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210A -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210A
KR20220146210A KR1020210053184A KR20210053184A KR20220146210A KR 20220146210 A KR20220146210 A KR 20220146210A KR 1020210053184 A KR1020210053184 A KR 1020210053184A KR 20210053184 A KR20210053184 A KR 20210053184A KR 20220146210 A KR20220146210 A KR 20220146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base plate
extension plate
hand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웅
이진선
이천섭
박관순
Original Assignee
이선웅
이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웅, 이진선 filed Critical 이선웅
Priority to KR1020210053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6210A/ko
Publication of KR2022014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1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제1 안착부가 마련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한 쌍을 이루며, 일측에는 상기 제1 안착부와 함께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제2 안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2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연장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장 플레이트는 콘스타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인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케이스{CASE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크기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 고사양으로 발전하면서 고가의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필수적인 패션 아이템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사이즈에 맞도록 제작된 해당 스마트폰 케이스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해당 스마트폰 기종에 맞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구매하지 않을 경우, 해당 스마트폰 케이스를 사용하는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단지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주요 기능으로는 전화 통화만 있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을 통해 게임을 즐길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는 손으로 스마트폰을 잡고 있어야 하기에 손에 의해 화면의 일부분이 가려질 수 있다. 이에, 게임을 함에 있어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통해 게임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크기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 스마트폰 케이스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76898호(2020.06.3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의 크기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1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제1 안착부가 마련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한 쌍을 이루며, 일측에는 상기 제1 안착부와 함께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제2 안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2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연장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장 플레이트는 콘스타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인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장 플레이트의 중앙에 마련된 스마트폰의 조작시,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제2 손잡이부에 가해지는 악력에 따라 콘스타치로 이루어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장 플레이트의 물성이 변화되며 스마트폰를 지지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제1 안착부가 구비된 메인 바디부; 및 상기 메인 바디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삽입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 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단턱을 이루는 상기 가이드 바디부의 단턱부가 삽입되는 단턱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스마트폰의 일측 하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스마트폰의 타측 테두리 하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삽입 공간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삽입 공간홀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손잡이부는 가상의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대칭을 이루는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손잡이부는 상기 제1 손잡이부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통해 게임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크기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스마트폰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스마트폰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 케이스(10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연장 플레이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연장 플레이트(200)는 한 쌍을 이루며 스마트폰(10)을 지지하며, 외부로부터 해당 스마트폰(10)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장 플레이트(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연장 플레이트(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마트폰(10)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이루어진 스마트폰 케이스(1000)는 스마트폰(10)의 길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메인 바디부(110)와 가이드 바디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인 바디부(110)의 일측에는 제1 손잡이부(111)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손잡이부(111)는 사용자의 손이 파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손잡이부(111)는 스마트폰 케이스(1000)에 고정된 스마트폰(10)의 외측에 마련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폰(10)을 통해 게임을 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10)의 화면이 손에 의해 가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손잡이부(111)는 계단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는 계단 형태를 이루는 제1 손잡이부(111)에 각각의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스마트폰(10) 게임을 즐길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손잡이부(111)가 계단 형태를 이루는 경우, 스마트폰 케이스(1000)를 놓치거나 미끄러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손잡이부(111)는 가상의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대칭으로 이루도록 계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손잡이부(111)의 형상은 반드시 계단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메인 바디부(110)의 타측에는 제1 안착부(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안착부(112)는 스마트폰 케이스(1000)에 고정되는 스마트폰(10)의 일측 하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후술될 연장 플레이트(200)에는 제2 안착부(2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2 안착부(210)는 스마트폰(10)의 타측 테두리 하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스마트폰(10)은 제1 안착부(112)와 제2 안착부(210)에 의해 스마트폰 케이스(1000)에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바디부(120)는 메인 바디부(110)의 타측에 연결된다.
이러한 메인 바디부(1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로부터 이동되는 연장 플레이트(20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가이드 바디부(120)에는 연장 플레이트(2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121)은 가이드 바디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 플레이트(200)에는 가이드홈(121)에 삽입되는 삽입 돌출부(231)가 구비된다. 이에, 삽입 돌출부(231)가 가이드홈(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 플레이트(200)는 가이드 바디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 플레이트(200)에는 단턱 삽입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턱 삽입홈(232)은 가이드홈(121)을 형성하며 가이드홈(121)과 단턱을 이루는 가이드 바디부(120)의 단턱부(122)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가이드 바디부(120)에 형성된 가이드홈(121)에는 연장 플레이트(200)의 삽입 돌출부(231)가 삽입되고, 연장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단턱 삽입홈(232)에는 가이드 바디부(120)에 형성된 단턱부(122)가 삽입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연장 플레이트(200)는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연장 플레이트(200)는 제2 안착부(210)와 제2 손잡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안착부(210)는 연장 플레이트(20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 공간홀(201)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이러한 제2 안착부(210)는 스마트폰(10)의 타측 테두리 하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손잡이부(220)는 연장 플레이트(200)의 타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 손잡이부(220)는 제1 손잡이부(111)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구체적인 내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연장 플레이트(200)는 콘스타치(constarch)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연장 플레이트(200)는 예를 들어, 실리콘(silicon)으로 된 주머니 껍질에 콘스타치를 주입해서 만든 레일 형태의 스마트폰 케이스(1000)이다. 여기서 콘스타치는 옥수수 녹말과 물을 일정 비율로 섞은 혼합물로, 해당 콘스타치의 농도는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고체화되고 악력이 제거되었을 때 유동성을 회복할 수 있는 농도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스타치 소재는 압력이 가해졌을 때 고체화되고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유동성을 회복하는 물질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스마트폰 케이스(1000)의 중앙부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연장 플레이트(200)를 이동시키며 압력을 가하는 경우, 평상시에 흐물흐물하던 스마트폰 케이스(1000)는 딱딱해지며, 스마트폰(10)은 스마트폰 케이스(10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스마트폰 케이스(1000)의 양측을 손으로 움켜쥔 상태에서 스마트폰 케이스(1000)의 중앙에 배치된 스마트폰(10)을 조작하는 경우, 스마트폰(10)의 조작을 위해 이동되는 손가락의 손에는 악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 케이스(1000)는 악력에 의해 딱딱해지며, 스마트폰 케이스(1000)에 지지되는 스마트폰(10)은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연장 플레이트(200)의 중앙에 마련된 스마트폰(10)을 조작하는 경우, 제1 손잡이부(111)와 제2 손잡이부(220)에 가해지는 악력에 따라 콘스타치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연장 플레이트(200)의 물성이 변화되며 스마트폰 케이스(1000)는 스마트폰(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 케이스(1000)의 좌측과 우측을 손으로 움켜쥔 상태에서 중앙에 배치된 스마트폰(1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게임을 조작하는 경우, 개인별 손악력에 따라 스마트폰 케이스(1000)는 딱딱함/말랑함이 콘스타치에 의해 조절되기에, 기존에 딱딱하기만 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케이스(10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좌, 우로 길이 변형이 가능한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 하 방향으로도 길이가 함께 변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마트폰
100: 베이스 플레이트
110: 메인 바디부
111: 제1 손잡이부
112: 제1 안착부
120: 가이드 바디부
121: 가이드홈
122: 단턱부
200: 연장 플레이트
201: 삽입 공간홀
210: 제2 안착부
220: 제2 손잡이부
231: 삽입 돌출부
232: 단턱 삽입홈
1000: 스마트폰 케이스

Claims (4)

  1.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1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제1 안착부가 마련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한 쌍을 이루며, 일측에는 상기 제1 안착부와 함께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제2 안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2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연장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장 플레이트는 콘스타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인 스마트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장 플레이트의 중앙에 마련된 스마트폰의 조작시,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제2 손잡이부에 가해지는 악력에 따라 콘스타치로 이루어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장 플레이트의 물성이 변화되며 스마트폰의 지지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제1 안착부가 구비된 메인 바디부; 및
    상기 메인 바디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삽입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 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단턱을 이루는 상기 가이드 바디부의 단턱부가 삽입되는 단턱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스마트폰의 일측 하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스마트폰의 타측 테두리 하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삽입 공간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삽입 공간홀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손잡이부는 가상의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대칭을 이루는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손잡이부는 상기 제1 손잡이부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210053184A 2021-04-23 2021-04-23 스마트폰 케이스 KR20220146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184A KR20220146210A (ko) 2021-04-23 2021-04-23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184A KR20220146210A (ko) 2021-04-23 2021-04-23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210A true KR20220146210A (ko) 2022-11-01

Family

ID=8404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184A KR20220146210A (ko) 2021-04-23 2021-04-23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62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898A (ko) 2018-12-20 2020-06-30 백승호 스마트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898A (ko) 2018-12-20 2020-06-30 백승호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8171A1 (en) Display Mount for a Game Controller
US10065112B2 (en) Clamping type game operating handle
JP2017228031A (ja) ゲーム機用コントローラ
CN207838250U (zh) 一种手机游戏手柄
US9014766B2 (en) Protective clamp frame having power and unclamp duplex button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WO2018179180A1 (ja) ゲーム機用コントローラ
US20210023441A1 (en) Operation assistance apparatus for game controller, and operation assistance method
KR20140024234A (ko)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
US20180375980A1 (en) Phone Stand Case
KR20110116892A (ko) 휴대폰용 게임패드 장치
KR20220146210A (ko)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US7664255B2 (en) Hands free aural device holder
CN103736274A (zh) 多功能游戏手柄
CN215195374U (zh) 可调节角度的连接配件及设有该连接配件的游戏手柄
CN207477948U (zh) 一种游戏手柄
CN216023119U (zh) 一种可拉伸的一体式智能控制器
KR200471949Y1 (ko) 휴대전화 케이스
CN209710150U (zh) 一种可调节指环扣
KR100926113B1 (ko) 센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컴퓨터용 마우스
CN209560521U (zh) 一种便携的虚拟形象语音播放器
WO2019015081A1 (zh) 一种触屏游戏摇杆
JP3084047U (ja) 携帯電話の指掛けホルダー
CN205377992U (zh) 一种多功能手机游戏手柄
KR200389271Y1 (ko) 휴대폰 버튼 부의 위치 재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