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038A - 도장 공법을 이용한 어셈블리 제작 공정 - Google Patents

도장 공법을 이용한 어셈블리 제작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038A
KR20220144038A KR1020210050183A KR20210050183A KR20220144038A KR 20220144038 A KR20220144038 A KR 20220144038A KR 1020210050183 A KR1020210050183 A KR 1020210050183A KR 20210050183 A KR20210050183 A KR 20210050183A KR 20220144038 A KR20220144038 A KR 20220144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plastic resin
resin layer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599B1 (ko
Inventor
사명진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인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0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59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 B29C65/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by applying the adhesive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art to be jo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removing burrs or fla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applying a coating 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5/00Printing on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C2795/007Printing on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after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81Housings or casings incorporating or embedd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 공법을 이용하여 디자인이 형성된 플라스틱 수지층을 대상물에 일체화하는 공정 및 이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정이 축소되며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하고 구조가 간단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어셈블리는 차량의 내장재, 가전제품이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활용된다.

Description

도장 공법을 이용한 어셈블리 제작 공정{Process for manufacturing assembly using spraying process}
본 발명은 도장 공법을 이용하여 조립품인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AVN과 같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부품 성형 공정은, 필름에 인쇄 등의 방법으로 디자인을 구현하고, 이 필름을 포밍 및 커팅하고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단위 부품을 만든 후, 단위 부품을, 제품과 같은 대상물(object)에, 대상물과 동일한 면적으로 컷팅된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공정을 이용하고 있다.
도 6은 이상의 공정에 의하여 제작된 어셈블리(1')의 단면도이다. 필름(2')의 하면의 테두리 부분에 걸쳐 디자인(4')을 인쇄한 후, 필름(2')을 플라스틱 수지(6')와 인서트 성형으로 일체로 만들고, 대상물(10')의 상면의 일부와 양면테이프(8')를 이용하여 접착하여 어셈블리(1')가 완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정은 제조 프로세스가 복잡하며 대상물과의 조립 시 수작업으로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는 결과 작업 효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도 6의 실시기술은 다만 배경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출원 이전의 공지 기술을 개시한 것은 아님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선행 문헌으로, 특허 공개 제10-2009-0013740호는 위에서부터 표면층, 인쇄층, 접착층 및 합성수지 사출물을 적층한 내장재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 공개 제10-2016-0142427호는 위에서부터 표면 도장층, 표면재층, 유연화층, 강도보강층 및 기재층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내장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는 상부층과 하부층이 모두 평면이며, 대향면이 모두 접합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어 전술한 공정에 적용할 수 없다.
소재와 소재 사이를 본딩으로 접착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일본특허 제4572268호에서 장식부재와 기판 사이를 접착하는 것과 같이 공지기술이다. 하지만, 이 특허 역시 상부층과 하부층이 모두 평면이며, 대향면이 모두 접합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어 전술한 공정에 적용할 수 없다.
일본특허공개 제2010-83011호는, 상부에서부터 제1접착층, 제2디자인층, 제2접착층, 필름, 접착층, 제2디자인층 및 수지접착층을 배열한 도장품 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나, 앞서와 같은 한계가 있으며, 필름을 이용하는 점에서 다양한 기능을 가진 기능성 코팅의 이점을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발명자들은, 이상의 선행기술과 특허를 고려하여, 도장 공법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또한 저비용으로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공정을 개발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제품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하고, 제조 공정을 감소시키며 단가 경쟁력을 높여 효율적인 생산성 및 경쟁력이 높은, 도장 공법을 이용하여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공정 및 이 공정에 의하여 생산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장 공법을 이용하여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공정은: 사출 성형으로 플라스틱 수지층을 제작하는 단계; 플라스틱 수지층의 일면 전체에 걸쳐 디자인을 형성하는 단계; 디자인이 형성된 플라스틱 수지층의 일면 중, 외부에서 시인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광 투과 영역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투광부 영역을 포함하는 면적에 걸쳐 엣칭 공정을 수행하여 디자인의 일부를 식각하는 단계; 엣칭 공정을 마친 플라스틱 수지층의 일면과 디자인 전체에 걸쳐 기능성 코팅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플라스틱 수지층의 타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본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대상물을 본딩층을 통하여 접합하는 단계; 및 본딩층을 경화하여 대상물을 일체로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을 제공한다.
상기 디자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장 공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본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수지층의 접착면에 소량의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디스펜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부터 차례로, 코팅층, 디자인, 플라스틱 수지층, 본딩층 및 대상물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어셈블리로서, 코팅층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는 투광코팅부와, 투광코팅부 주위를 둘러싸는 외곽의 코팅성형부로 이루어지고, 코팅성형부의 하면에는, 디자인이 위치하고, 디자인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엣칭 식각되어 개방된 윈도우가 형성되며,
디자인의 하부에는, 플라스틱 수지층이 위치하고, 상기 플라스틱 수지층은 코팅층의 투광코팅부와 바로 접합하는 투광부와, 디자인의 하면과 바로 접합하는 성형부로 이루어지고,
본딩층은 플라스틱 수지층의 성형부에 형성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코팅층의 코팅성형부는 비교적 평탄한 수평코팅부와, 수평코팅부에 연속하여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코팅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라스틱 수지층의 투광부는 투광코팅부와 함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며, 성형부는 비교적 평탄한 수평부와, 수평부에 연속하며 수직으로 연장된 절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딩층은 플라스틱 수지층의 수평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는 차량의 내장재, 가전제품 또는 스마트폰의 외부의 커버 또는 하우징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 즉 필름을 이용하여 디자인 형성 후 필름을 인서트 사출하여 디자인이 형성된 커버 렌즈 또는 커버 패널을 제작하여 별도로 마련된 베젤 또는 플레이트 등의 상대물을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며, 플라스틱 수지층에 디자인을 예를 들어 도장 공법으로 형성하고, 디자인을 엣칭 및 식각한 후 코팅층을 형성한 다음, 플라스틱 수지층의 다른 면에는 디스펜싱 공법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본딩 접합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제품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을 축소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름을 포함하는 전체 부품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전체 공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공법을 순서에 따라 제품의 구조적인 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a) 내지 도 3(c)의 공정을 도식화한 것으로,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수지층의 일면 전체에 걸쳐 도장 공법으로 디자인을 형성하고, 에칭 작업을 실시하여 투명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한 것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및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팅층(2)을 포함하는 전체 부품인, 어셈블리(1)의 분해 사시도이다. 어셈블리(1)는 도면의 좌측(제품의 외부를 향하는 쪽)으로부터 코팅층(2), 디자인(4), 플라스틱 수지층(5), 본딩층(6) 및 대상물(8)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어셈블리(1)는 차량의 AVN의 커버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의 내장재, 핸드폰의 커버, 가전제품의 디스플레이 등에 두루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 부재들은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어셈블리(1)는 사용자가 조작을 위하여 내부의 정보를 보거나 버튼을 누르거나 화면을 터치하도록 디자인(4), 본딩층(6) 및 대상물(8) 각각에 개방된 윈도우 또는 투광부가(4w, 6w, 8w)가 형성된다. 동일한 이유로, 코팅층(2)과 플라스틱 수지층(5)은 광투과성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화살표의 원호 안 번호는 부착되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장 공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어셈블리(1)를 제작하는 전체 공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먼저, 사출 성형으로 적절한 소재와 물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수지층(5)을 제작한다(S10). 플라스틱의 소재는 PC, PMMA, ABS, AES 등 다양한 재질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적용 가능하며,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 플라스틱 수지층(5)의 일면에 디자인(4)을 형성한다(S12). 디자인(4)에는 데코레이션, 로고, 엠블럼, 아이템의 작동이나 기능을 보이는 버튼 아이콘 등의 디자인이 형성되어 있다. 디자인(4)은 실크 스크린 인쇄, 스프레이(도장), 디지털 프린팅, 패드 인쇄, 오프셋 인쇄 및 증착 및 UV몰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다음,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조명 투과 영역(D)을 형성하기 위하여 디자인(4)을 엣칭 식각한다(S14). 엣칭 공정으로는 레이저 또는 화학 엣칭법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 식각된 디자인(4)의 상면에 기능성 코팅을 행하여 코팅층(2)을 형성한다(S16). 기능성 코팅의 종류는 하드 코팅은 물론 광학적 특성 및 기능적 특성을 부여하는 다양한 종류의 코팅을 적용할 수 있으며, 플로우(flow), 도장(spray) 및 딥핑(deeping)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은 플라스틱 및 금속 표면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코팅법으로, 유무기 하이브리드 기반 소재 또는 실란 및 실라쟌과 같은 무기물 소재들을 이용하고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소자의 박막화 및 슬림화 추세로 인하여, 플라스틱 보호창을 대신할 수 있는 고경도 하드코팅 광학 필름용으로는 광경화형 아크릴계 코팅제 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층(2)은 고경도로 표면 보호 효과가 우수하며, 산소 및 수분 차단 능력과 사람이 터치하였을 때 지문 및 외부 오염으로 부터 차단능력이 좋고 전자파 차폐 효과가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요구 조건에 따라 태양광 등의 외부 빛으로부터 사용자의 시야가 방해 받지 않도록 광학 기능성 코팅, 즉 Anti-Reflection, Anti-Glare 등의 기능을 접목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팅층은 선택적으로 표면보호, 내유성(耐油性), 친유성(油性), 방오(防汚), 방유(防油), 방수(防水), 초발수(超撥水), 저반사(Anti-Reflection), 난반사(Anti-Glare) 등의 기능성 코팅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팅층은 도장(Spray), 플로우(Flow), 딥핑(Deeping), 인쇄(Print), 디스펜싱(Dispensing) 또는 PVD 증착, CVD 증착, NCVM 등의 방법 중의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 플라스틱 수지층(5)의 타면, 즉 노출면의 일부에 본딩층(6)을 형성하고, 본딩층(6)을 개재하여 대상물(8)을 접착하는 본딩 공정을 실시한다(S18). 대상물(8)은 베젤 또는 플레이트 등일 수 있다. 본딩 공정은 디스펜싱(dispensing) 공정을 사용하지만, 인쇄 또는 스프레이 공법에 의한 본딩도 가능하다. 디스펜싱 공정은 플라스틱 수지층(5)의 접착면에 소량의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충진 밀봉을 이용한다. 디스펜서(dispenser)는 전압을 가하면 미세하게 변형되는 소자로 로드를 왕복 운동시켜, 고속이면서 미세하게 접착액을 토출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에폭시, 페놀, 실리콘 및 우레탄 수지등의 가열 경화성 접착제 또는 우레탄 계열인 습기 경화성 접착제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기초로 한 핫멜트 접착제 등 플라스틱 수지층(5)과 대상물(8)의 재질과 공정 속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대상물(8)은 본딩층(6)을 형성한 후, 자동 또는 수동 지그를 이용하여 코팅층(2)과 디자인(4)이 합체된 모듈의 정확한 위치에 조립한다.
다음, 소정 시간 동안 본딩층을 경화시켜 플라스틱 수지층 모듈과 대상물(8)을 일체로 접합한다(S20). 경화 공정은 주로 열경화 또는 UV 또는 IR을 이용한 광경화 공정을 이용하며, 경화 온도와 시간은 접착제의 재질과 물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어셈블리(1)가 완성된다(S22).
다음, 도 3을 참조로, 도 2의 공법을 순서에 따라 제품의 구조적인 면에서, 도 2와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설명한다.
도 3(a)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작된 플라스틱 수지층(5)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다. 플라스틱 수지층(5)은 디스플레이 윈도우가 형성되는 투광부(5a)와, 투광부(5a) 주위를 둘러싸는 외곽의 성형부(50)로 이루어진다. 투광부(5a)는 디스플레이 영역(D)과 동일하다. 성형부(50)는 비교적 평탄한 수평부(52)와, 수평부(52)에 연속하며 수직으로 연장된 절곡부(54)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도 3(b)는 디자인(4)이 형성된 플라스틱 수지층(5)을 도시한다. 디자인(4)은 플라스틱 수지층(5) 일면의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도 3(c)는 디자인(4)과 플라스틱 수지층(5)의 일면을 엣칭한 것을 보인 도면이다. 엣칭을 실시하는 이유는 외부에서 시인 가능한 윈도우 또는 투광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적어도 투광부(5a), 즉 디스플레이 영역(D)을 포함하는 면적에 걸쳐 엣칭 공정을 수행한다. 엣칭 공정에 의하여 디자인(4)의 중심을 포함하는 상당 부분이 제거되며, 디자인(4) 역시 성형부(50)의 형상에 추종하여 수평부(52) 상에 형성된 수평디자인부(42)와 절곡부(54) 상에 형성된 절곡디자인부(44)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도 3(a)내지 도 3(c)의 공정을 도식화 한 것이 도 4이다.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수지층(5)의 일면 전체에 걸쳐 도장 공법으로 디자인(4)을 형성하고, 에칭 작업을 실시하여 투명한 디스플레이 영역(D)을 제공하고 있다.
도 3(d)는 엣칭 공정을 마친 플라스틱 수지층(5)과 디자인(4)의 일면에 기능성 코팅을 이용하여 코팅층(2)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다. 코팅층(2)은 플라스틱 수지층(5)과 디자인(4)이 제공하는 노출면 전체에 걸쳐 매끄럽고 고른 표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코팅층(2)의 전체적인 형상은 당연하지만 플라스틱 수지층(5)과 유사하다.
도 3(e)는 플라스틱 수지층(5)에서 디자인(4)이 형성되지 않은 타면에 대하여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본딩층(6)을 형성한 것을 보인 도면이다. 접착제는 수평부(52)의 상면에 골고루 도포된다.
도 3(f)는 대상물(8)을 본딩층(6)을 이용하여 모듈에 조립한 것을 보인 도면이다. 대상물(8)은 본딩층(6)에 접착되는 접착부(82)와, 접착부(82)에서 위로 연장되어 “ㄱ”자형으로 절곡된 테두리(84)로 이루어진다. 다만, 이는 대상물(8)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차량의 내장재, 전자제품 또는 스마트폰의 커버나 하우징을 이루는 부재인 한, 형상과 크기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3(g)는 본 발명의 경화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다음, 도 2의 공정을 거친 도 3의 본 발명의 어셈블리(1)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도 5의 단면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5에서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어셈블리(1)의 최상부에는, 투광코팅부(2a)와, 투광코팅부(2a) 주위를 둘러싸는 외곽의 코팅성형부(20)로 이루어지며, 코팅성형부(20)는, 비교적 평탄한 수평코팅부(22)와, 수평코팅부(22)에 연속하여 거의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며 외곽이 라운드된 절곡코팅부(24)로 이루어지는, 코팅층(2)이 위치한다. 이 구조는 도 3(a)를 참조로 설명한 플라스틱 수지층(5)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 코팅층(2)의 하부에 차례로 디자인(4) 및 플라스틱 수지층(5)이 적층되고 이 모듈에 대상물(8)이 일체로 결합된다. 디자인(4), 본딩층(6) 및 대상물(8) 각각의 윈도우(4w, 6w, 8w)는 평면상에서 보아 투광부(2a)의 면적과 거의 동일하며, 따라서 이들 부재는 도 5의 단면도에서 보아 플라스틱 수지층(5)의 성형부(50)가 제공하는 범위 안에서 필름(2)에 결합된다.
코팅층(2)의 코팅성형부(20)의 하면에는 수평디자인부(42)와 절곡디자인부(44)로 이루어진 디자인(4)이 위치한다. 엄밀히 말하면, 디자인(4)은 코팅층(2)에 형성된 것은 아니고, 전술한 것과 같이 플라스틱 수지층(5)에 형성된 것이다. 디자인(4)은 디스플레이 영역(D)에 대응하는 부분이 없으며 이 부분을 대신하여 개방된 윈도우(4w)가 위치한다.
디자인(4)의 하부에는 투광부(5a)와 성형부(50)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수지층(5)이 위치한다. 플라스틱 수지층(5)의 투광부(5a)와 코팅층(2)의 투광코팅부(2a)는 디자인(4)의 개재 없이 바로 접합된다.
플라스틱 수지층(5)의 수평부(52)의 하면에는 본딩층(6)이 형성된다. 본딩층(6)의 접착제의 접착력이 높으므로 공정의 신속을 위하여 절곡부(54)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대상물(8)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상물(8)의 상부를 이루는 접착부(82)는 본딩층(6)의 하면에 접합되고, 접착부(82)에 연속한 테두리(84)는 하향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단차를 형성하며, 절곡부(54)를 내측에서 누르면서 지지하고, 절곡부(54)의 하단 및 디자인(4)과 코팅층(2)의 하단을 그 아래에서 밀착하여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본 발명의 어셈블리(1)는 차량의 내장재, 전자제품 또는 스마트폰의 커버나 하우징을 이루어 이들 제품의 본체에 부착된다.
이상의 예에서는, 성형부(50)가 비교적 평탄한 수평부(52)와, 수평부(52)에 연속하며 수직으로 연장된 절곡부(54)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예를 대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사출 성형의 장점을 이용하여 성형부(50)를 곡면과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른 부재의 성형부도 변형된 형상에 맞추어 제작됨은 자명하다. 따라서, 이상의 예는 본 발명의 일례를 제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5와 도 6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본딩 공법을 이용하여 필름을 대상물에 일체화하는 공정의 장점을 알 수 있다.
첫째, 도 6에서는 필름을 인서트 사출하며 인쇄, 포밍, 컷팅 등의 공정이 필수이지만, 본 발명의 어셈블리(1)는 이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공정 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도 6에서는 필름과 플라스틱 수지의 2중층 구조이므로 제품의 슬림화에 한계가 있으며, 공간을 최소한으로 차지하기 위하여 얇은 필름의 사용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어셈블리(1)는 슬림화와 컴팩트화에 유리하며 다양한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코팅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므로 소자의 박막화 및 슬림화가 가능하며, 표면 보호 효과가 우수하며, 산소 및 수분 차단 능력이 좋고 전자파 차폐 효과가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지만 도 6의 어셈블리에서는 이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넷째, 도 6에서는 수작업으로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므로 시간과 인력이 많이 투입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본딩층의 자동 도포가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범위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Claims (8)

  1. 도장 공법을 이용하여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공정은:
    사출 성형으로 플라스틱 수지층을 제작하는 단계;
    플라스틱 수지층의 일면 전체에 걸쳐 디자인을 형성하는 단계;
    디자인이 형성된 플라스틱 수지층의 일면 중, 외부에서 시인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광 투과 영역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또는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면적에 걸쳐 엣칭 공정을 수행하여 디자인의 일부를 식각하는 단계;
    엣칭 공정을 마친 플라스틱 수지층의 일면과 디자인 전체에 걸쳐 기능성 코팅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플라스틱 수지층의 타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본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대상물을 본딩층을 통하여 접합하는 단계; 및
    본딩층을 경화하여 대상물을 일체로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장 공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공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수지층의 접착면에 소량의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디스펜싱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
  4. 외부에서부터 차례로, 코팅층, 디자인, 플라스틱 수지층, 본딩층 및 대상물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어셈블리로서,
    코팅층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는 투광코팅부와, 투광코팅부 주위를 둘러싸는 외곽의 코팅성형부로 이루어지고
    코팅성형부의 하면에는 디자인이 위치하고. 디자인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엣칭 식각되어 개방된 윈도우가 형성되며,
    디자인의 하부에는, 플라스틱 수지층이 위치하고, 플라스틱 수지층은 코팅층의 투광코팅부와 바로 접합하는 투광부와, 디자인의 하면과 바로 접합하는 성형부로 이루어지고,
    본딩층은 플라스틱 수지층의 성형부에 형성된,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코팅성형부는 비교적 평탄한 수평코팅부와, 수평코팅부에 연속하여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코팅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라스틱 수지층의 투광부는 투광코팅부와 함께 디스플레이 영역을제공하며, 성형부는 비교적 평탄한 수평부와, 수평부에 연속하며 수직으로 연장된 절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팅층은 플라스틱 수지층의 상면부에 형성된, 어셈블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선택적으로 표면보호, 내유성(耐油性), 친유성(油性), 방오(防汚), 방유(防油), 방수(防水), 초발수(超撥水), 저반사(Anti-Reflection), 난반사(Anti-Glare) 등의 기능성 코팅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플라스틱 수지층의 상면부에 형성된, 어셈블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도장(Spray), 플로우(Flow), 딥핑(Deeping), 인쇄(Print), 디스펜싱(Dispensing) 또는 PVD 증착, CVD 증착, NCVM 등의 방법 중의 하나로 제조되며
    상기 코팅층은 플라스틱 수지층의 상면부에 형성된, 어셈블리.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는 차량의 내장재, 가전제품 또는 스마트폰의 외부의 커버 또는 하우징을 이루는, 어셈블리.
KR1020210050183A 2021-04-17 2021-04-17 도장 공법을 이용한 어셈블리 제작 공정 KR102468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183A KR102468599B1 (ko) 2021-04-17 2021-04-17 도장 공법을 이용한 어셈블리 제작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183A KR102468599B1 (ko) 2021-04-17 2021-04-17 도장 공법을 이용한 어셈블리 제작 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038A true KR20220144038A (ko) 2022-10-26
KR102468599B1 KR102468599B1 (ko) 2022-11-22

Family

ID=8378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183A KR102468599B1 (ko) 2021-04-17 2021-04-17 도장 공법을 이용한 어셈블리 제작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5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03U (ja) * 1992-11-12 1995-04-25 株式会社エー・アンド・デイ 表示手段を有する電子機器用筐体
KR20100019335A (ko) * 2008-08-07 2010-02-18 썬쩐 푸타이홍 프리시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1019A (ko) * 2010-10-20 2012-04-3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모듈장치
KR102233950B1 (ko) * 2020-09-29 2021-03-30 주식회사 미래테크놀로지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용 자석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03U (ja) * 1992-11-12 1995-04-25 株式会社エー・アンド・デイ 表示手段を有する電子機器用筐体
KR20100019335A (ko) * 2008-08-07 2010-02-18 썬쩐 푸타이홍 프리시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1019A (ko) * 2010-10-20 2012-04-3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모듈장치
KR102233950B1 (ko) * 2020-09-29 2021-03-30 주식회사 미래테크놀로지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용 자석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599B1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0395B2 (en)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11737230B2 (en) Offset control for assembling an electronic device housing
US8199488B2 (en) Display housing
JP6807391B2 (ja) ベゼルとガラスが緊密に嵌合したミラーアセンブリ
US7599709B2 (en) Case for a hand held device
US7781690B2 (en) Key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140308469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integrally molded product and glass integrally molded product
CN102202476B (zh) 外壳及具有该外壳的电子装置
US20110014461A1 (en)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2043165A (ja) 成形部材及び透光型入力装置
US8242396B2 (en) Keypad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90089187A (ko)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어셈블링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display screen assembly,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20150019204A (ko)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용 전면 윈도우 커버 제조방법
US20170108959A1 (en) Two piece lens assembly
KR20220144038A (ko) 도장 공법을 이용한 어셈블리 제작 공정
KR20130092431A (ko) 입력장치
KR102418618B1 (ko) 본딩 공법을 이용하여 필름을 대상물에 일체화하는 공정 및 필름을 포함한 어셈블리
KR102509978B1 (ko) 복합시트와 이중층을 가지는 휴대통신기기 하우징용 백커버의 제조방법
KR101303638B1 (ko) 터치 타입 휴대폰용 윈도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998296B2 (en) In-vehicle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CN115643670A (zh) 多重ime结构及其制造方法
US20090303669A1 (en)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CN106301438A (zh) 智能终端
CN107231772B (zh) 移动终端后壳、移动终端后壳的制造方法及移动终端
JP4690888B2 (ja) キート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