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059A -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 - Google Patents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059A
KR20220151059A KR1020210057766A KR20210057766A KR20220151059A KR 20220151059 A KR20220151059 A KR 20220151059A KR 1020210057766 A KR1020210057766 A KR 1020210057766A KR 20210057766 A KR20210057766 A KR 20210057766A KR 20220151059 A KR20220151059 A KR 20220151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high
doll
ball joint
rece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동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니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니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니월드
Priority to KR1020210057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1059A/ko
Publication of KR2022015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부가 형성된 골반기재 및 상기 골반기재에 형성된 수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와이어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피수용체를 갖는 허벅지기재를 포함하여 하반신의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구체관절 인형은 하반신의 폭 넓은 절곡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동작의 연출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 {Ball joint doll with improved movement}
본 발명은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반신의 폭 넓은 절곡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동작의 연출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체 관절 인형은 주로 개인의 취미를 위한 소장용 또는 인체의 모형을 구현하기 위한 전시용도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930년 독일의 초현실주의 미술가 한스 벨머에 의해 구체로 관절 인형을 만들어 인체를 표현한 것이 구체 관절 인형의 시초이며, 그 이후 일본의 인형작가들에 의해 현대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구체 관절 인형의 가장 큰 특징은 관절 부분을 둥글게 만들고, 이를 분해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인체의 각 관절 부위를 만들어 이 부위들을 서로 결합하면 하나의 인형이 완성되며, 손가락 마디까지 구체 관절로 연결되는 정교한 것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구체관절인형의 제조방법으로는 플렉서블한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는 사출 성형방식과 내부에 중공부를 갖도록 성형하면서 내부에 포즈 고정용 철사나 연결 링크 등을 매입하여 만드는 방식인 슬러시 성형(SLUSH MOLDING)방식이 있다.
현재 구체 관절 인형에 대한 관심은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동호회 및 각 인형 타입별, 지역별, 연령별로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상호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온라인을 벗어나 소수의 인형 매니아층은 상호교류를 위해 오프라인 모임을 결성하여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구체관절인형에 대한 관심이 수집을 위해 구입하여 단순히 놀고 즐기던 개념을 탈피하여 현재는 아이 내지 애완용 동물같은 존재로 키워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관심은 메이크업, 의상, 안구, 가발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다는 매력을 소유자 혼자 즐기기보다 직접 연출한 구체 관절 인형의 다양한 맵씨를 상기와 같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의 커뮤니티 등을 통해 자신이 연출한 인형을 소개하고 평가를 묻고 이에 평을 해주는 등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변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구체관절인형은 인체에 가까운 보다 정교한 모양을 조건으로하고, 더 나아가 인체의 움직임과 유사한 동작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구체 관절 인형의 각 부분 즉, 머리, 허리, 골반, 팔, 팔금치, 손목, 무릎, 발목 등을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는 구조로 발전 되어가고 있다.
이에 종래의 구체 관절 인형은 여러 부분으로 분리 형성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관절의 구체 돌출부가 중공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텐션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모든 관절 부분이 텐션 와이어의 탄성력을 통해 결합을 유지하여 접거나 구부리고 또는 펼칠 수 있는 가동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구체 관절 인형은 골반이나 허벅지 부분과 같은 하반신에 절곡 각도가 작아 다양한 자세를 표현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992530호(2010.11.01) 한국특허등록 제10-1132806호(2012.03.27)
본 발명의 목적은 하반신의 폭 넓은 절곡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동작의 연출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부가 형성된 골반기재 및 상기 골반기재에 형성된 수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와이어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피수용체를 갖는 허벅지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허벅지기재 피수용체의 절개부는 상기 허벅지기재가 상기 골반기재에 대해 전방 및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체관절 인형은 인체의 동작과 유사하게 절곡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관절부위마다 구형 피수용체와 수용부가 구비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텐션와이어에 의해 각 관절부위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허벅지부재에서 상기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의 절개부는 전방에서 측방으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은 하반신의 폭 넓은 절곡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동작의 연출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가 전방에서 측방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은 인체의 동작과 유사하게 절곡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관절부위마다 구형 피수용체와 수용부가 구비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텐션와이어(1)에 의해 각 관절부위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수용부(10a)가 형성된 골반기재(10) 및 상기 골반기재(10)에 형성된 수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와이어(1)가 삽입되는 절개부(24)가 형성된 피수용체(22)를 갖는 허벅지기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의 절개부(24)는 상기 허벅지기재(20)가 상기 골반기재(10)에 대해 전방 및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는다.
또한, 상기 허벅지기재(20)에서 상기 허벅지기재 피수용체(22)의 절개부(24)는 전방에서 측방으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골반기재(10)의 각 수용부(10a) 대응하는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0a)는 좌측 및 우측의 형상 및 동작이 동일하고 대칭되므로 좌측 및 우측을 구별하지 않고 어느 일측에 대하여만 설명하되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허벅지기재(20)는 상기 골반기재(10)의 각 수용부(10a)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와이어(1)가 삽입되는 절개부(24)가 형성된 피수용체(22)를 가지되,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는 대략 반원구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골반기재(10)의 각 수용부(10a)에 결합되며,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의 절개부(24)는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 상부 일지점에서 형성되어 상기 허벅지기재(20)가 상기 골반기재(10)에 대하여 전방 및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의 절개부(24)는 상기 골반기재(10)에 대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대칭된 형태 즉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 상부 일지점에서 양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의 절개부(24)는 상기 피수용체(22) 하부 일지점에서 대편에 위치한 지점까지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의 반원구형상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대략 반으로 등분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의 절개부(24)에 의하여 상기 허벅지기재(20)가 상기 골반기재(10)에 대해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의 절곡은 물론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가 상기 골반기재(10) 수용부(10a)를 대략 180도 정도의 회전범위를 가지고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상기 허벅지기재(20)가 상기 골반기재(10)에 대하여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어 상기 허벅지기재(20)의 절곡 각도조절 폭을 확대하여 보다 안정되고 자연스러운 절곡동작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의 절개부(24)는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24)의 일지점에서 전방에서 측방으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의 측방향 절개부(24)는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의 전방 절개부(24)와 상기 측방 절개부(24)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게 되고, 상기 허벅지기재(20)가 상기 골반기재(10)에 대해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벅지기재(20) 피수용체(22)의 측방향 절개부(24)에 의하여 상기 허벅지기재(20)가 상기 골반기재(10)에 대하여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의 절곡은 물론 구체관절인형이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허벅지기재(20)가 상기 골반기재(10)에 대해 그대로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어 상기 허벅지기재(20)의 절곡 각도조절 폭을 확대하여 보다 안정되고 자연스러운 절곡동작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은 하반신의 폭 넓은 절곡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동작의 연출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1 : 텐션와이어
10 : 골반기재 10a : 수용부
20 : 허벅지기재
22 : 피수용체 24 : 절개부

Claims (4)

  1. 수용부가 형성된 골반기재; 및
    상기 골반기재에 형성된 수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와이어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피수용체를 갖는 허벅지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기재 피수용체의 절개부는 상기 허벅지기재가 상기 골반기재에 대해 전방 및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구체관절 인형은 인체의 동작과 유사하게 절곡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관절부위마다 구형 피수용체와 수용부가 구비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텐션와이어에 의해 각 관절부위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부재에서 상기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의 절개부는 전방에서 측방으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
KR1020210057766A 2021-05-04 2021-05-04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 KR20220151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766A KR20220151059A (ko) 2021-05-04 2021-05-04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766A KR20220151059A (ko) 2021-05-04 2021-05-04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059A true KR20220151059A (ko) 2022-11-14

Family

ID=8404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766A KR20220151059A (ko) 2021-05-04 2021-05-04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105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530B1 (ko) 2008-04-25 2010-11-05 이재공 구체 관절 및 이를 이용한 구체 관절 인형
KR101132806B1 (ko) 2010-11-15 2012-04-02 윤성현 구체 관절 인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530B1 (ko) 2008-04-25 2010-11-05 이재공 구체 관절 및 이를 이용한 구체 관절 인형
KR101132806B1 (ko) 2010-11-15 2012-04-02 윤성현 구체 관절 인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669B2 (en) Jointed linkage system
JP3008383B2 (ja) 連続的外皮を有する姿勢づけ可能形像
US6494763B1 (en) Life-like doll
KR101339585B1 (ko) 구체 관절 인형
US7077717B2 (en) Doll with angled and jointed torso
JP5221466B2 (ja) 人体模型
US5628668A (en) Walking doll
JP2010017264A (ja) 四足動物人形
CN212038988U (zh) Bjd娃娃公仔
KR200437519Y1 (ko) 허벅지부재 관절 동작상태 고정수단을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KR20220151059A (ko) 움직임이 개선된 구체관절 인형
US4030240A (en) Convertible doll with pivoted changeable hands
JP5221790B2 (ja) 人体模型の腕部構造
KR200438669Y1 (ko)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KR200460821Y1 (ko) 구체 관절 인형
CN114307177B (zh) 人形体、髋关节部以及转动机构
KR100890263B1 (ko) 구체관절인형
KR200438421Y1 (ko) 구체 관절 인형용 관절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체 관절인형
CN112957747B (zh) 人形体的弯曲构造及使用它的人形体和人形体的制造方法
EP1200164B1 (en) Doll having realistic twisting midriff
JP4027928B2 (ja) 関節人形
KR100884653B1 (ko) 허벅지부재의 상방향 동작을 자유롭게 하는 고관절부재가구비된 구체관절인형
KR101132806B1 (ko) 구체 관절 인형
TWM469110U (zh) 玩偶骨架
JP2020151174A (ja) 玩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