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704A - 백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704A
KR20220148704A KR1020210160255A KR20210160255A KR20220148704A KR 20220148704 A KR20220148704 A KR 20220148704A KR 1020210160255 A KR1020210160255 A KR 1020210160255A KR 20210160255 A KR20210160255 A KR 20210160255A KR 20220148704 A KR20220148704 A KR 20220148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extract
sandalwood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종
신지수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148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백단향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에 유익한 미생물의 생장을 촉진하고 피부에 유해한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백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Santali Albi Lignum Extract}
본 발명은 백단향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유익균의 생장은 촉진하면서 피부 유해균의 생장은 억제하여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를 보호하는 선천성 면역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외피 체계의 조직으로, 외부에 존재하여 끊임없이 병원성 미생물과 미세먼지와 같은 해로운 물질에 노출된다. 건강한 피부도 병원성이 강한 미생물에 노출되면 감염증상이 일어나며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공생 미생물의 도움이 필요하다.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 균총인 스킨 마이크로바이옴(skin microbiome)에는 피부에 유익한 균과 유해한 균이 공생한다. 예를 들어, 피부에 존재하는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상구균)는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 중 하나로,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는 부위에 비정상적으로 많이 분포하거나 화농성 피부 염증을 일으키는 유해균이다. 따라서,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와 같은 유해균에 대해 항균 효과 및 생육 억제 효과를 갖는 물질이 연구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3769호에서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가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해 항균 및 생육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살아있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경우 유통 및 보관 시 안정성이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피부에서는 유해균과 유익균이 균형있는 미생물 균총을 형성할 때 유익한 효과가 나타나나, 상기 기술은 피부 유해균에 대한 영향만을 기재하고 있을 뿐 피부 유익균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술적 방안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한편,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는 피부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상재균 중 하나로, 문헌 [Baviera et al.,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4, 436921]에 따르면 피부 미생물 균총의 유익균으로서 병원균에 대한 항균 펩타이드를 생성하고, 피부 장벽 기능을 유지하며, 면역 반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피부에 유익한 공생균은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하거나, 피부를 약산성으로 만들어 다른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고,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대응력을 증강시키며 피부에 선점하여 병원성 미생물의 피부 접촉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에 유익한 공생균의 도움을 받아야 하고, 균총 내 미생물 간의 균형이 깨지면 피부 질환이 발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유해균을 사멸시키거나 생장을 억제하는 물질이 아니라, 피부 유해균의 생장을 억제하면서 유익균의 생장을 선별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백단향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미생물 균총에서 유익균 및 유해균의 분포를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유익균의 생장은 촉진하면서 피부 유해균의 생장은 억제하여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단향(Santali Albi Lig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단향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및 압착 추출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으로 백단향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단향 추출물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 용매로 백단향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단향 추출물의 농도는 0.01mg/mL 내지 0.1g/mL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유익균의 생장을 촉진하고 피부 유해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유익균은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유해균은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태필로코커스 시뮬란스(Staphylococcus simulans) 및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Staphylococcus warner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 또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접촉성 피부염 및 지루성 피부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백단향 추출물은 피부에 유익한 미생물의 생장을 촉진하고 피부에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미생물의 생장을 선별적으로 조절하는 스킨 프리바이오틱스 활성을 통해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백단향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의 생장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백단향 추출물 처리에 의한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의 배가 시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를 혼합 배양한 경우 백단향 추출물에 의한 세포 밀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백단향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의 세포 밀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백단향 추출물 처리에 의한 스태필로코커스 시뮬란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의 세포 밀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형태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백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미생물 균총(microbiome)"은 인체에 존재하는 세균(박테리아), 곰팡이 및 기타 원핵생물을 모두 포함하는 미생물 군집을 의미하며, "피부 미생물 균총(skin microbiome)"이란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 균총을 의미한다. 피부 미생물 균총은 피부염, 여드름, 화농 등 피부에 유해한 증상을 유발하는 피부 유해균, 및 피부 보습 유지, 활성 산소 제거, 유해균 생장 억제 등과 같이 피부에 이로운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유익균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이란 인체에 유익한 방향으로 피부 미생물의 균총이 변화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피부에서 유해균의 생장은 억제하고, 유익균의 생장은 촉진하는 활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백단향(Santali Albi Lignum)은 단향과의 반기생 열대성 상록수로서, 상쾌하고 달콤한 향기가 특징이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백단향은 성질은 따뜻하며, 맛은 맵고, 독이 없다. 백단향은 열로 부은 것을 삭이고 신기로 오는 복통을 낫게 하는 효능, 명치 아래가 아픈 증상이나 헛것에 들린 것을 낫게 하는 효능, 벌레를 죽이는 효능, 기를 고르게 하여 맑게 하는 효능 등이 알려져 있고, 향기로워서 방향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피부의 미생물 균총, 즉 스킨 마이크로바이옴(skin microbiome)을 개선하는 효능은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은 백단향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피부 유해균 생장은 억제하는 동시에 유익균 생장을 촉진하여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백단향 추출물은 백단향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생약재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건조물의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조추출물(crude extract) 및 용매 분획물(solvent fraction)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백단향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단향에 추출 용매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여과함으로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피부의 유해균 및 유익균에 대한 선별적 생장 조절 측면에서,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건조상의 백단향 1g당 1 내지 100mL, 바람직하게 5 내지 50mL의 추출 용매를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백단향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추출 온도는 실온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일 수 있고, 추출 시간은 30분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시간일 수 있다.
또는, 추출 방법으로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초임계 추출은 이산화탄소와 같은 초임계 유체(supercritical fluid)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유기용매를 보조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 방법으로 원료에 압력을 가하여 추출하는 압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추출 공정을 통해 추출액을 얻은 다음, 여과하는 단계, 분리하는 단계, 농축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각 단계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는 추출액을 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분리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증류를 통해 수행될 수 있고, 건조는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건조상의 추출물은 분쇄하는 단계를 거쳐 분말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등 적절한 용매로 재용매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피부 유해균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피부 유익균의 생장을 촉진하여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할 수 있다. 이 때,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라는 표현은 백단향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이 백단향 추출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경우, 백단향 추출물은 0.01mg/mL 내지 0.1g/mL, 바람직하게 0.05mg/mL 내지 0.01g/mL, 더 바람직하게 0.1 내지 1m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은 유해균의 생장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동시에 유익균의 생장은 활성화시킴으로써, 유익균과 유해균의 구별 없이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는 기존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생물의 분류학상 같은 속에 속하는 균주임에도 불구하고 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생장을 촉진 또는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백단향 추출물은 피부 유해균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태필로코커스 시뮬란스(Staphylococcus simulans) 및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Staphylococcus warneri)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피부 유익균인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즉 황색포도상구균은 그람 양성(gram-positive)의 혐기성 세균으로 사람이나 가축의 피부, 비강 표면에 존재하며, 피부의 화농, 중이염, 방광염 등 화농성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토피 환자의 80~90%는 피부에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가 매우 높은 비율로 분포하며,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생장 제어가 피부과 질환,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과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Tomczak et al., Advances in Dermatology and Allergology 4, August 2019, 485-491 참조). 또한, 상기 스태필로코커스 시뮬란스(Staphylococcus simulans)는 병원성을 가진 그람 양성균으로, 피부의 세균집락화를 초래하고,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Shields et al., JAAD Case Rep. 2, 2016, 428-429 참조),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Staphylococcus warneri)는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감염을 유발하는 병원균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즉 표피포도상구균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상재균으로서, 항염증 작용을 가지며,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와 같은 피부 유해균의 과다 증식을 억제하여 미생물 균총을 정상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Kim et al.,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46, 1, 2020, 23-29 참조), 피부 pH의 정상화, 외부 유해 인자에 대한 피부 장벽 등 피부 개선에 관여하는 유익균이다(Prescott et al., World Allergy Organization Journal, 2017, 10:29 참조).
이와 같이, 백단향 추출물은 상기 피부 유해균의 생장을 억제하고 피부 유익균의 생장을 촉진하여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pH 조절, 장벽 강화 등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여드름, 아토피, 기타 염증성 피부를 개선하거나, 이와 같은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 식용 식물을 이용함으로써 부작용의 우려가 없어 인체에 대한 안정성을 나타내며, 종래의 치료제인 항생제나 스테로이드제와 달리 내성 및 부작용의 우려가 낮고, 안전성이 보장된 천연 식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자외선 치료나 표백제 목욕 요법의 낮은 안전성 및 부작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은 추출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스킨 프로바이오틱스(skin probiotics)에 비하여 유통 과정에서 안정성이 높다. 또한, 외부의 미생물을 첨가하는 스킨 프로바이오틱스와 달리 인체에 존재하고 있던 미생물의 생장을 선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개개인의 미생물 균총을 맞춤형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백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백단향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의 미생물 균총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피부 장벽 강화, pH 조절, 보습 등 피부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아토피 피부, 여드름 피부 등 문제성 피부의 개선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용액, 유탁액, 현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 또는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겔, 크림 또는 로션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 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오일,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은 또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어려움 없이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 및 기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도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백단향 추출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보습제, 용해화제, 비타민, 자외선 흡수제,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 방부제, 살균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백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백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여, 피부 유해균의 생장을 억제하고 피부 유익균의 생장을 촉진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여드름, 접촉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등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백단향 추출물 외에,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화에 관해서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모두 가능하며, 비경구 투여는 경피 투여,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외용제로 이용되어 경피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제이며, 주사용 제제의 용매로서 물, 링거액, 등장성 생리 식염수 또는 현탁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의 멸균 고정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용 제제는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kg 당 0.001 내지 500m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실험방법과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백단향 추출물 제조
백단향 30g을 계량하여 500mL flask에 담고, 95% 메탄올 또는 에탄올 300mL를 첨가하였다. 50℃ 항온수조에 3시간 방치하면서, 30분마다 1회, 총 5회 교반하였다. 그 다음, 직경 90mm의 정성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1)로 여과하고, 회전농축기로 농축한 후 72시간 동결건조하였다. 건조된 추출물 0.05g을 계량한 후, DMSO 1mL에 녹여 실험에 사용할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험 준비: 균주 전배양
피부 유해균으로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KCTC 3881)를 이용하고, 피부 유익균으로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 epidermidis KCTC 1917)를 이용하였다.
각 균을 고체배지(Nutrient agar)에 3단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단일 콜로니를 취하여 20mL 액체배지(Nutrient broth)에 넣고 37℃, 250rpm, 18시간 조건으로 배양하여 생장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추출물 처리에 의한 피부 유익균 및 유해균의 생장 속도 차이 분석
Nutrient broth 20mL에 제조예 1의 메탄올 추출물 샘플을 200μL 처리하고, 전배양한 균을 0.05(Abs600nm)의 농도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대조군(control)으로서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샘플에 동일한 방법으로 균을 접종하였다. 그 후, 6시간 동안 본배양(37℃, 250rpm)하고, 1시간마다 흡광도를 600nm 파장으로 측정하였다. 기록한 흡광도 값으로 시간에 따른 균의 생장 곡선(growth curve)을 log scale로 작성하고, S. aureus (a) 및 S. epidermidis (b)의 생장 곡선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로부터 지수 생장기(exponential phase)의 직선을 결정하여 배가 시간(doubling time)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도 2 및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배가 시간은 미생물이 지수기 생장할 때 그 세포수가 두 배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구분 Control 백단향
S. aureus 33.67 48.93
S. epidermidis 76.18 42.79
상기 생장 곡선 및 배가 시간 계산 결과에 따르면, 백단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S. aureus의 생장 속도는 느린 반면, S. epidermidis의 생장 속도는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백단향 추출물이 피부 유해균인 S. aureus의 생장을 억제하고, 피부 유익균인 S. epidermidis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추출물 처리에 의한 피부 유익균 및 유해균의 세포 밀도 변화 측정
Nutrient broth 20mL에 제조예 1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 추출물 샘플을 200μL 처리하고, 전배양한 S. aureusS. epidermidis를 각각 0.05(Abs600nm)의 농도가 되도록 두 균을 함께 접종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샘플에 동일한 방법으로 균을 접종하였다.
그 후, 3시간 동안 본배양(37℃, 250rpm)하고, Nutrient broth를 이용해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였다. Nutrient agar plate에 희석한 배양액 100μL를 spreading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 밀도(colony forming unit/mL, CFU/mL)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a)는 메탄올 추출물 처리 샘플의 결과이며, (b)는 에탄올 추출물 처리 샘플의 결과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두 균을 함께 배양한 경우 백단향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S. aureus의 세포 밀도가 매우 낮은 한편, S. epidermidis의 세포 밀도는 매우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피부 유익균 및 유해균이 공존하는 환경에 백단향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유해균의 생장이 억제되는 한편 유익균의 생장은 촉진되어 피부 미생물 균총이 개선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추출물 농도에 따른 피부 유익균 및 유해균의 세포 밀도 변화 측정
Nutrient broth 20mL에 추출물 샘플을 200μL 처리하고, 전배양한 S. aureusS. epidermidis를 각각 0.05(Abs600nm)의 농도가 되도록 두 균을 함께 접종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샘플에 동일한 방법으로 균을 접종하였다.
그 후, 3시간 동안 본배양(37℃, 250rpm)하고, Nutrient broth를 이용해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였다. Nutrient agar plate에 희석한 배양액 100μL를 spreading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 밀도(colony forming unit/mL, CFU/mL)를 측정하고 대조군 대비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상기 방법에 따라 메탄올 추출물(a) 및 에탄올 추출물(b)의 농도를 0.25, 0.375, 0.5, 0.75 및 1mg/mL로 조절하여 실험을 수행하고, 세포 밀도 변화율 결과 그래프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의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백단향의 메탄올 및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해 S. aureus의 세포 밀도는 현저히 감소하면서 S. epidermidis의 농도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추출물 처리에 의한 기타 피부 유해균의 세포 밀도 변화 측정
피부 유해균으로서 스태필로코커스 시뮬란스(S. simulans) 및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S. warneri)를 상기 균주 전배양 방법으로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Nutrient broth 20mL에 제조예 1의 메탄올 추출물 샘플을 200μL 처리하고, 전배양한 균을 0.05(Abs600nm)의 농도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대조군(control)으로서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샘플에 동일한 방법으로 균을 접종하였다.
그 후, 3시간 동안 본배양(37℃, 250rpm)하고, Nutrient broth를 이용해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였다. Nutrient agar plate에 희석한 배양액 100μL를 spreading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S. simulans (a) 및 S. warneri (b)의 세포 밀도(colony forming unit/mL, CFU/mL)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백단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S. simulans S. warneri의 세포 밀도가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백단향 추출물이 피부 유해균에 속하는 S. simulans S. warneri의 생장 또한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백단향(Santali Albi Lig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단향 추출물이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및 압착 추출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으로 백단향을 추출하여 얻어진,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단향 추출물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 용매로 백단향을 추출하여 얻어진,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단향 추출물의 농도가 0.01mg/mL 내지 0.1g/mL인,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피부 유익균의 생장을 촉진하고 피부 유해균의 생장은 억제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유익균이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인,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유해균이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태필로코커스 시뮬란스(Staphylococcus simulans) 및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Staphylococcus warner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아토피 피부 또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이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접촉성 피부염 및 지루성 피부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약학 조성물.
KR1020210160255A 2021-04-29 2021-11-19 백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87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980 2021-04-29
KR20210055980 2021-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704A true KR20220148704A (ko) 2022-11-07

Family

ID=8404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255A KR20220148704A (ko) 2021-04-29 2021-11-19 백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87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568B1 (ko) 미생물에 의한 생약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77908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9534B1 (ko) 프로폴리스용 수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464914B1 (ko) 피부 장벽 강화와 세포 재생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020535B1 (ko) 연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3562A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2663083B1 (ko) 누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633600B1 (ko) 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633601B1 (ko) 대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293592B1 (ko)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20220148704A (ko) 백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633602B1 (ko)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8714A (ko) 적소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8706A (ko)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8708A (ko) 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273234B1 (ko) 코쿠리아 바리안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20148710A (ko)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8713A (ko) 참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8707A (ko)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8711A (ko) 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8712A (ko) 물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101575722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균, 항염 조성물
KR20220098594A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