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668B1 - 디지털 망원경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망원경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668B1
KR101796668B1 KR1020160060884A KR20160060884A KR101796668B1 KR 101796668 B1 KR101796668 B1 KR 101796668B1 KR 1020160060884 A KR1020160060884 A KR 1020160060884A KR 20160060884 A KR20160060884 A KR 20160060884A KR 101796668 B1 KR101796668 B1 KR 101796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ugmented reality
actual
virtual reality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신
정혜원
강근수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렉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렉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렉터
Priority to KR102016006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76Non-optical details, e.g. housings, mountings, supports
    • G02B23/2484Arrangements in relation to a camera or imaging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2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with means for image conversion or intensification
    • H04N13/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상기 디지털 망원경은, 디지털 망원경 전방의 실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실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수행하고, 영상 인식으로 확인된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증강 현실 제공부 및 상기 실제 이미지에 상기 증강 현실 요소를 반영하여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망원경 및 그의 제어 방법 {DIGITAL TELESCOP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망원경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망원경은 멀리 있는 광경을 가까이 보여주므로, 관광지나 전망대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근접화된 실제 이미지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실제 이미지에 각종 정보 등을 부가하여, 실제 이미지 기반의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공하는 망원경으로서 망원경의 각도로부터 망원경의 방향을 추정하고, 추정된 방향에 따라 임의의 영역에 증강 요소를 배치하여 제공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 방향 기반으로 증강 요소를 추가하므로 증강 요소의 위치가 부정확한 문제가 있다.
또한, 망원경에 의하여 획득되는 실제 이미지 만을 기반으로 하므로, 실제 육안으로 가시되는 이미지 이상의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한계도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대해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25350호 등을 통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2535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실제 이미지에 대한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증강 요소를 부가하므로, 증강 인식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망원경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디지털 망원경을 제안한다. 상기 디지털 망원경은, 디지털 망원경 전방의 실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실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수행하고, 영상 인식으로 확인된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증강 현실 제공부 및 상기 실제 이미지에 상기 증강 현실 요소를 반영하여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망원경은,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 현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증강 현실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하면,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에 연관된 가상 현실 영상을 상기 가상 현실 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증강 현실 제공부는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이미지와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증강 현실 제공부는, 상기 실제 이미지의 상기 중심 영역 이미지를 획득하는 중심 이미지 취득기, 상기 실제 이미지와 관련된 식별용 이미지 및 그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저장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실제 이미지의 상기 중심 영역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용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식별용 이미지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증강 요소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망원경은, 상기 실제 이미지,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 또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망원경은, 상기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을 미러링하고,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활성화시키는 컨트롤 요소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디지털 망원경의 운영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디지털 망원경의 운영 방법은, 디지털 망원경 전방의 실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실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된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과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증강 현실 요소를 상기 실제 이미지에 반영하여 증강 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망원경의 제어 방법은, 상기 증강 현실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하면,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에 연관된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이미지와 관련된 식별용 이미지 및 그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저장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실제 이미지의 상기 중심 영역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용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상기 식별용 이미지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실제 이미지에 대한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증강 요소를 부가하므로, 증강 인식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증강 현실 이미지와 연동하여 가상 현실 영상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증강 현실 이미지와 가상 현실 영상을 기반으로 다양한 영상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상 현실 영상의 도입부를 증강 현실 이미지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정함으로써, 증강 현실에서 가상 현실로의 전환을 부드럽게 하여 사용자에게 실제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관광객의 사용도를 분석하여 오프라인 주요 관광지의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전망대의 오프라인 활용도와 서비스를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VR 컨텐츠의 형식이 자유로우므로, 망원경에서의 경험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확장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외국인의 경우에도, 스마트 전망대의 언어선택 기능을 통해 해당 관광지의 정보를 정확하고 집중도 있게 전달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위치기반 서비스를 통해, 주변 관광지 정보 획득과 VR 선 체험이 가능하므로, 지역 내 관광지 거점의 연계와 지역 상권과 부가 관광 수익의 확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망원경 시스템의 플랫폼을 도식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증강 현실 제공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은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지털 망원경에서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에서 취득 가능한 실제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의 증강 현실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의 가상 현실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단계 S112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망원경 시스템(10)은 디지털 망원경(100), 어플리케이션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망원경(100)은 망원경에서 취득되는 실제 이미지를 기반으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및 가상 현실(Virtual Reality)를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망원경(100)은 어플리케이션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서버(200)는 디지털 망원경(100)에 증강 현실 데이터 또는 가상 현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어플리케이션 서버(2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디바이스 장치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및 일반 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200)에 접속하고, 디지털 망원경(100)에서 출력되는 증강 현실 영상 또는 가상 현실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사람을 인솔하는 인솔자는 각 구성원이 시청하고 있는 디지털 망원경(100)에서 출력되는 증강 현실 데이터 또는 가상 현실 데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동시에 동일한 증강 현실 영상이나 가상 현실 영상을 시청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물론, 인솔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증강 현실 또는 가상 현실 데이터를 선택하여 각 디지털 망원경(100)에의 출력을 제어하거나, 자신의 사용자 단말(300)에 보관하고 있는 영상들을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로 전송하여 각 디지털 망원경(1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어플리케이션 서버(200)는 또한 가상 현실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망원경 시스템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증강 현실 또는 가상 현실 기반의 실제와 같은 체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망원경 시스템의 플랫폼을 도식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이나 디지털 망원경을 통하여 디지털 망원경 시스템을 경험할 수 있다.
디지털 망원경은, 다국어 서비스를 기반으로, 지도 서비스, 증강 현실(AR) 어플리케이션, 가상 현실(VR) 어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망원경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연동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메시지 통신을 기반으로 증강 현실 콘텐츠나 가상 현실 콘텐츠를 디지털 망원경에 제공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콘텐츠나 가상 현실 콘텐츠는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다수의 디지털 망원경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 관리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광갱의 행동 분석이나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여, 빅 데이터의 분석된 정보 또는 가상 현실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공유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관광객의 스마트 전망대 입장 동선에 따라 실제 관광지 전망 뿐만 아니라 증강 현실 및 가상 현실을 경험 하게 하고, 경험 완료 후 온오프라인 상에서 경험을 공유하고, 확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망원경(100)은 이미지 획득부(110), 증강 현실 제공부(120), 가상 현실 제공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입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망원경(100)은 다국어 서비스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110)는 디지털 망원경 전방의 실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110)는 렌즈 또는 반사경을 복수개 구비하여, 전방의 원거리의 이미지를 확대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획득부(110)는 실제 이미지를 디지털 이미지로서 생성하는 디지털 이미지 획득 수단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디지털 실제 이미지에 증강 현실 요소를 보다 용이하게 부가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제공부(120)는 이미지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실제 이미지를 확인하고, 그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요소를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된 증강 현실 요소는 실제 이미지에 부가되어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즉,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현실 세계 요소에 가상 요소를 겹쳐서 보여주는 것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은 디지털 망원경에서 획득된 확대된 실제 이미지에 가상의 증강 현실 요소를 부가하여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증강 현실 제공부(120)는 실제 이미지를 분석하여 증강 현실 요소를 결정하므로, 종래의 방식과 다르게 정확하게 증강 현실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강 현실 요소로는 실제 이미지 또는 그의 일 요소에 대한 정보, 그와 연관된 이벤트 정보, 관련 그래픽 등 다양한 시각적 요소가 될 수 있다.
증강 현실 제공부(120)는 이미지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실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수행하고, 영상 인식으로 확인된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제공부(12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식별용 이미지 중에서, 상기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에 대응되는 식별용 이미지를 선택하고, 그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제공부(12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식별용 이미지에서, 상기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과 일정 이상 동일성을 가지는 식별용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제공부(120)는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과 식별용 이미지를 비교함에 있어서, 두 비교 대상의 배율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이한 배율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여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실제 이미지는 사용자에 의하여 배율이 변경될 수도 있으므로, 식별용 이미지를 축소 또는 확대한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증강 현실 제공부(120)는 이러한 축소 또는 확대에 대한 보정을 수반하여 이미지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증강 현실 제공부(120)는 실제 이미지의 배율을 확인하고, 실제 이미지의 배율과 식별용 이미지의 배율을 비교하여 실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한 뒤, 두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증강 현실 제공부(120)는 거리 가중치를 반영한 히스토그램 매칭을 통하여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과 식별용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가상 현실 제공부(130)는 가상 현실 영상을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가상 현실 영상은 증강 현실 이미지와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현실 영상의 도입부를 증강 현실 이미지 또는 실제 이미지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증강 현실 이미지의 증강 현실 요소에 대하여 사용자의 조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증강 현실 이미지와 동일한 도입부를 가지는 가상 현실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현실 영상을 증강 현실 이미지와 유사하게 함으로써, 증강 현실에서 가상 현실로의 전환을 부드럽게 하여 사용자에게 실제감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현실 영상은 실제 망원경에서 가시 가능한지 여부에 무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가상 현실 영상은 망원경에서 볼 수 없는 영역(바다 속 등)이나, 망원경에서 볼 수 없는 각도(망원경에서 보이지 않는 영역 등)에 대한 가상 현실 기반의 동영상일 수 있다.
가상 현실 영상은 증강 현실 요소와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증강 현실 요소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와 연관된 가상 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어 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현실 제공부(130)는 입력부(150)를 통하여 제공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하여 시야 각도를 변경하거나 위치를 이동 시키는 등의 조작을 수행하면, 가상 현실 제공부(130)는 그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현실 제공부(130)는 사용자에게 지도를 제공하고, 해당 지도를 기반으로 다양한 가상 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가상 현실 제공부(130)는 디지털 망원경의 위치나 실제 이미지에 무관하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지도의 특정 영역에 연관된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제공부(120) 및 가상 현실 제공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증강 현실 콘텐츠 또는 가상 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요청된 증강 현실 콘텐츠 또는 가상 현실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각 디지털 망원경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해당 망원경과 연관된 증강 현실 콘텐츠 또는 가상 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실제 이미지에 대하여 증강 현실 요소를 반영하여 증강 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증강 현실 이미지에서 가상 현실 영상으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증강 현실 이미지에 포함된 증강 현실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하면, 증강 현실 이미지에 연관된 가상 현실 영상을 가상 현실 제공부(13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60)에서 제공되는 실제 이미지, 증강 현실 이미지 또는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실제 이미지,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 또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을 미러링하고, 가상 현실 영상을 활성화시키는 컨트롤 요소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디스플레이 모듈은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입력부(150)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입력을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 외에도, 망원경의 배율 등과 같이 실제 이미지의 제어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50)는 실제 이미지에 대한 제어 입력을 이미지 획득부(110)에 제공하여, 그에 따라 실제 이미지를 다르게 취득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와 입력부(150)가 별도로 개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와 입력부(150)는 하나의 장치-예컨대, 터치 스크린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국어 서비스부(170)는 디지털 망원경에 의하여 제공되는 컨텐츠의 언어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국어 서비스부(170)는 사용자의 조작이 시작되면, 언어 설정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유로이 디지털 망원경의 언어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망원경(100)은 어플리케이션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서버(200)는 디지털 망원경(100)에 증강 현실 데이터 또는 가상 현실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디지털 망원경(100)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의 사용자 단말(300)은 어플리케이션 서버(20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각 디지털 망원경(100)에서 출력되는 증강 현실 영상이나 가상 현실 영상의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증강 현실 제공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증강 현실 제공부(120)는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121), 증강 요소 선택기(122) 및 중심 이미지 취득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121)는 증강 현실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121)는 증강 현실 요소를 식별용 이미지와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장소에 대한 식별용 이미지와, A장소에 대한 증강 현실 요소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식별용 이미지는 실제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일 수 있다.
중심 이미지 취득기(123)는 이미지 획득부(110)에서 제공되는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증강 요소 선택기(122)는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식별용 이미지를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121)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식별용 이미지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여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요소 선택기(122)는 실제 이미지의 배율을 확인하고, 실제 이미지의 배율과 식별용 이미지의 배율을 비교하여 실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한 뒤, 두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증강 요소 선택기(122)는 거리 가중치를 반영한 히스토그램 매칭을 통하여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과 식별용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도 5은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증강 현실 이미지 생성기(161), 디스플레이 제어기(162) 및 가상 영상 획득기(163)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이미지 생성기(161)는 실제 이미지와 증강 현실 요소를 입력받고, 이들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실제 이미지와 증강 현실 요소는 디지털 기반의 비주얼 요소이므로, 증강 현실 이미지 생성기(161)는 이들을 겹쳐지게 하여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 영상 획득기(163)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상 현실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제어기(162)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현실 영상은 증강 현실 요소와 연관될 수 있으므로, 증강 현실 요소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가상 영상 획득기(163)는 그에 연관된 가상 현실 영상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제어기(162)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162)는 증강 이미지나 가상 현실 영상을 입력받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162)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상 현실 영상이나 증강 현실 이미지를 변환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 제어기(16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300)에서 제공하는 가상 현실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망원경은 스탠드 얼론 타입으로 구성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디지털 망원경은 실제 이미지, 증강 현실 이미지 또는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61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610)은 연결부(630)에 의하여 몸체에 고정되며, 연결부(6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610)의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630)는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61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610)을 틸팅 하는 등 다양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디스플레이 모듈(620)은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610)의 화면을 미러링하고, 가상 현실 영상을 활성화시키는 컨트롤 요소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어 디스플레이 모듈(620)은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입력받기 위한 다양한 입력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망원경의 배율, 초점 등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지털 망원경에서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어 디스플레이 모듈(620)을 통하여 화면 모드 선택(S710)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디스플레이 모듈(620)은 언어 선택, 지도 선택, 모드 선택 등 다양한 선택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언어 선택을 실시하면, 선택된 언어에 따라 자막을 제공할 수 있다(S720). 한편,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610)에서도 그에 따라 언어가 선택되어 서비스 될 수 있다.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610)에서 실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그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검색되면 증강 현실이 제공될 수 있다.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610)에서의 증강 현실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증강 현실로부터 가상 현실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제어 디스플레이 모듈(620)에서 지도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현재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610)에서 제공되는 실제 이미지와 무관하게 가상 현실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모두 활용하여, 사용자는 현실감 있는 증강 현실 및 가상 현실의 경험 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 및 명소에 대한 가상현실 까지 경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실제 이미지와 증강 현실 이미지, 가상 현실 영상의 전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에서 취득 가능한 실제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의 증강 현실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의 가상 현실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디지털 망원경(100)은 전방의 실제 이미지를 취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제 이미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배율이 조절되어 획득될 수 있음은 기 설명한 바와 같다.
실제 이미지에는 중심선(810)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본 중심선(810)은 상술한 증강 현실 요소와는 구별되는 요소이다. 즉, 중심선(810)은 사용자의 디지털 망원경(100)의 조작에 따라 획득되는 실제 이미지의 중심을 지정하는 것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 중심선은 바다를 지향하고 있으므로, 실제 이미지의 중심 이미지는 중심선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별도의 증강 현실 요소가 활성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중심선이 이동하게 되고, 중심선은 오륙도의 일부를 지향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 이미지의 중심에는 오륙도가 위치하게 되고, 증강 현실 제공부(120)는 오륙도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요소가 있는지 검색하게 된다. 오륙도에 대한 증강 현실 요소가 검색되면, 제어부(160)는 실제 이미지에 그러한 증강 현실 요소를 부가하여(910)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증강 현실 요소는 간단한 설명이 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멀티미디어로 구현 가능한 증강 현실 요소가 개시될 수 있다.
한편,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은 아니나, 그와 유사한 범위에 다른 증강 현실 요소(920)가 있는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증강 현실 제공부(120)는 제1 증강 현실 요소와 연관된 제2 증강 현실 요소를 함께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증강 현실 제공부(120)는 제1 증강 현실 요소(910)와 지리적으로 인접한 제2 증강 현실 요소(920)를 함께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중심선의 영역이 아니더라도, 한 화면 내에 검출되는 다른 요수에 대한 증강 현실 요소를 함께 도시할 수 있다.
도 1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가상 현실 영상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예는, 바다 속의 화면을 도시하는 가상 현실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가상 현실 영상의 일 예는 하나의 이미지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실제는 도 6의 화면에서 시작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바다 속의 영상을 가상 현실로서 제공하는 등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도 5 내지 도 10의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러한 예시 외에도 다양한 환경에서 증강 현실 요소나 가상 현실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의 설명에 의하여 본 증강 현실 요소나 가상 현실 영상이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의 운영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할 디지털 망원경의 운영 방법은 상술한 디지털 망원경에 대한 운영 방법이므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기 설명한 내용을 참고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망원경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지털 망원경은 디지털 망원경 전방의 실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1110).
디지털 망원경은 실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된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과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S1120).
디지털 망원경은 선택된 상기 증강 현실 요소를 상기 실제 이미지에 반영하여 증강 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20).
디지털 망원경은 상기 증강 현실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하면,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에 연관된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40).
도 1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지털 망원경은 도 1의 사용자 단말(300)에서 제공하는 가상 현실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단계 S112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지털 망원경은 상기 실제 이미지와 관련된 식별용 이미지 및 그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저장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S1210).
디지털 망원경은 상기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고(S1220),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제 이미지의 상기 중심 영역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식별용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S1230).
디지털 망원경은 검색된 상기 식별용 이미지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S124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디지털 망원경
110 : 이미지 획득부 120 : 증강 현실 제공부
130 : 가상 현실 제공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입력부 160 : 제어부
210 :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 220 : 증강 요소 선택기
230 : 중심 이미지 취득기
310 : 증강 이미지 생성기 320 : 디스플레이 제어기
330 : 가상 영상 획득기

Claims (10)

  1.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연동하는 디지털 망원경의 전방의 실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실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수행하고, 영상 인식으로 확인된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증강 현실 제공부;
    상기 실제 이미지에 상기 증강 현실 요소를 반영하여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현실 영상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망원경의 위치나 상기 실제 이미지와 무관하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해당 지도의 특정 영역과 연관된 가상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가상 현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증강 현실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하면,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에 연관된 가상 현실 영상을 상기 가상 현실 제공부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증강 현실 제공부는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중심 영역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중심 영역 이미지와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고,
    상기 실제 이미지의 상기 중심 영역 이미지를 획득하는 중심 이미지 취득기;
    상기 실제 이미지와 관련된 식별용 이미지 및 그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저장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실제 이미지의 상기 중심 영역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용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식별용 이미지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증강 요소 선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강 요소 선택기는
    상기 실제 이미지와 상기 식별용 이미지를 비교할 경우, 각 이미지의 배율 보정 또는 거리 가중치를 반영한 히스토그램 매칭을 이용하여 상기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과 상기 식별용 이미지를 비교하는 디지털 망원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망원경은
    상기 실제 이미지,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 또는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망원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망원경은
    상기 접안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을 미러링하고,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활성화시키는 컨트롤 요소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디스플레이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망원경.
  8. 이미지 획득부, 증강 현실 제공부, 가상 현실 제공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망원경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부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연동하는 상기 디지털 망원경의 전방의 실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증강 현실 제공부에서 상기 실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하여 영상 인식으로 확인된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과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현실 제공부에서 선택된 상기 증강 현실 요소를 상기 실제 이미지에 반영하여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공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망원경의 위치나 상기 실제 이미지와 무관하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해당 지도의 특정 영역과 연관된 가상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증강 현실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하면,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에 연관된 가상 현실 영상을 상기 가상 현실 제공부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증강 현실 제공부의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실제 이미지와 관련된 식별용 이미지 및 그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저장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증강 현실 제공부의 중심 이미지 취득기에서 상기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증강 현실 제공부의 증강 요소 선택기에서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실제 이미지의 상기 중심 영역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용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상기 식별용 이미지에 연관된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강 현실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이미지와 상기 식별용 이미지를 비교할 경우, 각 이미지의 배율 보정 또는 거리 가중치를 반영한 히스토그램 매칭을 통하여 상기 실제 이미지의 중심 영역과 상기 식별용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망원경의 운영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60884A 2016-05-18 2016-05-18 디지털 망원경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96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884A KR101796668B1 (ko) 2016-05-18 2016-05-18 디지털 망원경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884A KR101796668B1 (ko) 2016-05-18 2016-05-18 디지털 망원경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668B1 true KR101796668B1 (ko) 2017-11-10

Family

ID=6038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884A KR101796668B1 (ko) 2016-05-18 2016-05-18 디지털 망원경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6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939A (ko) * 2018-04-11 2019-10-21 이보람 Mr 지원 망원경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r 지원 망원경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092735B1 (ko) 2019-12-17 2020-03-24 주식회사 오썸피아 전망대 망원경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81584B1 (ko) 2020-11-12 2021-07-26 주식회사 오썸피아 사용자 단말로 전망대 망원경 영상 및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20376B1 (ko) * 2021-05-14 2022-07-13 주식회사 오썸피아 고도별 드론데이터 활용 및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885Y1 (ko) * 2005-07-29 2005-10-17 (주)포스트미디어 비주얼 트래킹을 이용한 증강현실 체험 망원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885Y1 (ko) * 2005-07-29 2005-10-17 (주)포스트미디어 비주얼 트래킹을 이용한 증강현실 체험 망원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939A (ko) * 2018-04-11 2019-10-21 이보람 Mr 지원 망원경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r 지원 망원경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088991B1 (ko) * 2018-04-11 2020-04-23 이보람 Mr 지원 망원경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r 지원 망원경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092735B1 (ko) 2019-12-17 2020-03-24 주식회사 오썸피아 전망대 망원경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81584B1 (ko) 2020-11-12 2021-07-26 주식회사 오썸피아 사용자 단말로 전망대 망원경 영상 및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20376B1 (ko) * 2021-05-14 2022-07-13 주식회사 오썸피아 고도별 드론데이터 활용 및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760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guidance to street view destination
KR101796668B1 (ko) 디지털 망원경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315399B1 (ko) 객체 정보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1536972B1 (ko) 정보 표시 방법, 시스템, 클라이언트 및/또는 서버
EP24449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US9204050B2 (en)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JP586713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120026402A (ko) 객체 연관성을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4686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ailoring an extended reality overlay object
KR20150075532A (ko)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401571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d presenting geolocation data
KR101921743B1 (ko) 부동산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US10451431B2 (en) Route search system, route search device, route search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U2010340461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object using a viewing frustum
KR20200007066A (ko)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정보 제공 서버의 제어 방법
JP2018022381A (ja) 画像制御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36181A (ko) 동공인식을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137892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user terminal control program
KR102244159B1 (ko)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KR102420376B1 (ko) 고도별 드론데이터 활용 및 특정 고도에서 체험할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US11816804B2 (en) Method and system of recommending accommodation for tourists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nd augmented reality
KR101870423B1 (ko) 지오태깅 정보를 이용한 지도 정보 제공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7116200B2 (ja) Ar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935972A (zh) 一种mr/ar/vr标注和搜寻控制方法、移动终端与可读存储介质
CN111104026A (zh) 推荐服务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