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492A - Pants with Wrinkle-free Portion - Google Patents

Pants with Wrinkle-free Por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492A
KR20220148492A KR1020210055587A KR20210055587A KR20220148492A KR 20220148492 A KR20220148492 A KR 20220148492A KR 1020210055587 A KR1020210055587 A KR 1020210055587A KR 20210055587 A KR20210055587 A KR 20210055587A KR 20220148492 A KR20220148492 A KR 20220148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m
pants
wrinkle
seam allowance
wrink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도임
김상훈
Original Assignee
김도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임 filed Critical 김도임
Priority to KR1020210055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8492A/en
Publication of KR2022014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4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67Trousers with reinforcement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pants provided with an anti-wrinkle portion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region where both thighs of a wearer come into contact. The anti-wrinkle portion is formed by folding a seam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seam on the inner surface of a fabric multiple tim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wrinkles are not generated on the inner part of the thighs when the wearer is wearing the pants.

Description

주름방지부가 구비된 바지 {Pants with Wrinkle-free Portion}Pants with Wrinkle-free Portion}

본 발명은 주름방지부가 구비된 바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동안 허벅지 안쪽에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rousers provided with an anti-wrinkle part, and more particularly, to trousers capable of preventing wrinkles from forming on the inner thigh while the wearer is wearing it.

반바지를 입고 걷고 뛰는 중에 양 허벅지 안쪽 즉 사타구니 쪽으로 바지의 천이 상방으로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도 1 은 바지를 입은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2 는 도 1 의 상태에서 바지가 말려 올라간 상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허벅지가 두꺼운 사람이나 비만인 사람, 그리고 남성보다는 타이트한 바지를 입는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 도 2 와 같은 상태에서는 착용자의 허벅지가 외부로 노출되어 착용자에게 부끄러움과 불편함을 주게 된다. 나아가 착용자의 양 허벅지 안쪽 맨살이 서로 쓸려 마찰됨으로써 피부에 손상이 발생한다.While walking and running while wearing shorts, a phenomenon occurs where the fabric of the trousers is rolled upwards toward the inner thighs, that is, the groin. Figure 1 shows a state wearing pants, Figure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pants are rolled up in the state of Figure 1. This phenomenon occurs more often in people with thick thighs or in obese people, and in women who wear tighter pants than men. In the state shown in FIG. 2 , the wearer's thighs are exposed to the outside, giving the wearer shame and discomfort. Furthermore, the wearer's inner thighs are rubbed against each other, causing damage to the ski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US6076193, US7640602, US7861324 등에서는 바지가 말려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미국 특허들에서는, 착용자의 바지의 옷감 내측면에 별도의 주름 방지용 보조물을 덧대는 방식을 제안한다. 착용자가 양 허벅지에 대응되는 옷감 부위에 주름 방지용 보조물을 부착함으로써 옷감의 양 허벅지 내측 부위가 상방으로 주름지는 현상이 방지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US6076193, US7640602, US7861324, etc. have proposed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pants from rolling up. The above US patents propose a method of adding a separate anti-wrinkle auxiliar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er's pants. When the wearer attaches the anti-wrinkle aid to the fabric portion corresponding to both thighs, the phenomenon that the inner portion of both thighs of the fabric is wrinkled upward is prevented.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착용자가 별도의 수선이나 다람질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옷감에 따라서는 보조물이 잘 부착되지 않거나 부착된 후에도 사용 중 또는 여러 번의 세탁을 거치면서 떨어져나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cumbersome because the wearer has to perform a separate repair or ironing operation.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fabric,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uxiliary material is not attached well or comes off while being used or washed several times after being attach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지가 착용 중에 허벅지 안쪽 부분에서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착용 중 상부로 말려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being rolled up while worn by preventing wrinkles from occurring in the inner thigh portion while the pants are worn.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말림을 방지하는 바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착용자가 바지 구매 후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또한 말림을 방지하는 상태가 바지의 사용 중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wearer to not have to do a separate operation after purchasing the pants to implement the pants to prevent such curling, and to ensure that the state of preventing curling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even during the use of the pants.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의 양 허벅지가 맞닿는 부위에 대응되는 영역에 주름방지부가 구비된 바지로서, 상기 주름방지부는, 옷감의 내측면에서 상하 방향의 솔기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시접이 수평 방향에서 복수 회 절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를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nts provided with an anti-wrinkle part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both thighs of the wearer abut, wherein the anti-wrinkle par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seam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 We propose p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m allowance is formed by folding a plurality of tim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주름방지부는 옷감의 내측면에 재봉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시접이 절첩된 상태로 재봉되어 절첩 상태가 고정된다.The anti-wrinkle part is sew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 and fixed, or the seam seam is sewn in a folded state so that the folded state is fixed.

상기 주름방지부는 옷감의 내측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거나 상기 시접이 절첩된 상태로 접착되어 절첩 상태가 고정된다.The anti-wrinkle part is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 by an adhesive or the seam seam is adhered in a folded state to fix the folded stat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착용자의 양 허벅지가 맞닿는 부위에 대응되는 영역에 말림방지부가 구비된 바지로서, 상기 주름방지부는, 옷감의 내측면에서 상하 방향의 솔기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시접이 폭방향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말리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nts with an anti-curling portion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both thighs of the wearer abut, wherein the anti-wrinkle portion includes a seam allowanc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seam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 Pants ar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by roll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주름방지부는 상기 시접의 연부를 따라 연장된 상태로 부착되어 상기 시접이 말린 상태에서 상기 주름방지부의 중심축을 이루는 심을 구비할 수 있다.The anti-wrinkle part may include a shim that is attached in a state extending along the edge of the seam allowance to form a central axis of the anti-wrinkle part in a state where the seam seam is rolled.

상기 심은 연성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him may be formed of any one of soft plastic, rubber, and silicon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접에 보강재가 부가되어 상기 시접과 함께 절첩됨으로써 상기 주름방지부가 형성된다.Preferably, a reinforcing material is added to the seam allowance to form the anti-wrinkle portion by folding along with the seam seam.

상기 보강재는, 상기 시접에 덧대어지는 옷감, 상기 시접에 도포되는 도료, 또는 고무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aterial may be composed of one of a cloth applied to the seam allowance, a paint applied to the seam allowance, or rubber.

본 발명에 따르면, 바지 착용 중에 허벅지 안쪽 부분에서 주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러한 주름 방지를 위한 구성을 위해 바지 구매 후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rinkles do not occur in the inner thigh portion while wearing pants.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need to do a separate operation after purchasing the pants for the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wrinkles.

도 1 은 일반적인 반바지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 1 의 상태에서 착용 중에 바지가 말려 올라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3 의 바지를 뒤집어서 펼친 상태의 내측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도 4 의 시접 부분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도 4 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 은 도 6 의 재봉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은 도 7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9 는 도 6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 은 도 6 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 은 도 6 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9 와 유사한 도면.
도 13 은 도 12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 는 도 12 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 는 도 12 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 은 도 15 의 심을 도시한 도면.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shorts wearing state.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nts are rolled up while worn in the state of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p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ants of Figure 3 are turned upside dow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m allowance of FIG. 4 is unfolde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4;
7 is a view showing the sewing state of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7;
Fig. 9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6;
Fig.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6;
Fig.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6;
Fig. 12 is a view similar to Fig. 9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12;
Fig.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12;
Fig.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12;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shim of Fig. 15;
Fig. 17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각 실시예 또는 각 변형예에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each embodiment or each modified example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의 정면도이다. 도 3 에서는 반바지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긴바지에도 적용 가능하다.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p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horts are illustrated in FIG. 3 ,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long pants.

본 발명의 바지는 착용자의 양 허벅지가 맞닿는 부위에 대응되는 영역에 주름방지부(W)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름방지부(W)는 바지의 상하방향으로 강성을 부가함으로써 바지의 착용 중에 바지가 주름지며 상부로 접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주름방지부(W)은 바지의 옷감의 내면 쪽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wrinkle portion (W) is provid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both thighs of the wearer abut. The anti-wrinkle part (W) functions to prevent the pants from being wrinkled and folded upward while wearing the pants by adding rigid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nts. The anti-wrinkle portion (W)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abric of the pants.

주름방지부(W)는 소정의 길이(d)를 갖는다. 이 길이(d)는 예컨대 주름방지부(W)가 바지의 하단부보다 다소 높은 위치로부터 바지의 사타구니 지점(M)에 대응되는 상단부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까지 이르도록 배치되는 길이로 설정된다. 주름방지부(W)가 바지의 하단부까지 이르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바지의 하단부가 바깥으로 뒤집혀 접히는 상황에서 주름방지부(W)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수 있다. 주름방지부(W)가 사타구니 지점(M)까지 이르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착용자가 사타구니 부분에서 두꺼워진 주름방지부(W)로 인해 착용감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The anti-wrinkle portion (W) has a predetermined length (d). This length d is, for example, set to a length in which the anti-wrinkle portion W is arranged from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trousers to a position slightly lower than the upper end corresponding to the groin point M of the trousers. When the anti-wrinkle portion (W) is arranged to reach the lower end of the pants, the anti-wrinkle portion (W)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ituation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trousers is turned upside down and folded, which may not look good. When the anti-wrinkle portion (W) is arranged to reach the groin point (M), the wearer may feel uncomfortable in wearing due to the thickened anti-wrinkle portion (W) in the groin por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3 의 바지를 뒤집어서 펼친 상태의 내측면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 는 도 4 의 시접 부분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ants of Figure 3 in an unfolded state.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m allowance of FIG. 4 is unfolded.

도 4 에서, F 는 도 3 의 바지의 옷감의 앞부분, 더욱 구체적으로는 바지의 옷감 중 착용자의 허벅지 앞쪽을 감싸는 부분이고, B 는 도 3 의 바지의 옷감의 뒷부분, 더욱 구체적으로는 바지의 옷감 중 착용자의 허벅지 뒷쪽을 감싸는 부분이다. S 는 앞쪽 옷감(F)와 뒷쪽 옷감(B)이 재봉되어 형성된 솔기로서 착용자의 양 허벅지 안쪽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재봉선이다. 솔기(S)를 중심으로, 옷감(F, B)의 내측에는 시접(C1, C2)이 존재한다. 솔기(S)는 착용자가 바지를 착용한 상태에서 허벅지가 맞닿는 부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양 허벅지를 따라 연장되며, 시접(C1, C2) 또한 솔기(S)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In FIG. 4, F is the front part of the fabric of the pants of FIG. 3, more specifically, a part wrapping the front of the thigh of the wearer among the fabrics of the pants, and B is the back part of the fabric of the pants of FIG. 3, more specifically, the fabric of the pants It is the part that wraps around the back of the wearer's thigh. S is a seam formed by sewing the front fabric (F) and the back fabric (B), and is a seam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both thighs of the wearer. With the seam (S) as the center, seam allowances (C1, C2) are present on the inner side of the fabrics (F, B). The seam (S) extends along both thigh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part where the thighs abut in a state in which the wearer wears pants, and the seam allowances (C1, C2) als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eam (S).

시접(C1, C2)은 제1시접(C1)과 제2시접(C2)으로 구성된다. 제1시접(C1)은 통상적인 바지의 시접과 동일한 부분으로서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시접(C2)은 본 발명의 주름방지부(W)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시접(C1)은 도 3 에서 바지의 사타구니 부분(도 4 에서 M 으로 표기된 위치)으로부터 하단부(도 4 의 좌측과 우측 단부)까지의 영역 중 주름방지부(W)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된다. 제2시접(C2)의 길이(d)는 도 3 및 도 4 의 주름방지부(W)의 길이(d)에 해당된다.The seam allowances C1 and C2 are composed of a first seam allowance C1 and a second seam allowance C2. The first seam allowance (C1) is formed to have a small width as the same part as the seam allowance of a conventional trouser, and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s a part constituting the anti-wrinkle part (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formed to have a wide width. . The first seam allowance (C1) is in the area from the groin part (position marked as M in FIG. 4) of the pants in FIG. 3 to the lower end (left and right ends in FIG. 4) in the area where the anti-wrinkle part (W) is not formed. is formed The length d of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corresponds to the length d of the anti-wrinkle portion W of FIGS. 3 and 4 .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시접(C2)은 제1시접(C1)에 비해 그 폭(도 5 에서 상하방향의 폭)이 크도록 형성된다. 제2시접(C2)이 수평방향(바지의 착용 상태에서의 수평 방향을 의미함)으로 복수회 절첩됨으로써, 옷감의 몇 배의 두께를 갖는 주름방지부(W)가 구성된다. 따라서 제2시접(C2)의 폭은 주름방지부(W)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일 예로서, 제2시접(C2)이 4겹으로 절첩되어 주름방지부(W)를 구성하는 경우, 제2시접(C2)은 제1시접에 비해 그 폭이 4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 에서 제2시접(C2)은 전체적인 모양이 대략 직사각형이 되도록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2시접(C2)은 다른 모양, 예컨대 전체적으로 타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s formed to have a greater width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5 ) than the first seam allowance C1 . As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s folded a plurality of tim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eani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tate of wearing pants), the anti-wrinkle portion W having a thickness several times that of the cloth is constituted. Therefore, the width of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anti-wrinkle portion (W). As an example, when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s folded into four folds to form the anti-wrinkle portion W, the width of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may be 4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seam seam. In FIG. 5 ,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s configured to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However,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may be formed to have another shape, for example, an elliptical shape as a whole.

도 6 은 도 4 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주름방지부(W)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주름방지부(W)는 솔기(S)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2시접(C2)이 수평 방향에서 복수 회 절첩되어 형성된다. 도 6 에서는, 제2시접(C2)을 그 단면이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4회 접어서 절첩시킴으로써 주름방지부(W)가 구성되어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4 , and is a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anti-wrinkle part (W). The anti-wrinkle portion (W) is formed by folding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eam (S) a plurality of tim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FIG. 6 , the anti-wrinkle portion W is configured by folding and folding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four times so that the cross section becomes a zigzag shape.

도 7 은 도 6 의 재봉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의 절첩된 제2시접(C2)의 각 좌우측에 박음질을 함으로써 주름방지부(W)가 옷감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도 7 에서 도면부호 T 는 재봉한 부위의 실을 나타낸다.FIG. 7 is a view showing the sewing state of FIG. 6 . The anti-wrinkle part W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 by sew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lded second seam allowance C2 of FIG. 6 . In FIG. 7 , reference numeral T denotes a thread at the sewn part.

도 8 은 도 7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에서는 제2시접(C2)이 바지의 외형을 이루는 옷감의 전면(F)과 후면(B)에 재봉되어 있으나, 도 8 에서는 옷감에는 재봉되어 있지 않고 제2시접(C2) 자체에만 재봉되어 있다. 이러한 도 8 의 변형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주름방지부(W)를 고정하기 위한 재봉선이 바지의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아 바지의 외관에 주는 영향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FIG. 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7 . In FIG. 7,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s sewn on the front (F) and the rear surface (B) of the fabric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pants, but in FIG. 8, it is not sewn to the fabric but only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tself. have.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of FIG. 8, the sewing line for fixing the anti-wrinkle part (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pants,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effect on the appearance of the pants.

도 7 및 도 8 의 예와는 달리, 실(T)을 재봉하지 않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주름방지부(W)를 옷감의 내측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도 5 의 상태에서 제2시접(C2)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도 6 과 같이 접음으로써, 도 6 의 상태에서 제2시접(C2)의 각 면들 사이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2시접(C2)이 바지의 외형을 이루는 옷감의 전면(F)과 후면(B)에 주름방지부(W)가 접착되도록 할 수도 있고, 옷감에는 접착되지 않고 제2시접(C2) 자체만 절첩된 면끼리 상호 접착되어 절첩 상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Unlike the examples of FIGS. 7 and 8 , the anti-wrinkle part W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 using an adhesive without sewing the thread T. As an example, by applying an adhesive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n the state of FIG. 5 and folding as shown in FIG. 6 , in the state of FIG. can Even in the case of using an adhesive, the anti-wrinkle part W may be adhered to the front (F) and back (B) of the fabric where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pants, and it is not adhered to the fabric. Only the 2 seam contact (C2) itself may be fixed in a folded state by bonding the folded surfaces to each other.

도 9 는 도 6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에서, 제2시접(C2)은 도 6 과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절첩되지 않고 일 방향으로 말린 형태로 절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름방지부(W)를 구성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FIG. 9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6 . In FIG. 9 ,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s not folded in a zigzag shape as in FIG. 6 , but is folded in a rolled shape in one direction. As such, the method of configuring the anti-wrinkle part W may be variously modified.

다른 예로서, 제2시접(C2) 전체를 그 폭 방향(바지 착용 상태에서의 수평 방향)으로 절반으로 접은 후 이를 다시 폭방향으로 절반으로 접음으로써, 4겹의 주름방지부(W)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2시접(C) 전체를 절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1차 재봉을 하고, 다시 한 번 더 절반으로 접은 후 2차 재봉을 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by folding the entire second seam allowance (C2) in half in the width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tate of wearing pants) and then folding it in half again in the width direction, a four-ply anti-wrinkle part (W) is constructed You may. At this time, the first sewing may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entire second seam allowance (C) is folded in half, and the second sewing may be performed after folding the second seam allowance (C) in half again.

도 10 은 도 6 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에서는, 두 개의 제2시접(C2)이 겹쳐지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함께 접음으로써 주름방지부(W)가 형성된다.FIG.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6 . In FIG. 10 , the anti-wrinkle portion W is formed by folding the two second seam allowances C2 in a state in which they overlap each other.

도 11 은 도 6 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에서는 솔기(S)를 중심으로 두 개의 제2시접(C2)이 각각 절첩되어 주름방지부(W)를 구성하나, 도 11 에서는 제2시접(C2) 중 하나는 일반적인 폭의 시접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하나가 전술한 실시예의 제2시접(C)과 마찬가지로 넓은 폭을 갖도록 구성된 후 절첩되어 주름방지부(W)를 구성한다. 도 11 의 실시예에 또한 도 6 과 같이 지그재그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거나 도 9 과 같이 일 방향으로 말린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1 의 실시예에서도 제2시접(C2)이 재봉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옷감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FIG.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6 . In FIG. 6 , the two second seam allowances C2 are respectively folded around the seam S to constitute the anti-wrinkle part W, but in FIG. 11 , one of the second seam allowances C2 is a seam allowance of a general width. and the other one is folded after being configured to have a wide width similarly to the second seam allowance (C)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o constitute the anti-wrinkle portion (W). The embodiment of FIG. 11 may also be configured to have a zigzag-shaped cross-section as shown in FIG. 6 or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ross-section of a rolled-up shape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 9 . Also, in the embodiment of FIG. 11 ,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may be sewn or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 by an adhesive.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9 와 유사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주름방지부(W)는 제2시접(C2)이 그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말리어 형성됨으로써, 그 수평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도 12 에서, 두 개의 제2시접(C2)이 각각 말리어 주름방지부(W)를 구성한다.12 is a view similar to FIG. 9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ti-wrinkle portion (W)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s ro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thereof is circular. In FIG. 12 , the two second seam allowances C2 are rolled to form the anti-wrinkle portion W, respectively.

도 13 은 도 12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 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3 에서는, 두 개의 제2시접(C2)이 한꺼번에 말리어 원형의 단면을 갖는 주름방지부(W)를 형성한다.FIG. 13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12 , and is a view similar to FIG. 10 . In FIG. 13 , the two second seam allowances C2 are rolled at once to form the anti-wrinkle portion W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도 14 는 도 12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1 과 유사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 두 개의 제2시접(C2) 중 하나는 통상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이보다 몇 배 정도의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제2시접(C2)을 원형으로 말아 주름방지부(W)가 형성된다.FIG. 14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12 , and is a view similar to FIG. 11 . In this modified example, one of the two second seam allowances C2 is formed to have a normal width and the other is formed to have a width several times wider than this, so that one second seam allowance C2 is rolled up in a circle. An anti-wrinkle portion (W) is formed.

도 15 는 도 12 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 은 도 15 의 심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 주름방지부(W)는 그 중앙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심(L)을 구비한다.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L)은 얇고 긴 막대의 형상을 가지며, 그 길이는 주름방지부(W)의 길이(d)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심(L)은 제2시접(C2)의 연부를 따라 연장된 상태가 되도록 부착되고, 이 심(L)을 중심으로 제2시접(C2)을 둥글게 말아 도 12 와 같이 심(L)이 주름방지부(W)의 중심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심(L)은 연성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심(L)의 강성이 너무 크면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심(L)은 주름방지부(W)의 기능을 보완하는 정도의 낮은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12 , and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shim of FIG. 15 .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anti-wrinkle part (W) is provided with a shim (L)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its central portion. As shown in Figure 16, the shim (L) has the shape of a thin and long rod, the length is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the length (d) of the anti-wrinkle portion (W). The seam (L) is attached so that it is extende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and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s rolled around the seam (L) so that the seam (L) is wrinkled as shown in FIG. It is configured to form a central axis of the prevention portion (W). The shim L may be formed of any one of soft plastic, rubber, and silicone. If the stiffness of the shim L is too large, the wearer may feel uncomfortabl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im (L) has a low rigidity that complements the function of the anti-wrinkle part (W).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 와 유사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시접(C2)의 상면에 별도의 보강재(Z)가 부가되어 있고, 보강재(Z)가 제2시접(C2)과 함께 절첩됨으로써 주름방지부(W)가 형성다. 보강재(Z)는 제2시접(C2)에 덧대어지거나 부착되어, 제2시접(C2)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FIG. 17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imilar to FIG. 5 . In this embodiment, a separate reinforcing material (Z) is ad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Z) is folded together with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to form the anti-wrinkle portion (W). The reinforcing material Z is padded or attached to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and serves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보강재(Z)는 제2시접(C2)의 하면에 덧대어질 수도 있고, 상면과 하면 모두에 덧대어질 수도 있다. 도 17 에서는 보강재(Z)가 제2시접(C2)의 전체 영역보다 다소 작은 영역을 갖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보강재(Z)는 제2시접(C2)의 모양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동일한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2시접(C2)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재(Z)는 제2시접(C2)보다 일부 영역에서는 더 작고 일부 영역에서는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reinforcing material Z may be pad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or may be padded on bot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FIG. 17 , the reinforcing material Z is shown to have a slightly smaller area than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but the reinforcing material Z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and is formed in the same area.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n addi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Z may be formed to be smaller in some areas and larger than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n some areas.

보강재(Z)는 일 예로서 제2시접(C2)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옷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재(Z)는 도 17 과 같은 상태에서 제2시접(C2)에 박음질에 의해 고정되거나, 제2시접(C2)이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주름방지부(W)가 되도록 절첩되거나 말린 후에 제2시접(C2)과 함께 박음질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reinforcing material Z may be formed of the same or similar fabric to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material (Z) is fixed to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by stitching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7, or folded so that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becomes the anti-wrinkle portion (W) of various shapes as described above. After drying, it may be sewn together with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보강재(Z)는 다른 예로서 제2시접(C2)에 도포되는 도료로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도료가 제2시접(C2)에 덧칠해짐으로써 제2시접(C2)의 강도가 보강된다. 도료의 일 예로서 페인트와 같은 안료 또는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보강재(Z)는 고무로 구성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reinforcing material Z may be composed of a paint applied to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As a predetermined paint is applied to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the strength of the second seam allowance C2 is reinforced. As an example of the paint, a pigment such as paint or silicone may be used. As another example, the reinforcing material Z may be made of rubb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착용자의 양 허벅지가 맞닿는 부위에 대응되는 영역에 주름방지부가 구비된 바지로서,
상기 주름방지부는, 옷감의 내측면에서 상하 방향의 솔기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시접이 수평 방향에서 복수 회 절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As pants provided with an anti-wrinkle part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both thighs of the wearer abut,
The anti-wrinkle portion, pant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folding the seam allowanc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eam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 a plurality of tim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방지부는 옷감의 내측면에 재봉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시접이 절첩된 상태로 재봉되어 절첩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i-wrinkle portion is sew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 and fixed, or the seam seam is sewn in a folded st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ed state is fix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방지부는 옷감의 내측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거나 상기 시접이 절첩된 상태로 접착되어 절첩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i-wrinkle portion is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abric by an adhesive or the seam seam is adhered in a folded st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ed state is fixed.
착용자의 양 허벅지가 맞닿는 부위에 대응되는 영역에 말림방지부가 구비된 바지로서,
상기 주름방지부는, 옷감의 내측면에서 상하 방향의 솔기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시접이 폭방향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말리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Pants provided with an anti-curling part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both thighs of the wearer abut,
The anti-wrinkle portion, p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m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eam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 is ro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in the width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방지부는 상기 시접의 연부를 따라 연장된 상태로 부착되어 상기 시접이 말린 상태에서 상기 주름방지부의 중심축을 이루는 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nti-wrinkle portion is attached in a state extending along the edge of the seam seam, and the seam is rolled up, the trouser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im forming the central axis of the anti-wrinkle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심은 연성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6. The method of claim 5,
P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m is formed of any one material of soft plastic, rubber, and silicone.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접에 보강재가 부가되어 상기 시접과 함께 절첩됨으로써 상기 주름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P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wrinkle portion is formed by adding a reinforcing material to the seam seam and folding it together with the seam seam.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시접에 덧대어지는 옷감, 상기 시접에 도포되는 도료, 또는 고무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inforcing material is pan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f a cloth padded to the seam allowance, a paint applied to the seam allowance, and rubber.
KR1020210055587A 2021-04-29 2021-04-29 Pants with Wrinkle-free Portion KR202201484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587A KR20220148492A (en) 2021-04-29 2021-04-29 Pants with Wrinkle-free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587A KR20220148492A (en) 2021-04-29 2021-04-29 Pants with Wrinkle-free Por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492A true KR20220148492A (en) 2022-11-07

Family

ID=8404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587A KR20220148492A (en) 2021-04-29 2021-04-29 Pants with Wrinkle-free Por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849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6793B2 (en) Clothing such as shorts and swimwear
KR200485870Y1 (en) Pants having elastic band
KR20220148492A (en) Pants with Wrinkle-free Portion
KR102030325B1 (en) Clothes with elastic bel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m
JP6530476B1 (en) Crotch adjustable garment
KR101362079B1 (en) Underwear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edge of clothing being curled
JP3777464B2 (en) Hips slacks
JP3796392B2 (en) Training clothes
JP3964595B2 (en) Elastic waist structure of clothes
JPH08113805A (en) Waist-stretching structure for pants or the like
JP2518804B2 (en) Elastic waist structure such as pants
KR101450047B1 (en) Belt construction for wrinkleless trouser and skirt
JP3038136B2 (en) Waist elastic structure
US20100251463A1 (en) Butterfly Panty
JP4580116B2 (en) Clothing with a stand-up collar
KR20210057962A (en) Belt construction for wrinkleless trouser and skirt
JP6811493B1 (en) Armpit sweat stain prevention clothing
KR200489753Y1 (en) Stretchable Pants
JP2518807B2 (en) Elastic waist structure such as pants
KR102529411B1 (en) Funtional innerwear bottoms and waistband thereof
JP7162118B2 (en) lower body clothing
CN220403131U (en) Waterproof round-neck T-shirt and garment with deformation
JP5938355B2 (en) Undergarment
JP2006002311A (en) Dress
JPH07324205A (en) Stretchable structure for waist part of trouser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