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391A -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391A
KR20220140391A KR1020210094125A KR20210094125A KR20220140391A KR 20220140391 A KR20220140391 A KR 20220140391A KR 1020210094125 A KR1020210094125 A KR 1020210094125A KR 20210094125 A KR20210094125 A KR 20210094125A KR 20220140391 A KR20220140391 A KR 20220140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amera
image
user
content
camera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3493B1 (ko
Inventor
민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썸피아
민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썸피아, 민문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썸피아
Publication of KR2022014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37Direct connection machines, e.g. completely connected computers, point to point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96
    • H04N5/2329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영역 내 설치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영상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 중 일부분을 바라보는 방향(이하, '가상 카메라 시점'이라고 함)을 갖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며, 상기 영역 내에서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와, 상기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통한 가상 카메라 시점의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이 바라보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가상 카메라 제어 서버와,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영상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ontent using a machine of virtual camera}
본 발명은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광지와 같은 곳에서는 서로 다른 뷰를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예컨대, 전망대 망원경)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특정 뷰를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뷰를 보기 위해 카메라를 선택하고, 선택한 카메라를 이용하기 위해 순서를 기다린 후 선택한 카메라의 조작을 통해 해당 뷰를 감상할 수 있다.
최근, 코로나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에 따라 관광지의 방문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 상에서의 카메라를 이용한 뷰 감상 서비스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다양한 뷰 영상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0598호(2013.12.05.등록.)
본 발명은 소정의 영역 내 설치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영상을 가상 카메라 머신을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카메라 머신의 제어를 통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영상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서 직접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소정의 영역 내 설치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영상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 중 일부분을 바라보는 방향(이하, '가상 카메라 시점'이라고 함)을 갖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며, 상기 영역 내에서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와, 상기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통한 가상 카메라 시점의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이 바라보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가상 카메라 제어 서버와,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영상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맞춰 병합하여 전체 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상 처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는 상기 영역 내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의 생성 위치 및 상기 가상 카메라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 제어 기능을 갖는 기기에 장착되며, 상기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는 상기 기기가 갖는 카메라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감상 포인트 각각에 대한 영상 특징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감상 포인트 각각에서 제공될 가상 현실 콘텐츠 또는 증강 현실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특징 정보와 상기 전체 영상간의 비교를 통해 감상 포인트 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감상 포인트 부분에 대한 상기 전체 영상 내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제공 서버는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이 상기 감상 포인트에 대응되는 영역인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 현실 콘텐츠 또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는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매칭된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며, 상기 고유 식별 정보가 셋팅된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신호는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며, 상기 영상 제공 서버는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이 바라보는 방향의 영상을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은 소정의 영역 내 설치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영상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 중 일부분을 바라보는 방향(이하, '가상 카메라 시점'이라고 함)을 갖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 내에서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통한 가상 카메라 시점의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이 바라보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제공 방법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맞춰 병합하여 전체 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내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의 생성 위치 및 상기 가상 카메라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 제어 기능을 갖는 기기에 장착되며,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가 갖는 카메라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감상 포인트 각각에 대한 영상 특징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감상 포인트 각각에서 제공될 가상 현실 콘텐츠 또는 증강 현실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특징 정보와 상기 전체 영상간의 비교를 통해 감상 포인트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감상 포인트 부분에 대한 상기 전체 영상 내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에 대한 영상 내 감상 포인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감상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 현실 콘텐츠 또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매칭된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며, 상기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신호는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에 대한 영상을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영역 내 설치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영상을 가상 카메라 머신을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카메라 머신의 제어를 통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영상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서 직접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가상 카메라 머신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가상 카메라 머신을 통해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가상 카메라 머신을 통해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카메라(100), 복수의 사용자측 단말기(120)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00)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서로 다른 영역을 촬영한 후 이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에 전송할 수 있는데, 그 예로서 네트워크 연결 기능을 가지며, 네트워크 연결 기능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00)는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한 기기, 예컨대 전망대 망원경에 장착되어 촬영한 영상을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기는 카메라(100)의 기능, 예컨대 카메라(100)의 상하좌우 이동, 회전 이동, 줌인, 줌아웃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100)가 구비된 전망대 망원경은 관광, 학습, 엔터테인먼트, 체험 등의 목적으로 육안으로 보기 어려운 문화재, 유적지, 명소, 자연 경관, 랜드마크 등의 디테일을 감상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기둥부에 고정된 채로 회전부에 의해 회전 움직임뿐만 아니라 회전부를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영상을 소정의 디스플레이(260)에 표시한 후 가상 카메라 머신 기반으로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6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영역 내에 설치될 수 있는데, 그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내에 원 모양으로 설치되어 영상을 표시하거나 영역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구성되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디스플레이(260)의 특성, 예컨대 사이즈, 해상도 등을 기반으로 복수의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병합하여 전체 영상(이하, '디스플레이 표시 영상'이라고 함)을 생성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26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복수의 카메라(100) 또는 복수의 카메라(100)가 장착된 기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복수의 카메라(100) 또는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한 영상을 합성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26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측 단말기(110)의 접속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260)의 일부분 또는 전체 부분을 바라보는 방향(이하, '가상 카메라 시점'이라고 함)을 갖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측 단말기(110)의 접속 요청에 따라 영역 내 자신의 위치 및 디스플레이(260)를 바라보는 방향인 가상 카메라 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자신의 위치 및 가상 카메라 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측 단말기(110)에 제공한 후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상 카메라 머신은 카메라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카메라의 기능들, 예컨대 상하좌우 이동, 촬영 기능, 줌, 틸트, 패닝 및 포커스 등과 같은 카메라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상 카메라 머신은 카메라가 설치된 기기, 예컨대 전망대 망원경과 동일한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사용자측 단말기(110)의 요청에 의해 생성된 가상 카메라 머신은 사용자측 단말기(110)의 요청만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고유 식별 정보는 사용자측 단말기(110)의 IMEI,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회원 가입 시 설정된 아이디/비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고유 식별 정보를 통해 사용자측 단말기(110)와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상호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위해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영상 처리 서버(210),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220), 가상 카메라 제어 서버(230), 영상 제공 서버(240) 및 데이터베이스(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서버(210)는 디스플레이(26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카메라(100) 또는 복수의 카메라(100)가 장착된 기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260)의 특성에 맞게 변환하여 디스플레이(26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서버(210)는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영상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60)에 표시할 수 있다.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22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측 단말기(110)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영역 내 설치된 디스플레이(260)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 중 일부분을 바라보는 방향에 해당되는 가상 카메라 시점을 갖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며,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측 단말기(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220)에 의해 생성된 가상 카메라 머신에는 사용자의 고유 식별 정보가 셋팅되어 소프트웨어, 예컨대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220)는 사용자측 단말기(110)의 접속 요청에 따라 영역 내의 가상 카메라 머신의 생성 위치(사용자의 위치에 해당됨) 및 가상 카메라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정보에 의거하여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카메라 제어 서버(230)는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통한 가상 카메라 시점의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가상 카메라 머신이 바라보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가상 카메라 시점의 변경 요청은 사용자측 단말기(110) 상에 표시된 제어용 인터페이스 상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발생되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의 가상 카메라 제어 서버(230)에 제공될 수 있다.
가상 카메라 시점의 변경은 최초 설정된 영역 내 위치에서 가상 카메라 머신의 상하좌우 이동을 의미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240)는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에서 촬영되는 영상, 즉 가상 카메라 시점에 따라 디스플레이(260)의 일부분을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측 단말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220)는 가상 카메라 머신 생성 시 카메라가 장착된 기기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측 단말기(110)에 제공하며, 기기의 종류에 따라 카메라 제어 기능을 설정한 후 이를 포함한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기의 종류는 전망대 망원경, 드론, 스마트폰 기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데이터베이스(250)에는 복수의 감상 포인트에 대한 속성 정보, 예컨대 감상 포인트의 영상 특징 정보(예컨대, 감상 포인트 부분에 해당되는 영상의 특징 정보로서 히스토그램 분포 값)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각 감상 포인트에는 다양한 콘텐츠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각 감상 포인트에는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 콘텐츠가 매칭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상 포인트에 매칭된 콘텐츠는 해당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 서버(210)는 디스플레이(260) 상에 표시될 전체 영상을 생성할 때,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영상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영상에서 감상 포인트 설정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한 설정 정보에 대한 전체 영상 내 위치 정보(예컨대 전체 영상 내 좌표 값)를 계산하여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공 서버(240)는 가상 카메라 머신이 바라보는 방향의 영상 내에 감상 포인트가 존재할 경우 감상 포인트에 매칭된 콘텐츠, 예컨대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측 단말기(110)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220)는 사용자의 고유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측 단말기(110)의 가상 카메라 머신에 대한 제어 요청은 고유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영상 제공 서버(240)의 영상 또는 콘텐츠 전송은 고유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측 단말기(110) 상에 표시된 제어용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통해 생성된 제어 요청은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에 전송되며, 영상 제공 서버(240)에 의해 제공되는 영상 또는 콘텐츠는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사용자측 단말기(110)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상 카메라 머신이 생성되는 영역은 메타버스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220)는 사용자측 단말기(110)의 접속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아바타를 생성하고, 생성한 아바타가 가상 카메라 머신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들고 있는 영상을 촬영하는 부분과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측 단말기(1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측 단말기(110)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측 단말기(110)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측 단말기(110)와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간을 연결시키는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에 가상 카메라 머신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가상 카메라 머신을 통해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영상 처리 서버(210)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260)의 특성에 맞게 병합하여 전체 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소정의 영역 내 설치된 디스플레이(260)를 통해 표시한다(S300, S302).
이때, 디스플레이(260) 상에 표시된 전체 영상은 복수의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변경 여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 처리 서버(210)는 복수의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변화 정도를 체크하며, 영상의 변화 정도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260) 상에 표시된 전체 영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후, 소정의 사용자측 단말기(110)로부터 서비스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S304),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220)는 영역 내 사용자 위치 설정 및 가상 카메라 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측 단말기(110)에 제공한 후 사용자의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며(S306), 가상 카메라 머신의 제어를 위한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측 단말기(110)에 제공한다(S308).
이때, 생성된 가상 카메라 머신에는 사용자의 고유 식별 정보가 셋팅되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며,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영상 제공 서버(240)에 의해 가상 카메라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상 카메라 머신에는 다양한 카메라 기능, 예컨대 촬영, 줌, 틸팅, 패닝, 포커스 제어, 상하좌우 이동, 회전 이동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용 인터페이스는 카메라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측 단말기(110)로부터 제어용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사용자 제어 요청, 예컨대 가상 카메라 시점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S310), 가상 카메라 제어 서버(230)는 사용자의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을 변경(S312)시킴과 더불어 가상 카메라 시점의 변경에 따른 영상을 사용자측 단말기(110)에 제공(S312)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카메라 머신의 제어 요청을 가상 카메라 시점의 변경의 경우에 대해서만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가상 카메라 머신의 카메라 기능, 예컨대 줌, 틸트, 패닝, 촬영, 포커스 변경 등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가상 카메라 머신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영상 처리 서버(210)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260)의 특성에 맞게 병합하여 전체 영상을 생성하며(S400),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감상 포인트에 대한 영상 특징 정보와 전체 영상간의 비교를 통해 전체 영상 내 감상 포인트에 해당되는 감상 포인트 부분을 추출(S402)한 후 추출한 감상 포인트 부분에 대한 전체 영상 내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한다(S404).
이후, 소정의 사용자측 단말기(110)로부터 서비스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S406),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220)는 영역 내 사용자 위치 설정 및 가상 카메라 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측 단말기(110)에 제공한 후 사용자의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며(S408), 가상 카메라 머신의 제어를 위한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측 단말기(110)에 제공한다(S410).
이후, 사용자측 단말기(110)로부터 제어용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사용자 제어 요청, 예컨대 가상 카메라 시점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S412), 가상 카메라 제어 서버(230)는 사용자의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을 변경(S414)시킨다.
이와 더불어, 영상 제공 서버(240)는 가상 카메라 시점의 변경에 따른 영상 내 감상 포인트 부분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416). 구체적으로, 영상 제공 서버(240)는 가상 카메라 시점을 통해 획득한 영상의 디스플레이(260) 상 위치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감상 포인트 부분의 위치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영상 내 감상 포인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416의 판단 결과, 감상 포인트가 존재할 경우 영상 제공 서버(240)는 감상 포인트에 매칭된 콘텐츠를 사용자측 단말기(110)에 제공한다(S418).
한편, S416의 판단 결과, 감상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영상 제공 서버(240)는 변경된 가상 카메라 시점에 대한 영상을 사용자측 단말기(110)에 제공(S420)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100 : 카메라
110 : 사용자측 단말기
200 : 콘텐츠 제공 시스템
260 : 디스플레이

Claims (10)

  1. 소정의 영역 내 설치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영상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 중 일부분을 바라보는 방향(이하, '가상 카메라 시점'이라고 함)을 갖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며, 상기 영역 내에서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와,
    상기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통한 가상 카메라 시점의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이 바라보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가상 카메라 제어 서버와,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영상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맞춰 병합하여 전체 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상 처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 생성 서버는,
    상기 영역 내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의 생성 위치 및 상기 가상 카메라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감상 포인트 각각에 대한 영상 특징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감상 포인트 각각에서 제공될 가상 현실 콘텐츠 또는 증강 현실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특징 정보와 상기 전체 영상간의 비교를 통해 감상 포인트 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감상 포인트 부분에 대한 상기 전체 영상 내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 서버는,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이 상기 감상 포인트에 대응되는 영역인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 현실 콘텐츠 또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소정의 영역 내 설치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영상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 중 일부분을 바라보는 방향(이하, '가상 카메라 시점'이라고 함)을 갖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 내에서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용 인터페이스를 통한 가상 카메라 시점의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이 바라보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방법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맞춰 병합하여 전체 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내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의 생성 위치 및 상기 가상 카메라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감상 포인트 각각에 대한 영상 특징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감상 포인트 각각에서 제공될 가상 현실 콘텐츠 또는 증강 현실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특징 정보와 상기 전체 영상간의 비교를 통해 감상 포인트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감상 포인트 부분에 대한 상기 전체 영상 내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카메라 머신의 가상 카메라 시점에 대한 영상 내 감상 포인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감상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 현실 콘텐츠 또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210094125A 2021-04-09 2021-07-19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23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6388 2021-04-09
KR1020210046388 2021-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391A true KR20220140391A (ko) 2022-10-18
KR102523493B1 KR102523493B1 (ko) 2023-04-19

Family

ID=8380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125A KR102523493B1 (ko) 2021-04-09 2021-07-19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4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258B1 (ko) * 2023-06-05 2023-10-12 주식회사 오썸피아 망원경을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03578B1 (ko) * 2023-05-15 2023-11-17 주식회사 오버더핸드 3d 캐릭터와 3d 배경을 이용하여 버추얼카메라를 활용한 촬영 및 음악 장르의 편집과 영상 효과의 선택이 적용되는 영상 렌더링 시스템
WO2024096671A1 (ko) * 2022-11-04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상 현실 컨텐트와 관련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98B1 (ko) 2013-06-03 2013-12-11 송헌주 3차원 평면 타일배열 텍스처 매핑을 이용한 동영상기반 다시점 및 파노라마 가상현실 뷰어 제작 방법
KR101741149B1 (ko) * 2015-11-27 2017-05-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카메라의 시점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90592B1 (ko) * 2016-04-29 2017-11-20 용비에이티(주) 관광드론을 이용한 증강현실 관광 시스템 및 방법
KR101912396B1 (ko) * 2017-06-13 2018-10-26 주식회사 아이닉스 가상 카메라 기반의 임의 시점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18182566A (ja) * 2017-04-14 2018-11-15 富士通株式会社 視点選択支援プログラム、視点選択支援方法及び視点選択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98B1 (ko) 2013-06-03 2013-12-11 송헌주 3차원 평면 타일배열 텍스처 매핑을 이용한 동영상기반 다시점 및 파노라마 가상현실 뷰어 제작 방법
KR101741149B1 (ko) * 2015-11-27 2017-05-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카메라의 시점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90592B1 (ko) * 2016-04-29 2017-11-20 용비에이티(주) 관광드론을 이용한 증강현실 관광 시스템 및 방법
JP2018182566A (ja) * 2017-04-14 2018-11-15 富士通株式会社 視点選択支援プログラム、視点選択支援方法及び視点選択支援装置
KR101912396B1 (ko) * 2017-06-13 2018-10-26 주식회사 아이닉스 가상 카메라 기반의 임의 시점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671A1 (ko) * 2022-11-04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상 현실 컨텐트와 관련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603578B1 (ko) * 2023-05-15 2023-11-17 주식회사 오버더핸드 3d 캐릭터와 3d 배경을 이용하여 버추얼카메라를 활용한 촬영 및 음악 장르의 편집과 영상 효과의 선택이 적용되는 영상 렌더링 시스템
KR102588258B1 (ko) * 2023-06-05 2023-10-12 주식회사 오썸피아 망원경을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493B1 (ko)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493B1 (ko) 가상 카메라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12773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interac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96659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ugmented reality platform
US9552675B2 (en) Display application and perspective views of virtual space
US201902461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nd controlling panoramic image, and storage medium
US9723203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target user interface for capturing panoramic images
US20180096450A1 (en) Shared virtual reality
US8769437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virtual media items in a visual media
US9525964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providing interactive navigational assistance using movable guidance markers
US2013020118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control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18505584A (ja) インタラクティブ双眼鏡ビデオ表示
EP39963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haring of experiences between user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17133147A1 (zh) 一种实景地图的生成方法、推送方法及其装置
KR101794931B1 (ko) 관광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50172634A1 (en) Dynamic POV Composite 3D Video System
KR102197615B1 (ko)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KR20150039233A (ko) 소셜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1093703A1 (zh) 基于光通信装置的交互方法和系统
KR101909994B1 (ko) 나노블럭을 이용한 3d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20376B1 (ko) 고도별 드론데이터 활용 및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69004A (ko) 다시점 360도 vr 컨텐츠 제공 시스템
JP2017183816A (ja) 動画配信サーバ、動画出力装置、動画配信システム、及び動画配信方法
Papakonstantinou et al. Framework for context-aware smartphone applications
WO2024116270A1 (ja) 携帯情報端末及び仮想現実表示システム
US20240087157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