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376B1 - 고도별 드론데이터 활용 및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고도별 드론데이터 활용 및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376B1
KR102420376B1 KR1020210062485A KR20210062485A KR102420376B1 KR 102420376 B1 KR102420376 B1 KR 102420376B1 KR 1020210062485 A KR1020210062485 A KR 1020210062485A KR 20210062485 A KR20210062485 A KR 20210062485A KR 102420376 B1 KR102420376 B1 KR 10242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data
reality content
service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썸피아
민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썸피아, 민문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썸피아
Priority to KR1020210062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B64C2201/1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망대 망원경의 촬영된 복수의 지역에 대한 실제 이미지에 해당되는 기준 데이터, 드론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지역 각각을 고도별로 촬영한 실제 이미지에 해당되는 드론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지역에 대한 드론용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 각각에 감상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감상 포인트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기준 데이터 및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 각각에 반영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하여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기기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상기 기기에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도별 드론데이터 활용 및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본 발명은 다양한 데이터에 반영될 수 있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와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새로운 환경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현실환경과 가상환경을 융합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은 1990년대 후반부터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증강 현실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실제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실제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가상현실기술은 가상환경에 사용자를 몰입하게 하여 실제환경을 볼 수 없다. 하지만 실제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증강 현실기술은 사용자가 실제환경을 볼 수 있게 하여 보다 나은 현실감을 제공한다.
한편, 최근 정부의 정책기조에 의해 정부에서는 정보의 개방 및 공유를 중요시하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공공데이터를 무료로 개방하여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의 확산으로 인해 일반 사용자가 정보의 이용뿐 아니라 생성에까지 참여하는 프로슈머(prosumer)의 역할까지 수행하면서 엄청난 규모의 다양한 데이터가 빠른 속도로 생산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드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드론을 활용하여 다양한 지역의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다양화에 따라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79586호(2018.07.12.등록)
본 발명은 전망대 망원경 및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실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에 감상 포인트와 이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반영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하고, 생성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 및 증강 현실 콘텐츠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증강 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도별 드론 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 수 있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양질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전망대 망원경의 촬영된 복수의 지역에 대한 실제 이미지에 해당되는 기준 데이터, 드론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지역 각각을 고도별로 촬영한 실제 이미지에 해당되는 드론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지역에 대한 드론용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 각각에 감상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상기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감상 포인트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상기 생성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기준 데이터 및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 각각에 반영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하여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기기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상기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상기 검색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상기 기기에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상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데이터를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감상 포인트에 대한 설정을 요청하여 상기 감상 포인트가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데이터에서 감상 포인트가 설정된 부분의 객체를 인식하여 객체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객체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도별 드론 데이터에서 감상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감상 포인트를 포함한 기준 데이터 또는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에 전송하여 가이드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식별 정보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기가 임베디드 컴퓨터를 구비한 전망대 망원경인 경우,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임베디드 컴퓨터에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객체 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임베디드 컴퓨터에서 상기 전망대 망원경의 광 입력장치로부터 실제 이미지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실제 이미지에서 상기 객체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한 객체에 대응되는 객체 식별 정보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실제 이미지에 반영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한 후 이를 광 출력장치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임베디드 컴퓨터에서 고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고도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고도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상기 광 출력장치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감상 포인트를 포함한 기준 데이터 또는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에 전송하여 가이드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한 가이드 데이터 각각에 대한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가 설정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는 상기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 각각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기준 데이터 및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에 반영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가 둘 이상 검색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에 대한 선택 메뉴 화면을 상기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기에서 선택 메뉴 화면 상에서 어느 하나의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상기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지역의 기준 데이터에 증강 현실 콘텐츠가 반영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검색하며,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고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시킨 상기 기준 데이터의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전송하여 출력시키며,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고도에 대한 드론용 데이터에 증강 현실 콘텐츠가 반영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상기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이를 상기 기기에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기준 데이터 또는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 내 감상 포인트의 객체 인식을 통해 객체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객체 식별 정보가 매칭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기기에 의해 촬영된 특정 지역의 일부분을 포함한 이미지를 통한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지역의 객체 식별 정보를 이용한 상기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이미지에서 감상 포인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감상 포인트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이미지에 반영하여 사용자 맞춤형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맞춤형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상기 기기에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망대 망원경 및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실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에 감상 포인트와 이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반영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하고, 생성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 및 증강 현실 콘텐츠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증강 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전망대 망원경의 활용도 및 증강 현실 콘텐츠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도별 드론 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 수 있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양질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망대 망원경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생성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생성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서비스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망대 망원경을 통해 증강 현실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망대 망원경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생성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생성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서비스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증강 현실 콘텐츠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그룹(100),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 서버(120) 및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40)로 구성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150) 및 증강 현실 콘텐츠를 서비스받는 복수의 사용자측 단말기(16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제공 그룹(100), 콘텐츠 생성 서버(120), 서비스 제공 서버(140) 및 복수의 사용자측 단말기(160)간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는 현실의 이미지 또는 촬영된 실제 이미지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 즉 증강 현실 콘텐츠가 반영된 형태의 데이터일 수 있다.
데이터 제공 그룹(100)은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지역을 촬영한 실제 이미지를 제공하는 복수의 전망대 망원경(102), 일정 고도에서 특정 지역을 촬영한 실제 이미지를 제공하는 드론(104) 및 특정 지역 내 다양한 감상 포인트 및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 데이터(즉, 영상 또는 텍스트 형태의 설명 데이터)를 제공하는 복수의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1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제공 그룹(100) 내 전망대 망원경(102) 및 드론(104)은 복수의 지역에 대한 촬영한 복수의 실제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콘텐츠 생성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먼저, 전망대 망원경(102)은 관광, 학습, 엔터테인먼트, 체험 등의 목적으로 육안으로 보기 어려운 문화재, 유적지, 명소, 자연 경관, 랜드마크 등의 디테일을 감상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기둥부에 고정된 채로 회전부에 의해 회전 움직임뿐만 아니라 회전부를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망대 망원경(102)은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른 촬영한 데이터(이하, '기준 데이터' 라고함)를 생성한 후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콘텐츠 생성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전망대 망원경(102)은 상하좌우의 위치 정보와 더불어 전망대 망원경(102)에 장착된 렌즈 정보를 함께 기준 데이터와 함께 콘텐츠 생성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망대 망원경(10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14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140)로부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은 후 이를 전망대 망원경(102)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다. 즉, 전망대 망원경(102)는 서비스 제공 서버(140)로부터 전송받은 증강 현실 콘텐츠, 즉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감상 포인트의 분석을 통해 획득한 객체 식별 정보에 매칭시켜 메모리(102a)에 저장한 후 이를 기반으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하여 서비스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망대 망원경(102)은 객체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광 입력장치(102b)를 통해 획득한 실제 이미지에 사물 인식을 위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감상 포인트를 획득하고, 획득한 감상 포인트의 가이드 데이터로 구성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메모리(102a)에서 검색한 후 검색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하여 광 출력장치(102c)에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 임베디드 컴퓨터(102d)를 구비할 수 있다.
드론(104)은 비행 중 특정 지역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콘텐츠 생성 서버(12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론(104)은 촬영 위치에서의 GPS 위치 정보 및 GPS 위치 정보에서 촬영한 촬영 데이터(이하, '드론용 데이터' 라고 함)를 콘텐츠 생성 서버(120)에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106)는 특정 지역에 대한 감상 포인트에 대한 정보 및 감상 포인트별로 소개될 데이터(이하, '가이드 데이터' 라고 함)를 콘텐츠 생성 서버(12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데이터는 가상 캐릭터, 영상 및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캐릭터는 데이터 제공자가 설정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제공자는 관광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종사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106)는 콘텐츠 생성 서버(120)로부터 기준 데이터를 제공받은 후 기준 데이터에 해당되는 실제 이미지 상에서 감상 포인트를 지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정된 감상 포인트에 가이드 데이터를 입력 또는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감상 포인트에 대한 정보 및 가이드 데이터를 콘텐츠 생성 서버(120)에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기준 데이터, 드론용 데이터, 감상 포인트 및 가이드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 등을 생성한 후 이를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기준 데이터 또는 드론용 데이터 내 지정된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객체를 인식하며, 인식한 객체에 대한 인식 정보(객체에 대한 특징점 정보를 포함함)를 기반으로 객체 식별 정보를 생성한 후 객체 식별 정보를 매칭시킨 증강 현실 콘텐츠를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 모듈(122), 포인트 설정 모듈(124) 및 증강 현실 콘텐츠 생성 모듈(1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모듈(122)은 데이터 제공 그룹(100)과의 연동을 통해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집 모듈(122)은 복수의 지역 각각에 대한 기준 데이터, 드론용 데이터 등을 수집하여 수집용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할 수 있다.
포인트 설정 모듈(124)은 기준 데이터 또는 드론용 데이터 내 영상에서 감상 포인트를 설정하고, 감상 포인트에 가이드 데이터를 입력 또는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106)에 제공하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 가이드 데이터 및 감상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106)로부터 수신한 후 이를 기준 데이터 및 드론용 데이터에 매칭시켜 수집용 데이터베이스(128)를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특히, 기준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감상 포인트가 지정되는 경우, 포인트 설정 모듈(124)은 기준 데이터 내 감상 포인트를 이용하여 드론용 데이터 내 감상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인트 설정 모듈(124)은 드론용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간의 비교하여 기준 데이터 내 감상 포인트에 대응되는 위치를 드론용 데이터에서 추출하는 방식으로 드론용 데이터 내 감상 포인트를 설정하거나 기준 데이터 내 설정된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객체 인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획득한 객체의 인식 정보를 기반으로 드론용 데이터에 사물 인식을 위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객체의 인식 정보와 유사성이 있는 객체를 드론용 데이터에서 검색함으로써, 드론용 데이터에 감상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감상 포인트에 대한 적어도 둘 이상의 가이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포인트 설정 모듈(124)은 가이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를 가이드 데이터에 매칭시켜 수집용 데이터베이스(128)를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증강 현실 콘텐츠 생성 서버(126)는 감상 포인트별로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며, 증강 현실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를 합성하여 전망대 망원경(102)의 영상이 적용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이하, 제 1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 라고함)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증강 현실 콘텐츠 생성 서버(126)는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객체 인식을 통해 객체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객체 식별 정보를 증강 현실 콘텐츠에 매칭시켜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하며, 객체 식별 정보를 기초하여 생성된 마커를 포함한 제 1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 즉 감상 포인트별로 객체 식별 정보별로 서로 다른 마커가 설정된 제 1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한 후 이를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증강 현실 콘텐츠 생성 모듈(126)은 감상 포인트 및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고도별로 촬영한 실제 이미지에 해당됨)를 합성하여 고도별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이하,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 라고 함)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증강 현실 콘텐츠 생성 모듈(126)은 객체 식별 정보를 기초하여 생성된 마커를 포함한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 즉 감상 포인트별로 객체 식별 정보별로 서로 다른 마커가 설정된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한 후 이를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할 때, 가이드 데이터에 적어도 둘 이상의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경우 증강 현실 콘텐츠 생성 모듈(126)은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별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며, 생성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이용하여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별로 제 1 및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콘텐츠 생성 모듈(12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 1에 대해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별로 서로 다른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며, 생성한 서로 다른 증강 현실 콘텐츠와 기준 데이터에 반영된 제 1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함과 더불어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에 반영된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하여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증강 현실 콘텐츠 생성 서버(126)는 감상 포인트별로 각각의 증강 현실 콘텐츠에 객체 식별 정보 및 마커를 매칭시켜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객체 식별 정보는 감상 포인트로 지정된 영역을 폐곡선으로 분리한 후 이를 폐곡선으로 분리된 영역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 특징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증강 현실 콘텐츠 생성 모듈(126)에 의해 생성된 제 1 및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 내 각 마커는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가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됨)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 터치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는 감상 포인트별로 마커가 설정되어 있으며, 마커의 선택에 따라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증강 현실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는 가이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데이터로서, 예컨대 가상 캐릭터의 소개 영상 및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데이터로 해당 감상 포인트를 소개하기 위한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증강 현실용 이미지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된 증강 현실용 소개 영상을 포함하고, 이에 대응되는 설명인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실제 이미지에 적용될 증강 현실 콘텐츠만을 제공하는 방법과 증강 현실 콘텐츠 및 이를 포함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서비스해줄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전망대 망원경(102)에 객체 식별 정보에 매칭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전송하여 메모리(102a)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망대 망원경(102)은 상하좌우 이동에 따라 전망대 망원경(102)의 광 입력장치(102b)로부터 입력받은 실제 이미지에 대한 사물 인식을 위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객체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한 객체에 증강 현실 콘텐츠를 덧힙인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한 후 이를 광 출력장치(102c)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전망대 망원경(102)의 임베디드 컴퓨터(102d)는 객체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마커를 이용하여 실제 이미지를 광 출력장치(102c)를 통해 표시한 후 마커의 선택에 따라 마커에 대응되는 객체 식별 정보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메모리(102a)에서 검색한 후 이를 토대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하며, 생성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광 출력장치(102c)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전망대 망원경(102)에 객체 식별 정보가 매칭된 증강 현실 콘텐츠뿐만 아니라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전송하여 메모리(102a)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망대 망원경(102)는 고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고도에 대응되는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어이를 메모리(102a)에서 검색한 후 이를 광 출력장치(102c)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사용자측 단말기(160)와의 연동을 통해 증강 현실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측 단말기(160)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특정 지역에 대한 제 1 및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 및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측 단말기(160)는 자신의 카메라(미도시됨)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140)에 전송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하며,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를 기반으로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제 1 및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검색하여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특정 지역에 대한 이미지에 사물 인식을 위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가 매칭된 객체를 특정 지역에 대한 이미지에서 인식하고, 인식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서 검색한 후 이를 사용자측 단말기(160)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에 반영한 사용자 맞춤형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하여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측 단말기(160)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로 사용자가 입력한 지역에 대한 정보이거나 사용자측 단말기(16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지역에 대한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서 검색하며, 검색한 제 1 및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제 1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와 고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데이터를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하여 표시시킨 후 고도가 선택됨에 따라 고도에 따른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한편, 특정 지역에 대한 제 1 및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가 적어도 둘 이상인 경우, 즉 적어도 둘 이상의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가 매칭된 제 1 및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가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 화면을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제공한 후 선택 메뉴 화면 상에서 선택된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에 매칭된 제 1 및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특정 지역에 대한 제 1 및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가 적어도 둘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호되는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제 1 및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서비스한 후 이에 대한 선호도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선택 메뉴 화면의 제공 후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제공자별 선호도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측 단말기(160)는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표시하기 위해, GPS 및 중력센서(지리/위치정보 송수신하는 기능), AR 솔루션(위치정보 시스템과 상세 정보를 현실 배경에 적용하는 기능), 디스플레이 기기(스마트폰 내의 디스플레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통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트래킹(tracking: 특정인의 위치/방향/움직임 등) 기술, 정합(registration: 가상 영상을 실제 영상과 합치는) 기술, m-AR UI/UX(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사용자경험) 기술, 시각화(visualization) 기술 및 디스플레이 기술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실질적으로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먼저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실제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S300). 구체적으로,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데이터 제공 그룹(100)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전망대 망원경(102)의 촬영된 복수의 지역에 대한 실제 이미지에 해당되는 기준 데이터, 드론(104)에 의해 복수의 지역 각각을 고도별로 촬영한 실제 이미지에 해당되는 드론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용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복수의 지역 각각에 대한 감상 포인트 및 감상 포인트에 해당되는 가이드 데이터를 수집한다(S302).
구체적으로,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복수의 지역에 드론용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 각각에 감상 포인트를 설정하고, 설정된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감상 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기준 데이터를 복수의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106)에 전송하여 기준 데이터 내 감상 포인트에 대한 설정을 요청하여 감상 포인트가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한 기준 데이터에서 감상 포인트가 설정된 부분의 객체 인식을 통해 객체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객체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 다음,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고도별 드론 데이터에 객체 식별 정보를 이용한 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여 고도별 드론 데이터에 감상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한다(S304).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304)에 대해 설명하면,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감상 포인트를 포함한 기준 데이터 또는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106)에 전송하여 가이드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며, 수신한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한 후 이를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생성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기준 데이터 및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 각각에 반영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S306)하여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측 단말기(160)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S308),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서 특정 지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검색한 후 이를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하여 표시한다(S310).
한편, 적어도 둘 이상의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106) 각각으로부터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수신한 가이드 데이터 각각에 대한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가 설정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 각각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기준 데이터 및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에 반영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특정 지역에 대해 적어도 둘 이상의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에 의해 생성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가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 존재할 경우,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적어도 둘 이상의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에 대한 선택 메뉴 화면을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하며, 사용자측 단말기(160)에서 선택 메뉴 화면 상에서 어느 하나의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특정 지역의 기준 데이터에 증강 현실 콘텐츠가 반영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서 검색한 후 특정 지역에 대한 고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고도에 대한 드론용 데이터에 증강 현실 콘텐츠가 반영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서 검색한 후 이를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기준 데이터 또는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 내 감상 포인트의 객체 인식을 통해 객체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S400).
그런 다음, 콘텐츠 생성 서버(120)는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용 콘텐츠를 생성하며(S402), 생성한 증강 현실용 콘텐츠에 객체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다(S404).
이후, 사용자측 단말기(160)로부터 특정 지역의 일부분을 포함한 이미지를 통한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S406),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특정 지역의 객체 식별 정보를 이용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이미지에서 감상 포인트를 추출하며(S408), 추출한 감상 포인트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이미지에 반영하여 사용자 맞춤형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한다(S410).
그런 다음,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사용자 맞춤형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킨다(S41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망대 망원경(102)을 통해 증강 현실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전망대 망원경(102)로부터 제공받은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감상 포인트,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로 생성된 증강 현실 콘텐츠, 증강 현실 콘텐츠에 매칭된 객체 식별 정보 및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고도별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전망대 망원경(102)에 전송하여 메모리(102a)에 저장시킨다(S500).
이후, 전망대 망원경(102) 내 임베디드 컴퓨터(102d)는 전망대 망원경(102)의 광 입력장치(102b)로부터 제공받은 실제 이미지에 대한 사물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객체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를 인식하고(S502), 인식한 객체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실제 이미지에 반영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한 후 이를 광 출력장치(102c)를 통해 출력시킨다(S504).
이와 더불어, 임베디드 컴퓨터(102d)는 광 입력장치(102d)를 통해 제공받은 실제 이미지에 대한 고도별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고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S506),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도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고도에 대한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메모리(102a)에서 검색한 후 이를 광 출력장치(102c)를 통해 출력한다(S508).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데이터, 즉 증강 현실 콘텐츠, 증강 현실 콘텐츠에 매칭된 객체 식별 정보 및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고도별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전망대 망원경(102)에 전송하여 메모리(102a)에 저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임베디드 컴퓨터(102d)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40)에 연결 가능할 경우, 객체 식별 정보만을 전송받아 메모리(102a)에 저장한 후 실제 이미지에서 객체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를 인식하며, 인식한 객체에 대한 증강 현실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140)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도별 제 2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서비스 제공 서버(140)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데이터 제공 그룹
102 : 전망대 망원경
104 : 드론
106 :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
120 : 콘텐츠 생성 서버
140 : 서비스 제공 서버
160 : 사용자측 단말기

Claims (10)

  1.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전망대 망원경의 촬영된 복수의 지역에 대한 실제 이미지에 해당되는 기준 데이터, 드론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지역 각각을 고도별로 촬영한 실제 이미지에 해당되는 드론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지역에 대한 드론용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 각각에 감상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상기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감상 포인트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상기 생성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기준 데이터 및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 각각에 반영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하여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기기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상기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상기 검색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상기 기기에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감상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에 기준 데이터를 제공한 후 데이터 제공자의 기준 데이터 내 감상 포인트 지정에 따라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객체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데이터 내 감상 포인트를 이용하여 드론용 데이터 내 감상 포인트를 설정하되, 상기 드론용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간의 비교하여 기준 데이터 내 감상 포인트에 대응되는 위치를 드론용 데이터에서 추출하는 방식으로 드론용 데이터 내 감상 포인트를 설정하거나 기준 데이터 내 설정된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객체 식별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드론용 데이터에 사물 인식을 위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객체 식별 정보와 유사성이 있는 객체를 드론용 데이터에서 검색하여 드론용 데이터에 감상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감상 포인트를 포함한 기준 데이터 또는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제공자측 단말기에 전송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가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감상 포인트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되, 상기 수신한 가이드 데이터 각각에 대한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가 설정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는,
    상기 데이터 제공자의 식별 정보 각각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기준 데이터 및 고도별 드론용 데이터에 반영하여 생성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임베디드 컴퓨터를 구비한 전망대 망원경인 경우,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임베디드 컴퓨터에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감상 포인트에 대한 객체 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임베디드 컴퓨터에서 상기 전망대 망원경의 광 입력장치로부터 실제 이미지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실제 이미지에서 상기 객체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한 객체에 대응되는 객체 식별 정보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실제 이미지에 반영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생성한 후 이를 광 출력장치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임베디드 컴퓨터에서 고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고도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고도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상기 광 출력장치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가 둘 이상 검색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에 대한 선택 메뉴 화면을 상기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기에서 선택 메뉴 화면 상에서 어느 하나의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상기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지역의 기준 데이터에 증강 현실 콘텐츠가 반영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검색하며,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고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시킨 상기 기준 데이터의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전송하여 출력시키며,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고도에 대한 드론용 데이터에 증강 현실 콘텐츠가 반영된 증강 현실 서비스용 레이어를 상기 증강 현실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이를 상기 기기에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KR1020210062485A 2021-05-14 2021-05-14 고도별 드론데이터 활용 및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2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485A KR102420376B1 (ko) 2021-05-14 2021-05-14 고도별 드론데이터 활용 및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485A KR102420376B1 (ko) 2021-05-14 2021-05-14 고도별 드론데이터 활용 및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376B1 true KR102420376B1 (ko) 2022-07-13

Family

ID=8240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485A KR102420376B1 (ko) 2021-05-14 2021-05-14 고도별 드론데이터 활용 및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711B1 (ko) * 2023-06-05 2024-02-13 주식회사 오썸피아 가상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668B1 (ko) * 2016-05-18 2017-11-10 주식회사 그렉터 디지털 망원경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879586B1 (ko) 2016-12-16 2018-07-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구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492B1 (ko) * 2018-05-25 2019-09-16 (주)아라커뮤니케이션즈 드론을 통한 실시간 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064A (ko) * 2018-09-19 2020-03-27 이의선 Mr 그래픽지원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668B1 (ko) * 2016-05-18 2017-11-10 주식회사 그렉터 디지털 망원경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879586B1 (ko) 2016-12-16 2018-07-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구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492B1 (ko) * 2018-05-25 2019-09-16 (주)아라커뮤니케이션즈 드론을 통한 실시간 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064A (ko) * 2018-09-19 2020-03-27 이의선 Mr 그래픽지원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711B1 (ko) * 2023-06-05 2024-02-13 주식회사 오썸피아 가상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9605B2 (en) Sharing links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20190333478A1 (en) Adaptive fiducials for image match recognition and tracking
KR102420379B1 (ko) 기상 환경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68723B1 (ko) 카메라 이펙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3550479A1 (en) Augmented-reality-based offline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800472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dynamic service
KR102402580B1 (ko)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영상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4761B1 (ko) 공간객체 검색결과 정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독취가능 저장장치
CN111131904B (zh) 视频播放方法及头戴电子设备
KR20120061110A (ko) 증강 현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430211B1 (en) Method for creating and displaying social media content associated with real-world objects or phenomena using augmented reality
US102042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anagement of location-based spatial object
KR20120086064A (ko) 증강 현실 통합정보 제공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10930517A (zh) 一种全景视频交互系统及方法
US106068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anagement of virtual message for a moving object
KR102420376B1 (ko) 고도별 드론데이터 활용 및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140442A (ko)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 제공 시스템
CN109863746A (zh) 交互式数据可视化环境
KR102194008B1 (ko) 상품 이미지 인식 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Ünal et al. Location based data represent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in architectural design
KR20200053914A (ko) 증강 현실 및 복합 현실을 이용한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2228398B1 (ko) 이미지 분석 기반 맞춤형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inares-Garcia et al. Framework and case studies for context-aware ar system (caars) for ubiquitous applications in the aec industry
JP7065455B2 (ja) スポット情報表示システム
CN109286754A (zh) 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