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544A -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544A
KR20220145544A KR1020210052238A KR20210052238A KR20220145544A KR 20220145544 A KR20220145544 A KR 20220145544A KR 1020210052238 A KR1020210052238 A KR 1020210052238A KR 20210052238 A KR20210052238 A KR 20210052238A KR 20220145544 A KR20220145544 A KR 20220145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fault
distribution line
voltage
ground fa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148B1 (ko
Inventor
여상욱
백원길
오영직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1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2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using digital techniques or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압 및 제1전류를 수집하고,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상기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로부터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수집하고, 상기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제3전압 및 제3전류를 수집하는 통신부; 상기 제2전류 및 상기 제3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하는 제1연산부; 상기 고장 전류 및 상기 제2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하는 제2연산부; 및 상기 고장 전류, 상기 고장 저항 및 상기 제1전압,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제3연산부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락 고장이란 지락에 의하여 선로의 외부로 전류가 유출되어 화재, 인축의 감전 또는 전로나 기기의 손상 등 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것을 말한다. 지락고장의 원인은 절연체의 경년열화, 기계적 충격이나 절연펑크에 의한 물리적 손상, 극심한 과도전압 충격이나 정상전압에 의한 열화, 단락사고의 확대로 인한 지락 등을 들 수 있다.
지락고장이 발생한 경우 해당 지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아내어 이를 복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송배전 선로 상에서 지락 고장발생시 고장 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고장점 검출 방법은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송전계통은 3상 평형회로이므로 여기서 고장점 검출 방법으로는 진행파를 이용하는 방법, 전압과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전압과 전류의 기본파 성분을 사용한 겉보기 임피던스 법 등 정확한 고장점 검출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현재 송전계통은 고장점 검출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지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압 및 제1전류를 수집하고,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상기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로부터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수집하고, 상기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제3전압 및 제3전류를 수집하는 통신부; 상기 제2전류 및 상기 제3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하는 제1연산부; 상기 고장 전류 및 상기 제2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하는 제2연산부; 및 상기 고장 전류, 상기 고장 저항 및 상기 제1전압,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제3연산부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가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압 및 제1전류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상기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로부터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상기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제3전압 및 제3전류를 수집하는 단계; 제1연산부가 상기 제2전류 및 상기 제3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하는 단계; 제2연산부가 상기 고장 전류 및 상기 제2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하는 단계; 및 제3연산부가 상기 고장 전류 및 상기 고장 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은 배전선로 지락 고장 지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배전 자동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3은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배전 자동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배전 자동화 시스템(1)은 배전선로를 종합적으로 감시하여 전력공급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배전 자동화 시스템(1)은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개폐장치 및 배전설비의 현장 정보들을 배전 자동화용 단말 장치를 통해 감시 및 계측하여 실시간으로 주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배전 자동화 시스템(1)은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차단기, 개폐기, 리클로저 등과 같은 설비(30), 배전 자동화용 단말 장치(20)와 운영실에서 배전 자동화 설비(30)를 원격 감시 제어하기 위한 주 장치(10)로 구성될 수 있다. 배전 자동화 시스템(1)은 주 장치(10)와 통신장치(미도시)간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현장에 설치된 배전 자동화용 단말 장치(20)로부터 배전선로의 각종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전 계통을 감시 관리할 수 있다.
배전 자동화용 단말 장치(20)는 배전선로에 흐르는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고 배전선로 사고 시 상태를 감지하여 주 장치(10)로 전송하거나, 주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설비의 제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배전 자동화용 단말 장치(20)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중간계층인 전처리 프로세서(FEP, Front-end Processor)를 거쳐 주 장치(10)로 전달될 수 있다. 배전 자동화 단말 장치(20)는 데이터 계측 및 배전 자동화 시스템(1)의 주 장치(10)로의 데이터 전송 기능과 이벤트 발생시 보고 기능, 그리고 설비(30)의 개폐 감지기능 및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배전 자동화 단말 장치(2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단말측 통신장치(미도시)와 주 장치측 통신장치(미도시)를 거쳐 주 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100)는 주장치 내에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예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100)는 통신부(110), 제1연산부(120), 제2연산부(130) 및 제3연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압 및 제1전류를 수집하고,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로부터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수집하고,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제3전압 및 제3전류를 수집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배전선로에 배치된 각 단말장치와 주기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배전선로에 지락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 지락 고장 지점에 가장 인접하여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 지락 고장 지점에 가장 인접하여 부하측으로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전압 및 전류 계측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주장치 또는 단말 장치로부터 지락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연산부(120)는 제2전류 및 제3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고장 전류는 지락 고장 지점을 통하여 그라운드로 흐르는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연산부(120)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고장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If는 고장 전류이고, I1는 제1전류이고, I3은 제3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I1는 A상에 대한 제1전류를 의미하고, I3은 A상에 대한 제3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A상의 전류 및 전압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지락 고장 발생 상황에 따라 B상 또는 C상의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고장 전류, 고장 저항을 연산할 수 있다.
제2연산부(130)는 고장 전류 및 제2전압을 이용하여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할 수 있다. 고장 저항은 지락 고장이 발생한 지점부터 그라운드까지 지락 고장 선로 전체에 걸려있는 저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연산부(130)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고장 저항을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Rf는 고장 저항이고, V2는 제2전압이고, If는 고장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V2는 A상에 대한 제2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제3연산부(140)는 고장 전류, 고장 저항 및 제1전압, 제1전류 및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제3연산부(140)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3에서, d는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서 지락 고장 지점까지의 거리이고, z는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이고, V1은 제1전압이고, I1는 제1전류이고, If는 고장 전류이고, Rf는 고장 저항을 의미할 수 있다.
도3은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2단말 장치(G1)와 제3단말 장치(G2) 사이에 지락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변전소 인출단의 제1단말 장치(G0) 및 지락 고장 발생 지점(F)에 인접 배치된 제2단말 장치(G1) 및 제3단말 장치(G2)로부터 전압 및 전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제1연산부(120)는 제1단말 장치(G0) 및 제2단말 장치(G1)를 흐르는 제2전류에서 제3단말 장치에 흐르는 제3전류를 감산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제2연산부(130)는 제1연산부(120)에서 연산한 고장 전류 및 제2단말장치(G1)에 인가되는 제2전압을 이용하여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제3연산부(140)는 제1연산부(120)에서 연산한 고장 전류 및 제2연산부(130)에서 연산한 고장 저항을 이용하여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지락 고장 지점(F)간의 거리(d)를 연산할 수 있다.
도4는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먼저, 통신부는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압 및 제1전류를 수집할 수 있다(S401).
다음으로, 통신부는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로부터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수집할 수 있다(S402).
다음으로, 통신부는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제3전압 및 제3전류를 수집할 수 있다(S403).
통신부가 제1단말 장치 내지 제3단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은 선후 관계가 바뀌어 수행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연산부는 제2전류 및 제3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S404).
다음으로, 제2연산부는 고장 전류 및 제2전압을 이용하여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할 수 있다(S405).
다음으로, 제3연산부는 고장 전류, 고장 저항 및 제1전압, 제1전류 및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S406).
지락 고장 발생시, 지락 고장 발생 지점을 정확하게 연산하기 위하여서는 정확한 고장 전류와 고장 저항을 알고 있어야 한다. 기존에는 단순히 배전선로의 고장전류만 사용하여 지락 고장 발생 지점을 추정하거나 또는 고장 저항을 0 내지 30[Ω]으로 추정하여 지락 고장 발생 지점을 판단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정확한 지락 고장 지점을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은 변전소 인출단의 전압, 전류와 지락 고장 발생 지점의 인접 전압 및 전류를 수집하여 정확한 고장 전류 및 고장 저항을 연산하고 이로부터 정확한 고장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배전 자동화 시스템
10: 주장치
20: 배전 자동화용 단말 장치
30: 배전 자동화 설비
100: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110: 통신부
120: 제1연산부
130: 제2연산부
140: 제3연산부

Claims (9)

  1.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압 및 제1전류를 수집하고,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상기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로부터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수집하고, 상기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제3전압 및 제3전류를 수집하는 통신부;
    상기 제2전류 및 상기 제3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하는 제1연산부;
    상기 고장 전류 및 상기 제2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하는 제2연산부; 및
    상기 고장 전류, 상기 고장 저항 및 상기 제1전압, 상기 제1전류 및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제3연산부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고장 전류를 연산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수학식 1]
    Figure pat00004

    (수학식 1에서, If는 고장 전류이고, I1는 제1전류이고, I3은 제3전류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상기 고장 저항을 연산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수학식 2]
    Figure pat00005

    (수학식 2에서, Rf는 고장 저항이고, V2는 제2전압이고, If는 고장 전류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상기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수학식 3]
    Figure pat00006

    (수학식 3에서, d는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서 지락 고장 지점까지의 거리이고, z는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이고, V1은 제1전압이고, I1는 제1전류이고, If는 고장 전류이고, Rf는 고장 저항이다)
  5. 통신부가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압 및 제1전류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상기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로부터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상기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제3전압 및 제3전류를 수집하는 단계;
    제1연산부가 상기 제2전류 및 상기 제3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하는 단계;
    제2연산부가 상기 고장 전류 및 상기 제2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하는 단계; 및
    제3연산부가 상기 고장 전류, 상기 고장 저항 및 상기 제1전압, 상기 제1전류 및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4에 따라 상기 고장 전류를 연산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방법.
    [수학식 4]
    Figure pat00007

    (수학식 4에서, If는 고장 전류이고, I1은 제1전류이고, I3은 제3전류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5에 따라 상기 고장 저항을 연산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방법.
    [수학식 5]
    Figure pat00008

    (수학식 5에서, Rf는 고장 저항이고, V2는 제2전압이고, If는 고장 전류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7에 따라 상기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방법.
    [수학식 6]
    Figure pat00009

    (수학식 6에서, d는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서 지락 고장 지점까지의 거리이고, z는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이고, V1은 제1전압이고, I1는 제1전류이고, If는 고장 전류이고, Rf는 고장 저항이다)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052238A 2021-04-22 2021-04-22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251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38A KR102512148B1 (ko) 2021-04-22 2021-04-22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38A KR102512148B1 (ko) 2021-04-22 2021-04-22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544A true KR20220145544A (ko) 2022-10-31
KR102512148B1 KR102512148B1 (ko) 2023-03-21

Family

ID=8380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238A KR102512148B1 (ko) 2021-04-22 2021-04-22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1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379A (ko) * 2002-02-20 2003-08-27 명지대학교 전력 계통의 1선 지락 고장 지점 검출 방법
KR20030087113A (ko) * 2002-05-06 2003-11-13 명지대학교 전력 계통의 선간 단락 고장 지점 검출 방법
KR20120136952A (ko) * 2011-06-10 2012-12-20 한국전력공사 고저항 지락고장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379A (ko) * 2002-02-20 2003-08-27 명지대학교 전력 계통의 1선 지락 고장 지점 검출 방법
KR20030087113A (ko) * 2002-05-06 2003-11-13 명지대학교 전력 계통의 선간 단락 고장 지점 검출 방법
KR20120136952A (ko) * 2011-06-10 2012-12-20 한국전력공사 고저항 지락고장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148B1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4008B2 (en) Electric power system circuit breaker trip diagnostic
EP2686691B1 (en) A method for detecting earth faults
EP2940483B1 (en) Evaluation method for determining of the probability of an asymmetrical fault location in a distribution network and a monitoring system for performing such method
US9874593B2 (en) Decision support system for outage management and automated crew dispatch
US11429092B2 (en) Asset management method for power equipment
US9791495B2 (en) High impedance fault location in DC distribution systems
CN109655713B (zh) 一种单相接地故障定位方法和系统
CN101688892A (zh) 用于在时域中预测电力系统的状态的方法和设备
JP4878783B2 (ja) 落雷被害想定装置、落雷被害想定方法、落雷被害想定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5004489A (zh) 气体绝缘开关设备预防性诊断系统及其气体压力监测方法
CN111512168B (zh) 用于分析电力传输网络的故障数据的系统和方法
JP5204001B2 (ja) 入力電気量の異常兆候判定装置
CN109239531A (zh) 基于继电保护在线监视与分析系统的故障录波在线分析方法
US11953534B2 (en) Detection of lightning and related control strategies in electric power systems
CN111095728B (zh) 用于基于下游事件对配电网络资产进行评定的方法和配电网络管理系统
KR20220145544A (ko)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Chatterjee et al. Dual use line relays to improve power swing deblocking function
CN110907756B (zh) 基于广域测量阻抗角信息的失步振荡中心定位系统与方法
CN111781465A (zh) 用于不接地电网的故障定位系统及方法
US11921170B2 (en) Protection of low-voltage distribution networks
KR102404065B1 (ko)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556433B1 (ko) 엣지 컴퓨팅과 마이크로 pmu를 활용한 배전 보호협조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965154A (zh) 电线故障定位方法和系统
KR102387198B1 (ko)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72982B1 (ko) 지락 고장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락 고장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