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617A -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617A
KR20220142617A KR1020210048884A KR20210048884A KR20220142617A KR 20220142617 A KR20220142617 A KR 20220142617A KR 1020210048884 A KR1020210048884 A KR 1020210048884A KR 20210048884 A KR20210048884 A KR 20210048884A KR 20220142617 A KR20220142617 A KR 20220142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harging
garnish
coupl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우
양승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8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2617A/ko
Priority to US17/528,603 priority patent/US20220332199A1/en
Priority to CN202111501339.6A priority patent/CN115214802A/zh
Publication of KR20220142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07Measures or means for preventing or attenuating collisions
    • B60L3/0015Prevention of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부를 차폐하며, 상기 충전부가 구비된 하우징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충전구 도어부 및 상기 충전구 도어부에 구비된 회전축부와 결합되며, 상기 충전구 도어부를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회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CHARGING DOOR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 도어 개방 시, 충전 도어 일측이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충전건과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미국과 유럽의 경우 대기보존법 제정에 의해 전기자동차 보급이 의무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국내에서도 저탄소 녹색 성장의 일환으로 그린카(Green car)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는데, 이 중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한편, 전기자동차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전기자동차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며, 충전을 위하여 전기자동차의 차체에는 인렛(Inlet)이 마련되고, 충전 스테이션에는 전기에너지를 전기자동차로 전달하기 위하여 인렛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가 마련된다.
통상적으로, 전기자동차의 인렛은 비 또는 눈 등과 같은 환경에 노출되는 것으로부터 인렛 내부를 보호할 수 있는 커버가 마련되어 있으며, 차체의 충전부 전체를 덮는 충전구 도어가 마련된다.
종래 기술로써, 충전구 도어와 인렛 커버가 합쳐진 일체형 인렛 커버를 적용하여 충전부를 보호하거나, 별개의 충전구 도어 및 인렛 커버를 각각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구조가 존재한다.
그러나, 일체형 인렛 커버 적용시에는 습기, 열 등에 의하여 플라스틱 소재의 충전구 도어에 변형이 발생하여 인렛 커버가 인렛에 장착되지 않아 필드 클레임이 과다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별개의 충전구 도어 및 인렛 커버를 각각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충전구 도어의 돌출량이 많으면 충전건과의 간섭으로 충전구 도어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만일 힌지가 길면, 개폐 시 유동을 규제하기 힘들고, 또한 원가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한 충전 도어의 개방 시, 회전에 의해 아우터 가니쉬의 후면에 매칭된 충전 도어 상단부는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게 하고, 인너 가니쉬의 전면에 매칭된 충전 도어 하단부만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외부로 돌출되는 충전 도어의 면적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충전 시 충전건과의 간섭으로 인한 충전 도어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는 충전부를 차폐하며, 상기 충전부가 구비된 하우징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충전구 도어부 및 상기 충전구 도어부에 구비된 회전축부와 결합되며, 상기 충전구 도어부를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회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충전부가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가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면 테두리에 결합되는 가니쉬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가니쉬는 상기 본체의 전면 테두리에 체결되는 인너 가니쉬 및 상기 인너 가니쉬의 전면에 결합되는 아우터 가니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가니쉬는 상기 인너 가니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인너 가니쉬의 상측과 단차가 발생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가니쉬는 상기 인너 가니쉬와 마주하는 위치에 복수의 클립을 구비하며, 상기 인너 가니쉬는 복수의 상기 클립이 걸림 위치되게 하는 걸릴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아우터 가니쉬가 전면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충전구 도어부는 상기 아우터 가니쉬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후면에 상기 회전축부가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회전축부의 결합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으로 설정된 상기 도어의 상부 테두리를 따르며 돌출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는 상기 충전구 도어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수밀 구조를 형성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결합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아우터 가니쉬의 후면과 매칭되는 제1실링부 및 상기 제1실링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하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인너 가니쉬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재의 전면과 매칭되는 제2실링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체결되어 고정된 판넬 힌지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판넬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서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제1결합부로 전달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충전구 도어부는 개방 위치로 회전 이동함에 있어,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다.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한 충전 도어의 개방 시, 회전에 의해 아우터 가니쉬의 후면에 매칭된 충전 도어 상단부는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게 하고, 인너 가니쉬의 전면에 매칭된 충전 도어 하단부만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외부로 돌출되는 충전 도어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충전을 위해 충전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가 되면, 돌출 면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충전건과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에 대한 충전구 도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에 대한 인너 가니쉬 및 아우터 가니쉬의 분리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에 대한 회전축부 및 액츄에이터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 장치에 대한 충전구 도어부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에 대한 충전구 도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에 대한 인너 가니쉬 및 아우터 가니쉬의 분리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에 대한 회전축부 및 액츄에이터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6 내지 도 9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 장치에 대한 충전구 도어부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는 충전구 도어부(100), 실링부재(200) 및 액츄에이터(300)를 포함한다.
충전구 도어부(100)는 전기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부를 차폐하며, 충전부가 구비된 하우징(10)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충전구 도어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0) 및 결합 가이드(120)로 이루어진다.
도어(110)는 하우징(10)의 전면 형상, 구체적으로는 인너 가니쉬(14), 또는 아우터 가니쉬(16)의 개방된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면에는 회전축부(20)가 결합된다.
도어(110)는 폐쇄 위치에서 차량의 외부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10)는 하우징(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해당하는 것일 뿐 정해진 것은 아니며, 하우징(10)의 형상에 따라 원형 등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어(110)는 하우징(10) 내부에 결합된 회전축부(2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부(20)를 기준으로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결합 가이드(120)는 회전축부(20)의 결합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설정된 도어(110)에서, 도어(110)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부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다.
결합 가이드(120)는 실링부재(20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폭 길이로 형성되며, 도어(110)의 상부 테두리에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는, 도어(110)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 가이드(120) 구성을 추가, 도어(110) 상에 실링부재(200)가 고정 배치되게 하고, 그에 따라 도어(110)의 폐쇄 위치에서 실링부재(200)가 아우터 가니쉬(16)의 후면과 매칭되어 걸림 위치되게 함으로써, 하우징(10)의 상측에 대한 수밀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2 참조).
하우징(10)은 충전부가 구비되기 위한 본체(12)를 구비하며, 도어(110)의 폐쇄 위치에서 걸림이 가능하도록 인너 가니쉬(14) 및 아우터 가니쉬(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인너 가니쉬(14)는 본체(12)의 전면 테두리에 배치되며, 복수의 체결부재(14a)를 관통시켜 본체(12) 전면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너 가니쉬(14)는 하부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재(15)를 구비하여 도어(110)의 폐쇄 위치를 가이드 하며, 돌출부재(15)에 실링부재(200)가 매칭되게, 즉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향하는 도어(110) 이동 시 그 하부가 실링부재(200)와 함께 걸림 위치되게 함으로써, 하우징(10)에 대한 수밀 구조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아우터 가니쉬(16)는 인너 가니쉬(14)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인너 가니쉬(14)의 전면에 결합된다.
아우터 가니쉬(16)는 인너 가니쉬(14)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클립(16a)을 구비하며, 이러한 클립(16a)은 인너 가니쉬(14)의 걸림돌기(14b)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14b)는 클립(16a)의 위치 및 개수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따라서 아우터 가니쉬(16)는 복수개의 클립(16a)을 각각 걸림돌기(14b) 내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인너 가니쉬(14)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아우터 가니쉬(16)는 인너 가니쉬(14)와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 장비 없이 외측으로 당기는 동작만으로 고정된 인너 가니쉬(14)에서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인너 가니쉬(14)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4a)를 통해 하우징(10)에 결합, 고정되기 때문에, 아우터 가니쉬(16)를 상기의 방식으로 결합시켜 체결부재(14a)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아우터 가니쉬(16)를 손쉽게 제거한 이후, 체결부재(14a)를 제거하여 순차적으로 인너 가니쉬(14) 및 하우징(10)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아우터 가니쉬(16)는 인너 가니쉬(14)와 결합됨에 있어서, 상부의 폭 길이(L1)가 인너 가니쉬(14)의 상부의 폭 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서 단차가 발생되도록 한다(도 4 참조).
즉, 도 2를 참조하여 볼 때, 아우터 가니쉬(16) 상부의 폭 길이(L1)가 인너 가니쉬 상부의 폭 길이(L2) 보다 길게 이루어지므로,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향하는 도어(110)의 이동 시, 그 상부가 실링부재(200)와 함께 단차면(A)에 걸림 위치되는 것이며, 결국 하우징(10)에 대한 수밀 구조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향하는 도어(110)의 이동 시, 상부는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단차면(A)에 걸림 위치되며, 하부는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돌출부재(15)에 의해 걸림 위치되게 함으로써, 폐쇄 위치로 이동한 도어(110)에 대하여 물리적으로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실링부재(200)는 충전구 도어부(100)에 결합되며, 하우징(10)에 대한 수밀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링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링부(210) 및 제2실링부(220)를 구비한다.
제1실링부(210)는 결합 가이드(120)에 결합되어 도어(11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도어(110)의 폐쇄 위치에서 아우터 가니쉬(16)의 후면, 더 구체적으로는 도 2의 단차면(A)과 매칭된다.
제1실링부(210)는 고무 등과 같은 충격 흡수가 가능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상은 결합 가이드(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실링부(220)는 제1실링부(210)와 일체로 연결되어 도어(110)의 하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도어(110)의 폐쇄 위치에서 인너 가니쉬(14)의 전면, 더 구체적으로는 돌출부재(15)와 매칭된다.
제2실링부(220)는 제1실링부(210)와 동일하게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형상 또한 도어(110)의 하부 테두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츄에이터(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구 도어부(100)에 구비된 회전축부(20)와 결합되는 한편,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충전구 도어부(100)를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회전 이동시킨다.
이러한 액츄에이터(300)와 결합된 회전축부(20)는 도 5에서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22) 및 제2결합부(24)를 구비한다.
제1결합부(22)는 하우징(10)의 일측에서 체결부재(30a)를 통해 체결된 판넬 힌지부(30)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판넬 힌지부(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결합부(22)는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 배치된 판넬 힌지부(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300) 구동 시 판넬 힌지부(30)를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24)는 하우징(10)의 타측에서 액츄에이터(300)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2결합부(24)는 액츄에이터(300)와 비교적 짧은 힌지 거리를 두고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력 전달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24)는 액츄에이터(300)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된 회전력을 제1결합부(22) 측으로 전달한다.
다시 말해, 제2결합부(24)는 액츄에이터(300)에서 연장된 로드(310)와 직접 체결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300)가 구동함에 따라, 로드(310)가 회전하게 되면, 먼저 제2결합부(24)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회전축부(20)를 통해 그 회전력이 제1결합부(22)로 전달되어 함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부(20) 구조에서는 제1결합부(22)가 고정된 판넬 힌지부(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회전축부(20)의 좌우 또는 상하 유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300)의 구동 시, 제2결합부(24)가 회전하게 되면, 별도의 개별적인 구동 장치 없이 제2결합부(2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결합부(22) 또한 회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어, 부품 수 축소에 따른 구조적 간소화를 이루면서도 충전구 도어부(1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된 구조를 바탕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구 도어부(100)에 대한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로의 회전 이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구 도어부(100)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축부(20)의 결합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으로 설정된 도어(110)의 상부 테두리, 더 구체적으로는 결합 가이드(120)에 결합된 제1실링부(210)는 아우터 가니쉬(16) 후면의 단차면(A)과 매칭된다.
그리고, 회전축부(20)의 결합 위치를 기준으로 하측에 해당하는 도어(110)의 하부 테두리는 제2실링부(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인너 가니쉬(14)의 돌출부재(15) 전면과 매칭된다.
그에 따라, 충전구 도어부(100)는 인너 가니쉬(14) 및 아우터 가니쉬(16)에 걸림 위치되어 하우징(10) 전면에서 폐쇄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만일 충전부에 충전건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도어(110)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액츄에이터(300)가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300)가 구동하게 되면, 로드(310)가 회전하게 되고, 로드(310)와 결합된 제2결합부(24)가 일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그 회전력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축부(20)를 통해 연결된 제1결합부(22)로 전달되어 도어(110)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도어(110)의 상부 테두리는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게 되며, 이와 대응되도록 도어(110)의 하부 테두리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결국, 회전축부(20)가 하우징(10) 내부에서 충전부를 가리지 않는 수준에서 도어(110)를 상부 또는 하부로 구획하고, 개방 위치로의 도어(110)의 회전 이동 시, 도어(110)의 하부 테두리만이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돌출되는 도어(110)의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충전건과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한 충전 도어의 개방 시, 회전에 의해 아우터 가니쉬의 후면에 매칭된 충전 도어 상단부는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게 하고, 인너 가니쉬의 전면에 매칭된 충전 도어 하단부만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외부로 돌출되는 충전 도어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충전을 위해 충전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가 되면, 돌출 면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충전건과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충전구를 구비한 전기자동차에 한정하여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전기자동차 이외의 차량 또한 적용이 가능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2 : 본체
14 : 인너 가니쉬 14a, 30a : 체결부재
14b : 걸림돌기 15 : 돌출부재
16 : 아우터 가니쉬 16a : 클립
20 : 회전축부 22 : 제1결합부
24 : 제2결합부 30 : 판넬 힌지부
100 : 충전구 도어부 110 : 도어
120 : 결합 가이드 200 : 실링부재
210 : 제1실링부 220 : 제2실링부
300 : 액츄에이터 310 : 로드

Claims (9)

  1. 충전부를 차폐하며, 상기 충전부가 구비된 하우징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충전구 도어부; 및
    상기 충전구 도어부에 구비된 회전축부와 결합되며, 상기 충전구 도어부를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회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충전부가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가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면 테두리에 결합되는 가니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니쉬는,
    상기 본체의 전면 테두리에 체결되는 인너 가니쉬; 및
    상기 인너 가니쉬의 전면에 결합되는 아우터 가니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가니쉬는,
    상기 인너 가니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인너 가니쉬의 상측과 단차가 발생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가니쉬는,
    상기 인너 가니쉬와 마주하는 위치에 복수의 클립을 구비하며,
    상기 인너 가니쉬는, 복수의 상기 클립이 걸림 위치되게 하는 걸릴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아우터 가니쉬가 전면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구 도어부는,
    상기 아우터 가니쉬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후면에 상기 회전축부가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회전축부의 결합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으로 설정된 상기 도어의 상부 테두리를 따르며 돌출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구 도어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수밀 구조를 형성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결합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아우터 가니쉬의 후면과 매칭되는 제1실링부; 및
    상기 제1실링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하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인너 가니쉬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재의 전면과 매칭되는 제2실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체결되어 고정된 판넬 힌지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판넬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서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제1결합부로 전달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구 도어부는,
    개방 위치로 회전 이동함에 있어,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KR1020210048884A 2021-04-15 2021-04-15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KR20220142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884A KR20220142617A (ko) 2021-04-15 2021-04-15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US17/528,603 US20220332199A1 (en) 2021-04-15 2021-11-17 Charging Door Device for Vehicle
CN202111501339.6A CN115214802A (zh) 2021-04-15 2021-12-09 用于车辆的充电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884A KR20220142617A (ko) 2021-04-15 2021-04-15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617A true KR20220142617A (ko) 2022-10-24

Family

ID=8360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884A KR20220142617A (ko) 2021-04-15 2021-04-15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32199A1 (ko)
KR (1) KR20220142617A (ko)
CN (1) CN1152148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3167B2 (en) * 2021-11-19 2024-05-28 Polestar Performance Ab Snow protector for vehicle charge port
USD1014364S1 (en) 2021-11-19 2024-02-13 Polestar Performance Ab Snow protector for vehicle charge 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14802A (zh) 2022-10-21
US20220332199A1 (en)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3336B2 (ja) 充電ポート構造
KR20220142617A (ko) 차량용 충전 도어장치
EP2899057B1 (en) External charge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EP2623351B1 (en) Arrangement structure for charging port cover
CN104640727B (zh) 充电端口构造
CN104979115B (zh) 电动车辆检修断路器锁
EP2712752B1 (en) Working vehicle
US10711506B2 (en) Charge port assembly with motorized iris door
US20130153257A1 (en) Arrangement structure for charging port cover
BR102017023031B1 (pt) Unidade de tampa de carga e veículo automóvel
JP6733311B2 (ja) 車外給電装置
US10821813B2 (en) Convertible skeleton door
CN109986981A (zh) 充电总成和利用安装到车轮的充电端口的方法
JP3795225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部構造
JP6089528B2 (ja) 充電ポート構造
JP6015277B2 (ja) 充電ポート構造
CN210063163U (zh) 一种集成于后保的充电口保护装置
US10822846B2 (en) Latch mechanism for a vehicle
CN105235608A (zh) 电动汽车充电插座装饰盖总成
KR20210117442A (ko) 차량용 가동 파트의 결빙 방지 구조
CN205098091U (zh) 电动汽车充电插座装饰盖总成
KR102472403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구조
JP6065487B2 (ja) 車載カメラの取り付け構造
CN210734316U (zh) 车辆
KR20220077426A (ko) 차량용 충전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