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380A -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 Google Patents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380A
KR20220147380A KR1020210054463A KR20210054463A KR20220147380A KR 20220147380 A KR20220147380 A KR 20220147380A KR 1020210054463 A KR1020210054463 A KR 1020210054463A KR 20210054463 A KR20210054463 A KR 20210054463A KR 20220147380 A KR20220147380 A KR 20220147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grid
side plate
cov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1005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7380A/ko
Priority to CN202280014190.5A priority patent/CN116830230A/zh
Priority to PCT/KR2022/005787 priority patent/WO2022231219A1/ko
Priority to EP22796052.3A priority patent/EP4333013A1/en
Publication of KR20220147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42Venting arrangements for arc ch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6Metal parts
    • H01H9/362Mounting of plates in arc cha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6Metal parts
    • H01H2009/365Metal parts using U-shaped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02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wherein arc-extinguishing gas is evolved from stationary parts

Landscapes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 소호부는 아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이 가해지는 경우 아크를 소호시키는 분자를 발생시키는 개싱 메티리얼(gassing material)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아크가 신속하게 소호될 수 있다.
또한, 아크 소호부는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외측지지판을 포함하여 기계적, 열적으로 강도가 높은 측판부를 구비하여, 아크 열에 의한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Arc extinguish part and air circuit breaker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류가 차단되어 발생된 아크를 효과적으로 소호할 수 있는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는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의 접촉 및 이격에 의해 외부와의 통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차단기에 구비되는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은 각각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동 접점은 차단기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가동 접점은 고정 접점을 향하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되면, 차단기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차단기에 과전류 또는 이상 전류가 흐를 경우, 접촉 상태에 있던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은 서로 이격된다. 이때,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 사이에서 통전되던 전류는 바로 소멸되지 않고, 아크(arc)의 형태로 변화되며 가동 접점을 따라 신장(extend)된다.
아크는 고온 고압의 전자의 흐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발생된 아크가 차단기 내부 공간에서 장시간 체류될 경우, 차단기의 각 구성 요소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또한, 아크가 별도의 처리 과정 없이 차단기의 외부로 배출될 경우, 사용자가 상해를 입을 염려가 있다.
이에, 차단기에는 아크를 소호(extinguish)하면서 배출하기 위한 소호 장치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발생된 아크는 소호 장치를 통과하며 아크 압력이 증가되며 이동 속도가 빨라지고, 동시에 냉각되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아크 소호부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는 순간 온도가 수천도에 이르므로, 열에 의하여 내부의 부품이 열화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아크 소호부 내부에 조립이나, 구성의 변화를 통하여 아크 소호부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크가 소호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소손 방지를 위한 구조가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먼저, 발생된 아크를 신속하게 소호 및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의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아크가 이동 되는 경로에 있어서, 아크에 의한 아크 소호부 내부 구성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아크 소호부 및 기중 차단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생된 아크가 아크 소호부 내에서 신속하게 소호될 수 있는 아크 소호부 및 기중 차단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측판부, 상기 측판부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로 구비되고 서로 이격되어 상기 측판부에 각각 결합되는 그리드, 상기 그리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그리드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부는, 아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이 가해지는 경우 아크를 소호시키는 분자를 발생시키는 개싱 메티리얼을 포함하는, 아크 소호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판부는, 상기 개싱 메티리얼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그리드와 결합되며, 상기 개싱 메티리얼을 상기 그리드를 향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외측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지지판은, 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합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드는, 상기 측판부에 결합되도록 측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그리드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서 양 측으로 갈라져 연장되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 사이 공간에는,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가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좌우 변형을 흡수 가능한 U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는,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가 외력에 의해 전후 변형을 흡수 가능한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지지판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지지판은, 상기 관통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가 서로 분리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를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중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최상단에 배치되고, 중앙부에 격자의 배기구가 관통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은 철사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메시부, 상기 메시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일부 영역에 배기홀이 형성되는 제1 절연필터, 상기 제1 절연필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필터의 배기홀과 상이한 영역에 배기홀이 형성되는 제2 절연필터, 및 상기 제1 절연필터 및 제2 절연필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절연필터 및 제2 절연필터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메시부, 제1 절연필터, 스페이서 및 제2 절연필터를 수납되어 고정시키는 커버 본체, 상기 커버 본체에 결합되며, 외부와 커버 어셈블리 사이에 공간을 차단하고,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본체는, 내부 공간 측벽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절연필터, 스페이서 및 제2 절연필터의 측벽에 끼움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결합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연필터에는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절연필터는, 상기 배기홀이 폭 방향을 따라 전 영역에서 형성되는 제1 영역, 상기 배기홀이 폭 방향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배기홀이 형성되지 않는 제3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홀은, 상기 제3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폭 방향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폭 방향의 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영역에서 제1 영역으로 갈수록 형성되는 배기홀이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이 이격되며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하도록 이루어지는 아크 소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 소호부는, 서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측판부, 상기 측판부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로 구비되고 서로 이격되어 상기 측판부에 각각 결합되는 그리드, 상기 그리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그리드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부는, 아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이 가해지는 경우 아크를 소호시키는 분자를 발생시키는 개싱 메티리얼을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 접점이 연결되는 고정 접점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로우 러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아크 소호부에는 개싱 메티리얼이 구비된다. 개싱 메티리얼은 아크가 인가됨에 따라 아크를 소호할 수 있는 분자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발생된 아크가 신속하게 소호될 수 있다.
또한, 아크 소호부에는 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합성물을 포함하는 외측지지판이 상술한 개싱 메티리얼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아크에 의하여 열화되어 물리적 강성이 약해지는 개싱 메티리얼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아크 소호부의 그리드는 양 측으로 갈라지는 돌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력에 의하여 측판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아크 소호부는 서로 배기홀이 다르게 형성되는 제1 절연필터 및 제2 절연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아크 소호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중 차단기에서 후면 커버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중 차단기에서 후면 커버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기중 차단기에 구비되는 아크 소호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아크 소호부의 커버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커버 어셈블리의 제1 절연필터, 스페이서 및 제2 절연필터가 서로 겹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커버 어셈블리의 제1 절연필터, 스페이서 및 제2 절연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의 아크 소호부의 그리드 및 측판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 및 측판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8 및 도 9의 아크 소호부의 그리드 및 측판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그리드의 돌기부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의 아크 소호부의 측면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소호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 "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 사이에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가 서로 전달됨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기중 차단기(Air Circuit Breaker)"라는 용어는 공기 또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아크를 소호하도록 구성되는 차단기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들은 기중 차단기에 적용됨을 전제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들은 공기 차단기, 압축공기 차단기, 가스 차단기, 유 차단기 및 진공 차단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우측", "좌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통해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10)는 커버부(200), 구동부(190), 차단부(300) 및 아크 소호부(10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10)의 각 구성을 설명하되, 아크 소호부(1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1) 커버부(200)의 설명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10)는 커버부(200)를 포함한다.
커버부(200)는 기중 차단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커버부(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기중 차단기(10)의 작동을 위한 각 구성 요소들이 실장될 수 있다.
즉, 커버부(200)는 일종의 하우징(housing)으로 기능된다.
커버부(200)는 고내열성,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에 실장된 각 구성 요소들의 손상을 방지하고,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200)는 합성 수지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부(200)는 상하 방향을 높이로 하는 사각기둥 형상이다. 커버부(200)의 형상은 기중 차단기(10)의 작동을 위한 구성 요소를 내부에 실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200)의 내부 공간은 외부와 통전된다. 커버부(200)의 내부에 실장된 각 구성 요소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부(200)는 상부 커버(210) 및 하부 커버(220)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210)는 커버부(200)의 상측을 형성한다. 상부 커버(210)는 하부 커버(220)의 상측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커버(210)와 하부 커버(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2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기중 차단기(10)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 요소가 실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커버(210)의 내부 공간에는 차단부(300) 및 아크 소호부(100)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상부 커버(210)의 내부 공간은 하부 커버(2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차단부(300) 등의 구성 요소는 상부 커버(210)의 내부 공간 및 하부 커버(220)의 내부 공간에 걸쳐 수용될 수 있다.
상부 커버(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측 면에는 아크 소호부(100)가 위치된다. 아크 소호부(100)는 상부 커버(210)의 상측 면에서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부 커버(21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된 아크는 아크 소호부(100)를 통과하며 소호되어 기중 차단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부 커버(210)의 타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 측에는 차단부(300)의 고정 접점대(310)가 노출된다. 고정 접점대(310)는 상기 노출된 부분을 통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커버(210)는 제1 상부 커버 및 제2 상부 커버를 포함한다.
제1 상부 커버는 기중 차단기(10)의 상측의 일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 측을 덮도록 구성된다. 제1 상부 커버는 임의의 체결 수단에 의해 제2 상부 커버와 결합된다.
제1 상부 커버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고정 접점대(31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는 좌우 방향으로 세 개 형성된다.
제2 상부 커버는 기중 차단기(10)의 상측의 타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방 측을 덮도록 구성된다. 제2 상부 커버는 임의의 체결 수단에 의해 제1 상부 커버와 결합된다.
하부 커버(220)는 커버부(200)의 하측을 형성한다. 하부 커버(220)는 상부 커버(210)의 하측에 위치된다.
하부 커버(22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기중 차단기(10)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 요소가 실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커버(220)의 내부 공간에는 구동부(190) 및 차단부(300) 등이 실장될 수 있다.
하부 커버(220)의 내부 공간은 상부 커버(2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차단부(300) 등의 구성 요소는 하부 커버(220)의 내부 공간 및 상부 커버(210)의 내부 공간에 걸쳐 수용될 수 있다.
하부 커버(220)의 일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에는 차단부(300)의 가동 접점대(320)가 위치된다. 가동 접점대(320)는 하부 커버(22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가동 접점대(320)는 상기 노출된 부분을 통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2) 구동부(190)의 설명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10)는 구동부(190)를 포함한다.
구동부(190)는 차단부(300)의 고정 접점(311)과 가동 접점(321)이 이격됨에 따라 회전되어, 트립 동작(trip mechanism)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기중 차단기(10)는 외부와의 통전이 차단될 수 있고, 사용자는 통전을 차단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구동부(190)는 기중 차단기(10)의 내부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90)는 커버부(200) 내부의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또한, 구동부(190)의 나머지 부분은 도면 부호가 부여되지 않은, 커버부(200)의 일측(도시된 실시예에서 후방 측)에 구비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다.
구동부(190)는 차단부(30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90)의 크로스바(192)는 차단부(300)의 가동 접점대(3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차단부(300)의 가동 접점대(320)가 회전 이동되면, 구동부(19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구동부(190)는 기중 차단기(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부(190)는 슈터(191), 크로스바(192) 및 레버(193)를 포함한다.
슈터(191)는 차단부(300)의 가동 접점대(320)가 고정 접점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슈터(191)는 크로스바(192) 및 레버(193)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슈터(191)는 크로스바(192)에 의해 일측 단부가 구속된다. 슈터(191)의 타측 단부에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311)과 가동 접점(321)이 접촉된 상태에서, 슈터(191)는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상기 가압을 위한 외력은 크로스바(192)가 고정 접점대(310)를 향해 회전된 상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가동 접점(321)이 고정 접점(311)에서 이격되면, 가동 접점대(320)는 고정 접점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192) 또한 회전되며 슈터(191)의 일측 단부가 해방되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제공된 복원력에 의해 회전된다.
슈터(191)는 레버(193)와 연결된다. 슈터(191)가 회전되며 레버(193)를 타격함에 따라, 레버(193) 또한 회전되며 트립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크로스바(192)는 가동 접점대(320)와 연결되어, 가동 접점대(320)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192)에 구속된 슈터(191)가 해방되어 트립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크로스바(192)는 복수 개의 차단부(30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단부(300)의 가동 접점대(320)는 총 세 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크로스바(192)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동 접점대(320)를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크로스바(192)는 슈터(191)의 상기 일측 단부와 접촉되어, 슈터(191)를 구속한다. 크로스바(192)가 가동 접점대(320)와 함께 회전되면, 크로스바(192)는 슈터(191)의 상기 일측 단부를 해방한다.
레버(193)는 회전되는 슈터(191)에 타격되어 회전될 수 있다. 레버(193)는 기중 차단기(10)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차단부(300)에 의해 트립 동작이 수행되면, 레버(193)는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트립 동작이 수행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레버(193)를 회전 조작하여 기중 차단기(10)가 다시 통전될 수 있는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구동부(190)에 의해 트립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3) 차단부(300)의 설명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10)는 차단부(300)를 포함한다.
차단부(300)는 서로 이격되거나 접촉되는 고정 접점대(310) 및 가동 접점대(320)를 포함한다. 고정 접점대(310)와 가동 접점대(320)가 서로 접촉되면, 기중 차단기(1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될 수 있다. 고정 접점대(310)와 가동 접점대(320)가 이격되면, 기중 차단기(1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이 차단된다.
차단부(300)는 기중 차단기(10)의 내부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차단부(300)는 커버부(200)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차단부(300)는 외부와 통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접점대(310) 및 가동 접점대(320) 중 어느 하나에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에서 전류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대(310) 및 가동 접점대(320) 중 다른 하나에서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로 전류가 유출될 수 있다.
차단부(300)는 기중 차단기(10)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부(300)는 도선(미도시) 등의 부재를 통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차단부(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차단부(300)는 서로 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각 차단부(300) 사이에는, 각 차단부(300)에 통전되는 전류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단부(300)는 세 개 구비된다. 또한, 세 개의 차단부(300)는 기중 차단기(10)의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10)에 R상, S상 및 T상 또는 U상, V상 및 W상 등의 3상 전류가 통전됨에 기인한다.
차단부(300)의 개수는 기중 차단기(10)에 통전되는 전류의 상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접점대(310)는 상부 커버(210)의 전방 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고정 접점대(310)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접점대(310)는 구리(Cu) 또는 철(Fe) 및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접점대(310)는 고정 접점(311)을 포함한다.
고정 접점(311)은 가동 접점(321)과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다. 고정 접점(311)은 가동 접점대(320)를 향하는 고정 접점대(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고정 접점(311)은 고정 접점대(310)와 통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접점(311)은 고정 접점대(310)의 상기 후방 측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접점(311)은 고정 접점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311)과 가동 접점(321)이 접촉되면, 기중 차단기(1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고정 접점(311)이 가동 접점(321)과 이격되면, 기중 차단기(1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이 차단된다.
가동 접점대(320)는 고정 접점대(310)와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다. 가동 접점대(320)와 고정 접점대(310)의 접촉 및 이격에 의해, 기중 차단기(10)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또는 통전 차단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가동 접점대(320)는 커버부(200)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 접점대(320)는 고정 접점대(310)를 향하는 방향 및 고정 접점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동 접점대(320)는 상부 커버(210) 및 하부 커버(2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상부 커버(210) 및 하부 커버(220)의 각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가동 접점대(320)는 기중 차단기(10)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부분을 통해, 가동 접점대(32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동 접점대(320)는 하부 커버(220)의 전방 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가동 접점대(320)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 접점대(320)는 구리 또는 철 및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 접점대(320)는 구동부(19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가동 접점대(320)는 구동부(190)의 크로스바(192)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 접점대(320)에는 크로스바(192)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가동 접점대(320)가 회전되면, 크로스바(192) 또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190)가 작동되어 트립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동 접점대(320)는 가동 접점(321) 및 회전축(322)을 포함한다.
가동 접점(321)은 고정 접점(311)과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다. 가동 접점(321)은 고정 접점대(310)를 향하는 가동 접점대(320)의 일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가동 접점(321)은 가동 접점대(3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가동 접점대(320)가 고정 접점대(310)를 향해 회전되면, 가동 접점(321) 또한 고정 접점(311)을 향해 회전되어 고정 접점(311)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대(320)가 고정 접점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가동 접점(321) 또한 고정 접점(311)에서 이격될 수 있다.
가동 접점(321)은 가동 접점대(320)와 통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동 접점(321)은 가동 접점대(320)의 상기 전방 측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 접점(321)은 가동 접점대(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 접점(321)과 고정 접점(311)의 접촉 및 이격에 의해, 기중 차단기(10)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또는 통전 차단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아크가 발생되는 상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 접점(311) 및 가동 접점(321)이 서로 접촉되어 통전되는 상태에서, 고정 접점(311) 및 가동 접점(321)이 이격되면 아크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10)는 발생된 아크가 아크 소호부 내에서 효과적으로 소호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회전축(322)은 가동 접점대(320)가 커버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가동 접점대(320)는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고정 접점대(31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접점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322)은 고정 접점대(310)에 반대되는 가동 접점대(320)의 타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소호부(100)의 설명
도 1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10)는 아크 소호부(100)를 포함한다.
아크 소호부(100)는 고정 접점(311)과 가동 접점(321)이 이격되어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하도록 구성된다. 발생된 아크는 아크 소호부(100)를 통과하며 소호 및 냉각된 후 기중 차단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크 소호부(100)는 커버부(200)에 결합된다. 아크 소호부(100)는 아크가 배출되기 위한 일측이 커버부(200)의 외측에 노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아크 소호부(100)는 그 상측이 커버부(200)의 외측에 노출된다.
아크 소호부(100)는 커버부(200)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아크 소호부(100)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커버부(2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아크 소호부(100)는 상부 커버(210)의 상측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상기 배치는, 고정 접점(311) 및 가동 접점(312)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아크 소호부(100)는 고정 접점(311) 및 가동 접점(312)에 상당히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311)에서 멀어지도록 회전되는 가동 접점(312)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아크가 아크 소호부(100)로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
아크 소호부(1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아크 소호부(100)는 서로 물리적,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아크 소호부(100)는 세 개 구비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10)에 3상 전류가 통전됨에 기인한다.
즉, 각 아크 소호부(100)는 각 고정 접점(311) 및 가동 접점(32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아크 소호부(100)는 각 고정 접점(311) 및 가동 접점(321)의 상측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각 아크 소호부(100)가 각 차단부(300)에 통전되는 각 상의 전류가 차단되어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하도록 구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아크 소호부(100)의 하단에서 공기가 흘러 들어와, 아크를 소호하고 아크 소호부(100)의 위쪽으로 배출된다.
아크 소호부(1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 개의 아크 소호부(100)는 기중 차단기(10)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아크 소호부(100)는 측판부(105), 그리드(130), 커버 어셈블리(120)를 포함한다.
측판부(105)은 아크 소호부(100)의 양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우측 및 좌측을 형성한다. 측판부(105)은 아크 소호부(100)의 각 구성 요소와 결합되어, 상기 구성 요소들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측판부(105)은 그리드(130), 커버 어셈블리(120), 아크 가이드(150) 및 아크 러너(140)와 결합된다.
측판부(105)은 복수 개 구비된다. 복수 개의 측판부(105)은 서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판부(105)은 두 개 구비되어, 각각 아크 소호부(100)의 우측 및 좌측을 형성한다.
측판부(105)은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발생된 아크가 측판부(105)을 향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측판부(105)은 내열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발생된 아크에 의해 손상되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측판부(105)는 아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이 가해지는 경우 아크를 소호시키는 분자를 발생시키는 개싱 메티리얼(111, gassing material)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개싱 메티리얼(111)은 아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이 개싱 메티리얼(111)에 인가되면, 개싱 메티리얼(111)은 아크를 소호할 수 있는 분자들을 방출한다. 다시 말해, 개싱 메티리얼(111)은 아크를 소호할 수 있는 가스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아크 소호부(100) 내에 발생된 아크를 빠르게 소호시킬 수 있다.
외측지지판(110)은 개싱 메티리얼(111)의 외측에 배치된다. 외측지지판(110)은 그리드(130)와 결합된다. 외측지지판(110)은 개싱 메티리얼(111)을 그리드(130)를 향해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개싱 메티리얼(111)은 아크에 의하여 열을 받으면 아크 소호를 위한 분자를 방출하므로, 물리적 강도가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아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은 순간적으로 섭씨 수천도에 이를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싱 메티리얼(111)의 물리적 강도가 약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싱 메티리얼(111)의 외측에 배치된 외측지지판(110)이 개싱 메티리얼(11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외측지지판(110)은 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합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측지지판(110)은 아크의 열에 의하여 물리적 강도가 약화되지 않도록 유리를 포함하는 매트, 즉 유리섬유 보강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외측지지판(110)은 기계적, 열적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지지판(110)은 VON ROLL 회사에 의해 상표명 Altherm 800 또는 Delmat polyester로 판매되는 재료들로부터 선택된 실제로 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합성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외측지지판(110)은 상표명 Delmat Epoxy 68660로 판매되는 재료들로부터 선택된 유리 섬유 보강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드(130)는 측판부(105)에 결합되도록 측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131)는 그리드(130)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바디부(131a), 및 바디부(131a)에서 양 측으로 갈라져 연장되는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는 바디부(131a)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는 바디부(131a)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가 바디부(131a)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 사이 공간에는 U홈(133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가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좌우 변형을 흡수 가능한 U홈(13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와 바디부(131a) 사이에는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가 외력에 의해 전후 변형을 흡수 가능한 오목홈(133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는 U홈(133A)을 이루는 공간에서부터 상기 오목홈(133b)을 이루는 곳까지 제1 면(132a) 내지 제5 면(132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U홈(133A)을 이루는 제1 면(132a), 제1 면(132a)에서 연장되어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제2 면(132b), 제2 면(132b)에서 연장되어 외측을 향하여 편평한 면을 포함하는 면을 이루는 제3 면(132c), 제3 면(132c)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2 면(132b)과 평행하거나 작은 각도를 이루는 제4 면(132d), 및 제4 면(132d)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고, 제4 면(132d)과 함께 오목홈(133b)을 형성하는 제5 면(132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5 면(132e)은 바디부(131a)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돌기부(131)가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는 경우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는 크게 2가지의 거동을 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131)가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는 경우 돌기부(131)는 다음과 같이 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면(132c)의 외측(제4 면(132d)과 인접한 영역)에 외력(F2)을 받는 경우, 제1 돌기(131b)는 오목홈(133b)을 향하여 휘어질 수 있다. 이때, 오목홈(133b)은 제1 돌기(131b)가 오목홈(133b)을 향하여 휠 수 있는 회피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제2 돌기(131c)에도 오목홈(133b)이 형성되므로, 또한 제2 돌기(131c)의 제3 면(132c)의 외측에 외력을 받는 경우 동일한 거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제3 면(132c)의 중앙이나 내측에 외력(F1)을 받는 경우, 제2 돌기(131c)는 제1 돌기(131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오목홈(133b)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2 돌기(131c)가 제1 돌기(131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의 거동을 통해, 그리드(130)는 외부로부터 측압을 받는 경우에도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가 파손되거나 영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측판부(105)가 아크의 열로 인해 물리적 강성이 열화될 수 있는 개싱 메티리얼(111)이 내측에 배치되어 그리드(130)와 측판부(105)의 결합이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소호부(100)는 그리드(130)의 돌기부(131)가 바디부(131a),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로 이루짐에 따라, 개싱 메티리얼(111) 및 외측지지판(110)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31)에는 U홈(133A) 및 오목홈(133b)이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가 회피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어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영구 변형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측판부(105)에는 복수 개의 관통구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 중 일부에는 그리드(130) 및 아크 러너(14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 중 다른 일부에는 커버 어셈블리(120) 및 아크 가이드(150)를 측판부(105)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측판부(105)은 그리드(13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측판부(105)의 상기 관통공 중 일부에는 그리드(130)의 양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우측 단부 및 좌측 단부에 구비되는 돌기부(131)가 삽입 결합된다.
개싱 메티리얼(111) 및 외측지지판(110)에는 돌기부(131)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외측지지판(110)에는 그리드(130)의 돌기부(131)가 삽입되는 제1 관통구(110a) 및 아크 러너 돌기부(141)가 삽입되는 제2 관통구(110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싱 메티리얼(111)에도 그리드(130)의 돌기부(131)가 삽입되는 제1 관통구(111a) 및 아크 러너 돌기부(141)가 삽입되는 제2 관통구(111b)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지지판(110)과 개싱 메티리얼(111)의 각 관통구들은 그리드(130) 및 아크 러너(140)에 형성된 돌기부(131)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그리드(130)의 돌기부(131)는 그리드(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세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싱 메티리얼(111) 및 외측지지판(110)의 제1 관통구(110a, 111a)는 세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 그리드(130)의 돌기부(131)는 그리드(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그리드(130)의 돌기부(131)는 그리드(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외측지지판(110) 및 개싱 메티리얼(111)의 제1 관통공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아크 러너 돌기부(141) 또한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측지지판(110)은 관통구에 형성되고,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가 서로 분리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를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중앙부재(110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외측지지판(110)의 제1 관통구(110a)에는 관통구를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중앙부재(110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돌기부(131)의 바디부(131a)는 개싱 메티리얼(111)을 관통한다. 그리고, 돌기부(131)의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는 각각 외측지지판(110)의 제1 관통구(110a)를 관통한다. 이때, 제1 돌기(131b) 및 제2 돌기(131c)는 중앙부재(110c)를 중심으로 제1 관통구(110a)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삽입될 수 있다.
중앙부재(110c)는 제1 관통구(110a)의 리브(rib)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부재(110c)가 형성됨으로써, 제1 관통구(110a)는 돌기부(131)의 거동에 의하여 견디는 강성이 증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판부(105)은 꼭지점에 복수 개의 모서리가 형성된 판 형으로 구비된다. 측판부(105)은 아크 소호부(100)의 양측을 형성하고, 아크 소호부(100)의 각 구성 요소를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측판부(105)은 커버 어셈블리(12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측판부(105)의 상측에는 커버 어셈블리(120)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측판부(105)과 커버 어셈블리(120)의 끼움 결합 또는 별도의 체결 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측판부(105)은 아크 가이드(15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측판부(105)의 하측, 즉 커버 어셈블리(120)에 반대되는 일측에 아크 가이드(150)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별도의 체결 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측판부(105)은 아크 러너(14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측판부(105)의 후방 측, 즉 고정 접점(311)에 반대되는 일측에 아크 러너(140)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별도의 체결 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드(130)는 고정 접점(311)과 가동 접점(321)이 이격되어 발생된 아크를 아크 소호부(100)로 유도한다.
그리드(130)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의 흐름인 아크에 흡인력(attractive force)을 인가하기 위함이다.
그리드(1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그리드(130)는 서로 이격되어 적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리드(130)는 11 개 구비되어, 전후 방향으로 적층된다.
그리드(13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리드(130)의 개수는 아크 소호부(100)의 크기, 성능 또는 아크 소호부(100)가 구비되는 기중 차단기(10)의 정격 용량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그리드(13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유입된 아크가 소분되어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의 압력이 증가되며, 아크의 이동 속도 및 소호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그리드(130) 중 고정 접점(311)에서 가장 먼 그리드(130),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방 측의 그리드(130)에 인접하게 아크 러너(140)가 위치된다.
그리드(130)는 폭 방향,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의 단부가 고정 접점(311)을 향하는 방향, 즉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그리드(130)는 좌우 방향의 단부가 하측을 향하는 첨두(peak)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발생된 아크는 그리드(130)의 좌우 방향의 상기 단부를 향해 효과적으로 진행되어, 아크 소호부(100)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그리드(130)의 상기 좌우 방향의 단부의 외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측에는 아크 가이드(150)가 위치된다.
그리드(130)는 측판부(105)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그리드(13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의 모서리에는 복수 개의 돌기부(131)가 그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그리드(130)의 상기 돌기부(131)는 측판부(105)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 결합된다.
커버 어셈블리(120)를 향하는 그리드(130)의 일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측 단부는 커버 어셈블리(1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드(130)를 따라 유동된 아크는, 커버 어셈블리(12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커버 어셈블리(120)는 아크 소호부(100)의 상측을 형성한다. 커버 어셈블리(120)는 그리드(130)의 상측 단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복수 개의 그리드(13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을 통과한 아크는 커버 어셈블리(120)를 통해 기중 차단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커버 어셈블리(120)는 측판부(105)에 결합된다. 커버 어셈블리(1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의 모서리에는 측판부(105)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 어셈블리(120)와 측판부(105)은 별도의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어셈블리(12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방향은 복수 개의 그리드(130)가 적층되는 방향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커버 어셈블리(120)의 타 방향, 도시된 실시예에서 폭 방향의 길이는 복수 개의 그리드(130)의 폭 방향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 어셈블리(120)는 상부 프레임(121), 메시부(123) 제1 절연필터(124), 제2 절연필터(126), 스페이서(125), 커버 본체(122) 및 패킹부(122b)를 포함한다.
커버 본체(122)는 커버 어셈블리(120)의 외형을 형성한다. 커버 본체(122)는 측판부(105)에 결합된다. 또한, 커버 본체(122)에는 상부 프레임(121)이 결합된다.
커버 본체(122)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상부 프레임(121)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메시부(123) 제1 절연필터(124), 제2 절연필터(126), 스페이서(125)가 수용된다. 이에, 상기 공간은 "수용 공간"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은 그리드(130)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용 공간은 커버부(2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이에 따라, 발생된 아크는 그리드(130)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을 통과하여, 커버 본체(122)의 상기 수용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드(130)를 향하는 커버 본체(122)의 일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측에는 그리드(130)의 상측 단부가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본체(122)는 그리드(130)의 상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커버 본체(122)는 내열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발생된 아크에 의해 손상되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 본체(122)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커버 본체(122)의 형상은 측판부(105)의 형상 및 그리드(130)의 형상과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드(130)에 반대되는 커버 본체(122)의 일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측에는 상부 프레임(121)이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121)은 커버 본체(122)의 상측에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121)은 커버 본체(122)에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메시부(123) 제1 절연필터(124), 제2 절연필터(126), 스페이서(125)를 덮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121)은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부 프레임(121)은 커버 본체(122)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구성 요소를 덮을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1)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121a)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을 통해, 그리드(130) 사이를 통과하며 소호된 아크가 배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공(121a)은 좌우 방향으로 세 개씩 전후 방향으로 네 줄 구비되어, 총 12개 형성된다. 관통공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관통공 사이에는 일종의 리브(rib)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는 커버 본체(122)의 공간에 수용된 메시부(123) 제1 절연필터(124), 제2 절연필터(126), 스페이서(125)를 상측에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가 발생되더라도, 메시부(123) 제1 절연필터(124), 제2 절연필터(126), 스페이서(125)가 커버 본체(122)의 상기 수용 공간에서 임의 이탈되지 않는다.
상부 프레임(121)은 커버 본체(122)의 상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121)은 체결 부재에 의해 커버 본체(122)의 상측에 고정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121)과 커버 본체(122)의 사이, 즉 상부 프레임(121)의 하측에서 커버 본체(122)의 상기 수용 공간에는 메시부(123) 제1 절연필터(124), 제2 절연필터(126), 스페이서(125)가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커버 본체(122)의 상기 수용 공간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메시부(123) 제1 절연필터(124), 스페이서(125), 제2 절연필터(126)가 적층된다.
메시부(123)는 그리드(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며 소호된 아크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소호된 아크는 메시부(123)를 통과하며, 잔존하는 불순물이 제거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메시부(123)는 일종의 필터(filter)로 기능된다.
메시부(123)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 층은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철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메시부(123)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공의 크기, 즉 직경은 아크에 잔존하는 불순물의 입자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아크가 포함하는 가스가 통과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시부(12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메시부(123)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시부(123)를 통과하는 아크에 잔존하는 불순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메시부(123)는 커버 본체(122)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다. 메시부(123)의 형상은 상기 수용 공간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메시부(123)는 상부 프레임(121)의 하측에 위치된다. 메시부(123)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은 상부 프레임(121)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과 연통된다. 이에 따라, 메시부(123)를 통과한 아크는 상부 프레임(1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메시부(123)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은 그리드(130)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된다. 결과적으로, 메시부(123)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은 커버부(2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메시부(123)의 하측에는 제1 절연필터(124), 제2 절연필터(126), 스페이서(125)가 위치된다.
제1 절연필터(124)는 메시부(123)의 하부에 배치되고, 일부 영역에 배기홀(124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연필터(124)에는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홀(124a)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절연필터(124)는 길이 방향을 따라 3분할 되어 영역이 나눠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연필터(124)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영역(Z-A), 제2 영역(Z-B) 및 제3 영역(Z-C)으로 분할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영역(Z-A)에는 배기홀(124a)이 폭 방향을 따라 전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Z-B)에는 배기홀(124a)이 폭 방향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영역(Z-C)에는 배기홀(124a)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때, 제2 영역(Z-B)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홀(124a)은 제3 영역(Z-C)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폭 방향의 중앙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영역(Z-B)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홀(124a)은 제1 영역(Z-A)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폭 방향의 전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3 영역(Z-C)에서 제1 영역(Z-A)으로 갈수록 형성되는 배기홀(124a)이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영역(Z-B)에 형성되는 배기홀(124a)은 제1 영역(Z-A)에 가까운 곳에는 폭 방향으로 넓게 복수로 형성되고, 제3 영역(Z-C)에 가까운 곳은 중앙 부분에만 형성된다. 즉, 제2 영역(Z-B)에 형성되는 배기홀(124a)은 제1 영역(Z-A)에 가까운 부분이 긴 변을 이루는 역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절연필터(126)는 제1 절연필터(124)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절연필터(124)의 배기홀(124a)과 상이한 영역에 배기홀(126a)이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125)는 제1 절연필터(124) 및 제2 절연필터(126)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스페이서(125)는 제1 절연필터(124) 및 제2 절연필터(126)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절연필터(124) 및 제2 절연필터(126)는 스페이서(125)를 중심으로 상하로 배치된다. 제1 절연필터(124)는 제1 영역(Z-A) 및 제2 영역(Z-B)에 배기홀(124a)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제3 영역(Z-C)에는 배기홀(124a)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절연필터(126)에 형성되는 배기홀(126a)과 제1 절연필터(124)에 형성되는 배기홀(124a)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아크 소호부(100)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는 제2 절연필터(126), 스페이서(125) 및 제1 절연필터(124)를 거쳐 상부 프레임(121)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런데, 제1 절연필터(124) 및 제2 절연필터(126)에 형성되는 배기홀의 위치가 상이하고, 제1 절연필터(124)에는 영역에 따라 배기홀(124a)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상술한 제1 절연필터(124) 및 제2 절연필터(126)에 형성되는 배기홀의 위치 및 배치가 서로 상이하므로, 아크 소호부(100) 내부에 제1 절연필터(124)의 제1 영역(Z-A)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제2 절연필터(126)에 형성된 배기홀(126a) 및 제1 절연필터(124)에 형성되는 배기홀(124a)을 따라 비교적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아크 소호부(100) 내부에 제1 절연필터(124)의 제2 영역(Z-B)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제1 영역(Z-A)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발생되는 아크에 비해 배출이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아크 소호부(100) 내부에 제1 절연필터(124)의 제3 영역(Z-C)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제1 영역(Z-A) 및 제2 영역(Z-B)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발생되는 아크에 비해 배출이 더욱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제2 절연필터(126)는 필터 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기홀(126a)을 형성함으로써, 아크 소호부(100) 내부의 초기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절연필터(124)는 영역에 따라 배기홀(124a)의 배치와 형성되는 개소를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아크 소호부(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Z-A)에 대응하는 영역에 압력을 낮추고, 제2 영역(Z-B)과 제3 영역(Z-C)으로 갈수록 해당 영역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아크 소호부(100) 내부의 각 영역의 압력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아크 소호부(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가 그리드(130)로 용이하게 인가될 수 있다. 즉, 아크 소호부(100)의 배면 쪽으로 갈수록 압력이 높아지므로 발생되는 아크는 위로 상승하려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아크가 인접한 그리드(130)에 인가될 확률이 높아진다.
커버 본체(122)는 메시부(123), 제1 절연필터(124), 스페이서(125) 및 제2 절연필터(126)를 내부 공간에 수납하여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커버 본체(122)는 베이스(122a)와, 베이스(122a) 결합되는 패킹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122b)는 커버 본체(122)에 결합된다. 패킹부(122b)는 외부와 커버 어셈블리(120) 사이에 공간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패킹부(122b)는 아크 소호부(100) 내부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커버 본체(122)의 내부 공간 측벽에는 결합돌기(122c)가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 본체(122)의 내부 공간 상단쪽 측벽에는 결합돌기(122c)가 돌출된다.
또한, 제1 절연필터(124), 스페이서(125) 및 제2 절연필터(126)의 측벽에는 상술한 결합돌기(122c)가 끼움 가능하게 오목한 끼움홈(124b, 125b, 126b)이 형성될 수 있다.
아크 가이드(150)는 발생된 아크가 그리드(130)를 향해 유동되도록 아크를 유도한다. 아크 가이드(150)에 의해, 발생된 아크가 측판부(105)을 향해 유동되어 측판부(10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크 가이드(150)는 고정 접점(311) 및 가동 접점(321)을 향하는 측판부(105)의 일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아크 가이드(150)는 측판부(105)의 하측에 위치된다.
아크 가이드(15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아크 가이드(150)는 각 측판부(105)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아크 가이드(150)는 두 개 구비되어, 각 측판부(105)에 각각 결합된다. 두 개의 아크 가이드(150)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아크 가이드(150)는 측판부(105)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별도의 체결 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아크 가이드(150)는 내열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발생된 아크에 의한 손상 및 형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아크 가이드(150)는 세라믹(ceramic)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 가이드(150)는 그리드(130)의 양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의 단부에 형성된 첨두 부분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아크 가이드(150)에 의해 가이드된 아크는 그리드(130)의 어느 한 부분에 집중되지 않을 수 있다.
아크 가이드(150)는 측판부(105)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아크 가이드(150)는 가장 전방 측에 위치되는 그리드(130) 및 가장 후방 측에 위치되는 그리드(13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아크 가이드(150)는 수직부(151) 및 돌출부(152)를 포함한다.
수직부(151)는 아크 가이드(150)가 측판부(105)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수직부(151)는 고정 접점대(310)를 향하는 측판부(105)의 일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수직부(151)는 체결 부재에 의해 측판부(105)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부(151)는 그리드(13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부(151)는 측판부(105)과 접촉되며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직부(151)는 측판부(105)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수직부(151)의 단부에서 돌출부(152)가 연장된다.
돌출부(152)는 그리드(130)의 좌우 방향의 단부에 형성된 첨두 부분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52)의 일면은 수직부(15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152)의 일면은 수직부(151)와 둔각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152)는 그리드(130)의 좌우 방향의 단부에 형성된 첨두 부분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152)는 단부에 꺽이는 꺽임부(152a)가 형성될 수 있다. 꺽임부(152a)는 수직부(15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돌출부(152)의 일면이 다시 수직부(151)를 향해 연장되는 다른 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꺽임부(152a)는 첨두(peak)를 이루어, 아크가 보다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
아크 러너(140)는 발생된 아크가 그리드(130)를 향해 유동되도록 아크를 유도한다. 아크 가이드(150)에 의해, 발생된 아크가 그리드(130)를 넘어 커버부(200)의 일측 벽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생된 아크에 의해 커버부(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크 러너(140)는 고정 접점(311) 및 가동 접점(321)을 향하는 측판부(105)의 일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아크 러너(140)는 측판부(105)의 하측에 위치된다.
아크 러너(140)는 고정 접점(311)에서 반대되는 측판부(105)의 타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아크 러너(140)는 측판부(105)의 전방 측에 위치되는 고정 접점(311)에 반대되도록, 측판부(105)의 하측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아크 러너(140)는 측판부(105)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아크 러너(140)의 좌우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는 돌기가 측판부(105)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크 러너(140)는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동되는 아크에 흡인력을 인가하여, 효과적으로 아크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아크 러너(140)는 구리, 철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 러너(140)는 그리드(130)를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아크 러너(140)는 고정 접점(311)에서 가장 멀도록 위치되는 그리드(130),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장 후방 측에 위치되는 그리드(130)를 후방 측에서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가 가장 후방 측에 위치되는 그리드(130)를 넘어 연장되지 않게 되어, 커버부(2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발생된 아크가 그리드(130)를 향해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아크 러너(140)는 측면에 아크 러너 돌기부(141)를 구비할 수 있다. 아크 러너 돌기부(141)는 측판부(105)에 형성되는 관통공(110b, 111b)를 통해 측판부(105)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아크 러너(140)의 중앙부에는 아크 러너 개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로우 러너(145)는 고정 접점대(310)에 배치된다. 로우 러너(145)는 고정 접점(311)의 위쪽으로 아크 소호부(100)를 향해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로우 러너(145)는, 고정 접점(311) 및 가동 접점(321)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이격되며 발생되는 아크가 그리드(130)를 향해 유도될 수 있도록 아크를 유도할 수 있다.
로우 러너(145)는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동되는 아크에 흡인력을 인가하여, 효과적으로 아크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로우 러너(145)는 구리, 철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우 러너(145)는 그리드(130)를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로우 러너(145)는 고정 접점(311)에서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그리드(130)에 인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가 가장 전방 측에 위치되는 그리드(130)를 넘어 연장되지 않게 되어, 커버부(2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발생된 아크가 그리드(130)를 향해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기중 차단기
100 아크 소호부
105 측판부
110 외측지지판
110a 제1 관통구
110b 제2 관통구
110c 중앙부재
111 개싱 메티리얼
111a 제1 관통구
111b 제2 관통구
120 커버 어셈블리
121 상부 프레임
122 커버 본체
122a 베이스
122b 패킹부
122c 결합돌기
123 메시부
124 제1 절연필터
124a 배기홀
124b 끼움홈
125 스페이서
125b 끼움홈
126 제2 절연필터
126a 배기홀
126b 끼움홈
130 그리드
131 돌기부
131a 바디부
131b 제1 돌기
131c 제2 돌기
132a 제1 면
132b 제2 면
132c 제3 면
132d 제4 면
132e 제5 면
133a U홈
133b 오목홈
140 아크 러너
141 아크 러너 돌기부
142 아크 러너 개구
145 로우 러너
150 아크 가이부
151 수직부
152 돌출부
152a 꺽임부
190 구동부
191 슈터
192 크로스바
193 레버
200 커버부
210 상부 커버
220 하부 커버
300 차단부
310 고정 접점대
311 고정 접점
320 가동 접점대
321 가동 접점
322 회전축
Z-A 제1 영역
Z-B 제2 영역
Z-C 제3 영역

Claims (13)

  1. 서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측판부;
    상기 측판부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로 구비되고 서로 이격되어 상기 측판부에 각각 결합되는 그리드;
    상기 그리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그리드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부는,
    아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이 가해지는 경우 아크를 소호시키는 분자를 발생시키는 개싱 메티리얼(gassing material)을 포함하는,
    아크 소호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는,
    상기 개싱 메티리얼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그리드와 결합되며, 상기 개싱 메티리얼을 상기 그리드를 향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외측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아크 소호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판은,
    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합성물을 포함하는,
    아크 소호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는,
    상기 측판부에 결합되도록 측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그리드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서 양 측으로 갈라져 연장되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아크 소호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크 소호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 사이 공간에는,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가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좌우 변형을 흡수 가능한 U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는,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가 외력에 의해 전후 변형을 흡수 가능한 오목홈이 형성되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판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지지판은,
    상기 관통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가 서로 분리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를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중앙부재를 포함하는,
    아크 소호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최상단에 배치되고, 중앙부에 격자의 배기구가 관통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은 철사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메시부;
    상기 메시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일부 영역에 배기홀이 형성되는 제1 절연필터;
    상기 제1 절연필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필터의 배기홀과 상이한 영역에 배기홀이 형성되는 제2 절연필터; 및
    상기 제1 절연필터 및 제2 절연필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절연필터 및 제2 절연필터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아크 소호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메시부, 제1 절연필터, 스페이서 및 제2 절연필터를 수납되어 고정시키는 커버 본체;
    상기 커버 본체에 결합되며, 외부와 커버 어셈블리 사이에 공간을 차단하고,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본체는,
    내부 공간 측벽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절연필터, 스페이서 및 제2 절연필터의 측벽에 끼움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결합돌기가 돌출되는,
    아크 소호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필터에는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절연필터는,
    상기 배기홀이 폭 방향을 따라 전 영역에서 형성되는 제1 영역;
    상기 배기홀이 폭 방향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배기홀이 형성되지 않는 제3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아크 소호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홀은,
    상기 제3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폭 방향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폭 방향의 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영역에서 제1 영역으로 갈수록 형성되는 배기홀이 증가하도록 이루어지는,
    아크 소호부.
  12. 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이 이격되며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하도록 이루어지는 아크 소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 소호부는,
    서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측판부;
    상기 측판부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로 구비되고 서로 이격되어 상기 측판부에 각각 결합되는 그리드;
    상기 그리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그리드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부는,
    아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이 가해지는 경우 아크를 소호시키는 분자를 발생시키는 개싱 메티리얼을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이 연결되는 고정 접점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로우 러너를 더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KR1020210054463A 2021-04-27 2021-04-27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KR20220147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463A KR20220147380A (ko) 2021-04-27 2021-04-27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CN202280014190.5A CN116830230A (zh) 2021-04-27 2022-04-22 电弧熄灭部及包括其的空气断路器
PCT/KR2022/005787 WO2022231219A1 (ko) 2021-04-27 2022-04-22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EP22796052.3A EP4333013A1 (en) 2021-04-27 2022-04-22 Arc extinguishing unit and air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463A KR20220147380A (ko) 2021-04-27 2021-04-27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380A true KR20220147380A (ko) 2022-11-03

Family

ID=8384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463A KR20220147380A (ko) 2021-04-27 2021-04-27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33013A1 (ko)
KR (1) KR20220147380A (ko)
CN (1) CN116830230A (ko)
WO (1) WO20222312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27595B (zh) * 2024-02-07 2024-04-26 温州华嘉电器有限公司 一种断路器灭弧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343Y1 (ko) * 1995-07-31 1998-12-15 이정식 퍼스널 컴퓨터의 전원제어회로
KR19990001783U (ko) * 1997-06-23 1999-01-15 구자홍 회로차단기의 아크쳄버어셈블리의 그리드결합구조
KR200393296Y1 (ko) * 2005-05-17 2005-08-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소호장치
US7488915B2 (en) * 2006-09-20 2009-02-10 Eaton Corporation ARC baffle, and ARC chute assembly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1986552B1 (ko) * 2018-11-14 2019-06-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용 기중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33013A1 (en) 2024-03-06
WO2022231219A1 (ko) 2022-11-03
CN116830230A (zh) 2023-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2083B (zh) 用于断路器的电弧隔板组件
KR100963738B1 (ko) 회로 차단기
JP7432762B2 (ja) 気中遮断器
JP2012174686A (ja) 消弧部を有する配線用遮断器
EP4333013A1 (en) Arc extinguishing unit and air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US20230170167A1 (en) Arc extinguishing unit and air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US20060213873A1 (en) ARC chute assembly and electric power switch incorporating same
JP2809652B2 (ja) 回路遮断器
KR20220061718A (ko)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RO122112B1 (ro) Carcasă pentru un aparat de comutare
US20230115892A1 (en) Air circuit breaker
CN111868869B (zh) 电磁接触器
US20240153728A1 (en) Arc extinguishing unit, interruption unit, and air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EP4336533A1 (en) Breaker unit and air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KR102594467B1 (ko) 아크 소호부, 차단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KR20220151448A (ko) 차단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JPH08315706A (ja) 消弧装置
KR102666104B1 (ko)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US20240047163A1 (en) Interrupter and air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US20230110171A1 (en) Arc extinguishing unit and air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KR102666107B1 (ko)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US20240186084A1 (en) Circuit breaking unit and air circuit breaker including same
EP4339982A1 (en) Circuit breaking unit and air circuit breaker including same
KR20220155094A (ko) 아크 소호부, 차단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KR20220155095A (ko) 차단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