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209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209A
KR20220143209A KR1020210049103A KR20210049103A KR20220143209A KR 20220143209 A KR20220143209 A KR 20220143209A KR 1020210049103 A KR1020210049103 A KR 1020210049103A KR 20210049103 A KR20210049103 A KR 20210049103A KR 20220143209 A KR20220143209 A KR 20220143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groove
base member
display
light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명훈
김태희
이채경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9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3209A/ko
Priority to US17/539,289 priority patent/US20220334293A1/en
Priority to CN202111635251.3A priority patent/CN115224073A/zh
Publication of KR20220143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8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09F9/3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be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H01L27/3225
    • H01L27/3248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제1 면을 포함하며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과 인접하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고 비표시 영역에 제1 그루브가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및 베이스 부재의 제1 면 상에 배치되고 표시 영역 및 제1 그루브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차광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커버 윈도우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보호한다. 또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하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상기 표시 패널에서 방출되는 광을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차광 부재(예를 들어, 차광 잉크)가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제1 면을 포함하며,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하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제1 그루브가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그루브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차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그루브를 경계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그루브를 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비표시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정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비표시 영역의 외곽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영역에 포함된 홀 영역과 중첩하는 기능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홀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그루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홀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그루브를 채우는 제2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평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구부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표시 영역은 평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은 경사진 챔퍼(chamfer)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챔퍼면과 상기 표시 영역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면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은 라운드(round)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그루브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인접하고 경사진 챔퍼(chamfer)면을 포함하며,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하며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구부러진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제1 그루브가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그루브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차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그루브를 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정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비표시 영역의 외곽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영역에 포함된 홀 영역과 중첩하는 기능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홀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그루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커버 윈도우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베이스 부재 및 차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그루브를 경계로 배치될 수 있다. 반타원 형상을 갖는 상기 그루브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그루브의 표면의 표면 저항이 증가될 수 있고, 상기 그루브의 주변이 소수성화(hydrophobized)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그루브를 채울 수 있고, 상기 그루브의 외곽으로 흘러넘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차광 부재의 공정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광 부재는 목표한 영역에 정확하게 인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커버 윈도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베이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버 윈도우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커버 윈도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베이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PNL) 및 커버 윈도우(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1)는 터치 패널, 편광층, 보호 필름, 하우징 등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PNL)은 입력된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전압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PNL)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무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퀀텀-닷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PNL)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PNL)은 제1 방향(D1)(예를 들어, X 방향) 및 제2 방향(D2)(예를 들어, Y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PNL1)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단변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장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변 및 장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표시 패널(PNL)의 평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PNL)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이 아닌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는 상기 표시 패널(PNL)을 제3 방향(D3)(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커버할 수 있고, 상기 표시 패널(PNL)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10)는 상기 표시 패널(PNL)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표시 패널(PNL)의 평면 면적보다 더 큰 평면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방향들(D1, D2, D3)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커버 윈도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베이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커버 윈도우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3은 도 2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 및 이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의 단면도일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 윈도우(10)는 베이스 부재(100), 제1 차광 부재(200), 및 제2 차광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200) 및 상기 제2 차광 부재(250)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는 제1 그루브(GR1) 및 제2 그루브(GR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200)는 상기 제1 그루브(GR1)를 경계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차광 부재(250)는 상기 제2 그루브(GR2)를 경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상기 커버 윈도우(10)의 기본적인 골격을 이루는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100)를 통해 상기 표시 패널(PNL)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00)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difluoride, PVDF), 폴리스티렌(polystyrene),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thylene vinylalcohol copolymer),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PNL)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표시 영역(DA)과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영역(DA)은 모서리가 곡률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상기 표시 영역(DA) 및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평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상기 표시 영역(DA) 및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표시 패널(PNL)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표시 패널(PNL)을 향해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제1 면(S1), 제2 면(S2), 및 측면(S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S1) 및 상기 제2 면(S2)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에 의해 정의되는 면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측면(SS)은 상기 제1 면(S1)과 상기 제2 면(S2)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면(S1)은 상기 표시 패널(PNL)과 마주볼 수 있으며, 상기 제2 면(S2)은 상기 제1 면(S1)과 반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면(S1)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SS)은 경사진 챔퍼(chamfer)면(CF)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면(S2)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SS)은 곡면을 갖는 라운드(round)면(RD)일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상기 제1 면(S1)과 수직하는 법선 방향(즉,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1 그루브(GR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루브(GR1)가 형성되는 위치, 상기 제1 그루브(GR1)의 상기 제3 방향(D3)으로의 깊이, 및 상기 제1 그루브(GR1)의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로의 크기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요구되는 강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내부 응력은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두께의 1/2 지점을 향하는 깊이에 따라 변화하는 응력 거동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응력 거동은 표면 압축 응력(surface compressive stress, CS), 이온 침투 깊이(depth of compressive layer, DOL), 및 중심 인장 응력(central tenstion, C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 인장 응력은 하기의 수학식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제1 그루브(GR1)가 형성되는 위치, 상기 제1 그루브(GR1)의 상기 제3 방향(D3)으로의 깊이, 및 상기 제1 그루브(GR1)의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로의 크기는 상기 수학식으로 계산된 중심 인장 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루브(GR1)는 레이저(LZ)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 상에서 반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레이저(LZ)의 소스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특성 및 상기 제1 차광 부재(200)의 특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두께, 상기 베이스 부재(100)를 이루는 재료, 및 상기 제1 차광 부재(200)를 이루는 재료에 따라, 상기 제1 그루브(GR1)의 적절한 폭 및 적절한 깊이가 설정될 수 있고, 상기 폭 및 상기 깊이를 형성할 수 있는 상기 레이저(LZ)의 소스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그루브(GR1)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외곽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챔퍼면(CF) 및 상기 표시 영역(D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200)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상기 제1 면(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차광 부재(200)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 및 상기 표시 패널(PNL)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차광 부재(200)는 상기 표시 영역(DA) 및 상기 제1 그루브(GR1)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그루브(GR1)를 경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200)는 상기 표시 패널(PNL)에서 방출되는 광을 흡수 또는 차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차광 부재(200)는 상기 제1 차광 부재(200)로 향하는 광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외곽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200)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할 수 있으며, 제1 차광층(210), 제2 차광층(220) 및 제3 차광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차광층들(210, 220, 230)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광층(210)은 상기 제1 그루브(GR1)를 경계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그루브(GR1)의 내부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제2 차광층(220)은 상기 제1 차광층(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3 차광층(230)은 상기 제2 차광층(2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차광층들(210, 220, 230)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폭들은 공정 편차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차광층(210)의 폭은 상기 제2 차광층(220)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2 차광층(220)의 폭은 상기 제3 차광층(23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상기 폭들의 대소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6은 도 2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 및 이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의 단면도일 수 있다.
도 2 및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상기 표시 영역(DA)은 홀 영역(H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는 상기 제1 면(S1)과 수직하는 법선 방향(즉,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2 그루브(GR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그루브(GR2)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제1 그루브(GR1)를 형성하는 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그루브(GR2)는 상기 홀 영역(HA)을 둘러싸도록 상기 홀 영역(HA)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차광 부재(250)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상기 제1 면(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차광 부재(250)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 및 상기 표시 패널(PNL)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차광 부재(250)는 상기 제2 그루브(GR2)를 경계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그루브(GR2)는 상기 제2 차광 부재(250)의 내측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차광 부재(250)는 상기 제2 그루브(GR2)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제2 차광 부재(250)는 상기 제1 차광 부재(20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홀 영역(HA)과 중첩하는 상기 표시 패널(PNL)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PNL)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는 상기 홀 영역(HA)과 중첩하는 기능성 모듈(FM)(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 조도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모듈(FM)은 상기 홀 영역(HA)으로 입사되는 외광을 통해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제2 차광 부재(250)는 상기 기능성 모듈(FM)의 빛 번짐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PNL)은 액티브 패턴(ACT), 게이트 절연층(GI), 게이트 전극(GAT), 층간 절연층(ILD),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비아 절연층(VIA), 제1 전극(ADE), 화소 정의막(PDL), 유기 발광층(EL), 및 제2 전극(CT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패턴(ACT), 상기 게이트 전극(GAT),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트랜지스터(TFT)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DE), 상기 유기 발광층(EL), 및 상기 제2 전극(CTE)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패턴(ACT)은 상기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액티브 패턴(ACT)은 실리콘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티브 패턴(ACT)은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액티브 패턴(ACT)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상기 액티브 패턴(ACT)을 덮으며, 상기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AT)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AT)은 금속, 합금, 도전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전극(GAT)은 은(Ag), 은을 함유하는 합금, 몰리브데늄(Mo),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 질화물(AlN),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 구리(Cu), 니켈(Ni), 크롬(Cr), 크롬 질화물(CrN), 티타늄(Ti), 탄탈륨(Ta), 백금(Pt), 스칸듐(Sc),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ILD)은 상기 게이트 전극(GAT)을 덮으며, 상기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ILD)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상기 층간 절연층(IL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상기 액티브 패턴(ACT)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금속, 합금, 도전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을 덮으며, 상기 층간 절연층(IL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포토레지스트,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DE)은 상기 비아 절연층(VI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ADE)은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DE)은 반사 금속 물질 또는 투명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ADE)은 은(Ag), 은을 함유하는 합금, 몰리브데늄(Mo),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 질화물(AlN),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 구리(Cu), 니켈(Ni), 크롬(Cr), 크롬 질화물(CrN), 티타늄(Ti), 탄탈륨(Ta), 백금(Pt), 스칸듐(Sc),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ADE)은 Ag/ITO/Ag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상기 제1 전극(ADE)의 단부를 덮으며, 상기 비아 절연층(VI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에는 상기 제1 전극(ADE)을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EL)은 상기 제1 전극(AD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층(EL)은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EL)은 상기 제1 전극(ADE)과 상기 제2 전극(CTE) 사이의 전압차에 기초하여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층(EL)의 발광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발광층(EL)은 기능층(예를 들어,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전극(CTE)은 상기 발광층(E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TE)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반사 금속 물질 또는 투명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상기 표시 패널(PNL) 및 커버 윈도우(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PNL)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표시 패널(PNL)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20)는 상기 표시 패널(PNL)을 커버할 수 있고, 상기 표시 패널(PNL)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20)는 상기 표시 패널(PNL)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표시 패널(PNL)의 평면 면적보다 더 큰 평면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커버 윈도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8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베이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10은 도 9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 및 이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의 단면도일 수 있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 윈도우(20)는 베이스 부재(300), 제1 차광 부재(400), 및 제2 차광 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400) 및 상기 제2 차광 부재(450)는 상기 베이스 부재(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300)에는 제1 그루브(GR3) 및 제2 그루브(GR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400)는 상기 제1 그루브(GR3)를 경계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차광 부재(450)는 상기 제2 그루브(GR4)를 경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300)는 상기 커버 윈도우(20)의 기본적인 골격을 이루는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300)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300)를 통해 상기 표시 패널(PNL)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부재(30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300)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PNL)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표시 영역(DA)과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영역(DA)은 모서리가 곡률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300)의 상기 표시 영역(DA)은 평탄할 수 있고,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표시 패널(PNL)을 향해 구부러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커버 윈도우(20)는 상기 표시 패널(PNL)의 전면 및 측면을 커버할 수 있고, 상기 표시 패널(PNL)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300)는 제1 면(S1), 제2 면(S2), 및 측면(S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S1) 및 상기 제2 면(S2)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에 의해 정의되는 면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측면(SS)은 상기 제1 면(S1)과 상기 제2 면(S2)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면(S1)은 상기 표시 패널(PNL)과 마주볼 수 있으며, 상기 제2 면(S2)은 상기 제1 면(S1)과 반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면(S1)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SS)은 경사진 챔퍼(chamfer)면(CF)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면(S2)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SS)은 곡면을 갖는 라운드(round)면(RD)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300)에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상기 제1 면(S1)과 수직하는 법선 방향(즉,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1 그루브(GR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루브(GR3)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 상에서 반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부재(300)의 상기 비표시 영역(NDA)이 상기 표시 패널(PNL)을 향해 구부러지는 경우, i) 상기 베이스 부재(300)를 구부리는 공정 및 ii) 상기 제1 그루브(GR3)가 형성되는 공정을 수행하는 공정 순서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정 순서는 상기 커버 윈도우(20)가 손상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i) 상기 베이스 부재(300)를 구부린 후, ii) 구부러진 상기 베이스 부재(300)의 법선 방향으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함에 따라, 상기 제1 그루브(GR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그루브(GR3)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외곽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챔퍼면(CF) 및 상기 표시 영역(D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400)는 상기 베이스 부재(300)의 상기 제1 면(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차광 부재(400)는 상기 베이스 부재(300) 및 상기 표시 패널(PNL)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차광 부재(400)는 상기 표시 영역(DA) 및 상기 제1 그루브(GR3)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그루브(GR3)를 경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400)는 상기 표시 패널(PNL)에서 방출되는 광을 흡수 또는 차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차광 부재(400)는 상기 제1 차광 부재(400)로 향하는 광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부재(300)의 외곽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300)의 상기 표시 영역(DA)은 상기 홀 영역(H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300)에는 상기 제1 면(S1)과 수직하는 법선 방향(즉,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2 그루브(GR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차광 부재(450)는 상기 베이스 부재(300)의 상기 제1 면(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광 부재(450)는 상기 제2 그루브(GR4)를 경계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그루브(GR4) 및 상기 제2 차광 부재(450)는 도 2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제2 그루브(GR2) 및 상기 제2 차광 부재(250)와 각각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 2)는 커버 윈도우(10, 20) 및 표시 패널(PN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 20)는 베이스 부재(100, 300) 및 제1 차광 부재(200, 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00, 300)에는 제1 그루브(GR1, GR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차광 부재(200, 400)는 상기 제1 그루브(GR1, GR3)를 경계로 배치될 수 있다. 반타원 형상을 갖는 상기 제1 그루브(GR1, GR3)가 상기 베이스 부재(100, 300)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그루브(GR1, GR3)의 표면의 표면 저항이 증가될 수 있고, 상기 제1 그루브(GR1, GR3)의 주변이 소수성화(hydrophobized)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차광 부재(200, 400)는 상기 제1 그루브(GR1, GR3)를 채울 수 있고, 상기 제1 그루브(GR1, GR3)의 외곽으로 흘러넘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차광 부재(200, 400)의 공정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차광 부재(200, 400)는 목표한 영역에 정확하게 인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고해상도 스마트폰, 휴대폰, 스마트패드,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2 : 표시 장치 PNL : 표시 패널
10, 20 : 커버 윈도우 100, 300 : 베이스 부재
200, 400 : 제1 차광 부재 250, 450 : 제2 차광 부재
GR1, GR3 : 제1 그루브 GR2, GR4 : 제2 그루브
S1 : 제1 면 S2 : 제2 면
SS : 측면 CF : 챔퍼면
FM : 기능성 모듈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제1 면을 포함하며,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하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제1 그루브가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그루브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그루브를 경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그루브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비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정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비표시 영역의 외곽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포함된 홀 영역과 중첩하는 기능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홀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그루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홀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그루브를 채우는 제2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표시 영역은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은 경사진 챔퍼(chamfer)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챔퍼면과 상기 표시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과 인접하는 상기 측면은 라운드(round)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인접하고 경사진 챔퍼(chamfer)면을 포함하며,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하며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구부러진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제1 그루브가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그루브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그루브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정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비표시 영역의 외곽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포함된 홀 영역과 중첩하는 기능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홀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그루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049103A 2021-04-15 2021-04-15 표시 장치 KR20220143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103A KR20220143209A (ko) 2021-04-15 2021-04-15 표시 장치
US17/539,289 US20220334293A1 (en) 2021-04-15 2021-12-01 Display device
CN202111635251.3A CN115224073A (zh) 2021-04-15 2021-12-29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103A KR20220143209A (ko) 2021-04-15 2021-04-15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209A true KR20220143209A (ko) 2022-10-25

Family

ID=8360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103A KR20220143209A (ko) 2021-04-15 2021-04-1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34293A1 (ko)
KR (1) KR20220143209A (ko)
CN (1) CN115224073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24073A (zh) 2022-10-21
US20220334293A1 (en)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5698B2 (en) Display device
EP3336669B1 (en)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230315236A1 (en) Touch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926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968880B2 (en) Display device with load matching device overlapping non-display area
US10890997B2 (en) Display device
US10782813B2 (en)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N114256433A (zh) 显示设备
US1155213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979185B2 (en) Electronic modulating device
CN113066825A (zh) 显示装置
US11307458B2 (en) Display device
US11597190B2 (en) Protective film and cover window including the same
US11088236B2 (en) Display apparatus
KR102564127B1 (ko) 디스플레이 패널
US1198586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143209A (ko) 표시 장치
US20220057337A1 (en) Optical inspection device for optical performance test of display device and optical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11281342B2 (en) Touch control structure, method of detecting touch using touch control structure, touch control apparatus, and touch control display apparatus
US11706967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light-condensing layer on sensor electrode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40188347A1 (en) Display device
US2024017639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21140268A (ja) 静電容量方式指紋センサ及び表示装置
KR20230022332A (ko) 표시 장치
KR20230068500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