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975A -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975A
KR20220146975A KR1020210053965A KR20210053965A KR20220146975A KR 20220146975 A KR20220146975 A KR 20220146975A KR 1020210053965 A KR1020210053965 A KR 1020210053965A KR 20210053965 A KR20210053965 A KR 20210053965A KR 20220146975 A KR20220146975 A KR 20220146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od waste
bag
cas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웅
조연아
김현기
오민규
황성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3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6975A/ko
Publication of KR20220146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내부공간이 내측에 구비되며 냉장고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에 연결되며 케이스부의 입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와, 도어부에 설치되며 케이스부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담기 위한 봉투를 공급하는 봉투공급부와, 케이스부 또는 도어부에 설치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봉투의 입구를 차폐하는 밀폐구동부 및 케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봉투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INDIVIDUALLY SEALED TYPE FOOD WASTE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봉투를 소량으로 밀봉하여 냉동 보관할 수 있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기로부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처리하는 탈수기를 포함한다.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탈수처리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기를 지나 탈수기를 거쳐 적재통에 적재되고,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배수호스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넣고 일정량 모이면 버리게 된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통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므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담기 위한 봉투를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는 작업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봉투에 채워진 상태에서, 봉투의 상측을 밀봉하거나 묶는 작업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기간 모아서 버리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의 내부공간이 음식물 처리량에 따라 변경되지 못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12813호 (2021.02.03 공개, 발명의 명칭: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소량으로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할 때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 및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된 봉투의 개수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통의 내부공간을 변경할 수 있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담기 위한 봉투를 자동으로 공급하고, 사용된 봉투를 자동으로 밀봉할 수 있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소량 상태로 밀봉하여 냉동 보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가 봉투에 담긴 상태에서 봉투의 상측을 밀봉하여 케이스부의 내측에 복수의 밀봉된 봉투를 보관한 후 한꺼번에 봉투의 배출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봉투를 밀봉한 상태에서 냉동 보관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봉된 봉투의 개수에 따라 높이조절부의 이동지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음식물 쓰레기통의 내부공간을 변경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밀봉된 봉투의 개수가 증가하면 이동패널의 높이가 점차로 낮아지므로 케이스부의 내측에 밀봉된 복수의 봉투가 안정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진 봉투의 상부를 자동으로 밀봉하며, 사용이 완료된 봉투의 상측은 절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밀폐구동부가 동작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진 봉투의 상부를 히터부가 가압하여 열융착에 의해 봉투를 밀봉하거나 절단하여 봉투의 밀봉 및 절단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케이스부의 내측에 냉동 보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부의 내측에 봉투가 전개된 상태에서 봉투의 내측에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고, 케이스부가 냉동실에 보관되는 동작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냉동 보관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내부공간이 내측에 구비되며 냉장고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에 연결되며 케이스부의 입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와, 도어부에 설치되며 케이스부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담기 위한 봉투를 공급하는 봉투공급부와, 케이스부 또는 도어부에 설치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봉투의 입구를 차폐하는 밀폐구동부 및 케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봉투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높이조절부는, 밀봉된 봉투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봉투의 하부를 지지하는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진다.
또한 높이조절부는, 케이스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봉투의 하부를 지지하는 이동지지부 및 이동지지부에 연결되며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동작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어 이동지지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가변부를 포함한다.
또한 높이가변부는, 이동지지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의 내측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으며 베이스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럭 및 하측은 이동블럭과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측은 이동패널 또는 이동패널에 연결된 이동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이동블럭의 이동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링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내부공간이 내측에 구비되며 냉장고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에 연결되며 케이스부의 입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와, 도어부에 설치되며 케이스부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담기 위한 봉투를 공급하는 봉투공급부와, 도어부에 설치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봉투의 입구를 차폐하는 밀폐구동부와, 케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봉투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와, 케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높이조절부에 적재된 봉투의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측정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밀폐구동부와 높이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밀봉된 봉투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낮춘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소량 상태로 밀봉하여 냉동 보관한 후 배출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와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봉된 봉투의 개수에 따라 이동지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음식물 쓰레기통의 내부공간이 가변되므로, 밀봉된 봉투의 적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구동부가 동작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진 봉투의 상부를 자동으로 밀봉하거나 절단하므로,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투의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부의 측정값을 전달받는 제어부에 의해 높이조절부의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므로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냉장고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도어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투공급부와 밀폐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구동부가 도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구동부가 도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지지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케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의 동작으로 케이스부의 내측에 봉투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도어부를 통해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가 봉투에 적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구동부가 동작되어 봉투의 상부가 밀봉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지지부와 함께 밀봉된 봉투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의 내측에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는 공간이 복수로 구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에서 밀봉된 복수의 봉투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블록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가 냉장고 도어(41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봉투(500)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600)를 소량으로 밀봉하여, 케이스부(10)의 내측에 냉동상태로 보관한다. 케이스부(10)의 내측에 냉동 보관되는 복수의 봉투(500)는 동시에 배출하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600)의 보관과 배출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부(10)의 내측에는 높이조절부(700)가 설치되며, 높이조절부(700)의 상측에 음식물 쓰레기(600)를 담기 위한 봉투(500)가 설치된다. 높이조절부(700)는 제어부(31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며, 구동부(740)의 동작에 의해 봉투(500)를 지지하는 이동지지부(71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밀봉된 봉투(500)가 없는 상태에서는 이동지지부(71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밀폐구동부(200)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밀봉된 봉투(500)가 증가하면, 이동지지부(71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음식물 쓰레기(600)를 적재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음식물 쓰레기(600)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10)의 상측에는 도어부(100)가 설치된다. 도어부(100)는 케이스부(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1도어부(110)와, 제1도어부(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도어부(130)를 포함한다. 제1도어부(110)는 음식물 쓰레기(600)가 들어있는 봉투(500)를 버릴 때 개방하며, 제2도어부(130)는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음식물 쓰레기(600)를 버릴 때 개방한다.
도어부(100)나 케이스부(10)에는 광선을 조사하여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140)가 설치된다. 살균부(140)는 광선 조사 뿐만 아니라 오존 발생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살균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어부(100)에는 봉투공급부(150)와 밀폐구동부(200)가 각각 설치된다. 봉투공급부(150)를 통해 봉투(500)의 재료가 되는 원단부재(170)가 공급되며, 밀폐구동부(200)가 동작되어 설정된 위치에 있는 원단부재(170)를 밀봉하거나 원단부재(170)와 봉투(500)의 사이를 절단한다.
밀폐구동부(200)에 구비된 구동모터(210)의 동작에 의해 히터부(260)를 구성하는 제1가열부(270)와 제2가열부(275)가 가운데로 모여서 비닐인 봉투(500)를 봉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음식물 쓰레기(600)를 소분하여 밀봉한 후 냉동 상태로 보관하므로 음식물 쓰레기(600)를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케이스부(10)와 도어부(100)와 살균부(140)와 봉투공급부(150)와 밀폐구동부(200)와 실링부(280)와 송풍팬(290)과 댐퍼부(300)와 제어부(310)와 배터리(320)와 높이조절부(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부(10)와 도어부(100)가 결합되어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의 외형을 형성한다. 케이스부(10)는 상측이 개구되어 입구부(32)를 형성하며, 케이스부(10)에 연결된 도어부(100)가 입구부(32)를 개폐한다.
사용자는 도어부(100)를 열고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있는 봉투(500)의 내측에 음식물 쓰레기(600)를 투입한다. 그리고 도어부(100)가 닫힌 상태에서 케이스부(10)는 냉장고(400)의 내측에 위치한다. 케이스부(10)는 냉장고(400)의 냉동실 도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냉동실의 내측 선반에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600)는 냉동실의 냉기에 의해 냉동이 된다.
케이스부(10)를 개폐하는 도어부(100)는 단일 도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600)를 버리는 동작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2중 도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어부(100)가 2중 도어로 이루어진 경우, 도어부(100)는 제1도어부(110)와 제2도어부(130)를 포함한다.
제1도어부(110)는 케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도어부(130)는 제1도어부(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600)를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있는 봉투(500)로 투입할 경우, 제2도어부(130)를 열고 음식물 쓰레기(600)를 봉투(500)에 버릴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600)가 봉투(500)를 다 채운 경우에는, 봉투(500)의 자동 밀봉이 이루어진 후 제1도어부(110)를 열고 음식물 쓰레기(600)가 채워진 봉투(500)를 케이스부(10)의 외측으로 빼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어부(100)에는 케이스부(10)의 내측을 향하여 살균용 광선을 조사하는 살균부(140)가 설치된다. 살균부(140)는 제2도어부(130)가 열릴 때는 동작이 정지되므로, 인체에 유해한 살균용 광선이 사용자에게 전달됨을 차단할 수 있다.
도어부(100)에는 케이스부(10)의 내측으로 봉투(500)를 공급하기 위한 봉투공급부(150)가 설치된다. 봉투공급부(150)의 내측에는 비닐로 이루어진 원단부재(170)가 설치되며, 봉투공급부(150)의 외측으로 인출된 원단부재(170)는 케이스부(10)의 내측으로 전개되어 봉투(500)를 형성한다.
봉투공급부(150)에 연이어 밀폐구동부(200)가 설치되며, 열선을 구비한 히터부(260)가 봉투공급부(150)의 하측으로 연장된 원단부재(170)를 가열하여 절단한다. 또한 봉투공급부(150)를 통해 공급된 원단부재(170)의 하측을 밀폐구동부(200)의 히터부(260)가 열융착에 의해 밀봉하므로 봉투(500)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밀폐구동부(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원단부재(170)의 하측도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므로,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새로 공급되는 봉투(500)의 하측은 열융착에 의해 밀봉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케이스부(10)의 하측에는 송풍팬(290)이 설치되며,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케이스부(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밀폐구동부(200)의 동작에 의해 하측이 밀봉된 새로 공급되는 봉투(500)는 송풍팬(290)의 동작에 의해 케이스부(10)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송풍팬(290)을 통과한 공기는 케이스부(10)의 하측으로 배출되며, 송풍팬(290)의 출구에는 별도의 댐퍼부(300)가 설치되어 공기의 배출과 흡입을 제어할 수 있다. 댐퍼부(300)는 케이스부(10)의 외측을 향한 공기의 배출은 허용하고, 케이스부(10)의 내측으로 공기가 이동됨은 차단한다. 비닐로 이루어진 봉투(500)가 케이스부(10)의 내측으로 전개되어 케이스부(10)의 내측에 밀착되고, 송풍팬(290)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송풍팬(290)은 케이스부(10)의 측면 하단에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부(10)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외측케이스(20)와 내측케이스(30)의 사이에는 송풍팬(290)과 제어부(310)와 배터리(320)와 댐퍼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290)과 제어부(310)와 배터리(320)와 댐퍼부(300)가 내측케이스(30)의 내측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음식물 쓰레기(600)가 봉투(500) 내에서 냉동될 때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600)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따라서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600)와 함께 봉투(500)를 케이스부(10)의 외측으로 꺼낼 때, 음식물 쓰레기(600)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밀폐구동부(200)의 하측에는 높이조절부(700)가 설치된다. 높이조절부(700)는 케이스부(1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제어부(310)의 제어로 동작되어 봉투(500)를 지지하는 높이가 조절된다.
높이조절부(700)는 제어부(310)의 제어로 동작되는 조절모터(742)가 구비된다. 조절모터(742)의 동작에 의해 높이조절부(700)에 구비된 이동지지부(710)의 높낮이가 조절되므로, 봉투(500)의 지지높이가 가변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봉투(500)에 담기는 음식물 쓰레기(600)의 보관량을 적게 설정하며, 설정된 양의 음식물 쓰레기(600)가 담긴 봉투(500)의 상측을 밀봉한다. 그리고 밀봉된 봉투(500)의 체적을 고려하여 이동지지부(710)를 하강시킨 후, 밀봉된 봉투(500)의 상측에 다시 새로운 봉투(500)가 공급된다.
밀폐구동부(200)도 음식물 쓰레기(600)를 보관한 봉투(500)를 연이어 밀봉 후 보관할 경우에는 히터부(260)의 온도를 조절하여 봉투(500)와 이웃한 봉투(500)가 절단됨을 차단한다.
봉투(500)를 보관모드로 저장할 경우와 봉투(500)를 배출모드로 할 경우를 대비하여, 제어부(310)는 밀폐구동부(200)와 높이조절부(7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측정부(800)와 도어센서부(81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밀폐구동부(200)와 높이조절부(700)의 동작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냉장고]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냉장고(400) 또는 냉동고의 내측에 위치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냉장고(400)의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410)나 냉동실의 선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냉장고 도어(410)에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가 설치되는 경우, 냉장고 도어(410)에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받침선반(411)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받침선반(411)의 상측에 위치하며, 받침선반(411)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받침선반(411)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받침선반(411)과 분리되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가 냉동실의 선반에 설치될 경우, 냉동실 선반에도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부]
케이스부(10)는 음식물 쓰레기(600)를 저장하는 공간이 내측에 구비되며, 냉장고(4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케이스부(10)의 상측에는 봉투(500)를 인출하기 위한 공간인 입구부(32)가 구비된다.
케이스부(10)의 내측에 봉투(500)가 전개된 상태에서 봉투(500)의 내측에 음식물 쓰레기(600)를 보관한다. 그리고 케이스부(10)가 냉동실에 보관되는 동작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600)의 냉동 보관이 이루어진다. 케이스부(10)는 냉장고(400)에 구비된 냉동실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냉장고(400)에서 분리되어 단독으로 사용되므로,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도어(410)를 열고,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에 구비된 도어부(100)를 개방한 후 음식물 쓰레기(600)를 케이스부(10)의 내측에 투입할 수 있다. 또는 케이스부(10)를 냉장고(400)에서 분리한 후 씽크대 등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도어부(100)를 열고 음식물 쓰레기(600)를 케이스부(10)의 내측에 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600)를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케이스부(10)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600)는 냉동되므로 음식물 쓰레기(600)의 처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케이스부(10)는, 냉장고(400)의 냉동실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는, 외측케이스(20)와, 내측케이스(30)와 레일돌기(40)와 손잡이부(50)와 모니터부(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케이스(20)는 케이스부(10)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케이스(20)는 상측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외측케이스(20)는 원통형을 포함한 다른 형상으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내측케이스(30)는 외측케이스(20)의 내측에 위치하며, 봉투(500)가 전개되기 위한 내측공간을 구비한다. 내측케이스(30)와 외측케이스(2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송풍팬(290)과 댐퍼부(300)와 제어부(310)와 배터리(320)가 내측케이스(30)와 외측케이스(2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내측케이스(30)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600)는 봉투(500)의 내측에서 냉동되며, 봉투(500)와 접하는 부분에 돌출된 부분이 있으면 봉투(500)와 함께 냉동될 수 있으므로 봉투(500)의 인출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봉투(500)의 내측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600)가 냉동된 상태에서 봉투(500)와 함께 케이스부(10)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 내측케이스(30)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품에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600)가 걸려서 봉투(500)의 인출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290)과 댐퍼부(300)와 제어부(310)와 배터리(320) 등의 부품들은 내측케이스(30)와 외측케이스(20)의 사이에 구비된 공간에 설치되므로,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600)와 함께 봉투(500)의 배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케이스(20)와 내측케이스(30)의 사이에는 송풍팬(290)이 위치하며, 송풍팬(290)의 입구는 송풍홀(33)과 연통되며, 송풍팬(290)의 출구는 외측케이스(20)의 외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내측케이스(30)의 하부 측면에는 송풍홀(33)이 구비되며, 송풍홀(33)과 마주하는 위치에 송풍팬(290)이 설치된다. 송풍팬(290)이 동작되면, 내측케이스(30)의 내측에 있는 공기가 송풍홀(33)을 통해 케이스부(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레일돌기(40)는 외측케이스(20)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냉장고 도어(410)에 구비된 레일홈에 삽입되므로 외측케이스(2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한다. 레일돌기(40)는 외측케이스(20)의 폭방향(W)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외측케이스(20)의 하부로 돌출된다. 레일돌기(4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이며, 냉장고 도어(410)에 구비된 받침선반(41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따라서 냉장고 도어(410)에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가 장착된 경우, 사용자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도어부(100)를 열고 케이스부(10)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600)를 투입할 수 있다.
손잡이부(50)는 외측케이스(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부(50)를 잡고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모니터부(60)는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위치한 봉투(500)의 사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부(60)는 케이스부(10)에 상하 방향으로 투명창(62)이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명창(62)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600)의 보관높이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600)의 저장 높이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어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도어부(13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부(11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100)는 이중의 도어로 이루어지며, 케이스부(10)의 상측을 개폐한다. 또한 도어부(100)는 케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케이스부(10)의 입구부(32)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부(100)는 복수의 도어로 이루어지며, 음식물 쓰레기(600)를 버릴 때 사용하는 도어와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600)를 버릴 때 사용하는 도어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100)는 제1도어부(110)와 제2도어부(130)를 포함한다.
제1도어부(110)는 케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입구부(32)를 개폐한다. 제1도어부(110)는 외측케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부(10)의 상측을 개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부(110)는 사각 테두리 형상으로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인 내측투입부(112)를 구비한다.
내측투입부(112)와 마주하는 제1도어부(1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내측지지부(114)가 설치된다. 내측지지부(114)는 봉투공급부(150)의 하부를 지지하며 사각 테두리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도어부(110)의 내측에 봉투공급부(150)가 설치되며, 봉투공급부(150)의 내측에는 음식물 쓰레기(600)를 버리기 위한 공간인 내측투입부(112)가 위치한다.
제2도어부(130)는 제1도어부(110)에 설치되며, 제1도어부(1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내측투입부(112)를 개폐한다. 제2도어부(130)는 봉투공급부(15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도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2도어부(1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내측투입부(112)가 개폐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100)는, 음식물 쓰레기(600)를 버리는 용도로 사용되는 제1도어부(110)와 음식물 쓰레기(600)를 수거할 때 사용하는 제2도어부(130)로 구분된다. 따라서 제1도어부(110) 대비 크기가 작은 제2도어부(130)를 열고 음식물 쓰레기(600)를 버리면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600)를 버리는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600)를 봉투(500)와 함께 버리는 경우에는 제1도어부(110)를 열고 버리는 작업을 하므로 음식물 쓰레기(600)의 배출 작업도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제1도어부(110)와 제2도어부(130)가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개폐됨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딩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봉투(500)를 공급하는 봉투공급부(150)와 봉투(500)를 절단하고 밀봉하는 밀폐구동부(200)는 도어부(100)에 설치된다. 따라서 봉투공급부(150)와 밀폐구동부(200)는 도어부(100)와 함께 회전하므로, 봉투(500)의 수거 작업이 간편히 이루어지며, 봉투공급부(150)와 밀폐구동부(200)의 유지보수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봉투공급부(150)와 밀폐구동부(200)는 내측투입부(112)와 간섭되는 위치에 설치되지 않으며, 제1도어부(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밀폐구동부(200)는 봉투공급부(150)의 하측에 위치하므로 봉투공급부(150)의 하측으로 인출된 원단부재(170)의 절단과 밀봉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원단부재(170)는 봉투(500)를 만들기 위한 재료이며, 비닐 등을 원단부재(170)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2도어부(130)를 열고 봉투공급부(150)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도어부(130)의 하측에 봉투공급부(150)가 설치되므로, 제2도어부(130)를 상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봉투공급부(150)의 상측이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봉투공급부(150)의 내측에 저장된 원단부재(170)가 소진된 경우, 도어부(100)에서 봉투공급부(150)를 꺼내어 원단부재(170)를 다시 재공급 할 수 있다.
[살균부]
살균부(140)는 제2도어부(130)에 설치되며, 케이스부(10)의 내측을 향하여 살균용 광선을 조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살균부(140)는, 제2도어부(130)가 닫힌 상태에서만 동작되며, 음식물 쓰레기(600)가 투입된 케이스부(10)의 내측을 향하여 살균용 광선을 조사한다.
살균용 광선은 가시광선인 보랏빛보다 파장이 짧고 눈에 보이지 않는 방사선인 자외선을 조사한다. 자외선 A(UVA)는 315~380 나노미터(nm), 자외선 B(UVB)는 280~315 나노미터(nm), 자외선 C(UVC)는 100~280 나노미터(nm)의 파장대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부(140)는 살균 효과가 우수한 UVC를 조사하는 LED를 사용한다.
살균부(140)에는 수명이 30,000 시간 이상인 자외선 LED가 사용되기 때문에, 살균부(140)의 동작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살균부(140)는 270~280nm의 살균 파장을 갖는 광을 출력하는 자외선 LED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270~280nm의 살균 파장을 갖는 광을 출력하는 자외선 LED와 함께 광촉매인 이산화 타이타늄(TiO2)와의 반응에 효과적인 파장인 365nm를 갖는 광을 출력하는 자외선 LED를 같이 사용하므로 오존이 발생되지 않는다.
[봉투공급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투공급부(150)와 밀폐구동부(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투공급부(150)는 도어부(100)에 설치되며, 케이스부(10)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600)를 담기 위한 봉투(500)를 공급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봉투공급부(150)는 밀폐구동부(200)와 함께 도어부(100)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투공급부(150)는 저장프레임(160)과 배출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저장프레임(160)은, 케이스부(10)에 연결되는 도어부(100)에 장착되고, 음식물 쓰레기(600)가 이동되는 내측투입부(11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저장프레임(160)의 내측에는 봉투(500)를 만들기 위한 원단부재(170)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프레임(160)은, 파이프 또는 각관을 사용하여 다각형, 원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로 설치되며, 저장프레임(160)의 내측은 상호 연통되어 원단부재(170)가 일체로 연결된다. 저장프레임(160)의 가운데는 음식물 쓰레기(600)가 이동되는 공간인 내측투입부(112)와 연통된다. 저장프레임(160)은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 내측에 원단부재(170)가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띠 형상으로 연장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프레임(160)은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저장프레임(160)의 내측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이 구비된다. 저장프레임(160)의 단면은 사각관 형상이며, 내측에는 원단부재(170)가 저장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다.
저장프레임(160)의 형상은 사각 프레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가 원형이나 타원형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저장프레임(160)의 내측에 구비된 중공은 도어부(100)의 내측투입부(112)와 상하 방향으로 연통된다. 따라서 제2도어부(130)를 열고 저장프레임(160)의 중공으로 낙하된 음식물 쓰레기(600)는 도어부(100)의 내측투입부(112)를 통과하며 하측에 위치한 봉투(500)의 내측으로 낙하된다.
원단부재(170)는 음식물 쓰레기(600)를 담기 위한 봉투(500)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재질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부재(170)로 음식물 쓰레기(600)를 담기 위한 비닐이 사용될 수 있다. 원단부재(170)는 튜브형태의 원통형 비닐지이며,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단부재(170)의 재질은, 수분에 의하여 분해가 가능하도록 탄산칼슘을 사용한 비닐지로 제조할 수 있다. 탄산칼슘을 포함한 원단부재(170)는, 일정한 인장강도와 치밀도를 갖는 합성수지(PE)에 탄산칼슘 분말을 혼합하여 성형하므로 생분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단부재(170)는, 쓰레기 매립시 분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수지에 식물성분이나 생물학적 물질을 함유시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단부재(170)는 생분해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원단부재(170)는, 수지에 생분해가 가능한 전분, 옥수수가루, 콩가루 등의 다양한 식물 성분을 함유하도록 하는 천연고분자계 비닐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미생물합성계와 분자구조의 일부를 대체한 화학합성계 등 생분해가 가능한 비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생분해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부재(170)로 만들어진 봉투(500)는, 종래 비닐 대비 분해 속도와 분해율이 증진된다. 그리고 원단부재(17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호기성 및 혐기성 발효를 유도하는 유용 미생물을 흡착시켜서 자연발효를 유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원단부재(170)는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봉투(500)이며, 저장프레임(160)의 내측에 접혀진 상태로 보관된다. 원단부재(170)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혀져서 저장프레임(160)의 내측에 위치한다.
배출공급부(180)는 내측투입부(112)와 마주하는 저장프레임(160)에 원단부재(170)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한다. 배출공급부(180)는, 저장프레임(16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이어 설치되는 좁은 틈 형상의 구멍을 구비한다.
배출공급부(180)는 내측투입부(112)와 마주하는 저장프레임(160)의 측면에 위치하며, 저장프레임(16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띠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원단부재(170)는 배출공급부(180)를 통해 인출되어 저장프레임(16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봉투공급부(150)는 케이스부(10)의 상측에서 비닐을 사용하는 원단부재(170)가 배출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봉투공급부(150)에 구비된 배출공급부(180)를 통해 인출된 원단부재(170)는 하측으로 꺽이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봉투공급부(150)의 내측에 구비된 원단부재(170)가 하측으로 풀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봉투]
배출공급부(180)를 통해 하측으로 연장된 원단부재(170)는 하측이 개구된 상태이며, 밀폐구동부(200)의 동작에 의해 원단부재(170)의 하측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어 봉투(500)를 형성한다.
봉투(500)는 음식물 쓰레기(600)를 담기 위한 공간이 내측에 구비된다. 봉투(500)는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안착되며, 봉투(500)의 하측은 막혀 있으며 상측은 개구된 형상이다. 또한 케이스부(10)에 안착된 봉투(500)의 상측은 원단부재(170)에 연결된 상태이다.
봉투(500)는 봉투공급부(150)를 통해 공급된 원단부재(170)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직접 음식물 쓰레기(600)용 봉투(500)를 케이스부(10)의 내측에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밀폐구동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구동부(200)가 도어부(10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구동부(200)가 도어부(10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구동부(200)는 케이스부(10) 또는 도어부(100)에 설치되며, 음식물 쓰레기(600)가 담겨진 봉투(500)의 입구를 차폐하거나 절단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밀폐구동부(200)의 동작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600)를 담은 봉투(500)를 소량 상태로 밀봉하여 냉동 보관한다. 또한 복수의 밀봉된 봉투(500)를 케이스부(10)의 외측으로 배출하므로 음식물 쓰레기(600)의 부패와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음식물 쓰레기(600)를 좀더 위생적으로 보관하고 버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가, 봉투(500)를 소용량으로 밀폐하여 보관하므로 음식물 쓰레기(600)를 위생적으로 처리 할 수 있다.
밀폐구동부(200)는 가열된 히터부(260)가 이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단부재(170)의 측방향을 양측에서 가압하므로, 음식물 쓰레기(600)가 담긴 봉투(500)와 원단부재(170)를 열에 의해 절단한다. 또한 히터부(260)의 상측에 위치한 원단부재(170)는 히터부(260)에 의해 하측이 밀봉된다. 그리고 히터부(260)의 하측에 위치한 봉투(500)의 상측도 히터부(260)에 의해 밀봉된다.
음식물 쓰레기(600)가 봉투(500)에 채워진 상태에서 밀폐구동부(200)가 동작되어 봉투(500)의 밀봉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600)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구동부(200)의 동작으로, 음식물 쓰레기(600)가 채워진 봉투(500)를 밀봉하고 새로 공급되는 봉투(500)의 하부를 밀폐하는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봉투(500)의 수거 및 재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구동부(200)는, 구동모터(210)와 동작기어부(220)와 히터부(260)를 포함한다.
또한 제1가열부(270)와 제2가열부(275)의 이동시 제1가열부(270)와 제2가열부(275)가 기울어진 형상으로 이동됨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어부(100)와 밀폐구동부(200)에는 각각 가이드 구조가 적용된다.
[구동모터]
구동모터(210)는 케이스부(10) 또는 케이스부(10)에 연결된 도어부(100)에 고정되며, 회전 동력을 공급한다. 구동모터(21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며 도어부(100)의 내측에 설치된다. 제1도어부(110)의 내측에 구동모터(210)가 설치되며, 구동모터(210)의 동작에 의해 동작기어부(220)가 동작된다.
구동모터(210)는 서보모터나 스텝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인코더와 결합된 모터를 구동모터(210)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210)는 1개의 모터로 이루어지며, 봉투(500)가 절단되는 지점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동작기어부]
동작기어부(220)는 구동모터(210)의 동력을 전달받아 복수의 이동기어가 봉투공급부(150)의 중앙으로 이동되거나, 봉투공급부(150)의 중앙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동작기어부(220)는 구동모터(210)의 동력을 전달받아 봉투(500)의 양측에 위치한 히터부(26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기어부(220)는, 회전기어(230)와 제1평기어(240)와 제1이동블럭(245)과 제2평기어(250)와 제2이동블럭(255)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기어부(220)에 구비된 이동기어는, 회전기어(230)와 제1평기어(240)와 제1이동블럭(245)과 제2평기어(250)와 제2이동블럭(2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회전기어(230)는 구동모터(210)와 연결된 출력축(231)에 연결된다. 회전기어(230)의 출력축(231)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출력축(231)의 외측에 회전기어(230)가 고정된다. 따라서 출력축(231)과 함께 회전기어(230)가 회전을 한다.
제1평기어(240)는 회전기어(230)의 상측에 맞물리며, 회전기어(230)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평기어(240)는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며, 제1평기어(240)의 하측에는 평기어가 구비된다. 제1평기어(240)가 회전기어(230)에 맞물려 있으므로, 회전기어(230)의 회전에 의해 제1평기어(24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평기어(240)와 회전기어(230)는 랙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져서 회전동력이 직선이동으로 변환된다.
제1평기어(240)는 도어부(100)의 내측에 구비된 별도의 가이드 구조에 의해 직선 방향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제1이동블럭(245)은 제1평기어(240)에 연결되며, 측면에는 히터부(260)가 설치된다. 제1이동블럭(245)은 제1평기어(24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이동블럭(245)은 제1평기어(240)에 고정되므로, 제1평기어(240)와 함께 이동을 한다. 제1이동블럭(245)은 봉투공급부(150)의 하측에 위치하며, 내측투입부(112)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2평기어(250)는 회전기어(230)의 하측에 맞물리며, 회전기어(230)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평기어(250)는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며, 제2평기어(250)의 상측에는 평기어가 구비된다. 제2평기어(250)가 회전기어(230)에 맞물려 있으므로, 회전기어(230)의 회전에 의해 제2평기어(25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이동블럭(255)은 제2평기어(250)에 연결되며, 측면에는 히터부(260)가 설치된다. 제2이동블럭(255)은 제2평기어(25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2이동블럭(255)은 제2평기어(250)에 고정되므로, 제2평기어(250)와 함께 이동을 한다. 제2이동블럭(255)은 봉투공급부(150)의 하측에 위치하며, 내측투입부(112)의 타측에 설치된다.
제1이동블럭(245)과 제2이동블럭(255)은 내측투입부(1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기어(230)의 상측에 제1평기어(240)가 맞물리며, 회전기어(230)의 하측에 제2평기어(250)가 맞물리므로, 회전기어(230)의 회전에 의해 제1평기어(240)와 제2평기어(250)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1평기어(240)와 제2평기어(250)는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평기어(240)와 제2평기어(250)의 이동방향은 반대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회전기어(230)를 중심으로 회전기어(230)의 우측에 제1이동블럭(245)이 위치하며, 회전기어(230)의 좌측에 제2이동블록이 위치한 경우, 회전기어(230)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제1이동블록과 제1평기어(240)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평기어(250)와 제2이동블럭(255)은 우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회전기어(230)가 위치한 내측투입부(112)의 중심부에서 제1이동블럭(245)과 제2이동블럭(255)은 원단부재(170) 또는 봉투(50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한다.
따라서 제1이동블럭(245)과 제2이동블럭(255)에 설치된 히터부(26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봉투(500)와 원단부재(170)의 밀봉 작업 및 절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이동블럭(245)과 제2이동블럭(255)은 내열성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블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히터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구동부(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부(260)는 동작기어부(220)에 설치되며, 전원의 공급으로 가열되어 봉투(500)의 절단과 접합 작업을 동시에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가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이동블럭(245)과 제2이동블럭(2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히터부(26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260)는 제1이동블럭(245)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270)와 제2이동블럭(255)에 설치되는 제2가열부(275)를 포함한다.
제1가열부(270)는 제1이동블럭(245)의 측면에 설치되며,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열부(270)는, 열선부재(271)와 제1지지부재(272)와 제1커버부재(273)를 포함한다.
제1이동블럭(245)의 측면에 제1지지부재(272)가 설치되며, 제1지지부재(272)의 외측에 열선부재(271)가 설치된다. 그리고 열선부재(271)의 외측에는 제1커버부재(273)가 설치된다. 열선부재(271)는 제1지지부재(272)와 제1커버부재(273)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지지부재(272)는 열선의 열이 제1이동블럭(245)으로 전달됨을 차단하기 위해 절연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재(272)는 절연테이프로 사용되며, 제1이등볼록의 측면에 고정된다.
제1커버부재(273)는 테프론 재질의 섬유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내열성을 갖는 다른 종류의 섬유도 제1커버부재(273)로 사용될 수 있다. 테프론은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Tetrafluoroethylene)의 첨가중합으로 얻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으로 만든 섬유이며, 우수한 내약품성, 내열성, 소수성(hydrophobicity)을 갖는다.
제1커버부재(273)는 열선부재(271)의 열에 의해 녹아서 열선부재(271)에 접착됨을 방지하기 위해, 저마찰 계수를 가진 테프론 테이프를 설치할 수 있다.
제1가열부(270)는 열선부재(271)와 제1지지부재(272)와 제1커버부재(273)로 이루어진 히터 모듈을 형성하며 제1이동블럭(245)의 측면에 고정된다. 제2가열부(275)는 제1가열부(270)와 마주하는 제2이동블럭(255)의 측면에 설치되며,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된다. 제2가열부(275)의 상세 구조는 제1가열부(270)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링부]
도 4 및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290)의 동작으로 봉투(500)를 케이스부(10)의 내측으로 밀착할 때, 흡입되는 내부공간의 체적을 최소화 하기 위해, 밀폐구동부(200)의 양측에 실링부(280)를 설치한다. 실링부(280)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동작기어부(220)의 이동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부분에는 밀폐기능은 우수하나 변형성이 떨어지는 실리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동작기어부(220)의 이동시 간섭이 발생되는 부분에는 형상 변형이 우수한 브러쉬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가열부(270)가 설치된 제1이동블럭(245) 및 제2가열부(275)가 설치된 제2이동블럭(255)의 폭방향(W) 양측에는 실링부(280)가 설치된다. 봉투공급부(150)와 밀폐구동부(200)와 실링부(280)는 도어부(100)에 설치되며, 도어부(100)와 함께 회전을 한다. 또한 실링부(280)와 제1가열부(270)와 제2가열부(275)에 의해 사각틀 형상의 밀폐구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600)가 채워진 봉투(500)를 버리고 난 후 새로운 봉투(500)를 설치하기 위해 송풍팬(290)이 동작되는 경우, 송풍팬(290)에 의해 흡입되기 위한 공기가 채워지는 공간이 감소되므로 봉투(500)의 전개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부(280)는 히터부(260)가 설치되지 않은 도어부(100)의 측면 공간을 막으므로, 도어부(100)의 내측에 있는 공기가 송풍팬(290)에 의해 흡입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280)는 제1실링부(282)와 제2실링부(284)를 포함한다.
제1실링부(282)는 제1이동블럭(245)과 제2이동블럭(255)의 폭방향(W) 일측에 위치하며, 제1이동블럭(245)과 제2이동블럭(255)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된다. 제1실링부(282)는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제1실링부(282)는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제1도어부(110)의 내측에 고정된다.
제2실링부(284)는 제1이동블럭(245)과 제2이동블럭(255)의 폭방향(W) 타측에 위치하며, 제1이동블럭(245)과 제2이동블럭(255)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된다. 제1이동블럭(245)과 제2이동블럭(255)이 이동할 때 제2실링부(284)와 간섭이 발생되므로, 제2실링부(284)는 휨 동작이 용이한 브러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이동블럭(245)과 제2이동블럭(255) 이동시 제2실링부(284)에 의한 간섭은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제2실링부(284)의 설치로 도어부(100)의 내측 공간에 있는 공기가 케이스부(10)의 내측을 통해 송풍팬(290)으로 이동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송풍팬]
송풍팬(290)은 케이스부(10)에 설치되며, 케이스부(10)의 내측에서 케이스부(10)의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송풍장치가 사용 가능하다. 송풍팬(290)은 외측케이스(20)와 내측케이스(30)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측케이스(30)의 송풍홀(33)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송풍팬(290)은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케이스부(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므로, 케이스부(10)의 내측으로 봉투(500)의 전개를 유도한다. 송풍팬(290)이 동작되어 케이스부(10)의 내측으로 봉투(500)가 전개되는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봉투(500)의 재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봉투(500)를 케이스부(10)의 내부에 밀착 시키는 기능을 하는 송풍팬(290)은 케이스부(10)의 하부 측면에 설치한다. 송풍팬(290)은 케이스부(1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거나 하부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케이스부(10)의 상부 측면에 송풍팬(290)이 설치된 경우 대비 봉투(500)의 전개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송풍팬(290)이 케이스부(10)의 상부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비닐로 이루어진 봉투(500)가 송풍팬(290)의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 송풍팬(290)의 입구를 막는 경우, 봉투(500)의 전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송풍팬(290)이 케이스부(10)의 하부 측면이나 하부면에 설치된 경우, 봉투(500)의 전개가 완료된 상태에서 송풍팬(290)의 입구를 막게 되므로, 봉투(500)의 전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송풍팬(290)이 케이스부(10)의 하부면에 설치된 경우, 이물질이 송풍팬(29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케이스부(10)의 하부 측면에 송풍팬(290)을 설치한다.
[댐퍼부]
댐퍼부(300)는 송풍팬(290)에 연결되며, 송풍팬(290)에서 외측케이스(20)의 외측을 향한 공기의 이동은 허용하고, 외측케이스(20)의 외측에서 송풍팬(290)을 향한 공기의 이동은 차단한다.
케이스부(1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한 공기의 이동이 없을 경우에는, 댐퍼부(300)가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므로,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600)의 냄새가 케이스부(10)의 외측으로 배출됨을 차단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제어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의 블록도이다.
도 4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0)는 케이스부(10)에 설치되며, 송풍팬(290)과 밀폐구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10)는 내측케이스(30)와 외측케이스(20)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제어부(310)는 살균부(140)의 동작을 제어하며, 배터리(320)의 충전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측정부(800)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밀폐구동부(200)와 높이조절부(7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0)가 밀폐구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310)는, 밀폐구동부(200)에 구비된 히터부(260)의 온도를 조절하여 봉투(500)의 밀봉과 절단 작업을 구분하여 동작된다.
히터부(260)는, 음식물 쓰레기(600)가 담겨지는 봉투(500)를 절단하지 않고 밀봉만 하는 보관모드 및 음식물 쓰레기(600)가 담겨지는 봉투(500)의 밀봉과 이웃한 봉투(500)와 연결된 부분을 절단하는 배출모드로 구분되어 동작된다.
보관모드는, 봉투(500)의 내측에 음식물 쓰레기(600)가 담겨진 이후에 봉투(500)의 입구를 밀봉하여 음식물 쓰레기(600)의 소량 보관이 이루어진다. 또한 보관모드에서는 밀봉된 봉투(500)와 이웃한 봉투(500)를 절단하지 않으므로, 음식물 쓰레기(600)가 담긴 봉투(500)의 배출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절단모드는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설정된 갯수의 봉투(500)가 채워진 후 봉투(500)를 버릴 때 동작된다. 절단모드에서는 음식물 쓰레기(600)가 담겨진 봉투(500)의 상측과 봉투(500)에 연결된 원단부재(170)의 하측을 밀봉하는 작업과, 밀봉된 봉투(500)의 상측을 절단하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제어부(310)는 밀폐구동부(200)에 구비된 히터부(260)의 온도를 조절하여 봉투(500)의 밀봉과 절단 작업을 구분한다. 제어부(310)는 보관모드로 히터부(260)를 동작시키는 경우, 절단모드로 동작되는 히터부(260)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동작된다. 따라서 보관모드에서는 히터부(260)의 온도가 봉투(500)를 절단하기 위한 온도 보다는 낮으므로, 봉투(500)의 절단 작업 없이 밀봉작업만 이루어진다.
그리고, 절단모드에서는 히터부(260)의 중앙 온도가 봉투(500)를 절단하기 위한 온도 보다 높으며, 히터부(260)의 상측과 하측의 온도는 봉투(500)를 절단하기 위한 온도 보다는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봉투(500)와 이에 연결된 원단부재(170)의 경계선은 절단되고, 절단된 경계선의 상측에 있는 원단부재(170)의 하측은 밀봉되고, 경계선의 하측에 있는 봉투(500)의 상측도 밀봉된다.
또한 제어부(310)는, 측정부(800)와 도어센서부(810)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봉투(500)에 음식물 쓰레기(600)가 투입된 후 밀폐구동부(200)를 동작시켜 봉투(500)를 밀봉시킨다.
측정부(800)는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설치되며, 높이조절부(700)에 적재된 봉투(500)의 높이를 측정하여 제어부(310)로 측정값을 전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800)는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며, 광선을 조사하여 봉투(500)의 적재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도어센서부(810)는 도어부(100)의 개폐 여부를 측정하며, 측정값을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센서부(810)는 봉투(500)에 음식물 쓰레기(600)를 버릴 때 개방되는 제2도어부(130)의 개폐 여부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센서부(810)는, 제2도어부(13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광선의 조사로 제2도어부(130)의 개폐여부를 측정하거나, 접촉 방식에 의해 제2도어부(130)의 개폐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측정부(800)에서 측정된 값을 바탕으로, 이동지지부(710)의 상측에 적재된 밀봉된 봉투(500)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높이조절부(700)의 높이를 낮춘다. 제어부(310)가 높이조절부(700)의 조절모터(742)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밀봉된 봉투(500)의 개수가 늘어날 수록 이동제어부(310)의 높이를 점차로 낮춘다.
봉투(500)의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부(800)의 측정값을 전달받는 제어부(310)에 의해 높이조절부(700)의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므로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배터리]
배터리(320)는 외측케이스(20)와 내측케이스(30)의 사이에 위치하며, 송풍팬(290)과 밀폐구동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320)는 살균부(140)에도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320)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가 냉장고(4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냉장고(400)에 구비된 충전단자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진다.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에 배터리(320)가 설치되므로, 냉장고(400)와 분리된 상태에서도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높이조절부]
높이조절부(700)는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봉투(500)의 하부를 지지하며,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높이조절부(700)는, 밀봉된 봉투(500)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봉투(5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이동지지부(710)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져서, 밀봉된 봉투(500)의 적재 및 음식물 쓰레기(600)의 낙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700)는, 이동지지부(710)와 높이가변부(720)를 포함한다.
[이동지지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7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지지부(710)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700)가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지부(710)는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봉투(500)의 하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지지부(710)는, 이동패널(712)과 통기홀부(714)를 포함한다.
이동패널(712)은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동패널(712)은 케이스부(10)의 내측의 형상에 대응하는 모양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패널(712)은 사각형의 패널이며, 내측케이스(30)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통기홀부(714)는 이동패널(71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홀부(714)는, 복수의 통기공(716)을 포함하며, 이동패널(712)의 폭방향(W) 양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홀부(714)는 이동패널(712)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높이가변부]
높이가변부(720)는 이동지지부(710)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동작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어 이동지지부(7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높이가변부(720)는 조절모터(742)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변부(720)는, 베이스부(730)와 구동부(740)와 이동블럭(750)과 이동가이드부(760)와 가변링크부(770)와 제1연결링크(780)와 제2연결링크(7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베이스부(730)는 이동지지부(7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안착된다. 케이스부(10)의 내측 하부면에 베이스부(730)가 설치되며, 가변링크부(770)의 단부가 이동되는 홈부나 홀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730)는, 측면베이스(732)와 지지브라켓(736)과 하부플레이트(73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측면베이스(732)는 이동블럭(750)과 가변링크부(770)를 연결하는 제1연결링크(780)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장공 형상의 제1안내홀(734)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베이스(732)는, 이동블럭(750)의 폭방향(W) 양측에 세워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동블럭(750)은 측면베이스(732)에 의해 회전은 구속되고 직선 방향 이동만 허용된다.
지지브라켓(736)은 측면베이스(732)에 고정되며, 구동부(740)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라켓(736)은, 측면베이스(732)의 단부를 연결하며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지지브라켓(736)의 양측에 측면베이스(732)가 설치된다.
하부플레이트(738)는 측면베이스(732)와 지지브라켓(736)을 지지하며, 측면베이스(732)와 지지브라켓(736)의 하측에 설치된다. 하부플레이트(738)는 판 형상이며, 이동블럭(750)의 하부를 지지한다.
구동부(740)는 베이스부(730)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740)는, 조절모터(742)와 스크루바(744)를 포함한다.
조절모터(742)는 베이스부(730)에 고정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또한 조절모터(742)는 제어부(310)의 제어신호로 동작된다. 조절모터(742)는 지지브라켓(736)에 고정되며, 조절모터(742)에 스크루바(744)가 연결된다.
스크루바(744)는 조절모터(742)의 출력부에 연결되며, 조절모터(74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스크루바(744)의 외측에는 나선형으로 수나사가 형성된다. 스크루바(744)는 이동블럭(750)에 구비된 암나사에 체결되므로, 스크루바(744)의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이동블럭(750)이 이동된다.
이동블럭(75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측면베이스(732)의 사이에 위치하며, 스크루바(744)와 교차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동블럭(750)은 구동부(740)의 동력을 전달받으며, 베이스부(73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블럭(750)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이며, 스크루바(744)가 이동블럭(750)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이동블럭(750)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구비되며, 스크루바(744)의 외측에는 숫나사가 구비된다. 따라서 스크루바(744)가 이동블럭(750)에 기어 연결된 상태에서, 스크루바(744)가 회전하면, 이동블럭(750)은 측면베이스(732)에 접하여 회전이 구속되므로, 스크루바(744)가 설치된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만 허용된다.
가변링크부(770)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조절모터(742)의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링크부(770)의 하측은 이동블럭(750)과 베이스부(730)에 연결되며, 상측은 이동패널(712) 또는 이동패널(712)에 연결된 이동가이드부(760)에 연결된다. 그리고 가변링크부(770)의 하측은 제1연결링크(780)에 의해 이동블럭(750)과 연결되며, 이동블럭(750)의 이동에 의해 가변링크부(770)의 상하 방향 길이가 가변된다.
이동가이드부(760)는, 이동패널(712)의 폭방향(W) 양측에 연결되며, 가변링크부(770)의 상측에 연결된 제2연결링크(790)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장공 형상의 제2안내홀(765)을 구비한다. 이동가이드부(760)는 이동패널(712)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제2안내홀(765)이 구비된다.
제2안내홀(765)에 제2연결링크(790)가 삽입되며, 제2연결링크(790)의 머리는 제2안내홀(765)에 걸리며 제2연결링크(790)의 단부는 가변링크부(770)의 상측에 연결된다.
가변링크부(77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측면베이스(732)에 각각 설치된다. 가변링크부(770)는 2개의 링크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며, 가변링크부(770)의 하측에는 2개의 단부가 구비된다. 가변링크부(770)의 하측 단부 중 일측 단부는 측면베이스(732)에 고정되며, 타측 단부는 제1연결링크(780)를 통해 이동블럭(750)에 연결된다.
가변링크부(770)의 상측에는 2개의 단부가 구비된다. 가변링크부(770)의 상측 단부 중 일측 단부는 이동가이드부(760)에 고정되며, 타측 단부는 제2연결링크(790)에 연결된다.
제1연결링크(780)는 제1안내홀(734)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핀 형상이며, 제2연결링크(790)는 제2안내홀(765)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핀 형상이다.
가변링크부(770)의 하측 단부 중 일측은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 단부가 이동블럭(750)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가변링크부(770)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가변링크부(770)의 상하방향 길이가 가변된다.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290)의 동작으로 케이스부(10)의 내측에 봉투(500)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변부(7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이동지지부(710)는 상측 설정높이 까지 상승한 상태이다. 이동지지부(710)의 상측에 봉투(500)가 전개된 상태이다.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음식물 쓰레기(600)를 담기 위한 봉투(500)가 설치된다. 제어부(310)는 봉투(500)의 설치가 완료됨을 감지하는 센서부재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송풍팬(29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310)가 설정된 시간 이후에 자동으로 송풍팬(29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도어부(130)를 통해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600)가 봉투(500)에 적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어부(130)를 열고 케이스부(10)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600)를 버린다. 음식물 쓰레기(600)는 봉투(500)의 내측에 담겨지며, 음식물 쓰레기(600)의 투하 작업이 완료되면 제2도어부(130)를 닫고 음식물 쓰레기(600) 처리장치를 냉장고(400)의 냉동실에 보관한다. 냉동실의 냉기에 의해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600)는 냉동되므로 음식물 쓰레기(600)의 부패를 방지하며, 음식물 쓰레기(600)의 냄새 발생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구동부(200)가 동작되어 봉투(500)의 상부가 밀봉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어부(130)를 닫을 때 도어센서부(810)가 제2도어부(130)의 닫힘을 감지하여 제어부(31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제어부(310)는 밀폐구동부(200)를 동작시켜 음식물 쓰레기(600)가 담긴 봉투(500)의 상측을 밀봉한다. 이때 봉투(500)의 상측에 연결된 원단부재(170)와 봉투(500)를 절단하지 않도록 히터부(260)의 온도를 조절한다.
밀폐구동부(200)의 제1이동블럭(245)과 제2이동블럭(255)은 케이스부(10)의 가운데로 이동되어 봉투(500)의 양측에 접한다. 제1이동블럭(245)에는 제1가열부(270)가 설치되며, 제2이동블럭(255)에는 제2가열부(275)가 설치되어 봉투(500)와 원단부재(170)의 사이를 가압하며 열을 가한다.
따라서 봉투(500)와 원단부재(170)의 사이는 열에 의해 융착되어 봉투(500)의 상측과 원단부재(170)의 하측은 밀봉된다.
봉투(500)의 내측에 음식물 쓰레기(600)를 1회 버린 후 봉투(500)의 상측을 밀봉할 수 있다. 또는 봉투(500)의 내측에 소량의 음식물 쓰레기(600)를 버린 후에 봉투(500)의 상측을 밀봉하여 음식물 쓰레기(600)에서 발생되는 냄새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지지부(710)와 함께 밀봉된 봉투(500)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구동부(200)이 동작이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높이조절부(700)의 조절모터(742)를 동작시킨다. 조절모터(742)가 동작되어 스크루바(744)를 회전시키면, 스크루바(744)에 맞물려 있는 이동블럭(750)이 구동모터(2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블럭(750)에 연결된 제1연결링크(780)가 제1안내홀(734)을 따라 이동되면, 제1연결링크(780)에 연결된 가변링크부(770)도 구동모터(2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가변링크부(77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지므로, 가변링크부(770)의 상하 방향 길이가 감소된다.
그리고 밀봉된 봉투(500)의 상측에는 음식물 쓰레기(600)를 담기 위한 새로운 봉투(500)가 설치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음식물 쓰레기(600)를 보관하는 공간이 복수로 구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어부(130)를 열고 케이스부(10)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600)를 버린다. 음식물 쓰레기(600)는 밀봉된 봉투(500)의 상측에 위치하는 봉투(500)의 내측에 담겨지며, 음식물 쓰레기(600)의 투하 작업이 완료되면 제2도어부(130)를 닫는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에서 밀봉된 복수의 봉투(500)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어부(130)가 닫힌 상태에서 밀폐구동부(200)가 동작되어 음식물 쓰레기(600)가 담긴 봉투(500)의 상측을 밀봉한다. 그리고 밀봉된 봉투(500)와 봉투(500)의 상측에 위치한 원단부재(170)의 경계를 절단하는 작업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때 원단부재(170)의 하측은 히터부(260)의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어 새로 공급될 봉투(500)의 하부를 형성한다.
히터부(260)에 의한 밀봉과 절단 작업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가열부(270)와 제2가열부(275)에서 열선과 마주하는 부분은 높은 온도를 가지게 되며, 열선의 상측과 하측은 열선 대비 낮은 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열선과 마주하는 봉투(500)와 원단부재(170) 사이의 경계는 열선의 고열에 의해 절단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열선 보다 낮은 온도를 갖으며, 열선의 상측에 위치한 제1가열부(270)와 제2가열부(275)는 원단부재(170)의 하측을 열융착에 의해 밀봉시킨다.
또한 상대적으로 열선 보다 낮은 온도를 갖으며, 열선의 하측에 위치한 제1가열부(270)와 제2가열부(275)는 봉투(500)의 상부 양측을 가압하며 밀봉시킨다. 고열로 가열된 밀폐구동부(200)의 히터부(260)가 동작되어 봉투(500)의 상부를 가압하므로, 봉투(500)의 상부가 밀폐구동부(200)의 열에 의해 융착되어 자동으로 밀봉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어부(100)를 열고 복수로 밀봉된 봉투(500)를 꺼내어 버리는 작업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소량의 음식물 쓰레기(600)가 담긴 봉투(500)의 상측을 밀봉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밀봉된 봉투(500)를 모아서 한번에 버리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음식물 쓰레기(600)가 담긴 봉투(500)가 소량으로 밀봉되어 케이스부(10)의 내측에 보관 후 버리므로, 음식물 쓰레기(600)가 냉동되기 전이라도 음식물 쓰레기(600)에 의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케이스부
20: 외측케이스 30: 내측케이스 32: 입구부 33: 송풍홀 40: 레일돌기 50: 손잡이부 60: 모니터부 62: 투명창
100: 도어부 110: 제1도어부 112: 내측투입부 114: 내측지지부 130: 제2도어부
140: 살균부
150: 봉투공급부 160: 저장프레임 170: 원단부재 180: 배출공급부
200: 밀폐구동부
210: 구동모터
220: 동작기어부 230: 회전기어 231: 출력축 240: 제1평기어 245: 제1이동블럭 250: 제2평기어 255: 제2이동블럭
260: 히터부 270: 제1가열부 271: 열선부재 272: 제1지지부재 273: 제1커버부재 275: 제2가열부
280: 실링부 282: 제1실링부 284: 제2실링부
290: 송풍팬 300: 댐퍼부 310: 제어부 320: 배터리
400: 냉장고 410: 냉장고 도어 411: 받침선반
500: 봉투
600: 음식물 쓰레기
700: 높이조절부
710: 이동지지부 712: 이동패널 714: 통기홀부 716: 통기공
720: 높이가변부
730: 베이스부 732: 측면베이스 734: 제1안내홀 736: 지지브라켓 738: 하부플레이트
740: 구동부 742: 조절모터 744: 스크루바
750: 이동블럭
760: 이동가이드부 765: 제2안내홀
770: 가변링크부
780: 제1연결링크 790: 제2연결링크
800: 측정부
810: 도어센서부
W: 폭방향

Claims (20)

  1.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내부공간이 내측에 구비되며, 냉장고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입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담기 위한 봉투를 공급하는 봉투공급부;
    상기 케이스부 또는 상기 도어부에 설치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상기 봉투의 입구를 차폐하는 밀폐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봉투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밀봉된 상기 봉투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봉투의 하부를 지지하는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봉투의 하부를 지지하는 이동지지부; 및
    상기 이동지지부에 연결되며,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동작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이동지지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가변부;를 포함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이동패널; 및
    상기 이동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통기홀부;를 포함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가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베이스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럭; 및
    하측은 상기 이동블럭과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측은 상기 이동패널 또는 상기 이동패널에 연결된 이동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블럭의 이동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링크부;를 포함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이동블럭과 상기 가변링크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링크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장공 형상의 제1안내홀을 구비하는 측면베이스; 및
    상기 측면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베이스는 상기 이동블럭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블럭은 상기 측면베이스에 의해 회전은 구속되고 직선 방향 이동만 허용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조절모터; 및
    상기 조절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이동블럭에 구비된 암나사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이동블럭을 이동시키는 스크루바;를 포함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이동패널의 폭방향 양측에 연결되며, 상기 가변링크부의 상측에 연결된 제2연결링크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장공 형상의 제2안내홀을 구비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에 적재된 상기 봉투의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상기 밀폐구동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밀폐구동부에 구비된 히터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봉투의 밀봉과 절단 작업을 구분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서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으로 상기 봉투의 전개를 유도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공급부는,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며, 내측에는 상기 봉투를 만들기 위한 원단부재가 저장되는 저장프레임; 및
    상기 저장프레임의 측면에 상기 원단부재를 배출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배출공급부;를 포함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구동부는, 상기 케이스부 또는 상기 도어부에 고정되며,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복수의 이동기어가 상기 봉투공급부의 중앙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봉투공급부의 중앙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기어부; 및
    상기 동작기어부에 설치되며, 전원의 공급으로 가열되어 상기 봉투의 절단과 접합 작업을 동시에 하는 히터부;를 포함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4.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내부공간이 내측에 구비되며, 냉장고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입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담기 위한 봉투를 공급하는 봉투공급부;
    상기 도어부에 설치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상기 봉투의 입구를 차폐하는 밀폐구동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봉투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에 적재된 상기 봉투의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상기 밀폐구동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밀봉된 상기 봉투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낮추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입구부를 개폐하는 제1도어부; 및
    상기 제1도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내측투입부를 개폐하는 제2도어부;를 포함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부의 개폐 여부를 측정하며,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도어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와 상기 도어센서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상기 봉투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 후 상기 밀폐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봉투를 밀봉시키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밀폐구동부에 구비된 히터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봉투의 밀봉과 절단 작업을 구분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공급부는, 상기 제1도어부에 장착되며, 상기 내측투입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봉투를 만들기 위한 원단부재가 저장되는 저장프레임; 및
    상기 내측투입부와 마주하는 상기 저장프레임에 상기 원단부재를 배출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배출공급부;를 포함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구동부는, 상기 케이스부 또는 상기 도어부에 고정되며,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복수의 이동기어가 상기 봉투공급부의 중앙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봉투공급부의 중앙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기어부; 및
    상기 동작기어부에 설치되며, 전원의 공급으로 가열되어 상기 봉투의 절단과 접합 작업을 동시에 하는 히터부;를 포함하는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210053965A 2021-04-26 2021-04-26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146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965A KR20220146975A (ko) 2021-04-26 2021-04-26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965A KR20220146975A (ko) 2021-04-26 2021-04-26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975A true KR20220146975A (ko) 2022-11-02

Family

ID=8404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965A KR20220146975A (ko) 2021-04-26 2021-04-26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69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59097A (zh) * 2023-04-12 2023-07-21 佛山市东方医疗设备厂有限公司 一种便于排便的护理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59097A (zh) * 2023-04-12 2023-07-21 佛山市东方医疗设备厂有限公司 一种便于排便的护理床
CN116459097B (zh) * 2023-04-12 2023-12-05 佛山市东方医疗设备厂有限公司 一种便于排便的护理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36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composter device
CN206911496U (zh) 一种医疗垃圾粉碎机
US5337581A (en) Refrigerated waste container with germicidal lamp
GB2580990A (en) A garbage bin with air sterilization and automatic bagging in the barrel
US5181393A (en) Refrigerated waste container with germicidal lamp
KR102235619B1 (ko)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KR20220146975A (ko) 개별 밀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114150B1 (ko) Uvc를 이용한 살균장치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101254750B1 (ko) 악취물 수집 보관용 콘테이너
CN206261852U (zh) 一种医用灭菌柜
EP0545520A1 (en) Medical waste sterilizing apparatus
KR2022013812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145712A (ko) 봉투 공급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145710A (ko) 내부공간 가변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63610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냉장보관장치
KR2022014033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08741795A (zh) 一种智能化除湿消毒碗柜
KR102122175B1 (ko) 착탈형 신발수납장치
CN113925978A (zh) 一种护理检查用具消毒存放箱
KR100968525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살균 장치
KR201001003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WO2007019513A2 (en) Composting systems and methods
KR10071534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제어 시스템
CN210354919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医疗器械储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