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317A -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317A
KR20220147317A KR1020210054298A KR20210054298A KR20220147317A KR 20220147317 A KR20220147317 A KR 20220147317A KR 1020210054298 A KR1020210054298 A KR 1020210054298A KR 20210054298 A KR20210054298 A KR 20210054298A KR 20220147317 A KR20220147317 A KR 20220147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everage
supplement
functional
sp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724B1 (ko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시스얼
주식회사 지엔비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시스얼, 주식회사 지엔비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시스얼
Priority to KR102021005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72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상제(캡슐/알약 등), 과립제(분말) 또는 액상제의 영양제(비타민/환약/환제 등)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보충제가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와 분리된 상태로 용기본체를 밀폐하는 마개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마개가 개방되기 전에는 음료, 수분 또는 습기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기능성 보충제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개가 개방되면 마개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가 용기본체에 수용된 음료의 상면으로부터 서서히 흘러내리면서 음료와 혼합되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신비감을 제공하는 한편, 음료와 동시에 기능성 보충제를 마실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BEVERAGE CONTAINER CONTAINING FUNCTIONAL SUPPLEMENTS}
본 발명은 고상제(캡슐/알약 등), 과립제(분말) 또는 액상제의 영양제(비타민/환약/환제 등)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보충제가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와 분리된 상태로 용기본체를 밀폐하는 마개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마개가 개방되기 전에는 음료, 수분 또는 습기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기능성 보충제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개가 개방되면 마개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가 용기본체에 수용된 음료의 상면으로부터 서서히 흘러내리면서 음료와 혼합되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신비감을 제공하는 한편, 음료와 동시에 기능성 보충제를 마실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물이나 각종 음료를 내부에 담아 운동이나 이동 중 혹은 업무나 공부 중에도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제공하는 용기로서, 보통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최근 웰빙 열풍에 따라 다양한 건강음료가 출시됨에 따라 그 판매량 또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음료용기는 통상 물이나 각종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마련된 입구를 밀폐하는 마개(뚜껑 또는 캡)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는 단일 특성을 갖는 음료만을 담을 수 밖에 없도록 하나의 용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취향을 갖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소비자의 욕구,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녹차, 홍차, 커피, 비타민 음료, 과즙 음료, 숙취해소 음료 등과 같은 음료에 고상제(캡슐/알약 등), 과립제(분말) 또는 액상제의 영양제(비타민/환약/환제 등)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보충제들을 함께 혼합시켜 음료와 기능성 보충제를 동시에 마실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음료용기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163626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916400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749699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88060호 등을 포함하는 선행문헌들에서는 고상제, 과립제 및/또는 액상제의 기능성 보충제를 마개의 내부에 수용시키고, 마개의 개폐동작에 따라 용기본체에서 토출될 때 마개(음료가 토출되는 경로상)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와 자연적으로 혼합되도록 하는 음료용기가 제안되었다.
상기한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용기는 대부분 용기본체에 수용된 음료로부터 기능성 보충제를 분리 수용하기 위해 마개와 용기본체 사이에 수용체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에 나사결합된 마개의 승강운동에 따라 음료본체에 수용된 음료와 수용체의 내부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 간의 혼합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음료와 기능성 보충제를 혼합시켜 동시에 마실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용기에서는 마개의 내부에 기능성 보충제의 기밀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예를 들어, 마개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음료가 기능성 보충제로 유입되어 변질시키거나, 제품 출시 전 실시되는 증기 살균과정에서 증기(수분)나 습기기 유입되어 기능성 보충제가 불어버리거나, 또는 냉각 후 증기가 응축된 수분으로 인하여 기능성 보충제가 변질되는 문제점에 직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용기에서는 마개와 용기본체의 결합구조와, 마개와 수용체 또는 속마개 등의 결합구조를 기밀하게 형성하여 기능성 보충제의 기밀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완벽하게 기능성 보충제의 기밀을 확보하는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어 그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용기에서는 대부분 마개의 개폐동작에 따라 음료가 용기본체에서 토출될 때 음료가 토출되는 경로 상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가 음료와 함께 토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용기본체를 기울여야만 음료와 기능성 보충제가 서로 혼합된 상태로 토출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직접 눈으로 음료와 기능성 보충제가 혼합되는 과정을 인식하기가 어려워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KR 10-1163626 B1, 2012. 07. 02., "첨가제 수용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KR 10-1916400 B1, 2018. 11. 01.,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 10-1749699 B1, 2017. 06. 15.,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 20-0488060 Y1, 2018. 12. 03., "기능성 입자로부터의 격리 구조를 가지는 음료 용기의 마개 어셈블리"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상제, 과립제 또는 액상제, 특히 과립제 또는 액상제로 이루어진 기능성 보충제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립제 또는 액상제로 이루어진 기능성 보충제가 마개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자유낙하하는 과정에서 음료의 상면에서 하부(깊이방향)로 폭포수처럼 흘러내리도록 하여 음료를 마시는 소비자로 하여금 음료와 기능성 보충제가 혼합되는 과정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신비감을 제공하고 호기심을 자극하여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주둥이(입구) 측에 설치된 구성들 간의 나사결합을 최소화하여 나사산 간의 결합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로 인해 이물질이 주둥이를 통해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로 유입되거나, 혹은 용기본체에서 토출되는 음료와 함께 토출되지 않도록 하여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고, 상부에는 음료가 토출되는 주둥이가 구비된 용기본체; 하측으로 개방된 '∩'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측캡부와, 상기 외측캡부의 천장부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외측 나사산이 형성된 내측캡부를 포함하는 마개; 상기 주둥이의 입구로 삽입되어 외면이 상기 주둥이의 내면과 긴밀하게 밀착되고 내면에는 상기 내측캡부의 외측 나사산이 나사결합되는 내측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내측캡부의 승강운동에 따라 개폐되어 내부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가 토출되는 보충제 토출구가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벽에 대해 외면 경사각을 갖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보충제 토출구의 개방시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를 상기 보충제 토출구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수용체; 및 상기 외측캡부와 상기 내측캡부 사이에 결합되고, 내면에는 상기 주둥이의 외면에 형성된 외측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내측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 천장부에는 상기 주둥이의 상단부가 하측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용부의 끼움홈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의 하측으로는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상기 수용부의 끼움홈부의 단부가 하측으로 걸림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된 중간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원뿔형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기둥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는 상기 보충제 토출구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하부 내벽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의 외면과 상기 수용부의 내벽이 이루는 상기 안내부의 외면 경사각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가 상기 안내부의 외면을 따라 상기 보충제 토출구를 통해 빠르게 토출되도록 30~60°의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캡은 하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돌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부 외측부에는 상기 외측캡부의 내면에 융착 고정되는 고정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마개가 회전할 때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외측캡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마개의 상승시 상기 외측캡부의 하단부 내면에 돌출 형성된 밀착돌부가 상기 확장돌부와 상기 고정돌부 사이를 따라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캡부는 상기 마개와 연동하여 외면에 형성된 외측 나사산과 상기 수용부의 내측 나사산과의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수용부의 내측 나사산을 따라 승강하여 상기 보충제 토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 의하면,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삽입되고 내부에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되는 수용체와 마개의 외측캡부 사이에 중간캡을 결합하고, 상기 중간캡은 주둥이의 외면과 나사결합하고, 상기 수용체는 상기 마개의 내측캡부의 외면에 나사결합하여 측방향(마개의 중심방향)으로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고상제, 과립제 또는 액상제로 이루어진 기능성 보충제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 의하면,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되는 수용체의 내부에 상부로 갈수록 직경(폭)이 좁아지는 안내부를 형성함으로써 기능성 보충제가 낙하하는 가속도를 증대시켜 기능성 보충제가 음료의 표면장력을 뚫고 폭포수처럼 흘러내리도록 하여 음료를 마시는 소비자로 하여금 음료와 기능성 보충제가 혼합되는 과정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신비감을 제공하고 호기심을 자극하여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 의하면, 용기본체의 주둥이와 수용체를 나사결합이 아닌 면접촉을 통해 긴밀하게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용기본체의 주둥이(입구) 측에 설치된 구성들 간의 나사결합을 최소화하여 나사산 간의 결합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로 인해 유발되는 이물질이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음료를 마실 때 용기본체에서 토출되는 음료와 함께 이물질이 토출되지 않도록 하여 이물질 흡입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료용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체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캡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미개봉 및 개봉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고,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는 용기본체(11)와, 용기본체(11)의 상부에 결합된 마개(12)와, 용기본체(11)와 마개(12) 사이에 결합되고 내부에 기능성 보충제(2)가 수용되는 수용체(13)와, 마개(12)와 수용체(13) 사이에 결합되어 마개(12)와 수용체(13) 사이를 기밀하는 중간캡(14)을 포함한다.
용기본체(11)는 도 4와 같이, 내부에 각종 음료(1), 예를 들면, 물, 녹차, 홍차, 커피, 비타민 음료, 과즙 음료, 숙취해소 음료 등과 같은 음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a)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부에는 음료(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a)보다 작은 직경(또는 폭)을 갖는 주둥이(111)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주둥이(111)에는 도 4와 같이, 수용공간(11a)과 연통하여 수용공간(11a)에 수용된 음료(1)가 수용체(13)로 토출되고 수용체(13)에 내장 수용된 기능성 보충체(2)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하는 경우 용기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는 입구(111a)(중공)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면에는 중간캡(14)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중간캡(14)의 내측 나사산(14a)과 나사결합되는 외측 나사산(11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둥이(111)에는 외측 나사산(111b)의 하측으로 마개(12)의 개봉 여부 확인과 절취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비딩부(beading part, 111c)가 형성되고, 주둥이(111)의 상단부에는 컬링부(curling part, 111d)가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본체(11)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기능성 보충제가 음료와 섞이는 과정을 볼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개(12)는 외측캡부(121)와, 외측캡부(121)의 천장부에 일체로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마개(12)의 승강동작과 연동하여 수용체(13)에 형성된 보충제 토출구(131b)를 개폐하는 내측캡부(122)를 포함한다.
이때, 보충제 토출구(131b)는 수용체(13)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2)가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에 의해 주둥이(111)의 입구(111a)로 토출되는 한편, 음료(1)를 마시기 위해 용기본체(11)를 일측으로 기울었을 때 용기본체(11)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주둥이(111)의 입구(111a)를 경유하여 음용자의 입 안으로 토출되는 경로가 된다.
외측캡부(122)는 도 4와 같이, 단면이 하측으로 개방된 '∩'자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외측캡부(122)는 둘레부가 중간캡(14)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측으로 절곡되고, 종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밀착돌부(121a)가 형성된다. 이때, 밀착돌부(121a)는 외측캡부(122)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외측캡부(122)가 중간캡(14)에 결합되면, 중간캡(14)의 외면 둘레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내측캡부(122)는 도 5와 같이, 외측캡부(121)의 천장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내측캡부(122)는 외측캡부(121)의 절곡부, 즉 하측으로 절곡된 외측캡부(121)의 둘레부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캡부(122)은 외주면에 형성된 외측 나사산(122a)을 통해 수용체(13)의 수용부(1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 나사산(131a)과 나사결합되어 수용부(131)를 따라 상하로 승강하여 수용부(131)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보충제 토출구(131b)를 개폐한다.
내측캡부(122)는 외측 나사산(122a)을 통해 수용부(131)의 내측 나사산(131a)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수용부(131)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로 승강한다. 예를 들어, 마개(12)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면 내측캡부(122)는 상승하고, 조임방향으로 회전하면 하강한다. 가령, 내측캡부(122)가 수용부(131)의 내주면을 따라 최대로 하강하면(음용용기(10)가 개봉되지 않고 밀폐된 상태), 보충제 토출구(131b)가 내측캡부(122)의 종단부에 의해 밀폐되어 기능성 보충제(2)가 수용되는 수용부(131)의 수용공간(131c)은 원형관으로 이루어진 내측캡부(122)에 의해 밀폐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체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용체(13)는 내부에 기능성 보충제(2)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31c)이 마련된 수용부(131)와, 수용부(131)의 내부 하측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수용공간(131c)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능성 보충제(2)를 수용부(131)의 개구부(131b)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132)를 포함한다.
수용부(131)는 내측캡부(122)가 삽입되는 상부와 내부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2)가 토출되는 보충체 토출구(131b)를 제외한 다른 부위는 모두 밀폐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용부(131)의 내주면에는 내측캡부(122)의 외측 나사산(122a)이 나사결합되는 내측 나사산(131a)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측부에는 수용공간(131c)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2)가 자유낙하하여 주둥이(111)의 입구(111a)로 토출되는 보충제 토출구(131b)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예를 들면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32)는 하단부가 수용부(131)의 내측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안내부(132)의 외면과 수용부(131)의 내벽이 이루는 각도(외면 경사각)는 내측캡부(122)의 상승에 의해 수용부(131)의 보충제 토출구(131b)가 개방될 때 기능성 보충제(2)가 보충제 토출구(131b)를 통해 주둥이(111)의 입구(111a)로 자유낙하하는 속도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가령, 안내부(132)의 외면 경사각이 너무 작으면, 기능성 보충제(2)의 입자크기에 따라 기능성 보충제(2)가 토출되는 과정에서 안내부(121)의 외면과 수용부(131)의 내벽 사이에 끼여 원활한 토출이 어렵고, 안내부(132)의 외면 경사각이 너무 크면, 기능성 보충제(2)의 배출 속도가 그 만큼 감소하여 기능성 보충제(2)가 과립제인 경우 보충제 토출구(131b)의 개방과 동시에 용기본체(11)에서 올라오는 수분이나 습기 등으로 인해 기능성 보충제(2)가 서로 들러붙어 토출이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안내부(132)의 외면 경사각이 너무 작거나 커서 수용부(131)의 보충제 토출구(131b)를 통과하는 기능성 보충제(2)의 속도가 감소하면, 보충제 토출구(131b)를 통해 자유낙하하는 기능성 보충제(2)가 용기본체(11)에 수용된 음료(1)의 표면장력을 뚫지 못하여 폭포수와 같은 신비감을 연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안내부(132)의 외면과 수용부(131)의 내벽(수직면)이 이루는 각도, 안내부(132)의 외면 경사각을 대략 30~60°, 바람직하게는 45°각도가 되도록 안내부(132)를 형성하여 안내부(132)의 외면을 타고 자유낙하하는 기능성 보충제(2)의 흐름, 즉 기능성 보충제(2)이 토출되는 속도를 확보함으로써 기능성 보충제(2)가 용기본체(11)의 음료(1)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폭포수처럼 서서히 하강하도록 하여 음료를 마시는 소비자에게 신비감을 제공하여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부(132)는 기능성 보충제(2)의 원활한 토출을 위해 수용부(131)의 하측 내벽에 하단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수용부(131)의 내벽에 일체로 형성된 하단부는 보충제 토출구(132b)의 하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형성한다.
한편, 도 4 및 도 6과 같이, 수용부(131)는 주둥이(111)의 입구(111a)로 삽입되어 외면이 주둥이(111)의 내면에 면대면으로 긴밀하게 밀착 접촉된다. 그리고, 음료(1)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부(131)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주둥이(111)의 상단부가 하측에서 삽입되는 끼움홈부(131d)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홈부(131d)는 단면이 대략 '∩'로 형성되어 주둥이(111)의 상단부가 삽입 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캡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간캡(14)은 상부로 내측캡부(122)가 관통 삽입되고, 하부로는 수용체(13)가 관통 삽입되도록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원형관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중간캡(14)의 내주면에는 주둥이(1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측 나사산(111b)이 나사결합되도록 내측 나사산(14a)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캡(14)은 도 4와 같이, 천장부에 수용부(131)의 끼움홈부(131d)가 삽입되는 결합홈부(14b)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홈부(14b)와 내측 나사산(14a) 사이의 내벽에는 결합홈부(14b)에 결합된 끼움홈부(131d)의 단부가 하측으로 걸림되는 걸림턱부(14c)가 형성될 수 있고,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확장돌부(14d)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캡(14)은 상부 외측부에 고정돌부(14e)가 형성되어 외측캡부(121)의 내면에 일체로 고정(예컨대, 융착)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마개(12)가 회전할 때 고정돌부(14e)가 중간캡(14)으로부터 분리되어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는 수용체(13), 주둥이(111) 및 중간캡(14)가 서로 나란하게 마개(12)의 외측캡부(121)와 내측캡부(122)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부(131)의 내측 나사산(131a)과 내측캡부(122)의 외측 나사산(122a)이 나사결합되고, 중간캡(14)의 내측 나사산(14a)과 주둥이(111)의 외측 나사산(111b)이 외측캡부(121)와 내측캡부(122) 사이에서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는 수용체(13)가 직접 용기본체(11)의 주둥이(111)에 나사결합되지 않고(즉, 주둥이(111)의 내면과 면대면 결합), 주둥이(111)를 사이에 두고 외측캡부(111)에 의해 외측으로 구속되는 중간캡(14)와 내측캡부(122)에 의해 내측으로 구속되는 주둥이(111) 간의 나사결합을 통해 수용체(13가 주둥이(111)와 내측캡부(122)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긴밀하게 구속됨으로써 주둥이(111)와 수용체(13)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기밀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는 수용체(13)가 직접 주둥이(111)와 나사결합되지 않고 내측캡부(122)와 중간캡(14) 사이에서 면대면으로 긴밀하게 밀착됨에 따라 수용체와 주둥이 간의 나사결합 구조에서 나사산 간의 마찰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이물질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위생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들로서, (a)는 미개봉된 상태, (b)는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의 (a)와 같이, 마개(12)가 미개봉된 상태이면, 수용체(13), 즉 수용부(131)의 보충제 토출구(131b)는 내측캡부(122)에 의해 밀폐됨에 따라 기능성 보충제(2)는 용기본체(11)에 담겨진 음료(1)와 분리된 상태로 수용체(13)에 수용된다.
그리고, 도 8의 (b)와 같이, 마개(12)를 풀림방향으로 돌려 마개(12)가 개봉되면, 수용부(131)의 내측 나사산(131a)과 나사결합된 내측캡부(122)의 외측 나사산(122a)는 수용부(131)의 내측 나사산(131a)에서 풀리고, 이 과정에서 내측캡부(122)는 마개(12)와 함께 상승하여 내측캡부(122)에 의해 밀폐된 보충제 토출구(131b)는 개방된다. 보충제 토출구(131b)가 개방됨에 따라 수용체(13)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2)는 보충제 토출구(131b)를 통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주둥이(111)의 입구(111a)를 통해 용기본체(11)의 내부에 담겨진 음료(1)로 토출 혼합된다.
한편, 도 8의 (b)에서, 내측캡부(122)의 상승에 따라 개방되는 보충제 토출구(131b)를 통해 토출되는 기능성 보충제(2)는 안내부(132)의 외면 경사각에 의해 비교적 빠른 가속도에 의해 주둥이(111)의 입구(111a)를 통해 음료(1)로 자유낙하한다. 이때, 보충제 토출구(131b)를 통해 토출되는 기능성 보충제(2)는 빠른 가속도로 인해 음료(1)의 표면장력을 뚫고 안정적으로 음료(1)의 내부로 흘러내려 혼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에서는 용기본체(11)를 개방할 때 마개(12)가 중간캡(14)과 따라 용기본체(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거나, 혹은 마개(12)가 중간캡(14)과 함께 용기본체(1)로부터 분리되어 음료를 마시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음료 2 : 기능성 보충제
10 : 음료용기 11 : 용기본체
11a, 131c : 수용공간 12 : 마개
13 : 수용체 14 : 중간캡
14a, 131a : 내측 나사산 14b : 결합홈부
14c : 걸림턱부 14d : 확장돌부
14e : 걸림돌부 111 : 주둥이
111a : 입구 111b, 122a : 외측 나사산
111c : 비딩부 111d : 컬링부
121 : 외측캡부 121a : 밀착돌부
122 : 내측캡부 131 : 수용부
131b : 보충제 토출구 131d : 끼움홈부
132 : 안내부

Claims (5)

  1.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고, 상부에는 음료가 토출되는 주둥이가 구비된 용기본체;
    하측으로 개방된 '∩'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측캡부와, 상기 외측캡부의 천장부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외측 나사산이 형성된 내측캡부를 포함하는 마개;
    상기 주둥이의 입구로 삽입되어 외면이 상기 주둥이의 내면과 긴밀하게 밀착되고 내면에는 상기 내측캡부의 외측 나사산이 나사결합되는 내측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내측캡부의 승강운동에 따라 개폐되어 내부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가 토출되는 보충제 토출구가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벽에 대해 외면 경사각을 갖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보충제 토출구의 개방시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를 상기 보충제 토출구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수용체; 및
    상기 외측캡부와 상기 내측캡부 사이에 결합되고, 내면에는 상기 주둥이의 외면에 형성된 외측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내측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 천장부에는 상기 주둥이의 상단부가 하측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용부의 끼움홈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의 하측으로는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상기 수용부의 끼움홈부의 단부가 하측으로 걸림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된 중간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원뿔형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기둥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는 상기 보충제 토출구의 하부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하부 내벽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외면과 상기 수용부의 내벽이 이루는 상기 안내부의 외면 경사각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기능성 보충제가 상기 안내부의 외면을 따라 상기 보충제 토출구를 통해 빠르게 토출되도록 30~60°의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캡은 하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돌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부 외측부에는 상기 외측캡부의 내면에 융착 고정되는 고정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마개가 회전할 때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외측캡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마개의 상승시 상기 외측캡부의 하단부 내면에 돌출 형성된 밀착돌부가 상기 확장돌부와 상기 고정돌부 사이를 따라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캡부는 상기 마개와 연동하여 외면에 형성된 외측 나사산과 상기 수용부의 내측 나사산과의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수용부의 내측 나사산을 따라 승강하여 상기 보충제 토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KR1020210054298A 2021-04-27 2021-04-27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KR102548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98A KR102548724B1 (ko) 2021-04-27 2021-04-27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98A KR102548724B1 (ko) 2021-04-27 2021-04-27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317A true KR20220147317A (ko) 2022-11-03
KR102548724B1 KR102548724B1 (ko) 2023-06-29

Family

ID=8404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98A KR102548724B1 (ko) 2021-04-27 2021-04-27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7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1584A (ko) * 2009-10-16 2011-04-22 조영국 내습성이 강한 첨가제 첨가 가능한 용기마개
KR101163626B1 (ko) 2009-02-03 2012-07-06 주식회사 블리스팩 첨가제 수용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KR101749699B1 (ko) 2016-12-26 2017-06-23 주식회사 엔바이오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101916400B1 (ko) 2014-03-07 2018-11-08 최재구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200488060Y1 (ko) 2017-01-26 2018-12-07 이현구 기능성 입자로부터의 격리 구조를 가지는 음료 용기의 마개 어셈블리
KR20190045039A (ko) * 2017-04-14 2019-05-02 팡 린 양 밀봉덮개 및 해당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626B1 (ko) 2009-02-03 2012-07-06 주식회사 블리스팩 첨가제 수용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KR20110041584A (ko) * 2009-10-16 2011-04-22 조영국 내습성이 강한 첨가제 첨가 가능한 용기마개
KR101916400B1 (ko) 2014-03-07 2018-11-08 최재구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101749699B1 (ko) 2016-12-26 2017-06-23 주식회사 엔바이오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200488060Y1 (ko) 2017-01-26 2018-12-07 이현구 기능성 입자로부터의 격리 구조를 가지는 음료 용기의 마개 어셈블리
KR20190045039A (ko) * 2017-04-14 2019-05-02 팡 린 양 밀봉덮개 및 해당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724B1 (ko)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7933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бутылок
EP1968867B1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integral type working member
US20050115845A1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KR20100085040A (ko) 안전 봉인된 저장 캡
US20150336724A1 (en) Universal bottle cap
KR101528199B1 (ko) 용기의 마개
AU2011303593B2 (en) Closing device for a container and container comprising said closing device
KR20090110695A (ko) 혼합원료 캡슐이 구비된 음료용기
KR101348415B1 (ko) 2액형 음료용기
EP3148896A1 (en) Universal bottle cap
AU2006237711B2 (en) Closure arrangement
KR100794167B1 (ko) 이종물질 낙하 및 혼합용 병뚜껑
KR20220147317A (ko)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GB2459519A (en) Closure element for a fluid container
KR200480321Y1 (ko) 혼합용 용기
KR102017235B1 (ko) 스크류 타입 이종물질 혼합기
WO2011030280A1 (en) Dispenser
KR102619274B1 (ko) 음료 용기용 마개 조립체
KR20230137084A (ko)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뚜껑을 구비한 음료용기
CN104609025B (zh) 可储藏粉剂并带自动冲泡功能的盖子
KR20100000038A (ko) 병뚜껑 구조
WO2021169751A1 (zh) 一种具有加料调和的盖组件
KR20240059377A (ko) 음료 용기용 캡 조립체
KR20090009469U (ko) 분말캡을 구비한 광구용 음료수 병
EP0534909A1 (en) Dispenser for liquid substance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