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186A -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186A
KR20220149186A KR1020210056473A KR20210056473A KR20220149186A KR 20220149186 A KR20220149186 A KR 20220149186A KR 1020210056473 A KR1020210056473 A KR 1020210056473A KR 20210056473 A KR20210056473 A KR 20210056473A KR 20220149186 A KR20220149186 A KR 20220149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pplication
broadcasting
serv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용
Original Assignee
정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용 filed Critical 정성용
Priority to KR1020210056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9186A/ko
Publication of KR2022014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18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04N21/23617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by inserting additional data into a data carousel, e.g. inserting software modules into a DVB carous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9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provid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updates, e.g. updating software modules, stored at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6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a ticker, e.g. scrolling banner for news, stock exchange, weather dat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데이터 방송에서의 데이터 처리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과 분리하여 독립시킴으로써 양방향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방향 어플리케이션 디지털방송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 데이터를 분리함으로써, 방송국은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원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데이터 서버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이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Application data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데이터 방송에서의 데이터 처리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과 분리하여 독립시킴으로써 양방향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 및 합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급격한 성장은 데이터의 전송량을 급격히 증가시키고 있다. 인터넷을 경유하는 데이터 전송량은 대략 3∼4개월마다 2배씩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 전화선의 전송속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급격히 증가하는 데이터 전송량을 처리하는 데에는 한계를 가진다. 반면에 방송네트워크는 넓은 주파수대역을 가지고 있어 방송의 전송속도는 인터넷보다 빠르다는 장점을 갖으며, 동시에 많은 최종 이용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누구나 많은 채널을 통해서 정보의 바다에서 서핑을 하면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50개 이상의 채널을 가진 위성방송이나 케이블TV 수신기를 가지고 있다면, 방송을 통해 초당 약 750 Mbps를 전송할 수 있는 반면, 인터넷을 통해서는 20 Kbps 정도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방식의 인터넷 데이터 전송서비스에서는 양방향 접속이 가능한 고성능 전화회선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반면 지상파 및 위성, 케이블 등의 방송망은 넓은 커버리지를 확보하고 있어, 이를 통해 인터넷 데이터 전송서비스를 하면 대도시 주변 및 벽지 소비자들도 쉽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과거, 방송이 아날로그이고 인터넷이 디지털일 때에는 방송과 인터넷간의 결합은 불가능한 문제였지만, 방송이 디지털화되는 현재에는 데이터방송에 의하여 방송과 인터넷의 결합이라는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날로그 방송 시대의 데이터 전송은 제한된 문자전송에 불과했으나, 디지털 방송 시대에는 날씨, 뉴스 등의 정보서비스뿐만 아니라 이메일, EPG, TV 뱅킹, 전화 서비스, 인터넷 검색 등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TV수상기를 통해서 제공되어지고 있다. 이처럼 데이터방송은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신규서비스들을 제공하면서 발전·진화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디지털시대의 데이터방송은 방송망을 이용하여 한 송신자로부터 다수의 수용자에게 디지털·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양한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에 연동되는 서비스 및 비연동형 서비스, 또는 대화형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한다.
데이터방송 서비스의 분류는 상향채널의 유·무 및 프로그램 연동성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매체의 특성 및 컨텐츠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기존에는 상향채널의 유·무에 따른 분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상향채널은 데이터방송 서비스가 기존의 단방향 서비스와 차별화되는 핵심이기 때문에, 데이터방송 서비스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에는 유용한 분류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방송 서비스는 상향채널의 사용여부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상향채널이란 수신기로부터 방송국으로 연결되는 채널로서 이용자의 정보를 네트워크 운용자에게 전달하여, 네트워크 운용자가 개인별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방송 커뮤니케이션에 이용자의 능동성을 반영할 수 있어, 상향채널의 존재는 대화형 TV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상향채널이 없는 서비스는 기존의 방송서비스와 같이 방송네트워크와 수신기간의 상호작용 없이 방송운용자가 수신자에게 정보를 단방향적으로 송신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데이터 주기전송 즉, 데이터 커루셀(data carousel) 방식이나 셋탑박스의 하드웨어에 데이터를 미리 다운로드받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신기와 이용자간의 상호작용만으로도 부분적으로 대화형 서비스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에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간단한 정보나 일기예보, 뉴스정보, 증권정보 등의 단방향 메시지 전송서비스들은 주로 상향채널이 없이 제공된다.
상향채널을 사용한 서비스는 수신기로부터 방송네트워크로의 상향채널이 구축되면, 이용자가 방송네트워크 운용자에게 서비스를 요청하여 검색·저장·조작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향채널이 가능하면 데이터 수신뿐만 아니라, TV를 통한 고속인터넷접속, 원격교육, EPG, TV홈뱅킹, TV홈쇼핑, 게임등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가능해진다. 방송 단말기기에 일부 PC 기능까지 추가하면, TV수상기는 팩스, 음성메시지, 영상회의, 웹브라우징, 이메일 등의 다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종합 정보 단말기기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상향채널 여부에 따라 데이터방송을 분류하면, 해당 서비스가 기술적인 측면에서 단방향 서비스인지 대화형 서비스인지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즉, 단방향 서비스는 수동적인 시청자를 전제로 하는 푸시(push)형 서비스의 성격이 강하지만, 대화형 서비스는 이용자의 참여를 전제로 하는 풀(pull)형 서비스의 특성을 가진다.
도 1 은 데이터방송 서비스에서의 데이터 커루셀(data carrousel)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주기전송 즉, 커루셀(carrousel)과 같은 방식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상향채널 유·무에 따른 분류가 이용자의 능동적 참여 여부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커루셀(carrousel)이란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데이터를 일정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이용자가 데이터 회전주기만큼 기다린 후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기술적으로는 단방향 서비스이지만, 이용자들은 자신의 선택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데이터방송의 서비스 유형을 살피면, 먼저 방송프로그램과 연동되는 서비스인 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방송을 들 수 있다. 여기에는 스포츠, 드라마, 게임, 광고 방송 등이 이에 해당한다.
다음 유형으로는 방송 프로그램 연동되지 않고 독립적인 채널을 사용하는 서비스 인 프로그램 독립형 데이터방송을 들 수 있으며, 여기에는 EPG, 날씨, 뉴스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 다른 유형으로는 상향 채널을 사용하여 교육, 쇼핑, 이메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TV 방송과 비동조성 서비스인 대화형 서비스를 들 수 있다. 여기에는 교육, 쇼핑, 뱅킹, 주식, 이메일 등이 이에 해당한다.
대화형 서비스의 경우, 대화형 서비스는 디지털시대의 데이터방송의 가장 핵심적인 서비스로서, 상향채널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정보검색, 저장, 처리 및 의견표출을 가능하게 한다. 처음 상향채널이 방송에 도입되었을 때에는 간단한 시청자참여 프로그램 수준의 서비스가 제안되었으나, 현재에는 교육, 이메일, 전화, 인터넷 검색 등의 서비스들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데이터방송 표준은 유럽의 DVB-MHP (Digital Video Broadcasting - Multimedia Home Platform)와 미국의 ATSCDASE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 Digital 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로 양분되어 발전하고 있으며, 현재 국제적으로 통일된 데이터방송 규격은 없는 상황이다.
DVB는 1997년에 위성, 케이블, 지상파를 통해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규정한 데이터방송 및 대화형TV를 위한 표준안을 발표하였다. 이 중 데이터 방송을 위한 표준안은 DVB-Data 이고, 대화형 TV를 위한 표준안은 DVB-I 이다.
DVB-data나 DVB-I 등은 각 시장들간의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았다면, DVB- MHP는 향후 이 서비스들이 방송, 통신, 컴퓨터 및 가전의 융합이 가속화되어 수평적 시장의 형성이 가속화할 것으로 전제하고 있다.
DVB-MHP는 사용자와 시장의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TV뿐만 아니라 가정용 단말기인 STB, PC, 그리고 기타 가정용 디지털 네트워크를 모두 수용하는 수신기에서 쌍방향 서비스와 인터넷 접속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각의 다양한 사업들간의 표준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표준수신기와 가정용 기기를 정의하여 참조모델을 정의하였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데이터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방송 시스템은 데이터서버(101), 커루셀 서버(102), 어플리케이션 서버(103), 디지털 방송 서버(104) 및 다중화기(105)를 포함하는 방송국(100), 셋탑 박스(SetTop Box)(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데이터 서버(101)는 저작된 데이터방송 컨텐츠를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만들어 다중화기(105)에 보내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서버(101) 는 데이터 서비스 프로토콜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외에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발생시키는 디지털 방송 서버(104)를 제어하여 본 프로그램과 시간동기를 맞추고,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프로그램을 스케쥴링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상향채널을 통한 시청자의 요구사항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서버와 연결되어 인터넷서비스 및 각종 통신서비스 공급자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중화기(105)의 주요 기능은 디지털 방송 서버(104)로부터 들어오는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데이터 서버(101)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 신호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셋탑 박스(SetTop Box)(110) 즉, 이용자에게 보내는 것이다. 이때 가입자 이외의 이용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수신을 위한 스크램블링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커루셀 서버(102)는 원데이터 서버(120)로부터 데이터 서버(101)로 전달된 데이터를 넘겨받아 어플리케이션과 결합함으로써 데이터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포맷을 형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03)는 커루셀 서버(102)에 의하여 형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하며 디지털 방송서버(104)에 의하여 발생되는 오디오/비디오 스트림과 함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중화기(105)에 보낸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JVM(java virtual machine)을 근간으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어플리케이션은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튜닝(Tuning)된 다음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로드(Load) 된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증권 정보를 원하는 이용자는 방송국(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증권정보를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형태를 취한다. 방송국(100)의 데이터 서버(101)는 원 데이터 서버(120)인 증권 거래소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과 결합된 다음 커루셀 서버(102)에 의하여 방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이용자에게 전송되었다. 결국 이용자는 증권거래소로부터 수집한 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받아 이용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었다.
도 3 은 종래 기술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변환 및 송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이용자는 셋탑박스(210)를 통하여 방송국(200)으로부터 전송된 어플리케이션(201)을 수신 받아 이용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단, 이때 수신된 어플리케이션(201)은 데이터를 포함한 형태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종래 방식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은 그 구성에 있어서 통상의 실행 파일( *. exe file),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등과 괸련한 특성을 나타내는 파일(*.cfg ), 그래픽을 나타내기 위한 파일인 아이콘 파일(*.icon file)및 사용자가 직접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파일(*.data fil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방송국(200)으로부터 이용자에게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201)은 도시된 바와 같은 변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이용자에게 이용 가능한 형태로 도달된다. 이때 상기 변환은 커루셀 서버(220)내에서 이루어진다.
커루셀 서버는 방송국(200)으로부터 이용자에게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201) 및 데이터에 대해 객체 주기전송(object carousel)을 데이터 주기전송(data carousel)으로 변환한 다음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거쳐 최종적으로 DSM-CC 메시지형태로 방송되도록 한다.
이용자에게 도달한 DSM-CC 메시지는 셋탑 박스(210)를 통하여 데이터 주기전송(data carousel)이 객체 주기전송(object carousel)으로 변환된 다음 최종적으로 원래의 어플리케이션(201)으로 복원된다.
복원된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를 담고있는 형태로서 이용자에 의하여 즉시 이용 가능한 형태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DSM-CC(MPEG-2 Digital Storage Media Command and Control)라 함은 ISO/IEC13818-6 에 정의되어 있는 표준기술로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전송계층의 메시지 형태를 말한다. 13818-6 은 MPEG 의 표준기술로서 커루셀(carousel)의 구조 및 전송(transfer)방법에 대한 표준 기술을 나타낸다.
한편, 데이터 주기전송(Data Carousel)은 DVB 호환 방송망 상에서 데이터 모듈을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수신기에서 데이터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하며, 객체 주기전송(Object Carousel)은 디렉토리, 파일, 스트림 등의 객체들을 이용해서 방송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구조화된 데이터 그룹을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즉, 데이터 주기전송은 DSM-CC 유저 투 네트웍 다운로드 프로토콜 (User-to-Network Download protocol)정의에 따르는 데이터 모듈(data module)의 주기적인 전송을 위한 메카니즘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객체 주기전송은 데이터 주기전송 위의 DSM-CC 유저 투 유저 오브젝트 (User-to-User Object)의 주기적인 전송을 위한 메카니즘으로서, DSM-CC U-U 파일/디렉토리 객체를 이용하여 계층적인 파일 구조를 운반한다.
종래에는 전술한 바에 따라 방송국(200)에서 전송된 어플리케이션이 데이터와 결합된 형태로 이용자에게 주기적으로 전송되었다.
양방향 디지털 방송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정보 즉, 데이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함이 대부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는 디지털 방송국의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에서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주기적으로 방송 즉 커루셀(Carousel)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가 동시에 처리되는 모델을 비 독립형이라 부를 수 있다. 비 독립형 모델은 단방형 어플리케이션 구조에 적합한 모델로서 방송국의 구성이 복잡함과 동시에 실시간 데이터 처리(data processing)에 제약점을 지닌다.
이는 비 독립형 모델의 경우 이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미리 정하여 전달하는 형태로서,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태인 양방향 어플리케이션 구조에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미리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됨에 따라 이용자가 실시간 데이터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다시 적절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변환하는 과정을 거친 다음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즉시 필요한 데이터를 실시간 데이터 처리함에 있어서는 한계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가 하나의 서버에서 구성되는 관계로 디지털 방송국의 구성이 복잡하여지고, 자동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한계를 지니게 되어 인위적인 데이터 조작을 요구하게 되었다. 결국 이로 인하여 종래에는 실시간 데이터 프로세싱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방향 데이터 방송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분리함으로써 방송국은 단지 어플리케이션만을 이용자에게 전송하고, 이용자는 필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직접 수집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은 데이터 서버, 커루셀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방송국, 상기 방송국과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된 셋탑박스(SetTop Box), 상기 셋탑박스(SetTop Box)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는 TCP/IP 를 근간으로 독립화 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가 분리 전송되어 방송국은 단지 어플리케이션만을 전송하는 반면 이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데이터를 필요한때에 직접 수집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방향 어플리케이션 디지털방송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분리함으로써 방송국은 단지 어플리케이션만을 전송하고, 이용자는 필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직접 수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케이블망에 적용 가능한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또는 MHP(Multimedia Home Platform)를 근간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방송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국(300), 양방향 어플리케이션이 지원되는 셋탑박스(SetTop Box)(310),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에 의하여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데이터 서버(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OCAP 이라 함은 케이블 TV 방송에서의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제작기반의 표준이 되는 미들웨어를 말한다. OCAP 은 케이블 방송에 웹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이용자들에게 보다 진보된 양방향 서비스 지원이 가능하도록 한다.
MHP(Multimedia Home Platform)라 함은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산하의 디지털 데이터방송 표준 규격으로서 현재 전세계 많은 국가에서 독자기술 대신 개방형 표준(Open Standard)인 DVB-MHP를 도입하고 있다. MHP는 가장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플랫폼으로서 표준을 따르는 다수 회사의 제품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어 특정 회사 제품에 종속 당하지 않고, 시스템 확장 호환, 시스템 유지 관리에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가 분리 전송되어 방송국(300)은 단지 어플리케이션만을 전송하는 반면 이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은 이용자가 데이터 서버(320)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이루어진다. 가령 증권 정보 방송과 같은 경우 종래에는 데이터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받아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가 방송국 데이터 서버(320)로부터 어플리케이션과 분리된 증권정보 즉 데이터만을 직접 전송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방송국(300)의 데이터 서버(320)는 통상적으로 원 데이터 서버(330)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보관하고, 이용자는 필요한 때에 방송국(300)의 데이터 서버(320)에 접속하여 원하는 데이터 가령 증권 정보를 수집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서버(320)는 방송국과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디지털 방송국(300)에서 운영하는 서버이며, 원 데이터 서버(330)는 디지털 방송국(300)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면 날씨 정보의 경우 원 데이터 서버(330)는 기상청 서버를 말한다.
따라서, 방송국(300)의 데이터 서버(320)는 상기 증권 정보 또는 날씨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원 데이터 서버(330)로부터 수집하여 보관하고, 디지탈방송 셋탑박스(SetTop Box)(310)와 정보교환을 수행하여 이용자는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전제로 한다. 즉, 방송국(300)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수신 및 데이터 서버(320)로 부터의 데이터 수신은 케이블 망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를 실현하기 위해 방송국(300)에서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방송국(300)의 커루셀 서버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이용자에게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201) 및 데이터에 대해 객체 주기전송(object carousel)을 데이터 주기전송(data carousel)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거쳐 최종적으로 이용자에게 메시지 형태로 전송된다. 수신 단말은 셋탑 박스(310)를 통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달받아 이용자에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방송국(300)의 커루셀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어플리케이션의 변환은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채 이루어지는 변환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셋탑 박스(310)에서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해 역 변환이 수행되며 원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복원이 이루어진다. 이는 커루셀 서버에서 이루어진 변환과정에 대한 역 과정으로서 일종의 디코딩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도 5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 (a)는 방송국(300)에서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5 (b)는 이용자에 의하여 최종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나타낸다.
즉, 도 5 (a)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은 종래 방식에서의 데이터 파일(*.data file)을 제외한 채 통상의 실행 파일( *.exe file), 특성 파일(*.cfg ), 아이콘 파일(*.icon file)만으로 커루셀 구성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특성파일은 이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얻어올 수 있는 서버인 데이터 서버(320)에 관한 정보(server.cf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받은 셋탑박스(310)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서버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버(320)로부터 직접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 (b)는 최종 이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파일을 포함한다. 셋탑 박스(310)는 도 5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송국(300)으로부터 수신받은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데이터 서버(320)의 정보(server.cfg)를 확인하여 해독한다.
데이터 서버(320)의 정보(server.cfg)를 확인하여 해독한 셋탑 박스(310)는 데이터 서버(320)와 교신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방송국(300)은 다양한 서비스에 필요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데이터 서버(320)는 이러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보관한다.
셋탑 박스(310)는 수신받은 데이터를 데이터 파일의 구조로 변경한 다음 어플리케이션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이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형태로 완성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셋탑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셋탑박스(400)는 수신단말 즉, 이용자에 의하여 특정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요청받게 된다(예를 들면, 증권현황). 이때 특정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요청받은 셋탑 박스(310)는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30)를 통하여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이 내려오는 해당 채널을 구동하고, 수신 제어부(410)를 통하여 방송국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다.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처리부(450)를 통하여 데이터 결합을 준비하게 된다. 즉,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처리부(450)내의 케로젤 데이타 해독부를 통하여 원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로 변환된 다음,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실행을 요청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일종의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역할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데이터와 분리된 독립형 모델임을 인식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로부터 가져온다. 데이터 결합부는 데이터 서버로부터 가져온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과 결합한다.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와의 결합에 의하여 완성된 다음, 단말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신단말로부터 특정 채널 선택을 통하여 데이터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 다음, 다시 필요한 데이터를 원하는 시간에 요청하여 수신하게 된다.
데이터 요청은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30)에 의하여 처리된 다음 송신부(42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셋탑 박스(400)는 어플리케이션 및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로부터 가져오기 위하여 데이터 서버와 TCP/IP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TCP/IP 스택(stack)(440)을 포함한다.
셋탑 박스(400)내 송신부(420)는 리턴 패스(return path)(420) 즉, 모뎀으로 이루어지며, 데이터 서버와 개별적으로 TCP/IP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유한 인터넷 주소(IP)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한편 상기 셋탑 박스(400)의 통상적인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5)

  1.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서버;
    상기 데이터 서버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방송국;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데이터 서버 정보를 통해 접속한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결합하는 셋탑 박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셋탑 박스와 케이블 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원 데이터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은 어플리케이션을 커루셀 변환하여 이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파일, 특성 파일, 그래픽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210056473A 2021-04-30 2021-04-30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20149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473A KR20220149186A (ko) 2021-04-30 2021-04-30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473A KR20220149186A (ko) 2021-04-30 2021-04-30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186A true KR20220149186A (ko) 2022-11-08

Family

ID=8404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473A KR20220149186A (ko) 2021-04-30 2021-04-30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91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00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eb-casting over digital broadcast TV network
US95446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hot key delivery
US20020010936A1 (en) Digital broadcasting
US20050172310A1 (en) Processing application data in data broadcasting
CN101159830B (zh) 用于接收自适应广播信号的设备及其方法
US200201846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portunistically broadcasting rich media digital content
US20070261090A1 (en) Interactive television application distribution,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CN101448134A (zh) 广播接收机和用于接收自适应广播信号的方法
EP2482550A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an expanded service/program guide
US86356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content over a network
US8250615B2 (en) Head-end system for providing two-way VOD service and service method thereof
US200402684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notification
JP4782145B2 (ja) 二方向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コンテンツの要求
US20030033612A1 (en) Software appliance method and system
KR20220149186A (ko)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
Batista et al. TVGrid: A Grid Architecture to use the idle resources on a Digital TV network
US200402684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hot key control
KR101029651B1 (ko) 케이블 방송 환경의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9331B1 (ko)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864908B1 (ko) 통신망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KR101229982B1 (ko) Iptv 시스템
KR20110071773A (ko) UPnP 개인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33966A (ko)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