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540A - server operating an online platfor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 Google Patents

server operating an online platfor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540A
KR20220147540A KR1020220088312A KR20220088312A KR20220147540A KR 20220147540 A KR20220147540 A KR 20220147540A KR 1020220088312 A KR1020220088312 A KR 1020220088312A KR 20220088312 A KR20220088312 A KR 20220088312A KR 20220147540 A KR20220147540 A KR 20220147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lecture
terminal device
diagnost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3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3005B1 (en
Inventor
이현민
Original Assignee
이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민 filed Critical 이현민
Priority to KR1020220088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005B1/en
Publication of KR2022014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5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0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for operating an online platfor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and an apparatus thereof. The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ocessor; and a memory which stores instructions for instructing the processor to perform at least one step.

Description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server operating an online platform for non-face-to-face education}Server operating an online platfor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본 발명은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operating an online platfor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또한 본 발명은 강의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문제 풀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강점 및/또는 약점을 진단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In more detail, it relates to a method of diagnosing a user's strengths and/or weaknesses by analyzing the user's problem solving, and providing necessary lecture content to the user.

인류가 이어져 내려오는 오랜 시간 동안에 교육의 방법론적 형태는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지만, 가르침이라는 핵심적 요소는 절대적 맥락으로 유지되어오고 있다. 콘텐츠 개발 솔루션의 발전은 온라인 형태의 강의를 인터넷 또는 비디오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강의를 수강하는 교육 방법론적 효율성과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과 스마트디바이스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직접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교육을 받는 형태가 선호되고 있으며 계속해서 늘어가는 추세이다.Although the methodological form of education continues to evolve over the long trajectory of mankind, the core element of teaching has remained in its absolute context. The development of content development solutions is acting as an important factor in providing educational methodological efficiency and management convenience in taking online lectures through the Internet or video display devices. Recently, as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smart devices expands, the form of receiving education in real time online rather than in person is preferred, and the trend continues to increase.

(문헌 001)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5030호 (2011.09.26)(Document 001)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05030 (2011.09.26) (문헌 002)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8270호 (2011.06.01)(Document 002)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58270 (2011.06.0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의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강의와 관련된 문제들을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진단 정보인 제1 진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 및 제1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인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2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또는 제2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method of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according to embodiments includes: providing lecture-related problems to a user's terminal device; Receiving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for the problems from the user's terminal device; checking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that is diagnostic information about other users; generating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that is diagnostic information for a user based on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and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providing a diagnostic page including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and/or providing lecture content for a user based on the second diagnosis information; may include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강의를 수강하여 자기주도학습을 강화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provide effective feedback information to users taking a lecture, and the user may actively take a lecture to reinforce self-directed learning.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어려워하거나 정답률이 낮은 약점을 정확하게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충이 필요한 부분을 지원할 수 있어 사용자가 더욱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support a part that the user needs supplementation by accurately analyzing a weakness that the user finds difficult or has a low correct answer rate, thereby helping the user to more actively and actively learn.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학습 진척도 및 약점을 강의자 및 보호자에게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방향을 능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actively check the user's learning direction by providing the user's learning progress and weaknesses to the lecturer and the guardian.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의 예시이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을 운용하는 전자 장치 구성도 및 문제 풀이 데이터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에게 문제를 제공하는 문제 풀이 페이지(400)의 예시이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를 위한 진단 페이지(500)의 예시이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이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예시이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의 예시이다.
1 shows a system for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2 is an example of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3 show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ation diagram and problem solving data for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according to embodiments.
4 is an example of a problem solving page 400 that provides a problem to a user according to embodiments.
5 is an example of a diagnosis page 500 for a user that provides diagnosis information for a user according to embodiments.
6 is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diagnostic information for a user according to embodiments.
7 is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diagnostic information for a user according to embodiments.
8 is an example of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according to embodiment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system for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시스템은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장치(또는 그 서버)(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장치 (100)는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부동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장치(100)를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로 호칭한다.The system for operating the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be performed in the apparatus (or the server thereof) 100 for operating the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The apparatus 100 for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performs a method of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service. Hereinafter, the device 100 for operating the floating river platform service will be referred to as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들의 단말 장치(102)로 강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컨텐츠는, 사용자가 수강하는 과목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제(연습문제 등)들, 사용자가 수강하는 과목에 대한 동영상 또는 음성 강의, 사용자가 푼 문제에 대한 해설 또는 사용자의 문제 풀이에 대한 진단 정보, 사용자를 위한 과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provide lecture content to users' terminal devices 102 . Lecture cont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include one or more problems (exercise questions, etc.) for a subject the user takes, a video or audio lecture for the subject the user is taking, an explanation for a problem solved by the user, or the user's It may include diagnostic information for problem solving and task data for users.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강의자의 단말 장치(101)로부터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즉, 강의자는 강의자의 단말 장치(101)를 이용하여 강의자의 강의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업로드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receive lecture conten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from the terminal device 101 of the lecturer. That is, the lecturer may use the lecturer's terminal device 101 to upload lecture contents of the lecturer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보호자의 단말 장치(103)로 사용자들에 대한 평가 정보 또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들에 대한 평가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강한 강의에 대한 강의 컨텐츠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강의 컨텐츠를 소비한 현황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강의 컨텐츠를 소비한 현황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해당 강의를 수강한 정도, 사용자가 수행한 과제의 달성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provide evaluation information or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users to the guardian's terminal device 103 . The evaluation information for users may include, for example, lecture contents for a lecture the user has taken, or may include a state in which the user has consumed lecture contents. The status of consumption of lecture contents may include, for example, the degree to which the user has taken the corresponding lecture, the degree to which the user has completed the task, and the like.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102)로 문제 풀이 데이터(즉, 사용자가 수강하는 과목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제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102)로부터 해당 문제들에 대한 풀이 데이터 및 정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제공 받은 문제를 풀고, 푼 결과를 전자 장치(100)로 업로드할 수 있다. 문제 풀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를 위한 과제 데이터로 호칭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provide problem solving data (ie, one or more problems for a subject the user takes) to the user's terminal device 102 .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receive solution data and correct answer data for the corresponding problems from the user's terminal device 102 . That is, the user may solve the problem provid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upload the solution result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problem solving data may be called, for example, task data for a user.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문제를 풀어서 문제 풀이 데이터 및 정답 데이터를 수신하면, 문제 풀이 데이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제를 풀면서 작성했던 메모들, 정답들, 지운 흔적들)를 강의자의 단말 장치(101)로 전달 또는 가공하여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olves a problem and receives the problem solving data and the correct answer data,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provides the problem solving data (eg, notes written by the user while solving the problem, correct answers, and erased traces). ) can be delivered or processed to the terminal device 101 of the lecturer.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문제 풀이 데이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제를 풀면서 작성했던 메모들, 정답들, 지운 흔적들)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이들을 분석하여 진단 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102), 보호자의 단말 장치(103) 및/또는 강의자의 단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문제 풀이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진단 데이터, 문제 풀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제1사용자와 다른 사용자들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제1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들에 비해 어느 정도의 실력을 가지고 있고 어느 정도 공부의 효율이 좋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이렇게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진단 정보는 보호자의 단말 장치(103), 및/또는 강의자의 단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receive problem solving data (eg, notes written by a user while solving a problem, correct answers, and erased traces) and analyze it.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analyze these and transmit the diagnostic data to the user's terminal device 102 , the guardian's terminal device 103 , and/or the lecturer's terminal device 101 . In order to analyze the problem solving data,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use diagnostic data and problem solving data for other users. For example, in order to analyze the problem solving data of the first user,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use the problem solving data of the first user and other users, and the first user may use the problem solving data of other users. You can check how much ability you have and how effective your study is.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generate the user's diagnosis information using the analysis result, and the diagnos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103 of the guardian and/or the terminal device 101 of the lecturer. can be transmitted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자의 단말 장치(101), 사용자의 단말 장치(102) 및/또는 보호자의 단말 장치(103)는 예를 들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1 of the lecturer, the terminal device 102 of the user, and/or the terminal device 103 of the guardia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for example, a communicable desktop computer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laptop computer) , notebook, smart phone, tablet PC, mobile phone, smart watch, smart glass, e-book reader,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ortable game console, navigation device, digital camer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layer, digital audio recorder, digital audio player, digital video recorder video recorder), a digital video play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the like.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강의를 수강하여 자기주도학습을 강화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provide effective feedback information to users taking a lecture due to this operation, and the user may actively take a lecture to reinforce self-directed learning.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의 예시이다.2 is an example of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은 도 2에 나타난 S200 단계 내지 S205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teps S200 to S205 shown in FIG. 2 .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은 먼저,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강의와 관련된 문제들을 제공 (S200) 할 수 있다. 강의와 관련된 문제는 예를 들어 강의자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로 업로드하여 전자 장치 내의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first provide problems related to lectures to the user's terminal device (S200). The lecture-related problem may be, for example, data uploaded by the lecturer to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the electronic device.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수신 (S201)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문제들을 받아 문제를 풀고, 문제를 풀어서 도출된 각 문제에 대한 정답 데이터 및/또는 각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는 즉, 각 문제에 대한 정답 데이터 및/또는 각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는 사용자가 각 문제를 풀었던 시간, 사용자가 각 문제를 풀면서 정답을 정정한 횟수, 사용자가 각 문제를 풀기 시작한 시각 및/또는 풀기 마친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receive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for the problems from the user's terminal device (S201). That is, the user can receive and solve problems with the user's terminal device, and transmit correct answer data for each problem derived by solving the problem and/or data representing a solution process for each problem to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ve.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may include correct answer data for each problem and/or data indicating a solution process for each problem. The user's problem-solving data may include the time the user solved each problem,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corrected the correct answer while solving each problem, the time the user started solving each problem, and/or the time the user finished solving each problem.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진단 정보인 제1 진단 정보를 확인 (S202) 할 수 있다. 제1 진단 정보는, 다른 사용자들에 비해 해당 사용자의 공부 진척도, 실력 등을 평가하기 위한 통계적 수치, 원본 데이터 등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that is diagnost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other users may be checked ( S202 ). The first diagnosis information may mean statistical values, original data, etc. for evaluating the study progress, ability, etc. of the corresponding user compared to other users.

제1 진단 정보는 예를 들어, 각 사용자의 각 문제당 사용했던 시간, 각 문제를 풀기 시작한 시간 및/또는 마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단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들의 전체 평균 점수, 표준편차 등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iagnosis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time used for each problem of each user, a time to start solving each problem, and/or a time to finish solving each problem. The first diagnosis information may also include, for example, an overall average score and standard deviation of users.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 및 제1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인 제2 진단 정보를 생성 (S203) 할 수 있다. 즉,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공부 진척도 및 공부 효율 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진단 정보인 제1 진단 정보와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은 제1 진단 정보 및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인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generate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that is diagnostic inform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and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S203). That is, the method of operating the lecture platform service may use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that is diagnostic information about other users and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in order to analyze the user's study progress and study efficiency. Accordingly,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lecture platform service, the second diagnosis information, which is diagnosis information for the user, may be generated by using the first diagnosis information and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제2 진단 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가 각 문제당 사용했던 시간, 각 문제를 풀기 시작한 시간 및/또는 마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진단 정보는 다른 사용자들 대비 해당 사용자가 위치하는 백분율, 해당 과목의 세부 단원 별로 사용자의 정답률, 오답률 및 백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iagnosis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the time the user used for each problem, the time the user started solving each problem, and/or the time the user finished solving each problem. The second diagnosis information may include a percentage in which the corresponding user is located compared to other users, and information on the correct answer rate, incorrect answer rate, and percentage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ach sub-unit of the corresponding subject.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은, 제2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페이지를 제공(S204) 할 수 있다. 진단 페이지를 제공은 예를 들어, 제2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문제점, 강점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그래프, 표, 차트 등과 같은 시각적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provide a diagnosis page including the second diagnosis information ( S204 ). The provision of the diagnosis page may include, for example, visual statistical information such as graphs, tables, charts, etc. for identifying the user's problems and strengths using the second diagnosis information.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은, 제2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강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은, 제2 진단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강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강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provide lecture content for a user based on the second diagnosis information. That is, the method of operating the lectur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analyze the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to select lecture content required for the user, and provide the selected lecture content to the user.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강의를 수강하여 자기주도학습을 강화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provide effective feedback information to users taking a lecture due to this operation, and the user may actively take a lecture to reinforce self-directed learning.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을 운용하는 전자 장치 구성도 및 문제 풀이 데이터의 예시를 나타낸다.3 show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ation diagram and problem solving data for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3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0)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전자 장치(300)는 도 2의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 3 may refer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of FIG. 1 . The electronic device 300 shown in FIG. 3 may perform some or all of the operations of FIG. 2 .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수신부(301), 진단 정보 생성부(302), 진단 정보 저장부(303), 강의 컨텐츠 저장부(304) 및/또는 전송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include a receiver 301 , a diagnostic information generator 302 , a diagnostic information storage 303 , a lecture content storage 304 , and/or a transmitter 305 . can

수신부(301)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문제 풀이 데이터(300a)를 수신한다. 수신부(301)는 즉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부(301)는 또한, 강의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강의 컨텐츠들, 사용자를 위한 문제들, 사용자를 위한 보충 강의 컨텐츠들을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301 receives the problem solving data 300a from the user's terminal device. The receiving unit 301 receives, that is,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for the problems from the user's terminal device. The receiving unit 301 may also receive lecture contents, problems for the user, and supplementary lecture contents for the user from the lecturer's terminal device.

문제 풀이 데이터(300a)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0)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된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문제 풀이 데이터(300a)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가 문제 풀이 데이터가 어느 강의와 관련된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과목 식별자(과목 ID), 문제 풀이 데이터가 해당 강의의 어느 문제 세트와 관련된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문제 식별자(문제 ID), 문제를 푼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나타내는 사용자 식별자(사용자 ID)를 포함(300b)할 수 있다.The problem solving data 300a may refer to the user's solution data for problems provided by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to the user's terminal device. The problem solving data 300a may include, for example, a subject identifier (subject ID) for the electronic device 300 to identify which lecture the problem solving data is related to, and which problem set of the corresponding lecture the problem solving data is related to. It may include (300b) a problem identifier (problem ID) for identifying the problem, and a user identifier (user ID) indicating who solved the problem.

문제 풀이 데이터(300a)는 각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정답, 사용자가 각 문제를 푸는데 소요된 시간, 사용자가 각 문제를 풀기 시작한 시각 및/또는 마친 시각 등을 포함 (300c) 할 수 있다.The problem solving data 300a may include the correct answer selected by the user for each problem, the time taken by the user to solve each problem, the time when the user starts solving each problem and/or the time when the user finishes solving each problem ( 300c ).

진단 정보 생성부(302)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문제 풀이 데이터(300a)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를 생성한다. 즉, 진단 정보 생성부(302)는 도 2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한다. 진단 정보 생성부(302)는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신한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 및 다른 사용자들을 위한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진단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The diagnostic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02 generates diagnostic information for the user by analyzing the problem solving data 300a received from the user's terminal device. That is, the diagnostic information generator 302 generates the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diagnostic information generator 302 may use the received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and diagnostic information for other users to generate the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진단 정보 저장부(303)는 제1 진단 정보 및/또는 제2 진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진단 정보 저장부(303)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강의들을 수강하는 사용자들의 문제 풀이 데이터, 사용자들의 진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agnosis information storage unit 303 may store the first diagnosis information and/or the second diagnosis information. That is, the diagnosis information storage 303 may include problem solving data of users taking one or more lectures and diagnosis data of users.

강의 컨텐츠 저장부(304)는 강의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 컨텐츠 저장부(304)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문제들의 정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cture contents storage unit 304 may include lecture cont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received from the lecturer's terminal device. For example, the lecture content storage unit 304 may include correct answer information for problems provided to the user.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진단 정보 생성부(302)는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300a)를 전달 받으면, 진단 정보 저장부(303)로부터 다른 사용자들의 문제 풀이 데이터 및/또는 진단 정보를 조회한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진단 정보 생성부(302)는 강의 컨텐츠 저장부(304)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된 문제들의 정답 정보를 조회하여,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300a)를 분석(예를 들어, 사용자가 푼 문제들을 채점)할 수 있다.Accordingly, upon receiving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300a, the diagnosi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quires the problem solving data and/or diagnosis information of other users from the diagnosis information storage unit 303 . In addition, the diagnostic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quires the correct answer information of the problems provided to the user from the lecture content storage unit 304, and analyzes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300a (eg, the user can grade the problems solved).

실시예들에 따른 진단 정보 생성부(302)는 분석한 결과(예를 들어, 채점 결과)와 다른 사용자들의 문제 풀이 데이터 및/또는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즉,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agnostic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use diagnostic information for a user (ie,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실시예들에 따른 진단 정보 생성부(302)는 제2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의 컨텐츠를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의 컨텐츠를 강의 컨텐츠 저장부(304)로부터 불러올 수도 있고, 불러온 후 강의 컨텐츠들을 가공할 수도 있다.The diagnosi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check lecture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 by using the second diagnosis information, and may retrieve lecture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 from the lecture content storage unit 304, or after loading You can also process lecture contents.

전송부(305)는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 강의자의 단말 장치 및/또는 보호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305)는 또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의 컨텐츠(또는 가공된 강의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305 may transmit diagnostic information for a user according to embodiments to a terminal device of a user, a terminal device of a lecturer, and/or a terminal device of a guardian. The transmitter 305 may also provide lecture content (or processed lecture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 to the user's terminal device.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강의를 수강하여 자기주도학습을 강화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provide effective feedback information to users taking a lecture due to this operation, and the user may actively take a lecture to reinforce self-directed learning.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에게 문제를 제공하는 문제 풀이 페이지(400)의 예시이다.4 is an example of a problem solving page 400 that provides a problem to a user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4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나타난 화면의 UI를 포함하는 문제 풀이 페이지(400)의 예시를 나타낸다. 즉,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도 4와 같이 UI가 구성되도록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문제 풀이 페이지(400)를 제공할 수 있다.4 shows an example of a problem solving page 400 including a UI of a screen displayed on a user's terminal device.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the problem solving page 400 to the user's terminal device so that the UI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4 in the user's terminal device.

문제 풀이 페이지(400)는 사용자가 풀 문제를 나타내는 제1영역(401), 사용자가 해당 문제를 풀기 시작한 후부터 현재까지 경과된 시간을 나타내는 제2영역(402), 사용자가 정답을 기입하는 제3영역(403)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blem solving page 400 includes a first area 401 in which the user indicates a solution problem, a second area 402 indicating the time elapsed from the time the user starts solving the corresponding problem to the present, and a third area in which the user enters the correct answer. region 403 .

제1영역(401)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 메모할 수 있도록, 포인터와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제1영역 위에 메모가 그려질 수 있는(401a)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The first area 401 may be, for example, an interface 401a in which a memo can be drawn on the first area according to a pointer and a user's input signal so that a user can take a direct memo.

제3영역(403)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직접 메모할 수 있도록, 포인터와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제3영역 위에 메모가 그려질 수 있는(403a)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3영역에 그려진 문자들 또는 숫자들을 인식하여, 대응되는 문자열(string)을 출력하는 인공지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인공지능부는 제3영역(403)에 그려진 메모(403a)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의도하고 작성한 문자열(숫자, 문자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뉴럴 네트워크 모델(Neural Network Model)을 포함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 모델은 예를 들어, 입력 레이어, 출력 레이어 및/또는 히든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뉴럴 네트워크 모델은 그려진 메모(403a)를 학습하여 사용자가 의도하고 작성한 문자열(숫자, 문자 등)을 출력하는 모델일 수 있다.Similarly, the third area 403 may be an interface in which a memo may be drawn on the third area according to a pointer and a user's input signal (403a)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take a memo.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at recognizes characters or numbers drawn on the third area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tring. That i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may include a neural network model configured to receive the memo 403a drawn in the third area 403 and output a character string (numbers, characters, etc.) intended and written by the user. The neural network model may include, for example, an input layer, an output layer, and/or a hidden layer, and may includ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nd the like. That is, the neural network model may be a model that learns the drawn memo 403a and outputs character strings (numbers, characters, etc.) intended and written by the user.

문제 풀이 페이지(400)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문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힌트를 제공하기 위한 힌트 영역들(404a, 404b)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blem solving page 400 may include, for example, hint areas 404a and 404b for providing the user with at least one hint about the problem.

힌트 영역들(404a, 404b)은 해당 문제를 풀기 시작한 이후 특정 시간 이상이 경과하면 차례대로 힌트를 보여 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29번 문제(401)를 사용자가 풀고 있는데 사용자가 3분을 경과할 경우 첫 번째 힌트(404a)가 나타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5분을 경과할 경우 두 번째 힌트(404b)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특정 문제를 풀기 시작한 시각을 확인하고, 현재 시각이 특정 문제를 풀기 시작한 시각과의 차이가 특정 시간(예를 들어, 3분, 5분 등) 이상이면 대응하는 힌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hint areas 404a and 404b may be configured to sequentially show hints when a specific time or more has elapsed since solving the corresponding problem.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a first hint 404a may appear when the user is solving problem 29 401 and the user has elapsed 3 minutes. Also, when the user has elapsed after 5 minutes, a second hint 404b may appear. 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 checks the time when the user starts solving the specific problem, and provides a corresponding hint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time and the time at which the specific problem start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time (eg, 3 minutes, 5 minutes, etc.) can be provided to users.

특정 시간은 예를 들어, 문제의 난이도, 다른 사용자들의 정답률 또는 오답률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이전에 전자 장치가 저장하고 있던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강의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The specific tim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for example, the difficulty of the problem, the correct or incorrect rate of other users, may be determined by diagnostic information for the user previously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or may be preset by the lecturer .

더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특정 시간(H)은 아래 수식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Furthermore, the specific time (H)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a는 제1문제의 정답률을 나타내고, T는 문제들을 풀기 위해 총 주어진 시간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02
는 사용자가 문제들을 풀기 시작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경과한 시간을 나타내고, Q는 문제들의 수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03
는 현재까지 사용자가 푼 문제들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where a represent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the first question, T represents the total given time to solve the problems,
Figure pat00002
denotes the time elapsed since the user started solving problems until now, Q denotes the number of problems,
Figure pat00003
may represent the number of problems the user has solved so far.

더 나아가, 힌트 정보가 만약 복수인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첫 번째 힌트는 상술한 수학식 1에서 나타난 H 시간 경과 후 제공될 수 있고, 두 번째 힌트는 첫 번째 힌트가 제공되고 나서 H/2 시간 경과 후 제공될 수 있다. 즉, 힌트 정보가 n개이면 전자 장치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에 기초하여 힌트 정보를 누적하여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if there is a plurality of hint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the first hint may be provided after time H shown in Equation 1 above, and the second hint may be provided after the first hint is provided. It can be provided after H/2 hours have elapsed. That is, if there are n pieces of hint information, the electronic device may accumulate and provide hint information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강의를 수강하여 자기주도학습을 강화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provide effective feedback information to users taking a lecture due to this operation, and the user may actively take a lecture to reinforce self-directed learning.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어려워하거나 정답률이 낮은 약점을 정확하게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충이 필요한 부분을 지원할 수 있어 사용자가 더욱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support a part that the user needs supplementation by accurately analyzing a weakness that the user finds difficult or has a low correct answer rate, thereby helping the user to more actively and actively learn.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학습 진척도 및 약점을 강의자 및 보호자에게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방향을 능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actively check the user's learning direction by providing the user's learning progress and weaknesses to the lecturer and the guardian.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를 위한 진단 페이지(500)의 예시이다.5 is an example of a diagnosis page 500 for a user that provides diagnosis information for a user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5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 보호자의 단말 장치, 강의자의 단말 장치에 나타나는 화면의 UI를 포함하는 사용자를 위한 진단 페이지(500)의 예시를 나타낸다. 즉,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 보호자의 단말 장치, 강의자의 단말 장치에 도 5와 같이 UI가 구성되도록 사용자의 단말 장치, 보호자의 단말 장치, 강의자의 단말 장치로 사용자를 위한 진단 페이지(5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진단 페이지(500)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설명한 제2 진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5 shows an example of a diagnosis page 500 for a user including a UI of a screen displayed on a terminal device of a user, a terminal device of a guardian, and a terminal device of a lecturer.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is the user's terminal device, the guardian's terminal device, and the lecturer's terminal device so that the UI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5 in the user's terminal device, the guardian's terminal device, and the lecturer's terminal device. ) can be provided. The diagnosis page 500 shown in FIG. 5 may include, for example, the second diagnosis inform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사용자를 위한 진단 페이지(500)는 진단 코멘트를 표시하기 위한 제4영역(501), 사용자의 상세 진단 정보로 이동하기 위한 제5영역(502), 사용자를 위한 보충 강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제6영역(503), 사용자를 위한 보충 문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7영역(504)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agnostic page 500 for the user includes a fourth area 501 for displaying diagnostic comments, a fifth area 502 for moving to detailed diagnost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sixth area for providing supplementary lecture content for the user. It may include an area 503 , a seventh area 504 for providing supplemental question data for the user.

제4영역(501)은 사용자를 위한 진단 코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코멘트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강점 또는 약점을 전자 장치가 파악한 후, 파악한 결과에 기초하여 작성된 코멘트일 수 있다. 즉, 진단 코멘트는 강의자가 직접 작성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오답률이 높거나 문제 풀이 시간 등이 다른 사용자들에 비해 긴 경우 해당 문제들과 관련된 기 설정된 코멘트들을 조합하여 작성될 수도 있다.The fourth area 501 may include a diagnostic comment for a user. The diagnostic comment may be, for example, a comment written based on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r's problem-solving data, and after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ies the user's strengths or weaknesses. In other words, the diagnostic comment can be written by the instructor, but based on the user's problem-solving data, if the user has a high rate of error or the problem-solving time is longer than other users, it is written by combining preset comments related to the problems. it might be

제5영역(502)은 사용자의 상세 진단 정보로 이동하기 위한 영역이다. 사용자, 강의자 또는 보호자가 제5영역(502)을 클릭하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를 위한 상세 진단 페이지를 제공한다. 상세 진단 페이지는 도 6 내지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fifth area 502 is an area for moving to detailed diagnosis information of the user. When the user, lecturer, or guardian clicks on the fifth area 502 ,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s a detailed diagnosis page for the user. The detailed diagnosis pag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 .

제6영역(503)은 강의 단말 장치로부터 업로드된 강의 컨텐츠(동영상 또는 음성 형태의 강의 컨텐츠)들 중 사용자에게 필요한 강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들 내에서 각 단원 별로(또는 문제 유형 별로) 사용자의 통계를 계산하고, 각 단원 별 사용자의 통계를 다른 사용자들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약한 부분을 다루는 강의 컨텐츠들을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The sixth area 503 may be an area for providing required lecture contents to the user among lecture contents (video or audio type lecture contents) uploaded from the lecture terminal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nalyzes the user's problem-solving data, calculates user statistics for each unit (or problem type) within the problems, and compares the user statistics for each unit with other users. The user can display the lecture contents dealing with the weak part in order.

제7영역(504)은 강의 단말 장치로부터 업로드된 강의 컨텐츠(문제들을 포함하는 텍스트 등의 강의 컨텐츠)들 중 사용자에게 필요한 강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들 내에서 각 단원 별로(또는 문제 유형 별로) 사용자의 통계를 계산하고, 각 단원 별 사용자의 통계를 다른 사용자들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약한 부분을 다루는 강의 컨텐츠들을 생성한 후, 이들을 날짜 별로 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seventh area 504 may be an area for providing required lecture content to the user among lecture contents (lecture contents such as text including problems) uploaded from the lecture terminal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nalyzes the user's problem-solving data, calculates user statistics for each unit (or problem type) within the problems, and compares the user statistics for each unit with other users. After the user creates lecture contents that deal with weak areas, they can be provided by combining them by date.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제1단원에서 다른 사용자들에 비해 정답률이 낮고 제2단원에서 다른 사용자들에 비해 정답률이 높다면, 정답률 비율대로 제2단원의 문제 수를 높이고 제1단원의 문제 수를 낮추도록 문제들을 조합하여 보충 문제 파일을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제7영역(504)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r's problem-solving data, the electronic device has a low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compared to other users in unit 1 and a high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compared to other users in unit 2, the problem of unit 2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fter creating a supplementary problem file by combining the problems to increase the number and decrease the number of problems in the first unit, i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seventh area 504 .

실시예들에 따른 보충 문제 파일은, 복수 개의 보충 문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보충 문제들은 예를 들어 강의자가 미리 제공한 문제들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개수만큼 추출 및 조합하여 생성한 문제들을 의미할 수 있다.A supplemental question file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lemental questions. The plurality of supplementary problems may refer to problems generated by extracting and combining a specific number of problems from a database of problems provided in advance by, for example, a lecturer.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문제들 중 오답한 문제들 및 해당 오답 문제에 대응하는 단원(챕터)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오답 문제들에 대응하는 단원을 확인하면, 각 단원 별로 다른 사용자들 대비 해당 사용자의 백분율을 확인한다. 전자 장치는 각 백분율을 확인하여, 단원 별 백분율의 비율 대로 보충 문제의 개수를 결정한 후, 각 단원 별 보충 문제의 개수대로 강의자가 미리 제공한 문제들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개수만큼 추출 및 조합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identify questions that the user has answered incorrectly among the questions and a unit (chapter) corresponding to the incorrect answer ques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ies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correct answer questions, the electronic device checks the percentage of the corresponding user compared to other users for each section. The electronic device may check each percentage, determine the number of supplementary questions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each unit, and then extract and combine a specific number of problems from the database of problems previously provided by the instruct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pplementary questions for each unit.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단원과 관련된 문제 10개 중 3개 오답, 제2단원과 관련된 문제 10개 중 1개 오답, 제3단원과 관련된 문제 10개 중 5개 오답한 경우를 가정하자. 전자 장치는 제1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제1단원 내지 제3단원에서 사용자의 백분율을 확인한다. 제1단원은 다른 사용자들보다 해당 사용자의 성적이 우수하여 백분율이 상위 20%, 제2단원은 다른 사용자들과 성적이 비슷하여 백분율이 40%, 제3단원은 다른 사용자들보다 오답률이 높아 백분율이 60%라고 가정하자.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answers incorrectly 3 out of 10 questions related to Unit 1, 1 incorrect answer out of 10 questions related to Unit 2, and incorrectly answers 5 out of 10 questions related to Unit 3.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ies the percentage of users in the first to third units by using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In Unit 1, the user's grades are better than other users, so the percentage is in the top 20%, Unit 2 is 40% because the score is similar to that of other users, and Unit 3 has a higher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than other users. Let's assume this is 60%.

만약 보충 문제가 36문제로 구성될 경우(보충문제의 수는 강의자의 기 설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36문제 중 각 단원의 백분율 비율대로 즉, 20:40:60 비율로 제1단원 내지 제3단원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각각 6문제, 12문제, 18문제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단원의 6문제는 강의자가 미리 업로드한 제1단원과 관련된 문제들 중 6개를 임의로 추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단원 내지 제3단원도 강의자가 미리 업로드한 제2단원 및 제3단원과 관련된 문제들 중 12개 및 18개를 각각 임의로 추출할 수 있다.If the supplementary questions consist of 36 questions (the number of supplementary questions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instructor’s pre-set), the ratio of the percentage of each unit among the 36 questions, that is, the ratio of 20:40:60 from Unit 1 to Since the third unit can be composed, it can consist of 6 questions, 12 questions, and 18 questions, respectively. Here, for the 6 questions in the first unit, 6 of the problems related to the first unit uploaded in advance by the instructor can be arbitrarily extracted. Similarly, in Units 2 to 3, 12 and 18 problems related to Units 2 and 3, which have been previously uploaded by the instructor, can be arbitrarily extracted, respectively.

또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인공지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오답한 문제들을 분석하여 오답한 문제들의 유형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오답 문제들 중 비슷한 패턴의 유형을 분석하여, 보충 문제에 비슷한 패턴의 문제들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Also,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analyze the types of the incorrect answers by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o analyze the user's incorrect answers.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may analyze a type of a similar pattern among the user's incorrect answers, and provide the supplementary question with questions of a similar pattern to the user.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강의를 수강하여 자기주도학습을 강화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provide effective feedback information to users taking a lecture due to this operation, and the user may actively take a lecture to reinforce self-directed learning.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어려워하거나 정답률이 낮은 약점을 정확하게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충이 필요한 부분을 지원할 수 있어 사용자가 더욱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support a part that the user needs supplementation by accurately analyzing a weakness that the user finds difficult or has a low correct answer rate, thereby helping the user to more actively and actively learn.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학습 진척도 및 약점을 강의자 및 보호자에게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방향을 능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actively check the user's learning direction by providing the user's learning progress and weaknesses to the lecturer and the guardian.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이다.6 is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diagnostic information for a user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6은 사용자의 단말 장치, 보호자의 단말 장치, 강의자의 단말 장치에 나타나는 화면의 UI를 포함하는 사용자를 위한 진단 페이지(500), 또는 상세 진단 페이지에 나타난 사용자의 상세 진단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통계 정보(600, 601)을 의미할 수 있다.6 is a statistical view showing the user's terminal device, the guardian's terminal device, and the user's detailed diagnostic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agnostic page 500 for the user including the UI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of the lecturer, or the detailed diagnostic page It may mean information 600 and 601 .

도 6은 예를 들어, 제2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문제점, 강점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그래프, 표, 차트 등과 같은 시각적 통계 정보(600, 601)를 나타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시각적 통계 정보(600, 601)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 보호자의 단말 장치, 강의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FIG. 6 may mean, for example, showing visual statistical information 600 and 601 such as graphs, tables, charts, etc. that can identify the user's problems and strengths using the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The visual statistical information 600 and 601 shown in FIG. 6 may be provided to a user's terminal device, a guardian's terminal device, and a lecturer's terminal device.

도 6에서는 바 차트에 한정하여 도시하였지만, 시각적 통계 정보는 바 차트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된다.Although FIG. 6 is limited to the bar chart, the visual statistical inform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bar chart.

시각적 통계 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과목의 단원 별 정답률 및/또는 오답률을 나타내는 바 차트(bar chart), 파이 차트(pie chart), 간트 차트(Gantt chart), 꺾은선 그래프, 표(table) 등을 포함하는 제1시각 통계 정보(6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시각 통계 정보(600)는 해당 과목의 단원 별 정답률 및/또는 오답률을 나타낸다. 시각적 통계 정보는 예를 들어, 문제의 배점 별 정답률 및/또는 오답률을 나타내는 바 차트, 파이 차트, 간트 차트, 꺾은선 그래프, 표 등을 포함하는 제2시각 통계 정보(60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시각 통계 정보(601)는 해당 과목의 단원 별 정답률 및/또는 오답률을 나타낸다. Visual statistical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bar chart, pie chart, Gantt chart, line graph, table, etc. indicating the correct rate and/or incorrect answer rate for each unit of the subject. It may include the first time statistical information 600 including That is, the first time statistical information 600 indicates a correct rate and/or an incorrect rate for each unit of the subject. The visual statistical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the second visual statistical information 601 including a bar chart, a pie chart, a Gantt chart, a line graph, a table, etc. indicating the correct rate and/or incorrect answer rate for each point of the question. . That is, the second time statistical information 601 indicates a correct rate and/or an incorrect rate for each unit of the subject.

제1시각 통계 정보(600) 및/또는 제2시각 통계 정보(601)는 다른 사용자들의 진단 정보(즉, 제1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그래프와 함께 어느 지점이 상위 몇 퍼센트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디케이터(6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600을 참조하면, 다른 사용자들 중 상위권 사용자들(예를 들어, 상위 10%)의 지수함수 단원의 정답률을 지수함수의 바(bar) 위에 인디케이터(602)를 표시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The first visual statistical information 600 and/or the second visual statistical information 601 uses the diagnostic information of other users (ie,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to indicate which point is the top percentage with a graph.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indicators 602 for For example, referring to 600 of FIG. 6 , by displaying the indicator 602 on the exponential function bar,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exponential function unit of top users (eg, top 10%) among other users is displayed. can indicate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강의를 수강하여 자기주도학습을 강화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provide effective feedback information to users taking a lecture due to this operation, and the user may actively take a lecture to reinforce self-directed learning.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어려워하거나 정답률이 낮은 약점을 정확하게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충이 필요한 부분을 지원할 수 있어 사용자가 더욱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support a part that the user needs supplementation by accurately analyzing a weakness that the user finds difficult or has a low correct answer rate, thereby helping the user to more actively and actively learn.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학습 진척도 및 약점을 강의자 및 보호자에게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방향을 능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actively check the user's learning direction by providing the user's learning progress and weaknesses to the lecturer and the guardian.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예시이다.7 is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diagnostic information for a user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7은 예를 들어, 제2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문제점, 강점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그래프, 표, 차트 등과 같은 시각적 통계 정보(701, 702)를 나타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시각적 통계 정보(701, 702)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 보호자의 단말 장치, 강의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FIG. 7 may mean, for example, showing visual statistical information 701 and 702 such as graphs, tables, charts, etc. that can identify the user's problems and strengths using the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The visual statistical information 701 and 702 shown in FIG. 7 may be provided to a user's terminal device, a guardian's terminal device, and a lecturer's terminal device.

도 7에서는 꺾은 선 그래프, 표 등에 한정하여 도시하였지만, 시각적 통계 정보는 바 차트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된다.Although FIG. 7 is limited to a line graph, a table, and the like, the visual statistical inform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a bar chart.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해당 과목에 대한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추이(또는 향상도)를 나타내는 제1그래프(7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그래프(701)는 예를 들어, 해당 과목에 대한 문제 풀이의 정답률 또는 다른 사용자들 대비 백분율을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제1그래프(701)는 또한, 해당 과목의 문제 전체뿐 아니라, 과목의 세부 단원을 기준으로 문제 풀이의 정답률 또는 다른 사용자들 대비 백분율을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The diagnosis information for the user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graph 701 indicating the user's progress (or improvemen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for the subject. The first graph 701 may represent, for example, a correct rate of solving a problem for a corresponding subject or a percentage compared to other users as a graph. The first graph 701 may also graph not only the entire problem of the corresponding subject, but also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the problem or the percentage compared to other users based on the detailed unit of the subject.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해당 과목의 보충 문제 또는 숙제 문제들의 수행 또는 달성 현황을 나타내는 제1테이블(7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테이블(702)은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가 수강한 과목의 명칭, 해당 사용자가 수강한 과목에서 제공된 숙제(보충문제)의 마감 날짜, 해당 사용자의 제공 숙제의 오답률(또는 정답률), 해당 과목의 선생님 명칭, 해당 과목의 선생님의 코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agnosis information for the user may include, for example, the first table 702 indicating the user's performance or achievement status of supplementary problems or homework problems in a corresponding subject. The first table 702 may include, for example, the name of a subject taken by the user, the deadline date of homework (supplementary questions) provided in the subject taken by the user,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or correct rate) of the homework provided by the user, the corresponding It may include the name of the teacher of the subject, and the teacher's comments for the subject.

실시예들에 따른 진단 정보(제2 진단 정보)는 실시예들에 따른 보호자의 단말 장치, 강의자의 단말 장치, 사용자의 단말 장치(703)로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마다 업데이트되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진단 정보(제2 진단 정보)는 보호자의 단말 장치, 강의자의 단말 장치, 사용자의 단말 장치(703)로 SMS 또는 이메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diagnosis information (second diagnos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be updated and provided in real time or at regular intervals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guardian, the terminal device of the lecturer, and the terminal device 703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agnosis information (second diagnosis informa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guardian, the terminal device of the lecturer, and the terminal device 703 of the user in the form of SMS or e-mail.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강의를 수강하여 자기주도학습을 강화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provide effective feedback information to users taking a lecture due to this operation, and the user may actively take a lecture to reinforce self-directed learning.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의 예시이다.8 is an example of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8을 참조하면, 강의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또는 그 서버) (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11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an apparatus (or a server thereof) 100 for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processor, 110); The at least one processor 110 may include a memory 120 for storing instructions instructing to perform at least one step.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processor 1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can Each of the memory 120 and the storage device 160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120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또한, 강의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또는 그 서버) (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 장치(또는 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장치(또는 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 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or its server) 100 for operating the lecture platform may include a transceiver 130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device (or a server for providing the same)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140 , an output interface device 150 , a storage device 160 , and the like.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or a server for providing the same) 100 may be connected by a bus 1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플랫폼 운용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강의와 관련된 문제들을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진단 정보인 제1 진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 및 제1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인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2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또는 제2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lecture platform according to embodiments performed by a server includes: providing lecture-related problems to a user's terminal device; Receiving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for the problems from the user's terminal device; checking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that is diagnostic information about other users; generating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that is diagnostic information for a user based on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and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providing a diagnostic page including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and/or providing lecture content for a user based on the second diagnosis information; may include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는 강의와 관련된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의 답안 정보 및 각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user's answer information for the problems related to the lecture and the user's solving time for each problem.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진단 정보는 각 문제에 대한 정답률 또는 오답률, 각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정답 여부, 사용자의 정답률 또는 오답률에 기반한 표본 대비 백분율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may include a percentage of a correct answer or an incorrect answer for each question, whether the user is correct for each question, and a percentage of the sample based on the user's correct or incorrect answer rate.

더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문제들을 제공하는 단계는, 문제들 중 제1문제를 나타내는 제1영역, 사용자의 제1문제의 풀이 시간을 나타내는 제2영역, 및 제1문제를 위한 힌트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제3영역을 포함하는 문제 풀이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3영역은 사용자의 제1문제의 풀이 시간이 특정 시간 이상인 경우 제1문제를 위한 힌트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Further, the step of providing problem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dicates a first area representing the first problem among the problems, a second area representing a solution time of the user's first problem, and hint information for the first problem. It may include providing a problem solving page including a third area for betting, and the third area may indicate hint information for the first problem when the user's solving time of the first problem is more than a specific time.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all or part of its configuration or function,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Claims (1)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강의와 관련된 문제들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문제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는 상기 강의와 관련된 문제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답안 정보 및 각 문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풀이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진단 정보인 제1 진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문제 풀이 데이터 및 상기 제1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진단 정보인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제2 진단 정보는 각 문제에 대한 정답률 또는 오답률, 각 문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정답 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정답률 또는 오답률에 기반한 표본 대비 백분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강의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제들 중 제1 문제를 나타내는 제1 영역,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문제의 풀이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문제를 위한 힌트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제3 영역을 포함하는 문제 풀이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문제의 풀이 시간이 특정 시간 이상인 경우 제1 문제를 위한 힌트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힌트 정보를 위한 특정 시간(H)은 아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수학식 1]
Figure pat00005

a는 상기 제1 문제의 정답률을 나타내고, T는 상기 문제들을 풀기 위해 총 주어진 시간을 나타내고, TP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제들을 풀기 시작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경과한 시간을 나타내고, Q는 상기 문제들의 수를 나타내고, QP는 상기 현재까지 상기 사용자가 푼 문제들의 수를 나타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힌트 정보가 복수인 경우, 상기 힌트 정보를 위한 특정 시간을 아래의 수학식 2에 기초하여 결정하되,
[수학식 2]
Figure pat00006

n은 상기 힌트 정보의 개수를 나타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제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오답한 적어도 하나의 문제들을 확인하고,
상기 오답한 적어도 하나의 문제들 각각에 대응하는 단원(chapter)들을 확인하고,
상기 단원들 각각에 대응하는 오답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원들 각각에서의 순위 백분율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원들 각각에서의 순위 백분율을 고려하여, 상기 단월들 각각에 대한 보충 문제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개수를 토대로 보충 문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게 제공하는, 서버.
processor; and
a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instructing the processor to perform at least one step; including,
The processor is:
Provides lecture-related problems with the user's terminal device,
Receive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for the problems from the user's terminal device, wherein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includes the user's answer information for the problems related to the lecture and the user's solution for each problem contains information indicating time;
Check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that is diagnostic information about other users,
Generates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which is diagnostic inform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s problem solving data and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wherein the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includes a correct rate or incorrect answer rate for each problem, and the user for each problem including the percentage of the sample based on the correct answer or incorrect answer rate of the user,
providing a diagnostic page including the second diagnostic information;
providing lecture content for the user based on the second diagnosis information;
The processor is:
Problem solving including a first area representing the first problem among the problems, a second area representing a solution time of the first problem of the user, and a third area representing hint information for the first problem provide the page,
The third area indicates hint information for the first problem when the user's solution time of the first problem is longer than a specific time,
The specific time (H) for the hint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Equation 1 below,
[Equation 1]
Figure pat00005

a represents the percent correct of the first problem, T represents the total given time to solve the problems, T P represents the time elapsed since the user started solving the problems until now, and Q represents the denotes a number, Q P denotes the number of problems solved by the user so far,
The processor determines a specific time for the hint information based on Equation 2 below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hint information,
[Equation 2]
Figure pat00006

n represents the number of hint information,
The processor is:
Checking at least one problem that the user answered incorrectly among the problems,
Identifying chapt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incorrect answer,
Considering the number of incorrect answ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nits, check the rank percentage in each of the units of the user,
determining the number of supplementary questions for each of the months, taking into account the rank percentage in each of the units of the user;
A server that generates a supplementary problem based on the determined number and provides it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user.
KR1020220088312A 2021-04-27 2022-07-18 server operating an online platfor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KR1025830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312A KR102583005B1 (en) 2021-04-27 2022-07-18 server operating an online platfor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21A KR102423740B1 (en) 2021-04-27 2021-04-27 Method for operating lecture platfor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0220088312A KR102583005B1 (en) 2021-04-27 2022-07-18 server operating an online platfor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21A Division KR102423740B1 (en) 2021-04-27 2021-04-27 Method for operating lecture platform and apparatus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540A true KR20220147540A (en) 2022-11-03
KR102583005B1 KR102583005B1 (en) 2023-09-27

Family

ID=8260618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21A KR102423740B1 (en) 2021-04-27 2021-04-27 Method for operating lecture platfor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0220088312A KR102583005B1 (en) 2021-04-27 2022-07-18 server operating an online platfor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KR1020220088311A KR102583002B1 (en) 2021-04-27 2022-07-18 method for diagnosing a user by analyzing the user's problem solv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21A KR102423740B1 (en) 2021-04-27 2021-04-27 Method for operating lecture platform and apparatus for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311A KR102583002B1 (en) 2021-04-27 2022-07-18 method for diagnosing a user by analyzing the user's problem solv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2374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740B1 (en) * 2021-04-27 2022-07-22 이현민 Method for operating lecture platform and apparatus for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270A (en) 2009-11-26 2011-06-01 신윤범 On-lin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KR20110105030A (en) 2010-03-18 2011-09-2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Individual customized education system for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
KR20120019884A (en) * 2010-08-27 2012-03-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for offering analysis of test, server thereof, terminal thereof,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KR20160149079A (en) * 2015-06-17 2016-12-27 테크빌교육 주식회사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question through terminal
KR20200012431A (en) * 2018-07-27 2020-02-05 (주)웅진씽크빅 Method for providing an information of a question analysis using big data
KR102423740B1 (en) * 2021-04-27 2022-07-22 이현민 Method for operating lecture platform and apparatus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961A (en) * 2000-06-05 2001-12-12 송경수 Game device using internet and method ther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270A (en) 2009-11-26 2011-06-01 신윤범 On-lin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KR20110105030A (en) 2010-03-18 2011-09-2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Individual customized education system for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
KR20120019884A (en) * 2010-08-27 2012-03-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for offering analysis of test, server thereof, terminal thereof,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KR20160149079A (en) * 2015-06-17 2016-12-27 테크빌교육 주식회사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question through terminal
KR20200012431A (en) * 2018-07-27 2020-02-05 (주)웅진씽크빅 Method for providing an information of a question analysis using big data
KR102423740B1 (en) * 2021-04-27 2022-07-22 이현민 Method for operating lecture platform and apparatus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002B1 (en) 2023-09-27
KR102583005B1 (en) 2023-09-27
KR102423740B1 (en) 2022-07-22
KR20220147539A (en)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79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based student tutoring
Roschelle et al. Integration of technology, curriculu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advancing middle school mathematics: Three large-scale studies
Pereira et al. Survey and analysis of current mobile learning applications and technologies
Greene et al. Investigating how college students’ task definitions and plans relate to self-regulated learning processing and understanding of a complex science topic
US201602930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assessment and training
Rappa et al. The use of eye tracking technology to explore learning and performance within virtual reality and mixed reality settings: a scoping review
US20150242974A1 (en) Adaptive e-learning engine with embedded datagraph structure
Koehler et al. What the tech is going on with teachers’ digital teaching portfolios? Using the TPACK framework to analyze teachers’ technological understanding
Önal et al. The effect of SOS table learning environment on mobile learning tools acceptance, motivation and mobile learning attitude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US20190150819A1 (en) Automated correlation of neuropsychiatric test data
Wambsganss et al. Enhancing argumentative writing with automated feedback and social comparison nudging
US10720072B2 (en) Adaptive learning system using automatically-rated problems and pupils
Woodard et al. How students use statistical computing in problem solving
KR102583005B1 (en) server operating an online platfor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KR102344724B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managing learning of stud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earning management method
Shurygin et al. Modern approaches to teaching future teachers of mathematics: the use of mobile applications and their impact on students’ motivation and academic success in the context of STEM education
US110623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ntelligent interrogative learning platform
Tamim et al. Explor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learning theoretical foundations of eHealth and mHealth education interventions
BECKER et al. Generative AI in Introductory Programming
Anderson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tegrating technology in an urban Iowa middle school
Ma et al. Application of cluster analysis to identify different reader groups through their engagement with a digital reading supplement
Caughman et al. Biology Students’ Math and Computer Science Task Values Are Closely Linked
Jones et al. The presentation of technology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textbooks: Content courses for elementary teachers
Unčík et al. Annotating educational content by questions created by learners
Milliken Redesigning How Teachers Learn, Teach, and Assess Computing with Block-Based Languages in Their Class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