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077A -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077A
KR20220150077A KR1020210057330A KR20210057330A KR20220150077A KR 20220150077 A KR20220150077 A KR 20220150077A KR 1020210057330 A KR1020210057330 A KR 1020210057330A KR 20210057330 A KR20210057330 A KR 20210057330A KR 20220150077 A KR20220150077 A KR 20220150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electronic
storage certificate
user terminal
det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리얼마케팅
손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리얼마케팅, 손종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리얼마케팅
Priority to KR1020210057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077A/ko
Publication of KR2022015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은 전자 보관증을 발행하기 위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진행상태로 구성된 서비스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내역에 대한 진행을 반영하여 상기 서비스 진행상태를 실시간 갱신하고, 상기 서비스 내역에 따른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에 서비스 비용의 처리를 진행할 수 있는 결제 요청 컨트롤을 추가하며, 상기 서비스 비용이 처리되면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에 상기 서비스 내역 및 상기 서비스 비용을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자 영수증으로서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CLAIM TICKET}
본 발명은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 보관증을 전자 영수증에 결합하여 보관 물품을 찾아갈 때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매장(예: 가맹점)에서 세탁물의 세탁, 구두수선, 의류수선, 차량수리 및 세차 등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 사용자는 대상물품을 맡기고 현금이나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의 금액을 결제한 후 다시 찾아가게 된다.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서비스 대상물품을 맡길 때 사용자에게 종이로 발행된 물품 보관증을 제공하고, 물품에 대한 서비스 결제가 완료될 때 사용자에게 종이로 발행된 영수증을 제공하거나 종이 영수증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자 영수증을 발행하고 있다.
물품 보관증은 업체에서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고 있음을 확인해주고 보관 물품과의 교환을 통해 물품을 찾아갔음을 확인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이 형태의 물품 보관증은 분실의 위험이 있고 사용자가 보관 물품을 찾아갈 때 일일이 챙겨서 제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77443(2014.06.24)호는 전자영수증 발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거래에 의한 결제에 따라 거래 물품 정보와 결제 금액 정보가 포함된 거래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 식별 정보와 함께 영수증 원시 데이터로 가공한 영수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77443(2014.06.24)호
본 발명은 물품 보관증을 전자 영수증에 결합하여 보관 물품을 찾아갈 때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내역이 포함된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물품 보관증(전자문서 및/또는 전자코드의 형태로 제공되는 물품 보관증을 이하 '전자 보관증'이라 한다)으로서 제공하고 서비스 완료시에 전자 보관증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에 대한 결제 완료시에 전자 영수증을 전자 보관증 내에 표현하여, 전자 보관증을 전자 영수증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은, 전자 보관증을 발행하기 위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진행상태로 구성된 서비스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내역에 대한 진행을 반영하여 상기 서비스 진행상태를 실시간 갱신하고, 상기 서비스 내역에 따른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에 서비스 비용의 처리를 진행할 수 있는 결제 요청 컨트롤을 추가하며, 상기 서비스 비용이 처리되면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에 상기 서비스 내역 및 상기 서비스 비용을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자 영수증으로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는 서비스 대상물품의 수령 과정에서 옵티컬 리더를 통해 독출될 수 있는 전자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물품 보관증의 복사본을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의 식별코드를 통해 상기 서비스 진행상태의 갱신을 상기 복사본에 실시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서비스가 물품배송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에 물품 배송지를 추가하여 물품 배송증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비용의 처리시에, 선불 결제 여부 및/또는 서비스 내역의 변경 여부를 고려하여 서비스 비용의 정산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서비스 내역에 따른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내역에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유효 보관기한을 포함시키고 상기 유효 보관기한의 도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리마인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서비스 내역에 따른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내역에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배송 요청 컨트롤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영수증은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재-서비스 요청 컨트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보관증 발행 방법은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진행상태로 구성된 서비스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내역에 대한 진행을 반영하여 상기 서비스 진행상태를 실시간 갱신하고, 상기 서비스 내역에 따른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에 서비스 비용의 처리를 진행할 수 있는 결제 요청 컨트롤을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비용이 처리되면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에 상기 서비스 내역 및 상기 서비스 비용을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자 영수증으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는 서비스 대상물품의 수령 과정에서 옵티컬 리더를 통해 독출될 수 있는 전자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물품 보관증의 복사본을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의 식별코드를 통해 상기 서비스 진행상태의 갱신을 상기 복사본에 실시간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가 물품배송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에 물품 배송지가 추가되어 물품 배송증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비용의 처리시에, 선불 결제 여부 및/또는 서비스 내역의 변경 여부를 고려하여 서비스 비용의 정산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내역에 따른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내역에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유효 보관기한을 포함시키고 상기 유효 보관기한의 도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내역에 따른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내역에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배송 요청 컨트롤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영수증은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재-서비스 요청 컨트롤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품 보관증을 전자 영수증에 결합하여 보관 물품을 찾아갈 때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내역이 포함된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물품 보관증(전자 보관증)으로서 제공하고 서비스 완료시에 전자 보관증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에 대한 결제 완료시에 전자 영수증을 전자 보관증 내에 표현하여, 전자 보관증을 전자 영수증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처리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에서 서비스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서비스 전자문서 형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매장 단말(130),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 및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하여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서비스 요청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이뤄질 수도 있고, 매장 단말(130)에서 이뤄질 수도 있다. 사용자가 매장을 방문한 경우, 매장 단말(130)을 통해 서비스 접수가 이뤄질 수 있으며, 매장 단말(130)을 통해 사용자 정보(예컨대, 사용자 전화번호 등)를 입력함으로써, 서비스 요청 결과를 사용자 단말(110)에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매장 단말(130)은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서비스 접수 처리를 할 수 있고, 서비스 비용의 결제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POS 장치, 키오스크(KIOSK) 장치 등과 같이 상점이나 가맹점에서 결제를 위해 구비되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현금 결제, 카드 결제, 간편 결제 또는 모바일 결제 등의 사용자가 제시한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매장 단말(130)은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매장 단말(130)들은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장 단말(130)은 사용자의 결제 내역에 따른 결제 정보를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매장 단말(130)은 결제가 승인되면 적어도 사용자의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제 내역은 사용자가 맡긴 서비스 대상물품에 제공된 서비스와 관련하여 매장 단말(130)에 입력되거나 선택된 서비스 대상물품 정보, 서비스 정보 또는 결제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결제는 매장 단말(130)을 통해 이뤄질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이뤄질 수도 있다. 서비스 접수 처리 후 사용자 단말(110)에서 서비스 요청 결과를 확인하고, 서비스에 대한 결제도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서비스 결제가 이뤄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결제 내역에 따른 결제 정보를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110)에게 서비스 요청에 따른 서비스 대상물품에 관한 보관증 및 서비스 비용의 결제에 관한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110) 및 매장 단말(13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110) 및/또는 매장 단말(130)로부터 서비스 대상물품에 관한 서비스 요청을 접수할 수 있고 서비스 요청에 따른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진행상태로 구성된 서비스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물품 보관증(전자 보관증)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110) 및/또는 매장 단말(130)로부터 결제 완료에 따른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서비스 전자문서에 결제정보를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110)에 전자 영수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별도의 전자 영수증 발행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자 영수증 발행 서버는 사용자 단말(110) 및/또는 매장 단말(130)로부터 결제 완료에 따른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로 제공하고,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서비스 전자문서에 결제정보를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110)에 전자 영수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영수증 발행 서버는 사용자 단말(110) 및/또는 매장 단말(130)로부터 결제 완료에 따른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여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로 제공할 수 있고,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서비스 전자문서에 전자 영수증을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데이터베이스(170)와 연동하여 전자문서 형태의 물품 보관증(전자 보관증)을 생성하고 전자 영수증 연관자와 연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영수증 연관자는 전자 영수증 식별을 위한 식별코드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전자 영수증을 조회하기 위한 인증키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물리적으로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접수부(210),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 전자 영수증 처리부(27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접수부(210)는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접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비스 대상물품은 서비스 과정에서 보관되고 서비스 완료후 찾아갈 수 있는 물품을 총칭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대상물품은 의류, 침구류 등의 세탁 대상 물품, 구두, 가방, 의류 등의 수선 대상 물품, 차량, 가전기구 등의 수리 대상 물품 등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요청 접수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대상물품 위탁과 함께 원하는 서비스 내용을 수신하여 서비스 요청을 접수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접수부(210)는 서비스 요청을 접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식별코드를 요청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식별코드는 전화번호 또는 회원번호일 수 있으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는 서비스 요청에 따른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진행상태로 구성된 서비스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물품 보관증(전자 보관증)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는 사용자가 물품 보관증 수신방법을 등록한 경우에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통해 사용자의 물품 보관증 수신방법을 확인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메일이나 문자 메시지로 수신, 채팅앱을 통한 수신 등의 물품 보관증 수신방법을 등록할 수 있고 등록된 방법을 통해 물품 보관증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는 서비스 요청이 접수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110)에 서비스 대상물품에 관한 물품 보관증을 전자문서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품 보관증은 서비스 대상물품의 수령 과정에서 옵티컬 리더를 통해 독출될 수 있는 QR코드 등의 전자코드(530)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는 서비스 전자문서 및/또는 전자코드를 사용자 단말(110)에 물품 보관증(전자 보관증)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물품 보관증에는 사용자 식별코드, 서비스 요청 접수일자, 서비스 대상물품 정보, 서비스 내역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서비스 진행상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는 사용자 단말(110)에 물품 보관증을 제공할 수 있고, 해당 물품 보관증은 서비스 진행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내용이 반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는 물품 보관증 내용에 서비스 진행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세탁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주문접수, 세탁중, 세탁완료, 포장, 배송 등의 진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는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물품 보관증의 복사본을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의 식별코드를 통해 서비스 진행상태의 갱신을 복사본에 실시간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는 물품 보관증을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제공시 전자코드가 또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금지하여 물품 보관증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다른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의 물품 보관증의 복사본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식별코드로 사용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는 서비스 진행상태 변경시마다 물품 보관증을 구성하는 서비스 진행상태를 갱신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고 해당 물품 보관증의 복사본이 존재하는 경우 복사본을 전달받은 다른 사용자 단말에도 갱신된 내용의 물품 보관증 복사본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의 물품 보관증 원본과 다른 사용자 단말의 물품 보관증 복사본이 동일 내용을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 다른 사용자 단말에 물품 보관증의 복사본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비스 대상물품을 직접 수령하지 못할 경우 다른 사용자가 수령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는 서비스 내용이 물품배송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물품 보관증을 물품 배송지를 가지는 물품 배송증으로 변경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는 날짜, 시간, 현재 위치, 처리현황 등이 포함되는 배송 진행상태로 구성된 서비스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물품 배송증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품 배송증은 배송 물품의 수령 과정에서 옵티컬 리더를 통해 독출할 수 있는 전자코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는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물품 배송증의 복사본을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사용자 대신 다른 사용자가 배송 물품을 수령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는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서비스의 진행을 반영하여 서비스 진행상태를 실시간 갱신하고,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전자 보관증 내에 결제 요청 컨트롤을 포함시켜 서비스 비용의 처리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는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 서비스 비용의 결제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미결제시 사용자 단말(110)에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는 서비스 요청의 과정에서 서비스 내역에 대한 선불 결제가 이미 이뤄진 경우에는 서비스 내역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서비스 비용의 정산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는 서비스 내역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된 서비스 내역에 책정된 비용과 선불 결제가 이뤄진 비용과의 차액에 기초하여 서비스 비용의 정산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는 서비스 내역 변경에 따라 추가 비용이 발생하거나 서비스 내역에 관한 비용이 미결제된 경우에 사용자 단말(110)에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비스 대상물품을 수령하는 과정에서 지불수단을 제공하여 매장 단말(130)을 통해 결제가 처리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결제 앱을 통해 결제가 처리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는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매장 단말(130) 또는 사용자 단말(110)의 결제 앱을 통해 적어도 사용자의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는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서비스 내역에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유효 보관기한을 포함시키고 유효 보관기한의 도래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에 리마인더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는 서비스 전자문서에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유효 보관기한에 대응하는 프로그레시브 바를 구성하여 유효 보관기한의 시작일과 마감일을 프로그레시브 바의 시작점과 끝점으로 가지며 시작일로부터 현재까지 얼마나 시일이 경과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는 유효 보관기한이 시작된 이후부터 리마인더 기간 이내에는 보통 상태, 리마인더 기간이 도과한 이후부터 유효 보관기한까지는 임박 상태, 유효 보관기한이 도과된 이후에는 지체 상태로 분류하여 프로그레시브 바를 각 상태별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서비스 대상물품의 서비스 완료 및 유효 보관기간에 대한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는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서비스 내역에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배송 요청 컨트롤을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110)이 배송 요청 컨트롤을 통해 서비스 대상물품의 배송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는 서비스 전자문서를 구성하는 서비스 내역에 배송 요청 컨트롤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고, 배송 요청 컨트롤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배송 요청을 접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는 배송 요청에 따라 서비스 대상물품을 사용자 단말(110)에서 지정한 주소지로 배송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배송의 진행 상황을 서비스 전자문서 내에 표시하여 전자 보관증이 물품 배송증으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영수증 처리부(270)는 서비스 비용이 처리되면 서비스 전자문서에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비용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전자 영수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영수증 처리부(270)는 사용자 식별코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전자 영수증 발급 대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전자 영수증 발급 대상인 경우에는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비용에 기반하여 전자 영수증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영수증 처리부(270)는 표준화된 전자 영수증 서식에 맞춰 서비스 전자문서를 전자 영수증으로 생성할 수 있고 전자 영수증에는 종이 영수증 항목과 동일한 항목의 상세내역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영수증 처리부(270)는 전자 영수증을 전자 영수증 연관자와 연결하여 저장하고, 전자 영수증 연관자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영수증 연관자는 전자 영수증 식별을 위한 식별코드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전자 영수증을 조회하기 위한 인증키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전자 영수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 상에 설치된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앱을 실행시켜 로그인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전자 영수증 연관자와 함께 전자 영수증 조회 요청이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로 전송되고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전자 영수증 연관자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전자 영수증을 읽어와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170)에서 읽어 들인 전자 영수증 정보는 전자 영수증 객체 또는 전자 영수증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전자 영수증 처리부(270)는 전자 영수증에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재-서비스 요청 컨트롤을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110)이 동일 서비스 요청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서비스 요청 접수부(210),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 및 전자 영수증 처리부(2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이상,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의 기능적 구성에 따라 서비스 요청 접수부(210),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 전자 영수증 처리부(270) 및 제어부(290)가 각각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임의로 구성을 나누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들 구성은 얼마든지 복합적으로 또는 더 분할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를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서버로 표현하였으나,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의 기능 일부를 별도의 서버로 분리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처리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접수부(210)를 통해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접수할 수 있다(단계 S310).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전자 보관증 생성부(230)를 통해 서비스 요청에 따른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진행상태로 구성된 서비스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물품 보관증(전자 보관증)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30).
또한,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를 통해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서비스의 진행을 반영하여 서비스 진행상태를 실시간 갱신할 수 있다(단계 S350).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전자 보관증 관리부(250)를 통해 서비스 전자문서에 서비스 비용의 처리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단계 S370).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서비스 비용이 처리되면 전자 영수증 처리부(270)를 통해 서비스 전자문서에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비용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전자 영수증으로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9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에서 서비스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물품 보관증 발급을 위한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코드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이뤄질 수도 있고, 매장 단말(130)에서 이뤄질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코드는 전화번호 또는 회원번호일 수 있으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접수하고 서비스 요청에 따른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진행상태로 구성된 서비스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물품 보관증(전자 보관증)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물품 보관증은 서비스 전자문서 그대로 제공되거나 또는 QR코드 등의 전자코드(530) 형태로 가공되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요청한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물품 보관증을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서비스 전자문서 및/또는 전자코드로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물품 보관증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물품 보관증을 전달받은 다른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대상물품을 대신 수령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10)은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에게 다른 사용자 단말의 식별코드(예컨대, 전화번호 등)를 전달하면서 물품 보관증 전달 요청을 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물품 보관증의 복사본을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식별코드를 통해 서비스 진행상태의 갱신을 물품 보관증의 복사본에도 실시간 반영할 수 있다.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는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 서비스 비용의 처리를 진행하여 서비스 전자문서에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비용을 포함하여 서비스 전자문서를 전자 영수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서비스 전자문서 형태를 도시하는 예시도로, 도 5a는 물품 보관증으로서의 서비스 전자문서이고, 도 5b는 전자 영수증으로서의 서비스 전자문서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따른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물품 보관증을 수신할 수 있고, 도 5a와 같이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진행상태가 포함된 물품 보관증(51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되는 물품 보관증(510)에는 가맹점의 대표자명, 연락처, 사업자 번호, 서비스 요청한 사용자명, 전화번호, 주소(배송지), 접수일자, 품명, 색상, 금액, 인도예정일자, 서비스 비용, 서비스 진행상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되는 물품 보관증(510)에는 QR코드 등의 전자코드(530)가 더 포함되어 서비스 대상물품의 수령 과정에서 물품 보관증 정보가 옵티컬 리더를 통해 독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가 완료되고 서비스 비용의 처리를 진행하면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150)로부터 서비스 비용 처리에 따른 전자 영수증을 수신할 수 있고, 도 5b와 같이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비용 처리상태가 포함된 전자 영수증(55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되는 전자 영수증(550)에는 물품 보관증(510) 내에 결제 상세 내역이 포함되어 전자 영수증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영수증(550)에는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재-서비스 요청 컨트롤(570)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재-서비스 요청 컨트롤(570)을 통해 동일 서비스 요청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에서는 사용자 단말(110)과 매장 단말(130)을 별도의 단말기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매장의 운영 형태에 따라서(예컨대, 무인 매장 등) 이들 단말은 하나 또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고, 기능 또한 상호 호환 가능할 수 있다.
100: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매장 단말
150: 전자 보관증 발행 서버 170: 데이터베이스
210: 서비스 요청 접수부 230: 전자 보관증 생성부
250: 전자 보관증 관리부 270: 전자 영수증 처리부
290: 제어부
510: 물품 보관증 530: 전자코드
550: 전자 영수증 570: 재-서비스 요청 컨트롤

Claims (16)

  1.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전자 보관증을 발행하기 위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진행상태로 구성된 서비스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내역에 대한 진행을 반영하여 상기 서비스 진행상태를 실시간 갱신하고, 상기 서비스 내역에 따른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에 서비스 비용의 처리를 진행할 수 있는 결제 요청 컨트롤을 추가하며,
    상기 서비스 비용이 처리되면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에 상기 서비스 내역 및 상기 서비스 비용을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자 영수증으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는 서비스 대상물품의 수령 과정에서 옵티컬 리더를 통해 독출될 수 있는 전자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물품 보관증의 복사본을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의 식별코드를 통해 상기 서비스 진행상태의 갱신을 상기 복사본에 실시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비스가 물품배송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에 물품 배송지를 추가하여 물품 배송증으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비용의 처리시에, 선불 결제 여부 및/또는 서비스 내역의 변경 여부를 고려하여 서비스 비용의 정산 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비스 내역에 따른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내역에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유효 보관기한을 포함시키고 상기 유효 보관기한의 도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비스 내역에 따른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내역에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배송 요청 컨트롤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영수증은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재-서비스 요청 컨트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9. 전자 보관증 발행 방법으로서,
    서비스 내역 및 서비스 진행상태로 구성된 서비스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내역에 대한 진행을 반영하여 상기 서비스 진행상태를 실시간 갱신하고, 상기 서비스 내역에 따른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에 서비스 비용의 처리를 진행할 수 있는 결제 요청 컨트롤을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비용이 처리되면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에 상기 서비스 내역 및 상기 서비스 비용을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자 영수증으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는 서비스 대상물품의 수령 과정에서 옵티컬 리더를 통해 독출될 수 있는 전자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물품 보관증의 복사본을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의 식별코드를 통해 상기 서비스 진행상태의 갱신을 상기 복사본에 실시간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가 물품배송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 보관증으로서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 전자문서에 물품 배송지가 추가되어 물품 배송증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비용의 처리시에, 선불 결제 여부 및/또는 서비스 내역의 변경 여부를 고려하여 서비스 비용의 정산 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내역에 따른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내역에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유효 보관기한을 포함시키고 상기 유효 보관기한의 도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내역에 따른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내역에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배송 요청 컨트롤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영수증은 서비스 대상물품에 대한 재-서비스 요청 컨트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보관증 발행 방법.
KR1020210057330A 2021-05-03 2021-05-03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0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330A KR20220150077A (ko) 2021-05-03 2021-05-03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330A KR20220150077A (ko) 2021-05-03 2021-05-03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077A true KR20220150077A (ko) 2022-11-10

Family

ID=84045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330A KR20220150077A (ko) 2021-05-03 2021-05-03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0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443A (ko) 2012-12-14 2014-06-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자영수증 발급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443A (ko) 2012-12-14 2014-06-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자영수증 발급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45109B2 (en) SKU level control and alerts
AU2011240783B2 (en) Restricted use currency
EP3989148A1 (en) Digital receipt processing and analytics system
GB2460293A (en) Tax refund system based on currency used
JP2010529535A5 (ko)
JP6962597B2 (ja) 販売時点情報管理取引関連データを捕捉し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方法
WO20191022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users in two domains
KR101625916B1 (ko)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및 장치
CN105745680A (zh) 终端、服务提供装置和优惠券服务器、具有终端、服务提供装置和优惠券服务器的电子钱包系统、其控制方法、以及记录有计算机程序的非暂态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08809A (ko) 무인 편의점 시스템 및 무인 편의점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JP2023099810A (ja)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装置、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7233688A (ja) 商品管理システム、商品管理装置、商品管理方法、および商品管理プログラム
KR20200000605A (ko) 배달 주문 매출 정산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KR101402918B1 (ko) 제품 판매 예약 및 판매 금액 지불 시스템, 결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예약 및 지불 방법
KR20220150077A (ko) 전자 보관증 발행 시스템 및 방법
JP6556335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サーバ及びシステム
KR20200000606A (ko) 배달 주문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US11941606B2 (en) Mobile platform and associated methods for digital gifts and business networking
KR100363635B1 (ko) 통신망을 이용한 판매시스템
KR101505031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JP2004362332A (ja) Icカード決済システム
WO2018042713A1 (ja) 決済方法および決済支援方法
US9984404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e-product vending
KR20180098052A (ko) 모바일 결제를 위한 쿠폰 서비스 단말 및 방법
JP2018169794A (ja) 取引情報照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