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893A -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893A
KR20220146893A KR1020210053728A KR20210053728A KR20220146893A KR 20220146893 A KR20220146893 A KR 20220146893A KR 1020210053728 A KR1020210053728 A KR 1020210053728A KR 20210053728 A KR20210053728 A KR 20210053728A KR 20220146893 A KR20220146893 A KR 20220146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fixing bracket
horizontal bar
adjustment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이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규 filed Critical 이상규
Priority to KR102021005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6893A/ko
Publication of KR20220146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2Platforms or seat-boxes specially adapted for angling, e.g. tackle boxes for use as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낚시용 좌대(10)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된 두 개의 다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리에 고정수단(70)에 의해 결합되는 조절 지지 다리(30);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 다리(40);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조절 스크류(50); 상기 조절 다리(40)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 스크류(50)에 결합된 조절 스크류 너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60)가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조절 다리(40)가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낚시용 좌대의 상판에 올라가 앉은 상태에서 낚시를 즐기다가 낚시용 좌대의 다리 부분이 지면에서 아래로 파고 들어가서 낚시용 좌대의 상판이 앞쪽이나 뒤쪽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조절 스크류를 돌려서 낚시용 좌대의 높이를 더 높여줄 필요가 있는 다리(전방 다리 또는 후방 다리 부분)의 높이를 손쉽게 높여줄 수 있으므로, 낚시를 즐기다가 낚시용 좌대의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물속에 들어가서 낚시용 좌대의 다리의 높이를 올려주는 작업을 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낚시용 좌대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물에 젖는 것과 같은 불편한 점을 해결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Fishing seat plate height adjustment implement}
본 발명은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용 좌대에 앉아서 낚시를 즐기다가 낚시용 좌대가 기울어진 경우에 사용자가 물속에 들어가지 않고서도 낚시용 좌대를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꾼들은 물가(water side)에 의자나 좌대(seat plate)를 놓고 그 위에 앉아 장시간에 걸쳐 낚시를 즐기므로, 상기 의자나 좌대를 중요한 낚시용구의 하나로서 생각하고 있다. 즉, 낚시터에 휴대용 의자를 갖다놓고 장시간 동안 앉아서 낚시를 하게 되면, 피로를 느끼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이러한 피로를 덜어주고 좀 더 낚시를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리가 달린 사각 테이블 형태의 낚시용 좌대를 낚시터에 설치하여, 낚시용 좌대 위에 앉아서 낚시를 즐기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낚시용 좌대의 상판(10UP)에 사용자가 앉아서 낚시를 하게 되면, 사용자가 앉아 있는 하중 등에 의해 낚시용 좌대의 다리가 하천 등의 바닥에서 아래로 파고 들어가면서 낚시용 좌대의 상판(10UP)이 앞쪽으로 기울어지거나 뒤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기존에는 낚시를 즐기다가 낚시용 좌대의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물속에 들어가서 낚시용 좌대의 다리의 높이를 올려주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낚시용 좌대의 사용에 있어서 불편한 문제가 있다. 낚시용 좌대의 다리가 하천과 같은 낚시 장소의 지면에서 밑으로 파고 들어가서 낚시용 좌대의 상판(10UP)의 앞부분이나 뒷부분이 기울어진 경우, 사용자가 물속에 직접 들어가서 낚시용 좌대의 다리의 높이를 올려주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낚시용 좌대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물에 젖는 것과 같은 불편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4342호(2011년04월29일 공개) 한국공개실용신언 제20-2018-0000054호(2018년01월04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용 좌대에 앉아서 낚시를 즐기다가 낚시용 좌대가 기울어진 경우에 사용자가 물속에 들어가지 않고서도 낚시용 좌대를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용 좌대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된 두 개의 다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리에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조절 지지 다리; 상기 조절 지지 다리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 다리; 상기 조절 지지 다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조절 스크류; 상기 조절 다리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 스크류에 결합된 조절 스크류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가 상기 조절 지지 다리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조절 다리가 상기 조절 지지 다리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조절 지지 다리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는 나란한 상부 가로 바아와 하부 가로 바아에 적어도 두 개의 나란한 세로 바아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조절 지지 다리에 결합된 제1고정 브라켓; 상기 제1고정 브라켓의 아래에서 상기 조절 지지 다리에 결합된 제2고정 브라켓; 상기 제1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을 상기 상부 가로 바아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 및 상기 세로 바아에 결합된 상태로 지지하여 상기 조절 지지 다리와 상기 조절 다리와 상기 조절 스크류 및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를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록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 브라켓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후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상기 세로 바아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상기 세로 바아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에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조절 지지 다리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전면에 걸려지는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에 연결되어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의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후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상기 세로 바아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상기 세로 바아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에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조절 지지 다리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전면에 걸려지는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에 연결되어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을 포함하고, 상기 록커는, 상기 조절 지지 다리에 구비된 록킹 지지 브라켓; 상기 록킹 지지 브라켓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핀; 상기 록킹 지지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핀이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위쪽에 걸려지도록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된 상기 록킹핀이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윗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1고정 브라켓의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의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아래면에 걸려져서, 상기 조절 지지 다리와 상기 조절 스크류와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 및 상기 조절 다리를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 지지 다리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조절 다리가 결합되고, 상기 조절 지지 다리의 내부에는 조절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절 스크류의 외주면에 조절 스크류 너트가 결합되고, 상기 조절 다리의 상단부쪽 내부에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록커의 상기 록킹핀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당겨준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 브라켓의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은 낚시용 좌대 다리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아래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후면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전면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키는 한편,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의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의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아래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후면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전면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절 지지 다리를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의 상부 쪽으로 이동시켜주면, 상기 제1고정 브라켓의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후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전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의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은 낚시용 좌대 다리의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후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전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제1고정 브라켓과 제2고정 브라켓이 각각 낚시용 좌대 다리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 및 상기 세로 바아에 걸려져서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이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을 당겨주었던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을 놓아주면, 상기 록킹핀이 당겨졌을 때에 압축되었던 탄성부재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록킹핀을 원위치로 밀어서 록킹핀이 낚시용 좌대 다리의 상부 가로 바아의 윗면에 걸려져서, 상기 조절 지지 다리와 상기 조절 다리와 상기 조절 스크류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커의 상기 록킹핀을 당겨서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윗면에서 록킹핀이 빠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 지지 다리와 상기 제1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을 낚시용 좌대 다리에 결합시키기 위해 올려주었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내려주면, 상기 제1고정 브라켓의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아래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후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전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는 한편,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의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의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아래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후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전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은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제1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이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 및 상기 세로 바아에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조절 지지 다리와 상기 조절 다리와 상기 조절 스크류를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 다리에는 보조 조절 다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조 조절 다리의 하단부에는 연결수단을 매개로 바텀 지지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조절 다리의 하단부와 상기 바텀 지지판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보조 조절 다리의 하단부와 상기 바텀 지지판 사이를 연결하는 유니버설 조인트로 구성되어, 낚시용 좌대를 임의의 각도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 다리에는 높이 조절 셋팅홀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조절 다리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높이 조절홀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 다리에는 상기 높이 조절 셋팅홀과 상기 높이 조절홀이 만났을 때에 상기 높이 조절 셋팅홀과 상기 높이 조절홀에 끼워지는 조절 셋팅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 스크류의 일부는 상기 조절 지지 다리의 상단부로 노출되어 돌출 스크류부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 스크류부에는 랜치 결합용 다각형부가 구비되어, 상기 랜치 결합용 다각형부에 랜치를 결합하여 상기 조절 스크류를 돌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텀 지지판은 위에서 접시를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구성되어, 낚시용 좌대를 밑에서 받쳐주는 하중이 상기 바텀 지지판에 의해 분산되어 상기 바텀 지지판이 낚시 장소의 지면 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 높이 조절장치는 낚시용 좌대의 상판에 올라가 앉은 상태에서 낚시를 즐기다가 낚시용 좌대의 다리 부분이 지면에서 아래로 파고 들어가서 낚시용 좌대의 상판이 앞쪽이나 뒤쪽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조절 스크류를 돌려서 낚시용 좌대의 높이를 더 높여줄 필요가 있는 다리(전방 다리 또는 후방 다리 부분)의 높이를 손쉽게 높여줄 수 있으므로, 낚시를 즐기다가 낚시용 좌대의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물속에 들어가서 낚시용 좌대의 다리의 높이를 올려주는 작업을 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낚시용 좌대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물에 젖는 것과 같은 불편한 점을 해결한 효과가 있다. 낚시용 좌대에 앉아서 낚시를 즐기다가 낚시용 좌대가 기울어진 경우 물속에 사용자가 들어가지 않고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낚시용 좌대의 기울어진 상태를 수평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낚시용 좌대의 사용시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낚시용 좌대를 처음 설치할 때에 낚시용 좌대의 앞쪽이나 뒤쪽이 수평 상태가 아니고 기울어진 상태일 때에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낚시용 좌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의 측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의 안쪽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M 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낚시용 좌대 다리에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개략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낚시용 좌대 다리에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낚시용 좌대 다리에 한 쌍으로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후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낚시용 좌대 다리에 결합시키는 제1고정 브라켓과 록커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일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낚시용 좌대 다리에 결합시키는 제1고정 브라켓과 제2고정 브라켓과 록커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가 결합된 낚시용 좌대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낚시용 좌대의 앞부분이 기울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낚시용 좌대를 본 발명에 의해 수평 상태로 높이를 복원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낚시용 좌대의 뒷부분이 기울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5은 도 14에 도시된 낚시용 좌대를 본 발명에 의해 수평 상태로 높이를 복원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바텀 지지판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의 측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의 안쪽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M 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낚시용 좌대 다리에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개략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낚시용 좌대 다리에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낚시용 좌대 다리에 한 쌍으로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후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낚시용 좌대 다리에 결합시키는 제1고정 브라켓과 록커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일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낚시용 좌대 다리에 결합시키는 제1고정 브라켓과 제2고정 브라켓과 록커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가 결합된 낚시용 좌대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낚시용 좌대의 앞부분이 기울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낚시용 좌대를 본 발명에 의해 수평 상태로 높이를 복원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낚시용 좌대의 뒷부분이 기울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5은 도 14에 도시된 낚시용 좌대를 본 발명에 의해 수평 상태로 높이를 복원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바텀 지지판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는 낚시용 좌대(10)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된 두 개의 다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리에 고정수단(70)에 의해 결합되는 조절 지지 다리(30)와,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 다리(40)와,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조절 스크류(50)와, 상기 조절 다리(40)에 결합됨과 동시에 조절 스크류(50)에 결합된 조절 스크류 너트(60)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 조절 스크류 너트(60)가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서 이동하고, 조절 스크류 너트(60)가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서 이동하면 조절 다리(40)가 조절 지지 다리(30)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는 나란한 상부 가로 바아(11)와 하부 가로 바아(12)에 나란한 좌측 세로 바아(13)와 우측 세로 바아(13)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부 가로 바아(11)와 하부 가로 바아(12)와 좌측 세로 바아(13) 및 우측 세로 바아(13)는 단면으로 볼 때에 사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는 제1후면 가로 바아편(11B)과 제1전면 가로 바아편(11A)에 제1상부 가로 바아편(11C)과 제1하부 가로 바아편(11D)이 결합된 사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는 제2후면 가로 바아편(12B)과 제2전면 가로 바아편(12A)에 제2상부 가로 바아편(12C)과 제2하부 가로 바아편(12D)이 결합된 사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세로 바아(13)와 우측 세로 바아(13)는 후면 세로 바아편(13B)과 전면 세로 바아편(13A)에 내측 세로 바아편(13C)과 외측 세로 바아편(13D)이 결합된 사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낚시용 좌대 다리(10LG)는 낚시용 좌대(10)의 상판(10UP)의 전방과 후방에 힌지(15)에 의해 연결된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낚시용 좌대(10)의 상판(10UP) 두 개가 중간 힌지(MHG)를 매개로 서로 연결(도 11 참조)되어 있어서, 두 개의 상판(10UP)과 전방 다리(10LG)와 후방 다리(10LG)가 중가 힌지(MHG)와 전방과 후방의 두 개의 힌지(15)를 기준으로 판형상으로 콤팩트하게 접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낚시용 좌대(10)의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에 모두 결합될 수도 있고, 전방 다리나 후방 다리 중에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다리에 결합(즉, 전방 다리 또는 후방 다리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낚시용 좌대(10)의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를 통칭하여 낚시용 좌대 다리(10LG)로 기술하는 경우가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앞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좌측 세로 바아(13)는 좌측 세로 바아(13)라 칭하고 우측의 세로 바아는 우측 세로 바아(13)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는 낚시용 좌대(10)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된 두 개의 다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리에 고정수단(7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는 제1전면 지지 다리편(31)과 제1후면 지지 다리편(32)과 제1내측 지지 다리편(33)과 제1외측 지지 다리편(34)이 결합된 사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70)은 제1고정 브라켓(72)과 제2고정 브라켓(74) 및 록커(76)로서, 제1고정 브라켓(72)과 제2고정 브라켓(74) 및 록커(76)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는 제1전면 지지 다리편(31)과 제1후면 지지 다리편(32)과 제1내측 지지 다리편(33)과 제1외측 지지 다리편(34)이 결합된 사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 다리(40)는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절 다리(40)는 제1후면 조절 다리편(42)과 제1전면 조절 다리편(41)과 제1내측 조절 다리편(43)과 제1외측 조절 다리편(44)이 결합된 사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조절 다리(40)의 제1후면 조절 다리편(42)과 제1전면 조절 다리편(41)과 제1내측 조절 다리편(43)과 제1외측 조절 다리편(44)은 각각 조절 지지 다리(30)의 제1전면 지지 다리편(31)과 제1후면 지지 다리편(32)과 제1내측 지지 다리편(33)과 제1외측 지지 다리편(34)에 접촉된 상태에서 조절 지지 다리(30)에서 조절 다리(40)가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가 사각 바아 형상이고 조절 다리(40)로 사각 바아 형상이라서 사각 바아 형상의 조절 지지 다리(30)에 사각 바아 형상의 조절 다리(4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절 다리(40)가 슬라이드된다는 것은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 조절 다리(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조절 다리(40)가 조절 지지 다리(30)의 하단부에서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조절 다리(40)가 조절 지지 다리(30)의 하단부에서 조절 지지 다리(30)의 외부로 인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조절 스크류(50)는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조절 지지 다리(30)에 스크류 회전 지지부재(46)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 회전 지지부재(46)에는 조절 스크류(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조절 스크류(50)가 조절 지지 다리(30)에 내장되어 있어서, 상기 조절 스크류(50)가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바람직하게, 조절 지지 다리(30)에 구비된 스크류 회전 지지부재(46)에 베어링과 같은 회전 지지수단을 매개로 조절 스크류(50)의 외주면이 결합된다. 상기 조절 스크류(50)를 돌려주면 조절 스크류(50)가 조절 지지 다리(3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지는 않고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서 조절 스크류(5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60)는 조절 다리(40)에 결합된다. 조절 스크류 너트(60)가 조절 다리(40)의 상단부에서 돌출되도록 조절 다리(4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조절 스크류(50)가 조절 다리(40)의 내부에 들어가서 결합될 수도 있다. 용접과 같은 방식에 의해 조절 스크류 너트(60)가 조절 다리(4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60)는 조절 스크류(50)에 결합된다. 조절 스크류(50)의 외주면에 조절 스크류 너트(60)가 결합된다. 조절 스크류(50)를 조절 지지 다리(30)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조절 스크류 너트(60)는 조절 스크류(50)를 따라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조절 스크류 너트(60)가 조절 스크류(50)를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절 다리(40)가 조절 지지 다리(30)를 기준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조절 다리(40)가 조절 지지 다리(30)의 하단부에서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조절 다리(40)가 조절 지지 다리(30)의 하단부에서 조절 지지 다리(30)의 외부로 인출되어 조절 지지 다리(30)와 조절 다리(40)의 총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거나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된다. 조절 다리(40)가 조절 지지 다리(30)의 하단부에서 인출되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되는 것이다. 조절 다리(40)가 조절 지지 다리(30)의 하단부에서 인출되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거나 짧아진다는 것은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의 주요부인 조절 지지 다리(30)와 조절 다리(40)의 합산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거나 상대적으로 짧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주요부인 조절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 조절 스크류 너트(60)가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조절 다리(40)가 조절 지지 다리(30)에서 인출되거나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로 들어가서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70)은 제1고정 브라켓(72)과 제2고정 브라켓(74)과 록커(76)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와 세로 바아(13)에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은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과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과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 및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을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와 세로 바아(13)에 결합된다.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은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과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과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 및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을 포함한다. 제2고정 브라켓(74)은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74D)에 연결된 제2고정 보강 브라켓편(74E)이 더 구비된다.
상기 록커(76)는 조절 지지 다리(30)에 구비된 록킹 지지 브라켓(76A)과, 상기 록킹 지지 브라켓(7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핀(76B)과, 상기 록킹 지지 브라켓(76A)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핀(76B)이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위쪽에 걸려지도록 탄지하는 탄성부재(76C)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의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은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 연결에 연결된다. 상기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앞쪽에서 상부 가로 바아(11)에 걸려진다.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이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앞쪽 위치에서 상부 가로 바아(11)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이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제1후면 지지 다리편(32)에 연결된다. 상기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이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에 연결됨과 동시에 조절 지지 다리(30)의 제1후면 지지 다리편(32)에 연결되어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앞쪽 위치에서 상부 가로 바아(11)에 걸려지게 된다.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이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제1전면 가로 바아편(11A)에 걸려진 구조를 취한다.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은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에 연결되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에서 상부 가로 바아(11)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이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에 연결되고 동시에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에서 상부 가로 바아(11)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은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에 연결된다.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뒤쪽에서 상부 가로 바아(11)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제1후면 가로 바아편(11B)에 걸려진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세로 바아(13)의 외측 세로 바아편(13D)에 걸려진다. 즉,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과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와 세로 바아(13)에 각각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은 상기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에 연결되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세로 바아(13)의 옆쪽에서 세로 바아(13)에 걸려진다. 상기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이 상기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에 연결됨과 동시에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세로 바아(13)의 옆쪽에서 세로 바아(13)에 걸려지게 된다.
정리하면,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의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이 조절 지지 다리(30)에 연결된 상태에서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앞쪽에서 위치에서 상부 가로 바아(11)에 걸려지고,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이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에 연결된 상태에서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에서 상부 가로 바아(11)에 걸려지고,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이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에 연결된 상태에서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뒤쪽 위치에서 상부 가로 바아(11)에 걸려지고,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과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세로 바아(13)에 걸려지고, 상기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이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에 연결됨과 동시에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세로 바아(13)에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의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은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 연결에 연결된다. 상기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앞쪽에서 하부 가로 바아(12)에 걸려진다.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이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앞쪽 위치에서 하부 가로 바아(12)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이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제2후면 지지 다리편에 연결된다. 상기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이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에 연결됨과 동시에 조절 지지 다리(30)의 제2후면 지지 다리편에 연결되어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앞쪽 위치에서 하부 가로 바아(12)에 걸려지게 된다.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이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제2전면 가로 바아편(12A)에 걸려진 구조를 취한다.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은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에 연결되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에서 하부 가로 바아(12)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이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에 연결되고 동시에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에서 하부 가로 바아(12)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은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에 연결된다.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뒤쪽에서 하부 가로 바아(12)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제2후면 가로 바아편(12B)에 걸려진다.
또한, 상기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우측 세로 바아(13)의 외측 세로 바아편(13D)에 걸려진다. 즉,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과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와 우측 세로 바아(13)에 각각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은 상기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에 연결되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우측 세로 바아(13)의 옆쪽에서 상기 우측 세로 바아(13)에 걸려진다. 상기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이 상기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에 연결됨과 동시에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우측 세로 바아(13)의 옆쪽에서 우측 세로 바아(13)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록커(76)는,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 구비된 록킹 지지 브라켓(76A)과, 상기 록킹 지지 브라켓(7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핀(76B)과, 상기 록킹 지지 브라켓(76A)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핀(76B)이 상부 가로 바아(11)의 위쪽에 걸려지도록 탄지하는 탄성부재(76C)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76C)에 의해 탄지된 상기 록킹핀(76B)이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윗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의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의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에 걸려져서,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와 상기 조절 스크류(50)와 조절 스크류 너트(60) 및 조절 다리(40)를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정리하면, 상기 제2브라켓의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이 조절 지지 다리(30)에 연결된 상태에서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앞쪽에서 위치에서 하부 가로 바아(12)에 걸려지고,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이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에 연결된 상태에서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에서 하부 가로 바아(12)에 걸려지고,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이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에 연결된 상태에서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뒤쪽 위치에서 하부 가로 바아(12)에 걸려지고,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과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우측 세로 바아(13)에 걸려지고, 상기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이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에 연결됨과 동시에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우측 세로 바아(13)의 우측 세로 바아(13)에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좌우 두 개의 제2고정 브라켓(74)들의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74D)에 연결된 제2고정 보강 브라켓편(74E)들은 세로 바아(13)의 제1후면 세로 바아편(13A)과 우측 세로 바아(13)의 제2후면 세로 바아편(14A)에 추가로 걸려지면서 본 발명의 높이 조절장치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결합된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록커(76)의 탄성부재(76C)에 의해 탄지된 록킹핀(76B)이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윗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의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은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의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은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에 걸려져서,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와 조절 스크류(50)와 조절 스크류 너트(60) 및 조절 다리(40)를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가 나란한 상부 가로 바아(11)와 하부 가로 바아(12)에 서로 나란한 두 개의 좌측 세로 바아(13)와 우측의 세로 바아가 결합되어 구성된 경우, 상기 좌측 세로 바아(13)와 상부 가로 바아(11)에 결합됨과 동시에 좌측의 조절 지지 다리(30)에 결합된 제1고정 브라켓(72)은 좌측의 제1고정 브라켓(72)이고, 상기 좌측 세로 바아(13)와 하부 가로 바아(12)에 결합됨과 동시에 좌측의 조절 지지 바아에 결합된 제2고정 브라켓(74)은 좌측의 제2고정 브라켓(74)이고, 상기 우측의 세로 바아와 상부 가로 바아(11)에 결합됨과 동시에 우측의 조절 지지 바아에 결합된 제1고정 브라켓(72)은 우측의 제1고정 브라켓(72)이고, 상기 우측의 세로 바아와 하부 가로 바아(12)에 결합됨과 동시의 우측의 조절 지지 바아에 결합된 제2고정 브라켓(74)은 우측의 제2고정 브라켓(74)이고, 상기 좌측의 조절 지지 바아에 결합된 록커(76)는 좌측의 록커(76)이고, 상기 우측의 조절 지지 바아에 결합된 록커(76)는 우측의 록커(76)이다.
좌측의 제1고정 브라켓(72)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후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낚시용 좌대(10)의 좌측 세로 바아(13)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과,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좌측 세로 바아(13)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과,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에 연결되고 동시에 좌측의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전면에 걸려지는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과,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에 연결되어 좌측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을 포함한다.
좌측의 제2고정 브라켓(74)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후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낚시용 좌대(10)의 좌측 세로 바아(13)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과,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상기 좌측 세로 바아(13)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과,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에 연결되고 동시에 조절 지지 다리(3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전면에 걸려지는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과,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에 연결되어 좌측의 상기 좌측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을 포함한다.
우측의 제1고정 브라켓(72)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후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우측 세로 바아(13)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과,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상기 우측 세로 바아(13)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과,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에 연결되고 동시에 우측의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전면에 걸려지는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과,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에 연결되어 우측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을 포함한다.
우측의 제2고정 브라켓(74)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후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우측 세로 바아(13)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과,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상기 우측 세로 바아(13)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과,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에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전면에 걸려지는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과,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에 연결되어 상기 우측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을 포함한다.
좌측의 록커(76)는, 좌측의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 구비된 록킹 지지 브라켓(76A)과, 상기 록킹 지지 브라켓(7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핀(76B)과, 상기 록킹 지지 브라켓(76A)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핀(76B)이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위쪽에 걸려지도록 탄지하는 탄성부재(7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측의 록커(76)는 우측의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 구비된 록킹 지지 브라켓(76A)과, 상기 록킹 지지 브라켓(7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핀(76B)과, 상기 록킹 지지 브라켓(76A)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핀(76B)이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위쪽에 걸려지도록 탄지하는 탄성부재(76C)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76C)에 의해 탄지된 상기 록킹핀(76B)이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윗면에 걸려지고, 좌측의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의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좌측의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의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우측의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의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우측의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의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에 걸려져서, 좌측의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와 상기 조절 스크류(50)와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60) 및 상기 조절 다리(40)와 우측의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와 상기 조절 스크류(50)와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60) 및 상기 조절 다리(40)를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좌측과 우측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좌측과 우측에 한 셋트로 설치된 상태에서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결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는 낚시용 좌대(10)의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될 수도 있고, 전방 다리에만 두 개씩 설치될 수도 있고, 후방 다리에만 두 개씩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낚시용 좌대(10)의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를 편의상 다리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부인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조절 다리(40)가 결합되고,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는 조절 스크류(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절 스크류(50)의 외주면에 조절 스크류 너트(60)가 결합되고, 상기 조절 다리(40)의 상단부쪽 내부에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6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록커(76)의 주요부인 록킹핀(76B)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당겨준 상태(후퇴시킨 상태)에서 제1고정 브라켓(72)의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시키고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후면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전면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은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시킨다. 한편, 제2고정 브라켓(74)의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시키고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후면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전면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은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를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쪽으로 이동시켜준다. 그러면,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의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후면에 걸려지고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전면에 걸려지고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은 상기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진다. 한편, 제2고정 브라켓(74)의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후면에 걸려지고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전면에 걸려지고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은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과 제2고정 브라켓(74)이 각각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와 하부 가로 바아(12) 및 세로 바아에 걸려져서 결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과 제2고정 브라켓(74)이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76B)을 당겨주었던 상태에서 록킹핀(76B)을 놓아주면, 록킹핀(76B)이 당겨졌을 때에 압축되었던 탄성부재(76C)(스프링)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록킹핀(76B)을 원위치로 밀어서 록킹핀(76B)이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윗면에 걸려지게 되며, 이처럼 제1고정 브라켓(72)과 제2고정 브라켓(74)이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걸려져서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록킹핀(76B)이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윗면에 걸려짐으로써,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부인 조절 지지 다리(30)와 조절 다리(40)와 조절 스크류(50)와 조절 스크류 너트(60)와 보조 조절 다리(49)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핀(76B)의 선단부가 낚시용 좌대(10)의 세로 바아의 전면 세로 바아편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록킹핀(76B)이 후퇴한 상태로 유지되고 탄성부재(76C)는 압축되어 탄성력을 보유함으로써 록킹핀(76B)을 원래의 위치로 밀어주려는 힘이 작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록킹핀(76B)의 선단부가 낚시용 좌대(10)의 세로 바아의 전면 세로 바아편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록킹핀(76B)을 당겨주지 않아도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를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쪽으로 이동시켜주면,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의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후면에 걸려지고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전면에 걸려지고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은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지는 한편, 제2고정 브라켓(74)의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후면에 걸려지고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전면에 걸려지고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은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과 제2고정 브라켓(74)이 각각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와 하부 가로 바아(12) 및 세로 바아에 걸려져서 결합된 상태가 되며, 상기 록킹핀(76B)은 상부 가로 바아(11)의 상면을 벗어나게 되면서 탄성부재(76C)가 밀어주는 힘에 의해 원래 위치로 튀어나와서 상부 가로 바아(11)의 상면에 록킹핀(76B)이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과 제2고정 브라켓(74)이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결합되고 조절 지지 다리(30)와 조절 다리(40) 및 조절 다리(40)에 결합된 보조 조절 다리(49)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에서 안쪽 측면쪽으로 조절 지지 다리(30)와 조절 다리(40)와 보조 조절 다리(49)가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게 된다.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에서 안쪽 측면쪽으로 조절 지지 다리(30)와 조절 다리(40)와 보조 조절 다리(49)가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게 된다. 또한, 제2고정 보강 브라켓편(74E)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세로 바아(13)의 후면쪽에서 전면쪽으로 조절 지지 다리(30)와 조절 다리(40)와 보조 조절 다리(49)가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록커(76)의 주요부인 록킹핀(76B)을 당겨서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윗면에서 록킹핀(76B)이 빠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와 제1고정 브라켓(72)과 제2고정 브라켓(74)을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결합시키기 위해 올려주었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내려준다. 그러면,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의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후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전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은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제2고정 브라켓(74)의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후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전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은 상기 세로 바아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과 제2고정 브라켓(74)이 각각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와 하부 가로 바아(12) 및 세로 바아에 걸려져서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므로,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와 상기 조절 다리(40)와 상기 조절 스크류(50)를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를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10)의 높이 조절 장치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결합된 상태에서 낚시용 좌대(10)를 하천과 같이 낚시를 할 수 있는 장소의 바닥에 설치한다. 낚시용 좌대 다리(10LG)를 펼쳐서 본 발명의 주요부인 보조 조절 다리(49)에 결합되어 있는 바텀 지지판(49BP)을 낚시용 좌대(10) 설치 장소의 지면에 닿도록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10) 높이 조절 장치가 결합된 낚시용 좌대(10)를 설치 장소에 설치할 수 있으며, 낚시용 좌대(10)의 상판(10UP) 위에 낚시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올라가서 앉은 상태에서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낚시용 좌대(10)의 상판(10UP)에 올라가 앉은 상태에서 낚시를 즐기다가 낚시용 좌대 다리(10LG) 부분이 지면에서 아래로 파고 들어가서 낚시용 좌대(10)의 상판(10UP)이 앞쪽이나 뒤쪽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면, 상기 조절 스크류(5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조절 스크류(50)에 결합됨과 동시에 조절 다리(40)에 결합된 조절 스크류 너트(60)가 조절 스크류(50)를 따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절 다리(40)도 조절 지지 다리(30)의 하단부에서 인출되면서 조절 지지 다리(30)와 조절 다리(40)의 합산 길이를 늘려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낚시용 좌대(10)의 상판(10UP)이 앞쪽으로 기울어진 상태 또는 뒤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다시 수평 방향으로 올라온 상태로 유지되므로, 낚시용 좌대(10)의 상판(10UP) 위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낚시를 편안하게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조절 스크류(50)의 일부가 조절 지지 다리(30)의 상단부에서 위로 더 노출되어 있고,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상단부로 노출된 조절 스크류(50)의 일부는 되어 돌출 스크류부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 스크류부에는 랜치 결합용 다각형부(50PS)가 구비되어, 상기 랜치 결합용 다각형부(50PS)에 랜치를 결합하여 조절 스크류(50)를 돌려줌으로써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낚시용 좌대(10)의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는 힌지(15)에 의해 상판(10UP)의 전단부에 후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조절 스크류(50)를 돌려서 낚시용 좌대(10)의 상판(10UP)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평 상태(VL)로 복귀되도록 조작할 때에 상기 힌지(15)에 의해서 전방 다리 또는 후방 다리가 상판(10UP)에서 상대 회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절 스크류(50)를 돌려서 낚시용 좌대(10)의 상판(10UP)의 기울어진 상태를 수평 상태(VL)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는 낚시용 좌대(10)의 상판(10UP)에 올라가 앉은 상태에서 낚시를 즐기다가 낚시용 좌대 다리(10LG) 부분이 지면에서 아래로 파고 들어가서 낚시용 좌대(10)의 상판(10UP)이 앞쪽이나 뒤쪽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조절 스크류(50)를 돌려서 낚시용 좌대(10)의 높이를 더 높여줄 필요가 있는 다리(전방 다리 또는 후방 다리 부분)의 높이를 손쉽게 높여줄 수 있으므로, 낚시를 즐기다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물속에 들어가서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높이를 올려주는 작업을 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낚시용 좌대(10)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물에 젖는 것과 같은 불편한 점을 해결한 효과가 있다.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결합된 조절 다리(40) 또는 보조 조절 다리(49) 부분이 하천과 같은 낚시 장소의 지면에서 밑으로 파고 들어가서 낚시용 좌대(10)의 상판(10UP)의 앞부분이나 뒷부분이 기울어진 경우, 사용자가 물속에 들어가지 않고 상기 조절 스크류(50)를 간단하게 돌려주기만 하면 조절 다리(40) 부분이 상승(조절 다리(40)에 보조 조절 다리(49)가 결합된 경우에는 보조 조절 다리(49) 부분이 상승)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물속에 들어가서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높이를 올려주는 작업을 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낚시용 좌대(10)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물에 젖는 것과 같은 불편한 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조절 다리(40)에는 높이 조절 셋팅홀(40SH)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조절 다리(49)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높이 조절홀(49AH)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 다리(40)에는 높이 조절 셋팅홀(40SH)과 높이 조절홀(49AH)이 만났을 때에 상기 높이 조절 셋팅홀(40SH)에 조절 셋팅핀(40SP)을 끼워준다.
따라서, 상기 조절 다리(40)를 기준으로 보조 조절 다리(49)가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높이 조절 범위를 더 늘릴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낚시용 좌대 다리(10LG) 높이를 조절할 때에 보다 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조절 다리(49)의 하단부에는 연결수단을 매개로 바텀 지지판(49BP)이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수단은 조절 다리(40)의 하단부와 바텀 지지판(49BP)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HG)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텀 지지판(49BP)이 보조 조절 다리(49)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어서, 낚시용 좌대(10) 설치 지역의 지면이 울퉁불퉁하거나 돌과 같이 걸리는 부분이 있더라도 상기 힌지(HG)를 기준으로 바텀 지지판(49BP)이 회동되면서 지면에 낚시용 다리를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은 보조 조절 다리(49)의 하단부와 바텀 지지판(49BP) 사이를 연결하는 유니버설 조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이 유니버설 조인트로 구성된 경우에는 바텀 지지판(49BP)이 보조 조절 다리(49)를 기준으로 360° 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어서, 바텀 지지판(49BP)에 의해 낚시용 좌대 다리(10LG)를 원하는 각도로 보다 편리하고 더 안정적으로 낚시 장소의 지면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연결수단이 유니버설 조인트로 구성되어, 임의의 각도로 낚시용 좌대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바텀 지지판(49BP)의 면적은 충분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바텀 지지판(49BP)는 위에서 아래로 하향 경사진 접시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바텀 지지판(49BP)의 면적이 충분히 넓어서 낚시용 좌대를 밑에서 받쳐주는 기초가 충분히 더 넓어지게 되어서 바텀 지지판(49BP)이 낚시 장소의 지면(예를 들어, 갯벌 등) 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정도가 적어지게 되므로, 낚시용 좌대를 사용하기에 더 편리하다.
또한, 바텀 지지판(49BP)는 위에서 아래로 하향 경사진 접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낚시용 좌대를 밑에서 받쳐주는 하중이 바텀 지지판(49BP)에 의해 넓게 퍼지면서 분산되므로, 바텀 지지판(49BP)이 낚시 장소의 지면(예를 들어, 갯벌 등) 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정도가 적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낚시용 좌대를 사용하기에 더 편리하다.
상기 바텀 지지판(49BP)는 접시를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텀 지지판(49BP)는 접시를 위아래가 바뀌도록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텀 지지판(49BP)이 낚시용 좌대 설치 지역의 지면에 닿은 상태로 낚시용 좌대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낚시용 좌대 설치 지역의 지면에 있는 흙성분(갯벌인 경우 갯벌흙)이 바텀 지지판(49BP)의 내부에 꽉차면서 바텀 지지판(49BP)을 지면의 흙성분이 받쳐주게 되므로, 상기 바텀 지지판(49BP)이 지면의 내부(예를 들어 갯벌흙의 내부)로 파고 들어가는 경우를 방지하고, 이에 더하여서 낚시용 좌대를 밑에서 받쳐주는 하중이 분산되어 상기 바텀 지지판(49BP)에 의해 분사되어 바텀 지지판(49BP)이 낚시 장소의 지면 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한다.
상기 바텀 지지판(49BP)의 면적이 충분히 넓으면서도 위에서 아래로 하향 경사진 접시 형상으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낚시용 좌대를 밑에서 받쳐주는 하중이 분산되고 기초가 더 넓어지는 시너지 작용을 하게 되면서 바텀 지지판(49BP)이 낚시 장소의 지면(예를 들어, 갯벌 등) 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정도가 적어지거나 아예 파고 들어가는 경우를 방지하게 되므로, 낚시용 좌대를 사용하기에 더 편리하다. 낚시용 좌대를 밑에서 받치고 있는 바텀 지지판(49BP)이 낚시 장소의 지면을 더 적게 파고 들어감으로 인하여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줄어들게 되고, 낚시용 좌대를 철거할 때에도 낚시 장소의 지면에 덜 파고들어간 바텀 지지판(49BP)을 그만큼 더 쉽게 빼낼 수 있으므로, 낚시용 좌대의 사용시 편리성을 더 높여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와 하부 가로 바아(12)와 세로 바아(13)는 원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와 하부 가로 바아(12)와 세로 바아(13)에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과 제2고정 브라켓(74)이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낚시용 좌대 다리의 높이 조절장치를 원형 바아들이 결합된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쪽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낚시용 좌대 11. 상부 가로 바아
11A. 제1전면 가로 바아편 11B. 제1후면 가로 바아편
11C. 제1상부 가로 바아편 11D. 제1하부 가로 바아편
12. 하부 가로 바아 12A. 제2전면 가로 바아편
12B. 제2후면 가로 바아편 12C. 제2상부 가로 바아편
12D. 제2하부 가로 바아편 15. 힌지
13. 제1세로 바아 13A. 제1전면 세로 바아편
13B. 제1후면 세로 바아편 13C. 제1내측 세로 바아편
13D. 제1외측 세로 바아편 14. 제2세로 바아
14A. 제2전면 세로 바아편 14B. 제2후면 세로 바아편
14C. 제2내측 세로 바아편 14D. 제2외측 세로 바아편
30. 조절지지 다리 31. 제1전면 지지 다리편
32. 제1후면 지지 다리편 33. 제1내측 지지 다리편
34. 제1외측 지지 다리편 40. 조절 다리
41. 제1전면 조절 다리편 42. 제1후면 조절 다리편
43. 제1내측 조절 다리편 44. 제1외측 조절 다리편
46. 스크류 회전 지지부재 50. 조절 스크류
60. 조절 스크류 너트 70. 고정수단
72. 제1고정 브라켓 72A.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
72B.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 72C.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
72D.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 74. 제2고정 브라켓
74A.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 74B.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
74C.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 74D.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
76. 록커 76A. 록킹지지 브라켓
76B. 록킹핀 76C. 탄성부재

Claims (11)

  1. 낚시용 좌대(10)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된 두 개의 다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리에 고정수단(70)에 의해 결합되는 조절 지지 다리(30);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 다리(40);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조절 스크류(50);
    상기 조절 다리(40)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 스크류(50)에 결합된 조절 스크류 너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60)가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조절 다리(40)가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는 나란한 상부 가로 바아(11)와 하부 가로 바아(12)에 적어도 두 개의 나란한 세로 바아(13)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 결합된 제1고정 브라켓(72);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의 아래에서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 결합된 제2고정 브라켓(74);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과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을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 및 상기 세로 바아(13)에 결합된 상태로 지지하여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와 상기 조절 다리(40)와 상기 조절 스크류(50) 및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60)를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록커(7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후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상기 세로 바아(13)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상기 세로 바아(13)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에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전면에 걸려지는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에 연결되어 상기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후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상기 세로 바아(13)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상기 세로 바아(13)의 안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에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전면에 걸려지는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에 연결되어 상기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지는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을 포함하고,
    상기 록커(76)는,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에 구비된 록킹 지지 브라켓(76A);
    상기 록킹 지지 브라켓(7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핀(76B);
    상기 록킹 지지 브라켓(76A)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핀(76B)이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위쪽에 걸려지도록 탄지하는 탄성부재(76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76C)에 의해 탄지된 상기 록킹핀(76B)이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윗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의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의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에 걸려져서,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와 상기 조절 스크류(50)와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60) 및 상기 조절 다리(40)를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조절 다리(40)가 결합되고,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내부에는 조절 스크류(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절 스크류(50)의 외주면에 조절 스크류 너트(60)가 결합되고, 상기 조절 다리(40)의 상단부쪽 내부에 상기 조절 스크류 너트(60)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록커(76)의 상기 록킹핀(76B)을 당겨준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의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후면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전면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은 상기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키는 한편,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의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후면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전면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은 상기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시킨 다음,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를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쪽으로 이동시켜주면,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의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후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전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은 상기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의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은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후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전면에 걸려지고 상기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은 상기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과 제2고정 브라켓(74)이 각각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 및 상기 세로 바아(13)에 걸려져서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과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이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76B)을 당겨주었던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76B)을 놓아주면, 상기 록킹핀(76B)이 당겨졌을 때에 압축되었던 탄성부재(76C)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록킹핀(76B)을 원위치로 밀어서 록킹핀(76B)이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부 가로 바아(11)의 윗면에 걸려져서,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와 상기 조절 다리(40)와 상기 조절 스크류(50)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76)의 상기 록킹핀(76B)을 당겨서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윗면에서 록킹핀(76B)이 빠지도록 한 다음,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와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과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을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 결합시키기 위해 올려주었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내려주면,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의 상기 제1받침 고정 브라켓편(72B)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아래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1후면 고정 브라켓편(72C)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후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1전면 고정 브라켓편(72A)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의 전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1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2D)은 상기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는 한편,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의 상기 제2받침 고정 브라켓편(74B)은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아래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2후면 고정 브라켓편(74C)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후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2전면 고정 브라켓편(74A)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의 전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2사이드 고정 브라켓편(74D)은 상기 세로 바아(13)의 바깥쪽 측면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제1고정 브라켓(72)과 상기 제2고정 브라켓(74)이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의 상기 상부 가로 바아(11)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2) 및 상기 세로 바아(13)에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와 상기 조절 다리(40)와 상기 조절 스크류(50)를 상기 낚시용 좌대 다리(10LG)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다리(40)에는 보조 조절 다리(49)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조 조절 다리(49)의 하단부에는 연결수단을 매개로 바텀 지지판(49BP)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조절 다리(40)의 하단부와 상기 바텀 지지판(49BP)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HG)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보조 조절 다리(49)의 하단부와 상기 바텀 지지판(49BP) 사이를 연결하는 유니버설 조인트로 구성되어, 임의의 각도로 낚시용 좌대(10)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다리(40)에는 높이 조절 셋팅홀(40SH)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조절 다리(49)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높이 조절홀(49AH)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 다리(40)에는 상기 높이 조절 셋팅홀(40SH)과 상기 높이 조절홀(49AH)이 만났을 때에 상기 높이 조절 셋팅홀(40SH)과 상기 높이 조절홀(49AH)에 끼워지는 조절 셋팅핀(40SP)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스크류(50)의 일부는 상기 조절 지지 다리(30)의 상단부로 노출되어 돌출 스크류부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 스크류부에는 랜치 결합용 다각형부(50PS)가 구비되어, 상기 랜치 결합용 다각형부(50PS)에 랜치를 결합하여 상기 조절 스크류(50)를 돌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지지판(49BP)는 접시를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구성되어, 낚시용 좌대(10)를 밑에서 받쳐주는 하중이 상기 바텀 지지판(49BP)에 의해 분산되어 상기 바텀 지지판(49BP)이 낚시 장소의 지면 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KR1020210053728A 2021-04-26 2021-04-26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KR20220146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28A KR20220146893A (ko) 2021-04-26 2021-04-26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28A KR20220146893A (ko) 2021-04-26 2021-04-26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893A true KR20220146893A (ko) 2022-11-02

Family

ID=8408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728A KR20220146893A (ko) 2021-04-26 2021-04-26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689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342A (ko) 2009-10-23 2011-04-29 이성수 낚시용좌대
KR20180000054U (ko) 2016-06-27 2018-01-04 강미화 접이식 휴대형 낚시좌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342A (ko) 2009-10-23 2011-04-29 이성수 낚시용좌대
KR20180000054U (ko) 2016-06-27 2018-01-04 강미화 접이식 휴대형 낚시좌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4333A (en) Hillside chair
US10206511B2 (en) Universal chair leveler
US20090140567A1 (en) Multi-adjustable swivel chair with back and knee supports
KR100894611B1 (ko) 사방 불규칙 지형에 가변 설치 대응이 용이한 낚시용 의자
US7052080B2 (en) Frame for supporting a back pack and providing a seat structure
US6592187B2 (en) Multiuse portable chair
AU2001242093B2 (en) Chair and table assembly
KR20220146893A (ko)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KR200478652Y1 (ko) 스탠딩 테이블
KR101463919B1 (ko) 사이즈 조절형 절첩식 좌대
CA2310549C (en) Combination worksurface and armrest for a seating unit
KR20210032708A (ko) 낚시대 받침틀 파지기능을 구비한 전폭 조절식 좌대받침틀
KR200472055Y1 (ko) 낚시용 의자의 다리구조
KR20210050341A (ko) 등받이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릴렉스 체어
US11957241B2 (en) Collapsible mobile desk
KR20110011663U (ko) 낚시용 좌대
KR20110044342A (ko) 낚시용좌대
US20040160098A1 (en) Suspended furniture assembly
KR101820478B1 (ko) 휴대용 간이의자
CN109874762A (zh) 一种安全性能高的钓鱼椅
WO2012157197A1 (ja) 腰掛け
JP5024804B1 (ja) 腰掛け
KR20220050603A (ko) 낚시용 좌대
KR200494643Y1 (ko) 휴대가 가능한 가변형 낚시좌대
KR10266566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