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056A - 범용 농기구 - Google Patents

범용 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056A
KR20220150056A KR1020210057283A KR20210057283A KR20220150056A KR 20220150056 A KR20220150056 A KR 20220150056A KR 1020210057283 A KR1020210057283 A KR 1020210057283A KR 20210057283 A KR20210057283 A KR 20210057283A KR 20220150056 A KR20220150056 A KR 20220150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ans
pipe body
agricultural
reinforcing pip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애
Original Assignee
최경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애 filed Critical 최경애
Priority to KR1020210057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056A/ko
Publication of KR20220150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04Sick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For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괭이, 쇠스랑, 호미, 낫 등의 다양한 농기구헤드를 필요에 따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범용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잡이를 가지는 일정길이의 자루부(1) 일단으로 농기구헤드(2)를 일체 구성하는 통상의 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1)를 파이프 형태로 일정길이 구성하면서 그 일단 내에 결합수단(1')을 가지는 일정길이의 보강관체(11)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농기구헤드(2)는 각종 농기구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지면서 그 일측 상단으로 상기 보강관체(11)의 결합수단(1')과 대응되는 결합수단(2')을 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보강관체(11)의 결합수단(1')은 보강관체(11) 내주연에 형성하는 암나수부로 구성하고, 농기구헤드(2)의 결합수단(2')은 농기구헤드(2)의 일측면 상부에 일정길이 돌출시키는 수나사부로 구성하여 상호 나사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범용 농기구{general-purpose agricultural machinery}
본 발명은 괭이, 쇠스랑, 호미, 낫 등의 다양한 농기구헤드를 필요에 따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범용 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괭이, 쇠스랑, 호미, 낫 등의 농기구는 대부분 하나의 자루부에 하나의 농기구헤드가 일체 구성되어 특정 작업에 전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 각각의 작업에 요구되는 여러 개의 전용 농기구를 개별적으로 모두 구비해야 하는 비용적 문제가 있었고 더욱이 자루부와 농기구헤드의 일체구성으로 부피가 커 보관 및 이동 그리고 관리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농기구는 자루부 일단으로 농기구헤드를 억지끼움 또는 리벳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가졌던 바, 자루부와 농기구헤드의 결합부위가 충격에 가장 취약하므로 땅을 파거나 끄는 등의 잦은 작업시 쉽게 상기 부위가 파손 또는 휘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14-014505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자루부로부터 농기구헤드를 필요에 따라 교체사용할 수 있는 범용농기구를 제시하여 각종 작업의 편리함과 효율성을 얻고 나아가 농기구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손에 취약한 자루부와 농기구헤드의 결합부위를 보강하여 농기구의 파손이나 훼손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범용 농기구는 손잡이를 가지는 일정길이의 자루부(1) 일단으로 농기구헤드(2)를 일체 구성하는 통상의 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1)를 파이프 형태로 일정길이 구성하면서 그 일단 내에 결합수단(1')을 가지는 일정길이의 보강관체(11)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농기구헤드(2)는 각종 농기구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지면서 그 일측 상단으로 상기 보강관체(11)의 결합수단(1')과 대응되는 결합수단(2')을 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보강관체(11)의 결합수단(1')은 보강관체(11) 내주연에 형성하는 암나수부로 구성하고, 농기구헤드(2)의 결합수단(2')은 농기구헤드(2)의 일측면 상부에 일정길이 돌출시키는 수나사부로 구성하여 상호 나사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농기구헤드(2)와 그 일측면 결합수단(2')이 접하는 경계부위 및 상기 결합수단(2')과 동일선상이 되는 농기구헤드(2) 타측면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보강리브(21)(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농기구헤드(2) 타측면에 구성되는 보강리브(22) 중심부로 자석(24)이 내장된 연결홈(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자루부로 여러 개의 농기구헤드를 필요에 따라 교체사용할 있도록 한 것으로, 현장에서 각종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농기구의 휴대 및 보관/관리를 편리하게 하면서 구입과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파손에 매우 취약한 자루부와 농기구헤드의 결합부위 내구성을 극대화하여 파손이나 훼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상태도,
이하, 위 과제의 해결수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범용 농기구를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손잡이를 가지는 일정길이의 자루부(1) 일단으로 농기구헤드(2)를 일체 구성하는 통상의 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1)를 파이프 형태로 일정길이 구성하면서 그 일단 내에 결합수단(1')을 가지는 일정길이의 보강관체(11)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농기구헤드(2)는 각종 농기구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지면서 그 일측 상단으로 상기 보강관체(11)의 결합수단(1')과 대응되는 결합수단(2')을 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보강관체(11)의 결합수단(1')은 보강관체(11) 내주연에 형성하는 암나수부로 구성하고, 농기구헤드(2)의 결합수단(2')은 농기구헤드(2)의 일측면 상부에 일정길이 돌출시키는 수나사부로 구성하여 상호 나사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에 의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1에서와 같이 작업형태에 따라 그 작업에 적합한 하나의 농기구헤드(2)를 자루부(1) 일단의 보강관체(1)에 상호 결합수단 즉, 보강관체(11)에 형성된 암나사부의 결합수단(1')으로 농기구헤드(2)에 구성된 수나사부의 결합수단(2')을 나사결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농기구헤드는 자루부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채용됨에 따라 교체 및 이용의 신속/편리함이 있고, 또 농기구헤드의 결합력이 뛰어나 통상 내려 찍거나 끌어당기는 행위의 작업에 있어 파손이나 이탈 등의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은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보강관체(11)를 통해 자루부(1)와 농기구헤드(2)의 결합부위 내구성을 강화하여 충격하중이 집중되는 자루부(1)와 농기구헤드(2) 결합부위의 파손 및 훼손을 최대한 예방하고 나아가 농기구의 반영구적 사용을 도모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은 보강관체(11) 및 농기구헤드(2)의 결합수단(1')(2')에 있어, 상기 보강관체(11)의 결합수단(1')은 보강관체(2) 일측 상하부에 걸림공(31)을 직교방향으로 대칭 형성한 일정길이의 삽입공(3)(3')으로 구성하고, 농기구헤드(2)의 결합수단(2')은 상,하부로 걸림돌기(32)를 가지는 일정길이의 결합대(33)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도 3과 같이 농기구헤드(2)의 결합대(33)와 그 상하부의 걸림돌기(32)를 보강관체(11) 및 그 보강관체(11)의 상하부 삽입공(3)(3')으로 일정깊이 삽입한 다음 농기그헤드(2)의 결합대(33)를 회전시켜 상하부 걸림돌기(32)가 삽입공(3)(3') 끝단에 직교형성된 걸림공(31)에 걸림고정되는 방식으로 농기구헤드(2)의 탈부착을 수행한다.
또 본 발명은 보강관체(11) 및 농기구헤드(2)의 결합수단(1')(2')에 있어, 상기 보강관체(11)의 결합수단(1')은 자루부(1) 일단과 그 내의 보강관체(11)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할 수 있고 농기구헤드(2)의 결합수단(2')은 관통공(4)을 가지는 일정길이의 결합대(4)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도 4에서와 같이 보강관체(11) 내로 농기구헤드(2)의 결합대(4)를 삽입한 다음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농기구헤드(2)의 탈추착을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상기 결합수단의 구성을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농기구헤드(2)와 그 일측면 결합수단(2')의 접하는 경계부위 및 상기 결합수단(2')과 동일선상이 되는 농기구헤드(2) 타측면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보강리브(21)(22)를 더 포함하여 상술한 종래 농기구에서 빈번히 발생하였던 자루부와 농기구헤드의 결합부위 파손 및 훼손을 확고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농기구헤드(2) 타측면에 구성되는 보강리브(22) 중심부로 자석(24)이 내장된 일정깊이의 연결홈(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제시된 특징은 도 5에서와 같이 여러 개의 농기구헤드(2)를 상호 연결하여 그 보관 및 이동 편리함을 얻고자 한 것으로서, 하나의 농기구헤드(2)에 형성된 연결홈(23)으로 다른 농기구헤드(2)의 결합수단(2')을 연속 결합하여 하나의 묶음으로 그 관리의 용의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또 상기 연결홈(23)은 그 내에 자석(24)이 내장되어 있어 금속재질인 농기구헤드(2)의 결합수단(2') 즉, 수나사부 또는 결합대가 상기 연결홈(23) 내에 삽입 및 자력으로 부착되어 그 연결 안전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홈(23)은 필요에 따라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더 형성하여 농기구헤드(2)의 결합수단(2')이 수나사부로 이루어질 경우 상호 나사결합에 의한 연결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이 발명은 이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이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이며, 이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이 발명은 위에서 기재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이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이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이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권리범위가 넓은 순서대로 청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이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발명은 구성이 간결하고, 취급이 매우 용이하여 종래의 농기구에 비해 그 작용 및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적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상당하다.
1 : 자루부 1' : 결합수단
11 : 보강관체 2 : 농기구헤드
2' : 결합수단 21,22 : 리브
23 : 연결홈 24 : 자석
3,3' : 삽입공 31 : 걸림공
32 : 걸림돌기 33 : 결합대
4 : 결합대 41 : 관통공

Claims (2)

  1. 본 발명에 의한 범용 농기구는 손잡이를 가지는 일정길이의 자루부(1) 일단으로 농기구헤드(2)를 일체 구성하는 통상의 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1)를 파이프 형태로 일정길이 구성하면서 그 일단 내에 결합수단(1')을 가지는 일정길이의 보강관체(11)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농기구헤드(2)는 각종 농기구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지면서 그 일측 상단으로 상기 보강관체(11)의 결합수단(1')과 대응되는 결합수단(2')을 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보강관체(11)의 결합수단(1')은 보강관체(11) 내주연에 형성하는 암나수부로 구성하고, 농기구헤드(2)의 결합수단(2')은 농기구헤드(2)의 일측면 상부에 일정길이 돌출시키는 수나사부로 구성하여 상호 나사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농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기구헤드(2)와 그 일측면 결합수단(2')이 접하는 경계부위 및 상기 결합수단(2')과 동일선상이 되는 농기구헤드(2) 타측면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보강리브(21)(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농기구.
KR1020210057283A 2021-05-03 2021-05-03 범용 농기구 KR20220150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283A KR20220150056A (ko) 2021-05-03 2021-05-03 범용 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283A KR20220150056A (ko) 2021-05-03 2021-05-03 범용 농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056A true KR20220150056A (ko) 2022-11-10

Family

ID=8410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283A KR20220150056A (ko) 2021-05-03 2021-05-03 범용 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0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054A (ko) 2013-06-11 2014-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054A (ko) 2013-06-11 2014-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2788A (en) Interchangeable tools and handle
US4224786A (en) Hand tool with readily detachable handle
US7914224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hand-operated tools and handles
WO20202516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 tool with quick release interchangeable work heads
DE102015207151A1 (de) Befestigungsmittel für Handwerkzeugmaschine
KR20220150056A (ko) 범용 농기구
KR200149097Y1 (ko) 너트체결용 개량 육각비트소켓
CN103322003A (zh) 一种紧固连接件
US20100239384A1 (en) Molly bolt
CN201846573U (zh) 一种便携式农具
CN103733748A (zh) 多功能锄头
CN205883854U (zh) 一种多功能园林工具
KR20170111776A (ko) 농기구와 자루의 결합장치
US8061433B1 (en) Manually operated adjustable earth moving tool
KR20160059819A (ko)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조립용 삽
CN202721951U (zh) 多用途农具
CN201124242Y (zh) 一种新式自紧钻夹头
US20150158163A1 (en) Nail puller
CN211137029U (zh) 一种倒装手动工具
CN213755567U (zh) 一种两用锄耙
CN112385330A (zh) 一种园林用可拆卸锄头装置
CN206886635U (zh) 一种千斤顶摇杆及千斤顶
US2991676A (en) Adjustable spanner wrench
CN201606366U (zh) 塑料卡扣
JP3120541U (ja) 打ち込みねじ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