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381A - 광케이블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381A
KR20220140381A KR1020210054495A KR20210054495A KR20220140381A KR 20220140381 A KR20220140381 A KR 20220140381A KR 1020210054495 A KR1020210054495 A KR 1020210054495A KR 20210054495 A KR20210054495 A KR 20210054495A KR 20220140381 A KR20220140381 A KR 20220140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optical
waterproof
units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익
이유형
이만수
김찬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4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02B6/4432Protective covering with fibre reinforc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4Central member to take up tensile loa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84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the means comprising water blocking or hydrophob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2Code or colour marking
    • G02B6/449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 가공선로에 설치가 가능한 대용량 다심 광케이블을 구성함에 있어서, 서브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덕트 구조를 생략하여 광케이블의 외경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방수얀 등 방수재를 구비하여 충분한 방수성능을 제공하며, 쉬스부재 내에 와이어 형태의 보강부재를 매립하여 광손실이 최소화되도록 충분한 인장강도를 제공하며, 방수얀을 이용하여 광유닛이 복수 개씩 그룹화화하여 서브유닛을 구성하여 광케이블의 접속 또는 분기 과정에서 식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케이블부와 집합 와이어가 제2 쉬스부재에 의하여 함께 피복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제1 쉬스부재 및 제2 쉬스부재에 의하여 이중으로 피복된 코어부의 방수성과 내구성이 함께 향상될 수 있는 광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케이블{OPTICAL CABLE}
본 발명은 광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다수의 통신 사업자가 하나의 광케이블을 공용으로 사용되거나 단일 통신 사업자가 백본망으로 사용하여, 분기 시 네트워크 구성 관리를 용이하기 하게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옥외 가공선로에 설치가 가능한 대용량 다심 광케이블을 구성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유닛 복수개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루핑 하는 과정에서 시스(sheath)를 적용하는 구조를 생략하여 광케이블의 외경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방수얀 등 방수재를 구비하여 충분한 방수성능을 제공하며, 쉬스부재 내에 와이어 형태의 보강부재를 매립하여 광손실이 최소화되도록 충분한 인장강도를 제공하며, 방수얀을 이용하여 광유닛이 복수 개씩 그룹화하여 서브유닛을 구성하여 광케이블의 접속 또는 분기 과정에서 식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케이블부와 집합 와이어가 제2 쉬스부재에 의하여 함께 피복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제1 쉬스부재 및 제2 쉬스부재에 의하여 이중으로 피복된 코어부의 방수성과 내구성이 함께 향상될 수 있는 광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FTTH 및 4G, 5G 통신 서비스의 확대에 따라 광통신 수요가 증가되고 있으며, 제한된 광케이블 포설 관로 등 제한된 설치공간을 이용한 대용량 광통신망 구축을 위하여 다심 광케이블의 적용이 증가되고 있다.
가공 선로용 다심 광케이블은 기본적으로 방수 성능이 보장되어야 하고, 특히 바람 등 자연 현상에 의하여 발생되는 인장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동일한 심선수의 광케이블의 경우 케이블의 외경 및 무게가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옥내용 케이블과 달리 지속적으로 인장력이 가해지는 환경이므로 광섬유 손상 또는 광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장력 보강이 요구되고, 광 전송 특성을 만족하기 위한 광섬유에 대한 물리적인 보호가 요구된다.
따라서, 가공 선로용 다심 광케이블은 방수와 광섬유 눌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형 덕트 내부에 다수의 광섬유 또는 광섬유가 수용된 루즈튜브 형태의 광유닛 복수 개를 중심인장선 둘레에 적어도 1층으로 집합하여 서브유닛을 구성한 후 서브유닛을 상기 덕트 내부에 포설하거나, 루즈 튜브 형태의 복수개의 광유닛에 1차 시스로 감싸 서브유닛을 구성한 후 복수 개의 서브유닛을 중심인장선 둘레에 적어도 1층으로 집합하고 2차 시스로 감싼 케이블을 적용하여 대용량 광통신망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최근 가공 선로용 광케이블의 경우 광섬유의 심선수가 수백개에 이르는 등 대용량 광케이블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고, 광섬유의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광케이블의 외경 및 무게가 더욱 증가되고 있고, 특히 가공용 광케이블의 외경/무게 증가는 전주(pole)에 미치는 하중 증가로 인한 안정상의 문제, 케이블 및 접속 함체의 공간 차지 증가에 따른 미관상 문제가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광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가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무선통신, 인터넷, IPTV 등)를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들이 특정지역의 광통신망을 구성하는 광케이블을 심선별 또는 유닛별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소형 덕트나 시스에 의한 그루핑을 통해 사업자별, 지역별, 또는 서비스별로 서브유닛을 제공하는 경우, 설치 및 유지보수 시 분기 작업 마다 덕트 및 시스 탈피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필요하고, 내부의 광유닛 등의 식별이 쉽지 않아 분기 또는 접속 작업의 작업 지연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옥외 가공선로에 설치가 가능한 대용량 다심 광케이블을 구성함에 있어서, 서브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시스 또는 덕트 구조를 생략하여 광케이블의 외경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방수얀 등 방수재를 구비하여 충분한 방수성능을 제공하며, 쉬스부재 내에 와이어 형태의 보강부재를 매립하여 광손실이 최소화되도록 충분한 인장강도를 제공하며, 방수얀을 이용하여 광유닛이 복수 개씩 그룹화하여 서브유닛을 구성하여 광케이블의 접속 또는 분기 과정에서 식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케이블부와 집합 와이어가 제2 쉬스부재에 의하여 함께 피복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제1 쉬스부재 및 제2 쉬스부재에 의하여 이중으로 피복된 코어부의 방수성과 내구성이 함께 향상될 수 있는 광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광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유닛을 바인딩하는 바인딩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서브유닛; 상기 복수 개의 서브유닛을 감싸고,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 매립되는 한 쌍 이상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제1 쉬스부재;를 포함하는 광케이블부; 상기 광케이블부를 감싸는 제1 피복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부재로 구성되는 집합 와이어 및 상기 집합 와이어를 감싸는 제2 피복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광케이블부와 상기 지지부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1 피복부와 상기 제2 피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피복부와 상기 제2 피복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중심이 상기 광케이블부의 중심과 상기 지지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수직 기준선에 대하여, 상기 광케이블부의 중심에 대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20도(°) 이하의 범위에 배치되는 광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유닛은 복수 개의 광섬유를 수용하는 튜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유닛은 상기 튜브부재 내부에 방수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유닛 내부의 상기 복수 개의 튜브부재 사이의 빈공간에 제2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충진재는 방수얀, 방수 테이프, 방수 젤리, 방수 파우더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유닛 사이의 빈공간을 채워 코어부를 구성하는 제1 충진재; 및
상기 코어부를 감싸는 래핑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심인장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유닛은 상기 중심인장선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 단면적 대비 상기 광섬유의 총 단면적인 점적률이 40% 내지 7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인딩얀은 복수 개의 상기 광유닛의 둘레를 나선형으로 이격 횡권하거나, 복수개의 바인딩얀을 교차 횡권하여 서브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인딩 수단은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바인딩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충진재는 방수얀, 방수 테이프, 방수 젤리, 방수 파우더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인장선은 아라미드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유닛의 튜브부재 외주면에 각각의 광유닛 또는 서브유닛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인덱스가 구비되고, 상기 바인딩얀은 상기 튜브부재의 식별용 인덱스가 노출되도록 나선형으로 이격 횡권되거나 복수 개의 바인딩얀이 교차 횡권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별용 인덱스는 도트 마킹, 링 마킹, 색상,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는 FRP 재질의 원형 와이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제1 쉬스부재 내주면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쉬스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래핑 수단 외주면 사이에 립코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광유닛은 미리 결정된 집합피치로 나선형 집합되어 서브유닛을 구성하며, 복수 개의 상기 서브유닛은 미리 결정된 복합피치로 상기 중심인장선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광유닛 중심에 방수얀 또는 아라미드얀을 배치하여 집합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서브유닛 중심에 방수얀 또는 아라미드얀을 배치하여 복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합 및 복합 방향은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시계방향(S꼬임)과 반시계방향(Z꼬임)을 반복(SZ꼬임)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합피치 길이(P1) 대비 복합피치 길이(P2)의 비율인 집복합 피치율(Rp)은 0.8 내지 4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합피치 길이는 200mm 내지 300mm 이고, 복합피치 길이는 240mm 내지 800m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의 집합 와이어는 복수 개의 아연도금 강선 또는 아연도금 강연선의 와이어 부재가 복수 개 집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피복부와 상기 제2 피복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괄 압출에 의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에 의하면, 복수 개의 광섬유와 이를 수용하는 마이크류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유닛이 방수얀 등을 이용하여 복수 개씩 그룹화되어 서브유닛을 구성하므로, 시스 또는 덕트 방식 서브유닛을 구비하는 종래의 가공선로용 광케이블에 비교하여 광케이블의 외경을 최소화하여 전주 상에서 차지하는 점유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옥외 가공선로에 설치가 가능한 대용량 광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에 의하면, 다량의 방수얀과 충분한 인장강도를 제공하는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충분한 방수 성능과 함께 광손실이 최소화되는 충분한 인장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에 의하면, 광유닛을 방수얀 등을 이용하여 복수 개씩 그룹화되어 서브유닛을 구성하므로, 접속 또는 분기 과정에서 식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에 의하면, 광케이블부와 집합 와이어가 제2 쉬스부재로 함께 감싸여 피복되므로 제조 공정이 간소해지고, 제1 쉬스부재 및 제2 쉬스부재에 의하여 이중으로 피복된 코어부의 방수성과 내구성이 함께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000)의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000)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광유닛(10)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유닛(10)을 바인딩하는 바인딩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서브유닛(S); 상기 복수 개의 서브유닛(S)을 감싸고,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 매립되는 한 쌍 이상의 보강부재(70)를 포함하는 제1 쉬스부재(80);를 포함하는 광케이블부(100); 상기 광케이블부를 감싸는 제1 피복부(151);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부재로 구성되는 집합 와이어(160) 및 상기 집합 와이어를 감싸는 제2 피복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광케이블부와 상기 지지부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1 피복부와 상기 제2 피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5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피복부(151)와 상기 제2 피복부(152)와 상기 연결부(153)는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재(70)의 중심이 상기 광케이블부(100)의 중심과 상기 지지부(200)의 중심을 연결하는 수직 기준선에 대하여, 상기 광케이블부의 중심에 대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20도(°) 이하의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000)는 내부에 광유닛 또는 서브유닛이 구비되는 광케이블부(100)와 상기 광케이블부(100)가 가공 선로 상에 자가지지(Self-Supporting) 되기 위한 지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000)을 구성하는 광케이블부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부(100)은 중심부에 인장력 보강을 위한 중심인장선(20)이 구비되며, 그 둘레에 각각 복수 개의 광유닛(10)을 구비하는 서브유닛(S)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인장선(20) 둘레에 4개의 서브유닛(S)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서브유닛(S)의 개수는 증감 가능하다.
상기 중심 인장선(20)은 전체적인 광케이블의 변형을 억제하고 광케이블의 항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중심 인장선(20)의 재질은 상기 중심 인장선(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섬유강화 아라미드 섬유(Aramid yarn)와 같은 고강성 섬유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강화섬유가 복합된 합성수지, 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FRP), 에폭시 섬유봉(Fiber glass epoxy rod), 아연도금 강선(Zincing steel wire) 등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중심인장선(20)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서브유닛(S)을 구성하는 광유닛(10)은 복수 개의 광섬유(11) 및 이를 감싸는 튜브부재(1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수분 침투를 대비하기 위하여 방수얀(15) 등 방수부재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재는 고흡수성 방수물질(super absorbent polymer, SAP)을 포함한 방수얀, 방수 테이프, 방수 젤리, 또는 방수 파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유닛(10)을 구성하는 광섬유(11)가 수용되는 튜브부재(13)는 상기 광섬유(11)를 보호하며 방수 기능 및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광유닛(10)은 내부로 침투한 수분에 의한 상기 광섬유(11)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부재(13) 내부에 방수재로서 방수얀(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광케이블(100)의 서브유닛(S)을 구성하는 각각의 광유닛(10)이 12개의 광섬유(11)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 되었으나, 상기 광유닛(10)은 예를 들어 1개 내지 24개의 광섬유(11)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유닛(10)을 구성하는 광섬유(11)는 통상 중앙의 코어(core)라고 하는 부분을 주변에서 클래딩(cladding)이라고 하는 부분이 감싸고 있는 이중원기둥 구조로 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코어(core)는 굴절률이 높은 실리카 재질의 유리광섬유(11)를 사용하고, 상기 클래딩(cladding)은 상기 코어(core) 보다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실리카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 등을 사용함으로써, 중심부를 통과하는 빛이 전반사가 일어나도록 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현한다.
상기 광유닛(10)을 구성하는 상기 광섬유(11)는 외경이 180 마이크로미터 내지 220 마이크로미터(㎛)인 세경 광섬유(11) 또는 230 마이크로미터 내지 270 마이크로미터(㎛)인 일반 광섬유(11)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유닛(10)의 튜브부재(13)는 내부 광섬유(11) 접근 용이성을 위해 쉽게 찢어지는 특성을 갖는 연질 PVC 및 고난연 PE, 고난연 EVA 등 LSZH(Low smoke zero halogen) 고분자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섬유(10)의 튜브부재(13)는 인장력 등 기계적 강도 확보를 위해 폴리에틸렌(P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등의 고분자 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부재(13)는 사용자가 별도의 공구(tool) 없이 손으로 튜브 절단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면서도 쉽게 손상되지 않기 위해 시편 평가시 인장강도는 9.0 MPa 이상이고, 신장율은 200 내지 400%, tanδ는 0.2 이하일 수 있다. 3
이는 튜부뷰재(13)의 인장강도가 9.0 MPa보다 작으면, 튜브부재가 쉽게 파손되어 광섬유를 충분히 보호할 수 없고, 신장율이 200%보다 작으면 작업자가 공구없이 수작업으로 절단시 의도되지 않은 부분에서 절단부가 형성되고, 400%보다 크면 절단시 튜브부재가 늘어나서 절단부의 정밀한 제어가 불가능하며, tanδ가 0.2보다 큰 경우 절단을 시도하는 경우 튜브부재의 말림 등의 소성변형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시편은 상기 고분자 수지를 2 Roll mill을 사용하여 135℃에서 20분간 교반 후 170℃에서 20분간 컴프레스 성형(compress molding)하여 시트를 제작하고, 이로부터 규격 IEC 60811-1-1에 따른 덤벨상(폭: 4mm, 두께: 1mm)으로 제작한다. 상기 시편의 양끝을 그립으로 고정시키고 200 mm/min의 인장속도로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하고, DMA(Dynamic Mechanical Analysis)를 이용하여 상기 시편에 진동을 가하여 측정된 loss modulus 및 Storage modulus의 비율로 tanδ를 측정하여 복원력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광유닛(10)의 튜브부재(13) 외주면에 각각의 광유닛(10) 또는 서브유닛(S)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인덱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유닛(S)을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는 튜브부재(13) 표면에 인쇄 등의 방법으로 부가될 수 있으므로, 해당 서브유닛(S)을 사용하는 통신 사업자 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표지 등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섬유(11)가 12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튜브부재(13)의 두께는 0.1 밀리미터 내지 0.2 밀리미터(mm)로 구성될 수 있고, 그 때의 상기 광유닛(10)의 외경(d)은 1.1 밀리미터 내지 1.6 밀리미터(mm)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 광유닛(10)의 외경을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광유닛(10) 튜브부재(13)가 외력으로 인해 변형되지 않은 원형 상태에서의 내부 단면적 대비 광섬유(11)의 총 단면적의 비율인 점적율이 40% 내지 70%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광유닛(10)의 양호한 상온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점적율이 40%보다 작으면 튜브부재의 외경이 증가하여 결국 광케이블의 무게와 외경증가의 원인이 되고 점적율이 70%보다 크면 튜브부재 또는 쉬스부재 또는 케이블 자켓의 고온 압출후 냉각 과정에서 튜부부재의 수축에 의하여 광섬유에 스트레스 또는 손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각각의 서브유닛(S)은 그 내부에 각각 복수 개의 광유닛(10)이 구비되고, 서브유닛(S)을 구성하는 광유닛(10)은 바인딩 수단(30)을 통해 바인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서브유닛(S) 내에 4개의 광유닛(10)이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각각의 서브유닛(S)은 3개 내지 24개 정도의 광유닛(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광유닛(10)에 12개의 광섬유(11)가 수용되고, 4개의 광유닛(10)으로 구성된 4개의 서브유닛(S)으로 광케이블이 구성되는 경우, 총 192심 광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으나,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광유닛(10)에 12개의 광섬유(11)가 수용되고 8개의 광유닛(10)으로 구성된 6개의 서브유닛(S)으로 광케이블이 구성되는 경우, 총 576심 광케이블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광유닛(10)에 12개의 광섬유(11)가 수용되고 12개의 광유닛(10)으로 구성된 4개의 서브유닛(S)으로 광케이블이 구성되는 경우에도, 총 576심 광케이블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바인딩 수단(30)은 복수 개의 광유닛(10)을 그룹화하여 해당 서브유닛(S)에 속하는 광유닛(10)들과 다른 서브유닛(S)에 속하는 광유닛(10)들을 쉽게 구별되고 섞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그룹화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바인딩 수단(30)은 바인딩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인딩얀은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바인딩얀일 수 있다.
상기 바인딩 수단(30)으로서의 방수 기능을 구비한 바인딩얀은 폴리에스터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에 방수 파우더 등의 방수 물질(SAP, super absorbent polymer)을 코팅 또는 도포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 파우더는, 폴리아크릴산염계, PVA말레인산 반응물,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가교체, 전분 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 전분 아크릴산 그라프트(graft) 중합체, 사린계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 파우더 중에서 폴리아크릴산염계가 흡수 속도가 빠르고 흡수 배율이 뛰어나다. 상기 방수 파우더에는 내염성을 개량한 PVA, 폴리에틸레노옥사이드, 술폰(sulfone)기, 설페이트(sulfate)기, 인산기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광유닛(10)을 집합한 상태에서 바인딩 수단(30)을 이용하여 나선형으로 횡권하여 서브유닛(S)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인딩 수단(30)으로서 바인딩얀으로 바인딩된 서브유닛(S)은 소형 덕트 또는 시스 내부에 광유닛(10) 등을 수용하는 방법과 달리 서브유닛(S)의 단면적 또는 부피 등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바인딩 수단(30)으로서 바인딩얀 또는 바인딩 테이프가 적용되어 서브유닛(S)을 구성하고 서브유닛(S) 내부에 제2 충진재(3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딩 수단(30)이 바인딩얀인 경우 제2 충진재는 아라미드얀, 방수얀 등일 수 있고, 바인딩 테이프인 경우 아라미드얀, 방수얀, 방수 젤리, 방수 파우더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딩 수단(30)으로서 바인딩얀을 나선형으로 이격 횡권하거나 복수 개의 바인딩얀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교차 횡권(cross binding)하여 서브유닛(S)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광유닛(10)의 튜브부재(13) 외주면에 구비된 식별용 인덱스가 바인딩얀 사이로 식별될 수 있으므로, 소형 덕트 또는 시스 방식의 광케이블과 달리 덕트 또는 시스를 제거하지 않아도 그 내부의 광유닛(10)들을 특정할 수 있으므로 분기 또는 접속 작업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튜브부재(13)는 색상으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덕트 또는 시스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식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바인딩 수단(30)으로 바인딩된 서브유닛(S)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길이방향 단면이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태로 배치되도록 바인딩할 수도 있고, 상기 서브유닛은 이후 설명되는 래핑 단계에서 압축되어 광섬유 점적율을 높이기 위해 케이블 길이방향 단면이 부채꼴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바인딩얀으로 바인딩된 각각의 서브유닛(S) 사이 또는 둘레는 제1 충진재(40)가 구비되어 코어부(C)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충진재는 아라미드얀 등 인장재 또는 방수얀, 방수 젤리, 방수 파우더 등 방수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방수재를 포함하는 경우, 후술하는 제1 쉬스부재(80) 내부로 침투한 수분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1 충진재(40)로서의 방수얀은 광케이블 내부로 침투한 수분이 상기 광유닛(10)으로 침투 또는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및 상기 코어부(C) 내에서의 상기 광유닛(10)이 받는 기계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며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하여, 각각의 서브유닛(S) 간에 부가되는 응력 및 이에 따른 광손실을 저감하는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수얀은 상기 서브유닛(S) 사이 또는 그 둘레에 종입되어, 서브유닛(S)을 미리 결정된 복합피치로 복합되는 경우 자연스럽게 서브유닛(S) 사이의 내부 빈공간 또는 외부 빈공간을 채워 코어부(C)를 전체적으로 원형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충진재(40)로서의 방수얀 역시 상기 바인딩 수단(30)으로서의 (방수성) 바인딩얀과 동일하게 폴리에스터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에 방수 파우더 등의 방수 물질을 코팅 또는 도포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충진재(40)로서의 방수얀은 전술한 방수용 파우더가 연속사에 부착된 방수얀 또는 상기 방수 파우더를 실형태로 가공한 것을 연속사와 꼬거나 접착하여 만든 방수얀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코어부(C)로 침투한 수분은 제1 충진재(40), 바인딩 수단(30)으로서 (방수성) 바인딩얀, 제2 충진재(31) 및 튜브부재(13) 내부의 방수얀(15)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수분 침투 및 전파가 차단되어 가공 선로 상에 포설되어도 충분한 방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광유닛(10)은 미리 결정된 집합피치로 나선형 집합되어 각각 서브유닛(S)을 구성하며, 복수 개의 상기 서브유닛(S)은 미리 결정된 복합피치로 상기 중심인장선(20)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복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광유닛(10) 중심에 방수얀이나 아라미드얀을 배치하여 집합하여 서브유닛(S)을 구성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서브유닛(S) 중심에 방수얀이나 아라미드얀을 배치하여 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합 및 복합 방향은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시계방향(S꼬임)과 반시계방향(Z꼬임)을 반복(SZ꼬임)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합피치 길이(P1) 대비 복합피치 길이(P2)의 비율인 집복합 피치율(Rp)은 0.8 내지 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치율(Rp)이 0.8 미만인 경우 광섬유에 과도한 스트레인(strain)이 인가되어 광손실이 증가할 수 있고, 4를 초과하는 경우 광손실 증가 및 코어의 풀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집합피치 길이(P1)의 범위는 200mm 내지 300mm 이고, 복합피치 길이(P2)의 범위는 240mm 내지 800mm 일 수 있다.
상기 코어부(C)는 래핑 수단(50)으로 래핑되어 마감될 수 있다. 상기 래핑수단(50)은 래핑 테이프 또는 바인딩 테이프일 수 있고, 바인딩 테이프 외측에 제1 쉬스 부재(80)가 구비되어 광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래핑 수단(50) 역시 테이프 재질에 방수 파우더 등이 도포된 방수 래핑 테이프 또는 방수 바인딩 테이프 등이 적용되어 제1 쉬스부재(80) 내측으로 침투한 수분을 1차적으로 방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래핑 수단(50) 외측에는 제1 쉬스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쉬스부재(80)는 광케이블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층으로, 광케이블 내부 구성을 보호하며, 내수성, 전기절연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열안정성, 성형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edium density Polyethylene; MDPE)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광케이블부(100)은 가공 선로에 포설되어 지속적인 밴딩과 장력이 인가되므로, 이러한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쉬스부재(80)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70)가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매립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보강부재(70)는 서로 대칭된 위치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강부재(70)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70)는 광케이블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광케이블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70)의 표면은 EAA(Ethylene Acrylic Acid Copolymer Resin)등의 수지로 코팅 처리되어 상기 보강부재(70)가 상기 제1 쉬스부재(80) 내부에 매립되었을 때 상기 보강부재(70)와 상기 제1 쉬스부재(80)이 서로 충분히 접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70)는 바람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밴딩 또는 인장력에 대항하여 항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강도 섬유, 인장섬유, 강연선, 강선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 재질의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70)는 상기 제1 쉬스부재(80)의 외주면보다 내주면에 가깝게 배치되어 제1 쉬스부재(80)의 외주면에 크랙 등이 발생되어도 수분 침투 경로를 조금이라도 길게하여 방수 성능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광케이블부(100)은 상기 제1 쉬스부재(80)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립코드(6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립코드(60)는 상기 제1 쉬스부재(80)의 탈피를 용이하게 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또한 광케이블의 항장력을 향상시키는 추가적인 인장선으로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광케이블부(100)는 상기 광케이블부(1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00)에 장착되어 광케이블(100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0)는 지지선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부재(161)로 구성된 집합 와이어(160) 및 상기 집합 와이어(160) 둘레와 광케이블부(100)를 함께 감싸는 제2 피복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집합 와이어(160)는 부식에 강한 아연도금 강선 또는 아연도금 강연선의 와이어 부재(161)가 복수 개가 집합되어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집합 와이어(160)는 제2 쉬스부재(150)에 의해 피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쉬스부재(150)는 상기 제1 쉬스부재(80)와 동일하게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edium density Polyethylene; MDPE)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케이블부(100)를 피복하는 제1 피복부(151), 상기 집합 와이어(160)를 감싸는 제2 피복부(152) 및 상기 제1 피복부(151)와 제2 피복부(152)를 연결하는 연결부(15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쉬스부재(15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피복부(151), 상기 제2 피복부(152) 및 상기 연결부(153)는 상기 집합 와이어(160)와 상기 광케이블부(100)를 내측에 배치한 상태로 일체로 압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쉬스부재(80) 내부에 매립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보강부재(70)는 서로 대칭된 위치에 대략 18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재(70)는 광케이블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광케이블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되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상기 보강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수직 방향(케이블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보다 케이블 지지구조가 연결되는 방향인 상하 방향 밴딩에 대한 저항력이 작아지고, 드럼 권취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뒤로 미룬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그러나, 상기 보강부재(70)는 압출 과정에서 정확하게 지지부와 케이블부를 연결하는 수직 기준선 상에 정확하게 배치되기 어렵고, 상기 보강부재(70)의 굴곡 강성을 고려한 배치 범위가 결정될 필요가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 틸트각(θt)은 광케이블부(100)의 중심과 지지부(200)의 중심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수직 기준선에 대하여 상기 광케이블부를 중심에서 보강부재(70)의 중심까지의 각도로 정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70)는 틸트각(θt)이 적절한 범위 내에 배치되면 상기 가공 선로 상의 케이블 지지구조와 연결되는 상하방형으로 굴곡 강성을 더 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래의 표 1은 상기 틸트각(θ의 크기에 따라 광케이블(1000)의 드럼 권취 상태, 광케이블부(100)와 지지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153)의 상태 및 보강부재(70)의 상태를 시험한 시험 결과표를 도시한다.
아래의 시험은 192심의 광섬유를 포함하고, 폭(도 2의 W)이 15mm 이고, 높이(도 2의 H)가 23mm인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을 2km를 동경(케이블이 권취되는 드럼에서 양측 원판 형태의 플랜지(플랜지경은 1.7m)를 제외한 코어의 외경을 의미함)이 1000mm이고 폭이 780mm인 코어를 갖는 드럼에 권취기를 통해 100[N] 내지 150[N]의 인장력(tension)으로 권취하면서, 권취 상태 및 광케이블 구성요소의 파손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한 결과를 도시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Θt [°] 10 20 30 40 50
케이블 권취 상태 정상 정상 케이블 뒤틀림, 웨이브 현상 케이블 뒤틀림, 웨이브 현상 권취 불가
연결부 상태 정상 정상 정상 연결부 꺾임 연결부 꺾임
보강부재 상태 정상 정상 정상 정상 보강부재 파단
위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트각(θ이 10도와 20도인 경우에는 광케이블(1000)의 드럼 권취 상태, 광케이블부(100)와 지지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153)의 상태 및 보강부재(70)의 상태가 각각 양호 또는 정상 상태로 확인되었으나, 상기 틸트각(θ이 30도와 40도인 경우에는 광케이블의 드럼 권취 상태에서 뒤틀림 또는 웨이브 현상(물결 무늬로 변형)이 발생되고, 연결부의 꺾임(틸트각(θ이 40도인 경우)이 관찰되며, 상기 틸트각(θ이 50도인 경우에는 연결부의 꺾임과 보강부재의 파단이 확인되어 결국 광케이블을 드럼에 권취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해 보강부재(70)의 중심이 광케이블부(100)의 중심과 지지부(200)의 중심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수직 기준선에 대하여 틸트각(θ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20도 이하의 범위 내에 배치되면 상기 가공선로 상의 케이블 지지구조와 연결되는 상하방형으로 굴곡 강성을 더 강화하되 광케이블(1000)의 드럼 권취를 가능하게 하고 그 때의 광케이블부(100)와 지지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153) 및 보강부재(70)의 파손 또는 파단이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에 도시된 결과의 원인은 상기 수직 기준선 기준으로 보강부재(70)이 틸트각(θ이 20도 이하의 범위를 벗어나 배치되면, 드럼 권취시 지지부(200), 연결부(153) 및 각 보강부재(70)에 밴딩으로 인해 부가되는 스트레인(strain) 차이가 커져 특정 보강부재에 스트레인이 집중되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의 다른 실시예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바인딩 수단(30)으로 바인딩된 서브유닛(S)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핑 단계에서 광케이블 전체 단면적에 대한 광섬유 점적율을 높이기 위해 또는 래핑 단계의 압축력에 의하여 케이블 길이방향 단면이 부채꼴 등의 형상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광케이블 전체 단면적에 대한 광섬유 점적율이 증가되면 광케이블의 세경화에는 도움이 되나 외부 충격 등에 대한 광섬유 보호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서브유닛(S)이 중심인장선(20) 및 래핑 수단(50)에 밀착되지 않고, 코어부 내부에 충진되는 제1 충진재(40)에 충분히 둘러싸이도록 배치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서브유닛(S)은 래핑 과정에서 부채꼴 형태로 밀착 또는 압축되어 배치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꼴 또는 사각형 형태(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광유닛의 개수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케이블들은 더 거친 환경의 가공 선로에 설치되는 경우, 외부 충격으로부터 광섬유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고 방수 성능 또는 인장강도가 강화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
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0 : 광케이블
100 : 광케이블부
10 : 광유닛
20 : 중심인장선
40 : 방수얀
80 : 제1 쉬스부재
150 : 제2 쉬스부재
200 : 지지부

Claims (24)

  1.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광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유닛을 바인딩하는 바인딩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서브유닛; 상기 복수 개의 서브유닛을 감싸고,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 매립되는 한 쌍 이상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제1 쉬스부재;를 포함하는 광케이블부;
    상기 광케이블부를 감싸는 제1 피복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부재로 구성되는 집합 와이어 및 상기 집합 와이어를 감싸는 제2 피복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광케이블부와 상기 지지부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1 피복부와 상기 제2 피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피복부와 상기 제2 피복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중심이 상기 광케이블부의 중심과 상기 지지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수직 기준선에 대하여, 상기 광케이블부의 중심에 대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20도(°) 이하의 범위에 배치되는 광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은 복수 개의 광섬유를 수용하는 튜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은 상기 튜브부재 내부에 방수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유닛 내부의 상기 복수 개의 튜브부재 사이의 빈공간에 제2 충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진재는 방수얀, 방수 테이프, 방수 젤리, 방수 파우더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유닛 사이의 빈공간을 채워 코어부를 구성하는 제1 충진재; 및
    상기 코어부를 감싸는 래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중심인장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유닛은 상기 중심인장선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 단면적 대비 상기 광섬유의 총 단면적인 점적률이 40% 내지 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수단은 바인딩얀이며,
    상기 바인딩얀은 복수 개의 상기 광유닛의 둘레를 나선형으로 이격 횡권하거나, 복수개의 바인딩얀을 교차 횡권하여 서브유닛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수단은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바인딩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진재는 방수얀, 방수 테이프, 방수 젤리, 방수 파우더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인장선은 아라미드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의 튜브부재 외주면에 각각의 광유닛 또는 서브유닛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인덱스가 구비되고, 상기 바인딩얀은 상기 튜브부재의 식별용 인덱스가 노출되도록 나선형으로 이격 횡권되거나 복수 개의 바인딩얀을 교차 횡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용 인덱스는 도트 마킹, 링 마킹, 색상,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FRP 재질의 원형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제1 쉬스부재 내주면 측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쉬스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래핑 수단 외주면 사이에 립코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광유닛은 미리 결정된 집합피치로 나선형 집합되어 서브유닛을 구성하며, 복수 개의 상기 서브유닛은 미리 결정된 복합피치로 상기 중심인장선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광유닛 중심에 방수얀 또는 아라미드얀을 배치하여 집합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서브유닛 중심에 방수얀 또는 아라미드얀을 배치하여 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및 복합 방향은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시계방향(S꼬임)과 반시계방향(Z꼬임)을 반복(SZ꼬임) 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피치 길이(P1) 대비 복합피치 길이(P2)의 비율인 집복합 피치율(Rp)은 0.8 내지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피치 길이는 200mm 내지 300mm 이고, 복합피치 길이는 240mm 내지 80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집합 와이어는 복수 개의 아연도금 강선 또는 아연도금 강연선의 와이어 부재가 복수 개 집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복부와 상기 제2 피복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괄 압출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KR1020210054495A 2021-04-09 2021-04-27 광케이블 KR202201403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6284 2021-04-09
KR1020210046284 2021-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381A true KR20220140381A (ko) 2022-10-18

Family

ID=8380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495A KR20220140381A (ko) 2021-04-09 2021-04-27 광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03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07050A (zh) * 2023-02-22 2023-05-12 江苏巨量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多管光纤复合架空地线及制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07050A (zh) * 2023-02-22 2023-05-12 江苏巨量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多管光纤复合架空地线及制造方法
CN116107050B (zh) * 2023-02-22 2024-03-08 江苏巨量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多管光纤复合架空地线及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3352A (en) Fiber optic micro cable
CA2359753C (en) Optical fiber cable with support member for indoor and outdoor use
US10591691B1 (en) All-dielectric self-supporting fiber optic cable
US11042000B2 (en) Optical cable for terrestrial networks
WO2015024443A1 (zh) 双层绞全干式光缆
US20200174209A1 (en) Compact indoor optical fiber backbone cable utilizing rollable ribbon
KR20140070971A (ko) 광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 복합 케이블
KR102440833B1 (ko) 리본 튜브형 광케이블
JP2003329905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11156792B2 (en) Loose tube cable with embedded strength member
US20190113703A1 (en) Fiber Optic Drop Cable
CN112400130B (zh) 光纤电缆
US20140140670A1 (en) Small-diameter high bending-resistance fiber optic cable
KR20220140381A (ko) 광케이블
US10036863B2 (en) Optical fiber cables with flat ribbon fibers
KR20220138307A (ko) 광케이블
CA2981516C (en) Ultra-high fiber density micro-duct cable with extreme operating performance
KR102228020B1 (ko) 복합소재를 이용한 광섬유 복합가공지선
KR101395474B1 (ko) 광섬유 케이블
CN113341520B (zh) 一种中心束管式大芯数带状光缆
EP3955041A1 (en) Air-blown optical fiber cable with flexible tubes
KR20220051570A (ko) 광케이블
KR100511938B1 (ko) 공압 포설용 튜브가 구비된 버퍼 튜브형 광케이블
CN218956866U (zh) 一种防鼠全介质绞线光缆
US20240159981A1 (en) Optical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