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443A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443A
KR20220144443A KR1020210050609A KR20210050609A KR20220144443A KR 20220144443 A KR20220144443 A KR 20220144443A KR 1020210050609 A KR1020210050609 A KR 1020210050609A KR 20210050609 A KR20210050609 A KR 20210050609A KR 20220144443 A KR20220144443 A KR 20220144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insulation layer
layer
crack prevention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대성
정왕조
박동희
제민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0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4443A/ko
Publication of KR20220144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1Thermal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cryogenic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29Foam
    • F17C2203/0333Polyureth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8Supporting f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는 극저온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록의 종방향 경계면을 기준으로 설정된 너비를 가지며, 지지블록을 따라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 외면을 커버하는 보강단열층; 보강단열층 내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크랙방지층; 크랙방지층의 후면에 배치된 홀딩플레이트; 및 홀딩플레이트를 저장탱크에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INSULATION STRUCTURE OF LIQUEFIED GAS STORAGE TANK}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및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와 같은 액화가스는 각각 대략 -160℃, -45℃의 극저온상태로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다.
도 1은 종래 C 타입의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는 가로로 눕혀진 원통형의 저장탱크(10)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단열층(20)과, 저장탱크(10)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지지블록(30)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블록(30) 하부에 마련된 새들(40, Saddle)에 의해 저장탱크(10)의 하중이 지탱된다.
단열층(20)은 스프레이 폼(Spray Foam)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지지블록(30)은 우드(Wood)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 새들(40)는 스틸(Steel)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단열층(20)과 지지블록(30) 간 접촉부위 및 지지블록(30)과 새들(40) 간 접촉부위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저장탱크(10)에 LNG와 같은 극저온 물질이 채워지는 경우, 상온(대략 20℃)에서 극저온(대략 -160℃)으로 온도가 급격히 변화되고, 이에 따라 저장탱크(10) 및 단열층(20)에 냉각 수축이 발생한다.
이때, 서로 재질이 다른 단열층(20)과 지지블록(30) 간의 수축량 차이로 인해 단열층(20)과 지지블록(30) 간의 접합면에 인장 및 전단 응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인장 응력 및 전단 응력이 단열층(20)의 허용 응력을 초과하면, 단열층(20)과 지지블록(30)의 종방향 경계면(50)에 갭이 발생하여 대기에 노출되게 되고, 그로 인해 아이싱(Icing)을 비롯한 각종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저장탱크를 둘러싼 단열층의 이탈, 결함 등을 막고 효과적인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극저온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록의 종방향 경계면을 기준으로 설정된 너비를 가지며, 상기 지지블록을 따라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 외면을 커버하는 보강단열층; 상기 보강단열층 내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크랙방지층; 상기 크랙방지층의 후면에 배치된 홀딩플레이트; 및 상기 홀딩플레이트를 상기 저장탱크에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강단열층은 제1보강단열층, 제2보강단열층 및 제3보강단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이고, 상기 크랙방지층은 상기 제1보강단열층과 제2보강단열층 사이에 배치된 제1크랙방지층과, 상기 제2보강단열층과 제3보강단열층 사이에 배치된 제2크랙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제1크랙방지층의 후면에 배치된 제1홀딩플레이트와, 상기 제2크랙방지층의 후면에 배치된 제2홀딩플레이트와, 상기 저장탱크 외면에 배치된 스터드볼트와, 상기 스터드볼트에 결합되는 제1홀딩바와, 상기 제1홀딩플레이트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홀딩바에 결합되는 연결볼트와, 상기 연결볼트에 결합되는 제2홀딩바와, 상기 제2홀딩플레이트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홀딩바에 체결되는 앵커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보강단열층 후면에 적층되어, 상기 제3보강단열층의 표면 및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랙방지층은 금속 또는 유리 섬유 소재를 이용한 메쉬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는 저장탱크를 둘러싼 단열층의 이탈, 결함 등을 막고 효과적인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구조가 적용된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열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열구조에 포함된 결합유닛을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결합유닛을 분해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구조가 적용된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열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도 2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구조가 적용된 부위는 구분을 위해 해싱 처리하였고, 도 3은 해당 단열구조의 일부위(A)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는 극저온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01)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록(103)의 종방향 (좌우) 경계면을 기준으로 설정된 너비를 가지며, 지지블록(103)을 따라 저장탱크(101)의 하부 외면을 커버하는 보강단열층(110a~110c)과, 보강단열층(110a~110c) 내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크랙방지층(120a,120b)과, 크랙방지층(120a,120b)의 후면에 배치된 홀딩플레이트(131,132)와, 홀딩플레이트(131,132)를 저장탱크(101)에 결합시키는 결합유닛(130)을 포함한다.
저장탱크(101)는 예컨대 액화천연가스(LNG)를 저장할 수 있으며,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의 압력식 타입 C 탱크일 수 있다.
저장탱크(101)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하부에는 각각 지지블록(103)이 돌출되게 마련되며, 지지블록(103)은 새들(10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블록(103)은 우드(Wood)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새들(105)은 스틸(Steel) 재질로 마련되어, 저장탱크(101)의 하중을 지탱한다.
지지블록(103)은 원통형의 저장탱크(101) 형태에 맞게 상단부가 곡면형상으로 마련되어 저장탱크(101)에 밀착된 상태에서 접착될 수 있으며, 하단부는 새들(105)과 접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저장탱크(101)의 외면 둘레는 단열층(102)에 의해 커버되며, 단열층(102)은 예컨대 스프레이 폼(Spray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탱크에 LNG와 같은 극저온 물질이 채워지는 경우, 온도가 급격히 변화되고, 저장탱크 및 단열층에 냉각 수축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종래에는 서로 재질이 다른 단열층과 지지블록 간의 수축량 차이로 인해 단열층과 지지블록 간의 접합면에 인장 및 전단 응력이 발생하고, 단열층과 지지블록의 종방향 경계면에 갭이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블록(103)의 종방향 경계면 부위의 단열구조를 종래와 차별화되도록 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열구조는 지지블록(103)의 종방향 경계면 부위뿐만 아니라 다른 예에서는 저장탱크(101)의 전체 외면에 적용되거나 적용 부위를 더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블록(103)의 종방향 경계면 부위에 마련된 보강단열층(110a~110c)은 스프레이 방식을 통해 지지블록(103)의 종방향 경계면을 기준으로 설정된 너비를 가지며, 지지블록(103)의 형상을 따라 시공되어 상술한 단열층(102)과 연속 또는 단속되게 시공될 수 있다.
이때, 보강단열층(110a~110c)은 제1보강단열층(110a), 제2보강단열층(110b) 및 제3보강단열층(110c)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보강단열층(110a~110c)은 시공 특성 상 층상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1회 분사 시 대략 20~30mm 두께를 갖도록 시공될 수 있고, 단열 요구 사항에 따라 300mm 또는 그 이상을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크랙방지층(120a,120b)은 제1보강단열층(110a)과 제2보강단열층(110b) 사이에 배치된 제1크랙방지층(120a)과, 제2보강단열층(110b)과 제3보강단열층(110c) 사이에 배치된 제2크랙방지층(120b)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랙방지층(120a,120b)은 예컨대 메쉬(Mesh) 타입으로 제작되어 제1보강단열층(110a)과 제2보강단열층(110b) 사이 및 제2보강단열층(110b)과 제3보강단열층(110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크랙방지층(120a,120b)은 극저온에 견딜 수 이는 금속 또는 유리 섬유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크랙방지층(120a,120b)은 보강단열층(110a~110c)의 길이 및 두께 방향의 크랙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열구조에 포함된 결합유닛을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결합유닛을 분해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결합유닛(130)은 제1크랙방지층(120a,120b)의 후면에 배치된 제1홀딩플레이트(131)와, 제2크랙방지층(120a,120b)의 후면에 배치된 제2홀딩플레이트(132)와, 저장탱크(101) 외면에 배치된 스터드볼트(133)와, 스터드볼트(133)에 결합되는 제1홀딩바(134)와, 제1홀딩플레이트(131)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제1홀딩바(134)에 결합되는 연결볼트(135)와, 연결볼트(135)에 결합되는 제2홀딩바(136)와, 제2홀딩플레이트(132)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제2홀딩바(136)에 체결되는 앵커볼트(137)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유닛(13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은 SUS 304L, 315L 등 극저온용 금속재료 및 GRP 등과 같은 복합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 결합유닛(130)은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대략 1000mm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결합유닛(130)은 저장탱크(101) 전체 또는 일부에 국한되어 사용될 수 있다.
결합유닛(130)에 포함된 제1홀딩플레이트(131)와 제2홀딩플레이트(132)는 사각형, 원형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 제1홀딩플레이트(131)와 제2홀딩플레이트(132)는 중심부에 각각 결합홀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구조의 설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저장탱크(101) 외면에 스터드볼트(133)를 고정시킨다. 스터드볼트(133)는 저장탱크(101) 표면에 용접 방식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터드볼트(133)에 제1홀딩바(134)를 나사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예컨대, 스터드볼트(133)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제1홀딩바(134)를 돌려가며 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예컨대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을 분사시켜 설정된 높이의 제1보강단열층(110a)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1보강단열층(110a) 위에 제1크랙방지층(120a)을 설치한다. 제1크랙방지층(120a)은 매쉬 타입으로 제작되어 제1보강단열층(110a) 후면(노출면)을 덮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1크랙방지층(120a)의 후면에 제1홀딩플레이트(131)를 배치시킨 후, 제1홀딩플레이트(131)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연결볼트(135)를 제1홀딩바(134)에 결합시킨다. 이때, 연결볼트(135)는 제1홀딩바(134)의 내측으로 나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볼트(135)에 제2홀딩바(136)를 나사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연결볼트(135)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제2홀딩바(136)를 돌려가며 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보강단열층(110b)을 상술한 제1보강단열층(110a)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2보강단열층(110b) 후면에 제2크랙방지층(120b)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제2크랙방지층(120b) 후면에 제2홀딩플레이트(132)를 배치시킨 후, 제2홀딩플레이트(132)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앵커볼트(137)를 제2홀딩바(136)에 결합시킨다. 이때, 앵커볼트(137)는 제2홀딩바(136)의 내측으로 나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제3보강단열층(110c)을 형성한 후, 제3보강단열층(110c)의 후면(노출면)에 보호층(140)을 적층할 수 있다.
보호층(140)에는 제3보강단열층(110c)의 표면 보호 및 수분 유입 방지를 위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층(140)은 저장탱크(101)의 설치 장소 및 대기 노출 유무에 따라 GFP(Glass Fiber Plastic) 또는 폴리메릭 코팅(Polymeric Coat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구조의 설치 과정에서, 보강단열층(110a~110c) 형성(적층) 시, 단열층(102)과 동일한 높이로 시공할 수 있다.
또, 결합유닛(130)은 보강단열층(110a~110c)이 저장탱크(101)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중력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결합유닛(130)은 보강단열층(110a~110c)이 열응력 또는 접착 성능 저하로 박리되더라도 저장탱크(101)에 강제 구속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1: 저장탱크 103: 지지블록
110a: 제1보강단열층 110b: 제2보강단열층
110c: 제3보강단열층 120a: 제1크랙방지층
120b: 제2크랙방지층 131: 제1홀딩플레이트
132: 제2홀딩플레이트 133: 스터드볼트
134: 제1홀딩바 135: 연결볼트
136: 제2홀딩바 137: 앵커볼트

Claims (5)

  1. 극저온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록의 종방향 경계면을 기준으로 설정된 너비를 가지며, 상기 지지블록을 따라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 외면을 커버하는 보강단열층;
    상기 보강단열층 내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크랙방지층;
    상기 크랙방지층의 후면에 배치된 홀딩플레이트; 및
    상기 홀딩플레이트를 상기 저장탱크에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단열층은 제1보강단열층, 제2보강단열층 및 제3보강단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이고,
    상기 크랙방지층은 상기 제1보강단열층과 제2보강단열층 사이에 배치된 제1크랙방지층과,
    상기 제2보강단열층과 제3보강단열층 사이에 배치된 제2크랙방지층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제1크랙방지층의 후면에 배치된 제1홀딩플레이트와,
    상기 제2크랙방지층의 후면에 배치된 제2홀딩플레이트와,
    상기 저장탱크 외면에 배치된 스터드볼트와,
    상기 스터드볼트에 결합되는 제1홀딩바와,
    상기 제1홀딩플레이트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홀딩바에 결합되는 연결볼트와,
    상기 연결볼트에 결합되는 제2홀딩바와,
    상기 제2홀딩플레이트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홀딩바에 체결되는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보강단열층 후면에 적층되어, 상기 제3보강단열층의 표면 및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방지층은 금속 또는 유리 섬유 소재를 이용한 메쉬 타입으로 제작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1020210050609A 2021-04-19 2021-04-19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20220144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609A KR20220144443A (ko) 2021-04-19 2021-04-19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609A KR20220144443A (ko) 2021-04-19 2021-04-19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443A true KR20220144443A (ko) 2022-10-27

Family

ID=8381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609A KR20220144443A (ko) 2021-04-19 2021-04-19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44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472B1 (ko) 독립형 액화가스 탱크의 단열구조 및 그 형성방법
KR102120988B1 (ko) 2차 절연 배리어의 패널 사이의 브리징 요소를 포함하는 밀폐 및 절연 베슬
KR101772581B1 (ko)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교차적층 된 진공단열패널의 연결 구조
KR102090266B1 (ko) 극저온 단열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39503B1 (ko) 액화가스탱크의 단열시공방법
KR101337644B1 (ko) 단열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20120013207A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20130033470A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패널 보강구조
KR102320577B1 (ko) 극저온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압력식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20180002359A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구조
KR20220144443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101259058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02213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물
KR101337628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 및 그 설치 방법
KR20220036384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49598A (ko) 단열 구조체, 이를 갖는 극저온 액체저장탱크와 단열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337641B1 (ko) 단열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20220122812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102595970B1 (ko) Lng탱크의 펌프타워 지붕용 결합 장치
KR101259059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19273B1 (ko)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및 그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을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20220132073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102469993B1 (ko) 단열 패널용 핸들링 장치
KR101387751B1 (ko) 단열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2384171B1 (ko)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