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562A - 상태 지시 방법, 기기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태 지시 방법, 기기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562A
KR20220149562A KR1020227033620A KR20227033620A KR20220149562A KR 20220149562 A KR20220149562 A KR 20220149562A KR 1020227033620 A KR1020227033620 A KR 1020227033620A KR 20227033620 A KR20227033620 A KR 20227033620A KR 20220149562 A KR20220149562 A KR 20220149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indication information
network device
core network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 왕
젠후아 시에
시아오완 케
얀시아 장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49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태 지시 방법, 기기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상태 지시 방법, 기기 및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4월 30일에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No. 202010368380.X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태 지시 방법, 기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공 안전 업무의 적용률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통신 시스템에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로부터 네트워크까지의 중계(UE-to-network relay) 연결이 인입된다. 여기서, UE-to-network relay 연결은 계층2(layer-2) 방식을 통해 연결을 구축할 수도 있고 계층3(layer-3) 방식을 통해 연결을 구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계층2 방식에서, UE-to-network relay 연결의 통신 링크는, 원격(remote) UE-중계(relay)UE-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원격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엔티티 일 수 있다. 여기서, 중계 UE는 원격 UE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중계 UE가 원격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중계 AMF 엔티티가 중계 UE의 통신 상태를 알 수 없으므로, 예를 들면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연결을 구축하였는지 여부, 또는 UE-to-network relay 업무를 처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없으므로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비액세스 계층(non-access stratum,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여 중계 UE로 하여금 유휴 상태(idle state)에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원격 UE의 업무 중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은 상태 지시 방법, 기기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중계 AMF 엔티티가 중계 UE의 통신 상태를 알 수 없어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여 원격 UE의 업무 중단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아래와 같이 구현된다.
제1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태 지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제2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태 지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제1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되,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제3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는데, 이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제4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기기를 제공하는데, 이 기기는 제1 기기이고, 제1 기기는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송신 유닛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되,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제5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는데, 이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이 프로세서에서 운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제1 양태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기기를 제공하는데, 이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이 프로세서에서 운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제2 양태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이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3 양태에서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 및 상기 제4 양태에서의 기기를 포함한다. 또는, 이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5 양태에서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 및 상기 제6 양태에서의 기기를 포함한다.
제8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이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서의 상태 지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9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하는데, 이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이 통신 인터페이스와 프로세서는 커플링되며, 이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운행시켜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서의 상태 지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이 방안을 통해, 제1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므로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를 수신한 다음,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가 원격 UE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어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 즉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유지하여 중계 UE가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원격 UE의 업무 중단 문제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격 UE 업무의 정상적인 진행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 응용의 흐름 모식도1이고;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 응용의 흐름 모식도2이며;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 응용의 흐름 모식도3이고;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 응용의 흐름 모식도4이며;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 응용의 흐름 모식도5이고;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 모식도이며;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기의 하드웨어 모식도이고;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기기의 구조 모식도이며;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UE의 하드웨어 모식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과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뚜렷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하는데,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진보적인 창출에 힘쓸 필요가 없이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의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오브젝트를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특정된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렇게 사용된 데이터는 적합한 상황에서 호환되어 여기서 설명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서 도시하거나 설명한 것을 제외한 순서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외에,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의 "및/또는" 은 연결된 오브젝트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며, 문자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 관련 오브젝트가 한가지 "또는"의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또는 "예를 들면" 등 단어는 예, 예증 또는 설명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또는 "예를 들면"으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방안은 기타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더 우세적인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정확히 말하면, "예시적으로" 또는 "예를 들면" 등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구체적인 형태로 관련 개념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별도로 설명하지 않은 한, "다수"의 의미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나타내는 바, 예를 들면, 다수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 등을 나타낸다.
이하, 우선 본 출원의 실시예와 관련된 용어/명사를 해석하고 설명한다.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 UE-to-network relay 통신에서, 서비스UE-to-network relay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 예를 들면 중계 AMF 엔티티를 지칭한다.
중계 UE(즉 relay UE): UE-to-network relay 통신에서, 원격 UE(remote UE)의 중계 기기로서, 원격 UE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통신을 구현하는 UE, 즉 UE-to-network relay 통신에서의 UE-to-network relay UE를 지칭한다.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 UE-to-network relay 통신에서, 원격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예를 들면 원격 AMF 엔티티를 지칭한다.
원격 UE(즉 remote UE): UE-to-network relay 통신에서, 중계 UE에 의해 중계를 진행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UE를 지칭한다.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UE-to-network relay 통신에서, UE-to-network relay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예를 들면 5G시스템 기지국(gNB), 진화형 기지국(evolved Node B, eNB) 등을 지칭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태 지시 방법, 기기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이 방안을 통해, 제1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므로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를 수신한 다음,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가 원격 UE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어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 즉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유지하여 중계 UE가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원격 UE의 업무 중단 문제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격 UE 업무의 정상적인 진행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통신 시스템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01), 중계 UE (02),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03), 원격 UE (04) 및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0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UE (04)는 중계 UE (02)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05)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계 UE (02)는 중계 능력을 가지는 UE 또는 중계 능력을 가지는 기타 기기, 예를 들면 로드 사이드 유닛(road side unit, RSU) 일 수 있다. 여기서, 로드 사이드 유닛은 노변 유닛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기기 사이는 무선 연결될 수도 있고 유선 연결될 수도 있다.
UE는 사용자에게 음성을 제공하거나 및/또는 데이터 연결성을 가지는 기기로서, 유선/무선 연결 기능을 가지는 핸드헬드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기타 처리 기기를 구비할 수 있다. UE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거쳐 하나 또는 다수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한다. UE는 모바일 폰(또는 "셀룰러" 폰) 및 모바일 단말기를 구비한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 일 수도 있고, 휴대용, 포켓형, 핸드 헬드형, 컴퓨터 내장 또는 차량용 이동 장치일 수도 있는데 이들은 RAN과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개인 휴대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수화기,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 기기 일 수 있다. UE는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또는 단말 기기 등 일 수도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RAN에 배치되어 UE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기지국 일 수 있고, 기지국은 여러 가지 형태의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 기능을 가지는 기기의 명칭은 다소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세대 무선 통신(5-generation, 5G) 시스템에서는 5G시스템 기지국(gNB)이라 할 수 있고; 4세대 무선 통신(4-generation, 4G) 시스템, 예컨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는 진화형 기지국(eNB)이라 할 수 있으며; 3세대 이동 통신(3-generation, 3G) 시스템에서는 기지국(Node B)이라 할 수 있다. 통신 기술의 진화와 더불어, "기지국"이라는 명칭은 변화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측의 코어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면 AMF 엔티티,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엔티티 등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각 도면과 결부하고, 구체적인 실시예 및 이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의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태 지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고, 이 방법은 아래 단계 S201과 단계S2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1, 제1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는 것은 중계 UE가 일반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단계 S202,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게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 및/또는 중계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이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거나, 또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should not)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는 중계 UE,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서의 임의의 한 기기 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상이하면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콘텐츠도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기가 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 및/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음을 지시할 수 있고; 제1 기기가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와 원격 UE(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원격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 및/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기기가 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상태 지시 정보로서, 중계 UE의 통신 상태를 지시하고; 제1 기기가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특별히 지칭하는 상태 지시 정보로서, 중계 UE와 원격 UE(예를 들면 제1 원격 UE)의 통신 상태를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상이할 경우, 제1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시기는 상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중계 UE인 경우, 중계 UE는 중계 UE가 원격 UE의 비직접 구축 요청 또는 직접 구축 요청을 수신할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중계 UE는 중계 UE가 원격 UE와 이미 UE-to-network relay 연결(중계 UE에 이미 UE-to-network relay 연결이 존재한다고 할 수도 있음)을 구축할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비직접 구축 요청과 직접 구축 요청은 모두 원격 UE가 중계 UE와 UE-to-network relay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수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비직접 구축 요청(또는 직접 구축 요청)은 비상 연결 또는 비상 업무 유형의 지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원격 UE가 중계 UE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원격 UE가 중계 UE와 UE-to-network relay 연결을 구축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가 원격 UE와 UE-to-network relay 연결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에 이미 UE-to-network relay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만 포함할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NAS 혼잡(congestion)과 유사한 경우가 나타나는 것을 제외하고,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다(또는 개시하지 말아야 한다)고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상기 제2 지시 정보(중계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만 포함하거나, 또는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또는 개시하지 말아야 하는 것)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는 두 개의 독립적인 지시 정보 일 수도 있고 하나의 지시 정보 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수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NAS 요청 메시지, NAS 거절 메시지, N2 인터페이스 메시지 또는 RAN거절 메시지에 휴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NAS 요청 메시지는 전통적인 NAS 요청 메시지일 수도 있고 새로운 NAS 요청 메시지(예를 들면 새로 설계된 NAS 요청 메시지 등) 일 수도 있으며, 또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휴대한 전용 NAS 요청 메시지 일 수도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수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는 상이하고,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상이한 메시지에 휴대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기기가 중계 UE인 경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NAS 요청 메시지 또는 NAS 거절 메시지에 휴대될 수 있고; 제1 기기가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NAS 요청 메시지에 휴대될 수 있으며; 제1 기기가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N2 인터페이스 메시지 또는 RAN거절 메시지에 휴대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태 지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제1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므로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를 수신한 다음,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가 원격 UE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어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도록 결정, 즉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유지하여 중계 UE가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원격 UE의 업무 중단 문제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격 UE 업무의 정상적인 진행을 담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상기 단계 S201 이전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은 아래 단계 S203과 단계 S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3,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기기에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릴리즈 요청 메시지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릴리즈 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204, 제1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제1 기기에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제1 기기가 이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만약 중계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으면 제1 기기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포함)를 송신하여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이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단계 S203과 단계 S204에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는 것은, 제1 기기가 중계 UE에서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할 경우, 제1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만약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면 제1 기기는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상이한 기기인 경우, 제1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할 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기타 정보를 더 송신하여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어느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및/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할 것인 것 명확히 지시할 수 있거나; 또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어느 중계 UE가 어느 원격 UE와 UE-to-network relay 통신(및/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할 것인지 명확히 지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상이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는 두 가지 가능한 상황(각각 상황1과 상황2)으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한 콘텐츠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상황1: 제1 기기는 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황1에 대하여, 상기 단계 S202 다음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은 아래 단계 S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5,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한다.
상기 상황1에 대하여, 상기 제1 기기가 중계 UE인 경우,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NAS 요청 메시지 또는 NAS 거절 메시지에 휴대되고, NAS 요청 메시지와 NAS 거절 메시지에 중계 UE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어느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및/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할 것인지 결정, 즉 중계 UE의 컨텍스트를 결정할 수 있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이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도록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새로 설계된 NAS 메시지에 휴대될 경우, 만약 이 새로운 NAS 메시지에 중계 UE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중계 UE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할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중계 UE의 식별 정보는 중계 UE의 5G 글로벌 고유 임시 식별자(5G 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5G-GUTI) 또는 중계 UE의 5G S-임시 모바일 구독 식별자(5G S-temporary mobile subscription identifier, 5G S-TMSI) 등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수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황1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다수의 중계 UE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할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어느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및/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가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황1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상기 단계 S205 이전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은 아래 단계 S206-단계 S2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6,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207,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중계 UE의 컨텍스트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황1에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연관되게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중계 UE의 식별 정보는 한 그룹의 정보이고, 제1 상태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 중계 UE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상황2: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다수의 원격 UE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할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어느 중계 UE와 어느 원격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및/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가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황2에 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은 아래 단계 S208-단계 S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8,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원격 UE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상황2에서,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원격 UE(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원격 UE)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여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원격 UE와 중계 UE가 이미 UE-to-network relay를 구축하였음을 결정할 수 있고, 이로써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와 원격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 및/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 다음,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원격 UE에 제1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알림 메시지는 원격 UE에,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이미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원격 UE와 중계 UE가 이미 UE-to-network relay 연결을 구축하였음을 지시하였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단계 S209,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210,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211,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중계 UE의 컨텍스트를 결정할 수 있어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도록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연관되게 저장, 즉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상태 지시 정보,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는 한 그룹의 정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원격 UE의 식별 정보는 원격 UE의 5G 글로벌 고유 임시 식별자(5G 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5G-GUTI) 또는 원격 UE의 5G S-임시 모바일 구독 식별자(5G S-temporary mobile subscription identifier, 5G S-TMSI) 등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수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황2에서, 중계 UE의 컨텍스트를 결정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 원격 UE의 식별 정보 및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모두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연관되게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제1 기기에 제1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1 기기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이미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는, 상기 제1 기기가 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상기 단계 S202 다음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은 아래 단계 S212-단계 S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2, 제1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13,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한다.
단계 S214,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상태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가 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제1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 다음, 제1 기기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하여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현재 중계 UE에 그 어떤 UE-to-network relay 통신 및/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하여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다 시피,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할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NAS 혼잡이 나타날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제3 지시 정보와 제4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한 것을 지시하거나, 또는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할 수 있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한 것을 지시하거나, 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가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지시 정보를 삭제할 수 있고;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가 제4 지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2 지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제1 지시 정보도 포함하지 않고, 제2 지시 정보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또는 개시하지 말아야 하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가 제3 지시 정보와 제4 지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제3 지시 정보와 제4 지시 정보는 두 개의 독립적인 지시 정보일 수도 있고 하나의 지시 정보 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수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NAS 요청 메시지 또는 N2 인터페이스 메시지에 휴대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기기가 중계 UE인 경우,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NAS 요청 메시지에 휴대될 수 있고; 제1 기기가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N2 인터페이스 메시지에 휴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제1 기기(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1 기기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이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함을 알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다른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는, 상기 제1 기기가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상기 단계 S202 다음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은 아래 단계 S215-단계 S219, 또는 아래 단계 S215-단계 S218 및 단계 S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5,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16,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217,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제3 상태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가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 다음,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이미 UE-to-network relay 통신 및/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이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원격 UE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하기 전에,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원격 UE의 식별 정보와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여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UE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중계 UE의 컨텍스트를 결정하고, 제1 원격 UE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제1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 제1 원격 UE의 식별 정보 및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제1 원격 UE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이 제3 상태 지시 정보와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다음,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 제1 원격 UE의 식별 정보 및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는 제5 지시 정보와 제6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제6 지시 정보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의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가 상기 제5 지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지시 정보를 삭제할 수 있고;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가 제6 지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2 지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가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는 NAS 요청 메시지에 휴대될 수 있다.
단계 S218,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기타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더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에 기타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더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기타 원격 UE의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더 포함되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가 현재 UE-to-network relay 통신 및/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다고 결정하여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아래 단계 S219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기타 원격 UE의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가 이미 UE-to-network relay 통신 및/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하였다고 결정하여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아래 단계 S22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19,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지 않도록 결정한다.
단계 S220,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지 않는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다.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는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NAS 혼잡이 나타날 경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3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1 기기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이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함을 알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 다음,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원격 UE에 제2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이 제2 알림 메시지는 제1 원격 UE에,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이미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원격 UE와 중계 UE가 이미 UE-to-network relay 통신 및/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알리는 것과 같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보다 뚜렷하게 예시하기 위하여, 아래 실시예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AMF 엔티티이고,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원격 AMF 엔티티이며,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RAN인 것을 예로 들어 아래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및 실시예5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지시 방법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1: 중계 UE는 NAS 요청 메시지를 통해 중계 AMF 엔티티에, 중계 UE가 현재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린다.
이하, 도 3과 결부하여 상기 실시예1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ep1: 중계 UE가 원격 UE의 비직접 구축 요청을 수신하거나 또는 중계 UE에 이미 원격 UE와의 UE-to-network relay 연결이 존재한다.
여기서, 상기 비직접 구축 요청에는 비상 연결 또는 비상 업무 유형의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tep2: 중계 UE는 원격 UE의 비직접 구축 요청을 수신한 후, 중계 UE가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중계 AMF 엔티티에 송신한다.
- 제1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는 전통적인 NAS 요청 메시지 또는 새로 설계된 NAS 요청 메시지에 휴대되거나, 또는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를 휴대할 수 있는 전용 NAS요청 메시지에 휴대될 수 있다.
Step3: 중계 AMF 엔티티가 중계 UE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NAS 연결 과정의 릴리즈를 개시하지 말아야 한다.
여기서, 중계 AMF 엔티티가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NAS 시그널링 관리는 아래와 같다.
- 만약 중계 AMF 엔티티가 제1 지시 정보만 수신하면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코어 네트워크에 NAS 혼잡(congestion)과 유사한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제외하고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한다.
- 만약 중계 AMF 엔티티가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면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한다.
- 만약 중계 AMF 엔티티가 제2 지시 정보만 수신하면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한다.
중계 AMF 엔티티가 중계 UE에서 송신한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AMF 엔티티는 상기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하고, 중계 UE에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한다.
Step4: 선택적으로, 만약 step1에서, 중계 U가 원격 UE의 비직접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중계 UE는 원격 UE에 비직접 구축 수락 메시지를 송신하여 원격 UE와 UE-to-network relay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Step5: 중계 UE와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업무가 완성되거나, 또는 UE-to-network relay 비상 업무가 완성되거나, 또는 중계 UE와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연결이 릴리즈 된다.
Step6: 중계 UE가 중계 AMF 엔티티에 제3 지시 정보 및/또는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 제3 지시 정보는 중계 AMF 엔티티에, 중계 UE가 이미 UE-to-network 중계 통신을 완성하였거나, 또는 이미 UE-to-network relay 연결을 릴리즈 하였음을 지시할 수 있다.
- 제4 지시 정보는 중계 AMF 엔티티에, 중계 UE가 이미 UE-to-network relay 비상 통신 업무를 완성하였거나, 또는 중계 UE가 이미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연결을 릴리즈 하였음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지시 정보와 제4 지시 정보는 전통적인 NAS 요청 메시지, 또는 새로 설계된 NAS 요청 메시지에 휴대되거나, 또는 제3 지시 정보와 제4 지시 정보를 휴대하는 전용 NAS 요청 메시지에 휴대될 수 있다.
Step7: 중계 UE의 제3 지시 정보 및/또는 제4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AMF 엔티티는 NAS 시그널링 릴리즈를 개시하지 말아야 하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고, UE컨텍스트에서 제1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삭제하며, NAS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중계 UE에 송신한다.
실시예2: 원격 UE는 원격 AMF 엔티티를 통해 중계 AMF 엔티티에, 중계 UE가 현재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린다.
이하, 도 4와 결부하여 상기 실시예2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ep0: 원격 UE와 중계 UE는 이미 UE-to-network relay 연결을 구축, 즉 원격 UE와 중계 UE 사이에는 비직접 연결 링크가 존재한다.
Step1: 원격 UE가 원격 AMF 엔티티에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원격 AMF 엔티티에 중계 UE의 식별 정보(예컨대 중계 UE의 5G-GUTI)를 송신한다.
- 제1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제1 지시 정보(및/또는 제2 지시 정보)와 중계 UE의 식별 정보는 전통적인 NAS 요청 메시지 또는 새로 설계된 NAS 메시지에 휴대될 수 있다.
Step2: 원격 UE가 송신한 제1 지시 정보(및/또는 제2 지시 정보) 및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다음, 원격 AMF 엔티티는 중계 AMF 엔티티에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 및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예컨대 원격 UE의 5G-GUTI)를 송신한다.
Step3: 중계 AMF 엔티티가 원격 AMF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한다.
여기서, 중계 AMF 엔티티가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NAS 시그널링 관리는 아래와 같다.
- 만약 중계 AMF 엔티티가 제1 지시 정보만 수신하면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코어 네트워크에 NAS congestion과 유사한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제외하고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한다.
- 만약 중계 AMF 엔티티가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면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한다.
- 만약 중계 AMF 엔티티가 제2 지시 정보만 수신하면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한다.
중계 AMF 엔티티가 중계 UE에서 송신한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AMF 엔티티는 상기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 및 연관되는 원격 UE식별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하고,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원격 AMF 엔티티에 송신한다.
Step5: 원격 AMF 엔티티는 원격 UE에 NAS 응답(NAS response) 메시지를 회답한다.
Step6: 중계 UE와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업무 또는 UE-to-network relay 비상 업무가 완성되거나, 또는 중계 UE와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연결이 릴리즈 된다.
Step7: 원격 UE가 원격 AMF 엔티티에 제5 지시 정보 및/또는 제6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중계 UE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중계 UE의 5G-GUTI)를 송신한다.
- 제5 지시 정보는 중계 AMF 엔티티에, 원격 UE와 중계 UE가 이미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하였거나, 또는 원격 UE와 중계 UE의 UE-to-network relay 연결이 이미 릴리즈 하였음을 지시할 수 있다.
- 제6 지시 정보는 중계 AMF 엔티티에, 원격 UE와 중계 UE가 이미 UE-to-network relay 비상 통신 업무를 완성하였거나, 또는 원격 UE와 중계 UE가 비상 업무를 위한 UE-to-network relay 연결이 이미 릴리즈 하였음을 지시할 수 있다.
제5 지시 정보와 제6 지시 정보는 전통적인 NAS 요청 메시지 또는 새로 설계된 NAS 요청 메시지에 휴대될 수 있다.
Step8: 원격 AMF 엔티티는 원격 UE가 송신한 제5 지시 정보 및/또는 제6 지시 정보, 및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원격 AMF 엔티티가 중계 AMF 엔티티에 제5 지시 정보 및/또는 제6 지시 정보,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Step9: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상기 원격 UE와 연관되는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삭제한다. 중계 AMF 엔티티는 현재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기타 원격 UE와 연관되는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가 더 포함되는지 여부를 추가로 판정한다.
- 만약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기타 원격 UE와 연관되는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가 더 포함되면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하는 바, 즉 중계 AMF 엔티티가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하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지 않도록 한다.
- 만약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기타 원격 UE와 연관되는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중계 AMF 엔티티가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하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한다.
Step10: 중계 AMF 엔티티가 원격 AMF 엔티티에 response 메시지를 회답한다.
Step11: 원격 AMF 엔티티가 원격 UE에 NAS response 메시지를 회답한다.
실시예3: RAN은 N2 인터페이스 메시지(예를 들면 N2 message)를 통해 중계 AMF 엔티티에, 중계 UE가 현재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린다.
이하, 도 5와 결부하여 상기 실시예3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ep0: UE-to-network relay 연결 구축 과정에서, 또는 중계 UE에 이미 UE-to-network relay 연결이 존재한다.
Step1: RAN은 N2 message를 통해 중계 AMF 엔티티에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 및 중계 UE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중계 UE의 5G-GUTI)를 송신한다.
- 제1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Step2: 중계 AMF 엔티티가 RAN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한다.
여기서, 중계 AMF 엔티티가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NAS 시그널링 관리는 아래와 같다.
- 만약 중계 AMF 엔티티가 제1 지시 정보만 수신하면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코어 네트워크에 NAS congestion과 유사한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제외하고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한다.
- 만약 중계 AMF 엔티티가 제1 지시 정보와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면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한다.
- 만약 중계 AMF 엔티티가 제2 지시 정보만 수신하면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한다.
중계 AMF 엔티티가 중계 UE에서 송신한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AMF 엔티티는 상기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하고, RAN에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한다.
Step3: UE-to-network relay 업무를 완성하거나, 또는 중계 UE의 UE-to-network relay 연결을 릴리즈한다.
Step4: RAN이 N2 message를 통해 중계 AMF 엔티티에 제3 지시 정보 및/또는 제4 지시 정보, 및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 제3 지시 정보는 중계 AMF 엔티티에, 중계 UE가 이미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하였거나, 또는 이미 UE-to-network relay 연결을 릴리즈 하였음을 지시할 수 있다.
- 제4 지시 정보는 중계 AMF 엔티티에, 중계 UE가 이미 UE-to-network relay 비상 통신 업무를 완성하였거나, 또는 이미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연결을 릴리즈 하였음을 지시할 수 있다.
Step5: 중계 AMF 엔티티가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하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고,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삭제하며, RAN에 response 메시지(예를 들면 N2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송신한다.
실시예4: RAN은 거절 메시지(예를 들면 reject message)를 통해 중계 AMF 엔티티에, 중계 UE가 현재 UE-to-network 비상 중계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린다.
이하, 도 6과 결부하여 상기 실시예4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ep0: 중계 UE는 UE-to-network relay의 비상 업무를 처리하고 있거나, 또는 중계 UE에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연결이 존재한다.
Step1: RAN이 중계 AMF 엔티티에 휴대한,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릴리즈하는 요청 메시지, 예를 들면 N2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수신하되, 이 N2 인터페이스 메시지에는 중계 UE의 식별 정보가 휴대된다.
Step2: RAN는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거절 메시지(reject message)를 중계 AMF 엔티티에 송신하는데, 이 reject message에는 제2 지시 정보가 휴대된다.
선택적으로, reject message는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Step3: 중계 AMF 엔티티가 RAN의 reject message에서의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하고, 제2 지시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하며, 중계 AMF 엔티티는 RAN에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한다.
Step4: UE-to-network relay 비상 업무가 완료되거나, 또는 중계 UE UE-to-network relay 연결이 릴리즈 된다.
Step5: RAN은 N2 message를 통해 제4 지시 정보와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중계 AMF 엔티티에 송신한다.
- 제4 지시 정보는 중계 AMF 엔티티에, 중계 UE가 이미 UE-to-network relay 비상 통신 업무를 완성하였거나, 또는 중계 UE가 이미 중계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연결을 릴리즈 하였음을 지시할 수 있다.
Step6: 중계 AMF 엔티티가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하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고,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2 지시 정보를 삭제하며, RAN에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한다.
실시예5: 중계 UE가 NAS 거절 메시지(예를 들면 NAS reject message)를 통해 중계 AMF 엔티티에, 중계 UE가 현재 UE-to-network 중계 비상 업무를 처리하고 있음을 알린다.
이하, 도 7과 결부하여 상기 실시예5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ep0: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의 비상 업무를 처리하고 있거나, 또는 중계 UE에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중계 연결이 존재한다.
Step1: 중계 UE는 중계 AMF 엔티티의 NAS 시그널링 연결의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Step2: 중계 UE는 중계 AMF 엔티티에 제2 지시 정보를 휴대한 NAS reject message를 송신한다.
-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고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Step3: 중계 AMF 엔티티가 NAS 거절 메시지(reject message)에서의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하고, 제2 지시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하며, 중계 AMF 엔티티는 중계 UE에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한다.
Step4: UE-to-network relay 비상 업무가 완료되거나, 또는 중계 UE의 UE-to-network relay 연결이 릴리즈 된다.
Step5: 중계 UE가 NAS 메시지를 통해 중계 AMF 엔티티에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 제4 지시 정보는 중계 AMF 엔티티에, 중계 UE가 이미 UE-to-network relay 비상 통신 업무를 완성하였거나, 또는 이미 중계 UE가 중계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연결을 릴리즈 하였음을 지시할 수 있다.
Step6: 중계 AMF 엔티티가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말아야 하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고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2 지시 정보를 삭제하며, 중계 UE에 NAS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300)를 제공하는데, 이 코어 네트워크 기기(300)는 수신 모듈(301)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 일 수 있다. 수신 모듈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 기기(300)는 송신 모듈(302)을 더 포함하며; 송신 모듈(302)은, 수신 모듈(301)이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제1 기기에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릴리즈 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 기기(300)는 저장 모듈(303)을 더 포함하며; 저장 모듈(303)은, 수신 모듈(301)이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수신 모듈(301)은 또, 저장 모듈(303)이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하기 전에,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 기기(300)는 저장 모듈(303)을 더 포함하며; 수신 모듈(301)은 또,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 모듈(303)은, 수신 모듈(301)이 수신한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 기기(300)는 삭제 모듈(304)을 더 포함한다. 수신 모듈(301)은 또,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하며; 삭제 모듈(304)은 수신 모듈(301)이 수신한 제2 상태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한다.
선택적으로,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제3 지시 정보와 제4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제3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한 것을 지시하거나, 또는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제4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 기기(300)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삭제 모듈(304)과 결정 모듈(305)을 더 포함한다. 수신 모듈(301)은 또,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3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삭제 모듈(304)은, 수신 모듈(301)이 수신한 제3 상태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하며; 결정 모듈(305)은, 삭제 모듈(304)이 제1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한 다음,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기타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더 포함될 경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지 않도록 결정하고;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기타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기 포함되지 않을 경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3 상태 지시 정보는 제5 지시 정보와 제6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제5 지시 정보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제6 지시 정보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의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상태 지시 방법의 실시예에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수행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 일 수 있으며, 제1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므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가 원격 UE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도록 결정, 즉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유지하여 중계 UE가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원격 UE의 업무 중단 문제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격 UE 업무의 정상적인 진행을 담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하는데, 이는 도 9에 도시된 프로세서(401), 메모리(402), 메모리(402)에 저장되어 프로세서(401)에서 운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401)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기기를 제공하는데, 이 기기는 제1 기기(500)이고, 이 제1 기기(500)는 송신 유닛(501)을 포함한다. 송신 유닛(501)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되,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기(500)는 수신 유닛(502)을 더 포함하되; 수신 유닛(502)은, 송신 유닛(501)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릴리즈 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기(500)는 수신 유닛(502)을 더 포함한다. 수신 유닛(502)은, 송신 유닛(501)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원격 UE가 송신한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 유닛(501)은 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송신 유닛(501)은 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하는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제3 지시 정보와 제4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제3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한 것을 지시하거나, 또는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제4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송신 유닛(501)은 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3 상태 지시 정보는 제5 지시 정보와 제6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제5 지시 정보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제6 지시 정보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의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기는 상기 상태 지시 방법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가 수행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기기, 구체적으로는 제1 기기를 제공하는데, 제1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므로 제1 기기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를 수신하는 것을 통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가 원격 UE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림으로써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도록 결정, 즉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유지하여 중계 UE가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원격 UE의 업무 중단 문제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격 UE 업무의 정상적인 진행을 담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기기, 구체적으로는 제1 기기를 더 제공하는데, 이는 프로세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서 운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상태 지시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하드웨어 모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401), 메모리(402), 트랜시버(4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시버(403)는,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트랜시버(403)는 또,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제1 기기에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릴리즈 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메모리(402)는, 트랜시버(403)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트랜시버(403)는 또, 메모리(402)가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하기 전에,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트랜시버(403)는 또,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메모리(402)는, 트랜시버(403)가 수신한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중계 UE 또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트랜시버(403)는 또,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하는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401)는 트랜시버(403)가 수신한 제2 상태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제3 지시 정보와 제4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제3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한 것을 지시하거나, 또는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제4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트랜시버(403)는 또,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401)는 트랜시버(403)가 수신한 제3 상태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하고, 제1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한 다음,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기타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더 포함될 경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으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기타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기 포함되지 않을 경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3 상태 지시 정보는 제5 지시 정보와 제6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제5 지시 정보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제6 지시 정보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의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구체적으로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는데, 제1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므로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UE가 원격 UE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도록 결정, 즉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유지하여 중계 UE가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원격 UE의 업무 중단 문제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격 UE 업무의 정상적인 진행을 담보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다 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 모식도(예를 들면 도 8)에서의 수신 모듈(301)과 송신 모듈(302)은 상기 트랜시버(403)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 모식도에서의 저장 모듈(303)은 상기 메모리(4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 모식도에서의 삭제 모듈(304)과 결정 모듈(305)은 상기 프로세서(4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도 9에서의 두 개의 프로세서(401)에서의 한 프로세서(401)는 점선으로 나타내어 네트워크 기기(400)에서의 프로세서(401)의 수량이 하나 또는 다수라는 것을 지시한다. 여기서, 도 9에서는 네트워크 기기(400)가 두 개의 프로세서(401)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예시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해할 수 있다 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01) 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는 UE 일 수도 있고 코어 네트워크 기기 일 수도 있으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일 수도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UE를 구현하는 하드웨어 모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00)는, 무선 주파수 유닛(101), 네트워크 모듈(102), 오디오 출력 유닛(103), 입력 유닛(104), 센서(105), 표시 장치(106), 사용자 입력 장치(107), 인터페이스 유닛(108), 메모리(109), 프로세서(110) 및 전원(111) 등 부품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1에 도시된 UE(100)가 각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과 프로세서(110)에 의해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에 의해 충전, 방전 및 전력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UE의 구조는 UE를 한정하지 않는 바, UE는 도 11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부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부품 또는 상이한 부품을 조합할 수 있는 바,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기기가 UE(구체적으로는 중계 UE)인 경우,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되,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릴리즈 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하는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제3 지시 정보와 제4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제3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한 것을 지시하거나, 또는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제4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UE를 제공하는데, 이 UE는 중계 UE 일 수 있으며, 제1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므로 중계 UE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를 수신하는 것을 통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가 원격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알려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도록 결정, 즉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유지하여 중계 UE가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원격 UE의 업무 중단 문제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격 UE 업무의 정상적인 진행을 담보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다 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의 구조 모식도(예를 들면 도 10)에서의 송신 유닛(501)과 수신 유닛(502)은 상기 무선 주파수 유닛(1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UE(100)는 상기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 UE (02) 일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하드웨어 모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401), 메모리(402), 트랜시버(4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구체적으로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트랜시버(403)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되,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403)는 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릴리즈 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403)는 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하는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제3 지시 정보와 제4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제3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한 것을 지시하거나, 또는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제4 지시 정보는 중계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구체적으로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는데, 제1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므로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를 수신하는 것을 통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가 원격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알려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도록 결정, 즉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유지하여 중계 UE가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원격 UE의 업무 중단 문제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격 UE 업무의 정상적인 진행을 담보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다 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의 구조 모식도(예를 들면 도 10)에서의 송신 유닛(501)과 수신 유닛(502)은 상기 트랜시버(40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05) 일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하드웨어 모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401), 메모리(402), 트랜시버(4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기가 코어 네트워크 기기(구체적으로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인경우, 트랜시버(403)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되,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403)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원격 UE가 송신한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403)는 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상태 지시 정보는 제5 지시 정보와 제6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제5 지시 정보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제6 지시 정보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중계 UE와 제1 원격 UE의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구체적으로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는데, 제1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므로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를 수신하는 것을 통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중계 UE가 원격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알려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도록 결정, 즉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유지하여 중계 UE가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원격 UE의 업무 중단 문제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격 UE 업무의 정상적인 진행을 담보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다 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의 구조 모식도(예를 들면 도 10)에서의 송신 유닛(501)과 수신 유닛(502)은 상기 트랜시버(40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03)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하는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며,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세서(110)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세서(401)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상태 지시 방법 실시예에서의 UE와 네트워크 기기가 수행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UE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의 프로세서 일 수 있다. 이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如컴퓨터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별도로 제공하는데, 이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이 통신 인터페이스와 이 프로세서는 커플링되며, 이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운행시켜 상기 상태 지시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 배타적 포함을 의도하여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하도록 한다. 별도로 한정되지 않는 한, "하나의??포함한다"로 한정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 외에, 지적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형태에서의 방법과 장치의 범위는 도시되거나 토론한 순서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관련된 기능에 근거하여 기본적으로 동시에 진행하거나 반대 순서로 진행하는 방식에 따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설명된 순서와 상이한 순서에 따라 이미 설명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여러 가지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다. 그 밖에, 일부 예시에서 설명한 특징을 참조하여 기타 예시에 조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는 앞의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본질적 부분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매체(예를 들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으며, 약간의 명령을 포함하여 한 대의 단말기(휴대폰, 컴퓨터,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과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상술한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닌 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출원의 계시 하에 본 출원의 취지 및 청구범위에서 보호하고자 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여러 가지 형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39)

  1.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사용자 기기(UE)로 하여금 UE로부터 네트워크까지의 중계(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의 비액세스 계층(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중계 UE 또는 상기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에,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릴리즈 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중계 UE 또는 상기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상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상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상기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상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중계 UE 또는 상기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하는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제3 지시 정보와 제4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가 상기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가 상기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만약 상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기타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더 포함되면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
    만약 상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기타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는 제5 지시 정보와 제6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와 상기 제1 원격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중계 UE와 상기 제1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상기 제6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와 상기 제1 원격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중계 UE와 상기 제1 원격 UE의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10. 제1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사용자 기기(UE)로 하여금 UE로부터 네트워크까지의 중계(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의 비액세스 계층(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중계 UE 또는 상기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1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릴리즈 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1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원격 UE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상기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상기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중계 UE 또는 상기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1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하기 위한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제3 지시 정보와 제4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가 상기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가 상기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1 기기가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는 제5 지시 정보와 제6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중계 UE와 상기 제1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상기 제6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중계 UE와 상기 제1 원격 UE의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지시 방법.
  17. 상기 수신 모듈은,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사용자 기기(UE)로 하여금 UE로부터 네트워크까지의 중계(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서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의 비액세스 계층(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중계 UE 또는 상기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1 기기에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릴리즈 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중계 UE 또는 상기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에,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상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수신 모듈은 또, 상기 저장 모듈이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상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하기 전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또, 상기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 모듈,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상기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상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중계 UE 또는 상기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삭제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또,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하기 위한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삭제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제3 지시 정보와 제4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가 상기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가 상기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삭제 모듈과 결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또,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삭제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서 제1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하며;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삭제 모듈이 상기 제1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삭제한 다음, 상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기타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가 더 포함될 경우,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지 않도록 결정하고; 상기 중계 UE의 컨텍스트에 기타 원격 UE와 대응되는 제1 상태 지시 정보기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는 제5 지시 정보와 제6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와 상기 제1 원격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중계 UE와 상기 제1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상기 제6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와 상기 제1 원격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중계 UE와 상기 제1 원격 UE의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26.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중계 사용자 기기(UE)로 하여금 UE로부터 네트워크까지의 중계(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와, 중계 UE로 하여금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제1 기기로서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의 비액세스 계층(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중계 UE 또는 상기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1 기기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송신 유닛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릴리즈 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1 기기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송신 유닛이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원격 UE가 송신한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와 상기 중계 UE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또,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중계 UE의 식별 정보와 상기 원격 UE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중계 UE 또는 상기 중계 UE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송신 유닛은 또,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 다음,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하도록 결정하기 위한 제2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 지시 정보는 제3 지시 정보와 제4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가 상기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가 상기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원격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송신 유닛은 또,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한 다음, 상기 중계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중계 UE의 NAS 시그널링 연결 릴리즈 과정을 개시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한정을 해제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3 상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태 지시 정보는 제5 지시 정보와 제6 지시 정보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중계 UE와 상기 제1 원격 UE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고;
    상기 제6 지시 정보는 상기 중계 UE와 제1 원격 UE가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을 완성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중계 UE와 상기 제1 원격 UE의 비상 업무의 UE-to-network relay 통신의 연결이 이미 릴리즈 되었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3.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운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태 지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34.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운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는 기기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태 지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5.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 기기, 및 제26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33항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 기기, 및 제34항에 따른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6.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는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태 지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가능 저장매체.
  37.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태 지시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태 지시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39.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태 지시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KR1020227033620A 2020-04-30 2021-04-29 상태 지시 방법, 기기 및 시스템 KR202201495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368380.X 2020-04-30
CN202010368380.XA CN113596804B (zh) 2020-04-30 2020-04-30 状态指示方法、设备及系统
PCT/CN2021/091179 WO2021219103A1 (zh) 2020-04-30 2021-04-29 状态指示方法、设备及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562A true KR20220149562A (ko) 2022-11-08

Family

ID=7823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620A KR20220149562A (ko) 2020-04-30 2021-04-29 상태 지시 방법, 기기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012926A1 (ko)
EP (1) EP4145954A4 (ko)
JP (1) JP7399318B2 (ko)
KR (1) KR20220149562A (ko)
CN (1) CN113596804B (ko)
AU (1) AU2021264963B2 (ko)
BR (1) BR112022019712A2 (ko)
CA (1) CA3177195A1 (ko)
MX (1) MX2022012504A (ko)
WO (1) WO2021219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0295A (zh) * 2020-07-21 2023-06-02 苹果公司 针对远程无线设备的寻呼转发
CN114071456B (zh) * 2020-07-31 2023-12-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及设备
CN116074983A (zh) * 2021-11-03 2023-05-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连接态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6471640A (zh) * 2022-01-11 2023-07-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CN116996859A (zh) * 2022-04-26 2023-1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17014846A (zh) * 2022-04-29 2023-11-07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紧急呼叫方法、网络节点及存储介质
CN117955771A (zh) * 2022-10-31 2024-04-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中继通信链路处理方法、中继通信链路配置方法、中继终端处理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0108B2 (en) * 2015-08-13 2019-11-05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by remote U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CN106550412B (zh) * 2015-09-21 2021-06-29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无线通信方法
CN106686724B (zh) * 2015-11-05 2020-04-24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3gpp v2x中的协作分集应用方法
WO2017200269A1 (ko) * 2016-05-16 2017-11-2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데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307489A (zh) * 2016-08-11 2018-07-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US20190230723A1 (en) * 2016-09-05 2019-07-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service request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1109434B2 (en) * 2017-02-06 2021-08-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handling of a RRC connection request message of a remote UE by a relay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1311028B2 (en) 2018-04-09 2022-04-26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Or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nim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99318B2 (ja) 2023-12-15
WO2021219103A1 (zh) 2021-11-04
CN113596804A (zh) 2021-11-02
BR112022019712A2 (pt) 2022-11-22
EP4145954A4 (en) 2023-10-18
AU2021264963B2 (en) 2024-03-21
EP4145954A1 (en) 2023-03-08
US20230012926A1 (en) 2023-01-19
MX2022012504A (es) 2022-11-07
CA3177195A1 (en) 2021-11-04
AU2021264963A1 (en) 2022-10-20
CN113596804B (zh) 2022-07-08
JP2023523805A (ja)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9562A (ko) 상태 지시 방법, 기기 및 시스템
US10624146B2 (en) Radio link failure handl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EP3737172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and system thereof
US11516880B2 (en) Sess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20140605A (ko) Sidelink 릴레이 통신 방법, 장치, 설비 및 매체
CN109548109B (zh) 一种ue和网络状态不匹配的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02196404B (zh) 一种发送数据的方法、系统和装置
WO2021219102A1 (zh) 设备交互方法及核心网设备
TW201831031A (zh) 處理無線通訊系統中狀態不匹配的裝置及方法
JP2018532320A (ja) 無線リソース制御(rrc)接続を解放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4349303A (zh) 设备到设备连接管理方法、装置及基站
US20210274464A1 (en) Method for handling of network slice overload
CN110859012A (zh) 一种速率控制的方法、装置和系统
EP267778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rvice response
CN112995976A (zh) 允许用户设备从网络实体分离的方法
CN108029154B (zh) 无线承载管理方法、装置及系统
WO2014000446A1 (zh) 数据分流方法与设备
CN111629434B (zh) 一种控制rrc连接释放的方法和装置
KR20240016951A (ko) 사이드링크 릴레이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0034972A1 (zh) 会话迁移的方法和装置
CN104244442A (zh) 一种邻近通信建立方法及系统
CN103281801A (zh) 一种资源释放方法及装置
WO2022253235A1 (zh) 信息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16154903A1 (zh) 接入控制的方法、装置及系统
WO2023120174A1 (en) Base station, network node, first core network node, second core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by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