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454A -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454A
KR20220147454A KR1020210054655A KR20210054655A KR20220147454A KR 20220147454 A KR20220147454 A KR 20220147454A KR 1020210054655 A KR1020210054655 A KR 1020210054655A KR 20210054655 A KR20210054655 A KR 20210054655A KR 20220147454 A KR20220147454 A KR 20220147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ringing tone
unit
selection unit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욱
김동명
김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54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7454A/ko
Publication of KR2022014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음을 통해 메시지의 중요도 등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는, 통신망을 통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에 대하여 대응하는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된 선정 유닛; 및 상기 선정 유닛에 의해 선정된 착신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발생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ingtone of message}
본 발명은 메시지 착신음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시지 수신 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착신음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의 사용이 대중화되면서,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단말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는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인스턴트 메신저, 특히 휴대 단말을 이용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는, 스마트폰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 특히 Wi-Fi 및 데이터 패킷망을 이용하여 별도의 과금 없이 사람들과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개인과 개인 사이에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경우는 물론이고, 각종 모임이나 단체, 이를테면 회사나 학교, 동호회, 종교 단체 등에서도 메시지를 주고 받을 때 이러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에서 인스턴트 메시지가 수신될 때,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와 같은 형태의 메시지가 수신될 때, 단말에서는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착신음이 울릴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 등 단말 사용자는, 이러한 착신음이 울릴 때 메시지의 수신을 인지하고 해당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모바일 메신저 등을 활용하여 인스턴트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각 개인이 메시지를 수신하는 횟수는 급격하게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 이용자가 하루 동안 받는 메시지의 횟수는 수십 내지 수백 건, 또는 그 이상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 개인은 모든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수신한 메시지를 일일이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회사에서 업무를 하거나 미팅 중인 경우, 또는 학교나 학원에서 공부하고 있는 경우 등과 같이, 상황에 따라 착신음을 청취하였음에도 그 때마다 수신 메시지를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착신음이 울릴 때마다 수신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업무 등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런데, 각 개인이 수신한 메시지는 천천히 확인해도 되거나 확인이 필수적이지 않은 중요도가 낮은 메시지일 수도 있지만, 업무와 관련되거나 긴급한 처리 내지 답변 등이 필요한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일 수도 있다. 만일, 신속한 확인이나 답변, 처리 등이 필요한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임에도 그 확인을 미루게 되면, 메시지 수신자는 관련 업무나 후속 처리 등을 하지 못해 불측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확인이 필요하나, 착신음이 울렸을 때, 메시지의 발신원이나 내용 등을 직접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전에는 메시지의 중요도를 파악하기 어렵다. 그러나, 메시지의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모든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결국 중요도가 떨어지는 메시지까지 모두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업무 등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불편함이 증가하는 문제가 다시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메시지 수신 시, 착신음을 통해 메시지의 중요도 등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및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는, 통신망을 통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에 대하여 대응하는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된 선정 유닛; 및 상기 선정 유닛에 의해 선정된 착신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발생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정 유닛은, 상기 메시지의 발신원 별로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유닛은, 사용자로부터 발신원 별로 착신음을 선택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호칭을 추출하고, 추출된 호칭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 음량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원과의 메시지 송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유닛은, 상기 발신원에 대한 송신 내역과 수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를 다르게 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유닛은, 상기 송수신 내역으로, 상기 발신원에 대한 이전 응답 시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는, 음성을 입력받도록 구성된 입력 유닛; 및 상기 입력 유닛으로 입력된 음성을 이용하여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구성된 구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선정 유닛은, 상기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음성을 상기 메시지의 착신음으로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축 유닛은, 상기 입력 유닛에 입력된 음성을 이용하여 다수의 알림 표현을 구축하고, 상기 선정 유닛은, 다수의 알림 표현 각각에 대한 구축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서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은, 통신망을 통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대하여 대응하는 착신음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 단계에서 선정된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원 별로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단계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발신원 별로 착신음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호칭을 추출하고, 추출된 호칭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 음량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원과의 메시지 송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발신원에 대한 송신 내역과 수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를 다르게 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송수신 내역으로, 상기 발신원에 대한 이전 응답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은, 상기 선정 단계 이전에,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음성을 이용하여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메시지 발신자의 음성을 상기 메시지의 착신음으로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축 단계는, 상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음성을 이용하여 다수의 알림 표현을 구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선정 단계는, 다수의 알림 표현 각각에 대한 구축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기록 매체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메시지의 착신음 만으로, 메시지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 휴대단말 사용자가 메시지의 수신 시, 착신음을 듣기만 하면, 메시지의 내용이나 발신원 등을 직접적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수신된 메시지가 중요한 메시지인지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효과에 의하면, 휴대 단말 사용자가 착신음만으로 메시지의 중요도를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 사용자는, 메시지의 착신음 청취만으로도 메시지 중요도 확인을 선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그 중요도에 따라 메시지의 신속한 확인 여부나 답신 여부 등을 곧바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 사용자는, 중요한 메시지, 이를테면 업무 상 관련된 메시지나 긴급한 상황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신속하게 확인하여 응대나 후속 처리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반면, 휴대 단말 사용자가 중요하지 않은 메시지, 이를테면 상품 광고 메시지나 안부 인사, 업무와 관련되지 않은 메시지, 일상적인 대화와 같은 중요도가 높지 않은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수신자는 메시지의 내용 등을 즉각적으로 확인하지 않고 여유 있을 때로 확인을 미룰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불필요한 메시지에 대한 즉각적인 확인을 줄임으로써 현재의 업무나 일에 보다 집중하도록 하면서도, 중요한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즉각적인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개인의 신뢰성, 업무 능력 및 처리 능력 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여러 다른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각 실시 구성에서 설명하거나,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효과 등에 대해서는 해당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가 수신 단말에 포함되어 구현된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정 유닛에 의해 구별되는 메시지의 다양한 발신원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유닛에 저장된 중요도나 긴급도와 관련된 용어 리스트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정 유닛이 파악한 다수의 발신원과의 메시지 송수신 내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정 유닛이 파악한 다수의 발신원과의 통화 내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축 유닛에 의해 구축된 착신음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가 서버에 포함되어 구현된 다른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가 수신 단말(10)에 포함되어 구현된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는, 수신 유닛(110), 선정 유닛(120) 및 발생 유닛(13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가, 송신 단말(30)로부터 수신 단말(10)로 전송되는 메시지에 대하여 착신음을 제공하는 경우, 다시 말해 수신 단말(10)에서 메시지 수신 시 울리는 착신음을 제공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수신 유닛(110)은, 통신망(40)을 통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서, 송신 단말(30)이 메시지를 송신하면, 이러한 메시지는 통신망(40)을 통해 수신 단말(1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단말(30)이 전송한 메시지는, 서버(20)를 경유한 후 수신 단말(1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때, 서버(20)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사업자 측에 마련된 서버이거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특히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 사업자 측에 마련된 서버일 수도 있다. 그리고, 수신 단말(10)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와 같은 휴대 단말일 수 있다.
한편, 수신 단말(10)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된 통신망(40)은 무선 통신망 및/또는 유선 통신망일 수 있다. 이때, 통신망(40)은 5G나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이동통신 기술을 활용한 이동통신망이나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일 수 있다. 이 밖에도, 수신 유닛(110)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통신망(40)에 접속되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유닛(110)이 수신하는 메시지는, 모바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인스턴트 메시지일 수도 있고, 휴대 단말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SMS나 MMS와 같은 형태의 메시지일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메시지의 구체적인 종류나 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나 형태의 메시지 수신에 대하여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유닛(110)은, 송신 단말(30)이 전송한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관련 정보에는, 메시지에 포함된 실질적인 내용 정보, 즉 텍스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관련 정보에는, 메시지 헤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관련 정보에는, 메시지를 발신한 발신원의 식별 정보, 이를테면 송신 단말(30)의 가입자 정보, 이를테면 아이디(ID)나 이름, 휴대 전화 번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관련 정보에는, 메시지가 수신 단말(10)에 의해 수신되었다는 정보나 수신 단말(10)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하였다는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신 유닛(110)은,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로서, 메시지의 내용 정보, 발신원 정보, 수신 정보 및 확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수신 유닛(110)은, 메시지와 관련된 다른 다양한 정보 등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유닛(110)은, 메시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유닛(110)은, 수신 단말(10)인 휴대 단말에 포함된 통신 모듈 내지 통신 칩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 유닛(110)은, 휴대 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는 정보를 외부의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 밖에, 상기 수신 유닛(110)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통신 기술을 채용하여 메시지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수신 시,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신 단말(10)로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가 수신된 사실을 수신 단말(10)의 사용자(수신자)에게 고지하기 위한 알림으로서, 착신음이 출력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메시지의 수신 정보는, 수신 유닛(110)으로부터 선정 유닛(1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선정 유닛(120)은, 해당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는 착신음을 어떠한 착신음으로 할지에 대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수신 시, 각 메시지마다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각 메시지에 대응하는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유닛(110)에 의해 10개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선정 유닛(120)은, 10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선정 유닛(120)은, 10개의 메시지 전체에 대한 대응 착신음을 모두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그 중 적어도 일부 메시지에 대해서는 대응 착신음이 다르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선정 유닛(120)은, 10개의 메시지 전체에 대한 대응 착신음이 모두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발생 유닛(130)은, 착신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메시지 수신 시 해당 메시지에 대응하는 착신음이 선정 유닛(120)에 의해 선정되면, 이러한 착신음 선정 정보는 발생 유닛(13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해당 정보를 전송받은 발생 유닛(130)은, 선정된 착신음을 해당 메시지의 착신음으로서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착신음을 발생시킨다는 것은, 착신음을 자체적으로 직접 출력한다는 의미는 물론이고, 외부의 다른 장치로 하여금 착신음의 출력을 유도 내지 제어한다는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생 유닛(130)은, 스피커를 구비하여 착신음을 직접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발생 유닛(130)이 수신 단말(10)에 구비된 경우, 수신 단말(10)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착신음이 울리도록 하는 형태로 착신음을 직접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발생 유닛(130)은, 메시지에 대한 착신음을 음향 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직접 듣도록 하는 형태로 구현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발생 유닛(130)은, 다른 구성요소로 하여금 착신음의 출력을 유도하거나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발생 유닛(130)이 서버(20)에 구비된 경우, 수신 단말(1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수신 단말(10)이 자체 스피커를 통해 착신음을 울리도록 하는 형태로 착신음을 간접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발생 유닛(130)은, 외부 장치의 스피커 등에서 해당 착신음이 출력되도록, 외부 장치로 전기적 신호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마트폰 등의 수신 단말(10)에서 메시지가 수신될 때, 착신음이 획일적으로 울리지 않고, 메시지마다 그에 대응하는 착신음이 구분되어 출력될 수 있다. 즉,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착신음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수신자는, 착신음만으로도 메시지의 구별이나 중요도 등에 대한 예측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메시지 수신자는, 메시지 수신 시, 모든 메시지의 내용을 일일이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으며, 메시지에 대한 선별적인 관리 및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메시지 수신자는, 중요한 메시지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대응이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널리 알려진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정 유닛(120)이나 수신 유닛(110), 발생 유닛(130) 등은, 프로세서에 의해 적어도 일부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 그래픽 처리 장치(GPU),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거나 이들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이러한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 등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는, 후술하는 저장 유닛(160)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음 제공 장치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가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때, 각 구성요소에 대한 기능 내지 동작으로서, '~한다', '~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다'는 표현은, '~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는 등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선정 유닛(120)은, 착신음을 선정하는 동작으로서, 착신음의 형태, 내용, 속도, 빈도 및 음량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착신음의 형태에는, 음성, 멜로디 및 소리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에 대한 착신음을, 음성으로 할지, 멜로디로 할지, 또는 소리로 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음성은 특정인의 음성이거나 기계적 합성음으로서, 소정의 단어나 문장 등을 소정의 목소리로 읽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선정 유닛(120)은, 이러한 음성에 대해서도, 어떠한 음성, 특히 누구의 음성으로 할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멜로디는, 악기에 의한 연주곡이나 가수에 의한 노래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소리는, 물소리나 바람 소리, 빗소리 등과 같이 곡이 없는 자연에서 들을 수 있는 소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착신음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선정 유닛(120)은 다양한 형태의 착신음 중, 각 메시지에 대하여 어떠한 착신음을 대응 착신음으로 할지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착신음의 내용은, 착신음이 음성으로 발현될 때, 그 텍스트, 즉 단어나 문장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 음량은, 착신음이 출력될 때의 빠르기, 반복 횟수 및 출력 크기라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발신원 별로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원은 메시지를 전송한 주체로서, 이를테면 도 2에서 송신 단말(30)의 사용자(송신자)일 수 있다. 이러한 발신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수신 유닛(110)이 메시지에 관한 정보로서 수신하여, 선정 유닛(1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발신원으로서 발신자 또는 발신 그룹을 구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자는 1명의 개인이나 회사 등을 의미하고, 발신 그룹은 발신자가 속하는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정 유닛(120)에 의해 구별되는 메시지의 다양한 발신원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1 내지 P11은, 수신 단말(10)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개인, 즉 발신자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G1 내지 G3은, 수신 단말(10)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그룹, 즉 발신 그룹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가 이용되는 경우, 수신 단말(10) 사용자는, 1인의 사용자와 개인 채팅방을 만들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도 있고, 2인 이상의 인원과 그룹 채팅방을 만들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이때, 개인 채팅방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발신자는, 메시지를 전송한 상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그룹 채팅방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발신자는, 그룹 채팅방을 형성하는 발신 그룹이라 할 수 있다. 즉,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가 개인 채팅방 내에서 수신한 메시지인 경우 발신자를 구별하고, 그룹 채팅방 내에서 수신한 메시지인 경우 발신 그룹을 구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선정 유닛(120)은, 그룹 채팅방 내에서 수신한 메시지라 하더라도, 실제 메시지를 전송한 그룹원을 발신자로 구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이와 같이 구별된 발신원, 즉 발신자나 발신 그룹에 대하여 착신음을 개별적으로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수신 단말(10)은, P1, P2 및 P3와 각각 별도의 개인 채팅방을 통해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고, G1, G2 및 G3의 그룹 채팅방을 통해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선정 유닛(120)은, P1 내지 P3 및 G1 내지 G3 중 하나 이상의 발신원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원이 누구인지에 따라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선정 유닛(120)은, 모든 발신원에 대한 착신음이 서로 다르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 단말(10)로 전송되면, 메시지 수신 정보는 수신 유닛(110)에 의해 접수되어 선정 유닛(1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선정 유닛(120)은, 해당 메시지가 어느 발신원으로부터 발신된 것인지를 파악하여, 해당 발신원에 대응하는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그러면, 선정된 착신음은 발생 유닛(130)에 의해 소리로 출력되어 수신 단말(10) 사용자가 발신원을 구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3의 실시예에서, 선정 유닛(120)은 P1 내지 P3에 대한 착신음과 G1 내지 G3에 대한 착신음이 서로 다르도록 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수신자는 착신음만 듣고도 P1 내지 P3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인지, 아니면 G1 내지 G3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와 같이 발신자나 발신 그룹은 채팅방을 기반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발신자나 발신 그룹은 주소록 기반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특히,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에서는 기본적으로 주소록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 검색 서비스 사업자나 메신저 서비스 사업자 등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수신 단말(10) 사용자는, 연락을 주고 받는 사람들에 대한 주소록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주소록 상에서 각 개인들을 특정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족, 회사, 친구, 동호회, 동기 등과 같이 여러 그룹을 두고, 각각의 그룹마다 한 명 이상의 연락처를 포함시키는 형태로 주소록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정 유닛(120)은 이러한 주소록을 이용하여 발신자나 발신 그룹을 구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정 유닛(120)은, 주소록에서 설정된 특정 그룹을 발신 그룹으로 구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주소록 상 '가족' 그룹에 포함된 사람으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어 수신된 경우, 선정 유닛(120)은, 발신 그룹을 '가족' 그룹으로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정 유닛(120)이 발신자나 발신 그룹을 구분하여, 그에 대응되는 착신음을 선정한 경우, 선정된 착신음에 대한 정보는 발생 유닛(130)으로 전송되어, 발생 유닛(130)이 해당 메시지에 대응되는 착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발신원에 따른 메시지의 중요도가 쉽게 구별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 수신자는, 수신 단말(10)의 화면을 통해 메시지 발신자를 시각적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착신음을 통해 발신자나 발신 그룹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메시지는, 발신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또는 어느 발신 그룹에서 전송된 것인지에 따라, 그 중요도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발신자나 발신 그룹이 업무와 관련된 사람이나 그룹, 이를테면 회사의 상사나 동료, 거래 업체 인원인 경우, 해당 메시지는 중요하거나 긴급한 메시지일 가능성이 높다. 반면, 발신자가 친구나 학교 동창, 동호회 회원 등인 경우, 해당 메시지는 중요하지 않거나 긴급하지 않은 메시지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 수신자가 메시지의 착신음만 듣고도 발신원을 파악함으로써 메시지의 중요도나 긴급도 등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선정 유닛(120)은, 사용자, 특히 수신 단말(10) 사용자로부터 발신원 별로 착신음을 선택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수신자가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미리 메시지 수신자로부터 특정 발신자나 특정 발신 그룹에 대한 착신음을 선택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선정 유닛(120)은, 수신 단말(10)의 입력 기능, 이를테면 터치 스크린이나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을 통해 발신원 별 착신음을 선택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력 기능은, 후술하는 입력 유닛(14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정 유닛(120)은, 수신 단말(10)의 기본 주소록이나 어플리케이션 주소록 내에서, 수신 단말(10)의 사용자가 개별 인원이나 그룹 별로 착신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창이나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수신 단말(10)의 사용자는, 수신 단말(10)의 입력 기능 등을 통해, 주소록에 기재된 인원이나 그룹 별로, 착신음을 선택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선택된 정보는, 선정 유닛(1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이와 같이 선택된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 수신 시, 해당 메시지의 발신원에 대하여 선택된 착신음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착신음이 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단말(10) 사용자는, 주소록에 포함된 개인 P1, P2, P3와 그룹 G1, G2, G3 중에서, 그룹 G1에 대하여 착신음을 '음성'으로 선택하고, 나머지 개인(P1, P2, P3)이나 그룹(G2, G3)에 대해서는 착신음을 '멜로디'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수신 메시지가 그룹 G1에 속하는 인원으로부터 전송되거나 그룹 G1에 해당하는 그룹 채팅방 내에서 전송된 경우, 상기 선정 유닛(120)은, 착신음을 '음성'으로 선정할 수 있다. 반면, 수신 유닛(110)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가 그룹 G1이 아닌 다른 발신자나 다른 발신 그룹에서 전송된 경우, 상기 선정 유닛(120)은, 착신음을 '멜로디'로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의 발신원 별로 수신자가 미리 선택하여 구별된 착신음이 울리게 되므로, 메시지 수신자는 보다 쉽게 발신원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발신원에 기초한 메시지의 중요도나 긴급도 판단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선정 유닛(120)은, 주소록 기반으로 착신음을 자동으로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정 유닛(120)은, 미리 설정된 제어 로직 내지 제어 알고리즘 등을 통해, 주소록 상 구분된 그룹 각각에 대하여 대응되는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신저 서비스 등이 이용되는 환경에서, 상기 선정 유닛(120)은, 그룹 채팅방 내에서 개인 별로 착신음의 구분 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실시예에서, 선정 유닛(120)은, 그룹 채팅방 G3에서 수신된 메시지들에 대하여 메시지의 발신원 별로 착신음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수신 단말(10) 사용자와 함께 그룹 채팅방 G3에 참여한 그룹원은 P9, P10, P11, P1, P7이다. 이때, 선정 유닛(120)은, P11에 대한 착신음을, 다른 그룹원, 즉 P9, P10, P1, P7에 대한 착신음과 다르도록 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선정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받은 것일 수도 있고, 자체적인 알고리즘 등에 의해 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그룹 채팅방 내에서 수신한 여러 메시지들 중에서, 특정 그룹원의 메시지가 착신음으로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하나의 그룹 채팅방 내에서 수신한 메시지라 하더라도, 어느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인지, 착신음만으로도 구별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그룹 채팅방 내에서 보다 중요한 그룹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그룹원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가 보다 쉽게 판별될 수 있다. 더욱이, 하나의 그룹 채팅방 내에는 매우 많은 사람, 이를테면 수십 내지 수백 명의 참여자들(그룹원)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그룹 채팅방 내에 포함된 그룹원들 중에서 특정 그룹원이 보낸 메시지를 착신음을 통해 구분함으로써, 그룹 채팅방 내에서 메시지의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채팅방 내에서 중요한 그룹원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착신음을 통해 구분함으로써, 해당 메시지에 대해서는 신속한 확인 내지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유닛(140)은, 수신 단말(10)이나 서버(20) 등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 등으로부터 입력이나 선택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유닛(140)은,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이나, 개인용 컴퓨터(PC)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등은, 터치 스크린이나 키보드, 마우스 등을 통해 각종 명령을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 유닛(140)이 추가로 포함되는 실시예의 경우,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된 사용자의 발신원 별 착신음 선택은, 입력 유닛(14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정 유닛(120)은 모니터나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 가능한 버튼이나 입력창을 제공하고, 입력 유닛(140)은 사용자로부터 선택이나 명령 등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는 선정 유닛(120)으로 전송되어, 선정 유닛(120)이 그러한 입력에 상응하는 적절한 착신음 선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유닛(160)은,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저장 유닛(160)은, 수신 유닛(110), 선정 유닛(120) 및 발생 유닛(130) 등이 그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 유닛(1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가 그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또는 그 동작 및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유닛(160)은, 수신 단말(10) 사용자의 주소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유닛(160)은,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발신원 별 착신음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신 유닛(110)이나 선정 유닛(120), 발생 유닛(130), 입력 유닛(140) 등은 저장 유닛(160)에 액세스하여, 관련 정보나 데이터 등을 읽거나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유닛(160)은, 데이터를 기록, 소거, 갱신 및 독출할 수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정보 저장 수단이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 예시로서, 정보 저장 수단에는 RAM, 플래쉬 메모리, ROM, EEPROM, 레지스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저장 유닛(160)은, 휴대 단말(10)이나 개인용 컴퓨터(PC)의 메모리, 또는 서버(20)의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선정 유닛(120)은, 수신 유닛(110)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호칭을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이와 같이 추출된 호칭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신 유닛(110)이 휴대 단말에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 정보, 즉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러한 메시지의 내용 정보는 선정 유닛(1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선정 유닛(120)은, 전달된 메시지의 내용에서, 호칭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호칭은, 특정인이 대화의 상대방을 부를 때 사용하는 용어로서, 통상적으로 상대방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의미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칭에는, 남편, 아내, 아들, 딸, 아빠, 엄마, 오빠, 언니 등과 같은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 선생님, 어르신, 자기, 달링, 하니 등과 같은 존칭 또는 애칭, 김 사장, 이 과장, 박 서방 등과 같이 성(family name)과 함께 직급 또는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의 복합어 등,은 다양한 용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내용으로부터 호칭을 추출하기 위해, 호칭과 관련되어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유닛(160)은, 호칭에 대한 정보, 이를테면 다양한 호칭이 정리된 호칭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저장 유닛(160)에 저장된 호칭 리스트를 참조하여, 메시지의 내용 중에서 호칭을 나타내는 용어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된 각 단어 내지 음절 등을 호칭 리스트에 포함된 용어들과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된 단어나 음절 중에서 호칭 리스트에 매칭되는 용어가 있는 경우, 해당 용어를 호칭으로서 추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선정 유닛(120)은,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메시지의 내용 중에서 호칭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시지의 내용으로부터 호칭이 추출되면, 상기 선정 유닛(120)은 추출된 호칭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선정 유닛(120)은, 추출된 호칭 자체를 착신음으로 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선정 유닛(120)은, 추출된 호칭이 불려지는 형태로 착신음이 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자가 보낸 메시지의 내용이 '김 사장님, 메일 확인 부탁 드립니다.'인 경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내용 중에서, '김 사장님'이라는 호칭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선정 유닛(120)은, 이러한 메시지의 착신음으로서, '김 사장님'이라는 호칭을 선정할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이 선정된 착신음 정보는 발생 유닛(130)으로 전송되고, 발생 유닛(130)은 해당 메시지의 착신음으로서, '김 사장님'이라는 음성이 수신 단말(10)의 스피커 등을 통해 1회 이상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발신자가 보낸 메시지의 내용이 '엄마, 언제 들어와?'인 경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내용 중에서, '엄마'라는 호칭을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착신음으로 '엄마'를 선정하고, 발생 유닛(130)은 '엄마'라는 음성이 해당 메시지의 착신음으로 울리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의 수신 시, 해당 메시지를 발신한 발신자가 수신자를 부르는 호칭으로 메시지 착신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의 착신음이 울리게 되면, 수신자는 메시지의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메시지의 발신자가 수신자를 부르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수신자는 착신음을 통해 메시지의 발신자와 대화를 하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가 수신될 때, 발신자가 평소 수신자를 부르는 용어로서 착신음이 울릴 수 있다. 특히, 수신자의 휴대 단말 주소록에는, 발신자가 수신자를 부르는 호칭이 아니라, 수신자가 발신자를 부르는 호칭이나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실시예에 의할 경우, 이러한 주소록에 기재된 식별 정보가 아닌, 메시지의 발신자가 부르는 호칭이 착신음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딸이 엄마에게 메시지를 보낸 경우, 엄마의 휴대 단말 주소록에는 딸의 연락처가 '딸'이라는 이름으로 저장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할 경우, 딸이 엄마에게 보낸 메시지의 착신음은, '딸'이 아닌, '엄마'로 울릴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수신자인 엄마는, 메시지의 착신음만 듣고도 누가 메시지를 보낸 것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제 딸이 본인을 부르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휴대 단말의 주소록에는,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 없이 이름만 저장되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주소록에 저장된 이름이 착신음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메시지의 발신자가 정확하게 누구인지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연락이 많지 않은 사람이거나 동명이인이 존재하는 경우, 주소록에 기재된 이름이 착신음으로 출력된다면, 메시지를 보낸 발신자와의 관계가 파악되는 것이 어렵다. 이를테면, 상기 실시예에서, 엄마의 휴대 단말 주소록에 딸의 연락처가 딸의 이름으로저장되어 있고, 해당 주소록에 딸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가진 친구의 이름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만일 주소록에 저장된 이름이 착신음으로 출력된다면, 딸이 보낸 메시지인지 아니면 친구가 보낸 메시지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하지만,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의 발신자가 메시지의 수신자를 부르는 호칭으로 메시지 착신음이 출력될 수 있으므로, 메시지 수신자의 입장에서 메시지 발신자가 누구인지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메시지의 중요도는, 메시지의 발신자가 본인(수신자)을 부르는 호칭만으로도 쉽게 파악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메시지 발신자가 업무와 관련된 사람이거나 보호가 필요한 사람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메시지 수신자는 해당 메시지의 중요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주소록에 저장된 딸과 친구의 이름이 동일한 경우에도, 딸이 보낸 메시지에 대해서는 '엄마'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엄마의 입장에서는 딸이 보낸 메시지인지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착신음에 의한 메시지의 중요도 파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내용 중에서 추출된 호칭과 주소록에 저장된 발신원의 식별 정보를 함께 착신음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발신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 유닛(110) 및/또는 저장 유닛(16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발신원에 대한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 유닛(110)으로부터 확인하고, 확인된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 유닛(160)에 저장된 수신단말(10)의 주소록과 매칭시켜, 대응되는 이름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발신원의 식별 정보(이름 등)가 파악되면, 선정 유닛(120)은, 호칭과 발신원의 식별 정보가 함께 조합된 용어의 형태로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의 내용 중에서 추출된 호칭이 '김 사장님'이고, 해당 메시지의 발신원에 대하여 주소록에서 확인된 이름이 '홍길동'인 경우, 선정 유닛(120)은 '김 사장님'과 '홍길동'이라는 2개의 용어를 조합하여, '김 사장님, 홍길동'이라는 복합 용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생성된 복합 용어는, 발생 유닛(13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발생 유닛(130)은 수신 단말(10)의 스피커 등을 통해 '김 사장님, 홍길동'이라는 음성이 메시지 착신음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 착신음으로서, 메시지 발신자가 수신자를 부르는 호칭과 함께 발신자의 이름 등이 함께 출력될 수 있으므로, 메시지 수신자의 입장에서, 착신음을 통한 메시지 발신자의 구별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서, 상기 선정 유닛(120)은, 호칭을 추출하여 착신음으로 선정한 경우, 선정된 호칭을 해당 메시지의 발신원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 유닛(160) 등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추후 동일한 발신원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내용에 호칭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저장 유닛(160)을 확인하여 매칭된 호칭이 존재하는 경우, 그 호칭을 착신음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적으로 수신된 메시지에 '김 서방'이라는 호칭이 포함되어 대응 착신음으로 '김 서방'이 선정된 경우, 이후 동일 발신원으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된 2차 메시지에 '김 서방'이라는 용어가 포함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선정 유닛(120)은 2차 메시지의 착신음을 '김 서방'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서, 상기 선정 유닛(120)은, 특정 발신원의 1회 또는 그 이상의 메시지에서 기준 횟수 이상 포함된 호칭을 착신음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횟수가 3회로 설정된 경우, 선정 유닛(120)은 동일한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메시지를 확인하여, 특정 호칭이 3회 이상 포함된 경우, 해당 호칭을 착신음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횟수는, 사용자나 선정 유닛(120)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 유닛(160)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발신자가 수신자를 부르기 위한 것이 아닌 다른 의도로 포함된 호칭 용어가 착신음으로 잘못 포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들이 아빠에게 보낸 메시지의 내용이 '엄마는 어디에 갔어?'인 경우, '엄마'는 호칭에 해당하나, 실제 메시지 수신자는 발신자와의 관계에서 '아빠'이다. 이 경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내용 중에 '엄마'라는 호칭이 포함되어 있다 하더라도, '엄마'라는 호칭이 일정 수준 이상 포함되지 않은 경우라면, '엄마'를 착신음으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아들이 아빠에게 보낸 여러 메시지들에서는 '아빠'라는 호칭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선정 유닛(120)은 '아빠'라는 호칭을 착신음으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선정 유닛(120)은, 수신 유닛(110)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정 유닛(120)은,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 음량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형태로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 음량은 착신음의 발생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선정 유닛(120)은 결정된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또는 음량에 대한 정보를 발생 유닛(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발생 유닛(130)은, 선정 유닛(120)에 의해 전송된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또는 음량에 따라 착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착신음의 속도는, 착신음이 발생되는 속도로서, 착신음을 빠르게 발생시킬지, 아니면 느리게 발생시킬지에 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음이 '메시지가 도착했습니다'라는 문장을 발음하는 형태의 음성인 경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가 도착했습니다'라는 문장이 1초 만에 발음되도록 할 수도 있고, 3초 만에 발음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선정 유닛(120)은, 착신음의 발음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서로 다른 메시지에 대하여 착신음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착신음의 빈도는, 착신음이 반복되는 횟수로서, 착신음이 몇 번 울릴지에 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라는 음성이 착신음인 경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라는 착신음을 일정 시간 내에 몇 번 반복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라는 음성이 1분 내에 10번 말해지도록 하는 형태로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라는 음성이 1분 내에 1번만 말해지도록 하는 형태로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착신음의 음량은, 착신음이 발생되는 음의 크기로서, 착신음이 어느 정도의 크기로 출력될 것인지에 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정 유닛(120)은, 특정 음악이 연주되는 형태로 착신음을 선정하되, 음량의 크기를 작게 하거나 크게 함으로써, 동일한 음악이라 하더라도 서로 다른 착신음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들에 의하면,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또는 음량을 다르게 제공하여 수신된 메시지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착신음을 통해, 메시지의 중요도나 긴급도 여부가 보다 쉽게 판별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착신음의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착신음의 빈도(반복 횟수)를 많게 하거나, 착신음의 음량이 커지도록 한 경우, 해당 메시지에 대해서는, 착신음을 듣는 메시지 수신자의 입장에서, 상대적으로 메시지의 중요도나 긴급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착신음의 속도가 늦거나, 착신음의 빈도가 적거나, 착신음의 음량이 작은 경우, 해당 메시지에 대하여 메시지 수신자는, 메시지의 중요도나 긴급도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실시 구성에서, 선정 유닛(120)은,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 중, 중요도나 긴급도와 관련된 특정 용어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선정 유닛(120)은, 자체적으로 또는 외부의 다른 구성요소에 저장된 용어 리스트를 참조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유닛(160)에 저장된 중요도나 긴급도와 관련된 용어 리스트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저장 유닛(160)은, 중요도 및/또는 긴급도와 관련된 용어로서, 다수의 단어나 숫자,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 유닛(160)은, 중요도나 긴급도가 높은 용어로서, '긴급', '급하게', '8282', '신속', '언능', '시급', '얼른', '빨리', '빠르게' 등과 같은 용어 등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유닛(160)은, 중요도나 긴급도가 낮은 용어로서, '천천히', '여유 있을 때', '여유될 때', '여유 되면', '시간 되면', '시간될 때' 등과 같은 용어 등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선정 유닛(120)은,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 중에 포함된 단어나 음절, 어구 등의 용어를 선별하고, 선별된 용어를 저장 유닛(160)에 저장된 용어 리스트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내용 중에 포함된 용어 중에서 중요도나 긴급도가 높은 용어, 이를테면 '신속'이라는 용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면, 선정 유닛(120)은, 해당 메시지가 중요하거나 긴급한 메시지라는 점을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형태로 착신음이 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정 유닛(120)은, 추출된 용어가 중요도/긴급도가 높은 용어인 경우,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또는 음량이 높아지도록 하는 형태로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또는, 선정 유닛(120)은,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 중, 중요도/긴급도가 낮은 용어, 이를테면 '천천히'라는 용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면, 선정 유닛(120)은, 해당 메시지의 중요도나 긴급도가 다소 떨어진다고 인식하고, 그에 적합한 형태로 착신음이 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정 유닛(120)은, 추출된 용어가 중요도/긴급도가 낮은 용어인 경우,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또는 음량이 낮아지도록 하는 형태로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된 용어로부터 메시지의 중요도나 긴급도 등이 자동으로 파악되고, 그에 적합한 형태로 착신음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수신자가 메시지의 내용을 보지 않고, 착신음만으로 메시지의 중요성이나 긴급성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메시지의 내용을 기반으로, 착신음의 속도, 빈도, 음량 등이 차별적으로 제공되는 경우, 착신음을 통한 수신자의 메시지 중요도 판단이 보다 직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유닛(120)은, 수신 유닛(110)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원과의 메시지 송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선정 유닛(120)은, 수신 유닛(110)에 의해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메시지를 송신한 발신원, 이를테면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과거 메시지를 주고 받은 내역을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이와 같이 파악된 발신자와의 과거 메시지 송수신 내역에 따라 착신음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정 유닛(120)이 파악한 다수의 발신원과의 메시지 송수신 내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신 단말(10)로 메시지를 송신한 여러 발신원(P1, P2, P3, ...)과의 메시지 송수신 내역으로서, 메시지 송수신 횟수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5의 구성에서, 수신 단말(10) 사용자, 즉 메시지 수신자는 발신원 P1과 총 7회 메시지를 주고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10) 사용자는, 발신원 P2와 총 42회 메시지를 주고받았으며, 발신원 P3와 총 56회 메시지를 주고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송수신 내역은, 선정 유닛(120)이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선정 유닛(120)은 외부의 다른 구성요소, 이를테면 수신 유닛(110)이나 저장 유닛(160) 등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 내역과 비교되기 위한 기준값으로서, 기준 송수신 횟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기준 송수신 횟수는, 사용자나 선정 유닛(120)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 유닛(160) 등에 저장될 수 있다.이 경우, 선정 유닛(120)은, 해당 메시지의 발신원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 횟수와 기준 송수신 횟수를 비교하여,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특히,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송수신 횟수가 기준 송수신 횟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송수신 횟수가 30회로 설정된 경우, 도 5의 실시예에서, 발신원 P1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 횟수(7회)는 기준 송수신 횟수인 30회 미만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발신원 P2 및 P3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 횟수(42회, 56회)는 기준 송수신 횟수인 30회를 넘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정 유닛(120)은, 발신원 P1으로부터 오는 메시지에 대하여, 발신원 P2 및 P3로부터 오는 메시지와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선정 유닛(120)은, P1으로부터 오는 메시지에 대하여, P2 및 P3로부터 오는 메시지에 비해상대적으로 착신음의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착신음의 빈도를 작게 하거나, 착신음의 음량이 낮아지도록 하는 형태로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메시지를 자주 주고받는 발신자라면, 상대적으로 중요도나 친밀도가 높은 상대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의 송수신 횟수를 통해 메시지 수신자와 발신자(발신원) 사이의 중요도나 친밀도가 반영되어 착신음이 구분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 단말(10) 사용자, 메시지 수신자는, 착신음만으로도 중요도나 친밀도가 높은 사람으로부터 온 메시지인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메시지를 신속하게 확인 또는 응대할지 여부 등에 대하여 보다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실시 구성에서, 상기 선정 유닛(120)은, 발신원에 대한 송신 내역과 수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를 다르게 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선정 유닛(120)은, 특정 발신원에 대한 착신음을 선정함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자가 메시지 발신원에게 과거에 메시지를 전송한 내역(송신 내역)과 메시지 발신원이 메시지 수신자에게 과거에 메시지를 전송한 내역(수신 내역)을 모두 고려하되, 송신 내역과 수신 내역의 반영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선정 유닛(120)은, 다음과 같은 수식 1을 통해, 메시지 내역 선정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선정값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식 1]
Sm = a1×Tm + b1×Rm
여기서, Sm은 메시지 내역에 대한 선정값이고, Tm은 메시지 송신 횟수이며, Rm은 메시지 수신 횟수이다. 그리고, a1은 메시지 송신 내역(메시지 송신 횟수)에 대한 가중치이고, b1은 메시지 수신 내역(메시지 수신 횟수)에 대한 가중치이다. 이때, 메시지 송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인 a1과 메시지 수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인 b1은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메시지 송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 a1은 메시지 수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 b1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는, 사용자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1은 1이고, b1은 0.2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식 1은 다음의 수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식 2]
Sm = Tm + 0.2Rm
이 경우, 선정 유닛(120)은, 상기 수식 2를 이용하여 얻어진 메시지 내역 선정값 Sm을 기준 메시지 선정값과 비교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메시지 선정값은, 사용자나 선정 유닛(160)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 유닛(160) 등에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내역 선정값 Sm이 일정 수준(기준 메시지 선정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착신음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메시지 선정값이 30으로 설정된 경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원에 대하여 상기 수식 2를 통해 계산된 메시지 내역 선정값 Sm이 기준 메시지 선정값인 30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5에는 각 발신원과의 메시지 송수신 횟수와 함께 송신 횟수(메시지 송신 횟수) 및 수신 횟수(메시지 수신 횟수)가 더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송신 횟수와 수신 횟수의 합산값이 메시지 송수신 횟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도 5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식 2를 이용할 경우, 선정 유닛(120)은 각 발신원(P1, P2, P3)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메시지 내역 선정값을 연산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메시지 내역 선정값의 연산은, 착신음 선정 대상인 메시지의 수신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그러한 메시지의 수신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P1 : Sm = 4 + 0.2×3 = 4.6
P2 : Sm = 30 + 0.2×12 = 32.4
P3 : Sm = 15 + 0.2×41 = 23.2
여기서, 기준 메시지 선정값은 30으로 가정한다.
이때, P1 또는 P3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상기 선정 유닛(120)은, P1에 대하여 연산된 선정값이 4.6이고, P3에 대하여 연산된 선정값은 23.2로서, 이들 선정값 모두 기준 메시지 선정값(30)보다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P2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선정 유닛(120)은 P2에 대하여 연산된 선정값이 32.4로서 기준 메시지 선정값(30)보다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정 유닛(120)은, P1이나 P3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의 착신음과 P2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의 착신음이 서로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선정 유닛(120)은, 선정값이 기준 메시지 선정값 이상인 경우, 즉 상기 실시예에서 P2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착신음의 음량을 크게 하거나, 빈도를 높이거나, 속도가 빨라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 수신자와 발신원 사이의 친밀도나 긴밀도 등을 기반으로, 착신음이 구별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메시지 수신자의 입장에서, 본인에게 메시지를 많이 보낸 사람보다는 본인이 메시지를 많이 보낸 사람이 보다 중요하거나 친밀한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현재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가 현재 메시지의 발신원에 대하여 과거에 메시지를 많이 보냈었는지 여부가 착신음에 반영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수신자는, 해당 메시지의 착신음을 통해, 과거에 자신이 연락을 많이 했던 대상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인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5의 실시예에서, 발신원 P2와 P3를 비교하여 보면, 송수신 횟수는 P2보다 P3가 많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P3의 경우 수신 횟수(41회)가 송신 횟수(15회)에 비해 현저하게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송신 횟수는 현재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가 과거에 메시지를 전송한 횟수를 의미하고, 수신 횟수는 현재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가 과거에 발신원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횟수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의 입장에서, P3는 평소 자신이 많이 연락하기보다는 자신에게 연락을 많이 하는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P2의 경우 수신 횟수(12회)가 송신 횟수(30회)보다 작다고 할 수 있다. 즉,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의 입장에서, P2는 평소 자신이 많이 연락하는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수신자의 입장에서, 비록 P3가 P2보다 송수신 횟수는 많지만, P3보다는 P2가 보다 중요한 상대방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P2로부터 온 메시지와 P3로부터 온 메시지에 대하여 착신음이 다르게 제공됨으로써, 메시지 수신자의 입장에서 착신음을 통해 메시지의 중요도나 긴급도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서, 선정 유닛(120)은, 송수신 횟수에 기초하여 연산된 메시지 내역 선정값을 다수의 기준 메시지 선정값과 비교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메시지 선정값은, 제1 기준 메시지 선정값 및 제2 기준 메시지 선정값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메시지 선정값과 제2 기준 메시지 선정값은 서로 다른 값으로서, 이를테면 제1 기준 메시지 선정값이 제2 기준 메시지 선정값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기준 메시지 선정값은 15이고, 제2 기준 메시지 선정값은 30일 수 있다. 이때, 선정 유닛(120)은, 연산된 선정값에 대하여, 제1 기준값 이하인지,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 사이인지, 아니면 제2 기준값 초과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제1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 사이인 경우, 및 제2 기준값 초과인 경우의 세 구간 각각에 대하여 착신음이 다르게 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앞선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P1, P2 및 P3에 대하여 각각 선정값이 4.6, 32.4 및 23.2로 연산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P1에 대하여 연산된 선정값은 제1 기준값 이하이고, P2에 대하여 연산된 선정값은 제2 기준값 초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P3에 대하여 연산된 선정값은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 사이의 값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선정 유닛(120)은, 3명의 발신원, 즉 P1, P2 및 P3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각 발신원에 대한 메시지 착신음을 서로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 송수신 횟수에 대하여 보다 세밀하게 반영된 착신음이 제공됨으로써, 메시지 수신자의 입장에서 착신음을 통한 발신원과의 관계 파악 등이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수신자는 착신음을 듣고 메시지의 중요도나 긴급도 등을 보다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송수신 내역으로, 발신원에 대한 이전 응답 시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원에 대한 이전 응답 시간이란, 메시지 수신자가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원과 과거에 메시지를 주고 받았을 때,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부터 메시지(답변 메시지)를 송신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도 5의 구성에서는, 각 발신원(P1, P2, P3)에 대한 이전 응답 시간이 평균 응답 시간으로 기재되어 있다. 평균 응답 시간은, 해당 발신원에 대한 수신자의 응답 시간의 평균값이라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메시지 수신자(수신 단말 사용자)의 P1에 대한 평균 응답 시간은 300초[s]로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메시지 수신자는, 이전에 발신원 P1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평균적으로 300초 이후에 메시지(답변)를 보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평균 응답 시간은, 특정 시점의 응답 시간, 이를테면 가장 최근 시점의 응답 시간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실시 구성에서, P2에 대한 평균 응답 시간은 8초이고, P3에 대한 평균 응답 시간은 50초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각 발신원 별 평균 응답 시간(이전 응답 시간)은, 선정 유닛(120)이 직접 계산하거나 저장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 이를테면 수신 유닛(110)이나 저장 유닛(160) 등에서 계산하거나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메시지의 발신원에 대하여 이전 응답 시간을 확인하고, 이전 응답 시간에 따라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응답 시간은, 사용자나 선정 유닛(120)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 유닛(160) 등에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선정 유닛(120)은, 확인된 이전 응답 시간과 기준 응답 시간을 비교하여, 이전 응답 시간이 기준 응답 시간을 넘는지 여부를 통해 착신음을 구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응답 시간이 100초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발신원에 대한 평균 응답 시간이 100초를 넘는지 여부에 따라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메시지의 발신원이 P1으로 판명된 경우, 상기 선정 유닛(120)은 발신원 P1에 대한 이전 응답 시간(평균 응답 시간)을 300초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이러한 300초의 이전 응답 시간이 기준 응답 시간인 100초를 초과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메시지의 발신원이 P2로 판명된 경우, 상기 선정 유닛(120)은 발신원 P2에 대한 이전 응답 시간(평균 응답 시간)을 8초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이러한 8초의 이전응답 시간이 기준 응답 시간인 100초 미만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정 유닛(120)은, P1에 대한 메시지 착신음과 P2에 대한 메시지 착신음이 서로 다르도록 각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 수신자의 입장에서, 평소 응답을 빠르게 했던 대상이 보낸 메시지인지, 아니면 평소 응답을 느리게 했던 대상이 보낸 메시지인지, 착신음만으로 구별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응답을 빠르게 해 왔던 대상이 보낸 메시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중요한 메시지이거나 친밀도가 높은 사람의 메시지라고 볼 가능성이 높다. 반면, 응답을 천천히 해 왔거나 응답을 하지 않았던 대상이 보낸 메시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메시지이거나 친밀도가 낮거나 없는 사람의 메시지라고 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의 수신자가, 착신음만 듣고도, 메시지를 신속하게 확인할지 여부를 보다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실시 구성에서, 선정 유닛(120)은, 이전 응답 시간이 기준 응답 시간 미만인 발신원이 보낸 메시지에 대해서는, 착신음의 음량, 빈도 및/또는 속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서, 선정 유닛(120)은, 이전 응답 시간을 다수의 기준 응답 시간과 비교하여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응답 시간은 제1 기준 응답 시간 및 제2 기준 응답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응답 시간과 제2 기준 응답 시간은 서로 다른 시간이라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기준 응답 시간은 제2 기준 응답 시간보다 낮은 시간일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기준 응답 시간은 30초이고, 제2 기준 응답 시간은 100초일 수 있다.
이때, 선정 유닛(120)은, 응답 시간을 다음과 같이 3개의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구간: 0초~30초 (제1 기준 응답 시간 이하),
제2 구간: 31초~100초 (제1 기준 응답 시간과 제2 기준 응답 시간 사이),
제3 구간: 101초 이상 (제2 기준 응답 시간 초과).
이 경우, 선정 유닛(120)은 3개의 구간 각각에 대하여 착신음을 서로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실시예에서, P1에 대한 응답 시간(300초)은 제3 구간에 해당하고, P2에 대한 응답 시간(8초)은 제1 구간에 해당하며, P3에 대한 응답 시간(50초)은 제2 구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정 유닛(120)은, P1, P2 및 P3 각각에 대하여, 착신음이 서로 다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응답 시간에 따른 발신원의 구별이 보다 세분화되어, 메시지 수신자가 착신음을 통해 발신원이나 메시지의 중요도 또는 긴급도 등을 보다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선정 유닛(120)은, 송수신 내역으로, 발신원에 대한 최근 송신 시점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원에 대한 최근 송신 시점이란, 해당 발신원에 대하여 수신자가 가장 최근에 메시지를 전송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실시예에서, P1에 대한 최근 송신 시점은 65시간[hr]으로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메시지 수신자(수신 단말(10) 사용자)가 현재로부터 65시간 전에 P1에 대하여 메시지를 송신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도 5의 실시예에서, P2에 대한 최근 송신 시점은 0.7시간 전이고, P3에 대한 최근 송신 시점은 3시간 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최근 송신 시점은, 선정 유닛(120)이 직접 계산하여 저장하거나, 외부의 다른 구성요소, 이를테면 수신 유닛(110)이나 저장 유닛(160) 등이 계산 내지 저장하여 선정 유닛(120)에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메시지의 발신원에 대하여 최근 송신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송신 시점이 언제인지에 따라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선정 유닛(120)은, 최근 송신 시점을 기준 송신 시점과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송신 시점은 사용자나 선정 유닛(120)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최근 송신 시점이 기준 송신 시점을 넘는지 여부에 따라 착신음이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송신 시점은 1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의 실시예에서, P1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선정 유닛(120)은 P1에 대한 최근 송신 시점이 65시간 전으로서, 기준 송신 시점(1시간)을 넘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P2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선정 유닛(120)은 P2에 대한 최근 송신 시점이 0.7시간 전으로서, 기준 송신 시점(1시간)을 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정 유닛(120)은, P1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와 P2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대하여, 착신음을 서로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선정 유닛(120)은, 최근 송신 시점이 기준 송신 시점 미만인 발신원이 보낸 메시지에 대하여, 착신음의 음량을 크게 하고/하거나, 빈도를 많이 하고/하거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신자가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착신음만으로, 최근에 자신이 메시지를 전송했던 상대방으로부터 온 메시지인지, 아니면 자신이 오래 전에 메시지를 전송했던 상대방으로부터 온 메시지인지 여부가 쉽게 구별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메시지를 전송했던 대상으로부터 발송된 메시지라면, 수신 단말(10) 사용자(메시지 수신자) 입장에서, 회신을 기다리고 있던 메시지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경우, 메시지 수신자는, 메시지 착신음만 듣고 기다리던 메시지인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수신자의 이전 메시지 확인 시간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즉,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선정 유닛(120)은, 동일한 발신원(발신자 또는 발신 그룹)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대하여, 수신자가 과거에 각각의 메시지 수신 시점으로부터 얼마나 빠른 속도로 메시지를 확인했는지 여부를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전 메시지 확인 시간은, 메시지 수신자가 해당 발신원에 대하여 과거에 메시지를 확인한 시간(시차)들에 대한 평균값일 수 있다. 또는, 메시지 확인 시간은, 특정 시점, 이를테면 가장 최근의 메시지 확인 시간을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이러한 이전 메시지 확인 시간은, 선정 유닛(120)이 자체적으로 파악하거나 수신 유닛(110)이나 저장 유닛(160) 등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이전 메시지 확인 시간을 미리 설정된 기준 확인 시간과 비교하여, 이전 메시지 확인 시간이 기준 확인 시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현재 수신된 메시지의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단말(10)의 사용자(수신자)가, 이전에 3명의 발신자(P1, P2, P3)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메시지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메시지를 확인하기까지 걸린 시간의 평균값(평균 확인 시간)은 다음과 같고, 기준 확인 시간은 10초라고 가정한다.
P1: 30초,
P2: 1초,
P3: 15초.
이러한 상황에서, P1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선정 유닛(120)은, P1의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평균 확인 시간이 30초라고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P1의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평균 확인 시간(30초)이 기준 확인 시간(10초)을 넘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P2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선정 유닛(120)은, P2의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평균 확인 시간이 1초라고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P2의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평균 확인 시간(1초)이 기준 확인 시간(10초) 이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정 유닛(120)은 P1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때의 착신음과 P2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때의 착신음을 서로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특히,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평균 확인 시간이 기준 확인 시간 이내인 발신원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대해서는, 다른 메시지에 비해,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또는 음량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 P2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착신음이 P1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착신음보다, 착신음의 속도나 빈도, 음량 등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발신원 별 메시지 확인 시간에 따라 착신음이 달라질 수 있다. 메시지 확인 시간이 빠른 경우, 해당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중요한 사람으로부터 온 메시지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를 빠르게 확인해 왔던 발신원으로부터 온 메시지인지 여부가 착신음으로 구별될 수 있으므로, 메시지 수신자는 착신음을 통해 메시지의 중요도를 보다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유닛(120)은, 수신 유닛(110)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원과의 통화 내역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선정 유닛(120)은, 수신 유닛(110)에 의해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메시지를 송신한 발신원과 과거에 통화를 한 내역을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이와 같이 파악된 발신자와의 과거 통화 내역에 따라 착신음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정 유닛(120)이 파악한 다수의 발신원과의 통화 내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신 단말(10)로 메시지를 송신한 여러 발신원(P1, P2, P3, ...)과의 과거 통화 내역으로서, 통화 횟수(송신 횟수 및 수신 횟수), 통화량 및/또는 최근 통화 시점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횟수는, 각 발신원과 과거(메시시 수신 전)에 통화를 수행한 횟수를 의미한다. 또한, 송신 횟수는 해당 발신원에 대하여 메시지 수신자가 과거에 전화를 건 횟수를 의미하고, 수신 횟수는 해당 발신원으로부터 메시지 수신자가 과거에 전화를 받은 횟수를 의미한다. 또한, 통화량은, 각 발신원과 과거에 통화를 한 시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통화량은, 과거에 통화를 한 시간의 합산값을 의미할 수 있으나, 1회의 통화 당 평균 통화 시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최근 통화 시점은, 각 발신원과 통화를 수행한 가장 최근의 시점을 의미한다.
한편, 통화는, 메신저 서비스의 통화 기능을 이용한 통화일 수도 있고, 휴대 단말의 기본 통화 기능을 이용한 통화일 수도 있다. 선정 유닛(120)은, 자체적으로 또는 다른 구성요소(수신 유닛(110)이나 저장 유닛(160) 등)나 외부의 장치 등을 통해, 통화 횟수(송수신 횟수)나 통화량, 최근 통화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선정 유닛(120)은, 각 발신원과의 통화 횟수와 기준 통화 횟수를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횟수가 기준 통화 횟수를 넘는지 여부에 따라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통화 횟수가 10회인 경우, 도 6의 실시예에서 통화 횟수가 기준 통화 횟수를 넘는 발신원은 P2라고 할 수 있다(17회). 반면, P1 및 P3는, 각각의 통화 횟수가 기준 통화 횟수 미만이라 할 수 있다(5회, 4회). 따라서, 선정 유닛(120)은, P2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P1이나 P3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와 다른 착신음이 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통화 횟수가 기준 통화 횟수 이상인 발신원에 대하여, 선정 유닛(120)은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또는 음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할 경우, 착신음만으로도 이전에 통화를 자주 한 사람의 메시지인지 여부가 쉽게 파악될 수 있다. 통화를 자주 한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의 경우, 중요도나 긴급도, 친밀도 등이 높은 메시지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착신음에 의해 메시지의 중요도나 긴급도 등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유닛(120)은, 각 발신원과의 통화 횟수를 고려하여 착신음을 선정할 때, 송신 횟수와 수신 횟수에 대한 가중치를 다르게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앞서 도 5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메시지의 송신 횟수와 수신 횟수의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정 유닛(120)은, 다음과 같은 수식 3을 통해 통화 내역 선정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선정값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식 3]
Sc = a2×Tc + b2×Rc
여기서, Sc는 통화 내역에 대한 선정값이고, Tc는 통화 송신 횟수이며, Rc는 통화 수신 횟수이다. 그리고, a2는 통화 송신 내역(통화 송신 횟수)에 대한 가중치이고, b2는 통화 수신 내역(통화 수신 횟수)에 대한 가중치이다. 이때, 통화 송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인 a2와 통화 수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인 b2는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통화 송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 a2는 통화 수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 b2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는, 사용자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2는 1이고, b2는 0.5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식 3은 다음의 수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식 4]
Sc = Tc + 0.5Rc
이 경우, 선정 유닛(120)은, 상기 수식 4를 이용하여 얻어진 통화 내역 선정값 Sc를 기준 통화 선정값과 비교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통화 선정값은, 사용자나 선정 유닛(120)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6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도 6에는 각 발신원과의 전체 통화 횟수와 함께, 전화를 건 횟수(송신 횟수) 및 전화를 받은 횟수(수신 횟수)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송신 횟수와 수신 횟수의 합산값이 통화 횟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도 6의 실시예에서, 각 발신원(P1, P2, P3)에 대하여, 상기 수식 4를 적용하면, 통화 내역 선정값은 다음과 같이 연산될 수 있다.
P1 : Sc = 0 + 0.5×5 = 2.5
P2 : Sc = 9 + 0.5×8 = 13
P3 : Sc = 3 + 0.5×1 = 3.5
만일, 기준 통화 선정값이 10으로 설정된 경우, P2는 기준 통화 선정값(10)보다 높은 통화 내역 선정값(13)을 갖는 발신원이라 할 수 있다. 반면, P1 및 P3는 기준 통화 선정값(10)보다 낮은 통화 내역 선정값(2.5, 3.5)을 갖는 발신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정 유닛(120)은, P2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와, P1 또는 P3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대한 착신음을 서로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선정 유닛(120)은, 통화 내역 선정값이 기준 통화 선정값보다 높은 메시지에 대하여, 그렇지 않은 메시지에 비해,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또는 음량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자 입장에서, 동일한 횟수로 통화를 했다 하더라도, 본인(메시지 수신자)이 전화를 많이 건 상대방은, 본인에게 전화를 많이 건 상대방에 비해 중요도나 친밀도 등이 더 높은 사람 내지 그룹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전화를 많이 건 상대방에 대하여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어 착신음이 선정됨으로써, 착신음을 이용한 메시지의 중요도 판단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통화 횟수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선정 유닛(120)은, 통화 내역 선정값을 다수의 기준 통화 선정값과 비교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선 기준 메시지 선정값의 경우에 대한 설명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서, 선정 유닛(120)은, 통화 내역에 통화량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선정 유닛(120)은, 통화량을 기초로,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선정 유닛(120)은, 미리 설정된 기준 통화량과 메시지 발신원에 대하여 파악된 통화량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통화량은, 사용자나 선정 유닛(120)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 유닛(160) 등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발신원에 대한 통화량이 기준 통화량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선정 유닛(120)은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실시예에 대하여 기준 통화량이 20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발신원의 통화량이 기준 통화량인 20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1과의 통화량은 4분으로서 20분 미만이고, P2 및 P3와의 통화량은 22분 및 32분으로서 20분 이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정 유닛(120)은, P1으로부터 발신된 메시지의 착신음을, P2 및 P3로부터 발신된 메시지의 착신음과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특히, 선정 유닛(120)은, 통화량이 기준 통화량 이상인 발신원에 대해서는, 속도, 빈도 및/또는 음량이 높은 형태로 착신음을 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선정 유닛(120)은, P2 및 P3로부터 발신된 메시지의 착신음에 대하여, P1으로부터 발신된 메시지의 착신음보다, 속도, 빈도 및/또는 음량이 높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통화량이 많은 상대방으로부터 온 메시지인지 여부가 착신음으로 판별될 수 있다. 과거에 통화량이 많았던 상대방일수록, 중요도나 친밀도가 높은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 착신음을 이용한 메시지의 중요도나 긴급도 등이 보다 효과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선정 유닛(120)은, 최근 통화 시점을 기초로,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수신자가 메시지 발신원과 가장 마지막에 통화한 시점이 언제인지에 따라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특히, 선정 유닛(120)은, 최근 통화 시점을 미리 설정된 기준 통화 시점과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통화 시점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 유닛(160) 등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최근 통화 시점이 기준 통화 시점을 넘는지 여부에 따라 착신음이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통화 시점이 10시간 (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6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P1의 최근 통화 시점은 25시간 전이고, P2 및 P3의 최근 통화 시점은 각각 6시간 전 및 1시간 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P1의 최근 통화 시점은 기준 통화 시점을 넘고, P2 및 P3의 최근 통화 시점은 기준 통화 시점 이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정 유닛(120)은, P1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와 P2 및 P3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의 착신음을 서로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의 발신원과 가장 마지막에 통화한 시점에 대한 정보가 착신음으로 제공될 수 있다. 최근에 통화를 한 상대방으로부터 발송된 메시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중요한 메시지로 판단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착신음을 통한 중요한 메시지 여부의 파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메시지 송수신 내역과 통화 내역이 별개로 고려되는 형태의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메시지 송수신 내역과 통화 내역은 함께 고려될 수도 있다. 즉,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송수신 내역과 통화 내역을 함께 고려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송수신 내역과 통화 내역에 대한 가중치를 서로 다르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정 유닛(120)은, 다음의 수식 5를 이용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식 5]
St = a3×Sm + b3×Sc
여기서, St는 합계 선정값이고, Sm은 메시지 내역에 대한 선정값이며, Sc는 통화 내역에 대한 선정값이라 할 수 있다. 특히, Sm은 앞서 설명된 수식 1 또는 수식 2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고, Sc는 앞서 설명된 수식 3 또는 수식 4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a3은 메시지 내역에 대한 가중치이고, b3은 통화 내역에 대한 가중치이다. 이때, 메시지 내역에 대한 가중치인 a3과 통화 내역에 대한 가중치인 b3은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메시지 내역에 대한 가중치(a3)보다 통화 내역에 대한 가중치(b3)가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메시지보다 통화를 많이 한 상대방일수록 상대적으로 중요하거나 친밀도가 높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3는 0.5이고, b3는 2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식 5는 다음의 수식 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식 6]
St = 0.5×Sm + 2×Sc
선정 유닛(120)은, 이러한 수식 6을 이용하여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대한 각 발신원의 합계 선정값을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1 : St = 0.5×4.6 + 2×2.5 = 7.3
P2 : St = 0.5×32.4 + 2×13 = 42.2
P3 : St = 0.5×23.2 + 2×3.5 =18.6
상기 선정 유닛(120)은, 이와 같이 연산된 각 발신원에 대한 합계 선정값을 기준 선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선정값은, 사용자나 선정 유닛(120)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 유닛(160) 등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합계 선정값이 기준 선정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선정 유닛(120)은, 합계 선정값이 기준 선정값보다 큰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또는 음량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선정값이 20으로 설정된 경우, P1 및 P3에 대하여 연산된 합계 선정값(7.3, 18.6)은 기준 선정값(20)보다 낮다고 할 수 있다. 반면, P2에 대하여 연산된 합계 선정값(42.2)은 기준 선정값(20)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정 유닛(120)은, P2로부터 발신된 메시지의 착신음을, P1이나 P3로부터 발신된 메시지의 착신음과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선정 유닛(120)은, P2로부터 발신된 메시지의 착신음이 P1 또는 P3로부터 발신된 메시지의 착신음보다, 속도, 빈도 및/또는 음량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의 발신원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 내역과 통화 내역을 함께 고려하여 착신음이 선정됨으로써, 착신음을 통한 발신원과의 친밀도나 관련도 판단, 그리고 이에 의한 메시지의 중요도 등의 판단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메시지 송수신 내역과 통화 내역을 고려하여 착신음을 선정함에 있어서, 송수신 횟수 및 통화 횟수를 이용하는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외의 다른 메시지 송수신 내역 및/또는 통화 내역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송수신 내역으로서 평균 응답 시간이나 최근 송신 시점을 고려하고, 통화 내역으로서 통화량이나 최근 통화 시점 등을 고려함으로써,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정 유닛(120)은, 발신자의 채팅방 공동 참여수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채팅방 공동 참여수란, 발신자가 메시지 수신자와 함께 참여하고 있는 채팅방의 수를 의미한다. 특히,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수의 채팅방을 개설하고, 여러 채팅방에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명의 수신 단말(10) 사용자는 다수의 개인 채팅방과 그룹 채팅방을 형성하고, 그러한 채팅방 내에서 여러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일부 발신자는, 메시지 수신자와 여러 채팅방에 함께 참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수신 시, 해당 메시지의 발신자가 메시지 수신자와 얼마나 많은 채팅방에 함께 참여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선정 유닛(120)은, 기준 개수 이상의 채팅방에 포함된 발신자로부터 메시지 수신 시, 그 착신음을 다른 메시지들과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개수는, 사용자나 선정 유닛(120)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 유닛(160)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수신자와 3개 이상의 채팅방에 함께 참여하고 있는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와, 메시지 수신자와 3개 미만의 채팅방에 참여하고 있는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는, 서로 다른 착신음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선정 유닛(120)은, 기준 개수 이상의 채팅방에 포함된 발신자의 메시지에 대하여, 다른 메시지에 비해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또는 음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많은 채팅방에 함께 참여하고 있는 사람으로부터 메시지 수신 시, 착신음이 다르게 울릴 수 있다. 많은 채팅방에 함께 참여하고 있는 사람일수록, 본인(메시지 수신자)과 관계도가 높은 사람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많은 채팅방에 함께 참여하고 있는 친밀한 사람으로부터 온 메시지에 대하여 차별적인 착신음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 구성에서는, 동일한 그룹 채팅방 내에 포함된 그룹원들이라 하더라도, 착신음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즉, 동일한 그룹 채팅방 내에서 본인과 친밀도나 관련도가 높은 사람의 메시지에 대해서는, 다른 사람의 메시지와 다른 착신음이 울릴 수 있다. 그러므로, 그룹 채팅방 내에서 수신되는 많은 메시지 중에서, 중요한 메시지가 착신음만으로 쉽게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신음 제공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입력 유닛(140)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란, 휴대 단말(수신 단말, 송신 단말) 사용자나 서버 관리자, 통화 상대방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유닛(140)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유닛(140)은, 휴대 단말의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 수단을 직접 구비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단말(10)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을 직접 입력하거나, 다른 사람의 음성을 마이크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 유닛(140)은, 외부의 구성요소나 외부의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유닛(140)은, 휴대 단말의 통화 중 상대방의 음성을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구성에서, 수신 단말(10)에 대한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에 포함된 입력 유닛(140)의 경우, 수신 단말(10)과 통화를 수행하는 상대방의 음성을 통화 중에서 추출하는 형태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신음 제공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축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축 유닛(150)은,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구축 유닛(150)은, 입력 유닛(140)으로 입력된 음성을 이용하여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축된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는, 저장 유닛(160) 등에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입력 유닛(140)이 직접 또는 통화 중에서 추출하는 형태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은 경우, 구축 유닛(150)은, 입력된 음성을 음성 주체에 대한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형태로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축 유닛(150)에 의해 구축된 착신음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입력 유닛(140)에 의해 직접적으로 입력되거나 통화 상에서 추출된 음성 데이터가 음성 주체와 매칭된 형태로 착신음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축된 정보는, 저장유닛(160)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표는, 다수의 음성 주체(P1, P2 및 P3)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음성 데이터(V1, V2 및 V3)가 각 음성 주체에 대응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 유닛(140)이 수신 단말(10)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할 때마다 상대방의 음성을 추출하면, 추출된 음성 정보는 구축 유닛(15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구축 유닛(150)은 입력 유닛(140)에 의해 추출된 음성 신호를 상대방의 전화 번호나 이름 등에 매칭시켜 저장 유닛(16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때, 구축 유닛(150)은, 상대방의 전화 번호나 이름 등의 음성 주체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 유닛(110)이나 입력 유닛(140) 등으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일례로, P1과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추출된 음성에 대하여, 구축 유닛(150)은, 수신 유닛(110)으로부터 통화의 상대방이 P1이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구축 유닛(150)은, 추출된 음성을 P1이라는 주체(식별 정보)에 매칭시켜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서, 상기 선정 유닛(120)은,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발신자의 음성을 메시지의 착신음으로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발신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입력 유닛(140)으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저장 유닛(160) 등에 저장된 착신음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메시지 발신자의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발신자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선정 유닛(120)은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착신음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실시예에서, P1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선정 유닛(120)은, 미리 저장된 착신음 데이터베이스에서 P1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V1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선정 유닛(120)은, 이러한 음성 데이터 V1을 해당 메시지의 착신음으로 선정하고, 관련 정보를 발생 유닛(13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발생 유닛(130)은, 착신음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음성 데이터 V1을 이용하여 착신음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음성 데이터 V1은 메시지를 보낸 P1의 목소리일 수 있으므로, 착신음은 P1의 목소리로 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메시지를 보낸 사람의 목소리로 메시지 착신음이 울릴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메시지 수신자가 착신음만 듣고도, 메시지를 누가 보냈는지 여부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이 발신자의 음성으로 착신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실시 형태는, 앞선 여러 실시예들과 결합됨으로써 보다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칭에 기초하여 착신음이 선정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발신자의 음성으로 착신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앞선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딸이 아빠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 메시지의 내용 중에 '아빠'라는 호칭이 존재하여, '아빠'라는 호칭이 착신음으로 선정될 수 있다. 이때, 발신자인 딸의 음성이 메시지의 착신음으로 출력되도록 한다면, 메시지 수신자인 아빠 입장에서 딸의 목소리로 '아빠'라는 음성을 듣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메시지를 수신하는 아빠는 실제 딸이 부르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서, 선정 유닛(120)은, 그룹 채팅방에서 수신된 메시지인 경우, 그룹 채팅방에 참여한 인원 중 둘 이상의 음성을 착신음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단말(10) 사용자가 참여하는 그룹 채팅방에, 수신 단말(10) 사용자 이외에, P11, P12, P13, P14, 4명의 인원이 추가로 참여하고 있는 경우, 선정 유닛(120)은, 해당 그룹 채팅방 내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대하여, 4명의 인원(P11~P14) 중 2인 이상의 인원에 대한 목소리를 착신음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선정 유닛(120)은, 4명의 인원(P11~P14) 모두의 음성을 착신음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생 유닛(130)은, 수신 단말(10)에서 4명 모두의 목소리가 메시지 착신음으로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 수신자가 착신음을 듣고, 그룹 채팅방에서 수신된 메시지인지, 더 나아가 어느 그룹 채팅방에서 수신된 메시지인지 보다 쉽게 판별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자의 음성이 착신음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 발신자의 음성이 착신음에 가장 크게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시예와 같이, P11~P14가 참여한 그룹 채팅방에서, P11이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P11의 음성이 착신음에서 가장 크게 들리도록 착신음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수신자는, 착신음만 듣고도, 그룹 채팅방 내의 누가 전송한 메시지인지 보다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축 유닛(150)은, 입력 유닛(140)에 입력된 음성을 이용하여 다수의 알림 표현을 구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구축 유닛(150)은, 착신음으로서, '메시지 왔어요', '메시지 체크', '김 사장님', '아빠', '김 서방'과 같은 다양한 알림 표현을 구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구축 유닛(150)은, 이러한 알림 표현을 각 발신원 별로 다양하게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실시예에서, 구축 유닛(150)은, P1에 대하여, '메시지 왔어요', '메시지 체크' 및 '김 사장님'이라는 3개의 알림 표현을 구축하여 착신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구축 유닛(150)은, P2 및 P3에 대해서도, 각각 여러 개의 알림 표현을 구축하여 착신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구축 유닛(150)은, 각각의 알림 표현들을 각 발신자(음성 주체)의 음성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구축 유닛(150)은, 각 알림 표현들에 대하여, 입력 유닛(14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발신자의 목소리로 입력받아 녹음되도록 하는 형태로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는, 구축 유닛(150)은, 입력 유닛(140)에 의해 통화 중에 추출된 표현이나 단어, 음절 등을 이용하여, 각 알림 표현들에 대하여, 발신자의 음성으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2와의 통화 중, P2의 음성으로 '메시지'와 '왔어요'라는 단어가 분리 추출된 경우, 구축 유닛(150)은, 이와 같이 추출된 2개의 음성을 조합하여, '메시지 왔어요'라는 알림 표현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축 유닛(150)은, 각 발신원마다 서로 다른 알림 표현이 포함되도록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P1, P2 및 P3에 대하여, '메시지 왔어요' 및 '메시지 체크'라는 공통 알림 표현도 존재하지만, P1에 대해서는 '김 사장님'이라는 단독 알림 표현이 존재하고, P2에 대해서는 '아빠'라는 알림 표현이 존재하며, P3에 대해서는 '김 서방'이라는 알림 표현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알림 표현들은, 사용자 등에 의해 미리 저장된 것일 수도 있으나, 선정 유닛(120) 등에 의해 제공되어 후발적으로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앞선 일 실시예와 같이, 선정 유닛(120)은 메시지의 내용 중에 호칭을 추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추출된 호칭은 구축 유닛(150)에 제공되어, 착신음 데이터베이스에 하나의 알림 표현으로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메시지 상에서 각각의 발신원마다 부르는 호칭이나 자주 쓰는 용어 등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P2가 딸이고 P3가 장인어른인 경우, 딸이 부르는 호칭은 '아빠'일 수 있고, 장인어른이 부르는 호칭은 '김 서방'일 수 있다. 따라서, 구축 유닛(150)은, 각 발신원마다 적어도 일부 알림 표현을 서로 다르게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선정 유닛(120)은, 다수의 알림 표현 각각에 대한 구축 정도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각 알림 표현에 대한 '구축 정도'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구축 정도란, 구축 유닛(150)에 의해 구축된 각 알림 표현의 완성 정도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왔어요'라는 알림 표현이 P1의 목소리로 구축될 때, '메시지'라는 단어에 대한 음성 추출(입력)은 완료되었으나, '왔어요'라는 단어에 대한 음성 추출(입력)은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왔어요'라는 전체 표현을 P1의 목소리로 들려 주는 것은 아직 미완성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하여 구축 정도는 '50%'와 같이 불완전한 수치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구축 정도는, 전체 알림 표현들 각각에 대하여 파악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알림 표현 별 구축 정도는, 구축 유닛(150)으로부터 선정 유닛(120)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선정 유닛(120)은, 구축 유닛(150)으로부터 제공된 알림 표현 별 구축 정도를 통해, 어느 알림 표현을 착신음으로 선정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정 유닛(120)은, 구축 정도가 가장 높은 알림 표현을 해당 발신자의 메시지 착신음으로 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P2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3개의 알림 표현 중, 구축 정도가 가장 높은 알림 표현은 '메시지 체크'라고 할 수 있다(90%). 따라서, 선정 유닛(120)은, P2의 메시지에 대한 착신음으로서, '메시지 체크'라는 알림 표현을 착신음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P2의 목소리로 '메시지 체크'라는 음성이 출력되는 형태로, 착신음이 울릴 수 있다. 한편, 구축 정도가 불완전한 경우, 기계적 합성음 등을 함께 포함시키는 형태로 착신음이 구축되거나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TTS(Text To Speech) 기술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발신자 별로 다양한 알림 표현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되, 발신자의 목소리로 완성도가 높은 표현이 메시지 착신음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착신음을 통한 메시지의 구별이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또한, 선정 유닛(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알림 표현과 함께 각 알림 표현 별 구축 정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정 알림 표현을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정 유닛(120)은, 휴대 단말 사용자에게, P3로부터 메시지가 왔을 때 사용할 착신음으로서, '메시지 왔어요: 90%', '메시지 체크: 15%', '김 서방: 40%'라는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어느 표현을 착신음으로 할 지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선정 유닛(120)은, 구축 정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은 경우, 이를테면 30% 이하의 구축 정도를 갖는 알림 표현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선택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단말에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기기로서,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비롯한 통신 기능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이를테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휴대 단말이나 개인용 데스크탑 컴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유닛(110), 선정 유닛(120) 및 발생 유닛(130)은, 휴대 단말에 포함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수신 유닛(110)은, 휴대 단말에 구비된 통신 모듈 내지 통신 칩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일부 기능이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선정 유닛(120)은, 휴대 단말에 포함된 제어 장치, 이를테면 CPU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일부 기능이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발생 유닛(130)은, 휴대 단말에 포함된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일부 기능이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앞선 설명한 저장 유닛(160), 입력 유닛(140) 및/또는 구축 유닛(150) 등도 휴대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에 포함된 마이크나 CPU 등이 그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서버(20)에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메신저 사업자 측에 마련된 서버일 수 있다. 이 밖에도, 서버(20)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다양한 사업자 측에 마련된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가 서버(20)에 포함되어 구현된 다른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의 수신 유닛(110), 선정 유닛(120) 및 발생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는, 입력 유닛(140), 구축 유닛(150) 및/또는 저장 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유닛(110), 선정 유닛(120), 발생 유닛(130), 입력 유닛(140), 구축 유닛(150) 및/또는 저장 유닛(160)에 대한 설명은 앞서 기재된 내용들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이러한 실시 구성에서, 발생 유닛(130)은, 선정 유닛(120)에 의해 선정된 착신음이 수신 단말(10)에서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 구성에서, 입력 유닛(140)은, 수신 단말(1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 또는 수신 단말(10)의 통화 중에 추출된 발신원 별 음성 신호 등을 입력받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는, 복수의 구성요소가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중 선정 유닛(120)은 서버(20) 측에 위치하고, 수신 유닛(110)과 발생 유닛(130)은 휴대 단말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에서 각 단계의 수행 주체 중 적어도 일부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의 각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의 각 단계들에 대해서는,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된 내용들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단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은, 메시지 수신 단계(S110), 착신음 선정 단계(S120) 및 착신음 발생 단계(S130)를 포함한다.
먼저, 메시지 수신 단계(S110)에서는, 통신망(40)을 통하여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즉, S110 단계는, 발신 단말(3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가 수신 단말(10)에서 수신되는 단계일 수 있다. 더욱이, S110 단계는, 앞서 설명된 수신 유닛(110)의 각종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착신음 선정 단계(S120)에서는, S110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대하여 대응하는 착신음이 선정될 수 있다. 특히, S120 단계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각종 정보가 파악되고 파악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착신음이 선정되는 단계일 수 있다. 더욱이, S120 단계는, 앞서 설명된 선정 유닛(120)의 각종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착신음 발생 단계(S130)에서는, S120 단계에서 선정된 착신음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S130 단계는, 휴대 단말의 스피커 등을 통해 메시지의 착신음이 울리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더욱이, S130 단계는, 앞서 설명된 발생 유닛(130)의 각종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120 단계는, S110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원 별로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S120 단계에서는, 메시지의 발신원이 누구인지에 따라 착신음이 다르게 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의 발신원에는 발신자 및 발신 그룹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S130 단계에서는, 발신원에 따라 서로 다른 착신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은, 착신음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신음 선택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발신원 별로 착신음을 선택받는 단계이다. 이러한 착신음 선택 단계는, 상기 S120 단계 이전, 나아가 S110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120 단계는, S110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호칭을 추출하고, 추출된 호칭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S130 단계에서는, 호칭이 착신음으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120 단계는, S110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에 기초하여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 음량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S130 단계에서는, 속도, 빈도 및/또는 음량이 적절하게 조절된 형태로 메시지마다 서로 다른 착신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120 단계는, S110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원과의 메시지 송수신 내역 및/또는 통화 내역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120 단계에서는, 메시지 발신자와 이전에 이루어진 메시지 송수신 내역이 파악되고, 파악된 송수신 내역을 통해 대응되는 착신음이 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S130 단계에서는, 송수신 내역에 따라 서로 다른 착신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120 단계는, 발신원에 대한 메시지 송신 내역과 메시지 수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를 다르게 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송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가 수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S130 단계에서는, 송신 내역이 많은지 수신 내역이 많은지에 따라 서로 다른 착신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S120 단계는, 발신원에 대한 통화 송신 내역과 통화 수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를 다르게 하여 착신음을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120 단계는, 송수신 내역으로, 발신원에 대한 이전 응답 시간을 포함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즉, S120 단계에서는, 발신원에 대한 이전 응답시간을 고려하여 착신음이 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S130 단계에서는, 발신원에 대한 이전 응답 시간이 빨랐는지, 아니면 느렸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착신음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은, 선정 단계(S120) 이전에, 입력 단계 및 착신음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은, 음성 입력 단계(S210), 착신음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S220), 메시지 수신 단계(S230), 착신음 선정 단계(S240) 및 착신음 발생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착신음 선정 단계(S240) 이전에, 음성 입력 단계(S210) 및 착신음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S220)가 더 포함되어 있다.
상기 음성 입력 단계(S210)에서는,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음성은 S230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원이 될 수 있는 사람의 음성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음성 입력 단계(S210)는, 메시지 수신 단계(S230)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므로, 메시지의 발신원이 될 만한 여러 사람의 음성이 입력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음성 입력 단계(S210)는, 휴대 단말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하는 중에 음성을 추출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음성 입력 단계(S210)는, 휴대 단말의 마이크를 통해 특정인의 음성이 직접 녹음되는 형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S210 단계는, 앞서 설명된 입력 유닛(140)의 여러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착신음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S220)에서는, S210 단계에서 입력된 음성을 이용하여 착신음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는, 입력된 음성의 주체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이름, 아이디, 전화 번호 등)와 입력된 음성 신호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S220 단계는, 앞서 설명된 구축 유닛(150)의 여러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착신음 선정 단계(S240)는, S220 단계에서 구축된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메시지 발신자의 음성을 메시지의 착신음으로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S210 단계 및 S220 단계를 통해 착신음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상태에서,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S230), S240 단계에서는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S240 단계에서는, S230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원에 해당하는 음성을 착신음 데이터베이스에서 선별하고, 해당 음성을 착신음으로 선정할 수 있다. 그러면, S250 단계에서는, 이와 같이 선정된 착신음이 S230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착신음으로 발생될 수 있다. 즉, S250 단계에서는, 메시지의 발신원 목소리로 착신음이 울릴 수 있다.
추가로, 도 10에서 포함된 메시지 수신 단계(S230), 착신음 선정 단계(S240) 및 착신음 발생 단계(S250)는 앞선 도 9의 실시예에서의 메시지 수신 단계(S110), 착신음 선정 단계(S120) 및 착신음 발생 단계(S130)와 유사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의 각 단계들에 대해서도,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들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단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9나 도 10에 도시된 단계들은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모두 수신 단말(10), 이를테면 휴대 단말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모두 서버(2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9나 도 10에 도시된 단계들은 서로 다른 장치에서 분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실시예에서, S110 단계 및 S130 단계는 휴대 단말에서 수행되고, S120 단계는 서버(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본 발명의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술한 본 발명의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수신 유닛', '선정 유닛', '발생 유닛', '입력 유닛', '구축 유닛', '저장 유닛' 등과 같이, 각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 유닛'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들이라기보다는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와 선택적으로 통합되거나 각각의 구성 요소가 제어 로직(들)의 효율적인 실행을 위해 서브 구성 요소들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들이 통합 또는 분할되더라도 기능의 동일성이 인정될 수 있다면, 통합 또는 분할된 구성 요소들도 본 출원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수신 단말
20: 서버
30: 송신 단말
40: 통신망
110: 수신 유닛
120: 선정 유닛
130: 발생 유닛
140: 입력 유닛
150: 구축 유닛
160: 저장 유닛

Claims (24)

  1. 통신망을 통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에 대하여 대응하는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된 선정 유닛; 및
    상기 선정 유닛에 의해 선정된 착신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발생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유닛은, 상기 메시지의 발신원 별로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유닛은, 사용자로부터 발신원 별로 착신음을 선택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호칭을 추출하고, 추출된 호칭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 음량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원과의 메시지 송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유닛은, 상기 발신원에 대한 송신 내역과 수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를 다르게 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유닛은, 상기 송수신 내역으로, 상기 발신원에 대한 이전 응답 시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음성을 입력받도록 구성된 입력 유닛; 및
    상기 입력 유닛으로 입력된 음성을 이용하여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구성된 구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정 유닛은, 상기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음성을 상기 메시지의 착신음으로 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 유닛은, 상기 입력 유닛에 입력된 음성을 이용하여 다수의 알림 표현을 구축하고,
    상기 선정 유닛은, 다수의 알림 표현 각각에 대한 구축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서버.
  13. 통신망을 통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대하여 대응하는 착신음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 단계에서 선정된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원 별로 착신음을 다르게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단계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발신원 별로 착신음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호칭을 추출하고, 추출된 호칭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의 속도, 빈도 및 음량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원과의 메시지 송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발신원에 대한 송신 내역과 수신 내역에 대한 가중치를 다르게 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송수신 내역으로, 상기 발신원에 대한 이전 응답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단계 이전에,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음성을 이용하여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착신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메시지 발신자의 음성을 상기 메시지의 착신음으로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 단계는, 상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음성을 이용하여 다수의 알림 표현을 구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선정 단계는, 다수의 알림 표현 각각에 대한 구축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음을 선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착신음 제공 방법.
  2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4.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10054655A 2021-04-27 2021-04-27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47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55A KR20220147454A (ko) 2021-04-27 2021-04-27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55A KR20220147454A (ko) 2021-04-27 2021-04-27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454A true KR20220147454A (ko) 2022-11-03

Family

ID=8404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655A KR20220147454A (ko) 2021-04-27 2021-04-27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74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12870A1 (en) Collaborative Phone Reputation System
US7130390B2 (en) Audio messaging system and method
US11019199B2 (en) Adaptable communication techniques for electronic devices
CN100471212C (zh) 基于日志的铃音服务
KR100749456B1 (ko) 디지털 통신용 소스 오디오 식별자
CN100481851C (zh) 使用通信设备的化身控制
US200300993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bly announcing an indication of an identity of a sender of a communication
CN104869225B (zh) 智能对话方法和使用所述方法的电子装置
US201700640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Voice Mailbox
CN101243679A (zh) 用于提供语音通信的语音通信器
WO2005088994A1 (en) Telephone for sending voice and text messages
JPWO2015083741A1 (ja) 中継装置、表示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2164354A (zh) 用于移动设备的本地语音邮件
CN108270925A (zh) 语音信息的处理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50103855A (ko) 어플리케이션과 서버 간의 연동을 이용한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9171336A (ja) 携帯通信端末
KR20220147454A (ko) 메시지 착신음 제공 장치 및 방법
JPH10136080A (ja) 留守番電話機能付き携帯型情報装置及び留守番電話機能制御方法
JP4583350B2 (ja) 携帯端末装置、着信音出力方法
JP2019097122A (ja) 音声応答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434799B2 (ja) メッセージ処理装置、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438447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484570B2 (ja) 着信拒否システム、通話内容分析サーバ、および、着信拒否設定方法
JP2007006238A (ja) 電話連絡方法、及び記録媒体
JP2023084571A (ja) 音声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方法、オンライン会議システム、および音声通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