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310A - 반사 표면에 의한 신호 변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사 표면에 의한 신호 변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310A
KR20220150310A KR1020227030799A KR20227030799A KR20220150310A KR 20220150310 A KR20220150310 A KR 20220150310A KR 1020227030799 A KR1020227030799 A KR 1020227030799A KR 20227030799 A KR20227030799 A KR 20227030799A KR 20220150310 A KR20220150310 A KR 20220150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lligent
reflected
reflective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이키 리우
야준 자오
멩난 지안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5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45Passive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00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 H01Q15/0013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said selective devices working as frequency-selective reflecting surfaces, e.g. FSS, dichroic plates, surfaces being partly transmissive and refle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13Intelligent reflective su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4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electric or magnetic characteristics of reflect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associated with the radiating element

Abstract

본 문헌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사용에 관한 것이며, 이는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기지국에 대한 커버리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반사 방식에 따른 반사도를 갖는 표면을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면은 반사 방식에 따라 입사 신호를 반사할 수 있다. 그 결과, 반사 신호는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다는 것을 수신 디바이스에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특성, 및/또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 표면에 의한 신호 변조 방법
본 특허 문헌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서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차세대 무선 통신은 이전 세대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였다. 예를 들어, 4G는 3G보다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고, 5G는 4G보다 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러한 경향은 다음 세대에도 계속될 것이다. 그러나 더 높은 주파수에서 통신되는 신호는 전파 손실이 더 높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에서 전파 손실을 상쇄하는 커버리지를 증가시키는 방식, 특히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문헌은 무선 통신에서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사용을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장치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반사 방식에 따라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표면 ― 표면은 하나 이상의 반사각으로 반사하도록 구성됨 ― 의 복수의 표면 요소들에 대한 관련 반사도들을 설정하는 단계; 및 표면을 이용하여, 반사 방식에 따라 설정된 복수의 표면 요소들에 대한 관련 반사도들로 입사 신호를 반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다른 구현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 각각은 제어기 및 복수의 네트워크 요소들을 포함하는 표면을 포함하며, 본 시스템은 상기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다른 구현예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개시된다. 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비일시적 프로그램 매체에를 포함하며, 컴퓨터 코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한 방법을 구현하게 한다.
일부 다른 구현예들에서, 또 다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1 신호를 송신할 제1 시간 및 제2 신호를 송신할 제2 시간을 나타내는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 제1 신호는 제1 전파 경로에서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도록 결정되고, 제2 신호는 제2 전파 경로에서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도록 결정됨 ―; 및 적어도 하나의 발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스케줄에 따라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예들에서, 또 다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수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반사각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예들에서, 또 다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발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1 신호를 수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발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1 신호가 수신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 전에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반사각을 제어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결정하는 단계는 제2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에 의함 ― 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들에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하나 이상의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또 다른 구현예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개시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비일시적 프로그램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코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게 한다.
상기한 양태들 및 다른 양태들 및 이들의 구현예들은 도면들,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예시적인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입사 신호를 반사하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표면의 도해를 도시한다.
도 2c는 다수의 반사각들로 반사하는 표면의 도해를 도시한다.
도 3a는 입사 신호의 일례의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의 입사 신호의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 및 약 50% 듀티 사이클을 갖는, 반사 신호의 일례의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도 3a의 입사 신호의 주파수보다 적은 주파수 및 약 50% 듀티 사이클을 갖는, 반사 신호의 또 다른 예의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도 3d는 50% 미만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반사 신호의 또 다른 예의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도 3e는 50% 초과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반사 신호의 또 다른 예의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도 3f는 가변 주파수 및/또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 반사 신호의 또 다른 예의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비중첩 시구간들에서 각 반사 방식들에 따라 반사하는 다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의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하나 이상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파 경로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복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특성을 검출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설명은 하나 이상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수반하는 무선 통신을 설명한다.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반사 방식에 따른, 또는 이에 의한 반사도를 갖는 표면을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면은 반사 방식에 따라 입사 신호를 반사할 수 있다. 그 결과, 반사 신호는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다는 것을 수신 디바이스에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특성, 및/또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 신호의 수신시,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가 지능형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 및/또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시, 수신 디바이스는 발신 디바이스에 검출의 결과를 통지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신 디바이스에 발신할 수 있다. 검출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이를테면, 수신 디바이스, 수신 디바이스가 통신하고 있는 발신 디바이스, 또는 또 다른 디바이스)는, 이를테면, 반사 디바이스의 반사각을 제어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가 수신 디바이스와 발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되는 신호들을 반사하는 동안 최적의 반사각을 갖게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구성함으로써,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발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사이의 전파 경로들에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을 포함시키는 것은 신호들을 특정한 원하는 방향 또는 최적의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의 능력으로 인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커버리지를 바람직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이들이 덜 복잡하고/하거나 전력을 덜 소모한다는 점에서, 커버리지를 또한 증가시킬 수 있는 다른 유형들의 전자 디바이스들에 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기들과 같은 커버리지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들은 반사를 수행하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의 표면들에 비해 더 복잡하고 전력을 더 많이 소모하는 수신 및 송신 회로 경로들 및 복조/변조 회로들과 같은 신호들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며 송신하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을 포함시키는 것은 통신 주파수, 및 이로 인한 전파 손실이 증가함에 따라 커버리지를 증가시키는 방식들로서 점점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특정 반사 방식들을 갖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을 구성하는 것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의 제어 및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서로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통신 노드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도해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통신 노드들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2)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노드(104)를 포함한다. 도 1의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두 개의 사용자 디바이스들(102) 및 두 개의 무선 액세스 노드들(104)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다양한 다른 예들은 단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2)와 단 하나의 무선 액세스 노드(104), 단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2)와 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들(104), 무선 액세스 노드(104) 없이 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102), 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102)과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104),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102) 없이 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들(104)을 포함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들(102)과 무선 액세스 노드들(104)의 다양한 조합들 중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02)는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단일 전자 디바이스 또는 장치, 또는 다수의 전자 디바이스들 또는 장치들(예를 들어, 이들의 네트워크)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 외 이로서 지칭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는 이동 디바이스(이를테면,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이동 전화, 스마트 폰, 태블릿, 또는 랩탑 컴퓨터) 또는 고정 또는 정지 디바이스(이를테면,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장기간 보통 이동되지 않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가전 기기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포함하는 다른 비교적 무거운 디바이스들, 또는 상업적 또는 산업적 환경들에서 사용되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2)는 무선 액세스 노드(104)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 안테나(108)에 결합된 트랜시버 회로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 회로부(106)는 또한 프로세서(1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메모리(112) 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112)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때, 프로세서(110)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되는 방법들 중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게 하는 명령어들 또는 코드를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액세스 노드(104)는 또한 단일 전자 디바이스 또는 장치, 또는 다수의 전자 디바이스들 또는 장치들(예를 들어, 이들의 네트워크)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액세스 노드(104)와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노드(10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4G LTE 기지국, 5G NR 기지국, 5G 중앙 유닛 기지국, 5G 분산 유닛 기지국, 차세대 노드 B(gNB), 인핸스드 노드 B(eNB), 또는 다른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노드(104)는 사용자 디바이스(102)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노드(104)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법들에서 안테나 타워(118)를 포함할 수 있는 안테나(116)에 결합된 트랜시버 회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 회로(114)는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메모리(122) 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122)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때, 프로세서(120)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되는 방법들 중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게 하는 명령어들 또는 코드를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무선 시스템(100)에서의 두 개의 통신 노드들 ― 이를테면, 사용자 디바이스(102) 및 무선 액세스 노드(104), 무선 액세스 노드(104) 없이 두 개의 사용자 디바이스들(102),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102) 없이 두 개의 무선 액세스 노드들(104) ― 은 하나 이상의 표준 및/또는 규격에 따라 이동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또는 이를 통해 서로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준들 및/또는 규격들은 통신 노드들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규칙들 또는 절차들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밀리미터(mm)-웨이브 대역들 내에서, 그리고/또는 다중 안테나 방식들 및 빔포밍 기능들을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표준들 및/또는 규격들은 라디오 액세스 기술 및/또는 셀룰러 기술, 이를테면,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4세대(4G) LTE(Long Term Evolution), 5세대(5G) NR(New Radio), 또는 NR-U(New Radio Unlicensed)를 정의하는 것들이다.
무선 시스템(100)에서, 통신 노드들은 서로 간에 신호들을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시스템(100)에서의 두 개의 통신 노드들 간의 통신은 통신에서의 특정 노드의 관점에 따라, 송신 또는 수신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둘 다 동시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노드가 제2 노드로 신호를 송신하고 있고 제2 노드가 제1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제1 노드와 제2 노드 간의 소정의 통신에 대해, 제1 노드는 발신 노드 또는 발신 디바이스로서 지칭될 수 있고, 제2 노드는 수신 노드 또는 수신 디바이스로서 지칭될 수 있며, 통신은 제1 노드에 대해 송신으로 그리고 제2 노드에 대해 수신으로 고려될 수 있다. 물론, 무선 시스템(100)에서의 통신 노드들은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으므로, 단일 통신 노드는 동시에 발신 노드/디바이스와 수신 노드/디바이스 둘 다가 될 수 있거나, 또는 발신 노드/디바이스와 수신 노드/디바이스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신호들은 업링크(uplink, UL) 신호, 다운링크(downlink, DL) 신호, 또는 사이드링크(sidelink, SL) 신호 중 어느 하나로서 특성화되거나 정의될 수 있다. 업링크 신호는 사용자 디바이스(102)로부터 무선 액세스 노드(104)로 송신되는 신호이다. 다운링크 신호는 무선 액세스 노드(104)로부터 이동국(102)으로 송신되는 신호이다. 사이드링크 신호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102)로부터 제2 사용자 디바이스(102)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제1 무선 액세스 노드(104)로부터 제2 무선 액세스 노드(104)로 송신되는 신호이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의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와 통신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신호를 반사할 수 있고 가변 반사도를 갖는 표면을 갖는 디바이스이다.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 및/또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표면은 또한 지능형 반사 표면(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 IRS), 대형 지능형 표면(large intelligent surface, LIS), 대형 지능형 메타표면(large intelligent metasurface, LIM), 스마트 반사 어레이들, 재구성가능한 지능형 표면(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RIS), 소프트웨어 정의 표면(software-defined surface, SDS), 소프트웨어 정의 메타표면(software-defined metasurface, SDM), 수동 지능형 표면(passive intelligent surface, PIS) 또는 수동 지능형 미러(passive intelligent mirror)일 수 있거나, 또는 그 외 이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표면은 입사 신호를 수신하고, 입사 신호를 반사한다. 표면이 반사에 반응하여, 또는 반사의 결과로서 출력하는 신호는 반사 신호로서 지칭된다. 즉, 반사 신호는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입사 신호의 반사된 버전이다.
또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표면은 반사도로 입사 신호를 반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사도는 표면이 반사하는 입사 신호 전력의 양이거나 이를 나타낸다. 반사도는(와트와 같은) 전력 단위 값일 수 있거나, 입사 신호 전력의 비율 또는 분율로서 표현될 수 있다.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표면은 표면이 상이한 시간에 상이한 반사도를 가질 수 있도록 그 반사도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표면은 적어도 두 개의 반사도들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변 반사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표면은 최대 반사도 및 최소 반사도로 반사될 수 있다. 표면이 최대 반사도로 반사할 때, 표면은 표면이 반사할 수 있는 만큼의 입사 신호 전력을 반사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표면이 최대 반사도로 반사하고 있을 때, 표면은 입사 신호 전력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반사하여, 반사 신호가 입사 신호 전력의 100%, 또는 실질적으로 100%(예를 들어, 불가피한 전력 손실로부터 기인하여, 이를테면,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표면의 고유 속성들, 예를 들어, 유전손실, 금속 손실, 또는 옴 손실로 인해, 100%보다 약간 작은 비율)를 갖는다. 또한, 표면이 최소 반사도로 반사할 때, 표면은 표면이 흡수할 수 있는 만큼의 입사 신호 전력을 흡수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표면이 최소 반사도로 반사하고 있을 때, 표면은 입사 신호 전력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흡수하여, 입사 신호 전력이 전혀 또는 실질적으로 전혀 반사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표면은 최대 반사도와 최소 반사도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중간 반사도로 입사 신호를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표면은 입사 신호 전력의 0% 내지 100% 사이에서의 다양한 비율들 중 임의의 비율, 이를테면,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25%, 50%, 또는 75%로 반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표면은 반사되는 것으로부터 최대 반사도와 중간 반사도 사이에서, 최소 반사도와 중간 반사도 사이에서, 그리고/또는 상이한 중간 반사도들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또한, 표면의 반사도는 표면이 흡수하는 입사 신호 전력의 양이거나 이를 나타낼 수 있는 표면의 흡수도와 반비례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면이 흡수하는 입사 신호 전력은 표면이 반사하지 않는 전력이다. 따라서, 표면의 흡수도가 높을수록, 표면의 반사도는 낮아진다.
더 상세하게는 도 2a는 도 1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200)의 예시적인 구성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200)는 표면(202) 및 제어기(204)를 포함한다. 표면(202)은 복수의 표면 요소들(surface element, SE)(또한 표면 유닛들(surface unit, SU)이라고도 함)(206)를 포함한다. 표면 요소(206)는 관련 가변(또는 동적으로 변경가능한) 반사도를 갖는 표면(202)의 일부이다. 따라서, 동일한 표면(202)의 상이한 표면 요소들(206)의 반사도들은 독립적으로 제어되고/되거나 변경될 수 있어서, 임의의 소정의 시점에서, 상이한 표면 요소들(206)이 동일한 반사도 또는 상이한 반사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202)은 소정의 시점에서, 그 소정의 시점에서의 표면(202)의 표면 요소들(206)의 반사도들의 조합에 대응하고/하거나 이에 기초하는 전체 또는 조합된 반사도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표면 요소(206)는 가변적이고 제어가능한 반사도를 가질 수 있게 하는, 다양한 구성들 중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고/있거나, 다양한 물질들 중 임의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04)는 다양한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으로, 이를테면, 비제한적인 예로서,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의 출력을 통해 그리고/또는 표면 요소(206)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와 같은 전기 바이어스를 변경함으로써, 표면 요소(206)의 반사도를 제어하고/하거나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기(204)는 그 제어를 통해, 표면 요소의 반사도가 의존하는 물질 속성 및/또는 전기적 특성과 같은 표면 요소(206)의 특징을 변경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표면 요소(206)는 가변 저항을 갖게 구성될 수 있고, 가변 저항 값의 변화는 표면 요소(206)가 흡수하는 전력의 양을 변화시키며, 이에 따라 표면 요소(206)의 반사도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제어기(204)는 원하는 반사도를 갖는 표면 요소를 구성하기 위해 가변 저항의 저항 값을 상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04)가 반사도를 변경하기를 원할 때, 원하는 새로운 반사도를 내는 저항 값을 상응하게 변경한다. 표면 요소(206)에 가변 반사도를 제공하기 위해 가변 저항 이외의, 또는 가변 저항과 조합한 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기(204)는 동작 동안 임의의 소정의 시점에서, 최대 반사도, 최소 반사도, 또는 중간 반사도를 갖게, 또는 갖도록 표면(202)을 구성할 수 있다. 제어기(204)는 최대 반사도를 갖는 표면(202)을 구성하기 위해, 표면 요소들(206)의 전부가 자신들 각각의 최대 반사도들로 반사하게 구성되도록, 표면 요소들(206)을 제어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어기(204)는 최소 반사도를 갖는 표면(202)을 구성하기 위해, 표면 요소들(206)의 전부가 자신들 각각의 최소 반사도들로 반사하게 구성되도록, 표면 요소들(206)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04)는 중간 반사도를 갖는 표면(202)을 구성하기 위해, 표면 요소들(206) 중 적어도 하나가 관련 최소 반사도 또는 중간 반사도를 갖게 구성되고 모든 표면 요소들(206)보다 적은 표면 요소들이 자신들의 관련 최소 반사도를 갖게 구성되도록, 표면 요소들(206)을 제어할 수 있다. 중간 반사도를 갖는 표면(202)을 구성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가능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방식들은 중간 반사도의 비율, 및 개별 표면 요소(206)가 구성될 수 있는 반사도들의 세분도에 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면 요소들(206)은 조합하여 고려될 때, 개별 반사도들의 평균인 평균 반사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표면(202)의 반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204)는 표면(202)에 대한 원하는 중간 반사도에 대응하는 평균 반사도를 내는, 최대 반사도, 최소 반사도, 또는 특정 중간 반사도들을 갖게 특정 개수의 표면 요소(206)를 구성할 수 있다. 간략한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제어기(204)는 50%의 중간 반사도를 갖는 표면(202)을 구성하기 위해, 표면 요소들(206)의 절반을 최대 반사도를 갖고 표면 요소들(206)의 다른 절반을 최소 반사도를 갖게 구성할 수 있거나, 또는 표면 요소들(206)의 전부를 각각의 50% 중간 반사도들을 갖게 구성할 수 있거나, 또는 표면 요소들(206)의 절반을 각각의 75% 중간 반사도들을 갖고 다른 절반을 25% 중간 반사도들을 갖게 구성할 수 있다. 표면(202)에 대한 원하는 평균 또는 전체 중간 반사도를 이루기 위해, 표면 요소들(206)을 최대 반사도, 최소 반사도, 및 하나 이상의 중간 반사도의 일부 조합을 갖게 구성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200)의 표면(202)은 또한 가변 반사 각도(또는 반사각)를 가질 수 있다. 가변 반사각을 갖기 위해, 각 표면 요소(206)가 관련 가변 위상 변이(phase shift)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위상 변이에 의해, 표면이 입사 신호(si(t))를 반사하여 반사 신호(sr(t))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개별 표면 요소들(206)의 위상 변이들의 조합이 표면(202)이 반사 신호(sr(t))를 출력하는 반사각(Θr)을 결정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위상 변이를 변경하는 것은 반사각(Θr)을 변경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상 변이들을 설정하고 변경함으로써, 표면(202)은 반사 신호들을 특정 방향들로 동적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반사각(Θr)을 변경함으로써 빔 포밍(beam forming)을 수행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임의의 소정의 시점에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200)의 표면(202)은 하나 이상의 반사 각도로 입사 신호들을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202)은 단일 반사각으로, 즉 표면(202)에 걸쳐 동일하거나 균일한 반사각으로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200)의 표면(202)은 소정의 시점에서 다수의 반사각들로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표면(202)은 각 부분이 하나 이상의 표면 요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분들로 분리되거나 분할될 수 있다. 제어기(204)는 각 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그 자신의 대응하는 반사각으로 반사하게 구성되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상이한 부분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c는 표면(202)이 제1 표면 부분(202(1)) 및 제2 표면 부분(202(2))을 포함하는 두 개의 부분들로 분리되거나 분할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부분(202(1))은 제1 입사 신호(si1(t))를 반사하여 제1 반사각(Θr1)으로 제1 반사 신호(sr1(t))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제2 부분(202(2))은 제2 입사 신호(si2(t))를 반사하여 제2 반사각(Θr2)으로 제2 반사 신호(sr2(t))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204)는 개별 부분들(202(1), 202(2))의 대응하는 반사각들(Θr1, Θr2)이 임의의 소정의 시점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도록, 이 개별 부분들의 표면 요소들(206)의 위상 변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표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표면이 둘 초과의 반사각들로 반사하게 구성되도록, 둘 초과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2a를 참조하면, 제어기(204)는 표면(202) 및 표면 요소들(206)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204)는 표면 요소들(206)의 반사도들을 포함하여, 표면(202)의 반사도를 설정하고/하거나 변경함으로써, 그리고/또는 표면 요소들(206)의 위상 변이들을 포함하여, 표면(202)의 반사 각도를 설정하고/하거나 변경함으로써, 표면(202) 및 표면 요소들(206)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의 통신 노드들과 유사하게, 제어기(204)는 프로세서(208) 및 메모리(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메모리(210)는 프로세서(208)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때, 프로세서(208)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되는 방법들 중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게 하는 명령어들 또는 코드를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메모리(210)는 표면(202) 및 표면 요소들(206)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반사 방식을 저장할 수 있다. 반사 방식들의 세부사항들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제어기(204)는 안테나(214)에 결합된 트랜시버 회로부(212)를 포함한다. 트랜시버 회로부(212)는 또한 프로세서(208) 및/또는 메모리(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그리고/또는 다른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제어기(204)는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통신 노드들에 또한 연결되는 전기 와이어들 또는 케이블링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연결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이를테면, 무선으로, 유선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통신 노드와 외부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성들에서, 제어기(204)는 표면(202)의 반사도 및/또는 표면 요소들(206)의 반사도들을 제어기가 어떻게 구성할지를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반사 방식에 따라 표면(202) 및 표면 요소들(206)을 제어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반사 방식은 표면 요소들(206) 각각을 구성하기 위한 반사도들을 제어기(204)에 나타냄으로써, 표면(202)의 반사도 및/또는 표면 요소들(206)의 반사도들을 제어기가 어떻게 구성할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반사 방식은 이를테면, 각 표면 요소(206)에 대한 반사도를 명시적으로 식별함으로써, 그 표시를 명시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성들에서, 미리 결정된 반사 방식은 그 표시를 암시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방식은 표면(202)에 대한 특정 반사도를 나타낼 수 있고, 제어기(204)는 이를테면, 표면(202)의 다양한 반사도들과 개별 표면 요소들(206)에 대한 다양한 반사도들 간의 대응성을 제공하는 매핑 또는 알고리즘을 갖게 구성됨으로써, 그 특정 반사도를 표면 요소들(206) 각각에 대한 대응하는 반사도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반사 방식은 최대 반사도를 갖기 위한 표면 요소들(206)의 개수, 최소 반사도를 갖기 위한 표면 요소들(206)의 개수, 및/또는 특정 중간 반사도들을 갖기 위한 표면 요소들(206)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기(204)는 표면 요소들(206) 각각에 대한 반사도들을 결정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반사 방식은 표면 요소들(206)에 대한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반사 방식은 동일한 미리 결정된 부분, 이를테면, 동일한 행 또는 동일한 열 내의 표면 요소들(206)의 전부가 동일한 반사도를 갖게 구성될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패턴은 표면 요소들(206)의 인접한 행들 또는 인접한 열들이 상이한 반사도들을 가질 것―즉, 표면 요소들의 행들 또는 열들이 최대 반사도와 최소 반사도 사이에서 교번할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패턴들은 동일한 행 또는 동일한 열 내의 인접한 표면 요소들(206)이 상이한 반사도들을 가질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성들에서, 패턴은 표면 요소들(206)의 적어도 일부가 체크 무늬의 배열로 최대 및 최소 반사도들을 가질 것임을 나타낸다. 다양한 다른 예시적인 패턴들이 가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반사 방식은 하나 이상의 시구간 동안 표면(202)에 대한 하나 이상의 반사도를 나타내는 시간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제어기(204)는 시간 성분에 기초하여, 표면 방식에 의해 나타난 특정 반사도들을 갖게 표면 요소들(206)을 구성하기 위한 시작 시간 및 지속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성들에서, 표면 방식은 복수의 반사도들 및 복수의 시구간들을 나타내고, 각 반사도를 시구간들 중 하나와 연관시킨다. 예시하자면, 표면 방식은 높은 반사도 및 낮은 반사도를 포함하는 두 개의 반사도들을 나타낼 수 있고, 또한 제1 시구간 및 이에 후속하는 제2 시구간을 포함하는 두 개의 시구간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높은 반사도는 낮은 반사도보다 높은 반사도 또는 높은 비율을 갖는다. 예를 들어, 높은 반사도는 최대 반사도 또는 중간 반사도일 수 있고, 낮은 반사도는 최소 반사도 또는 중간 반사도일 수 있다. 높은 반사도 및 낮은 반사도가 둘 다 중간 반사도들이라면, 높은 반사도는 낮은 반사도보다 높은 비율에 대응한다. 표면 방식은 제1 시구간 동안 높은 반사도에 따라 표면 요소들(206)을 구성하고, 제2 시구간 동안 낮은 반사도에 따라 표면 요소들(206)을 구성할 것을 제어기(204)에 나타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반사 방식의 시간 성분은 시구간들의 제1 세트 및 시구간들의 제2 세트를 나타낼 수 있다. 반사 방식은 제1 세트의 시구간들 동안 높은 반사도에 따라 표면 요소들(206)을 구성하고, 제2 세트의 시구간들 동안 낮은 반사도에 따라 표면 요소들(206)을 구성할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성들에서, 시구간들의 제1 및 제2 세트는 서로 인터리빙되어, 제어기(204)가 제1 시구간 동안 높은 반사도를 갖게 그리고 제2 시구간 동안 낮은 반사도를 갖게 표면 요소들(206)을 교대로 구성하게 한다. 다양한 구성들에서, 제1 시구간은 제2 시구간과 같을 수 있거나, 제2 시구간보다 길 수 있거나, 또는 제2 시구간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둘 초과의 반사도들 및/또는 둘 초과의 시구간들 또는 시구간들의 둘 초과의 세트들을 식별하는 반사 방식들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방식은 세 개의 반사도들, 및 세 개의 반사도들에 따라 제어기(204)가 표면 요소들(206)을 구성할 세 개 이상의 시구간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는 입사 신호(si(t))(도 3a), 및 반사 방식의 상이한 시간 성분들에 기초하여 표면(202)이 출력할 수 있는 반사 신호들(sr(t))(도 3b 내지 도 3f)의 유형들의 다양한 비제한적인 예들의 타이밍도들을 도시한다. 간략화를 위해, 도 4b 내지 도 4f에 도시된 반사 방식들은 높은 반사도 및 낮은 반사도를 포함하는 두 개의 반사도들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제어기(204)는 입사 신호(si(t))를 반사하는 동안 표면 요소들(206)을 구성한다. 도면들에서, 표면 요소들(206)이 높은 반사도를 갖게 구성될 때 반사 신호(sr(t))의 전력은 관련 진폭(Y1)으로 표기되고, 표면 요소들(206)이 낮은 반사도를 갖게 구성될 때 반사 신호(sr(t))의 전력은 관련 진폭(Y2)으로 표기된다.
또한, 도 3b 내지 도 3e는 각각 반사 신호(sr(t))가 전파되는 시구간들 T1 및 T2의 관련 두 개의 세트들을 도시한다. 표면 요소들(206)은 시구간들 T1의 제1 세트 동안 높은 반사도로 입사 신호(si(t))를 반사하고, 시구간들 T2의 제2 세트 동안 낮은 반사도로 입사 신호(si(t))를 반사한다. 도 3b 및 도 3c와 관련하여, 시구간들 T1과 T2은 서로 거의 같아, 대체로 일정한 주파수 및 약 50% 듀티 사이클을 초래한다. 도 3b 및 도 3c는 또한 시구간들 T1 및 T2이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어서, 반사 신호(sr(t))에 대해 상이한 더 낮거나 더 높은 주파수들을 초래한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3d는 제1 시구간들 T1이 제2 시구간들 T2보다 짧아, 대체로 일정한 주파수 및 50% 미만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반사 신호(sr(t))를 초래함을 나타내는 반사 방식의 시간 성분을 도시한다. 도 3e는 제1 시구간들 T1이 제2 시구간들 T2보다 길어, 대체로 일정한 주파수 및 50% 초과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반사 신호(sr(t))를 초래함을 나타내는 반사 방식의 시간 성분을 도시한다. 도 3f는 상이한 시구간들에 대한 상이한 지속 시간들이 높은 반사도 및 낮은 반사도과 연관되어,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주파수 및/또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 반사 신호(sr(t))를 초래함을 나타내는 반사 방식의 시간 성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200)의 표면(202)은 입사 신호의 특성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특성을 갖는 반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반사 신호는 표면(202)에 의해 수행된 반사로 인해 입사 신호의 특성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또한 변조된 신호로도 지칭될 수 있다. 예시적인 특성들은 에너지, 전력, 주파수, 및 듀티 사이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표면(202)이 중간 또는 최소 반사도를 갖게 구성된 하나 이상의 표면 요소(206)를 이용하여 입사 신호를 반사할 때, 반사 신호는 입사 신호의 에너지 및/또는 전력과 상이한(즉, 이보다 낮은) 에너지 및/또는 전력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소정의 반사 방식에 따라 제어기(204)가 표면 요소들(206)을 어떻게 제어하는지에 따라, 표면(202)은 입사 신호의 주파수와 상이한 주파수, 이를테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더 높은 주파수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더 낮은 주파수를 갖는 반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유사하게, 입사 신호가 특정 듀티 사이클을 갖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표면(202)은 제어기(204)에 의해 사용되는 반사 방식에 따라, 입사 신호의 듀티 사이클과 상이한(이보다 높거나 낮은) 듀티 사이클을 갖는 반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200)의 표면(202)은 도 2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섹션들로 분리되거나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각 섹션은 대응하는 반사 방식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c와 관련하여, 제어기(204)는 제1 반사 방식에 따라 반사하도록 제1 표면 부분(202(1))을 구성할 수 있고, 제2 반사 방식에 따라 반사하도록 제2 표면 부분(202(2))을 구성할 수 있다. 상이한 반사 방식들은 상이한 부분들이 동일한 특성들을 갖거나 서로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예를 들어, 주파수, 전력, 또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 각 반사 신호들을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상이한 특성들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200)의 상이한 부분들을 나타내거나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시스템(100)에서의 통신 노드들 중 하나의 통신 노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를테면, 다운링크 신호, 업링크 신호, 또는 사이드링크 신호의 형태의 신호를 통신 노드들 중 또 다른 통신 노드로 발신할 수 있다. 신호가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디바이스까지 취하는 경로는 전파 경로로서 지칭된다.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가 신호의 전파 경로 내에 있는 경우, 신호가 수신 디바이스에 도달하기 전에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의 표면이 신호를 반사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이를테면, 사용자 디바이스(102) 또는 무선 액세스 노드(104))는 수신 신호가 수신 전에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분석하거나 결정하고, 그 다음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수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서(110, 120)는 수신 신호의 샘플링된 값들을 획득하기 위해, 이를테면, 클록킹에 따른 특정 시간들에서, 수신 신호를 샘플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신호가 반사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수신 디바이스는 발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바와 같은 원래 신호의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특성 및/또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의해 반사된 경우의 신호의 하나 이상 특성을 알거나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신호의 실제 특성(들)을 결정시, 이를테면, 자신의 프로세서를 갖는 수신 디바이스는 실제 특성(들)을 미리 결정된 특성(들)과 비교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는 실제 특성(들)이 (정확하게 매칭함으로써 또는 미리 결정된 특성(들)의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매칭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신호가 반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예시로서, 수신 디바이스는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원래 신호의 주파수를 알 수 있다. 수신 신호를 수신시,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가 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원래 신호의 주파수와 매칭한다고 결정한다면,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가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것과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것 사이에서의 전파 경로를 따라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의해 반사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예시로서, 수신 디바이스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의해 반사된 반사 신호의 주파수를 알 수 있다. 수신 신호를 수신시,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가 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반사 신호의 주파수와 매칭한다고 결정한다면 디바이스는 신호가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것과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것 사이에서의 전파 경로를 따라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의해 반사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반사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반사 신호의 하나 이상의 특성은 신호를 반사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반사 신호의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특성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의 하나 이상의 특성과 연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를 수신시,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특성이 반사 신호의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특성과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들이 매칭한다면, 신호가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기 전에 신호를 반사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의 하나 이상의 관련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의 예시적인 특성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식별정보(identification, ID)이다.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ID를 아는 것은 가능하게는 통신 노드들 사이의 신호의 전파 경로 내에 있을 수 있는 다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124)을 포함하는 환경들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ID를 결정하는 것은 수신 디바이스(또는 시스템(100)에서의 발신 디바이스 또는 다른 통신 노드들)가 다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124) 중 어느 것이 신호를 반사했는지를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시스템(100)이 복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124)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과 통신하는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124)은 각각이 그들 자신의 ID에 고유하게 대응하는 서로 상이한 대응하는 특성들을 갖는 반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하자면,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는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의 제1 ID를 나타내는 제1 주파수를 갖는 반사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는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의 제2 ID를 나타내는 제2 주파수를 갖는 반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를 수신시, 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제1 주파수와 매칭하는지 또는 제2 주파수와 매칭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신 신호가 제1 ID를 갖는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 지 또는 제2 ID를 갖는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의 또 다른 예시적인 특성은 배터리 수명이다. 도 2a를 다시 참조하면,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200)는 제어기(204)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21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200)는 전기 그리드와 같은 외부 전원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어기(204)는 배터리(216)의 배터리 수명(예를 들어, 잔여 충전량)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204)가 배터리 수명이 임계 레벨 아래로 떨어졌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어기(204)는 낮은 배터리 수명과 관련된 반사 방식에 따라 표면(202) 및 그 표면 요소들(206)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수명이 임계 레벨 아래로 떨어진 경우에, 입사 신호의 수신시, 표면(202)은 낮은 배터리 수명과 관련된 반사 방식에 따라 반사 신호를 출력할 것이다―즉, 표면(202)은 낮은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갖는 반사 신호를 출력할 것이다. 반사 신호의 수신시,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의 하나 이상의 특성이 낮은 배터리 수명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특성과 매칭함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낮은 배터리 수명을 통지하는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갖는 신호들을 반사시키는 것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이 위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곳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원격 위치들, 위험하거나 어려운 지형을 갖는 위치들, 가혹한 기상 조건에 노출되는 위치들, 또는 도달하기 어려운 위치들―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들은 산, 섬, 사막, 언덕, 정글, 지하 통로 또는 터널, 또는 빌딩의 도달하기 어려운 영역들, 이를테면, 옥상 또는 벽을 포함할 수 있다―과 같은 비교적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들을 포함하여, 여전히 효과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위치들에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을 서비스하는 것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실제 상태에 기초하여, 서비스 담당자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가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고 있을 때만으로 바람직하게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들에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위치시키는 것은 또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적절한 범위 내에서 몇몇 무선 액세스 노드들에 대한 그리고/또는 동적으로 그리고/또는 랜덤하게 변하는 수의 통신 노드에 대한 커버리지를 증가시킬 수 있는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단지 특정한 정적인 수의 통신 노드에 대해서만 커버리지를 증가시키도록 특별히 의도되는 특정한 정적인 수의 통신 노드(이를테면, 단지 하나의 정지 무선 액세스 노드(104))의 특정한 거리 내에 특별히 위치되는 디바이스로서보다는, 다양한 수들 또는 유형들의 무선 통신 노드들 중 임의의 무선 통신 노드에 대한 커버리지를 유연하게 또는 동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위치될 수 있다.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상태 또는 상황을 나타낼 수 있고/있거나 배터리 이외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일부 구성요소들이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는 표시를 제공할 수 있는 특성들을 포함하여, 반사 신호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다른 특성들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구성들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임으의 특성을 식별하지 않았다고 명시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가 수신한 신호가 임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지 않았던 경우, 또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표면이 최대 반사도를 갖게 구성되는 시간 동안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던 경우에 그러한 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 그리고/또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을 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수신 디바이스는 검출의 결과를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할 수 있다. 피드백 신호는 발신 디바이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노드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수신 디바이스 및/또는 발신 디바이스는 빔 관리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통신 노드의 안테나(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02)의 안테나(108) 및/또는 무선 액세스 노드(104)의 안테나(116))는 이를테면, 관련 프로세서(110, 120)에 의해, 제어되고/되거나 조정될 수 있는 관련 위상 및/또는 진폭을 각각 가질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통해, 통신 노드는 자신의 프로세서(110, 120)가 복수의 가능한 빔들 중에서 빔을 선택함으로써 빔 형성을 수행할 수 있고, 선택된 빔을 방사하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송신측 지향성 및/또는 수신측 지향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 120)는 상이한 통신들에 상이한 빔들을 사용하거나 동일한 빔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및 수신 디바이스들은 어느 빔들을 선택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빔 스위핑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발신 디바이스는 복수의 송신 빔들을 통해 반복하는 동안 기준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 디바이스는 복수의 수신 빔들을 통해 반복하는 동안 발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들을 수신한다. 빔 스위핑 프로세스 동안, 수신 디바이스는 복수의 수신 신호들 각각의 에너지, 전력, 및/또는 신호 품질(예를 들어, 신호 대 잡음비(SNR) 또는 신호 품질의 다른 지표들)을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서, 수신 디바이스는 어느 신호가 최대 에너지 또는 전력 및/또는 최상의 신호 품질로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고, 그 후 결정에 기초하여 빔을 선택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수신 디바이스는 발신 디바이스에 에너지/전력/신호 품질 측정치들 및/또는 선택된 수신 빔을 통지한다.
빔 스위핑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될 신호들의 수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가 행할 에너지/전력 측정들의 수를 알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그 수는 수신 디바이스가 수신한 신호들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 그리고/또는 복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 중 어느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가 반사하였는지에 의할 수 있는데, 이는 적어도 반사 디바이스 자체가 반사각을 변경하거나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송신 빔 및/또는 수신 빔을 최적으로 선택하기 위해 발신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송신들의 수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에너지/전력/신호 품질 측정들의 수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신 디바이스의 복수의 송신 빔들로부터의 송신 빔의 선택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의 복수의 수신 빔들로부터의 수신 빔의 선택은 궁극적으로,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의 결정 및/또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ID와 같은 결정된 특성에 의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발신 디바이스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의 검출 및/또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특성의 검출에 응답하여, 그리고/또는 이에 의해, 하나 이상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수신 디바이스가 검출한다면, 발신 디바이스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는 신호를 반사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의 반사각을 제어, 조정, 그리고/또는 설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성들에서,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수신 디바이스가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신 디바이스 및/또는 발신 디바이스는 빔 스위핑 프로세스 동안 그리고/또는 이의 일부로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반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가 제1 반사각으로 반사한 제1 수신 신호의 전력/신호 품질을 측정할 수 있고, 그 후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가 제2 반사각으로 반사한 제2 수신 신호의 전력/신호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신 디바이스 및 수신 디바이스는 복수의 반복들에 걸쳐 빔 스위핑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반복에 대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복수의 반사각들 중 특정 반사각으로 입사 신호를 반사하고, 수신 디바이스는 특정 반사각에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된 수신 신호의 전력/신호 품질을 측정한다. 또한, 빔 스위핑 프로세스의 종료시, 발신 디바이스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는 복수의 반사각들 중에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대한 최적의 반사각을 결정할 수 있고, 발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간의 후속 통신을 위해, 최적의 반사각을 갖도록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신 디바이스들이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검출하지 않는다면, 발신 디바이스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는 임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의 반사각을 제어하지 않고 빔 스위핑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수신 디바이스는 발신 디바이스에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의 검출을 알리거나 통지할 수 있어서, 발신 디바이스는 빔 스위핑 프로세스 동안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어떻게 제어할지 그리고/또는 제어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는 무선 시스템(100)에서의 하나 이상의 통신 노드(제어 디바이스로서 지칭됨)에 의해, 이를테면, 무선 액세스 노드(104)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1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는 소정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대해 표면(202)의 반사도 또는 복수의 표면 요소들(206)에 대한 관련 반사도들을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디바이스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가 사용하는 반사 방식(들), 및/또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가 특정 반사 방식(들)을 사용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디바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빔 스위핑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의 반사각을 이를테면, 설정하거나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시스템들(100)에 대해, 제어 디바이스는 다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124)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 대해, 제어 디바이스는 상이한 비중첩 시구간들 동안 상이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124)에 의해 반사될 신호들의 송신들을 스케줄링함으로써 다수의 반사 디바이스(124)들을 제어한다. 대조적으로, 상이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124)이 공통 시구간 동안 각 신호들을 반사한다면, 반사 신호들은 각 수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신되기 전에 조합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조합된 신호는 개별 반사 신호들의 특성들과 상이한 특성들(주파수, 듀티 사이클, 전력 등)을 가질 수 있어서, 수신시, 수신 디바이스들은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 및/또는 수신 신호를 반사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특성(예를 들어, ID)을 검출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시간 슬롯들에서 상이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124)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들의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은 이러한 신호들을 바람직하지 않게 조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케줄링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발신 디바이스는 제1 시구간 동안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의해 반사되도록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제1 세트를 송신할 수 있고, 제2 시구간 동안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의해 반사되도록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제2 세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시구간은 제1 시구간과 중첩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 대해 제1 시구간의 종료로부터 충분히 지연될 수 있어서,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의해 반사된 하나 이상의 반사 신호는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의해 반사되는 임의의 반사 신호들과 조합되지 않거나, 또는 그 외 임의의 반사 신호들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된 반사 신호들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 디바이스는 신호들이 반사되었다는 것 그리고/또는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a는 두 개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이 이를테면,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를 통해, 상이한 비중첩 시구간들에서 각 반사 방식에 따라 반사하는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제1 시간(t0)으로부터 제2 시간(t1)까지 연장되는 제1 시구간 동안 제1 반사 방식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신호를 반사한다. 또한,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제3 시간(t2)으로부터 제4 시간(t3)까지 연장되는 제2 시구간 동안 제2 반사 방식에 따라 신호들을 반사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구간과 제2 시구간은 중첩되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구성과 같은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시구간들 사이에 미리 결정된 시간량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치 않는 조합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시간(t1)과 제3 시간(t2) 사이에 특정한 미리 결정된 시간량이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하나의 시구간은 또 다른 시구간이 끝나는 동시에 시작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에서 t1과 t2는 동일할 것이다).
통신 노드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를 제어할 수 있는 다른 방식들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발신할 수 있으며, 이를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200)의 제어기(204)가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200)의 제어기(204)는 제어 디바이스와의 유선 연결을 통해, 무선으로(이를테면, 안테나(214)를 통해),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통해 제어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는 제어기(204)가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반사 방식들을 결정하거나 또는 그 외 자신의 표면(202), 표면 요소들(206), 및/또는 반사각들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자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200)의 메모리(210)는 하나 이상의 반사 방식을 갖게 미리 구성될 수 있고, 제어기(204)는 그 외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제조시, 또는 적어도 동작 전에, 표면(202) 및 표면 요소들(206)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미리 구성되고, 제어기(204)는 이의 수명 또는 동작 기간 동안 사전 구성에 배타적으로 의존할 수 있다. 다양한 구성들에서, 자체 제어(또는 독립형)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전술된 것들과 같은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들에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자체 제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임의의 하나의 특정 통신 노드(예를 들어, 임의의 특정 기지국)와의 동작을 위해 지정되지 않고, 대신에 다양한 시점들에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미리 결정된 거리 또는 부근 내에서 이동하는 다양한 통신 노드들 중 임의의 통신 노드에 대한 커버리지를 개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반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이러한 자체 제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 대해, 발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사이의 전파 경로는 단일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만을 포함할 수 있어서, 전파 경로를 통해 통신되는 신호는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기 전에 단일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에 의해 반사된다.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전파 경로는 다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124)을 포함하여, 전파 경로를 통해 통신되는 신호는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기 전에 다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124) 각각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경로가 N개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124)(여기서 N은 2 이상임) 포함하는 경우에서, 신호는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기 전에 N개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124)의 표면들에 의해 N회 반사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다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 각각은 관련 반사 방식에 따라 각 입사 신호를 반사하는 표면을 가질 수 있어, 수신 신호의 특성들은 다수의 반사 방식들의 조합에 기초하거나 또는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전파 경로 내에 단일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만을 포함하는 구성들과 같이, 다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에 의해 다수회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는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 후, 수신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검출된 특성이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특성과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매칭한다면,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다는 것, 그리고/또는 신호를 반사한 다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특성(예를 들어, ID 또는 배터리 수명)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b는 하나 이상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파 경로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예시적인 방법(4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 402에서, 발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를 향해 신호를 송신한다. 블록 404에서, 하나 이상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반사 방식에 따라 신호를 1회 이상 반사한다. 블록 406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로부터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 하나 이상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가 다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면, 수신 디바이스는 신호를 마지막으로 반사한 마지막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로부터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 406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 그리고/또는 이를테면,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 신호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검출함으로써, 신호를 반사한 하나 이상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에 기초하여, 수신 디바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동작을 취할 수 있다.
도 5는 무선 통신을 위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예를 들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124 또는 200))를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5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 502에서, 제어기(예를 들어, 제어기(204))는 반사 방식에 따라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표면의 복수의 표면 요소들에 대한 관련 반사도들을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관련 반사도는 관련 최대 반사도, 관련 최소 반사도, 또는 관련 중간 반사도일 수 있다. 반사 방식은 표면 요소들 각각에 대한 관련 반사도를 제어기에 나타낼 수 있다.
블록 504에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표면은 입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반사 방식에 따라 설정된 복수의 표면 요소들의 관련 반사도로 입사 신호를 반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 신호는 상이한 주파수, 전력, 에너지, 및/또는 듀티 사이클과 같은, 입사 신호의 대응하는 특성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 대해, 특성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식별정보 또는 배터리 수명과 같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가 반사하는 입사 신호는 무선 액세스 노드(104)가 생성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2)에 송신하는 것과 같은 다운링크 신호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입사 신호는 사용자 디바이스(102)가 생성하여 무선 액세스 노드(104)에 송신하는 것과 같은 업링크 신호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입사 신호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102)가 생성하여 제2 사용자 디바이스(102)에 송신하는 것, 또는 제1 무선 액세스 노드(104)가 생성하여 제2 무선 액세스 노드(104)에 송신하는 것과 같은 사이드링크 신호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도 6은 무선 통신을 위해 복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6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 602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제1 신호를 송신할 제1 시간 및 제2 신호를 송신할 제2 시간을 나타내는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신호들은 다운링크 신호들, 업링크 신호들, 또는 사이드링크 신호들일 수 있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수신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 전에,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상이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들에 의해, 이를테면, 상이한 전파 경로들에서 반사될 것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제1 신호가 송신되기 전에, 제2 시간을 결정하고, 스케줄에 제2 시간을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제1 신호가 송신된 후에, 제2 시간을 결정하고, 스케줄에 제2 시간을 포함시킬 수 있다.
블록 604에서, 하나 이상의 발신 디바이스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스케줄에 따라(예를 들어, 각각, 제1 시간 및 제2 시간에) 송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발신 디바이스와 제어 디바이스는 동일한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발신 디바이스와 제어 디바이스가 상이한 디바이스들인 경우에, 제어 디바이스는 발신 디바이스에 스케줄을 발신할 수 있다. 송신들 후에,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제1 반사 방식에 따라 제1 신호를 반사하여 제1 반사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제2 반사 방식에 따라 제2 신호를 반사하여 제2 반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수신 디바이스는 제1 반사 신호 및 제2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블록 602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수신 디바이스가 제1 반사 신호와 제2 반사 신호를 서로 조합되거나 간섭됨 없이 수신하도록 제1 시간 충분히 후에 제2 신호를 발신할 제2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수신 디바이스는 제1 반사 신호가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 및/또는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관련 특성들을 나타내는 제1 반사 신호의 특성들을 성공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제2 반사 신호가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 및/또는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관련 특성들을 성공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7은 무선 통신을 위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예시적인 방법(7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 702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일 수 있고, 발신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노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노드일 수 있고, 발신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발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는 둘 다 사용자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발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는 둘 다 무선 액세스 노드들일 수 있다.
블록 704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 대해, 수신 디바이스는 신호의 주파수, 듀티 사이클, 전력, 또는에너지와 같은, 수신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검출하고, 검출된 특성을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된 신호와 관련된 미리 결정된 특성과 비교함으로써,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특성들과 미리 결정된 특성들이 매칭된다면,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검출된 특성들과 미리 결정된 특성들이 매칭되지 않는다면,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블록 706에서, 수신 디바이스가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검출한다면, 블록 708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반사각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 발신 디바이스, 또는 또 다른 통신 노드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 대해, 제어 디바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빔 스위핑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하나 이상의 반사각을 설정하도록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빔 스위핑 프로세스 동안, 송신 및 수신 디바이스들은 복수의 반복들을 통해 스위핑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반복에 대해, 제어 디바이스는 반사각을 설정하고, 수신 디바이스는 설정된 반사각에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된 신호의 전력을 측정한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측정들에 기초하여, 발신 디바이스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대한 최적의 반사각을 결정할 수 있고, 제어 디바이스는 발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간의 후속 통신을 위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반사각을 최적의 반사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블록 706을 참조하면, 수신 디바이스가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지 않았음을 검출한다면, 블록 710에서, 발신 디바이스 및 수신 디바이스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임의의 반사각을 설정함 없이, 추가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및 수신 디바이스들은, 빔 스위핑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또는 임의의 반사각을 설정하거나, 또는 그 외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제어함 없이, 서로 간에 다른 신호들을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수신 디바이스는 블록 704에서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를 검출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가 신호를 반사하였음을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수신 디바이스는 제어 디바이스로서 구성되지 않고, 이에 따라 수신 디바이스는 또 다른 디바이스, 이를테면, 피드백 신호를 제어 디바이스, 발신 디바이스, 또는 또 다른 통신 노드에 출력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는 동일한 디바이스이다. 이와 같이, 피드백 신호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디바이스에,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제어할지 여부 그리고/또는 어떻게 제어할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피드백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한 반사가 발생했음을 나타낸다면, 피드백 신호는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제어가 발생할 것임을 나타낸다. 한편, 피드백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한 반사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면, 피드백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제어가 발생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는 피드백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피드백 신호의 표시에 기초하여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임의의 반사각들을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신호가 수신 디바이스가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검출했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디바이스는 이를테면, 빔 스위핑 프로세스 동안,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반사각을 설정함으로써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피드백 신호가 수신 디바이스가 수신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검출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면,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디바이스는 임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대한 반사각을 설정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수신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이고, 제어 디바이스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액세스 노드인 발신 디바이스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수신 디바이스는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발신 디바이스와 통신할 빔을 복수의 빔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에 응답하여, 수신 디바이스는 (이를테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ID를 식별함으로써) 어느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가 수신 신호를 반사했는지를 식별하는 것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어느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가 갖도록 제어되는 최적의 반사각과 같은 반사각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함으로써 빔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특성을 검출하는 예시적인 방법(800)의 흐름도이다. 블록 802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 804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신호를 반사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특성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의 특성을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특성이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ID 또는 배터리 수명과 같은, 신호를 반사한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특성과 매칭하거나, 또는 그 외 이에 대응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들(400, 500, 600, 700, 800)로부터의 다양한 블록들 중 임의의 블록을 조합하는 방법들을 포함하여, 다른 방법들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구현예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설명된 주제는 다양한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뤄지거나 청구되는 주제는 본원에서 제시된 임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청구되거나 다뤄지는 주제에 대한 합리적으로 넓은 범위가 의도된다. 특히, 예를 들어, 주제는 방법들, 디바이스들, 구성요소들, 시스템들, 또는 컴퓨터 코드들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일시적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된 방법 실시예들은 메모리 및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 디바이스들, 또는 시스템들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코드들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용어들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의미들을 넘어서 문맥상 시사되거나 암시되는 함축된 의미들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구현예"라는 어구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고,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구현예"라는 어구는 반드시 상이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청구되는 주제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조합들을 전체로 또는 부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반적으로, 용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문맥상 사용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및", "또는", 또는 "및/또는"과 같은 용어들은 이러한 용어들이 사용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문맥에 따를 수 있는 다양한 의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또는"은 A, B 또는 C와 같은 리스트를 연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본원에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 A, B 및 C뿐만 아니라, 본원에서 배타적인 의미로 사용된 A, B 또는 C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문맥에 따라, 임의의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단수 의미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의 조합들을 복수 의미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수 표현 용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문맥에 따라, 단수 사용법을 전달하거나 복수 사용법을 전달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에 기초한"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인자들의 배타적인 세트를 전달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닌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고, 대신에, 다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문맥에 따라, 반드시 명시적으로 기술되지 않은 추가적인 인자들의 존재를 허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서의 특징들, 이점들, 또는 유사한 표현의 언급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 실현될 수 있는 특징들 및 이점들 모두가 이의 임의의 단일 구현예이어야 하거나 이의 임의의 단일 구현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특징들 및 이점들을 지칭하는 용어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이점, 또는 특성이 본 솔루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특징들 및 이점들에 대한 논의, 및 유사한 용어는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뿐만 아니라, 본 솔루션의 설명된 특징들, 이점들, 및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원에서의 설명에 비추어,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이 특정 실시예의 특정 특징들 또는 이점들 중 하나 이상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사례들에서, 본 솔루션의 모든 실시예들에 존재하는 것은 아닐 수 있는 추가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이 특정 실시예들에서 인식될 수 있다.

Claims (47)

  1. 방법으로서,
    반사 방식에 따라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표면 ― 상기 표면은 하나 이상의 반사각으로 반사하도록 구성됨 ― 의 복수의 표면 요소들에 대한 관련 반사도들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을 이용하여, 상기 반사 방식에 따라 설정된 상기 복수의 표면 요소들에 대한 관련 반사도들로 입사 신호를 반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 신호는 다운링크 신호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 신호는 업링크 신호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 신호는 사이드링크 신호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은 제1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면 요소들은 제1 복수의 표면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식은 제1 반사 방식을 포함하며, 상기 입사 신호는 제1 입사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제2 표면을 이용하여, 제2 반사 방식에 따라 설정된 상기 제2 표면의 제2 복수의 표면 요소들에 대한 관련 반사도들로 제2 입사 신호를 반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 신호를 반사시키는 단계는 제1 시구간 동안 상기 제1 표면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입사 신호를 반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사 신호를 반사시키는 단계는 제2 시구간 동안 상기 제2 표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입사 신호를 반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을 이용하여, 상기 입사 신호를 반사하는 것에 응답하여 반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사 신호 및 상기 반사 신호는 서로 상이한 대응하는 특성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특성은 주파수, 전력, 또는 듀티 사이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신호의 상기 대응하는 특성은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는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은 제1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면 요소들은 제1 복수의 표면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식은 제1 반사 방식을 포함하며, 상기 입사 신호는 제1 입사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제2 표면을 이용하여, 제2 반사 방식에 따라 설정된 상기 제2 표면의 제2 복수의 표면 요소들에 대한 관련 반사도들로 반사 신호를 반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 신호는 상기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제1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것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면 요소들은 상기 제1 부분의 일부인 제1 복수의 표면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식은 제1 반사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입사 신호는 제1 입사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제2 복수의 표면 요소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부분을 이용하여, 제2 반사 방식에 따라 설정된 상기 제2의 복수의 표면 요소들에 대한 관련 반사도들로 제2 입사 신호를 반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 각각은 제어기 및 복수의 네트워크 요소들을 포함하는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14.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매체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코드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5. 방법으로서,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1 신호를 송신할 제1 시간 및 제2 신호를 송신할 제2 시간을 나타내는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신호는 제1 전파 경로에서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도록 결정되고, 상기 제2 신호는 제2 전파 경로에서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도록 결정됨 ―; 및
    적어도 하나의 발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스케줄에 따라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다운링크 신호들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업링크 신호들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사이드링크 신호들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수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1 반사 신호 및 제2 반사 신호 각각의 각 특성을 식별하는 단계 ― 상기 제1 반사 신호는 상기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고, 상기 제2 반사 신호는 상기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특성은 주파수, 전력, 또는 듀티 사이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의 상기 각 특성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각 특성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 각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 특성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 식별정보 또는 배터리 수명을 포함하는것인,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반사 신호의 상기 각 특성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임의의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특성을 식별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방법으로서,
    수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가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가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반사각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 및 상기 수신 디바이스들은 상이한 디바이스들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피드백 신호를 발신하는 단계 ― 상기 피드백 신호는 상기 신호가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상기 수신 디바이스가 검출했는지 여부를 나타냄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각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가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나타내는 상기 피드백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반사각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발신 디바이스는 동일한 것인,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동일한 것인,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제1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반사각을 설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수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신호의 전력 또는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제1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검출하는 단계 후에 상기 수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빔 스위핑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단계로서, 각 반복마다:
    상기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복수의 반사각들의 각 반사각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반사각들의 상기 각 반사각에서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된 복수의 제2 신호들 중 하나의 제2 신호의 전력 또는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3.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 디바이스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는 제1 무선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제2 무선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특성이 미리 결정된 특성과 매칭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가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성이 상기 미리 결정된 특성과 매칭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가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특성은 주파수, 전력, 또는 듀티 사이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빔들로부터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 통신할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가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음을 검출하는 단계에 의하는 것인, 방법.
  38. 방법으로서,
    발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1 신호를 수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 전에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의 반사각을 제어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는지 여부에 의함 ― 를 포함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에 의해 반사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반사각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동일한 것인, 방법.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동일한 것인, 방법.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 방법.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디바이스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디바이스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5.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디바이스는 제1 무선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디바이스는 제2 무선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6.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로부터 코드를 판독하고 제17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장치.
  47.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매체가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코드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7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27030799A 2020-03-03 2020-03-03 반사 표면에 의한 신호 변조 방법 KR202201503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077563 WO2021109345A1 (en) 2020-03-03 2020-03-03 Method to modulate signals by reflecting surfa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310A true KR20220150310A (ko) 2022-11-10

Family

ID=7622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799A KR20220150310A (ko) 2020-03-03 2020-03-03 반사 표면에 의한 신호 변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24649B2 (ko)
EP (1) EP4115539A4 (ko)
KR (1) KR20220150310A (ko)
CN (1) CN115211055A (ko)
WO (1) WO2021109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1839B (zh) * 2020-03-09 2023-03-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信息发送方法和通信节点
EP4176516A4 (en) * 2020-07-02 2023-08-02 ZTE Corporation SURFACE ELEMENT SEGMENTATION AND NODE GROUPING FOR INTELLIGENT REFLECTIVE DEVICES
US11570629B2 (en) * 2020-07-10 2023-01-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using configurable surfa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1848709B2 (en) * 2020-08-14 2023-12-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dia-based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assisted modulation
WO2023272682A1 (en) * 2021-07-01 2023-01-05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beam training
WO2023283759A1 (en) * 2021-07-12 2023-01-19 Qualcomm Incorporated Passive communication via multiple reflective surfaces
CN113556168B (zh) * 2021-07-19 2023-04-28 电子科技大学 一种针对多智能反射面的码分多址传输方法
CN114124259B (zh) * 2021-08-13 2023-07-04 南京邮电大学 基于不完整信息的智能反射表面的干扰测试方法
CN113726383B (zh) * 2021-08-18 2023-07-25 深圳大学 一种智能反射面辅助的无线通信系统
WO2023021062A1 (en) 2021-08-19 2023-02-23 Sony Group Corporation Multi-device transmission via coverage enhancing device
KR20240046874A (ko) * 2021-08-25 2024-04-1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위한 재구성가능 표면들
CN113891356A (zh) * 2021-09-29 2022-01-04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无线通信数据信息传输方法和设备
CN113839694B (zh) * 2021-09-30 2022-06-21 深圳市大数据研究院 一种智能反射面相移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WO2023070519A1 (en) * 2021-10-29 2023-05-04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on of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s (ris) presence in network
WO2023097596A1 (en) * 2021-12-02 2023-06-08 Qualcomm Incorporated Training of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s through 1 port comb-n reference signals
CN114142898B (zh) * 2021-12-03 2022-09-20 深圳市大数据研究院 智能反射面相移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632163B1 (en) 2021-12-16 2023-04-18 Motorola Mobility Llc Communication device with millimeter wave multipath selection and aggregation using wearable reflective surfaces
CN116567643A (zh) * 2022-01-28 2023-08-08 索尼集团公司 动态资源共享
CN114554527B (zh) * 2022-03-01 2023-09-12 重庆邮电大学 联合irs技术和sr技术的物联网链路优化方法及系统
WO2023227596A1 (en) 2022-05-27 2023-11-30 Sony Group Corporation Multi-device transmission using in-phase and quadrature components of signal
WO2024074630A1 (en) 2022-10-07 2024-04-11 Sony Group Corporation Multi-device transmission at coverage enhancing device using multiple polarization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5430B1 (fr) * 2010-09-24 2012-08-31 Centre Nat Etd Spatiales Liaison transhorizon entre une station sol et un satellite en orbite basse
US10056963B1 (en) * 2017-03-22 2018-08-21 T-Mobile Usa, Inc. Portable macro antenna system
CN107528787A (zh) * 2017-08-31 2017-12-29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增强天线信号强度的挂壁式无线路由器
CN110266352B (zh) * 2019-05-27 2021-05-04 东南大学 一种大规模mimo系统中智能反射面相移矩阵自适应设计方法
CN110278017B (zh) * 2019-06-27 2023-07-25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智能反射面的多天线无线能量传输系统与方法
CN110830097B (zh) * 2019-11-05 2021-05-04 西南交通大学 一种基于反射面的主被动互惠共生传输通信系统
CN110839204B (zh) * 2019-12-23 2020-10-16 华中科技大学 一种irs辅助通信系统的通信优化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11055A (zh) 2022-10-18
EP4115539A1 (en) 2023-01-11
US11924649B2 (en) 2024-03-05
US20230074103A1 (en) 2023-03-09
EP4115539A4 (en) 2023-11-08
WO2021109345A1 (en)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0310A (ko) 반사 표면에 의한 신호 변조 방법
US11337226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ceive beam management at terminal
CN108886397B (zh) 用于上行链路波束管理的方法及用户设备
US75806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hensive link assessment and frequency monitor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US10681674B2 (en) Beam training for a radio transceiver device
CN108293194B (zh) 自适应波束成形扫描
US11595287B2 (en) Communication method for wireless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for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US20170338925A1 (en) Scheduling method of communication system using directional reference signals and related apparatuses using the same
US20200007221A1 (en) Beam selection for a radio transceiver device
US11271696B2 (en) Beam management of a radio transceiver device
US20230179504A1 (en) Communication method for wireless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for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KR101927133B1 (ko) 가변적인 전력 레벨을 이용한 백스캐터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태그
Mi et al. CBMA: Coded-backscatter multiple access
JP2023036001A (ja) 電力再伝送のための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
CN110771061A (zh) 用于具有固定位置的无线站的波束成形的系统和方法
WO2018135986A1 (en) Beam management using suplink reference signals
JP2020092519A (ja) 電子装置及び方法
US20230266458A1 (en) Position determination with reflecting surfaces
US10178629B2 (en) Communications node, system, communications method, and computer product
JP2023531800A (ja) 知的反射デバイスのための表面要素分割およびノードグループ分け
US20130272345A1 (en) Packet communication system, emission control apparatus, antenna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10023849A1 (ja) 2次元通信システム
Loh et al. Assessment of the adaptive routing performance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using smart antennas
Dorling et al. Improving aerially deployed sensor networks using cooperative communications
CA299076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sequence of sets of data from a communication device to an access 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