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482A - 전립선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 Google Patents

전립선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482A
KR20220151482A KR1020210058783A KR20210058783A KR20220151482A KR 20220151482 A KR20220151482 A KR 20220151482A KR 1020210058783 A KR1020210058783 A KR 1020210058783A KR 20210058783 A KR20210058783 A KR 20210058783A KR 20220151482 A KR20220151482 A KR 20220151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ate cancer
mir
hsa
present
diag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중
변영준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8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1482A/ko
Publication of KR20220151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78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miRNA, siRNA or ncRN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On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립선암 진단용 바이오마커로서 hsa-miR-3659 또는 hsa-miR-3679-5p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립선암 진단용 바이오마커{BIOMARKER FOR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본 발명은 전립선안 진단용 바이오마커로서 hsa-miR-3659 또는 hsa-miR-3679-5p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전립선암은 비뇨기계 종양 중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악성종양이다. 전립선암을 일으키는 주된 요인과 발생한 전립선암의 초기 진단이 전립선비대증의 그것과 거의 유사하기에 많은 학계에서는 전립선암을 진단하기 위한 전립선암 특이적 바이오마커(biomarker) 개발 실험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립선암 진단을 위한 종래기술로는 PSA(Prostate Specific Antigen) 측정 및 바이옵시가 있다. PSA 측정은 전립선암 진단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으로, 전립선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특이 항원 수치를 측정해 전립선암 위험도를 결정짓는 방법이다. 악성 전립선암일수록 PSA 수치는 높으며, 전립선암이 없는 대부분의 남성들은 4ng/mL 미만의 수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측정한 PSA 수치가 전립선암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높거나 혹은 PSA gray zone(PSA 4ng/mL 이상 10ng/mL 이하)구간에 들어 설 경우 바이옵시를 요하게 된다. 바이옵시는 암이 의심되는 장기 부분의 조직을 바늘로 취해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환자의 해당 장기에 암, 육종 등의 악성종양 유무를 진단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바이옵시 검사는 환자들로 하여금 굉장히 고통스러우며, 특히 PSA gray zone에서의 전립선암 진단의 정확률은 채 30% 가 되질 않는다. 즉 다시 말해 약 70%의 환자들이 PSA의 한계로 인해 비용이 들고 고통스러운 리바이옵시를 겪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불필요한 리바이옵시와 PSA의 한계를 극복 및 대체하기 위해 보다 높은 정확률을 가진 전립선암 특이적 진단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75816호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립선암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hsa-miR-3659 및 hsa-miR-3679-5p를 규명하고, 이의 진단 효과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hsa-miR-3659 또는 hsa-miR-3679-5p의 miRNA 발현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전립선암 진단용 조성물 및 hsa-miR-3659 또는 hsa-miR-3679-5p의 miRNA 발현수준을 측정하여 전립선암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hsa-miR-3659 또는 hsa-miR-3679-5p의 miRNA 발현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전립선암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으로부터 분리된 시료에서 hsa-miR-3659 또는 hsa-miR-3679-5p의 miRNA 발현수준을 측정한 후 대조군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립선암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PSA 진단의 낮은 민감도를 효과적으로 대체하여 전립선암의 진단 정확률을 높이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리바이옵시나 과잉진료를 방지하는 데 더욱 효과적인 진단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 설계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전립선비대증 대조군(BPH control) 및 전체 전립선암(Total PCa) 환자의 소변에서 miR-3679-5p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전립선비대증 대조군(BPH control), 국소전립선암(Localized PCa) 및 진행성 전립선암(Advanced PCa) 환자의 소변에서 miR-3679-5p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진단”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대한 한 객체의 감수성(susceptibility)을 판정하는 것, 한 객체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을 현재 가지고 있는 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걸린 한 객체의 예후(prognosis)(예컨대, 전-전이성 또는 전이성 암 상태의 동정, 암의 단계 결정 또는 치료에 대한 암의 반응성 결정)를 판정하는 것, 또는 테라메트릭스(therametrics)(예컨대, 치료 효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객체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hsa-miR-3659 또는 hsa-miR-3679-5p의 miRNA 발현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전립선암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전립선암은 전립선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서 국소전립선암(localized prostate cancer) 및 진행성 전립선암(Advanced prostate cancer)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hsa-miR-3659은 서열번호 1 또는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며, 상기 hsa-miR-3679-5p는 서열번호 3 및 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4로 기재된 염기서열은 전립선암의 진행 또는 발병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진단 마커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서열은 전립선암의 진행 또는 발명 여부를 진단하는데 있어서 일정정도 변형이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이러한 인위적인 변형에 의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의 상동성이 유지되는 염기서열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전립선암 진단 마커로서 정상 개체와 전립선암 질환을 가진 개체 간에 발현량 차이를 유의있게 비교 가능한 한, 본 발명의 상기 염기서열과 균등한 것임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마커 또는 진단 마커(diagnosis marker)"란 전립선암을 가진 개체를 정상 세포 또는 정상 개체와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는 물질로, 정상 세포에 비하여 전립선암이 진행 또는 발병된 세포 또는 개체에서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이는 폴리펩티드, 단백질 또는 핵산(예: mRNA 등), 지질, 당지질, 당단백질 또는 당(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 등) 등과 같은 유기 생체 분자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본 발명의 전립선암 진단 마커는 정상 세포 또는 조직의 세포에 비하여, 전립선암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 수준의 차이를 보이는 miRNA 또는 해당 miRNA의 단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miRNA 또는 이의 단편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란, 시료에 포함된 해당 miRNA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제제를 의미하는데, 바람직하게는 RT-PCR, 경쟁적 RTPCR(Competitive RT-PCR), 실시간 RT-PCR(Real-tim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RPA; RNase protection assay), 노던 블럿팅(Northern blotting), 유전자 칩 분석법 등의 방법에 사용되는 표적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프라이머, 프로브 또는 항체가 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프라이머"란, 짧은 자유 3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group)를 가지는 핵산서열로 상보적인 템플레이트(template)와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템플레이트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즉, DNA 폴리머레이즈 또는 역전사효소)을 위한 시약 및 상이한 4가지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의 존재하에서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프로브"란, 유전자 또는 mRNA와 특이적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짧게는 수 염기 내지 길게는 수백 염기에 해당하는 RNA 또는 DNA 등의 핵산 단편을 의미하는데,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프로브, 단쇄 DNA(single stranded DNA) 프로브, 이중쇄 DNA(double stranded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보다 용이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라벨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으로부터 분리된 시료에서 hsa-miR-3659, hsa-miR-3679-5p 또는 이의 단편의 miRNA 발현수준을 측정한 후 대조군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대상으로부터 분리된 시료에서 상기 hsa-miR-3659, hsa-miR-3679-5p 또는 이의 단편의 miRNA 발현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하향발현될 경우 전립선암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대조군은 정상 환자 대조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miRNA의 발현은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RT-PCR), 경쟁적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competitive RT-PCR), 실시간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real time quantitativ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RNase protection method), 노던 블랏팅(Northern blotting) 또는 유전자 칩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시료는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뇌척수액 또는 소변과 같은 시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1) 후보물질을 hsa-miR-3659, hsa-miR-3679-5p 또는 이의 단편을 발현하는 세포주에 처리하는 단계; 2) 후보물질이 처리된 세포주에서 상기 hsa-miR-3659, hsa-miR-3679-5p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3) 후보물질을 무처리한 대조군 세포주와 비교하여 hsa-miR-3659, hsa-miR-3679-5p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량이 증가된 후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립선암 치료제 후보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대조군인 전립선암이 발병된 실험동물의 시료로부터 hsa-miR-3659, hsa-miR-3679-5p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2) 상기 실험동물에 전립선암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후보물질을 투여하는 단계; 3) 실험군인 상기 후보물질이 투여된 실험동물의 시료로부터 hsa-miR-3659, hsa-miR-3679-5p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4) 대조군에서 측정된 hsa-miR-3659, hsa-miR-3679-5p 또는 이의 단편의 수준을 실험군에서 측정된 것과 비교하여, 대조군에서 측정된 것보다도 실험군에서 측정된 것이 높은 수준을 나타낼 경우 후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립선암 치료제 후보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hsa-miR-3659, hsa-miR-3679-5p 또는 이의 단편의 발현을 표적으로 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제는 hsa-miR-3659, hsa-miR-3679-5p 또는 이의 단편을 표적으로 하여 발현을 증가시키는 증진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소변 및 혈청 샘플 준비
본 실험에서는 충북대 병원에서 제공된 전립선비대증 환자 51개의 소변 샘플과, 전립선암 환자 95개의 소변 샘플(국소전립선암: 32개, 진행성 전립선암: 61개)을 이용하였다. 전립선암 및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 수술 전 아침에 첫 소변을 채취하였다. 소변 샘플을 2,500 rpm에서 15 분간 원심 분리하고 상등액을 -80℃에 보관하였다. 혈청 샘플은 수술날 아침에 채취하여 -80℃에 보관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
RecoverAll Total Nucleic Acid Isolation Kit (Life Technologies, Carlsbad, CA, USA)를 이용하여 소변 샘플로부터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RNA의 양(quantity) 및 무결성(integrity)은 RNA 6000 Pico Chip Kit(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와 Agilent 2100 Bioanalyzer로 검사하였다. 1,205개의 인간 miRNA 및 144 개의 바이러스 miRNA를 검사하는 Agilent Human miRNA Microarray Release 16.0 플랫폼을 사용하여 miRNA 프로파일링을 수행하였다.
소변 샘플로부터 miRNA 추출
소변 샘플로부터 miRNA를 추출하기 위하여 Genolution urine miRNA purification kit (Genolution Pharmaceuticals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였다. Genolution proprietary miRNA 분리 용액이 들어있는 튜브에 각 소변 샘플의 상등액 500μL를 첨가하고, 20초간 볼텍싱했다. 이후, 200μL의 클로로포름을 첨가하고 10초간 복텍싱한 다음, 4℃에서 1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를 진행하였다. 하얀색의 침전물 없이 상층의 수용액상을 600μL 수득하여 1.5ml 새로운 튜브에 옮기고, 800μL의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한 다음 4℃에서 15,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를 진행하였다. 원심분리가 완료된 용액은 예상되는 RNA 펠렛 반대 반향으로 가만히 부었다. 그리고 70% 에탄올을 1ml 첨가하고 4℃에서 15,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를 진행하였다. 남은 에탄올을 제거한 후, 40 μL의 RNase-free water에 펠렛을 녹여 실험에 사용할 때까지 -80℃에 보관하였다.
소변 샘플로부터 추출된 miRNA의 cDNA 합성
소변 샘플로부터 추출된 mi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기 위하여 The Mir-XTM miRNA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 (Clontech, TAKARA, Otsu, Japan)를 이용하였다. 각 RNase-free 0.2ml 튜브에 mRQ Buffer (2x) 5 μL, mRQ 효소 1.25 μL 및 miRNA 샘플 3.75 μL를 첨가하고 시약을 thermocycler에 잘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효소 불활성화를 위해 85℃에서 5분 동안 반응을 종료시키고, 얼음에 놓아두었다. 90μl ddH2O를 첨가하여 총 부피를 100μl로 만들었다.
Real-time PCR
[0075] 소변 샘플로부터 추출한 miRNA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Rotor Gene 6000 장비 (Corbett Research, Mortlake, Australia)를 사용하여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 반응 (RT-PCR)을 수행하였다. RT-PCR를 위해 SsoFast EvaGreen Supermix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를 포함하는 미세 반응 튜브 (Corbett Research)를 사용하였다. miRNA 증폭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디자인된 포워드 프라이머를 사용하였다. MiR-3659 : 5'- UGA GUG UUG UCU ACG AGG GCA -3'(21 염기쌍)(서열번호 1). MiR-3679-5p : 5'- UGA GGA UAU GGC AGG GAA GGG GA -3'(23 염기쌍)(서열번호 3). 시약과 주형 cDNA를 해동한 후 5μL 2X QuantiTect SYBR Green PCR master mix, 0.2 μL 10X miScript universal primer, 0.2 μL 10 pmol forward primer, 2 μL template cDNA 및 2.6μL RNase-free water를 포함하는 10 μL의 최종 부피로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RT-PCR 조건은 다음과 같다. 95℃에서 5초 및 60℃에서 20초간 45사이클 후 95℃에서 60초, 55℃에서 30초 및 95℃에서 30초 1회 사이클을 진행하였다. 멜팅 프로그램(melting program)은 70℃에서 99℃까지 5초 당 1℃의 가열속도로 수행되었다. 스펙트럼 데이터는 Rotor-Gene Q 소프트웨어 2.3.1.49를 사용하여 캡처하고 분석하였다. 모든 샘플은 3 반복 실험하였다.
통계분석
[0078] Mann-Whitney U 검사를 전립선암에서 샘플 소변 miRNA 발현에 이용하였다.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0.0 (IBM Co., Armonk, NY)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P <0.05는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실시예 2. 결과
흐름도 및 전체적인 실험 설계는 도 1에서 나타내었다. 전립선암에 특이적인 후보 소변 miRNA를 동정하기 위하여, 전립선암 환자로부터 14개의 소변 샘플 및 5개의 전립선비대증 대조군 소변 샘플로 이루어진 디스커버리 코호트를 miRNA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먼저 마이크로어레이를 통해 유전자를 총 60개 선별하였다(표 1). 초반 Pilot test cohort (전립선암 36개[국소전립선암 18개, 진행성 전립선암 18개], 전립선비대증 대조군 18개)을 통해 최종 후보 유전자 선별을 진행하였다. 최종 후보 유전자 선별을 위해 ① 종양과 비종양 대조군 소변 샘플 모두에서 다른 유전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현량이 많아 qRT-PCR을 통해 안정적으로 분석이 가능한 유전자를 선별하였으며, ②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군을 대상으로 하여 비종양 대조군에 비해 종양군에서 하향 발현되는 유전자를 선별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통해 도출된 최종적인 2개의 miRNA (hsa-miR-3659 및 hsa-[0084] miR-3679-5p)는 이후 전립선암(93명) 및 전립선비대증(51명) 환자로부터 수득한 총 144개의 소변 샘플에서 검출마커로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1
환자 및 대조군의 기본적인 특성은 하기 표 2에서 나타내었다. 총 147개의 소변 샘플(전립선암-93, 전립선비대증-51)을 본 실험에서 이용하였다. 한편, 전립선암 샘플은 32개의 국소전립선암 및 61개의 진행성 전립성으로 분류된다. 전립선암 환자의 평균 연령은 67.03 ± 5.48 세; 전립선비대증 대조군의 평균 연령은 69.37 ± 8.87이었다. 전립선암 환자에서 평균 PSA(serum prostate-specific antigen; 전립선 특이항원) 수치는 11.8± 124.31 ng/ml; 전립선비대증 대조군의 평균 PSA 수치는 3.16 ± 274.02 ng/ml이었다.
Figure pat00002
hsa-miR-3679-5p의 발현양 측정
본 발명의 전립선암 miRNA 마커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립선비대증 대조군 및 전립선암에서 miRNA 발현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플롯은 전체 전립선암 소변 샘플(국소전립선암 및 전이성 전립성암을 포함)에서 miR-3679-5p 발현 수준이 전립선비대증 대조군에 비해 두드러지게 낮은 것을 보여주었다(P<0.001). 또한,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RT-PCR 결과는 전립선비대증 소변 샘플과 비교하여 국소전립선암 및 진행성 전립선암 모두의 소변 샘플에서 miR-3679-5p의 발현이 하향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각각 P=0.667, P<0.001).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BIOMARKER FOR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130> PN2104-197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iR-3659 <400> 1 ugaguguugu cuacgagggc a 21 <210> 2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iR-3659 <400> 2 ugcccucgua gacaacacuc a 21 <210> 3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iR-3679-5p <400> 3 ugaggauaug gcagggaagg gga 23 <210> 4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iR-3679-5p <400> 4 uccccuuccc ugccauaucc uca 23

Claims (5)

  1. hsa-miR-3659 또는 hsa-miR-3679-5p의 miRNA 발현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전립선암 진단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sa-miR-3659은 서열번호 1 또는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며, 상기 hsa-miR-3679-5p는 서열번호 3 및 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전립선암 진단용 조성물.
  3. 대상으로부터 분리된 시료에서 hsa-miR-3659 또는 hsa-miR-3679-5p의 miRNA 발현수준을 측정한 후 대조군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hsa-miR-3659 또는 hsa-miR-3679-5p의 miRNA 발현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하향발현될 경우 전립선암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전립선암의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뇌척수액 또는 소변인 것인, 전립선암의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0210058783A 2021-05-06 2021-05-06 전립선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KR20220151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83A KR20220151482A (ko) 2021-05-06 2021-05-06 전립선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83A KR20220151482A (ko) 2021-05-06 2021-05-06 전립선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482A true KR20220151482A (ko) 2022-11-15

Family

ID=8404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783A KR20220151482A (ko) 2021-05-06 2021-05-06 전립선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14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111517A (en) Methods, primers, probes and kits useful for the detection of BRAF mutations
WO2011158667A1 (ja) 大腸腫瘍の検出方法
CN106701964A (zh) 血清外泌体miRNA生物标志物及用于胃癌早期诊断的试剂盒
US20130323740A1 (en) Direct blood assay for detection of circulating microrna in cancer patients
CN110229899B (zh) 用于结直肠癌早期诊断或预后预测的血浆标记物组合
KR102052398B1 (ko) 전립선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CN108753980A (zh) 一种甲状腺微小乳头状癌的转移性筛查的筛查试剂盒
EP3526347B1 (en) Indoleamine-2,3-dioxygenase assay for prostate cancer diagnosis and prognosis
WO2015137406A1 (ja) 肺扁平上皮癌と肺腺癌の鑑別評価方法
KR20220151482A (ko) 전립선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US11542559B2 (en) Methylation-based biomarkers in breast cancer screening, diagnosis, or prognosis
EA010571B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немелкоклеточного рака легких и набор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374647C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рака толстой кишки и набор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390780C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немелкоклеточного рака легкого и набор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550113B1 (ko) 전립선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US11676724B1 (en) Method of calculating diagnostic score for prostate cancer and use thereof
KR102133432B1 (ko) 폐암 질환의 진단용 마커
EP4212632A1 (en) Method for calculating prostate cancer diagnostic score, and uses thereof
WO2024001602A1 (zh) 一种用于检测胃癌的组合物,试剂盒及其用途
WO2022196750A1 (ja) 子宮体がんのリンパ節転移能の評価方法のためのコンパニオンマーカー
KR101930818B1 (ko) 방광암의 비침습적 진단 방법
KR102131519B1 (ko) 간암 전이 진단 또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20220166744A (ko) 전립선 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RU2618409C1 (ru) Способ дифференциальной диагностики рака предстательной железы на основе анализа микрорнк плазмы крови
WO2014151465A1 (en) Brain-specific gene signature of tumor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