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009A -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009A
KR20220146009A KR1020210052741A KR20210052741A KR20220146009A KR 20220146009 A KR20220146009 A KR 20220146009A KR 1020210052741 A KR1020210052741 A KR 1020210052741A KR 20210052741 A KR20210052741 A KR 20210052741A KR 20220146009 A KR20220146009 A KR 20220146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sports
information
data
sk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호 filed Critical 박성호
Priority to KR1020210052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6009A/ko
Publication of KR20220146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32Apparatus for automatic testing and analysing marked record carriers, used for examinations of the multiple choice answer typ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을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준 후에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의 객관적인 정보로 가공시켜 제공하도록 구현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력 단말이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입력기량데이터로 전송하며; 수집 단말이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기량데이터로 전송하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가 입력 단말의 입력기량데이터 및 수집 단말의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받아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개인종합정보로 저장시키며; 정보요청에 따라 정보수신자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개인종합정보를 가공시켜 전송하며; 데이터베이스가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에서 저장하는 개인종합정보를 개인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며; 수신자 단말이 정보요청을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 후에,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부터 개인종합정보를 수신받아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로 출력시킨다.

Description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Sport ability service system, server and method}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을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준 후에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의 객관적인 정보로 가공시켜 제공하도록 구현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매우 많은 컴퓨터들과 이들 컴퓨터들을 통신 링크들을 통하여 상호 접속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들로 구성되며, 상호 접속된 컴퓨터들은 다양한 서비스로, 전자 우편, 고퍼, 월드 와이드 웹(WWW)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한다. 월드 와이드 웹은 서버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어, 웹서버 혹은 웹사이트 등)이 정보의 도해적인 웹 페이지들을 원격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에 보내지는 것을 허용하며, 원격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 받은 다양한 화면의 웹페이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이 비약적인 발전을 함에 따라 사이버 공간상에서 각종 스포츠 경기 자료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거나 과거의 경기 자료를 열람해 볼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축구 경기를 관람하는 것만으로는 선수나 팀의 기량을 충분히 파악할 수 없듯이, 비록 전문 기록원이 축구 경기의 전반적인 내용을 세세하게 기록하여 인터넷을 통해 각종 수치들을 열람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가공되지 않은 방대한 축구 경기 자료를 보고 선수나 팀의 장단점 및 정밀 분석을 하기란 불가능하다. 더구나, 스포츠 정보의 디지털화와 인터넷 디지털 방송 시대를 맞이하는 시점에서 스포츠 경기력 관련 자료의 과학적 분석 방법과 2차 자료 해석에 대한 공급 촉진과 수요의 충족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97780호(2005.06.17. 등록)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축구 경기 기록 분석 방법과 분석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일반 사용자 컴퓨터와, 입력자 컴퓨터와, 축구 협회 컴퓨터와, 전문가 컴퓨터와, 언론사 컴퓨터와, 선수 컴퓨터 및 이들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서버 컴퓨터를 구비하여 축구 경기 기록을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 컴퓨터는, 입력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축구 경기 정보를 축구장 평면데이터의 형식으로 저장하는 경기정보데이터베이스, 평면데이터로부터 팀별/개인별 기초 통계자료 및 축구 선수들의 다양한 경기 패턴을 분석하는 축구경기분석프로그램, 분석된 분석 자료를 저장하는 분석자료데이터베이스 및 분석 자료를 토대로 도표, 그래프, 분포도, 축구장 평면도 등의 이미지 결과 정보 형태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자 컴퓨터로부터 실시간 축구 경기 정보를 축구장 평면 데이터의 형식으로 입력받아 이를 경기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축구경기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력된 축구 경기 정보를 축구장의 평면 위치 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분석자료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일반 사용자 컴퓨터/축구 협회 컴퓨터/전문가 컴퓨터/언론사 컴퓨터/선수 컴퓨터의 사용자 분석 명령에 따라 이미지 변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면 위치 정보로부터 팀별/개인별 기초 통계자료 및 축구 선수들의 다양한 경기 패턴을 도표, 그래프, 분포도, 축구장 평면도 등의 이미지 결과 정보로 변환하고, 이미지 결과 정보를 일반 사용자 컴퓨터/축구 협회 컴퓨터/전문가 컴퓨터/언론사 컴퓨터/선수 컴퓨터로 차별 전송하며, 입력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경기의 코드, 팀명, 일자, 주최자, 주심/부심, 날씨, 공격진영, 홈경기여부, 선수명단 등의 기초자료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자가 축구장 평면도에 마우스나 기타 입력도구로 선수의 위치를 점으로 지정하고, 볼의 진행방향을 선으로 지정하며, 볼의 패스형태를 문자나 코드의 형태로 입력하여 이루어지는 축구장 평면도 정보를 페이지 정보 단위로 입력받는 단계; 기초자료 및 페이지 정보를 경기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축구장 평면 데이터에 수정사항이 있거나 입력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저장된 상기 경기정보데이터베이스를 불러내어 숫자나 문자형태의 상세 데이터를 확인 또는 수정하거나 페이지순서대로 스크롤시키면서 축구장 평면도에 입력된 그래픽 내용을 확인 또는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축구 경기 정보와 그 정보가 발생한 X좌표 및 Y좌표가 저장된 기록테이블에서 사용자 컴퓨터의 명령에 따라 결과 함수를 이용하여 명령조건과 일치하는 기록들을 찾아 그 기록들의 X좌표 및 Y좌표를 추출하여 위치정보로 저장하고, 그 위치정보에 맞는 그래픽 페이지의 영상 정보와, 선택된 옵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경기 기록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게 하고, 일반 사용자는 물론, 축구협회나 전문가나 언론사나 선수/감독 등 누구나 각종 축구 경기 자료를 쉽게 검색하여 선수들의 기량 발전이나 팀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원하는 분석 자료를 빠르고 쉽게 제공할 수 있게 하여 각 팀이나 선수의 기량을 충분히 검증함으로써 팀이나 선수의 기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 선수들의 동작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게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67659호(2005.01.13. 등록)는 객관화된 질적인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경기실적 평가모델이 적용된 스포츠 선수들의 가치산정을 위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프로선수들의 연봉산정, 아마추어의 스카우트 및 외국용병 스카우트, 선수 드래프트, 선수 트레이드 등을 위해 선수 개인들 또는 선수구단의 질적 평가를 위한 공헌도를 알기 위해 개인 이용자, 농구선수, 농구 관련 기관, 농구구단, 언론(스포츠) 기관들이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회원가입 신청을 받는 기능과, 회원 가입을 받은 후 회원등록을 하고 ID를 부여하는 기능과, 웹사이트에 가입한 회원들을 관리자서버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 관리하는 기능과, 선수들의 공헌도를 경기 상황에 의해 공격가산(공헌), 공격감산(실책), 수비가산(공헌), 수비감산(실책)으로 분류한 상태에서 대별된 요인을 근거로 한 129개의 경기요인과 경기요인을 세부적인 1277개의 경기상황요인으로 설정하고 경기요인과 경기상황요인을 가중치를 두어 수치화하여 정량화된 결과를 개인 이용자, 농구선수, 농구 관련 기관, 농구구단, 언론(스포츠) 기관들이 각각 서버 또는 단말기를 통해 요청을 하면 해당 서버 또는 단말기로 선수들의 공헌도 자료를 전송하여 주는 기능을 갖는 관리자서버와; 프로선수들의 연봉산정, 아마추어의 스카우트 및 외국용병 스카우트, 선수 드래프트, 선수 트레이드 등을 위해 선수 개인들 또는 선수구단의 질적 평가를 위한 공헌도를 알기 위해 관리자 서버 내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신청을 하는 기능과, 회원 가입 후 관리자 서버로부터 ID를 부여 받는 기능과, 선수들의 정량화된 공헌도를 관리자 서버에 요청하여 선수들의 공헌도 자료를 전송 받는 기능을 갖는 개인 이용자 단말기와; 프로선수들의 연봉산정, 아마추어의 스카우트 및 외국용병 스카우트, 선수 드래프트, 선수 트레이드 등을 위해 선수 개인들 또는 선수구단의 질적 평가를 위한 공헌도를 알기 위해 관리자 서버 내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신청을 하는 기능과, 상기 회원 가입 후 관리자 서버로부터 ID를 부여 받는 기능과, 선수들의 정량화된 공헌도를 관리자 서버에 요청하여 선수들의 공헌도 자료를 전송 받는 기능을 갖는 농구선수 단말기와; 프로선수들의 연봉산정, 아마추어의 스카우트 및 외국용병 스카우트, 선수 드래프트, 선수 트레이드 등을 위해 선수 개인들 또는 선수구단의 질적 평가를 위한 공헌도를 알기 위해 관리자 서버 내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신청을 하는 기능과, 회원 가입 후 관리자 서버로부터 ID를 부여 받는 기능과, 선수들의 정량화된 공헌도를 관리자 서버에 요청하여 선수들의 공헌도 자료를 전송 받는 기능을 갖는 농구 관련 기관 서버와; 프로선수들의 연봉산정, 아마추어의 스카우트 및 외국용병 스카우트, 선수 드래프트, 선수 트레이드 등을 위해 선수 개인들 또는 선수구단의 질적 평가를 위한 공헌도를 알기 위해 관리자 서버 내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신청을 하는 기능과, 회원 가입 후 관리자 서버로부터 ID를 부여 받는 기능과, 선수들의 정량화된 공헌도를 관리자 서버에 요청하여 선수들의 공헌도 자료를 전송 받는 기능을 갖는 농구구단 서버와; 프로선수들의 연봉산정, 아마추어의 스카우트 및 외국용병 스카우트, 선수 드래프트, 선수 트레이드 등을 위해 선수 개인들 또는 선수구단의 질적 평가를 위한 공헌도를 알기 위해 관리자 서버 내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신청을 하는 기능과, 회원 가입 후 관리자 서버로부터 ID를 부여 받는 기능과, 선수들의 정량화된 공헌도를 관리자 서버에 요청하여 선수들의 공헌도 자료를 전송 받는 기능을 갖는 언론(스포츠)기관 서버와; 관리자 서버로부터 개인 이용자, 농구선수, 농구 관련 기관, 농구구단, 언론(스포츠) 기관 등의 결제번호인 금융정보, 카드정보, 이동통신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에 대한 인증요청을 받는 기능과, 인증요청 후 금융사 서버, 카드사 서버, 이동통신사 과금 서버 중에서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한 후 인증 결과를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여 주는 기능을 갖는 금융사/카드사/이동통신사 과금 서버와; 금융사/카드사/이동통신사 과금 서버로부터 인증 받은 개인 이용자, 농구선수, 농구 관련 기관, 농구구단, 언론(스포츠) 기관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의 결제번호를 관리자 서버로부터 전송 받는 기능과, 결제번호를 확인 후 결제된 결과를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여 주는 기능을 갖는 결제시스템 서버와; 결제시스템 서버로부터 결제된 이후 관리자 서버로부터 상기 선수들의 공헌도 정보, 결제정보를 전송 받는 기능과, 관리자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선수들의 공헌도 정보, 결제정보를 전자메일, 휴대폰의 SMS, 메신저 등을 통해 개인 이용자, 농구선수, 농구 관련 기관, 농구구단, 언론(스포츠)기관의 단말기 또는 개인 이용자, 농구선수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주는 기능을 갖는 통신제공사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을 분석하더라도 정보수신자가 누구인지에 상관없이 일괄적인 양식의 정보로 가공하여 제공해 줌으로써, 정보수신자가 해당 정보를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없었으며, 특히 객관적이고 수치화된 데이터를 가공하더라도 일괄적인 양식의 정보로 제공하다 보니, 스포츠 분야에 꿈을 키우고 있는 아이들과 아이들을 둔 학부모에게 보다 합리적인 선택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단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97780호 한국등록특허 제10-046765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을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준 후에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의 객관적인 정보로 가공시켜 제공하도록 구현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입력기량데이터로 전송하는 입력 단말;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기량데이터로 전송하는 수집 단말; 상기 입력 단말의 입력기량데이터 및 상기 수집 단말의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받아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개인종합정보로 저장시키며; 정보요청에 따라 정보수신자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개인종합정보를 가공시켜 전송하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에서 저장하는 개인종합정보를 개인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정보요청을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 후에,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부터 개인종합정보를 수신받아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로 출력시키는 수신자 단말을 포함하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단말은,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OMR 카드로 작성하도록 한 후에, OMR 카드를 판독하여 입력기량데이터로 입력받는 OMR 카드 리더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 단말은,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아 기 설정된 기준 폼의 입력기량데이터로 확보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장치는,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아 입력기량데이터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집 단말은,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도록 형성되어,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수집기량데이터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 자동 전송하는 개인능력분석장치, 경기분석장치, 헬스케어장치, 디지털헬스케어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입력 단말의 입력기량데이터 및 상기 수집 단말의 수집기량데이터를 잠재력 평가 항목과 실전 평가 항목으로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잠재력 평가 항목을 체격 항목과 체력 항목으로 대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며, 상기 실전 평가 항목을 슛 항목, 패스 항목, 드리블 항목 및 수비 항목으로 대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실전 평가 항목을 슛 항목, 패스 항목, 드리블 항목, 수비 항목 및 골키퍼 항목으로 대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체격 항목과 상기 체력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며, 상기 슛 항목, 상기 패스 항목, 상기 드리블 항목 및 상기 수비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슛 항목, 상기 패스 항목, 상기 드리블 항목, 상기 수비 항목 및 상기 골키퍼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체격 항목을 길이 항목, 무게 항목 및 둘레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며, 상기 체력 항목을 근력 항목, 근파워 항목, 근지구력 항목, 민첩성 항목, 유연성 항목 및 심폐지구력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길이 항목을 신장 항목, 팔길이 항목 및 지극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며, 상기 무게 항목을 체중 항목 및 체지방률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며, 상기 둘레 항목을 대퇴위 항목, 하퇴위 항목, 상완위 항목 및 흉위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신장 항목, 상기 팔길이 항목, 상기 지극 항목, 상기 체중 항목, 상기 체지방률 항목, 상기 대퇴위 항목, 상기 하퇴위 항목, 상기 상완위 항목 및 상기 흉위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근력 항목을 악력 항목, 각근력 항목 및 배근력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며, 상기 근파워 항목을 제자리높이뛰기 항목, 30m달리기 항목 및 원게이트테스트최고파워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며, 상기 근지구력 항목을 원게이트테스트평균파워 항목, 윗몸일으키기 항목 및 팔굽혀펴기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며, 상기 민첩성 항목을 (3mX5m)지그재그달리기 항목 및 사이드스텝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며, 상기 유연성 항목을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항목 및 엎드려윗몸뒤로젖히기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며, 상기 심폐지구력 항목을 (10m)왕복오래달리기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악력 항목, 상기 각근력 항목, 상기 배근력 항목, 상기 제자리높이뛰기 항목, 상기 30m달리기 항목, 상기 원게이트테스트최고파워 항목, 상기 원게이트테스트평균파워 항목, 상기 윗몸일으키기 항목, 상기 팔굽혀펴기 항목, 상기 (3mX5m)지그재그달리기 항목, 상기 사이드스텝 항목, 상기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항목, 상기 엎드려윗몸뒤로젖히기 항목 및 상기 (10m)왕복오래달리기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축구의 경우에, 상기 슛 항목을 득점 항목, 유효슈팅 항목, 페널티존외곽슛성공률 항목, 하이볼슛성공률 항목, 로우볼슛성공률 항목, 페널티킥슛성공률 항목 및 트리블슛성공률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득점 항목, 상기 유효슈팅 항목, 상기 페널티존외곽슛성공률 항목, 상기 하이볼슛성공률 항목, 상기 로우볼슛성공률 항목, 상기 페널티킥슛성공률 항목 및 상기 트리블슛성공률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축구의 경우에, 상기 패스 항목을 득점어시스트 항목, 유효슈팅어시스트 항목, 롱패스성공률 항목, 페널티존패스성공률 항목,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패스미스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득점어시스트 항목, 상기 유효슈팅어시스트 항목, 상기 롱패스성공률 항목, 상기 페널티존패스성공률 항목, 상기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상기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상기 패스미스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축구의 경우에, 상기 드리블 항목을 쇼트드리블 항목 및 롱드리블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쇼트드리블 항목 및 상기 롱드리블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축구의 경우에, 상기 수비 항목을 페널티존하이볼수비성공 항목, 페널티존로우볼수비성공 항목, 페널티존외부볼수비성공 항목, 결정적수비성공 항목, 업사이드수비성공 항목, 스틸성공 항목 및 수비실책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페널티존하이볼수비성공 항목, 상기 페널티존로우볼수비성공 항목, 상기 페널티존외부볼수비성공 항목, 상기 결정적수비성공 항목, 상기 업사이드수비성공 항목, 상기 스틸성공 항목 및 상기 수비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축구의 경우에, 상기 골키퍼 항목을 선방 항목, 페널티킥슛방어률 항목, 일대일노마크방어률 항목, 킥(패스)능력 항목,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실책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선방 항목, 상기 페널티킥슛방어률 항목, 상기 일대일노마크방어률 항목, 상기 킥(패스)능력 항목, 상기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상기 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농구의 경우에, 상기 슛 항목을 득점 항목, 자유투성공률 항목, 골밑슛성공률 항목, 미들슛성공률 항목, 3점슛성공률 항목, 바스킷카운트성공률 항목 및 와이드오픈실패률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득점 항목, 상기 자유투성공률 항목, 상기 골밑슛성공률 항목, 상기 미들슛성공률 항목, 상기 3점슛성공률 항목, 상기 바스킷카운트성공률항목 및 상기 와이드오픈실패률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농구의 경우에, 상기 패스 항목을 득점어시스트 항목, 와이드오픈패스성공률항목, 롱패스성공률 항목,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패스미스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득점어시스트 항목, 상기 와이드오픈패스성공률 항목, 상기 롱패스성공률 항목, 상기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상기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상기 패스미스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농구의 경우에, 상기 드리블 항목을 3점슛라인안쪽드리블실패 항목, 3점슛라인외각드리블실패 항목, 드리블실책 항목, 드리블이후와이드오픈챈스 항목 및 스크린프레이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3점슛라인안쪽드리블실패 항목, 상기 3점슛라인외각드리블실패 항목, 상기 드리블실책 항목, 상기 드리블이후와이드오픈찬스 항목 및 상기 스크린프레이 항목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농구의 경우에, 상기 수비 항목을 리바운드성공 항목, 블로킹성공 항목, 스틸성공 항목, 공격자제한시간성공 항목 및 수비실책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리바운드성공 항목, 상기 블로킹성공 항목, 상기 스틸성공 항목, 상기 공격자제한시간성공 항목 및 상기 수비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핸드볼의 경우에, 상기 슛 항목을 득점 항목, 유효슈팅 항목, 에어9m슛성공률 항목, 에어6m슛성공률 항목, 사이드슛성공률 항목, 페널티스로우슛성공률 항목 및 노마크또는노마크드리블슛성공률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득점 항목, 상기 유효슈팅 항목, 상기 에어9m슛성공률 항목, 상기 에어6m슛성공률 항목, 상기 사이드슛성공률 항목, 상기 페널티스로우슛성공률 항목 및 상기 노마크또는노마크드리블슛성공률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핸드볼의 경우에, 상기 패스 항목을 득점어시스트 항목, 유효슈팅어시스트 항목, 롱패스성공률 항목,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패스미스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득점어시스트 항목, 상기 유효슈팅어시스트 항목, 상기 롱패스성공률 항목, 상기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상기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상기 패스미스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핸드볼의 경우에, 상기 드리블 항목을 라인크로스 항목 및 드리블실책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라인크로스 항목 및 상기 드리블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핸드볼의 경우에, 상기 수비 항목을 블로킹성공 항목, 공격자제한시간성공 항목, 스틸성공 항목, 2분간퇴장 항목 및 수비실책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블로킹성공 항목, 상기 공격자제한시간성공 항목, 상기 스틸성공 항목, 상기 2분간퇴장 항목 및 상기 수비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핸드볼의 경우에, 상기 골키퍼 항목을 선방 항목, 페널티킥슛방어률 항목, 일대일노마크방어률 항목, 속공롱패스성공률 항목,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실책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선방 항목, 상기 페널티킥슛방어률 항목, 상기 일대일노마크방어률 항목, 상기 속공롱패스성공률 항목, 상기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상기 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로 적용하여 수치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수신자 단말의 정보요청에서 정보수신자를 식별하여 이에 대응하는 대응하는 개인종합정보와 개인종합정보 폼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며, 확인한 개인종합정보를 확인한 개인종합정보 폼으로 가공시켜 상기 수신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개인종합정보를 성적표 형태로 생성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개인종합정보를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로 구분하고, 개인종합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경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며, 수행한 시뮬레이션 결과의 분석 정보 값을 도출하는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 가상 경기 시뮬레이션 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개인종합정보를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로 구분하여,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 개인 종합 기량 정보나 개인 기초 정보에 대한 검색 기능을 검색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해서 상기 수신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수신자 단말의 파트너 검색을 요청받아 수신자의 개인종합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며, 확인한 개인종합정보에 대비해서 기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높은 개인종합정보를 가진 수신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매칭시켜 매칭 파트너로 형성하며, 형성한 매칭 파트너를 상기 수신자 단말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기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높은 개인종합정보를 가진 수신자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하여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기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높은 개인종합정보를 가진 수신자들 중에서 기 설정된 서로간의 거리 이내인 수신자를 선택하여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매칭 파트너 검색 시에 수신자의 성별과 동일한 성별을 가진 매칭 파트너를 검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는, 매칭 파트너의 프로필 정보와 함께 미션 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수신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정보수신자별로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의 개인종합정보 폼을 미리 설정하여 등록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신자 단말은,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 개인 종합 기량 정보나 개인 기초 정보를 검색하도록 하기 위한 검색 애플리케이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신자 단말은, 서로 함께 연습을 통해 개인 기량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파트너에 대한 검색을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 요청한 후에,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부터 매칭 파트너를 통보받아 수신자에게 알려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신자 단말은,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부터 매칭 파트너의 프로필 정보와 함께 미션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입력 단말, 수집 단말, 수신자 단말 각각을 식별하며, 상기 입력 단말로부터 입력기량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수집 단말로부터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받아 전달하며, 상기 수신자 단말로부터 정보요청을 수신받아 전달한 후에, 개인종합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수신자 단말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데이터수신처리부; 상기 데이터수신처리부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개인종합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개인종합정보화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요청에 따라 정보수신자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개인종합정보를 가공시켜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입력 단말이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입력기량데이터로 전송하는 단계; 수집 단말이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기량데이터로 전송하는 단계;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가 상기 입력 단말의 입력기량데이터 및 상기 수집 단말의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받아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개인종합정보로 저장시키는 단계;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에서 저장하는 개인종합정보를 개인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는 단계; 수신자 단말이 정보요청을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가 정보요청에 따라 정보수신자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개인종합정보를 가공시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자 단말이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부터 개인종합정보를 수신받아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을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준 후에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의 객관적인 정보로 가공시켜 제공하도록 구현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정보수신자가 해당 정보를 이해하기 쉬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스포츠 분야에 꿈을 키우고 있는 아이들과 아이들을 둔 학부모에게 객관적이고 수치화된 데이터를 성적표와 같은 양식으로 제공하여 보다 합리적인 선택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기량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입력 단말(110), 복수 개의 수집 단말(120),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 데이터베이스(140), 복수 개의 수신자 단말(150), 네트워크(160)를 포함한다.
입력 단말(110)은,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당 입력기량데이터를 네트워크(160)를 통해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 단말(110)은, OMR 카드 리더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OMR 카드로 작성하도록 한 후에, 해당 작성된 OMR 카드를 해당 OMR 카드 리더기로 판독하여 입력기량데이터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 단말(110)은, 키보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포함한 입력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해당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아 입력기량데이터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 단말(110)은, 각종 대회, 프로 경기 등과 같은 대회용으로 스포츠 분석가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기량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프로 구단, 교육 전문 기관 등과 같은 프로용으로 관리자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기량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학교 선수, 클럽 선수 등과 같은 선수용으로 관리자가 OMR 카드 리더기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기량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반인 등과 같은 보급용이나 학생 등과 같은 성적표용으로 관리자가 OMR 카드 리더기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기량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 단말(110)은, 스포츠나 체육 관련 교육 또는 지도에 있어서 각각의 전문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작성되어 보관된 학생이나 선수별 기량에 대한 데이터(예를 들어, 경기 성적 등)를,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준 폼(즉, 일관성 있는 기준 폼)의 입력기량데이터로 확보할 수 있다.
수집 단말(120)은,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 수집기량데이터를 네트워크(160)를 통해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집 단말(120)은,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와 연동시킨 개인능력분석장치, 경기분석장치나 헬스케어장치(디지털헬스케어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개인능력분석장치, 경기분석장치나 헬스케어장치(디지털헬스케어장치)를 통해 획득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기량데이터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 자동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집 단말(120)은, 각종 대회나 경기에 대한 분석 시스템과 연동하여 개인 기록을 산출해서 획득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기량데이터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 자동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집 단말(120)은, 대회용으로 경기분석장치를 이용하여 수집기량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으며, 프로용으로 경기분석장치나 개인능력분석장치를 이용하여 수집기량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를 수신받고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개인종합정보(즉, 객관적인 개인 종합 기량 정보)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 주며; 수신자 단말(15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요청을 수신받아 정보수신자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한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로 개인종합정보를 가공시켜 수신자 단말(15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크게 잠재력(피지컬) 평가 항목과 실전 평가 항목으로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이때 잠재력(피지컬) 평가 항목은 체격 항목과 체력 항목으로 대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또한 실전 평가 항목은 슛(shoot) 항목, 패스(pass) 항목, 드리블(dribble) 항목 및 수비 항목(또는, 골키퍼 항목)으로 대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대분류의 체격 항목과 체력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0% 및 10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으며, 대분류의 슛 항목, 패스 항목, 드리블 항목 및 수비 항목(또는, 골키퍼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0%, 100%, 100% 및 100%(또는, 40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대분류의 체격 항목을 길이 항목, 무게 항목 및 둘레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대분류의 체력 항목을 근력 항목, 근파워 항목, 근지구력 항목, 민첩성 항목, 유연성 항목 및 심폐지구력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중분류의 길이 항목을 신장 항목, 팔길이(상지장+하지장) 항목 및 지극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무게 항목을 체중 항목 및 체지방률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둘레 항목을 대퇴위 항목, 하퇴위 항목, 상완위 항목 및 흉위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소분류의 신장 항목, 팔길이(상지장+하지장) 항목, 지극 항목, 체중 항목, 체지방률 항목, 대퇴위 항목, 하퇴위 항목, 상완위 항목 및 흉위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0%, 10%, 10%, 15%, 15%, 5%, 5%, 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중분류의 근력 항목을 악력 항목, 각근력 항목 및 배근력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근파워 항목을 제자리높이뛰기 항목, 30m달리기 항목 및 원게이트테스트최고파워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근지구력 항목을 원게이트테스트평균파워 항목, 윗몸일으키기 항목 및 팔굽혀펴기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민첩성 항목을 (3mX5m)지그재그달리기 항목 및 사이드스텝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유연성 항목을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항목 및 엎드려윗몸뒤로젖히기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심폐지구력 항목을 (10m)왕복오래달리기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소분류의 악력 항목, 각근력 항목, 배근력 항목, 제자리높이뛰기 항목, 30m달리기 항목, 원게이트테스트최고파워 항목, 원게이트테스트평균파워 항목, 윗몸일으키기 항목, 팔굽혀펴기 항목, (3mX5m)지그재그달리기 항목, 사이드스텝 항목,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항목, 엎드려윗몸뒤로젖히기 항목 및 (10m)왕복오래달리기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 5%, 5%, 5%, 5%, 10%, 5%, 10%, 5%, 5%, 5%, 5%, 5% 및 2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슛 항목을 득점(골인 횟수) 항목, 유효슈팅(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페널티존외곽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하이볼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로우볼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페널티킥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및 트리블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중분류의 득점 항목, 유효슈팅 항목, 페널티존외곽슛성공률 항목, 하이볼슛성공률 항목, 로우볼슛성공률 항목, 페널티킥슛성공률 항목 및 트리블슛성공률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5%, 10%, 15%, 15%, 15%, 1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패스 항목을 득점어시스트(어시스트횟수) 항목, 유효슈팅어시스트(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패스 후 슈팅으로 연결된 경우에 성공으로 함) 항목, 롱패스(long pass)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20m 이상 거리에서 패스 또는 코너킥) 항목, 페널티존(penalty zone)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페널티 에리어 외부에서 페널티 에리어 안쪽으로 패스) 항목, 쇼트(shot)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페널티 에리어 존 안에서 이루어진 패스) 항목, 드루(through)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두 사람 수비를 뚫고 뒤쪽의 빈 공간으로 보내는 패스) 항목 및 패스미스(pass miss)(미스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중분류의 득점어시스트 항목, 유효슈팅어시스트 항목, 롱패스성공률 항목, 페널티존패스성공률 항목,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패스미스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5%, 20%, 10%, 10%, 10%, 10%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드리블 항목을 쇼트드리블(상대편에게 뺏기지 않은 횟수)(10m 이내 상대편과 대치 상황에서 공을 뺏기지 않고 드리블한 경우) 항목 및 롱드리블(상대편에게 뺏기지 않은 횟수)(10m 이상 상대편과 대치 상황에서 공을 뺏기지 않고 드리블한 경우)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중분류의 쇼트드리블 항목 및 롱드리블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50% 및 5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수비 항목을 페널티존하이볼수비성공(볼 처리 성공 횟수) 항목, 페널티존로우볼수비성공(볼 처리 성공 횟수) 항목, 페널티존외부볼수비성공(볼 처리 성공 횟수) 항목, 결정적수비성공(골대로 공이 들어가는 것을 수비한 경우) 항목, 업사이드(upside)수비성공 항목, 스틸(steal)성공 항목 및 수비실책(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중분류의 페널티존하이볼수비성공 항목, 페널티존로우볼수비성공 항목, 페널티존외부볼수비성공 항목, 결정적수비성공 항목, 업사이드수비성공 항목, 스틸성공 항목 및 수비실책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0%, 20%, 20%, 5%, 10%, 10%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골키퍼 항목을 선방(선방 횟수) 항목, 페널티킥슛방어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일대일노마크방어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킥(패스)능력 항목,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실책(실책 횟수)(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중분류의 선방 항목, 페널티킥슛방어률 항목, 일대일노마크방어률 항목, 킥(패스)능력 항목,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실책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0%, 50%, 50%, 50%, 50% 및 10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농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슛 항목을 득점(득점 점수) 항목, 자유투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골밑슛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미들슛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3점슛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바스킷카운트(basket count)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및 와이드오픈(wide open)실패률(실패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중분류의 득점 항목, 자유투성공률 항목, 골밑슛성공률 항목, 미들슛성공률 항목, 3점슛성공률 항목, 바스킷카운트성공률항목 및 와이드오픈실패률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0%, 15%, 15%, 15%, 15%, 10% 및 1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농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패스 항목을 득점어시스트(어시스트횟수) 항목, 와이드오픈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 항목, 롱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10m 이상 거리에서 패스) 항목, 쇼트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10m 이내 거리에서 패스) 항목, 드루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두 사람 수비를 뚫고 뒤쪽의 빈 공간으로 보내는 패스) 항목 및 패스미스(미스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중분류의 득점어시스트 항목, 와이드오픈패스성공률 항목, 롱패스성공률 항목,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패스미스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5%, 15%, 15%, 15%, 1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농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드리블 항목을 3점슛라인안쪽드리블실패(상대편에게 뺏긴 횟수)(3점슛(6m) 내부 존에서 드리블 실패 횟수) 항목, 3점슛라인외각드리블실패(상대편에게 뺏긴 횟수)(3점슛(6m) 외각 존에서 드리블 실패 횟수) 항목, 드리블실책(실책 횟수)(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 드리블이후와이드오픈챈스(찬스 횟수)(상대편을 속이고 와이드 오픈 찬스를 만들어 슛한 경우) 항목 및 스크린프레이(screen play)(스크린 플레이로 인하여 팀 플레이에 기 설정 횟수 이상으로 많은 활약을 한 경우)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중분류의 3점슛라인안쪽드리블실패 항목, 3점슛라인외각드리블실패 항목, 드리블실책 항목, 드리블이후와이드오픈찬스 항목 및 스크린프레이 항목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5%, 25%, 30%, 1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농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수비 항목을 리바운드(rebound)성공(성공 횟수) 항목, 블로킹(blocking)성공(성공 횟수) 항목, 스틸성공(성공 횟수) 항목, 공격자제한시간성공(성공 횟수)(골대로 공이 들어가는 것을 수비한 경우) 항목 및 수비실책(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중분류의 리바운드성공 항목, 블로킹성공 항목, 스틸성공 항목, 공격자제한시간성공 항목 및 수비실책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5%, 20%, 20%, 15% 및 2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슛 항목을 득점(골인 횟수) 항목, 유효슈팅(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에어9m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에어6m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사이드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페널티스로우(throw)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및 노마크또는노마크드리블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중분류의 득점 항목, 유효슈팅 항목, 에어9m슛성공률 항목, 에어6m슛성공률 항목, 사이드슛성공률 항목, 페널티스로우슛성공률 항목 및 노마크또는노마크드리블슛성공률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5%, 10%, 15%, 15%, 15%, 1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패스 항목을 득점어시스트(어시스트횟수) 항목, 유효슈팅어시스트(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패스 후 슈팅으로 연결된 경우에 성공으로 함) 항목, 롱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 항목, 쇼트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 항목, 드루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두 사람 수비를 뚫고 뒤쪽의 빈 공간으로 보내는 패스) 항목 및 패스미스(미스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중분류의 득점어시스트 항목, 유효슈팅어시스트 항목, 롱패스성공률 항목,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패스미스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5%, 15%, 10%, 15%, 15% 및 2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드리블 항목을 라인크로스(line cross)(미스 횟수) 항목 및 드리블실책(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중분류의 라인크로스 항목 및 드리블실책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50% 및 5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수비 항목을 블로킹(blocking)성공(성공 횟수) 항목, 공격자제한시간성공(성공 횟수) 항목, 스틸성공(성공 횟수) 항목, 2분간퇴장(퇴장 횟수) 항목 및 수비실책(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중분류의 블로킹성공 항목, 공격자제한시간성공 항목, 스틸성공 항목, 2분간퇴장 항목 및 수비실책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0%, 15%, 15%, 25% 및 2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골키퍼 항목을 선방(선방 횟수) 항목, 페널티킥슛방어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일대일노마크방어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속공롱패스성공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실책(실책 횟수)(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중분류의 선방 항목, 페널티킥슛방어률 항목, 일대일노마크방어률 항목, 속공롱패스성공률 항목,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실책 항목은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0%, 50%, 50%, 50%, 50% 및 10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수신자 단말(15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요청에서 정보수신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해당 식별한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개인종합정보와 개인종합정보 폼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확인한 개인종합정보를 해당 확인한 개인종합정보 폼으로 가공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수신받은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수신받은 수집기량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분석한 개인종합정보를 개인 기량 평가서로서의 성적표 형태(예를 들어, 전국/지역/학교 석차, 성적표, 경기 분석표 등)로 생성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 가상 경기 시뮬레이션 툴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개인종합정보를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로 구분하고, 해당 가상 경기 시뮬레이션 툴에서 해당 개인종합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경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수행한 시뮬레이션 결과의 분석 정보 값을 도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개인종합정보를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로 구분하여,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 개인 종합 기량 정보나 개인 기초 정보에 대한 검색 기능을 검색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해서 사용자 동의 여부를 확인한 후에 수신자 단말(150)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개인능력분석장치, 경기분석장치나 헬스케어장치(디지털헬스케어장치)와의 연동, 빅데이터 수집, 개인 능력 평가 및 작성, 경기 분석 및 평가 작성,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 제공, 관리자 가상 경기 시나리오 분석, 능력별 선수 검색,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핸드폰 간편 확인, 스포츠나 체육 관련 광고 및 판매 등의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수신자 단말(150)로부터 파트너 검색을 요청받아 수신자의 개인종합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한 개인종합정보에 대비해서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20%) 이상으로 높은 개인종합정보를 가진 수신자를 데이터베이스(140)에서 매칭시켜 매칭 파트너로 형성하며, 해당 형성한 매칭 파트너를 수신자 단말(150)로 통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20%) 이상으로 높은 개인종합정보를 가진 수신자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하여 매칭시킬 수 있으며, 다르게는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20%) 이상으로 높은 개인종합정보를 가진 수신자들 중에서 기 설정된 서로간의 거리(예를 들어, 반경 10(km)) 이내인 수신자를 선택하여 매칭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매칭 파트너 검색 시에 수신자의 성별과 동일한 성별을 가진 매칭 파트너(또는, 매칭 파트너들)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매칭 파트너의 프로필 정보와 함께 미션 정보(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간(예로, 3~6개월) 동안 매칭 파트너와 함께 기 설정된 비율(예로, 5~20%) 이상의 개인 기량 향상을 달성하라는 정보)를 생성시켜 수신자 단말(15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수신받은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수신받은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치화 분석 후에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 주며,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치화 능력 평가를 수행해 줄 수 있으며, 선수별 능력에 따라 장/단점을 분석하여 해당 장/단점 분석 DATA를 기반으로 이에 대응하여 선수에게 적합한 훈련 방법에 대한 솔루션(예를 들어, 훈련 동영상, 훈련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선수별(또는, 그룹별) 훈련 일정과 내용을 관리자(또는, 교육자)가 등록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일자별 훈련 상황을 제3자(예를 들어, 학부모나 교육 관련자 등)가 체크 가능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일정 기간(또는, 훈련 횟수)이 완료되면 평가 시험에 대한 알림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평가하여 주기적(내지는, 계획적)인 선수 평가가 가능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알림에는, 선수에 훈련 근퇴 조회도 가능하도록 훈련 근퇴에 대한 정보도 포함시켜 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저장되는 개인종합정보(예를 들어,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 개인 종합 기량 정보나 개인 기초 정보 등)를 개인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정보수신자별로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의 개인종합정보 폼을 미리 설정하여 등록해 둘 수 있다.
수신자 단말(150)은, 개인종합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정보요청을 네트워크(160)를 통해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준 후에,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개인종합정보를 수신받아 출력수단을 통해 개인종합정보를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로 출력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수신자 단말(150)은,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받은 개인종합정보를 모바일이나 사용자 PC의 전용 화면으로 출력해 주거나, 스마트폰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거나, PDF 등과 같은 별도의 파일 형태로 출력해 주거나, 분석 장치 등과 연동화된 자료로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신자 단말(150)은,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 개인 종합 기량 정보나 개인 기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신자 단말(150)은, 수신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예를 들어, PC, 노트북 등과 같은 통신 가능한 단말기이나, 스마트폰, 핸드폰, PDA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 등)로서, 서로 함께 연습을 통해 개인 기량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파트너에 대한 검색을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 요청한 후에,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매칭 파트너를 통보받아 수신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신자 단말(150)은,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매칭 파트너의 프로필 정보와 함께 미션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또는, 출력수단을 통한 음성출력)시켜 줄 수 있다.
네트워크(16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망을 구비하여, 복수 개의 입력 단말(110)과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 사이의 통신, 복수 개의 수집 단말(120)과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 사이의 통신,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와 복수 개의 수신자 단말(150) 사이의 통신을 연결시켜, 복수 개의 입력 단말(110)과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 간의 데이터, 복수 개의 수집 단말(120)과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 간의 데이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와 복수 개의 수신자 단말(150) 간의 데이터를 상호 서로 송수신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100)은,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즉,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을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개인종합정보(즉, 객관적인 개인 종합 기량 정보)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 준 후에,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로 개인종합정보를 가공시켜, 초등학교, 중등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등의 교육시설, 스포츠 전문 기관이나 전문 교육 기관, 스포츠 구단 등과 같이, 다양한 사용처에 제공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정보수신자가 해당 정보를 이해하기 쉬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스포츠 분야에 꿈을 키우고 있는 아이들과 아이들을 둔 학부모에게 객관적이고 수치화된 데이터를 성적표와 같은 양식으로 제공하여 보다 합리적인 선택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40)에 개인종합정보(즉, 객관적인 개인 종합 기량 정보)를 저장, 보관하였다가 활용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학생이나 선수 개인의 능력을 수치화된 데이터로 평가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개인의 기량에 장단점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고, 관리 감독자의 경우에 객관적인 개인 종합 기량 정보를 기반으로 전략전술적인 변화에 근거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관리 감독자의 주관성에 객관적인 개인 종합 기량 정보를 추가하여 모든 사람이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객관적인 개인 종합 기량 정보를 근거로 유소년 시절 그 능력과 발전 가능성 있는 인재를 사전에 발굴하여, 체계적이고 전문화적인 양성을 통해서, 유소년이 꿈꾸는 미래에 도움을 주어 스포츠의 발전에 이바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100)은,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을 주관적 데이터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데이터로 입력받거나 수집하고 누적하여 빅데이터화시켜 관리해 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는, 인터페이스부(131), 데이터수신처리부(132), 개인종합정보화부(133), 정보제공부(134)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31)는, 네트워크(160)를 통해 복수 개의 입력 단말(110), 복수 개의 수집 단말(120), 복수 개의 수신자 단말(150)과 통신 접속하며, 각기 자기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유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통신 접속된 입력 단말(110), 수집 단말(120), 수신자 단말(150) 각각을 식별하며, 그런 후에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를 수신받고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데이터수신처리부(132)로 전달해 주며, 수신자 단말(15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요청을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정보요청을 정보제공부(134)로 전달한 후에, 정보제공부(134)로부터 전달되는 가공정보(개인종합정보)를 수신자 단말(150)로 전송해 준다.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하여 수신 처리해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크게 잠재력(피지컬) 평가 항목과 실전 평가 항목으로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이때 잠재력(피지컬) 평가 항목은 체격 항목과 체력 항목으로 대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또한 실전 평가 항목은 슛(shoot) 항목, 패스(pass) 항목, 드리블(dribble) 항목 및 수비 항목(또는, 골키퍼 항목)으로 대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대분류의 체격 항목을 길이 항목, 무게 항목 및 둘레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대분류의 체력 항목을 근력 항목, 근파워 항목, 근지구력 항목, 민첩성 항목, 유연성 항목 및 심폐지구력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중분류의 길이 항목을 신장 항목, 팔길이(상지장+하지장) 항목 및 지극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무게 항목을 체중 항목 및 체지방률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둘레 항목을 대퇴위 항목, 하퇴위 항목, 상완위 항목 및 흉위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중분류의 근력 항목을 악력 항목, 각근력 항목 및 배근력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근파워 항목을 제자리높이뛰기 항목, 30m달리기 항목 및 원게이트테스트최고파워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근지구력 항목을 원게이트테스트평균파워 항목, 윗몸일으키기 항목 및 팔굽혀펴기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민첩성 항목을 (3mX5m)지그재그달리기 항목 및 사이드스텝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유연성 항목을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항목 및 엎드려윗몸뒤로젖히기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심폐지구력 항목을 (10m)왕복오래달리기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슛 항목을 득점(골인 횟수) 항목, 유효슈팅(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페널티존외곽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하이볼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로우볼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페널티킥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및 트리블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패스 항목을 득점어시스트(어시스트횟수) 항목, 유효슈팅어시스트(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패스 후 슈팅으로 연결된 경우에 성공으로 함) 항목, 롱패스(long pass)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20m 이상 거리에서 패스 또는 코너킥) 항목, 페널티존(penalty zone)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페널티 에리어 외부에서 페널티 에리어 안쪽으로 패스) 항목, 쇼트(shot)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페널티 에리어 존 안에서 이루어진 패스) 항목, 드루(through)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두 사람 수비를 뚫고 뒤쪽의 빈 공간으로 보내는 패스) 항목 및 패스미스(pass miss)(미스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드리블 항목을 쇼트드리블(상대편에게 뺏기지 않은 횟수)(10m 이내 상대편과 대치 상황에서 공을 뺏기지 않고 드리블한 경우) 항목 및 롱드리블(상대편에게 뺏기지 않은 횟수)(10m 이상 상대편과 대치 상황에서 공을 뺏기지 않고 드리블한 경우)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수비 항목을 페널티존하이볼수비성공(볼 처리 성공 횟수) 항목, 페널티존로우볼수비성공(볼 처리 성공 횟수) 항목, 페널티존외부볼수비성공(볼 처리 성공 횟수) 항목, 결정적수비성공(골대로 공이 들어가는 것을 수비한 경우) 항목, 업사이드(upside)수비성공 항목, 스틸(steal)성공 항목 및 수비실책(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골키퍼 항목을 선방(선방 횟수) 항목, 페널티킥슛방어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일대일노마크방어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킥(패스)능력 항목,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실책(실책 횟수)(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농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슛 항목을 득점(득점 점수) 항목, 자유투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골밑슛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미들슛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3점슛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바스킷카운트(basket count)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및 와이드오픈(wide open)실패률(실패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농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패스 항목을 득점어시스트(어시스트횟수) 항목, 와이드오픈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 항목, 롱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10m 이상 거리에서 패스) 항목, 쇼트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10m 이내 거리에서 패스) 항목, 드루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두 사람 수비를 뚫고 뒤쪽의 빈 공간으로 보내는 패스) 항목 및 패스미스(미스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농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드리블 항목을 3점슛라인안쪽드리블실패(상대편에게 뺏긴 횟수)(3점슛(6m) 내부 존에서 드리블 실패 횟수) 항목, 3점슛라인외각드리블실패(상대편에게 뺏긴 횟수)(3점슛(6m) 외각 존에서 드리블 실패 횟수) 항목, 드리블실책(실책 횟수)(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 드리블이후와이드오픈챈스(찬스 횟수)(상대편을 속이고 와이드 오픈 찬스를 만들어 슛한 경우) 항목 및 스크린프레이(screen play)(스크린 플레이로 인하여 팀 플레이에 기 설정 횟수 이상으로 많은 활약을 한 경우)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농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수비 항목을 리바운드(rebound)성공(성공 횟수) 항목, 블로킹(blocking)성공(성공 횟수) 항목, 스틸성공(성공 횟수) 항목, 공격자제한시간성공(성공 횟수)(골대로 공이 들어가는 것을 수비한 경우) 항목 및 수비실책(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슛 항목을 득점(골인 횟수) 항목, 유효슈팅(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에어9m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에어6m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사이드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페널티스로우(throw)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및 노마크또는노마크드리블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패스 항목을 득점어시스트(어시스트횟수) 항목, 유효슈팅어시스트(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패스 후 슈팅으로 연결된 경우에 성공으로 함) 항목, 롱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 항목, 쇼트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 항목, 드루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두 사람 수비를 뚫고 뒤쪽의 빈 공간으로 보내는 패스) 항목 및 패스미스(미스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드리블 항목을 라인크로스(line cross)(미스 횟수) 항목 및 드리블실책(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수비 항목을 블로킹(blocking)성공(성공 횟수) 항목, 공격자제한시간성공(성공 횟수) 항목, 스틸성공(성공 횟수) 항목, 2분간퇴장(퇴장 횟수) 항목 및 수비실책(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골키퍼 항목을 선방(선방 횟수) 항목, 페널티킥슛방어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일대일노마크방어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속공롱패스성공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실책(실책 횟수)(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수신처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개인능력분석장치, 경기분석장치나 헬스케어장치(디지털헬스케어장치)와의 연동, 빅데이터 수집 등의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로부터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개인종합정보(즉, 객관적인 개인 종합 기량 정보)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대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체격 항목과 체력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0% 및 10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대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슛 항목, 패스 항목, 드리블 항목 및 수비 항목(또는, 골키퍼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0%, 100%, 100% 및 100%(또는, 40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소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신장 항목, 팔길이(상지장+하지장) 항목, 지극 항목, 체중 항목, 체지방률 항목, 대퇴위 항목, 하퇴위 항목, 상완위 항목 및 흉위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0%, 10%, 10%, 15%, 15%, 5%, 5%, 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소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악력 항목, 각근력 항목, 배근력 항목, 제자리높이뛰기 항목, 30m달리기 항목, 원게이트테스트최고파워 항목, 원게이트테스트평균파워 항목, 윗몸일으키기 항목, 팔굽혀펴기 항목, (3mX5m)지그재그달리기 항목, 사이드스텝 항목,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항목, 엎드려윗몸뒤로젖히기 항목 및 (10m)왕복오래달리기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 5%, 5%, 5%, 5%, 10%, 5%, 10%, 5%, 5%, 5%, 5%, 5% 및 2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득점 항목, 유효슈팅 항목, 페널티존외곽슛성공률 항목, 하이볼슛성공률 항목, 로우볼슛성공률 항목, 페널티킥슛성공률 항목 및 트리블슛성공률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5%, 10%, 15%, 15%, 15%, 1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득점어시스트 항목, 유효슈팅어시스트 항목, 롱패스성공률 항목, 페널티존패스성공률 항목,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패스미스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5%, 20%, 10%, 10%, 10%, 10%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쇼트드리블 항목 및 롱드리블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50% 및 5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페널티존하이볼수비성공 항목, 페널티존로우볼수비성공 항목, 페널티존외부볼수비성공 항목, 결정적수비성공 항목, 업사이드수비성공 항목, 스틸성공 항목 및 수비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0%, 20%, 20%, 5%, 10%, 10%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선방 항목, 페널티킥슛방어률 항목, 일대일노마크방어률 항목, 킥(패스)능력 항목,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0%, 50%, 50%, 50%, 50% 및 10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득점 항목, 자유투성공률 항목, 골밑슛성공률 항목, 미들슛성공률 항목, 3점슛성공률 항목, 바스킷카운트성공률항목 및 와이드오픈실패률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0%, 15%, 15%, 15%, 15%, 10% 및 1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득점어시스트 항목, 와이드오픈패스성공률 항목, 롱패스성공률 항목,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패스미스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5%, 15%, 15%, 15%, 1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3점슛라인안쪽드리블실패 항목, 3점슛라인외각드리블실패 항목, 드리블실책 항목, 드리블이후와이드오픈찬스 항목 및 스크린프레이 항목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5%, 25%, 30%, 1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리바운드성공 항목, 블로킹성공 항목, 스틸성공 항목, 공격자제한시간성공 항목 및 수비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5%, 20%, 20%, 15% 및 2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득점 항목, 유효슈팅 항목, 에어9m슛성공률 항목, 에어6m슛성공률 항목, 사이드슛성공률 항목, 페널티스로우슛성공률 항목 및 노마크또는노마크드리블슛성공률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5%, 10%, 15%, 15%, 15%, 1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득점어시스트 항목, 유효슈팅어시스트 항목, 롱패스성공률 항목,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패스미스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5%, 15%, 10%, 15%, 15% 및 2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라인크로스 항목 및 드리블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50% 및 5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블로킹성공 항목, 공격자제한시간성공 항목, 스틸성공 항목, 2분간퇴장 항목 및 수비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0%, 15%, 15%, 25% 및 2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데이터수신처리부(132)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선방 항목, 페널티킥슛방어률 항목, 일대일노마크방어률 항목, 속공롱패스성공률 항목,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0%, 50%, 50%, 50%, 50% 및 10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 가상 경기 시뮬레이션 툴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개인종합정보를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로 구분하고, 해당 가상 경기 시뮬레이션 툴에서 해당 개인종합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경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수행한 시뮬레이션 결과의 분석 정보 값을 도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인종합정보화부(133)는, 개인 능력 평가 및 작성, 경기 분석 및 평가 작성,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 제공, 관리자 가상 경기 시나리오 분석 등의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정보제공부(134)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요청에서 정보수신자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한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로 개인종합정보를 가공시켜 가공정보(개인종합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1)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제공부(134)는, 수신자 단말(15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받은 정보요청에서 정보수신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해당 식별한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개인종합정보와 개인종합정보 폼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확인한 개인종합정보를 해당 확인한 개인종합정보 폼으로 가공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제공부(134)는, 분석한 개인종합정보를 개인 기량 평가서로서의 성적표 형태(예를 들어, 전국/지역/학교 석차, 성적표, 경기 분석표 등)로 생성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제공부(134)는, 개인종합정보를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로 구분하여,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 개인 종합 기량 정보나 개인 기초 정보에 대한 검색 기능을 검색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해서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자 단말(150)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제공부(134)는, 능력별 선수 검색,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핸드폰 간편 확인, 스포츠나 체육 관련 광고 및 판매 등의 기능을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자 단말(150)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제공부(134)는, 수신자 단말(15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파트너 검색을 요청받아 수신자의 개인종합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한 개인종합정보에 대비해서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20%) 이상으로 높은 개인종합정보를 가진 수신자를 데이터베이스(140)에서 매칭시켜 매칭 파트너로 형성하며, 해당 형성한 매칭 파트너를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자 단말(150)로 통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제공부(134)는,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20%) 이상으로 높은 개인종합정보를 가진 수신자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하여 매칭시킬 수 있으며, 다르게는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20%) 이상으로 높은 개인종합정보를 가진 수신자들 중에서 기 설정된 서로간의 거리(예를 들어, 반경 10(km)) 이내인 수신자를 선택하여 매칭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제공부(134)는, 매칭 파트너 검색 시에 수신자의 성별과 동일한 성별을 가진 매칭 파트너(또는, 매칭 파트너들)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제공부(134)는, 매칭 파트너의 프로필 정보와 함께 미션 정보(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간(예로, 3~6개월) 동안 매칭 파트너와 함께 기 설정된 비율(예로, 5~20%) 이상의 개인 기량 향상을 달성하라는 정보)를 생성시켜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자 단말(15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기량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 단말(110)에서는,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당 입력기량데이터를 네트워크(160)를 통해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주게 된다(S301).
상술한 단계 S301에서 입력기량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OMR 카드 리더기를 구비하고 있는 입력 단말(110)에서는,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OMR 카드로 작성하도록 한 후에, 해당 작성된 OMR 카드를 해당 OMR 카드 리더기로 판독하여 입력기량데이터로 입력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입력기량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키보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입력 단말(110)에서는, 입력기량데이터를 해당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입력기량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입력 단말(110)에서는, 각종 대회, 프로 경기 등과 같은 대회용으로 스포츠 분석가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기량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프로 구단, 교육 전문 기관 등과 같은 프로용으로 관리자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기량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학교 선수, 클럽 선수 등과 같은 선수용으로 관리자가 OMR 카드 리더기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기량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반인 등과 같은 보급용이나 학생 등과 같은 성적표용으로 관리자가 OMR 카드 리더기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기량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입력기량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입력 단말(110)에서는, 스포츠나 체육 관련 교육 또는 지도에 있어서 각각의 전문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작성되어 보관된 학생이나 선수별 기량에 대한 데이터(예를 들어, 경기 성적 등)를,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준 폼(즉, 일관성 있는 기준 폼)의 입력기량데이터로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입력기량데이터를 전송하는 한편, 수집 단말(120)에서는,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 수집기량데이터를 네트워크(160)를 통해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주게 된다(S302).
상술한 단계 S302에서 수집기량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와 연동시킨 개인능력분석장치, 경기분석장치나 헬스케어장치(디지털헬스케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수집 단말(120)에서는, 해당 개인능력분석장치, 경기분석장치나 헬스케어장치(디지털헬스케어장치)를 통해 획득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기량데이터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 자동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2에서 수집기량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수집 단말(120)에서는, 각종 대회나 경기에 대한 분석 시스템과 연동하여 개인 기록을 산출해서 획득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기량데이터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 자동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2에서 수집기량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수집 단말(120)에서는, 대회용으로 경기분석장치를 이용하여 수집기량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으며, 프로용으로 경기분석장치나 개인능력분석장치를 이용하여 수집기량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2에서 수집기량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를 수신받고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받아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해 주게 된다(S303).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크게 잠재력(피지컬) 평가 항목과 실전 평가 항목으로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이때 잠재력(피지컬) 평가 항목은 체격 항목과 체력 항목으로 대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또한 실전 평가 항목은 슛(shoot) 항목, 패스(pass) 항목, 드리블(dribble) 항목 및 수비 항목(또는, 골키퍼 항목)으로 대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대분류의 체격 항목을 길이 항목, 무게 항목 및 둘레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대분류의 체력 항목을 근력 항목, 근파워 항목, 근지구력 항목, 민첩성 항목, 유연성 항목 및 심폐지구력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중분류의 길이 항목을 신장 항목, 팔길이(상지장+하지장) 항목 및 지극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무게 항목을 체중 항목 및 체지방률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둘레 항목을 대퇴위 항목, 하퇴위 항목, 상완위 항목 및 흉위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중분류의 근력 항목을 악력 항목, 각근력 항목 및 배근력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근파워 항목을 제자리높이뛰기 항목, 30m달리기 항목 및 원게이트테스트최고파워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근지구력 항목을 원게이트테스트평균파워 항목, 윗몸일으키기 항목 및 팔굽혀펴기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민첩성 항목을 (3mX5m)지그재그달리기 항목 및 사이드스텝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유연성 항목을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항목 및 엎드려윗몸뒤로젖히기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으며, 중분류의 심폐지구력 항목을 (10m)왕복오래달리기 항목으로 소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슛 항목을 득점(골인 횟수) 항목, 유효슈팅(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페널티존외곽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하이볼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로우볼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페널티킥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및 트리블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패스 항목을 득점어시스트(어시스트횟수) 항목, 유효슈팅어시스트(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패스 후 슈팅으로 연결된 경우에 성공으로 함) 항목, 롱패스(long pass)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20m 이상 거리에서 패스 또는 코너킥) 항목, 페널티존(penalty zone)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페널티 에리어 외부에서 페널티 에리어 안쪽으로 패스) 항목, 쇼트(shot)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페널티 에리어 존 안에서 이루어진 패스) 항목, 드루(through)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두 사람 수비를 뚫고 뒤쪽의 빈 공간으로 보내는 패스) 항목 및 패스미스(pass miss)(미스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드리블 항목을 쇼트드리블(상대편에게 뺏기지 않은 횟수)(10m 이내 상대편과 대치 상황에서 공을 뺏기지 않고 드리블한 경우) 항목 및 롱드리블(상대편에게 뺏기지 않은 횟수)(10m 이상 상대편과 대치 상황에서 공을 뺏기지 않고 드리블한 경우)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골키퍼 항목을 선방(선방 횟수) 항목, 페널티킥슛방어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일대일노마크방어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킥(패스)능력 항목,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실책(실책 횟수)(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농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패스 항목을 득점어시스트(어시스트횟수) 항목, 와이드오픈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 항목, 롱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10m 이상 거리에서 패스) 항목, 쇼트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10m 이내 거리에서 패스) 항목, 드루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두 사람 수비를 뚫고 뒤쪽의 빈 공간으로 보내는 패스) 항목 및 패스미스(미스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축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수비 항목을 페널티존하이볼수비성공(볼 처리 성공 횟수) 항목, 페널티존로우볼수비성공(볼 처리 성공 횟수) 항목, 페널티존외부볼수비성공(볼 처리 성공 횟수) 항목, 결정적수비성공(골대로 공이 들어가는 것을 수비한 경우) 항목, 업사이드(upside)수비성공 항목, 스틸(steal)성공 항목 및 수비실책(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농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슛 항목을 득점(득점 점수) 항목, 자유투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골밑슛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미들슛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3점슛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바스킷카운트(basket count)성공률(성공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 및 와이드오픈(wide open)실패률(실패횟수ㆇ시도횟수X100)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농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드리블 항목을 3점슛라인안쪽드리블실패(상대편에게 뺏긴 횟수)(3점슛(6m) 내부 존에서 드리블 실패 횟수) 항목, 3점슛라인외각드리블실패(상대편에게 뺏긴 횟수)(3점슛(6m) 외각 존에서 드리블 실패 횟수) 항목, 드리블실책(실책 횟수)(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 드리블이후와이드오픈챈스(찬스 횟수)(상대편을 속이고 와이드 오픈 찬스를 만들어 슛한 경우) 항목 및 스크린프레이(screen play)(스크린 플레이로 인하여 팀 플레이에 기 설정 횟수 이상으로 많은 활약을 한 경우)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농구의 경우에, 대분류의 수비 항목을 리바운드(rebound)성공(성공 횟수) 항목, 블로킹(blocking)성공(성공 횟수) 항목, 스틸성공(성공 횟수) 항목, 공격자제한시간성공(성공 횟수)(골대로 공이 들어가는 것을 수비한 경우) 항목 및 수비실책(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슛 항목을 득점(골인 횟수) 항목, 유효슈팅(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에어9m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에어6m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사이드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페널티스로우(throw)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 및 노마크또는노마크드리블슛성공률(슛성공ㆇ슛시도횟수X100)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패스 항목을 득점어시스트(어시스트횟수) 항목, 유효슈팅어시스트(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패스 후 슈팅으로 연결된 경우에 성공으로 함) 항목, 롱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 항목, 쇼트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 항목, 드루패스성공률(패스성공ㆇ패스시도횟수X100)(두 사람 수비를 뚫고 뒤쪽의 빈 공간으로 보내는 패스) 항목 및 패스미스(미스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드리블 항목을 라인크로스(line cross)(미스 횟수) 항목 및 드리블실책(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수비 항목을 블로킹(blocking)성공(성공 횟수) 항목, 공격자제한시간성공(성공 횟수) 항목, 스틸성공(성공 횟수) 항목, 2분간퇴장(퇴장 횟수) 항목 및 수비실책(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입력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핸드볼의 경우에, 대분류의 골키퍼 항목을 선방(선방 횟수) 항목, 페널티킥슛방어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일대일노마크방어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속공롱패스성공률(방어성공ㆇ상황횟수X100) 항목,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실책(실책 횟수)(기본 규칙에 대한 실책 횟수) 항목으로 중분류 구분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개인능력분석장치, 경기분석장치나 헬스케어장치(디지털헬스케어장치)와의 연동, 빅데이터 수집 등의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다음에,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개인종합정보(즉, 객관적인 개인 종합 기량 정보)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해 주게 된다(S304).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대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체격 항목과 체력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0% 및 10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대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슛 항목, 패스 항목, 드리블 항목 및 수비 항목(또는, 골키퍼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0%, 100%, 100% 및 100%(또는, 40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소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신장 항목, 팔길이(상지장+하지장) 항목, 지극 항목, 체중 항목, 체지방률 항목, 대퇴위 항목, 하퇴위 항목, 상완위 항목 및 흉위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0%, 10%, 10%, 15%, 15%, 5%, 5%, 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소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악력 항목, 각근력 항목, 배근력 항목, 제자리높이뛰기 항목, 30m달리기 항목, 원게이트테스트최고파워 항목, 원게이트테스트평균파워 항목, 윗몸일으키기 항목, 팔굽혀펴기 항목, (3mX5m)지그재그달리기 항목, 사이드스텝 항목,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항목, 엎드려윗몸뒤로젖히기 항목 및 (10m)왕복오래달리기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 5%, 5%, 5%, 5%, 10%, 5%, 10%, 5%, 5%, 5%, 5%, 5% 및 2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득점 항목, 유효슈팅 항목, 페널티존외곽슛성공률 항목, 하이볼슛성공률 항목, 로우볼슛성공률 항목, 페널티킥슛성공률 항목 및 트리블슛성공률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5%, 10%, 15%, 15%, 15%, 1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득점어시스트 항목, 유효슈팅어시스트 항목, 롱패스성공률 항목, 페널티존패스성공률 항목,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패스미스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5%, 20%, 10%, 10%, 10%, 10%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쇼트드리블 항목 및 롱드리블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50% 및 5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페널티존하이볼수비성공 항목, 페널티존로우볼수비성공 항목, 페널티존외부볼수비성공 항목, 결정적수비성공 항목, 업사이드수비성공 항목, 스틸성공 항목 및 수비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0%, 20%, 20%, 5%, 10%, 10%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선방 항목, 페널티킥슛방어률 항목, 일대일노마크방어률 항목, 킥(패스)능력 항목,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0%, 50%, 50%, 50%, 50% 및 10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득점 항목, 자유투성공률 항목, 골밑슛성공률 항목, 미들슛성공률 항목, 3점슛성공률 항목, 바스킷카운트성공률항목 및 와이드오픈실패률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0%, 15%, 15%, 15%, 15%, 10% 및 1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득점어시스트 항목, 와이드오픈패스성공률 항목, 롱패스성공률 항목,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패스미스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5%, 15%, 15%, 15%, 1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3점슛라인안쪽드리블실패 항목, 3점슛라인외각드리블실패 항목, 드리블실책 항목, 드리블이후와이드오픈찬스 항목 및 스크린프레이 항목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5%, 25%, 30%, 1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리바운드성공 항목, 블로킹성공 항목, 스틸성공 항목, 공격자제한시간성공 항목 및 수비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5%, 20%, 20%, 15% 및 2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득점 항목, 유효슈팅 항목, 에어9m슛성공률 항목, 에어6m슛성공률 항목, 사이드슛성공률 항목, 페널티스로우슛성공률 항목 및 노마크또는노마크드리블슛성공률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5%, 10%, 15%, 15%, 15%, 15% 및 1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득점어시스트 항목, 유효슈팅어시스트 항목, 롱패스성공률 항목, 쇼트패스성공률 항목, 드루패스성공률 항목 및 패스미스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5%, 15%, 10%, 15%, 15% 및 2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라인크로스 항목 및 드리블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50% 및 5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블로킹성공 항목, 공격자제한시간성공 항목, 스틸성공 항목, 2분간퇴장 항목 및 수비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20%, 15%, 15%, 25% 및 25%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중분류로 항목 구분 수신 처리한 선방 항목, 페널티킥슛방어률 항목, 일대일노마크방어률 항목, 속공롱패스성공률 항목, 위치선정/수비선수조율 항목 및 실책 항목을, 기 설정된 평가 비율(예를 들어, 100%, 50%, 50%, 50%, 50% 및 100%의 비율)로 적용하여 평가(즉, 수치화 분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 가상 경기 시뮬레이션 툴을 구비하고 있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개인종합정보를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로 구분하고, 해당 가상 경기 시뮬레이션 툴에서 해당 개인종합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경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수행한 시뮬레이션 결과의 분석 정보 값을 도출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개인 능력 평가 및 작성, 경기 분석 및 평가 작성,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 제공, 관리자 가상 경기 시나리오 분석 등의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저장한 후에, 수신자 단말(150)에서는, 개인종합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정보요청을 네트워크(160)를 통해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주게 된다(S305).
상술한 단계 S305에서 정보요청을 전송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개인종합정보를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로 구분하여,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 개인 종합 기량 정보나 개인 기초 정보에 대한 검색 기능을 검색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해서 수신자 단말(150)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5에서 정보요청을 전송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능력별 선수 검색,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핸드폰 간편 확인, 스포츠나 체육 관련 광고 및 판매 등의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5에서 정보요청을 전송함에 있어서, 검색 애플리케이션를 구비하고 있는 수신자 단말(150)에서는, 해당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포츠나 체육 분야별 개인 종합 기량 정보나 개인 기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5에서 정보요청을 전송함에 있어서, 수신자 단말(150)에서는, 수신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예를 들어, PC, 노트북 등과 같은 통신 가능한 단말기이나, 스마트폰, 핸드폰, PDA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 등)로서, 서로 함께 연습을 통해 개인 기량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파트너에 대한 검색을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5에서 정보요청을 전송하게 되면,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수신자 단말(15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요청을 수신받아 정보수신자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한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로 개인종합정보를 가공시켜 수신자 단말(150)로 전송해 주게 된다(S306).
상술한 단계 S306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수신자 단말(15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요청에서 정보수신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해당 식별한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개인종합정보와 개인종합정보 폼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확인한 개인종합정보를 해당 확인한 개인종합정보 폼으로 가공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6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분석한 개인종합정보를 개인 기량 평가서로서의 성적표 형태(예를 들어, 전국/지역/학교 석차, 성적표, 경기 분석표 등)로 생성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6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수신자 단말(150)로부터 파트너 검색을 요청받아 수신자의 개인종합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한 개인종합정보에 대비해서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20%) 이상으로 높은 개인종합정보를 가진 수신자를 데이터베이스(140)에서 매칭시켜 매칭 파트너로 형성하며, 해당 형성한 매칭 파트너를 수신자 단말(150)로 통보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6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20%) 이상으로 높은 개인종합정보를 가진 수신자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하여 매칭시킬 수 있으며, 다르게는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20%) 이상으로 높은 개인종합정보를 가진 수신자들 중에서 기 설정된 서로간의 거리(예를 들어, 반경 10(km)) 이내인 수신자를 선택하여 매칭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6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매칭 파트너 검색 시에 수신자의 성별과 동일한 성별을 가진 매칭 파트너(또는, 매칭 파트너들)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6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매칭 파트너의 프로필 정보와 함께 미션 정보(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간(예로, 3~6개월) 동안 매칭 파트너와 함께 기 설정된 비율(예로, 5~20%) 이상의 개인 기량 향상을 달성하라는 정보)를 생성시켜 수신자 단말(15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6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수신자 단말(150)에서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개인종합정보를 수신받아 출력수단을 통해 개인종합정보를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로 출력시켜 주게 된다(S307).
상술한 단계 S307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출력함에 있어서, 수신자 단말(150)에서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받은 개인종합정보를 모바일이나 사용자 PC의 화면으로 출력해 줄 수 있으며, 이때 PDF 등과 같은 파일 형태로 출력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7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출력함에 있어서, 수신자 단말(150)에서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매칭 파트너를 통보받아 수신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7에서 개인종합정보를 출력함에 있어서, 수신자 단말(150)에서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매칭 파트너의 프로필 정보와 함께 미션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또는, 출력수단을 통한 음성출력)시켜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110: 입력 단말
120: 수집 단말
130: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
140: 데이터베이스
150: 수신자 단말
160: 네트워크

Claims (5)

  1.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입력기량데이터로 전송하는 입력 단말;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기량데이터로 전송하는 수집 단말;
    상기 입력 단말의 입력기량데이터 및 상기 수집 단말의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받아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개인종합정보로 저장시키며; 정보요청에 따라 정보수신자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개인종합정보를 가공시켜 전송하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에서 저장하는 개인종합정보를 개인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정보요청을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 후에,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부터 개인종합정보를 수신받아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로 출력시키는 수신자 단말을 포함하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말은,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OMR 카드로 작성하도록 한 후에, OMR 카드를 판독하여 입력기량데이터로 입력받는 OMR 카드 리더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말은,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아 기 설정된 기준 폼의 입력기량데이터로 확보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4.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입력 단말, 수집 단말, 수신자 단말 각각을 식별하며, 상기 입력 단말로부터 입력기량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수집 단말로부터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받아 전달하며, 상기 수신자 단말로부터 정보요청을 수신받아 전달한 후에, 개인종합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수신자 단말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입력기량데이터와 수집기량데이터를 항목 구분하여 수신 처리하는 데이터수신처리부;
    상기 데이터수신처리부에서 항목 구분 수신 처리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개인종합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개인종합정보화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요청에 따라 정보수신자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개인종합정보를 가공시켜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
  5. 입력 단말이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입력기량데이터로 전송하는 단계;
    수집 단말이 스포츠나 체육에서의 개인 기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기량데이터로 전송하는 단계;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가 상기 입력 단말의 입력기량데이터 및 상기 수집 단말의 수집기량데이터를 수신받아 분석하고 수치화 및 빅데이터화시켜 개인종합정보로 저장시키는 단계;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에서 저장하는 개인종합정보를 개인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는 단계;
    수신자 단말이 정보요청을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가 정보요청에 따라 정보수신자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개인종합정보를 가공시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자 단말이 상기 스포츠 기량 서비스 서버로부터 개인종합정보를 수신받아 정보수신자에 대응하는 형태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포츠 기량 서비스 방법.
KR1020210052741A 2021-04-23 2021-04-23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20146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741A KR20220146009A (ko) 2021-04-23 2021-04-23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741A KR20220146009A (ko) 2021-04-23 2021-04-23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009A true KR20220146009A (ko) 2022-11-01

Family

ID=8404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741A KR20220146009A (ko) 2021-04-23 2021-04-23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60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848B1 (ko) * 2023-03-23 2023-10-25 주식회사 앤스포츠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기반 개인 맞춤형 운동 전문가 매칭 플랫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659B1 (ko) 2004-06-07 2005-01-24 한필수 경기실적 평가모델이 적용된 스포츠 선수들의 가치산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497780B1 (ko) 2001-05-15 2005-06-29 주식회사 스포츠데이타뱅크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축구 경기 기록 분석 방법과분석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780B1 (ko) 2001-05-15 2005-06-29 주식회사 스포츠데이타뱅크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축구 경기 기록 분석 방법과분석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467659B1 (ko) 2004-06-07 2005-01-24 한필수 경기실적 평가모델이 적용된 스포츠 선수들의 가치산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848B1 (ko) * 2023-03-23 2023-10-25 주식회사 앤스포츠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기반 개인 맞춤형 운동 전문가 매칭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i et al. Sports big data: management, analysis, applications, and challenges
Yurko et al. nflWAR: a reproducible method for offensive player evaluation in football
Caya et al. A framework of value creation from business intelligence and analytics in competitive sports
Fitzpatrick et al. A simple new method for identifying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uccess in elite tennis
Vial et al. Using the trajectory of the shuttlecock as a measure of performance accuracy in the badminton short serve
Klaus et al. Success in national level junior tennis: Tactical perspectives
Bonney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n Australian football small-sided game to assess kicking proficiency
US201401000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A Player In A Game
Goes et al. A risk-reward assessment of passing decisions: comparison between positional roles using tracking data from professional men’s soccer
Prakash et al. A new in-form and role-based deep player performance index for player evaluation in T20 cricket
CN102548470A (zh) 通过分类分析感知测试数据
Celik et al. Salary differences under the salary cap in Major League Soccer
KR20220146009A (ko) 스포츠 기량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Bonney et al. Can match play kicking and physical performance outcomes be replicated in an Australian football small-sided game?
KR100497780B1 (ko)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축구 경기 기록 분석 방법과분석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Schoeman et al. Comparison of match-related performance indicators between major professional rugby competitions
Yu et al. A case study of factors impacting aspiring E-sports athletes in South Korea
García-Ordóñez et al. Effects of situational variables on offensive performance indicators in elite water polo
Croft et al. What tactical and technical comments do coaches make during netball matches? A content analysis in netball
Horn et al. In-match penalty kick analysis of the 2009/10 to 2018/19 English Premier League competition
Lames Performance Analysis in Game Sports: Concepts and Methods
Chang A New Hybrid MCDM Model for Esports Caster Selection.
JP3865644B2 (ja) 指導情報収集装置、コーチング情報提供装置
Nicholls et al. Analysing match-related performance indicators in Super Rugby Competitions: A study of the 2017–2019 seasons
Borderias et al. Comparison of the game structure and point ending during Grand Slam women's doubles tenn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