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876A - 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 Google Patents

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876A
KR20220144876A KR1020227034148A KR20227034148A KR20220144876A KR 20220144876 A KR20220144876 A KR 20220144876A KR 1020227034148 A KR1020227034148 A KR 1020227034148A KR 20227034148 A KR20227034148 A KR 20227034148A KR 20220144876 A KR20220144876 A KR 20220144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arizing plate
antireflection layer
weight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4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이스케 오고미
료 칸노
아유무 나카하라
히로미 이케시마
나오아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4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8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H01L27/32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투과율이 높고 또한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하며, 그 결과, 밝고 또한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표시 불균일이 억제된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과, 편광판의 한쪽 측에 배치된 반사 방지층과, 편광판의 다른 한쪽 측에 배치된 위상차층을 갖는다.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의 투과율은 45.5% 이상이고, 60℃ 및 90%RH에서 500시간의 가열 가습 시험 후의 반사율은 2.5% 이하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capable of realizing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high transmittance and excellent durability in a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environment.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arizing plate containing a polarizer, an antireflection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a retardation lay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The transmittance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is 45.5% or more, and the reflectance after 500 hours of heating and humidification test at 60 degreeC and 90%RH is 2.5% or less.

Description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 및 해당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본 발명은,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 및 해당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근래, 액정 표시 장치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 장치(예컨대, 유기 EL 표시 장치, 무기 EL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화상 표시 장치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원편광판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원편광판에 대해서는, 화상 표시 장치(특히,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저소비 전력 및 밝기(휘도)의 관점에서, 투과율이 높은 원편광판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투과율이 높은 원편광판은,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화상 표시 장치에 표시 불균일(예컨대, 줄무늬)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BACKGROUND ART In recent years, an image display device typifi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luminescent (EL) display device (eg,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an inorganic EL display device) has spread rapidly.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containing a polarizing plate and a retardation plate may be used. About a circularly-polarizing plate, a circularly-polarizing plate with high transmittance|permeability is desired from a viewpoint of the low power consumption and brightness (luminanc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especiall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However,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 high transmittance|permeability may generate|occur|produce display nonuniformity (for example, a stripe)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under a high temperature, high humidity environment.

일본특허 제5876441호Japanese Patent No. 587644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026266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4-0226266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투과율이 높고 또한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하며, 그 결과, 밝고 또한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표시 불균일이 억제된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main object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high transmittance and excellent durability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and as a result, display unevenness is suppressed in a bright and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It is to provide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which can be realized.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과, 해당 편광판의 한쪽 측에 배치된 반사 방지층과, 해당 편광판의 다른 한쪽 측에 배치된 위상차층을 갖는다. 당해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의 투과율은 45.5% 이상이고, 60℃ 및 90%RH에서 500시간의 가열 가습 시험 후의 반사율은 2.5% 이하이다.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arizing plate containing a polarizer, an antireflection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a retardation lay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The transmittance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is 45.5% or more, and the reflectance after 500 hours of heating and humidification test at 60°C and 90%RH is 2.5% or less.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편광자와 상기 반사 방지층 측의 보호층은 제1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되고, 해당 편광자와 상기 위상차층은 제2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되어 있으며, 해당 제1 접착제층 및 해당 제2 접착제층의 접착제의 적어도 한쪽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 전량을 100중량%로 하였을 때, SP값이 29.0(MJ/㎥)1/2 이상 32.0(MJ/㎥)1/2 이하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A)을 0.0중량%∼4.0중량%, SP값이 18.0(MJ/㎥)1/2 이상 21.0(MJ/㎥)1/2 미만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B)을 5.0중량%∼98.0중량%, 및, SP값이 21.0(MJ/㎥)1/2 이상 26.0(MJ/㎥)1/2 이하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C)을 5.0중량%∼98.0중량% 함유한다.In one embodiment, the said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layer by the side of the said antireflection layer are bonded together via a 1st adhesive bond layer, The said polarizer and the said retardation layer are bonded via a 2nd adhesive bond layer, This 1st adhesive bond layer And at least one of the adhesive agent of this 2nd adhesive bond layer is comprised from the active energy ray hardening-type adhesive agent compositio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has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A) having an SP value of 29.0 (MJ/m3) 1/2 or more and 32.0 (MJ/m3) 1/2 or less, when the total amount of the composition is 100% by weight. 0.0 wt% to 4.0 wt%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B) having an SP value of 18.0 (MJ/m3) 1/2 or more and less than 21.0 (MJ/m3) 1/2 5.0 wt% to 98.0 wt%, and , SP value contains 5.0 wt% to 98.0 wt%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C) of 21.0 (MJ/m 3 ) 1/2 or more and 26.0 (MJ/m 3 ) 1/2 or less.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반사 방지층의 반사율은 1.5% 이하이다.In one embodiment, the reflectanc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s 1.5% or less.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위상차층의 Re(550)는 100㎚∼200㎚이고, 해당 위상차층의 지상축(遲相軸)과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40°∼50° 또는 130°∼140°이다.In one embodiment, Re (550) of the retardation layer is 100 nm to 200 nm, and the angle between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is 40° to 50° or 130 ° to 140 °.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위상차층은, 수지 필름의 연신 필름으로 구성되고, Re(450)/Re(550)가 0.80∼1.03이다. 여기에서, Re(450) 및 Re(550)는, 각각, 23℃에서의 파장 450㎚ 및 550㎚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In one embodiment, the said retardation layer is comprised from the stretched film of a resin film, Re(450)/Re(550) is 0.80-1.03. Here, Re(450) and Re(550) are in-plane retardation measured with the light of wavelength 450nm and 550nm at 23 degreeC,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의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시인 측에 구비한다.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상기 반사 방지층이 시인 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의 반사율은 40% 이하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apparatus is provided. This image display apparatus is equipped with said circularly-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on the visual recognition side.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the said antireflection layer may become a visual recognition side. The reflectan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40% or less.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이다.In one embodiment, the said image display apparatus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원편광판에서,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된 경우에 시인 측이 되는 측에 반사 방지층을 마련하고, 또한, 편광자와 반사 방지층의 보호층 및/또는 위상차층을 소정의 접착제로 첩합함으로써, 투과율이 높고 또한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하며, 그 결과, 밝고 또한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표시 불균일이 억제된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 antireflection layer is provided on the side that becomes the viewing side when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protective layer and/or retardation layer of the polarizer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adhesive. By bonding together, the transmittance|permeability is high and it is excellent in durability in a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environment, As a result,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which can implement|achiev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which display unevenness was suppressed in a bright,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environment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of the circularly-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lthough typical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

(용어 및 기호의 정의)(Definition of terms and symbols)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및 기호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Definitions of terms and symbol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as follows.

(1) 굴절률(nx, ny, nz)(1) refractive index (nx, ny, nz)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進相軸)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nx'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plane refractive index is maximized (ie, the slow axis direction), and 'ny'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ow axis in the plane (ie, the fast axis direction). , 'nz'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2) 면내 위상차(Re)(2) In-plane phase difference (Re)

'Re(λ)'는, 23℃에서의 파장 λ㎚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다. 예컨대, 'Re(450)'는, 23℃에서의 파장 450㎚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다. Re(λ)는, 필름의 두께를 d(㎚)로 하였을 때, 식: Re=(nx-ny)×d에 의해 구할 수 있다.'Re(λ)' is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film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λ nm at 23°C. For example, 'Re(450)' is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film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50 nm at 23°C. Re(λ) can be calculated by the formula: Re=(nx-ny)×d when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d (nm).

(3)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3) retardation in thickness direction (Rth)

'Rth(λ)'는, 23℃에서의 파장 λ㎚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예컨대, 'Rth(450)'는, 23℃에서의 파장 450㎚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Rth(λ)는, 필름의 두께를 d(㎚)로 하였을 때, 식: Rth=(nx-nz)×d에 의해 구할 수 있다.'Rth(λ)' is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λ nm at 23°C. For example, 'Rth (450)' is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50 nm at 23°C. Rth(λ) can be obtained by the formula: Rth=(nx-nz)×d when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d (nm).

(4) Nz 계수(4) Nz coefficient

Nz 계수는, Nz=Rth/Re에 의해 구할 수 있다.The Nz coefficient can be calculated|required by Nz=Rth/Re.

(5) 각도(5) angle

본 명세서에서 각도를 언급할 때는,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당해 각도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양쪽의 방향의 각도를 포함한다.When referring to an ang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angle includes angles in both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A.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의 전체 구성A. Overall configuration of 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100)은, 편광판(10)과, 편광판(10)의 한쪽 측(예컨대,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된 경우에 화상 표시 셀과 반대 측, 즉 시인 측)에 배치된 반사 방지층(30)과, 편광판(10)의 다른 한쪽 측(예컨대,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된 경우에 화상 표시 셀 측)에 배치된 위상차층(40)을 갖는다. 편광판(10)은, 편광자(11)와, 편광자(11)의 한쪽 측(반사 방지층 측)에 배치된 제1 보호층(12)을 포함한다. 목적에 따라, 편광자(11)의 위상차층(40) 측에 제2 보호층(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편광자의 양측의 보호층이 생략되어도 된다. 예컨대, 반사 방지층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표적으로는 기재 위에 형성되는데, 기재/반사 방지층의 적층체가 보호층으로서 기능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보호층(12)은 생략될 수 있다. 기재/반사 방지층의 적층체는 하드 코트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따라서, 반사층 부착 편광판은, 양쪽의 보호층이 생략되어, 편광자(11)와, 편광자(11)의 한쪽 측에 배치된 반사 방지층(30)과, 편광자(11)의 다른 한쪽 측에 배치된 위상차층(40)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실용적으로는, 위상차층(40)의 편광판(10)과 반대 측에는 최외층으로서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층(50)이 마련되고,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화상 표시 셀에 첩부 가능하게 되어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of the circularly-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00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of the illustrated example includes a polarizing plate 10 and a reflect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10 (eg, on the opposite side to the image display cell when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is, the viewer side). It has the prevention layer 30 and the retardation layer 40 arrange|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10 (for example, the image display cell side when applied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The polarizing plate 10 includes a polarizer 11 and a first protective layer 12 disposed on one side (antireflection layer side) of the polarizer 11 . Depending on the purpose, a second protective lay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tardation layer 40 side of the polarizer 11 . In addition, the protective layers on both sides of a polarizer may be abbreviate|omitted. For example, although the antireflection layer is typically formed on a substrate as described later, a laminate of the substrate/antireflection layer functions as a protective layer in some cases. In this case,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 may be omitted. The laminate of the base material/antireflection layer may further include a hard coat layer. Accordingly, in the polarizing plate with a reflective layer, the protective layers on both sides are omitted, and the polarizer 11 , the antireflection layer 30 arrang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11 , and the retardation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11 . A configuration having the layer 40 may be used. Practically, any suit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0 is provided as the outermost lay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10 of the retardation layer 40, and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can be affixed to the image display cell.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의 투과율은 45.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6.0% 이상이다. 투과율의 상한은, 예컨대 46.5%일 수 있다. 투과율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휘도가 충분히 높은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30)을 마련함으로써, 원편광판 단독으로는 실현하기 어려운 높은 투과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60℃ 및 90%RH에서 500시간의 가열 가습 시험 후의 반사율이 2.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2%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반사율의 하한은, 예컨대 1.0%일 수 있다. 가열 가습 시험 후의 반사율을 소정 값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의 표시 불균일(특히, 줄무늬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transmittance|permeability of a circularly-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is 45.5 % or more, Preferably it is 46.0 %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transmittance may be, for example, 46.5%. If the transmittance is within such a range,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sufficiently high luminance can be realized. By providing the antireflection layer 30 , a high transmittance that is difficult to achieve with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lone can be realiz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has a reflectance of 2.5% or less, preferably 2.2%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0% after a heat and humidification test at 60°C and 90%RH for 500 hours. %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reflectance may be, for example, 1.0%. By controlling the reflectance after the heating and humidification test to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when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is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display unevenness (particularly, stripe unevenness) in a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environment.

위상차층(40)은, 대표적으로는 수지 필름의 연신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상차층(40)의 Re(550)는, 대표적으로는 100㎚∼200㎚이다. 위상차층의 Re(450)/Re(550)는, 바람직하게는 0.85∼1.03이다. 위상차층의 지상축과 편광자(11)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40°∼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2°∼4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4°∼46°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5°이며; 혹은, 바람직하게는 130°∼14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2°∼13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4°∼136°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35°이다.The retardation layer 40 is typically comprised by the stretched film of a resin film. Re (550) of the retardation layer 40 is typically 100 nm to 200 nm. Re(450)/Re(550) of the retardation layer is preferably 0.85 to 1.03. The angle between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11 is preferably 40° to 50°, more preferably 42° to 48°, still more preferably 44° to 46°, particularly preferably about 45°;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y 130° to 140°, more preferably 132° to 138°, still more preferably 134° to 136°,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bout 135°.

편광자(11)와 반사 방지층(30) 측의 보호층(12)(반사 방지층을 형성하는 기재이어도 된다)은, 대표적으로는, 제1 접착제층(21)을 개재하여 첩합되어 있다. 또한, 편광자(11)와 위상차층(40)은, 대표적으로는, 제2 접착제층(22)을 개재하여 첩합되어 있다. 제1 접착제층(21) 및 제2 접착제층(22)의 접착제의 적어도 한쪽은, 대표적으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 전량을 100중량%로 하였을 때, SP값이 29.0(MJ/㎥)1/2 이상 32.0(MJ/㎥)1/2 이하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A)을 0.0중량%∼4.0중량%, SP값이 18.0(MJ/㎥)1/2 이상 21.0(MJ/㎥)1/2 미만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B)을 5.0중량%∼98.0중량%, 및, SP값이 21.0(MJ/㎥)1/2 이상 26.0(MJ/㎥)1/2 이하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C)을 5.0중량%∼98.0중량% 함유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한(예컨대, 상기와 같은 가열 가습 시험 후의 반사율을 갖는)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이 얻어지고, 그 결과,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표시 불균일이 억제된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1 접착제층(21)이 상기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로 구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착제층(21) 및 제2 접착제층(22)의 양쪽이 상기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면 고온 고습 하에서의 편광판의 내구성은 향상하는(표시 불균일이 억제되는) 한편, 이와 같은 편광판을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휘도(밝기)가 불충분하다는 과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밝고 또한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표시 불균일이 억제된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The polarizer 11 and the protective layer 12 on the sid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30 (a base material which forms an antireflection layer may be sufficient) are bonded together through the 1st adhesive bond layer 21 typically. In addition, the polarizer 11 and the retardation layer 40 are bonded together through the 2nd adhesive bond layer 22 typically. At least one of the adhesive agent of the 1st adhesive bond layer 21 and the 2nd adhesive bond layer 22 is comprised typically from the active energy ray hardening-type adhesive agent compositio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is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A) having an SP value of 29.0 (MJ/m3) 1/2 or more and 32.0 (MJ/m3) 1/2 or less when the total amount of the composition is 100% by weight. 5.0 wt% to 98.0 wt%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B) having an SP value of 0.0 wt% to 4.0 wt%, 18.0 (MJ/m3) 1/2 or more and less than 21.0 (MJ/m3) 1/2 , and, The SP value contains 5.0 weight% - 98.0 weight% of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C) which are 21.0 (MJ/m<3>) 1/2 or more and 26.0 (MJ/m<3>) 1/2 or less. With such a configuration,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having excellent durability in a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environment (for example, having a reflectance after the heating and humidification test as described above) is obtained, and as a result, 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display unevenness is suppressed in a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environment can be realized Preferably, at least the first adhesive layer 21 is composed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more preferably, both the first adhesive layer 21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 are It is comprised from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When the adhesive as described above is used, the dura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is improved (display unevenness is suppressed), whi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uminance (brightness) is insufficient when such a polarizing plate is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embodiment,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which can implement|achiev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which display nonuniformity was suppressed in bright,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environment can be obtained.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위상차층(40)과 점착제층(50)과의 사이에 다른 위상차층(도시하지 않음)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다른 위상차층은, 대표적으로는, 굴절률 특성이 nz>nx=ny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다른 위상차층을 마련함으로써, 경사 방향의 반사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어, 반사 방지 기능의 광시야각화가 가능해진다.In one embodiment,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may further have another retardation layer (not shown) between the retardation layer 40 and the adhesive layer 50. FIG. The other retardation layer typically exhibits a relationship of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s of nz>nx=ny. By providing such another phase difference layer, reflection in an oblique direction can be prevented favorably, and wide viewing angle-ization of a reflection prevention function becomes possible.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도전층 또는 도전층 부착 등방성 기재(도시하지 않음)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도전층 또는 도전층 부착 등방성 기재가 마련되는 경우,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화상 표시 셀(예컨대, 유기 EL 셀)과 편광판과의 사이에 터치 센서가 내장된, 이른바 이너 터치 패널형 입력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전층 또는 도전층 부착 등방성 기재는, 대표적으로는, 위상차층(40)과 점착제층(50)과의 사이에 마련된다. 다른 위상차층이 마련되는 경우, 다른 위상차층 및 도전층 또는 도전층 부착 등방성 기재는, 대표적으로는, 위상차층(40) 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마련된다.In one embodiment,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may further have a conductive layer or an isotropic base material with a conductive layer (not shown). When a conductive layer or an isotropic substrate with a conductive layer is provided,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has a built-in touch sensor between the image display cell (eg, organic EL cell) and the polarizing plate, so-called inner touch panel type input display device can be applied to A conductive layer or an isotropic substrate with a conductive layer is typically provided between the retardation layer 40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0 . When another phase difference layer is provided, another phase difference layer and a conductive layer or an isotropic base material with a conductive layer are typically provided in this order from the phase difference layer 40 side.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또 다른 위상차층(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 다른 위상차층은, 다른 위상차층과 조합하여 마련되어도 되고, 단독으로(즉, 다른 위상차층을 마련하지 않고) 마련되어도 된다. 또 다른 위상차층의 광학적 특성(예컨대, 굴절률 특성, 면내 위상차, Nz 계수, 광탄성 계수), 두께, 배치 위치 등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may have another retardation layer (not shown). Another retardation layer may be provided in combination with another retardation layer, and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that is, without providing another retardation layer). The optical characteristics (eg,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s, in-plane retardation, Nz coefficient, photoelastic coefficient), thickness,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like of the other retardation layer may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매엽상이어도 되고 장척상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장척상'이란, 폭에 대하여 길이가 충분히 긴 세장 형상을 의미하고, 예컨대, 폭에 대하여 길이가 10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0배 이상의 세장 형상을 포함한다. 장척상의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롤상으로 권회 가능하다.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may have a sheet shape or a long picture shape may be sufficient as it. As used herein, "long shape" means an elongate shape having a sufficiently long length with respect to the width, and includes, for example, an elongated shape having a length of 10 times or more, preferably 20 tim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width.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elongate antireflection layer can be wound in roll shape.

실용적으로는, 점착제층(50)의 표면에는,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이 사용에 제공될 때까지, 박리 필름이 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필름을 가착함으로써, 점착제층을 보호함과 함께,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의 롤 형성이 가능해진다.Pract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eeling film is temporari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50 until the circularly-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is provided for use. By temporarily adhering a peeling film, while protecting an adhesive layer, roll formation of a circularly-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is attained.

이하,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are demonstrated.

B. 편광자B. Polarizer

편광자(11)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가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편광자를 형성하는 수지 필름은, 단층의 수지 필름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적층체이어도 된다.As the polarizer 11, any suitable polarizer may be employed. For example, a single-layered resin film may be sufficient as the resin film which forms a polarizer, and the laminated body of two or more layers may be sufficient as it.

단층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PVA계 필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가 실시된 것, PVA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특성이 우수한 점에서, PVA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1축 연신하여 얻어진 편광자가 이용된다.Specific examples of the polarizer composed of a single-layer resin film include polyvinyl alcohol (PVA)-based films, partially formalized PVA-based films, and hydrophilic polymer films such as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based partially saponified films, iodine, dichroic dyes, etc. polyene-based oriented films such as those subjected to a dyeing treatment and stretching treatment with a dichroic substance of PVA, dehydration treatment products of PVA, and dehydrochloric acid treatment products of polyvinyl chloride. Preferably, a polarizer obtained by dyeing a PVA-based film with iodine and uniaxially stretching from the viewpoint of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is used.

상기 요오드에 의한 염색은, 예컨대, PVA계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상기 1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3∼7배이다. 연신은, 염색 처리 후에 행하여도 되고, 염색하면서 행하여도 된다. 또한, 연신하고 나서 염색하여도 된다. 필요에 따라, PVA계 필름에, 팽윤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된다. 예컨대, 염색 전에 PVA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함으로써, PVA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VA계 필름을 팽윤시켜 염색 얼룩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dyeing with iodine is performed, for example, by immersing a PVA-based film in an aqueous iodine solution. The draw ratio of the said uniaxial stretching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3 to 7 times. Extending|stretching may be performed after a dyeing process, and may be performed, dyeing|staining. Moreover, you may dye|dye after extending|stretching. A swelling process, a crosslinking process, a washing process, a drying process, etc. are given to a PVA-type film as needed.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PVA-based film in water and washing with water before dyeing, it is possible not only to wash the surface of the PVA-based film from stains and anti-blocking agents, but also to swell the PVA-based film to prevent staining of dyeing and the like.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적층된 PVA계 수지층(PVA계 수지 필름)과의 적층체, 혹은,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는, 예컨대, PVA계 수지 용액을 수지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수지 기재 위에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얻는 것; 당해 적층체를 연신 및 염색하여 PVA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것;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신은, 대표적으로는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 중에 침지시켜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연신은, 필요에 따라, 붕산 수용액 중에서의 연신 전에 적층체를 고온(예컨대, 95℃ 이상)에서 공중 연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얻어진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는 그대로 이용하여도 되고(즉, 수지 기재를 편광자의 보호층으로 하여도 되고),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로부터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당해 박리면에 목적에 따른 임의의 적절한 보호층을 적층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편광자의 제조 방법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73580호, 일본특허 제647045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특허 문헌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As a specific example of the polarizer obtained using a laminated body, a laminated body of a resin substrate and the PVA system resin layer (PVA system resin film) laminated|stacked on the said resin substrate, or a resin substrate and the PVA system resin layer coated and formed on the said resin substrate. The light polarizer obtained using the laminated body of this is mentioned. A polarizer obtained by using a laminate of a resin substrate and a PVA-based resin layer applied and formed on the resin substrate is, for example, a PVA-based resin solution applied to a resin substrate, dried to form a PVA-based resin layer on the resin substrate, obtaining a laminate of a resin substrate and a PVA-based resin layer; stretching and dyeing the laminate to use the PVA-based resin layer as a polarizer; In this embodiment, extending|stretching includes extending|stretching by immersing a laminated body in boric-acid aqueous solution typically. In addition, stretching may further include, if necessary, aerial stretching of the laminate at a high temperature (eg, 95°C or higher) before stretching in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The obtained laminated body of resin substrate / polarizer may be used as it is (that is, the resin substrate may be used as a protective layer of polarizer), and the resin substrate is peeled from the laminate of resin substrate / polarizer, and the said peeling surface is used for the purpose. Any suitable protective layer may be laminated and used. The detail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polarizer is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2-73580,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470455, for example. The description of these patent documents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단층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의 최적화와의 상승적인 효과에 의해, 고온 환경 하에서의 위상차 불균일이 억제된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이 얻어질 수 있다.The polarizer may be preferably composed of a single-layered resin film. With such a structure,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the antireflection layer in which the phase difference nonuniformity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was suppressed can be obtained by the synergistic effect with the optimization of a 1st adhesive layer and a 2nd adhesive layer.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30㎛ 정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 정도이다. 특히, 두께가 10㎛ 이하인 편광자를 얻기 위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73580호, 일본특허 제6470455호 공보 등에 개시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기재 위에 제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이용하는 박형의 편광자의 제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열 시의 컬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양호한 가열 시의 외관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preferably about 1 µm to 30 µm, and more preferably about 5 µm to 25 µm. In particular, in order to obtain a polarizer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or less, as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2012-73580 and 6470455, etc.,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formed on a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A manufacturing method of a thin polarizer using a laminate comprising a can be applied. If the thickness of a polarizer is such a range, the curl at the time of a heating can be suppressed favorably, and favorable external appearance durability at the time of a heating can be acquired.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780㎚의 어느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예컨대 41.5%∼46.0%이고, 바람직하게는 43.0%∼46.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4.5%∼46.0%이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예컨대 44.0% 이상이어도 되고, 또한 예컨대 44.2% 이상이어도 되며, 또한 예컨대 44.6% 이상이어도 된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9.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이다.The polarizer preferably exhibits absorption dichroism at any wavelength of 380 nm to 780 nm. The single transmittance of the polarizer is, for example, 41.5% to 46.0%, preferably 43.0% to 46.0%, and more preferably 44.5% to 46.0%. The single transmittance of the polarizer may be, for example, 44.0% or more, and may be, for example, 44.2% or more, or may be, for example, 44.6% or more. The polarization degree of a polarizer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97.0 %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99.0 %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99.9 % or more.

C. 보호층C. protective layer

제1 보호층(12) 및 제2 보호층(13)은, 각각,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당해 필름의 주성분이 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테르설폰계, 폴리설폰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노보넨계, 폴리올레핀계, (메트)아크릴계, 아세테이트계 등의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우레탄계,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도 들 수 있다. 이 밖에도, 예컨대,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리질계 폴리머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343529호(WO 01/37007)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 및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이소부텐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당해 폴리머 필름은, 예컨대,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일 수 있다.The 1st protective layer 12 and the 2nd protective layer 13 are respectively formed from arbitrary suitable films which can be used as a protective layer of a polarizer. Specific examples of the material used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film include cellulose resins such as triacetyl cellulose (TAC), polyester, polyvinyl alcohol, polycarbonate, polyamide, polyimide, polyethersulfone, and transparent resins such as polysulfone-based, polystyrene-based, polynorbornene-based, polyolefin-based, (meth)acrylic-based and acetate-based resins. Moreover, thermosetting resins, such as (meth)acrylic type, a urethane type, a (meth)acrylic urethane type, an epoxy type, a silicone type, or ultraviolet curable resin,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for example, glassy polymers, such as a siloxane type polymer, are mentioned. Moreover, the polymer film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1-343529 (WO 01/37007) can also be used. As a material of this film, for example,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imide group in a side chain and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henyl group and a nitrile group in the side chain can be used, for example, isobutene and and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n alternating copolymer composed of N-methylmaleimide and an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The polymer film may be, for example, an extrusion molding of the resin composition.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표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 측에 배치되고, 제1 보호층(12)은, 대표적으로는 그의 시인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보호층(12)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 코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혹은, 제1 보호층(12)에는, 필요에 따라, 편광 선글라스를 통하여 시인하는 경우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처리(대표적으로는, (타)원편광 기능을 부여하는 것, 초고위상차를 부여하는 것)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편광 선글라스 등의 편광 렌즈를 통하여 표시 화면을 시인한 경우에도, 우수한 시인성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옥외에서 이용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에도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is typically arrange|positioned on the visual recognition sid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so that it may mention later, and the 1st protective layer 12 is typically arrange|positioned on the visual recognition side. Accordingly,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 may be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such as a hard coat treatment, an antireflection treatment, an antistick treatment, and an antiglare treatment, if necessary. Further, to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 if necessary, a process for improving visibility when visually viewed through polarized sunglasses (typically, imparting a (other) circular polarization function, and applying a super high phase difference ) may be performed. By performing such a process, even when a display screen is visually recognized through polarizing lenses, such as polarized sunglasses, the outstanding visibility can be implement|achieved. Therefore,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can be suitably applied also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can be used outdoors.

제1 보호층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3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8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60㎛이다. 또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 외측 보호층의 두께는, 표면 처리층의 두께를 포함한 두께이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protective layer is typically 300 µm or less, preferably 10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5 µm to 80 µm, still more preferably 10 µm to 60 µm. In addition, when the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the thickness of the outer side protective layer is the thickness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treatment layer.

제2 보호층(13)은,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광학적으로 등방성이다'란, 면내 위상차 Re(550)가 0㎚∼10㎚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550)가 -10㎚∼+10㎚인 것을 말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3 is preferably optically isotropic. In this specification, "optically isotropic" means that the in-plane retardation Re(550) is 0 nm to 10 nm, and the retardation Rth(550)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10 nm to +10 nm.

D. 위상차층D. Retardation layer

위상차층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표적으로는 100㎚∼200㎚이고, 바람직하게는 110㎚∼18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6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150㎚이다. 즉, 위상차층은, 이른바 λ/4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plane retardation Re(550) of the retardation layer is typically 100 nm to 200 nm, preferably 110 nm to 180 nm, more preferably 120 nm to 160 nm, further preferably 130 nm to 150 nm. That is, the retardation layer can function as a so-called λ/4 plate.

위상차층은, 위상차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 커지는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내도 되고, 위상차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플랫한 파장 의존성을 나타내도 된다. 위상차값이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내는 경우, Re(450)/Re(550)는 바람직하게는 0.80∼0.97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0.95이다. 위상차값이 플랫한 파장 의존성을 나타내는 경우, Re(450)/Re(550)는 바람직하게는 0.97∼1.0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8∼1.02이다.The retardation layer may exhibit wavelength dependence of inverse dispersion in which the retardation value increases with the wave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or may exhibit a flat wavelength dependence in which the retardation value is substantially constant regardless of the wave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When the phase difference value shows the wavelength dependence of the inverse dispersion, Re(450)/Re(550) is preferably 0.80 to 0.97, more preferably 0.85 to 0.95. When a phase difference value shows flat wavelength dependence, Re(450)/Re(550)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0.97-1.03, More preferably, it is 0.98-1.02.

위상차층은, 상기한 바와 같이 면내 위상차를 갖기 때문에, nx>ny의 관계를 갖는다. 위상차층은, nx>ny의 관계를 갖는 한, 임의의 적절한 굴절률 특성을 나타낸다. 위상차층의 굴절률 특성은, 대표적으로는 nx>ny≥nz의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서 'ny=nz'는 ny와 nz가 완전히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ny<nz가 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위상차층의 Nz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0.9∼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2이다. 이와 같은 관계를 충족함으로써,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한 경우에, 매우 우수한 반사 색상을 달성할 수 있다.Since the retardation layer has an in-plane retardation as described above, it has a relationship of nx>ny. The retardation layer exhibits any appropriate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 as long as it has a relationship of nx>ny. The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 of the retardation layer typically shows a relationship of nx>ny≥nz. In addition, 'ny=nz'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ny and nz are completely the same, but also the case where 'ny=nz' is substantially the same. Therefore, there may be a case where ny<nz i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Nz coefficient of retardation layer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0.9-2.0, More preferably, it is 0.9-1.5, More preferably, it is 0.9-1.2. By satisfying such a relationship, when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is used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a very excellent reflection color can be achieved.

위상차층의 두께는, λ/4판으로서 가장 적절히 기능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환언하면, 두께는, 소망하는 면내 위상차가 얻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5㎛∼60㎛이다. 위상차층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열 시의 컬을 양호하게 억제하면서, 첩합 시의 컬을 양호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layer can be set so that it can function most appropriately as a λ/4 plate. In other words, the thickness can be set so that a desired in-plane retardation is obtained. Specifically, the thickness is preferably 70 µm or less, and preferably 45 µm to 60 µm. Curl|Karl at the time of bonding can be adjusted favorably, suppressing the curl at the time of a heating favorably that the thickness of a phase difference layer is such a range.

위상차층은, 그의 광탄성 계수의 절댓값이 바람직하게는 20×10-12(㎡/N)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12(㎡/N)∼15×10-12(㎡/N)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10-12(㎡/N)∼12×10-12(㎡/N)이다. 광탄성 계수의 절댓값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표시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The retardation layer has an absolute value of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of preferably 20×10 -12 (m 2 /N) or less, more preferably 1.0×10 -12 (m 2 /N) to 15×10 -12 (m 2 /N). ), and more preferably 2.0×10 -12 (m 2 /N) to 12×10 -12 (m 2 /N). When the absolute value of a photoelastic coefficient is such a range, when a circularly-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is applied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 nonuniformity can be suppressed.

위상차층은, 상기의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수지의 대표예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조합하여(예컨대, 블렌드, 공중합) 이용하여도 된다. 위상차층은, 대표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계 수지(이하, 단순히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tardation layer may be composed of any suitable resin film capable of satisfy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resins include polycarbonate resins, polyester carbonate resins, polyester resins, polyvinyl acetal resins, polyarylate resins, cyclic olefin resins, cellulose resins, polyvinyl alcohol resins, and polyamide-based resins, polyimide-based resins, polyether-based resins, polystyrene-based resins, and acrylic resins. These resins may be used individually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for example, blending, copolymerization). The retardation layer, typically, may be composed of a polycarbonate-based resin or a polyester carbonate-based resi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polycarbonate-based resin).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플루오렌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와, 이소소르비드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와, 지환식 디올, 지환식 디메탄올, 디, 트리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알킬렌글리콜 또는 스피로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플루오렌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와, 이소소르비드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와, 지환식 디메탄올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 및/혹은 디, 트리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렌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와, 이소소르비드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와, 디, 트리 또는 폴리에텔렌글리콜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필요에 따라 그 밖의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029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2626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5-2128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5-2128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5-212818호에 기재되어 있고, 당해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As said polycarbonate-type resin, arbitrary appropriate polycarbonate-type resin can be used. In one embodiment,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include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fluorene-based dihydroxy compou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n isosorbide-based dihydroxy compound, an alicyclic diol, an alicyclic dimethanol, di, tri or polyethylene glycol, a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t least one dihydroxy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ylene glycol or spiro glycol. Preferably,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include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fluorene-based dihydroxy compou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n isosorbide-based dihydroxy compou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n alicyclic dimethanol, and / or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di, tri or polyethylene glycol; More preferably, it contain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fluorene-based dihydroxy compou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n isosorbide-based dihydroxy compound, a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di, tri, or polyethylene glycol. . Polycarbonate-type resin may contain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nother dihydroxy compound as needed. Details of such polycarbonate-based resins ar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4-1029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4-26266,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5-212816,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5-212817 No.,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5-212818, the disclosure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하기 식 (I)로 나타내는 결합 구조를 갖는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polycarbonate-type resin contains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dihydroxy compound which has a bonding structure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I).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디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하기 식 (II)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디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입체이성체의 관계에 있는,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이소이데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As a dihydroxy compou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II) is mentioned, for example. Examples of such a dihydroxy compound include isosorbide, isomannide, and isoidet, which have a stereoisomer relationship. These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화학식 2][Formula 2]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상기 디히드록시 화합물과 다른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다른 디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하기 식(III)으로 나타내는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들 수 있다.You may use combining the said dihydroxy compound and another dihydroxy compound. As another dihydroxy compound, the alicyclic dihydroxy compound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III) is mentioned, for example.

HOCH2-R1-CH2OH...(III)HOCH 2 -R 1 -CH 2 OH...(III)

식(III) 중, R1은, 탄소수 4∼20의 시클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은, 예컨대,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펜타시클로펜타데칸디메탄올일 수 있다. 이들은, 식(III)에서 R1이 하기 식 (IV)(식 중, n은 0 또는 1을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다양한 이성체를 포함한다.In formula (III), R< 1 > represents a C4-C20 cycloalkylene group. The alicyclic dihydroxy compound may be, for example, tricyclodecanedimethanol or pentacyclopentadecanedimethanol. These include various isomers in which R 1 in the formula (III)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V) (wherein n represents 0 or 1).

[화학식 3][Formula 3]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하기 식(V)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즉,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디페닐카보네이트와 이소소르비드와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polycarbonate-type resin contains the structural unit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V). That is,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may be a copolymer of diphenyl carbonate, isosorbide, and tricyclodecane dimethanol.

[화학식 4][Formula 4]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이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031370호에 기재되어 있고, 당해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The detail of such polycarbonate-type resin is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2-031370, for example, and description of this publication is taken in here as a reference.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110℃ 이상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230℃ 이하이다. 유리전이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내열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필름 성형 후에 치수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유리전이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필름 성형 시의 성형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필름의 투명성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리전이온도는, JIS K 7121(1987)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olycarbonate-type resin is 110 degreeC or more and 250 degrees C or less, More preferably, they are 120 degreeC or more and 230 degrees C or less.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excessively low, heat resistance tends to deteriorate,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a dimensional change after film forming.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excessively high, the molding stability at the time of film forming may deteriorate, and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may be impaired. In addition,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calculated|required according to JISK7121 (1987).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분자량은, 환원 점도로 나타낼 수 있다. 환원 점도는, 용매로서 염화메틸렌을 이용하고, 폴리카보네이트 농도를 0.6g/dL로 정밀하게 조제하여, 온도 20.0℃±0.1℃에서 우베로데 점도관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환원 점도의 하한은, 통상적으로 0.30dL/g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dL/g 이상이다. 환원 점도의 상한은, 통상적으로 1.20dL/g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0dL/g이다. 환원 점도가 상기 하한값보다 작으면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가 작아진다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한편, 환원 점도가 상기 상한값보다 크면, 성형 시의 유동성이 저하하여, 생산성이나 성형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The molecular weight of polycarbonate-type resin can be represented by reduced viscosity. The reduced viscosity is measured by using methylene chloride as a solvent, precisely adjusting the polycarbonate concentration to 0.6 g/dL, and using an Uberode viscosity tube at a temperature of 20.0°C ±0.1°C. As for the lower limit of a reduced viscosity, 0.30 dL/g is preferable normally, More preferably, it is 0.35 dL/g or more. As for the upper limit of reduced viscosity, 1.20 dL/g is preferable normally, More preferably, it is 1.00 dL/g, More preferably, it is 0.80 dL/g. When a reduced viscosity is smaller than the said lower limit, the problem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of a molded article becomes small may arise. On the other hand, when a reduced viscosity is larger than the said upper limit, the fluidity|liquidity at the time of shaping|molding may fall, and the problem that productivity and a moldability fall may arise.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으로서 시판되는 필름을 이용하여도 된다. 시판품의 구체예로서는, 테이진사 제조의 상품명 '퓨어에이스 WR-S', '퓨어에이스 WR-W', '퓨어에이스 WR-M', 닛토덴코사 제조의 상품명 'NRF'를 들 수 있다.You may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film as a polycarbonate-type resin film. Specific examples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Pure Ace WR-S” manufactured by Teijin Corporation, “Pure Ace WR-W”, “Pure Ace WR-M” and “NRF” manufactured by Nitto Denko Corporation.

위상차층은, 예컨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형성된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부터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성형 가공법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압축 성형법, 트랜스퍼 성형법,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블로우 성형법, 분말 성형법, FRP 성형법, 캐스트 도공법(예컨대, 유연(流延)법), 캘린더 성형법, 열 프레스법 등을 들 수 있다. 압출 성형법 또는 캐스트 도공법이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필름의 평활성을 높이고, 양호한 광학적 균일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성형 조건은, 사용되는 수지의 조성이나 종류, 위상차층에 소망되는 특성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많은 필름 제품이 시판되고 있기 때문에, 당해 시판 필름을 그대로 연신 처리에 제공하여도 된다.The retardation layer can be obtained by, for example, stretching a film formed of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As a method for forming a film from a polycarbonate-based resin, any suitable molding processing method may be employed. Specific examples include a compression molding method, a transfer molding method, an injection molding method, an extrusion molding method, a blow molding method, a powder molding method, an FRP molding method, a cast coating method (eg, a casting method), a calender molding method, a hot press method, and the like. An extrusion molding method or a cast coating method is preferable. It is because the smoothness of the film obtained can be improved and favorable optical uniformity can be acquired. Molding conditions can be suitably se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and kind of resin used, characteristics desired for retardation layer, etc.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since many film products are marketed as for polycarbonate-type resin, you may use the said commercially available film for a extending|stretching process as it is.

수지 필름(미연신 필름)의 두께는, 위상차층의 소망하는 두께, 소망하는 광학 특성, 후술하는 연신 조건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300㎛이다.The thickness of the resin film (unstretched film) can be set to any appropriate value according to the desired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layer, desired optical properties, stretching conditions described later, and the like. Preferably it is 50 micrometers - 300 micrometers.

상기 연신은, 임의의 적절한 연신 방법, 연신 조건(예컨대, 연신 온도, 연신 배율, 연신 방향)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유단 연신, 고정단 연신, 자유단 수축, 고정단 수축 등의 다양한 연신 방법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연신 방향에 관해서도, 길이 방향, 폭 방향, 두께 방향, 경사 방향 등, 다양한 방향이나 차원으로 행할 수 있다. 연신의 온도는, 수지 필름의 유리전이온도(Tg)에 대하여, Tg-30℃∼Tg+6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g-10℃∼Tg+50℃이다.For the above stretching, any suitable stretching method and stretching conditions (eg, stretching temperature, stretching ratio, stretching direction) may be employed. Specifically, various stretching methods such as free-end stretching, fixed-end stretching, free-end contraction, and fixed-end contraction may be used alon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he stretching direction can also be carried out in various directions and dimensions, such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obliqu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of extending|stretching is Tg-30 degreeC - Tg+60 degreeC with respect to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a resin film, More preferably, they are Tg-10 degreeC - Tg+50 degreeC.

상기 연신 방법, 연신 조건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상기 소망하는 광학 특성(예컨대, 굴절률 특성, 면내 위상차, Nz 계수)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얻을 수 있다.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stretching method and stretching conditions, a retardation film having the desired optical properties (eg,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 in-plane retardation, Nz coefficient) can be obtained.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위상차 필름은, 수지 필름을 1축 연신 또는 고정단 1축 연신함으로써 제작된다. 고정단 1축 연신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필름을 긴 길이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폭 방향(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1배∼3.5배이다.In one embodiment, the retardation film is produced by uniaxially stretching a resin film or uniaxially stretching a fixed end. As a specific example of fixed-end uniaxial stretching, the method of extending|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transverse direction) is mentioned, driving a resin film in a long longitudinal direction. A draw ratio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1.1 times - 3.5 times.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위상차 필름은, 장척상의 수지 필름을 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의 각도(θ)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경사 연신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경사 연신을 채용함으로써, 필름의 긴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각도(θ)의 배향각(각도(θ)의 방향으로 지상축)을 갖는 장척상의 연신 필름이 얻어지고, 예컨대, 편광막과의 적층 시에 롤 투 롤이 가능해져,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각도(θ)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에서 편광막의 흡수축과 위상차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각도(θ)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40°∼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2°∼4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5°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retardation film can be produced by continuously obliquely stretching a long resin film in the direction of the above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employing oblique stretching, an elongated stretched film having an orientation angle of an angle θ (slow axis in the direction of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is obtained, for example, at the time of lamination with a polarizing film. A roll-to-roll becomes possible, and a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the angle θ may be an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in the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As described above, the angle θ is preferably 40° to 50°, more preferably 42° to 48°, and still more preferably about 45°.

경사 연신에 이용하는 연신기로서는, 예컨대, 횡 및/또는 종방향으로, 좌우 상이한 속도의 이송력 또는 인장력 또는 인취력을 부가할 수 있는 텐터식 연신기를 들 수 있다. 텐터식 연신기에는, 횡 1축 연신기, 동시 2축 연신기 등이 있지만, 장척상의 수지 필름을 연속적으로 경사 연신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연신기가 이용될 수 있다.As a stretching machine used for diagonal stretching, for example, a tenter type stretching machine capable of applying a feeding force or a tensile force or a pulling force at different speeds in the transverse and/or longitudinal direction is mentioned. Although there exist a horizontal uniaxial stretching machine, a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machine, etc. as a tenter type stretching machine, any suitable stretching machine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diagonally stretch a long resin film continuously.

상기 연신기에서 좌우의 속도를 각각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상기 소망하는 면내 위상차를 갖고, 또한, 상기 소망하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갖는 위상차층(실질적으로는, 장척상의 위상차 필름)이 얻어질 수 있다.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speeds in the stretching machine, a retardation layer (substantially, a long retardation film) having the desired in-plane retardation and having a slow axis in the desired direction can be obtained.

상기 필름의 연신 온도는, 위상차층에 소망되는 면내 위상차값 및 두께,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 사용되는 필름의 두께, 연신 배율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Tg-30℃∼Tg+30℃, 더욱 바람직하게는 Tg-15℃∼Tg+20℃, 가장 바람직하게는 Tg-10℃∼Tg+15℃이다. 이와 같은 온도에서 연신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적절한 특성을 갖는 위상차층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Tg는, 필름의 구성 재료의 유리전이온도이다.The stretching temperature of the film may vary depending on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and thickness desired for the retardation layer, the type of resin used, the thickness of the film used, the draw ratio,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Tg-30°C to Tg+30°C, more preferably Tg-15°C to Tg+20°C, and most preferably Tg-10°C to Tg+15°C. By stretching at such a temperature, a retardation layer having suitable propertie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g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a film.

E. 반사 방지층E. Anti-reflection layer

반사 방지층(30)은, 대표적으로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층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사 방지층을 마련함으로써, 원편광판 단독으로는 실현하기 어려운 높은 투과율을 실현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의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반사율은 작을수록 바람직하고, 그 하한은 예컨대 0.2%일 수 있다. 반사율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외광의 비침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antireflection layer 30 is typically a cured layer of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antireflection layer, a high transmittance that is difficult to achieve with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lone can be realized. The reflectanc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s preferably 1.5% or less, more preferably 1.3%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0% or less. The smaller the reflectance, the more preferable, and the lower limit thereof may be, for example, 0.2%. If the reflectance is within such a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and the like.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반응성 희석제,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 중공 입자, 및/또는 중실 입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s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reactive diluent, a fluorine-containing additive, hollow particles, and/or solid particles according to the purpose.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 광(가시광) 경화성 수지, 전자선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예컨대,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실리콘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열, 광(자외선 등) 또는 전자선 등에 의해 경화하는 아크릴레이트기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경화형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다가 알코올과 같은 다관능 화합물의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레폴리머를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Typical examples of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nclude a thermosetting resin,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a light (visible light) curable resin, and an electron beam curable resin. Examples of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nclude a silicone resin, a polyester resin, a polyether resin, an epoxy resin, a urethane resin, an alkyd resin, a spiroacetal resin, a polybutadiene resin, and a polythiol polyene resin. Further, for example,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may be a curable compound having an acrylate group and/or a methacrylate group that is cured by heat, light (such as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beams. Specific examples include oligomers or prepolymers such as acrylates and/or methacrylates of polyfunctional compounds such as polyhydric alcohols.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경화 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예컨대, 100 이상, 300 이상, 500 이상, 1000 이상, 또는 2000 이상이어도 되고, 100000 이하, 70000 이하, 50000 이하, 30000 이하, 또는 10000 이하이어도 된다. 경화 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크면, 경도는 저하하는 한편, 굴곡시켰을 때에 균열이 일어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경화 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작으면, 분자간 가교 밀도가 향상되고, 경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before curing, for example, 100 or more, 300 or more, 500 or more, 1000 or more, or 2000 or more, 100000 or less, 70000 or less, 50000 or less, 30000 or less, or 10000 or less. .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before hardening is large, while hardness falls, there exists a tendency for a crack to become difficult to occur when it bends.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before hardening is small, there exists a tendency for an intermolecular crosslinking density to improve and hardness to become high.

반응성 희석제는, 대표적으로는, 아크릴레이트기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한다.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88309호에 기재된 반응성 희석제를 이용할 수 있다. 반응성 희석제의 구체예로서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3관능 이상의 메타크릴레이트이다.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예컨대, 부탄디올글리세린에테르디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의 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의 메타크릴레이트 등도 들 수 있다. 반응성 희석제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The reactive diluent typically contains an acrylate group and/or a methacrylate group. As a reactive diluent, the reactive diluent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8-88309 can be used, for example. Specific examples of the reactive diluent include monofunctional acrylates, monofunctional methacrylates, polyfunctional acrylates and polyfunctional methacrylates. Preferably, they are trifunctional or more than trifunctional acrylate, and trifunctional or more than trifunctional methacrylate. Examples of the reactive diluent include butanediol glycerin ether diacrylate, acrylate of isocyanuric acid, methacrylate of isocyanuric acid, and the like. A reactive diluent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화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는, 예컨대, 분자 중에 불소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 또는 무기 화합물일 수 있다. 유기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불소 함유 방오 코팅제, 불소 함유 아크릴 화합물, 불소/규소 함유 아크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화합물은, 시판품을 이용하여도 된다. 구체예로서는, 신에츠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KY-1203', 디아이씨(DIC)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메가팩'을 들 수 있다. 무기 화합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불소 함유 무기 화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As the elemental fluorine-containing additive, any suitable compound can be used. The elemental fluorine-containing additive may be, for example, an organic compound or an inorganic compound containing fluorine in its molecule. Examples of the organic compound include a fluorine-containing antifouling coating agent, a fluorine-containing acrylic compound, and a fluorine/silicon-containing acrylic compound. As the organic compound,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As a specific example, the brand name "KY-1203"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Industry Co., Ltd. and the brand name "Megapack"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are mentioned. As the inorganic compound, any suitable fluorine-containing inorganic compound can be used.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의 배합량은,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05중량부 이상, 0.1중량부 이상, 0.15중량부 이상, 0.20중량부 이상, 또는 0.2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20중량부 이하, 15중량부 이하, 10중량부 이하, 5중량부 이하, 또는 3중량부 이하이어도 된다.The blending amount of the elemental fluorine additive may be, for example, 0.05 parts by weight or more, 0.1 parts by weight or more, 0.15 parts by weight or more, 0.20 parts by weight or more, or 0.2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Parts by weight or less, 15 parts by weight or less, 10 parts by weight or less, 5 parts by weight or less, or 3 parts by weight or less may be sufficient.

중공 입자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중공 입자가 이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실리카 입자, 아크릴 입자, 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입자를 들 수 있다. 중공 입자는, 시판품을 이용하여도 된다. 실리카 입자의 시판품의 구체예로서는, 닛키쇼쿠바이카세이코교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스루리아 5320', '스루리아 4320'을 들 수 있다. 중공 입자의 중량 평균 입자 직경은, 예컨대,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또는 70㎚ 이상이어도 되고, 150㎚ 이하, 140㎚ 이하, 130㎚ 이하, 120㎚ 이하, 또는 110㎚ 이하이어도 된다. 중공 입자의 형상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중공 입자의 형상은, 예컨대, 비드상의 대략 구형이어도 되고, 분말 등의 부정형의 것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구형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인 대략 구형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진구(眞球)형이다. 중공 입자를 배합함으로써, 저굴절률이며 또한 양호한 반사 방지 특성을 갖는 반사 방지층이 얻어질 수 있다. 중공 입자의 배합량은,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30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상, 70중량부 이상, 90중량부 이상, 또는 100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300중량부 이하, 270중량부 이하, 250중량부 이하, 200중량부 이하, 또는 180중량부 이하이어도 된다. 배합량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굴절률이 낮은 반사 방지층이 얻어질 수 있다.As the hollow particles, any suitable hollow particles may be used. As a specific example, a silica particle, an acryl particle, and acryl- styrene copolymer particle|grains are mentioned. The hollow particle may use a commercial item.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commercial item of a silica particle, the Nikki Shokubai Chemicals Co., Ltd. product brand name "Sururia 5320", and "Sururia 4320" are mentioned.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hollow particles may be, for example, 30 nm or more, 40 nm or more, 50 nm or more, 60 nm or more, or 70 nm or more, 150 nm or less, 140 nm or less, 130 nm or less, 120 nm or less; Or 110 nm or less may be sufficient. As the shape of the hollow particles, any suitable shape can be adopted. The shape of the hollow particles may be, for example,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of a bead or an amorphous one such as a powder. Preferably it is substantially spherical, More preferably, it is substantially spherical with an aspect-ratio 1.5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By blending the hollow particles, an antireflection layer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and good antireflection properties can be obtained. The blending amount of the hollow particles may be, for example, 30 parts by weight or more, 50 parts by weight or more, 70 parts by weight or more, 90 parts by weight or more, or 10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300 parts by weight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 270 parts by weight or less, 250 parts by weight or less, 200 parts by weight or less, or 180 parts by weight or less may be sufficient. When the blending amount is within such a range, an antireflection layer hav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a low refractive index can be obtained.

중실 입자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중실 입자가 이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실리카 입자, 산화지르코늄 입자, 티탄 입자를 들 수 있다. 중실 입자는, 시판품을 이용하여도 된다. 실리카 입자의 시판품의 구체예로서는, 닛산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MEK-2140Z-AC', 'MIBK-ST', 'IPA-ST'를 들 수 있다. 중실 입자의 중량 평균 입자 직경은, 예컨대, 5㎚ 이상,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또는 25㎚ 이상이어도 되고, 3300㎚ 이하, 250㎚ 이하, 200㎚ 이하, 150㎚ 이하, 또는 100㎚ 이하이어도 된다. 중실 입자의 형상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중실 입자의 형상은, 예컨대, 비드상의 대략 구형이어도 되고, 분말 등의 부정형의 것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구형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인 대략 구형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진구형이다. 중실 입자를 배합함으로써,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가 반사 방지층 표면에 편재하기 쉬워져, 결과로서, 저굴절률이며 또한 양호한 반사 방지 특성을 갖는 반사 방지층이 얻어질 수 있다. 중실 입자의 배합량은,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5중량부 이상, 10중량부 이상, 15중량부 이상, 20중량부 이상, 또는 2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0중량부 이하, 120중량부 이하, 100중량부 이하, 또는 80중량부 이하이어도 된다. 배합량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기계적 특성, 굴절률 및 투명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반사 방지층이 얻어질 수 있다.As the solid particles, any suitable solid particles may be used. As a specific example, a silica particle, a zirconium oxide particle, and a titanium particle are mentioned. A commercial item may be used for solid particle|grains.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commercial item of a silica particle, the Nissan Chemical Industry Co., Ltd. brand names 'MEK-2140Z-AC', 'MIBK-ST', and 'IPA-ST' are mentioned.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olid particles may be, for example, 5 nm or more, 10 nm or more, 15 nm or more, 20 nm or more, or 25 nm or more, 3300 nm or less, 250 nm or less, 200 nm or less, 150 nm or less; Or 100 nm or less may be sufficient. As the shape of the solid particles, any suitable shape can be adopted. The shape of the solid particles may be, for example,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of a bead or an amorphous one such as a powder. Preferably it is substantially spherical, More preferably, it is substantially spherical with an aspect-ratio 1.5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By blending the solid particles, the elemental fluorine-containing additive tends to be unevenly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and as a result, an antireflection layer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and good antireflection properties can be obtained. The blending amount of the solid particles may be, for example, 5 parts by weight or more, 10 parts by weight or more, 15 parts by weight or more, 20 parts by weight or more, or 2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50 parts by weight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 120 parts by weight or less, 100 parts by weight or less, or 80 parts by weight or less may be sufficient. If the blending amount is within such a range, an antireflection layer excellent in the balance of mechanical properties, refractive index, and transparency can be obtained.

반사 방지층은, 대표적으로는, 이하의 제조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희석 용매로 희석한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공한다; 도공막을 건조한다; 및, 건조한 도공막을 경화시킨다.The antireflection layer can typically be formed by the following manufacturing method: A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obtained by diluting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with a diluting solvent is applied; dry the coating; And, the dried coating film is cured.

희석 용매로서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희석 용매로서는,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TBA(터셔리부틸알코올), 2-메톡시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MIBK(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등의 케톤류; 초산메틸, 초산에틸, 초산부틸, PMA(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류; 헥산, 헵탄, 옥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를 들 수 있다. 희석 용매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다수의 용매를 목적에 따른 임의의 적절한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극성을 조정할 수 있다.As the diluting solvent, any suitable solvent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Examples of the diluting solvent include alcohols such as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butanol, TBA (tertiary butyl alcohol) and 2-methoxyethanol; ketone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IBK (methyl isobutyl ketone), and cyclopentanone; ester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and PMA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ethers such as diisopropyl ether and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glycols such as eth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cellosolves such as ethyl cellosolve and butyl cellosolve;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hexane, heptane and octane; and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benzene, toluene and xylene. A dilution solvent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The polarity can be adjusted by mixing a plurality of solvents in any suitable ratio according to the purpose.

희석 용매는, 예컨대, MIBK 및 PMA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이 경우의 혼합 비율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혼합 비율은, MIBK 100중량부에 대하여, PMA가, 예컨대, 20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상, 100중량부 이상, 150중량부 이상, 또는 200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400중량부 이하, 350중량부 이하, 300중량부 이하, 또는 250중량부 이하이어도 된다.The dilution solvent may be, for example, a mixed solvent including MIBK and PMA. The mixing ratio in this case may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mixing ratio may be, for example, 20 parts by weight or more, 50 parts by weight or more, 100 parts by weight or more, 150 parts by weight or more, or 200 parts by weight or more, 400 parts by weight or less, 35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MIBK. A weight part or less, 300 weight part or less, or 250 weight part or less may be sufficient.

희석 용매는, 예컨대, MIBK 및 PMA에 더하여, 추가로 TBA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이 경우의 혼합 비율도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혼합 비율은, MIBK 100중량부에 대하여, PMA가, 예컨대, 10중량부 이상, 30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상, 80중량부 이상, 또는 100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200중량부 이하, 180중량부 이하, 150중량부 이하, 130중량부 이하, 또는 110중량부 이하이어도 되며; TBA가, 예컨대, 10중량부 이상, 30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상, 80중량부 이상, 또는 100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200중량부 이하, 180중량부 이하, 150중량부 이하, 130중량부 이하, 또는 110중량부 이하이어도 된다.The dilution solvent may be, for example, a mixed solvent including TBA in addition to MIBK and PMA. The mixing ratio in this case may also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mixing ratio may be, for example, 10 parts by weight or more, 30 parts by weight or more, 50 parts by weight or more, 80 parts by weight or more, or 100 parts by weight or more, 200 parts by weight or less, 18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MIBK.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150 parts by weight, less than or equal to 130 parts by weight, or less than or equal to 110 parts by weight; TBA may be, for example, 10 parts by weight or more, 30 parts by weight or more, 50 parts by weight or more, 80 parts by weight or more, or 100 parts by weight or more, 200 parts by weight or less, 180 parts by weight or less, 150 parts by weight or less, 130 parts by weight or less. part or less, or 110 weight part or less may be sufficient.

도공액의 고형분 농도는, 예컨대, 0.1중량% 이상, 0.3중량% 이상, 0.5중량% 이상, 1.0중량% 이상, 또는 1.5중량% 이상이 되도록 하여도 되고, 20중량% 이하, 15중량% 이하, 10중량% 이하, 5중량% 이하, 또는 3중량% 이하가 되도록 하여도 된다. 고형분 농도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도공성(예컨대, 젖음, 레벨링)과 도공막의 외관 불량(예컨대, 풍건(air drying) 얼룩, 백화) 방지를 양립시킬 수 있다.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coating solution may be, for example, 0.1% by weight or more, 0.3% by weight or more, 0.5% by weight or more, 1.0% by weight or more, or 1.5% by weight or more, 20% by weight or less, 15% by weight or less, You may make it 10 weight% or less, 5 weight% or less, or 3 weight% or less. When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is within such a range, it is possible to achieve both coatability (eg, wetting, leveling) and prevention of poor appearance of the coating film (eg, air drying stains, whitening).

도공액에는, 필요에 따라 경화제가 첨가되어도 된다. 경화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중합 개시제(예컨대, 열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등)를 이용할 수 있다. 경화제의 첨가량은,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5중량부 이상, 1.0중량부 이상, 1.5중량부 이상, 2.0중량부 이상, 또는 2.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중량부 이하, 13중량부 이하, 10중량부 이하, 7중량부 이하, 또는 5중량부 이하이어도 된다.A hardening|curing agent may be added to a coating liquid as needed. As the curing agent, any suitable polymerization initiator (eg,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etc.) can be used. The amount of the curing agent added may be, for example, 0.5 parts by weight or more, 1.0 parts by weight or more, 1.5 parts by weight or more, 2.0 parts by weight or more, or 2.5 parts by weight or more, 1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13 parts by weight or less, 10 parts by weight or less, 7 parts by weight or less, or 5 parts by weight or less may be sufficient.

반사 방지층은, 대표적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기재에 형성된 후,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편광자 또는 편광판에 적층된다. 먼저, 기재 위에 도공액을 도공한다. 도공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판텐 코트법, 다이 코트법, 스핀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롤 코트법, 바 코트법을 들 수 있다. 도공액의 도공량은, 형성되는 반사 방지층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형성되는 반사 방지층의 두께는, 예컨대, 0.1㎛ 이상, 0.3㎛ 이상, 0.5㎛ 이상, 1.0㎛ 이상, 또는 2.0㎛ 이상이어도 되고, 50㎛ 이하,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또는 10㎛ 이하이어도 된다.An antireflection layer is typically laminated|stacked on a polarizer or a polarizing plate via arbitrary suitable adhesive bond layers or adhesive layers, after being formed on arbitrary suitable base materials. First, a coating liquid is coated on a base material. As a coating method, any suitable method can be employ|adopted. Specific examples include a panten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 spin coating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a roll coating method, and a bar coating method. The coating amount of the coating liquid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to be formed. The thicknes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to be formed may be, for example, 0.1 µm or more, 0.3 µm or more, 0.5 µm or more, 1.0 µm or more, or 2.0 µm or more, and 50 µm or less, 40 µm or less, 30 µm or less, 20 µm or less, or 10 micrometers or less may be sufficient.

다음으로, 도공한 도공액을 건조시켜 도막을 형성한다. 건조 온도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예컨대,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또는 100℃ 이상이어도 되고, 200℃ 이하, 190℃ 이하, 180℃ 이하, 170℃ 이하, 160℃ 이하, 150℃ 이하, 140℃ 이하, 135℃ 이하, 130℃ 이하, 120℃ 이하, 또는 110℃ 이하이어도 된다. 건조 시간 또한,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건조 시간은, 예컨대, 30초 이상, 40초 이상, 50초 이상, 또는 60초 이상이어도 되고, 150초 이하, 130초 이하, 110초 이하, 또는 90초 이하이어도 된다.Next, the coated coating liquid is dried to form a coating film. The drying temperature may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drying temperature may be, for example, 30 °C or higher, 40 °C or higher, 50 °C or higher, 60 °C or higher, 70 °C or higher, 80 °C or higher, 90 °C or higher, or 100 °C or higher, 200 °C or lower, 190 °C or lower, 180 °C or higher. °C or lower, 170 °C or lower, 160 °C or lower, 150 °C or lower, 140 °C or lower, 135 °C or lower, 130 °C or lower, 120 °C or lower, or 110 °C or lower may be sufficient. The drying time may also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drying time may be, for example, 30 seconds or more, 40 seconds or more, 50 seconds or more, or 60 seconds or more, and may be 150 seconds or less, 130 seconds or less, 110 seconds or less, or 90 seconds or less.

다음으로, 도막을 경화시킨다. 경화는, 예컨대, 가열, 광 조사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광 조사에 이용되는 광은, 예컨대, 자외선, 가시광일 수 있다. 광 조사의 광원은, 예컨대, 고압 수은 램프일 수 있다. 자외선 경화에서의 에너지선원의 조사량은, 자외선 파장 365㎚에서의 적산 노광량으로서, 50mJ/㎠∼500mJ/㎠이 바람직하다. 조사량이 50mJ/㎠ 이상이면, 경화가 충분히 진행되기 쉽고, 형성되는 반사 방지층의 경도가 높아지기 쉽다. 조사량이 500mJ/㎠ 이하이면, 형성되는 반사 방지층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다.Next, the coating film is cured. Curing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heating, light irradiation, or the like. The light used for light irradiation may be, for example, ultraviolet light or visible light.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irradiation may be, for example, a high-pressure mercury lamp. The irradiation amount of the energy ray source in ultraviolet curing is an accumulated exposure amount at an ultraviolet wavelength of 365 nm, and is 50 mJ/cm 2 to 500 mJ/cm 2 desirable. When an irradiation amount is 50 mJ/cm<2> or more, hardening will fully advance easily and the hardnes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formed will become high easily. When the irradiation amount is 500 mJ/cm 2 or l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coloration of the formed antireflection layer.

F. 제1 접착제층 및 제2 접착제층F. First Adhesive Layer and Second Adhesive Layer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접착제층(21) 및 제2 접착제층(22)의 접착제의 적어도 한쪽은, 대표적으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 전량을 100중량%로 하였을 때, SP값이 29.0(MJ/㎥)1/2 이상 32.0(MJ/㎥)1/2 이하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A)을 0.0중량%∼4.0중량%, SP값이 18.0(MJ/㎥)1/2 이상 21.0(MJ/㎥)1/2 미만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B)을 5.0중량%∼98.0중량%, 및, SP값이 21.0(MJ/㎥)1/2 이상 26.0( MJ/㎥)1/2 이하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C)을 5.0중량%∼98.0중량%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1 접착제층(21)이 상기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로 구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착제층(21) 및 제2 접착제층(22)의 양쪽이 상기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착제층(21) 또는 제2 접착제층(22)의 한쪽만이 상기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로 구성되는 경우, 다른 한쪽의 접착제층은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t least one of the adhesive agent of the 1st adhesive bond layer 21 and the 2nd adhesive bond layer 22 is comprised typically from the active energy ray hardening-type adhesive agent compositio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is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A) having an SP value of 29.0 (MJ/m3) 1/2 or more and 32.0 (MJ/m3) 1/2 or less when the total amount of the composition is 100% by weight. 5.0 wt% to 98.0 wt%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B) having an SP value of 0.0 wt% to 4.0 wt%, 18.0 (MJ/m3) 1/2 or more and less than 21.0 (MJ/m3) 1/2 , and, The SP value contains 5.0 weight% - 98.0 weight% of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C) whose SP value is 21.0 (MJ/m<3>) 1/2 or more and 26.0 (MJ/m<3>) 1/2 or less. Preferably, at least the first adhesive layer 21 is composed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more preferably, both the first adhesive layer 21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 are It is comprised from an active-energy-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when only one sid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1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22 is composed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the other adhesive layer may be composed of any suitable adhesive.

이하, 상기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aid active energy ray hardening-type adhesive composition is demonstrated.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A)의 구체예로서는,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SP값 29.5), N-메틸올아크릴아미드(SP값 31.5)를 들 수 있다. 화합물(A)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량을 100중량%로 하였을 때,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중량%이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합물(A)을 포함하지 않는다.Specific 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A) include hydroxyethyl acrylamide (SP value 29.5) and N-methylolacrylamide (SP value 31.5). The content of the compound (A) is preferably 4.0%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2.0% by weight, still more preferably 1.5% by weight, particularly preferably 1.0 when the total amount of the composition is 100% by weight. % by weight. The composition preferably does not contain the compound (A).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B)의 구체예로서는,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SP값 19.0),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SP값 19.2),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SP값 20.3), 환상 트리메틸올프로판포르말아크릴레이트(SP값 19.1), 디옥산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SP값 19.4), EO 변성 디글리세린테트라아크릴레이트(SP값 20.9)를 들 수 있다. 화합물(B)로서 시판품을 이용하여도 된다. 시판품의 구체예로서는, 아로닉스 M-220(동아합성사 제조, SP값 19.0), 라이트아크릴레이트 1,9ND-A(공영사 화학사 제조, SP값 19.2), 라이트아크릴레이트 DGE-4A(공영사 화학사 제조, SP값 20.9), 라이트아크릴레이트 DCP-A(공영사 화학사 제조, SP값 20.3), SR-531(사토머(SARTOMER)사 제조, SP값 19.1), CD-536(사토머(SARTOMER)사 제조, SP값 19.4)을 들 수 있다. 화합물(B)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량을 100중량%로 하였을 때, 바람직하게는 20중량%∼80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70중량%이다.Specific 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B) include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SP value 19.0), 1,9-nonanediol diacrylate (SP value 19.2), tricyclodecane dimethanol diacrylate (SP value) 20.3), cyclic trimethylolpropane formal acrylate (SP value 19.1), dioxane glycol diacrylate (SP value 19.4), and EO modified diglycerin tetraacrylate (SP value 20.9). You may use a commercial item as a compound (B). Specific examples of the commercial product include Aronix M-220 (manufactured by Dong-A Synthetic Co., Ltd., SP value 19.0), light acrylate 1,9ND-A (manufactured by Gongyeong Chemical Co., Ltd., SP value 19.2), light acrylate DGE-4A (manufactured by Gongyeong Chemical Co., Ltd.) , SP value 20.9), light acrylate DCP-A (manufactured by Gongyeong Chemical Co., Ltd., SP value 20.3), SR-531 (manufactured by SARTOMER, SP value 19.1), CD-536 (SARTOMER) Manufacture, SP value 19.4) is mentioned. When content of a compound (B) makes composition whole quantity 100 weight%, Preferably it is 20 weight% - 80 weight%, More preferably, it is 25 weight% - 70 weight%.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C)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로일모르폴린(SP값 22.9),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SP값 22.9), N-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SP값 22.3)를 들 수 있다. 화합물(C)로서 시판품을 이용하여도 된다. 시판품의 구체예로서는, ACMO(흥인사 제조, SP값 22.9), 와스머 2MA(가사노코산사 제조, SP값 22.9), 와스머 EMA(가사노코산사 제조, SP값 22.3), 와스머 3MA(가사노코산사 제조, SP값 22.4)를 들 수 있다. 화합물(C)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량을 100중량%로 하였을 때, 바람직하게는 20중량%∼80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70중량%이다.Specific 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C) include acryloylmorpholine (SP value 22.9), N-methoxymethylacrylamide (SP value 22.9), and N-ethoxymethylacrylamide (SP value 22.3). can You may use a commercial item as a compound (C). As a specific example of a commercial item, ACMO (made by Heungin, SP value 22.9), Wasmer 2MA (made by Kasanokosan, SP value 22.9), Wasmer EMA (made by Kasanokosan, SP value 22.3), Wasmer 3MA (Kasanoko Corporation, SP value 22.3), Wasmer 3MA (Kasanoko) The acid company make, SP value 22.4) is mentioned. The content of the compound (C) is preferably 20 wt% to 80 wt%, more preferably 25 wt% to 70 wt%, when the total amount of the composition is 100 wt%.

SP값(용해도 파라미터)은, Fedors의 산출법['폴리머·엔지니어링·앤드·사이언스(Polymer Eng. & Sci.)', 제14권, 제2호(1974), 제148∼154 페이지 참조]에 의해 구할 수 있다.SP value (solubility parameter) is calculated by Fedors' method (see "Polymer Eng. & Sci.", Vol. 14, No. 2 (1974), pages 148 to 154). can be saved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모노머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올리고머(D)를 추가로 함유하여도 된다. 올리고머를 함유함으로써, 반사 방지층과 편광판(실질적으로는, 제1 보호층)과의 접착력, 및/또는, 반사 방지층과 위상차층과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올리고머(D)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량을 100중량%로 하였을 때,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이다. 한편,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경화 수축(경화 과다) 및 경화 불량(경화 불충분)을 억제할 수 있다. 올리고머(D)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바람직하게는 15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이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이다.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the acryl-type oligomer (D) formed by superposing|polymerizing a (meth)acryl monomer. By containing the oligomer, the adhesion between the antireflection layer and the polarizing plate (substantially,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or the adhesion between the antireflection layer and the retardation layer can be increased. When content of an oligomer (D) makes the composition whole quantity 100 weight%, Preferably it is 3.0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5.0 weight% or more. On the other hand, content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25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5 weight% or less. In such a range, curing shrinkage (excessive curing) and poor curing (insufficient curing) can be suppresse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n oligomer (D)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15000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0000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5000 or less. On the other h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500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000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500 or more.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수소 인발 작용이 있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E)를 추가로 함유하여도 된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E)로서는, 예컨대, 티옥산톤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디에틸티옥산톤이 바람직하다.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E) having a hydrogen extraction action. As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E), a thioxanthone type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benzophenone type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are mentioned, for example. Diethylthioxanthone is preferred.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로 구성되는 제1 접착제층 및/또는 제2 접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3.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5㎛이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or the second adhesive layer composed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is preferably 0.01 μm to 3.0 μm, more preferably 0.1 μm to 2.5 μm, still more preferably 0.5 μm to 1.5 μm.

편광판과 제1 접착제층 및/또는 제2 접착제층과의 사이에는 이(易)접착층이 형성되어도 된다.An easily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and/or the second adhesive layer.

상기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이접착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9-147865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The detail of the composition which forms said active energy ray hardening-type adhesive composition and an easily adhesive layer is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9-147865, for example. The description of the said publication is taken in in this specification as a reference.

G. 화상 표시 장치G. Image display device

상기 A항∼F항에 기재된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그와 같은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대표적으로는, 그의 시인 측에 상기 A항∼F항에 기재된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구비한다.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상기 반사 방지층이 시인 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의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이와 같은 반사율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A항∼F항에 기재된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의 효과가 현저한 것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화상 표시 장치의 반사율이 낮으면, 표시 화상의 반사 등을 작게 할 수 있는 한편,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화상 표시 장치에 표시 불균일(예컨대, 줄무늬)도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화상 표시 장치의 대표예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EL 표시 장치이다.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according to the above items A to F can be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l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such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ypically provided with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according to the items A to F above on the visual recognition side there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the said antireflection layer may become a visual recognition side. The reflectan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preferably 40% or less. In the image display device having such a reflectance, the effect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as described in the said A to F items becomes a remarkable thing.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When the reflectan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low, while the reflection of the displayed image and the like can be made small, the display unevenness (eg, streaks) is also difficult to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under a high temperature, high humidity environment.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 display device are mention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Preferably, it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특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Hereinafter, although an Example demonstrates this invention concretely,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In addition, the measuring method of each characteristic is as follows.

(1) 투과율(1) transmittance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의 투과율을, 자외선/가시광선 분광 광도계(니혼분코사 제조 V-71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단체 투과율은, JIS Z 8701의 2도 시야(C 광원)에 의해 측정하고, 시감도 보정을 행한 Y값이다.The transmittance|permeability of the circularly-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obtained by the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was measured using the ultraviolet/visible light spectrophotometer (V-7100 made by Nippon Bunko Corporation). In addition, the single transmittance|permeability is the Y value which measured with the 2 degree field of view (C light source) of JISZ8701, and performed the visibility correction|amendment.

(2) 반사율(2) reflectance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소정 사이즈로 절취하고, 위상차층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의 당해 코로나 처리면을, 아크릴계 점착제(20㎛)를 개재하여 무알칼리 유리판에 첩합하여,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이 적층체를, 60℃ 및 90%RH에서 500시간의 가열 가습 시험에 제공하였다. 가열 가습 시험 후의 적층체를, 유리판면이 대향하도록 하여 유기 EL 장치 대체품에 재치하고, 시험 샘플로 하였다. 이 시험 샘플에 대하여, 코니카미놀타사 제조 분광 측색계 'CM-2600d'를 이용하여 정면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정면 반사율은 SCI 방식으로 측정하였다.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obtained in the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was cut out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surface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was corona-treated. The corona-treated surface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was bonded to an alkali-free glass plate through an acrylic adhesive (20 µm) to prepare a laminate. This laminate was subjected to a heat and humidification test at 60°C and 90%RH for 500 hours. The laminated body after a heating and humidification test was mounted o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apparatus replacement product so that a glass plate surface might oppose, and it was set as the test sample. About this test sample, the front reflectance was measured using the spectrophotometer "CM-2600d"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Frontal reflectance was measured by the SCI method.

또한, 유기 EL 표시 장치 대체품은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하였다. 아크릴판에, 알루미늄 증착 필름(도레이 필름 가공사 제조, 상품명 'DMS 증착 X-42', 두께 50㎛)을 점착제로 첩합하고, 이를 유기 EL 표시 장치 대체품으로 하였다.In additio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substitute was produced as follows. An aluminum vapor deposition film (manufactured by Toray Film Processing Co., Ltd., trade name 'DMS vapor deposition X-42', thickness 50 µm) was bonded to an acrylic plate with an adhesive, and this was used as a substitute for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3) 표시 불균일(3) Display unevenness

상기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한 시험 샘플에 대하여, 시험 샘플의 표시 불균일(줄무늬, 색 불균일, 휘도 불균일 등)을, 형광등 하에서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About the test sampl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1) above, the display unevenness (streak, color unevenness, luminance unevenness, etc.) of the test sample was visually observed under a fluorescent lamp,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의 어느 것에서도 표시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는다(circle): Display nonuniformity is not recognized in any of the front direction and the oblique direction.

△: 정면 방향에서 표시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지만, 경사 방향에서 표시 불균일이 확인된다(triangle|delta): Display nonuniformity was not confirmed in the front direction, but display nonuniformity was confirmed in the oblique direction.

×: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의 어느 것에서도 표시 불균일이 확인된다x: Display nonuniformity is recognized in both the front direction and the oblique direction

(4) 휘도(4) luminance

유기 EL 디스플레이(삼성(Samsung)사 제조, 제품명 'Galaxy S5')로부터 유기 EL 패널을 취출하고, 이 유기 EL 패널에 첩부되어 있는 편광 필름을 박리하고, 대신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원편광판을 첩합하여 유기 EL 표시 장치를 얻었다. 얻어진 유기 EL 표시 장치에 백(白) 화상을 표시시키고, 탑콘(TOPCON)사 제조의 분광 방사계(상품명 'SR-UL1R')를 이용하여 정면 휘도(cd)를 측정하였다.The organic EL panel was taken out from the organic EL display (manufactured by Samsung, product name 'Galaxy S5'), the polarizing film affixed to the organic EL panel was peeled off, and instead the original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polarizing plate was bonded together to obtain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A white image was displayed on the obtained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the front luminance (cd) was measured using a spectroradiometer (trade name: 'SR-UL1R') manufactured by TOPCON.

[제조예 1: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a polarizing plate]

(편광자의 제작)(Manufacture of polarizer)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몰%의 두께 45㎛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30℃의 온수 중에 60초간 침지하여 팽윤시켰다. 이어서, 요오드/요오드화칼륨(중량비=1/7)의 농도 0.3%의 수용액에 침지하고, 2.6배까지 연신시키면서 필름을 염색하였다. 그 후, 65℃의 4중량% 붕산 수용액 중에서, 토탈 연신 배율이 6배가 되도록 연신을 행하였다. 연신 후에, 55℃의 오븐에서 1분간 건조를 행하여, PVA계 편광자를 얻었다. 이 편광자의 두께는 18㎛, 수분율은 15중량%이었다.A 45-micrometer-thick polyvinyl alcohol film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4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9 mol% was immersed in hot water at 30°C for 60 seconds to swell. Then, the film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0.3% of iodine/potassium iodide (weight ratio = 1/7), and the film was dyed while stretching to 2.6 times. Then, it extended|stretched so that the total draw ratio might become 6 times in a 65 degreeC 4 weight% boric acid aqueous solution. After extending|stretching, it dried in 55 degreeC oven for 1 minute, and obtained the PVA system polarizer. The thickness of this polarizer was 18 micrometers, and the moisture content was 15 weight%.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plate)

얻어진 편광자의 표면(수지 기재와는 반대 측의 면)에, 보호층으로서의 시클로올레핀계 필름(니폰제온사 제조, ZF-12, 23㎛)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개재하여 첩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경화형 접착제의 총 두께가 약 1.0㎛이 되도록 도공하고, 롤기를 사용하여 첩합하였다. 그 후, UV 광선을 시클로올레핀계 필름 측으로부터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이어서, 수지 기재를 박리하여 시클로올레핀계 필름(보호층)/편광자의 구성을 갖는 편광판을 얻었다.On the surfac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resin base material) of the obtained polarizer, a cycloolefin-based film (manufactured by Nippon Zeon, ZF-12, 23 µm) as a protective layer was bonded through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Specifically, it coated so that the total thickness of a curable adhesive might be set to about 1.0 micrometer, and it bonded together using the roll machine. Thereafter, UV rays were irradiated from the cycloolefin-based film side to cure the adhesive. Next, the resin base material was peeled, and the polarizing plate which has the structure of a cycloolefin type film (protective layer)/polarizer was obtained.

[제조예 2: 위상차층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작][Produc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retardation film constituting retardation layer]

교반 날개 및 100℃로 제어된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종형 반응기 2기로 이루어지는 배치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중합을 행하였다. 비스[9-(2-페녹시카보닐에틸)플루오렌-9-일]메탄 29.60질량부(0.046mol), 이소소르비드(ISB) 29.21질량부(0.200mol), 스피로글리콜(SPG) 42.28질량부(0.139mol), 디페닐카보네이트(DPC) 63.77질량부(0.298mol) 및 촉매로서 초산칼슘 1수화물 1.19×10-2질량부(6.78×10-5mol)를 넣었다. 반응기 내를 감압 질소 치환한 후, 열매로 가온을 행하고, 내부 온도가 100℃가 된 시점에서 교반을 개시하였다. 승온 개시 40분 후에 내부 온도를 220℃에 도달시키고, 이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감압을 개시하고, 220℃에 도달하고 나서 90분에 13.3㎪로 하였다. 중합 반응과 함께 부생하는 페놀 증기를 100℃의 환류 냉각기로 유도하고, 페놀 증기 중에 약간량 포함되는 모노머 성분을 반응기로 되돌리고, 응축하지 않는 페놀 증기는 45℃의 응축기로 유도하여 회수하였다. 제1 반응기에 질소를 도입하여 일단 대기압까지 복압시킨 후, 제1 반응기 내의 올리고머화된 반응액을 제2 반응기로 옮겼다. 이어서, 제2 반응기 내의 승온 및 감압을 개시하여, 50분에 내부 온도 240℃, 압력 0.2㎪로 하였다. 그 후, 소정의 교반 동력이 될 때까지 중합을 진행시켰다. 소정 동력에 도달한 시점에서 반응기에 질소를 도입하여 복압하고, 생성된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수중에 압출하고, 스트랜드를 컷팅하여 펠릿을 얻었다.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batch polymerization apparatus comprising two vertical reactors equipped with stirring blades and a reflux condenser controlled at 100°C. Bis[9-(2-phenoxycarbonylethyl)fluoren-9-yl]methane 29.60 parts by mass (0.046 mol), isosorbide (ISB) 29.21 parts by mass (0.200 mol), spiroglycol (SPG) 42.28 mass Parts (0.139 mol), 63.77 parts by mass (0.298 mol) of diphenyl carbonate (DPC), and 1.19×10 -2 parts by mass (6.78×10 -5 mol) of calcium acetate monohydrate as a catalyst were added. After replacing the inside of the reactor with reduced pressure nitrogen, heating was performed with a heat medium, and stirring was starte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reached 100°C. The internal temperature was made to reach 220 degreeC 40 minutes after the start of temperature rise, and while controlling so that this temperature might be maintained, pressure reduction was started, and it was 13.3 kPa in 90 minutes after reaching 220 degreeC. The phenol vapor produced by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as guided to a reflux condenser at 100° C., the monomer component contained in a small amount in the phenol vapor was returned to the reactor, and the phenol vapor that was not condensed was recovered by inducing it to a condenser at 45° C. After nitrogen was introduced into the first reactor and the pressure was returned to atmospheric pressure, the oligomerized reaction solution in the first reactor was transferred to the second reactor. Then, the temperature rise and pressure reduction in the 2nd reactor were started, and it was set a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240 degreeC and the pressure of 0.2 kPa in 50 minutes. Thereafter, polymerization was allowed to proceed until a predetermined stirring power was reached. At the time when a predetermined power was reached, nitrogen was introduced into the reactor and the pressure was restored, the resulting polyester carbonate-based resin was extruded into water, and the strands were cut to obtain pellets.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계 수지(펠릿)를 80℃에서 5시간 진공 건조를 한 후, 단축 압출기(도시바기계사 제조, 실린더 설정 온도: 250℃), T다이(폭 200㎜, 설정 온도: 250℃), 칠드롤(설정 온도: 120∼130℃) 및 권취기를 구비한 필름 제막 장치를 이용하여, 두께 135㎛의 장척상의 수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장척상의 수지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 온도 133℃, 연신 배율 2.8배로 연신하고, 두께 48㎛의 위상차 필름 I을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Re(550)는 141㎚이고, Re(450)/Re(550)는 0.82이며, Nz 계수는 1.12이었다.After vacuum drying the obtained polyester carbonate-based resin (pellet) at 80 ° C. for 5 hours, a single screw extruder (manufactured by Toshiba Machinery Co., Ltd., cylinder set temperature: 250 ° C), T-die (width 200 mm, set temperature: 250 ° C) , a 135-micrometer-thick long resin film was produced using the film film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 a chill roll (set temperature: 120-130 degreeC) and a winder. The obtained elongate resin film was extended|stretched by the extending|stretching temperature of 133 degreeC, and a draw ratio of 2.8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48-micrometer-thick retardation film I was obtained. Re(550) of the obtained retardation film was 141 nm, Re(450)/Re(550) was 0.82, and Nz coefficient was 1.12.

[제조예 3: 위상차층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작][Production Example 3: Preparation of retardation film constituting retardation layer]

이소소르비드(이하 'ISB'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81.98질량부에 대하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이하 'TCDDM'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47.19질량부, 디페닐카보네이트(이하 'DPC'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175.1질량부, 및 촉매로서 탄산세슘 0.2질량% 수용액 0.979질량부를 반응 용기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의 제1 단째 공정으로서, 가열조 온도를 150℃로 가열하고, 필요에 따라 교반하면서, 원료를 용해시켰다(약 15분). 이어서, 압력을 상압(常壓)으로부터 13.3㎪로 하고, 가열조 온도를 190℃까지 1시간에 상승시키면서, 발생하는 페놀을 반응 용기 밖으로 발출하였다. 반응 용기 전체를 190℃에서 15분 유지한 후, 제2 단째의 공정으로서, 반응 용기 내의 압력을 6.67㎪로 하고, 가열조 온도를 230℃까지, 15분에 상승시켜, 발생하는 페놀을 반응 용기 밖으로 발출하였다. 교반기의 교반 토크가 상승하기 때문에, 8분에 250℃까지 승온하고, 추가로 발생하는 페놀을 제거하기 위하여, 반응 용기 내의 압력을 0.200㎪ 이하로 도달시켰다. 소정의 교반 토크에 도달 후, 반응을 종료하고, 생성된 반응물을 수중에 압출하여,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펠릿을 얻었다.To 81.98 parts by mass of isosorbide (hereinafter sometimes abbreviated as 'ISB'), 47.19 parts by mass of tricyclodecanedimethanol (hereinafter sometimes abbreviated as 'TCDDM'), diphenyl carbonate (hereinafter, 'DPC') 175.1 parts by mass, and 0.979 parts by mass of a 0.2 mass % cesium carbonate aqueous solution as a catalyst are put into a reaction vessel, and in a nitrogen atmosphere, as the first step of the reaction, the heating bath temperature is heated to 150 ° C. , while stirring as needed, the raw material was dissolved (about 15 minutes). Next, the generated phenol was taken out of the reaction vessel while the pressure was set to 13.3 kPa from normal pressure and the heating bath temperature was raised to 190°C in 1 hour. After holding the entire reaction vessel at 190°C for 15 minutes, as a second step, the pressure in the reaction vessel is set to 6.67 kPa, the heating bath temperature is raised to 230°C in 15 minutes, and the generated phenol is removed from the reaction vessel ejected outside. Since the stirring torque of the stirrer increase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250°C in 8 minutes, and the pressure in the reaction vessel was set to 0.200 kPa or less in order to remove the phenol generated further. After reaching a predetermined stirring torque, the reaction was terminated, and the resulting reactant was extruded into water to obtain pellets of a polycarbonate copolymer.

얻어진 펠릿을 80℃에서 5시간 진공 건조를 한 후, 단축 압출기(도시바기계사 제조, 실린더 설정 온도: 250℃), T다이(폭 200㎜, 설정 온도: 250℃), 칠드롤(설정 온도: 120∼130℃) 및 권취기를 구비한 필름 제막 장치를 이용하여, 수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장척상의 수지 필름을, 경사 방향으로, 연신 온도 140℃, 연신 배율 2.2배로 연신하여, 두께 30㎛의 위상차 필름 II를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Re(550)는 144㎚이고, Re(450)/Re(550)는 1.02이며, Nz 계수는 1.2이었다.After vacuum drying the obtained pellets at 80 ° C. for 5 hours, a single screw extruder (manufactured by Toshiba Machinery Co., Ltd., cylinder set temperature: 250 ° C), T-die (width 200 mm, set temperature: 250 ° C), chill roll (set temperature: 120-130 degreeC) and the film film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winding machine was used, and the resin film was produced. The obtained elongate resin film was extended|stretched diagonally at the extending|stretching temperature of 140 degreeC, and the draw ratio of 2.2 times, and 30-micrometer-thick retardation film II was obtained. Re(550) of the obtained retardation film was 144 nm, Re(450)/Re(550) was 1.02, and the Nz coefficient was 1.2.

[제조예 4: 반사 방지층의 제작][Production Example 4: Preparation of anti-reflection layer]

[제조예 4-1: 하드 코트층의 제작][Production Example 4-1: Preparation of hard coat layer]

하드 코트층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디아이씨(DIC)(주) 제조, 상품명 '유니딕 17-806', 고형분 80%) 100중량부를 준비하였다. 상기 수지의 수지 고형분 100중량부 당, 광중합 개시제(바스프(BASF)사 제조, 상품명 'OMNIRAD907')를 3중량부, 레벨링제(디아이씨(DIC)(주) 제조, 상품명 'GRANDIC PC4100', 고형분 10%)를 0.01중량부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고형분 농도가 40%가 되도록, 초산부틸/시클로펜타논 혼합 용매(중량비 80/20)로 희석하여, 하드 코트층 형성 재료(도공액)를 조제하였다. 기재(두께 60㎛의 TAC 필름) 표면에, 상기 도공액을 와이어 바로 도공하였다. 도공한 도공액을 80℃에서 1분간 가열하고, 건조시켜 도막을 형성하였다. 건조 후의 도막에,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 처리하고, 기재 위에 하드 코트 필름(하드 코트층)을 얻었다.As a resin included in the hard coat layer, 100 parts by weight of an ultraviolet curable urethane acrylate resin (manufactured by DIC Co., Ltd., trade name 'Unidic 17-806', solid content 80%) was prepared.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solid content of the resin, 3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nufactured by BASF, trade name 'OMNIRAD907'), a leveling agent (manufactured by DIC Co., Ltd., trade name 'GRANDIC PC4100', solid content 10 %) was mixed in 0.01 parts by weight. This mixture was diluted with a butyl acetate/cyclopentanone mixed solvent (weight ratio 80/20) so that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was 40% to prepare a hard coat layer forming material (coating solution).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a TAC film having a thickness of 60 µm), the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with a wire bar. The coated coating solution was heated at 80°C for 1 minute and dried to form a coating film. The coating film after drying was irradiated with an ultraviolet-ray of 300 mJ/cm<2> of accumulated light quantity with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it hardened, and the hard coat film (hard-coat layer) was obtained on the base material.

[제조예 4-2: 반사 방지층의 제작][Production Example 4-2: Preparation of anti-reflection layer]

펜타에리스톨트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오사카유기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비스코트 #300', 고형분 100중량%) 100중량부, 중공 나노실리카 입자(닛키촉매화성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스루리아 5320', 고형분 20중량%, 중량 평균 입자 직경 75㎚) 100중량부, 중실 나노실리카 입자(닛산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MEK-2140Z-AC', 고형분 30중량%, 중량 평균 입자 직경 10㎚) 40중량부,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신에츠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KY-1203', 고형분 20중량%) 12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아이지엠 레진스(IGM Resins) B.V.사 제조, 상품명 'Omnirad 907', 고형분 100중량%) 3중량부를 혼합하였다. 당해 혼합물에, 희석 용매로서 TBA(터셔리부틸알코올), MIBK(메틸이소부틸케톤) 및 PMA(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60:25:15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를 첨가하여 전체의 고형분이 4중량%가 되도록 하고, 교반하여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을 조제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a polyfunctional acrylate containing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s a main component (manufactured by 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Co., Ltd., trade name 'Viscoat #300', solid content 100% by weight), hollow nanosilica particles (manufactured by Nikki Catalyst Chemical Industry Co., Ltd.) , trade name 'Sururia 5320', solid content 20% by weight,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75nm) 100 parts by weight, solid nano-silica particles (manufactured by Nissan Chemical Industry Co., Ltd., trade name 'MEK-2140Z-AC', solid content 30% by weight,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nm) 40 parts by weight, elemental fluorine-containing additiv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Industry Co., Ltd., trade name 'KY-1203', solid content 20% by weight) 12 parts by weight,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GM Resins B.V. 3 parts by weight (manufactured by Company, trade name 'Omnirad 907', solid content 100% by weight) were mixed. To the mixture, a mixed solvent in which TBA (tertiary butyl alcohol), MIBK (methyl isobutyl ketone) and PMA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60:25:15 as a diluting solvent was added, and the total solid content It was made to become this 4 weight%, and it stirred, and prepared the coating liquid for antireflection layer formation.

제조예 4-1에서 얻어진 기재/하드 코트층의 적층체의 하드 코트층 표면에, 제조예 4-2에서 얻어진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을 와이어 바로 도공하였다. 도공한 도공액을 80℃에서 1분간 가열하고, 건조시켜 도막을 형성하였다. 건조 후의 도막에,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 처리하고, 반사 방지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하드 코트(HC)층/반사 방지층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On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layer of the laminate of the base material/hard coat layer obtained in Production Example 4-1, the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obtained in Production Example 4-2 was coated with a wire bar. The coated coating solution was heated at 80°C for 1 minute and dried to form a coating film. The coating film after drying was cur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with an accumulated light amount of 300 mJ/cm 2 with a high-pressure mercury lamp to form an antireflection layer. In this way, the laminate of the base material/hard coat (HC) layer/reflection prevention layer was produced.

[제조예 5: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 조성물의 조제][Production Example 5: Preparat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아크릴로일모르폴린(흥인사 제조, 상품명 'ACMO', SP값: 22.9) 45질량부,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라이트아크릴레이트 1,9ND-A', 공영사 화학사 제조) 41질량부, (메트)아크릴 모노머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올리고머(상품명 'ARUFON UG4010', 동아합성사 제조) 10질량부, 광중합 개시제인 디에틸티옥산톤(상품명 'KAYACURE DETX-S', 니혼카야쿠사 제조) 1.5질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인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상품명 'IRGACURE907', 바스프(BASF)사 제조) 2.5질량부를 혼합하여 5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편의상, 이 접착제 조성물을 고내구 접착제 조성물이라고 칭한다.45 parts by mass of acryloylmorpholine (manufactured by Heungin, trade name 'ACMO', SP value: 22.9), 1,9-nonanediol diacrylate (trade name 'light acrylate 1,9ND-A', manufactured by Gongyeong Chemical Co., Ltd.) ) 41 parts by mass, 10 parts by mass of an acrylic oligomer obtained by polymerizing a (meth)acrylic monomer (trade name 'ARUFON UG4010', manufactured by Dong-A Synthesis Co., Ltd.), diethylthioxanthone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rade name 'KAYACURE DETX-S', Nippon Kaya) 1.5 parts by mass (manufactured by Co., Ltd.) and 2.5 mass parts by mass of 2-methyl-1-(4-methylthiophenyl)-2-morpholinopropan-1-one (trade name "IRGACURE907", manufactured by BASF) which is a photoinitiator Th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parts and stirring at 50 degreeC for 1 hour. For convenience, this adhesive composition is referred to as a high-durability adhesive composition.

[제조예 6: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 조성물의 조제][Production Example 6: Preparat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접착제로서,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흥인사 제조, 상품명 'HEAA', SP값: 29.5) 12중량부, 아크릴로일모르폴린(흥인사 제조, 상품명 'ACMO', SP값: 22.9) 35중량부,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라이트아크릴레이트 1,9ND-A', 공영사 화학사 제조) 40중량부, 아크릴계 올리고머(상품명 'ARUFON UG4010', 동아합성사 제조) 10중량부, 광중합 개시제로서, KAYACURE DETX-S((2,4-디에틸티옥산톤), 니혼카야쿠사 제조) 2중량부 및 광증감제 IRGACURE907(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상품명 'IRGACURE907', 바스프(BASF)사 제조) 1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5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편의상, 이 접착제 조성물을 통상 접착제 조성물이라고 칭한다.As an adhesive, 12 parts by weight of hydroxyethylacrylamide (manufactured by Heungin, trade name 'HEAA', SP value: 29.5), acryloylmorpholine (manufactured by Heungin Corporation, trade name 'ACMO', SP value: 22.9) 35 parts by weight , 1,9-nonanediol diacrylate (trade name: 'Light acrylate 1,9ND-A', manufactured by Gongyeong Chemical) 40 parts by weight, acrylic oligomer (trade name: 'ARUFON UG4010', manufactured by Dong-A Synthesis) 10 parts by weight, photopolymerization As an initiator, 2 parts by weight of KAYACURE DETX-S ((2,4-diethylthioxanthone), manufactured by Nippon Kayaku Co., Ltd.) and a photosensitizer IRGACURE907 (2-methyl-1-(4-methylthiophenyl)-2- Morpholinopropan-1-one, trade name 'IRGACURE907', manufactured by BASF) was mixed in a ratio of 1 part by weight and stirred at 50°C for 1 hour to prepare an adhesive composition. For convenience, this adhesive composition is usually referred to as an adhesive composition.

[제조예 7: 이접착층을 구성하는 조성물(이접착 조성물)의 조제][Production Example 7: Preparation of composition (easy-adhesive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easily-adhesive layer]

아크릴로일모르폴린(흥인사 제조, 상품명 'ACMO', SP값: 22.9) 50질량부, 3-아크릴아미드페닐보론산(순정화학사 제조) 0.9질량부를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25℃에서 30분 교반하고, 또한 혼합물에 물 48.3질량부, 및 레벨링제(닛신화학공업사 제조, 상품명 '올핀 EXP.4123') 0.8질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10분 교반함으로써 이접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50 parts by mass of acryloylmorpholine (manufactured by Heungin Co., Ltd., trade name 'ACMO', SP value: 22.9) and 0.9 parts by mass of 3-acrylamidephenylboronic acid (manufactured by Sunjeong Chemical Co., Ltd.) were mixed, and the resulting mixture was stirred at 25°C for 30 minutes. An easily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stirring and mixing 48.3 mass parts of water and 0.8 mass parts of a leveling agent (the Nisshin Chemical Industry Co., Ltd. make, brand name "Olphin EXP.4123") to the mixture, and stirring at 25 degreeC for 10 minutes.

[실시예 1∼4 및 비교예 1∼5][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편광판, 위상차 필름(위상차층), 반사 방지층, 및 접착제(제1 접착제층 및 제2 접착제층)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하여,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단, 제1 및 제2 보호층 없음)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인 제작 방법은 이하와 같았다. 편광자의 양면에 제조예 7의 이접착 조성물을 1100㎚의 초기 설정 두께로 도공하였다. 한편, 제조예 4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기재 표면에 제1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제1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반사 방지층을 편광판(실질적으로는, 이접착층)에 첩합하였다. 마찬가지로,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위상차층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의 한쪽 면에 제2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제2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위상차 필름을 편광판(실질적으로는, 이접착층)에 첩합하였다. 이어서,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에 의해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제1 및 제2 접착제층을 경화시키고, 또한, 70℃에서 3분간 열풍 건조하여,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또한,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의 위상차층 표면(편광자와 반대 측)에는, 아크릴계 점착제층(23㎛)을 마련하였다. 여기에서, 편광판과 위상차층(위상차 필름)은, 편광자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첩합하였다. 얻어진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상기 (1)∼(4)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 polarizing plate, a retardation film (retardation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d an adhesive agent (a first adhesiv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were combined as shown in Table 1, as shown in FIG. 1 (provided that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No layer)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was produced. The specific production method was as follows. The easily-adhesive composition of Preparation Example 7 was coated on both surfaces of a polarizer with the initially set thickness of 1100 nm. On the other hand, the 1st adhesive bond layer was formed on the base material surface of the laminated body obtained by manufacture example 4,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was bonded to the polarizing plate (substantially, an easily adhesive layer) through the 1st adhesive bond layer. Similarly, a second adhesive layer wa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tardation film constituting the retardation layer obtained in Production Example 3, and the retardation film was bonded to a polarizing plate (substantially, an easily adhesive layer) through the second adhesive layer. Next, visible light was irradiated with an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device,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were cured, and further, hot air dried at 70° C. for 3 minutes to prepare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Moreover, the acrylic adhesive layer (23 micrometers) was provided on the retardation layer surface (opposite side to a polarizer) of a circularly-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Here,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retardation layer (retardation film) were bonded together so that the absorption axis of a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retardation film made an angle of 45 degrees. The obtained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was used for evaluation of said (1)-(4). A result is shown in Table 1.

[표 1][Table 1]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평가][evaluation]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에 따르면, 밝고 또한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표시 불균일이 억제된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As is clear from Table 1, according to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of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t turns out tha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which display nonuniformity was suppressed in a bright, high temperature, high humidity environment can be implement|achieved.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본 발명의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대표적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of this invention can be used suitably for an image display device (representatively,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10: 편광판
11: 편광자
12: 제1 보호층
21: 제1 접착제층
22: 제2 접착제층
30: 반사 방지층
40: 위상차층
100: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
10: polarizer
11: Polarizer
12: first protective layer
21: first adhesive layer
22: second adhesive layer
30: anti-reflection layer
40: retardation layer
100: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Claims (7)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의 한쪽 측에 배치된 반사 방지층과, 상기 편광판의 다른 한쪽 측에 배치된 위상차층을 갖고,
투과율이 45.5% 이상이며,
60℃ 및 90%RH에서 500시간의 가열 가습 시험 후의 반사율이 2.5% 이하인,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olarizer, an antireflection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a retardation lay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The transmittance is 45.5% or more,
The reflectance after 500 hours of heating and humidification test at 60 ° C and 90% RH is 2.5% or less,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와 상기 반사 방지층 측의 보호층이 제1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되고, 상기 편광자와 상기 위상차층이 제2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접착제층의 접착제의 적어도 한쪽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로 구성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이, 조성물 전량을 100중량%로 하였을 때, SP값이 29.0(MJ/㎥)1/2 이상 32.0(MJ/㎥)1/2 이하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A)을 0.0중량%∼4.0중량%, SP값이 18.0(MJ/㎥)1/2 이상 21.0(MJ/㎥)1/2 미만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B)을 5.0중량%∼98.0중량%, 및, SP값이 21.0(MJ/㎥)1/2 이상 26.0(MJ/㎥)1/2 이하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C)을 5.0중량%∼98.0중량% 함유하는,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
According to claim 1,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layer on the sid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are bonded via a first adhesive layer, the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are bonded via a second adhesive layer,
At least one of the adhesiv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composed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When the said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makes composition whole quantity 100 weight%, SP value is 29.0 (MJ/m<3>) 1/2 or more 0.0 wt% to 4.0 wt%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A) of 32.0 (MJ/m3) 1/2 or less, SP value of 18.0 (MJ/m3) 1/2 or more and 21.0 (MJ/m3) 1/2 or less 5.0 wt% to 98.0 wt%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B), and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C) having an SP value of 21.0 (MJ/m3) 1/2 or more and 26.0 (MJ/m3) 1/2 or less containing 5.0 wt% to 98.0 wt%,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층의 반사율이 1.5% 이하인,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wherein the reflectanc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s 1.5% or les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의 Re(550)가 100㎚∼200㎚이고,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40°∼50° 또는 130°∼140°인,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wherein Re (550) of the retardation layer is 100 nm to 200 nm, and the angle between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is 40° to 50° or 130° to 140°.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이, 수지 필름의 연신 필름으로 구성되고, Re(450)/Re(550)가 0.80∼1.03인,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
여기에서, Re(450) 및 Re(550)는, 각각, 23℃에서의 파장 450㎚ 및 550㎚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wherein the retardation layer is composed of a stretched film of a resin film, and Re(450)/Re(550) is 0.80 to 1.03:
Here, Re(450) and Re(550) are in-plane retardation measured with the light of wavelength 450nm and 550nm at 23 degreeC,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시인 측에 구비하고,
상기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의 상기 반사 방지층이 시인 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반사율이 40% 이하인,
화상 표시 장치.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is provided on the visual recognition side,
The antireflection layer of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the antireflection layer is disposed on the viewing side,
The reflectance is less than 40%,
image display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인, 화상 표시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KR1020227034148A 2020-04-30 2021-03-25 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KR2022014487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80741 2020-04-30
JP2020080741A JP2021173979A (en) 2020-04-30 2020-04-30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CT/JP2021/012502 WO2021220681A1 (en) 2020-04-30 2021-03-25 Antireflection layer-equipped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antireflection layer-equipped circular polarizing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876A true KR20220144876A (en) 2022-10-27

Family

ID=7828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4148A KR20220144876A (en) 2020-04-30 2021-03-25 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2021173979A (en)
KR (1) KR20220144876A (en)
CN (1) CN115461661A (en)
TW (1) TWI808402B (en)
WO (1) WO202122068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0854B1 (en) 2021-12-07 2023-02-13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Coating liquid for forming low refractive index layer, low refractive index layer, and antireflection fil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6266A (en) 2012-06-21 2014-02-06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el panel
JP5876441B2 (en) 2013-05-08 2016-03-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1205B1 (en) *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laminate including thin high-performance polarizing film
KR102642763B1 (en) * 2017-12-22 2024-03-05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Optical laminates,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s
JP7137900B2 (en) * 2018-02-26 2022-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6266A (en) 2012-06-21 2014-02-06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el panel
JP5876441B2 (en) 2013-05-08 2016-03-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73979A (en) 2021-11-01
TWI808402B (en) 2023-07-11
CN115461661A (en) 2022-12-09
JP2024045312A (en) 2024-04-02
TW202146224A (en) 2021-12-16
WO2021220681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46861B (en)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5319636B (en)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with adhesiv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4010291A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JP2024045312A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JP2017049574A (en) Optical laminate
JP2024051010A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id 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JP6642553B2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14224852A (en)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22150732A (en) Polarization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picture display unit using polarization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KR20220019102A (en)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and a hard coat layer
WO2023132148A1 (en)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O2022244301A1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WO2023176630A1 (en) Optical laminate, lens unit, and display method
TWI837452B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with anti-reflection layer
WO2023176629A1 (en) Optical laminate, lens portion, and display method
WO2022107394A1 (en) Phase difference layer-equipped phase difference layer-equipped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same
US20220397715A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TW202303201A (en)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KR20240024738A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id polarizing plate
TW202345432A (en) Optical laminate with surface protection film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system
JP2023162732A (en)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22095799A (en) Optical laminate
KR20240051864A (en) Optical laminate
JP2023064220A (en)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s and image display device
CN114746781A (en)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ro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