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510A - 리소스 선택 방법 및 장치, 단말기 - Google Patents

리소스 선택 방법 및 장치,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510A
KR20220140510A KR1020227027420A KR20227027420A KR20220140510A KR 20220140510 A KR20220140510 A KR 20220140510A KR 1020227027420 A KR1020227027420 A KR 1020227027420A KR 20227027420 A KR20227027420 A KR 20227027420A KR 20220140510 A KR20220140510 A KR 20220140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source
configuration information
drx configuration
dr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젠샨 자오
치엔시 루
후에이-밍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40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리소스 선택 방법 및 장치,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제1 비연속 수신(DRX)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제1 시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리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리소스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소스 선택 방법 및 장치, 단말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동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리소스 선택 방법 및 장치,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사이드링크 증강 과제에서는 사이드링크 전송에 비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메커니즘을 도입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이때 단말기는 항상 수신 상태인 것이 아니라, DRX 구성에 따라, 지속(on duration) 시간 동안에 데이터를 수신하며, 지속 시간 동안에 단말은 연속 수신(또는 연속 센싱) 상태로서, 단말기는 만약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DRX로 전환된다. 즉, 연속 센싱 상태(off duration)를 중지하여 전기 절약 목적을 달성한다. 그러나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통신의 경우, 송신측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가 수신측에 수신되어야 하므로, DRX 메커니즘 도입 후, 어떻게 사이드링크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할지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리소스 선택 방법 및 장치,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선택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제1 DRX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제1 시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리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리소스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선택 장치는,
제1 DRX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제1 시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획득 유닛;
제1 리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리소스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하는 선택 유닛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술한 리소스 선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칩은 상술한 리소스 선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칩은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칩이 장착된 기기가 상술한 리소스 선택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술한 리소스 선택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상술한 리소스 선택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술한 리소스 선택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기술방안을 통해,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의 제1 시간 범위를 기초로 전송 리소스를 선택하여,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송 리소스를 통해 송신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제2 단말기에 수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이드링크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첨부 도면은 본 출원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본 출원의 일부분을 이루고,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에 대한 부적절한 한정을 이루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서,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아키텍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모드 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모드 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캐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선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RX 주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a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RX 패턴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7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RX 패턴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7c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RX 패턴을 나타내는 제3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선택 장치의 구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부분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가 아니라는 점은 자명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가 창조적 노동을 거치지 않고도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전부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롱 템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5G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의 통신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10)는 단말(120)(또는 통신 단말, 단말이라고도 지칭)과 통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10)는 특정 지리 영역에 대해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110)는 LTE 시스템 중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 무선 컨트롤러일 수 있고,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용 기기, 웨어러블 기기, 허브, 스위치, 네트워크 브릿지, 라우터, 5G네트워크 중 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미래 통신 시스템 중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120)을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단말”은 유선 회선을 통한 연결, 예컨대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다이렉트 케이블을 통한 연결; 및/또는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 예컨대,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핸드헬드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DVB-H)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TV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진폭 변조 - 주파수 변조(Amplitude Modulation - Frequency Modulation, AM-FM) 방송 송신기; 및/또는 다른 단말기의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통한 연결; 및/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기를 통한 연결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말은 "무선 통신 단말", "무선 단말" 또는 "이동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이동 단말의 예시로서 위성 또는 셀룰러 폰; 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 무선 전화, 무선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Web 브라우저, 메모장, 일력 및/또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일반 랩톱형 및/또는 팜톱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수신기를 포함하는 기타 전자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기는 접속 단말,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젼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헨드헬드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기기, 차량용 기기, 웨어러블 기기,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기 또는 미래 진화된 PLMN 중의 단말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120) 간에 단말 대 단말(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통신 시스템 또는 5G네트워크는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라고도 불리울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와 두 개의 단말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다른 수량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모바일 관리 엔티티 등의 기타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시스템 중 통신 기능을 갖춘 기기는 통신기기라고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을 예로 들면, 통신기기는 통신 기능을 갖춘 네트워크 기기(110)와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110)와 단말(120)은 상술한 구체적인 기기일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기기는 통신 시스템(100) 중의 다른 기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네트워크 컨트롤러, 모바일 관리 엔티티 등의 기타 네트워크 엔티티를 들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자주 바뀌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나타낼 뿐, 세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바,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B만 존재하는 경우인 세가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아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 기기 대 기기(Device to Device, D2D)
D2D 통신은 사이드링크(Sidelink, SL) 전송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기존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통신 데이터를 기지국을 통해 수신 또는 송신하는 방식과 달리, 차량 인터넷 시스템은 D2D 통신 방식(즉, 기기 대 기기 직접 통신 방식)을 사용하므로, 더욱 높은 스펙트럼 효율 및 더욱 낮은 전송 딜레이를 갖는다. D2D 통신의 경우,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서는 모드 A 및 모드 B와 같은 두 가지 전송 모드를 정의하였다. 이하, 모드 A 및 모드 B에 대해 설명한다.
모드 A: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전송 리소스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며, 단말기는 기지국이 할당한 리소스를 기초로 사이드링크에서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고; 기지국은 단말기에 대해 1회의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고, 단말기를 위해 반정적 전송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모드 B: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가 리소스풀로부터 하나의 리소스를 선택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센싱 방식을 통해 리소스풀로부터 전송 리소스를 선택하거나, 랜덤 선택 방식을 통해 리소스풀로부터 전송 리소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 차량 대 기타 기기(Vehicle to Everything, V2X)
NR - V2X에서, 자율 운전을 지원하여야 하므로, 차량 간의 데이터 인터랙션에 대한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예컨대 더욱 높은 처리량, 더욱 낮은 딜레이, 더욱 높은 신뢰성, 더욱 큰 커버리지 범위, 더욱 유연한 리소스 할당 등을 들 수 있다.
NR - V2X 시스템에서, 다양한 전송 모드가 도입되었으며, 모드 1 및 모드 2를 포함하고, 여기서, 모드 1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에 대해 전송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이고(상술한 모드 A에 대응), 모드 2는 단말기가 전송 리소스를 선택하는 것이다(상술한 모드 B에 대응).
LTE - V2X는 브로드캐스트 전송 방식을 지원한다. 한편, NR - V2X에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전송 방식이 도입되었다. 유니캐스트 전송 방식의 경우, 그 수신측에 단말기가 하나 뿐이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 1과 UE 2 간에 유니캐스트 전송을 수행한다. 멀티캐스트 전송 방식의 경우, 그 수신측은 하나의 통신 그룹 내의 모든 단말기이거나, 또는 일정한 전송 거리 내의 모든 단말기이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 1, UE 2, UE 3 및 UE 4가 하나의 통신 그룹을 구성하며, 여기서 UE 1이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 그룹 내의 기타 단말기는 모두 수신측이다. 브로드캐스트 전송 방식의 경우, 그 수신측이 임의의 하나의 단말기이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UE 1은 송신측이고, 그 주위의 다른 단말기는 모두 수신측이다.
▶ 센싱 기반 리소스 선택 방법
LTE - V2X에서, 풀 센싱 또는 부분 센싱을 지원하며, 여기서, 풀 센싱은 바로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슬롯 이외의 모든 슬롯(또는 서브 프레임)에서 기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는 것이며; 부분 센싱(partial sensing)은 단말기의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단말기가 부분 슬롯(또는 서브 프레임)만 센싱하고, 부분 센싱의 결과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위 계층에 부분 센싱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풀 센싱 방식을 사용하여 리소스 선택을 수행한다.
이하, LTE - V2X 중 센싱을 기반으로 리소스를 선택하는 주요 단계에 대해 설명하며, 상세한 과정은 3GPP TS36.213 V14.3.0을 참조할 수 있다.
시점 n에 새로운 데이터 패킷이 수신될 때,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여야 한다. 단말기는 지난 1초(즉, 센싱 윈도우에 대응되는 시간)에서의 센싱 결과를 기초로, [n + T1, n + T2] 밀리초(즉, 선택 윈도우에 대응되는 시간) 내에 리소스 선택을 수행한다. 여기서, T1≤4,
Figure pct00001
이며, T1의 선택은 단말기의 처리 딜레이보다 커야 하며, T2의 선택은 서비스의 딜레이 요구 범위 내여야 한다. 예를 들어, 만약 서비스의 딜레이 요구가 50ms이면, 20≤T2≤50이고; 만약 서비스의 딜레이 요구가 100ms이면, 20≤T2≤100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단말기가 선택 윈도우 내에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설명하여야 할 점은, 여기서는 몇 개의 주요 리소스 선택 단계를 열거한다).
단말기는 선택 윈도우 내의 모든 사용 가능한 리소스를 하나의 집합 A로 하고, 단말기는 집합 A 중 리소스에 대해 아래의 배제 조작을 수행한다.
1. 단말기는 센싱 윈도우 내의 일부 서브 프레임에서 센싱 결과가 없으면, 이러한 서브 프레임은 선택 윈도우 내의 대응되는 서브 프레임 상의 리소스가 배제된다.
2. 단말기가 센싱 윈도우 내에서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이 검출되면, 상기 PSSCH의 기준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을 측정하며, PSSCH-PSSCH로 약칭한다. 측정된 PSSCH-RSRP가 PSSCH-RSRP 임계값보다 높으며, 상기 PSCCH에 휴대된 예약 정보를 기초로 그 예약한 전송 리소스와 본 사용자가 송신할 데이터 간에 리소스 충돌이 존재하면, 집합 A로부터 상기 리소스를 배제한다. 여기서, PSSCH-RSRP 임계값의 선택은 검출된 PSCCH에 휴대된 우선급 정보와 단말기가 전송할 데이터의 우선급으로부터 결정된 것이다.
3. 만약 집합 A 중 나머지 리소스 수량이 총 리소스 수량의 20%보다 작으면, 단말기는 PSSCH-RSRP의 임계값을 3dB만큼 증가시키며, 집합 A 중 나머지 리소스 수량이 총 리소스 수량의 20%보다 클 때가지 단계 1-2를 반복한다.
4. 단말기가 집합 A 중 나머지 리소스에 대해 사이드링크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Sidelink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RSSI) 검출을 수행하고, 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정렬하여, 에너지가 가장 낮은 20%(집합A 중 리소스 수량에 대해)의 리소스를 집합 B에 넣는다.
5. 단말기가 집합 B로부터 동등한 확률로 하나의 리소스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 NR Uu 인터페이스의 DRX 메커니즘
무선 네트워크에서, 만약 단말기가 지속적으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센싱하고, 네트워크측으로부터 송신되는 지시 메시지를 기초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단말기의 전력 소모가 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3GPP 표준 프로토콜은 LTE 시스템에 DRX 에너지 절약 전략을 도입하였다.
DRX의 기본 메커니즘은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RRC_CONNECTED) 상태인 단말기에 대해 하나의 DRX 주기(DRX cycle)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X 사이클은 “지속(On Duration)” 및 “DRX 시기(Opportunity for DRX)”로 구성되며, 여기서, “On Duration” 시간 내에(연속 센싱 범위라고도 지칭), 단말기는 PDCCH를 센싱 및 수신하고(즉, 단말기가 활성화 기간임); 단말은 만약 연속 센싱 범위 내에 PDCCH가 수신되지 않으면, 연속 센싱을 중지하고, “Opportunity for DRX” 시간 내에 DRX 상태로 전환되며, 단말기는 PDCCH를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인다(즉, 단말기가 휴면기임). DRX 동작에서,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일부 타이머 파라미터를 기초로 단말기의 on duration 및 off duration를 제어한다.
사이드링크 기반 전송에 DRX 메커니즘이 도입되지 않았으며, 차량 인터넷 서비스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모든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을 때 모두 수신 상태이지만, 이러한 경우 단말기의 전력 소모가 매우 크며, 특히 핸드헬드 단말의 경우, 어떻게 전력 소모를 줄일지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사이드링크 증강 과제에서, 사이드링크 전송에 DRX 메커니즘을 도입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이때 단말기는 항상 수신 상태인 것이 아니라, DRX 구성에 따라, on duration 시간 내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말기는 만약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DRX(off duration)로 전환되어, 전력 절감 목적을 달성한다. 하지만,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 통신의 경우, 송신측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는 수신측에 수신되어야 하므로, DRX 메커니즘을 도입한 후, 어떻게 사이드링크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지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아래 기술방안을 개시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선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소스 선택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601): 제1 단말기가 제1 DRX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제1 시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측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수신측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제1 시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범위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 중 제1 DRX 파라미터를 기초로 결정된 시간 범위이고, 상기 제1 DRX 파라미터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연속 센싱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즉, 상기 제1 시간 범위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연속 센싱 범위이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DRX 파라미터는 drx-onDurationTimer이고, drx-onDurationTimer 운행 기간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는 바로 상기 제1 시간 범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유니캐스트 통신 또는 멀티캐스트 통신의 시나리오에 대하여, 송신측은 수신측의 DRX 구성 정보(즉,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파악하여, 송신측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가 수신측에 수신될 수 있도록 확보하여야 한다. 송신측(즉, 상기 제1 단말기)은 아래의 임의의 방식을 통해 수신측(즉, 상기 제2 단말기)의 DRX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방식 1: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DRX 구성 정보이다.
일 선택적인 형태에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 또는 PC5 - RRC 시그널링, 또는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 컨트롤 유닛(Media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에 휴대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2 차 SCI에 휴대된다. 즉, SCI 포맷 0-2를 통해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휴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로 SCI를 송신하며, 상기 SCI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휴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로 PC5 - RRC 시그널링을 송신하며, 상기 PC5 - RRC 시그널링은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휴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MAC CE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휴대한다.
방식 2: 그룹 헤드 단말기가 통신 그룹 내의 각각의 단말기에 대해 DRX 구성 정보를 구성한다. 추가적으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그룹 헤드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해 구성한 DRX 구성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그룹 헤드 단말기가 한 그룹의 단말기에 대해 구성한 DRX 구성 정보이며, 상기 한 그룹의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형태에서,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이거나; 또는,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이거나; 또는,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는 제3 단말기이다. 여기서, 상기 제3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이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당연히 자신이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해 구성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명백히 알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 또는 제3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 또는 제3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일 선택적인 형태에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SCI에 휴대되거나, 또는 PC5 - RRC 시그널링에 휴대되거나, 또는 MAC CE에 휴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 또는 제3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로 SCI를 송신하며, 상기 SCI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휴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 또는 제3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로 PC5 - RRC 시그널링을 송신하며, 상기 PC5 - RRC 시그널링은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휴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 또는 제3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MAC CE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휴대한다.
방식 3: 상기 제1 단말기가 사전 구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여기서, 모드 2(또는 모드 B)의 단말기에 대하여, 사전 구성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술한 임의의 방식의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리소스풀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리소스풀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형태에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DRX 파라미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DRX 파라미터: DRX 주기의 시작점에 위치하는 지속시간(또는 연속 센싱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drx-onDurationTimer이다.
제2 DRX 파라미터: PSCCH 시기(상기 PSCCH시기에 PSCCH가 전송되며, 상기 PSCCH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전송을 지시) 이후에 위치하는 지속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drx-InactivityTimer이다.
제3 DRX 파라미터: DRX 주기의 시작 서브 프레임 및/또는 DRX 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drx-LongCycleStartOffset이며, drx-LongCycle 및 drx-StartOffset를 포함한다.
제4 DRX 파라미터: 제1 DRX 파라미터의 작동 시간이 하나의 서브 프레임(상기 서브 프레임은 제3 DRX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내에 있는 슬롯 오프셋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drx-SlotOffset이다.
단계(602):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리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리소스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한다.
1) 본 출원의 일 선택적인 형태에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며; 상기 제1 리소스는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에 속한다. 즉,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리소스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센싱 결과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 윈도우(선택 윈도우라고도 약칭 가능) 내에서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을 결정한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의 결정은 상술한 “센싱 기반 리소스 선택 방법” 중 예를 들어 “집합 B”를 결정하는 과정과 같은 관련 기재들을 참조할 수 있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는 제2 리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2 리소스는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에 속하고,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2 리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선택한 상기 제1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는 모두 상기 제1 시간 범위(즉, 상기 제2 단말기의 연속 센싱 범위) 내에 위치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a)는 UE 1(수신측)의 DRX 도면이며, 도(b)는 UE 2(송신측)의 리소스 선택 도면이다. UE 2가 시점 n에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때, 리소스 선택 윈도우는 [n + 1, n + 100]이며, UE 2는 센싱 결과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 윈도우 내에서 리소스를 선택하지만, UE 2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는 UE 1에 수신되어야 하므로, UE 2는 전송 리소스를 선택할 때 UE 1의 DRX 구성 정보를 고려하여야 한다. 즉, UE 2는 UE 1의 DRX 구성 정보를 기초로 UE 2의 리소스 선택 범위를 제한한다. 리소스 선택 윈도우 내에 UE 1의 DRX on duration 기간(즉, 연속 센싱 범위)이 포함되며, UE 2가 선택할 수 있는 리소스는 UE 1의 DRX on duration 기간 내에 있으며, 예컨대 도면에서 n + t1 및 n + t2에 대응되는 두 개의 리소스이다.
일 선택적인 형태에서, 상기 제1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리소스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초기 전송을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리소스는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의 DRX 구성 정보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고, 선택된 제1 리소스는 제2 단말기의 DRX on duration 기간(즉, 연속 센싱 범위) 내에 위치하여,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리소스에서 송신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제2 단말기가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2) 본 출원의 일 선택적인 형태에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며; 상기 제1 리소스는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에 속한다. 즉,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리소스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센싱 결과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 윈도우(선택 윈도우라고도 약칭 가능) 내에서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을 결정한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의 결정은 상술한 “센싱 기반 리소스 선택 방법” 중 예를 들어 “집합 B”를 결정하는 과정과 같은 관련 기재들을 참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2 리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2 리소스는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에 속하고, 상기 제1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간격은 제1 타이머에 대응되는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고, 또는, 상기 제1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간격은 상기 제1 타이머에 대응되는 시간 길이를 기초로 결정된다. 즉,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2 리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간격은 제1 타이머에 대응되는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선택한 상기 제1 리소스는 상기 제1 시간 범위(즉, 상기 제2 단말기의 연속 센싱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 제1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타이머를 작동시키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타이머는 예를 들어 제1 DRX 파라미터가 결정하는 타이머(예를 들어drx-onDurationTimer) 또는 제2 DRX 파라미터가 결정하는 타이머(예를 들어drx-InactivityTimer)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 제1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타이머(즉, drx-onDurationTimer 또는drx-InactivityTimer)를 작동시키며, 여기서, 상기 제1 타이머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연속적으로 센싱하는 시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타이머를 작동시키므로, 제2 단말기의 연속 센싱 범위를 연장시킬 수 있으며,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의 연속 센싱 범위 내에서 제2 리소스를 선택하거나,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타이머 실행 기간에 제2 리소스(즉, 상기 제1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간격은 제1 타이머에 대응되는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다)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제1 리소스와 제2 리소스가 모두 상기 제2 단말기의 연속 센싱 범위 내에 있는 것을 구현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만약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의 모든 리소스가 제1 시간 범위 외에 위치하면, 상기 제1 단말기는 RSRP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리소스를 선택하거나(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의 RSRP 측정값이 가장 낮은 리소스를 상기 제1 리소스로서 선택); 또는,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서 랜덤으로 상기 제1 리소스를 선택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도 7b는 DRX의 동작 메커니즘을 나타내며, (a)는 제2 단말기에 제1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의 DRX 패턴이고, (b)는 제2 단말기에 DRX on duration 기간에 제1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의 DRX 패턴이다. 만약 제2 단말기에 on duration 기간에 제1 데이터(예컨대 PSCCH및/또는 PSSCH)가 수신되면, 제2 단말기는 제1 타이머(예컨대, drx-onDurationTimer 또는drx-InactivityTimer)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타이머의 타임아웃 전에, 제2 단말기는 on duration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타이머의 타임아웃 후, 단말기는 off duration 상태로 진입한다(또는 DRX 상태).
일 선택적인 형태에서, 상기 제1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리소스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초기 전송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리소스는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것이다.
이하, 상이한 예시를 결합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예시 1
제1 단말기가 센싱 결과를 기초로 결정한 제1 후보 리소스 집합 중의 리소스가 모두 제2 단말기의 on duration 기간(즉, 연속 센싱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제1 단말기는 on duration 기간 내에서 제1 리소스를 선택하고, 제1 리소스를 통해 제2 단말기로 제1 데이터를 송신하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한 후, 제1 타이머(예를 들어drx-InactivityTimer)를 작동시켜, 제2 단말기의 연속 센싱 범위를 연장시켜, 제1 후보 리소스 집합 중 전부 또는 부분 리소스가 제2 단말기의 연속 센싱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1 단말기는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제2 리소스를 선택하며, 여기서, 제1 리소스와 제2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제1 타이머(예를 들어 drx-InactivityTimer)에 대응되는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므로, 제2 리소스가 제2 단말기의 연속 센싱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확보한다.
도 7c을 참조하면, 제1 타이머가 drx-InactivityTimer인 예를 들면, 검정 블록은UE 2가 센싱 결과를 기초로 결정한 제1 후보 리소스 집합 중의 리소스를 나타내고, 상기 집합 중 모든 리소스는 모두 UE 1의 on duration 기간 내, 즉, 흰색 박스로 표시되는 시간 범위에 있지 않으며, 이때 UE 2는 on duration 기간 내에서 제1 리소스 RS0를 선택하며, 상기 리소스에서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UE 1가 drx-InactivityTimer를 작동시키도록 트리거하며, 이때 UE 1의 DRX 패턴은 (a)로부터 (c)로 변경되고, 즉, UE 1의 on duration 범위가 확대되므로, UE 1은 drx-InactivityTimer 타임아웃 전의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에 위치하는 전송 리소스, 예컨대 RS1, RS2, RS3를 선택하고, 상기 전송 리소스를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여, UE 1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 2는 RSRP 측정값을 기초로 on duration기간 내에서 RSRP 측정값이 가장 낮은 제1 리소스 RS0를 선택하거나; 또는 UE 2는 on duration기간 내에서 랜덤으로 제1 리소스 RS0를 선택한다.
선택적으로, UE 2는 제1 리소스 RS0를 이용하여 전송할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UE 2는 제1 리소스 RS0를 이용하여 무효 데이터(예를 들어 랜덤 비트, 중복 비트 등)를 전송하고, 제2 리소스를 이용하여 전송할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초기 전송 및/또는 재전송을 포함)를 전송한다.
예시 2
제1 단말기가 센싱 결과를 기초로 결정한 제1 후보 리소스 집합 중의 리소스는 전부 또는 일부가 제2 단말기의 on duration 기간(즉, 연속 센싱 범위) 내에 있지만, 제1 후보 리소스 집합 중 on duration 기간 내에 위치하는 리소스 수량 M이 제1 단말기가 선택해야 할 리소스 수량 N보다 작으며, 제1 단말기는 M개의 리소스로부터 제1 리소스를 선택하고, 제1 리소스를 통해 제2 단말기로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한 후, drx-InactivityTimer를 작동시켜, 제2 단말기의 연속 센싱 범위를 연장시킨다; 제1 단말기는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N-1개의 제2 리소스를 선택하고, 상기 N-1개의 제2 리소스 중 각각의 제2 리소스와 제1 리소스 사이의 시간 간격은 drx-InactivityTimer에 대응되는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므로, 상기 N-1개의 제2 리소스가 제2 단말기의 연속 센싱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확보한다.
도 7c을 참조하면, 만약 RS0도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에 속하지만, UE 2가 2개의 전송 리소스를 선택하여야 하면, 만약 UE 2가 UE 1의 DRX 파라미터를 알 수 있으면, UE 1의 DRX 파라미터, 예를 들어 drx-InactivityTimer를 기초로, UE 1이 작동시킨 상기 타이머에 대응되는 연속 센싱 시간 범위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UE 2는 RS0를 제1 리소스로서 선택하고, RS0의 시점이 시작 시점이 되는 Drx-InactivityTimer의 시간 범위 내에서 제2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S1, RS2 또는 RS3를 제2 리소스로서 선택할 수 있으므로, UE 1가 RS0을 수신하였을 때 drx-InactivityTimer를 트리거하여, on duration의 시간 범위를 연장시키고, 상기 연장된 시간 범위 내에서 제2 리소스에 적재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단말기의 연속 센싱 범위 내에 사용 가능한 후보 리소스가 없을 때, 또는 후보 리소스 량이 부족할 때, 제1 단말기는 제1 리소스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가 drx-InactivityTimer를 작동시키도록 트리거함으로써,제1 단말기가 제2 리소스를 통해 전송한 데이터를 제2 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선택 장치의 구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소스 선택 장치는,
제1 DRX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제1 시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획득 유닛(801);
제1 리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리소스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하는 선택 유닛(802)을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DRX 구성 정보이고;
상기 획득 유닛(801)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그룹 헤드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해 구성한 DRX 구성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그룹 헤드 단말기가 한 그룹의 단말기에 대해 구성한 DRX 구성 정보이고, 상기 한 그룹의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이거나; 또는,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이거나; 또는,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는 제3 단말기이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이거나 또는 제3 단말기인 경우,
상기 획득 유닛(801)은 상기 제2 단말기 또는 제3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SCI에 휴대되거나, 또는 PC5 - RRC 시그널링에 휴대되거나, 또는 MAC CE에 휴대된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DRX 구성 정보이고;
상기 획득 유닛(801)은 사전 구성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획득 유닛(801)은 리소스풀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리소스풀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리소스는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에 속하는 결정 유닛(803)을 더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선택 유닛(802)은 또한 제2 리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리소스는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에 속하고,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간격은 제1 타이머에 대응되는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타이머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연속적으로 센싱하는 시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 제1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타이머를 작동시키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인 송신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선택 유닛(802)은,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의 모든 리소스가 제1 시간 범위 이외에 위치하면, RSRP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리소스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서 랜덤으로 상기 제1 리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결정 유닛(803)은 센싱 결과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 윈도우 내에서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술한 리소스 선택 장치의 관련 기재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리소스 선택 방법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900)의 구성도이다. 상기 통신기기는 단말기일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통신기기(900)는 프로세서(9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9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기기(900)는 메모리(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920)는 프로세서(910)와 별도로 이루어진 단독 소자일 수 있고, 프로세서(919)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900)는 트랜시버(9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910)는 상기 트랜시버(930)가 기타 기기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기타 기기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기타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시버(930)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930)는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수량은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900)는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고, 또한 상기 통신 기기(9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900)는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단말기일 수 있고, 또한 상기 통신 기기(9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칩(1000)은 프로세서(10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1000)은 메모리(10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020)는 프로세서(1010)와 별도로 이루어진 단독 소자일 수 있고, 프로세서(10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1000)은 입력 인터페이스(10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1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30)가 기타 기기 또는 칩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타 기기 또는 칩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1000)은 출력 인터페이스(10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10)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1040)가 기타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타 기기 또는 칩으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시스템(1100)은 단말기(1110)와 네트워크 기기(1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110)는 상술한 방법 중 단말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1120)는 상술한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프로세서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으며, 신호 처리 능력을 구비한다. 구현 과정에서,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또는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일반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를 결합하여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수행 완성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통해 수행 완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본 분야의 성숙된 저장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있는 정보를 판독하고, 그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고, 이는 외부 캐시로서 사용된다. 한정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RAM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2배속 데이터 레이터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증강형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시스템과 방법의 메모리는 이러한 및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상술한 메모리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 설명은 아니며,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2배속 데이터 레이터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증강형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 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는 이러한 및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에 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며,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며,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며,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며,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며,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며,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분야의 일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기재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할지는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라면 각각의 특정된 응용에 대해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기재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본 분야에 속하는 기술자라면, 기재의 편의와 간결성을 위하여, 상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 기능 구분일 뿐, 실제로 구현할 때 기타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고, 또는 일부 특징은 생략할 수 있고, 또는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표시 또는 논의되는 서로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품으로서 설명되는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아닌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되는 부재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 도 있는 바, 즉 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고, 각각의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비해 기여한 부분 또는 상기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바, 몇개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가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모든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저장매체는 USB 메모리, 모바일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대체를 쉽게 생각해낼 수 있고, 이러한 변화 또는 대체 또한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35)

  1. 리소스 선택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가 제1 비연속 수신(DRX)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제1 시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리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리소스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스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DRX 구성 정보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그룹 헤드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해 구성한 DRX 구성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그룹 헤드 단말기가 한 그룹의 단말기에 대해 구성한 DRX 구성 정보이고, 상기 한 그룹의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이거나; 또는,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이거나; 또는,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는 제3 단말기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이거나 또는 제3 단말기인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 또는 제3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에 휴대되거나, 또는 PC5 - RRC 시그널링에 휴대되거나, 또는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 컨트롤 유닛(MAC CE)에 휴대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DRX 구성 정보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사전 구성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리소스풀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리소스풀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며; 상기 제1 리소스는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에 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제2 리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2 리소스는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에 속하고,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영역 위치가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간격이 제1 타이머에 대응되는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연속적으로 센싱하는 시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 제1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타이머를 작동시키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기 위한 것인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의 모든 리소스가 제1 시간 범위 이외에 위치하면, 상기 제1 단말기가 기준신호 수신 전력(RSRP)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리소스를 선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서 랜덤으로 상기 제1 리소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센싱 결과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 윈도우 내에서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리소스 선택 장치에 있어서,
    제1 DRX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제1 시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획득 유닛;
    제1 리소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리소스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하는 선택 유닛를 포함하는 리소스 선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DRX 구성 정보이고;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그룹 헤드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해 구성한 DRX 구성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그룹 헤드 단말기가 한 그룹의 단말기에 대해 구성한 DRX 구성 정보이고, 상기 한 그룹의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이거나; 또는,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이거나; 또는,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는 제3 단말기인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헤드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이거나 또는 제3 단말기인 경우,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제2 단말기 또는 제3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인 장치.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SCI에 휴대되거나, 또는 PC5 - RRC 시그널링에 휴대되거나, 또는 MAC CE에 휴대되는 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DRX 구성 정보이고;
    상기 획득 유닛은 사전 구성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장치.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리소스풀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리소스풀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DRX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며; 상기 제1 리소스는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에 속하는 결정 유닛를 더 포함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은 또한 제2 리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리소스는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에 속하고,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영역 위치가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간격이 제1 타이머에 대응되는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연속적으로 센싱하는 시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장치.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 제1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타이머를 작동시키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인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장치.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기 위한 것인 장치.
  29.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은,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의 모든 리소스가 제1 시간 범위 이외에 있으면, RSRP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리소스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범위 내에서 랜덤으로 상기 제1 리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인 장치.
  30.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센싱 결과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 윈도우 내에서 상기 제1 후보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기 위한 것인 장치.
  31. 단말기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인 단말기.
  32. 칩에 있어서,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칩이 장착된 기기가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
  33.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34.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5.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7027420A 2020-02-07 2020-02-07 리소스 선택 방법 및 장치, 단말기 KR202201405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074538 WO2021155594A1 (zh) 2020-02-07 2020-02-07 一种选取资源的方法及装置、终端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510A true KR20220140510A (ko) 2022-10-18

Family

ID=7719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420A KR20220140510A (ko) 2020-02-07 2020-02-07 리소스 선택 방법 및 장치,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77709A1 (ko)
EP (1) EP4090084A4 (ko)
KR (1) KR20220140510A (ko)
CN (2) CN114868430A (ko)
WO (1) WO2021155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10414A1 (en) * 2020-02-13 2023-07-12 Ofinno, LLC Resource retrieve procedure
US11937182B2 (en) * 2020-10-02 2024-03-19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resource allocation with power saving operation
WO2022086280A1 (ko) * 2020-10-22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sl drx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50376A1 (en) * 2021-09-30 2023-04-0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s and devices for candidate resource set initialization and user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9003B2 (en) * 2007-08-13 2011-03-0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of discontinuous reception (DRX) by a mobile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supporting voice-over-internet-protocol (VoIP)
WO2015176251A1 (zh) * 2014-05-21 2015-11-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到设备d2d通信中的信号传输方法及装置
CN107241786B (zh) * 2016-03-28 2020-10-0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进行通信配置的方法和设备
CN108307486A (zh) * 2016-08-11 2018-07-20 索尼公司 用于网络控制端和网络节点的电子设备和方法
WO2018064477A1 (en) * 2016-09-30 2018-04-05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20190089961A (ko) * 2016-12-27 2019-07-3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CN114143863B (zh) * 2017-06-02 2023-03-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非连续接收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9031926A1 (en) * 2017-08-10 2019-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SOURCE ALLOCATION AND LATERAL LINK COMMUNICATION
WO2019084927A1 (zh) * 2017-11-03 2019-05-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D2d通信中资源选取的方法和终端设备
WO2019090522A1 (zh) * 2017-11-08 2019-05-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D2d通信中资源配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9160788A1 (en) * 2018-02-13 2019-08-22 Idac Holdings, Inc. Sidelink resource pool activ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90084A4 (en) 2023-01-18
CN114868430A (zh) 2022-08-05
US20220377709A1 (en) 2022-11-24
EP4090084A1 (en) 2022-11-16
WO2021155594A1 (zh) 2021-08-12
CN115066030B (zh) 2023-11-28
CN115066030A (zh)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538B1 (ko) 비 연속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20140510A (ko) 리소스 선택 방법 및 장치, 단말기
US20150282246A1 (en) Selection of RRC Configu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Network State
CN112673690A (zh) 一种资源分配方法及装置、终端
JP2022174252A (ja) 通信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US20220368454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Mode in Sidelink, Terminal Apparatus, and Network Apparatus
WO2020168575A1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1937329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DRX) i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devices
CN113519177A (zh) 一种资源共享方法及装置、终端设备
CN115175283B (zh) 非连续接收参数的处理方法、存储介质和处理器
US2023023237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resource set and terminal device
CN113225731B (zh) 无线通信方法和设备
CN114451004A (zh) 一种cli测量的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CN113412649A (zh) 监听控制信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3004725A1 (zh) 无线通信方法、第一设备和第二设备
US20210195644A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3557758B (zh) 用于侧行链路的能力上报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0150877A1 (zh) 用于非授权频谱的通信方法和设备
WO2022165843A1 (zh) 侧行传输方法和终端
WO2023245492A1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2021293A1 (zh) 信道侦听的方法及设备
EP409309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parameter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WO2022236488A1 (zh) 信道繁忙率的测量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7223389A (zh) 一种drx参数的确定方法及装置、终端设备
CN116491133A (zh) 无线通信方法和终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