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675A - 특수 조명 효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수 조명 효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675A
KR20220151675A KR1020227034970A KR20227034970A KR20220151675A KR 20220151675 A KR20220151675 A KR 20220151675A KR 1020227034970 A KR1020227034970 A KR 1020227034970A KR 20227034970 A KR20227034970 A KR 20227034970A KR 20220151675 A KR20220151675 A KR 20220151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system
special effects
light
light source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바 메이르 크라우타머
애런 챈들러 제로민
티모시 피츠제럴드 가니에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151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05B45/1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using optical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G02B5/124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plate or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detecting audible soun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using camer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use, e.g. hand-he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Toy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특수 효과 시스템은 재귀반사성 타깃과, 자신의 단부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물체 - 물체의 단부는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재귀반사성 타깃 상으로 방출되도록 재귀반사성 타깃을 향하도록 공간적으로 배향됨 - 와, 하나 이상의 센서 및 하나 이상의 광원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제어기 -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출력된 하나 이상의 신호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신호는 물체의 위치 또는 하나 이상의 광원의 조건을 나타냄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특수 조명 효과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특수 조명 효과 시스템"이라는 명칭으로 2020년 3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988,221호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게임 환경 또는 놀이 공원과 같은 상호작용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특수 효과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소품 또는 장난감과 같은 관람객 제어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예기치 않은 조명 효과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관람객의 경험을 향상시키고 환경의 특정 묘사를 지원하는 소품, 미디어 및 특수 효과를 포함하는 몰입형 환경을 생성하는 것이 놀이 공원에서 보다 일반적이 되었다. 소정의 몰입 환경에서, 관람객은 다양한 방식으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소품이나 장난감과 같은 자신의 디바이스를 갖는 것이 즐겁다. 일 예에서, 관람객은 좋아하는 영화 또는 게임 캐릭터와 유사한 방식으로 휴대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몰입형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영화 또는 게임의 효과를 시뮬레이션하는 특정 효과를 생성하기를 원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비교적 작고 가벼우며 예측할 수 없고 동적인 몰입 환경에서 사용되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맥락에서, 현실 세계에서 영화 및 게임에서 가능한 유형의 특수 효과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은 어렵다. 예를 들어, 조명 효과가 휴대용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지만, 가시성이 높고 초자연적이거나 특이한 조명 효과를 시뮬레이션하는 특수 조명 효과는 이러한 특수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많은 양의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전력을 사용하면서 이러한 특수 조명 효과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이제 인식되고 있다.
원래 청구된 출원 대상과 범위가 상응하는 소정 실시예가 아래에 요약된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소정의 개시된 실시예의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실제로, 본 개시는 아래에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재귀반사성 타깃을 구비하는 이동가능한 플랫폼과, 관람객의 위치 또는 가시선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위치 센서와, 광원을 포함하는 물체 - 물체는 관람객의 가시선에 배치됨 - 와, 이동가능한 플랫폼 및 위치 센서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관람객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고, 관람객의 위치 또는 관람객의 가시선을 나타내는 제2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관람객의 시선 방향에 변경이 발생했는지 판정하며, 시선 방향이 변경되었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이동가능한 플랫폼의 위치를 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재귀반사성 타깃을 향하도록 배향된 적어도 표면 또는 단부를 포함하는 환경 내의 물체와, 물체의 표면 또는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와, 프로젝터의 하나 이상의 광원 및 하나 이상의 센서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제어기를 포함하며,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출력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고 프로젝터를 제어하여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물체의 표면 또는 단부 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상 및 이점은 동일한 문자가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기법에 따른 향상된 조명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기법에 따른 향상된 조명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기법에 따라, 후광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재귀반사성 타깃을 향해 지향되는 광원의 작동 전 및 작동 동안의 특수 효과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기법에 따라, 후광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재귀반사성 타깃을 향해 지향되는 광원의 작동 전 및 작동 동안의 특수 효과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기법에 따라, 광원이 소품에 배치되는 광원의 작동 전 및 작동 동안의 특수 효과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기법에 따라, 광원의 작동 전 및 동안의 특수 효과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기법에 따라, 광원이 설정된 물체로 위장되는 광원의 작동 전 및 작동 동안의 특수 효과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기법에 따른 향상된 조명 효과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실제 구현예의 모든 특징이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는 않는다. 임의의 엔지니어링 또는 설계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임의의 그러한 실제 구현예를 개발할 때, 구현예마다 다를 수 있는 시스템 관련 및 비즈니스 관련 제약 준수와 같은 개발자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구현예별 결정을 내려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일상적인 설계, 조립 및 제조 행위일 수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소개할 때, 단수형 관사 "하나의", "그" 및 "상기"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포함하는" 및 "갖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나열된 구성요소 이외의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의 간략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실제 구현예의 모든 특징들이 기술되지 않을 수 있다. 엔지니어링 또는 설계 프로젝트 등과 같이 실제 구현 개발 시에는 구현예마다 다를 수 있는 시스템 관련 및 비즈니스 관련 제약 준수와 같은 개발자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구현예별 결정을 내려야 함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일상적인 설계, 조립 및 제조 행위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현재 개시된 실시예는 몰입형 환경 내에서 물체, 예를 들어, 소품 또는 장난감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특수 조명 효과를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특수 조명 효과는 상주 광원에 의해 생성된 일반 방출광에 비해 향상된 효과로 보이는 발광 봉 팁(glowing wand tip)(예를 들어, 봉 팁 주변의 후광 효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향상된 특수 조명 효과 시스템은 사용자가 재귀반사성 타깃을 향해 광을 방출하는 능동 광원(예컨대, 발광 다이오드)으로 물체(예컨대, 봉)를 가리킬 때 관찰된다. 광원 주위에 생성되는 블룸(bloom) 또는 후광 효과는 물체의 광원이 재귀반사성 재료에서 나오는 광의 반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재귀반사성 타깃을 향할 때 활성화될 수 있다. 방출된 광이 재귀반사성 타깃에 의해 다시 반사될 때, 물체의 광원 주위에 블룸 효과 또는 후광 효과가 재귀반사성 타깃에 의해 반사된 광에서 생성된다. 즉, 물체는 특수 조명 효과 시스템에서 재귀반사성 타깃을 향해 광을 향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반사된 광은 특히 초자연적 효과를 시뮬레이션하는 예상치 않은 방식으로 물체의 광원 주변에서 볼 수 있다. 향상된 조명 효과, 즉, 블룸 또는 후광 효과는 사용자가 재귀반사된 광이 없을 때 관찰할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강화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재귀반사성 재료로부터 반사된 광의 존재는 재귀반사된 광이 없을 때 능동 광원의 외관에 비해 더 큰 직경 및/또는 향상된 밝기의 광원 주위에 광 블룸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향상된 광 효과는 광원 주위에 형성된 헤이즈(haze) 또는 후광으로서 관찰된다.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의 광원은 단방향 또는 전방향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광원이 단방향인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시야 내에 있는 물체를 잡고 있으면 후광 효과가 보일 수 있지만, 사용자의 시야 외부에 있는 다른 사람들은 후광 효과를 못 볼 것이다. 광원이 전방향인 경우, 반사광을 광원의 주변부에서 볼 수 있으므로, 반사광을 바로 재귀반사성 타깃의 가시선 내에서가 아닌 다른 각도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후광 효과가 근처의 다른 관찰자에게 보일 수 있다. 블룸 또는 후광 효과의 가시성은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의 다양한 양상(예컨대, 광원과 재귀반사성 타깃 사이의 거리, 재귀반사성 타깃의 표면 등)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특수 조명 효과를 구현하는 데 하나 이상의 제어기가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가 봉, 장난감 또는 휴대용 물체의 맥락에서 논의되지만, 개시된 실시예는 다른 유형의 물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물체는 의류, 보석, 팔찌, 헤드기어, 안경과 같은 착용형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체는 몰입형 환경 내의 소품 또는 배경 항목일 수 있다. 몰입형 환경은 놀이 공원, 엔터테인먼트 단지, 소매점 등의 환경일 수 있다.
도 1은 본 기법에 따른 환경(8)에서 향상된 조명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향상된 특수 조명 효과 시스템(10)은 재귀반사성 타깃을 향해 지향되도록 사용자(18)가 잡고 있는 물체 또는 장난감(16)(예를 들어, 봉)의 단부에 배치된 광원(14)을 공간적으로 배향함으로써 향상된 조명 효과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도시된 재귀반사성 타깃(12)은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20)의 일부를 형성하는 평면형 재귀반사성 표면의 형태이지만, 재귀반사성 타깃(12)은 또한 어트랙션의 전체 벽 또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평면 또는 비평면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듯이, 재귀반사성 타깃(12)은 광원(14)으로부터 방출된 광선(17)을 봉(16) 쪽으로 다시 반사할 수 있다. 재귀반사성 타깃(12)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으로의 광선(17)의 반사는 광원(14)에서 직접 발산되는 것으로 보이는 후광 효과 또는 블룸 효과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향상된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실제로, 후광 효과는 재귀반사성 타깃(12)의 방향으로 광원(14)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자(18)에 의해 봉(16)이 위치될 때 관찰된다. 광 효과는 이러한 방식으로 공간적으로 선택적임을 이해할 수 있다. 즉, 봉(16)의 광원(14)이 재귀반사성 타깃(12)을 향하지 않는다면, 후광 효과가 생성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몰입형 환경에 존재하는 다른 광원은 후광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후광 효과와 함께 꺼지거나 비활성화된다.
후광 효과를 보는 동안 사용자의 원하는 위치와 재귀반사성 타깃(12) 사이의 거리(22)는 몰입형 환경, 예를 들어, 테마 또는 놀이 공원 어트랙션의 설계에서 고려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어트랙션은 특정 놀이 공원 어트랙션에 들어갈 때 사용자(18)를 위한 특수 조명 효과의 생성 또는 보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재귀반사성 타깃(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특수 조명 효과를 생성하도록 설계된 놀이 공원의 영역에 사용자(18)가 들어갈 때까지 자신과 함께 놀이 공원 전체에 걸쳐 봉(16)을 휴대하고 눈에 띄는 특수 조명 효과를 경험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특정 어트랙션(예를 들어, 놀이기구)에 대한 입구는 입구(예를 들어, 문 또는 게이트) 상에 위치된(예를 들어, 내장된) 하나 이상의 재귀반사성 타깃(1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18)가 특정 어트랙션에 입장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을 때, 사용자(18)는 봉(16)으로 재귀반사성 타깃(12)이 있는 입구(예를 들어, 문 또는 게이트)를 가리킬 때 후광 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며, 생성된 후광 효과는 사용자가 올바른 위치에 있고/있거나 특정 어트랙션에 입장하기 위한 마지막 단계를 완료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능동 후광 효과는 재귀반사성 타깃(12)과 사용자(18) 사이의 거리(22)와 연관된 위치에 사용자를 위치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단 위치에 있으면, 추가 효과가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에서, 특수 조명 효과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작동가능한 물체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용자(18)는 재귀반사성 타깃(12)을 포함하도록 설계된 작동가능한 물체에 그의 봉(16)을 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귀반사성 타깃(12)은 용이 입을 열 때(예를 들면, 작동가능한 물체)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광선을 용의 입에 있는 재귀반사성 타깃(12)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봉(16)을 가리킬 수 있을 때, 광선은 봉(16)을 향해 재귀반사성 타깃(12)에 의해 반사된다. 따라서, 사용자(18)는 작동가능 효과의 활성화와 함께 광원(14) 주위에서 향상된 조명 효과(예를 들어, 후광 효과)를 경험하며, 이는 후광 효과가 작동가능 효과에 의해 유발되는 환상을 생성한다.
봉(16)의 광원(14)은 단방향, 다방향 또는 전방향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광원(14)이 단방향인 경우, 봉(16)이 재귀반사 타깃(12)을 직접 가리킬 때 후광 효과가 보인다. 다시 말해, 후광 효과는 일반적으로 가시선이 재귀반사성 타깃(12)과 바로 일치하고 재귀반사성 타깃(12)으로부터 반사광을 수신하는 사용자(18)에게만 보인다. 실제로, 가시선이 재귀반사성 타깃의 범위 밖에 있는 다른 관찰자는 후광 효과를 보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광원(14)이 다방향 또는 전방향인 경우에, 사용자/관찰자의 가시선 내에 재귀반사성 타깃(12)의 재귀반사성 재료가 있는 한 봉(16)이 잡혀있고/있거나 향하는 각도에 관계없이 후광 효과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귀반사성 타깃(12)은 복수의 관찰자의 가시선 내에 있을 수 있는 비교적 큰 표면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기법에 따른 향상된 조명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예를 추가로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봉(16)을 들고 있는 관람객(18)은 광원(14)의 광이 재귀반사성 타깃(12)으로부터 반사되기 때문에 그의 가시선(32A)에서 후광 효과를 본다. 가시선(32B)이 재귀반사성 타깃(12)을 포함하지 않고 그 대신 표면(38)의 비재귀반사성 부분(36)으로 연장되는 관찰자(30)는 어떠한 후광 효과도 보지 못한다. 그 대신에, 관찰자(30)는 후광 효과없이 활성화된 광원(14), 예를 들어, 비향상 조명 효과만 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재귀반사성 타깃(12)은 재귀반사성 타깃(12)을 재배치하기 위해 표면(3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갠트리(gantry)와 같은 이동가능한 플랫폼(40)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재귀반사성 타깃(12)은 시선 방향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계속 사용자(18)의 가시선(32A)과 동일선상에 있도록 재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18) 및/또는 관찰자(30)의 시선 방향은 카메라(42) 또는 다른 시선 추적기를 통해 추적될 수 있다.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의 다양한 특성은 도 3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 이해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휴대용 물체로서 구현되고 광원(14)(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의 동작(예를 들어, 활성화) 동안 예시된 특수 효과 어셈블리(50)(예를 들어, 봉)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 조명 효과 어셈블리(50)는 재귀반사성 타깃(12)을 향하거나 배향되도록 위치된다. 특수 조명 효과 어셈블리(50)는 봉(16) 및 봉(16) 상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된 광원(14)을 포함한다. 광원(14)은 일반적으로 특수 조명 효과 어셈블리(50)의 배럴부(52) 상에 또는 내에 수용된다. 배럴부(52)는 캡(56) 및 렌즈 마운트(58)를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54)에 결합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58)는 렌즈(60)를 보유하며, 이를 통해 광원(14)으로부터의 광선(62)은 통과하고, 광선(62)이 렌즈(60)를 통해 방출됨에 따라 광선(62)을 분산시킨다. 봉(16) 또는 다른 하우징에 대한 광원(14)의 배열은 광의 방향성이 시스템(10)의 원하는 용도에 따라 더 좁거나 더 넓도록 선택된 범위에서 광선(60)을 방출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광원(14)은 발광 다이오드인 것으로 이해되지만, 광원(14)은 그 중에서도 광섬유 케이블 또는 불꽃 또는 화학적 수단과 같은 조명 효과를 생성하는 임의의 적합한 광원일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소정 실시예에서, 사용자(18)는 후광 효과를 경험하기 위해 봉(16) 내의 광원(14)(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과 함께 임의의 다른 전원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광원(14)은 배터리, 무선 전력 전송(예를 들어, UHF) 등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사용자(18)의 가시선 내에서 후광 효과의 강도는 다른 요인들 중에서 재귀반사성 타깃(12)의 크기 및 배치, 광원(14)의 크기 및 강도, 광원(14)과 재귀반사성 타깃(12) 사이의 거리 및 재귀반사성 타깃(12)의 표면(예를 들어, 표면 텍스처 등)에 의존한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광원(14)의 반사는 재귀반사성 타깃(12)의 표면 텍스처를 변경함으로써 조작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재귀반사성 시팅 또는 타깃(12)은 반사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재귀반사성 유리 비드, 마이크로프리즘 또는 직물 또는 플라스틱 기판에 밀봉된 캡슐화된 렌즈과 같은 반사성 타깃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을 복수의 방향으로 산란 또는 반사시킴으로써 재귀반사성 유리 비드, 마이크로프리즘, 또는 캡슐화된 렌즈 사이의 반사 표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 반사성 타깃을 배치함으로써 반사광이 더 확산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에서, 후광 효과의 강도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 효과 어셈블리(50)와 재귀반사성 타깃(12) 사이의 거리(70)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실제로, 도 3b는 광원(14)과 재귀반사성 타깃(12) 사이의 거리(70)가 작을수록 후광 효과가 더 밝은 것을 도시한다. 광원(14)과 재귀반사성 타깃(12) 사이의 거리(70)가 증가함에 따라, 반사광은 확산되는 더 먼 거리를 가질 것이기 때문에 후광 효과는 더 작고 덜 강렬할 것이다.
이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특수 효과 어셈블리(5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원(14)은 봉(16)으로부터 외부에 위치된다. 광원(14)이 배럴부(52)와 별개로 외부에 위치될 때, 특수 효과 어셈블리(50)는 원하는 후광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반사기(80) 또는 방출 필름 또는 코팅을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원하는 후광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인광 코팅 또는 형광 코팅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특수 효과 어셈블리(50)는 반사기 마운트(78)에 결합된 캡(56)을 포함한다. 반사기(80)는 반사기 마운트(7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기 마운트(78)는 미러 볼, 패싯 미러 볼,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반사기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배열이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4)은 화살표(8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기(80) 상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위치된다. 그 후, 광은 화살표(8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재귀반사성 타깃(12)을 향해 반사기(80)에 의해 반사된다. 광원(14)은 광이 여기에서는 봉 팁(86)(또는 재귀반사성 타깃(12)을 향해 배향된 반사기(80)을 포함하는 봉(16)의 다른 표면 또는 단부)에 위치한 반사기(80)를 타깃으로 하지만, 사용자(18)의 눈에 직접 지향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4b는 화살표(88)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이 반사기(80)를 향해 다시 반사되는 것을 도시한다. 광이 반사기(80)를 향해 반사됨에 따라, 후광 효과는 사용자(18)에 의해 다시 한 번 관찰된다. 광원(14)은 환경 내에서 하나 이상의 봉 팁(86)의 위치를 추적하는 레이저 프로젝터와 같은 레이저 광원일 수 있다. 추적은 환경(8) 및 환경 내에 위치한 임의의 봉 팁(86)을 캡처하는 카메라(예를 들어, 카메라(42), 도 2))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광원(14)으로부터의 외부 광을 타깃 하나 이상의 봉 팁(86)으로 향하게 하여 존재하는 하나의 봉(16)만 또는 봉(16)의 서브세트만이 후광 효과를 조명하고 나타낼 수 있게 한다. 또한, 외부 광원(14)은 개별 봉 팁(86) 상에 상이한 컬러 광을 투사하여 상이한 컬러 후광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조명은 특정 관람객(18)이 올바른 암호를 말했음을 나타내기 위해 음성 인식 또는 사운드 위치와 같은 환경의 센서에 의해 캡처된 다른 관람객 추적 정보를 기반으로 하거나 관람객 위치 또는 환경과 관람객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조명은 관람객 또는 봉 식별(예를 들어, 봉 및/또는 관람객 프로파일에 매칭되는 카메라 기반 식별 특징)에 기초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개시의 논의가 광원(14)이 봉형 장치에서 반사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광원(14)은 도 5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더 논의된 바와 같이, 임의의 다른 적절한 대상 또는 배열로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광원(14)이 물체(예를 들어, 소품)에 리세스되거나 숨겨져 있는 광원(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의 작동 동안 특수 효과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원을 숨기는 물체는 무대 소품(90)을 나타낸다. 무대 소품은 발광 효과가 바람직한 임의의 유형의 소품(예컨대, 다이아몬드, 무지개, 금 항아리, 문, 천국의 문 등)일 수 있다. 원하는 후광 효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무대 소품에는 렌즈(60)를 수용하기 위한 컷아웃 또는 리셉터클(92)이 장착될 수 있다. 리셉터클의 크기는 원하는 후광 효과가 얼마나 커야 하는지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더 큰 리셉터클을 이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렌즈(60)가 사용되어 무대 소품과 같은 큰 물체에 대한 더 큰 후광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예는 소품(90)의 중간 부분(94)을 덮는 렌즈(60) 및 대응하는 리셉터클(92)을 갖는 소품을 도시한다. 광원(14)이 반사됨에 따라, 재귀반사성 타깃(12)으로부터의 광의 반사에 의해 생성된 후광 효과는, 도 5a의 화살표(96)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60)가 광을 지향시키는 중간 부분(94) 주변에 후광 효과를 생성한다. 이에 반해, 도 5b의 예는 소품(90)의 대부분(98)을 덮는 렌즈(60) 및 대응하는 리셉터클(92)을 갖는 소품을 도시한다. 여기서, 광원(14)이 반사됨에 따라, 재귀반사성 타깃(12)으로부터의 빛의 반사에 의해 생성된 후광 효과는, 도 5b의 화살표(100)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98) 주변에 생성된다.
소정 실시예에서, 재귀반사성 타깃,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제공된 재귀반사성 타깃(12)은 회절 격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회절 격자는 후광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광선이 재귀반사성 타깃(12)에서 반사될 때 광선을 추가 빔으로 분할 및 분산시킴으로써 광이 반사되는 패턴을 제어하여 후광 효과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회절 격자는 격자 자체 내에 내장된 반복적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격자는 재귀반사성 타깃에 하나 이상의 코팅(예컨대, 금속성 코팅)을 증착하여 재귀반사성 타깃(12)에 융기부를 생성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홈에서 광이 반사될 때, 광이 상이한 각도로 반사되어 상이한 모양을 생성한다.
도 6a 및 도 6b는 광원(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의 작동 동안 특수 효과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무대 소품(90)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14)을 포함한다. 광원(14)과 렌즈(60) 사이에, 적합한 재료(89)(예를 들어, 테이프, 종이, 플라스틱 필름 등)의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컬러의 반투명 조각이 소품(90)의 부분(91)을 따라 배치된다. 광이 렌즈(60)를 통해 방출될 때, 광은 재료(89)의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컬러의 반투명 조각을 관통한다. 광원(14)이 재귀반사성 타깃(12)으로부터 반사됨에 따라, 반사광은 렌즈(60) 주위에 후광 효과를 생성한다. 렌즈(60)를 따라 광이 반사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의 후광 효과가 생성될 수 있다. 실제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투명 조각(89A) 근처에서 나타나는 후광 효과(예를 들어, 청색)는 제2 반투명 조각(89B) 근처에서 나타나는 후광 효과(예를 들어, 적색)와 상이할 수 있다. 관람객의 가시선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의 후광 효과가 관찰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기법에 따라 광원(14)(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의 작동 동안 광원이 설정된 물체(예를 들어, 망토(200)) 안에 위장되는 특수 효과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원(14)은 섬유, 전계발광 직물,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광원에 재봉된 광원을 사용하여 배우의 망토(200)에 구축될 수 있다. 광원(14)은 배우의 등이 관객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일부 경우에 관객에게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광원(14)은 관객에게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광원(14)이 배우 뒤에 있는 재귀반사성 타깃(12)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관객이 배우를 볼 때 블룸 또는 후광 효과를 관찰할 수 있다.
광원(14)은 배우 의상의 다른 부분(예를 들어, 신발, 모자, 후광(202) 등)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우의 후광(202)은 블룸 또는 발광 효과가 배우의 후광(202) 주변에서 관찰될 수 있도록 별개의 광원(14)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영역 주변의 발광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배우 의상(예컨대, 후광, 망토 등)의 일 특정 영역에 한 무리의 조명(14)이 축적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광 주변의 발광 효과는 배우가 천국의 문에 들어갈 때 후광(202)의 광원(14)을 켜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우가 천국에 들어갈 때 후광을 밝힐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 광원(14)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우의 망토(200)에 있는 광원(14)은 후광(202)에 있는 광원(14)과 다른 전원을 가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세트 디자이너는 후광의 광원(14)이 망토의 광원(14)과 다른 시간에 턴온되거나 다른 간격으로 플래시 온 및 오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스포트 라이트 효과의 제어는 도 8을 참조하여 더 이해될 수 있다.
도 8은 본 기법에 따라 향상된 조명 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특수 조명 효과 시스템(10)의 다양한 양상이 하나 이상의 제어기(302)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어기(302)는 디스플레이(304),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및 제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308)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디바이스(30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8)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EEPROM, 또는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머신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전달 또는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프로세서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들)(302)는 다른 양상들 중에서 재귀반사성 타깃(들)(12)을 포함하는 물체(들)의 작동, 재귀반사성 타깃(12)의 속도 또는 움직임, 재귀반사성 타깃(12) 상의 표면 텍스처의 생성, 반사광의 확산을 증가시키기 위한 액적의 분무, 또는 다양한 컬러 광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특수 조명 효과 시스템(10)의 다양한 특성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은 관람객 위치 센서, 오디오 센서, 카메라, 또는 차례로 광원(14)을 활성화하고/하거나 재귀반사성 타깃(12)을 재배치하는 데 사용되는 광학 또는 무선 주파수 통신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310)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302)는 물체, 예를 들어, 봉(16)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광원(14)이 특정 사용자(18)가 목표를 달성하거나 환경 내 특정 위치에 위치하는 것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기(302)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예를 들어, 무선 통신 채널(314))을 통해 타깃(12), 물체(16), 플랫폼(40), 카메라(42) 또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10)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센서와 전자 통신(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314))할 수 있다. 제어기(302)는 그 다음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타깃(12), 물체(16), 플랫폼(40), 카메라(42), 또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10)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센서를 조정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타깃(12), 물체 또는 봉(16), 플랫폼(40) 및 카메라(42)는 각각 환경의 하나 이상의 작동 조건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310)는 각각 송신기(312)에 결합될 수 있다. 송신기(312)는 하나 이상의 센서(310)에 의해 검출된 센서 데이터(예를 들어, 작동 조건 데이터)를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를 제어기(302)에 전송할 수 있다.
타깃(12), 물체 또는 봉(16), 플랫폼(40) 및 카메라(42) 각각은 전원(303)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봉(16)에 배치된 다양한 전기 구성요소(예를 들어, 회로부)는 봉 센서(310)에 의해 검출된 작동 조건을 해석하는 데 이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회로가 광원(14)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305)가 "온" 위치로 토글되면, 전원(303)으로부터의 전력이 회로를 통해 광원(14)을 향해 흐르도록 허용되어 광원(14)을 켠다. 소품과 같은 다른 물체(16)가 유사한 방식으로(예를 들어, 소품용 전원(303) 및 스위치(305)를 통해) 시스템(10) 내에서 활성화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플랫폼(40)에 배치된 다양한 전기 구성요소(예컨대, 회로부)는 플랫폼 센서(310)에 의해 검출된 작동 조건을 해석하는 데 활용된다. 센서 출력에 응답하여, 플랫폼(40)의 전원(303)(예컨대, 배터리)은 플랫폼(40)의 구동부(435)를 작동시키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구동부(435)는 플랫폼(40)을 작동시키기 위해 모터(318)를 활성화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재귀반사성 타깃(12)은 플랫폼(40) 자체를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실제로, 재귀반사성 타깃(12)은 재귀반사성 타깃 센서(310)에 의해 출력된 작동 조건을 해석하는 데 자체 회로부를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재귀반사성 타깃(12)의 전원(303)은 타깃(12)의 드라이브(315)를 작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고, 그 후 모터(318)를 활성화하여 플랫폼(40)을 따라 타깃(12)을 작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42)는 유사한 방식으로(자체 전원(303) 및 구동부(315)를 통해) 시스템(10)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제어기(들)(302)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10)의 광원(14)의 제1 그룹을 제어하여 광원(14)의 제2 그룹과 다른 시간에 턴온하거나, 다른 간격으로 플래시 온 및 오프하거나,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10)의 광원(14)의 제2 그룹의 강도와 다른 강도로 빛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들)는 광원(14)을 특정 시퀀스로 활성화하는 데 사용되어 후광 효과가 특정 순서로 경험(예컨대, 발광이 먼저 배우의 망토 근처에서 발생한 다음 배우의 후광 근처에서 또 다른 발광이 발생하는 등)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기(들)는 또한 놀이 공원 전체에 걸쳐 재귀반사성 타깃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물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놀이 공원 전체에 걸친 다양한 물체는 재귀반사성 타깃(12)을 수용할 수 있다. 앞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특정 어트랙션(예를 들어, 놀이기구)에 대한 입구는 입구(예를 들어, 문 또는 게이트)에 내장된 하나 이상의 재귀반사성 타깃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18)가 특정 어트랙션에 입장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을 때, 사용자(18)는 봉(16)으로 재귀반사성 타깃(12)이 있는 입구(예를 들어, 문 또는 게이트)를 가리킬 때 후광 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며, 생성된 후광 효과는 사용자가 올바른 위치에 있고/있거나 특정 어트랙션에 입장하기 위한 마지막 단계를 완료했음을 나타낸다. 재귀반사성 타깃(12)은 임의의 수의 적절한 작동가능 물체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어기(들)(302)가 재귀반사성 타깃(12)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귀반사성 타깃(12)은 갠트리(4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갠트리(40)는 제어기(302)에 의해 제어되어 재귀반사성 타깃(12)을 이동시킨다. 갠트리(40)는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타깃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상이한 패턴으로, 상이한 속도로 이동되어 그 움직임을 재생 중인 노래의 비트와 상관시키는 것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18)는 발광 또는 후광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봉(16)을 재귀반사성 타깃(12)으로 향하게 하려고 시도할 때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기(들)(302)는 특정 관람객(18)이 특정 영역에 위치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운드 위치와 같은 환경의 센서에 의해 캡처되는 관람객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식 플랫폼(40) 상에 위치된 재귀반사성 타깃(1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제어기(들)(302)는 시선 방향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사용자(18)의 가시선(32A)과 동일선상에 유지되도록 이동식 플랫폼(40) 상에 위치된 재귀반사성 타깃(1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앞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사용자(18) 및/또는 관찰자(30)의 시선 방향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42) 또는 다른 시선 추적기를 통해 추적될 수 있다.
제어기(들)(302)는 재귀반사성 타깃(12)에 표면 텍스처를 생성하여 광이 타깃(12)으로부터 반사되는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것은 타깃(12)에 텍스처화제를 분사하거나, 재귀반사성 타깃(12)에 추가의 광 반사 비드 또는 프리즘을 배치하거나, 또는 원하는 조명 효과를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앞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반사광은 추가 반사 타깃을 배치함으로써 더 확산되어 광을 복수의 방향으로 산란시키거나 반사함으로써 재귀반사성 유리 비드, 마이크로프리즘 또는 캡슐화된 렌즈 사이의 반사 표면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기(들)는 반사광의 확산을 조정하기 위해 광원과 재귀반사성 타깃(12) 사이에 액적의 분무 또는 스프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분무를 제공함으로써, 반사광이 산란되어 광원에 직접 반사되는 광의 양을 줄여서 발광 효과를 감소시킨다. 마지막으로, 광원(들)(14)이 하나보다 많은 컬러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들)는 특정 시간 동안, 특정 시퀀스로 또는 충족되는 특정 조건에 응답하여 한 컬러에서 다른 컬러로 변경하거나, 컬러 간에 교대하거나, 소정 컬러의 광을 조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기(들)는 광원(14) 및/또는 재귀반사성 타깃(12)이 관람객(18)의 시야 밖에 위치할 수 있게 하는 후추의 유령 효과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후광 효과는 원하는 후추의 고스트 효과를 얻기 위해 적절한 각도(예컨대, 45도)로 위치된 유리로부터의 반사를 통해서만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정 특징만이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많은 수정 및 변경이 당업자에게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개시의 진정한 사상에 속하는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고 청구하는 기법은 현재 기술 분야를 명백하게 개선하는 물질적 대상과 실제적 성격의 구체적 예들을 참조하고 이들에 적용되며, 따라서 추상적이거나 무형적이거나 순수 이론적인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마지막 부분에 첨부된 임의의 청구범위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또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로 지정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구성요소는 35 U.S.C. § 112(f)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지정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청구항의 경우, 그러한 구성요소는 35 U.S.C. § 112(f)에 따라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0)

  1. 후광 효과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와,
    재귀반사성 타깃과,
    물체의 단부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상기 물체 - 상기 물체의 단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재귀반사성 타깃 상으로 방출되도록 상기 재귀반사성 타깃을 향하게 공간적으로 배향됨 - 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제어기 -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출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출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상기 물체의 위치,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의 조건,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냄 - 를 포함하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출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상기 물체를 잡고 있는 개인의 위치 또는 상기 물체를 잡고 있는 상기 개인의 시선 방향을 나타내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장난감, 소품 또는 착용형 디바이스인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물체 상에 또는 상기 물체 내에 배치되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물체를 둘러싸는 환경에 배치되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상기 환경 내의 상기 광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재귀반사성 타깃 또는 이동가능한 플랫폼에 결합되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재귀반사성 타깃 또는 상기 이동가능한 타깃의 속도 또는 움직임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 중 제2 광원과 독립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 중 제1 광원을 조명하도록 구성되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11.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으로서,
    재귀반사성 타깃을 포함하는 이동가능한 플랫폼과,
    관람객의 위치 또는 가시선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위치 센서와,
    광원을 포함하는 물체 - 상기 물체는 상기 관람객의 가시선에 배치됨 - 와,
    상기 이동가능한 플랫폼 및 상기 위치 센서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관람객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고,
    상기 관람객의 위치 또는 상기 관람객의 가시선을 나타내는 제2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관람객의 시선 방향에 변경이 발생했는지 판정하며,
    상기 시선 방향이 변경되었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가능한 플랫폼의 위치를 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재귀반사성 타깃의 속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 및 상기 이동가능한 플랫폼이 상기 관람객의 가시선 내에 있도록 상기 이동가능한 플랫폼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봉(wand) 또는 착용형 물체인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플랫폼이 상기 관람객의 가시선 밖에 있을 때 상기 물체는 조명되지 않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17. 후광 효과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으로서,
    재귀반사성 타깃을 향하도록 배향된 적어도 표면 또는 단부를 포함하는 환경 내의 물체와,
    상기 물체의 상기 표면 또는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와,
    프로젝터의 하나 이상의 광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제어기 -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출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여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물체의 상기 표면 또는 단부 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은 레이저 광원이고, 상기 프로젝터는 레이저 프로젝터인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물체 또는 상기 물체를 잡고 있는 관람객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된 광의 컬러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봉이고, 상기 표면 또는 단부는 반사기를 포함하는
    특수 효과 조명 시스템.
KR1020227034970A 2020-03-11 2021-03-09 특수 조명 효과 시스템 KR202201516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88221P 2020-03-11 2020-03-11
US62/988,221 2020-03-11
US16/828,310 US11758626B2 (en) 2020-03-11 2020-03-24 Special light effects system
US16/828,310 2020-03-24
PCT/US2021/021529 WO2021183531A1 (en) 2020-03-11 2021-03-09 Special light effects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675A true KR20220151675A (ko) 2022-11-15

Family

ID=7766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4970A KR20220151675A (ko) 2020-03-11 2021-03-09 특수 조명 효과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758626B2 (ko)
EP (1) EP4117797A1 (ko)
JP (1) JP2023517949A (ko)
KR (1) KR20220151675A (ko)
CN (1) CN115190818A (ko)
CA (1) CA3169281A1 (ko)
WO (1) WO202118353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5915A (en) 1987-03-13 1989-08-08 Dallaire Rodney J Autoguided vehicle using reflective materials
US7445550B2 (en) 2000-02-22 2008-11-04 Creative Kingdoms, Llc Magical wand an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US6342706B1 (en) 2000-04-17 2002-01-29 Optex Co., Ltd. Retroreflective detector
JP2003087771A (ja) 2001-09-07 2003-03-20 Oki Electric Ind Co Ltd 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EP1567234A4 (en) 2002-11-05 2006-01-04 Disney Entpr Inc VIDEO INTERACTIVE ENVIRONMENT
US20100225588A1 (en) 2009-01-21 2010-09-09 Next Holding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Optical Detection Of Gestures
US8746914B2 (en) 2010-02-15 2014-06-10 Webb T. Nelson Sports set that utilize stereoscopic illumination and retroreflective materials
US20130177296A1 (en) 2011-11-15 2013-07-11 Kevin A. Geisner Generating metadata for user experiences
US10134267B2 (en) 2013-02-22 2018-11-20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 passive wand and actuating an effect based on a detected wand path
US9212805B2 (en) * 2013-10-16 2015-12-15 Disney Enterprises, Inc. Special effects system using retroreflections to create an illusion of glowing toys and props
US9773163B2 (en) 2013-11-14 2017-09-26 Click-It, Inc. Entertainment device safety system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9600999B2 (en) 2014-05-21 2017-03-21 Universal City Studios Llc Amusement park element tracking system
US10738972B1 (en) * 2015-04-13 2020-08-11 Lightuptoys.Com Llc Customizable light-up device
US10462421B2 (en) 2015-07-20 2019-10-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jection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58626B2 (en) 2023-09-12
WO2021183531A1 (en) 2021-09-16
JP2023517949A (ja) 2023-04-27
CA3169281A1 (en) 2021-09-16
EP4117797A1 (en) 2023-01-18
US20230422366A1 (en) 2023-12-28
CN115190818A (zh) 2022-10-14
US20210289597A1 (en)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3744B2 (en) Audience interaction projection system
US10004984B2 (en) Interactive in-room show and game system
RU267846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тслеживания пассивной палочки и активации эффекта на основе обнаруженной траектории палочки
US9235292B2 (en) Interactive projector system and method
US9212805B2 (en) Special effects system using retroreflections to create an illusion of glowing toys and props
US10928915B2 (en) Distributed storytelling environment
US11914786B2 (en) Gesture recognition (GR) device with multiple light sources generating multiple lighting effects
US11524239B2 (en) Gameplay system with play augmented by merchandise
US20210325580A1 (en) Interactive object systems and methods
JP6306678B1 (ja) 仮想空間にオブジェクトを提示するために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US11758626B2 (en) Special light effects system
US10369487B2 (en) Storytelling environment: mapping virtual settings to physical locations
US20220253153A1 (en) Interactive pepper's ghost effect system
JP2023549082A (ja) 再帰反射を利用した空中イメージング
JP2024502074A (ja) ユーザ固有のインタラクティブオブジェクトシステム及び方法
ES2332561B1 (es) Sistema de inmersion visual interactiva.
CA3206517A1 (en) Interactive pepper's ghost effect system and method
CN116867555A (zh) 交互式佩珀尔幻象效果系统和方法
CN116745009A (zh) 用户特定的交互式对象系统和方法
WO2018110726A1 (ko) 홀로그램 영상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