-20중량%로 존재하는 가소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8-14중량%로 존재하는 가소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12중량%로 존재하는 가소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가소제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가소제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범위의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가소제
구현예 A 구현예 B 구현예 C
프로필렌 글리콜 (i): 12%
(ii): 8-14%
(iii): 3-20%
(iv): 0.5-20%
프로필렌 글리콜 (i): 12%
(ii): 8-14%
(iii): 3-20%
(iv): 0.5-20%
글리세린 (i): 12%
(ii): 8-14%
(iii): 3-20%
(iv): 0.5-20%
글리세린 (i): 12%
(ii): 8-14%
(iii): 3-20%
(iv): 0.5-20%
글리세린 (i): 12%
(ii): 8-14%
(iii): 3-20%
(iv): 0.5-20%
트리아세틴 (i): 3%
(ii): 1-5%
(iii): 3-20%
(iv): 0.5-20%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i): 3%
(ii): 1-5%
(iii): 3-20%
(iv): 0.5-20%
폴리에틸렌 글리콜 (i): 10%
(ii): 7-13%
(iii): 3-20%
(iv): 0.5-20%
폴리에틸렌 글리콜 (i): 10%
(ii): 7-13%
(iii): 3-20%
(iv): 0.5-20%
폴리에틸렌 글리콜 (i): 10%
(ii): 7-13%
(iii): 3-20%
(iv): 0.5-20%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풀루란, 아라비아 검, 구아 검, 말토덱스트린,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키토산, 펙틴, 카라기난, HPMC, HPC, 변성 옥수수 전분, 카보폴 974P, 카보폴 934P, 콜리돈 25, 솔루플러스, 라이코트 NG73, 콜리코트, 폴리옥스 N-10, 폴리옥스 N-80, 폴리옥스 N-750, 메토셀 E4M, 메토셀 E10M, 및 나트륨 CM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풀루란, 아라비아 검,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키토산, 펙틴, 카라기난, HPMC, 변성 옥수수 전분, 콜리돈 25, 및 솔루플러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풀루란,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키토산, 펙틴, HPMC, 변성 옥수수 전분, 콜리돈 25, 및 솔루플러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1-60중량%로 존재하는 필름 형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5-40중량%로 존재하는 필름 형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10-20중량%로 존재하는 필름 형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1-20중량%로 존재하는 필름 형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3-7중량%로 존재하는 필름 형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14중량%로 존재하는 필름 형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필름 매트릭스는 5중량%로 존재하는 필름 형성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필름 형성제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필름 형성제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범위의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필름 형성제
구현예 A 구현예 B 구현예 C
풀루란 (i): 14%
(ii): 10-20%
(iii): 5-40%
(iv): 1-60%
풀루란 (i): 14%
(ii): 10-20%
(iii): 5-40%
(iv): 1-60%
풀루란 (i): 14%
(ii): 10-20%
(iii): 5-40%
(iv): 1-60%
아라비아 검 (i): 5%
(ii): 3-7%
(iii): 1-20%
(iv): 1-60%
아라비아 검 (i): 5%
(ii): 3-7%
(iii): 1-20%
(iv): 1-60%
구아 검 (i): 5%
(ii): 3-7%
(iii): 1-20%
(iv): 1-60%
말토덱스트린 (i): 5%
(ii): 3-7%
(iii): 1-20%
(iv): 1-60%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i): 5%
(ii): 3-7%
(iii): 1-20%
(iv): 1-60%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i): 5%
(ii): 3-7%
(iii): 1-20%
(iv): 1-60%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i): 5%
(ii): 3-7%
(iii): 1-20%
(iv): 1-60%
키토산 (i): 5%
(ii): 3-7%
(iii): 1-20%
(iv): 1-60%
키토산 (i): 5%
(ii): 3-7%
(iii): 1-20%
(iv): 1-60%
키토산 (i): 5%
(ii): 3-7%
(iii): 1-20%
(iv): 1-60%
펙틴 (i): 14%
(ii): 10-20%
(iii): 5-40%
(iv): 1-60%
펙틴 (i): 14%
(ii): 10-20%
(iii): 5-40%
(iv): 1-60%
펙틴 (i): 14%
(ii): 10-20%
(iii): 5-40%
(iv): 1-60%
카라기난 (i): 5%
(ii): 3-7%
(iii): 1-20%
(iv): 1-60%
카라기난 (i): 5%
(ii): 3-7%
(iii): 1-20%
(iv): 1-60%
HPMC (i): 5%
(ii): 3-7%
(iii): 1-20%
(iv): 1-60%
HPMC (i): 5%
(ii): 3-7%
(iii): 1-20%
(iv): 1-60%
HPMC (i): 5%
(ii): 3-7%
(iii): 1-20%
(iv): 1-60%
HPC (i): 5%
(ii): 3-7%
(iii): 1-20%
(iv): 1-60%
변성 옥수수 전분 (i): 5%
(ii): 3-7%
(iii): 1-20%
(iv): 1-60%
변성 옥수수 전분 (i): 5%
(ii): 3-7%
(iii): 1-20%
(iv): 1-60%
변성 옥수수 전분 (i): 5%
(ii): 3-7%
(iii): 1-20%
(iv): 1-60%
카보폴 974P (i): 5%
(ii): 3-7%
(iii): 1-20%
(iv): 1-60%
카보폴 934P (i): 5%
(ii): 3-7%
(iii): 1-20%
(iv): 1-60%
콜리돈 25 (i): 5%
(ii): 3-7%
(iii): 1-20%
(iv): 1-60%
콜리돈 25 (i): 5%
(ii): 3-7%
(iii): 1-20%
(iv): 1-60%
콜리돈 25 (i): 5%
(ii): 3-7%
(iii): 1-20%
(iv): 1-60%
솔루플러스 (i): 14%
(ii): 10-20%
(iii): 5-40%
(iv): 1-60%
솔루플러스 (i): 14%
(ii): 10-20%
(iii): 5-40%
(iv): 1-60%
솔루플러스 (i): 14%
(ii): 10-20%
(iii): 5-40%
(iv): 1-60%
라이코트 NG73 (i): 5%
(ii): 3-7%
(iii): 1-20%
(iv): 1-60%
콜리코트 (i): 5%
(ii): 3-7%
(iii): 1-20%
(iv): 1-60%
폴리옥스 N-10 (i): 5%
(ii): 3-7%
(iii): 1-20%
(iv): 1-60%
폴리옥스 N-80 (i): 5%
(ii): 3-7%
(iii): 1-20%
(iv): 1-60%
폴리옥스 N-750 (i): 5%
(ii): 3-7%
(iii): 1-20%
(iv): 1-60%
메토셀 E4M (i): 5%
(ii): 3-7%
(iii): 1-20%
(iv): 1-60%
메토셀 E10M (i): 5%
(ii): 3-7%
(iii): 1-20%
(iv): 1-60%
나트륨 CMC (i): 5%
(ii): 3-7%
(iii): 1-20%
(iv): 1-60%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및 카프릴로카프리올 폴리옥실-8 글리세리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0.5-40중량%로 존재하는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0.5-25중량%로 존재하는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3-7중량%로 존재하는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5중량%로 존재하는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보조-계면활성제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보조-계면활성제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범위의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보조-계면활성제
구현예 A 구현예 B 구현예 C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i): 5%
(ii): 3-7%
(iii): 0.5-25%
(iv): 0.5-40%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i): 5%
(ii): 3-7%
(iii): 0.5-25%
(iv): 0.5-40%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i): 5%
(ii): 3-7%
(iii): 0.5-25%
(iv): 0.5-40%
카프릴로카프리올 폴리옥실-8 글리세리드 (i): 5%
(ii): 3-7%
(iii): 0.5-25%
(iv): 0.5-40%
카프릴로카프리올 폴리옥실-8 글리세리드 (i): 5%
(ii): 3-7%
(iii): 0.5-25%
(iv): 0.5-40%
카프릴로카프리올 폴리옥실-8 글리세리드 (i): 5%
(ii): 3-7%
(iii): 0.5-25%
(iv): 0.5-40%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항산화제, 항균제, 향미제, 착색제, 및 감미료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120초 이내에 자가-유화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100초 이내에 자가-유화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90초 이내에 자가-유화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75초 이내에 자가-유화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60초 이내에 자가-유화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45초 이내에 자가-유화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30초 이내에 자가-유화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20초 이내에 자가-유화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120초 이내에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100초 이내에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90초 이내에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75초 이내에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60초 이내에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45초 이내에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30초 이내에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20초 이내에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20초 이내에 0.1 마이크론 내지 120 마이크론의 평균 액적 크기를 갖는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20초 이내에, d(10): 0.5-10 마이크론, d(50): 1-20 마이크론, 및 d(90): 15-100 마이크론의 평균 액적 크기를 갖는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d(10): 0.5-5 마이크론, d(50): 1-10 마이크론, 및 d(90): 15-50 마이크론의 평균 액적 크기를 갖는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d(10): 0.5-2 마이크론, d(50): 1-5 마이크론, 및 d(90): 15-30 마이크론의 평균 액적 크기를 갖는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평균 액적 크기를 갖는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평균 액적 크기 수중유(O/W) 에멀젼. d(10), d(50), 및 d(90)
구현예 A 구현예 B 구현예 C
d(10): 0.5-10 마이크론
d(50): 1-20 마이크론
d(90): 15-100 마이크론
d(10): 0.5-5 마이크론
d(50): 1-10 마이크론
d(90): 15-50 마이크론
d(10): 0.5-2 마이크론
d(50): 1-5 마이크론
d(90): 15-30 마이크론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경구 투여(PO), 협측 투여, 설하 투여, 또는 점막 투여에 적합하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3-13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5-13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5-12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5-11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5-10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5-9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6-13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6-12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6-11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6-10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에게 협측 투여시 20분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에게 협측 투여시 15분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에게 협측 투여시 10분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에게 협측 투여시 5분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에게 경구(PO) 투여시 120초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에게 경구(PO) 투여시 100초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에게 경구(PO) 투여시 90초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에게 경구(PO) 투여시 70초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에게 경구(PO) 투여시 60초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에게 경구(PO) 투여시 45초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에게 경구(PO) 투여시 30초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대상체에게 경구(PO) 투여시 20초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120초 이내에 시험관내 붕해(USP<701> 시험관내 붕해 방법) 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100초 이내에 시험관내 붕해(USP<701> 시험관내 붕해 방법) 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90초 이내에 시험관내 붕해(USP<701> 시험관내 붕해 방법) 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75초 이내에 시험관내 붕해(USP<701> 시험관내 붕해 방법) 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60초 이내에 시험관내 붕해(USP<701> 시험관내 붕해 방법) 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40초 이내에 시험관내 붕해(USP<701> 시험관내 붕해 방법) 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30초 이내에 시험관내 붕해(USP<701> 시험관내 붕해 방법) 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20초 이내에 시험관내 붕해(USP<701> 시험관내 붕해 방법) 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i) 약 45분 내지 약 120분의 Tmax, (ii) 적어도 3.5 ng/㎖의 Cmax, 및 (iii) 적어도 13 ng/hr/㎖의 AUC0-t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동학적 매개변수를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i) 1.5시간의 Tmax, (ii) 4.4 ng/㎖의 Cmax, 및 (iii) 13.5 ng/hr/㎖의 AUC0-t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동학적 매개변수를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20분 이하의 생체내 용해 시간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약 10분 내지 약 15분의 생체내 용해 시간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적어도 10%의 생체이용률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적어도 12.5%의 생체이용률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적어도 15%의 생체이용률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적어도 18%의 생체이용률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적어도 20%의 생체이용률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적어도 25%의 생체이용률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40℃/75% RH 가속 조건 하에 측정시 9개월 후 적어도 약 96%의 안정성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은 25℃/60% RH 가속 조건, 또는 40℃/75% RH 가속 조건 하에서 측정시 3개월 후 100%의 안정성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에서, 필름 형성 성분은 점막접착성 중합체, 가소제, 결합제, 충전제, 증량제, 타액 촉진제, 안정화제 및 증점제, 겔화제, 향미제, 맛 차폐제, 착색제, 안료, 윤활제, 이형제, 보조제, 감미제, 가용화제 및 유화제, 향료, 유화제, 계면활성제, pH 조정제, 완충제, 지질, 활택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점착방지제, 습윤제, 용매, 침투 촉진제, 및 보존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에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는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에서, 친수성 또는 소유성 용매는 수성 액체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에서, 경화는 약 38℃ 내지 약 110℃의 공기 온도에서 열풍 오븐에서 수행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에서, 경화는 약 45℃ 내지 약 80℃의 공기 온도에서 열풍 오븐에서 수행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에서, 경화는 열풍 오븐(공기 온도 50℃-70℃)에서 수행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에서, 경화는 약 0.8피트/분 내지 약 2.5피트/분의 속도로 수행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에서, 경화는 약 0.8피트/분 내지 약 1.0피트/분의 속도로 수행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에서, 경화는 약 2.0피트/분 내지 약 2.5피트/분의 속도로 수행된다.
열거된 구현예
아래에 제공된 특정 열거된 구현예 [1] 내지 [57]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고,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개시된 주제의 범위를 달리 제한하지 않는다. 이들 열거된 구현예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조합, 하위-조합, 및 다중 인용된(예: 다중 종속) 조합을 포함한다.
구현예 [1]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a) 활성 약학 성분;
(b) 계면활성제;
(c)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
(d) 필름 매트릭스; 및
(e) 물;
여기서,
활성 약학 성분이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경우: (i) 계면활성제는 친유성 또는 소수성이고, 및 (ii)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는 친유성 또는 소수성이며; 그리고
활성 약학 성분이 소유성 또는 친수성인 경우: (i) 계면활성제는 소유성 또는 친수성이고, 및 (ii)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는 소유성 또는 친수성이다.
구현예 [2]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가 친유성 또는 소수성이고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가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구현예 [1]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3]
본 발명은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가 글리세릴 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스팬 80), 글리세릴 디베헤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트리카프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데카글리세롤 모노 및 디 올레에이트, 올레오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라우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스테아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스테아로일 폴리옥실글리세리드, 폴리옥시에틸렌, 및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리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2] 중 적어도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4]
본 발명은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가 0.5-40중량%로 존재하는, 구현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5]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가 소유성 또는 친수성이고,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가 소유성 또는 친수성인, 구현예 [1]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6]
본 발명은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가 폴록사머, 폴리옥실 피마자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트윈 20), 트윈 8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 60), 데실 글루코사이드,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옥틸 글루코사이드, 트리톤 X-100, 노녹시놀 9,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칼륨 라우릴 설페이트, 브리즈,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인지질, n-도데실 포스포콜린, 및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현예 [1][5]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7]
본 발명은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가 0.5-40중량%로 존재하는, 구현예 [1][5]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8]
본 발명은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가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코코넛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팜유, 카놀라유, 홍화유, 참기름,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9]
본 발명은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가 0.5-40중량%로 존재하는, 구현예 [1] 내지 [3][8]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10]
본 발명은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소유성 또는 친수성 용매가 물을 포함하는, 구현예 [1][5]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11]
본 발명은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소유성 또는 친수성 용매가 0.5-20중량%로 존재하는, 구현예 [1], [5] 내지 [7], 및 [10]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12]
본 발명은 활성 약학 성분이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구현예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13]
본 발명은 활성 약학 성분이 소유성 또는 친수성인, 구현예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14]
본 발명은 활성 약학 성분이 칸나비노이드, 테르펜, 플라보노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15]
본 발명은 활성 약학 성분이 시클로스포린, 리토나비르, 사퀴나비르, 암프레나비르, 발프로산, 칼시트리올, 벡사로텐, 트레티노인, 이소트레티노인, 티프라나비르,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16]
본 발명은 활성 약학 성분이 환각제를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17]
본 발명은 활성 약학 성분이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LSD); 3,4-메틸렌디옥시메탐페타민(MDMA); N,N-디메틸트립타민(DMT); 실로시빈, 메스칼린, 및 이보가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각제를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18]
본 발명은 활성 약학 성분이 이버멕틴을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19]
본 발명은 활성 약학 성분을 적어도 10중량%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20]
본 발명은 필름 매트릭스가 가소제, 및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21]
본 발명은 필름 매트릭스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트리아세틴,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22]
본 발명은 필름 매트릭스가 0.5-20중량%로 존재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23]
본 발명은 필름 매트릭스가 풀루란, 아라비아 검, 구아 검, 말토덱스트린,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키토산, 펙틴, 카라기난, HPMC, HPC, 변성 옥수수 전분, 카보폴 974P, 카보폴 934P, 콜리돈 25, 솔루플러스, 라이코트 NG73, 콜리코트, 폴리옥스 N-10, 폴리옥스 N-80, 폴리옥스 N-750, 메토셀 E4M, 메토셀 E10M, 및 나트륨 CM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24]
본 발명은 필름 매트릭스가 1-60중량%로 존재하는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25]
본 발명은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26]
본 발명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및 카프릴로카프리올 폴리옥실-8 글리세리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27]
본 발명은 0.5-40중량%로 존재하는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26]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28]
본 발명은 항산화제, 항균제, 향미제, 착색제, 및 감미료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현예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29]
본 발명은,
(a) 친유성 활성 약학 성분;
(b) 친유성 활성 약학 성분용 오일 담체;
(c) 친유성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자가-유화 친유성 계면활성제;
(d) 하나 이상의 보조-계면활성제;
(e) 하나 이상의 친수성 계면활성제;
(f) 필름 매트릭스; 및
(g) 물;을 포함하는, 구현예 [1]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30]
본 발명은,
(a) 친수성 활성 약학 성분;
(b) 친수성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물 담체;
(c) 친수성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수성 계면활성제;
(d) 하나 이상의 보조-계면활성제;
(e) 하나 이상의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f) 필름 매트릭스; 및
(g) 물;을 포함하는, 구현예 [1]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31]
본 발명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20초 이내에 자가-유화되도록 구성된, 구현예 [1] 내지 [30]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32]
본 발명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20초 이내에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구현예 [1] 내지 [31]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33]
본 발명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20초 이내에 평균 액적 크기가 0.1 마이크론 내지 120 마이크론인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구현예 [1] 내지 [32]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34]
본 발명은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20초 이내에 평균 액적 크기가
d(10): 0.5-10 마이크론,
d(50): 1-20 마이크론, 및
d(90): 15-100 마이크론인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구현예 [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35]
본 발명은 경구 투여(PO), 협측 투여, 설하 투여, 또는 점막 투여에 적합한, 구현예 [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36]
본 발명은 수분 함량이 3-13중량%인, 구현예 [1] 내지 [35]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37]
본 발명은 대상체에게 협측 투여시 15분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 구현예 [1] 내지 [36]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38]
본 발명은 대상체에게 경구(PO) 투여시 30초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 구현예 [1] 내지 [36]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39]
본 발명은 30초 이내에 시험관내 붕해(USP<701> 시험관내 붕해 방법) 되도록 구성된, 구현예 [1] 내지 [36]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40]
본 발명은 (i) 약 45분 내지 약 120분의 Tmax, (ii) 적어도 3.5 ng/㎖의 Cmax, 및 (iii) 적어도 13 ng/hr/㎖의 AUC0-t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동학적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구현예 [1] 내지 [39]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41]
본 발명은 (i) 1.5시간의 Tmax, (ii) 4.4 ng/㎖의 Cmax, 및 (iii) 13.5 ng/hr/㎖의 AUC0-t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동학적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구현예 [1] 내지 [40]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42]
본 발명은 20분 이하의 생체내 용해 시간을 나타내는, 구현예 [1] 내지 [41]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43]
본 발명은 약 10분 내지 약 15분의 생체내 용해 시간을 나타내는, 구현예 [1] 내지 [42]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44]
본 발명은 적어도 15%의 생체이용률을 나타내는, 구현예 [1] 내지 [43]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45]
본 발명은 적어도 18%의 생체이용률을 나타내는, 구현예 [1] 내지 [43]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46]
본 발명은 40℃/75% RH 가속 조건 하에서 측정시 9개월 후 적어도 약 96%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구현예 [1] 내지 [45]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47]
본 발명은 25℃/60% RH 가속 조건, 또는 40℃/75% RH 가속 조건 하에서 측정시 3개월 후 100%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구현예 [1] 내지 [45]의 경구 용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구현예 [48]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a) 활성 약학 성분을 제1 용매계에 용해시켜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i) 활성 약학 성분이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경우, 활성 약학 성분을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용해시키는 것인 단계; 또는
(ii) 활성 약학 성분이 친수성 또는 소유성인 경우, 활성 약학 성분을 친수성 또는 소유성 용매, 친수성 또는 소유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용해시키는 것인 단계;
(b) 제1 혼합물과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를 접촉시켜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제2 혼합물을 물 및 친수성 또는 소유성 계면활성제와 접촉시켜 제3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d) 제3 혼합물을 필름 형성 성분과 접촉시켜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슬러리를 기재 상에 주조하고 경화시켜 경구 용해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구현예 [49]
본 발명은 필름 형성 성분이 점막접착성 중합체, 가소제, 결합제, 충전제, 증량제, 타액 촉진제, 안정화제 및 증점제, 겔화제, 향미제, 맛 차폐제, 착색제, 안료, 윤활제, 이형제, 보조제, 감미제, 가용화제 및 유화제, 향료, 유화제, 계면활성제, pH 조정제, 완충제, 지질, 활택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점착방지제, 습윤제, 용매, 침투 촉진제, 및 보존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현예 [48]의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구현예 [50]
본 발명은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가 오일을 포함하는, 구현예 [48] 내지 [49]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구현예 [51]
본 발명은 친수성 또는 소유성 용매가 수성 액체를 포함하는, 구현예 [48] 내지 [49]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구현예 [52]
본 발명은 경화가 약 38℃ 내지 약 110℃의 공기 온도에서 열풍 오븐에서 수행되는, 구현예 [48] 내지 [51]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구현예 [53]
본 발명은 경화가 약 45℃ 내지 약 80℃의 공기 온도에서 열풍 오븐에서 수행되는, 구현예 [48] 내지 [52]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구현예 [54]
본 발명은 경화가 열풍 오븐(공기 온도 50℃-70℃)에서 수행되는, 구현예 [48] 내지 [53]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구현예 [55]
본 발명은 경화가 약 0.8피트/분 내지 약 2.5피트/분의 속도로 수행되는, 구현예 [48] 내지 [54]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구현예 [56]
본 발명은 경화가 약 0.8피트/분 내지 약 1.0피트/분의 속도로 수행되는, 구현예 [48]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구현예 [57]
본 발명은 경화가 약 2.0피트/분 내지 약 2.5피트/분의 속도로 수행되는, 구현예 [48] 내지 [56] 중 어느 하나의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문헌은 참조로서 개별적으로 포함되는 것처럼,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특정 및 바람직한 구현예 및 기술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달리 제한하지 않는 하기 실시예 및 실험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실시예 및 실험
용해성 필름의 제형물은 활성 성분 및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의 제형물은 다음 요인 (1-3)에 의해 문제가 될 수 있다: (1) 특정 활성 성분의 안정성 부족은 경구 박막(OTF) 또는 기타 박막의 제형물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고; (2) 활성 성분의 낮은 생체이용률; 또는 (3) 활성 성분의 낮은 투과성을 초래할 수 있다.
요인 (1)과 관련하여 열, 수분, 빛, 및/또는 산소의 존재는 열, 수분, 빛, 또는 산소에 민감한 활성 성분을 분해할 수 있다. 구강 박막(OTF) 시스템은 (i) 활성 성분의 다형성 전이; (ii)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제형물의 중합체의 수화; 및 (iii) 광분해 또는 가수분해 공정을 통한 활성 성분의 분해 및/또는 산화를 나타낼 수 있다. 흡습성(즉, 물의 흡착 또는 흡수)은 박막의 제형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박막에 흡착되거나 흡수된 수분은 박막의 기계적 강도, 접착 특성, 및 파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활성 성분의 흡습성에 더하여, 박막의 제형물 중의 수위는 (i) 중합체를 용해시키는 데 사용되는 중합체 및 용매; (ii) 제조 기술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의 안정성은 (i) 제조 기술 동안 사용되는 필름을 건조하는 데 적용되는 열의 양; 및 (ii) 건조 시간의 지속시간(즉, 습윤 박막이 건조되기 위해 열에 노출되는 시간의 양)에 의해 추가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요인 (2)와 관련하여, 박막의 사용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포함한다: (i) 고용량으로 투여되는 덜 강력한 약물에 대한 낮은 약물 로딩 능력; 또는 (ii) 생체이용률이 낮은 강력한 약물.
요인 (3)과 관련하여, 상피 세포를 덮는 점액 층은 소분자 약물 활성 성분과 같은 물질에 의한 상피 세포의 침투를 여과 및 제한한다. 또한, 점액 층의 두께는 물질의 확산을 늦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이점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은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자가-유화 박막에 관한 것이다. 자가-유화 박막의 제형물은 특정 구현예에서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1) 수분, 산소, 빛, pH, 및 열에 대해 장벽이 증가함으로써 수분, 산소, 빛, pH, 및 열로부터 활성 성분에 대해 보호를 부여; (2) 덜 강력한 활성 성분을 낮은 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덜 강력하고 생체이용률이 낮은 활성 성분의 개선된 생체이용률; (3) 간/GI 독성의 가능한 감소; 및 (4) 활성 성분에 의해 점액 층의 침투 및 횡단이 증가함으로써 활성 성분이 전신 순환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함.
이점 3과 관련하여, 자가-유화 박막의 활성 성분은 (i) 장세포를 통한 수송(즉, 세포경유 과정)을 위한 결합 수용체를 촉진하거나; 또는 (ii) (a) 세포 간 수송 및 (b) 전신 순환을 위한 소분자 약물 활성 성분의 수송(즉, 세포주위 과정)을 위해 세포 사이의 조여진 접합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투여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은 특정 조합으로 또는 단일 방식으로 수득될 수 있는 박막의 이점을 제공한다.
특정 조합 1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은 (i) 구강 내 용매와 접촉시, 및 (ii) 박막을 섭취하는 환자의 입에 의해 제공되는 부드러운 교반시, 박막이 빠르게 자가-유화될 수 있는 보다 높은 생체이용률을 특징으로 한다. 미세한 오일/물(o/w) 에멀젼이 형성된다. 박막의 협측 투여 및 더 적은 정도의 경구 투여, 즉 Per Os(PO)의 경우, 자가-유화 박막에서 방출된 활성 성분의 생체이용률 및 투과율이 증가한다. 또한, 자가-유화 박막의 필름 매트릭스는 구강을 통해 혈액으로 활성 성분이 직접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점막접착 특성을 갖는다.
특정 조합 2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은 OTF가 자가-유화할 수 있는 보다 높은 안정성을 특징으로 한다. 자가-유화 OTF의 제형물은 열-겔화 특성을 가지므로 물리적으로 안정적인 제형물을 생성한다. 고온 노출에 따른 분해로부터 활성 성분을 보호할 수 있는 자가-유화 OTF의 제형물은 (i) 자가-유화 OTF를 형성하는 젤라틴화 공정 동안의 열 노출, (ii) 성분의 유화, 및 (iii) 후속 냉각에 반응하여 생성된다.
활성 성분으로서 비타민 D3를 사용한 특정 실시예
비타민 D3는 매우 민감한 친유성 활성 약학 성분(API)이다. 이것은 모델 약물로 사용되었고, 위의 제형물 및, 비타민 D3를 사용하여 제형화하였으며 경구 박막은 4주간 안정성 연구를 위해 시험되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 비타민 D3 분해는 높은 열과 습도에서 촉발되며, 이 제형물의 경우 OTF에서 비타민 D3의 상당한 보호 및 안정성이 관찰되었다.
약물 안정성 조건 비타민 D3의 시점 및 % 분석
T0 주 T1 주 T2 주 T3 주 T4 주
비타민 D3 25C/ 60% RH 100% 95% 100% 101% 101%
40C/ 75% RH 98% 92% 91% 93%
활성 성분으로서 칸나비디올(CBD)을 사용한 특정 실시예
유사하게, 활성 성분 칸나비노이드 CBD를 T=3M 안정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필름 제형물에서 API의 더 나은 안정성과 상당한 보호를 관찰했다.
약물 안정성 조건 CBD의 시점 및 % 분석
    T0 주 T2 주 T1 개월 T2 개월 T3 개월
CBD 25C/ 60% RH 108% 109% 109% 113% 120%
40C/ 75% RH   108% 106% 113% 118%
단일 방식
활성 성분으로서 약물을 함유하는 박막은 자가-유화되어 다음을 제공할 수 있다: (i) 약물 흡수의 보다 일관된 시간적 프로필; (ii) 위장(GI) 관의 특정 흡수 창을 향한 선택적 약물 표적화; 및 (iii) 내장 내 분해로부터 약물의 보호. 내장은 산성일 수 있으며 생화학적으로 약물을 파쇄(즉, 분해)할 수 있는 가혹한 조건을 부과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친유성 화합물인 약물은 용해율 제한 흡수를 나타낸다. 약물을 함유하는 박막은 다음을 제공할 수 있다: (i) 약물의 흡수 속도 및 범위 증가; 및 (ii) 보다 재현가능한 혈액 시간 프로필. 자가-유화할 수 있는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박막으로서, 활성 성분은 친유성, 소유성, 친수성, 또는 소수성이다.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자가-유화 박막을 붕해시키면, 활성 성분이 구강 안으로 방출되어 o/w 에멀젼이 된다. 더 구체적으로, 활성 성분은 구강을 빠르게 통과하여, 구강 또는 위장관에 걸쳐, 소분자 약물과 같은, 활성 성분의 광범위한 분포를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붕해된 자가-유화 박막은 벌크 약물 물질과 내장/구강 벽 사이의 연장된 접촉 동안 자주 접하게 되는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생체이용률 데이터.
T1 (PO) % T2 (협측) % Ref %
기하 평균에 의해 18.4327295 15.25773908 10.44376624
박막에 관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추가 이점은 다음을 피하는 것도 포함한다: (i) 알약을 삼키기 위해 물/음료가 필요함; (ii) 위산 및 조직 자극에 대한 약물 노출; (iii) 장을 통한 약물 흡수; 및 (iv) 간 대사 및 잠재적 손상.
바람직한 구현예
활성 성분이 친유성인 경우:
1) 오일 담체 및 1개의 자가-유화 친유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친유성 활성 성분
2) 하나 이상의 보조 계면활성제 및 친수성 계면활성제
3) 성분을 생성하는 필름 매트릭스
4) 물
활성 성분이 친수성인 경우:
1) 친수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물 내 친수성 활성 성분
2) 하나 이상의 보조 계면활성제 및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3) 성분을 생성하는 필름 매트릭스
4) 물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박막은 (i) 적어도 하나의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ii) 하나 이상의 보조-계면활성제; (iii)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오일 또는 수용액; 및 (iv) 매트릭스를 활용한다. 활성 성분은 활성 약학 성분, 친유성 활성 성분, 친수성 활성 성분일 수 있다. 박막은 필름 형성 시스템에 임베드된 자가-유화 시스템을 함유한다.
더 구체적으로, 박막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활성 성분을 필름에 임베드하는 것에 대한 반응으로 에멀젼의 부재; (2) 필름의 구축을 위한 성분 및 초기 에멀젼으로부터 유래된 매트릭스; 및 (3) 매트릭스에 의해 보호되는 활성 성분.
위의 특징 (2)와 관련하여, 하기 단계를 수행하여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차례로 박막을 생성한다.
단계 1: 활성 성분을 적합한 용매계에 용해시켜 믹스 1을 생성하고 여기서:
a) 활성 성분이 친유성인 경우, 친유성 활성 성분을 오일 담체 또는 친유성 계면활성제에 용해시키거나; 또는
b) 활성 성분이 친수성인 경우, 친수성 활성 성분을 물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물에 용해시킨다.
단계 2: 믹스 1에 친유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믹스 2를 생성한다.
단계 3: 물에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믹스 3을 생성한다.
단계 4: 믹스 3에 형성 성분을 첨가하여 습윤하지만 균질한 상태의 슬러리를 생성하고, 여기서 성분은 물, 매트릭스 형성 성분, 가소제, 향미제, 및 착색제를 포함한다. 슬러리가 습윤 상태에 있을 때, 활성 성분은 친유성 및/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 시스템으로 덮인다.
단계 5: 슬러리를 주조하고 열풍 오븐(38℃ - 110℃)에서 슬러리를 건조시켜 박막을 생성한다.
단계 6: 박막을 건조시킨 후, 박막의 박리, 절단, 및 포장을 수행함으로써 박막에서 유래한 스트립을 수득한다. 박막을 건조하면, 친유성 및 친수성 계면활성제와 막 형성 성분이 매트릭스를 구성하여, 활성 성분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고 박막의 안정성 향상을 돕는다.
매트릭스는 겔화 현상에서 유래하는 겔일 수 있다. 겔화 현상은 소수성 중합체 사슬 간의 상호작용에 기인한다. 온도를 높이면, 소수성 중합체 사슬은 마이셀 구조로 응집되기 시작한다. 마이셀 구조의 형성은 소수성 중합체 사슬에서 소수성 반복 단위의 탈수 결과이다. 이 겔화 현상은 가역적일 수 있으며 용액-겔 전이 온도(T졸-겔)를 특징으로 한다.
박막의 온도가 T졸-겔 미만이면, 자가-유화 친수성-소수성 계면활성제가 유체 상태로 남게 된다. 박막의 온도가 T졸-겔 초과이면, 슬러리 내의 용액 상 물질이 반고체 물질로 변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 특성 (1 및 2)을 증가시킨다: (1) 박막의 안정성; 및 (2) 활성 성분의 생체이용률. 차례로, 박막이 용해되면 더 많은 활성 성분이 방출되어 표적 영역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은 GI에서 활성 성분의 분해 또는 손실을 보상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특성 1 및 2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은: (i) 개인이 박막을 섭취하는 데 소요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감소시키고; (ii) 활성 성분을 섭취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의 양을 감소시키며; (iii)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박막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박막은 (i) 활성 성분의 다형성 전이; (ii) 구강 박막의 중합체의 수화; 및 (iii) 광분해 또는 가수분해 분해에 의한 활성 성분의 분해 및 산화를 겪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자가-에멀젼은 특성 1 및 2를 증가시킬 수 있다. 특성 1 및 2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은 (i) 제조 공정 동안의 손상으로부터 활성 성분에 대해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할 수 있고; (ii) 자가-유화 구강 박막에서 겔화 현상 동안 가역성을 부여할 수 있다.
특성 1과 관련하여, 도 1에 나타낸 에멀젼 및 매트릭스는 활성 성분으로부터 물, 빛, 및 열을 차단함으로써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구강 박막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비이커 105에는, 바닥에 친수성 계면활성제(H)가 용해된 수성 층 및 친유성 계면활성제(L) 및 활성 성분이 용해된 오일 층의 2개의 비혼화성 층이 있다.
비이커(105)의 내용물을 격렬하게 혼합하면, 친유성 계면활성제(L) 및 친수성 계면활성제(H)가, 비이커(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 성분을 둘러쌀 수 있는 에멀젼을 만든다. 활성 성분이 친유성이고 유기 용매에 높은 용해도를 가지고 물에 낮은 용해도를 가지므로, 활성 성분은 비이커(110)에서 L에 대해 근위이고(즉, L은 활성 성분에 끌림) H에 대해 원위이다(즉, H는 활성 성분에 의해 반발됨). 하기 표에 나열된 바와 같이, 필름 형성 성분(F)이 비이커(110)에 첨가되어 비이커(115)가 된다.
빛이나 열을 가하면, 비타민 D3와 같은 소정의 활성 성분이 일부 필름 형성 성분과 고리화 첨가 반응을 겪을 수 있다. 빛 및 열의 추가는, 비타민 D3에서 발견된 것과 같은, 디엔의 파이-시스템에서 전자를 여기시킬 수 있으며, 필름 형성 성분(F) 중 하나인 소르베이트의 전자 결핍 알켄과 디엘스-알더 반응을 겪을 수 있다. 생성된 디엘스-알더 부가물은 바람직하지 않은 부산물이다. 이 부산물은 제조 공정 동안 제거하기 어렵고, 투여되어야 하는 활성 성분의 전체 수율을 감소시키며, OTF를 섭취한 개인에게 방출된다.
L이 활성 성분에 대해 근위이고 H가 활성 성분에서 대해 원위인 에멀젼은 활성 성분을 둘러싸므로 빛, 물, 열, 산화, 및 기타 분해 과정에 대한 화학-물리적 장벽이다. 비이커(115)의 내용물을 혼합한 후, F는 비이커(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리 형성의 초기 단계에서 매트릭스(F')를 구성하기 위한 필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에멀젼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F'에 임베드될 전구체로 붕해되기 시작한다.
물을 활성 성분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활성 성분은 물과 활성 성분의 상호작용이 감소되거나 제거되도록(즉, 감소된 흡습성) 친유성 계면활성제로 둘러싸인다. 빛을 활성 성분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자가-에멀젼은 빛의 진입을 방해할 수 있는 물리적 장벽인, 추가 층이다. 열을 활성 성분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겔화 현상(즉, 겔 매트릭스)은 열을 발산함으로써 활성 성분과의 열 상호작용을 감소시킨다(즉, 활성 성분의 열 분해 감소).
특성 2와 관련하여, 자가-유화되는 경구 박막의 조성물은 활성 성분의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 도면에는 혼합 및 가열을 완료한 후 도 1의 에멀젼이 없다. 도 2의 상단 도면은 매트릭스로 전환되는 필름 형성 성분과 함께 70% 물(중량 기준)인 슬러리이다. 활성 성분은 마이셀로 둘러싸여 있으며 여기서 활성 성분은 오일에 용해된다. 마이셀의 머리 부분은 오일과 직접 접촉하는 친유성 계면활성제(L)이고 마이셀의 꼬리 부분은 물과 직접 접촉하는 친수성 계면활성제(H)이다. 오븐에서 슬러리를 가열한 후, 도 2의 하단 도면에서 건조된 OTF가 형성된다. 도 2의 하단 도면에서 물의 양은 10% 물(중량 기준)로 감소된다. 활성 성분 및 마이셀의 농도는 도 2의 상단 도면과 비교하여 도 2의 하단 도면에서 증가된다. 이것은 OTF의 투여 전 및 투여 동안 활성 성분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특성 2와 관련하여 추가로, 구강 점막에 의해 수화되는 이 경구 박막을 투여할 때; 경구 박막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점막 안으로 붕해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OTF의 계면활성제 시스템(예: 친유성 및 친수성 계면활성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 안에서 자가-유화되고 세포경유 수송(친유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세포주위 수송(친수성 계면활성제)에 의한 전신 순환을 위한 활성 성분의 방출을 촉진할 수 있다.
특성 2와 관련하여 추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포경유 수송은 트랜스사이토시스(transcytosis)에 의한 상피 세포를 통한 물질의 경로를 지칭한다. 트랜스사이토시스는 친유성과 같은, 입자의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입자가 세포에 흡수되는 과정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자가-유화 경구 박막은 활성 성분의 친유성을 변형시킬 수 있고 세포경유 확산 경로를 통한 활성 성분의 이동을 촉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구 박막이 붕해되어 세포경유 확산을 위해 활성 성분을 방출한다. 세포경유 확산은 고농도 영역에서 저농도 영역으로 이동하는 확산 구배에 기반한 활성 성분의 이동을 포함한다.
특성 2와 관련하여 추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포주위 수송은 세포 사이의 세포간 공간을 통과함으로써 상피를 가로지르는, 활성 성분 또는 식품 성분과 같은, 물질의 이동을 지칭한다. 세포 사이의 세포간 공간은 최소화되어 세포간 공간을 긴밀한 접합으로 만들 수 있다. 물질의 이동은 긴밀한 접합의 변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자가-유화 박막의 구성요소는 긴밀한 접합을 조절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제1 지방산 사슬은 계면활성제 시스템 없이 관찰되는 것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상피 세포 표면에서의 활성 성분의 부착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제2 지방산 사슬은 세포간 공간을 수축시키는 메커니즘을 억제할 수 있다. 세포간 공간을 수축시키는 부착 및 억제된 메커니즘은 긴밀한 접합을 느슨하게 하여 활성 성분에 의한 상피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덜 긴밀한 접합을 생성할 수 있다. 느슨하게 하는 메커니즘은 가역적이며 따라서 세포간 세포 공간이 긴밀한 접합으로 되돌아갈 수 있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구 박막은 붕해되어 긴밀한 접합의 변형을 위해 활성 성분을 방출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은, 여러 제품에 통합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이다. 그러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특징 1-3을 유지하면서 성분 및/또는 첨가 순서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플랫폼 기술의 적용은 경피/국소 패치, 크림, 밤, 반-고체 제품, 및 상당한 양의 물을 보유하지 않는 공정이다. 상당한 양의 물은 박막의 효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량%의 물의 양이다.
예시적 구현예 및 조합
성분 기능(들) 양 (㎎) 양 (범위, ㎎) 양 (중량%)
친유성 활성 성분 또는 친수성 활성 성분 API 1.25 또는 50 0.25-150 0.5% 내지 60%
글리세릴 모노카프릴레이트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카프레이트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스팬 80)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코코넛유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옥수수유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올리브유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팜유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카놀라유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홍화유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참기름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폴리옥실 피마자유 친수성 계면활성제 50 1-100 0.5% 내지 40%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친수성 계면활성제 50 1-100 0.5% 내지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트윈 20) 친수성 계면활성제 50 1-100 0.5% 내지 40%
트윈 80 친수성 계면활성제 50 1-100 0.5% 내지 4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트윈 60) 친수성 계면활성제 50 1-100 0.5% 내지 40%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공-용매 20 1-100 0.5% 내지 40%
카프릴로카프리올 폴리옥실-8 글리세리드 공-용매 20 1-100 0.5% 내지 40%
프로필렌 글리콜 가소제 10 2-80 0.5% 내지 20%
글리세린 가소제 10 2-80 0.5% 내지 20%
풀루란 필름 형성 중합체 30 10-100 10% 내지 60%
*키토산 필름 형성제 20 1 내지 50 1% 내지 60%
펙틴 필름 형성제 20 1 내지 50 1% 내지 60%
*카라기난 필름 형성 중합체 30 10-100 10% 내지 60%
*HPMC 필름 형성제 10 1 내지 50 1% 내지 60%
*HPC 필름 형성제 30 1 내지 50 1% 내지 60%
변성 옥수수 전분 필름 형성 중합체 70 10-200 10% 내지 60%
글리세릴 디베헤네이트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프로필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트리카프레이트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글리세롤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데카글리세롤 모노 및 디 올레에이트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올레오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라우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스테아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또는 스테아로일 폴리옥실글리세리드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폴리옥시에틸렌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리드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세틸 알코올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스테릴 알코올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세토스테릴 알코올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올레일 알코올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브리즈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데실 글루코사이드 친수성 계면활성제 50 1-100 0.5% 내지 40%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친수성 계면활성제 50 1-100 0.5% 내지 40%
옥틸 글루코사이드 친수성 계면활성제 50 1-100 0.5% 내지 40%
트리톤 X-100 친수성 계면활성제 50 1-100 0.5% 내지 40%
노녹시놀 9 친수성 계면활성제 50 1-100 0.5% 내지 40%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친수성 계면활성제 50 1-100 0.5% 내지 40%
칼륨 라우릴 설페이트 친수성 계면활성제 50 1-100 0.5% 내지 40%
인지질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n-도데실 포스포콜린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친유성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친유성 활성 성분을 위한 용매 50 1-100 0.5% 내지 40%
BHT 또는 기타 항산화제 항산화제 0.15 0.1-10 0.1% 내지 10%
칼륨 소르베이트 또는 기타 항균제 항균제 0.1 0.1 내지 0.5 0.05% 내지 0.5%
메탄올 또는 기타 향미제 향미제 0.1 0.1 내지 20 0.05% 내지 20%
레드 40, 블루 1, 옐로 5 착색제 0.005 0.001 내지 0.1 0.005% 내지 0.5%
수크랄로스 또는 기타 감미료 감미료 0.1 0.1 내지 10 0.05% 내지 10%
* 협측 투여용 필름 제형물에 선호되는 필름 형성제의 특정 등급.
실시예 1
재료 기능 양 (mg)/ 스트립 %W/W 건조
비타민 D3 활성 성분 1.570 1.35
트윈 20 친수성 계면활성제 3.650 3.13
스팬 80 친유성 계면활성제 1.100 0.94
MCT 오일 API를 위한 용매 3.540 3.04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항산화제 0.150 0.13
향미제   0.00
수크랄로스 USP/NF 감미료 1.573 1.35
냇 & 아트 혼합 베리 맛 향미제 5.755 4.94
마운틴 베리 향미제 7.289 6.26
필름 형성 시스템   0.00
변성 식품 전분 필름 형성 중합체 56.23 48.28
풀루란 필름 형성 중합체 20.030 17.20
글리세린 99.7% USP 가소제 15.550 13.35
칼륨 소르베이트 항균제 0.1 0.08
레드 40 착색제 0.015 0.01
정제수* N/A 271.71* N/A
116.452 100.00
참고: *정제수는 가공용으로만 사용된다. 필름 제작 공정에서, 건조 공정 동안 물이 제거된다. 필름에 수분이 5-15%만 남는다. 일반적으로, 총 70%의 물이 사용되고, 나머지 성분 양은 30%의 건조 중량이다.
실험적 절차
1) 40℃ ± 5℃로 가온하여 MCT 오일에 비타민 D3 및 BHT를 용해시키고 이로써 믹스 1을 생성한다.
2) 믹스 1에 스팬 80을 첨가하여 믹스 2를 생성한다.
3) 믹스 2에 트윈 20 및 정제수(위에 규정된 70% 중의 20%)를 첨가하여 믹스 3을 생성하고, 여기서 물의 온도는 40℃ ± 5℃이다.
4) 기계적 교반을 통해 믹스 3을 교반한다.
5) 믹스 3에 나머지 물을 첨가하고, 여기서 물의 온도는 80℃ ± 5℃이다.
6) 변성 식품 전분, 풀루란, 글리세린, 칼륨 소르베이트, 레드 40, 수크랄로스, 및 베리 향 믹스 3을 첨가하여 믹스 4를 생성한다.
7) 믹스 4가 균질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믹스 4를 교반하여 슬러리를 생성한다.
8) 필름주조 공정용 슬러리를 가동시켜 박막을 생성한다.
9) 주조 후, 건조 오븐에서 15분 이하 동안, 또는 160℉ 내지 180℉에서 건조될 때까지 박막을 건조한다. 박막의 두께를 측정하고, 여기서 박막의 규격은 0.12㎜ 내지 0.20㎜이다. 이것은 주조 공정 동안 조정될 수 있다.
10) 건조 후, 22㎜ × 36㎜ 스트립이 되도록 박막을 자른다. 이것은 투여량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실시예 2
재료 기능 양 (mg)/ 스트립 %W/W 건조
비타민 D3 활성 성분 1.570 1.22
콜리포어 RH40 친수성 계면활성제 16.00 12.41
스팬 80 친유성 계면활성제 1.100 0.85
MCT 오일 API를 위한 용매 3.540 2.75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BHT) 항산화제 0.150 0.12
향미제 0.00
수크랄로스 USP/NF 감미료 1.573 1.22
냇 & 아트 믹스 베리 향 향미제 5.755 4.46
마운틴 베리 향미제 7.289 5.65
필름 형성 시스템 0.00
변성 식품 전분 필름 형성 중합체 56.23 43.62
풀루란 필름 형성 중합체 20.030 15.54
글리세린 99.7% USP 가소제 15.550 12.06
칼륨 소르베이트 항균제 0.1 0.08
레드 40 착색제 0.015 0.01
정제수* N/A 271.71* N/A
128.90 100.00
참고: *정제수는 가공용으로만 사용된다. 필름 제작 공정에서, 건조 공정 동안 물이 제거된다. 필름에 수분이 5-15%만 남는다. 일반적으로, 총 70%의 물이 사용되고, 나머지 성분 양은 30%의 건조 중량이다.
실험적 절차
1) MCT 오일을 40℃ ± 5℃로 가온하여 MCT 오일에 비타민 D3 및 BHT를 용해시키고 이로써 믹스 1을 생성한다.
2) 믹스 1에 스팬 80을 첨가하여 믹스 2를 생성한다.
3) 콜리포어 RH40 및 정제수(70% 중의 20%)를 첨가하여 믹스 3을 생성하고, 여기서 물의 온도는 40℃ ± 5℃이다.
4) 기계적 교반을 통해 믹스 3을 교반한다.
5) 믹스 3에 나머지 물을 첨가하고, 여기서 물의 온도는 80℃ ± 5℃이다.
6) 믹스 3에 변성 식품 전분, 풀루란, 글리세린, 칼륨 소르베이트, 레드 40, 수크랄로스 및 베리 향을 첨가하여 믹스 4를 생성한다.
7) 믹스 4가 균질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믹스 4를 교반하여 슬러리를 생성한다.
8) 필름 주조 공정용 슬러리를 가동시켜 박막을 생성한다.
9) 주조 후, 건조 오븐에서 15분 이하 동안, 또는 160℉ 내지 180℉에서 건조될 때까지 박막을 건조한다. 박막의 두께를 측정하고, 여기서 박막의 규격은 0.12㎜ 내지 0.20㎜이다. (이것은 주조 공정 동안 조정될 수 있다.)
10) 건조 후, 22㎜ × 36㎜ 스트립이 되도록 박막을 자른다. (이것은 투여량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실시예 3
재료 기능 양 (mg)/ 스트립 %W/W 건조
비타민 D3 활성 성분 1.570 1.22
폴록사머 407 친수성 계면활성제 16.00 12.41
스팬 80 친유성 계면활성제 1.100 0.85
MCT 오일 API를 위한 용매 3.540 2.75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BHT) 항산화제 0.150 0.12
향미제 0.00
수크랄로스 USP/NF 감미료 1.573 1.22
냇 & 아트 믹스 베리 향 향미제 5.755 4.46
마운틴 베리 향미제 7.289 5.65
필름 형성 시스템 0.00
변성 식품 전분 필름 형성 중합체 56.23 43.62
풀루란 필름 형성 중합체 20.030 15.54
글리세린 99.7% USP 가소제 15.550 12.06
칼륨 소르베이트 항균제 0.1 0.08
레드 40 착색제 0.015 0.01
정제수* N/A 271.71* N/A
128.90 100.00
참고: *정제수는 가공용으로만 사용된다. 필름 제작 공정에서, 건조 공정 동안 물이 제거된다. 필름에 수분이 5-15%만 남는다. 일반적으로, 총 70%의 물이 사용되고, 나머지 성분 양은 30%의 건조 중량이다.
실험적 절차
1) MCT 오일을 40℃ ± 5℃로 가온하여 MCT 오일에 비타민 D3 및 BHT를 용해시키고 이로써 믹스 1을 생성한다.
2) 믹스 1에 스팬 80을 첨가하여 믹스 2를 생성한다.
3) 믹스 2에 폴록사머 407 및 정제수(상기 규정된 바와 같은 70% 중의 20%)를 첨가하여 믹스 3을 생성하고, 여기서 물의 온도는 40℃ ± 5℃이다.
4) 기계적 교반을 통해 믹스 3을 교반한다.
5) 믹스 3에 나머지 물을 첨가하고, 여기서 물의 온도는 80℃ ± 5℃이다.
6) 믹스 3에 변성 식품 전분, 풀루란, 글리세린, 칼륨 소르베이트, 레드 40, 수크랄로스 및 베리 향을 첨가하여 믹스 4를 생성한다.
7) 믹스 4가 균질한 혼합물에 도달할 때까지 믹스 4를 교반하여 슬러리를 생성한다.
8) 필름 주조 공정용 슬러리를 가동시켜 박막을 생성한다.
9) 주조 후, 건조 오븐에서 15분 이하 동안, 또는 160℉ 내지 180℉에서 건조될 때까지 박막을 건조한다. 박막의 두께를 측정하고, 여기서 박막의 규격은 0.12㎜ 내지 0.20㎜이다. (이것은 주조 공정 동안 조정될 수 있다.)
10) 건조 후, 22㎜ × 36㎜ 스트립이 되도록 박막을 자른다. (이것은 투여량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실시예 4
재료 기능 양 (mg)/ 스트립 %W/W 건조
CBD 분리물 활성 성분 50 21.66
트윈 20 친수성 계면활성제 25 10.83
스팬 80 친유성 계면활성제 5 2.17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친유성 계면활성제/ API를 위한 용매 50 21.66
향미제
수크랄로스 USP/NF 감미료 1.573 0.68
민트 향 향미제 7.289 3.16
필름 형성 시스템
변성 식품 전분 필름 형성 중합체 56.23 24.36
풀루란 필름 형성 중합체 20.03 8.68
글리세린 99.7% USP 가소제 15.55 6.74
칼륨 소르베이트 항균제 0.1 0.04
옐로 5 착색제 0.03 0.01
레드 40 착색제 0.015 0.01
정제수* N/A 538.58*
230.82 100.00
참고: *정제수는 가공용으로만 사용된다. 필름 제작 공정에서, 건조 공정 동안 물이 제거된다. 필름에 수분이 5-15%만 남는다. 일반적으로, 총 70%의 물이 사용되고, 나머지 성분 양은 30%의 건조 중량이다.
실험적 절차
1)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를 55℃ ± 5℃로 가온하여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에 CBD 분리물을 용해시키고 이로써 믹스 1을 생성한다.
2) 믹스 1에 스팬 80을 첨가하여 믹스 2를 생성한다.
3) 믹스 2에 트윈 20 및 정제수(상기 규정된 바와 같은 70% 중의 20%)를 첨가하여 믹스 3을 생성하고, 여기서 물의 온도는 55℃ ± 5℃이다.
4) 기계적 교반을 통해 믹스 3을 교반한다.
5) 믹스 3에 나머지 물을 첨가하고, 여기서 물의 온도는 80℃ ± 5℃이다.
6) 믹스 3에 변성 식품 전분, 풀루란, 글리세린, 칼륨 소르베이트, 레드 40, 수크랄로스 및 베리 향을 첨가하여 믹스 4를 생성한다.
7) 믹스 4가 균질한 혼합물에 도달할 때까지 믹스 4를 교반하여 슬러리를 생성한다.
8) 필름 주조 공정용 슬러리를 가동시켜 박막을 생성한다.
9) 주조 후, 건조 오븐에서 15분 이하 동안, 또는 160℉ 내지 180℉에서 건조될 때까지 박막을 건조한다. 박막의 두께를 측정하고, 여기서 박막의 규격은 0.12㎜ 내지 0.20㎜이다. (이것은 주조 공정 동안 조정될 수 있다.)
10) 건조 후, 22㎜ × 36㎜ 스트립이 되도록 박막을 자른다. (이것은 투여량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실시예 5
재료 기능 양 (mg)/ 스트립 %W/W 건조
CBD 분리물 활성 성분 50 21.66
트윈 20 친수성 계면활성제 25 10.83
스팬 80 친유성 계면활성제 5 2.17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친유성 계면활성제/ API를 위한 용매 50 21.66
향미제
수크랄로스 USP/NF 감미료 1.573 0.68
민트 향 향미제 7.289 3.16
필름 형성 시스템
변성 식품 전분 필름 형성 중합체 50.00 20.95
키토산 필름 형성 중합체 6.23 2.70
펙틴 필름 형성 중합체 20.03 8.68
글리세린 99.7% USP 가소제 15.55 6.74
칼륨 소르베이트 항균제 0.1 0.04
옐로 5 착색제 0.03 0.01
레드 40 착색제 0.015 0.01
정제수* N/A 538.58*
230.82 100.00
참고: *정제수는 가공용으로만 사용된다. 필름 제작 공정에서, 건조 공정 동안 물이 제거된다. 필름에 수분이 5-15%만 남는다. 일반적으로, 총 70%의 물이 사용되고, 나머지 성분 양은 30%의 건조 중량이다.
실험적 절차
1)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를 55℃ ± 5℃로 가온하여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에 CBD 분리물을 용해시키고 이로써 믹스 1을 생성한다.
2) 믹스 1에 스팬 80을 첨가하여 믹스 2를 생성한다.
3) 믹스 2에 트윈 20 및 정제수(상기 규정된 바와 같은 70% 중의 20%)를 첨가하여 믹스 3을 생성하고, 여기서 물의 온도는 55℃ ± 5℃이다.
4) 기계적 교반을 통해 믹스 3을 교반한다.
5) 믹스 3에 나머지 물을 첨가하고, 여기서 물의 온도는 80℃ ± 5℃이다.
6) 믹스 3에 변성 식품 전분, 펙틴, 키토산, 글리세린, 칼륨 소르베이트, 레드 40, 수크랄로스 및 베리 향을 첨가하여 믹스 4를 생성한다.
7) 믹스 4가 균질한 혼합물에 도달할 때까지 믹스 4를 교반하여 슬러리를 생성한다.
8) 필름 주조 공정용 슬러리를 가동시켜 박막을 생성한다.
9) 주조 후, 건조 오븐에서 15분 이하 동안, 또는 160℉ 내지 180℉에서 건조될 때까지 박막을 건조한다. 박막의 두께를 측정하고, 여기서 박막의 규격은 0.12㎜ 내지 0.20㎜이다. (이것은 주조 공정 동안 조정될 수 있다.)
10) 건조 후, 22㎜ × 36㎜ 스트립이 되도록 박막을 자른다. (이것은 투여량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안정성 연구 및 데이터
 약물 안정성 조건 CBD의 시점 및 % 분석  
      T0 주 T2 주 T1 개월 T2 개월 T3 개월 T9 개월
CBD 25C/ 60% RH  108%  109%  109%  113%  120%   
40C/ 75% RH     108%  106%  113%  118%  96% 
1) 이 기술의 주요 적용은 활성 성분의 더 나은 안정성을 제공하고 생체이용률을 높이는 것이다.
2) 자가 유화 전달의 조성물은 OTF 및 패치와 같은 기타 적용품(즉, 반고체)에 통합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
샌드이뮨®(시클로스포린 A/I)
신장, 간, 및 심장의 동종 이식에서 장기 거부반응 예방에 사용됨
옥수수유, 리놀레오일마크로골 글리세리드, 및 소르비톨
네오라®(시클로스포린)
전신 면역억제제
옥수수유-모노-디-트리글리세리드, 폴리옥실 40 수소화 피마자유 NF, DL-α토코페롤 USP
겐그라프®(시클로스포린 A/III)
전신 면역억제제
폴리에틸렌 글리콜 NF, 폴리옥실 35 피마자유 NF, 폴리소르베이트 80 NF, 프로필렌 글리콜 USP,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NF, 이산화티타늄
노비르®(리토나비르)
HIV-1 감염 치료를 위한 다른 항레트로바이러스제와의 병용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에탄올, 올레산, 폴리옥실 35, 및 피마자유
포르토바세®(사퀴나비르)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프로테아제의 억제제
중쇄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 포비돈, 및 dl-알파-토코페롤
아게네라제®(암프레나비르)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프로테아제의 억제제
d-알파 토코페롤 PEG 1000 숙시네이트(TPGS), PEG 400, 및 프로필렌 글리콜
데파켄®(발프로산)
단독으로 또는 다른 유형의 발작과 함께 발생하는 복합 부분 발작 환자의 치료에서 단독 요법 및 보조 요법
옥수수유, 글리세린, 메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로칼트롤®(칼시트리올)
이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의 관리 및 저칼슘혈증의 관리
코코넛유의 트리글리세리드
타그레틴®(벡사로텐)
적어도 하나의 이전의 전신 요법에 불응성인 환자에서 피부 T-세포 림프종의 피부 징후의 치료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NF, 폴리소르베이트 20, NF, 포비돈, USP, 및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NF
베사노이드®(트레티노인)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APL)의 성숙을 유도하는 레티노이드
밀랍,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수소화 대두유 플레이크, 수소화 식물성 오일, 및 대두유
아큐테인®(이소트레티노인)
심한 난치성 결절성 여드름
밀랍,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수소화 대두유 플레이크, 수소화 식물성 오일, 및 대두유
압티부스®(티프라나비르)
HIV-1의 복합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탈수 알코올(캡슐 당 0.1g 또는 7% w/w), 폴리옥실 35 피마자유, 프로필렌 글리콜, 카프릴산/카프르산의 모노/디글리세리드
실험 데이터
약동학적 연구 및 데이터
단일 투여량 투여에 대한 개방형 라벨 무작위 교차 및 균형잡힌 연구, 설명된 전달 시스템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연질 젤의 투여와 비교할 때 CBD의 생체이용률을 개선했다. 이 연구는 동일한 성별 대표(8/6 남성 여성)를 갖는 금식 조건 하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Claims (57)

  1. (a) 활성 약학 성분;
    (b) 계면활성제;
    (c)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
    (d) 필름 매트릭스; 및
    (e) 물;을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으로서,
    여기서,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이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경우: (i) 상기 계면활성제는 친유성 또는 소수성이고, 및 (ii)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는 친유성 또는 소수성이고; 및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이 소유성 또는 친수성인 경우: (i)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유성 또는 친수성이고, 및 (ii)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는 소유성 또는 친수성인 경구 용해성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친유성 또는 소수성이고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는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경구 용해성 필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스팬 80), 글리세릴 디베헤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트리카프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데카글리세롤 모노 및 디 올레에이트, 올레오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라우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스테아로일 마크로골글리세리드, 스테아로일 폴리옥실글리세리드, 폴리옥시에틸렌, 및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리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0.5-40중량%로 존재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유성 또는 친수성이고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용매는 소유성 또는 친수성인 경구 용해성 필름.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 폴리옥실 피마자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트윈 20), 트윈 8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 60), 데실 글루코사이드,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옥틸 글루코사이드, 트리톤 X-100, 노녹시놀 9,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칼륨 라우릴 설페이트, 브리즈,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인지질, n-도데실 포스포콜린, 및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7. 청구항 1,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유성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0.5-40중량%로 존재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는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오일, 코코넛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팜유, 카놀라유, 홍화유, 참기름,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에이트,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는 0.5-40중량%로 존재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10. 청구항 1 및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소유성 또는 친수성 용매는 물을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11. 청구항 1,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및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소유성 또는 친수성 용매는 0.5-20중량%로 존재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은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경구 용해성 필름.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은 소유성 또는 친수성인 경구 용해성 필름.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은 칸나비노이드, 테르펜, 플라보노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은 시클로스포린, 리토나비르, 사퀴나비르, 암프레나비르, 발프로산, 칼시트리올, 벡사로텐, 트레티노인, 이소트레티노인, 티프라나비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은 환각제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은 라이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LSD); 3,4-메틸렌디옥시메탐페타민(MDMA); N,N-디메틸트립타민(DMT); 실로시빈, 메스칼린, 및 이보가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각제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은 이버멕틴을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을 적어도 10중량%로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매트릭스는 가소제, 및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2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매트릭스는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트리아세틴,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2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매트릭스는 0.5-20중량%로 존재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매트릭스는 풀루란, 아라비아 검, 구아 검, 말토덱스트린,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키토산, 펙틴, 카라기난, HPMC, HPC, 변성 옥수수 전분, 카보폴 974P, 카보폴 934P, 콜리돈 25, 솔루플러스, 라이코트 NG73, 콜리코트, 폴리옥스 N-10, 폴리옥스 N-80, 폴리옥스 N-750, 메토셀 E4M, 메토셀 E10M, 및 나트륨 CM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2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매트릭스는 1-60중량%로 존재하는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2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2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및 카프릴로카프리올 폴리옥실-8 글리세리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2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5-40중량%로 존재하는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2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산화제, 항균제, 향미제, 착색제, 및 감미료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29. 청구항 1에 있어서,
    (a) 친유성 활성 약학 성분;
    (b) 상기 친유성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오일 담체;
    (c) 상기 친유성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자가-유화 친유성 계면활성제;
    (d) 하나 이상의 보조-계면활성제;
    (e) 하나 이상의 친수성 계면활성제;
    (f) 필름 매트릭스; 및
    (g) 물;을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30. 청구항 1에 있어서,
    (a) 친수성 활성 약학 성분;
    (b) 상기 친수성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물 담체;
    (c) 상기 친수성 활성 약학 성분을 위한 친수성 계면활성제;
    (d) 하나 이상의 보조-계면활성제;
    (e) 하나 이상의 자가-유화 계면활성제;
    (f) 필름 매트릭스; 및
    (g) 물;을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
  3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20초 이내에 자가-유화되도록 구성된 경구 용해성 필름.
  3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20초 이내에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경구 용해성 필름.
  3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20초 이내에 0.1 마이크론 내지 120 마이크론의 평균 액적 크기를 갖는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경구 용해성 필름.
  3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의 구강 점막 표면과 접촉시 20초 이내에
    d(10): 0.5-10 마이크론,
    d(50): 1-20 마이크론, 및
    d(90): 15-100 마이크론의 평균 액적 크기를 갖는 수-중-유(O/W) 에멀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경구 용해성 필름.
  3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PO), 협측 투여, 설하 투여, 또는 점막 투여에 적합한 경구 용해성 필름.
  3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13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 경구 용해성 필름.
  3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에게 협측 투여시 15분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 경구 용해성 필름.
  3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에게 경구(PO) 투여시 30초 이내에 붕해되도록 구성된 경구 용해성 필름.
  3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0초 이내에 시험관내 붕해(USP<701> 시험관내 붕해 방법)를 위해 구성된 경구 용해성 필름.
  4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약 45분 내지 약 120분 사이의 Tmax, (ii) 적어도 3.5 ng/㎖의 Cmax, 및 (iii) 적어도 13 ng/hr/㎖의 AUC0-t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동학적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경구 용해성 필름.
  4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1.5시간의 Tmax, (ii) 4.4 ng/㎖의 Cmax, 및 (iii) 13.5 ng/hr/㎖의 AUC0-t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동학적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경구 용해성 필름.
  4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분 이하의 생체내 용해 시간을 나타내는 경구 용해성 필름.
  4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 10분 내지 약 15분 사이의 생체내 용해 시간을 나타내는 경구 용해성 필름.
  4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5%의 생체이용률을 나타내는 경구 용해성 필름.
  4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8%의 생체이용률을 나타내는 경구 용해성 필름.
  4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0℃/75% RH 가속 조건 하에 측정시 9개월 후에 적어도 약 96%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경구 용해성 필름.
  4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60% RH 가속 조건, 또는 40℃/75% RH 가속 조건 하에서 측정시 3개월 후에 100%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경구 용해성 필름.
  48. (a) 활성 약학 성분을 제1 용매계에 용해시켜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혼합물 및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를 접촉시켜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2 혼합물을 물 및 친수성 또는 소유성 계면활성제와 접촉시켜 제3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3 혼합물을 필름 형성 성분과 접촉시켜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슬러리를 기재 상에 주조하고 경화시켜 경구 용해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구 용해성 필름의 형성 방법으로서,
    (i)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이 친유성 또는 소수성인 경우, 상기 용해는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을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 친유성 또는 소수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용해시키는 것이거나; 또는
    (ii)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이 친수성 또는 소유성인 경우, 상기 용해는 상기 활성 약학 성분을 친수성 또는 소유성 용매, 친수성 또는 소유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용해시키는 것인 방법.
  49.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성 성분은 점막접착성 중합체, 가소제, 결합제, 충전제, 증량제, 타액 촉진제, 안정화제 및 증점제, 겔화제, 향미제, 맛 차폐제, 착색제, 안료, 윤활제, 이형제, 보조제, 감미료, 가용화제 및 유화제, 향료, 유화제, 계면활성제, pH 조정제, 완충제, 지질, 활택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점착방지제, 습윤제, 용매, 투과 촉진제, 및 보존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0. 청구항 48 또는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친유성 또는 소수성 용매는 오일을 포함하는 방법.
  51. 청구항 48 또는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또는 소유성 용매는 수성 액체를 포함하는 방법.
  52. 청구항 48 내지 청구항 5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는 약 38℃ 내지 약 110℃ 사이의 공기 온도에서 열풍 오븐에서 수행되는 방법.
  53. 청구항 48 내지 청구항 5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는 약 45℃ 내지 약 80℃ 사이의 공기 온도에서 열풍 오븐에서 수행되는 방법.
  54. 청구항 48 내지 청구항 5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는 열풍 오븐(50℃-70℃의 공기 온도에서)에서 수행되는 방법.
  55. 청구항 48 내지 청구항 5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는 약 0.8피트/분 내지 약 2.5피트/분 사이의 속도로 수행되는 방법.
  56. 청구항 48 내지 청구항 5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는 약 0.8피트/분 내지 약 1.0피트/분 사이의 속도로 수행되는 방법.
  57. 청구항 48 내지 청구항 5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는 약 2.0피트/분 내지 약 2.5피트/분 사이의 속도로 수행되는 방법.
KR1020227026506A 2019-12-31 2020-12-31 경구 용해성 필름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KR202201521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55484P 2019-12-31 2019-12-31
US62/955,484 2019-12-31
PCT/US2020/067677 WO2021138564A1 (en) 2019-12-31 2020-12-31 Oral dissolvabl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198A true KR20220152198A (ko) 2022-11-15

Family

ID=7455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506A KR20220152198A (ko) 2019-12-31 2020-12-31 경구 용해성 필름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172846A1 (ko)
EP (1) EP4084781A1 (ko)
JP (2) JP2023509132A (ko)
KR (1) KR20220152198A (ko)
CN (1) CN115297851A (ko)
AU (1) AU2020416292A1 (ko)
CA (1) CA3166524A1 (ko)
WO (1) WO2021138564A1 (ko)
ZA (1) ZA2022074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509A (ko) 2019-10-01 2022-07-01 엠피리언 뉴로사이언스, 인크. 트립타민 발현을 조절하는 균류의 유전자 공학
AU2021276656A1 (en) 2020-05-19 2022-11-24 Cybin Irl Limited Deuterated tryptamine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EP4119124A1 (en) * 2021-07-14 2023-01-18 Vektor Pharma TF GmbH Microemulsion containing orally disintegrating film compositions with adjustable phys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WO2023183831A1 (en) * 2022-03-22 2023-09-28 Equilibre Biopharmaceuticals Bv Liquid formulations of ivermectin compositions and use in gelatin dosage forms
WO2023247665A1 (en) * 2022-06-22 2023-12-28 Cybin Irl Limited Solid dispersions of psilocybin
WO2024033910A1 (en) * 2022-08-09 2024-02-15 Vitalmelt Ltd. Freeze-dried bite with single dose psychedelic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0862B2 (en) * 2013-12-17 2020-05-26 Zim Laboratories Limited Pharmaceutical microemulsion immobilized in a thin polymer matrix and methods of making them
CA3020798A1 (en) * 2016-04-12 2017-10-19 Scott SCHANEVILLE Ingestible films having substances from hemp or cannabis
CA3044248A1 (en) * 2016-11-17 2018-05-24 F6 Pharma, Inc. Oral thin films comprising plant extrac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72846A1 (en) 2023-06-08
JP2023509132A (ja) 2023-03-07
AU2020416292A1 (en) 2022-07-21
CA3166524A1 (en) 2021-07-08
CN115297851A (zh) 2022-11-04
ZA202207435B (en) 2023-03-29
JP2024029095A (ja) 2024-03-05
WO2021138564A1 (en) 2021-07-08
EP4084781A1 (en)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72846A1 (en) Oral dissolvabl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CA2438097C (en) Cannabinoids pharmaceutical formulations
BR112021001406A2 (pt)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auto-emulsificantes sólidas
US20190290576A1 (en) Anti-malari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PT1901734E (pt) Composições que contêm trans-(+/-)-delta-9-tetra- hidrocanabinol cristalino
WO2018211388A1 (en) Sublingual cannabinoid compositions
AU2002231970A1 (en) Mucoadhesiv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AU2020207004B2 (en) Oral thin film
EP3955898A1 (en) Lozenge for improved delivery of cannabinoids
US20190142737A1 (en) Sublingual spray formulation comprising dihydroartemesinin
US20200138885A1 (en) Lipophilic active oral film formula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20146478A1 (en) Cannabinoid formulations for treating alcohol hangover
GB2381194A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US20210322306A1 (en) Oral dissolvable film with high load of polymeric binder
KR20230047095A (ko) 치료용 친유성 활성물질의 개선된 전달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US20220047504A1 (en) Oral dissolvable film with pores extending therethrough
US20240139101A1 (en) Advanced oral film formulations
EP4378450A1 (en) Sublingual cannabinoid compositions
CA2533400A1 (en) Cannabinoids pharmaceutical form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