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472A -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 Google Patents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472A
KR20120100472A KR1020110019391A KR20110019391A KR20120100472A KR 20120100472 A KR20120100472 A KR 20120100472A KR 1020110019391 A KR1020110019391 A KR 1020110019391A KR 20110019391 A KR20110019391 A KR 20110019391A KR 20120100472 A KR20120100472 A KR 20120100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pring
roll
bottom bar
rol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3895B1 (ko
Inventor
손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제
Priority to KR1020110019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895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2Roll-up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창틀 프레임에 설치된 창문에 사용되는 롤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측 상부에 수평 설치되고 내부에 텐션스프링이 형성된 권취롤을 구비한 권취부재와, 상기 권취롤에 감겨져, 권취롤의 회전동작에 의해 하측으로 펼쳐지거나 상측으로 말아 올려지는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 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일측에 손잡이를 구비한 바텀바와, 상기 바텀바 양단에 설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 및 일부가 상기 바디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바텀바 양단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 내측면에 접촉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로 이루어져, 롤 스크린의 차양막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스토퍼를 구비하므로 고장이 나더라도 스토퍼의 교체만으로 수리가 간편하며,
선박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바텀바를 올리거나 내려 원하는 위치까지 차양막을 제어하므로 편의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별도의 부대시설이 필요 없으며 스토퍼의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제작단가가 할인되어 가격경쟁력이 확보된다.

Description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Roll screen with stoper}
본 발명은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차양막을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바텀바 양측에 구비하여, 차양막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스토퍼의 탄성 한도 이상의 하중이 가해져야 움직여 간편하게 작동되는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는, 창틀 프레임의 상단이나 창틀의 상단의 천장 등에 부착하여 봉 형상의 롤러 바에 감긴 스크린을 풀어서 커튼처럼 사용하고, 롤러 바에 스크린을 권취하여 감아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주로 철도 차량의 커튼으로 사용되었으며, 근래에는 가정이나 사무실의 실내 공간에서 수평 블라인드나 버티컬 블라인드 대체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스크린에 다양한 그림이나 사진 등을 부여함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를 높인 제품들도 시판되고 있다.
종래에 통상 쓰여지는 롤 블라인드의 대략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천장이나 창틀 상부의 벽면에 부착되는 채널 부재의 양단에 브래킷을 장착하되, 일측으로는 주동 브래킷을 장착하고, 타측으로는 종동 브래킷을 장착하며, 상기 브래킷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롤러 바에 스크린이 감겨진 형태로, 주동 브래킷의 회전에 따라 롤러 바에 감겨진 스크린이 풀어지거나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주동 브래킷을 구비하여 스크린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 풀거나 권취시키게 된다. 따라서, 주동 브래킷에 연동되는 줄로 이루어진 작동스위치가 구비되거나, 온오프 스위치로 자동으로 주동 브래킷을 작동시키는 자동스위치등이 구비된다.
그러나, 별도의 주동 브래킷을 형성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져, 한번 고장이 발생하며 다시 수리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워, 선박 같이 장기간 육지에 정박하지 못할 경우 많은 불편이 야기된다.
또한, 줄로 이루어진 작동스위치를 사용할 경우 정확하게 스크린의 높이를 제어하기가 어려우며, 줄이 자주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스위치 경우 비용이 비싸며, 선박의 창문에는 별도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설비를 갖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선박에 사용하기 위해 간단한 구조로 스크린을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해 스크린의 위치 선택이 편리하며, 다양한 부대시설이 필요하지 않고 가격이 저렴한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창틀 프레임에 설치된 창문에 사용되는 롤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측 상부에 수평 설치되고 내부에 텐션스프링이 형성된 권취롤을 구비한 권취부재와, 상기 권취롤에 감겨져, 권취롤의 회전동작에 의해 하측으로 펼쳐지거나 상측으로 말아 올려지는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 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일측에 손잡이를 구비한 바텀바와, 상기 바텀바 양단에 설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 및 일부가 상기 바디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바텀바 양단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 내측면에 접촉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권취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카세트부와, 상기 카세트부 양단에 설치되는 사이드부와, 상기 사이드부 사이에 형성되고 내부에 텐션스프링 유닛을 구비한 권취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부는 상부 길이방향 양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 양측에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되 탄성력을 가져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는 탄성판으로 이루어진 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 전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스프링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스프링홈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일측으로 날개편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홈에 삽입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되 상기 날개편이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권치롤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차양막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롤 스크린의 차양막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스토퍼를 구비하므로 고장이 나더라도 스토퍼의 교체만으로 수리가 간편하며,
선박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바텀바를 올리거나 내려 원하는 위치까지 차양막을 제어하므로 편의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별도의 부대시설이 필요 없으며 스토퍼의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제작단가가 할인되어 가격경쟁력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재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재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의 창틀 프레임 내측 상부에 수평 설치되고 내부에 텐션스프링(132)이 형성된 권취롤(130)을 구비한 권취부재(100)와, 상기 권취롤(130)에 감겨져, 권취롤(130)의 회전동작에 의해 하측으로 펼쳐지거나 상측으로 말아 올려지는 차양막(200)과, 상기 차양막(200) 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일측에 손잡이(310)를 구비한 바텀바(300)와, 상기 바텀바(300) 양단에 설치되는 바디부(410)와, 상기 바디부(410)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500) 및 일부가 상기 바디부(41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바텀바(300) 양단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 내측면에 접촉되는 고정부(420)로 이루어지는 스토퍼(400)로 구성된다.
이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재(100)는 상기 차양막(200)을 상측 방향으로 감거나 하측 방향으로 풀어 선박의 창문을 통해 외부를 관찰하거나, 햇빛이 선박의 내부로 투시되도록 하기 위해, 선박의 창틀 프레임 내측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권취부재(100)는 내부에 권취롤(130)을 구비하여 상기 차양막(200)을 감거나 풀 수 있다.
이는, 상기 권취롤(130)이 내부에 텐션스프링(132)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텐션스프링(132)의 압축과 이완에 따라 상기 차양막(200)이 감거나 풀린다. 상술하면, 상기 차양막(200)을 아래로 풀면 상기 텐션스프링(132)이 압축되게 되고, 후술하는 스토퍼(400)를 중지시키면 이완되어 차양막(200)이 감기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부재(1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카세트부(110)와, 상기 카세트부(110) 양단에 설치되는 사이드부(120)와, 상기 사이드부(120) 사이에 형성되고 내부에 텐션스프링(132) 유닛을 구비한 권취롤(130)로 구성된다.
상기 카세트부(110)는 강도와 경도가 강한 합성수지이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되 상기 창틀 프레임 내부 상측에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창틀 프레임 상측의 폭에 대응되게 된다.
상기 사이드부(120)는 상기 카세트부(110) 양단에 설치되되,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 형성된 사이로 상기 권취롤(13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사이드부(120)는 내측 양단으로 상기 가이드바(140)를 결합하게 되고, 상기 권취롤(130)은 상기 가이드바(140)에 의해 가이드 되는 상기 차양막(200)을 권취하게 된다.
상기 권취롤(130)은 상기 사이드부(120) 사이에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텐션스프링(132)을 구비하여 상기 차양막(200)을 권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140)는 상기 사이드부(12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권치롤(130)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차양막(200)의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세트부(110)는 상부 길이방향 양측으로 결합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체결판(152)과 상기 체결판(152) 양측에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되 탄성력을 가져 상기 결합홈(112)에 체결되는 탄성판(154)으로 이루어진 브라켓(150)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50)의 체결판(152)을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먼저 결합하여, 상기 카세트부(110) 상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112)을 통해 상기 탄성판(154)을 압축하여 결합시키면 된다.
이는, 상기 권취롤(130)이 오작동등의 불량 발생시 상기 카세트부(110)를 효과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200)은 상기 권취롤(130)에 감겨져, 권취롤(130)의 회전동작에 의해 하측으로 펼쳐지거나 상측으로 말아 올려져, 외부와 내부를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 차양막(200)은 불에 잘 타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게 된다. 이는, 선박은 화재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텀바(300)는 상기 차양막(200)의 하단부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일측에 손잡이(310)를 구비하여 차양막(200)을 내리거나 올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400)는 상기 바텀바(300) 양단에 설치되는 바디부(410)와, 상기 바디부(410)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500) 및 일부가 상기 바디부(41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바텀바(300) 양단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 내측면에 접촉되는 고정부(420)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200)을 아래로 풀면 상기 텐션스프링(132)이 압축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스토퍼(400)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400)는 항상 상기 고정부(420)가 상기 스프링(500)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420)와 상기 프레임 내측면이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해 차양막(200)을 일정위치에 고정시키게 되며, 사용자는 마찰력을 넘어서는 하중을 가하여 상기 차양막(200)을 위아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바디부(410)의 재질은 강도와 경도가 강한 플라스틱재질이며, 내부에 상기 스프링(50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420)는 상기 스프링(500)에 연동되어 압축 및 이완되며, 마모성이 강한 재질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420)의 전면은 편편하게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 내측면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410) 전면에 수용홈(41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412)에서 상기 스프링(5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스프링홈(414)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412) 일측으로 가이드공(416)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420)는 일측으로 날개편(422)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00)이 상기 스프링홈(414)에 삽입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고정부(420)의 일부가 상기 수용홈(412)에 수용되되 상기 날개편(422)이 상기 가이드공(416)에 삽입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바디부(410)의 전면에 일정 거리 만큼 상기 수용홈(412)이 절개 형성된다. 이는 상기 고정부(420)가 상기 바디부(410)에 형성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410)는 순차적으로 수용홈(412)에서 일정 거리 만큼 더 절개하여 상기 스프링(500)이 삽입되기 위한 상기 스프링홈(4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410)는 상기 수용홈(412)이 형성된 일측으로 상기 가이드공(416)이 통공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420)는 상기 수용홈(412)과 상기 스프링홈(41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420)는 상기 바디부(410) 내부에 형성되나, 상기 스프링(500)이 먼저 상기 스프링홈(414)에 형성되므로 스프링(500)이 압축 및 이완되는 길이만큼 상기 바디부(410)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20)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날개편(422)을 형성시켜, 상기 날개편(422)이 상기 가이드공(416)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고정부(420)가 상기 바디부(4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상기 날개편(422)은 상기 스프링(500)이 압축될 경우 상기 가이드공(416) 후측으로 이동되게 되며, 이완될 경우 상기 가이드공(416) 전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선박에서 롤 스크린의 차양막을 일정 위치 고정시키기 위해 바텀바 양단에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권취부재 110: 카세트부
120: 사이드부 130: 권취롤
140: 가이드바 150: 브라켓
200: 차양막 300: 바텀바
310: 손잡이 400: 스토퍼
410: 바디부 420: 고정부

Claims (5)

  1. 선박의 창틀 프레임에 설치된 창문에 사용되는 롤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측 상부에 수평 설치되고, 내부에 텐션스프링(132)이 형성된 권취롤(130)을 구비한 권취부재(100)와;
    상기 권취롤(130)에 감겨져, 권취롤(130)의 회전동작에 의해 하측으로 펼쳐지거나 상측으로 말아 올려지는 차양막(200)과;
    상기 차양막(200) 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일측에 손잡이(310)를 구비한 바텀바(300)와;
    상기 바텀바(300) 양단에 설치되는 바디부(410)와, 상기 바디부(410)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500) 및 일부가 상기 바디부(41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바텀바(300) 양단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 내측면에 접촉되는 고정부(420)로 이루어지는 스토퍼(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재(1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카세트부(110)와;
    상기 카세트부(110) 양단에 설치되는 사이드부(120)와;
    상기 사이드부(120) 사이에 형성되고 내부에 텐션스프링(132) 유닛을 구비한 권취롤(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부(110)는,
    상부 길이방향 양측으로 결합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체결판(152)과 상기 체결판(152) 양측에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되 탄성력을 가져 상기 결합홈(112)에 체결되는 탄성판(154)으로 이루어진 브라켓(1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410),
    전면에 수용홈(41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412)에서 상기 스프링(5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스프링홈(414)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412) 일측으로 가이드공(416)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420)는 양측으로 날개편(422)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00)이 상기 스프링홈(414)에 삽입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고정부(420)의 일부가 상기 수용홈(412)에 수용되되 상기 날개편(422)이 상기 가이드공(416)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부(12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권치롤(130)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차양막(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1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KR1020110019391A 2011-03-04 2011-03-04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KR101263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391A KR101263895B1 (ko) 2011-03-04 2011-03-04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391A KR101263895B1 (ko) 2011-03-04 2011-03-04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472A true KR20120100472A (ko) 2012-09-12
KR101263895B1 KR101263895B1 (ko) 2013-05-15

Family

ID=4711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391A KR101263895B1 (ko) 2011-03-04 2011-03-04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8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377B1 (ko) * 2013-04-24 2014-12-22 주식회사 티이씨씨 디스플레이패널 검사용 편광필름 지지모듈, 프로브 유닛 및 디스플레이패널 검사장치
KR101694244B1 (ko) * 2015-07-23 2017-01-09 고구려시스템(주)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20170012173A (ko) * 2016-12-08 2017-02-02 고구려시스템(주)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20180086327A (ko) * 2017-01-20 2018-07-31 권은순 독립적으로 작동하면서 각각 투광부와 차광부, 또는 무늬부와 비무늬부를 갖는 롤블라인드 세트 및 롤블라인드 세트의 문양표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522B1 (ko) 2015-08-07 2016-08-26 주식회사 신화인텍 암막 기능이 강화된 선박용 롤 스크린 장치
KR102121491B1 (ko) * 2019-01-07 2020-06-11 주식회사 유일라이트메탈 롤타입의 방충방진망
KR102169815B1 (ko) * 2019-03-11 2020-10-26 주식회사분도이엔지 블라인드 일체형 폴딩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7872A (ja) 2000-09-27 2002-04-05 Penta Ocean Constr Co Ltd ロールスクリーン
JP2005113577A (ja) 2003-10-09 2005-04-28 Kyowa Kogyo:Kk 外付けロールスクリーン
KR100797931B1 (ko) 2007-11-14 2008-01-24 곽재석 롤 방충망의 손잡이 잠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377B1 (ko) * 2013-04-24 2014-12-22 주식회사 티이씨씨 디스플레이패널 검사용 편광필름 지지모듈, 프로브 유닛 및 디스플레이패널 검사장치
KR101694244B1 (ko) * 2015-07-23 2017-01-09 고구려시스템(주)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20170012173A (ko) * 2016-12-08 2017-02-02 고구려시스템(주)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20180086327A (ko) * 2017-01-20 2018-07-31 권은순 독립적으로 작동하면서 각각 투광부와 차광부, 또는 무늬부와 비무늬부를 갖는 롤블라인드 세트 및 롤블라인드 세트의 문양표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895B1 (ko)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895B1 (ko)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EP2317062B1 (en) A blind system
US9670721B2 (en) Guide arrangement for hangings
US20150292261A1 (en) Roller curtain structure
CA2776987C (en) Screen device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KR101492050B1 (ko) 기밀성 블라인드 장치
EP1836371B1 (en) A winding device for a cord guidance system of a screening device for the screening of a window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KR200447420Y1 (ko) 차양장치
CN214273462U (zh) 一种窗帘拉绳的安全装置
JP5713496B2 (ja) オーニング装置兼用開閉装置
JP4588475B2 (ja) 開閉装置
JP5713497B2 (ja) オーニング装置兼用開閉装置
US11391088B2 (en) Roller blind assembly
JP5556127B2 (ja) オーニング装置
JP6741604B2 (ja) スクリーン装置
AU2011101241B4 (en) A blind system
KR102669195B1 (ko) 패브릭 텐션 장치
JP4641198B2 (ja) 開閉装置
JP3989759B2 (ja) ブラインド
KR20110074427A (ko)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KR102344579B1 (ko)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의 개폐손잡이
CN220081280U (zh) 一种卷帘门电机过度转动保护器
KR102669666B1 (ko) 수직, 수평, 경사각으로 설치 가능한 전동식 롤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