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693A -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693A
KR20220141693A KR1020210048101A KR20210048101A KR20220141693A KR 20220141693 A KR20220141693 A KR 20220141693A KR 1020210048101 A KR1020210048101 A KR 1020210048101A KR 20210048101 A KR20210048101 A KR 20210048101A KR 20220141693 A KR20220141693 A KR 20220141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layer
filtering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연중
Original Assignee
전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연중 filed Critical 전연중
Priority to KR1020210048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1693A/ko
Publication of KR2022014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6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fibres, glass bead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synthetic 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은 정수필터를 병렬로 구성한 후 일측의 제1 정수필터에서 인조압착포를 사용하는 흡착층에 의한 필터링과 이온수지를 사용하는 이온층에 의한 통상적인 필터링을 수행하여 흡착층 하부의 여과물질 수집층에 수집된 여과물질을 배출밸브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흡착층에 밸브가 구비된 관부재에 의해 연결된 타측의 제2 정수필터에서 흡착활성이온층에 의한 필터링, 토사층에 의한 필터링 및 인조암반여과층에 의한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ICATING WATER USING WATER FILTER}
본 발명은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현대인들은 생활수준이 점점 향상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 또한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사람이 살아가는 데 가장 밀접하게 관계되는 먹는 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에 관한 시장도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시는 물은 크게 이미 정수 된 물이나 지하수 및 생수 등을 구입하여 마시는 경우와 정수기로 직접 정수하는 경우로 나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지하수의 오염이 심각하고 업체에서 판매하는 생수도 오염되는 경우가 많아 직접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렇게 물에 대한 관심 많아지면서 예전에는 정수기를 음용수에만 사용하였으나 점점 그 사용범위를 확대되면서 주방에서 사용하는 조리용수에도 정수된 물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수기는 활성탄, 이온막 등을 구비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하여 물에 함유된 산화물, 중금속, 먼지 및 찌꺼기 등을 필터링하여 정화시키는 것으로 다양한 방식의 정수기가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정수필터를 통해 필터링한 물을 재차 전해조를 사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함으로써 알칼리수를 음용수로 사용하고, 산성수를 미용수로 사용하도록 하는 이온정수기 또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정수필터를 이용하여 정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은 정수필터를 병렬로 구성한 후 일측의 제1 정수필터에서 인조압착포를 사용하는 흡착층에 의한 필터링과 이온수지를 사용하는 이온층에 의한 통상적인 필터링을 수행하여 흡착층 하부의 여과물질 수집층에 수집된 여과물질을 배출밸브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흡착층에 밸브가 구비된 관부재에 의해 연결된 타측의 제2 정수필터에서 흡착활성이온층에 의한 필터링, 토사층에 의한 필터링 및 인조암반여과층에 의한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수필터를 이용하여 정수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수 장치는 정수할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2)과 정수된 음용수를 집수통(17)으로 공급하는 낙수구(16)를 각각 갖춘 제1 정수필터(1) 및 제2 정수필터(11)를 분할하여 병렬로 구비하고, 상단에 급수관(2)이 구비된 상기 제1 정수필터(1)에는 기름성분을 여과하는 흡착층(3)과 이물질을 여과하는 이온층(5)을 다공판(4)으로 격리하여 구비하면서 흡착층(3) 저면의 다공판(6) 하측에는 여과물질 집수층(7)과 배출밸브(8)를 구비하며, 하단에 낙수구(16)가 구비된 상기 제2 정수필터(11)의 상측에는 흡착활성이온층(12)과 토사층(14)을 여과지(13)로 격리하여 구비하면서 그 토사층(14)의 하측에 인조암반여과층(15)을 구비한 후 일측의 정수필터(1)과 타측의 정수필터(11)을 밸브(9)가 구비된 관부재(10)로 연결하여 정수필터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수 장치는 급수관(2)으로 공급된 물이 일측의 제1 정수필터(1)에서 폴리에틸렌 인조압착포로 구성된 흡착층(3)을 지나면서 기름성분이 흡착 정수되고, 그 상측으로 구비된 다공판(4)을 지나 이온수지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이온층(5)을 통과하면서 중금속과 이물질이 여과되며, 이온층(5)을 통과한 물은 상기 제1 정수필터(1)의 상단에서 타측의 제2 정수필터(11)의 상측으로 연결된 관부재(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착층(3)과 이온층(5)에서 여과된 이물질과 기름성분등은 흡착층(3)하측의 다공판(6)을 지나 여과물질수집층(7)에 낙하되므로 상기 관부재(10)의 밸브(9)를 잠그고 배출밸브(8)를 열면 간편하게 여과물질을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부재(10)의 밸브(9)는 잠그고 배출밸브(8)는 열어놓은 상태에서 급수관(2)으로 계속물을 공급하면 상기 제1 정수필터(1)내의 여과부재들을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부재(10)를 따라 제2 정수필터(11)로 이동된 물은 상기 제2 정수필터(11)의 흡착활 성이온층(12)과 여과지(13)를 통과하면서 중금속과 이물질을 다시 여과하게 되고, 그 물은 여과지(13) 하측의 토사층(14)과 인조암반여과층(15)을 지나 낙수구(16)를 통해 집수통(17)에 낙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수관(2)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제1 정수필터(1)의 흡착층(3)과 이온층(5), 상기 제2 정수필터(11)의 흡착활성이온층(12)과 여과지(13)를 통과하면서 이물질과 중금속 및 기름성분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토사층(14)과 인조암반여과층(15)을 통과하면서 깨끗한 암반 지하수 물맛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정수 장치는 인조암반여과층(15)의 상측에 규조토 50%와 제오라이트 20% 및 맥반석 20%와 점토 10%를 혼합하여 분말화한 토사층(14)을 구성함으로서 음용수의 정수여과는 물론 정수돤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고 미네랄요소를 첨가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토사층(15)의 하측으로 규조토와 점토 및 흑연가루를 3:1:2로 혼합한 후 접착제를 첨가하여 원기둥형상으로 압출성형하고, 압출성형된 원기둥 형상의 인조암반을 약 5mm로 균일하게 절단한 후, 절단된 인조암반을 소성로에서 500-900
Figure pat00001
로 가열하여 제작된 다공질의 인조암반여과층(15)을 구성함으로서 암반지하수와 같은 물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은 제1 정수필터(1) 및 제2 정수필터(11)를 병렬로 구성한 후 일측의 제1 정수필터(1)에서 인조압착포를 사용하는 흡착층(3)에 의한 정수여과와 이온수지를 사용하는 이온층(5)에 의한 통상적인정수여과를 수행토록 하면서 흡착층(3) 하측의 여과물질수집층(7)에 수집된 여과물질을 배출밸브(8)를 통해 배출토록 하고, 상기 제1 정수필터(1)의 상단과 밸브(9)가 구비된 관부재(10)에 의해 연결된 타측의 제2 정수필터(11)에서 흡착활성이온층(12)에 의한 정수여과와 토사층(14)에 의한 정수여과 및 인조암반 여과층(15)에 의한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착층(3)은 포리에틸렌 인조압착포를 사용하여 기름성분을 흡착 여과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사층(14)은 규조토 50%와 제오라이트 20% 및 맥반석 20%와 점토 10%를 혼합한 후 분말화하여 구성함으로서 정수여과되면서 토사층을 통과하는 물에 용존산소와 미네랄요소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조암반여과층(15)은 규조토와 점토 및 흑연가루를 3:1:2로 혼합하고 접착제를 첨가하여 원기둥형상으로 압출성형하고, 압출성형된 원기둥형상의 인조암반을 균일하게 절단하여 소성로에서 500-900
Figure pat00002
로 가열하여 제작된 다공질의 인조암반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정수필터를 병렬로 구성한 후 일측의 제1 정수필터에서 인조압착포를 사용하는 흡착층에 의한 필터링과 이온수지를 사용하는 이온층에 의한 통상적인 필터링을 수행하여 흡착층 하부의 여과물질 수집층에 수집된 여과물질을 배출밸브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흡착층에 밸브가 구비된 관부재에 의해 연결된 타측의 제2 정수필터에서 흡착활성이온층에 의한 필터링, 토사층에 의한 필터링 및 인조암반여과층에 의한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층은 포리에틸렌 인조압착포를 이용하여 기름성분을 흡착해서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층은 규조토 50%, 제오라이트 20%, 맥반석 20% 및 점토 10%를 혼합구성하여 토사층을 통과하는 물이 필터링되면서 산소와 미네랄요소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암반여과층은 규조토와 점토 및 숯가루를 혼합하여 원기둥형상으로 압출성형하고, 압출성형된 원기둥형상의 인조암반을 균일하게 절단하여 소성로에서 500-900
    Figure pat00003
    로 가열하여 제작된 다공질의 인조암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
  5. 정수할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제1 정수필터; 및
    정수된 음용수를 집수통으로 공급하는 낙수구를 포함하는 제2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수필터는,
    기름성분을 여과하는 흡착층 및 이물질을 여과하는 이온층을 포함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수필터는,
    상기 흡착층 저면의 다공판 하측에는 여과물질 집수층 및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수필터는,
    상측에 흡착활성이온층 및 토사층을 여과지로 격리하여 구비하고, 상기 토사층의 하측에 인조암반여과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장치.
  9. 제5 항에 있어서,
    제1 정수필터와 제2 정수필터를 밸브가 구비된 관부재로 연결하여 정수필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는 토사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장치.
KR1020210048101A 2021-04-13 2021-04-13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 및 장치 KR20220141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101A KR20220141693A (ko) 2021-04-13 2021-04-13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101A KR20220141693A (ko) 2021-04-13 2021-04-13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693A true KR20220141693A (ko) 2022-10-20

Family

ID=8380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101A KR20220141693A (ko) 2021-04-13 2021-04-13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16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00366A3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separer par filtration verticale des particules biologiques contenues dans un liquide
CA2407039A1 (en) Filter for purifying domestic drinking water
CN205856267U (zh) 一种过滤罐
JP2000342918A (ja) 濾過フィルタおよび浄水器
KR20220141693A (ko) 정수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법 및 장치
EP1948346B1 (en) Filter cartridge for water purification
JPH1085590A (ja) 浄水用フィルター構造物
CN204307449U (zh) 一种机械过滤器
JPH04326980A (ja) 浄水器
JP3926283B2 (ja) 水質浄化材を利用した生け簀
CN201231088Y (zh) 一种复合净水滤芯
KR100717867B1 (ko) 직수방식 정수기, 이온수기 및 직수방식 이온수기의정수방법
CN204111484U (zh) 一种一体化饮用水净化装置
CN204214081U (zh) 一种空气净化器
CN204911044U (zh) 一种复合型除醛过滤器
CN219621037U (zh) 一种层级递进式滤芯结构
CN106560450A (zh) 一种带排污功能的中央净水器及制作方法
CN201140042Y (zh) 重力式滴流净水过滤片
CN208308559U (zh) 一种净水装置
CN105347586A (zh) 一种具有紫外线杀菌功能的三合一净水器及制作方法
CN205856192U (zh) 一种城市饮用水高效吸附装置
JP3750861B2 (ja) 浄水器及び浄水器シャワ−
CN108658317A (zh) 一种用于水净化器的高效过滤滤芯
CN204745795U (zh) 一种便携式净水器
KR920003555B1 (ko) 정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