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806A - 전달 기구 - Google Patents

전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806A
KR20220141806A KR1020227028013A KR20227028013A KR20220141806A KR 20220141806 A KR20220141806 A KR 20220141806A KR 1020227028013 A KR1020227028013 A KR 1020227028013A KR 20227028013 A KR20227028013 A KR 20227028013A KR 20220141806 A KR20220141806 A KR 20220141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air
axis
p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사이토
나오유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산쿄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산쿄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산쿄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14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0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25/0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intermediate members guided along tracks on both rotary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5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comprising a carrier with pins guiding at least one orbital gear with circular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0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25/0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intermediate members guided along tracks on both rotary members
    • F16H2025/06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intermediate members guided along tracks on both rotary members the intermediate members being rollers supported in a chain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에 적합하고, 운동 전달 오차를 저감할 수 있는 전달 기구를 제공한다. 전달 기구(101)는, 캠(102)과, 캠(102)의 측면(103)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핀(105)과, 복수의 가이드 구멍(109a, 109b)이 마련된 가이드 플레이트(107a, 107b)와, 캠(102)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기어(106a, 106b)를 구비하고, 각 핀(105)은, 한 쌍의 기어(106a, 106b) 중 일방에만 접촉하고, 캠(102)의 회전에 따라, 각 핀(105)이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109a, 109b)으로 안내되어 캠(102) 및 대응하는 기어(106a, 106b)를 따라 운동함으로써, 가이드 플레이트(107a, 107b) 또는 한 쌍의 기어(106a, 106b)가 캠(102)에 대하여 회전한다.

Description

전달 기구
본 발명은, 소형화에 적합하고, 운동 전달 오차를 저감할 수 있는 전달 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타원 캠과, 롤러를 개재하여 타원 캠의 외주에 접하는 롤러 링크와, 타원 캠과 동축(同軸)의 가이드 플레이트와, 롤러 링크의 각 핀의 양단에 대응하는 한 쌍의 내치(內齒)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감속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감속 기구에 있어서, 타원 캠을 입력축으로 하고, 가이드 플레이트 또는 한 쌍의 내치 플레이트를 출력축으로 하며, 가이드 플레이트는, 롤러 링크의 롤러용의 각 핀에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을 원형으로 배열하고, 한 쌍의 내치 플레이트는, 롤러 링크의 핀 개수보다 많은 치수(齒數)의 내치를 원형으로 형성하고, 롤러 링크의 각 핀은, 타원 캠의 회전에 따라, 각 가이드 구멍, 내치의 쌍방을 개재하여 가이드되며, 내치의 이흠(tooth space)으로 진퇴하여 가이드 플레이트 또는 한 쌍의 내치 플레이트를 상대 회전시킨다.
특허 문헌 2에는, 환상(環狀) 홈이 표면에 형성된 제 1 캠과, 환상 홈 내에 배치되어, 환상 홈 내를 자유롭게 전동하는 복수의 단을 가지는 핀과, 각 단을 가지는 핀의 운동을 개별적으로 규제하는 원형 구멍이 복수 배열된 제 2 캠과, 단을 가지는 핀에 맞물리는 톱니를 가지고, 제 1 캠의 회전 운동을 소정의 감속비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 3 캠을 구비하는 감속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4-251374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09-281422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감속 기구는, 핀이 입력축의 회전을 받는 타원 캠의 입력축측과 출력축측과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입력축측에서는 일방의 내치 플레이트와 접촉하고, 출력축측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타방의 내치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입력축측과 출력축측과의 양측에 존재하는 한 쌍의 내치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형상 오차, 조립 시 위상 오차가 있으면, 양단에서 한 쌍의 내치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핀은 경사져버리고, 이 경사에 의해, 입력축측과 출력축측과의 사이에 운동 전달 오차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2의 감속장치는, 단을 가지는 핀이 환상 홈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단을 가지는 핀이 환상 홈과의 접촉에 의해 마모되기 쉬어, 장수명화를 기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소형화에 적합하고, 운동 전달 오차를 저감할 수 있는 전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의하면, 전달 기구가, 제 1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제 1 축으로서, 제 1 축이, 제 1 축과 동심(同心)으로 제 1 축에 고정된 캠을 구비하고, 캠의 측면이, 제 1 회전 축선에서 볼 때 정(正)의 곡률을 가지는, 제 1 축과, 캠의 측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핀과, 제 2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제 2 축과, 제 2 축과 동심인 가이드 플레이트로서,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제 2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 구멍이 마련되고, 각 핀이,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에 수용되어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제 2 축과 동심인 한 쌍의 기어로서, 캠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기어를 구비하고, 각 핀이, 한 쌍의 기어 중 어느 일방에만 접촉하고, 제 1 축 및 제 2 축 중 일방의 회전에 따라, 각 핀이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으로 안내되어 캠 및 대응하는 기어를 따라 운동함으로써, 제 1 축 및 제 2 축 중 타방이 제 1 축 및 제 2 축 중 일방에 대하여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각 핀이, 인접하는 2개의 핀 중 적어도 일방과는 상이한 한 쌍의 기어 중 어느 일방에만 접촉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각 핀이, 인접하는 2개의 핀 중 적어도 일방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가이드 플레이트가, 캠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이며, 각 핀이,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중 어느 일방의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에 수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각 핀이, 인접하는 2개의 핀 중 적어도 일방과는 상이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중 어느 일방의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에 수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가이드 플레이트 및 한 쌍의 기어 중 어느 일방이, 제 2 축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한 쌍의 기어의 각각이, 내치 기어이며, 복수의 핀이, 캠의 외측에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각 기어가 내치 기어인 경우에, 제 1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일주(一周)하여 얻어지는 캠의 측면의 곡률이 2개 이상의 극대값을 가지고, 한 쌍의 기어의 각각의 치부(齒部)의 수가, 복수의 핀의 수와 극대값의 수의 합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한 쌍의 기어의 각각은, 외치 기어이며, 복수의 핀이, 캠의 내측에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있어서, 각 기어가 외치 기어인 경우에, 제 1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일주하여 얻어지는 캠의 측면의 곡률이 2개 이상의 극대값을 가지고, 복수의 핀의 수가, 한 쌍의 기어의 각각의 치부의 수와 극대값의 수의 합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핀이 한 쌍의 기어 중 어느 일방에만 접촉함으로써, 형상 오차 및 조립 오차에 의한 입력축측과 출력축측과의 사이의 운동 전달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 관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전달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전달 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1d는 도 1a의 전달 기구의, 도 1b의 D-D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e는 도 1a의 전달 기구의, 도 1d의 E-E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f는 도 1a의 전달 기구의, 도 1d의 F-F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g는 도 1a의 전달 기구의, 도 1d의 G-G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h는 도 1a의 전달 기구의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전달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전달 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2d는 도 2a의 전달 기구의, 도 2b의 D-D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e는 도 2a의 전달 기구의, 도 2d의 E-E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f는 도 2a의 전달 기구의, 도 2d의 F-F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g는 도 2a의 전달 기구의, 도 2d의 G-G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h는 도 2a의 전달 기구의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전달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전달 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3d는 도 3a의 전달 기구의, 도 3b의 D-D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e는 도 3a의 전달 기구의, 도 3d의 E-E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f는 도 3a의 전달 기구의, 도 3d의 F-F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g는 도 3a의 전달 기구의, 도 3d의 G-G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전달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전달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전달 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4d는 도 4a의 전달 기구의, 도 4b의 D-D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e는 도 4a의 전달 기구의, 도 4d의 E-E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f는 도 4a의 전달 기구의, 도 4d의 F-F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g는 도 4a의 전달 기구의, 도 4d의 G-G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전달 기구에 있어서의 핀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핀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핀의 상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도 5c를 참조하여, 전달 기구(101)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전달 기구(101)는, 제 1 회전 축선(10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제 1 축(도시되지 않음)과, 제 2 회전 축선(10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제 2 축(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제 1 회전 축선(104)과 제 2 회전 축선(108)은 동일 선상이어도 된다. 제 1 축이 입력축, 제 2 축이 출력축이어도 된다. 또한, 제 2 축이 입력축, 제 1 축이 출력축이어도 된다. 제 1 축은, 제 1 축과 동심으로 제 1 축에 고정된 캠(102)을 구비한다. 전달 기구(101)는, 캠(102)의 측면(103)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핀(105)과, 제 2 축과 동심이며, 제 2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 구멍이 마련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제 2 축과 동심인 한 쌍의 기어를 더 구비한다. 각 핀(105)은, 가이드 플레이트에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 구멍 중 대응하는 어느 가이드 구멍에 수용된다. 한 쌍의 기어는, 제 2 축과 동심이며, 제 2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치부를 가지는 제 1 기어(106a)와, 제 2 축과 동심이며, 제 2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치부를 가지는 제 2 기어(106b)로 구성된다.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는, 그들의 사이에 캠(102)을 끼우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는, 전달 기구(101)를 상면에서 볼 때, 제 1 기어(106a)의 치부 및 제 2 기어(106b)의 치부의 위치를 대략 일치시켜 치부의 위상을 대략 일치시키도록 배치된다.
캠(102)의 측면(103)은, 제 1 회전 축선(104)에서 볼 때 정(正)의 곡률을 가진다. 즉, 제 1 회전 축선(104)에 수직인 평면에 있어서의 캠(102)의 측면(103)의 단면에 있어서, 캠(102)의 측면(103)의 법선 벡터가 제 1 회전 축선(104)의 방향을 향하는 경우를 정의 곡률로 하면, 캠(102)의 측면(103)의 곡률은, 단면에 있어서 항상 정이다. 도 1a~도 1h 및 도 3a~도 3g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기어가 내치 기어인 경우에는, 캠(102)은, 제 1 회전 축선(104)에서 볼 때 볼록 형상의 측면을 가지는 주체(柱體)에 의한 측면(103)을 가져도 된다. 도 2a~도 2h 및 도 4a~도 4g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기어가 외치 기어인 경우에는, 캠(102)은, 제 1 회전 축선(104)에서 볼 때 볼록 형상의 측면을 가지는 주체의 관통 구멍에 의한 측면(103)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캠(102)의 측면(103)은, 제 1 회전 축선(104)을 중심으로 하여, 타원통, 또는 대략 정삼각통, 대략 정사각통, 대략 정오각통, 등과 같은 대략 정다각통의 측면의 형상을 가져도 된다.
각 핀(105)은,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 중 어느 일방에만 접촉한다. 각 핀(105)은, 캠(102)에 대하여 일방의 측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으며,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 중 어느 일방에만 접촉할 수 있다. 각 핀(105)은, 제 1 축 및 제 2 축 중 일방의 회전에 따라,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으로 안내되어, 캠(102) 및 대응하는 기어를 따라 운동하고, 그에 따라, 제 1 축 및 제 2 축 중 타방이 제 1 축 및 제 2 축 중 일방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예를 들면, 각 핀(105)은, 입력축으로서의 제 1 축 또는 제 2 축이 회전하면, 그 핀(105)이 수용되어 있는 가이드 구멍으로 안내되어, 캠(102), 및 제 1 기어(106a) 또는 제 2 기어(106b)를 따라 운동한다. 이 각 핀(105)의 운동에 의해 출력축으로서의 제 2 축 또는 제 1 축이, 입력축으로서의 제 1 축 또는 제 2 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각 핀(105)이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 중 어느 일방에만 접촉함으로써, 전달 기구(101)를 상면에서 볼 때, 제 1 기어(106a)와 제 2 기어(106b)의 사이에 치부의 위치, 형상, 등의 오차가 있었다고 해도, 각 핀(105)의 제 2 회전 축선(108)에 대한 경사를 억제할 수 있고, 형상 오차 및 조립 오차에 의한 입력축측과 출력축측과의 사이의 운동 전달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각 가이드 구멍은, 입력축으로서의 제 1 축 또는 제 2 축이 회전하는 경우에, 각 핀(105)을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 내에 있어서 소정량 운동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각 가이드 구멍은, 장축(長軸)이 제 2 회전 축선(108)의 방향을 향하는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가이드 플레이트는, 캠(102)에 대하여 일방의 측에 배치되어도 되고, 또한, 도 1a~도 4g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는, 제 2 축과 동심인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와, 제 2 축과 동심인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로 구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여도 된다.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는, 캠(102)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가,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를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도 되고,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가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를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에, 제 2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 1 가이드 구멍(109a)이 마련되고,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에, 제 2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 2 가이드 구멍(109b)이 마련된다. 각 핀(105)은,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의 대응하는 제 1 가이드 구멍(109a), 또는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의 대응하는 제 2 가이드 구멍(109b)에 수용되고, 대응하는 제 1 가이드 구멍(109a) 또는 제 2 가이드 구멍(109b)으로 안내되어, 캠(102) 및 대응하는 기어를 따라 운동한다.
각 핀(105)은, 인접하는 2개의 핀(105) 중 적어도 일방과는 상이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중 어느 일방의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에 수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1개의 핀(105)이,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의 대응하는 제 1 가이드 구멍(109a)에 수용되는 경우에는, 그 1개의 핀(105)에 인접하는 핀(105)은,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의 대응하는 제 2 가이드 구멍(109b)에 수용되어도 된다. 1개의 핀(105)을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의 대응하는 제 1 가이드 구멍(109a)에 수용시키고, 그 1개의 핀(105)에 인접하는 2개의 핀(105)을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의 각각의 대응하는 제 2 가이드 구멍(109b)에 수용시키도록 하여, 각 핀(105)을, 그 인접하는 핀(105)에 대하여 번갈아 제 1 가이드 구멍(109a) 또는 제 2 가이드 구멍(109b)에 수용시켜도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로 구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인 것을 전제로 설명되지만, 가이드 플레이트가, 캠(102)에 대하여 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각 핀(105)은, 인접하는 2개의 핀(105) 중 적어도 일방과는 상이한 한 쌍의 기어 중 어느 일방에만 접촉해도 된다. 예를 들면, 1개의 핀(105)이, 제 1 기어(106a)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그 1개의 핀(105)에 인접하는 핀(105)은, 제 2 기어(106b)에 접촉해도 된다. 1개의 핀(105)을 제 1 기어(106a)에 접촉시키고, 그 1개의 핀(105)에 인접하는 2개의 핀(105)을 제 2 기어(106b)에 접촉시키도록 하여, 각 핀(105)을, 그 인접하는 핀(105)에 대하여 번갈아 제 1 기어(106a) 또는 제 2 기어(106b)에 접촉시켜도 된다.
도 5a~도 5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핀(105)은, 내축부(105a)와, 내축부(105a)의 둘레를 회전하는 외륜부(105b)를 구비해도 된다. 외륜부(105b)는, 미끄럼 접촉하여 내축부(105a)의 둘레를 회전해도 되고, 롤러 등을 개재하여 구름 접촉하여 내축부(105a)의 둘레를 회전해도 된다. 각 핀(105)은, 외륜부(105b)가 캠(102)의 측면(103), 및 인접하는 핀(105)의 외륜부(105b)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각 핀(105)의 내축부(105a)의 외륜부(105b)로부터 돌출되는 부분만이, 제 1 기어(106a) 또는 제 2 기어(106b)에 접촉한다. 가이드 플레이트가 캠(102)에 대하여 일방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각 핀(105)의 내축부(105a)의 일방의 단부가, 가이드 플레이트의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에 수용된다. 가이드 플레이트가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로 구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인 경우에는, 각 핀(105)의 내축부(105a)의 외륜부(105b)로부터 돌출되는 부분만이,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의 대응하는 제 1 가이드 구멍(109a), 또는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의 대응하는 제 2 가이드 구멍(109b)에 수용된다.
각 핀(105)은, 인접하는 2개의 핀(105) 중 적어도 일방과 체인(110)에 의해 연결되어도 된다. 각 핀(105)이 인접하는 2개의 핀(105) 중 적어도 일방과는 상이한 한 쌍의 기어 중 어느 일방에만 접촉하는 경우, 예를 들면, 1개의 핀(105)이 제 1 기어(106a)에 접촉하는 한편, 그 1개의 핀(105)에 인접하는 핀(105)이 제 2 기어(106b)에 접촉하는 경우에, 각 핀(105)과 그것에 인접하는 핀(105)을 각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체인(110)으로 연결함에 따라, 2개의 인접하는 핀(105)은, 연동하여 캠(102) 및 각각의 대응하는 기어를 따라 운동할 수 있다. 2개의 인접하는 핀(105)은, 각각의 외륜부(105b)를 2개의 체인(110)에 의해 사이에 끼우도록 연결되어도 된다. 또한, 각 핀(105)의 내축부(105a)의 일방의 단부에 핀 고정부(111)를 배치함으로써, 체인(110) 및 외륜부(105b)가 내축부(105a)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운동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로 구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와,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로 구성되는 한 쌍의 기어 중 일방이, 제 2 축에 고정되고, 그들 중 타방이, 전달 기구(101)의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다. 즉,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와,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 중 어느 것이 제 2 축과 함께 회전한다.
도 1a~도 1h 및 도 3a~도 3g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기어를 구성하는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는 내치 기어여도 된다. 이 경우, 캠(102)은, 제 1 회전 축선(104)을 중심으로 하여, 타원 기둥의 측면(103)(도 1a를 참조), 또는 대략 정삼각 기둥(도 3a를 참조), 대략 정사각 기둥, 대략 정오각 기둥, 등과 같은 대략 정다각 기둥의 측면(103)을 가지는 형상이어도 되고, 복수의 핀(105)은, 캠(102)의 측면(103)을 따라 외측에 배열된다. 예를 들면,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로 구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전달 기구(101)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입력축으로서의 제 1 축의 회전에 따라 캠(102)이 회전하면, 각 핀(105)은, 그 핀(105)이 수용되어 있는 가이드 구멍으로 안내되어, 캠(102)과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 중 대응하는 기어와의 사이에 있어서, 대응하는 기어를 캠(102)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그들에 접촉하여 운동한다. 또한, 한 쌍의 기어가 전달 기구(101)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입력축으로서의 제 1 축의 회전에 따라 캠(102)이 회전하면, 각 핀(105)은, 그 핀(105)이 수용되어 있는 가이드 구멍으로 안내되어, 캠(102)과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 중 대응하는 기어와의 사이에 있어서, 대응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캠(102)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그들에 접촉하여 운동한다. 입력축으로서의 제 2 축이 회전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 쌍의 기어를 구성하는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는 내치 기어인 경우에, 0~360°에 걸쳐 제 1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일주하여 얻어지는 캠(102)의 측면(103)의 곡률은, 2개 이상의 극대값을 가진다. 2개 이상의 곡률의 극대값은, 0~360°에 걸쳐 등간격으로 얻어진다. 예를 들면, 캠(102)이 타원 기둥의 측면(103)을 가지는 형상인 경우에는, 캠(102)의 제 1 회전 축선(104)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단면에 있어서 180°의 간격으로 타원형의 장축의 2개의 정점(頂点)의 각각에 곡률의 극대값을 가지고, 캠(102)이 대략 정삼각 기둥의 측면(103)을 가지는 형상인 경우에는, 캠(102)의 제 1 회전 축선(104)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단면에 있어서 120°의 간격으로 대략 정삼각형의 3개의 정점의 각각에 곡률의 극대값을 가진다. 제 1 축 및 제 2 축 중 일방이 회전하면, 이와 같은 극대값을 가지는 캠(102)의 측면(103)과, 내치 기어인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와의 사이의 관계에 따라, 각 핀(105)이 계합하는 제 1 기어(106a) 또는 제 2 기어(106b)의 치부를 바꾸고, 그에 따라, 일방의 회전이, 타방을 회전시키도록 타방에 전달된다.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의 각각의 치부의 수를 NT로 하고, 복수의 핀의 수를 NP로 하며, 곡률의 극대값의 수를 N으로 하면, NT=NP+NM의 관계에 있다. 제 1 축을 입력축으로 하는 경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전달 기구(101)의 하우징에 고정되면, 변속비는 NM/NT이며, 한 쌍의 기어가 전달 기구(101)의 하우징에 고정되면, 변속비는 NM/NP이다. 또한, 제 2 축을 입력축으로 하는 경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전달 기구(101)의 하우징에 고정되면, 변속비는 NT/NM이며, 한 쌍의 기어가 전달 기구(101)의 하우징에 고정되면, 변속비는 NP/NM이다.
도 2a~도 2h 및 도 4a~도 4g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기어를 구성하는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는 외치 기어여도 된다. 이 경우, 캠(102)에는, 제 1 회전 축선(104)을 중심으로 하여, 타원 기둥의 측면(103)(도 2a를 참조), 또는 대략 정삼각 기둥(도 4a를 참조), 대략 정사각 기둥, 대략 정오각 기둥, 등과 같은 대략 정다각 기둥의 측면(103)을 가지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도 되고, 복수의 핀(105)은, 캠(102)의 측면(103)을 따라 내측에 배열된다. 예를 들면,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07a)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07b)로 구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전달 기구(101)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입력축으로서의 제 1 축의 회전에 따라 캠(102)이 회전하면, 각 핀(105)은, 그 핀(105)이 수용되어 있는 가이드 구멍으로 안내되어, 캠(102)과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 중 대응하는 기어와의 사이에 있어서, 대응하는 기어를 캠(102)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그들에 접촉하여 운동한다. 또한, 한 쌍의 기어가 전달 기구(101)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입력축으로서의 제 1 축의 회전에 따라 캠(102)이 회전하면, 각 핀(105)은, 그 핀(105)이 수용되어 있는 가이드 구멍으로 안내되어, 캠(102)과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 중 대응하는 기어와의 사이에 있어서, 대응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캠(102)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그들에 접촉하여 운동한다. 입력축으로서의 제 2 축이 회전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 쌍의 기어를 구성하는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는 외치 기어인 경우에, 0~360°에 걸쳐 제 1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일주하여 얻어지는 캠(102)에 마련된 관통 구멍의 측면(103)의 곡률은, 2개 이상의 극대값을 가진다. 2개 이상의 곡률의 극대값은, 0~360°에 걸쳐 등간격으로 얻어진다. 예를 들면, 캠(102)에 타원 기둥의 관통 구멍의 측면(103)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캠(102)의 제 1 회전 축선(104)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단면에 있어서 180°의 간격으로 타원형의 장축의 2개의 정점의 각각에 곡률의 극대값을 가지고, 캠(102)에 대략 정삼각 기둥의 관통 구멍의 측면(103)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캠(102)의 제 1 회전 축선(104)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단면에 있어서 120°의 간격으로 대략 정삼각형의 3개의 정점의 각각에 곡률의 극대값을 가진다. 제 1 축 및 제 2 축 중 일방이 회전하면, 이와 같은 극대값을 가지는 캠(102)의 측면(103)과, 외치 기어인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와의 사이의 관계에 따라, 각 핀(105)이 계합하는 제 1 기어(106a) 또는 및 제 2 기어(106b)의 치부를 바꾸고, 그에 따라, 일방의 회전이, 타방을 회전시키도록 타방에 전달된다. 복수의 핀의 수를 NP로 하고, 제 1 기어(106a) 및 제 2 기어(106b)의 각각의 치부의 수를 NT로 하며, 곡률의 극대값의 수를 N으로 하면, NP=NT+NM의 관계에 있다. 제 1 축을 입력축으로 하는 경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전달 기구(101)의 하우징에 고정되면, 변속비는 NM/NT이며, 한 쌍의 기어가 전달 기구(101)의 하우징에 고정되면, 변속비는 NM/NP이다. 또한, 제 2 축을 입력축으로 하는 경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전달 기구(101)의 하우징에 고정되면, 변속비는 NT/NM이며, 한 쌍의 기어가 전달 기구(101)의 하우징에 고정되면, 변속비는 NP/NM이다.
상기 기재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이루어졌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원리와 첨부의 특허청구의 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01 전달 기구
102 캠
103 측면
104 제 1 회전 축선
105 핀
105a 내축부
105b 외륜부
106a 제 1 기어
106b 제 2 기어
107a 제 1 가이드 플레이트
107b 제 2 가이드 플레이트
108 제 2 회전 축선
109a 제 1 가이드 구멍
109b 제 2 가이드 구멍
110 체인
111 핀 고정부

Claims (10)

  1. 제 1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제 1 축으로서, 상기 제 1 축은, 상기 제 1 축과 동심으로 상기 제 1 축에 고정된 캠을 구비하고, 상기 캠의 측면은, 상기 제 1 회전 축선에서 볼 때 정의 곡률을 가지는 제 1 축과,
    상기 캠의 측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핀과,
    제 2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제 2 축과,
    상기 제 2 축과 동심인 가이드 플레이트로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2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 구멍이 마련되고, 각 핀은,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에 수용되어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축과 동심인 한 쌍의 기어로서, 상기 캠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기어를 구비하는 전달 기구로서,
    각 핀은, 상기 한 쌍의 기어 중 어느 일방에만 접촉하고, 상기 제 1 축 및 상기 제 2 축 중 일방의 회전에 따라, 각 핀이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으로 안내되어 상기 캠 및 대응하는 기어를 따라 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축 및 상기 제 2 축 중 타방이 상기 제 1 축 및 상기 제 2 축 중 일방에 대하여 회전하는, 전달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핀은, 인접하는 2개의 핀 중 적어도 일방과는 상이한 상기 한 쌍의 기어 중 어느 일방에만 접촉하는, 전달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핀은, 인접하는 2개의 핀 중 적어도 일방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전달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캠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로서, 각 핀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중 어느 일방의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에 수용되어 있는, 전달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각 핀은, 인접하는 2개의 핀 중 적어도 일방과는 상이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중 어느 일방의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에 수용되어 있는, 전달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기어 중 어느 일방이, 상기 제 2 축에 고정되어 있는, 전달 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어의 각각은, 내치 기어로서, 상기 복수의 핀은, 상기 캠의 외측에 배열되어 있는, 전달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일주하여 얻어지는 상기 캠의 측면의 곡률이 2개 이상의 극대값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기어의 각각의 치부의 수는, 상기 복수의 핀의 수와 상기 극대값의 수의 합인, 전달 기구.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어의 각각은, 외치 기어로서, 상기 복수의 핀은, 상기 캠의 내측에 배열되어 있는, 전달 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일주하여 얻어지는 상기 캠의 측면의 곡률이 2개 이상의 극대값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핀의 수는, 상기 한 쌍의 기어의 각각의 치부의 수와 상기 극대값의 수와의 합인, 전달 기구.
KR1020227028013A 2020-02-19 2021-01-21 전달 기구 KR20220141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25839 2020-02-19
JPJP-P-2020-025839 2020-02-19
PCT/JP2021/002008 WO2021166540A1 (ja) 2020-02-19 2021-01-21 伝達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806A true KR20220141806A (ko) 2022-10-20

Family

ID=7739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013A KR20220141806A (ko) 2020-02-19 2021-01-21 전달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03108B2 (ko)
EP (1) EP4108957A4 (ko)
JP (1) JPWO2021166540A1 (ko)
KR (1) KR20220141806A (ko)
CN (1) CN115135904A (ko)
TW (1) TW202138698A (ko)
WO (1) WO202116654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1374A (ja) 2003-02-20 2004-09-09 Mamoru Tamura 減速機構
JP2009281422A (ja) 2008-05-20 2009-12-03 Univ Of Yamanashi 減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1242A (en) * 1973-11-07 1975-01-21 Esco Mfg Co Composite gear structure
GB1519588A (en) * 1974-08-02 1978-08-02 Precision Mechanical Dev Motion transmiting devices
FR2427519A1 (fr) * 1978-06-01 1979-12-28 Berrie Emile Reducteur de vitesse a cames
US4552037A (en) * 1984-02-10 1985-11-12 Advanced Energy Concepts '81 Ltd. Retainer for epicyclic transmission
JPH0642128Y2 (ja) 1986-08-18 1994-11-02 株式会社明電舎 減速機構
DE102011101131A1 (de) * 2011-05-11 2012-11-15 Sms Meer Gmbh Getriebe zur Übertragung eines Drehmoments
JP2015169256A (ja) * 2014-03-06 2015-09-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波動歯車装置
JP7038637B2 (ja) * 2018-09-28 2022-03-18 Ntn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1374A (ja) 2003-02-20 2004-09-09 Mamoru Tamura 減速機構
JP2009281422A (ja) 2008-05-20 2009-12-03 Univ Of Yamanashi 減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03108B2 (en) 2023-07-18
CN115135904A (zh) 2022-09-30
US20230075517A1 (en) 2023-03-09
JPWO2021166540A1 (ko) 2021-08-26
EP4108957A4 (en) 2023-12-27
EP4108957A1 (en) 2022-12-28
WO2021166540A1 (ja) 2021-08-26
TW202138698A (zh) 202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7790A (en) Motion transmitting system
JPH0926011A (ja) 転動ボール式変速装置
US20170328448A1 (en) Transmission mechanism
EP0482827B1 (en) Rotary motion to longitudinal motion converting mechanism
EP0527490A2 (en) Epicyclic drive
CN109312834B (zh) 连杆促动装置
KR20030047677A (ko) 동력전달 기어부재
CA1189732A (en) Motion transmitting system
KR20220141805A (ko) 전달 기구
KR20220141806A (ko) 전달 기구
EP3232085A1 (en) Transmission mechanism
KR102154787B1 (ko) 이중 편심 구조의 감속기
JP6279755B2 (ja) 無段変速機
KR101480986B1 (ko) 초정밀위치제어용 핀 롤러형 구동기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력전달장치
US20220025959A1 (en) Reduction gear
US20010020399A1 (en) Transmission device
JP2021173299A (ja) 歯車装置
CN112513497A (zh) 行星齿轮装置
JP2000179630A (ja) 内接噛合遊星歯車構造
JP2024041263A (ja) 運動変換機構
KR102154504B1 (ko) 논슬립 회전축 싱글 싸이크로 감속기
EP4345329A1 (en) Bearing, strain wave gear device, and industrial robot
JP2021028500A (ja) 差動減速機
RU22721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я в поступательное
JP2024044065A (ja) 差動減速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