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269A -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리니어 부쉬 유닛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리니어 부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269A
KR20220151269A KR1020210058288A KR20210058288A KR20220151269A KR 20220151269 A KR20220151269 A KR 20220151269A KR 1020210058288 A KR1020210058288 A KR 1020210058288A KR 20210058288 A KR20210058288 A KR 20210058288A KR 20220151269 A KR20220151269 A KR 20220151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flange
hole
bush unit
linear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8981B1 (ko
Inventor
김상일
김성근
전성진
Original Assignee
(주)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에스 filed Critical (주)엔에스
Priority to KR1020210058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98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2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4Sealing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샤프트를 지지하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리니어 부쉬 유닛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샤프트가 통과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밀폐 부재, 그리고 상기 밀폐 부재의 제1 관통홀 입구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샤프트가 통과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의 출구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충진 홈, 그리고 상기 오일 충진 홈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관통홀의 출구 영역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차단 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리니어 부쉬 유닛{Linear bush unit for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샤프트를 지지하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리니어 부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방법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파우치에 수납하는 패키징 공정과, 패키징된 이차전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에이징하는 에이징 공정과, 패키징 공정과 에이징 공정 중에 이차전지의 내부에서 발생한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1차 디개싱 공정과, 이차전지에 대한 최초의 충방전을 실시하여 이차전지를 활성화시키는 충방전 공정과, 이차전지의 활성화 중에 발생한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2차 디개싱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1차 디개싱 공정과 2차 디개싱 공정(이하, '디개싱 공정'이라고 함)을 실시하기 위하여, 이차전지를 진공 챔버의 내부 공간에 투입하고, 이후에 파우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이차전지의 내부 가스를 파우치의 절개부를 통해 진공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디개싱을 실시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 제조 장치는, 진공 챔버의 내부 공간에서 이차 전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이송 유닛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이송 유닛들은, 원통형 샤프트를 지지하며 원통형 샤프트의 직선 왕복 운동을 원할하게 수행하도록 리니어 부쉬 유닛들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리니어 부쉬 유닛은, 진공 챔버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므로, 이차전지의 디개싱 가스에 의한 화학적 환경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챔버 내부의 진공 환경 및 챔버 내부 온도 변화 등에 의해 빠른 부식으로 수명이 줄어들고, 부쉬 유닛의 내부 오일이 챔버 내부로 유출되어 챔버 내부를 오염시키며, 부쉬 유닛의 내부 오일 유출로 인한 내부 오일 감소로 부쉬와 샤프트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진공 챔버의 다양한 환경 변화에서도 내부 오일 유출을 방지하고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리니어 부쉬 유닛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77534호(2011년 10월 21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밀폐 부재 내면에 적어도 하나의 오일 충진 홈과 오일 차단 홈을 형성함으로써, 진공 챔버 내부의 다양한 환경 변화에서도 내부 오일 유출을 차단하여 부쉬 유닛과 샤프트의 손상을 방지하고 챔버 내부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리니어 부쉬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챔버 내에 일부가 삽입되는 리니어 부쉬 유닛은, 소정의 샤프트가 통과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밀폐 부재, 그리고 상기 밀폐 부재의 제1 관통홀 입구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샤프트가 통과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의 출구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충진 홈, 그리고 상기 오일 충진 홈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관통홀의 출구 영역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차단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부쉬 유닛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오일 차단 홈은, 상기 제1 관통홀의 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오일 차단 홈과, 상기 제1 관통홀의 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오일 차단 홈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 충진 홈은, 상기 제1, 제2 오일 차단 홈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니어 부쉬 유닛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오일 충진 홈 내에 충진되는 윤활제, 그리고 상기 오일 차단 홈 내에 삽입되는 씰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부쉬 유닛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챔버에 체결되는 플랜지, 그리고 상기 플랜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챔버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부쉬 유닛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 부재의 플랜지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 홈,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를 마주하는 면에서 상기 챔버를 마주하는 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부쉬 유닛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체결 홀은, 상기 플랜지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에 체결되고, 상기 다수의 체결 홈은, 상기 플랜지의 체결 홀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에 체결될 수 있다.
리니어 부쉬 유닛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 부재의 플랜지는, 상기 체결 홈 내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밀폐 부재의 플랜지에 고정시키는 제1 체결 부재, 그리고 상기 체결 홀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밀폐 부재의 플랜지를 상기 챔버 외측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부쉬 유닛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 부재의 플랜지는, 상기 챔버를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밀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리니어 부쉬 유닛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플랜지의 밀폐 홈 내에는, 씰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부쉬 유닛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밀폐 부재에 체결되는 플랜지, 상기 밀폐 부재의 제1 관통홀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상기 플랜지로부터 상기 밀폐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니어 부쉬 유닛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밀폐 부재 내면에 적어도 하나의 오일 충진 홈과 오일 차단 홈을 형성함으로써, 진공 챔버 내부의 다양한 환경 변화에서도 내부 오일 유출을 차단하여 부쉬 유닛과 샤프트의 손상을 방지하고 챔버 내부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부쉬 유닛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리니어 부쉬 유닛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챔버 내에 장착된 리니어 부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리니어 부쉬 유닛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부쉬 유닛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리니어 부쉬 유닛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부쉬 유닛(100)은, 소정의 샤프트가 통과하는 제1 관통홀(130)이 형성되는 밀폐 부재(100), 그리고 밀폐 부재(100)의 제1 관통홀(130) 입구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샤프트가 통과하는 제2 관통홀(230)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밀폐 부재(100)는, 제1 관통홀(130)의 출구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충진 홈(140), 그리고 오일 충진 홈(140)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관통홀(130)의 출구 영역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차단 홈(1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밀폐 부재(100)의 제1 관통홀(130)은, 입구 직경 D4과 출구 직경 D1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도 4와 같이, 밀폐 부재(100)의 제1 관통홀(130)은, 가이드 부재(200)가 일부 삽입되는 입구 직경 D4이 출구 직경 D1보다 더 클 수 있다.
그 이유는, 밀폐 부재(100)의 제1 관통홀(130) 입구에 가이드 부재(200)를 쉽게 삽입하여 체결하기 위함이다.
이어, 도 4와 같이, 밀폐 부재(100)의 제1 관통홀(130)은, 입구 직경 D4이 가이드 부재(200)의 외경 D5 이상이고, 출구 직경 D1이 가이드 부재(200)의 제2 관통홀(230)의 직경 D6과 동일할 수 있다.
다음, 밀폐 부재(100)의 오일 충진 홈(140)은, 출구 내측면에 대해 제1 깊이를 가지고, 밀폐 부재(100)의 오일 차단 홈(150)은, 출구 내측면에 대해 제2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오일 충진 홈(140)의 제1 깊이는, 오일 차단 홈(150)의 제2 깊이와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오일 충진 홈(140)의 제1 깊이는, 오일 차단 홈(150)의 제2 깊이보다 더 깊을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오일 충진 홈(140)의 깊이를 깊게하면 오일 충진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샤프트와 부쉬 유닛의 손상을 줄여 수명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오일 충진 홈(140)의 내경 D3은, 제1 관통홀(130)의 입구 내경 D4보다 더 작고, 제1 관통홀(130)의 출구 내경 D1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오일 차단 홈(150)의 내경 D2은, 제1 관통홀(130)의 입구 내경 D4보다 더 작고, 제1 관통홀(130)의 출구 내경 D1보다 더 클 수 있다.
일 예로, 오일 충진 홈(140)의 내경 D3은, 오일 차단 홈(150)의 내경 D2과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오일 충진 홈(140)의 내경 D3은, 오일 차단 홈(150)의 내경 D2보다 더 클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오일 충진 홈(140)의 내경을 크게하면 오일 충진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샤프트와 부쉬 유닛의 손상을 줄여 수명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일 충진 홈(140)의 개수는, 오일 차단 홈(150)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오일 차단 홈(150)의 개수를 늘려 오일의 외부 누출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오일 충진 홈(140)은, 오일 차단 홈(150)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오일 충진 홈(140) 내에 충진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경우에 따라, 오일 충진 홈(140)의 개수는, 오일 차단 홈(150)의 개수와 동일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오일 충진 홈(140)의 오일 충진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샤프트와 부쉬 유닛의 손상을 줄여 수명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오일 충진 홈(140)은, 오일 차단 홈(150)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오일 충진 홈(140) 내에 충진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다음, 오일 차단 홈(150)은, 제1 관통홀(130)의 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오일 차단 홈과, 제1 관통홀(130)의 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오일 차단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오일 충진 홈(140)은, 제1, 제2 오일 차단 홈들 사이에 배될 수 있다.
또한, 밀폐 부재(100)는, 오일 충진 홈(140) 내에 충진되는 윤활제와, 오일 차단 홈(150) 내에 삽입되는 씰링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씰링 부재(152)는, 쿼더링(quad ring)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어, 밀폐 부재(100)는, 가이드 부재(200)와 챔버에 체결되는 플랜지(110)와, 플랜지(110)로부터 돌출되어 챔버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밀폐 부재(100)의 오일 차단 홈(150)은, 플랜지(110)의 제1 관통홀(130) 내측과 삽입부(120)의 제1 관통홀(130) 내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밀폐 부재(100)의 오일 충진 홈(140)은, 삽입부(120)의 제1 관통홀(130) 내측에만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밀폐 부재(100)의 플랜지(110)는, 가이드 부재(200)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 홈(112)과, 가이드 부재(200)를 마주하는 면에서 챔버를 마주하는 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 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체결 홀(114)은, 플랜지(110)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어 챔버에 체결되고, 다수의 체결 홈(112)은, 플랜지(110)의 체결 홀(114)들 사이에 형성되어 가이드 부재(200)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밀폐 부재(100)의 플랜지(110)는, 체결 홈(112)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부재(200)를 밀폐 부재(100)의 플랜지(110)에 고정시키는 제1 체결 부재와, 체결 홀(114) 내에 삽입되어 밀폐 부재(100)의 플랜지(110)를 챔버 외측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밀폐 부재(100)의 플랜지(110)는, 챔버를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밀폐 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10)의 밀폐 홈(160) 내에는, 씰링 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씰링 부재(162)는, 오링(oring)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도 2와 같이, 가이드 부재(200)는, 밀폐 부재(100)에 체결되는 플랜지(210), 밀폐 부재(100)의 제1 관통홀(130)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240), 그리고 플랜지(210)로부터 밀폐 부재(10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200)의 플랜지(210)는, 밀폐 부재(100)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 홀(2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체결 홀(212)은, 밀폐 부재(100)의 체결 홈(112)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어, 가이드 부재(200)의 플랜지(210)는, 체결 홀(212)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부재(200)의 플랜지(210)를 밀폐 부재(100)에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00)는, 돌출부(220)의 길이가 삽입부(240)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200)는, 제2 관통홀(230)의 내경 D6이 밀폐 부재(100)의 출구 내경 D1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밀폐 부재 내면에 적어도 하나의 오일 충진 홈과 오일 차단 홈을 형성함으로써, 진공 챔버 내부의 다양한 환경 변화에서도 내부 오일 유출을 차단하여 부쉬 유닛과 샤프트의 손상을 방지하고 챔버 내부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챔버 내에 장착된 리니어 부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의 하부 포켓(10)에는, 수용된 이차전지의 파우치를 이송하는 전지 이송 유닛, 전지 이송 유닛의 샤프트(510)를 지지하고 샤프트(510)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리니어 부쉬 유닛(500) 및 수용된 이차전지의 파우치를 가압하는 전지 가압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리니어 부쉬 유닛(500)은, 샤프트(510)가 통과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밀폐 부재와, 밀폐 부재의 제1 관통홀 입구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샤프트(510)가 통과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밀폐 부재는, 제1 관통홀의 출구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충진 홈과, 오일 충진 홈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관통홀의 출구 영역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차단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밀폐 부재는, 오일 충진 홈 내에 충진되는 윤활제와, 오일 차단 홈 내에 삽입되는 씰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밀폐 부재는, 가이드 부재와 챔버의 하부 포켓(10)에 체결되는 플랜지와, 플랜지로부터 돌출되어 챔버의 하부 포켓(10)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밀폐 부재의 플랜지는, 체결 홈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부재를 밀폐 부재의 플랜지에 고정시키는 제1 체결 부재와, 체결 홀 내에 삽입되어 밀폐 부재의 플랜지를 챔버 외측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밀폐 부재의 플랜지는, 챔버의 하부 포켓(10)를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밀폐 홈이 형성되고, 플랜지의 밀폐 홈 내에는, 씰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는, 밀폐 부재에 체결되는 플랜지와, 플랜지로부터 챔버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의 플랜지는, 밀폐 부재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가이드 부재의 플랜지는, 체결 홀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부재의 플랜지를 밀폐 부재에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리니어 부쉬 유닛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은,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챔버 중 상부 포켓과 하부 포켓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챔버 중 상부 포켓과 하부 포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우치 실링 유닛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 장치는, 수용된 이차전지(B)의 파우치(P)를 이송하는 전지 이송 유닛(30), 전지 이송 유닛(30)의 샤프트를 지지하고 샤프트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리니어 부쉬 유닛 및 수용된 이차전지의 파우치를 가압하는 전지 가압 유닛(40)을 각각 구비하는 한쌍의 하부 포켓(10)과, 한쌍의 하부 포켓(10)으로부터 삽입되는 이차전지의 파우치들을 각각 피어싱하는 한쌍의 피어싱 유닛(50)과 이차전지(B)의 파우치(P)들을 실링하는 한쌍의 실링 유닛(60)이 구비되는 상부 포켓(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포켓(20)은, 고정되고, 한쌍의 하부 포켓(10)은, 상하 이동되어 상부 포켓(20)에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하부 포켓(10)은, 제1 이차전지의 파우치(P)를 수용하는 제1 하부 포켓과, 제2 이차전지의 파우치(P)를 수용하고 제1 하부 포켓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대칭되어 배치되는 제2 하부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하부 포켓은, 동시에 상하 이동되어 상부 포켓(20)에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하부 포켓(10)은, 이차전지(B)의 파우치(P)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측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차전지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과, 하부 공간에 수용된 이차전지를 이송하는 전지 이송 유닛(30)과, 전지 이송 유닛(30)의 샤프트를 지지하고 샤프트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리니어 부쉬 유닛과, 하부 공간에 수용된 이차전지를 가압하는 전지 가압 유닛(40)을 각각 구비하며, 2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리니어 부쉬 유닛은, 샤프트가 통과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밀폐 부재와, 밀폐 부재의 제1 관통홀 입구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샤프트가 통과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밀폐 부재는, 제1 관통홀의 출구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충진 홈과, 오일 충진 홈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관통홀의 출구 영역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차단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밀폐 부재는, 오일 충진 홈 내에 충진되는 윤활제와, 오일 차단 홈 내에 삽입되는 씰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밀폐 부재는, 가이드 부재와 하부 포켓(10)에 체결되는 플랜지와, 플랜지로부터 돌출되어 하부 포켓(10)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밀폐 부재의 플랜지는, 체결 홈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부재를 밀폐 부재의 플랜지에 고정시키는 제1 체결 부재와, 체결 홀 내에 삽입되어 밀폐 부재의 플랜지를 챔버 외측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밀폐 부재의 플랜지는, 하부 포켓(10)를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밀폐 홈이 형성되고, 플랜지의 밀폐 홈 내에는, 씰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는, 밀폐 부재에 체결되는 플랜지와, 플랜지로부터 챔버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의 플랜지는, 밀폐 부재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가이드 부재의 플랜지는, 체결 홀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부재의 플랜지를 밀폐 부재에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포켓(20)은, 제1 이차전지의 파우치를 피어싱하는 제1 피어싱 유닛과 제1 이차전지의 파우치를 실링하는 제1 실링 유닛을 구비하는 제1 상부 공간과, 제2 이차전지의 파우치를 피어싱하는 제2 피어싱 유닛과 제2 이차전지의 파우치를 실링하는 제2 실링 유닛을 구비하는 제2 상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피어싱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어 배치되고, 제1, 제2 이차전지의 파우치를 동시에 또는 개별로 피어싱할 수 있다.
이어, 제1, 제2 실링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어 배치되고, 제1, 제2 이차전지의 파우치를 동시에 또는 개별로 피어싱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포켓(20)은, 하부 포켓(10)들의 상측 개구부들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한쌍의 파우치들이 한쌍의 하측 개구부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각각 삽입되는 상부 공간과, 상부 공간에 삽입된 파우치들 중 어느 하나의 미리 정해진 피어싱 영역을 각각 피어싱하는 한쌍의 피어싱 유닛(50)들과, 상부 공간에 삽입된 파우치들 중 어느 하나의 미리 정해진 실링 영역을 각각 실링하는 한쌍의 실링 유닛(60)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피어싱 유닛(50)은, 상부 포켓(20) 내의 파우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결합되어 파우치(P)의 소정 영역을 피어싱하는 피어싱부(53), 지지부 및 피어싱부(53)를 파우치(P)의 일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피어싱 이송부(55), 파우치(P)의 타측을 지지하고 피어싱부(53)를 안내하는 가이드부(57), 그리고 가이드부(57)를 파우치(P)의 타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가이드 이송부(5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어싱 이송부(53)와 가이드 이송부(59)는, 상부 포켓(2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이송부(59)의 실린더 로드는, 상부 포켓(20)의 내부 공간 내에서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되는 절곡 구조 형상을 가지고, 피어싱 이송부(55)의 실린더 로드는, 상부 포켓(20)의 내부 공간 내에서 가이드 이송부(59)의 실린더 로드 하부에 위치하고 직선 구조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어, 실링 유닛(60)은, 상부 포켓(20) 내의 파우치(P)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파우치의 실링 영역을 실링하는 제1, 제2 실링부(62, 64), 제1 실링부(62)를 소정 위치에 고정 배치하는 고정부(66), 그리고 제2 실링부(64)를 파우치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실링부(62)는, 실링 시, 고정부(66)에 고정되어 파우치(P)의 이송에 의해 파우치의 실링 영역 제1 측면에 접촉되고, 제2 실링부(64)는, 실링 시, 이송부(68)에 의해 이송되어 파우치의 실링 영역 제2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밀폐 부재 내면에 적어도 하나의 오일 충진 홈과 오일 차단 홈을 형성함으로써, 진공 챔버 내부의 다양한 환경 변화에서도 내부 오일 유출을 차단하여 부쉬 유닛과 샤프트의 손상을 방지하고 챔버 내부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밀폐 부재
110: 플랜지
120: 삽입부
130: 제1 관통홀
140: 오일 충진 홈
150: 오일 차단 홈
160: 밀폐 홈
200: 가이드 부재
210: 플랜지
220: 돌출부
230: 제2 관통홀
240: 삽입부
500: 리니어 부쉬 유닛

Claims (10)

  1.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챔버 내에 일부가 삽입되는 리니어 부쉬 유닛에 있어서,
    소정의 샤프트가 통과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밀폐 부재; 그리고,
    상기 밀폐 부재의 제1 관통홀 입구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샤프트가 통과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의 출구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충진 홈; 그리고,
    상기 오일 충진 홈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관통홀의 출구 영역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차단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부쉬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차단 홈은,
    상기 제1 관통홀의 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오일 차단 홈과,
    상기 제1 관통홀의 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오일 차단 홈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 충진 홈은,
    상기 제1, 제2 오일 차단 홈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부쉬 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오일 충진 홈 내에 충진되는 윤활제; 그리고,
    상기 오일 차단 홈 내에 삽입되는 씰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부쉬 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챔버에 체결되는 플랜지; 그리고,
    상기 플랜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챔버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부쉬 유닛.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의 플랜지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 홈;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를 마주하는 면에서 상기 챔버를 마주하는 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부쉬 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체결 홀은,
    상기 플랜지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에 체결되고,
    상기 다수의 체결 홈은,
    상기 플랜지의 체결 홀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부쉬 유닛.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의 플랜지는,
    상기 체결 홈 내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밀폐 부재의 플랜지에 고정시키는 제1 체결 부재; 그리고,
    상기 체결 홀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밀폐 부재의 플랜지를 상기 챔버 외측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부쉬 유닛.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의 플랜지는,
    상기 챔버를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밀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부쉬 유닛.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밀폐 홈 내에는,
    씰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부쉬 유닛.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밀폐 부재에 체결되는 플랜지;
    상기 밀폐 부재의 제1 관통홀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상기 플랜지로부터 상기 밀폐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부쉬 유닛.
KR1020210058288A 2021-05-06 2021-05-06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리니어 부쉬 유닛 KR102558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288A KR102558981B1 (ko) 2021-05-06 2021-05-06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리니어 부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288A KR102558981B1 (ko) 2021-05-06 2021-05-06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리니어 부쉬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269A true KR20220151269A (ko) 2022-11-15
KR102558981B1 KR102558981B1 (ko) 2023-07-24

Family

ID=8404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288A KR102558981B1 (ko) 2021-05-06 2021-05-06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리니어 부쉬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9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029B1 (ko) * 2006-03-16 2007-09-07 주식회사 신원기계부품 진공 압력 장비용 회전 및 왕복운동 밀폐장치
KR101077534B1 (ko) 2009-06-02 2011-10-27 잘만정공 주식회사 리니어 부쉬
CN212155474U (zh) * 2020-04-08 2020-12-15 扬州市永强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铜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029B1 (ko) * 2006-03-16 2007-09-07 주식회사 신원기계부품 진공 압력 장비용 회전 및 왕복운동 밀폐장치
KR101077534B1 (ko) 2009-06-02 2011-10-27 잘만정공 주식회사 리니어 부쉬
CN212155474U (zh) * 2020-04-08 2020-12-15 扬州市永强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铜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981B1 (ko) 202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93918A1 (en) Lead-acid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d member of lead-acid battery
US20150020578A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leak of battery and method of inspecting leak of battery using the apparatus
EP3916866A1 (en) Battery pack
KR102558981B1 (ko)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리니어 부쉬 유닛
KR102092270B1 (ko) 파우치형 전지셀의 리크 검출장치 및 방법
US20110171507A1 (en) Secondary battery
US20150059445A1 (en) Container cover to close a transporter and/or storage container
US20060192343A1 (en) Liquid-sealing shaft seal apparatus and rotary electrical machine using the shaft seal apparatus
US20140219587A1 (en) Linear Guide Apparatus
KR100450355B1 (ko) 기체 배출 밸브
EP2475026B1 (en) Cap assembly for preventing gasket sag,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20220127668A (ko)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리니어 부쉬 유닛
KR102553642B1 (ko) 피어싱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피어싱 장치와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
KR20230061718A (ko)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KR102386656B1 (ko)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파우치 실링 유닛
KR20190107408A (ko) 세그먼트 장착장치, 세그먼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열처리 시스템
US20200278034A1 (en) Valve assembly
KR101326156B1 (ko) 아임계 변환장치
KR102673476B1 (ko)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배터리 셀 커버 실링 유닛
KR200278474Y1 (ko) 잉크 프린터용 카트리지의 잉크 재충전구조
TWI830583B (zh) 半導體高壓退火裝置
JP2005308019A (ja) シール装置
JP2002216721A (ja) 電池からの漏液対策構造
KR20050001008A (ko) 노트북배터리용 배터리 누설시험장비
JP4214549B2 (ja) 放射性廃棄物収納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