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030A - Individual customized education system for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 - Google Patents

Individual customized education system for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030A
KR20110105030A KR1020100024034A KR20100024034A KR20110105030A KR 20110105030 A KR20110105030 A KR 20110105030A KR 1020100024034 A KR1020100024034 A KR 1020100024034A KR 20100024034 A KR20100024034 A KR 20100024034A KR 20110105030 A KR20110105030 A KR 20110105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ideo lecture
communication terminal
content
le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0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창주
김병성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4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5030A/en
Publication of KR2011010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0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은 온라인상에서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사용하는 제1 통신 단말기;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플레이어를 제공하고, 다수의 멀티미디어를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하나의 컨텐츠로 재구성하는 편집기를 제공하는 통합 서버;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강사가 진행하는 동영상 강의에 참여하는 수강자가 사용하는 제2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학습과정의 이해를 높이고 참여의식을 고취시키고, 시간, 장소 등에 제약받지 않고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Disclosed are a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video conferencing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n instructor who conducts a video lecture online; An integrated server providing a player for the video lecture and providing an editor for reconfiguring a plurality of multimedia into one content for the video lecture; A database storing content for the video lecture; And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student participating in a video lecture taught by the instructor.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process, promote participation, provide education services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ime, place, etc., and improve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영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individual customized education system for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Individual customized education system for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

본 발명은 영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 utilizing a video conferencing platform.

종래의 교육은 학교 또는 학원 등의 교실에서 강사와 다수의 수강자 간에 이루어지는 교육, 강사와 수강생 일대일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그리고 방송매체를 통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강의를 하는 교육 등으로 구분되어진다.Conventional education is divided into edu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a larg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room of a school or academy, education in a one-to-one manner with a lecturer and students, and education for an unspecified number through a broadcasting medium.

이러한 방식의 교육은 특정 시간, 특정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의 효율성 및 시간 활용에 문제점이 있고 대부분 다시 수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Since this type of education takes place in a certain time and space, there is a problem in learning efficiency and time utilization, and it is also difficult to retake most courses.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자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교육이 제시되고 있는데, 강사의 강의 내용을 담은 화상을 수강자에게 전송하는 방식과 강의 내용을 담은 음성과 필기 내용을 전송하는 방식 등이 있다.In order to effectively solve this problem, distance education using the Internet has been proposed, such as a method of transmitting an image of a lecturer's lecture to the learner,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a voice and writing content of the lecture.

그러나 이 또한 단방향 방식으로 녹화된 영상을 이용하여 교육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프라인 상의 양방향 교육을 실현하는 데에는 기술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특히, 강사가 수강자들의 반응을 보면서 학습의 흐름을 조절하고, 학생들과 실시간 질의응답을 통하여 학습과정의 이해를 높이고 참여의식을 고취시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오프라인에서의 교육적 장점을 온라인상에서 전혀 구현하지 못한다는 점이 현재까지 이루어진 온라인 교육의 가장 큰 한계점이다.However, this also has a technical limitation in realizing two-way education offline because it uses the video recorded in a one-way method. In particular, the instructor adjusts the flow of learning while watching the students' responses, and implements the online educational advantages at all, which have the advantages of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process and enhancing the sense of participation through real-time Q & A with students. Not being able is the biggest limitation of online education.

따라서 오프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교육효과를 얻으면서 장소, 시간, 인원, 비용 등의 제한과 기타의 문제점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Therefore, a new model is needed to minimize the limitations of places, times, people, costs, and other problems while gaining real-time education effects offlin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영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강사와 수강자 간에 개인 맞춤형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영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 using a video conference platform to provide a personalized online education service between the lecturer and students in real time using a video conference platform. It is.

또한, 본 발명은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컨텐츠로서 온라인상의 여러 컨텐츠를 사용자가 재편집하여 새로운 컨텐츠로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하는 영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 utilizing a video conferencing platform to provide a platform that allows users to re-edit a variety of online content as a content to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s to produce new conten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영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은 온라인상에서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사용하는 제1 통신 단말기;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플레이어를 제공하고, 다수의 멀티미디어를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하나의 컨텐츠로 재구성하는 편집기를 제공하는 통합 서버;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강사가 진행하는 동영상 강의에 참여하는 수강자가 사용하는 제2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 using a video conferencing platfor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n instructor for conducting video lectures online; An integrated server providing a player for the video lecture and providing an editor for reconfiguring a plurality of multimedia into one content for the video lecture; A database storing content for the video lecture; And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a video lecture taught by the instructor.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 서버는 영상 회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동영상 강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편집기는 동영상과 텍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및 플래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하나의 컨텐츠로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tegrated server may provide a video lecture based on the video conferencing platform. The editor may reconstruct at least one of a video, text, an image, an animation, and a flash into the one content.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단말기는 영상 통화가 가능한 모든 유ㆍ무선 통신 단말기로,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노트북, 및 PC(Personal Compu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s are all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video calls, and include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phone, a notebook computer, and a personal computer (PC). .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영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은 온라인상에서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사용하는 제1 통신 단말기;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통합 서버; 다수의 멀티미디어를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하나의 컨텐츠로 재구성하는 편집기를 제공하는 편집 서버;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강사가 진행하는 동영상 강의에 참여하는 수강자가 사용하는 제2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 using a video conferencing platform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n instructor for conducting a video lecture online; An integrated server providing a player for the video lecture; An editing server providing an editor for reconfiguring a plurality of multimedia into one piece of content for the video lecture; A database storing content for the video lecture; And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a video lecture taught by the instructor.

필요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강사 그룹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수강자 그룹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제3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f necessary, the database may include a first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structor group, a second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learner group, and a third database that stores the content.

이처럼, 본 발명은 영상 회의 플랫폼(video conference platform)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강사와 수강자 간에 개인 맞춤형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학습과정의 이해를 높이고 참여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ersonalized online education service between a lecturer and a participant in real time using a video conference platform, thereby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process and inspiring participation.

또한, 본 발명은 영상 회의 플랫폼(video conference platform)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강사와 수강자 간에 개인 맞춤형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시간, 장소 등에 제약받지 않고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rsonalized online education service between a lecturer and a participant in real time using a video conference platform, so that edu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without being restricted to time and place.

또한, 본 발명은 교육 자료로서 온라인상의 여러 컨텐츠 예컨대,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애니메이션, 플래쉬 등을 사용자가 재편집하여 새로운 컨텐츠로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by providing a platform for the user to re-edit a variety of online content, such as video, image, text, animation, flash, etc. as an educational material to produce new content.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을 나타내는 제1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교육 서비스의 개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을 나타내는 제2 예시도이다.
1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 using a video conferencing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cept of a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n ed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a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 using a video conferen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영상 회의 플랫폼(video conference platform)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강사와 수강자 간에 개인 맞춤형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 utilizing a video conferencing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personalized online education service between a lecturer and a student in real time using a video conference platform.

또한, 본 발명은 교육 자료로서 온라인상의 여러 컨텐츠 예컨대,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사운드 애니메이션, 플래쉬 등을 사용자가 재편집하여 새로운 컨텐츠로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tform that allows users to re-edit a variety of online content, such as video, images, text, sound animation, flash, etc. as a training material to produce new cont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을 나타내는 제1 예시도이다.1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 using a video conferencing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제1 통신 단말기(110), 통합 서버(120),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140), 및 제2 통신 단말기(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단말기(110)는 강사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나타내고, 제2 통신 단말기(150)는 수강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As shown in FIG. 1,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 integrated server 120, a database (DB) 140,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50, and the like. Can be configured. Here,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presents a terminal used by the instructor,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50 represents a terminal used by the learner.

이때, 제1 및 제2 통신 단말기(110, 150)는 영상 통화가 가능한 모든 유ㆍ무선 통신 단말기를 의미하는데, 예컨대,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노트북, 및 PC(Personal Computer)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s 110 and 150 refer to all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video calls, for example, mobile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smart phones, notebook computers, and personal computers (PCs). ), Etc.

통합 서버(120)는 영상 회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용자 즉, 강사와 수강자가 온라인상에서 1:1 또는 1:N(다수)의 실시간 화상 수업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서버(120)는 제1 및 제2 통신 단말기(110, 150)가 온라인 기반으로 실시간 화상 수업을 위한 스트리밍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도록 플레이어(player)를 제공하고, 이러한 실시간 화상 수업에 사용하는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기(editor) 등도 제공하게 된다.The integrated server 120 may perform 1: 1 or 1: N (multiple) real-time video lessons online by a user, that is, a lecturer and a participant, based on a video conferencing platform. The integrated server 120 provides a play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s 110 and 150 do not install a separate software for displaying a streaming video for a real-time video lesson on an online basis. An editor for editing the content used in the video lesson is also provided.

데이터베이스(140)는 사용자 정보, 수강자에게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 및 강사 또는 수강자에 의해 제작되는 각종 자료 등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The database 140 may store and manage user information, various contents provided to the students, and various materials produced by the instructor or the students.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관리하는 정보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로 다른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로 구분될 수 있는데, 예컨대, 강사 그룹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수강자 그룹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컨텐츠를 저장하는 제3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base 140 may be divided into different databases that are physically separated according to information to be managed, for example, a first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an instructor group, and an agent that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a student group. 2 database, and a third database for storing the conten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교육 서비스의 개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cept of a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1)누구나 강사 또는 선생이 되어 온라인상에 1:1 또는 1:N 실시간 화상 강의, 2)강사마다 자신의 블로그 사이트를 제공하여 자신만의 강의실을 제공, 3)모든 종류의 동영상 강의를 온라인상에서 거래, 4)e-book 형태의 컨텐츠를 제공, 5)자신의 강의 영상을 편집하여 동영상 강의 형태로 제작하여 온라인상에서 판매, 6)강사 또는 선생 그룹 DB, 수강자 또는 학생 그룹 DB, 컨텐츠 DB 등의 관리, 및 수수료 거래 등을 제공, 7)강사에게 강의법과 교육 기회 제공, 그리고 8)강사에게 스타 강사 홍보 또는 공부 비법 등을 제공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2,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1) anyone or teacher or teacher online 1: 1 or 1: N real-time video lectures, 2) each instructor's own Providing your own classroom by providing a blog site, 3) Trading all kinds of video lectures online, 4) Providing e-book content, 5) Editing your own lecture videos to produce video lectures Sell online, 6) provide management of instructor or teacher group DBs, learner or student group DBs, content DBs, and commission transactions, 7) provide lecturers with instructional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8) promote instructors to star instructors, or Study tips will be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scree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통신 단말기는 개인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1:1 또는 1:N 화상 수업을 수강하는데, A 영역에 수강하는 강의에 사용하는 컨텐츠와 강의 내용, 그리고 B 영역에 강의에 참석하는 강사 및 수강자 등을 화면상에 보여주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s access a site providing a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 and take 1: 1 or 1: N video lessons, and the contents are used for lectures taken in area A. And the contents of the lecture, and the lecturers and attendees attending the lecture in the area B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이때, 컨텐츠는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으로 제공되는데, 다양한 형태의 포맷 예컨대, ppt나 pdf 포맷뿐만 아니라 e-book에 적합한 포맷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is provided as a video, an image, a text, and the like,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ats such as ppt or pdf format as well as a format suitable for an e-book.

본 발명은 이러한 통신 단말기의 화면 구성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교육 내용이나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화면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arious types of screen configurations may be possible according to the type of education contents or contents.

특히, 사용자는 편집기를 통해 자신의 강의 영상을 편집하여 새로운 동영상 강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데,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particular, a user may edit his lecture video through an editor to produce a new video lecture,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n ed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집기는 단순히 동영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예컨대, 텍스트(text), 이미지(image),사운드, 애미메이션(animation), 플래쉬(flash) 등을 타임 라인(time line) 상에 삽입하여 그 전체를 하나의 동영상과 같이 재생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vides a video but also a variety of multimedia such as text, image, sound, animation, flash, etc. in a timeline. line) so that the whole can be played as a single video.

즉, 동영상 편집기에서 화면의 위쪽 영역에 있는 기 검색된 동영상을 아래 A 영역의 타임 라인 상에 삽입하여 하나의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video editor produces a single video by inserting the previously searched video in the upper area of the screen on the timeline of the lower A area.

예컨대, 제1 동영상의 5초부터 35초까지의 구간을 타임 라인 상에 1초부터 시작하도록 위치시키고, 제2 동영상의 10초부터 40초까지의 구간을 타임 라인 상의 30초부터 위치시킴으로써, 총 1분 길이의 동영상 컨텐츠를 제작하게 된다.
For example, by positioning the section of 5 seconds to 35 seconds of the first video to start from 1 second on the timeline, and the section of 10 seconds to 40 seconds of the second video from 30 seconds on the timeline, One minute of video content will be produc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을 나타내는 제2 예시도이다.5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a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 using a video conferen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제1 통신 단말기(510), 통합 서버(520), 편집 서버(530), 데이터베이스(540), 및 제2 통신 단말기(5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510, an integration server 520, an editing server 530, a database 540,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550, and the like. It can be configured.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고, 통합 서버(510)에서 제공되던 편집기의 기능을 별도의 서버 즉, 편집 서버(530)에서 관리하도록 한다.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manages the function of the editor provided by the integrated server 510 in a separate server, that is, the edit server 53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회의 플랫폼(video conference platform)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강사와 수강자 간에 개인 맞춤형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학습과정의 이해를 높이고 참여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ersonalized online education service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participants in real time using a video conference platform, thereby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process and inspiring participation.

또한, 본 발명은 영상 회의 플랫폼(video conference platform)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강사와 수강자 간에 개인 맞춤형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시간, 장소 등에 제약받지 않고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rsonalized online education service between a lecturer and a participant in real time using a video conference platform, so that edu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without being restricted to time and place.

또한, 본 발명은 교육 자료로서 온라인상의 여러 컨텐츠 예컨대,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애니메이션, 플래쉬 등을 사용자가 재편집하여 새로운 컨텐츠로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by providing a platform for the user to re-edit a variety of online content, such as video, image, text, animation, flash, etc. as an educational material to produce new content. .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The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 utilizing the video conferen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are mere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contents of the invention in detail,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hav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ut also claims Judgment should be made including scope and equivalence.

110, 510: 제1 통신 단말기
120, 520: 통합 서버
530: 편집 서버
140, 540: 데이터베이스
150, 550: 제2 통신 단말기
110, 510: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20, 520: integration server
530: edit server
140, 540: database
150, 550: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6)

온라인상에서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사용하는 제1 통신 단말기;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플레이어를 제공하고, 다수의 멀티미디어를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하나의 컨텐츠로 재구성하는 편집기를 제공하는 통합 서버;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강사가 진행하는 동영상 강의에 참여하는 수강자가 사용하는 제2 통신 단말기
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n instructor who conducts a video lecture online;
An integrated server providing a player for the video lecture and providing an editor for reconfiguring a plurality of multimedia into one content for the video lecture;
A database storing content for the video lecture; And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a video lecture taught by the instructor;
Personalized training system that includ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버는,
영상 회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server,
Personalized training system that provides video lectures based on video conferencing platform.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기는,
동영상과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애니메이션, 및 플래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하나의 컨텐츠로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ditor,
And at least one of video, text, image, sound, animation, and flash is reconstructed into the one content.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단말기는,
영상 통화가 가능한 모든 유ㆍ무선 통신 단말기로,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노트북, 및 PC(Personal Compu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ll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video calls, personalized educational system comprising a mobile phone,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smart phones, notebooks, and PC (Personal Computer).
온라인상에서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사용하는 제1 통신 단말기;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통합 서버;
다수의 멀티미디어를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하나의 컨텐츠로 재구성하는 편집기를 제공하는 편집 서버;
상기 동영상 강의를 위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강사가 진행하는 동영상 강의에 참여하는 수강자가 사용하는 제2 통신 단말기
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n instructor who conducts a video lecture online;
An integrated server providing a player for the video lecture;
An editing server providing an editor for reconfiguring a plurality of multimedia into one piece of content for the video lecture;
A database storing content for the video lecture; And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a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a video lecture taught by the instructor;
Personalized training system that include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강사 그룹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수강자 그룹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제3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database includes:
And a third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a group of instructors, a second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a group of lecturers, and a third database for storing the contents.
KR1020100024034A 2010-03-18 2010-03-18 Individual customized education system for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 KR201101050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034A KR20110105030A (en) 2010-03-18 2010-03-18 Individual customized education system for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034A KR20110105030A (en) 2010-03-18 2010-03-18 Individual customized education system for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030A true KR20110105030A (en) 2011-09-26

Family

ID=4495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034A KR20110105030A (en) 2010-03-18 2010-03-18 Individual customized education system for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503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5019A1 (en) * 2012-07-18 2014-01-23 Logical Operations Multi-platform learning environment
KR102423740B1 (en) 2021-04-27 2022-07-22 이현민 Method for operating lecture platform and apparatus for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5019A1 (en) * 2012-07-18 2014-01-23 Logical Operations Multi-platform learning environment
KR102423740B1 (en) 2021-04-27 2022-07-22 이현민 Method for operating lecture platfor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220147539A (en) 2021-04-27 2022-11-03 이현민 method for diagnosing a user by analyzing the user's problem solv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20147540A (en) 2021-04-27 2022-11-03 이현민 server operating an online platfor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pungose Emergent transition from face-to-face to online learning in a South African University in the context of the Coronavirus pandemic
Barakabitze et al. Transforming African education systems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using ICT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Yousef et al. Video-based learning: A crit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published in 2003-2013 and future visions
Smyth Broadband videoconferencing as a tool for learner‐centred distanc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derinoye et al. Integrating mobile learning into nomadic education programme in Nigeria: Issues and perspectives
Chen et al. A model for synchronous learning using the Internet
Parrish Toward transformation: Digital tools for online dance pedagogy
Nanjundaswamy et al. Digital Pedagogy for Sustainable Learning.
Naresh Education after COVID-19 crisis based on ICT tools
Annan et al. Mobile LearningPlatform: a case study of introducing m-learning in Tertiary Education
Ajayi et al. Mobile learning and accounting students’ readiness in tertiary and professional institutions in Nigeria
Bahamondez et al. Utilizing multimedia capabilities of mobile phones to support teaching in schools in rural panama.
Dalal et al. What if you build it and they still won't come? Addressing student awareness of resources and services with promotional videos
Aikins et al. Using ICT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usic in the colleges of education during a pandemic situation in Ghana
Hong et al. The application of multimedia and wireless technology in education
KR20110105030A (en) Individual customized education system for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
Tendo Multimedia pedagogy among literature lecturers in two universities in Uganda post COVID-19
Valderrama Bahamondez et al. Utilizing multimedia capabilities of mobile phones to support teaching in schools in rural panama
Kumar et al. Development of an innovative e-content generation process
Smyth et al. Internet-based videoconferenc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A Cinderella story
Gourova et al. M-Learning Systems Design--Technology and Pedagogy Aspects.
Rahmanu et al. Exploring Polytechnic learners’ perception on multimodality in MALL in business administration instruction
Sinfield Graphic design in a digital world: Enhancing graphic design teaching through digital technologies
Slobodian Future of Online and Digital Learning in Post-Secondary Art Institutions
Yen et al. Digital education: Trends and perspectives in teacher education in Vietn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