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870A -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870A
KR20220142870A KR1020210049448A KR20210049448A KR20220142870A KR 20220142870 A KR20220142870 A KR 20220142870A KR 1020210049448 A KR1020210049448 A KR 1020210049448A KR 20210049448 A KR20210049448 A KR 20210049448A KR 20220142870 A KR20220142870 A KR 20220142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uide
awning
screen devic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훈
최정식
정창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네상스
(주) 씨앤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네상스, (주) 씨앤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네상스
Priority to KR1020210049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2870A/ko
Publication of KR2022014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3Structure or support of upper box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막 권취 또는 권출 과정에서 차양막이 꼬이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차양막이 일정하게 권취 또는 권출되어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는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린 장치{Screen Device}
본 발명은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차양막을 가이드하며 차양막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권취 및 권출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Screen)은 차양 장치의 일종으로서 옥외, 야외 등에서 바람이나 햇빛 등을 차단하면서 개인적인 공간 확보를 위해 사용되며, 최근에는 바람이나 햇빛, 비 등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안전 확보, 개인적인 공간 확보는 물론 심미적인 효과까지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연구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고, 그 사용범위 역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스크린과 같은 차양 장치는 작동 방식에 따라 수동식 또는 자동식 차양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동식 차양 장치는, 차양막(차양부)을 연결하는 와이어 혹은 차양막의 상단부가 체결되어 권취되는 상부 작동바와, 상기 상부 작동바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부 작동바를 회전시키는 풀리 및, 상기 풀리과 결합되어 풀리를 회전시키는 볼체인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볼체인의 한쪽을 당기면 상기 풀리 및 작동바가 회전하면서 차양막이나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차양부의 하단 위치를 조절하였다.
한편, 전동식 차양 장치는 양측 레일에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가 삽입되어 장력을 조절하나, 양측 레일에 삽입되는 장력 조절 장치 중 일측 부분에서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차양막이 한쪽으로 기울어 차양막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차양막이 한쪽으로 기운 상태에서 모터에 의해 차양막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 전동 차양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스크린(차양 장치)의 경우 차양막을 권출 또는 권취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레일의 마찰 또는 어긋남 등으로 인해 차양막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한쪽으로 기운 상태에서 차양막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1294호(2018.05.18.) 선행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8361호(2018.03.0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양막 권취 또는 권출 과정에서 차양막이 꼬이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양막이 일정하게 권취 또는 권출되어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일면이 개구된 박스부(100); 양 끝단이 상기 박스부(100) 내측 양단에 체결되는 샤프트(200); 및 상기 샤프트(200)의 둘레면에 권취되는 차양막(Sc);을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박스부(100) 양 단에 형성되는 제 1 체결구(110)에 체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차양막 가이드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상기 차양막(Sc)이 일부 삽입되어 가이드 권출 또는 권취되는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양막(Sc)은 소정의 제 1 두께를 갖는 면 형상이되, 양 측 모서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두께보다 큰 두께의 소정의 제 2 두께를 갖는 모서리부(Sc1)가 형성되고, 상기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크되, 상기 제 2 두께보다 작은 크기의 입구(311)를 갖는 제 1 가이드라인부(310)가 형성되어 상기 모서리부(Sc1)가 끼움 삽입됨으로써 가이드되는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상기 박스부(100)와 체결되고, 측면으로 상기 제 1 가이드라인부(310)가 삽입되는 몸체부(320); 및 상기 몸체부(320)와 체결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라인부(3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330);를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320)는 "
Figure pat00001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라인부(310)는 "
Figure pat00002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330)는 "
Figure pat00003
"형상으로 구비되는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샤프트(200)와 상기 박스부(100)는 샤프트 가이드부(400)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 가이드부(400)는 상기 샤프트(200) 양 끝단에 체결되는 제 2 체결구(420); 상기 박스부(100) 내측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구(420)가 삽입되어 상기 제 2 체결구(420)를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GM)시키는 제 2 가이드라인부(410);를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체결구(420)는 일면에 상기 샤프트(200)가 삽입되고, 타면에 상기 제 2 가이드라인부(410)에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GM)되는 가이드롤러(421)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롤러(421)는 상기 제 2 가이드라인부(410)의 하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두 개 이상의 하측롤러(421B) 및 상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상측롤러(421T)를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가이드라인부로 인해 권취 또는 권출되는 차양막이 일정한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미적으로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가이드라인부로 인해 차양막이 권취 또는 권출될 때 한쪽으로 기울거나 구김이 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가이드라인부로 인해 차양막이 권출 또는 권취될 때 제 1 가이드라인부의 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차양막을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차양막이 꼬이거나 구김이 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차양막 가이드부의 조립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차양막 가이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도5는 단면 기본도, 도6은 단면 조립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샤프트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조립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샤프트 가이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를 모두 적용한 스크린 장치로서, 차양막 및 샤프트가 가이드되는 것을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샤프트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는 벽면 또는 천장면에 브라켓 등을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는 박스부(100), 박스부(100) 내측에 위치되는 샤프트(200), 샤프트(200)에 권취되는 차양막(Sc)을 포함한다.
박스부(1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고, 차양막(Sc)이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면 또는 일부가 개구되도록 구비된다. 박스부(100)는 양 끝단의 면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마감 캡과 같은 방식을 통해 조립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샤프트(200)는 바 형상으로서 박스부(100)에 설치된다. 샤프트(200)는 양 끝단이 박스부(100)에 고정된다. 상세하게, 샤프트(200)는 양 끝단이 박스부(100)의 내측 양 단에 체결된다. 여기서 내측 양 단은, 박스부(100)의 양 끝단 면의 내측 면 방향을 일컫는다. 샤프트(200)에는 차양막(Sc)이 권취된다. 차양막(Sc)은 직사각 면 형상으로 그 두께나 재질은 달리할 수 있고, 일례로 권취 및 권출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이 있는 직물 내지 비닐 재질일 수 있다. 한편, 차양막(Sc)은 자외선 등을 차단할 수 있는 고성능 차양막(Sc)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차양막(Sc)보다 두께가 두꺼워질 수도 있으며, 다수의 차양막(Sc)을 하나로 합지하여 사용되는 기능성 차양막(Sc)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차양막(Sc)은 일 모서리가 샤프트(200)에 고정되고, 샤프트(200)가 회전됨으로써 권취 및 권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에서 추가되는 실시예로서, 차양막(Sc)을 가이드할 수 있는 차양막 가이드부(300)가 더 구비된다.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차양막(Sc)이 일부가 삽입되어 차양막(Sc)이 권취 및 권출될 때 가이드되어 권취 및 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차양막(Sc)의 일부가 삽입되는 것은 차양막(Sc)의 권취 및 권출되는 길이 방향의 양 모서리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박스부(100) 양 단에 각각 설치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박스부(100)의 양단에는 차양막 가이드부(300)가 체결될 수 있는 제 1 체결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체결구(110)는 면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고,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면 돌출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끼움 삽입됨으로써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창틀이나 벽면의 양 측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양막 가이드부(300)의 중량을 벽면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박스부(100)의 하중을 줄여 박스부(100)에 대한 하중 스트레스를 취소화할 수 있으며, 차양막(Sc)의 양 단이 바람에 의해 날리거나, 출렁이는 것을 방지하여 심플하며 세련된 심미감을 줄 수 있어 인테리어적으로 뛰어나다.
차양막 가이드부(300)에는 제 1 가이드라인부(310)가 형성된다. 제 1 가이드라인부(310)는 입구(311)가 형성된 "ㅁ"형상의 단면 또는 입구(311)가 좁은 "ㄷ"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제 1 가이드라인부(310)가 후술하는 몸체부(320)에 삽입되고, 삽입 후 커버부(3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단면이 "ㄷ"형상의 날개(w)가 형성될 수 있다.
차양막(Sc)은 제 1 가이드라인부(310)에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된다. 이때, 차양막(Sc)은 가이드 이동 시 차양막(Sc)이 제 1 가이드라인으로부터 이탈하거나 과도하게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되지 않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할 수 있다.(도 2 참고) 상세하게, 차양막(Sc)은 소정의 제 1 두께를 갖는 면 형상으로 구비되고, 권취 및 권출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양 측 모서리에 제 1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의 소정의 제 2 두께를 가지는 모서리부(Sc1)가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부(Sc1)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모서리부(Sc1)는 제 1 가이드라인부(310)에 삽입된다. 제 1 가이드라인부(310)의 입구(311)는 소정의 제 1 두께보다 크고, 소정의 제 2 두께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입구(311)를 갖는다. 즉, 제 1 가이드라인부(310)의 입구(311)에는 차양막(Sc)의 제 1 두께를 갖는 면이 위치되고, 입구(311)를 지난 공간에는 입구(311)보다 큰 제 2 두께를 갖는 모서리부(Sc1)가 위치되어 모서리부(Sc1)의 두께로 인해 제 1 가이드라인부(310)로부터 모서리부(Sc1)가 이탈하지 않는 구성이다. 모서리부(Sc1)를 제 1 가이드라인부(310)로 삽입할 때에는 차양막(Sc)을 권출하며 모서리부(Sc1)를 제 1 가이드라인부(310)의 상단면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끼움 삽입하거나, 제 1 가이드라인부(310)의 재질은 연질 재질로 구비해 끼움 삽입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일례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벽면 등에 시공되는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설치 후 차양막(Sc)을 제 1 가이드라인부(310)에 끼움 삽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시공 설치와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제 1 가이드라인부(310)와 조립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박스부(100) 또는 벽면에 체결되는 몸체부(320), 제 1 가이드라인부(310) 및 커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20)는 박스부(100)와 제 1 체결구(110)를 통해 체결되고, 측면으로 제 1 가이드라인부(310)가 삽입될 수 있는 바 형상으로 구비된다. 몸체부(320)의 바 형상 단면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가이드라인부(310)에 차양막(Sc)의 모서리부(Sc1)가 삽입된 뒤, 제 1 가이드라인부(310)를 몸체부(320)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측면이 일부 개구된 형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몸체부(320)는, 단면을 기준으로 내측에 제 1 체결구(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 홈이 형성되고, 일 측면은 벽면 설치에 용이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타 측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차양막(Sc)의 모서리부(Sc1)가 위치되는 하측 방향은 제 1 가이드라인부(31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몸체부(320)의 하측 방향의 공간에 삽입되는 제 1 가이드라인부(310)는 해당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부(320)의 하측 방향의 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330)는 몸체부(320)의 타 측면 방향으로 결합되어 몸체부(320)와 일체화되며, 결합을 위해 몸체부(320) 및 커버부(330)에는 소정의 돌기 또는 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시, 삽입된 제 1 가이드라인부(310)가 이탈하지 않도록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다른 방향으로 설명하자면, 몸체부(320)는 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일부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가이드라인부(31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하측에 형성되고, 대칭된 형상의 몸체부(320)의 타 측면은 분리되어 제 1 가이드라인부(310)가 삽입된 다음 고정시킬 수 있게 탈장착 가능한 커버부(330)로 분리될 수 있다. 일례로, 몸체부(320)는 "
Figure pat00004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 1 가이드라인부(310)는 "
Figure pat00005
"형상으로 구비되며, 커버부(330) 는 "
Figure pat00006
"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경우 몸체부(320)를 제 1 체결구(110)에 삽입하고, 벽면이나 창틀 등에 고정 설치한 뒤, 차양막(Sc)의 모서리부(Sc1)를 권출하며 제 1 가이드라인부(310)에 삽입하고, 차양막(Sc)이 결합된 제 1 가이드라인부(310)를 몸체부(320)에 끼움 삽입한 뒤, 커버부(330)를 몸체부(320)에 결합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즉, 몸체부(320), 제 1 가이드라인부(310) 및 커버부(330)로 조립식 설치됨으로써 설치가 신속하고 용이하며, 해체나 유지 보수 관리를 위한 분리 시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어 부품 교체가 용이하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에서 추가되는 실시예로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와 함께 사용되거나 단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는 샤프트 가이드부(400)가 더 구비된다. 샤프트 가이드부(400)는 박스부(100)와 샤프트(200)를 서로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샤프트(200)의 양 끝단과 박스부(100) 양 끝단 각 사이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가이드부(400)는 샤프트(200) 끝단에 체결되는 제 2 체결구(420)와, 박스부(100)의 내측 단에 형성되어 제 2 체결구(420)가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GM)되는 제 2 가이드라인부(410)를 포함한다.
제 2 체결구(420)는 샤프트(200)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세하게, 제 2 체결구(420)의 일면은 샤프트(200)의 축부(21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샤프트(200)의 회전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샤프트(200)의 축부(210)는 제 2 체결구(42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샤프트(200)의 단면은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 2 체결구(420)도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샤프트(200)에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개구되어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제 2 가이드라인부(410)는 일면에 제 2 체결구(420)의 후술하는 가이드롤러(421)가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GM)되고, 제 2 가이드라인부(410)의 타면은 박스부(100)의 내측 양단에 고정된다. 제 2 체결구(420)의 타면에는 제 2 가이드라인부(410)에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GM)되는 가이드롤러(421)가 형성된다. 가이드롤러(421)는 제 2 가이드라인부(410)의 타면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가이드롤러(421)가 제 2 가이드라인부(410)의 가이드라인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가이드롤러(421)는 하나 구비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제 2 가이드라인부(410)의 가이드라인을 따라 나란히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가이드롤러(421)의 크기가 제 2 가이드라인부(410)의 가이드라인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롤러(421)는 제 2 가이드라인부(410)의 하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평행한 두 개 이상의 하측롤러(421B)와 상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상측롤러(421T)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측롤러(421B)는 하측 라인을 따라 가이드라인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도록 한 쌍 구비되고, 상측롤러(421T)는 상측 라인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제 2 가이드라인부(410)를 따라 제 2 체결구(420)가 가이드 이동(GM)될 때 상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측롤러(421T)의 위치는 상측 라인 상에 접하도록 위치되되, 한 쌍의 하측롤러(421B)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측롤러(421B)가 한 쌍으로 나란히 구비됨으로써 제 2 가이드라인부(410)를 따라 이동하는 제 2 체결구(420)가 회전되지 않고 평행한 상태로 가이드 이동(GM)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측롤러(421T)가 형성됨으로써 제 2 가이드라인부(410)를 따라 이동하는 제 2 체결구(420)가 상하 유격으로 인해 이탈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차양막(Sc)의 경우 샤프트(200)에 권취된 바퀴수에 따라 직경이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도 11 및 도 12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가 적용된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차양막(Sc)이 모두 권취되어 최초로 권출하는 경우 직경이 크고, 차양막(Sc)이 모두 권출된 다음 최초로 권취할 때에 직경은 비교적 작은 직경이다. 즉, 차양막(Sc)의 권취 및 권출 지점은 직경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 가이드부(300)가 구비되는 경우 차양막(Sc)의 권취 및 권출지점은 달라지나,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벽면 또는 지지체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 및 권출 시 차양막(Sc)이 차양막 가이드부(300)의 상측 입구(311)에서 손상되거나 구겨질 수 있고, 권취 및 권출 시 뒤틀림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다만, 위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샤프트 가이드부(400)를 형성하는 경우 직경이 달라짐에 따라 차양막 가이드부(3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차양막 가이드부(400)가 가이드 이동(GM)되기 때문에 차양막(Sc)이 손상되거나 꼬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 차양막(Sc)을 권취 및 권출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샤프트(200)는 프리 스탑(Free-Stop)형 샤프트(200)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샤프트(200)는 박스부(10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축부(210), 축부(210)를 감싸는 원통 형상의 권취부(220), 축부(210)를 감싸는 코일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단이 축부(210)에 연결되고, 타단이 권취부(220)에 연결되는 스프링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샤프트(200)의 축부(210)는 박스부(100) 또는 제 2 체결구(420)에 고정되어 회전 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권취부(220)의 경우 샤프트(200)의 축부(210)를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도록 축부(210)를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축부(210)와 권취부(220)의 사이에 스프링부(230)가 구비되고, 스프링부(230)의 일단은 축부(210)와 연결되고, 스프링부(230)의 타단은 권취부(220)에 연결된다. 즉, 스프링의 권취량에 따른 소정의 복원력을 통해 차양막(Sc)을 권출 또는 권취할 때 차양막(Sc)의 무게로 인해 차양막(Sc)이 권출되지 않고 해당 지점에서 고정될 수 있는 프리 스탑형 샤프트(2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샤프트(200)는 전동형 샤프트(200)로 구비될 수 있다(미도시).
상세하게, 샤프트(200)는 박스부(10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축부(210), 축부(210)를 감싸는 원통 형상의 권취부(220), 축부(210)에 구비되어 권취부(220)를 회전 운동시키는 모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샤프트(200)의 축부(210)는 박스부(100) 또는 제 2 체결구(420)에 고정되어 회전 운동하지 않고 고정되며, 권취부(220)의 경우 샤프트(200)의 축부(210)를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도록 축부(210)를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축부(210)에 모터부가 구비되고 모터부가 권취부(220)를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권취부(220)에 권취된 차양막(Sc)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제 1 가이드라인부(310)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기준 간격마다 도전성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의 거치부가 형성된다. 또한, 차양막의 모서리부의 어느 하나의 위치 또는 모서리부의 끝단에 자력을 갖는 자성체가 형성된다. 즉, 차양막을 프리 스탑 방식으로 권출하여 내릴 때 미리 지정된 간격에 따라 내려지기 때문에 권출량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양막이 권출된량에 따른 무게보다 스프링부의 권취력이 높게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부의 권취력은 차양막이 권출된량에 따른 무게의 하중보다는 높되, 자성체와 거치부가 갖는 자력보다는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차양막 권출량에 따른 무게 하중 < 스프링부의 권취력 < 자성체와 거치부의 자력).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박스부 110: 제 1 체결구
200: 샤프트 210: 축부
220: 권취부 230: 스프링부
300: 차양막 가이드부 310: 제 1 가이드라인부
311: 입구
320: 몸체부 330: 커버부
400: 샤프트 가이드부 410: 제 2 가이드라인부
420: 제 2 체결구 421: 가이드롤러
421B: 하측롤러 421T: 상측롤러
Sc: 차양막 Sc1: 모서리부

Claims (10)

  1. 적어도 일면이 개구된 박스부(100);
    양 끝단이 상기 박스부(100) 내측 양단에 체결되는 샤프트(200); 및
    상기 샤프트(200)의 둘레면에 권취되는 차양막(S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100) 양 단에 형성되는 제 1 체결구(110)에 체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차양막 가이드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상기 차양막(Sc)이 일부 삽입되어 가이드 권출 또는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Sc)은 소정의 제 1 두께를 갖는 면 형상이되, 양 측 모서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두께보다 큰 두께의 소정의 제 2 두께를 갖는 모서리부(Sc1)가 형성되고,
    상기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크되, 상기 제 2 두께보다 작은 크기의 입구(311)를 갖는 제 1 가이드라인부(310)가 형성되어 상기 모서리부(Sc1)가 끼움 삽입됨으로써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 가이드부(300)는,
    상기 박스부(100)와 체결되고, 측면으로 상기 제 1 가이드라인부(310)가 삽입되는 몸체부(320); 및
    상기 몸체부(320)와 체결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라인부(3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20)는 "
    Figure pat00007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라인부(310)는 "
    Figure pat00008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330)는 "
    Figure pat00009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00)와 상기 박스부(100)는 샤프트 가이드부(400)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 가이드부(400)는,
    상기 샤프트(200) 양 끝단에 체결되는 제 2 체결구(420);
    상기 박스부(100) 내측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구(420)가 삽입되어 상기 제 2 체결구(420)를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GM)시키는 제 2 가이드라인부(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구(420)는 일면에 상기 샤프트(200)가 삽입되고, 타면에 상기 제 2 가이드라인부(410)에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GM)되는 가이드롤러(421)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롤러(421)는 상기 제 2 가이드라인부(410)의 하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두 개 이상의 하측롤러(421B) 및 상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상측롤러(421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00)는,
    상기 박스부(10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축부(210);
    상기 축부(210)를 감싸는 원통 형상의 권취부(220); 및
    상기 축부(210)를 감싸는 코일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축부(2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권취부(220)에 연결되는 스프링부(230)를 포함하는 프리 스탑(Free-Stop)형 샤프트(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00)는,
    상기 박스부(10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축부(210);
    상기 축부(210)를 감싸는 원통 형상의 권취부(220); 및
    상기 축부(210)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부(220)를 회전 운동 시키는 모터부가 구비되는 전동형 샤프트(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라인부(310)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기준 간격마다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거치부 및
    상기 모서리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KR1020210049448A 2021-04-15 2021-04-15 스크린 장치 KR20220142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448A KR20220142870A (ko) 2021-04-15 2021-04-15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448A KR20220142870A (ko) 2021-04-15 2021-04-15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870A true KR20220142870A (ko) 2022-10-24

Family

ID=8380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448A KR20220142870A (ko) 2021-04-15 2021-04-15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287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361B1 (ko) 2013-04-17 2018-03-13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모터로 구동되는 창문 가리개
KR101861294B1 (ko) 2017-03-29 2018-05-25 (주)준쉐이드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361B1 (ko) 2013-04-17 2018-03-13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모터로 구동되는 창문 가리개
KR101861294B1 (ko) 2017-03-29 2018-05-25 (주)준쉐이드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3685U (ja) ブラインドシステム
JP4693366B2 (ja) スクリーン装置
EP2021572B1 (en) A screen assembly for a window or door opening
US20130269885A1 (en) Motorized Operating Device Intended for Operating a Movable Screen with a Windable Canvas of a Window Covering Device or a Projection Screen Device
JP2011520504A (ja) 耐歪みローラーチューブのスプリングバイアススライドアレンジメント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KR101871766B1 (ko) 방진 기능이 구비된 롤 타입 방충망
US20130068400A1 (en) Retractable curtain panel with track guide
JP5975712B2 (ja) ロールシェード装置
KR20120100472A (ko)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WO2001002688A1 (en) Roller shade tube with extension wing
KR20220142870A (ko) 스크린 장치
KR200476979Y1 (ko) 차양막 처짐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장치
KR101568298B1 (ko) 차량 차양용 롤 블라인드의 소음 방지장치
CN204827166U (zh) 一种一拖二抗风遮阳窗帘
KR102296902B1 (ko) 전동 롤 블라인드
KR10205302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
KR20200002579U (ko) 롤 블라인드의 하단 웨이트바
CN204899730U (zh) 一种一拖二抗风遮阳窗帘
KR200486630Y1 (ko) 부분 개폐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장치
CN113898283B (zh) 一种弧形门
KR101503487B1 (ko) 스크린 롤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양장치
KR102169815B1 (ko) 블라인드 일체형 폴딩 도어
KR20110074427A (ko)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CN208619024U (zh) 一种设有遮挡装置的装饰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