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500A - 수평 진동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진동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500A
KR20220149500A KR1020227013896A KR20227013896A KR20220149500A KR 20220149500 A KR20220149500 A KR 20220149500A KR 1020227013896 A KR1020227013896 A KR 1020227013896A KR 20227013896 A KR20227013896 A KR 20227013896A KR 20220149500 A KR20220149500 A KR 20220149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rizontal vibration
plate
link member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수
차성길
조현곤
Original Assignee
(주)이오니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오니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이오니아이엔티
Publication of KR2022014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2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shaking device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low frequency and large ampl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04Driving mean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308Driving means
    • B65G2812/0312Driving means for sh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하여 원 운동하는 제1 축에 일측이 연결되고,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 축에 타측이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30)에 연결되어 전후 운동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은 원 운동하는 제1 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플레이트에 연결되므로 원 운동하는 직경 만큼의 거리를 반복적으로 전후 왕복하는 수평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평 진동 발생장치
본 발명은 수평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 모터에 의한 회전력이 링크부재에 의하여 전후 운동으로 전환되고,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된 플레이트가 전후 진동하는 수평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호퍼의 하부에는 수용된 투입물을 넓게 펼쳐 효과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진동 피더가 구비된다. 즉, 호퍼에서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투입물은 진동 피더에 의하여 넓게 분산된 상태로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어진다.
종래의 진동 피더(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마련된 수용부(2)의 하부에 베이스 블록(3)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2)와 베이스 블록(3) 사이에 복수의 판 스프링(7)을 경사지게 배치되었다. 이때, 상기 베이스 블록(3)의 상부로는 코일(6)을 구비한 전자석(5)이 구비되고, 수용부(2)의 하부에는 가동 코어(8)가 형성되되, 상기 전자석(5)과 가동 코어(6)가 일정 간격(g)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코일(6)에 교류를 인가하여 수용부(2)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그런데, 종래의 진동 피더(1)는 판 스프링(7)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2)가 상하로 진동되도록 구현하는 방식이므로 상대적으로 충분한 상하 높이가 확보된 공간에는 적합하지만 낙차가 협소한 공간에 적용되기는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며, 진동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연속되는 공정을 구현함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진동 피더(1)에 의하여 발생된 진동은 작업 공간의 활용도를 저해하는 원인이 되었으며, 작업 현장에 과도한 소음을 야기시키는 추가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진동 피더(1)는 필연적으로 하부에 방진 고무(G)를 배치하여 그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였으나 그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평 진동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낙차가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 및 공정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과도한 진동 발생을 억제하고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평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수평 진동 발생장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10); 구동 모터(10)에 의하여 원 운동하는 제1 축(21)에 일측이 연결되고, 플레이트(40)에 연결되는 제2 축(22)에 타측이 연결되는 링크부재(30); 및 상기 링크부재(30)에 연결되어 전후 운동하는 플레이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40)가 가이드되어 전후 운동하도록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직선 베어링(5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10)의 회전축(11) 일측에는 호형의 밸런스 웨이트(1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1)의 타측에는 제1 축(21)이 결합되는 링크 암(61)을 지니는 클램프(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30)는 일측에 제1 축(21)이 결속되는 제1 관통공(31)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 축(22)이 결속되는 제2 관통공(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관통공(31)과 제2 관통공(32)의 외측에는 각각 밸런스 블록(33)(34)이 대칭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평 진동 발생장치에 의하면,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은 원 운동하는 제1 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플레이트에 연결되므로 원 운동하는 직경 만큼의 거리를 반복적으로 전후 왕복하는 수평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수평 진동을 이용하므로 낙차가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 및 공정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플레이트가 가이드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직선 베어링이 구비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 운동이 안정적으로 전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동 모터의 회전축 일측에는 호형의 밸런스 웨이트가 구비되어 편심 회전에도 무게균형을 유지하여 전후 진동에 의한 과도한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소음의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의 외측에는 각각 밸런스 블록이 대칭되게 결합되어 박판형 금속재로 형성되는 링크부재의 변형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진동 피더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를 분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의 상부를 분리 도시한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가 적용된 설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의 하부를 분리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 프레임에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평 진동 발생장치는 종래의 상하 진동방식에서 탈피하여 수평 진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0), 링크부재(30), 상기 링크부재(30)의 양측에 결속되는 제1,2 축(21)(22) 그리고 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모터(10)는 전력을 인가받아 회전축(11)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축(11)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제1 축(21)이 구비되어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이격 거리가 반경이 되도록 원 운동한다. 이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30)의 일측에는 제1 축(21)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플레이트(40)와 연결된 제2 축(22)이 연결된다. 이로써,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30)는 구동 모터(10)의 회전력을 플레이트(40)의 전후 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한편, 전후 운동하는 플레이트(40)는 제1 축(21)이 원 운동하는 직경 만큼의 거리를 반복적으로 왕복하므로, 싸이클을 형성하는 왕복 주기를 제어함으로써 수평 진동의 강도를 제어할 수 있는 수평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수평 진동 발생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수직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높이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 및 공정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진동방식을 이용하므로 투입물을 전방으로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슬로프를 살짝만 형성하여도 충분하므로 낙차가 크지 않은 작업현장이나 실내에서도 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40)가 링크부재(30)에 의하여 원 운동에서 전후 운동으로 변환됨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직선 베어링(50)이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40)가 직선 베어링(50)을 따라 가이드된 상태로 전후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하부에 수평도가 확보된 베이스 패널(70)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70)에 한 쌍의 직선 베어링(50)이 구비되어 플레이트(40)의 전후 왕복 운동에 따른 수평 진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선 베어링(50)은 베이스 패널(70)상에 가이드 레일(51)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51)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블록(5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블록(52)에 플레이트(40)가 고정되어 가이드 레일(51)을 따라 전후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진동 발생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모터(10)의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수평방향 일측에는 호형의 밸런스 웨이트(15)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클램프(60)에 의하여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1 축(21)이 연결 구비될 수 있다.
즉, 링크부재(30)를 구동하는 제1 축(21)은 편심이 가해진 상태로 회전되므로 이와 대향되는 구동 모터(10)의 회전축(11)에는 호형의 밸런스 웨이트(15)가 구비되어 편심 회전에도 무게균형을 유지하여 전후 진동에 의한 과도한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소음의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런스 웨이트(15)는 클램프(60)를 매개로 회전축(11)에 결속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프(60)에는 회전축(11)의 타측으로 링크 암(61)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링크 암(61)에 제1 축(2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암(61)의 길이만큼 상기 제1 축(21)이 회전축(11)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링크 암(61)의 길이를 반경으로 원 운동하게 되며, 상기 링크부재(30)를 매개로 플레이트(40)와 연결된 제2 축(22)이 전후 이동되어진다.
이때, 상기 클램프(60)의 링크 암(61)에는 제1 축(21)이 결속되도록 축 결합공(6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 결합공(62)의 일측은 절개부(62a)가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부(62a)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절개부(62a)가 폐합되어 제1 축(21)이 결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부재(30)는 일측에 제1 축(21)이 결속되는 제1 관통공(31)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 축(22)이 결속되는 제2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축(21)과 제2 축(22)이 각각 상기 제1 관통공(31)과 제2 관통공(32)에 조립 결속될 수 있다.
나아가,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30)에는 상기 제1 관통공(31)과 제2 관통공(32)의 외측에는 각각 밸런스 블록(33)(34)이 대칭되게 결합되어 박판형 금속재로 형성되는 링크부재(30)의 변형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밸런스 블록(33)(34)은 링크부재(30)의 몸체(30a)(30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의 (a)와 같이 각각의 밸런스 블록(33)(34)와 몸체도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호 체결수단으로 체결됨으로써 도 7의 (b)와 같이 제1,2 관통공(31)(32)이 폐합되도록 형성하여 조립성과 체결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도가 확보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패널(70)의 상부 양측에는 한 쌍의 직선 베어링(50)이 구비되어 플레이트(40)의 전후 왕복 운동에 따른 수평 진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패널(70)에는 밸런스 웨이트(15)가 구비되도록 원형의 웨이트 홀(7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 홀(71)의 하부에는 외주부를 따라 지지 패널(75)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 패널(75)의 하부에는 회전축(11)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동 모터(1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패널(75)의 중심에는 노출공(75a)이 형성되며, 상기 노출공(75a)을 중심으로 부재의 경량화를 위하여 복수의 절개공(75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패널(70)과 지지 패널(75)의 사이에는 웨이트 홀(71)의 외주부를 따라 링형상의 심 플레이트(74)가 구비되어 구동 모터(10)의 회전에 따른 결속 풀림을 방지하고, 일정한 수평도가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실시형태에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패널(70)은 복수의 결속로드(72)를 매개로 하부에 구비되는 구조 프레임(S)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패널(70)에는 결속로드(72)가 관통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슬롯홀(73)이 형성되어 구조 프레임(S)에 결속될 수 있으며, 상기 슬롯홀(73)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패널(70)이 플레이트(40)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일부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구조 프레임(S)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 프레임(S)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평 진동 발생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40)는 투입물의 종류와 비중, 중량 등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0)의 상부에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경사를 지니도록 형성된 경사 공급부(IF)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 공급부(IF)는 상기 링크부재(30)에 연결된 플레이트(40)가 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플레이트(40)의 상부에는 전방 하향되게 경사진 한 쌍의 측부 패널이 직립 구비되며, 상기 측부 패널의 상부에 경사 패널이 형성되어 수평 진동에 의하여 경사를 따라 투입물이 자연스럽게 분산됨과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수평 진동 발생장치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기술적 내용들을 설명 기술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구동 모터 11:회전축
15:밸런스 웨이트 21:제1 축
22:제2 축 30:링크부재
31:제1 관통공 32:제2 관통공
33,34:밸런스 블록 40:플레이트
50:직선 베어링 60:클램프
61:링크 암 70:베이스 패널
S:구조 프레임 IF:경사 공급부

Claims (6)

  1.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10);
    구동 모터(10)에 의하여 원 운동하는 제1 축(21)에 일측이 연결되고, 플레이트(40)에 연결되는 제2 축(22)에 타측이 연결되는 링크부재(30); 및
    상기 링크부재(30)에 연결되어 전후 운동하는 플레이트(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진동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0)가 가이드되어 전후 운동하도록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직선 베어링(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진동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10)의 회전축(11) 일측에는 호형의 밸런스 웨이트(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진동 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1)의 타측에는 제1 축(21)이 결합되는 링크 암(61)을 지니는 클램프(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진동 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30)는 일측에 제1 축(21)이 결속되는 제1 관통공(31)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 축(22)이 결속되는 제2 관통공(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진동 발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공(31)과 제2 관통공(32)의 외측에는 각각 밸런스 블록(33)(34)이 대칭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진동 발생장치.
KR1020227013896A 2021-04-28 2021-04-28 수평 진동 발생장치 KR202201495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5375 WO2022231024A1 (ko) 2021-04-28 2021-04-28 수평 진동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500A true KR20220149500A (ko) 2022-11-08

Family

ID=83846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896A KR20220149500A (ko) 2021-04-28 2021-04-28 수평 진동 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49500A (ko)
WO (1) WO20222310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411B2 (ja) * 1996-12-12 2001-03-19 酒井重工業株式会社 振動機構およびその振動機構を用いた振動ローラ
KR20000000049U (ko) * 1998-06-01 2000-01-15 김영환 차량용 가진기
KR20080015958A (ko) * 2006-08-17 2008-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일정 변위 진동 가진기
KR101081063B1 (ko) * 2008-10-07 2011-11-07 한국전력공사 무마찰 수평 진동 가진기
KR101814788B1 (ko) * 2016-08-02 2018-01-30 에스제이 주식회사 유가 금속의 비중 선별을 위한 진동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1024A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045073U (zh) 一种三自由度混联振动筛
US4795552A (en) Natural frequency vibrating screen
US5462155A (en) Linear vibratory conveyor
US3173664A (en) Vibrator
KR101311025B1 (ko) 진동식 반송장치
JPS605488B2 (ja) 振動機械
CN105515331A (zh) 线性振动电机
KR20190044486A (ko) 능동형 면진장치
US3330411A (en) Screen with spring supported vibratory drive
CN201055845Y (zh) 双振源振动筛
JP3093193B2 (ja) 側面にドライバを備えた振動コンベア
US4007825A (en) Vibratory parts feeder driven by rotating eccentric weights
US2958228A (en) Resonant vibration exciter
KR20220149500A (ko) 수평 진동 발생장치
KR101992667B1 (ko) 왕복 진동형 운동장치
US3370706A (en) Vibrating screen drive
JPS58157363A (ja) 電磁励振機
AU2011100454A4 (en) Driving unit for obtaining a vibratory output
EP0089140B1 (en) Synchronous vibratory impact hammer
US4128161A (en) Vibratory device
JP3211949U (ja) 往復振動型運動装置
CN205128383U (zh) 一种新型振动筛
US5301814A (en) Increasing the relative motion of a screen deck
CN101088702B (zh) 用于刀具夹的驱动装置及其驱动方法
CN102274822A (zh) 平行轴双激振电机椭圆振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