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069A - 교반기 - Google Patents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069A
KR20220140069A KR1020210045826A KR20210045826A KR20220140069A KR 20220140069 A KR20220140069 A KR 20220140069A KR 1020210045826 A KR1020210045826 A KR 1020210045826A KR 20210045826 A KR20210045826 A KR 20210045826A KR 20220140069 A KR20220140069 A KR 20220140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ing
agitator
driv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543B1 (ko
Inventor
김한성
안병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성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성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성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21004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5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stirrers having planetary motion, i.e.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and about a su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 B01F27/23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 B01F27/2324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plane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0Mounting or supporting mixing devices or receptacles; 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60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는 교반물질이 수용되는 베셀부와, 베셀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교반부와, 블레이드를 자전축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블레이드가 구동부와 일체화되도록 블레이드를 관통하여 구동부에 결합되고, 블레이드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체결부재와, 블레이드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체결부재의 낙하가 차단되도록 블레이드에 설치되는 낙하차단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반기{MIXER}
본 발명은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교반기의 베셀부 안으로 체결부재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반기는 다수의 물질을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교반시키는 장치이다. 그 중 플래니터리 교반기는 교반 대상물질에 실제 교반작업을 수행하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20-0072821 호(2020. 06. 23. 공개, 발명의 명칭: 끼임 방지 구조를 가진 플래니터리 교반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반기의 베셀 안으로 체결부재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반기는: 교반물질이 수용되는 베셀부; 상기 베셀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교반부; 상기 블레이드를 자전축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구동부와 일체화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낙하가 차단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설치되는 낙하차단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에는 체결홀부가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체결홀부에 각각 대향되는 관통홀부가 복수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부에 체결되고,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각각의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블레이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둘레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는 링장착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링장착홈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종단면 상에서 상기 관통홀부의 내경측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상기 링장착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낙하차단링부와 접촉됨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촉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해제를 알림하는 경보부를 작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구동부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부는 상기 블레이드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헤드부와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서로 다른 색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단일의 링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복수개의 연결차단링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레이드에는 내주면에 링장착홈부가 형성되는 블레이드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링장착홈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종단면 상에서 상기 관통홀부의 외경측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상기 링장착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낙하차단링부와 접촉됨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촉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해제를 알림하는 경보부를 작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구동부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부는 상기 블레이드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헤드부와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서로 다른 색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단일의 링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복수개의 연결차단링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와 체결되는 구동브라켓부; 및 상기 구동브라켓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동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구동브라켓부가 상기 구동본체부와 일체화되도록 상기 구동브라켓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브라켓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구동브라켓부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낙하가 방지되도록 상기 구동브라켓부에 설치되는 낙하방지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본체부에는 체결홀부가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구동브라켓부에는 상기 구동브라켓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체결홀부에 각각 대향되는 관통홀부가 복수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부에 체결되고, 상기 낙하방지링부는 각각의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구동브라켓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방지링부는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브라켓부에는 상기 구동브라켓부의 둘레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는 링장착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링장착홈부는 상기 구동브라켓부의 종단면 상에서 상기 관통홀부의 내경측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방지링부는 상기 링장착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방지링부는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낙하방지링부와 접촉됨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촉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는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해제를 알림하는 경보부를 작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구동본체부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부는 상기 구동브라켓부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헤드부와 상기 낙하방지링부는 서로 다른 색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방지링부는 단일의 링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방지링부는 복수개의 연결방지링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낙하차단링부가 교반기의 베셀 안으로 구동부와의 체결이 해제된 체결부재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체결부재가 베셀부로 낙하되어 베셀부에 수용된 교반물질을 오염시키거나, 체결부재가 베셀부 또는 회전 작동되고 있는 블레이드와 충돌하게 되어 베셀부와 블레이드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낙하방지링부가 교반기의 베셀 안으로 구동본체부와의 체결이 해제된 결합부재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결합부재가 베셀부로 낙하되어 베셀부에 수용된 교반물질을 오염시키거나, 결합부재가 베셀부 또는 회전 작동되고 있는 블레이드와 충돌하게 되어 베셀부와 블레이드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에서 블레이드와 구동부의 결합부위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체결부재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체결부재가 체결해제되어 낙하차단링부 상에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서 결합부재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부재가 체결해제되어 낙하방지링부 상에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에서 블레이드와 구동부의 결합부위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체결부재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체결부재가 체결해제되어 낙하차단링부 상에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에서 블레이드와 구동부의 결합부위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체결부재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체결부재가 체결해제되어 낙하차단링부 상에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서 결합부재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부재가 체결해제되어 낙하방지링부 상에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7,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A)는 구동부(1), 교반부(2), 베셀부(3), 덮개부(4)를 포함한다.
베셀부(3)는 교반물질이 수용되는 용기이다. 덮개부(4)는 베셀부(3)의 상측 개구부를 폐쇄하여 베셀부(3) 내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교반부(2)는 복수개의 블레이드(2a)를 구비한다. 블레이드(2a)는 구동부(1)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베셀부(3) 내에 수용된 교반물질을 교반한다.
각각의 블레이드(2a)는 자전축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2개 이상의 블레이드(2a)로 이루어진 교반부(2)는 공전축을 중심으로 공전한다.
구동부(1)는 각각의 블레이드(2a)가 자전 가능하도록 블레이드(2a)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자전구동부(10)와, 복수개의 블레이드(2a)를 갖는 교반부(2)가 공전 가능하도록 교반부(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공전구동부(도면부호 생략)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A)는 체결부재(50), 낙하차단링부(70)를 더 포함한다.
체결부재(50)는 각각의 블레이드(2a)가 구동부(1), 구체적으로 자전구동부(10)와 일체화되도록 블레이드(2a)를 관통하여 자전구동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체결부재(50)는 교반부(2)가 구동부(1), 구체적으로 공전구동부와 일체화되도록 교반부(2)를 관통하여 공전구동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별물의 자전구동부(10)와 블레이드(2a), 그리고 별물의 공전구동부와 교반부(2)는 체결부재(50)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체결부재(50)가 블레이드(2a)와 자전구동부(10)를 체결하는 경우, 낙하차단링부(70)는 체결부재(50)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블레이드(2a)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체결부재(50)가 교반부(2)와 공전구동부를 체결하는 경우, 낙하차단링부(70)는 체결부재(50)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교반부(2)에 설치될 수 있다.
낙하차단링부(70)는 블레이드(2a)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체결부재(50)의 연직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50)가 구동부(1)와의 체결이 해제되면 체결부재(50)는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낙하차단링부(70)가 체결부재(50)의 연직 하방에서 체결부재(50)의 낙하경로에 배치되므로, 체결부재(50)의 낙하는 낙하차단링부(70)와 맞닿을 때까지만 이루어진다. 즉, 낙하차단링부(70)는 체결부재(5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구동부(1), 본 실시예에서 자전구동부(1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부(138)가 구비되고, 블레이드(2a)의 블레이드헤드(20)에는 체결홀부(138)에 각각 대향되는 관통홀부가 복수개 구비된다. 관통홀부는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자전구동부(10)는 구동브라켓부(130)와 구동본체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본체부는 구동브라켓부(130)와 결합부재(40)에 의해 체결되는 구동플랜지부(120)와, 구동플랜지부(120)와 연결되는 구동칼럼부(110)를 포함한다.
구동브라켓부(130)는 체결부재(50)에 의해 블레이드헤드(20)와 체결된다. 구동브라켓부(130)의 상측에는 구동본체부, 즉 구동플랜지부(120)와 구동칼럼부(110)가 배치된다.
구동브라켓부(130)에는 체결홀부(138)가 형성된다. 구동브라켓부(130)는 하면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블레이드헤드(20)는 단턱부에 걸리면서 수평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복수개의 체결홀부(138)는 자전구동부(10)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관통홀부는 블레이드헤드(20)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블레이드헤드(20)와 자전구동부(10) 간의 체결력은 특정 지점에 집중되지 않고,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다.
체결부재(50)는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체결홀부(138)에 체결되면서 블레이드(2a)와 구동부(1)를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홀부(138)에 의해 블레이드헤드(20)와 자전구동부(10)의 구동브라켓부(130)는 서로 결합된다.
관통홀부가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듯이 체결부재(50) 또한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관통홀부는 블레이드헤드(20)의 상측에 형성되어 체결부재(50)의 본체부(51)가 삽입되는 본체홀부(26)와, 본체홀부(26)와 연통되어 체결부재(50)의 헤드부(52)가 삽입되는 헤드홀부(27)를 구비한다.
낙하차단링부(70)는 각각의 체결부재(5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블레이드(2a)에 설치될 수 있다. 낙하차단링부(70)는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따라 O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차단링부(70)는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관통홀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50)가 자전구동부(10) 및/또는 블레이드헤드(20)와의 체결이 해제되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는 경우에도, 체결부재(50)의 헤드부(52)의 연직 하방에 낙하차단링부(7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체결부재(50)는 낙하차단링부(70)에 가로막혀 더 이상 낙하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체결부재(50)가 베셀부(3)로 낙하되어 베셀부(3)에 수용된 교반물질을 오염시키거나, 체결부재(50)가 베셀부(3) 또는 회전 작동되고 있는 블레이드(2a)와 충돌하게 되어 베셀부(3)와 블레이드(2a)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낙하차단링부(70)는 단일의 링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낙하차단링부(70)는 분리됨이 없이 하나의 O링으로서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일체형 낙하차단링부(70)라 칭한다.
이와 달리 낙하차단링부(70)는 복수개의 연결차단링부재(71, 72)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O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낙하차단링부(70)는 각각의 연결차단링부재(71, 72)가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O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일체화된 낙하차단링부(70)라 지칭한다.
낙하차단링부(70)는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관통홀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므로, 일체형 또는 일체화된 하나의 낙하차단링부(70)를 설치하는 것으로 복수개소에서 체결부재(50)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한꺼번에 차단할 수 있다.
작업자는 복수개소에서 체결부재(50)의 하방 낙하가 방지되도록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 없이 하나의 낙하차단링부(70)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각각의 체결부재(50)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블레이드헤드(20)에는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는 링장착홈부(21a)가 구비된다.
블레이드헤드(20)의 하측 외주면에는 블레이드단턱부(21)가 구비되고, 블레이드단턱부(21)의 상부에는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링장착홈부(21a)가 설치된다.
링장착홈부(21a)는 블레이드헤드(20)의 횡단면 상에서 블레이드헤드(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링장착홈부(21a)는 블레이드헤드(20)의 종단면 상에서 관통홀부, 본 실시예에서 헤드홀부(27)의 내경측의 하방에 배치된다(도 4 참조).
링장착홈부(21a)의 상단은 자전구동부(10)에 체결이 완료된 체결부재(50)의 헤드부(52)의 하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낙하차단링부(70)는 링장착홈부(21a)에 끼움 결합된다. 낙하차단링부(70)는 링장착홈부(21a)에 끼움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체결부재(50)가 낙하차단링부(70) 상에 놓이게 되더라도 낙하차단링부(70)는 작업자가 체결부재(50)를 낙하차단링부(70) 상에서 제거하기 전까지 충분히 체결부재(50)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낙하차단링부(70)에는 접촉센서(75)가 구비될 수 있다. 접촉센서(75)는 낙하차단링부(70) 상에 설치되어 체결부재(50)와의 접촉을 감지한다.
접촉센서(75)는 체결부재(50)의 낙하 경로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낙하차단링부(70)가 링장착홈부(21a)에 끼움 결합되었을 때 접촉센서(75)는 헤드부(52)의 연직 하방 위치에 배치된다.
체결부재(50)가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면 체결부재(50)는 접촉센서(75)와 접하게 되므로, 접촉센서(75)는 체결부재(50)의 낙하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접촉센서(75)는 체결부재(50)의 낙하가 감지되었을 때 감지신호를 제어부(300)에 송신한다. 제어부(300)는 접촉센서(75)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토대로 알림부(350)를 작동제어한다.
알림부(350)는 체결부재(50)가 자전구동부(10)와의 체결이 해제되어 낙하차단링부(70) 상에 놓이게 되었음을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알림부(350)는 시각, 청각 등의 방식으로 작업자에게 체결부재(50)의 풀림을 경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체결부재(50)의 헤드부(52)와 낙하차단링부(70)는 서로 다른 색을 띠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52)가 은색인 경우 낙하차단링부(70)는 은색이 아닌 다른 색, 예를 들어 검정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체결부재(50)가 자전구동부(10)에서 체결해제되어 낙하차단링부(70) 상에 놓이게 되는 경우에, 작업자는 검정색의 낙하차단링부(70)와 확연한 색상 차이를 보이는 은색의 체결부재(50)의 존재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교반기는 교반부(2)와 구동부(1)를 일체로 결합하는 체결부재(50)와, 체결부재(50)가 베셀부(3)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차단링부(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교반기는 교반부(2)로서 자전을 하는 각각의 블레이드(2a)의 블레이드헤드(20)와, 구동부(1)로서 각각의 블레이드(2a)를 자전시키는 자전구동부(10)와, 블레이드헤드(20)와 자전구동부(10)를 일체로 결합하는 체결부재(50)와, 체결부재(50)가 베셀부(3)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차단링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교반기는 2개 이상의 블레이드(2a)로 이루어진 교반부(2)와, 구동부(1)로서 교반부(2)를 공전시키는 공전구동부와, 교반부(2)와 공전구동부를 일체로 결합하는 체결부재(50)와, 체결부재(50)가 베셀부(3)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차단링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7에서 블레이드헤드(20), 자전구동부(10)를 토대로 체결부재(50)와 낙하차단링부(70)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교반부(2)와 공전구동부를 체결하는 장치 및 방법에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A)는 결합부재(40)와 낙하방지링부(60)를 더 포함한다.
결합부재(40)는 구동브라켓부(130)가 구동본체부와 일체화되도록 구동브라켓부(130)를 관통하여 구동본체부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40)가 구동브라켓부(130)와 구동본체부를 체결하는 경우, 낙하방지링부(60)는 결합부재(40)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구동브라켓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낙하방지링부(60)는 구동브라켓부(130)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부재(40)의 연직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40)가 구동본체부와의 체결이 해제되면 결합부재(40)는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낙하방지링부(60)가 결합부재(40)의 연직 하방에서 결합부재(40)의 낙하경로에 배치되므로, 결합부재(40)의 낙하는 낙하방지링부(60)와 맞닿을 때까지만 이루어진다. 즉, 낙하방지링부(60)는 결합부재(4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구동본체부, 본 실시예에서 구동플랜지부(12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부(123)가 구비되고, 구동브라켓부(130)에는 체결홀부(123)에 각각 대향되는 관통홀부가 복수개 구비된다. 관통홀부는 구동브라켓부(13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플랜지부(120)에는 체결홀부(123)가 형성된다. 구동플랜지부(120)는 내측부(121)와 외측부(122)를 구비하고, 내측부(121)와 외측부(122)의 연결부위에는 단턱부가 형성된다. 구동브라켓부(130)는 단턱부에 걸리면서 수평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복수개의 체결홀부(123)는 구동플랜지부(120)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관통홀부는 구동브라켓부(130)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브라켓부(130)와 구동플랜지부(120) 간의 체결력은 특정 지점에 집중되지 않고,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다.
결합부재(40)는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체결홀부(123)에 체결되면서 구동브라켓부(130)와 구동플랜지부(120)를 결합시킨다.
구동브라켓부(130)는 블레이드헤드(20)와 구동플랜지부(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블레이드헤드(20)와 구동플랜지부(120)를 서로 연결시키는 부위로서, 본 실시예에서 구동브라켓부(130)는 자전구동부(10)의 하위 구성요소로 분류하였으나, 이와 달리 블레이드헤드(20)의 하위 구성요소로 분류하여도 무방하다.
관통홀부가 구동브라켓부(13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듯이 결합부재(40) 또한 구동브라켓부(13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관통홀부는 구동브라켓부(130)의 상측에 형성되어 결합부재(40)의 본체부(41)가 삽입되는 본체홀부(136)와, 본체홀부(136)와 연통되어 결합부재(40)의 헤드부(42)가 삽입되는 헤드홀부(137)를 구비한다. 헤드부(42)에는 작업공구가 삽입되는 공구홈부(43)가 형성된다.
낙하방지링부(60)는 각각의 결합부재(4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구동브라켓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낙하방지링부(60)는 구동브라켓부(130)의 둘레를 따라 O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방지링부(60)는 구동브라켓부(13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관통홀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40)가 구동플랜지부(120) 및/또는 구동브라켓부(130)와의 체결이 해제되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는 경우에도, 결합부재(40)의 헤드부(42)의 연직 하방에 낙하방지링부(6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결합부재(40)는 낙하방지링부(60)에 가로막혀 더 이상 낙하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결합부재(40)가 베셀부(3)로 낙하되어 베셀부(3)에 수용된 교반물질을 오염시키거나, 결합부재(40)가 베셀부(3) 또는 회전 작동되고 있는 블레이드(2a)와 충돌하게 되어 베셀부(3)와 블레이드(2a)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낙하방지링부(60)는 단일의 링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낙하방지링부(60)는 분리됨이 없이 하나의 O링으로서 구동브라켓부(1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일체형 낙하방지링부(60)라 지칭한다.
이와 달리 낙하방지링부(60)는 복수개의 연결방지링부재(61, 62)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O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낙하방지링부(60)는 각각의 연결방지링부재(61, 62)가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O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일체화된 낙하방지링부(60)라 지칭한다.
낙하방지링부(60)는 구동브라켓부(130)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관통홀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므로, 일체형 또는 일체화된 하나의 낙하방지링부(60)를 설치하는 것으로 복수개소에서 결합부재(40)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한꺼번에 차단할 수 있다.
작업자는 복수개소에서 결합부재(40)의 하방 낙하가 방지되도록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 없이 하나의 낙하방지링부(60)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각각의 결합부재(40)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동브라켓부(130)에는 구동브라켓부(130)의 둘레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는 링장착홈부(131a)가 구비된다.
구동브라켓부(130)의 하측 외주면에는 브라켓단턱부(131)가 구비되고, 브라켓단턱부(131)의 상부에는 구동브라켓부(1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링장착홈부(131a)가 설치된다. 따라서 링장착홈부(131a)는 구동브라켓부(130)의 횡단면 상에서 구동브라켓부(1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라켓단턱부(131)에는 단턱홈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단턱홈부(132)는 브라켓단턱부(131)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단턱홈부(132)에 의해 링장착홈부(131a)에 장착되는 낙하방지링부(60)는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단턱홈부(132)를 통해 낙하방지링부(60)의 장착과 장착해제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링장착홈부(131a)는 구동브라켓부(130)의 종단면 상에서 관통홀부, 본 실시예에서 헤드홀부(137)의 내경측의 하방에 배치된다. 즉, 링장착홈부(131a)는 헤드홀부(137)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링장착홈부(131a)의 상단은 구동플랜지부(120)에 체결이 완료된 결합부재(40)의 헤드부(42)의 하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낙하방지링부(60)는 링장착홈부(131a)에 끼움 결합된다. 낙하방지링부(60)는 링장착홈부(131a)에 끼움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결합부재(40)가 낙하방지링부(60) 상에 놓이게 되더라도 낙하방지링부(60)는 작업자가 결합부재(40)를 낙하방지링부(60) 상에서 제거하기 전까지 충분히 결합부재(40)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낙하방지링부(60)에는 접촉센서(65)가 구비될 수 있다. 접촉센서(65)는 낙하방지링부(60) 상에 설치되어 결합부재(40)의 접촉을 감지한다.
접촉센서(65)는 결합부재(40)의 낙하 경로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낙하방지링부(60)가 링장착홈부(131a)에 끼움 결합되었을 때 접촉센서(65)는 헤드부(42)의 연직 하방 위치에 배치된다.
결합부재(40)가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면 결합부재(40)는 접촉센서(65)와 접하게 되므로, 접촉센서(65)는 결합부재(40)의 낙하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접촉센서(65)는 결합부재(40)의 낙하가 감지되었을 때 감지신호를 제어부(300)에 송신한다. 제어부(300)는 접촉센서(65)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토대로 알림부(350)를 작동제어한다.
알림부(350)는 결합부재(40)가 구동플랜지부(120)와의 체결이 해제되어 낙하방지링부(60) 상에 놓이게 되었음을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알림부(350)는 시각, 청각 등의 방식으로 작업자에게 결합부재(40)의 풀림을 경보할 수 있는 장치이다.
결합부재(40)의 헤드부(42)와 낙하방지링부(60)는 서로 다른 색을 띠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42)가 은색인 경우 낙하방지링부(60)는 은색이 아닌 다른 색, 예를 들어 검정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결합부재(40)가 구동플랜지부(120)에서 체결해제되어 낙하방지링부(60) 상에 놓이게 되는 경우에, 작업자는 검정색의 낙하방지링부(60)와 확연한 색상 차이를 보이는 은색의 결합부재(40)의 존재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에서 블레이드와 구동부의 결합부위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체결부재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체결부재가 체결해제되어 낙하차단링부 상에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A)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낙하차단링부(70)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50)는 각각의 블레이드(2a)가 구동부(1), 구체적으로 자전구동부(10)와 일체화되도록 블레이드(2a)를 관통하여 자전구동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50)가 블레이드(2a)와 자전구동부(10)를 체결하는 경우, 낙하차단링부(70)는 체결부재(50)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블레이드(2a)에 설치될 수 있다.
낙하차단링부(70)는 블레이드(2a)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체결부재(50)의 연직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50)가 구동부(1)와의 체결이 해제되면 체결부재(50)는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낙하차단링부(70)가 체결부재(50)의 연직 하방에서 체결부재(50)의 낙하경로에 배치되므로, 체결부재(50)의 낙하는 낙하차단링부(70)와 맞닿을 때까지만 이루어진다. 즉, 낙하차단링부(70)는 체결부재(5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구동부(1), 본 실시예에서 자전구동부(1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부(138)가 구비되고, 블레이드(2a)의 블레이드헤드(20)에는 체결홀부(138)에 각각 대향되는 관통홀부가 복수개 구비된다. 관통홀부는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자전구동부(10)는 구동브라켓부(130)와 구동본체부를 포함한다. 구동브라켓부(130)는 체결부재(50)에 의해 블레이드헤드(20)와 체결된다.
구동브라켓부(130)에는 체결홀부(138)가 형성된다. 구동브라켓부(130)는 하면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블레이드헤드(20)는 단턱부에 걸리면서 수평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복수개의 체결홀부(138)는 자전구동부(10)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관통홀부는 블레이드헤드(20)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블레이드헤드(20)와 자전구동부(10) 간의 체결력은 특정 지점에 집중되지 않고,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다.
체결부재(50)는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체결홀부(138)에 체결되면서 블레이드(2a)와 구동부(1)를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홀부(138)에 의해 블레이드헤드(20)와 자전구동부(10)의 구동브라켓부(130)는 서로 결합된다.
관통홀부가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듯이 체결부재(50) 또한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블레이드헤드(20)에는 관통홀부가 형성된다. 관통홀부는 블레이드헤드(20)의 상측에 형성되어 체결부재(50)의 본체부(51)가 삽입되는 본체홀부(26)와, 본체홀부(26)와 연통되어 체결부재(50)의 헤드부(52)가 삽입되는 헤드홀부(27)를 구비한다. 헤드부(52)에는 작업공구가 삽입되는 공구홈부(53)가 형성된다.
낙하차단링부(70)는 각각의 체결부재(5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블레이드(2a)에 설치될 수 있다. 낙하차단링부(70)는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따라 O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낙하차단링부(70)는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관통홀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50)가 자전구동부(10) 및/또는 블레이드헤드(20)와의 체결이 해제되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는 경우에도, 체결부재(50)의 헤드부(52)의 연직 하방에 낙하차단링부(7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체결부재(50)는 낙하차단링부(70)에 가로막혀 더 이상 낙하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체결부재(50)가 베셀부(3)로 낙하되어 베셀부(3)에 수용된 교반물질을 오염시키거나, 체결부재(50)가 베셀부(3) 또는 회전 작동되고 있는 블레이드(2a)와 충돌하게 되어 베셀부(3)와 블레이드(2a)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낙하차단링부(70)는 단일의 링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낙하차단링부(70)는 분리됨이 없이 하나의 O링으로서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일체형 낙하차단링부(70)라 지칭한다.
이와 달리 낙하차단링부(70)는 복수개의 연결차단링부재(71, 72)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O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낙하차단링부(70)는 각각의 연결차단링부재(71, 72)가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O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일체화된 낙하차단링부(70)라 지칭한다.
낙하차단링부(70)는 블레이드헤드(20)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관통홀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므로, 일체형 또는 일체화된 하나의 낙하차단링부(70)를 설치하는 것으로 복수개소에서 체결부재(50)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한꺼번에 차단할 수 있다.
작업자는 복수개소에서 체결부재(50)의 하방 낙하가 방지되도록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 없이 하나의 낙하차단링부(70)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각각의 체결부재(50)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블레이드(2a)에는 내주면에 링장착홈부(21a)가 형성되는 블레이드단턱부(21)가 구비된다.
링장착홈부(21a)는 블레이드헤드(20)의 종단면 상에서 관통홀부, 본 실시예에서 헤드홀부(27)의 외경측의 하방에 배치된다.
링장착홈부(21a)의 상단은 자전구동부(10)에 체결이 완료된 체결부재(50)의 헤드부(52)의 하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낙하차단링부(70)는 링장착홈부(21a)에 끼움 결합된다. 낙하차단링부(70)는 링장착홈부(21a)에 끼움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체결부재(50)가 낙하차단링부(70) 상에 놓이게 되더라도 낙하차단링부(70)는 작업자가 체결부재(50)를 낙하차단링부(70) 상에서 제거하기 전까지 충분히 체결부재(50)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낙하차단링부(70)에는 접촉센서(75)가 구비될 수 있다. 접촉센서(75)는 낙하차단링부(70) 상에 설치되어 체결부재(50)와의 접촉을 감지한다.
접촉센서(75)는 체결부재(50)의 낙하 경로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낙하차단링부(70)가 링장착홈부(21a)에 끼움 결합되었을 때 접촉센서(75)는 헤드부(52)의 연직 하방 위치에 배치된다.
체결부재(50)가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면 체결부재(50)는 접촉센서(75)와 접하게 되므로, 접촉센서(75)는 체결부재(50)의 낙하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접촉센서(75)는 체결부재(50)의 낙하가 감지되었을 때 감지신호를 제어부(300)에 송신한다. 제어부(300)는 접촉센서(75)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토대로 알림부(350)를 작동제어한다.
알림부(350)는 체결부재(50)가 자전구동부(10)와의 체결이 해제되어 낙하차단링부(70) 상에 놓이게 되었음을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알림부(350)는 시각, 청각 등의 방식으로 작업자에게 체결부재(50)의 풀림을 경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체결부재(50)의 헤드부(52)와 낙하차단링부(70)는 서로 다른 색을 띠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52)가 은색인 경우 낙하차단링부(70)는 은색이 아닌 다른 색, 예를 들어 검정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체결부재(50)가 자전구동부(10)에서 체결해제되어 낙하차단링부(70) 상에 놓이게 되는 경우에, 작업자는 검정색의 낙하차단링부(70)와 확연한 색상 차이를 보이는 은색의 체결부재(50)의 존재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교반기는 교반부(2)와 구동부(1)를 일체로 결합하는 체결부재(50)와, 체결부재(50)가 베셀부(3)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차단링부(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교반기는 교반부(2)로서 자전을 하는 각각의 블레이드(2a)의 블레이드헤드(20)와, 구동부(1)로서 각각의 블레이드(2a)를 자전시키는 자전구동부(10)와, 블레이드헤드(20)와 자전구동부(10)를 일체로 결합하는 체결부재(50)와, 체결부재(50)가 베셀부(3)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차단링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교반기는 2개 이상의 블레이드(2a)로 이루어진 교반부(2)와, 구동부(1)로서 교반부(2)를 공전시키는 공전구동부와, 교반부(2)와 공전구동부를 일체로 결합하는 체결부재(50)와, 체결부재(50)가 베셀부(3)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차단링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헤드(20), 자전구동부(10)를 토대로 체결부재(50)와 낙하차단링부(70)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교반부(2)와 공전구동부를 체결하는 장치 및 방법에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구동부 2 : 교반부
3 : 베셀부 10 : 자전구동부
20 : 블레이드헤드 40 : 결합부재
60 : 낙하방지링부 50 : 체결부재
70 : 낙하차단링부

Claims (27)

  1. 교반물질이 수용되는 베셀부;
    상기 베셀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교반부;
    상기 블레이드를 자전축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구동부와 일체화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낙하가 차단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설치되는 낙하차단링부;를 포함하는 교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체결홀부가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체결홀부에 각각 대향되는 관통홀부가 복수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부에 체결되고,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각각의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블레이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둘레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는 링장착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링장착홈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종단면 상에서 상기 관통홀부의 내경측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상기 링장착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낙하차단링부와 접촉됨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해제를 알림하는 경보부를 작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7. 제4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구동부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부는 상기 블레이드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헤드부와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서로 다른 색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단일의 링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복수개의 연결차단링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는 내주면에 링장착홈부가 형성되는 블레이드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링장착홈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종단면 상에서 상기 관통홀부의 외경측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상기 링장착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낙하차단링부와 접촉됨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해제를 알림하는 경보부를 작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14. 제1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구동부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부는 상기 블레이드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헤드부와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서로 다른 색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단일의 링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차단링부는 복수개의 연결차단링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와 체결되는 구동브라켓부; 및
    상기 구동브라켓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동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구동브라켓부가 상기 구동본체부와 일체화되도록 상기 구동브라켓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브라켓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구동브라켓부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낙하가 방지되도록 상기 구동브라켓부에 설치되는 낙하방지링부;를 포함하는 교반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본체부에는 체결홀부가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구동브라켓부에는 상기 구동브라켓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체결홀부에 각각 대향되는 관통홀부가 복수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부에 체결되고,
    상기 낙하방지링부는 각각의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구동브라켓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링부는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브라켓부에는 상기 구동브라켓부의 둘레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는 링장착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링장착홈부는 상기 구동브라켓부의 종단면 상에서 상기 관통홀부의 내경측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방지링부는 상기 링장착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링부는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낙하방지링부와 접촉됨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는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해제를 알림하는 경보부를 작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24. 제2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구동본체부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부는 상기 구동브라켓부에 동일 회전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헤드부와 상기 낙하방지링부는 서로 다른 색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링부는 단일의 링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링부는 복수개의 연결방지링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KR1020210045826A 2021-04-08 2021-04-08 교반기 KR102496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826A KR102496543B1 (ko) 2021-04-08 2021-04-08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826A KR102496543B1 (ko) 2021-04-08 2021-04-08 교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069A true KR20220140069A (ko) 2022-10-18
KR102496543B1 KR102496543B1 (ko) 2023-02-08

Family

ID=8380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826A KR102496543B1 (ko) 2021-04-08 2021-04-08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5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7379A (ja) * 2011-05-12 2012-12-06 Nec Infrontia Corp ネジ脱落防止用部品
KR20160049966A (ko) * 2015-10-14 2016-05-10 주식회사 제일기공 믹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7379A (ja) * 2011-05-12 2012-12-06 Nec Infrontia Corp ネジ脱落防止用部品
KR20160049966A (ko) * 2015-10-14 2016-05-10 주식회사 제일기공 믹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543B1 (ko)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446B1 (ko) 이상 경보 기능을 구비하는 양돈용 자동 급이기
CA2273677C (fr) Agitateur a entrainement magnetique
KR20220140069A (ko) 교반기
CN107207228B (zh) 缆索绞车
KR20220139633A (ko) 교반기
US20090190438A1 (en) Mixing machine with associated bowl guard system
KR101674431B1 (ko) 개폐 표시램프가 구비된 개폐밸브
KR101431766B1 (ko) 고속 과립기
JP2019531164A (ja) 使い捨ての食品調製容器アセンブリ、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765255B2 (ja) 攪拌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分析装置
JP2007152345A (ja) 試料容器の震盪装置
US5481344A (en) Auxiliary device, cartridge and apparatus for toner supply
CN108138909B (zh) 一种用于提升、绑扎或止动技术的组件,尤其是用于户外或海上应用的卸扣形式的组件
KR20210087523A (ko) 혼련 장치
CN107589651B (zh) 图像形成系统
JP5324993B2 (ja) 配線ボックス及び配線ボックス装置
JP3242166U (ja) 非接触型撹拌装置の安全モニター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4900442A (en) Air seal centrifuge screen basket
KR20140145732A (ko) 비접촉식 오일 혼입 방지씰 및 이를 이용한 오일 혼입 방지형 교반기
CN114814258A (zh) 样本分析仪及磁珠瓶旋转状态的检测方法
CN107690591A (zh) 用于保持偏转镜布置的驱动单元的保持设备,具有偏转镜布置的检测设备,和机动车辆
CN114730015A (zh) 移动机械态势感知设备
KR100837766B1 (ko) 임팩트 크러셔의 작동상황 표시장치
US20230232841A1 (en) Kneading machine for food doughs with sealing of kneading tools
JPH1057681A (ja) 洗濯機の回転角度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