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687A -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687A
KR20220150687A KR1020210057974A KR20210057974A KR20220150687A KR 20220150687 A KR20220150687 A KR 20220150687A KR 1020210057974 A KR1020210057974 A KR 1020210057974A KR 20210057974 A KR20210057974 A KR 20210057974A KR 20220150687 A KR20220150687 A KR 20220150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pms controller
vehicle
radio noise
tpms
tes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687A/ko
Publication of KR2022015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26Measuring noise figure; Measuring signal-to-noise rati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89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sensing the monitored data, e.g. interfaces, connectors, sensors, probes,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 관리 장치는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TPMS 제어기의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TPMS 제어기의 감지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TPMS CONTROLLER}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배터리 셀을 충전한 후, 배터리 셀에 충전된 전압으로 모터를 구동시켜 동력을 얻는다. 전기차의 배터리 셀은 전기를 충전 및 방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반응으로 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열은 배터리 셀의 성능 및 수명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의 온도 및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BMS, Battery Management System)가 구동된다.
그러나 차량의 key off 상태에도 배터리 관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키는 경우, 배터리 관리 장치의 전원 공급부의 방전을 유도하여, 배터리 관리 장치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일 목적은 TPMS 제어기 수신 성능의 검증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 관리 장치는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TPMS 제어기의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TPMS 제어기의 감지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전파 노이즈 유입량, 온도, 습도 및 차량 주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환경을 모사하는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생성부는 특정 지역 및 차량 내 사제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 및 실 도로 주행 시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온습도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케이스(Test Case)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자체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측정부는 상기 TPMS 제어기의 주파수 대역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파 노이즈 측정기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 자체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전파 노이즈 발생기를 제어하여 전파 노이즈를 생성하고, 온습도 제어기를 제어하여 온도 및 습도 조건을 설정하고, 다이나모를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를 설정하여 상기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TPMS 제어기 관리 장치는 상기 전파 노이즈 생성기, 상기 온습도 제어기 및 상기 다이나모의 고장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고장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리부는 상기 TPMS 제어기가 목표 수신율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테스트 케이스는 차량 내 복수의 센서가 부착된 인체 모형의 실험 장치인 더미(Dummy)의 탑승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은 전파 반사를 방지하는 흡수제를 내부에 부착한 전파 무향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TPMS 제어기의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하는 단계, 상기 TPMS 제어기를 제어하여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PMS 제어기의 감지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TPMS 제어기의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하는 단계는 전파 노이즈 유입량, 온도, 습도 및 차량 주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환경을 모사하는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TPMS 제어기의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하는 단계는 특정 지역 및 차량 내 사제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 및 실 도로 주행 시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온습도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케이스(Test Case)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자체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TPMS 제어기 수신 성능의 검증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 관리 장치에 대해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 관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사제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의 전파 신호 수신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문서에 개시된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 검증 장치는 TPMS 제어기의 수신 성능 검증을 다양한 외부 조건을 모사한 주행 환경에서 수행하여 TPMS 제어기 수신 성능의 검증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제어기는 운전자에게 타이어 공기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 정의할 수 있다. TPMS 제어기는 타이어 공기압 감지 센서가 전송하는 공기압 정보를 수신하여, 타이어 공기압이 권장 공기압 대비 일정 수준 이하로 저하 시 운전자에게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 관리 장치에 대해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의 신호 수신율 측정을 위한 차량 주행 환경을 모사하는 테스트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 관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사제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의 전파 신호 수신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TPMS 제어기 관리 장치(100)는 TPMS 제어기의 수신율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전자 장치로 정의할 수 있다. TPMS 제어기 관리 장치(100)는 제어부(110) 및 관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TPMS 제어기(122)의 신호 수신율 측정을 위한 테스트 케이스(Test Case)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관리부(120)는 TPMS 제어기(122)의 감지 신호 수신율을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제어부(110)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케이스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테스트 케이스는 실험 입력값 및 실험 결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주행 환경을 모사하는 테스트 케이스는 실험 입력값으로서 차량 주행 속도(Vehicle speed), 테스트 기간(Test duration), 전파 노이즈 유입량(RF noise), 온도(Temperature), 습도(humidity level), 사양(Specification) 및 항목별 수신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전파 노이즈 발생기(111)를 제어하여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전파 노이즈를 생성하고, 온습도 제어기(112)를 제어하여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온도 및 습도 조건을 설정하고, 다이나모(113)를 제어하여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의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테스트 케이스 전부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하거나, 테스트케이스 중 일부를 선정하여 선정된 테스트 케이스에 대하여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테스트 케이스의 항목들 전부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하거나, 테스트 케이스의 항목들 중 일부를 선정하여 선정된 테스트 케이스 항목들에 대하여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생성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부(114)는 전파 노이즈 유입량, 온도, 습도 및 차량 주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환경을 모사하는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114)는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는 특정 지역, 특정 시설, 주파수 대역, 전파 노이즈 평균 수치 및 전파 노이즈 최대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지역은 예를 들어 강전계 지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14)는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114)는 선정된 특정 지역과 특정 시설의 근접 장소에서 전파 노이즈 평균 수치 및 전파 노이즈 최대 수치를 측정하고 일정 시간 동안의 전체 전파 노이즈의 파형을 측정하여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114)는 차량 내 사제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내에서 사용 가능한 사제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는 차량 내 사제 전장품, 전파 노이즈 평균 수치 및 전파 노이즈 최대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내 사제 전장 품은 예를 들어 휴대폰, 차량용 공기 청정기, 태블릿 PC 또는 네비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14)는 차량 내 사제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114)는 선정된 차량 내 사제 전장품으로부터 약 30cm 내 근접 거리에서 전파 노이즈 평균 수치 및 전파 노이즈 최대 수치를 측정하고 일정 시간 동안의 전체 전파노이즈의 파형을 측정하여 차량 내 사제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114)는 실 도로 주행 시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온습도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14)는 실 도로 주행 시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습도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케이스는 차량 내 복수의 센서가 부착된 인체 모형의 실험 장치인 더미(Dummy)의 탑승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체는 전파 전송을 방해하는 인자로써, 차량 내 탑승 인원 수는 TPMS 제어기(122)의 전파 수신 성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TPMS 제어기 검증 장치(100)는 인체를 대신하여 인체 모형의 실험 장치인 더미의 탑승 개수에 따른 TPMS 제어기(122)의 수신 성능을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은 전파 반사를 방지하는 흡수제를 내부에 부착한 전파 무향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파 무향실은 전파를 흡수하는 재료로 벽을 만들어 전파 반사 파동이 없도록 만든 실험실로써 전파기기의 특성을 시험하는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TPMS 제어기 검증 장치(100)는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전파 무향실에서 구현하여 정량적인 전파 노이즈를 인가하고 노이즈 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리부(120)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관리부(120)는 TPMS 제어기(122)의 감지 신호 수신율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부(120)는 TPMS 제어기(122)의 테스트 케이스별 수신율을 테스트 케이스에 기재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120)는 TPMS 제어기(122)의 감지 신호 수신율이 목표 수신율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감지 센서(121)가 TPMS 제어기(122)에 전송하는 전파 신호는 메시지 단위로 전송되며, 각 메시지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의 송신 주기(Tdx)는 일반적으로 60초로 약 5%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관리부(120)는 TPMS 제어기(122)의 감지 신호 수신율을 [수학식 1] 및[수학식 2]를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은 TPMS 제어기(122)의 메시지 단위 전파 신호 수신율을 측정하는 식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R msg 는 TPMS 제어기(122)의 메시지 수신율을 의미한다. Msg Rcv Data는 TPMS 제어기(122)가 수신한 총 메시지 개수를 의미한다. T rd는 TPMS 제어기(122)의 수신 성능 총 측정시간을 의미하고 단위는 분(Min)이다.
[수학식 2]는 TPMS 제어기(122)의 프레임 단위 전파 신호 수신율을 측정하는 식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R frm 는 TPMS 제어기(122)의 프레임 수신율을 의미한다. Msg Rcv Data는 TPMS 제어기(122)가 수신한 총 메시지 개수를 의미한다. Frm Rcv Data는 TPMS 제어기(122)가 수신한 총 프레임 개수를 의미한다. Frm Spec는 개별 메시지내 프레임 개수를 의미한다.
관리부(120)는 TPMS 제어기(122)의 수신율 측정을 위해 메시지 단위 수신 성능 측정 기준과 프레임 단위 수신 성능 측정 기준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TPMS 제어기(122)는 상위 단위인 메시지 1개를 미 수신 시 내부의 다수 프레임을 모두 미 수신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부(120)는 메시지 수신 성능 측정 기준을 고등 수준(High Level)으로 설정할 수 있다.
TPMS 제어기(122)는 하위 단위인 프레임 1개를 미 수신 하더라도 다수의 잔여 프레임 수신 가능하다. 따라서 관리부(120)는 프레임 수신 성능 측정 기준을 중등 수준(Middle Level)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TPMS 제어기(122)는 메시지 수신 성능 측정 기준을 프레임 수신 성능 측정 기준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관리부(120)는 TPMS 제어기(122)의 감지 신호 수신율이 목표 수신율에 도달하는 경우 TPMS 제어기(122) 수신 성능의 검증 결과에 대한 리포트(Report)를 생성할 수 있다.
TPMS 제어기 관리 장치(100)는 TPMS 제어기(122)의 감지 신호 수신율이 목표 수신율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차량 자체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차량 자체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는 전파 노이즈 발생기(111)가 생성하는 전파 노이즈를 포함하는 차량 외부의 주행 환경이 유도하는 2차적인 전파 노이즈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TPMS 제어기 관리 장치(100)는 측정부(130) 및 고장 검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30)는 차량 자체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30)는 TPMS 제어기(122)의 주파수 대역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파 노이즈 측정기를 제어하여 차량 자체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의 유무 및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고장 검출부(140)는 전파 노이즈 생성기(111), 온습도 제어기(112) 및 다이나모(113)의 고장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고장 검출부(140)는 TPMS 제어기(122)의 수신 성능 검증 수행 중 전파 노이즈 생성기(111), 온습도 제어기(112) 및 다이나모(113)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고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TPMS 제어기(122)가 감지 센서(121)가 전송한 전파 신호를 미 수신하는 경우, 고장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 관리 장치(100)는 TPMS 제어기(122)의 수신 성능 검증을 다양한 외부 조건을 모사한 주행 환경에서 수행하여 TPMS 제어기(122) 수신 성능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TPMS 제어기 관리 장치(100)는 TPMS 제어기(122) 수신 성능에 검증 당시 환경에 제한되지 않은 다양한 주행 환경 조건에 대한 영향성 검증이 가능하다.
또한, TPMS 제어기 관리 장치(100)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 및 온습도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정량적 검증을 수행하므로, 다양한 환경 조건을 정량적 모사하여 신뢰도가 향상된 수신 성능 검증이 가능하다.
또한, TPMS 제어기 관리 장치(100)는 특정 지역 및 특정 시설 별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차량이 판매되는 전 지역에 대한 제품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고, 강전계 지역 주행 시 운전자에게 전파 수신 성능 불만족에 의한 TPMS 경고등 점등 가능성을 미리 알려 사용자 클레임을 감소시키고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TPMS 제어기 관리 장치(100)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 온습도 데이터 베이스 및 이들을 포함하는 테스트 케이스를 업데이트 및 관리하여 차량 또는 TPMS 시스템의 신규 사양 도입 시 즉시 적용이 가능하고, 전파 노이즈에 취약한 레이더 또는 스마트 키에 대한 확대 적용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TPMS 제어기의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하는 단계(S101), TPMS 제어기를 제어하여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2) 및 TPMS 제어기의 감지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는 단계(S1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S101 단계 내지 S103 단계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101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TPMS 제어기의 신호 수신율 측정을 위한 테스트 케이스(Test Case)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주행 환경을 모사하는 테스트 케이스는 차량 주행 속도(Vehicle speed), 테스트 기간(Test duration), 전파 노이즈 유입량, 온도(Temperature) 및 습도(humidity level)를 포함할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전파 노이즈 발생기(111)를 제어하여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전파 노이즈를 생성할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온습도 제어기(112)를 제어하여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온도 및 습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다이나모(113)를 제어하여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의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항목들을 순차적으로 자동 수행하거나, 선택적 항목에 대해 자동 수행할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전파 노이즈 유입량, 온도, 습도 및 차량 주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환경을 모사하는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차량 내 사제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실 도로 주행 시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온습도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테스트 케이스는 차량 내 복수의 센서가 부착된 인체 모형의 실험 장치인 더미(Dummy)의 탑승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은 전파 반사를 방지하는 흡수제를 내부에 부착한 전파 무향실에서 구현될 수 있다.
S102 단계에서 관리부(120)는 TPMS 제어기를 제어하여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관리부(120)는 TPMS 제어기의 감지 신호 수신율을 관리할 수 있다. 관리부(120)는 TPMS 제어기(122)의 수신 성능 검증을 위해 메시지 단위 수신 성능 검증 기준과 프레임 단위 수신 성능 검증 기준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관리부(120)는 TPMS 제어기(122)가 목표 수신율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TPMS 제어기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차량 자체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를 측정하는 단계(S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04 단계에서 TPMS 제어기 관리 장치(100)는 TPMS 제어기(122)의 주파수 대역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파 노이즈 측정기를 제어하여 차량 자체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의 유무 및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110: 제어부
111: 전파 노이즈 생성기
112: 온습도 제어기
113: 다이나모
114: 생성부
120: 관리부
130: 측정부
140: 고장 검출부

Claims (14)

  1.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TPMS 제어기의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TPMS 제어기의 감지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파 노이즈 유입량, 온도, 습도 및 차량 주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환경을 모사하는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특정 지역 및 차량 내 사제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 및 실 도로 주행 시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온습도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케이스(Test Case)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차량 자체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TPMS 제어기의 주파수 대역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파 노이즈 측정기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 자체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파 노이즈 발생기를 제어하여 전파 노이즈를 생성하고, 온습도 제어기를 제어하여 온도 및 습도 조건을 설정하고, 다이나모를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를 설정하여 상기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7.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TPMS 제어기 관리 장치는 상기 전파 노이즈 생성기, 상기 온습도 제어기 및 상기 다이나모의 고장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고장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TPMS 제어기가 목표 수신율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케이스는 차량 내 복수의 센서가 부착된 인체 모형의 실험 장치인 더미(Dummy)의 탑승 개수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은 전파 반사를 방지하는 흡수체를 내부에 부착한 전파 무향실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11.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TPMS 제어기의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하는 단계;
    상기 TPMS 제어기를 제어하여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PMS 제어기의 감지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TPMS 제어기의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하는 단계는 전파 노이즈 유입량, 온도, 습도 및 차량 주행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환경을 모사하는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TPMS 제어기의 신호 수신율을 관리하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환경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하는 단계는 특정 지역 및 차량 내 사제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파 노이즈 데이터 베이스 및 실 도로 주행 시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온습도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케이스(Test Case)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차량 자체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전파 노이즈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MS 제어기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10057974A 2021-05-04 2021-05-04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20150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74A KR20220150687A (ko) 2021-05-04 2021-05-04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74A KR20220150687A (ko) 2021-05-04 2021-05-04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687A true KR20220150687A (ko) 2022-11-11

Family

ID=8404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974A KR20220150687A (ko) 2021-05-04 2021-05-04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6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3101B (zh) 电驱动汽车电磁兼容(emc)测试方法
EP3320355B1 (en) Lithium-ion battery safety monitoring
CN104714177A (zh) 锂电池管理系统的检测方法及系统
US201600849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degradation of a high voltage battery of a vehicle
CN105629133B (zh) 用于诊断车辆部件的绝缘击穿的系统和方法
KR101279684B1 (ko) 전기 자동차용 bms 시뮬레이터
CN102463903A (zh) 用于监测车辆推进系统电池的方法和装置
CN103513189A (zh) 一种动力电池总成寿命试验系统及控制方法
KR100494937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배터리 시스템 시뮬레이션 장치
AU2021233833A1 (en) Real-time battery fault detection and state-of-health monitoring
US20210039519A1 (en) Apparatus and application for predicting discharge of battery
CN109632227A (zh) 电池振动检测方法、电池振动检测装置
CN103134992B (zh) 绝缘阻抗估计装置及估计方法
Song et al. Verification of battery system model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s using a battery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KR102244080B1 (ko) 배터리 팩 적용 전기자동차 일충전 주행거리 평가 방법 및 시스템
Barreras et al. Functional analysis of Battery Management Systems using multi-cell HIL simulator
CN114325207A (zh) 一种智能驾驶汽车传导敏感性测试平台及测试方法
KR20220150687A (ko) Tpms 제어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01221224B (zh) 监测电能存储装置的方法和系统
KR20210016134A (ko) 배터리 상태 예측 장치 및 배터리 상태 예측 방법
CN106383511A (zh) 整车控制器的仿真测试方法、装置和系统
CN207264191U (zh) 基于无线低频网络的胎压控制器自动测试装置
KR20230136931A (ko) 초음파를 이용한 폐배터리 상태 진단장치
CN115616289A (zh) 绝缘电阻值的检测电路、方法、电池管理控制器及车辆
KR20140061040A (ko) 에뮬레이터를 이용한 bms 테스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