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026A - 시스템 도어 - Google Patents

시스템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026A
KR20220150026A KR1020210057208A KR20210057208A KR20220150026A KR 20220150026 A KR20220150026 A KR 20220150026A KR 1020210057208 A KR1020210057208 A KR 1020210057208A KR 20210057208 A KR20210057208 A KR 20210057208A KR 20220150026 A KR20220150026 A KR 20220150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protrusion
locking pa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제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제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제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5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026A/ko
Publication of KR2022015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에 결합된 문틀의 내주면과 문짝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 시스템 도어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내주면을 둘러 문틀과 결합되는 문틀단열판; 및 상기 문짝의 외주면을 둘러 문짝과 결합되는 문짝단열판;을 구비하여, 문틀프레임과 문짝프레임의 각 부분의 온도차 때문에 문틀단열판과 문짝단열판이 이격된 공간에서 발생하는 대류에 의해 공간에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문틀단열판과 문짝단열판이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 기존의 시스템 도어보다 실내의 보온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로현상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시스템 도어{System Door}
본 발명은 시스템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시스템 도어 전후의 온도차에 의한 문틀과 문짝 사이의 공간으로의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가 닫혔을 때의 단열 효율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도어는 각 프레임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는 조립식 도어로서, 작은 형태로 형성되어 창문으로 형성되거나, 베란다나 실내 등을 구분하는 문으로 형성되는데, 문짝을 폐쇄했을 때, 문짝을 기준으로 공간이 분할되는데, 도어가 공간을 분할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의 문틀과 문짝 사이에 틈새가 바람이 통과 가능하도록 개방되어있거나, 문짝을 기준으로 분할된 양 공간에 기온차가 있으면, 일측의 낮은 온도가 타측의 높은 온도를 빼앗게 되어 기온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실내의 보온력이 떨어지고, 결로현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프레임의 외부 혹은 내부의 열이 도어를 통해서 쉽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단열하는 구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일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7510호의 '폴딩 도어의 단열 도어 프레임'을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10)을 형성할 때, 알루미늄 재질의 외측 도어 프레임(111)과 내측 도어 프레임(112)을 단열성이 뛰어난 단열재(113)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형성하고, 외측 도어 프레임(111)과 내측 도어 프레임(112)이 단열재(113)와 조립되는 부분에 폴리우레탄 계열의 충진재(114)를 충진용 장비를 구비하여 채워넣어 형성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도어 프레임(110)을 사용하는 도어는, 단열성이 뛰어난 단열재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을 결합해 서로 다른 재질의 부품을 이웃하도록 함으로써, 도어 전체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폴리우레탄 계열의 충진재()로 인해 각각의 프레임과 단열재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 단열성이 취약한 부분의 단열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도어 프레임(110)은 외측 도어 프레임(111)과 내측 도어 프레임(112)에서 단열재(113)로의 단열성은 뛰어나더라도, 외부의 기온차에 의해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 공간에서 발생하는 열전달은 억제할 수 없었고, 서로 다른 다수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도어 프레임(110)을 형성하여 충진재(114)로 보강하므로, 단열성과 결합력을 위해 충진재(114)가 필수로 사용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 도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문틀프레임과 문짝프레임의 각 부분의 온도차 때문에 문틀단열판과 문짝단열판이 이격된 공간에서 발생하는 대류에 의해 공간에서 열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스템 도어에 사용되는 각각의 프레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 보여지는 문틀의 내주면과 문짝의 외주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도어는, 벽체에 결합된 문틀의 내주면과 문짝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 시스템 도어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내주면을 둘러 문틀과 결합되는 문틀단열판; 및 상기 문짝의 외주면을 둘러 문짝과 결합되는 문짝단열판;을 구비하여, 상기 문틀단열판과 상기 문짝단열판은 상기 시스템 도어전후의 온도차에 의한 공간으로의 열전달을 단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문틀은 장방형을 이루도록 상하좌우에 위치하는 문틀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문틀프레임은,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문틀몸체; 상기 제1 문틀몸체와 평행하도록 이격져서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문틀몸체; 및 상기 제1 문틀몸체와 상기 제2 문틀몸체를 연결하는 문틀프레임 연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문틀몸체는 상기 제2 문틀몸체와 대향하는 면에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상기 문틀프레임 연결판의 일단이 삽입되어 끼워지고, 상기 제1 문틀몸체에서 상기 문틀단열판과 인접하여 돌출된 제1 걸림부와 상기 문틀단열판에서 상기 제1 문틀몸체과 인접하여 돌출된 제2 걸림부가 후크식으로 걸릴 때,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문틀프레임 연결판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걸림부 사이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 문틀몸체는 상기 제1 문틀몸체와 대향하는 면에 제3 돌출부 및 제4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제3 돌출부와 제4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상기 문틀프레임 연결판의 타단이 삽입되어 끼워지고, 상기 제2 문틀몸체에서 상기 문틀단열판과 인접하여 돌출된 제3 걸림부와 상기 문틀단열판에서 상기 제2 문틀몸체과 인접하여 돌출된 제4 걸림부가 후크식으로 걸릴 때, 상기 제3 돌출부가 상기 문틀프레임 연결판에 밀리게 되어, 상기 제4 걸림부가 상기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제3 걸림부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짝은 상기 문틀의 내에 위치하여 상기 문틀보다 작은 장방형을 이루도록 상하좌우 방향에 위치하는 문짝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문짝프레임은,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문짝몸체; 상기 제1 문짝몸체와 평행하도록 이격져서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문짝몸체; 및 상기 제1 문짝몸체와 상기 제2 문짝몸체를 연결하는 문짝프레임 연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문짝몸체는 상기 제2 문짝몸체와 대향하는 면에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상기 문짝프레임 연결판의 일단이 삽입되어 끼워지고, 상기 제1 문짝몸체에서 상기 문짝단열판과 인접하여 돌출된 제1 걸림부와 상기 문짝단열판에서 상기 제1 문짝몸체과 인접하여 돌출된 제2 걸림부가 후크식으로 걸릴 때,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문짝프레임 연결판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걸림부 사이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 문짝몸체는 상기 제1 문짝몸체와 대향하는 면에 제3 돌출부 및 제4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제3 돌출부와 제4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상기 문짝프레임 연결판의 타단이 삽입되어 끼워지고, 상기 제2 문짝몸체에서 상기 문짝단열판과 인접하여 돌출된 제3 걸림부와 상기 문짝단열판에서 상기 제2 문짝몸체과 인접하여 돌출된 제4 걸림부가 후크식으로 걸릴 때, 상기 제3 돌출부가 상기 문짝프레임 연결판에 밀리게 되어, 상기 제4 걸림부가 상기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제3 걸림부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틀단열판 또는 상기 문짝단열판 중 어느 하나에 모헤어끼움부가 형성되어, 모헤어끼움부에 끼워진 모헤어를 기준으로 공간이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 도어에 따르면, 문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문틀단열판과 문짝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문짝단열판을 구비하여, 문틀프레임과 문짝프레임의 각 부분의 온도차 때문에 문틀단열판과 문짝단열판이 이격된 공간에서 발생하는 대류에 의해 공간에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문틀단열판과 문짝단열판이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 기존의 시스템 도어보다 실내의 보온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로현상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단열판이 문틀과 문짝에 결합될 때, 연결판의 결합구조가 단열판의 결합을 더 견고하도록 하므로, 문틀프레임과 문틀단열판의 결합력 및 문짝프레임과 문틀단열판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어 쉽게 분리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문짝이 열렸을 때 보이게 되는 문틀의 내주면과 문짝의 외주면을 각각 문틀단열판과 문짝단열판으로 마감하므로, 시스템 도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스템 도어의 도어 프레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도어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도어의 문짝프레임과 문틀프레임을 확대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6은 도 5의 C부분의 부분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도어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작은 형태로 형성되어 창문으로 사용되거나, 베란다나 실내 등을 구분하는 문으로 사용되고, 문짝과 문틀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 외부 기온차로 발생하는 문짝과 문틀 사이의 대류에 의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시스템 도어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 도어(1)는 문틀(2), 문짝(3), 문틀단열판(4) 및 문짝단열판(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문틀(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도어(1)에서 벽체에 결합되어 도어의 테두리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프레임(20)이 장방형을 이루도록 상하좌우에 위치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문틀프레임(20)은 제1 문틀몸체(21), 제2 문틀몸체(22) 및 문틀프레임 연결판(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문틀몸체(21)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프레임(20)의 일측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프레임(20)의 전방방향에 위치하고, 중공으로 형성되며, 제2 문틀몸체(22)와 대향되는 면에 제1 돌출부(21a)와 제2 돌출부(21b)가 이격되어 돌출형성되어 둘 사이에 끼움홈(21c)을 형성하므로, 문틀프레임 연결판(23)의 단부를 삽입하여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한다.
제2 문틀몸체(22)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단열판(4)과 인접한 부분에서 제1 문틀몸체(21)와 대향하여, 문틀프레임(20)의 타측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문틀몸체(21)와 평행하도록 이격져서 문틀프레임(20)의 후방방향에 위치하고, 중공으로 형성되며, 제1 문틀몸체(21)와 대향되는 면에 제3 돌출부(22a)와 제4 돌출부(22b)가 이격되어 돌출형성되어 둘 사이에 끼움홈(22c)을 형성하므로, 문틀프레임 연결판(23)의 단부를 삽입하여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한다.
문틀프레임 연결판(23)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문틀몸체(21)와 제2 문틀몸체(22)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폴리아미드와 같은 단열성이 뛰어난 재료로 제작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의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23a)은 끝부분의 면적이 더 넓은 사다리꼴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돌출부(21a)와 제2 돌출부(21b)의 끼움홈(21c)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타단(23b)은 일단(23a)과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제3 돌출부(22a)와 제4 돌출부(22b)의 끼움홈(22c)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문틀(2)은 각각의 문틀프레임(20)이 전방과 후방에 서로 이격되도록 금속재의 제1 문틀몸체(21)와 제2 문틀몸체(22)를 각각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 문틀프레임 연결판(23)을 연결하여, 금속재의 제1 문틀몸체(21)와 제2 문틀몸체(22)의 사이 공간에 의해 열전달이 방지되고, 연결판(23)이 단열 성능이 뛰어난 소재로 제조되어 그 자체로 문틀프레임(20)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열전달이 방지되어, 프레임을 단일 소재로 일체로 제작할 때 보다 단열 성능이 향상되므로, 도 3과 같이 문틀(2)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문틀프레임(20)과 도 4와 같이 문틀(2)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문틀프레임(20)이 문틀(2)을 이루어 문틀(2) 자체가 향상된 단열 성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문짝(3)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도어(1)에서 문틀(2)과 힌지(H)로 결합되는 도어의 개폐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의 내에 위치하여 문틀(2)보다 작은 장방형을 이루도록 상하좌우에 위치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문짝프레임(30)은 제1 문짝몸체(31), 제2 문짝몸체(32) 및 문짝프레임 연결판(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문짝몸체(31), 제2 문짝몸체(32) 및 문짝프레임 연결판(33)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시스템 도어(1) 제작의 편의성과, 문짝(3)의 단열 성능의 향상을 위해 외형만 다르게 형성되고 그 구조와 결합방식은 문틀프레임(20)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제1 문짝몸체(31)는 제1 돌출부(31a), 제2 돌출부(31b) 및 끼움홈(3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2 문짝몸체(32)는 제3 돌출부(32a), 제4 돌출부(32b) 및 끼움부(3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문짝프레임 연결판(33)은 일단(33a)과 타단(33b)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프레임(20)과 구조가 동일하므로, 각 구조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각각의 문짝프레임(3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에 유리(G)를 끼워 결합하는데, 유리(G)는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그 일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중유리로 끼워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중유리로 끼워져 다수의 유리(G)가 이격되도록 결합하여 유리 구조의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형성되는 문틀(2)과 문짝(3)으로 시스템 도어(1)를 이루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의 내주면과 문짝(3)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S)을 이루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시스템 도어(1)는 시스템 도어(1) 전후의 온도차에 의한 공간(S)으로의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해, 문틀단열판(4)과 문짝단열판(5)이 결합된다.
문틀단열판(4)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의 내주면을 둘러 문틀(2)에서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폴리아미드와 같은 단열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프레임(20)의 일면을 덮도록 판체로 형성되며, 다양한 구조 형성되어 문틀프레임(20)과 결합될 수 있는데, 그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문틀몸체(21)에서 문틀단열판(4)과 인접하여 돌출되도록 제1 걸림부(21d)를 형성하고, 문틀단열판(4)에서 제1 문틀몸체(21)와 인접하여 돌출되도록 제2 걸림부(41d)를 형성해 상호 후크식으로 걸리도록 하며, 제2 문틀몸체(22)에서 문틀단열판(4)과 인접하여 돌출되도록 제3 걸림부(22d)를 형성하고, 문틀단열판(4)에서 제2 문틀몸체(22)와 인접하여 돌출되도록 제4 걸림부(42d)를 형성해 상호 후크식으로 걸리도록 하여, 양쪽에서 후크식으로 결합돼 문틀프레임(20)과 인접되도록 걸리게 된다.
또한, 문틀단열판(4)은 후크식 결합과 더불어 제2 걸림부(41d)와 제4 걸림부(42d)가 문틀프레임(20)에 더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부(41d)를 제1 걸림부(21d)에 후크식으로 걸 때 제1 돌출부(21a)를 밀어내도록 하면, 제1 문틀몸체(21)의 일측에서 탄성을 가지도록 돌출된 제1 돌출부(21a)가 문틀프레임 연결판(23)의 일단(23a)에 지지돼 제2 걸림부(41d)를 압박하게 되므로, 제2 걸림부(41d)가 제1 돌출부(21a)와 제1 걸림부(21d) 사이에 스냅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또한, 제4 걸림부(42d)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걸림부(22d)에 후크식으로 걸 때 제3 돌출부(22a)를 밀어내도록 하면, 제2 문틀몸체(22)의 일측에서 탄성을 가지도록 돌출된 제3 돌출부(22a)가 문틀프레임 연결판(23)의 타단(23b)에 지지돼 제4 걸림부(42d)를 압박하게 되므로, 제4 걸림부(42d)가 제3 돌출부(22a)와 제3 걸림부(22d) 사이에 스냅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부(41d)가 제1 문틀몸체(21)에 스냅식으로 결합되고, 제4 걸림부(42d)가 제2 문틀몸체(22)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면, 문틀단열판(4)이 문틀프레임(2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고, 문틀단열판(4)의 견고한 결합에 의해, 제1 문틀몸체(21), 제2 문틀몸체(22) 및 문틀프레임 연결판(23)의 결합 또한 견고하게 되어, 문틀프레임(20)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어 쉽게 분리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단열판(4)의 양단의 결합도 제1 문틀몸체(21)와 제2 문틀몸체(22)에서 돌출된 걸이가 문틀단열판(4)의 양단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면, 문틀프레임(20)과 문틀단열판(4)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문짝단열판(5)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3)의 외주면을 둘러 문짝(3)에서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폴리아미드와 같은 단열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프레임(30)의 일면을 덮도록 판체로 형성되며, 다양한 구조 형성되어 문짝프레임(30)과 결합될 수 있는데, 그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단열판(4)과 문틀프레임(20)의 결합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문짝단열판(5)과 문짝프레임(30)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프레임(30)은 제1 문짝몸체(31)에 제1 걸림부(31d)가 돌출형성되고, 제2 문짝몸체(32)에 제3 걸림부(32d)가 돌출형성되며, 문짝단열판(5)은 제2 걸림부(51d)와 제4 걸림부(52d)가 돌출형성되어, 위에서 설명한 문틀단열판(4)과 문틀프레임(20)의 결합구조의 결합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문짝단열판(5) 또한 문틀단열판(4)과 같이, 제2 걸림부(51d)가 제1 문짝몸체(31)에 스냅식으로 결합되고, 제4 걸림부(52d)가 제2 문짝몸체(32)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면, 문짝단열판(5)이 문짝프레임(3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고, 문짝단열판(5)의 견고한 결합에 의해, 제1 문짝몸체(31), 제2 문짝몸체(32) 및 문짝프레임 연결판(33)의 결합 또한 견고하게 되어, 문짝프레임(30)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어 쉽게 분리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단열판(5)의 양단의 결합도 제1 문짝몸체(31)와 제2 문짝몸체(32)에서 돌출된 걸이가 문짝단열판(5)의 양단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면, 문짝프레임(30)과 문짝단열판(5)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프레임(20)에 문틀단열판(4)을 결합하고, 문짝프레임(30)에 문짝단열판(5)을 결합하여, 문틀(2)과 문틀(2) 사이의 공간에 문틀단열판(4)과 문짝단열판(5)이 위치하도록 하게 되면, 공간(S)과 접하였던 제1 문틀몸체(21)의 일면과 제2 문틀몸체(22)의 일면 및 문틀프레임 연결판(23)의 일면이 공간(S)과 접하지 않고 문틀단열판(4)에 차단되게 되므로, 위의 세 일면을 통해서는 열전달이 방지되게 되며, 문짝(3)에서도 공간(S)과 접하였던 제1 문짝몸체(31)의 일면과 제2 문짝몸체(32)의 일면 및 문짝프레임 연결판(33)의 일면이 공간(S)과 접하지 않고 문틀단열판(4)에 차단되게 되므로, 위의 세 일면을 통해서는 열전달이 방지된다.
따라서, 시스템 도어의 전방과 후방 각각의 공간의 온도차가 발생 하였을 때, 공간(S) 내부에서의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문틀단열판(4)과 문짝단열판(5)이 각각의 프레임과 공간(S)과의 접촉을 차단하여 방지하게 되므로, 문틀(2)과 문짝(3) 사이에서의 단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짝(3)이 열렸을 때 보이게 되는 문틀(2)의 내주면과 문짝(3)의 외주면을 각각 문틀단열판(4)과 문짝단열판(5)으로 마감하므로, 시스템 도어(1)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 도어(1)는 문틀단열판(4) 또는 문짝단열판(5) 중 어느 하나에 모헤어를 더 형성할 수 있는데, 그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단열판(4)에 모헤어끼움부(60)를 형성하여, 선단이 문짝단열판(5)과 접하도록 형성된 모헤어(M)를 모헤어끼움부(60)에 끼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헤어(M)를 형성하여 모헤어(M)를 기준으로 문틀단열판(4)과 문짝단열판(5)의 사이의 공간(S)을 분할하면, 모헤어(M)를 통한 바람의 통과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헤어(M)가 나눈 공간끼리의 열전달이 모헤어(M)에 의해 단열될 수 있게 되므로, 단열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시스템 도어 2: 문틀
3: 문짝 4: 문틀단열판
5: 문짝단열판 S: 공간

Claims (6)

  1. 벽체에 결합된 문틀(2)의 내주면과 문짝(3)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S)이 형성되는 시스템 도어(1)에 있어서,
    상기 문틀(2)의 내주면을 둘러 문틀(2)과 결합되는 문틀단열판(4); 및
    상기 문짝(3)의 외주면을 둘러 문짝(3)과 결합되는 문짝단열판(5);을 구비하고,
    상기 문틀단열판(4)과 상기 문짝단열판(5)은 상기 시스템 도어(1) 전후의 온도차에 의한 공간(S)으로의 열전달을 단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틀(2)은 장방형을 이루도록 상하좌우에 위치하는 문틀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문틀프레임(20)은,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문틀몸체(21);
    상기 제1 문틀몸체(21)와 평행하도록 이격져서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문틀몸체(22); 및
    상기 제1 문틀몸체(21)와 상기 제2 문틀몸체(22)를 연결하는 문틀프레임 연결판(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도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문틀몸체(21)는 상기 제2 문틀몸체(22)와 대향하는 면에 제1 돌출부(21a) 및 제2 돌출부(21b)가 돌출형성되어, 제1 돌출부(21a)와 제2 돌출부(21b)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홈(21c)에 상기 문틀프레임 연결판(23)의 일단(23a)이 삽입되어 끼워지고,
    상기 제1 문틀몸체(21)에서 상기 문틀단열판(4)과 인접하여 돌출된 제1 걸림부(21d)와 상기 문틀단열판(4)에서 상기 제1 문틀몸체(21)와 인접하여 돌출된 제2 걸림부(41d)가 후크식으로 걸릴 때, 상기 제2 걸림부(41d)가 상기 문틀프레임 연결판(23)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1 돌출부(21a)와 상기 제1 걸림부(21d) 사이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 문틀몸체(22)는 상기 제1 문틀몸체(21)와 대향하는 면에 제3 돌출부(22a) 및 제4 돌출부(22b)가 돌출형성되어, 제3 돌출부(22a)와 제4 돌출부(22b)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홈(21c)에 상기 문틀프레임 연결판(23)의 타단(23b)이 삽입되어 끼워지고,
    상기 제2 문틀몸체(22)에서 상기 문틀단열판(4)과 인접하여 돌출된 제3 걸림부(22d)와 상기 문틀단열판(4)에서 상기 제2 문틀몸체(22)와 인접하여 돌출된 제4 걸림부(42d)가 후크식으로 걸릴 때, 상기 제3 돌출부(22a)가 상기 문틀프레임 연결판(23)에 밀리게 되어, 상기 제4 걸림부(42d)가 상기 상기 제3 돌출부(22a)와 상기 제3 걸림부(22d)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도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짝(3)은 상기 문틀(2)의 내에 위치하여 상기 문틀(2)보다 작은 장방형을 이루도록 상하좌우 방향에 위치하는 문짝프레임(30)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문짝프레임(30)은,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문짝몸체(31);
    상기 제1 문짝몸체(31)와 평행하도록 이격져서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문짝몸체(32); 및
    상기 제1 문짝몸체(31)와 상기 제2 문짝몸체(32)를 연결하는 문짝프레임 연결판(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도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짝몸체(31)는 상기 제2 문짝몸체(32)와 대향하는 면에 제1 돌출부(31a) 및 제2 돌출부(31b)가 돌출형성되어, 제1 돌출부(31a)와 제2 돌출부(31b)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홈(31c)에 상기 문짝프레임 연결판(33)의 일단(33a)이 삽입되어 끼워지고,
    상기 제1 문짝몸체(31)에서 상기 문짝단열판(5)과 인접하여 돌출된 제1 걸림부(31d)와 상기 문짝단열판(5)에서 상기 제1 문짝몸체(31)과 인접하여 돌출된 제2 걸림부(51d)가 후크식으로 걸릴 때, 상기 제2 걸림부(51d)가 상기 문짝프레임 연결판(33)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1 돌출부(31a)와 상기 제1 걸림부(31d) 사이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 문짝몸체(32)는 상기 제1 문짝몸체(31)와 대향하는 면에 제3 돌출부(32a) 및 제4 돌출부(32b)가 돌출형성되어, 제3 돌출부(32a)와 제4 돌출부(32b)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홈(31c)에 상기 문짝프레임 연결판(33)의 타단(33b)이 삽입되어 끼워지고,
    상기 제2 문짝몸체(32)에서 상기 문짝단열판(5)과 인접하여 돌출된 제3 걸림부(32d)와 상기 문짝단열판(5)에서 상기 제2 문짝몸체(32)과 인접하여 돌출된 제4 걸림부(52d)가 후크식으로 걸릴 때, 상기 제3 돌출부(32a)가 상기 문짝프레임 연결판(33)에 밀리게 되어, 상기 제4 걸림부(52d)가 상기 상기 제3 돌출부(32a)와 상기 제3 걸림부(32d)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도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단열판(4) 또는 상기 문짝단열판(5) 중 어느 하나에 모헤어끼움부(60)가 형성되어, 모헤어끼움부(60)에 끼워진 모헤어(M)를 기준으로 공간(S)이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도어.
KR1020210057208A 2021-05-03 2021-05-03 시스템 도어 KR20220150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208A KR20220150026A (ko) 2021-05-03 2021-05-03 시스템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208A KR20220150026A (ko) 2021-05-03 2021-05-03 시스템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026A true KR20220150026A (ko) 2022-11-10

Family

ID=8410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208A KR20220150026A (ko) 2021-05-03 2021-05-03 시스템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0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990B1 (ko) * 2023-01-10 2023-09-21 팀텍 주식회사 실내외용 하이브리드 방음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990B1 (ko) * 2023-01-10 2023-09-21 팀텍 주식회사 실내외용 하이브리드 방음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492B1 (ko) 단열성능과 조립성이 개선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KR101982094B1 (ko) 복합 프레임을 구비하는 커튼월
KR102345489B1 (ko) 단열 커튼월
KR20220150026A (ko) 시스템 도어
KR101616990B1 (ko) 열관류율이 향상된 단열 샤시구조체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EP1989385B1 (en) Thermally resistive window sash member and window assembly
KR101750695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2151961B1 (ko) 커튼월
US4563848A (en) Section for building
KR101436609B1 (ko) 창호 시스템
KR101580586B1 (ko) 에너지 고효율 커튼월 창 구조체
KR20170055133A (ko) 통합형 커튼월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시스템
KR102373150B1 (ko) 재활용성이 향상된 친환경 히든타입 커튼월
KR101467446B1 (ko) 단열 창호
KR102373147B1 (ko) 재활용성이 향상된 친환경 노출타입 커튼월
KR101897149B1 (ko) 창호 조립체
KR200331756Y1 (ko) 보조형재를 사용하여 기밀, 수밀, 단열성능을 높인고기능 창호
JP3079361B2 (ja) 引違いサッシ
JP7449795B2 (ja) 樹脂建具
JP7449796B2 (ja) 樹脂建具
KR102631959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향상된 측부단열 부재를 갖는 단열창호
JP3232403B2 (ja) 合成樹脂製の框
GB2143270A (en) Window or door frame
EP4080009A1 (en) Slat for roller shutters and shutter comprising said sl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