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594A -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와 함께 전력의 양방향 송신 - Google Patents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와 함께 전력의 양방향 송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594A
KR20220147594A KR1020227028998A KR20227028998A KR20220147594A KR 20220147594 A KR20220147594 A KR 20220147594A KR 1020227028998 A KR1020227028998 A KR 1020227028998A KR 20227028998 A KR20227028998 A KR 20227028998A KR 20220147594 A KR20220147594 A KR 20220147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network
switch
rectifi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롬 장 세바스띠앙 브랑기에
Original Assignee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2014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45Details regarding the feeding of energy to the node from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1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area network [LAN], e.g. Ethernet switches

Abstract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적응된 통신부 (4, 6); 통신부에 연결된 정류기 (8); 정류기에 연결된 전력 분배 버스 (14); 제 1 전력 제어기 (10); 제 2 전력 제어기 (12); 제 1 전력 제어기 (10) 에 커플링되고 연결부와 전력 분배 버스 사이에 전류들이 흐르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 1 스위치 (SW1), 및 각각이 제 2 전력 제어기 (12) 에 각각 커플링되고 전력 분배 버스에서 연결부로 전류들이 흐르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 2 스위치 (SW2) 및 제 3 스위치 (SW3) 를 포함하고, 제 2 스위치 (SW2) 는 정류기 (8) 의 정류기 엘리먼트 (D3) 와 병렬로 연결되며, 그리고 제 3 스위치 (SW3) 는 정류기 (8) 의 제 2 정류기 엘리먼트 (D1) 와 병렬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와 함께 전력의 양방향 송신
본 발명은 유선 데이터 텔레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이더넷-기반 네트워크들과 같은 많은 텔레통신 네트워크들은, 네트워킹 디바이스에 원격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사이, 예를 들어 전력 소스 장비 (power source equipment)(PSE) 와 전력공급형 디바이스 (powered device)(PD) 사이에서 전력의 송신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은 네트워킹 디바이스들이 연결되는 데이터-반송 물리 계층 (예를 들어, 이더넷 케이블) 을 통해 네트워크 전체에 걸쳐 전송될 수 있다.
일 예가 IEEE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의 IEEE 802.3af 또는 IEEE 802.3at 또는 IEEE 802.3bt 표준들에 의해 정의된 "PoE (Power over Ethernet)" 기술이다.
이 기술의 단점은 기존 PoE-호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이 역전될 수 없는 단일 방향으로만 전력 흐름을 수용하도록 구축된다는 것이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전기 부하 또는 전기 소스로서는 작용할 수 있지만, 동작 동안 이러한 역할들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는 없다.
이러한 제한들로 인해, 기존 PoE-호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은 네트워크에서 전기 소스와 전기 부하로서 교대로 사용될 수도 있는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에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기껏해야, 하나는 전력 출력용이고 다른 하나는 전력 수신용인, 2개의 PoE-호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각각의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이 솔루션은 구현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고 안전 문제들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는 2개의 인터페이스를 네트워크에 부적절하게 연결하는 위험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 데이터 텔레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가역 전기 흐름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개선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양태는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와 함께 전력의 양방향 송신을 허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적응된 통신부;
통신부에 연결되고 다이오드들과 같은 복수의 정류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정류기;
정류기에 연결된 전력 분배 버스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는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가 네트워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때 전력 분배 버스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 1 전력 제어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가 자체-전력공급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할 때 전력 분배 버스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 2 전력 제어기를 포함한다.
장치는,
제 1 전력 제어기에 커플링되고 연결부와 전력 분배 버스 사이에 전류들이 흐르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 1 스위치, 및 각각이 제 2 전력 제어기에 각각 커플링되고 전력 분배 버스에서 연결부로 전류들이 흐르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 2 스위치 및 제 3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제 2 스위치는 정류기의 정류기 엘리먼트와 병렬로 연결되고, 제 3 스위치는 정류기의 제 2 정류기 엘리먼트와 병렬로 연결된다.
유리한 양태들에 따라,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모든 가능한 기술적 조합들에 따라 고려되는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정류기는 다이오드 브리지 정류기이고, 정류기 엘리먼트들은 다이오드들이며, 제 1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정류기의 제 1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 1 다이오드의 애노드는 정류기의 제 1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 제 1 스위치는 연결부와 전력 분배 버스 사이에 연결된다.
- 제 1 전력 제어기는 연결부에서 수신된 입력 전압이 미리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할 때에만 제 1 스위치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 제 2 전력 제어기는 전력 분배 버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디바이스에 전달될 수 있는 초과 전력을 가질 때 제 2 스위치 및 제 3 스위치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 1 전력 제어기를 정류기로부터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해제하도록 구성된 부가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 2 전력 제어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원격 부하의 전기적 특성들을 결정하려고 시도할 때 부가 스위치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들은 전기 스위치들, 또는 모스펫(Mosfet)들 또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트랜지스터-기반 스위치들이다.
- 제 1 전력 제어기는 제 2 전력 제어기가 원격 부하의 전기적 특성들을 결정하려고 시도할 때 저전력 소비 모드로 자동으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라, 네트워킹 디바이스는 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킹 디바이스는 필요할 때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사이에서 전력의 전송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 네트워킹 디바이스는 전력을 전송하기에 적합한 부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추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사이, 또는 부가 인터페이스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 사이에서 전력의 전송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 네트워킹 디바이스는 3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라, 이더넷 네트워크와 같은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네트워킹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킹 디바이스는 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는 폐쇄형 데이지 체인 토폴로지 (closed daisy chain topology) 와 같은 폐쇄형 링 토폴로지를 갖는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로서만 제공되고,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설명을 읽으면 더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전기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 은 도 4 의 플로우 챠트와 함께, 도 1 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의 제 1 모드를 도시하는 전기 개략도들이다.
도 5 의 플로우 챠트와 함께, 도 6 및 도 7 은 도 1 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의 제 2 모드를 도시하는 전기 개략도들이다.
도 8 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전기 개략도이다.
도 9 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전기 개략도이다.
도 10 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전기 개략도이다.
도 11 은 실시형태들에 따른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2 는 실시형태들에 따른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각각 포함하는 수개의 네트워킹 디바이스의 간략화된 표현이다.
도 13 은 실시형태들에 따른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형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4 는 실시형태들에 따른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형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5 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전기 개략도이다.
도 16 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전기 개략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전기 개략도이다.
인터페이스 (2) 는 이더넷-기반 네트워크와 같은 유선 데이터 텔레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2) 는 전용 커넥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의 데이터-반송 물리 계층 (예를 들어, 트위스트 페어 이더넷 케이블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 에 연결될 수도 있다.
많은 실시형태들에서, 인터페이스 (2) 는 네트워킹 디바이스, 예컨대 컴퓨터,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무선 액세스 포인트, 센서, 카메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산업용 제어 디바이스, 데이터 라우팅 및/또는 스위칭 장비, 예컨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연관 (예를 들어, 이에 부착되거나 포함) 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예들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인터페이스 (2) 는 광범위한 네트워킹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2) 는 네트워크 데이터 물리 계층을 통한 전력의 송신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2) 는 IEEE 표준 802.3af, IEEE 802.3at 또는 lEEE 802.3bt 에 의해 정의된 "PoE (Power over Ethernet)" 기술과 호환된다.
바람직하게, 인터페이스 (2) 는 네트워크로 및 네트워크로부터 전력의 양방향 송신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2) 는, 인터페이스 (2) 가 네트워크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모드 (supply mode) 와, 인터페이스 (2) 가 네트워크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공급형 모드 (powered mode) 사이에서 스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모드에서, (예를 들어, 원격 네트워킹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2) 에 의해 네트워크로 전송된 전력은 인터페이스 (2) 가 일부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나온다. 그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력 소스 장비 (PSE) 로서 작용하고 있다.
유사하게, 전력공급형 모드에서, 인터페이스 (2) 에 의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전력은 인터페이스 (2) 가 일부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그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력공급형 디바이스 (powered device)(PD) 로서 작용하고 있다.
이하에서, 인터페이스 (2) 는 "양방향" Po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것이다.
도 1 의 예에서, 인터페이스 (2) 는 네트워킹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도 있지만, 그러한 디바이스의 상세들은 도면들 및 설명으로부터 생략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 디바이스는 이하에서 "로컬 디바이스" 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는 연결부 및 전기 회로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인터페이스 (2) 를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많은 실시형태들에서, 연결부는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기에 적합한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는 트위스트 페어 이더넷 케이블들, 예를 들어 CAT 5e 또는 CAT6e 이더넷 케이블들과 같은 복수의 케이블 및 와이어를 포함하는 물리 계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커넥터는 제 1 쌍의 핀들 (4) 및 제 2 쌍의 핀들 (6) 을 포함한다. 연결부는 또한 도 1 에 나타내지 않은 다른 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쌍의 핀들은 트위스트 케이블들의 쌍에 커플링되도록 적응된다.
도 1 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핀들은 ANSI/TIA-568 표준에 설명된 핀 넘버링 방식을 따를 수도 있다. 제 1 쌍의 핀들 (4) 의 핀들은 핀들 "1" 및 "2" 에 대응할 수도 있는 한편, 제 2 쌍의 핀들 (6) 의 핀들은 핀들 "3" 및 "6" 에 대응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제 1 쌍의 핀들은 핀들 "4" 및 "5" 에 대응할 수도 있는 한편, 제 2 쌍의 핀들 (6) 의 핀들은 핀들 "7" 및 "8"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는 인터페이스 (2) 의 전기 회로 및 인터페이스 (2) 가 속하는 디바이스의 데이터 프로세싱부에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엘리먼트들 (7) 을 더 포함한다.
커플링 엘리먼트들 (7) 은 데이터 신호들을 추출하고 이들을 디바이스의 데이터 프로세싱부로 포워딩하면서, 전기 회로에 베이스 신호들을 포워딩하기 위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인입 전기 신호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커플링 엘리먼트들 (7) 은 발신 신호들을 변조하고 연결부를 향해 이들을 포워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커플링 엘리먼트들 (7) 은 전압 변압기를 포함하는 자기 커플링 엘리먼트들이다. 도시된 실시형태들에서, 인터페이스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이러한 커플링 엘리먼트 (7) 를 포함한다. 제 1 코일은 한 쌍의 핀들 (4, 6) 의 핀들과 전기 회로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제 1 코일에 자기적으로 커플링된 제 2 코일은 데이터 프로세싱부 (미도시) 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커플링 엘리먼트들은 커패시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전기 인터페이스 회로는 간략화 및 단순화를 위해 간단히 "인터페이스 (2)" 로 지칭된다.
인터페이스 (2) 는 종래 방식으로 배열된, 반도체 다이오드들과 같은 복수의 다이오드 (D1, D2, D3 및 D4) 를 포함하는 다이오드 정류기 브리지 (8) 와 같은 정류기 (8) 를 더 포함한다.
단순화를 위해 설명된 예들은 다이오드들을 지칭할 것이지만, 또한 다이오드 정류기 (8) 에서의 손실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모스펫들과 같은 스위치들에 의해 또한 대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위치들은 브리지 배열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다이오드-기반 정류기들 (8) 과 관련하여 하기에서 이루어지는 설명은 다이오드들 (D1, D2, D3, 및 D4) 이 스위치들, 특히 모스펫들과 같은 반도체-기반 스위치들과 같은 정류기 엘리먼트들로 대체되는 대안의 실시형태들로 치환될 수 있다.
정류기 (8) 는 제 1 (17) 및 제 2 (19) 입력 단자들을 통해 연결부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 단자 (17) 는 제 1 쌍의 핀들 (4) 에 연결되고 제 2 입력 단자 (19) 는 제 2 쌍의 핀들 (6) 에 연결된다.
정류기 (8) 는 제 1 출력 단자 (16) 및 제 2 출력 단자 (18)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류기 (8) 는 제 1 다이오드 (D1), 제 2 다이오드 (D2), 제 3 다이오드 (D3) 및 제 4 다이오드 (D4) 를 포함한다.
제 1 다이오드 (D1) 의 캐소드는 제 1 출력 단자 (16) 에 연결되고, 제 1 다이오드 (D1) 의 애노드는 제 1 입력 단자 (17) 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제 2 다이오드 (D2) 는 제 1 출력 단자 (16) 와 제 2 입력 단자 (19) 사이에 연결되고, 그의 캐소드는 제 1 출력 단자 (16) 에 연결된다. 제 3 다이오드 (D3) 는 제 2 출력 단자 (18) 와 제 2 입력 단자 (19) 사이에 연결되고, 그의 캐소드는 제 2 입력 단자 (19) 에 연결된다. 제 4 다이오드 (D4) 는
제 2 출력 단자 (18) 와 제 1 입력 단자 (17) 사이에 연결되고, 그의 캐소드는 제 1 입력 단자 (17) 에 연결된다.
이 구성은 다이오드들이 모스펫들과 같은 스위치들로 대체되는 실시형태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2) 는 DC (직류) 전력 분배 버스 (14) 와 같은 전력 분배 버스 (14) 와 같은, 내부 전력 분배 장치 (14) 와 정류기 (8) 사이에 연결된 제 1 전력 제어기 (10) 및 제 2 전력 제어기 (12) 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출력 단자 (16) 는 전력 분배 버스 (14) 의 제 1 포인트에 연결되고 제 2 출력 단자 (18) 는 전력 분배 버스 (14) 의 제 2 포인트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포인트는 전기 접지 포인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전기 회로는 연결부를 전력 공급 유닛, 또는 내부 전력 분배 버스, 또는 디바이스의 내부 엘리먼트들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바이스는 내부 전력 분배 버스 (14) 에 연결된다.
제 1 전력 제어기 (10) 및 제 2 전력 제어기 (12) 는 이하에서 "PD 제어기 (10)" 및 "PSE 제어기 (12)" 로 지칭될 것이다.
많은 실시형태들에서, PD 제어기 (10) 및 PSE 제어기 (12) 는 전자 회로부 및/또는 프로세서-기반 제어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되는 전자 제어기들이다.
PD 제어기 (10) 및 PSE 제어기 (12) 가 반드시 별도의 디바이스들일 필요는 없으며 일부 경우들에서는 동일한 전자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PD 제어기 (10) 는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때 네트워크로부터 전력 분배 버스 (14) 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PSE 제어기 (12) 는 디바이스가 자체-전력공급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할 때 전력 분배 버스 (14) 로부터 네트워크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PD 제어기들 (10) 및 PSE 제어기들 (12) 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이들의 사양들은 위에 언급된 IEEE 표준들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본 명세서에서는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 PD 제어기 (10) 및 PSE 제어기 (12) 는 정류기 (8) 의 제 1 및 제 2 출력 단자들 (16, 18)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인터페이스 (2) 는 디바이스가 전력을 공급받지 않을 때 연결부 상의 전압을 검출할 수 있는 입력 전압 검출 장치를 포함한다. 이는 네트워크에서 PSE 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입력 전압 검출 장치는 예를 들어, 포인트들 (16) 과 PD 제어기 사이에, 정류기 (8) 와 병렬로 연결된 제 1 저항기 (R1) 를 포함한다. PD 제어기 (10) 의 대응하는 입력 단자들은 예를 들어, 단자들 (16 및 18) 사이에, 제 1 저항기 (R1) 와 병렬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저항기 (R1) 는 IEEE 표준들에 따라 PD 제어기 (10) 의 일부이거나 이와 통합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PD 제어기 (10) 는 정류기 브리지 (8) 의 출력에 연결되고 PSE 제어기 (12) 는 전력 분배 버스 (14) 에 연결된다.
인터페이스 (2) 는 PD 제어기 (10) 에 커플링된, 제어 스위치로 또한 명명되는 제 1 스위치 (SW1) 를 더 포함한다.
스위치 (SW1) 는 PD 제어기 (10) 에 의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 스위치 (SW1) 는 연결부와 전력 분배 버스 (14) 사이에 전류들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 1 스위치 (SW1) 는 버스 (14) 와 정류기 (8) 사이의 포인트 (18) 에 연결된다.
몇몇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스위치 (SW1) 는 전기기계 스위치, 또는 릴레이, 또는 전기 스위치, 또는 트랜지스터-기반 스위치, 예컨대 모스펫 또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임의의 반도체-기반 스위치일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2) 는 PSE 제어기 (12) 에 커플링된, 전류 감지 저항기로 또한 명명되는 제 2 저항기 (R2) 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2 저항기 (R2) 는 단자 (18) 와 전력 분배 버스 (14)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PSE 제어기 (12) 의 입력 핀들에 연결된다.
인터페이스 (2) 는 PSE 제어기 (12) 에 커플링되고 정류기 (8) 의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된 제 2 스위치 (SW2) 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 2 스위치 (SW2) 는 제 2 출력 단자 (18) 와 제 1 입력 단자 (17) 또는 제 2 입력 단자 (19)(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이에 (본 예에서 다이오드와 같은) 정류기 엘리먼트 (8) 와 병렬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2 스위치 (SW2) 는 정류기 브리지 (8) 의 제 3 다이오드 (D3) 와 병렬로 연결된다. 제 3 다이오드 (D3) 는 정류기의 제 2 입력 단자 (제 2 쌍의 핀들 (6) 에 연결된 입력) 와 제2 출력 단자 (18) 사이에 연결되고, 그의 캐소드는 상기 제 2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스위치 (SW2) 는 PSE 제어기 (12) 에 의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 전력이 역방향, 즉 네트워크로부터 전력 분배 버스 (14) 로 흐를 수 있지만, 전력 분배 버스 (14) 는 네트워크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방지된다.
스위치 (SW2) 는 전기기계 스위치, 또는 트랜지스터-기반 스위치, 예컨대 모스펫 또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임의의 반도체-기반 스위치일 수도 있다. 모스펫 또는 다른 반도체 기술이 IEEE 표준들에 의거하여 선호되는데, 이는 단락의 경우 스위치가 선형 모드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스위치 (SW2) 는 보호 스위치이다.
인터페이스 (2) 는 PSE 제어기 (12) 에 커플링되고 정류기 (8) 의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된 제 3 스위치 (SW3) 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 3 스위치 (SW3) 는 제 1 출력 단자 (16) 와 (제 2 스위치 (SW2) 가 연결되는 위치에 의존하여) 제 1 입력 단자 (17) 또는 제 2 입력 단자 (19) 사이의 정류기 엘리먼트 (8)(예컨대 본 예에서는 다이오드) 와 병렬로 연결된다 (즉, 제 3 스위치 (SW3) 는 제 2 스위치 (SW2) 와 동일한 입력 단자에 연결되지 않음).
예를 들어, 제 3 스위치 (SW3) 는 정류기 브리지 (8) 의 제 1 다이오드 (D1) 와 병렬로 연결된다. 제 1 다이오드 (D1) 는 정류기 (8) 의 제 1 입력 단자 (제 1 쌍의 핀들 (4) 에 연결된 입력) 과 제 1 출력 단자 (16) 사이에 연결되고, 그의 캐소드는 상기 제 1 출력 단자에 연결된다.
즉, 제 1 다이오드 (D1) 의 캐소드는 정류기 (8) 의 제 1 출력 단자 (16) 에 연결되고, 제 1 다이오드 (D1) 의 애노드는 정류기 (8) 의 제 1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스위치 (SW3) 는 PSE 제어기 (12) 에 의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 전력이 역방향, 즉 네트워크로부터 전력 분배 버스 (14) 로 흐를 수 있지만, 전력 분배 버스 (14) 는 네트워크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방지된다.
스위치 (SW3) 는 전기기계 스위치, 또는 릴레이들, 또는 전기 스위치, 또는 트랜지스터-기반 스위치, 예컨대 모스펫 또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등가의 기술들,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임의의 반도체-기반 스위치일 수도 있다.
PSE 제어기 (12) 는 전력 분배 버스 (14) 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디바이스에 전달될 수 있는 초과 전력을 가질 때 스위치 (SW3) 및/또는 스위치 (SW2) 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의 배열에 대한 대안으로서, 스위치 (SW3) 는 제 2 다이오드 (D2) 와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는 한편 스위치 (SW2) 는 제 4 다이오드 (D) 와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양방향 인터페이스의 동작은 동일하게 유지될 것이다.
도 2, 도 3 및 도 4 는 양방향 인터페이스 (2) 의 제 1 동작 모드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이 제 1 동작 모드에서는, 인터페이스 (2) 와 연관된 디바이스는 자체적으로 전기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지 않으며 인터페이스 (2) 를 통해 네트워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초기에, 전력 분배 버스 (14) 상에는 전압이 없다.
단계 (S100) 에서, 인터페이스 (2), 예를 들어 커넥터들 (4, 6)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다.
예를 들어, PoE-호환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페이스 (2) 에 연결된, 원격 네트워킹 디바이스 (예를 들어, 전력 소스 장비) 는 인터페이스 (2) 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2 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류는 입력 전압 검출 장치를 통해 (즉, 제 1 저항기 (R1) 를 통해 그리고 PD 제어기 (10) 의 감지 입력 리드를 통해) 흐른다.
PD 제어기 (10) 는 입력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미리정의된 임계치와 비교한다. 그러나, 이 스테이지에서, 스위치 (SW1) 는 개방 상태에 있고 전력 분배 버스 (14) 로 전류들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단계 (S102) 에서, 입력 전압이 미리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PD 제어기 (10) 는 스위치 (SW1) 를 폐쇄한다.
즉, PD 제어기는 연결부에서 수신된 입력 전압이 미리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할 때에만 제 1 스위치 (SW1) 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단계 (S104) 에서, 도 3 의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류들은 이제 인터페이스 회로 전체에 걸쳐 흐를 수 있고 전력 분배 버스 (14) 에 도달할 수 있다. 그 후, 전력 분배 버스 (14) 는 에너자이징된다. 인터페이스 (2) 에 연관된 로컬 디바이스는 이제 원격 PSE 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전기적으로 전력을 공급받고 전력공급형 디바이스 (PD) 처럼 거동한다.
도 5, 도 6 및 도 7 은 양방향 인터페이스 (2) 의 제 2 동작 모드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이 제 2 동작 모드에서, 인터페이스 (2) 에 연관된 로컬 디바이스는 전기적으로 전력을 공급받고 로컬 전력 소스를 포함하거나 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로컬 디바이스는 인터페이스 (2) 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원격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시도할 수도 있다.
초기에,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 분배 버스 (14) 는 로컬 전력 소스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PSE 제어기 (12) 는 또한 로컬 전력 소스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이 스테이지에서, 스위치들 (SW2 및 SW3) 은 개방된다. 전류들이 전력 분배 버스 (14) 로부터 커넥터들 (4, 6) 로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단계 (S110) 에서, PSE 제어기 (12) 는 스위치들 (SW2 및 SW3) 을 폐쇄한다.
전류들은 이제 도 7 의 화살표들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 분배 버스 (14) 에서 커넥터들 (4, 6) 로 흐를 수 있다.
단계 (S112) 에서, PSE 제어기 (12) 는 네트워크에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이 방법은 전력을 공급받을 하나 이상의 원격 디바이스의 전기적 특성들을 결정하고, 원격 디바이스가 전력을 수신할 수 있음을 보장하며, 얼마나 많은 전력이 네트워크에 전달되어야 하는지를 평가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IEEE 표준 802.3af, 802.3at 또는 802.3bt 에 설명된 PoE 서명 검출 프로세스들 및 소스 프로세스들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디폴트로, 양방향 인터페이스는 부하 모드에 있으며, 이는 제 1 PD 제어기 (10) 가 온(ON)이고 제 2 PSE 제어기 (12) 가 오프(OFF)임을 의미한다. 인터페이스 장치가 소스로 동작할 수도 있다고 결정될 때, 제 1 제어기 (10) 는 스위치 오프되거나, 적어도 저전력/무소비 모드에 있으며, 제 3 스위치 (SW3) 는 폐쇄된다. 그 후 제 2 제어기 (12) 가 스위치 온되고 IEEE 표준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스위치 (SW2) 를 제어하고 출력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전력이 제공된다.
부하 모드로 돌아가기 위해, 반대 절차가 수행된다: 제 2 제어기 (12) 를 오프로 스위칭하고, 제 3 SW3 을 개방으로 스위칭하며, 제 1 제어기를 온으로 스위칭한다.
특히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위에 설명된 방법 단계들은, PD 및 PSE 제어기들 (10, 12) 및/또는 인터페이스 장치 (2) 의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예를 들어, 마이크로제어기) 와 같은 전자 회로부 및 컴퓨터 메모리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가능 및 프로그램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들, 플래시 메모리, 또는 전자 명령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타입의 미디어) 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위의 방법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게 하는 실행가능한 머신 코드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상이하게 구현될 수도 있고 주문형 집적 회로들 (ASIC), 또는 프로그램가능 회로들, 예컨대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 또는 그 등가물들,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회로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형태들에서, PD 제어기 (10) 는 PSE 제어기 (12) 가 원격 부하의 전기적 특성들을 결정하려고 시도할 때 (예를 들어,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된 검출 및 분류 단계들 동안) 저전력 소비 모드로 자동으로 스위칭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PD 제어기 (10) 의 전류 소비가 일시적으로 감소되고 따라서 검출 및 분류 프로세스가 보다 정확한 결과를 산출한다.
양방향 인터페이스 (2) 의 다른 실시형태가 이제 위에 설명된 인터페이스 (2) 와 유사하고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양방향 PoE 인터페이스 (20) 를 도시하는,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인터페이스 (20) 는 포인트 (14) 와 입력 전압 검출 장치 사이에 부가 연결해제 스위치 (22) 가 직렬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인터페이스 (2) 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스위치 (22) 의 제 1 전극은 하이 포인트 (14) 에 연결되고 스위치 (22) 의 대향 전극은 제 1 저항기 (R1) 및 PD 제어기 (10) 의 감지 입력에 연결된다.
다시, 제 1 저항기 (R1) 는 IEEE 표준들에 따라, PD 제어기 (10) 의 일부이거나 이와 통합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스위치 (22) 는 예를 들어, PD 제어기 상에 존재하는 리셋 핀의 형태로 PD 제어기 (10) 의 일부일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20) 의 다른 엘리먼트들은 인터페이스 (2) 의 실시형태들에서와 동일하다. 이들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지니며 이들의 이전 설명이 이 실시형태로 치환될 수 있다고 하면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20) 는, 인터페이스 (20) 가 공급 모드에 있을 때, 특히 PSE 제어기 (12) 가 원격 부하의 전기적 특성들을 결정하려고 시도할 때 (예를 들어,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된 검출 및 분류 단계들 동안) 스위치 (22) 를 개방하도록 (그리고 이에 따라 정류기 브리지 (8) 로부터 PD 제어기 및 저항기 (R1) 를 연결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PD 제어기 (10) 의 전류 소비는 일시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검출 및 분류 프로세스는 보다 정확한 결과를 산출한다.
몇몇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스위치 (22) 는 전기기계 스위치, 또는 릴레이, 또는 전기 스위치, 또는 트랜지스터-기반 스위치, 예컨대 JFET 또는 모스펫 또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임의의 반도체-기반 스위치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스위치 (22) 는 디폴트로 폐쇄 상태에 있고 공급 모드에서만, 바람직하게는 검출 및 분류 프로세스 동안에만 개방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 (22) 는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제어기와 같은 인터페이스 (20) 의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양방향 인터페이스 (2) 의 다른 실시형태가 이제 위에 설명된 인터페이스 (2) 와 유사하고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양방향 PoE 인터페이스 (30) 를 도시하는, 도 9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인터페이스 (30) 는 PD 제어기 (10) 및 PSE 제어기 (12) 의 포지션들이 스와핑되었다는 점에서 인터페이스 (2) 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PSE 제어기 (12) 는 정류기 브리지 (8) 의 출력에 연결되고 PD 제어기 (10) 는 전력 분배 버스 (14) 에 연결된다. 제 1 저항기 (R1) 는 PD 제어기 (10) 의 측정 입력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지만 더 이상 정류기 브리지 (8) 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다시, 제 1 저항기 (R1) 는 IEEE 표준들에 따라, PD 제어기 (10) 의 일부이거나 이와 통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30) 의 다른 엘리먼트들은 인터페이스 (2) 의 실시형태들에서와 동일하다. 이들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지니며 이들의 이전 설명이 이 실시형태로 치환될 수 있다고 하면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이 구성은 인터페이스 (30) 가 공급 모드에 있을 때, 특히 PSE 제어기 (12) 가 원격 부하의 전기적 특성들을 결정하려고 시도할 때 (예를 들어,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된 검출 및 분류 단계들 동안) 유리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PD 제어기 (10) 의 공급 전류는 PSE 제어기 (12) 와 연관된 션트 저항기 (R2) 를 통해 흐르지 않는다.
전류 흐름을 도시하는 화살표들 (32) 에 의해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들 (4, 6) 로부터 (네트워크로부터) 오는 전류들만이 PSE 제어기 (12) 에 의해 측정된다. 결과로서, 검출 및 분류 프로세스가 더 정밀하고 정확할 수도 있다.
이제 양방향 PoE 인터페이스 장치 (40) 를 도시하는 도 10 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형태가 설명된다.
인터페이스 장치 (40) 는 제 1 인터페이스 (42) 및 제 2 인터페이스 (44) 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들 (42 및 44) 의 각각은 인터페이스 장치 (2) 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며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들 (42 및 44) 의 엘리먼트들은 인터페이스 (2) 의 실시형태들에서와 동일하다. 이들 엘리먼트들은 이들의 이전 설명이 이 실시형태로 치환될 수 있다고 하면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제 1 인터페이스 (42) 의 엘리먼트들은 인터페이스 (2) 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지닌다. 그러나, 제 2 인터페이스 (44) 의 엘리먼트들은 프라임 "'" 기호가 첨부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지닌다 (예를 들어, 제 2 인터페이스 (44) 의 PD 제어기는 PD 제어기 (10) 와 유사하고 참조 10' 로 식별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들 (42 및 44) 은 함께 연결되고 동일한 전력 분배 버스 (14) 를 공유하며 또한 동일한 전기 접지를 공유한다.
많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들 (42 및 44) 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공급 모드에 있는 한편 다른 인터페이스는 전력공급형 모드에 있거나, 양자 모두가 동일한 모드에 있을 수도 있음) .
유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는 그 개개의 제 1 및 제 2 출력 단자들이 각각 연결된, 3개, 4개 또는 그 이상과 같은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1 로 가면, 복수의 네트워킹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 (50) 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50) 는 이더넷 네트워크, 바람직하게는 PoE-호환 이더넷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 (50) 는 케이블들과 같은 유선 링크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2 및 54) 를 포함한다.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2 및 54) 는 상술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PoE-호환 양방향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 20, 30 또는 40) 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양방향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2) 중 2 이상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네트워크 (50) 는 다음 중 하나 이상과 같은, 여러 상이한 타입의 네트워킹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PoE-호환 양방향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 를 포함하는 PoE-호환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참조 번호 56),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50) 를 통해 전기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는 비-PoE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참조 번호 58),
이더넷 전용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60),
외부 전력 소스 (64) 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 소싱 장비 (62), 및
하나 이상의 배터리와 같은, PoE-호환 가역 전력 소싱 장비 (66).
예를 들어,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60) 은 라우팅 장비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50) 를 다른 텔레통신 네트워크, 예컨대 로컬 영역 네트워크 (LAN) 또는 월드 와이드 웹에 연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60) 은
원격 네트워킹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력을 전송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에만 적합한 전형적인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소싱 장비 (62) 는 외부 전력 소스 (64) 로부터 오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즉 네트워크 (50) 를 향해 지향된 전력 흐름만을 허용하도록 단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외부 전력 소스 (64) 는 전력 그리드 또는 전력 생성기와 같은 AC (교류) 전력 소스 (64) 일 수도 있다.
가역 전력 소싱 장비 (66) 는 네트워크 (50) 의 동작 동안 전기 부하 또는 전하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소싱 장비 (66) 는 재충전가능한 배터리 및 양방향 PoE 인터페이스 (2, 20, 30) 를 포함할 수도 있고, 따라서 배터리와 네트워크 (50) 사이의 가역적 전력 흐름을 허용한다.
상기 네트워킹 디바이스들의 각각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2 또는 54) 에 연결될 수도 있다.
많은 실시형태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 (52, 54) 은 링 토폴로지 또는 폐쇄 루프 토폴로지, 바람직하게는 폐쇄 데이지 체인 루프와 같은 특정 토폴로지를 갖는 네트워크 (50) 를 구축하기 위한 빌딩 블록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 (52 및 54) 은 전력과 함께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유선 링크들 (68) 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들 (58, 60 및 62) 과 같은 일부 네트워킹 디바이스들은, 전력 전용 연결 링크 (70)(즉, 전력 전송에는 적합하지만 데이터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은 유선 연결) 를 통해 및/또는 데이터 전용 연결 링크 (72)(즉, 데이터 전송에는 적합하지만 전력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은 유선 연결) 를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2 또는 54) 에 연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서, 도 12 의 삽도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타입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2) 는 3개의 양방향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 를 포함한다.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2) 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사이에서 데이터 메시지들을 라우팅하거나 릴레이하기 위한 네트워크 스위치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2) 는 추가로, 필요할 때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사이에서 전력의 전송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4 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2) 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많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제 1 타입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2) 는 예를 들어, 도 1 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형태들에 따라 3개의 양방향 PoE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52) 는 이더넷 케이블과 같은, 유선 데이터 링크에 연결하기에 적합한 3개의 전기 커넥터 (80)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들 (80) 은 8P8C 커넥터들 또는 RJ-45 커넥터들과 같은 모듈식 커넥터들이다.
각각의 커넥터 (80) 는 수신된 전기 신호들로부터 데이터 신호들을 분리하기 위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커플링 디바이스 (7) 에 연관된다.
디바이스 (52) 는 내부 데이터 링크들 또는 버스들 (84) 을 통해 커플링 디바이스들 (7) 의 데이터 프로세싱부에 연결된 이더넷 스위치 제어기 (82) 를 포함한다. 이더넷 제어기 (82) 는 커넥터들 (80) 사이에서 데이터 메시지들을 라우팅하거나 릴레이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커넥터 (80) 는 또한 내부 전력 버스 (90) 에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양방향 Po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회로 (2) 에 연관된다.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인터페이스 회로 (2) 는 전력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동작 동안 인터페이스 회로들 (2) 사이에서 전력이 전송될 때 버퍼로서 작용하도록 적응된 내부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86) 에 연결된다.
저장 디바이스 (86) 는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슈퍼 커패시터, 또는 전기화학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52) 는 또한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86) 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고 이더넷 스위치 제어기 (82) 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절연된 전력 공급장치 (8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절연된 전력 공급장치 (88) 는 안정화된 3.3 V DC 전압을 전달하여 이더넷 스위치 제어기 (82) 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절연된 전력 공급장치 (88) 는 최대 2.5kV 의 전압에 대해 절연될 수도 있다.
많은 실시형태들에서, 디바이스 (52) 는 금속 케이스 또는 몰딩된 플라스틱 케이스와 같은 디바이스 (52) 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둘러싸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는 랙(rack) 상으로, 예를 들어 전기 패널에 또는 서버 캐비닛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커넥터 (80) 및 양방향 인터페이스들의 수는 본 예에서와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 와 동일하거나 3 보다 클 수 있다. 그 경우에, 디바이스 (52) 는 결과적으로 그리고 상술한 원리들에 따라 수정된다.
다시 도 12 를 참조하면, 삽도들 (a) 및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타입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4) 는 2개의 양방향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 및 부가 인터페이스 (91), 또는 전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이는 전력 전송에 적합하다.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4) 는 상기 인터페이스들 사이에서 데이터 메시지들을 라우팅하거나 릴레이하기 위한 네트워크 스위치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4) 는 추가로 양방향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사이에서 또는 부가 인터페이스와 양방향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 사이에서 전력의 전송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부가 인터페이스는 24볼트 DC 전력과 같은 DC 전력을 반송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부가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단락 및 과부하 전류로부터 디바이스 (54) 를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전력 커넥터 (예컨대 2-핀 커넥터) 및 적절한 전기 보호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 부가 인터페이스는 데이터를 반송하는데 부적합하며 네트워크 (50) 에 또는 네트워킹 디바이스의 이더넷 포트에 직접 연결될 수 없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도 12 의 삽도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가 인터페이스 (91) 는 전력 공급 디바이스 (62 또는 66) 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수신된 전력은 그 후 예를 들어, 네트워크 (50) 에 연결된 원격 네트워킹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양방향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를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4) 에 의해 네트워크 (50) 를 향해 포워딩될 수도 있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도 12 의 삽도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가 인터페이스 (91) 는 비-PoE 디바이스 (58) 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PoE 디바이스 (58) 는 또한 비-PoE 디바이스 (58) 와의 데이터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비-PoE 디바이스 (58) 를 네트워크 (50) 에 연결하기 위해 디바이스 (54) 의 양방향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에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비-PoE 디바이스 (58) 를 디바이스 (54) 에 연결하기 위해 2개의 별도의 유선 연결 (하나는 데이터용 하나는 전력 소스용) 이 필요하다.
도 13 은 예시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4) 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많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제 2 타입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4) 의 구성은 제 1 타입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 (52) 과 유사하고 양방향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가 전력 교환에만 적합한 상이한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대체된다는 점에서 제 1 타입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 (52) 과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 1 타입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 (52) 과 같이, 제 2 타입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4) 는 이더넷 케이블과 같은 유선 데이터 링크에 연결하기에 적합한 커넥터들 (80) 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4) 는 2개의 커넥터 (80) 를 포함한다.
이더넷 스위치 제어기 (82) 는 내부 데이터 버스들 (84) 을 통해 커플링 디바이스들 (7) 에 연결되고 커넥터들 (80) 사이에서 데이터 메시지들을 라우팅하거나 릴레이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커넥터 (80) 는 또한 내부 전력 버스 (90) 에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양방향 Po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 회로에 연관된다.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인터페이스 회로 (2) 는 전력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동작 동안 인터페이스 회로들 (2) 사이에서 전력이 전송될 때 버퍼로서 작용하도록 적응된 내부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86) 에 연결된다.
디바이스 (54) 는 또한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86) 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고 이더넷 스위치 제어기 (82) 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절연된 전력 공급장치 (8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절연된 전력 공급장치 (88) 는 안정화된 3.3 V DC 전압을 전달하여 이더넷 스위치 제어기 (82) 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디바이스 (54) 는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위에 언급된 부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부가 인터페이스 (91) 는 전력 변환기 (92) 및 전력 커넥터 (94)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력 변환기 (92) 는 부스트-벅 (boost-buck) 변환기와 같은 양방향 DC/DC 변환기일 수도 있다.
전력 변환기 (92) 는 커넥터 (94) 에 연결되고 내부 전력 버스 (90) 및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86) 에 연결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 (54) 는 양방향 인터페이스들과 전력 인터페이스 사이의 전력 흐름들을 자동으로 관리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제어기와 같은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는 양방향 PoE 인터페이스 포트들 각각에서 전력이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각각의 포트가 입력 모드 또는 출력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제어 디바이스는 전력이 전력 인터페이스 상에서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전력 변환기 (92) 가 입력 모드로 설정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부스트 변환기로서 동작해야 하는지) 또는 출력 모드에 있어야 하는지 (그리고 벅 변환기로 동작해야 하는지) 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54) 는 양방향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사이에서 또는 부가 인터페이스와 양방향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레거시 디바이스들과 같은 비-PoE 네트워킹 디바이스들은, 그 후 다른 PoE-호환 네트워킹 디바이스들을 따라 네트워크 (50) 에 안전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많은 실시형태들에서, 디바이스 (54) 는 금속 케이스 또는 몰딩된 플라스틱 케이스와 같은 디바이스 (54) 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둘러싸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는 랙(rack) 상으로, 예를 들어 전기 패널에 또는 서버 캐비닛 내부) 에 장착될 수도 있다.
대안의 실시형태들에서, 커넥터들 (80) 및/또는 전력 커넥터들 (94) 의 수는 본 예에서와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 또는 그 이상보다 클 수 있다. 그 경우, 디바이스 (54) 는 결과적으로 수정된다.
상술한 실시형태들의 많은 이점들 중에서, 양방향 PoE 인터페이스들 (2, 20, 30, 40) 및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 (52, 54) 은 전력이 양자의 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는 PoE 네트워크들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은 전력공급형 디바이스들로서 또는 전력 소싱 장비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즉, 네트워크 (50) 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거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음) 네트워크 (50) 의 전력 요건들에 의존하여 동작 동안 2가지 역할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들 (52 및 54) 과 같은, 2 이상의 양방향 인터페이스 (2, 20, 30, 40) 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디바이스들은 다중 전력 소스들을 포함하고 링 또는 폐쇄형 루프 토폴로지 (예를 들어, 폐쇄형 데이지 체인 토폴로지) 와 같은, 어드밴스드 네트워크 토폴로지들을 갖는 유선 네트워크들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부하에 하나의 전력 소스만이 할당될 수 있는, 많은 일방향 PoE 디바이스들 및 네트워크들의 단점을 극복한다. 동일한 네트워크에서 다중 전력 소스들을 사용하면 동작 동안 전력 소스들 중 하나가 고장날 때와 같은, 고장의 경우 더 나은 리던던시를 제공하기 때문에 유익할 수 있다.
양방향 PoE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는 또 다른 이점은, 대안으로 동작 동안 전력 부하 및 전력 소스으로서 작용할 수도 있는, 배터리들과 같은 재충전가능한 전기 소스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이오드-기반 정류기 (8) 가 액티브 정류기 (102) 로 대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위에 설명된 인터페이스 (2) 와 유사하고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양방향 PoE 인터페이스 (100) 를 도시하는 도 16 을 참조하여, 양방향 인터페이스 (2) 의 다른 실시형태가 이제 설명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다이오드-기반 정류기 브리지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이오드들은 다이오드 정류기 (8) 의 전력 손실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모스펫들과 같은 스위치들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정류기 (102) 는 바람직하게는 브리지 배열로 연결된 스위치들과 같은, 여러 정류기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류기 (102) 는 상술한 다이오드 브리지 (8) 의 입력 및 출력 단자들과 유사한 입력 단자들 (17, 19) 및 출력 단자들 (16, 18)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스위치들은 모스펫들과 같은 반도체 스위치들이다.
많은 실시형태들에서, 스위치들은 이전에 설명된 제 2 스위치 (SW2) 및 제 3 스위치 (SW3) 를 포함하고 제 4 스위치 (SW4) 및 제 5 스위치 (SW5) 를 더 포함한다. 제 4 스위치 (SW4) 는 제 2 다이오드 (D2) 와 병렬로 (또는 이 대신에) 연결되고, 제 5 스위치 (SW5) 는 제 4 다이오드 (D4) 와 병렬로 (또는 이 대신에) 연결된다.
물론, 제 2 및 제 3 스위치들 (SW2 및 SW3) 이 시작하기 위해 제 2 및 제 4 다이오드 (D2, D4) 에 연관되는 실시형태들에서, 제 4 및 제 5 스위치들 (SW4, SW5) 은 대신 제 1 및 제 3 다이오드 (D1, D3) 와 (또는 이 대신에) 연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스위치 (SW2, SW3, SW4 및 SW5) 는 위에 설명된 다이오드 정류기 (8) 의 다이오드들 (D1, D2, D3 및 D4) 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도 있는, 다이오드 (D1, D2, D3 및 D4) 에 연관된다.
정류기가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반도체 스위치들에 기초하는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정류기는 독립형 정류기 다이오드들을 반드시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제로, 반도체 스위치들은 일반적으로 기생 다이오드와 같은,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된 내부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내부 다이오드들은 유리하게는 다이오드들 (D1, D2, D3 및 D4) 과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유리하게는 전용 정류기 다이오드들을 대체할 수도 있다.
정류기 (102) 의 스위치들 (SW2, SW3, SW4 및 SW5) 은 전자 회로부 및/또는 프로세서-기반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는, 무손실 브리지 제어기와 같은 브리지 제어기 (104) 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및 제 3 스위치들 (SW2, SW3) 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정류기 (102) 는 브리지 제어기 (104) 에 그리고 제 2 및 제 3 스위치들 (SW2, SW3) 에 커플링된 부가 제어 회로부를 포함한다. 부가 제어 회로부는 제 2 및 제 3 스위치들 (SW2 및 SW3) 의 각각이 브리지 제어기 (104) 또는 PSE 제어기 (12) 에 의해 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로직 OR 게이트 회로 (106) 는 제 2 스위치 (SW2) 의 제어 전극에 연결된다.
게이트 회로 (106) 의 제 1 입력 핀은 브리지 제어기 (104) 의 제어 출력 핀에 연결되고 게이트 회로 (106) 의 제 2 입력 핀은 PSE 제어기 (12) 의 제어 출력 핀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제 2 로직 OR 게이트 회로 (108) 는 제 3 스위치 (SW3) 의 제어 전극에 연결된다.
게이트 회로 (108) 의 제 1 입력 핀은 브리지 제어기 (104) 의 다른 제어 출력 핀에 연결되고 게이트 회로 (108) 의 제 2 입력 핀은 PSE 제어기 (12) 의 다른 제어 출력 핀 (110) 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이 제어 출력 핀은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제어기와 같은 인터페이스의 제어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도 있다.
동작 동안, 정류기 (102) 는 인터페이스 (100) 가 부하로서 작용고 있을 때, 즉 PD 제어기 (10) 가 활성화될 때에만 활성이다. 인터페이스 (100) 를 전력 소스로 동작시키기 위해, PD 제어기 (10) 가 스위치 오프되자마자 정류기 (102) 가 스위치 오프된다.
정류기 (102) 및 유사한 실시형태들은 인터페이스 (2) 의 이전에 설명된 실시형태들의 각각에 대해 다이오드-기반 정류기 (8)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차이 외에는, 양방향 인터페이스의 동작이 동일하게 유지된다.
인터페이스 (100) 의 다른 엘리먼트들은 인터페이스 (2) 의 실시형태들에서와 동일하다. 이들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지니며 이들의 이전 설명이 이 실시형태로 치환될 수 있다고 하면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양방향 인터페이스 (2) 의 다른 실시형태가 이제 위에 설명된 인터페이스 (2) 와 유사하고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양방향 PoE 인터페이스 (120) 를 도시하는, 도 15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2 쌍의 핀을 포함하는 연결부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연결부는 4쌍의 핀을 포함하고 따라서 2개의 추가 쌍의 핀들 (5 및 9) 을 포함한다.
핀들은 ANSI/TIA-568 표준에 설명된 핀 넘버링 방식을 따를 수도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쌍의 핀들 (4) 의 핀들은 핀들 "1" 및 "2" 에 대응할 수도 있는 한편, 제 2 쌍의 핀들 (6) 의 핀들은 핀들 "3" 및 "6"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제 3 쌍의 핀들 (5) 은 핀들 "4" 및 "5" 에 대응할 수도 있는 한편, 제 4 쌍의 핀들 (9) 의 핀들은 핀들 "7" 및 "8"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120) 는 2개의 부가 쌍의 핀 (5 및 9) 에 연관된 부가 정류기 (8') 를 포함한다. 상기 부가 정류기 (8') 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쌍의 핀 (4, 6) 에 연관된 정류기 (8) 와 유사하다.
부가 정류기 (8') 는 부가 쌍의 핀들 (5 및 9) 에 연결된 입력 단자들 (17' 및 19') 를 포함한다. 부가 정류기 (8') 의 제 1 및 제 2 출력 단자들은 각각 단자들 (16 및 18) 에 연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핀들의 부가 쌍과 연관되는 인터페이스 (120) 의 엘리먼트들은 핀들 (4 및 6) 의 쌍에 연관된 엘리먼트들과 유사하며 프라임 "'" 기호가 첨부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지닌다.
인터페이스 (120) 의 다른 엘리먼트들은 인터페이스 (2) 의 실시형태들에서와 동일하다. 이들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지니며 이들의 이전 설명이 이 실시형태로 치환될 수 있다고 하면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제 1 저항기 (R1) 는 도 16 에서는 보이지 않는데, 이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저항기 (R1) 가 여기에서의 경우와 같이, IEEE 표준들에 따라, PD 제어기 (10) 의 일부이거나 이와 통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부가 실시형태들에서, 연결부는 상이한 수의 핀들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타입의 커넥터가 사용될 수도 있음).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정류기들 (8 및 8') 은 도 15 의 정류기 (102) 와 같은 스위치-기반 정류기들로 대체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들 및 대안들은 새로운 실시형태들을 생성하기 위해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와 함께 전력의 양방향 송신을 허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2, 20, 30, 40) 로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를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적응된 통신부 (4, 6);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고 다이오드들 (D1, D2, D3, D4) 과 같은 복수의 정류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정류기 (8);
    상기 정류기에 연결된 전력 분배 버스 (14);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때 상기 전력 분배 버스 (14) 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 1 전력 제어기 (10);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가 자체-전력공급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할 때 상기 전력 분배 버스 (14) 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 2 전력 제어기 (12) 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전력 제어기 (10) 에 커플링되고 연결부와 상기 전력 분배 버스 사이에 전류들이 흐르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 1 스위치 (SW1), 및
    각각이 상기 제 2 전력 제어기 (12) 에 각각 커플링되고 상기 전력 분배 버스에서 상기 연결부로 전류들이 흐르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 2 스위치 (SW2) 및 제 3 스위치 (SW3)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위치 (SW2) 는 상기 정류기 (8) 의 정류기 엘리먼트 (D3) 와 병렬로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 3 스위치 (SW3) 는 상기 정류기 (8) 의 제 2 정류기 엘리먼트 (D1) 와 병렬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 (8) 는 다이오드 브리지 정류기 (8) 이고, 상기 정류기 엘리먼트들은 다이오드들이며, 제 1 다이오드 (D1) 의 캐소드는 상기 정류기 (8) 의 제 1 출력 단자 (16) 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다이오드 (D1) 의 애노드는 상기 정류기 (8) 의 제 1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SW2) 는 상기 연결부 (4, 6) 와 상기 전력 분배 버스 (14) 사이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기 (10) 는 상기 연결부에서 수신된 입력 전압이 미리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할 때에만 상기 제 1 스위치 (SW1) 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제어기 (12) 는 상기 전력 분배 버스 (14) 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디바이스에 전달될 수 있는 초과 전력을 가질 때 제 2 스위치 (SW2, SW3) 및 제 3 스위치 (SW3, SW2) 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20) 는 상기 제 1 전력 제어기 (10) 를 상기 정류기 (8) 로부터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해제하도록 구성된 부가 스위치 (22)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20) 는 상기 제 2 전력 제어기 (12) 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원격 부하의 전기적 특성들을 결정하려고 시도할 때 상기 부가 스위치 (22) 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들 (SW1, SW2, SW3) 은 전기 스위치들, 또는 모스펫(Mosfet)들 또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트랜지스터-기반 스위치들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기 (10) 는 상기 제 2 전력 제어기 (12) 가 원격 부하의 전기적 특성들을 결정하려고 시도할 때 저전력 소비 모드로 자동으로 스위칭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 20, 30, 40)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디바이스 (52, 54) 로서,
    상기 네트워킹 디바이스는 필요할 때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사이에서 전력의 전송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킹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킹 디바이스 (54) 는 전력을 전송하기에 적합한 부가 인터페이스 (91) 를 더 포함하고, 추가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2, 20, 30, 40) 사이, 또는 상기 부가 인터페이스 (91) 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2, 20, 30, 40) 중 하나 사이에서 전력의 전송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킹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킹 디바이스 (52) 는 3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디바이스.
  12. 복수의 네트워킹 디바이스 (52, 54, 66) 를 포함하는, 이더넷 네트워크와 같은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 (50) 로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킹 디바이스는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2, 20, 30, 40) 를 포함하는,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 (50).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폐쇄형 데이지 체인 토폴로지와 같은 폐쇄형 링 토폴로지를 갖는,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 (50).
KR1020227028998A 2020-02-26 2021-01-11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와 함께 전력의 양방향 송신 KR20220147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305184.2A EP3873027A1 (en) 2020-02-26 2020-02-26 Bidirectional transmission of electrical power along with data over a wir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20305184.2 2020-02-26
PCT/EP2021/050339 WO2021170300A1 (en) 2020-02-26 2021-01-11 Bidirectional transmission of electrical power along with data over a wir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594A true KR20220147594A (ko) 2022-11-03

Family

ID=6978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998A KR20220147594A (ko) 2020-02-26 2021-01-11 유선 텔레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와 함께 전력의 양방향 송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84285A1 (ko)
EP (1) EP3873027A1 (ko)
JP (1) JP2023515967A (ko)
KR (1) KR20220147594A (ko)
CN (1) CN115066866A (ko)
AU (1) AU2021226668A1 (ko)
CA (1) CA3166713A1 (ko)
WO (1) WO2021170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4705A1 (de) 2022-09-26 2024-03-2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Netzwerkgerät und System mit bidirektionaler Energieversorgun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3532B2 (en) * 2005-07-27 2008-05-13 Cisco Technology, Inc. Inline power controller
EP1980050B1 (en) * 2006-01-17 2014-12-17 Broadcom Corporation Power over ethernet controller integrated circuit architecture
US20070171690A1 (en) * 2006-01-26 2007-07-26 Silicon Laboratories, Inc. Active diode bridge system and method
US8693496B2 (en) * 2006-01-27 2014-04-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ode bridge configurations for increasing current in a distributed power network
US20070263332A1 (en) * 2006-05-11 2007-11-15 Silicon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high voltage protection of powered devices
US20070278857A1 (en) * 2006-06-01 2007-12-06 Steven Andrew Robbins Mid-Link Powered Device for Power over Ethernet
US7752472B2 (en) * 2006-06-28 2010-07-06 Broadcom Corporation Protocol and interface between a LAN on motherboard (LOM) and a powered device (PD) for a personal computing device (PCD)
TWI318063B (en) * 2006-09-27 2009-12-01 Wistron Neweb Corp Power transformation device for a powered device in a power over ethernet system
US7921308B2 (en) * 2007-05-24 2011-04-05 Akros Silicon, Inc. Power signal merging for network interface devices
US9231402B2 (en) * 2007-12-26 2016-01-05 Silicon Laboratories Inc. Circuit device and method of suppressing a power event
US8310089B2 (en) * 2010-05-03 2012-11-13 Cisco Technology, Inc. Power sharing network communications device
US9548613B2 (en) * 2012-09-27 2017-01-17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aintain power signature (MPS) from a powered device (PD) while power is drawn from another source
US9553450B2 (en) * 2012-10-04 2017-01-24 Schneider Electric Bui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power
US9419807B2 (en) * 2013-07-12 2016-08-16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PD in PoE system having redundant PSE channel inputs
US9509227B2 (en) * 2014-01-09 2016-11-29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MOSFET bridge circuit
CN105373205B (zh) * 2014-08-15 2018-05-22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电源方案系统及方法
US9531551B2 (en) * 2014-08-26 2016-12-27 Cisco Technology, Inc. Dynamically configurable power-over-ethernet apparatus and method
US10389539B2 (en) * 2015-08-07 2019-08-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urn on method without power interruption redundant power over Ethernet systems
US9838207B2 (en) * 2015-10-21 2017-12-05 GlobTek, Inc. Power over ethernet delivery method and system
CN107979474B (zh) * 2016-10-21 2020-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设备及供电方法
US10790996B2 (en) * 2017-02-21 2020-09-29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mart bypass diode bridge rectifiers
CN117175565A (zh) * 2017-03-29 2023-12-05 太阳能安吉科技有限公司 旁路电路和在电力系统中旁通电力模块的方法
CN109428728B (zh) * 2017-08-28 2021-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端口自适应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73027A1 (en) 2021-09-01
US20230084285A1 (en) 2023-03-16
WO2021170300A1 (en) 2021-09-02
CA3166713A1 (en) 2021-09-02
JP2023515967A (ja) 2023-04-17
AU2021226668A1 (en) 2022-07-14
CN115066866A (zh)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12667B (zh) 用于组合的以太网供电系统的极性校正桥控制器
US9209981B2 (en) Power over Ethernet on data pairs and spare pairs
US9787482B2 (en) Redundantly powered and daisy chained power over ethernet
CN101124772B (zh) 具有用于确定通信电缆电阻的机构的通过通信电缆供电的系统
JP6587256B2 (ja) 通信ケーブルを介して搬送される電力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N101405675A (zh) 改变上电设备的功率等级的方法和装置
US20070278857A1 (en) Mid-Link Powered Device for Power over Ethernet
US11063774B2 (en) Virtualized chassis with power-over-ethernet for networking applications
CN102882692A (zh) 网络供电控制系统及其网络供电设备与网络受电装置
CN108476141A (zh) 以太网供电输送方法和系统
US20230221380A1 (en) Fault managed power systems
US20230084285A1 (en) Bidirectional transmission of electrical power along with data over a wir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693496B2 (en) Diode bridge configurations for increasing current in a distributed power network
CN103490907A (zh) Poe电源接收方法和poe电源接收设备
US20170181240A1 (en) High voltage resistant transmitting circuit for devices communicating on dali bus
CN110554725B (zh) 用于以太网供电的受电设备
WO2009151990A1 (en) Power over ethernet combiner
CN104579698B (zh) 受电端设备
US7702302B1 (en) Combination of high-side and low-side current control in system for providing power over communication link
KR102406671B1 (ko) 직류 전력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N104160602A (zh) 用于电力转换器模块的远程控制的方法和设备
US11853138B2 (en) Modular power controller
CN113777522B (zh) 一种供电检测装置、方法及其计算机程序产品
EP4122069A1 (en) Fault managed power systems
CN108601138A (zh) 异常保护电路、pse、供电系统及异常隔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