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411B1 - Funtional innerwear bottoms and waistband thereof - Google Patents

Funtional innerwear bottoms and waistban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411B1
KR102529411B1 KR1020200094243A KR20200094243A KR102529411B1 KR 102529411 B1 KR102529411 B1 KR 102529411B1 KR 1020200094243 A KR1020200094243 A KR 1020200094243A KR 20200094243 A KR20200094243 A KR 20200094243A KR 102529411 B1 KR102529411 B1 KR 102529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astic part
underwear
waist band
lower under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2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4535A (en
Inventor
김호석
Original Assignee
김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석 filed Critical 김호석
Priority to KR102020009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411B1/en
Publication of KR20220014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5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4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4Waistbands forming part of the undergarments; Closur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1Under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는, 하의 속옷의 원단부와 연결되는 허리 밴드로서, 하의 속옷의 최상단을 이루며, 신축성을 갖는 허리띠 형상의 제 1 탄성부, 신축성을 갖는 허리띠 형상의 제 2 탄성부, 및 제 1 탄성부의 일측 둘레 및 제 2 탄성부의 일측 둘레와 연결되는 허리띠 형상의 연결부로 구성되고, 제 2 탄성부의 일측 둘레의 반대측인 타측 둘레가 하의 속옷의 원단부와 연결가능하고, 연결부를 경계로 하여 제 1 탄성부의 내측이 외측으로 드러나도록 접혀짐으로써, 제 1 탄성부와 제 2 탄성부 사이에서 다른 옷을 고정할 수 있는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의 속옷은 상술한 허리 밴드와 원단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ist band for lower under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ist band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lower underwear, and forms the uppermost part of the lower underwear, and includes a first elastic part having a waistband shape having elasticity and a second elastic part having a waistband shape having elasticity. , And a waistband-shape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one circumference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and on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and the other circumference opposite to on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is connectable to the distal end of the lower underwear, and the connection portion By being folded so that the in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a boundary, it is characterized by a waist band for underwear that can fix other clothes between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second elastic part. The lower under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described waist band and the distal end are connected.

Description

기능성 하의 속옷 및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FUNTIONAL INNERWEAR BOTTOMS AND WAISTBAND THEREOF}Functional bottom underwear and waist band for bottom underwear {FUNTIONAL INNERWEAR BOTTOMS AND WAISTBAND THEREOF}

본 발명은 기능성 하의 속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의 겉옷을 바지나 치마와 같은 하의 겉옷 안에 넣어 착용할 때 상의 겉옷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하의 속옷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undergar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er undergarment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an upper outer garment from falling out when worn by inserting the upper outer garment into a lower outer garment such as pants or a skirt.

속옷(Innerwear)은 피부 분비물을 흡수하여 신체의 청결과 건강을 지켜주는 동시에 겉옷과의 마찰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옷을 의미한다. 이러한 속옷은, 기본적으로 팬티나 러닝셔츠와 같은 언더웨어(Underwear)뿐만 아니라, 체형을 교정해주거나 옷 맵시를 바르게 해주는 기능을 갖는 란제리(lingerie)나 파운데이션(foundation garment)과 같은 종류도 있다.Innerwear refers to clothes that absorb skin secretions to keep the body clean and healthy and at the same time protect the skin from friction with outerwear. Such underwear basically includes not only underwear such as panties and running shirts, but also types such as lingerie and foundation garments that have a function of correcting a body shape or adjusting clothes.

한편, 겉옷을 입을 때, 상의 겉옷을 바지나 치마와 같은 하의 겉옷 안으로 넣어서 착용하는 방법으로 코디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남성 양복을 입을 때는 착용한 와이셔츠의 밑단을 양복 바지 안에 넣어 입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의 겉옷을 하의 겉옷과 하의 속옷 사이에 넣은 후, 아무리 허리띠 등을 잘 매어 입더라도, 일상 생활을 하다보면 상의 겉옷이 하의 겉옷 밖으로 쉽게 빠지게 되어, 옷 맵시가 흐트러지거나 상하의 겉옷 안에 착용한 속옷이 외관상 드러나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의 겉옷을 아예 하의 속옷과 피부 사이에 넣어서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에 의해 밀착시켜 입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도 상의 겉옷이 단단히 고정되지 못하여 하의 겉옷 밖으로 빠지게 되고, 특히 하의 겉옷이 조금 내려가게 되면 하의 속옷의 밴드 부분이 외관상 드러나게 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wearing outerwear, there is a case of coordinating by putting the upper outerwear inside the lower outerwear such as pants or a skirt. For example, when wearing a men's suit, it is common to put the hem of the shirt worn inside the suit pants. However, after inserting the upper outer garment between the lower outer garment and the lower outer garment, no matter how well the belt is worn, the upper outer garment easily falls out of the lower outer garment in daily life, and the dressing is disturbed or the underwear worn inside the upper and lower outer garments.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reveal from this appearance. 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the upper outerwear is put between the lower underwear and the skin and worn closely by the waist band of the lower underwear. When this happe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nd part of the lower underwear is exposed in appearance.

이렇게 상의 겉옷이 빠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로서는, 양복 바지에 종종 적용되는 것처럼 하의 겉옷의 허리띠 부분의 내측으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재질의 융기부를 덧대는 방법이 고려되었다(특허문헌 1). 또한, 가터 벨트(garter belt)와 같이 다리에 착용 후 연결된 클립을 상의 겉옷의 밑단에 끼워 고정시키는 아이템이나, 하의 겉옷 안에 넣어 입는 실리콘이 덧대진 벨트 또는 클립이 달린 벨트와 같이 별도의 아이템을 사용하는 방법도 고려되었다(특허문헌 2).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of the upper outer garment coming off, as in the prior art, a method of attaching a ridge of a material that prevents slipping to the inside of the waistband portion of the lower outer garment, as is often applied to suit trousers, was considered (Patent Document 1) . In addition, items such as garter belts that are worn on the legs and then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outerwear are fixed by inserting the connected clips, or separate items such as belts with silicone pads or belts with clips that are worn inside the outerwear of the lower garments are used. A method of doing so was also considered (Patent Document 2).

한편, 종래의 기능성 속옷으로 개발된 것은, 속옷의 입체감을 살려 착용감을 향상시키거나, 속옷 내의 통풍을 양호하게 하는 것과 같이, 속옷의 착용감이나 건강에 관한 기능성이 주로 고려되어 왔다(특허문헌 3). 그러나, 위와 같이 상의 겉옷이 빠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하의 속옷에 직접 구현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고려된 적이 없었다.On the other hand, what has been developed as a conventional functional underwear has been mainly considered for functionality related to comfort and health of the underwear, such as improving the comfort of wearing by utiliz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underwear or improving ventilation within the underwear (Patent Document 3). . However, a technology for directly implementing the function for preventing the outer garment from falling off as described above into the lower underwear has not yet been considered.

실용신안출원공개공보 제20-1995-0000168호Utility Model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995-0000168 등록특허 제10-1200887호Registered Patent No. 10-1200887 등록특허 제10-2118454호Registered Patent No. 10-2118454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하의 겉옷에 미끄럼 방지 재질을 덧대는 방법만으로는, 격한 활동을 한다거나 생활 속에서 앉고 일어서를 반복하면서 상의 겉옷이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곤란했다. 또한, 특정 하의 겉옷에 미끄럼 방지 재질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결국 미끄럼 방지 재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하의 겉옷을 입을 때는 여전히 상의 겉옷이 쉽게 빠지는 문제가 생기는 등 범용성의 문제도 발생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reliably prevent the upper outer garment from falling off while performing vigorous activities or sitting and standing up repeatedly in daily life, only with the method of adding an anti-slip material to the lower outer garment as in Patent Document 1. In addition, since the non-slip material is formed on a specific bottom outerwear, there is also a problem of versatility, such as the problem that the upper outerwear is still easily removed when wearing another bottom outerwear without the slippery material.

그렇다고 하여, 특허문헌 2와 같이 별도의 아이템을 착용하는 방법은, 아이템이 겉옷에 비쳐 보이거나 그 모양대로 겉옷에 돌출되어 보이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게 되고, 속옷 외에 별도로 착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성가실 뿐만 아니라 불편한 착용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공중목욕탕이나 수영장 등 공동 시설에서 탈의할 때에 타인의 따가운 시선을 느끼게 되어 사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However, the method of wearing a separate item as in Patent Document 2 is not only cumbersome but also inconvenient because the item is visible through the outer garment or protrudes from the outer garment in its shape, which is not aesthetically pleasing, and is worn separately in addition to underwear feel comfortable to wear. In addition, when undressing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public baths or swimming pools, there is a problem in that people are reluctant to use it because they feel the stinging gaze of others.

한편, 하의 겉옷의 허리 부분의 내측에 미끄럼 방지 재질을 덧대는 방식을 응용하여,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 부분에 미끄럼 방지 재질을 덧대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도 있다. 그러나, 하의 겉옷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끄럼 방지 재질의 마찰력만으로는 상의 겉옷을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a method of attaching an anti-slip material to the waist band of the lower garment may be considered by applying a method of padding the anti-slip material to the inside of the waist of the lower outerwear. However, similar to the case of the lower outerwe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liably fix the upper outerwear only with the frictional force of the non-slip material.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의 겉옷이 쉽게 빠지지 않는 기능을 갖는 독특한 구조를 하의 속옷에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하의 겉옷을 착용하더라도 상의 겉옷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별도의 아이템을 사용하는 불편함을 방지하는 기능성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 및 그러한 허리 밴드가 적용된 하의 속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implementing a unique structure having a function in which the upper outerwear does not easily fall out in the lower underwear, so that the upper outerwear is prevented from easily falling out even if the user wears any lower outerwear, and a separate it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ist band for underwear for functional undergarments that prevents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waist band and an undergarment to which such a waist band is applied.

본 발명의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는, 하의 속옷의 원단부와 연결되는 허리 밴드로서, 하의 속옷의 최상단을 이루며, 신축성을 갖는 허리띠 형상의 제 1 탄성부, 신축성을 갖는 허리띠 형상의 제 2 탄성부 및 제 1 탄성부의 일측 둘레와 제 2 탄성부의 일측 둘레와 연결되는 허리띠 형상의 연결부로 구성되고, 제 2 탄성부의 일측 둘레의 반대측인 타측 둘레가 하의 속옷의 원단부와 연결가능하고, 연결부를 경계로 하여 제 1 탄성부의 내측이 외측으로 드러나도록 접혀짐으로써, 제 1 탄성부와 제 2 탄성부 사이에서 다른 옷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ist band for lower under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ist band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lower underwear, and forms the uppermost part of the lower underwear, and includes a first elastic part having a waistband shape having elasticity and a second elastic part having a waistband shape having elasticity. and a waistband-shape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one circumference of the first elastic part and on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elastic part, and the other circumference opposite to on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elastic part is connectable to the distal end of the lower underwear,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connection part By being folded so that the in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other clothes can be fixed between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second elastic part.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는, 연결부의 탄성력이 제 1 탄성부의 탄성력 및 제 2 탄성부의 탄성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waist band for lower underwe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part is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part.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는, 하의 속옷의 허리 사이즈에 맞도록 상기 연결부의 둘레의 길이가 설정되거나 연신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waist band for the lower underwe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art is set or stretchable to fit the waist size of the lower underwear.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는, 하의 속옷의 상하 방향에 따른 연결부의 폭이 제 1 탄성부의 폭 및 제 2 탄성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waist band for the lower underwe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ar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wer underwear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width of the second elastic part.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는, 제 1 탄성부 및 제 2 탄성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에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waist band for the lower underwear is characterized in that a non-slip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제 1 탄성부 및 제 2 탄성부 모두에 형성되고, 제 1 탄성부가 접혀졌을 때, 제 1 탄성부의 미끄럼 방지부와 제 2 탄성부의 미끄럼 방지부가 서로 겹쳐져서 닿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on-slip part is formed on both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second elastic part, and when the first elastic part is folded, the non-slip part of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non-slip part of the second elastic part overlap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not to touch.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는, 연결부의 두께가, 제 1 탄성부의 두께 및 제 2 탄성부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waist band for lower underwe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art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astic part.

본 발명의 하의 속옷은, 상술한 특징을 갖는 허리 밴드와, 허리 밴드의 제 2 탄성부의 타측 둘레와 연결된 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nder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aist band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and a distal end connect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part of the waist band.

본 발명의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가 적용된 하의 속옷은, 별도의 아이템을 사용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어떠한 하의 겉옷을 착용하더라도 상의 겉옷을 하의 겉옷에 넣어 입을 때 쉽게 빠지지 않고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에 상의 겉옷의 밑단이 고정되므로, 상의 겉옷이 비교적 짧은 경우에도 고정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의 속옷에 넣어 입은 상의 겉옷의 밑단이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 부분을 확실하게 덮게 되므로, 하의 겉옷이 조금 내려갔을 때에도 하의 속옷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효과를 갖는다.The lower underwear to which the waist band for lower under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a remarkable effect of firmly fixing the upper outer garment without easily falling out when the user wears any lower outer garment without the need to use a separate item. have In addition, since the hem of the outer garment is fixed to the waist band of the lower underwear, it has an effect of being easy to fix even when the upper outer garment is relatively short. In addition, since the hem of the upper outerwear put into the lower underwear securely covers the waistband portion of the lower underwear,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lower underwear from being exposed even when the lower outerwear is slightly lowe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로서, 하의 속옷을 착용하기 전의 허리 밴드의 태양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로서,하의 속옷을 착용한 후의 접혀진 허리 밴드의 태양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허리 밴드를 적용한 하의 속옷을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의 속옷을 착용한 후 상의 겉옷을 넣어 입은 상태의 단면도로서, 상의 겉옷의 밑단을 1 회 접은 후 고정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의 속옷을 착용한 후 상의 겉옷을 넣어 입은 상태의 단면도로서, 상의 겉옷의 밑단을 2 회 접은 후 고정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로서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허리 밴드를 도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에 있어서, 연결부의 두께가 제 1 탄성부 및 제 2 탄성부의 두께와 동등한 태양을 도시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에 있어서, 연결부의 두께가 제 1 탄성부 및 제 2 탄성부의 두께보다 얇은 태양을 도시한다.
1 is a waist band of a lower under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aspect of the waist band before wearing the lower underwear.
2 is a waist band of a lower under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aspect of the folded waist band after wearing the lower underwear.
3 shows a lower underwear to which a waist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upper outerwear is put on after wearing the lower under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hem of the upper outerwear is folded once and then fixed.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n upper outerwear is put on after wearing a lower under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hem of the upper outerwear is folded twice and then fixed.
5 illustrates a waist band having an anti-slip portion as a waist band of a lower underwe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shows an aspect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art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second elastic part in the waist band of the lower underwe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shows an aspect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art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second elastic part in the waist band of the lower underwe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tex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를 도시한다. 그 중 하의 속옷을 착용하기 전의 허리 밴드(100)의 태양이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하의 속옷을 착용한 후의 접혀진 허리 밴드(100)의 태양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1 and 2 show a waist band of a lower under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m, an aspect of the waist band 100 before wearing the lower underwear is shown in FIG. 1 and an aspect of the folded waist band 100 after wearing the lower underwear is shown in FIG. 2 .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허리 밴드(100)는 각각 허리띠 형상을 갖는 제 1 탄성부(110), 제 2 탄성부(120) 및 연결부(130)로 구성되고, 제 1 탄성부(110)의 일측 둘레와 제 2 탄성부(120)의 일측 둘레가 연결부(130)와 연결된다. 제 1 탄성부(110)는 하의 속옷의 최상부를 이루고, 제 2 탄성부(120)는 연결부(130)와 연결된 일측 둘레의 반대측인 타측 둘레가 파선으로 도시된 하의 속옷의 원단부(140)와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의 속옷을 착용한 후에는, 허리 밴드의 연결부(130)를 경계로 하여, 제 1 탄성부의 내측(110b)이 외측으로 드러나도록 접을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접혀진 상태의 제 1 탄성부(110)가 제 2 탄성부(120)의 외측을 완전히 덮지 않고 있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탄성부(110)가 제 2 탄성부(120)에 맞게 덮혀지거나 제 2 탄성부(120)의 외측을 초과하여 덮도록, 제 1 탄성(110)부, 제 2 탄성부(120) 및 연결부(130)의 폭을 조정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ist band 100 is composed of a first elastic part 110, a second elastic part 120 and a connecting part 130 each having a waistband shape, and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110 The circumference and the circumference of one side of the second elastic part 12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30 . The first elastic part 110 forms the uppermost part of the lower underwear,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has the distal end 140 and Connected. As shown in FIG. 2 , after wearing the lower underwear, it may be folded so that the inner side 110b of the first elastic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 the connection part 130 of the waist band as a boundary. In FIG. 2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elastic part 110 in a folded state does not completely cover the outside of the second elastic part 120,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m, and the first elastic part 110 is the second elastic part 110. Widths of the first elastic part 110, the second elastic part 120, and the connection part 130 may be adjusted so that they are covered to fit the elastic part 120 or cover the outside of the second elastic part 120. .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는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며,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에서는, 장력을 가하면 그 이완된 길이의 25% 이상 연신될 수 있고, 장력이 제거되면 단시간 내에 그 연신율의 10% 이상을 회복할 수 있는 재료 또는 복합물로 구성된다. 또한,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는 탄성 재료를 함유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 재료는 당업계에 공지된 재료로서 천연 성분, 합성 성분 및 그 중합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탄성 재료는, 상온에서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물질로서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스판덱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올레핀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상술한 연신율 및 회복율, 또는 상술한 성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서,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에 사용되는 재료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in one exemplary embodiment, when tension is applied, they can be stretched by 25% or more of their relaxed length, and the tension is removed. It consists of a material or composite capable of recovering at least 10% of its elong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may include a part containing an elastic material. The elastic material is a material known in the art and may be selected from natural ingredients, synthetic ingredients, and polymers thereof. The elastic material may contain at least one of natural rubber, synthetic rubber, polyester, polyurethane (spandex),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polyolefin as a polymer material that exhibits rubber elasticity at room temperatur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longation rate and recovery rate or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and a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y material used for a waist band of a lower underwear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는 서로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서로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착용감 면에서는 제 1 탄성부(110)의 탄성력이 제 2 탄성부(120)의 탄성력보다 미세하게 작은 경우가, 착용시에 복부를 압박하는 느낌이 덜 하다는 면에서 바람직하지만, 제조 또는 실용적인 면에서는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의 탄성력이 동일한 경우도 좋다.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In terms of wearing comfort, the case where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part 110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part 120 is preferable in terms of less pressure on the abdomen when worn, but in terms of manufacturing or practical It may also be the case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1st elastic part 110 and the 2nd elastic part 120 is the same.

연결부(130)는, 하의 속옷에 사용되는 공지의 재료로서 탄성 재료 또는 비탄성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하의 속옷의 원단부(140)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연결부(130)는 신축성을 갖도록 탄성 재료를 함유할 수도 있다. 다만, 연결부(130)에 신축성을 갖도록 하더라도, 연결부의 탄성력이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의 탄성력보다는 작게 하는 편이, 연결부(130) 부분을 쉽게 접히게 하고, 허리 밴드가 접힌 상태에서 보다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portion 130 may contain at least one of an elastic material or an inelastic material as a known material used for lower underwear. The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distal end 140 of the lower underwear. The connecting portion 130 may contain an elastic material to have elasticity. However, even if the connecting portion 130 has elasticity, if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110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120, the connecting portion 130 can be easily folded, and the waist This is preferable in that the band can be fixed more reliably in a folded state.

연결부(130)가 신축성을 갖는 경우 혹은 신축성을 갖지 않는 경우의 모두에 있어서, 허리 밴드를 잡아당겨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와 함께 연신되었을 때 하의 속옷의 허리 사이즈에 맞도록 연결부(130)의 둘레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허리 밴드가 연신되지 않았을 때(도 1의 상태)에는 외관상 연결부(130)에 주름이 질 수도 있다.In both cases where the connection part 130 has elasticity or does not have elasticity, the waist size of the undergarment when the waist band is pulled and stretched together with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art 130 sufficiently long to fit. Therefore, when the waist band is not stretched (the state of FIG. 1 ), wrinkles may appear on the connecting portion 130 .

제 1 탄성부(110), 제 2 탄성부(120), 및 연결부(130)의 각각의 폭(도 1 및 도 2에서 상하 방향)은 디자인, 착용감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의 폭이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무방하다. 하의 속옷을 착용할 때에 제 1 탄성부(110)가 외측으로 접혀져 제 2 탄성부(120)와 겹쳐지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허리 밴드(100)의 전체의 폭을 종래의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보다는 좁게 하는 편이 미관상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 1 탄성부(110) 또는 제 2 탄성부(120)의 폭을 지나치게 좁게 하면, 착용감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폭을 선택하면 된다. 연결부(130)의 폭은 제 1 탄성부(110) 또는 제 2 탄성부(120)의 폭에 비해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130)는 허리 밴드(100)가 접히는 부분이므로 미관을 고려하여 가능한 좁은 폭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동시에 제 1 탄성부(110)를 허리 밴드(100)에 지지하는 기능을 하므로 연결부(130)의 재질 및 미관 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절하게 폭을 선택하면 된다.The respective widths of the first elastic part 110, the second elastic part 120, and the connection part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S. 1 and 2)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design, fit, and the like. The widths of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When the lower underwear is worn, the first elastic part 110 is folded outward and overlaps the second elastic part 120.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entire width of the waist band 100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waist band of the lower underwear. It is aesthetically preferable to do so. However, if the width of the first elastic part 110 or the second elastic part 120 is too narrow, a problem may arise in wearing comfort, so the width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The width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110 or the second elastic portion 120 .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part 130 is a part where the waist band 100 is folded, it is desirable to have a narrow width as much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s, but at the same time, since it functions to support the first elastic part 110 to the waist band 100. The width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and aesthetics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허리 밴드를 적용한 하의 속옷(200)을 도시한다. 도 3에서, 허리 밴드(100)의 제 1 탄성부(110)는 도 2와 같이 연결부(130)를 경계로 하여 접혀져 있어 제 2 탄성부(120)를 덮고 있고(도 1과 같이 제 1 탄성부의 접혀지기 전의 상태는 파선으로 표시), 제 2 탄성부(120)에서 연결부(130)와 연결된 부분의 반대측이 하의 속옷의 원단부(140)와 연결된다.3 shows a lower underwear 200 to which a waist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FIG. 3, the first elastic part 110 of the waist band 100 is folded along the connection part 130 as a boundary as shown in FIG. 2 and covers the second elastic part 120 (as shown in FIG. 1 the first elastic The state before folding of the part is indicated by a broken line),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pa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30 in the second elastic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140 of the lower underwear.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의 속옷(200)이 팬티와 같은 언더웨어이거나 거들과 같은 파운데이션인 경우에는, 원단부(120)는 전면 부재(141)와 후면 부재(142)로 구성되며, 허리 밴드(100)와 연결되는 상측 개구부 및 양 다리를 통과시키는 2 개의 하측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전면 부재(141)와 후면 부재(142)가 재봉되어 연결될 수 있고, 그 후 상측 개구부가 허리 밴드(100)의 제 2 탄성부(120)에 재봉됨으로써 허리 밴드(100)와 원단부(120)가 결합된 하의 속옷이 형성될 수 있다. 또다른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면 부재(141) 및 뒷판 부재(142)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거나, 혹은 전면 부재(141)는 음부를 덮는 부분에만 형성되고 후면 부재(142)가 전면까지 연장되어 전면 부재(141)와 연결될 수도 있다. In one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undergarment 200 is underwear such as panties or foundation such as a girdle, the distal end 120 is composed of a front member 141 and a rear member 142, and a waist band. The front member 141 and the rear member 142 may be connected by sewing to form an upper opening connected to 100 and two lower openings passing both legs, and then the upper opening is formed of the waist band 100. By sewing to the second elastic part 120, a lower underwear in which the waist band 100 and the distal end 120 are combined may be formed.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front member 141 and the back plate member 142 may be integrally formed, or the front member 141 is formed only in a portion covering the pubic region and the rear member 142 is formed on the front side. It may extend up to and be connected to the front member 141.

또한,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의 속옷(200)이 파니에 같은 속치마 형태의 란제리인 경우에는, 원단부(120)는 전면 부재(141)와 후면 부재(142)가 일체 혹은 별개로 구성되며, 허리 밴드(100)와 연결되는 상측 개구부 및 양 다리를 통과시키는 1 개의 하측 개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ne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undergarment 200 is lingerie in the form of an underskirt such as a pannier, the front member 141 and the rear member 142 of the distal end 120 are configured integrally or separately. And, an upper opening connected to the waist band 100 and one lower opening passing both legs may be formed.

원단부(120)는, 하의 속옷(200)에 사용되는 공지의 재료로서 탄성 재료 또는 비탄성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할 수 있다. 원단부(120)는, 면, 마, 실크와 같은 천연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나일론, 레이온과 같은 합성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할 수 있으나, 이러한 성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의 속옷의 원단부에 사용되는 공지의 재료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The distal end 120 may contain at least one of an elastic material or an inelastic material as a known material used for the lower underwear 200 . The fabric part 120 may contain at least one of natural fibers such as cotton, hemp, and silk, or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ester, polyurethane, nylon, and rayon, but is not limited to these components, and is used for lower underwear. Any known material used for the far e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이상 하의 속옷(200)이 언더웨어, 파운데이션 및 란제리인 경우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위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의 속옷의 각각의 종류에 있어서 공지의 원단부의 형태 및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each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where the lower underwear 200 is underwear, foundation, and lingeri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known end portion can be applied to each type of lower underwear. there is.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의 속옷(200)을 착용한 후 상의 겉옷(150)을 넣어 입은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의 허리 밴드(100) 또는 도 3의 허리 밴드(100; 실선 부분)와 같이, 제 1 탄성부(110)를 외측으로 접고, 상의 겉옷(150)의 밑단을 접어서 제 1 탄성부(110)와 제 2 탄성부(120)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측으로부터, 제 2 탄성부(120), 상의 겉옷(150), 제 1 탄성부(110), 상의 겉옷(150), 하의 겉옷(160)의 순서대로 위치하게 된다.4(a) and 4(b) show cross-sectional views of a state in which an outer garment 150 is put on after wearing a lower underwea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like the waist band 100 in FIG. 2 or the waist band 100 in FIG. 3 (solid line portion), the first elastic part 110 is folded outward and the hem of the outer garment 150 is folded. It may be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 Therefore, from the skin side, the second elastic part 120, the upper outer garment 150, the first elastic part 110, the upper outer garment 150, and the lower outer garment 160 are positioned in this order.

상의 겉옷(150)의 밑단은 도 4(a)와 같이 1 회 접혀진 상태에서 허리 밴드(100)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의 겉옷(150)의 밑단이 긴 경우에는 도 4(b)와 같이 2 회 접혀진 상태에서 허리 밴드(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허리 밴드(100)의 제 1 탄성부(110)와 제 2 탄성부(120)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한 마찰력이 상의 겉옷(150)의 밑단을 고정시켜 잘 빠지지 않게 한다. 또한, 상의 겉옷(150)의 밑단이 1 회 또는 2 회 접힌 상태에서 허리 밴드(100)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의 겉옷(150)이 위로 잡아당겨질 경우에, 상의 겉옷(150)의 밑단이 접힌 상태에서 펴지는 힘에 반발하는 섬유의 저항력, 그리고 하의 겉옷(160),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로 인해 상의 겉옷(150)의 밑단에 다중으로 작용되는 압력과 마찰력이 함께 더해지기 때문에, 상의 겉옷(150)의 밑단을 보다 단단하게 고정시켜 잘 빠지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한다.The hem of the outer garment 150 may be fixed to the waist band 100 in a state of being folded once as shown in FIG. It can be fixed to the waist band 100 in a folded state. In either case of FIGS. 4 (a) and 4 (b),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pressure acting between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of the waist band 100 is the outer garment ( 150) to fix the hem so that it does not come off easily. In addition, since the hem of the outer garment 150 is fixed to the waist band 100 in a state of being folded once or twice, when the outer garment 150 is pulled up, the hem of the outer garment 150 is folded. The resistance force of the fibers against the force being stretched from the outer garment 160,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and the pressure and frictional force applied to the hem of the upper outer garment 150 in multiple ways. Since this is added together, it functions to more firmly fix the hem of the outer garment 150 so that it does not come off easily.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할 때, 상의 겉옷(150)은 하의 속옷(200)의 적어도 허리 밴드(100) 부분, 엄밀하게는 제 1 탄성부(110) 및 연결부(130) 부분을 확실하게 덮게 되므로, 하의 겉옷(160)이 허리 부분에서 조금 내려간다고 해도 하의 속옷(200)이 노출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outer garment 150 reliably secures at least the waist band 100 portion of the lower underwear 200, strictly speaking, the first elastic portion 110 and the connection portion 130 portion. Since it is covered, even if the lower outer garment 160 goes down a little from the waist, the lower underwear 200 is not exposed.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300)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허리 밴드(300)는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에 미끄럼 방지부(17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미끄럼 방지부(170)가 형성됨으로써, 상의 겉옷(150)의 밑단이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170)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머 필름 등 마찰 계수가 높은 재료를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 상에 형성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이 요철을 이루는 형태일 수도 있고, 제 1 탄성부(110) 또는 제 2 탄성부(120) 자체를 마찰 계수가 높은 재료로 제조한 형태일 수도 있다.5 shows a waist band 300 of a lower underwe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waist band 300 may form an anti-slip portion 170 on the outsid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110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120 . By forming the non-slip portion 170, the hem of the outer garment 150 can be more securely fixed. As the non-slip portion 170,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 coefficient such as silicone rubber or an elastomer film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110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120. Or,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may be in the form of a concave-convex shape, or the first elastic part 110 or the second elastic part 120 itself may be rubbed. It may be of a form made of a material with a high modulus.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부(170)는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부(170)가 제 1 탄성부(110)와 제 2 탄성부(120)의 둘레를 따라 2 줄씩 파선 혹은 점선의 원주를 그리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탄성부(110)를 접었을 때 양측의 미끄럼 방지부(170)가 서로 겹쳐져서 닿지 않도록 양측의 미끄럼 방지부(170)의 간격을 조정하면, 제 1 탄성부(110)를 접었을 때 미끄럼 방지부(170)끼리 겹쳐져서 허리 밴드(300) 부분의 두께가 의도하지 않게 증가되는 것이 억제되고, 상의 겉옷(150)을 보다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만, 위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미끄럼 방지부(170)가 제 1 탄성부 및 제 2 탄성부 중 적어도 하나의 둘레를 따라 1 줄 혹은 3 줄 이상씩 형성될 수도 있고, 실선, 쇄선의 형태를 갖거나 면 형태로 분포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의류에 미끄럼 방지 기능의 재질을 덧댈 때의 공지의 패턴으로 형성도 가능하고, 미끄럼 방지 기능을 할 수 있는 제한없는 형태로 미끄럼 방지부(170)의 형성이 가능하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non-slip portion 170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110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12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non-slip portion 170 may be formed to draw a circumference of a broken line or a dotted line by two lines along the circumferences of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may be In this cas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non-slip parts 170 on both sides is adjusted so that the non-slip parts 170 on both sides do not overlap and touch each other when the first elastic part 110 is folded, the first elastic part 110 is folded. When the non-slip parts 17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unintentional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waist band 300 is suppressed, and the outer garment 150 can be more firmly fix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nd the non-slip portion 170 may be formed in one line or three or more lin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second elastic part, ,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hain line or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plane, and in general, it may be formed in a known pattern when adding a material with an anti-slip function to clothing, and in an unlimited form that can function as an anti-slip function Formation of the non-slip portion 170 is possible.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에서 서로 다른 연결부(130)의 두께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탄성부(110)를 외측으로 접은 상태, 즉 연결부(130)가 접혀진 상태에서, 제 1 탄성부(110)가 접힌 상태를 잘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제 1 탄성부(110)와 제 2 탄성부(120) 사이에 개재되는 상의 겉옷(150)의 밑단을 고정하는 힘이 약해질 우려가 있고, 또한 연결부(130)의 접혀진 부분이 돌기를 형성하게 되어 피부를 자극하거나 겉옷이 얇을 경우 밖으로 돌출되어 보일 가능성도 있다.6(a) and 6(b) show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connection parts 130 in the waist band of the lower under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a) and 4(b),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astic part 110 is folded outward,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130 is folded, the first elastic part 110 If it does not maintain the folded state well, there is a concern that the force for fixing the hem of the outer garment 15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will be weakened, and also the connection part ( 130) may form a protrusion, which may irritate the skin or protrude outward if the outerwear is thin.

관련하여,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부(130)의 두께는 도 6(a)와 같이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의 두께와 동등하다. 예를 들어, 연결부(130)의 재료가 탄성력이 없거나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보다 탄성력이 낮은 경우에는, 연결부(130)의 두께를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의 두께와 동등하게 하더라도, 연결부(130)가 비교적 잘 접힐 수 있기 때문에, 하의 속옷(200)을 착용했을 때 제 1 탄성부(110)가 접힌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다.In this regard, 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110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120 as shown in FIG. 6 (a). For example, when the material of the connection part 130 has no elasticity or the elasticity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art 130 is set to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astic part 120 is the same, since the connection part 130 can be folded relatively well, the first elastic part 110 can well maintain the folded state when the lower underwear 200 is worn. there is.

또다른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부(130)의 두께는 도 6(b)와 같이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의 두께보다 얇다. 예를 들어, 연결부(130)의 재료가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의 재료와 동일하거나,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의 재료와 동등한 탄성력을 갖는 경우에는, 하의 속옷(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제 1 탄성부(11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연결부(130)의 두께를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보다 충분히 얇게 하게 되면, 연결부(130)의 굽힘 탄성계수가 작아지게 되므로, 접힌 상태에 있는 연결부(130)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결국 하의 속옷(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제 1 탄성부(110)가 접힌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다.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art 130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as shown in FIG. 6(b). 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connection part 130 is the same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or the material of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In the case of having the same elastic forc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of the first elastic part 110 while wearing the lower underwear 200 . Theref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sufficiently thinner than the first elastic portion 110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120, the bending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reduced,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130 in a folded state ) is lowered, so that the first elastic part 110 can maintain the folded state well when the lower underwear 200 is worn.

따라서, 연결부(130)에 있어서, 탄성력에 따른 재료를 선택하거나, 또는 연결부(130)의 제 1 탄성부(110) 및 제 2 탄성부(120)에 대한 상대적인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제 1 탄성부(110)가 접힌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의 겉옷(150)의 밑단을 보다 단단하게 고정시켜 잘 빠지지 않게 하고, 또한 연결부(130)가 접힌 부분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onnection part 130, by selecting a material according to the elastic force or adjusting the relativ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art 130 with respect to the first elastic part 11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0, the first elastic part Since the 110 can maintain the folded state well, the hem of the upper outer garment 150 is more firmly fixed so that it does not come off easily, and the formation of protrusions at the folded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30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은, 하의 속옷의 허리 밴드의 탄성력을 상의 겉옷의 고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리 밴드의 구조를 독특하게 형성한 것으로서, 상의 겉옷을 하의 겉옷에 넣어 입을 때 쉽게 빠지지 않고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고, 허리 부분 혹은 골반 부분에서 상의 겉옷의 밑단이 고정되기 때문에 상의 겉옷이 비교적 짧은 경우에도 고정이 용이하며, 고정을 위한 별도의 아이템도 필요하지 않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waist band is uniquely formed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waist band of the lower underwear can be used to fix the upper outer garment, and when the upper outer garment is put into the lower outer garment, it can be firmly fixed without easily falling out, and the waist part Alternatively, since the hem of the upper outerwear is fixed at the pelvis, it is easy to fix even when the upper outerwear is relatively short, and a separate item for fixing is not required.

본 발명에 있어서 하의 속옷으로서, 언더웨어, 란제리, 파운데이션이 예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용어에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의 겉옷 내에 입을 수 있는 다양한 변형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의 속옷용의 허리 밴드는, 하의 속옷에 있어서 허리 밴드 부분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의 속옷의 원단부가 허리 밴드 부분까지 연장되어 허리 밴드의 기능을 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lower underwear, underwear, lingerie, and foundation are exemplified, but the scope is not limited to these terms, and may include various variations that can be worn inside the lower outer garment. In addition, the waist band for the lower under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ot only a case where the waist band portion of the lower underwear is clearly distinguished, but also a case where the distal end of the lower underwear extends to the waist band portion and functions as a waist band.

본 출원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사이에" 등과 같은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the like,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구성하다", "가지다", "함유하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구성요소, 성분, 특징, 단계, 동작,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als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have,” “include,”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component, component, feature, step, operation,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but that one or th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the above other feature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본 출원에서 사용된 임의의 예시, 또는 임의의 실시형태는 다른 예시들 또는 실시형태들에 비하여 반드시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다양하게 변경 및 개량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범위와 그 균등물에 상응하는 최광의의 변경 및 개량을 포함한다.Any example or any embodiment used in this application is not necessarily to be construed as preferred or advantageous over other examples or embodiment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is invention covers the widest possible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ommensurate with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허리 밴드
110 : 제 1 탄성부
110a : 제 1 탄성부의 외측
110b : 제 1 탄성부의 내측
120 : 제 2 탄성부
130 : 연결부
140 : 하의 속옷의 원단부
141 : 전면 부재
142 : 후면 부재
150 : 상의 겉옷
160 : 하의 겉옷
170 : 미끄럼 방지부
200 : 하의 속옷
300 : 허리 밴드
100: waist band
110: first elastic part
110a: the out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110b: in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120: second elastic part
130: connection part
140: the lower end of the underwear
141: front member
142: rear member
150: top outerwear
160: bottom outerwear
170: anti-slip part
200: lower underwear
300: waist band

Claims (8)

하의 속옷의 원단부와 연결되는 허리 밴드로서,
하의 속옷의 최상단을 이루며, 신축성을 갖는 허리띠 형상의 제 1 탄성부;
신축성을 갖는 허리띠 형상의 제 2 탄성부; 및
상기 제 1 탄성부의 일측 둘레 및 상기 제 2 탄성부의 일측 둘레와 연결되는 허리띠 형상의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탄성력은, 상기 제 1 탄성부의 탄성력 및 상기 제 2 탄성부의 탄성력보다 작고,
상기 제 2 탄성부의 상기 일측 둘레의 반대측인 타측 둘레가 상기 하의 속옷의 원단부와 연결가능하고,
상기 연결부를 경계로 하여 상기 제 1 탄성부의 내측이 외측으로 드러나도록 접혀짐으로써, 상기 제 1 탄성부와 상기 제 2 탄성부 사이에서 다른 옷을 고정할 수 있는,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
As a waist band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lower underwear,
A first elastic part forming the uppermost part of the lower underwear and having a waistband shape having elasticity;
A second elastic part having a waistband shape having elasticity; and
Consisting of a waistband-shape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one circumference of the first elastic part and on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elastic part,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part is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part,
The other side circumference opposite to the one sid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elastic part is connectable to the distal end of the lower underwear,
A waist band for lower underwear, wherei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is exposed outside the connecting portion, thereby fixing other clothes between the first elastic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 속옷의 허리 사이즈에 맞도록 상기 연결부의 둘레의 길이가 설정되거나 연신가능한,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
According to claim 1,
A waist band for lower underwear, wherein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set or extendable to fit the waist size of the lower underwe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 속옷의 상하 방향에 따른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제 1 탄성부의 폭 및 상기 제 2 탄성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
According to claim 1,
A waist band for lower underwear, wherein a width of the connecting por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wer underwear is smaller than a width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and a width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부 및 상기 제 2 탄성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에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
According to claim 1,
A waist band for lower underwear, wherein a non-slip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제 1 탄성부 및 상기 제 2 탄성부 모두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탄성부가 접혀졌을 때, 상기 제 1 탄성부의 미끄럼 방지부와 상기 제 2 탄성부의 미끄럼 방지부가 서로 겹쳐져서 닿지 않도록 형성된,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
According to claim 4,
The anti-slip part is formed on both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second elastic part,
When the first elastic part is folded, the anti-slip part of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anti-slip part of the second elastic part are overlapped and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상기 제 1 탄성부의 두께 및 상기 제 2 탄성부의 두께보다 얇은,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art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astic part.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하의 속옷용 허리 밴드와,
상기 허리 밴드의 상기 제 2 탄성부의 타측 둘레와 연결된 원단부를 포함하는, 하의 속옷.
A waist band for underwea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lower underwear comprising a distal end connect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part of the waist band.
삭제delete
KR1020200094243A 2020-07-29 2020-07-29 Funtional innerwear bottoms and waistband thereof KR1025294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243A KR102529411B1 (en) 2020-07-29 2020-07-29 Funtional innerwear bottoms and waistban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243A KR102529411B1 (en) 2020-07-29 2020-07-29 Funtional innerwear bottoms and waistban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35A KR20220014535A (en) 2022-02-07
KR102529411B1 true KR102529411B1 (en) 2023-05-08

Family

ID=8025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243A KR102529411B1 (en) 2020-07-29 2020-07-29 Funtional innerwear bottoms and waistban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41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016Y1 (en) 2002-05-10 2002-08-22 옥윤선 Trousers for preventing exposure of underwear
KR101938859B1 (en) 2018-06-22 2019-01-15 이상윤 Underwear with double band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5662A (en) * 1975-06-06 1976-12-14 Kaname Yokota Men*s underwear
KR950000168U (en) 1993-06-19 1995-01-03 장원석 Non-slip band for the attachment under the clothes
JPH1072702A (en) * 1996-08-21 1998-03-17 Uizu:Kk Underwear for lower half of body having belt for restraining clothing
KR101200887B1 (en) 2011-11-30 2012-11-13 금규태 Jacket Missing prevention device type Clip.
KR20180107426A (en) * 2017-03-21 2018-10-02 양태훈 Protecting appratus for upper garment prevention and pants having the same
TWI686144B (en) * 2019-03-05 2020-03-01 衣衫衣舞股份有限公司 A pair of underpants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displacement of a garment
KR102118454B1 (en) 2019-11-04 2020-06-03 (주)라쉬반코리아 Men's underwear with functional improv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016Y1 (en) 2002-05-10 2002-08-22 옥윤선 Trousers for preventing exposure of underwear
KR101938859B1 (en) 2018-06-22 2019-01-15 이상윤 Underwear with double band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WM587445 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35A (en)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4942B2 (en) Undergarment
US8601615B2 (en) Shirt hold-down undergarment
US20060189253A1 (en) Body-shaping apparel
JP4613292B2 (en) Men's pants combined girdle
US6892399B1 (en) Womens' pant's construction with crotch panel for slimming appearance of thighs
US20190053558A1 (en) Garment clip
US11246361B1 (en) Smoothing and enhancing lower garment
US11647797B2 (en) Body shape enhancing apparatus and method
JPWO2018066504A1 (en) Lower garment
KR20170009494A (en) Pants with expanding waist
KR102529411B1 (en) Funtional innerwear bottoms and waistband thereof
JP3230438U (en) Clothing with crotch
US20100251463A1 (en) Butterfly Panty
JP2921553B2 (en) Clothing with upper body
CN217658235U (en) Soaping-resistant color fastness warm-keeping panty hose
JP2523388Y2 (en) Clothing
CN213785426U (en) Warm trousers
JP3113570U (en) Panty stocking
US11998065B2 (en) Assistive garment
KR200348651Y1 (en) Magic pants
CN216315629U (en) Anti-static long-sleeved shirt
CN215381557U (en) Work trousers with waist function of stretching out and drawing back
US20210259327A1 (en) Assistive garment
CN218960102U (en) One-piece dress with body shaping function
KR102114182B1 (en) sportswear that contains functional fabric in certain parts of the bo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