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342A - 낚시용좌대 - Google Patents

낚시용좌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342A
KR20110044342A KR1020090100959A KR20090100959A KR20110044342A KR 20110044342 A KR20110044342 A KR 20110044342A KR 1020090100959 A KR1020090100959 A KR 1020090100959A KR 20090100959 A KR20090100959 A KR 20090100959A KR 20110044342 A KR20110044342 A KR 20110044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assembly
seat assembly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수
배태수
Original Assignee
이성수
배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수, 배태수 filed Critical 이성수
Priority to KR1020090100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4342A/ko
Publication of KR2011004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2Platforms or seat-boxes specially adapted for angling, e.g. tackle boxes for use as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좌대는 낚시용좌대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되는 파이프로 이루어져 각 단부를 프레임의 형태로 접지하는 좌대조립체가 구성되고, 상기 좌대조립체의 단부를 양측으로 각각 수용하여 좌대조립체의 단부를 상호 접지하는 좌대수용홈 및 전방으로 줄이나 끈을 걸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 구성되는 걸이대가 포함되는 좌대연결구와, 상기 좌대조립체의 상측으로 안착되는 보강체와, 수직의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지지대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좌대조립체의 전, 후방의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대고정구와, 상기 지지대고정홈에 관통 구성되어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좌대연결구에 연결된 좌대조립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판을 이루는 좌대조립체가 좌대연결구에 수용되어 설치됨으로써 그 구조가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좌대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수용되는 지지대고정홈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지대가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되기 때문에, 낚시용좌대의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하여 이동이 자유로우면서도 지면에서 설치 시 그 지지구조가 견고해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낚시용좌대

Description

낚시용좌대{Support plate for fishing}
본 발명은 어류가 서식하는 호수, 강의 인근에 설치되어 낚시인력이 편안하게 낚시를 행할 수 있는 낚시용좌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시꾼이 착좌되는 낚시용좌대를 조립식으로 형성하며 낚시용좌대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낚시용좌대의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하고 설치구조가 견고해지면서도 지형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한 낚시용좌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호수, 강 등에서 즐기는 취미활동으로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정적인 야외활동으로 최근에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레저 스포츠를 대체하여 심신이 피로한 현대인들이 스트레스 해소 및 여가생활을 즐기기 위해 많이 행하여지고 있으며 주지하다시피 낚시의 방법은 통상 낚시바늘이 포함된 낚시대를 물고기가 서식하는 강변에 투척하여 지상에서 물고기를 낚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경사가 급한 강변이나 둔치, 수중 등에서는 상기 낚시대를 받칠 수 있는 낚시대받침구의 설치가 난해하여 낚시를 행하는데 있어 상당한 불편이 있었다.
예를 들면 강변의 둔치 등은 콘크리트 구조물 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구조물 위에서는 낚싯대를 거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낚싯대받침구를 고정할 수가 없었으며,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는 곳에서는 낚시대받침구를 고정을 할 수는 있으나 강변의 경사도가 급한 경우 낚시자가 원하는 포인트에 낚시를 하기 위하여 경사면에 착좌하여 낚시를 하는 경우도 있으나 자칫 발을 헛디뎌 부상을 당할 염려도 있고 낚시용 의자 등을 안치시키기에도 상당히 문제점이 많았던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낚시꾼이 편안한 자세에서 착좌하여 낚시를 행할 수 있는 낚시용좌대에 관한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그 일례로 등록실용신안 20-0366927호에 제시된 낚시용좌대는 사람이 착좌하는 좌판과 좌판을 지면에서 지지하는 다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리를 좌판에서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
따라서 상기 등록실용신안 20-0366927호는 다리의 절첩기능으로 인해 경사진 지면에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나 다리가 개별적으로 절첩되는 것이 아니라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다리끼리 절첩이 가능하여 어느 한방향에 경사진 지형에는 설치가 가능하나 양방향으로 경사진 지형에는 설치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좌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다리의 하부에 구성되는 매몰방지대와 좌판과 다리를 연결하는 접철부와 조절부를 다리에 고정하는 고정쇠의 구조로 인해 좌대의 분리 또는 설치가 번거로운 단점이 있어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꾼이 착좌되는 낚시용좌대를 조립식으로 형성되면서도 낚시용좌대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낚시용좌대의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하고 설치구조가 견고해지면서도 지형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한 낚시용좌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좌대는, 낚시용좌대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되는 파이프로 이루어져 각 단부를 프레임의 형태로 접지하는 좌대조립체가 구성되고, 상기 좌대조립체의 단부를 양측으로 각각 수용하여 좌대조립체의 단부를 상호 접지하는 좌대수용홈 및 전방으로 줄이나 끈을 걸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 구성되되, 상부로 나사형태로 이루어져 체결부재와 체결되어 걸린 줄이나 끈을 고정할 수 있는 걸이대가 포함되는 좌대연결구와, 상기 좌대조립체의 상측으로 안착되는 보강체와, 수직의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지지대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좌대조립체의 전, 후방의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대고정구와, 상기 지지대고정홈에 관통 구성되어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좌대연결구에 연결된 좌대조립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상, 하 외측으로 다 수개의 고정홈이 이격구성되는 중간지지대와, 상기 중간지지대의 상측에서 이동되도록 수용되되, 하부에는 돌출되도록 탄성되어 중간지지대의 고정홈에서 돌출됨으로써 중간지지대와 고정되는 탄성고정부와, 최상측으로 지지대고정홈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부 외측으로 수직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되는 래크가 구성되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중간지지대의 하측에서 이동되도록 수용되되, 상부에는 돌출되도록 탄성되어 중간지지대의 고정홈에서 돌출됨으로써 중간지지대와 고정되는 탄성고정부가 구성되는 하부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고정구는 측방향에서 관통되어 지지대고정홈으로 연장되며 측단부로 걸림턱이 형성되는 수평홈과, 좌대조립체를 수용하도록 하측이 개방되는 좌대고정부와, 상기 수평홈의 내부에서 전, 후 이동되어 지지대고정홈에 수용된 래크와 치합하여 지지대를 고정하는 치합부와, 상기 치합부의 후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심재부와, 상기 심재의 후측 단부로 손으로 파지 가능한 파지부와, 상기 수평홈의 외측부와 볼트 체결되며 중앙으로 수평홈에 삽입되어 심재부가 전, 후 이동되도록 심재부를 수용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치합부의 후부와 수평홈의 걸림턱에 연장되어 치합부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가 개방되며 개방되는 측으로 상기 좌대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 중 일측의 좌대조립체를 각각 힌지체결하여 좌대조립체 간의 힌지작용을 도모하는 힌지가 구성되고, 상기 힌지체결된 좌대조립체가 각각 수용되는 좌대합체부와, 상기 좌대합체부의 측면으로 관통되어 체결정도에 따라 선단이 전, 후 이동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선단으로 좌대합체부에 수용되는 좌대조립체를 가압하는 가압판으로 이루어지는 합체구를 구성하여 좌대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를 계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 하부가 각각 개방되며 개방되는 측으로 상기 좌대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의 일측을 각각 상, 하 방향으로 수용하는 끼움부가 형성되는 끼움구를 구성하여 좌대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를 계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좌대는, 좌판을 이루는 좌대조립체가 좌대연결구에 수용되어 설치됨으로써 그 구조가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며 좌대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수용되는 지지대고정홈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낚시용좌대의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하여 이동이 자유로우면서도 지면에서 설치 시 지지대가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되어 낚시용좌대의 지지구조가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대를 상부, 중간, 하부지지대로 분리구성하여 지지대의 높낮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높낮이조절이 간편하며 지형에 구애받지 않고 낚시용좌대의 설치가 가능하여 어류가 다수 서식하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어 안전한 낚시작업이 이루어지면서도 어류의 포획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대연결구에 연결된 좌대조립체를 합체구와 끼움구를 통하여 연결설치되기 때문에, 낚시용좌대의 가용공간이 늘어나 보다 여유로운 낚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체하중이 높아져 강풍 등의 자연적 현상에 대비가 가능하며 흔들림이 없어 안정적인 낚시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낚시용좌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좌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통상적인 낚시용좌대는 호수나 강의 인근에 설치되어 낚시용품의 적치 또는 낚시대의 설치 및 낚시인력이 편안하게 착좌한 상태에서 낚시작업을 도모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낚시용좌대는 낚시용품 및 낚시인력이 착좌할 수 있는 좌판과, 상기 좌판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체의 형태로 개별 구성되며, 더 자세히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로 이루어져 좌판의 외형을 이루는 좌대조립체(10)와, 상기 좌대조립체(10)의 단부를 수용하여 좌판의 외형프레임 형태로 구성하는 좌대연결구(20)와, 상기 좌대조립체(10)에 안착되어 좌판의 형태를 완성하는 보강체(15)와, 상기 좌대조립체(10)에 설치되는 지지대고정구(40)와, 상기 지지대고정구(40)에 삽입되어 지면에서 좌대조립체(10)를 지지하는 지지대(30)로 대분 구성된다.
좌대조립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는 파이프로 이루어져 각 단부가 접지되어 낚시인력의 착좌 및 낚시용품을 적치할 수 있는 좌판의 외형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좌대연결구(20)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조립체(10)의 단부를 수 용하여 좌판의 외형프레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좌대연결구(20)의 후부 양측으로는 좌대조립체(10)의 단부를 양측으로 각각 수용하여 좌대조립체(10)의 단부를 상호 접지할 수 있는 좌대수용홈(23)이 구성되며 상기 좌대수용홈(23)의 하부는 일부 개방되어 개방된 측으로 좌대수용홈(23)에 수용된 좌대조립체(10)의 단부를 용접작업 등을 통해 접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좌대연결구(20)의 전방으로는 돌출 구성되되 상부로 나사형태로 이루어져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걸이대(25)가 구성되어 걸이대(25)로 하여금 줄이나 끈을 걸고 체결부재와 체결하여 걸린 줄이나 끈을 고정할 수 있어 좌판상으로 천막이나 텐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안락한 환경에서 낚시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보강체(15)는 상기 좌대조립체(10)가 좌대연결구(20)에 의해 좌판 형태의 프레임이 완성되면 좌대조립체(10)의 상측에 안착하여 좌판의 형태를 완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강체(15)는 통상의 볼트 및 리벳 체결 등을 통해 좌대조립체(10)에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대고정구(4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조립체(10), 좌대연결구(20), 보강체(15)를 통해 좌판의 형태가 완성되면 좌판을 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대(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좌대조립체(10)의 전, 후방의 양측에 설치되며 수직의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지지대고정홈(42)이 형성된다.
지지대(30)는 좌판을 지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대고정홈(42)에 관통 구성되어 좌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사선방향으로 경 사진 형태의 지지대고정홈(42)에 의해 지지대(30)가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지면에서 좌판를 지지함으로써 좌판의 지지구조를 견고히 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고정구(40)와 지지대(30)를 통해 지지대(30)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중간지지대(35), 상부지지대(31), 하부지지대(37)로 구분구성되며, 중간지지대(35)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상, 하측으로 상부지지대(31)와 하부지지대(37)의 일부가 관통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지지대(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지지대(35)는 상, 하 외측으로 다수개의 고정홈(36)을 이격구성하여 상, 하부지지대(31, 37)가 이동되어 지지대(30)의 전체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홈(36)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상부지지대(31)는 중간지지대(35)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중간지지대(35)의 상측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 하 이동되며 하부에는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는 탄성고정부(31a)가 구성되어 상부지지대(31)가 중간지지대(35)에서 수용된 상태로 고정하고자하는 위치로 이동 후에 탄성고정부(31a)가 중간지지대(35)의 상측에 구성된 다수개의 고정홈(36)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됨으로써 중간지지대(35)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부지지대(31)의 최상측으로 지지대고정구(40)에 형성된 지지대고정홈(42)에 걸림되는 걸림부(33)를 구성하여 지지대(30)가 지지대고정구(40)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지지대(31)의 상부 외측으로 수직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되는 래크(32)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지지대고정구(40)의 치합부(43)와 치합이 이루어져 지지대고정구(40)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하부지지대(37)는 중간지지대(35)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중간지지대(35)의 하측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 하 이동되며 상부에는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는 탄성고정부(37a)가 구성되어 하부지지대(37)가 중간지지대(35)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하고자하는 위치로 이동 후에 탄성고정부(37a)가 중간지지대(35)의 하측에 구성된 다수개의 고정홈(36)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됨으로써 중간지지대(35)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고정구(40)는 도 7(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된 지지대(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측방향에서 관통되어 지지대고정홈(42)으로 연장되며 측단부로 걸림턱(49)이 형성되는 수평홈(40h)이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고정홈(42)으로 연장되는 수평홈(40h)을 통해 지지대고정홈(42)에 수용되는 지지대(3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고정구(40)는 좌대조립체(1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되어 좌대조립체(10)를 수용하는 좌대고정부(41)가 포함되며 상기 좌대고정부(41)는 별도의 체결장치 없이 좌대조립체(10)에 수용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좌대조립체(10)와 억지끼움될 수 있는 길이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홈(40h)의 내부에서 전, 후 이동되며 지지대고정홈(42)에 수용된 상부지지대(31)의 래크(32)와 치합하여 지지대(30)를 고정하는 치합부(43)가 구성 된다.
상기 치합부(43)의 후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심재부(44)가 구성된다.
상기 심재부(44)의 후측 단부로 손으로 파지 가능한 파지부(45)가 구성되어 파지부(45)를 통해 전진 또는 후진하면 수평홈(40h) 내에서 심재부(44)와 치합부(43)는 파지부(45)와 연동하여 전, 후진이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치합부(43)를 래크(32)와 치합되어 지지대(3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수평홈(40h)의 외측부와 볼트 체결되며 중앙으로 수평홈(40h)에 삽입되어 심재부(44)가 전, 후 이동되도록 심재부(44)를 수용하는 체결부(47)가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47)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치합부(43)의 후부와 수평홈(40h)의 걸림턱(49)에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치합부(43)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치합부(43)를 지지대고정홈(42) 방향으로 탄성시키는 탄성부(46)가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45)를 통해 치합부(43)를 후진시켜 지지대(30)를 지지대고정구(40)와 분리한 후 상, 하부 지지대(31, 37)를 중간지지대(35) 내에서 이동하고 탄성고정부(31a, 37a)를 고정홈(36)에 돌출하여 대략적인 지지대(30)의 높이조절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대략적인 지지대(30)의 높이작업이 완료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0)는 지면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대고정구(40)와 지지대고정구(40)가 설치된 좌대조립체(10)를 미세하게 이동시켜 지지대(3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좌대조립체(10)의 이동이 완료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당긴 파지부(45)를 놓으면 탄성부(46)의 탄성력에 의해 치합부(43)는 수평홈(40h) 내에서 지지대고정홈(42)의 방향으로 탄성됨으로써 치합부(43)가 래크(32)와 치합되어 지지대고정구(40)에서 지지대(30)가 고정이 이루어지며 지지대(30)의 높이조절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지지대(35), 상부지지대(31), 하부지지대(37)로 구분되는 구조의 지지대(30) 및 치합부(43)와 래크(32) 구조를 통한 높이조절작업에 의해 지지대(30)의 높이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좌대조립체(10)에 설치된 각각의 지지대(30)가 개별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험준한 지대에서도 낚시용좌대가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지지대(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지지대(31)와 하부지지대(37)가 각각 중간지지대(35)에서 이동됨으로써 하부지지대(37)는 지면에서 고정한 채 상부지지대(31)만을 이동하여 지지대(30)의 높이조절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치합부(43)와 래크(32)는 나사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탄성부(46)의 탄성력을 줄여주어 파지부(45)를 통해 치합부(43)를 후진하지 않아도 나사구조를 통해 미는 힘이 크면 래크(32)가 치합부(43)에서 이동 가능하여 지지대(30)의 높이조절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대(37)의 하측으로 고정뭉치(39)를 체결하여 좌대를 지지하는 지지대(30)의 고정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다.
우선 하부지지대(37)가 상기 고정뭉치(39)와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지지대(37) 하부 내측으로 너트(38)가 삽입고정한다.
상기 고정뭉치(39)는 하부지지대(37)의 하측에 구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개방된 하부의 외부면이 굴곡된 형태의 굴곡부(39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뭉치(39)의 내부 상측으로 너트(38)와 체결되는 볼트(39b)가 구성되며 볼트(39b)의 헤드는 고정뭉치(39) 내에 걸림되고 볼트(39b)의 선단부가 하부지지대(37)에 구성된 너트(38)와 체결됨으로써 하부지지대(37)와 고정뭉치(39)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뭉치(39)를 통해 지면에 마찰되는 고정뭉치(39)의 하부의 굴곡부(39a)에 의해 지면에서의 슬라이딩이 방지되어 지면에서의 지지구조를 견고히 할 수 있으면서도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인해 진흙이 쌓인 개펄이나 자갈이나 흙이 많은 호수나 강의 인근에 설치 시에 개방된 고정뭉치(39)의 개방측으로 진흙 및 자갈이 충진되어 설치구조가 견고하여 지지대(30)가 지면에서 안전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좌대연결구(20)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10)를 상호 연결하여 좌판의 공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좌대연결구(20)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10)를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좌대조립체(10)를 상호 접지한 뒤 접지된 좌대조립체(10)를 각각 힌지체결하여 좌대조립체(10) 간의 힌지작용을 도모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힌지(60)를 구성한다.
상기 힌지체결된 복수의 좌대조립체(10)를 펴진 상태로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합체구(50)가 구성된다.
상기 합체구(50)는 도 10(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되며 개방되는 측으로 상기 힌지체결된 좌대조립체(10)의 일측을 각각 수용하는 좌대합체부(51)가 구성되며 상기 좌대합체부(51)는 수용되는 복수의 좌대조립체(10)의 폭보다 약간 더 넓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가압판(54)으로 인해 수용된 상태에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대합체부(51)의 측면으로 관통되어 손으로 파지하여 손으로 회전작용의 의한 체결정도에 따라 선단이 전, 후 이동되는 노브(53)가 구성된다.
상기 노브(53)의 선단으로 노브(53)의 체결정도에 따라 선단이 전, 후 이동에 따라 좌대합체부(51)에 수용되는 좌대조립체(10)를 가압하는 가압판(54)이 더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대연결구(20)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10)를 더 형성하여 좌판의 넓이를 넓힐 수 있으면서도 상기 좌대조립체(10)를 힌지체결하는 힌지(60) 및 좌대조립체(10)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합체구(50)를 통해 좌대조립체(10)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합체구(50)와는 별도로 좌대연결구(20)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좌대조립체(10)를 상호 고정하는 끼움구(70)가 구성된다.
상기 끼움구(70)는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가 각각 개방되며 개방되는 측으로 상기 좌대연결구(20)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10)의 일측을 각각 상, 하 방향으로 수용하는 끼움부(73)가 형성되는 끼움구(70)를 구성하여 좌대연결구(20)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10)를 계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 록 구성한다.
상기 끼움부(73)는 폭은 좌대조립체(10)를 고정하는 별도의 체결장치 없이 좌대조립체(10)가 끼움되기 때문에 좌대조립체(10)가 억지끼움될 수 있는 길이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합체구(50) 및 끼움구(70)를 통해 좌대연결구를 통해 좌판의 외형을 이루는 좌대조립체(10)가 계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좌판의 공간이 연장되어 보다 안전한 낚시작업이 이루어지며 자체하중이 커져 강풍 등의 외력에 의해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합체구(50) 및 끼움구(70)을 통해 좌판의 공간이 연장되면 연장되는만큼 지지대(30)와 지지대고정구(40)를 더 설치하거나 연장되는 좌판의 단부로 지지대(30) 및 지지대고정구(40)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좌판을 형성하는 좌대조립체(10)의 단부측으로 가용공간을 연장할 수 있는 연장프레임(80)이 더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프레임(80)은 상기 좌대연결구(20)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10)의 일측에 상부로 합판을 안착할 수 있는 연장프레임(80)을 접지구성하고 상기 접지된 연장프레임(80)과 좌대조립체(10)를 끼움구(70)로 고정하여 구성되어 좌판의 단부에 형성되는 낚시대받침구의 설치 및 기타 낚시도구를 적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연결구(20)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10)와 보강판(15) 사이로 연질의 완충부(13)를 구성하여 좌대조립체(10)에서 발 생되는 진동을 완화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좌대조립체(10)와 보강판(15)의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한다.
또한 상기 보강판(15)의 상부면으로 논슬립테이프를 접착하여 낚시인원이 좌판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조립체(10)의 표면으로 다수개의 홈부(10h)를 구성하고, 상기 좌대조립체(10) 내부에서 전,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수용되어 다수개의 홈부(10h)로 탄성 돌출되는 고정구(11a)가 구성되는 속파이프(11)를 구성하여, 상기 속파이프(11)가 좌대조립체(10)에서 돌출될 때 속파이프(11)의 상측으로 합판을 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좌판의 가용공간을 넓혀주어 낚시용품을 적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체결된 절첩되는 복수의 좌대조립체(10)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힌지(60)에 의해 힌지체결된 복수의 좌대조립체(10) 중 어느 하나의 좌대조립체(10)에 길이방향으로 파지끈(90)을 형성한다.
상기 파지끈(90)의 단부로는 파지끈(90)과 접지되는 접지판(91)이 구성되고 상기 접지판(91)의 일측으로 파지볼트(92)가 체결 구성되어 접지판과 좌대조립체(10)와 체결됨으로써 좌대조립체(10)에 연결끈이 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좌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좌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좌대조립체가 좌대연결구에 의해 조립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대연결구의 바람직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지지대와 체결되는 고정뭉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 (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고정구의 바람직한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a), (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고정구가 지지대를 고정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체구 및 힌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a), (b)는 본 발명에 따른 합체구로 인해 좌대조립체가 고정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구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구가 좌대조립체를 수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장프레임이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좌대조립체에 속파이프가 돌출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조립체에 파지끈이 형성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좌대조립체 20 : 좌대연결구
30 : 지지대 39 : 고정뭉치
40 : 지지대고정구 50 : 합체구
60: 힌지 70 : 끼움구
80 : 연장프레임 90 : 파지끈

Claims (9)

  1. 낚시용좌대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되는 파이프로 이루어져 각 단부가 프레임의 형태로 접지된는 좌대조립체(10)가 구성되고,
    상기 좌대조립체(10)의 단부를 양측으로 각각 수용하여 좌대조립체(10)의 단부를 상호 접지하는 좌대수용홈(23) 및 전방으로 줄이나 끈을 걸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 구성되되, 상부로 나사형태로 이루어져 체결부재와 체결되어 걸린 줄이나 끈을 고정할 수 있는 걸이대(25)가 포함되는 좌대연결구(20)와,
    상기 좌대조립체(10)의 상측으로 안착되는 보강체(15)와,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지지대고정홈(42)이 형성되어 상기 좌대조립체(10)의 전, 후방의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대고정구(40)와,
    상기 지지대고정홈(42)에 관통 구성되어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좌대연결구(20)에 연결된 좌대조립체(1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30)가 포함되는 낚시용좌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상, 하 외측으로 다수개의 고정홈(36)이 이격구성되는 중간지지대(35)와,
    상기 중간지지대(35)의 상측에서 상, 하 이동되도록 수용되되, 하부에는 탄 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중간지지대(35)의 고정홈(36)에 고정되는 탄성고정부(31a)가 형성되고 최상측으로 지지대고정홈(42)에 걸림되는 걸림부(33)가 형성되고 상부 외측으로 수직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되는 래크(32)가 구성되는 상부지지대(31)와,
    상기 중간지지대(35)의 하측에서 이동되도록 수용되되, 상부에는 돌출되도록 탄성되어 중간지지대(35)의 고정홈(36)에서 돌출됨으로써 중간지지대(35)와 고정되는 탄성고정부(37a)가 구성되는 하부지지대(37)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고정구(40)는 측방향에서 관통되어 지지대고정홈(42)으로 연장되며 측단부로 걸림턱(49)이 형성되는 수평홈(40h)과,
    좌대조립체(10)를 수용하도록 하측이 개방되는 좌대고정부(41)와,
    상기 수평홈(40h)의 내부에서 전, 후 이동되어 지지대고정홈(42)에 수용된 래크(32)와 치합하는 치합부(43)와,
    상기 치합부(43)의 후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심재부(44)와,
    상기 심재부(44)의 후측 단부로 손으로 파지 가능한 파지부(45)와,
    상기 수평홈(40h)의 외측부와 볼트 체결되며 중앙으로 수평홈(40h)에 삽입되어 심재부(44)가 전, 후 이동되도록 심재부(44)를 수용하는 체결부(47)와,
    상기 체결부(47)의 외주연에 구성되어 치합부(43)의 후부와 수평홈(40h)의 걸림턱(49)에 연장되어 치합부(43)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46)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되는 낚시용좌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37) 하부 내측으로 삽입고정되는 너트(38)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지지대(37)의 하측으로 하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하부면이 굴곡된 형태의 굴곡부(39a)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너트(38)와 체결되는 볼트(39b)가 돌출 구성되는 고정뭉치(39)를 구성하여 하부지지대(37)와 고정뭉치(39)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좌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연결구(20)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좌대조립체(10) 중 일측의 좌대조립체(10)를 각각 힌지체결하여 좌대조립체(10) 간의 힌지작용을 도모하는 힌지(60)가 구성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힌지체결된 좌대조립체(10)가 각각 수용되는 좌대합체부(51)와,
    상기 좌대합체부(51)의 측면으로 관통되어 체결정도에 따라 선단이 전, 후 이동되는 노브(53)와,
    상기 노브(53)의 선단으로 좌대합체부(51)에 수용되는 좌대조립체(10)를 가압하는 가압판(54)으로 이루어지는 합체구(50)를 구성하여 좌대연결구(20)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10)를 계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좌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 하부가 각각 개방되어 상기 좌대연결구(20)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10)의 일측을 각각 상, 하 방향으로 수용하는 끼움부(73)가 형성되는 끼움구(70)를 구성하여 좌대연결구(20)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10)를 계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좌대.
  6. 제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연결구(20)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10)의 일측에 상부로 합판을 안착할 수 있는 연장프레임(80)을 접지구성하고 상기 접지된 연장프레임(80)과 좌대조립체(10)를 끼움구(70)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좌대.
  7. 제1항에 있어서,
    좌대연결구(20)에 의해 연결된 좌대조립체(10)와 보강판(15) 사이로 연질의 완충부(13)를 구성하고,
    상기 보강판(15)의 상부면으로 논슬립테이프를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좌대.
  8. 제1항에 있어서,
    좌대조립체(10)의 표면으로 다수개의 홈부(10h)를 구성하고,
    상기 좌대조립체(10) 내부에서 전,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수용되어 다수개의 홈부(10h)로 탄성 돌출되는 고정구(11a)가 구성되는 속파이프(11)를 구성하여, 상 기 속파이프(11)가 좌대조립체(10)에서 돌출될 때 속파이프(11)의 상측으로 합판을 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좌대.
  9. 제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60)에 의해 힌지체결된 복수의 좌대조립체(10) 중 어느 하나의 좌대조립체의 길이방향으로 파지끈(90)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끈(90)의 단부로는 파지끈(90)과 접지되는 접지판(91)이 구성되고, 상기 접지판(91)의 일측으로 파지볼트(92)가 체결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낚시용좌대.
KR1020090100959A 2009-10-23 2009-10-23 낚시용좌대 KR20110044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959A KR20110044342A (ko) 2009-10-23 2009-10-23 낚시용좌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959A KR20110044342A (ko) 2009-10-23 2009-10-23 낚시용좌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342A true KR20110044342A (ko) 2011-04-29

Family

ID=4404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959A KR20110044342A (ko) 2009-10-23 2009-10-23 낚시용좌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43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00B1 (ko) * 2015-05-11 2016-11-09 권해경 레저 테이블
KR20190000044U (ko) 2017-06-27 2019-01-04 정태영 낚시좌대의 보강장치
KR102182913B1 (ko) * 2019-07-02 2020-11-25 손원일 낚시용 좌대의 높낮이 조절식 다리 조립체
KR20220146893A (ko) 2021-04-26 2022-11-02 이상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00B1 (ko) * 2015-05-11 2016-11-09 권해경 레저 테이블
KR20190000044U (ko) 2017-06-27 2019-01-04 정태영 낚시좌대의 보강장치
KR102182913B1 (ko) * 2019-07-02 2020-11-25 손원일 낚시용 좌대의 높낮이 조절식 다리 조립체
KR20220146893A (ko) 2021-04-26 2022-11-02 이상규 낚시용 좌대의 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9990B1 (en) Holder for an elongate device
US5954391A (en) Stable three legged folding chair
KR20110044342A (ko) 낚시용좌대
CA2331048A1 (en) Fishing rod holder apparatus
US9776576B1 (en) Hammock and chair support systems
US20110154714A1 (en) Holder for a fishing rod
KR101378553B1 (ko) 경사형 낚시용 좌대
US5269395A (en) Portable tree mounted seat
WO2011096828A1 (en) Locking mechanism for straining post assemblies
KR100792228B1 (ko) 낚싯대용 받침대
US7229130B1 (en) Vehicle hitch adaptor and seat assembly
US20200154961A1 (en) Mountable toilet system and method
US8028463B2 (en) Fishing pole holder
KR100573606B1 (ko) 낚시의자 일체형 받침대 장착기구
JP2007000134A (ja) 防波堤用の竿保持具
KR101207546B1 (ko) 낚시용 의자에 고정되는 낚싯대 홀더 고정장치
KR200327124Y1 (ko) 낚싯대 받침구
KR20090035334A (ko) 낚싯대용 받침대
KR20210007333A (ko) 낚시용 좌대
KR200437820Y1 (ko) 바다낚시 받침대.
KR20200081793A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유닛
KR102466527B1 (ko) 폴딩타입 좌대를 갖는 낚시의자
CN103988823B (zh) 一种多功能钓鱼架
KR20220050603A (ko) 낚시용 좌대
KR20190057492A (ko) 회전의자가 구비된 접철식 낚시좌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