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544A - 음향장치 및 그 자기회로조립체 - Google Patents

음향장치 및 그 자기회로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544A
KR20220146544A KR1020227032921A KR20227032921A KR20220146544A KR 20220146544 A KR20220146544 A KR 20220146544A KR 1020227032921 A KR1020227032921 A KR 1020227032921A KR 20227032921 A KR20227032921 A KR 20227032921A KR 20220146544 A KR20220146544 A KR 20220146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element
circuit assembly
magnetic circui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9489B1 (ko
Inventor
리웨이 왕
레이 장
풍운 랴오
신 치
준지앙 푸
슈아이린 시에
차오우 리
Original Assignee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1689802.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2851008U/zh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4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7Suspension between moving magnetic core and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Abstract

본 개시는 음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음향장치는 제1 수용캐비티를 포함하는 셸; 및 상기 제1 수용캐비티 내에 설치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 음성코일, 진동조립체, 및 진동전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자기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음성코일의 일단은 상기 자기갭 내에 설치되고, 상기 음성코일의 다른 일단은 상기 진동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조립체는 상기 진동전도판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전도판은 상기 셸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장치 및 그 자기회로조립체
관련 출원과의 교차참고 설명
본 출원은 중국 특허출원(출원번호:202010358223.0, 출원일자: 2020년4월 29일), 중국 특허출원(출원번호:202021689802.5, 출원일자: 2020년 8월 12일)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선출원들의 내용은 참고하여 본 출원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는 음향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골전도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전도는 소리전도 방식으로서, 소리를 상이한 주파수의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고, 소리를 사람 골격 및 조직(예를 들면 두개골, 골미로, 내이 림프액, 나선기관, 청각신경, 청각중추)을 통해 전도할 수 있다. 골전도 음향장치(예를 들면 골전도 헤드셋)는 뼈에 달라붙어 골전도 기술을 통해 음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음파는 직접 골격을 통해 청각신경에 전도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귀를 개방하고 고막을 상하지 않는다. 골전도 기술은 다양한 상황, 예를 들면 보청기에 광법위하게 응용될 수 있다. 골전도 음향장치의 발성 품질이 유저의 체험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음질 개선은 특히 골전도 음향장치에 있어서 중요하다.
본 개시는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음향장치는 제1 수용캐비티를 포함하는 셸; 및 상기 제1 수용캐비티 내에 설치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 음성코일, 진동조립체, 및 진동전도판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자기갭을 형성하고, 상기 음성코일의 일단은 상기 자기갭 내에 설치되고, 상기 음성코일의 다른 일단은 상기 진동전도조립체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조립체는 상기 진동전도판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전도판은 상기 셸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조립체는 내부 지지부재, 외부 지지부재, 및 진동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코일의 다른 일단은 내부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음성코일의 일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양측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진동막은 상기 내부 지지부재 및 상기 외부 지지부재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 지지부재 및 상기 외부 지지부재의 제1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수용캐비티의 반지름방향이고, 상기 내부 지지부재, 상기 외부 지지부재, 또는 상기 진동막 중 적어도 하나는 진동전도판에 연결되어 진동을 상기 진동전도판에 전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외부 지지부재 및 상기 내부 지지부재는 상기 진동막에 가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 지지부재 및 상기 내부 지지부재의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지지부재 및 상기 진동막이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외부 지지부재에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내부 지지부재 및 상기 외부 지지부재의 연장방향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1 돌출기둥은 상기 외부 지지부재의 다른 일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막은 제1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돌출기둥은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상기 진동막에 가동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내부 지지부재의 일단은 제2 돌출기둥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진동막은 제2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돌출기둥은 상기 제2 관통홀을 통해 상기 진동막에 가동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피커는 탄성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진동전도판과 상기 내부 지지부재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내부 지지부재의 진동을 완화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돌출기둥은 제1 기둥부와 상기 제1 기둥부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제2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둥부는 상기 제1 기둥부 상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둥부는 상기 제2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둥부는 상기 진동전도판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는 제3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제3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 기둥부에 덮여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둥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장치는 보호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호소자는 접촉부, 수용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수용부는 제2 수용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진동전도판은 상기 제2 수용캐비티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진동전도판의 외단면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는 제2 수용캐비티에 연결되며 상기 셸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셸의 내벽에는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형지지부 및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는 자기소자세트와 자기전도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기전도커버는 커버 밑면, 커버 측면, 및 원기둥형홈을 포함하고, 상기 원기둥형홈은 상기 커버 밑면과 상기 커버 측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자기소자세트는 상기 원기둥형홈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자기전도커버와의 사이에 상기 자기갭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장치는 상기 자기소자세트를 상기 커버 밑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차례로 상기 자기소자세트를 통과하고 상기 커버 밑면을 통과하여 스크류 연결을 통해 상기 자기소자세트와 상기 커버 밑면을 고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내부 지지부재는 덮개 슬롯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자기소자세트의 일부분은 부분적으로 상기 덮개 슬롯내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지지부재는 원기둥형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회로조립체 및제2 자기회로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를 에워싸서 상기 자기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소자 및 제2 자기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에 의해 생성되는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 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기장 강도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150°와 180° 사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전부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수직이 되거나 평행하게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제3 자기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제3 자기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를 에워쌀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과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의 연결면에 수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3 자기소자의 자화방향과 상기 제1 자기소자 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60°와 120° 사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3 자기소자의 자화방향과 상기 제1 자기소자 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0°와 30° 사이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자기회로조립체는는 제1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제2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를 에워쌀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과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의 연결면에 수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를 에워쌀 수 있고, 상기 제1 자기소자는 상기 제2 자기소자를 에워쌀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의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의 하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회로조립체와 제2 자기회로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를 에워싸서 상기 자기갭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를 에워싸고,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중심구역으로부터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외측구역을 가리키거나, 또는 상기 제1자기소자의 외측구역으로부터 상기 제1 자기소자를 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와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를 에워싸서 상기 자기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2 자기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제2 자기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를 에워쌀 수 있고,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중심구역으로부터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외측구역을 가리키거나 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외측구역으로부터 상기 제1 자기소자를 가리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외환(outer ring)으로부터 상기 제2 자기소자의 내환(inner ring)을 가리키거나, 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외환으로부터 상기 제2 자기소자의 내환을 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추가적인 특징들은 아래의 설명에서 해석될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본 개시의 일부 추가적인 특징들은 상기 실시예들의 제조 또는 조작을 이해하거나 아래의 설명과 상응한 도면들을 체크하므로써 명확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도면들은 본 개시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개시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과 설명은 단지 해석을 위한 것뿐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으로 여겨서는 안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조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2에서의 음향장치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3a에서의 음향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c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3a에서의 상기 음향장치의 진동막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음향장치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기전도 음향장치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6 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8 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10 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12 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도14 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도16 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에 따른 도18 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에 따른 도 20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에 따른 도 22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에 따른 도 24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에 따른 도 26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에 따른 도 28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1은 본 개시에 따른 도 30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3은 본 개시에 따른 도 32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5는 본 개시에 따른 도 34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7은 본 개시에 따른 도 36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9는 본 개시에 따른 도 38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1은 본 개시에 따른 도 40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3은 본 개시에 따른 도 42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5는 본 개시에 따른 도 44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7은 본 개시에 따른 도 46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9는 본 개시에 따른 도 48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1은 본 개시에 따른 도 50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3은 본 개시에 따른 도 52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5는 본 개시에 따른 도 54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7은 본 개시에 따른 도 56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소자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소자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소자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4는 본 개시에 따른 도 63과 도 56에 표시하는 자기회로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피커의 주파수 반응곡선의 비교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기술안을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예 또는 실시예임이 명확하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창조적 노력을 더하지 않고 이러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개시를 다른 유사한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단지 본 분야의 기술자들이 본 개시를 더 잘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고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문맥에서 명확히 또는 특별히 설명하지 아니한 한 도면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조나 동작을 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 "하나", "일" 및 "상기"는 문맥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도 포함함을 의도로 할 수 있다. 본 설명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 및 "함유"는 명시된 동작과 소자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과 소자의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용어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를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다른 용어들에 대한 관련 정의는 아래의 설명에서 제공한다.
아래에서는, 일반성을 잃지 않는 상황에서, "골전도 스피커" 또는 "골전도 헤드셋"은 본 개시의 기술에 관련된 골전도를 설명할 때 사용된다. 이 설명은 단지 골전도 응용의 하나의 형식이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스피커" 또는 "헤드셋"은 다른 유사한 단어, 이를테면 "플레이어", "보청기" 등과 같은 단어로 대체될 수 있다. 사실상, 본 개시의 다양한 구현방식은 다른 비스피커 유형의 청각 디바이스에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골전도 스피커의 기본 원리를 장악한 후, 이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골전도 스피커를 구현하는 구체적인 수단과 절차의 형식이나 세부사항에 대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골전도 스피커에 주변 소리 픽업 및 처리 기능을 추가하여 골전도 스피커가 보청기의 작용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는 유저/착용자 주변 환경의 소리를 픽업할 수 있다. 특정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된 소리(또는 생성된 신호)는 골전도 스피커에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골전도 스피커는 수정되어 환경속의 소리를 픽업하고 특정된 신호처리 후 골전도 스피커를 통해 상기 유저/착용자에게 전도하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골전도 보청기 기능을 얻 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기서 언급된 알고리즘은 소음 제거, 자동 게인 제어, 소리 피드백 억제, 대폭 동적범위 압축, 능동적 환경 식별, 능동적 소음 저항, 방향 처리, 이명 처리, 다중채널 대폭 동적범위 압축, 능동적 울림 억제, 음량 제어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음향장치는 음향출력 능력을 구비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장치는 보청기, 듣기 팔찌, 헤드폰, 스피커, 스마트 안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청기는 청각 장애인의 잔여 청각에 근거하여 최초에는 듣기지 않는 소리를 확대하고, 그 소리를 대뇌의 청각 중추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작은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보청기는 귓구멍을 이용해 소리를 전도할 수 있다. 그러나, 청각 장애인의 저주파수가 빈약하거나 전체적 청각 손실이 큰 경우, 귓구멍을 통한 소리의 전송 방식은 청각 장애인의 청각 효과의 개선에 있어서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장치는 골전도 헤드폰을 포함할 수 있다. 골전도 헤드폰은 오디오를 상이한 주파수를 가지는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고, 사람 골격을 기계적 진동의 전송 매체로 사용하여 기계적 진동을 청각 신경에 전도할 수 있다. 이 방식을 통해, 유저는 귀의 외이도와 고막을 통과하지 않고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장치(100)(예를 들면 골전도 스피커, 골전도 헤드폰, 등)은 자기회로조립체(102), 진동조립체(104), 지지조립체(106), 및 스토리지조립체(108)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회로조립체(102)는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자기장은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진동신호로 변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소리정보는 특정된 격식을 가지는 비디오, 오디오 파일, 또는 특정된 방식을 통해 소리로 변환될 수 있는 데이터 또는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상기 음향장치(100) 자체의 스토리지조립체(108)로부터 오거나, 또는 정보 생성, 스토리지, 또는 음향장치(100) 외부의 전송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 올 수 있다.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전기신호, 광신호, 자기신호, 기계신호, 또는 이와 유사한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단일 신호원 또는 복수의 신호원으로부터 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신호원은 연관되거나 연관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음향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유선 연결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또는 지연되어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음향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직접 상기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면 상기 스토리지조립체(108))로부터 데이터를 얻어 상기 소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골전도 보청기는 소리수집 기능을 구비하는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속에서 소리를 픽업하고, 상기 소리의 기계적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므로써, 증폭기를 통해 처리한 후 특정된 요구에 맞는 전기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선 연결은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 통신 케이블, 소프트 케이블, 나선형 케이블, 비금속 피복 케이블, 금속 피복 케이블, 멀티코어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리본 케이블, 실드 케이블, 원격통신 케이블, 이중 케이블, 이중 리드 케이블 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금속 케이블, 광 케이블, 또는 금속 케이블과 광 케이블의 혼합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유선 연결의 매체는 전기 신호 또는 광 신호의 기타 전송 캐리어와 같은 기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연결은 무선 통신, 자유공간 광통신, 소리통신, 및 전자기 유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IEEE802.11 계열 표준, IEEE802.15 계열 표준(예를 들면, 블루투스 기술과 지그비 기술, 등.), 제1세대 이동통신기술, 제2세대 이동통신기술(예를 들면 FDMA, TDMA, SDMA, CDMA, 및 SSMA, 등.), 일반 패킷 라오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기술, 제3세대 이동통신기술(예를 들면 CDMA2000, WCDMA, TD-SCDMA, 및 WIMAX, 등.), 제4세대 이동통신기술(예를 들면 TD-LTE 및 FDD-LTE, 등.), 위성통신(예를 들면 GPS 기술, 등.), 근거리 통신(NFC), 및 ISM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2.4 GHz, 등.)에서 운용하는 다른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유공간 광통신은 가시광선, 적외선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통신은 음파, 초음파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유도는 근거리 통신기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유선 연결의 매체는 예를 들면 Z파 기술, 기타 재충전 가능한 민간 무선 주파수대역 및 군용 무선 주파수대역 등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기술의 일부 응용 상황으로써, 상기 음향장치(100)는 블루투스 기술을 통해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다른 장치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진동조립체(104)는 기계적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의 생성은 에너지의 전송을 동반하며, 상기 음향장치(100)는 특정된 자기회로조립체(102)와 진동조립체(104)를 이용해 소리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변환과정은 다양한 상이한 유형의 에너지의 공존과 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기신호는 변환기를 통해 직접 상기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되어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소리정보는 광 신호에 포함될 수 있으며, 특정된 변환기는 상기 광신호로부터 진동신호로의 변환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변환기의 작동과정에서 공존하고 변환될 수 있는 기타 에너지 유형은 열 에너지, 자기장 에너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기의 에너지 변환 방식은 가동 코일 방식, 정전 방식, 압전 방식, 가동 철편 방식, 기압 방식, 전자기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100)의 상기 주파수 반응 범위와 음질은 상기 진동조립체(104)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동코일 변환기에서, 상기 진동조립체(104)는 감긴 기둥형 음성코일과 진동체(예를 들면 진동판 또는 진동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둥형 음성코일은 상기 진동체를 진동시켜 상기 자기장에서 상기 신호 전류의 영향하에 소리를 내게 할 수 있다. 상기 진동체 재료의 팽창과 수축, 주름 변형, 크기, 형상과 고정방식, 자기장의 자기 밀도, 등은 상기 음향장치(100)의 음질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진동조립체(104)의 진동체는 거울대칭구조, 중심대칭구조, 또는 비대칭구조일 수 있다. 상기 진동체는 불연속적인 홀모양구조를 가져서 상기 진동체가 큰 변위를 생성하도록 하며, 따라서 상기 스피커는 높은 민감도를 얻을 수 있고, 따라서 진동과 소리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진동체는 토러스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진동체에 중심을 향해 집중된 복수의 막대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막대의 수량은 2개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지조립체(106)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102), 상기 진동조립체(104)및/또는 상기 스토리지조립체(108)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조립체(106)는 하나 이상의 셸과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셸은 상기 자기회로조립체(102), 상기 진동조립체(104), 및/또는 상기 스토리지조립체(108)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는 상기 셸, 상기 자기회로조립체(102), 상기 진동조립체(104)및/또는 상기 스토리지조립체(108)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조립체(108)는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토리지조립체(108)는 하나 이상의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장치는 예를 들면 직접연결 스토리지, 네트워크연결 스토리지, 및 스토리지 구역 네트워크, 등 스토리지 시스템 상의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장치(솔리드 스테이트 하드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하이브리드 하드 디스크 등), 메카니컬 하드 디스크, USB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스틱, 메모리 카드(CF, SD 등), 기타 드라이버(CD, DVD, HD DVD, 블루레이 등), 랜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등 다양한 유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RAM은 10진수 카운터, 셀렉터 튜브, 딜레이 라인 메모리, 윌리엄스 튜브, 동적 랜덤 메모리(DRAM), 정적 랜덤 메모리(SRAM), 사이리스터 RAM(T-RAM), 제로 캐패시턴스 RAM(Z-RA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ROM은 자기 버블 메모리, 자기 버튼 라인 메모리, 필름 메모리, 자기 도금 와이어 메모리, 코어 엔트람프먼트(core entrapments), 드럼 메모리, CD-ROM, 하드 디스크, 테이프, 초기 NVRAM 비휘발성 메모리, 위상 변화 메모리, 자기 저항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비휘발성 S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전자 소거가능 다시쓰기가능 읽기전용 메모리,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램가능 열 ROM(programmable column ROMs), 화면상의 힙읽기 메모리, 플로팅 링크 게이트 랜덤 액세스 메모리, 나노 랜덤 액세스 메모리, 트랙 메모리, 가변저항 메모리 및 프로그래밍가능 금속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저장장치/저장유닛은 나열된 몇가지 예이며, 저장장치/저장유닛이 이용할 수 있는 저장장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향장치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유일하게 실현 가능한 실시예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물론,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음향장치의 기본 원리를 이해한 후, 그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음향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및 동작의 세부 사항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과 변경은 여전히 상술한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음향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소리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소리신호처리 알고리즘은 상기 소리 신호를 수정하고 강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기서 언급된 알고리즘은 소음 감소, 소리 피드백 억제, 대폭 동적범위 압축, 자동게인제어, 능동적 환경 식별, 능동적 소음 제거, 방향 처리, 이명 처리, 다중채널 대폭 동적범위 압축, 능동적 울림 억제, 음량 제어, 또는 기타 유사한 처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은 여전히 본 개시의 보호범위 내에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음향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센서, 예를 들면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속도 센서, 변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유저의 정보 또는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스토리지조립체(108)는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음향장치(1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장치(1)은 셸(11), 스피커조립체(12), 및 보호소자(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조립체(12)는 상기 셸(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소자(13)는 상기 스피커조립체(12)를 보호하기 위한 상기 셸(11)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셸(11)은 상기 스피커조립체(12)를 수용하는 수용캐비티(110)("제1 수용캐비티"라고도 한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스피커조립체(12)는 상기 수용캐비티(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수용캐비티(110)의 상기 개구단부(111)를 향한 상기 셸(11)의 측면은 상기 유저의 머리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조립체(12)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기계적 진동은 상기 개구단부(111)를 향한 상기 셸의 측면을 통해 상기 유저의 머리로 전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셸(11)의 내벽에는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112)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셸(11)의 내벽은 상기 셸의 상기 수용캐비티(110)의 내벽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112)은 상기 개구단부(111) 가까이 위치에서 상기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112)은 상기 스피커조립체(12) 상방에서 상기 셸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112)은 상기 보호소자(1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소자(13)를 상기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112)에 설치하므로써, 상기 보호소자(13)는 상기 개구단부(111)에 커버되거나 대체로 커버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상기 수용캐비티(110) 내에서 상기 스피커조립체(12)를 보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피커조립체(12)는 자기회로조립체(미도시), 음성코일(미도시), 진동조립체(미도시), 및 진동전도판(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자기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음성코일은 상기 자기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코일의 다른 단부는 상기 진동전도판(121)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진동조립체는 상기 진동전도판(121)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진동전도판(121)은 상기 셸(11)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음성코일은 상기 자기갭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자기장 내에서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에 의해 형성되고, 암페어힘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암페어힘은 상기 음성코일을 진동시키고, 상기 진동조립체를 구동하여 기계적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진동조립체는 상기 진동을 상기 진동전도판(121)에 전도하고, 상기 진동전도판(121)은 상기 진동을 상기 셸(11)에 전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셸(11)은 인체조직과 골격을 통해 진동을 청각신경에 전도하므로써, 상기 유저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전도판(121)과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셸(11)은 상기 진동조립체의 소자로 불리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 상기 음성코일, 상기 진동조립체는 상기 수용캐비티(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전도판(121)은 상기 진동조립체에 연결되고, 개구를 통해 상기 수용캐비티(1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진동전도판(121)을 상기 수용캐비티(110)의 외부로 노출함으로써, 상기 진동전도판(121)은 상기 유저의 머리에 더 접근할 수 있으며, 상기 노출된 진동전도판(121)의 진동은 빠르고 강력하게 유저의 골격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람 귀에 전도되는 상기 기계적 진동은 더 완전할 수 있으며 주파수 대역을 쉽게 손실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청각 장애자의 청각 효과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소자(13)는 상기 개구단부(111)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전도판(121)의 외단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보호소자(13)는 접촉부(131)(예를 들면, 상기 밑면), 수용부(132)(예를 들면, 상기 측벽), 및 지지부(133)(예를 들면, 고리형 지지부, 즉,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31)와 상기 수용부(132)는 수용캐비티(또는 제2 수용캐비티, 예를 들면, 원기둥형 수용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진동전도판(121)은 상기 제2 수용캐비티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31)는 상기 진동전도판(121)의 외단면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133)는 수용부(132)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셸(11) 위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전도판(121)의 외단면은 상기 수용캐비티(110)로부터 멀리 떨어거나 또는 상기 진동조립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면이다.
상기 보호소자(13)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보호소자(13)는 상기 개구단부(111)에 커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캐비티(11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진동전도판(121)은 상기 제2 수용캐비티내로 연장되며, 상기 접촉부(131) 및 상기 진동전도판(121)의 외단면에 접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지지부(133)는 상기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112)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보호소자(13)는 보호거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거즈의 망구조는 상기 스피커조립체(12)가 기계적 진동을 발생할 때 상기 수용캐비티(110) 내외의 공기가 서로 유통하게 하며, 따라서 상기 수용캐비티(110)의 내외의 기압차는 평형을 이루고, 따라서 상기 수용캐비티(110) 내의 공기 진동에 의해 생성되는 소리를 감소시키고 , 상기 진동전도판(121) 부근의 공기진동으로부터 생성되는 소리를 감쇠시키고, 누설음 현상을 감소시키므로써, 상기 음향장치(1)의 음질과 소리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지지부(133)와 상기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112) 사이의 연결 안정성을 개선함으로써,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장치(1)는 상부 덮개(14)(예를 들면, 고리형 덮개)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덮개(14)는 상기 지지부(133)를 상기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112)에 누를 수 있다. 이 방식을 통해, 상기 보호소자(13)는 상기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112)에 안정적으로 설치(또는 지지되어)되어 상기 지지부(133)가 떨어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덮개(14), 상기 지지부(133) 및 상기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의 위치관계와 지지구조를 고려하는 실시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2에서의 음향장치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3a에서의 음향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3c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3a에서의 상기 음향장치의 진동막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장치(300)는 셸(11)과 스피커조립체(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조립체(12)는 상기 셸(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조립체(12)는 진동전도판(121), 진동조립체,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 음성코일(1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3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 및 제2자기회로조립체(1232)(예를 들면, 자기전도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는 하나 이상의 자기소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2 자기회로조립체(1232)는 하나 이상의 자기소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소자는 상응한 자화방향을 가져 상대적으로 안정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기소자는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소자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소자는 단일 자석 또는 복수의 자석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1232)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가 생성한 자기장을 조절하는데 사용되어 상기 자기장의 이용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조립체는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1232)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기회로조립체,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 및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1232)에 관한 더 많은 정보는, 도 4-61에서의 상세한 기재를 참고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a는 상기 자기전도커버로서의 상기 제2자기회로조립체(1231)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1231)를 상기 자기전도커버로써 설명하는 것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자기전도커버는 커버 밑면(12321), 커버 측면(12322), 및 튜브홈(1232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 밑면(12321) 및 상기 커버 측면(12322)은 상기 원기둥홈(12323)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커버 측면(12322)는 원기둥형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는 상기 원기둥형홈(12323)에 설치될 수 있고, 자기전도커버(1232)과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 사이에 자기갭을 형성할 수 있다. 상응하게, 적어도 일부분의 음성코일(124)은 상기 자기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음성코일(124)은 상기 자기장에서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와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음성코일(124)은 전기신호의 제시하에서 암페어힘을 생성하고, 상기 진동전도판(121)을 구동하여 기계적 진동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는 하나 이상의 자기소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의 상부 또는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에 관한 더 많은 정보는, 도 6-64에서의 상세한 기재를 참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는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의 상기 커버 밑면(12321)는 자기 흡착, 접합, 클램핑, 나사산 연결 등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도 3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장치(300)는 고정부(126)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부(126)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를 상기 커버 밑면(12321)에 고정시키는데 이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부(126)는 볼트(1261) 및 너트(126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1261)는 차례로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를 통과하여 상기 커버 밑면(12321)의 외부로 나오며, 따라서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는 나사산 연결을 통해 상기 커버 밑면(12321)와 고정될 수 있다. 이 방식을 통해, 상기 너트(1262)는 상기 커버 밑면(12321) 내에 삽입되고, 내외 브라켓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스피커조립체(12)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스피커조립체(12)의 전체 크기를 제어하는데 유리하다. 당연히 상기 전체 크기가 허용되는 경우, 상기 너트(1262)가 상기 원기둥형홈(12323)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커버 밑면(12321)의 측면에 더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와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 사이의 상대적 고정도 이룰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부(126)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와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와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도 3a 및 도 3b 에 미도시) 사이에는 교질을 더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와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 사이의 틈이 메워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와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 사이의 상대적 고정은 더 안정적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기계적 진동하에서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와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 사이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때 상기 제1 음향장치(300)에 의해 생성되는 소음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와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가 상대적으로 고정된 경우,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와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도 3a에 미도시) 사이에는 음성코일(124)를 수용하는데 이용되는 틈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은 상기 틈(또는 상기 자기갭)에 분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갭의 크기는 될 수록 동일하여 상기 자기장 분포의 균일성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상기 자기장의 작용하에서 상기 음성코일(124)의 진동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자기장의 작용하에서 상기 음성코일(124)의 진동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면 상기 음성코일(124)와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 또는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 사이의 간격은 각 위치에서 동일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스피커조립체의 전처리과정과 후조립에서,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 상기 음성코일(124) 및 다른 구조의 동축성은 확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도 3a 및 도 3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진동조립체는 내부 지지부재(1221), 외부 지지부재(1222), 및 진동막(1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의 일단부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의 양측(예를 들면,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의 상기 커버 측면(12322))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물리적 연결은 자기 흡착, 클램핑, 나사산 연결,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의 일단부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의 양측(예를 들면,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의 상기 커버 측면(1232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와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들 중의 소자(예를 들면 상기 자기전도커버(1232)와 상기 커버 측면(12322))를 일체로 형성된 부재로 구성하므로써,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와 상기 자기회로조립체 사이의 조립 오류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의 일단부는 상기 음성코일(124)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 내에서, 상기 음성코일(124)은 상기 암페어힘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암페어힘은 상기 음성코일(124)을 진동시키고, 상기 음성코일(124)에 연결되는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는 진동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와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는 상기 진동막(122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와 상기 진동막(1223)도 진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 및 상기 진동막(1223)은 진동전도판(121)과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진동은 상기 진동전도판(121)에 전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진동막(1223)은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 및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막(1223)은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와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의 제1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수용캐비티(110)의 반지름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진동막(1223)이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 및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와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의 조립 오류는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와 자기회로조립체 사이의 조립 오류를 초래할 수 있으며, 상기 자기장의 영향하에서 상기 음성코일(124)의 진동의 안정성을 낮아지게 한다. 즉, 상기 음성코일(124)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진동조립체에 의해 생성되는 기계적 진동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음향장치(300)의 음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 및/또는 내부 지지부재(1221)는 상기 진동막(1223)에 가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와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의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은 제한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와 상기 진동막(1223)이 제2 방향에서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에 상대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와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의 연장방향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는 상기 진동진동막(1223)에 유연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소자(예를 들면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가 제2 소자에 유연하게 또는 가동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제1 소자와 상기 제2 소자가 상기 제1 소자와 상기 제2 소자 사이의 연결부를 통해 상대적인 움직임을 실행함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1 돌출기둥(12221)은 자기회로조립체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의 단부(즉, 상기 진동전도판(1121)의 부근)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관통홀(12231)은 상기 진동막(1223)에 개구될 수 있고, 상기 제1 돌출기둥(12221)은 상기 제1 관통홀(12231)을 통해 상기 진동막(1223)에 유연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진동막(1223)이 상기 제1 돌출기둥(12221)의 상하로 움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돌출기둥(12221)은 상기 제1 관통홀(12231)에 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돌출기둥(12221)은 상기 제1 관통홀(12231) 내를 가동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복수의 상기 제1 돌출기둥(12221)과 복수의 상기 제1 관통홀(12231)를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는 상기 진동진동막(1223)에 유연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의 일단부에는 제2 돌출기둥(1221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관통홀(12232)은 상기 진동막(1223)에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돌출기둥(12211)은 상기 제2 관통홀(12232)을 통해 상기 진동막(1223)에 유연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돌출기둥(12221)과 상기 제1 관통홀(12231)의 결합 및 상기 제2돌출기둥(12211)과 상기 제2 관통홀(12232)의 결합을 통해,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와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의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제한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와 상기 진동막(1223)로 하여금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에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하며, 따라서 상기 진동조립체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기계적 진동이 전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내부 지지부재(1221)의 다른 부분은 상기 진동막(1223)에 고정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음성코일의 진동하에서,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는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를 통해 상기 진동을 상기 진동막(1223)에 전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소자(예를 들면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가 제2 소자에 고정연결된다는 것은 상기 제1 소자와 상기 제2 소자가 제1 소자와 상기 제2 소자 사이의 연결부를 통해 상대적인 움직임을 실행하지 못함을 가리킬 수 있으며, 즉, 제1 소자와 제2 소자는 연결부를 통해 상대적 정지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막(1223)은 고리형 가장자리부(12233)와 고리형 가장자리부(12233) 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리브(12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가장자리부(12233)는 상기 제1 관통홀(12231)을 구비할 수 있다. 진동전도판(121)을 향하는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의 측면에는 상기 리브(12334)(미도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슬롯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리브(12334)들은 상기 관통슬롯들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와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의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와 상기 진동막(1223)이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에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한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와 상기 외부 지지부재(1222)의 연장방향일 수 있다.
도 3c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3a에서의 상기 음향장치의 진동막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막(1223)은 고리형 중간부(1223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리브(12234)는 고리형 가장자리부(12233)와 고리형 중간부(12235)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중간부(12235)에는 상기 제2 관통홀(1223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돌출기둥(12211)의 위치는 상기 제2 관통홀(12232)(도 3a에 표시되는 상황에 한정되지 않는다)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가장자리부(12233)에는 제1 관통홀(12231)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돌출기둥(12221)의 위치는 상기 제1 관통홀(12231)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피커조립체(12)는 탄성충격흡수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는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의 일단과 상기 진동전도판(12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의 제2 방향에서의 진동을 완화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돌출기둥(12211)은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된 제1 기둥부(12212)와 제2 기둥부(122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기둥부(12213)는 상기 제1 기둥부(12212)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기둥부(12212)는 상기 제2 관통홀(12232)을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둥부(12213)는 상기 진동전도판(12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는 제3 관통홀(125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는 제3 관통홀(1251)를 통해 상기 제2 기둥부(12213)에 덮여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둥부(12212)에 지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기둥부(12212)와 상기 제2 기둥부(12213)는 일체로 형성된 부재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둥부(12213)의 횡단면적은 상기 제1 기둥부(12212)의 횡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셸(11)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셸(11)과 보호소자(미도시, 도 2에서의 상기 보호소자(13)를 참고)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셸(11)에 고정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보호소자는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에 고정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는 상기 셸(11)의 내벽에 구성된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과 상기 보호소자의 지지부(미도시, 도 2에서의 상기 지지부(133)를 참고) 사이에 조여질 수 있으며, 고리형 배어링 플랫폼은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를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지지부의 내면은 탄성충격흡수부재(125)에 접착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은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에 접착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는 상기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조여질 수 있고, 상기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은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를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지지부의 외면은 탄성충격흡수부재(125)에 접착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는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에 접착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는 상부 덮개의 제2 덮개(미도시, 도 2에서의 상기 제2 덮개(142)를 참고)와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 사이에 조여질 수 있고, 상기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은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를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는 각각 상기 제2 덮개와 상기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에 접착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125)를 설치하므로써, 상기 내부 지지부재(11401)의 진동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완화되고, 상기 진동전도판(121)의 진동의 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는 덮개 슬롯(12214)을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를 향한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의 단부는 상기 슬롯(1221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는 부분적으로 상기 슬롯(12214) 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내부 지지부재(1221)의 일단부(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를 향한 단부)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를 덮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1231)는 부분적으로 상기 슬롯(12214) 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방식을 통해, 상기 스피커조립체(12)의 소리생성 요구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상기 내부 및 외부 지지부재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스피커조립체(12)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스피커조립체(12)의 전체 크기를 제어하는데 유리하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전도 음향장치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골전도 음향장치(400)는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미도시), 진동조립체(403), 및 음성코일(40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회로조립체(401) 및 제2 자기회로조립체(4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402)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401)을 에워싸서 자기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음성코일(404)은 상기 자기갭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음성코일(404)은 상기 진동조립체(403)에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401) 및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402)는 자기소자 및/또는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자기소자들과 자기전도소자들의 조합과 위치 변화를 통해, 그리고 각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을 설정하므로써, 상기 자기갭에서의 상기 자기장의 강도와 분포가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소자 및 제2 자기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갭에서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자기갭에서의 상기 제1 자기소자 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기장 강도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150-180도의 범위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150°, 170°, 또는 180°,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상기 자기갭 내에서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수직이 되거나 평행하게 되며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자기갭 내에서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은 특정된 시각의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이 상기 자기갭 내에서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평행하게 되면, 상기 제1 자기소자 및 상기 제2 자기소자는 상기 자기갭 내에서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따라 겹쳐지고,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이 상기 자기갭 내에서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수직이 되면, 상기 제1 자기소자 및 상기 제2 자기소자는 상기 자기갭 내에서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수직이 되는 방향을 따라 겹쳐질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에 관한 더 상세한 내용에 관하여, 도 6 - 도 63을 참고 바란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소자, 상기 제2 자기소자, 및 제1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제3 자기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자기소자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기 제1 자기소자 및 상기 제2 자기소자를 에워쌀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소자의 자화방향과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전부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의 연결면에 수직이 되며, 상기 제1 소자의 자화방향과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3 자기소자의 자화방향과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 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60 - 120도이내, 및/또는 0 - 30 도 이내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의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 및 상기 제2자기회로조립체의 상기 제3 자기소자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도 6, 8, 34, 36, 38, 40, 42, 54 및/또는 56을 참고 바란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소자, 상기 제2 자기소자, 및 제2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기 제1 자기소자 및 상기 제2 자기소자를 에워쌀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소자의 자화방향과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전부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의 연결면에 수직이 되며, 상기 제1 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를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자기소자는 상기 제2 자기소자를 에워쌀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자기소자의 하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가 상기 자기갭 내에서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을 따라 겹쳐질 수 있으면,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의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의 하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가 상기 자기갭 내에서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수직이 되는 방향을 따라 겹쳐질 수 있으면,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의 외벽은 상기 제1 자기소자과 상기 제2 자기소자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자기소자의 상기 내면(또는 내벽 또는 내환 또는 내부구역)은 상기 음성코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자기갭 내에서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자기소자의 상기 외면(또는 외벽 또는 외환 또는 외부구역)은 상기 음성코일 가까이의 상기 자기갭 내에서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자기소자의 상기 상면(예를 들면 상기 상면)은 상기 진동막 가까이의 상기 자기갭 내에서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거의 수직이 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자기소자의 상기 하면(예를 들면 상기 밑면)은 상기 진동막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자기갭 내에서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거의 수직이 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와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도 10, 12, 44, 46, 48, 50 및/또는 52를 참고 바란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기 제1 자기소자를 에워쌀 수 있다.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중심구역(또는 내부구역)로부터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외부구역을 가리키거나 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상기 외부구역으로부터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중심구역(또는 내부구역)을 가리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는 고리형 형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는 원기둥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와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도 24, 26, 28, 30, 32, 61 및/또는 62를 참고 바란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2 자기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소자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기 제1 자기소자를 에워쌀 수 있다.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중심구역(또는 내부구역)으로부터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외부구역으로 가리키거나 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상기 외부구역으로부터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중심구역(또는 내부구역)을 가리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외환으로부터 상기 제2 자기소자의 내환을 가리키거나 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의 내환으로부터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외환을 가키킬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 및 상기 제2자기회로조립체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도 14, 16, 18, 20, 22, 및/또는 63을 참고 바란다.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자기소자는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소자, 예를 들면 자석, 등일 수 있다. 상기 자기소자는 자화방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자화방향은 상기 자기소자 내의 자기장 방향, 즉, 상기 자기소자 내의 자기유도선의 방향 또는 상기 자기소자의 남극으로부터 북극으로 향하는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상기 자기소자는 하나 이상의 자석, 예를 들면, 2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석은 합금 자석, 페라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합금 자석은 NdFeB(네오디뮴 철붕소), 사마륨 코발트, AlNiCo, FeCrCo, 알루미늄 철붕소, 철탄소 알루미늄,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는 바륨 페라이트, 스틸 페라이트, 마그네슘 망간 페라이트, 리튬 망간 페라이트,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자기전도소자는 자기장집중기 또는 철코어라고도 부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자기전도소자는 상기 자기소자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자기전도소자는 부드러운 자석재료로 가공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부드러운 자석재료는 금속재료, 합금, 금속산화물재료, 비정질금속재료 등, 예를 들면 철, 철황합금, 철알루미늄 합금, 철알루미늄 합금, 니켈철 합금, 철코발트합금, 저탄소강, 실리콘강판, 페라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전도소자는 주조 방식, 플라스틱 가공방식, 절단가공방식, 분말야금 방식,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주조 방식은 모래 주조, 매몰 주조, 압력 주조, 원심 주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가공방식은 압연, 주조, 단조, 스탬핑, 압출, 드로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가공방식은 회전, 밀링, 대패질, 연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전도소자의 처리방식은 3D 프린팅, CNC 기계공구, 등을 이용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전도소자와 상기 자기소자 사이의 연결방식은 접착, 클램핑, 용접, 리벳팅, 볼트,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소자, 및 상기 자기전도소자는 축대칭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축대칭구조는 고리형구조, 원기둥형구조, 또는 기타 축대칭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성코일(404)에 전류가 통하는 경우, 상기 음성코일(404)은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401) 및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402)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자기장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암페어힘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암페어힘은 상기 음성코일(404)을 진동시키고, 따라서 상기 진동조립체(403)을 구동하여 진동시킨다. 상기 진동조립체(403)는 상기 진동을 인체조직과 골격을 통해 상기 청각신경에 전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람은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상기 진동조립체(403)는 직접 피부를 접촉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특정된 재료를 합성한 진동전도층을 통해 피부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진동조립체(403)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도 2-3c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기전도 음향장치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기전도음향장치는 제1 자기회로조립체(501), 진동막(503), 및 음성코일(5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막(503)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501)를 에워쌀 수 있으며, 자기갭이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501)와 상기 진동막(503)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음성코일(504)은 상기 자기갭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막(503)은 음성코일(50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막(503)은 하나 이상의 변을 통해 상기 기전도 음향장치의 셸(또는 지지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501)와 상기 진동막(503)은 자기소자 및/또는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자기소자와 자기전도소자의 조합,위치변화, 및 각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의 설치를 통해, 상기 자기갭 내의 자기장 강도 및 강도 분포는 변할 수 있다. 골전도 스피커가 소리를 생성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상기 음성코일(504)은 상기 암페어힘에 의해 영향을 받은 후 상기 자기갭 내에서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음성코일(504)의 진동은 상기 진동막(503)의 진동을 구동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공기의 진동을 촉진하므로써, 따라서 사람은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 및 기전도 음향장치의 구조의 설명은 단지 구체적인 예이며, 유일한 가능한 실시방안으로 간주하지 말아야 한다.물론,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골전도 스피커의 기본 원리를 이해한 후, 상기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의 구현방법 및 조작의 형식과 세부사항에 대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은 여전히 상술한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는 셸 및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진동판과 상기 셸을 연결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기전도 스피커는 비금속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코일은 가장자리를 통해 비금속 셸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6 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600)은 제1 자기소자(601), 제2 자기소자(602), 제3 자기소자(603), 및 제1 자기전도소자(6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는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3 자기소자(603)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를 에워쌀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601), 상기 제2 자기소자(602), 및 상기 제3 자기소자(603) 사이에 자기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은 전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와 상기 제1 자기소자(601) 및/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602)(예를 들면 상기 도면에서의 세로방향, 도면에서 각 자기소자상의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시방향) 사이의 연결면에 수직이 될 수 있고,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설치는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동일한 자극이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에 가깝고,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다른 자극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601)의 남극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자기소자(601)의 북극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에 더 가깝고,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남극에 비교하여,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북극이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즉,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내부에서, 상기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을 향하는 방향)은 전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를 가리킬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601)의 북극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자기소자(601)의 남극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에 더 가깝고,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북극에 비교하여,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남극이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즉,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내부에서, 상기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을 향하는 방향)은 전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을 수직이 되고 서로 반대되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는 서로 반대되게 자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로부터 생성된 상기 자기유도선의 방향은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기유도선은 전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로부터 상기 제3 자기소자(603)를 가리키거나, 또는 전부 상기 제3 자기소자(603)로부터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를 가리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자기갭 내의 자기장 강도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을 수직이 되고 서로 반대되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자기장은 억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자기장에 대응되는 상기 자기유도선은 상기 자기갭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 내의 상기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 방향(예를 들면 남극으로부터 북극을 향하는 방향)이 전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를 가리키는 경우, 상기 자기유도선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의 단부로부터 수평방향 또는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자기갭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 내의 상기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방향(예를 들면 남극으로부터 북극을 향하는 방향)이 전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경우, 상기 자기유도선은 수평방향 또는 거의 수평방향에서 상기 자기갭으로부터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의 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3 자기소자(603)의 자화방향은 제1 자기소자(601) 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에 수직이 될 수 있다. 상기 자화방향을 서로 수직이 되게 설정하므로써, 상기 자기갭 내의 상기 자기유도선은 수평 또는 거의 수평되는 방향에 따라 연장되도록 더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 내의 상기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 방향(예를 들면 남극으로부터 북극을 향하는 방향)이 전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를 가리키는 경우, 상기 자기유도선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의 단부로부터 수평방향 또는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자기갭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자기소자(603)을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 내의 상기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방향(예를 들면 남극으로부터 북극을 향하는 방향)이 전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경우, 상기 자기유도선은 상기 제3 자기소자(603)을 통과하고 수평방향 또는 거의 수평방향에서 상기 자기갭으로부터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의 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방식을 통해, 상기 자기갭 내의 상기 음성코일의 위치에서 상기 자기장의 방향은 주로 수평 또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분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자기장의 균일성과 강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에 의해 생성된 소리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기타 실시예들에서, 각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기타 방향일 수도 있다. 상이한 자화방향을 구비하는 자기소자의 조합은 상기 자기장 강도를 개선하고 및/또는 상기 자기장의 강도 분포를 더 균일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세로방향은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즉, 상기 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601)의 상면에 수직이 되는 방향임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3 자기소자(603)의 자화방향과 제1 자기소자(601)의 자화방향 또는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은 서로 수직이 되지 않도록 설정되고, 제3 자기소자(603)의 자화방향과 제1 자기소자(601)의 자화방향 또는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 사이의 기설정된 각도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특정된 각도 범위 내에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3 자기소자(603)의 자화방향과 제1 자기소자(601)의 자화방향 또는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60도와 120도 사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도는 50도와 130도 사이의 각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도는 0도와 30도 사이의 각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자기소자(603)의 자화방향과 제1 자기소자(601)의 자화방향 또는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0°, 60°, 80°, 90°, 100°, 100°, 180°,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1 자기소자(601)의 자화방향과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은 기설정된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도는 90도와 180도 사이의 각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도는 150도와 180도 사이의 각도일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과 제1 자기소자(601)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예를 들면 170°, 180°, 등일 수 있다. 상기 자기전도소자와 상기 자기소자 사이의 연결방식은 접착, 클램핑, 용접, 리벳팅, 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자기방향 사이의 각도는 2개의 자화방향 중의 하나로부터 2개의 자화방향 중의 다른 하나로 회전할 필요가 있는 각도일 수 있다. 시계바늘 회전각도는 양수일 수 있으며, 시계바늘 역회전각도는 음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제2 자기전도소자(605), 제3 자기전도소자(606), 및 제4 자기전도소자(6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05)의 밑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601)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자기전도소자(606)의 밑면은 제3 자기소자(603)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05)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606)는 상기 자기갭 내에서 간격을 둘 수 있다.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607)의 상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밑면과 상기 제3 자기소자(603)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01), 상기 제2 자기소자(602),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05), 및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607)는 원기둥체, 직육각체, 또는 삼각 프리즘, 등일 수 있다. 상기 제3 자기소자(603)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606)는 고리형(연속 고리형, 비연속 고리형, 직사각 고리형, 삼각 고리형,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01), 상기 제2 자기소자(602),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 및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05)는 세로 방향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형상과 크기가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자기소자(603)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606)는 상기 세로방향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형상과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01), 상기 제2 자기소자(602),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 및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05)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3 자기소자(603)과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606)의 두께의 합과 동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607)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606)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01), 상기 제2 자기소자(602), 상기 제3 자기소자(603),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05),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606), 및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607)는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600)는 총 자기장 또는 전체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601)는 제1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체 자기장은 모든 부품(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601), 상기 제2 자기소자(602), 상기 제3 자기소자(603),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05),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606)와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607))들의 협력하에 생성된 자기장일 수 있다.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자기유도 강도 또는 자속 밀도라고도 부른다)는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제1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602)는 제2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제3 자기소자(603)는 제3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장 및/또는 상기 제3 자기장은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장 및/또는 상기 제3 자기장이 상기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은 상기 제2 자기장 및/또는 상기 제3 자기장(즉, 상기 제2 자기소자(602) 및/또는 상기 제3 자기소자(603)이 존재하는 경우)이 존재하는 경우 자기갭 내에서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가 제2 자기장 및/또는 제3 자기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즉, 제2 자기소자(602) 및/또는 제3 자기소자(603)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자기갭 내에 상기 제2 자기소자(602) 및/또는 상기 제3 자기소자(603)가 존재하는 경우의 상기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제2 자기장 및/또는 제3 자기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즉, 제1 자기소자(601)만 존재하는 경우)의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보다 클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자기갭 내에 상기 제3 자기장(603)이 존재하는 경우의 상기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제3 자기장(603)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즉,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만 존재하는 경우)의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기타 실시예들에서, 특별히 해석하지 않은 외에,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전부의 자기소자 및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리키며, 상기 전체 자기장은 상기 자기회로조립체 전체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을 가리키며, 상기 제1 자기장, 상기 제2 자기장, 상기 제3 자기장, ..., 및 상기 제N 자기장은 각각 상기 상응한 자기소자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을 가리킨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자기장(또는 상기 제2 자기장, 상기 제3 자기장, ..., 및 상기 제N 자기장)을 생성하는 상기 자기소자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도 7은 도6 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자기갭 내에서, Z 축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의 자기장 강도는 도 6에 표시하는 Z축 방향을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에서 Z축은 상기 자기갭 내에 구성되고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세로방향에서의 상기 자기장 강도의 분포를 표시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실제 측정수요에 따라 Z축의 원점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Z축의 원점 위치는 상기 세로방향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601),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 및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중심에 설치되며,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Z축의 원점 위치는 상기 제3 자기소자(603)의 두께방향의 중심점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Z축의 원점 위치는 상기 세로방향에서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04)의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이 마주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의 원점(예를 들면-0.110mm) 부근에서 가장 높고, 상기 자기장 강도의 최대치는 약 0.61T일 수 있으며, 상기 자기장 강도의 분포는 상기 원점(예를 들면, -0.110mm 내지0.171mm의 범위 내에서) 부근에서 상대적으로 균일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자기회로조립체(800)는 제1 자기소자(801), 제2 자기소자(802), 제3 자기소자(803), 제1 자기전도소자(804), 제2 자기전도소자(805), 제3 자기전도소자(806), 제4 자기전도소자(807), 및 제5 자기전도소자(80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도 6에 표시하는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은 도 6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607)와 비교하여,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807) 및 상기 제5 자기전도소자(808)는 자기갭에서 간격을 둘 수 있으며,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807)의 상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802)의 밑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5 자기전도소자(808)의 상면은 상기 제3 자기소자(803)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807)는 원기둥체, 장방체, 또는 삼각 프리즘, 등일 수 있다. 상기 제4자기전도소자(808)은 고리형(연속 고리형, 비연속 고리형, 직사각 고리형, 삼각 고리형,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세로 Z축에서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807), 상기 제1 자기소자(801), 상기 제2 자기소자(802),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804),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805)의 단면의 형상과 크기는 같을 수 있다.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807)와 상기 제5자기전도소자(808)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5자기전도소자(808)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806)는 동일한 두께, 상기 Z축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도8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자기갭 내에서, Z 축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의 자기장 강도는 도 8에 표시하는 상기 Z축 방향에 다라 측정될 수 있다. 도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자기소자(8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802)의 양측에서의 자기전도소자의 분포는 도6에서보다 더 대칭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생성된 자기장 강도의 분포는 상기 원점(예를 들면 양측에서 0.031mm)의 양측에서 더 대칭될 수 있으며, 상기 원점(예를 들면 -0.344mm 내지 0.075mm) 부근에서 변화가 더 균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807)와 상기 제5자기전도소자(808)가 연속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자기장 강도의 최대치는 0.4T일 수 있으며, 상기 연속되는 제4 자기전도소자(607)를 포함하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600)에 비교하여 낮다.
도 6과 도8에 표시하는 실시예들에서, 각 자기소자의 설치에 근거하며,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그들의 필요에 따라 자기전도소자들의 수량, 위치 및 형식을 결정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6에 표시하는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05)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603)는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1000)는 제1 자기소자(1001), 제2 자기소자(1002), 제1 자기전도소자(1003), 및 제2 자기전도소자(10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는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003)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를 에워쌀 수 있으며, 자기갭은 상기 제1 자기소자(1001), 상기 제2 자기소자(1002), 및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00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와 상기 제1 자기소자(1001) 및/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즉, 상기 도면에서 세로방향, 각 자기소자의 상기 화살방향은 상기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을 가리킨다) 사이의 연결면에 수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의 설치는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의 동일한 자극이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의 가까울 수 있고, 상이한 자극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의 북극은 각각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의 남극에 비교하여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에 가까울 수 있다. 즉,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의 내부에서, 상기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을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를 가리킬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의 남극과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의 남극은 각각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의 북극과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의 북극에 비교하여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에 가까울 수 있다. 즉, 상기 제1 자기소자 (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의 내부에서, 상기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을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의 자화방향을 수직이 되고 서로 반대되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는 서로 반대되게 자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자기유도선의 방향은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기유도선은 전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로부터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003)를 가리킬 수 있으며, 또는 전부 상기 제1 자기소자(1003)로부터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를 가리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자기갭 내의 자기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의 자화방향을 수직이 되고 서로 반대되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의 자기장은 억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자기장에 대응되는 상기 자기유도선은 상기 자기갭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 내부에서 상기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예를 들면 남극으로부터 북극을 향하는 방향)이 전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를 가리키는 경우, 상기 자기유도선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의 단부로부터 수평방향 또는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자기갭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003)를 통과할 수 있다. 이 방식을 통해,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음성코일 위치의 상기 자기장의 방향은 주로 수평 또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분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자기장의 균일성과 강도를 향상시키고, 음성코일의 진동에 의해 생성된 소리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각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기타 방향일 수 있다. 상이한 자화방향을 구비하는 자기소자의 조합은 상기 자기장 강도도 개선하고 및/또는 상기 자기장의 강도 분포를 더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자기소자(1001)의 자화방향과 제2 자기소자(1002)의 자화방향은 기설정된 각도를 더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특정된 각도 범위 예를 들면, 60°, 80°, 90°, 100°, 등일 수 있다. 상기 자기전도소자와 자기소자 사이의 연결방식은 접착, 클램핑, 용접, 리벳팅, 및 볼트,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1 자기소자(601)의 자화방향과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은 기설정된 각도 예를 들면, 170°, 190°, 등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와 제2 자기소자(1002)의 자화방향에 관한 관련 설명은 도 6에서의 상기 제1 자기소자(601)과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을 참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도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1005)와 제4 자기전도소자(100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1005)의 밑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1001)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1006)의 상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1002)의 밑면과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1001), 상기 제2 자기소자(1002),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 및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1005)는 원기둥형 형상, 입방체 형상, 또는 삼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003)는 고리형(연속된 고리형, 비연속된 고리형, 직사각 고리형, 삼각 고리형,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1001), 상기 제2 자기소자(1002),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 및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1005)는 상기 Z축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형상과 크기가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1001), 상기 제2 자기소자(1002),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 및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1005)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003)의 두께와 동등할 수 있다.
도 11은 도10 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Z 축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의 자기장 강도는 도 10에 표시하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 6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도10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자기장을 더 강하게 하는 상기 제3 자기소자(603)가 적으며, 상기 자기장 강도는 원점(예를 들면 -0.500-0.188mm) 부근에서 약할 수 있으며, 얻을 수 있는 상기 최대치는 0.38T 좌우이지만 원점 부근의 상기 자기장 강도의 분포는 여전히 균일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1200)는 제1 자기소자(1201), 제2 자기소자(1202), 제1 자기전도소자(1203), 제2 자기전도소자(1204), 제3 자기전도소자(1205), 및 제4 자기전도소자(12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10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차이점은 도 12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1206)는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203)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1206)의 상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1202)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는 점이다.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1206)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204)는 상기 자기갭 내에서 간격을 둘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12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202)의 자화방향에 관한 설명은 도6에서의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을 참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1201), 상기 제2 자기소자(1202),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204),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1205)와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1206)는 원기둥체, 입방체, 또는 삼각 프리즘, 등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203)는 고리형(고리형, 직사각 고리형, 삼각 고리형,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1201), 상기 제2 자기소자(1202),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204),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1205)와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1206)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203)의 두께와 동등할 수 있다.
도 10및 도 12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 상기 제2 자기소자, 및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에 근거하여,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요구에 따라 상기 자기소자의 수량, 위치 및 형식을 개변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도10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의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004)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1005)는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3은 도12 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상기 자기갭 내에서, Z 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도12에 표시하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1206)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203)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도 10에서의 상기 연속된 제4 자기전도소자(1006)를 포함하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 (1000)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장 강도의 최대치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원점(예를 들면 0.176mm) 부근의 상기 자기장 강도의 최대치는 0.58T일 수 있으며, 상기 원점 부근의 상기 자기장 강도의 분포는 균일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1400)는 제1 자기소자(1401) 및 제2 자기소자(14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제2 자기소자(1402)는 상기 제1 자기소자(1401)를 에워쌀 수 있으며(즉,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내면 또는 내벽은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외벽 또는 상기 외면을 에워쌀 수 있다), 상기 자기갭은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40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음성코일은 상기 자기갭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자화방향은 전부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상면(예를 들면 상기 도면에서 수평방향)에 평행하게 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내면과 외면에 수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자화방향은 상기 중심(즉, 상기 중심구역으로부터 상기 외측구역을 가리킨다)에 따라 바깥방향을 향하며,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자화방향은 상기 내측(상기 제1 자기소자(1401) 가까이의 측)으로부터 상기 외측(상기 제1 자기소자(1401)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을 향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자화방향은 상기 외측으로부터 상기 중심을 가리키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자화방향은 상기 외측(상기 제1 자기소자(1401)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으로부터 상기 내측(상기 제1 자기소자(1401) 가까이의 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자기소자(1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설치는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상이한 자극이 서로 가깝거나 서로 멀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북극은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중심구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남극은 상기 외측구역, 즉, 상기 제1 자기소자(1401)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상면 또는 하면에 평행하게 되는 동일한 평면에서,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으로)은 전부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측을 향하며,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북극은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외측구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남극은 상기 내부구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제2 자기소자(1402) 내측에서,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상면 또는 하면에 평행하게 되는 동일한 면에서, 상기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으로)은 상기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남극은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중심구역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북극은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외측구역, 즉, 상기 제1 자기소자(1401)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상면 또는 하면에 평행하게 되는 동일한 평면에서, 상기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으로)은 상기 외측으로부터 상기 내측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남극은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외부구역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북극은 상기 내부구역, 즉, 상기 제2 자기소자(1402)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상면 또는 하면에 평행하게 되는 동일한 평면에서,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으로)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할 수 있다.
일부 대안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1401)는 2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자석의 설치는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자석의 동일한 자극은 서로 가까이에 있으며, 상기 2개의 자석의 반대되는 자극은 서로 멀리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2개의 자석의 북극은 서로 가까이에 있으며(도면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좌측과 우측에서 상기 자석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2개의 자석의 남극은 서로 가까이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1402)는 2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2개의 자석은 각각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에 접근하고, 상기 2개의 자석의 상기 자기유도선 또는 자기장의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상기 2개의 자석 내측의 상기 자성선 또는 자기장 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1401)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제1 자기소자(1401)의 자화방향을 상기 수평방향으로 설치함에 따라,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자기장은 상기 자기갭 내에서 수평 또는 거의 수평방향에 따라 더 잘 연장될 수 있다. 제2 자기소자(1402)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와 같을 수 있으며, 상기 자기갭 내의 상기 자기유도선을 상기 자기갭 내에서 수평 또는 거의 수평방향에 따라 분포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자기유도선 또는 자기장의 방향이 상기 제1 자기소자(1401)로부터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을 가리킨다)를 가리키는 경우, 상기 자기유도선은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외부로부터 수평 또는 거의 수평방향에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소자(1402)를 통과하고, 상기 제2 자기소자(1402)는 상기 자기유도선을 그의 외부로부터 발사하므로써, 상기 자기갭 내에서 수평 또는 거의 수평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내측으로 침투한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자기유도선 또는 자기장의 방향이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으로부터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을 가리킨다)를 가리키는 경우, 상기 자기유도선은 상기 자기갭 내에서 수평 또는 거의 수평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외부로 침투되고, 상기 제2 자기소자(1402)가 상기 자기유도선을 그 내측으로부터 발사하는 경우, 상기 자기갭 내에서 수평 또는 거의 수평방향에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외부로 침투될 수 있다. 이 방식을 통해,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음성코일의 위치의 상기 자기장의 방향은 주로 수평 또는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분포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자기장의 균일성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에 의해 생성된 소리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각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기타 방향일 수도 있다. 상이한 자화방향의 자기소자의 조합은 상기 자기장 강도 및/또는 상기 자기장의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방향은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수직이 되는 방향, 즉,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상면의 평면에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간주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자화방향은 서로 평행하게 될 수 있거나, 또는 특정된 각도 편차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170°와 190° 사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전도소자(1403)와 제2 자기전도소자(14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기전도소자(1403)의 밑면은 제2 자기전도소자(140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404)의 상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1402)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기전도소자와 자기소자 사이의 연결방식은 접착, 클램핑, 용접, 리벳팅, 및 볼트,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1401)는 원기둥체, 장방체 또는 삼각 프리즘,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소자(1402),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403), 및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404)는 고리형(연속된 고리형, 비연속된 고리형, 직사각 고리형, 삼각 고리형,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1401)는 2개의 반원기둥체, 2개의 입방체 또는 2개의 기타 형상의 자석으로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1401)를 구성하는 상기 2개의 자석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1402),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403), 및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404)의 상기 Z축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크기와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1402),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403), 및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404)의 총 두께는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두께와 동등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도14 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14에 표시하는 상기 Z축 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의 강도는 상기 Z축의 원점 위치에서 기본상 대칭될 수 있으며, 상기 자기장의 강도는 상기 Z축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상기 자기장의 상기 최대치와 상기 최소치 사이의 차이는 작을 수 있으며, 상기 자기장 강도의 최대치는 원점(예를 들면, -0.002mm 또는 0.002mm) 부근에 있을 수 있으며, 약 0.48T일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1600)는 제1 자기소자(1601), 제2 자기소자(1602), 제1 자기전도소자(1603), 제2 자기전도소자(16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표시하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1600)에서,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604)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1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602)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604)는 원기둥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1602)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603)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자기소자(1601)의 두께와 동등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에 따른 도 16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자기갭 내에서, 도 16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1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균일한 자기장은 상기 Z축의 원점 부근에서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604)가 상기 제1 자기소자(1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1602)에 연결되기 때문에, 도14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원점 부근(예를 들면 0.292mm)의 자기장 강도는 약0.53T로 개선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1800)는 제1 자기소자(1801), 제2 자기소자(1802), 제1 자기전도소자(1803), 제2 자기전도소자(1804), 및 제3 자기전도소자(18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14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1800)는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18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1805)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1801) 밑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1802)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804)는 자기갭의 양측에서 간격을 둘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1801)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1805)는 원기둥체, 입방체, 또는 삼각 프리즘,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1802),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1803), 및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804)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자기소자(1801)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1805)의 두께의 합과 동등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1804)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1805)의 두께는 동등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에 따른 도18 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자기갭 내에서, 도 18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1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강도의 최대치는 상기 Z축의 원점 부근(예를 들면 0.0209mm)에 있을 수 있으며, 약 0.5T일 수 있으며,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양측, 특히 상기 Z축의 원점의 상측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도 14에서의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를 구비하지 않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1400)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갭 내의 상기 최대 자기장 강도는 개선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2000)는 제1 자기소자(2001), 제2 자기소자(2002), 제1 자기전도소자(2003), 제2 자기전도소자(2004) 및 제3 자기전도소자(20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16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2000)는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200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2005)의 밑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2001)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2005)와 상기 제1 자기소자(2001)는 원기둥체, 입방체 또는 삼각 프리즘일 수 있다.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2005)와 상기 제1 자기소자(2001)의 상기 Z축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크기와 형상은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2001)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2005)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2 자기소자(2002)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2003)의 두께의 합과 같을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에 따른 도 20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20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2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 16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에는 자기전도소자가 추가되고, 상기 자기장 강도의 최대치(예를 들면 -0.016mm)는 0.6T에 도달한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2200)는 제1 자기소자(2201), 제2 자기소자(2202), 제1 자기전도소자(2203), 제2 자기전도소자(2204), 제3 자기전도소자(2205), 및 제4 자기전도소자(22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2200)는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220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2206)의 밑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2201)의 표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2206)와 상기 제1 자기소자(2203)는 자기갭의 양측에서 간격을 둘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2201),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2205), 및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2206)는 원기둥체, 입방체, 또는 삼각 프리즘,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2202),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2203), 및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2204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자기소자(2201),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2205), 및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2206)의 두께의 합과 동등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2203)와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2206)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에 따른 도 22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22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2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강도의 최대치(예를 들면 상기 최대치는 -0.039mm에 있음)는 0.53T일 수 있다. 도23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가 도18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보다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더 균일하게 분포되었기 때문에,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의 원점 부근에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도 14, 도 16, 도 18, 도 20, 및 도 22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를 설치한 기초상에서,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요구에 따라 상기 자기소자의 수량, 위치 및 형식을 개변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도 14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제3 자기전도소자(미도시)와 제4 자기전도소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의 밑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2400)는 제1 자기소자(2401)와 제1 자기전도소자(2402)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2402)는 상기 제1 자기소자(2401)를 에워쌀 수 있다. 자기갭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2402)의 내환와 상기 제1 자기소자(240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조립체(12)의 음성코일(124)은 상기 자기갭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2401)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2401)의 상면에 평행하게 될 수 있다(즉, 상기 도면에서 수평방향). 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2401)의 자화방향은 상기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부 대안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2401)는 2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자석의 설치는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자석의 동일한 자극은 서로 접근할 수 있으며, 상기 반대 자극은 서로 멀리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2개의 자석의 북극은 서로 접근할 수 있으며(도면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좌측 및 우측 자석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자석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2402)를 가리킬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2401) 및 그 상기 자화방향에 대한 더 많은 설명은, 도14의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상세한 기재를 참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방향은 음성코일의 진동 방향에 수직이 되는 방향, 즉, 상기 제1 자기소자(2401)의 상면의 평면에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간주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1 자기소자(2401)의 자화방향을 상기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므로써, 상기 제1 자기소자(2401)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은 상기 자기갭 내에서 수평 또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더 잘 연장될 수 있다. 이 방식을 통해,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음성코일의 위치의 자기장의 방향은 주로 수평 또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분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자기장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에 의해 생성되는 소리효과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자기전도소자와 자기소자 사이의 연결방식은 접착, 클램핑, 용접, 리벳팅, 및 볼트,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2401)는 원기둥체, 장방체, 또는 삼각 프리즘,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2402)는 고리형(연속된 고리형, 비연속된 고리형, 직사각 고리형, 삼각 고리형,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2401)는 2개의 반원기둥체, 2개의 입방체 또는 2개의 기타 형상의 자석이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2401)를 형성하는 상기 2개의 자석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2401)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2402)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에 따른 도 24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24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2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더 많은 자기소자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자기장 강도는 도 14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1400)의 자기장 강도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기 자기장 강도의 최대치(예를 들면 -0.338mm 위치의 상기 최대치)는 0.26T일 수 있다. 그러나, 자기장 강도는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기 때문에, 자기장 강도의 최대치와 최소치 사이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2600)는 제1 자기소자(2601), 제1 자기전도소자(2602), 및 제2 자기전도소자(26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24에 표시하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2600)는 제2 자기전도소자(2603)를 더 포함하며, 제2 자기전도소자(2603)의 상면은 제1 자기전도소자(2602)와 상기 제1 자기소자(2601)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7은 본 개시에 따른 도 26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26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2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의 원점(예를 들면 0.312mm) 부근에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2603)가 상기 제1 자기소자(2601)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2602)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Z축의 상기 원점(예를 들면 0.312mm) 부근의 상기 자기장 강도는 도 24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개선될 수 있으미, 약 0.35T일 수 있다.
도 2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2800)는 제1 자기소자(2801), 제1 자기전도소자(2802), 및 제2 자기전도소자(28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2800)는 제2 자기전도소자(280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2803)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2801)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6에 표시하는 실시예와 본 실시예 사이의 차이는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2803)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2801)의 밑면에만 연결되고,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2802)의 밑면에는 연결되지 않은 점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2801)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2802)는 원기둥체, 입방체 또는 삼각 프리즘, 등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2801)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2802)의 상기 Z축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크기와 형상은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2801)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2803)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2802)의 두께와 동등할 수 있다.
도 29는 본 개시에 따른 도 28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28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2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원점 위치(예를 들면 -0.03mm-0.5mm 이내) 부근에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2803)가 추가되었기 때문에, 도 24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Z축의 원점(예를 들면 0.49mm) 부근의 자기장 강도는 약 0.32T까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2803)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2802)의 밑면에 연결되지 않고, 도 26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원점(예를 들면 0.49mm) 부근의 자기장 강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3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3000)는 제1 자기소자(3001), 제1 자기전도소자(3002), 제2 자기전도소자(3003), 및 제3 자기전도소자(30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26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3000)는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00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004)의 밑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3001)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3001)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004)는 원기둥체 또는 입방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3001)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004)의 상기 Z축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크기와 형상은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3001)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004)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3002)의 두께와 동등할 수 있다.
도 31은 본 개시에 따른 도 30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30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3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갭 내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의 원점(예를 들면 -0.095-0.106mm 이내) 부근에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004)의 밑면이 상기 제1 자기소자(3001)의 상면에 연결되기 때문에, 도26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Z축의 원점(예를 들면 0.081mm) 부근의 상기 자기장 강도가 약 0.28T로 감소될 수 있다.
도 3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3200)는 제1 자기소자(3201), 제1 자기전도소자(3202), 제2 자기전도소자(3203), 및 제3 자기전도소자(32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28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3200)는 제3 자기전도소자(320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204)의 밑면은 제1 자기전도소자(3202)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3201),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3203), 및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204)는 원기둥체, 입방체, 또는 삼각 프리즘, 등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 및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의 상기 Z축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형상과 크기는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3201),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3203), 및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204)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3202)의 두께와 동등할 수 있다.
도 33은 본 개시에 따른 도 32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32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3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갭 내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의 원점 부근에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204)의 밑면이 상기 제1 자기소자(3201)의 상면에 연결되기 때문에, 도28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Z축의 원점(예를 들면 0.000mm) 부근의 자기장 강도가 약 0.26T로 감소될 수 있다.
도24, 도 26, 도 28, 도 30, 도 32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를 설치한 기초상에서,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요구에 따라 상기 자기소자의 수량, 위치 및 형식을 개변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음 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도 32에 표시하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의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204)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320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3400)는 제1 자기소자(3401), 제2 자기소자(3402), 및 제1 자기전도소자(3403)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제1 자기소자(3401)는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3403)(즉,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내면 또는 내벽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3403)의 외면 또는 외벽을 에워쌀 수 있다).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제2 자기소자(3402)는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즉,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내면 또는 내벽은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외면 또는 외벽을 에워싼다)를 에워쌀 수 있다. 자기갭은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내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음성코일은 상기 자기갭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3401) 및/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즉, 상기 도면에서 수평방향) 의 상면에 평행하게 되거나 상기 내면과 외면에 수직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자화방향은 서로 평행하게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자화방향은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부로 향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자화방향은 상기 내측(상기 제1 자기소자(3401) 가까이 측)으로부터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외측(상기 제1 자기소자(3401)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으로 향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자화방향은 상기 외측으로부터 상기 중심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자화방향은 상기 외측(상기 제1 자기소자(3401)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으로부터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내측(상기 제1 자기소자(3401) 가까이 측)을 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설치는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상이한 극은 서로 접근하거나 멀리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북극은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중심구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남극은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외측구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제1 자기소자(3401) 내측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상면 또는 하면에 평행하게 되는 동일한 평면에서, 상기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으로)은 전부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측을 가리킬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북극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외측구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남극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내측구역, 즉, 상기 제2 자기소자(3402)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상면 또는 상기 하면에 평행하게 되는 동일한 평면에서, 상기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으로)은 전부 상기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가리킬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남극은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중심구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북극은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외측구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상면 또는 하면에 평행하게 되는 동일한 평면에서,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으로)은 전부 상기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가리킬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남극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외측구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북극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내측구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자기소자(3402) 내측에서,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상면 또는 하면에 평행하게 되는 동일한 평면에서,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으로)은 전부 상기 외측으로부터 상기 내측을 가리킬 수 있다.
일부 대안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3401)는 2개 이상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2개 이상의 자석의 자화방향은 전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도면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좌측과 우측 자석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고, 각각 상기 제2 자기소자(3402)를 가리킬 수 있다)를 가리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3402)는 2개 이상의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2개 이상의 자석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가리킬 수 있다. 일부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각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기타 방향일 수도 있다. 상이한 자화방향을 구비하는 자기소자들의 조합은 상기 자기장 강도를 더 향상시키고 및/또는 상기 자기장 강도의 분포를 더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방향은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즉, 상기 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상면의 평면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간주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자화방향은 평행하게 되거나 기설정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일정한 각도 범위내, 이를 테면, 60°, 80, 90°, 1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기전도소자와 상기 자기소자 사이의 연결방법은 접착, 클램핑, 용접, 리벳팅, 및 볼트, 등 중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자화방향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도6에서의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에 관한 설명을 참고 바란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제2 자기전도소자(3404) 및 제3 자기전도소자(34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3404)의 밑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405)의 상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3402)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3403)는 원기둥체, 장방체, 또는 삼각 프리즘, 등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3401), 상기 제2 자기소자(3402),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3404), 및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405)는 고리형(연속된 고리형, 비연속된 고리형, 직사각 고리형, 삼각 고리형, 등.)일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소자(3402),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3404), 및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405)의 상기 Z축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형상과 크기는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3403)는 두께가 같을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소자(3402),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3404), 및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405)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자기소자(3401)의 두께 및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3403)의 두께와 동등할 수 있다.
도 35는 본 개시에 따른 도 34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34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3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자기소자(3405)가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누설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도14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도 3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3600)는 제1 자기소자(3601), 제2 자기소자(3602), 제1 자기전도소자(3603), 제2 자기전도소자(3604), 및 제3 자기전도소자(36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34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3600)에서,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605)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3601), 상기 제2 자기소자(3602), 및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3603)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3602)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3604)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자기소자(3601)의 두께와 동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3603)의 두께와 동등할 수 있다.
도 37은 본 개시에 따른 도 36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36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3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의 원점(-0.091-0.232mm 이내) 부근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605)의 상면이 상기 제1 자기소자(3601), 상기 제2 자기소자(3602), 및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3603)의 밑면에 연결되기 때문에, 도 34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Z축의 원점(예를 들면 0.232mm) 부근의 상기 자기장 강도는 약 0.68T로 개선될 수 있다.
도 3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3800)는 제1 자기소자(3801), 제2 자기소자(3802), 제1 자기전도소자(3803), 제2 자기전도소자(3804), 제3 자기전도소자(3805), 및 제4 자기전도소자(38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4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380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3806)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3803)와 상기 제1 자기소자(3801)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805)와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3806)는 자기갭에서 간격을 둘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3806)와 상기 제1 자기소자(3801)의 외환의 상기 Z축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외곽의 형상과 크기는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3805)와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3806)의 두께는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3803), 상기 제1 자기소자(3801) 및 상기 제2 자기소자(3802)의 두께는 같을 수 있다.
도 39는 본 개시에 따른 도 38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38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3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의 원점(예를 들면 -0.227-0.5mm 이내) 부근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3806)를 추가하므로써, 도 34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Z축의 원점(예를 들면 0.109mm) 부근의 자기장 강도는 약 0.54T로 개선될 수 있다.
도 4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4000)는 제1 자기소자(4001), 제2 자기소자(4002), 제1 자기전도소자(4003), 제2 자기전도소자(4004), 제3 자기전도소자(4005), 및 제4 자기전도소자(40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36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4000)는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400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4006)의 밑면은 제1 자기전도소자(4003)와 상기 제1 자기소자(4001)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4003),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4005), 및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4006)는 원기둥체, 입방체, 또는 삼각 프리즘, 등일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4004)는 고리형 (연속된 고리형, 비연속된 고리형, 직사각 고리형, 삼각 고리형, 등)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4001), 상기 제2 자기소자(4002),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4003)의 두께는 같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4004)와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4006)의 두께는 같을 수 있다.
도 41은 본 개시에 따른 도 40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40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4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의 원점 부근에서 대칭되게 분포될 수 있다.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3806)를 추가하므로써, 도36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Z축의 원점(예를 들면 0.312mm) 부근의 자기장 강도는 약 0.54T로 감소될 수 있다.
도 4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4200)는 제1 자기소자(4201), 제2 자기소자(4202), 제1 자기전도소자(4203), 제2 자기전도소자(4204), 제3 자기전도소자(4205), 제4 자기전도소자(4206) 및 제5자기전도소자(4207)를 포함할 수 있다. 도38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4200)는 상기 제5자기전도소자(42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자기전도소자(4207)의 밑면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4203)와 상기 제1 자기소자(4201)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자기전도소자(4207)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4204)는 자기갭 내에서 간격을 둘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4206)와 상기 제5자기전도소자(4207)의 두께 및 상기 세로 Z축에서의 횡단면의 형상과 크기는 같을 수 있다. 상기 제5자기전도소자(4207)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4204)의 두께는 같을 수 있다.
도 43은 본 개시에 따른 도 42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42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4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 강도의 분포는 상기 Z축의 원점 옆에서 고도로 대칭되게 분포될 수 있다. 제5자기전도소자(4207)를 추가하므로써, 도38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의 원점(예를 들면 0.151mm) 부근에서 서로 접근할 수 있다.
도 34, 도 36, 도 38, 도 40, 도 42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 상기 제2 자기소자, 및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를 설치한 기초상에서,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수요에 따라 상기 자기전도소자의 수량, 위치 및 형식을 결정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도 40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의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4006)는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400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4400)는 제1 자기소자(4401), 제1 자기전도소자(4402), 및 제2 자기전도소자(4403)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분 상기 제1 자기소자(4401)는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4403)를 에워싸고,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4402)는 상기 제1 자기소자(4401)를 에워싸고, 상기 제1 자기소자(4401)와 상기 제1 자기소자(4402)은 자기갭을 형성할 수 있다. 음성코일은 상기 자기갭 내에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4401)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4401)의 상면에 평행하게 될 수 있다(즉, 상기 도면에서 수평방향).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4401)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4401)로부터 상기 제1 자기소자(4402)를 가리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4401)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4401)로부터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4403)를 가리킬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4401)와 그 자화방향에 대한 더 많은 설명은 도 14의 상기 제1 자기소자(1401)의 상세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방향은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즉, 상기 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4401)의 상면의 평면에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간주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자기전도소자와 상기 자기소자 사이의 연결방법은 접착, 클램핑, 용접, 리벳팅, 및 볼트, 등 중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4403)의 형상은 원기둥체 또는 장방체,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4401),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4402), 및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4403)의 두께는 같을 수 있다.
도 45는 본 개시에 따른 도 44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4에 표시하는 자기갭 내에서, 도 44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4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강도의 최대치(예를 들면 상기 웜점 위치의 최대치)는 약 0.3T일 수 있으며,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을 따라 매우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으며, 상기 Z축의 상기 원점 높이의 자기장 강도는 고도로 대칭될 수 있다.
도 4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4600)는 제1 자기소자(4601), 제1 자기전도소자(4602), 제2 자기전도소자(4603), 및 제3 자기전도소자(46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4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4600)는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460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4604)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4601),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4602)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4603)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7은 본 개시에 따른 도 46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46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4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예를 들면 -0.041-0.500mm 이내)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제3 자기전도소자(4604)를 추가하므로써, 도 44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Z축의 원점(예를 들면 0.348mm) 부근의 자기장 강도는 약 0.43T일 수 있다.
도 4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4800)는 제1 자기소자(4801), 제1 자기전도소자(4802), 제2 자기전도소자(4803), 및 제3 자기전도소자(48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4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4800)는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480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4804)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4801)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4803)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6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4800)에서,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4804)의 상면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4803)와 상기 제1 자기소자(4801)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고, 및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4802)의 밑면에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4804)는 원기둥체, 장방체, 또는 삼각 프리즘, 등일 수 있다.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4804)와 상기 제1 자기소자(4801)의 외환의 상기 Z축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외곽의 형상과 크기는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4801)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4804)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4802)의 두께와 동등할 수 있다.
도 49는 본 개시에 따른 도 48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48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4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강도는 일반적으로 상기 Z축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4804)를 추가하므로써, 도 44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Z축의 원점 부근의 자기장 강도는 약 0.34T로 커질 수 있다.
도 5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5000)는 제1 자기소자(5001), 제1 자기전도소자(5002), 제2 자기전도소자(5003), 제3 자기전도소자(5004), 및 제4 자기전도소자(50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8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5000)는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500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5005)의 밑면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5003)와 상기 제1 자기소자(5001)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5005)는 원기둥체 또는 장방체일 수 있으며,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5005)와 상기 제1 자기소자(5001)의 외환의 상기 Z축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외곽의 형상과 크기는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5005)와 상기 제1 자기소자(5001)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002)의 두께와 동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5003)의 두께와 동등할 수 있다.
도 51은 본 개시에 따른 도 50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50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5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을 따라 매우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5005)를 추가하므로써, 도 48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Z축의 원점(예를 들면 -0194mm) 부근의 상기 자기장 강도는 약 0.3T로 감소될 수 있다.
도 5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5200)는 제1 자기소자(5201), 제1 자기전도소자(5202), 제2 자기전도소자(5203), 제3 자기전도소자(5204), 및 제4 자기전도소자(52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8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5200)는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520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5205)의 밑면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5203)와 상기 제1 자기소자(5201)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5205)는 원기둥체, 장방체 또는 삼각 프리즘, 등일 수 있다.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5205)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5204)의 상기 Z축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형상과 크기는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5201),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5204), 및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5205)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202)의 두께와 동등할 수 있다.
도 53은 본 개시에 따른 도 52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52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5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48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장 강도의 최대치(예를 들면 상기 최대치 -0.011mm 위치)는 유사하고, 약 0.3T 정도이며, 그러나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전체 Z축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도 44, 도 46, 도 48, 도 50, 도 52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 및 제2 자기전도소자를 설치한 기초상에서,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수요에 따라 상기 자기전도소자의 수량, 위치 및 형식을 결정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도 50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의 상기 제4 자기전도소자(5005)는 제2 자기전도소자(5003)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5400)는 제1 자기소자(5401), 제2 자기소자(5402), 제3 자기소자(5403), 제4 자석소자(5404), 제5 자기소자(5405), 제6 자기소자(5406)와 제1 자기전도소자(5407)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제1 자기소자(5401)는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407)를 에워쌀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소자(5402)는 상기 제1 자기소자(5401)를 에워쌀 수 있으며, 자기갭은 상기 제1 자기소자(5401)의 외환과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예를 들면,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의 내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음성코일은 상기 자기갭 내에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3 자기소자(5403)의 밑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4 자기소자(5404)의 상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의 밑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5401)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407)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5401)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407)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자기소자(5403)와 상기 제5 자기소자(5405)는 상기 자기갭 내에서 간격을 둘 수 있으며, 상기 제4 자석소자(5404)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는 상기 자기갭 내에서 간격을 둘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5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5401) 및/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의 상면에 평행하게 될 수 있거나(즉, 상기 도면에서 수평방향), 또는 내면과 외면에 수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5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의 자화방향은 서로 평행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자기소자(5401)의 자화방향은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부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의 자화방향은 상기 내측(상기 제1 자기소자(5401)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상기 외측(상기 제1 자기소자(5401)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을 향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제1 자기소자(5401)의 자화방향은 상기 외측으로부터 상기 중심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고,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의 자화방향은 상기 외측(상기 제1 자기소자(5401)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으로부터 상기 내측(상기 제1 자기소자(5401)에 가까운 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3 자기소자(5403)와 상기 제4 자기소자(5404)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와 상기 제3 자기소자(5403) 및/또는 상기 제4 자석소자(5404)와의 연결면(즉, 상기 도면에서 세로방향, 상기 도면에서 각 자기소자 상의 화살방향은 상기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을 표시한다)에 수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자기소자(5403)와 상기 제4 자기소자(5404)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5401)와 상기 제5 자기소자(5405) 또는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즉, 상기 도면에서 세로방향, 상기 도면에서 각 자기소자의 화살방향은 상기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을 표시한다)의 연결면에 수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3 자기소자(5403) 및 상기 제4 자기소자(5404)의 설치는 상기 제3 자기소자(5403)와 상기 제4 자기소자(5404)의 동일한 자극이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에 가깝고, 상기 제3 자기소자(5403)와 상기 제4 자기소자(5404)의 상기 상이한 자극은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으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자기소자(5403)와 상기 제4 자기소자(5404)의 남극과 비교하여, 상기 제3 자기소자(5403)와 상기 제4 자기소자(5404)의 북극은 전부 상기 제2 자기소자(5042)에 가까울 수 있다. 즉, 상기 제3 자기소자(5403)와 상기 자기소자(5403)의 내측에서,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으로)은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을 가리킬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3 자기소자(5403)와 상기 제4 자기소자(5404)의 북극과 비교하여, 상기 제3 자기소자(5403)와 상기 제4 자기소자(5404)의 남극은 전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407)에 가까울 수 있다. 즉, 상기 제3 자기소자(5403) 및 상기 제4 자기소자(5404)의 내측에서,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으로)은 상기 제2 자기소자(5402)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설치는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동일한 자극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407)에 가깝고,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상이한 자극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407)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남극과 비교하여,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북극은 전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407)에 가까울 수 있다. 즉,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내측에서,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으로)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407)를 가리킬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북극과 비교하여,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남극은 전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407)에 가까울 수 있다. 즉,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내측에서, 자기유도선 또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즉, 남극으로부터 북극으로)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407)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를 반대로 자화시키므로써,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자기유도선의 방향이 상기 자기갭 내에서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기유도선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407)로부터 상기 제2 자기소자(5402)를 가리킬 수 있고, 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5402)로부터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407)를 가리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자기갭 내의 자기장 강도를 커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자기소자(5403)와 상기 제4 자석소자(5404),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 상기 제3 자기소자(5403)와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의 자화방향을 세로방향으로 또한 서로 반대로 되게 설치하므로써,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5401)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은 억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자기장에 대응되는 상기 자기유도선은 상기 자기갭 내에서 수평으로 분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기유도선은 상기 제1 자석소자(5401)의 단부로부터 상기 자기갭 내에서 수평 또는 거의 수평방향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 방식을 통해,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음성코일의 자기장의 방향은 주로 수평 또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자기장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에 의해 생성된 소리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각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기타 방향일 수도 있다. 상이한 자화방향의 자기소자의 조합은 상기 자기장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및/또는 상기 자기장의 강도 분포를 더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방향은 상기 음성코일의 방향에 수직이 되는 방향, 즉, 상기 제1 자기소자(5401)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에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간주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세로방향은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방향, 즉, 상기 제1 자기소자(5401)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5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의 자화방향은 서로 평행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자기소자 (5403), 상기 제4 자석소자(5404), 상기 제5 자기소자(5405), 및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자화방향은 평행하게 되거나 또는 기설정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54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170°와 190° 사이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5401) 및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의 자화방향에 대한 더 많은 설명은 도6에서의 상기 제1 자기소자(6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02)의 자화방향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제3 자기소자(5403), 상기 제4 자석소자(5404), 상기 제5 자기소자(5405), 및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은 자기차폐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자기갭 내의 자기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기소자 사이의 연결방법은 접착, 클램핑, 용접, 리벳팅, 및 볼트, 등 중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407), 상기 제5 자기소자(5405), 및 상기 제6 자기소자(5406)는 원기둥체, 입방체, 또는 삼각 프리즘, 등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5401), 상기 제2 자기소자(5402), 상기 제3 자기소자(5403), 및 상기 제4 자석소자(5404)은 고리형(연속된 고리형, 비연속된 고리형, 직사각 고리형, 삼각 고리형,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5402), 상기 제3 자기소자(5403), 및 상기 제4 자석소자(5404)의 상기 Z축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형상과 크기는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5401),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외환의 상기 Z축에 수직이 되는 횡단면의 형상과 크기는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5407), 상기 제1 자기소자(5401), 및 상기 제2 자기소자(5402)의 두께는 같을 수 있으며, 상기 제3 자기소자(5403)와 상기 제5 자기소자(5405)의 두께는 같을 수 있으며, 상기 제4 자기소자(5404)와 상기 제6 자기소자(5406)의 두께는 같을 수 있다.
도 55는 본 개시에 따른 도 54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54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5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소자에 의해 형성된 상기 자기차폐장을 추가하므로써,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의 원점에 대하여 고도로 대칭되며, 상기 자기장 강도는 더 높을 수 있다.
도 5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소자(5601), 제2 자기소자(5602), 제3 자기소자(5603), 제4 자석소자(5604), 제5 자기소자(5605), 제6 자기소자(5606) 및 제1 자기전도소자(5607)를 포함한다. 도 54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제3 자기소자(5603)의 내환의 크기는 상기 제2 자기소자(5602)의 내환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기 제4 자기소자(5604)의 내환의 크기는 상기 제2 자기소자(5602)의 내환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기 제5 자기소자(5605)의 외부 윤곽의 크기는 상기 제1 자기소자(5601)의 외환의 크기보다 클 수 있으며, 상기 제6 자기소자(5606)의 외부 윤곽의 크기는 상기 제1 자기소자(5601)의 외환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상기 제5 자기소자(5605)와 상기 제6 자기소자(5606)는 상기 제1 자기소자(5601)에 상대적으로 상기 자기갭을 향해 돌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자기소자(5603)와 상기 제4 자기소자(5604)는 상기 제2 자기소자(5602)에 상대적으로 상기 자기갭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도 57은 본 개시에 따른 도 56에서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자기갭 내에서, 도 56에 표시하는 상기 Z축방향에서 상이한 점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 방향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도 5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자기차폐장을 추가하므로써, 상기 자기장 강도는 상기 Z축의 원점에 대하여 고도로 대칭될 수 있으며, 상기 전체적자기장 강도는 도 54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보다 높을 수 있다.
도 58 및 도 5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소자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자기소자는 본 개시의 자기소자와 자기전도소자에 의해 형성된 임의의 자기회로조립체에 응용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에 위치하는 자기소자의 횡단면은 원형(예를 들면 도 58의 상기 자기소자(661)), 타원형, 직사각형(예를 들면 도 59의 상기 자기소자(681)), 삼각형, 또는 임의의 다각형, 등일 수 있다. 상기 외측에 에워싸고 위치하는 상기 자기소자는 고리형, 예를 들면 고리(예를 들면, 도 58의 상기 자기소자(662)), 타원형 고리, 직사각형 고리(예를 들면 도 59의 자기소자(682)), 삼각형 고리, 또는 임의의 다각형 고리, 등일 수 있다.
상기 자기소자(661)와 상기 자기소자(662)은 자기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기소자는 내환과 외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내환 및/또는 외환의 형상은 반구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임의의 기타 다각형일 수 있다. 그리고, 도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32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의 자기회로조립체는 도 58에 표시하는 바와 유사한 구조를 공유할 수 있으며, 도 32, 34, 36, 40, 42, 44, 46, 48, 50, 52, 54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의 자기회로조립체는 도 59에 표시하는 바와 유사한 구조를 공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소자(661)의 자화방향은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측으로 방사될 수 있다. 상기 자기소자(662)의 자화방향은 상기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소자(681)는 상이한 자석을 조합한 것일 수 있으며, 각 자석의 자화방향은 상응하게 상기 자기소자(682)의 상기 자기소자(681) 반대쪽의 일측을 가리킬 수 있다.
도 6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소자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자기소자는 본 개시의 자기회로소자와 자기전도소자를 복합한 임의의 자기회로조립체일 수 있다. 도면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소자는 복수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자석 중의 임의의 하나의 양단부는 전부 인접한 자석에 연결되거나 상기 2개의 인접한 자석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자석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소자는 등거리로 설치된 2개 또는 3개의 시트형 자석(예를 들면 자석(671, 672및 6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형 자석의 형상은 부채형, 사각형 등일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상기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자기갭 내에서 상기 자기장 강도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기타 구조(예를 들면 도ㅍ61및 도 62에 표시하는)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자기갭 내의 자기장 강도가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스피커의 실제 수요에 따라 도 61, 도 62에 나타내는 실시예들 및 앞에서 언급한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상기 자기갭 내의 자기장 강도가 더 크게 하며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회로조립체(6100)는 제1 자기소자(6101), 제1 자기전도소자(6102), 제2 자기전도소자(6103), 및 제2 자기소자(6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101) 및/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6104)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하나 또는 더 많은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101)는 제1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자기소자(6104)는 제2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제2 자석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102) 및/또는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103)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 투과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102) 및/또는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103)의 가공방식은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가공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101) 및/또는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102)는 축대칭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6101) 및/또는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102)는 원기둥체, 입방체, 또는 중공 고리형 (예를 들면 횡단면은 활주로 형상일 수 있다)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101)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102)는 같거나 다른 직경을 가지는 동축 원기둥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103)는 홈구조일 수 있다. 상기 홈구조는 U형 단면(도61에 표시하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구조에서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103)는 밑판과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밑판과 상기 측벽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측벽은 상기 밑판을 밑판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밑판은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방식을 통해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소자(6104)는 고리 또는 시트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자기소자(6104)의 형상에 관한 더 많은 내용은 본 개시의 기타 부분의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6104)는 상기 제1 자기소자(6101) 및/또는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102)와 동축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6101)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102)의 하면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6101)의 하면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103)의 밑판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소자(6104)의 하면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103)의 측벽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6101),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102),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103) 및/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6104) 사이의 연결방식은 접착, 클램핑, 용접, 리벳팅, 볼트, 또는 이들과 유사한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6101) 및/또는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102)와 상기 제2 자기소자(6104)의 내환 사이에 자기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음성코일(6105)은 상기 자기갭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103)의 밑판에 상대적인 상기 제2 자기소자(6104)와 상기 음성코일(6105)의 높이는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101),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102),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103), 및 상기 제2 자기소자(6104)는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전체 자기장("상기 자기회로조립체의 전체 자기장"라고도 한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6101)은 제1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체 자기장은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중의 모든 부재들(예를 들면, 상기 제1 자기소자(6101),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102),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103), 및 상기 제2 자기소자(6104)로부터 생성하는 자기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자기유도 강도 또는 자속 밀도라고도 부른다)는 상기 자기갭 내의 상기 제1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6104)는 제2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장이 상술한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은 상기 제2 자기장(즉, 상기 제2 자기소자가 존재할 때)이 존재할 때,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가 제2 자기장이 존재하지 않을 때의(즉, 제2 자기소자가 존재하지 않은)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기타 실시예에서 특별히 해석한 외에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전부의 자기소자와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하는 구조를 표시하고, 상기 전체 자기장은 전체적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을 표시한다. 상기 제1 자기장, 상기 제2 자기장, 상기 제3 자기장, ..., 상기 제N 자기장은 각각 상기 상응한 자기소자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을 표시한다. 상이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자기장(또는 상기 제3 자기장, ..., 상기 제N 자기장)을 생성하는 상기 자기소자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1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104)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0°와 180° 사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1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104)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45°와 145° 사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1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104)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90°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1 자기소자(6101)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6101)의 하면 또는 상면에 수직이 될 수 있으며 수직으로 상부를 향할 수 있으며(도면에서 a로 나타내는 방향), 제2 자기소자(6104)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2 자기소자(6104)의 내환(내면)으로부터 상기 외환(외면)(도면에서 b로 나타내는 방향,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오른쪽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이 시계바늘 방향에서90° 회전)을 가리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6104)의 위치에서, 상기 전체 자기장의 방향과 제2 자기소자(6104)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90°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자기소자(6104)의 위치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6101)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방향과 제2 자기소자(6104)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0°, 10°, 20° 또는 기타 90°보다 크지 않은 각도일 수 있다. 단일 자석소자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제2 자기소자(6104)는 상기 도 60에서의 상기 자기갭 내의 전체 자속을 커지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자기갭 내의 자기유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자기소자(6104)의 작용하에서, 원래 발산되는 자기유도선이 상기 자기갭의 위치를 향해 집중되고, 상기 자기갭 내의 자기유도 강도를 더 향상시킨다.
상술한 자기회로조립체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단지 구체적인 예이며 유일한 가능한 해결방안으로 여겨서는 안된다. 물론,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자기회로조립체의 기본 원리를 장악한 후, 상기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상기 자기소자를 구현하는 구체적인 수단과 절차의 형식이나 세부사항에 대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과 변경은 여전히 상술한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103)는 고리형구조 또는 시트구조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도 61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자기전도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자기전도커버는 상기 제1 자기소자(6101),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102),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103), 및 상기 제2 자기소자(6104)를 에워쌀 수 있다.
도 6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61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다른 점은,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제3 자기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점이다. 상기 제3 자기소자(6205)의 상면은 제2 자기소자(6204)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자기소자(6205)의 하면은 제2 자기전도소자(6203)의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자기소자(6201), 제1 자기전도소자(6202), 상기 제2 자기소자(6204) 및/또는 상기 제3 자기소자(6205) 사이에 자기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음성코일(6209)은 상기 자기갭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201),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202),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203), 상기 제2 자기소자(6204), 및 상기 제3 자기소자(6205)은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2 자기소자(6204)의 자화방향은 본 개시의 도 52의 구체적인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전체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기소자(6201)는 제2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자기갭 내의 상기 제1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자기갭 내의 상기 제2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3 자기소자(6205)는 제3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자기장은 상기 자기갭 내의 상기 제2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201)와 상기 제3 자기소자(6205)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0°와 180° 사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201)와 상기 제3 자기소자(6205)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45°와 145°사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201)와 상기 제3 자기소자(6205)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90°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1 자기소자(6201)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6201)의 하면 또는 상면에 수직이 될 수 있고 수직으로 상방을 향할 수 있으며(상기 도면에서 표시하는 방향), 제3 자기소자(6205)의 자화방황은 상기 제3 자기소자(6205)(상기 도면에서 표시하는 방향,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오른측에서,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을 시계바늘방향으로 180°회전한 방향)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가리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3 자기소자(6205)의 위치에서, 상기 전체 자기장의 방향과 제3 자기소자(6205)의 자화방황 사이의 각도는 90° 이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3 자기소자(6205)의 위치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6201)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과 상기 제3 자기소자(6205)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90° 이하일 수 있다.
도61에서의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와 비교하여,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3 자기소자(62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62에서의 상기 제3 자기소자(6205)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에서 상기 자기갭 내의 전체 자속을 더 증가시키며, 따라서 상기 자기갭 내의 자기유도 강도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3 자기소자(6205)의 작용하에서, 상기 자기유도선은 상기 자기갭의 위치를 향해 더 집중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자기갭 내의 자기유도 강도를 향상시킨다.
상술한 자기회로조립체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단지 구체적인 예이며 유일한 가능한 해결방안으로 여겨서는 안된다. 물론,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자기회로조립체의 기본 원리를 장악한 후, 상기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상기 자기소자를 구현하는 구체적인 수단과 절차의 형식이나 세부사항에 대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과 변경은 여전히 상술한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자기소자는 고리형구조 또는 시트구조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2 자기소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적어도 하나의 자기소자를 상기 자기회로조립체에 더 추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추가된 자기소자의 하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추가된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제3 자기소자의 자화방황과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추가된 자기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측벽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추가된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과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자기갭 내의 자기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타 자기회로구조에 관하여, 출원일자 2018년1월 8일에 제출한 PCT출원(출원번호:PCT/CN2018/07185)를 참고 바라며, 상기 선출원의 내용은 참고하여 본 출원에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서 중복하지 않는다.
도 6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회로조립체의 세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도63에 표시하는, 자기회로조립체(6300)는 제1 자기소자(6301), 제2 자기소자(6302), 제1 자기전도소자(6303), 제2 자기전도소자(6304), 및 제3 자기전도소자(63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소자(6302)는 상기 제1 자기소자(6301)를 에워싸고, 상기 제1 자기소자(63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302) 사이에 자기갭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의 음성코일은 상기 자기갭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6303)의 밑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6302)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304)의 밑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6301)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6305)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63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302)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소자(6301)와 상기 제2 자기소자(6302)의 자화방향은 전부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자기소자(6301)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2 자기소자(6302)의 자화방향과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자기소자(6301)의 북극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6304)(예를 들면 도71에서의 위로 향하는 방향)를 가리킬 수 있고, 상기 제2 자기소자(6302)의 북극은 상기 제3 자기전도소자(6305)(예를 들면 도 71에서의 아래로 향하는 방향)를 가리킬 수 있다.
도 64는 본 개시에 따른 도 63과 도 56에 표시하는 자기회로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피커의 주파수 반응곡선의 비교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 56에 표시하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를 이용하는 스피커 ("초선형 자기회로"라고도 부른다)와 도 63에 표시하는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를 이용하는 스피커("전통적인 자기회로"라고도 부른다)를 비교하면, 도63에 표시하는 자기회로조립체를 이용하는 스피커의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음량은 더 높을 수 있으며, 저주파수와 고주파수 범위의 음량의 변화는 더 온화하고, 전체 주파수 반응은 더 선형적이고 음질이 더 좋을 수 있다.
이상에서 기본 원칙을 설명하였다. 물론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상기의 상세설명은 하나의 실시예 뿐이고 본 개시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여기에서 명기하지 않았지만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본 개시에 대하여 다양한 변화, 개진,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화, 개진, 또는 수정은 본 개시의 제시를 받았으며, 이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지와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특정된 용어를 사용한다. 이를테면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및/또는 "일부 실시예"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상세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어의 상이한 부분에서 기술한 2개 이상의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또는 "하나의 변형 실시예"는 전부 동일한 실시예로 여길 필요가 없음을 강조하고 인정한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본 개시에서 일부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적당히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본 공개의 각 방면은 임의의 새롭고 유용한 처리, 기계, 제품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물질의 조합 또는 그들의 새롭고 유용한 개진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특허 가능한 종류 또는 상황을 통해 기술하고 설명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각 방면은 전체적으로 하드웨어,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 코드 등)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는 "데이터 블록", "모듈", "엔진", "유닛", "부재", 또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공개의 각 방면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내에 있는 컴퓨터 제품,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내장한 제품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요소 또는 순서, 또는 숫자, 문자 또는 기타 명칭의 사용은 청구범위에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주장된 프로세스 및 방법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상기 공개는 상기 공개의 여러 다양한 유용한 실시예를 통해 현재 본 공개의 다양한 유용한 실시예로 간주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논의하지만, 이러한 상세내용은 오로지 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들이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수정과 공개된 실시예들의 요지와 범위 내에 있는 방안과 동등한 방안을 포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 요소의 구현이 하드웨어 장치에 구현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전용 솔루션(예를 들면 기존 서버나 모바일 장치에 설치하는)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본 개시의 상기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실시예의 이해를 돕는 개시를 능률화하기 위해 어떤 경우 다양한 특징들이 하나의 실시예, 도면 또는 그에 대한 기재에 함께 집중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는 각 청구항들에서 언급된 특징보다 더 많은 특징을 요구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오히려, 청구된 주제는 상기 공개된 하나의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적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본 출원의 특정된 실시예를 설명하고 주장하는데 사용된 량 및 속성의 개수를 표시하는 숫자는 일부 예에서 용어 "약", "유사", 또는 "기본상" 등으로 수정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약", "유사" 또는 "기본상"은 그 묘사하는 값이±1%, ±5%, ±10%, ±20%의 변화가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사용한 수치 계수는 유사치이며, 그 유사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얻으려는 성질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치 계수는 보고된 유효 숫자를 고려하고 일반적인 숫자 보유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범위를 확인하는데 사용된 수치 범위와 계수는 유사치이지만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이러한 수치는 가능한 범위에서 될수록 정확하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공개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원칙들을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기타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비한정적인 대안 형태는 여기에서 주는 암시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보여주고 묘사된대로 정확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7)

  1. 음향장치로서,
    제1 수용캐비티를 포함하는 셸; 및
    상기 제1 수용캐비티 내에 설치된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 음성코일, 진동조립체, 및 진동전도판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회로조립체는 자기갭을 형성하고,
    상기 음성코일의 일단은 상기 자기갭 내에 설치되고, 상기 음성코일의 다른 일단은 상기 진동조립체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조립체는 상기 진동전도판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전도판은 상기 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조립체는 내부 지지부재, 외부 지지부재, 및 진동막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코일의 다른 일단은 내부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음성코일의 일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의 양측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진동막은 상기 내부 지지부재 및 상기 외부 지지부재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 지지부재 및 상기 외부 지지부재의 제1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수용캐비티의 반지름방향이고,
    상기 내부 지지부재, 상기 외부 지지부재, 또는 상기 진동막 중 적어도 하나는 진동전도판에 연결되어 진동을 상기 진동전도판에 전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지지부재 및 상기 내부 지지부재는 상기 진동막에 가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 지지부재 및 상기 내부 지지부재의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하고, 상기 내부 지지부재 및 상기 진동막이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외부 지지부재에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내부 지지부재 및 상기 외부 지지부재의 연장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돌출기둥은 상기 외부 지지부재의 다른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막은 제1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돌출기둥은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상기 진동막에 가동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부재의 일단은 제2 돌출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막은 제2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돌출기둥은 상기 제2 관통홀을 통해 상기 진동막에 가동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탄성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진동전도판과 상기 내부 지지부재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내부 지지부재의 진동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기둥은 제1 기둥부와 상기 제1 기둥부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제2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둥부는 상기 제1 기둥부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기둥부는 상기 제2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기둥부는 상기 진동전도판에 삽입되며,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는 제3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제3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 기둥부에 덮여지고, 상기 제1 기둥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보호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소자는 접촉부, 수용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수용부는 제2 수용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진동전도판은 상기 제2 수용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진동전도판의 외단면에 접촉되고, 상기 지지부는 제2 수용캐비티에 연결되며 상기 셸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셸의 내벽에는 고리형 베어링 플랫폼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형지지부 및 상기 탄성충격흡수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는 자기소자세트와 자기전도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전도커버는 커버 밑면, 커버 측면, 및 원기둥형홈을 포함하고, 상기 원기둥형홈은 상기 커버 밑면과 상기 커버 측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자기소자세트는 상기 원기둥형홈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전도커버와의 사이에 상기 자기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소자세트를 상기 커버 밑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차례로 상기 자기소자세트를 통과하고 상기 커버 밑면을 통과하여 스크류 연결을 통해 상기 자기소자세트와 상기 커버 밑면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부재는 덮개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자기소자세트의 일부분은 부분적으로 상기 덮개 슬롯내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지지부재는 원기둥형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회로조립체 및 제2 자기회로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를 에워싸서 상기 자기갭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소자 및 제2 자기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들에 의해 생성되는 전체 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는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제1 자기소자 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기장 강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150°와 18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전부 상기 자기갭 내에서 상기 음성코일의 진동방향에 수직이 되거나 평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제3 자기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 사이에 설치되며,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제3 자기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를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과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의 연결면에 수직이 되며,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기소자의 자화방향과 상기 제1 자기소자 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60°와 12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기소자의 자화방향과 상기 제1 자기소자 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 사이의 각도는 0°와 30°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제2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 사이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소자를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과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와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의 연결면에 수직이 되며,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를 에워싸고, 상기 제1 자기소자는 상기 제2 자기소자를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의 상면은 상기 제1 자기소자의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자기전도소자의 하면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상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회로조립체와 제2 자기회로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를 에워싸서 상기 자기갭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전도소자를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제1 자기전도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를 에워싸고,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중심구역으로부터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외측구역을 가리키거나, 또는 상기 제1자기소자의 외측구역으로부터 상기 제1 자기소자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조립체는 제1 자기회로조립체와 제2 자기회로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를 에워싸서 상기 자기갭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1 자기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기회로조립체는 상기 제2 자기소자를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제2 자기소자는 상기 제1 자기소자를 에워싸고,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중심구역으로부터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외측구역을 가리키거나, 또는 상기 제1 자기소자의 외측구역으로부터 상기 제1 자기소자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자화방향은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외환으로부터 상기 제2 자기소자의 내환을 가리키거나, 또는 상기 제2 자기소자의 외환으로부터 상기 제2 자기소자의 내환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KR1020227032921A 2020-04-29 2021-04-20 음향장치 및 그 자기회로조립체 KR102629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358223.0 2020-04-29
CN202010358223 2020-04-29
CN202021689802.5 2020-08-12
CN202021689802.5U CN212851008U (zh) 2020-08-12 2020-08-12 发声装置及其扬声器组件
PCT/CN2021/088446 WO2021218709A1 (zh) 2020-04-29 2021-04-20 声学装置及其磁路组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544A true KR20220146544A (ko) 2022-11-01
KR102629489B1 KR102629489B1 (ko) 2024-01-29

Family

ID=7837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921A KR102629489B1 (ko) 2020-04-29 2021-04-20 음향장치 및 그 자기회로조립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20360905A1 (ko)
EP (1) EP4084495A4 (ko)
JP (1) JP2023518496A (ko)
KR (1) KR102629489B1 (ko)
AU (1) AU2021262946B2 (ko)
BR (1) BR112022015551A2 (ko)
CA (1) CA3178738A1 (ko)
CL (1) CL2022002933A1 (ko)
CO (1) CO2022015149A2 (ko)
MX (1) MX2022013216A (ko)
PE (1) PE20221848A1 (ko)
WO (1) WO202121870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1043A (zh) * 2019-01-05 2019-03-2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以及骨传导发声装置
WO2019134162A1 (zh) * 2018-01-08 2019-07-11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
WO2019237727A1 (zh) * 2018-06-15 2019-12-1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及耳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156B1 (en) * 2002-08-16 2003-03-29 Joo Bae Kim Ultra-small bone conduction speaker by using diaphragm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JP6238302B2 (ja) * 2014-12-17 2017-11-29 国立大学法人 名古屋工業大学 骨伝導デバイス
CN104936108B (zh) * 2015-06-11 2018-06-26 深圳市喜声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装置
CN110730410A (zh) * 2019-09-30 2020-01-24 东莞市赞歌声学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器、骨传导耳机及骨传导助听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4162A1 (zh) * 2018-01-08 2019-07-11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
WO2019237727A1 (zh) * 2018-06-15 2019-12-1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及耳机
CN109511043A (zh) * 2019-01-05 2019-03-2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以及骨传导发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62946A1 (en) 2022-12-01
CO2022015149A2 (es) 2022-11-08
MX2022013216A (es) 2022-11-14
CL2022002933A1 (es) 2023-04-10
EP4084495A4 (en) 2023-07-12
JP2023518496A (ja) 2023-05-01
US20220360905A1 (en) 2022-11-10
WO2021218709A1 (zh) 2021-11-04
PE20221848A1 (es) 2022-11-30
CA3178738A1 (en) 2021-11-04
AU2021262946B2 (en) 2024-01-04
EP4084495A1 (en) 2022-11-02
BR112022015551A2 (pt) 2022-09-27
KR102629489B1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2516B (zh) 一种骨传导扬声器
TWI798358B (zh) 面板音訊擴音器電磁致動器
JP2023120261A (ja) 骨伝導スピーカーおよびイヤホン
US11765510B2 (en) Bone conduction speaker
KR20220146544A (ko) 음향장치 및 그 자기회로조립체
CN108184196B (zh) 一种骨传导扬声器
CN114982253A (zh) 声学装置及其磁路组件
JP6032984B2 (ja) イヤホン用電磁型音響変換装置
CN107948882A (zh) 一种骨传导扬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