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934A - 소방차용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 Google Patents

소방차용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934A
KR20220149934A KR1020210056666A KR20210056666A KR20220149934A KR 20220149934 A KR20220149934 A KR 20220149934A KR 1020210056666 A KR1020210056666 A KR 1020210056666A KR 20210056666 A KR20210056666 A KR 20210056666A KR 20220149934 A KR20220149934 A KR 20220149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compressed air
fire
foam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환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56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9934A/ko
Priority to PCT/KR2021/013677 priority patent/WO2022231075A1/ko
Publication of KR2022014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4Pipe-line systems pressuris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4Pipe-line systems pressurised
    • A62C35/645Pipe-line systems pressurised with compressed gas in pipewor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62C5/02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with air or gas present as su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5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1Amount of delivered fluid during a peri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6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4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02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riven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1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는 소화수 탱크와 소화수 펌프를 연결하는 소화수 공급관과, 상기 소화수 펌프로부터 소화수를 토출하는 펌프 토출 배관과, 상기 펌프 토출 배관의 단부에 설치된 삼방 밸브와, 상기 삼방 밸브에서 분기되는 분사관에 연결된 소화수 연결구와, 상기 삼방 밸브에서 다른 방향을 따라 분기되는 다른 분사관에 연결된 방수총을 포함하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에 있어서, 상기 펌프 토출 배관 상에 설치된 제 2개폐 밸브; 상기 제 2개폐 밸브의 전단 위치에서의 상기 펌프 토출 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유입 배관; 상기 유입 배관에 연결되어 압축공기 포를 발생시키는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 상기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로 포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포 소화약제 탱크; 상기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와 상기 제 2개폐 밸브의 후단 위치에서의 상기 펌프 토출 배관에 연결되는 토출 배관; 및, 상기 유입 배관 상에 설치되는 소화수 유량 조절밸브를 포함하되, 제어 유닛은, 소화수 만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 2개폐 밸브 만을 개방하고, 압축공기 포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 2개폐 밸브를 닫고, 상기 소화수 유량 조절 밸브를 개방한다.

Description

소방차용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Compressed air foam equipment for Fire Trucks}
본 발명은 소방차용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를 막거나 억제시키기 위하여 소화설비가 사용된다. 이러한 소화설비는 화재의 초기단계에서 소화약제가 갖는 냉각 또는 공기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해 소화를 한다.
이때, 소화설비에는 포 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이산화탄소소화설비 등의 종류로 되어있으며 각 상황에 맞게 사용된다.
여기서 포 소화설비는, 물과 포소화약제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포(foam)가 공기에 의하여 발포되어 형성된 미세한 기포의 집합체가, 연소물의 표면을 덮어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질식 및 냉각소화를 하게 된다.
또한, 포에 함유된 수분의 의한 냉각효과와 질식효과를 사용하여 소화가 필요한 곳은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를 작동시켜서 압축공기 포(Compressed Air Foam)로 소화시킨다.
근래에 들어 소방 펌프차에 유류 및 특수가연물 화재 소화를 위해 압축공기포 소화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를 소방 펌프차에 설치하는 경우, 소방호스 연결구와, 압축공기 포 연결구를 각각 설치함에 따라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성이 낮아지고, 공간적 활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는 소화수, 포 소화약제 및 압축공기를 최적의 비율로 혼합시켜 생성된 초 미세거품 형태의 압축공기포(Compressed Air Foam)를 화점에 방사한다.
여기서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에서 소화수는 소화수 펌프에서 공급을 받고, 압축공기는 공기 압축기에서 공급을 받으며, 포 소화약제는 포 소화약제 펌프에서 공급을 받는다.
종래에는 소화수 펌프와, 공기 압축기는 소방차 엔진과 연결되는 동력 인출 장치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고, 포 소화약제 펌프는 소방차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 받는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압축 공기 포 소화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소방차 전원 및 엔진에 연결된 동력인출장치를 사용하여 소화수 펌프, 공기 압축기 및 포 소화약제 혼합장치(FOAM PROPORTIONER)의 포 소화약제 펌프를 모두 구동시킨다.
종래에는 포 혼합비 및 소화수 유량의 변화에 따라 포 소화약제 펌프를 변속 운전시켜 해당되는 양의 포 소화약제를 토출시키고 이를 소화수와 혼합하여 정확한 포 혼합비의 포수용액을 만든다.
여기서 종래의 포 소화약제 혼합장치는 변속모터에 플런저 펌프 또는 기어펌프를 설치하여 변속 모터(Variable Speed Motor)의 회전수를 조정하여 필요한 양의 포 소화약제를 토출하는 방식을 갖는다.
그러나 소화수 유량이 클 때 또는 3% 또는 6% 포 혼합비에 필요한 포소화약제 유량이 클 경우, 이에 요구되는 변속 모터의 용량 역시 일정 이상으로 큰 변속 모터를 사용하여야 하나, 소방차에서 공급할 수 있는 전기 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포 혼합비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종래에는 소화수 펌프, 공기 압축기의 구동 회전수의 회전수와, 자동차 엔진의 회전수를 개별적으로 조절해야 하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
또한 포 혼합비를 조절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소화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기 포비가 가변되기 때문에, 화재종류에 따라 공기포비를 조절함에 있어서 작동 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요구되는 공기포비를 얻기 위해서 제어패널에서 소화수 유량 조절밸브의 개폐각을 조절하는 버턴을 수동으로 작업자가 눌러 요구된 공기포비를 얻을 때 까지 소요시간이 길고 사용상 불편함이 매우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압축공기포 또는 소화수 방사 시 각각 별도의 라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복수의 소방 호스 연결구(압축공기포 전용 소방호스연결구,소화수 전용 소방호스연결구)를 사용하고, 동일한 사유로 방수총은 소화수 전용으로만 사용이 가능한 문제도 있다.
종래에는 압축공기포소화설비를 구동함에 있어서 소방차에 보관하고 있는 포소화약제를 모두 소진했을 경우에는 소화수만 공급하여 방사를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소화수로만 방사하는 경우 소화수의 공급 압력을 올려 방사거리를 확장하도돌 가고 있으나, 압력을 올려서 방사거리를 확장하려면 소화수 유량을 증가 시키지 않고는 거리를 확보 할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3591호(공고일자: 2018년 10월 04일)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소방호스 연결구를 사용하여 소화수 및 압축공기 포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방수총을 통해 소화수 및 압축공기 포를 선택적으로 방사하도록 할 수 있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수 펌프, 공기 압축기 및 포 소화약제 공급펌프를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구동시킴과 아울러, 소화수 펌프 만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할 수 있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공기포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포 수용액의 유량을 설정하고, 이 설정된 포 수용액의 유량을 이루기 위해 소화수의 유량 및 포 소화약제의 공급 유량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포 수용액"이라 함은 포 소화약제와 소화수(물)을 혼합한 수용액이고, "공기포비"는 포 수용액과 압축공기를 혼합한 경우의 비율, 포 수용액에 대한 공급된 압축 공기량을 배수로 표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수만을 방사하는 경우 공급되는 소화수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방사 거리를 일정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는 소화수 탱크와 소화수 펌프를 연결하는 소화수 공급관과, 상기 소화수 펌프로부터 소화수를 토출하는 펌프 토출 배관과, 상기 펌프 토출 배관의 단부에 설치된 삼방 밸브와, 상기 삼방 밸브에서 분기되는 분사관에 연결된 소화수 연결구와, 상기 삼방 밸브에서 다른 방향을 따라 분기되는 다른 분사관에 연결된 방수총을 포함하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에 있어서,
상기 펌프 토출 배관 상에 설치된 제 2개폐 밸브;
상기 제 2개폐 밸브의 전단 위치에서의 상기 펌프 토출 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유입 배관;
상기 유입 배관에 연결되어 압축공기 포를 발생시키는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
상기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로 포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포 소화약제 탱크;
상기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와 상기 제 2개폐 밸브의 후단 위치에서의 상기 펌프 토출 배관에 연결되는 토출 배관; 및,
상기 유입 배관 상에 설치되는 소화수 유량 조절밸브를 포함하되,
제어 유닛은,
소화수 만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 2개폐 밸브 만을 개방하고,
압축공기 포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 2개폐 밸브를 닫고, 상기 소화수 유량 조절 밸브를 개방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는,
상기 유입 배관과 상기 토출 배관의 사이에 연결되는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와,
상기 소방차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를 연결하는 압축공기 공급관과,
상기 포소화약제 탱크와 상기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를 연결하는 포소화약제 공급관과,
상기 포 소화약제 공급관에 설치되는 포 소화약제 펌프와,
상기 포 소화약제 공급관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수 유입배관 내의 소화수 압력보다 일정 압력 높게 기설정되는 차압으로 포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차압조절장치와,
상기 포 소화약제 공급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포 소화약제의 유량을 조절하는 포 소화약제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유입 배관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소화수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소화수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압축공기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압축공기유량은 기설정된 유량으로 일정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공기포비 선택에 따라 소화수 공급유량과 포소화약제 공급유량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에는 고정값인 압축공기 유량에 따라 서로 다른 공기포비들이 기설정되고, 기설정된 상기 공기포비들 각각을 이루는 기준 포소화약제 공급유량과 기준 소화수 공급유량이 각각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서로 다른 공기포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되,
상기 선택부에 의해 어느 하나의 공기포비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 유닛은,
기설정되는 압축공기 유량을 기준으로 선택된 공기포비를 이루는 기준 포소화약제 공급유량과 기준 소화수 공급유량을 이루도록 상기 포소화약제 유량조절밸브 및 상기 소화수 유량조절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는,
상기 유입 배관과 상기 토출 배관의 사이에 연결되는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와,
상기 소방차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를 연결하는 압축공기 공급관과,
상기 포소화약제 탱크와 상기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를 연결하는 포소화약제 공급관과,
상기 포 소화약제 공급관에 설치되는 포 소화약제 펌프와,
상기 포 소화약제 공급관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수 유입배관 내의 소화수 압력보다 일정 압력 높게 기설정되는 차압으로 포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차압조절장치와,
상기 포 소화약제 공급관에 설치되는 단위 배관들;
상기 단위 배관들 각각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설정된 포 소화약제의 유량을 이루도록 하는 오리피스들과,
상기 오리피스들 각각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단위 배관들을 개폐하는 전자 밸브들과,
상기 유입 배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소화수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소화수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설정된 공기 유량 대비 일정량 많은 유량이 공급될 때 대기상으로 배출시키면서 유량을 조절하는 압축공기조절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에는 서로 다른 공기포비들이 기설정되고, 기설정된 상기 공기포비들 각각을 이루는 기준 포소화약제 공급유량과 기준 소화수 공급유량이 각각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서로 다른 공기포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되,
상기 선택부에 의해 어느 하나의 공기포비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 유닛은,
기설정되는 압축공기 유량을 기준으로 선택된 공기포비를 이루는 기준 포소화약제 공급유량과 기준 소화수 공급유량을 이루도록 상기 소화수 유량조절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오리피스들 중, 선택된 상기 공기포비를 이루는 오리피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오리피스가 설치된 단위 배관을 상기 전자 밸브를 사용하여 개방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소방차 엔진은 상기 동력인출장치와 연결되는 제 1구동축을 통해 상기 소화수 펌프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 1구동축은,
밸트 또는 기어박스를 통해 제 2구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 2구동축은 전자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제 3구동축과 연결 또는 해제되고,
상기 제 3구동축은 다른 밸트 또는 기어 박스를 통해 제 4구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 3구동축은, 상기 공기 압축기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 4구동축은, 상기 포 소화약제 펌프로 동력을 전달하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자 클러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 1구동축 단독, 또는 제 1,2,3,4구동축을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동력이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압축기와 상기 포 소화약제펌프의 회전수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에 설치된 벨트 풀리 또는 기어 박스의 작동을 통해 각각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배관과 상기 포 소화약제 탱크의 후단은 사이에는 세척용 소화수 공급밸브가 설치된 세척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세척 모드 또는 방수 확장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세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세척용 소화수 공급밸브를 개방하여 소화수 공급을 이루고, 상기 압축공기 유량조절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방수 확장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세척용 소화수 공급밸브를 개방하여 소화수 공급을 이루고, 상기 압축공기 유량조절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하나의 소방호스 연결구를 사용하여 소화수 및 압축공기 포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방수총을 통해 소화수 및 압축공기 포를 선택적으로 방사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수 펌프, 공기 압축기 및 포 소화약제 공급펌프를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구동시킴과 아울러, 소화수 펌프 만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공기포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포 수용액의 유량을 설정하고, 이 설정된 포 수용액의 유량을 이루기 위해 소화수의 유량 및 포 소화약제의 공급 유량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여기서 공급되는 압축공기 공급유량은 기설정된 유량으로 일정하게 공급되므로 공기포비 선택에 따라 소화수 유량과 포소화약제 유량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수만을 방사하는 경우 공급되는 소화수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방사 거리를 일정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력 전달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오리피스가 적용된 본 발명의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를 보여주는 실제장치사진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를 보여주는 실제장치사진들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를 설명함에 있어서 실제 장치의 구성의 배치 상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 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 하면,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는 소화수 탱크(10)와, 소방차 엔진(1)과,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9)와, 포 소화약제 탱크(11)를 갖는다.
상기 소화수 탱크(10)는 소화수 펌프(3)와 소화수 공급관(101)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소방차 엔진(1)은 동력 인출 장치(2)를 통해 소화수 펌프(3)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소화수 펌프(3)는 펌프 토출 배관(102)을 통해 방수총(6)과 연결된다.
상기 펌프 토출 배관(102) 상에는 논리턴 삼방밸브(5)가 설치된다.
상기 논리턴 삼방밸브(5)는 분사관(103)을 통해 소방호스 연결구(7-2)와 연결된다. 상기 소방호스 연결구(7-2) 전단에는 제 1개폐밸브(7-1)가 설치된다.
상기 소화수 펌프(3)와 상기 논리턴 삼방밸브(5)의 사이에는 제 2개폐밸브(4)가 설치된다.
상기 제 2개폐 밸브(4)와 상기 소화수 펌프(3)의 사이의 펌프 토출 배관(102) 상에서 유입 배관(201)이 분기된다.
상기 유입 배관(201)은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9)와 연결된다. 상기 유입 배관(201) 상에는 소화수 유량 조절 밸브(8)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9)는 토출 배관(202)과 연결되고, 상기 토출 배관(202)은 제 2개폐 밸브(4)와 논리턴 삼방밸브(5)의 사이 펌프 토출 배관(102)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 포 소화 장치(9)는 상기 포 소화약제 탱크(11)와 약제 공급관(300)을 통해 연결된다.
도 1을 참조 하면, 소화수 만을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소화수 만을 사용하는 경우, 소화수 펌프(3)는 소방차 엔진(1)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아 구동된다. 소화수 공급관(101)을 따라 공급되는 소화수는 펌프 토출 배관(102)을 통해 방수총(6) 또는 소화수 연결구(7-2)로 공급된다.
여기서 논리턴 삼방밸브(5)의 후단에 설치된 개폐밸브(6-1, 7-1)들의 개폐에 따라 소화수는 방수총(6) 또는 소화수 연결구(7-2)로 공급되어질 수 있다. 상기 논리턴 삼방밸브(5)는 삼방 밸브로 사용할 수 있다.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9)를 사용하는 경우, 제 2개폐 밸브(4)를 폐쇄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소화수 유량제어 밸브(8)는 개방된다. 이에 소화수 펌프(3)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소화수는 유입 배관(201)을 통해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9)로 유입된다.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9)에서 생성된 압축공기 포는, 토출 배관(202)을 통해 분사관(103)으로 공급된다.
분사관(103)으로 공급된 압축공기 포는 소방호스 연결구(7-2)로 보내지고, 소방호스 연결구(7-2)에 소방호스를 연결한 이후에, 제 1개폐 밸브(7-1)를 개방하여 사용한다. 상기 제 1개폐 밸브(7-1)는 전자 밸브일 수 있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는 소화수와 압축공기 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력 전달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은 소화수 펌프(3)와, 공기 압축기(12)와, 포 소화약제 펌프(15)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들은 동력을 통해 구동된다.
소방차 엔진(1)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인출장치(2)를 갖는다. 상기 동력인출장치(2)는 동력을 소화수 펌프(3)로 전달한다. 상기 소화수 펌프(3)는 동력인출장치(2)의 동력을 통해 구동된다.
상기 소화수 펌프(3)는 동력인출장치(2)와 연결되는 제 1구동축(3a)을 갖는다.
상기 제 1구동축(3a)은 밸트 또는 기어박스에 의해 제 2구동축(23a)과 연동된다. 제 1구동축(3a)에서의 동력은 밸트 또는 기어박스를 통해 제 2구동축(23a)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제 2구동축(23a)은 제 3구동축(12a)과 전자 클러치(23)의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또는 동력 차단이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제 3구동축(12a)에는 밸트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밸트의 타단은 제 4구동축(15a)이 연결된다.
상기 제 3구동축(12a)은 공기 압축기(12)와 연결된다.
상기 제 4구동축(15a)은 포 소화약제 펌프(15)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 1구동축(3a)의 동력이 제 2구동축(23a)으로 전달되고, 전자 클러치(23)의 구동에 의해 제 2구동축(23a)이 제 3구동축(12a)과 연결되면, 상기 동력은 공기 압축기(12) 및 제 4구동축(15a)에 연결된 포 소화약제 펌프(15)로 전달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소방차 엔진(1)에서 발생된 동력을 통해 소화수 펌프(3), 공기 압축기(12) 및 포 소화약제 펌프(15)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자 클러치(23)의 구동에 의해, 제 3,4구동축(12a, 15a)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소화수 펌프(3) 만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차 엔진(1)의 회전수는 상술한 타이밍 밸트 및 기어 박스에 의해 제 2,3,4구동축(23a, 12a, 15a)의 회전수와 일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압축기(12)와 포 소화약제펌프(15)의 회전수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3a)에 설치된 벨트 풀리(Pulley)의 기어수 또는 기어박스의 작동을 통해 각각 조절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의 상세 구성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 하면,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는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는 유입 배관(201)과 토출 배관(202)의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유입 배관(201) 상에는 소화수 유량 조절밸브(8)의 후단에 소화수 전자 유량계(9)와 체크 밸브(10)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포 소화약제 탱크는 제 1,2포 소화 약제탱크(22-1, 22-2)를 갖는다.
제 1포 소화 약제탱크(22-1)는 제 1약제 공급관(301)과 연결된다. 상기 제 1약제 공급관(301)은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와 연결된다. 제 1포 소화 약제탱크(22-1)의 1% 포 소화약제는 제 1약제 공급관(301)을 통해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로 공급한다.
상기 제 1약제 공급관(301) 상에는, 포 소화약제 펌프(15)가 설치된다.
상기 제 1포 소화 약제탱크(22-1)와 상기 포 소화약제 펌프(15)의 사이의 제 1약제 공급관(301) 상에는 상기 제 1포 소화 약제 공급 밸브(16-1)가 설치된다.
상기 포 소화약제 펌프(15)와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 사이의 제 1약제 공급관(301) 상에는 차압조절장치(17), 포 소화약제 유량 조절밸브(18), 포 소화약제 전자 유량계(19)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 2포 소화 약제 탱크(22-2)는 제 2약제 공급관(302)과 연결되고, 제 2약제 공급관(302)은 상기 제 1포 소화 약제 공급 밸브(16-1)와 상기 포 소화약제 펌프(15) 사이 제 1약제 공급관(301)에 연결된다.
상기 제 2약제 공급관(302)에는 상기 제 2포 소화약제 공급밸브(24-1)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포 소화 약제 탱크(22-1)는 1% 포소화약제를 공급하고, 제 2포 소화 약제 탱크(22-2)는 3% 포소화약제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소방차 엔진(1)과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2)는 전자 클러치(23)와 연결된다. 상기 전자 클러치(23)는 동력인출장치(2)로부터 인출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전자 클러치(23)는 동력인출장치(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공기 압축기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클러치(23)와 상기 공기 압축기(12) 사이에는 타이밍 밸트 또는 기어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타이밍 밸트 또는 기어 박스를 통해 상기 동력을 상술한 포 소화약제 펌프(15)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공기 압축기(12) 및 포 소화약제 펌프(15)는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압축기(12)는 압축 공기 공급관(400)을 통해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와 연결된다. 상기 공기 압축기(12)는 압축 공기를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로 공급한다.
도 3을 참조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화수 만을 사용하는 경우, 제 2개폐 밸브(4)는 개방되고, 소화수 유량조절밸브(8)가 닫히고, 소화수 펌프(3)가 구동됨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에 소화수는 분사관(103)을 통해 소방호스 연결구(7-2)로 공급된다. 이때 소방호스를 소방호스 연결구(7-2)에 연결하고, 제 1개폐 밸브(7-1)를 개방한다. 여기서, 상기 제 1개페 밸브(7-1)는 전자 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압축공기 포 소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동력인출장치(2)를 통해 소화수 펌프(3)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소화수 펌프(3)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어 유닛(600)의 제어에 따라 제 2개폐 밸브(4)가 닫히고, 소화수 유량조절밸브(8)는 개방된다.
소화수는 유입 배관(201)을 통해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로 공급된다.
제어 유닛(600)은 전자 클러치(23)를 사용하여 공기 압축기(12) 및 포 소화약제 펌프(15)를 구동시킨다.
공기 압축기(12)는 압축 공기를 생성하여 압축공기 공급관(400)을 통해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로 공급한다.
동시에 포 소화약제 펌프(15)는 포 소화약제를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는 일정 유량의 포 소화약제 및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혼합하여 압축공기 포로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압축공기 포는 토출 배관(202)을 통해 유동되고, 논리턴 삼방밸브(5)를 거쳐 의해 방수총(6-2) 또는 소방호스 연결구(7-2)로 공급되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 소화약제는 1% 포 소화약제 및 3% 포 소화약제이며, 이는 제 1,2포 소화약제 탱크(22-1, 22-2)로부터 각각 공급된다. 또한 소화약제 제품의 다양화로 다른 %의 제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이 공급되는 포 소화약제의 공급유량은 제 1포 소화약제 공급관(301) 상에 설치된 포 소화약제 유량 조절밸브(18)의 구동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포소화약제 펌프(15)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포 소화약제 공급유량은 포 소화약제 전자유량계(19)에 의해 측정되고, 제어 유닛(600)의 구동에 의해 포 소화약제 유량 조절밸브(18)의 개폐도를 조절함으로서 제어된다.
상기 제 1포 소화약제 공급관(301)상에 설치된 차압조절장치(17)는 소화수 유입 배관(201)내의 소화수 압력보다 미리 설정되는 항상 일정한 높은 차압으로 포 소화약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또한 공기 압축기(12)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 공급유량은 압축공기 전자유량계(13)에 의해 측정되고, 제어 유닛(600)의 구동에 의해 압축공기 유량 조절밸브(14-1)의 개폐도를 조절하여 과잉되는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압축공기 유량은 장비 제작시 정해진 유량으로 일정하게 공급된다. 즉, 압축공기유량은 고정값이기 때문에, 공기포비 선택에 따라 소화수 공급유량과 포 소화약제 공급유량이 결정된다.
또한 소화수는 유입 배관(201) 상에 설치되는 소화수 유량 조절 밸브(8)의 구동에 의해 소화수의 공급 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소화수 펌프(3)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소화수는 소화수 전자유량계(9)에 의해 측정되고, 제어 유닛(600)의 구동에 의해 소화수 유량 조절밸브(18)의 개폐도가 조절됨으로써 제어된다.
한편 소화수는 소화수 펌프(3)의 구동에 의해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로 공급된다. 그리고 포 소화약제는 포 소화약제 펌프(15)의 구동에 의해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로 공급된다.
상기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는 소화수와 포 소화약제를 혼합하여 포 수용액을 형성한다.
그리고 공기 압축기(12)는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로 공급되며 포 수용액과 혼합하여 압축공기포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 유닛(600)은 압축공기 공급량을 일정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공급되는 압축공기 유량은 장비 제작시 정해진 유량으로 일정하게 공급되므로, 즉 공기유량은 고정값이므로 공기포비 선택에 따른 소화수 유량과 포소화약제 유량이 결정된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600)은 소화수 공급유량, 포 소화액제 공급유량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공기포비를 다수로 마련하고,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 또는 설정하며, 선택된 공기포비를 이루도록 소화수 공급유량과 포소화약제 공급유량을 가변시키는 시스템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포비는 포 수용액과 압축공기가 혼합된 비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닛(600)에는 다양한 공기포비를 선택하는 선택부(61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부(610)는 서로 다른 다수의 공기포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공기포비를 선택하면, 제어 유닛(600)은 소화수 공급유량과 포소화약제 공급유량을 가변시킨다. 즉, 제어 유닛(600)은 소화수 유량조절밸브(8)와 포 소화약제 유량조절밸브(18)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여 설정된 공기포비를 이루도록 한다.
먼저 어느 하나의 공기포시 선택에 따른 포 소화약제 공급유량 및, 소화수 공급유량의 조절 과정을 설명한다.
포 소화약제 전자유량계(19)는 제 1포 소화약제 공급관(301)을 통해 공급되는 포 소화약제 공급 유량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 유닛(600)으로 전송한다.
동시에 소화수 전자유량계(9)는 유입 배관(201)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의 공급 유량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유닛(600)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 유닛(600)은 측정 되어진 포 소화약제 공급유량 및 소화수 공급유량을 전송 받는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600)은 선택된 기설정되는 공기포비를 이룰 수 있는 기준 포 소화약제 공급유량 및 기준 소화수 공급유량을 이루도록 포 소화약제 유량조절밸브(18) 및 소화수 유량조절밸브(8)의 개폐도를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600)은 선택된 공기포비를 이룰 수 있도록 가변된 포소화약제 공급유량 및 소화수 공급유량을 이루는 포 소화약제 및 소화수를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로 공급 되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어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는 선택된 공기포비로 생성된 압축공기 포를 토출 배관(202)을 통해 토출시켜, 방수포(5) 또는 소방호스 연결구(7-2)로 공급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포 소화약제의 공급 유량을 포 소화약제 유량조절밸브(19)를 사용하여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예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였다.
이외, 본 발명에서는 오리피스를 사용하여 상기 포소화약제의 공급 유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오리피스가 적용된 본 발명의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는 도 2에 도시된 계통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되, 단 포 소화약제 유량조절밸브 대신 오리피스들(18-2)을 사용한 구성이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포 소화약제 공급관(301) 상에서, 포 소화약제 펌프(15)와 포 소화약제 전자유량계(19)의 사이에는 오리피스들(18-2)이 병렬을 이루는 단위배관들(303)을 통해 배치된다.
즉, 제 1포 소화약제 공급관(301)에는 단위 배관들(303)이 병렬을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단위 배관들(303) 각각에는 서로 다른 포 소화약제 공급유량을 물리적으로 형성하는 오리피스들(18-2)이 각각 배치된다.
상기 오리피스들(18-2) 각각은 제어 유닛(600)에 설정되는 서로 다른 공기포비를 이루기 위해 공급되는 포 소화약제 공급유량을 이루도록 한다.
특히 상기 오리피스들(18-2)을 사용하여 정확한 양의 포 소화약제 공급유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부(610)를 통해 어느 하나의 공기포비를 선택하면, 선택된 공기포비를 이루는데 요구되는 포소화약제 공급유량을 갖는 오리피스(18-2)가 배치된 단위 배관(303)을 개방한다. 이는 단위 배관(303)에 설치된 전자밸브(18-1)의 개폐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오리피스(18-2)를 통해 유량이 물리적으로 조절된 포소화약제는 해당 단위 배관(303), 제 1포 소화약제 공급관(301)을 통해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로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 유닛(600)은 선택된 기설정되는 공기포비를 이룰 수 있는 기준 소화수 공급유량을 이루도록 소화수 유량조절밸브(8)의 개폐도를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600)은 선택된 공기포비를 이룰 수 있도록 가변된 포소화약제 공급유량 및 소화수 공급유량을 이루는 포소화약제 및 소화수를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어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11)는 선택된 공기포비로 생성된 압축공기 포를 토출 배관(202)을 통해 토출시켜, 방수총(6-2) 또는 소방호스 연결구(7-2)로 공급한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의 소방호스 연결구를 사용하여 소화수 및 압축공기 포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방수총을 통해 소화수 및 압축공기 포를 선택적으로 방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수 펌프, 공기 압축기 및 포 소화약제 공급펌프를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구동시킴과 아울러, 소화수 펌프 만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공기포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포 수용액의 유량을 설정하고, 이 설정된 포 수용액의 유량을 이루기 위해 소화수의 유량 및 포 소화약제의 공급 유량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를 사용 후, 포소화약제 배관 전체를 세척 또는 소화수의 방사 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 모드가 적용되는 예를 보여주는 계통도이다.
도 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닛(600)은 세척 모드 및 방사 확장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600)을 통해 세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600)은 제 1포소화약제 공급밸브(16-1)과 제 2포소화약제 공급밸브(24-1)를 폐쇄하고, 세척 라인(8) 상에 설치된 세척용 소화수 공급밸브(8-1)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소화수는 포 소화약제 펌프(15)에 공급되어 포 소화약제 배관 전체는 공급되는 소화수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동시에 제어 유닛(600)은 압축 공기 공급관(400) 끝단에 설치된 압축공기 유량 조절밸브(14-1)를 개방하여 압축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세척 라인(8)의 일단은 유입 배관(20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1,2약제 공급관(301, 302) 후단과 포 소화약제 펌프(15)의 전단에 연결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 확장 모드가 적용되는 예를 보여주는 계통도이다.
도 9를 참조 하면, 제어 유닛(600)을 통해 방사 확장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600)은 제 1포소화약제 공급밸브(16-1)과 제 2포소화약제 공급밸브(24-1)를 폐쇄하고, 세척 라인(5) 상에 설치된 세척용 소화수 공급밸브(8-1)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소화수는 포 소화약제 펌프(15)에 공급되어 포 소화약제 배관 전체로 공급되어진다.
동시에 제어 유닛(600)은 압축 공기 공급관(400) 끝단에 설치된 압축공기 유량 조절밸브(14-1)를 폐쇄하여 압축 공기를 유동되는 소화수로 공급한다.
이에 외부로 방사되는 소화수는 압축 공기의 압력과 함께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즉 포 소화약제를 모두 사용하여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압축공기만 공급하더라도 소화수의 방사거리를 약 1.5배에서 2배정도 확장시킬수 있기 때문에, 일반 화재 소화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소화수 탱크와 소화수 펌프를 연결하는 소화수 공급관과, 상기 소화수 펌프로부터 소화수를 토출하는 펌프 토출 배관과, 상기 펌프 토출 배관의 단부에 설치된 삼방 밸브와, 상기 삼방 밸브에서 분기되는 분사관에 연결된 소화수 연결구와, 상기 삼방 밸브에서 다른 방향을 따라 분기되는 다른 분사관에 연결된 방수총을 포함하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에 있어서,
    상기 펌프 토출 배관 상에 설치된 제 2개폐 밸브;
    상기 제 2개폐 밸브의 전단 위치에서의 상기 펌프 토출 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유입 배관;
    상기 유입 배관에 연결되어 압축공기 포를 발생시키는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
    상기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로 포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포 소화약제 탱크;
    상기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와 상기 제 2개폐 밸브의 후단 위치에서의 상기 펌프 토출 배관에 연결되는 토출 배관; 및,
    상기 유입 배관 상에 설치되는 소화수 유량 조절밸브를 포함하되,
    제어 유닛은,
    소화수 만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 2개폐 밸브 만을 개방하고,
    압축공기 포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 2개폐 밸브를 닫고, 상기 소화수 유량 조절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는,
    상기 유입 배관과 상기 토출 배관의 사이에 연결되는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와,
    상기 소방차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를 연결하는 압축공기 공급관과,
    상기 포소화약제 탱크와 상기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를 연결하는 포소화약제 공급관과,
    상기 포 소화약제 공급관에 설치되는 포 소화약제 펌프와,
    상기 포 소화약제 공급관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수 유입배관 내의 소화수 압력보다 일정 압력 높게 기설정되는 차압으로 포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차압조절장치와,
    상기 포 소화약제 공급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포 소화약제의 유량을 조절하는 포 소화약제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유입 배관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소화수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소화수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압축공기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에는 포혼합비 선택 및 고정값인 압축공기 유량에 따라 서로 다른 공기포비들이 기설정되고, 기설정된 상기 공기포비들 각각을 이루는 기준 포소화약제 공급유량과 소화수 공급유량이 각각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서로 다른 공기포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되,
    상기 선택부에 의해 어느 하나의 공기포비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 유닛은,
    기설정되는 압축공기 유량을 기준으로 선택된 공기포비를 이루는 기준 포소화약제 공급유량과 기준 소화수 공급유량을 이루도록 상기 포소화약제 유량조절밸브 및 상기 소화수 유량조절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포 소화장치는,
    상기 유입 배관과 상기 토출 배관의 사이에 연결되는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와,
    상기 소방차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를 연결하는 압축공기 공급관과,
    상기 포소화약제 탱크와 상기 압축공기 포 혼합장치를 연결하는 포소화약제 공급관과,
    상기 포 소화약제 공급관에 설치되는 포 소화약제 펌프와,
    상기 포 소화약제 공급관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수 유입배관 내의 소화수 압력보다 일정 압력 높게 기설정되는 차압으로 포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차압조절장치와,
    상기 포 소화약제 공급관에 설치되는 단위 배관들;
    상기 단위 배관들 각각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설정된 포 소화약제의 유량을 이루도록 하는 오리피스들과,
    상기 오리피스들 각각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단위 배관들을 개폐하는 전자 밸브들과,
    상기 유입 배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소화수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소화수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에는 포혼합비 선택 및 고정값인 압축공기 유량에 따라 서로 다른 공기포비들이 기설정되고, 기설정된 상기 공기포비들 각각을 이루는 기준 포소화약제 공급유량과 소화수 공급유량이 각각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서로 다른 공기포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되,
    상기 선택부에 의해 어느 하나의 공기포비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 유닛은,
    기설정되는 압축공기 유량을 기준으로 선택된 공기포비를 이루는 기준 포소화약제 공급유량과 기준 소화수 공급유량을 이루도록 상기 소화수 유량조절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오리피스들 중, 선택된 상기 공기포비를 이루는 오리피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오리피스가 설치된 단위 배관을 상기 전자 밸브를 사용하여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6.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차 엔진은 상기 동력인출장치와 연결되는 제 1구동축을 통해 상기 소화수 펌프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 1구동축은,
    밸트를 통해 제 2구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 2구동축은 전자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제 3구동축과 연결 또는 해제되고,
    상기 제 3구동축은 다른 밸트 또는 기어 박스를 통해 제 4구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 3구동축은, 상기 공기 압축기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 4구동축은, 상기 포 소화약제 펌프로 동력을 전달하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자 클러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 1구동축 단독, 또는 제 1,2,3,4구동축을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동력이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7.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압축기와 상기 포 소화약제펌프의 회전수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에 설치된 벨트 풀리 또는 기어 박스의 작동을 통해 각각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배관과 상기 포 소화약제 탱크의 후단은 사이에는 세척용 소화수 공급밸브가 설치된 세척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세척 모드 또는 방수 확장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세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세척용 소화수 공급밸브를 개방하여 소화수 공급을 이루고, 상기 압축공기 유량조절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방수 확장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세척용 소화수 공급밸브를 개방하여 소화수 공급을 이루고, 상기 압축공기 유량조절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KR1020210056666A 2021-04-30 2021-04-30 소방차용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KR20220149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666A KR20220149934A (ko) 2021-04-30 2021-04-30 소방차용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PCT/KR2021/013677 WO2022231075A1 (ko) 2021-04-30 2021-10-06 소방차용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666A KR20220149934A (ko) 2021-04-30 2021-04-30 소방차용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934A true KR20220149934A (ko) 2022-11-10

Family

ID=8384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666A KR20220149934A (ko) 2021-04-30 2021-04-30 소방차용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49934A (ko)
WO (1) WO202223107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591B1 (ko) 2017-05-24 2018-10-04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내구성과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압축공기포 소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349Y1 (ko) * 2003-12-26 2004-03-10 수정특장차 주식회사 전자클러치가 구비된 다기능 고발포 배연 조명 펌프시스템 소방차
JP4961269B2 (ja) * 2007-06-06 2012-06-27 ヤマトプロテック株式会社 泡消火薬剤混合装置の点検装置
CN101970058B (zh) * 2008-01-03 2012-08-29 海普洛有限责任公司 具有低端控制器的泡沫配量系统
KR101044053B1 (ko) * 2009-03-16 2011-06-23 주식회사 에프원텍 에어폼 방수시스템을 사용한 소방자동차
KR20210027015A (ko) * 2020-01-20 2021-03-10 (주)지브이티 압축공기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591B1 (ko) 2017-05-24 2018-10-04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내구성과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압축공기포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1075A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3004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foam
US5255747A (en) Compressed air foam system
CA2685105C (en) Improved compressed air foam technology
CA2565290C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ducing compressed air foam for fire fighting and decontamination
US5213263A (en) Device for metering and mixing a detergent with water and compressed air under control of an atomizing lance transforming also the jet into foam
US4213796A (en) Mobile cleaning unit
WO1999052643A1 (fr) Dispositif servant a creer un jet de gaz et de gouttelettes, et soupape
CA2421421A1 (en) Coating material feeding apparatus and valve unit
US3853784A (en) Flow control device
JP3144693B2 (ja) 泡発生装置
CN110997078A (zh) 一种通过压缩方法产生泡沫的移动灭火系统
CN100584412C (zh) 压缩空气泡沫灭火装置
JP2006289276A (ja) 高粘度材料の発泡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20149934A (ko) 소방차용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
US6899114B2 (en) Device for the dilution and application of liquids
US2077257A (en) Spray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US4290442A (en) Mobile cleaning unit
JP6731882B2 (ja) 消防用自動車
JP3701181B2 (ja) 多液混合圧送装置
JP6968998B2 (ja) 消火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ための制御装置
US3451786A (en) Device for mixing and dispensing ingredients
US20100024916A1 (en) Automatic filler
CN114502243B (zh) 用于灭火设备的混合系统和用于运行这种混合系统的方法
US20090288845A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CN107982828A (zh) 泡沫供液车的泡沫混合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