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901A -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를 기반으로 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를 기반으로 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901A
KR20220139901A KR1020227028455A KR20227028455A KR20220139901A KR 20220139901 A KR20220139901 A KR 20220139901A KR 1020227028455 A KR1020227028455 A KR 1020227028455A KR 20227028455 A KR20227028455 A KR 20227028455A KR 20220139901 A KR20220139901 A KR 20220139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hthalmic
solid
delivery system
mercaptopyridoxine
disulf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 개렉
Original Assignee
바이오어드헤시브 옵탈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어드헤시브 옵탈믹스 filed Critical 바이오어드헤시브 옵탈믹스
Publication of KR20220139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9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61K9/0051Ocular inserts, ocular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57Eicosanoids, e.g. leukotrienes or prostaglandins
    • A61K31/5575Eicosanoids, e.g. leukotrienes or prostaglandins having a cyclopentane, e.g. prostaglandin E2, prostaglandin F2-alph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삽입물 또는 안과용 필름의 형태 하의,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안과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안과 약물 전달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전달 시스템은 또한 안과 병태, 예컨대, 안구 건조증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를 기반으로 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본 발명은 안과용 제형의 분야에 관한 것이고,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mucoadhesive solid or semisolid ocular delivery system)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달 시스템은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preactivated thiomer)의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삽입물 또는 안과용 필름의 형태 하에 있다. 본 발명의 전달 시스템은 안과 질환, 예컨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안구 건조 또는 녹내장의 치료를 위한 안과용 약물 전달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전달 시스템은 또한 안과 병태(condition)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눈 수준으로 직접적으로 활성 물질의 투여를 필요로 하는 광범위한 안과 질환 및 안과 병태가 있다. 국소 안과 투여의 주된 문제 중 하나는 연장된 기간 동안 작용 부위에서 충분한 양의 활성 물질을 얻고 유지시키며 정확한 투여량의 활성 물질을 전달하는 것이다. 활성 물질의 제어된 지속적인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전달 시스템이 또한 필요하다.
대부분의 안과 약물은 수성 점안제의 형태로 투여된다. 수성 점암제는 사용이 용이하고 환자에게 잘 허용되지만, 설치 후 신속하게 배출시켜야 해서 불량한 생체 이용성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많은 안과 약물은 물에 난용성인 소수성 분자이다. 따라서, 많은 점안제 제형은 약물 형탁액이며, 이는 생체 이용성 문제를 악화시키는데, 그 이유는 약물이 먼저 흡수되기 전에 눈에서 먼저 가용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역 에멀션(reverse emulsion), 동일반응계내 겔화 중합체, 미소구체, 나노입자, 리포솜 또는 안과용 삽입물을 사용하는, 안과 약물처리를 최적화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대안이 개발되었다.
안과용 삽입물은 눈의 결막낭(conjunctival cul-de-sac)에 위치되는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장치이다. 안과용 삽입물은 점안제에 대한 흥미로운 대안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더 긴 각막앞 체류 시간을 보장하고 전신 흡수의 양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과용 삽입물은 대부분 흔히 불량한 환자 허용을 격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눈에서 이물질의 느낌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추가로, 삽입물이 눈 주위에서 움직이는 때에는, 그것이 또한 시력을 방해하고 자극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환자에 의해서 잘 관용되고 생산이 간단한 점막 접착성 안과용 삽입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수행되고 있다.
안과용 전달 시스템이 눈의 표면에 위치되는 때에, 그것은 먼저 3층: 지질층, 수성층 및 점액층으로 형성되는 눈물막과 접촉된다. 따라서, 눈물막 하에 존재하는 점액은 눈 표면에 대한 안과용 전달 시스템의 접착을 얻기 위해서 표적될 수 있다. 몇 가지 중합체, 예컨대, 티오머가 이미 이들의 접착 특성에 대해서 시험되었다.
"티올화된 중합체"로도 일컬어지는 티오머는 유리 티올 모이어티(moiety)들을 지니는 측쇄를 갖는 중합체이다(Bernkop-Schnurch A. et al., Pharm. Res., 1999, 16, 876-881; US7,354,600). 티오머의 중합체 골격은 일반적으로는 생분해성 중합체, 예컨대, 키토산, 히알루론산, 젤라틴, 폴리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중합체 골격의 티올화는, 예를 들어, 시스테인 모이어티들을 커플링시킴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티오머는 점막을 덮는 점액의 시스테인-풍부 서브도메인(cysteine-rich subdomain)과 공유 결합, 즉, 디설파이드 결합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러한 공유 결합은 강하고, 그에 따라서, 연장된 시간 동안 티오머를 포함하는 용량형(dosage form)의 효율적인 점막 접착을 확실히 할 수 있다.
Hornof 등은, 안과용 약물의 제어된 방출을 위한, 티올화된 폴리(아크릴산)을 기반으로 하는 점막 접착성 안과용 삽입물을 시험하였다(Hornof et al., J. Controlled Release, 2003, 419-428). 건식 안과용 삽입물은 눈의 결막낭에 위치되고 동일반응계 내에서 수화되어 우수한 점막 접착을 제시하는 하이드로겔을 형성시킨다. 하이드로겔 형태는, 이전의 안과용 삽입물과는 반대로, 이물 느낌을 유도하지 않으며, 점막 접착이 삽입물을 제 위치에 머무르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티오머 안과용 삽입물은 티오머의 티올기의 산화를 피하고 이들을 환원된 형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비-생리학적 pH(Hornof 등의 티오머 안과용 삽입물의 경우에, pH 5에서)에서 저장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충분한 양의 유리 티올기를 점액과의 상호작용에 이용 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필수적이다. 따라서, 티오머 안과용 삽입물의 주요 단점은 이들이 이들의 비-생리학적 pH로 인해서 자극 및 통증을 불러 일으킨다는 것이다. 더욱이, 그러한 pH는 그러한 조건 후에 안정하지 않은 일부 활성 물질을 담지시키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점막 접착 특성을 가지며, 환자에 의해서 잘 관용되고, 광범위한 범위의 안과용 약물의 전달에 적합한 새로운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안과용 삽입물 및 안과용 필름을 포함함)이 필요하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본원에서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또는 S-보호된 티오머는 측쇄의 티올 모이어티가 메르캅토니코틴산, 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메르캅피리독신과 디설파이드 결합으로 컨주게이션되는 티오머이다(US 2012/0225024). 그러한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점막 접착 특성이,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시스테인-2-메르캅토니코틴산과 함께 보고되었다(Iqbal J. et al., Biomaterials, 2012, 33, 1528-1535).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출원인의 지식으로, 그러한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사용은 안과용 전달 시스템, 특히 안과용 삽입물 또는 안과용 필름의 제조에 대해서는 결코 보고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에 사용되는 티어머 내의 사전 활성화된 티올기의 존재는 티오머의 안정성, 점막 접착, 유착 특성 및 관용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서, 예상된 특성을 갖는 안과용 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달 시스템은 특히 자극을 유발시키기 않으면서 적용 부위에서의 전달 시스템의 체류 시간을 지연시키는 이점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는 때에, 점안제의 사용에 비해서, 환자에 의한 치료 순응도가 개선되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반복된 설치를 회피하기 때문이다. 안과용 약물을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때에, 본 발명의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기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이의 생체 이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약물의 치료 성능을 개선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약물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이어서 약물의 침투를 향상시킨다. 그것은 또한, 점안제를 사용하는 때에 달성되는 것에 비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그의 지속된 방출을 가능하게 하고 더욱 정확한 용량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안과 사용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고체 또는 반고체 전달 시스템은 몇 가지 사양을 충족시켜야 한다. 예컨대, 그것은 눈 위치에 적합한 모양 및 크기를 가져야 하고 제어된 팽윤과 함께 적합하게 수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으로서, 매트릭스가 티올화된 중합체 골격(thiolated polymer backbone)에 디설파이드 결합을 통해서 공유 결합되는 2-메르캅토니코틴산, 6-메르캅토니코틴산, 2-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2-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6-메르캅토피리독신 측쇄를 지니는 중합체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를 포함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안과용 삽입물 또는 안과용 필름이다.
일 구현예에서, 중합체 골격은, 임의로 측쇄로서 유리 티올기를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피롤리돈, 비닐알코올, 비닐이미다졸, 비닐카프로락탐, 디비닐 글리콜, 폴리카르보필, 카르보머, 알릴아민, (트리메틸화된) 키토산, 히알루론산, 펙틴, 알기네이트, (가교결합된) 폴리알릴아민, 폴리리신, 폴리오르니틴, 폴리아미노아미드,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가교결합된)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중합체 화합물의 측쇄는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시스테인-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호모시스테인-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시스테아민-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N-아세틸시스테인-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티오글리콜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3-티오프로피온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4-티오부타노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메르캅토벤조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메르캅토니코틴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글루타티온-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티오에틸아미딘-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4-티오부틸아미딘-디설파이드, 및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메르캅토아닐린-디설파이드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측쇄는 아미드, 아미딘 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서 중합체 골격에 결합된다.
일 구현예에서,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는 나노섬유(nanofiber); 바람직하게는 전기 방사에 의해서 얻어지는 나노섬유의 형태 하에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활성 물질은 안내압(intraocular pressure(IOP)) 저하제, 예컨대,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콜린자극제(cholinomimetic), 베타 차단제(beta blocker), 알파 아드레날린성 효능제(alpha adrenergic agonist),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carbonic anhydrase inhibitor), Rho 키나아제 억제제, NO 공여제(NO donor agent) 및 이들의 조합물; 소염제, 예컨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소염 약물(corticosteroid anti-inflammatory drug) 및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약물; 항감염약(anti-infective), 예컨대, 매크롤라이드(macrolide), 아미노사이드(aminoside), 리파마이신(rifamycin), 항바이러스제(antiviral drug) 및 항진균 약물(antifungal medication); 항알레르기제(anti-allergic agent), 예컨대, H1-항히스타민제, 및 비만 세포 안정화제(mast cell stabilizer); 및 안구 건조 치료제(dry eye treatment agent)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추가로 농조화제(thickening agent), 겔화제, 가소제, 안정화제, 안정화제, 침투 향상제,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채널링제(channeling agent), 활택제(glidant) 및 완충제(buffering agent)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농도화제 및 겔화제는 고분자량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히알루론산으로부터 선택되고; 가소제는 글리세롤이고; 안정화 및 안정화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부터 선택되고; 침투 향상제는 환원된 형태의 글루타티온이고; 희석제는 당 알코올로부터 선택되고; 결합제는 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디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셀룰로오스, 변성 셀룰로오스, 당 알코올 및 합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되고; 붕해제는 가교결합된 중합체 및 변성 전분으로부터 선택되고; 활택제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이염기성 인산칼슘, 전분,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및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로부터 선택되고; 채널링제는 염화나트륨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고분자량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히알루론산, 글리세롤, 사이클로덱스트린, 환원된 형태의 글루타티온, 소르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폴리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전분,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이염기성 인산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및 염화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안과 질환 또는 안과 병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안과 질환 또는 안과 병태는 개방각 녹내장(open angle glaucoma), 황반 부종(macular edema), 포도막염(uveitis), 안구 건조 질환(dry eye disease), 결막염(conjunctivitis), 각막염(keratitis), 안검염(blepharitis), 내안구염(endophthalmitis), 트라코마(trachoma), 수술-후 및 계절성 알레르기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삽입물 또는 안과용 필름의 제조를 위한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용도로서,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가 티올화된 중합체 골격에 디설파이드 결합을 통해서 공유 결합되는 2-메르캅토니코틴산, 6-메르캅토니코틴산, 2-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2-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6-메르캅토피리독신 측쇄를 지니는 중합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정의
본 발명에서, 이하 용어는 다음 의미를 갖는다:
용어 "투여" 또는 이의 변형(예, "투여하는")은 병태, 증상, 또는 질환이 치료 또는 예방되어야 하는 환자에게 활성 물질을 단독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제형의 일부로서 제공함을 의미한다.
용어 "카르보머"는 알릴 수크로오스 또는 알릴 펜타에리트리톨과 가교결합된 합성 고분자량 폴리아크릴산을 나타낸다. 카르보머의 예는 알릴 펜타에리트리톨과 가교결합되고 에틸 에세테이트에서 중합된 폴리아크릴산인 카르보폴 971 및 974를 포함한다.
용어 "전기 방사"는 삼차원 중합체 나노섬유의 네트워크를 생성시키는 공정을 나타낸다. 전기 방사는 액체로부터 매우 미세한 섬유를 인발하기 위해서 전기적 전하를 사용한다. 전기 방사를 수행하는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공지되어 있다.
용어 "인간"은 둘 모두의 성별 및 발생의 어떠한 단계의 대상체(즉, 신생아, 유아, 아동, 청소년, 성인)을 나타낸다.
용어 "점막 접착성"은 물질 또는 재료와 점액 또는 점막 사이의 인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점막 접착성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점액 또는 점막과 강하게 상호작용하는 안과용 전달 시스템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티오머와 그 안에 존재하는 천연 점액 사이의 디설파이드 결합의 형성에 의해서 점액 또는 점막에 공유 결합한다. 디설파이드 결합 형성은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사용에 의해서 촉진된다.
용어 "나노섬유"는 5000 nm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를 나타낸다.
용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약제학적 활성 성분 또는 관심 물질, 예컨대, 약물 또는 윤활제를 눈 또는 이의 어떠한 일부를 통해서 대상체에 투여할 수 있는 전달 시스템을 나타낸다.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안과용 삽입물 및 안과용 필름을 포함한 고체 또는 반고체 용량형을 나타낸다. 특히, "반고체"는 고도로 점성일 수 있는 용량형, 예컨대, 하이드로겔의 형태의 안과용 삽입물을 나타낸다.
용어 "안과용 필름"은, 크기 및 모양이 특히 안과 적용을 위해서 설계되는, 결막낭 내로 또는 결말 표면에 위치되도록 설계된 고체 또는 반고체 콘시스턴시 이차원 필름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필름은 무균성이다. 안과용 필름은, 예를 들어, 눈 상에 필름의 정위를 용이하게 하기에 유용할 수 있는 삼차원 장치를 형성하도록 접힐 수 있다.
용어 "안과용 삽입물"은, 크기 및 모양이 특히 안과 적용을 위해서 설계되는, 결막낭 내로 또는 결막 표면에 위치되도록 설계되는 고체 또는 반고체 콘시스턴시 삼차원 장치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삽입물은 무균성이다. 임의로, 안과용 삽입물은 다층화될 수 있다. 안과용 삽입물은 건조한 형태 또는 수화된 형태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본 발명에서, 안과용 삽입물은 하이드로겔 펠릿의 형태이다.
용어 "안과 질환"은 표면을 포함한 안구, 눈의 앞 부분과 뒷 부분 뿐만 아니라, 눈꺼풀(바람직하게는 눈꺼풀의 내부면)의 어떠한 영역에 영향을 주는 어떠한 질환을 나타낸다. 표적된 눈 조직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막 조직, 결막, 눈꺼풀, 섬유주대(trabeculum), 홍채, 섬모체(ciliary body), 포도막(uvea), 맥락막(choroid), 망막 또는 황반(macula)일 수 있다.
용어 "안과 병태"는 안구 뿐만 아니라 눈꺼풀의 어떠한 영역에 영향을 주는 어떠한 병태를 나타낸다. 안과 병태의 예는 눈 수술 후위 안과 병태, 안구 건조증 및 계절성 알레르기로 인한 안과 증상을 포함한다.
용어 "환자"는 의료 보호의 수혜를 기다리거나 의료 보호를 받고 있거나 의료 시술의 대상이거나/대상일 수 있는 포유동물을 나타낸다. 일 구현예에서, 환자는 인간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환자는 동물이다.
표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서로 상용성이고 투여되는 대상체에 유해하지 않은 약제학적 제형의 성분들을 나타낸다.
표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애주번트"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투여되는 때에 역반응, 알레르기 반응 또는 그 밖의 뜻밖의 반응을 생성시키기 않는 물질을 나타낸다. 그것은 어떠한 및 모든 불활성 물질, 예컨대, 용매, 공용매,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유화제, 완충제, pH 조절제, 보존제(preserving agent)(또는 방부제(preservating agent)), 항세균제(antibacterial agent) 및 항진균제(antifungal agent), 등장성화제(isotonifier), 과립화제(granulating agent) 또는 결합제(binder), 윤활제(lubricant), 붕해제, 활택제, 희석제 또는 충전제, 흡착제, 분산제, 현탁화제, 코팅제(coating agent), 증량제(bulking agent), 방출제(release agent), 흡수 지연제(absorption delaying agent), 감미제(sweetening agent), 및 향미제(flavoring agent) 등을 포함한다. 인간 투여의 경우에, 제제(preparation)는 규제 기관, 예컨대, FDA 기관 또는 EMA에 의해서 요구되는 무균성, 발열원성(pyrogenicity), 일반적인 안전성 및 순도 표준에 부합해야 한다.
용어 "폴리카르보필"은 디비닐 글리콜 및 칼슘 반대이온과의 폴리아크릴산의 가교결합으로부터 제조되는 합성 중합체를 나타낸다.
용어 "중합체 화합물"은 중합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면에서, 중합체 화합물은 "측쇄"와 함께 "중합체 골격"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한다", "예방하는" 및 "예방"은 병태 또는 질환 및/또는 이의 수반된 증상의 개시를 지연시키거나 방지하거나, 환자가 병태 또는 질환에 걸리는 것을 배척하거나, 병태 또는 질환에 걸릴 환자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나타낸다.
용어 "대상체"는 인간 및 동물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나타낸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질병으로 진단 받는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의료 보호의 수혜를 기다리거나 의료 보호를 받고 있거나 의료 시술의 대상이었거나/대상일 수 있거나, 질환의 발병 또는 진행에 대해서 모니터링되는 환자이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질환의 발병 또는 진행에 대해서 치료되고/거나 모니터링되는 환자이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남성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여성이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성인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어린이이다.
용어 "치료 유효량" 또는 "유효량" 또는 "치료 유료 용량"은, 대상체에 상당한 부정적인 효과 또는 부작용을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1) 대상체에서 질환의 개시를 지연시키거나 예방하거나; (2) 질환의 중증도 또는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3) 대상체에 영향을 주는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진행, 가중, 또는 악화를 늦추거나 중단시키거나; (4) 대상체에 영향을 주는 질환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거나; (5) 대상체에 영향을 주는 질환을 치유하는 것을 겨냥한 활성 물질의 양 또는 용량을 나타낸다. 치료 유효량은 예방 또는 방지 행동을 위해서 질환의 개시 전에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는, 치료 유효량은 치료 행동을 위해서 질환의 개시 후에 투여될 수 있다.
용어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대상체가 표적된 병리학적 병태 또는 질환이 예방되거나 완화되어야 하는, 치료학적 처리를 나타낸다. 대상체 또는 포유동물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를 받은 후에, 대상체 또는 포유동물이 특정의 질환 또는 병태와 연관된 증상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일부 범위로의 완화; 및 생활의 질 문제에서의 개선 중 하나 이상의 관찰 가능한 및/또는 측정 가능한 감소 또는 이의 부재를 나타내면, 질환 또는 영향 또는 병태에 대해서 성공적으로 "치료"된다. 질환의 성공적인 치료 및 개선을 평가하기 위한 상기 파라미터는 의사에게는 친숙한 통상의 절차에 의해서 용이하게 측정 가능하다.
용어 "티오머" 또는 "비-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는 티올화된 중합체, 즉, 유리 티올 모이어티를 지니는 측쇄를 갖는 중합체를 나타낸다. 중합체 골격은 생분해성 중합체, 예컨대, 키토산, 히알루론산, 젤라틴, 폴리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실리콘일 수 있다. 그러한 중합체 골격의 티올화는, 예를 들어, 시스테인 모이어티들을 커플링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용어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또는 "S-보호된 티오머"는 측쇄의 티올 모이어티가 메르캅토니코틴산, 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메르캅토피리독신과의 디설파이드 결합을 통해서 컨쥬게이션되는 티오머를 나타낸다.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예는 US 2012/0225024호에 개시되어 있다.
용어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매트릭스"는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로 주로 제조된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따라서, 본 발명은 안과용 전달 시스템, 특히,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전달 시스템이 연장된 기간 동안 눈 표면 상에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점막 접착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사실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매트릭스, 즉, 하나 이상의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로 주로 제조된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한다. 일단 수화되면,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의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매트릭스는 눈에 들러붙는 하이드로겔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매트릭스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는 티올화된 중합체 골격에 디설파이드 결합을 통해서 공유 결합되는 비타민 B3- 또는 비타민 B6-유도체 측쇄를 지니는 중합체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는 티올화된 중합체 골격에 디설파이드 결합을 통해서 공유 결합되는 2-메르캅토니코틴산, 6-메르캅토니코틴산, 2-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2-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6-메르캅토피리독신 측쇄를 지니는 중합체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는 티올화된 중합체 골격에 디설파이드 결합을 통해서 공유 결합되는 2-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2-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6-메르캅토피리독신 측쇄를 지니는 중합체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용어 "티올화된 중합체 골격"은 유리 티올 모이어티를 지니는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유리 티올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측쇄를 지니는 중합체 골격을 나타낸다.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에서, 메르캅토니코틴산, 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메르캅토피리독신은 티올화된 중합체 골격의 티올 모이어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디설파이드 결합을 통해서 연결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골격은, 임의로 측쇄로서 유리 티올기를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피롤리돈, 비닐알코올, 비닐이미다졸, 비닐카프로락탐, 디비닐 글리콜, 폴리카르보필, 카르보머, 알릴아민, (트리메틸화된) 키토산, 히알루론산, 펙틴, 알기네이트, (가교결합된) 폴리알릴아민, 폴리리신, 폴리오르니틴, 폴리아미노아미드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컨대,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가교결합된)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골격은 생분해성 중합체, 예컨대, 알기네이트, 키토산, 히알루론산, 젤라틴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이다. 특이적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골격은 폴리카르보필, 폴리(아크릴산) 및 카르보머(예컨대, 카르보폴 971 NF 및 카르보폴 974 NF)로부터 선택된다. 특이적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골격은 키토산, 히알루론산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컨대,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골격, 예컨대, 상기 기재된 것들의 티올화는 시스테인, 호모시스테인, 시스테아민, N-아세틸시스테인, 티오글리콜산, 3-티오프로피온산, 4-티오부타노산, 메르캅토벤조산, 메르캅토니코틴산, 글루타티온, 티오에틸아미딘, 4-티오부틸아미딘 및 메르캅토아닐린으로부터 선택된 모이어티를 - 아미드, 아미딘 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서 - 커플링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골격의 티올화는 시스테인 또는 시스테아민을 커플링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에서, 중합체 골격에 존재하는 측쇄는 S-(2- 또는 6-메르캅토니코틴산)-,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S-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시스테인-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니코틴산)-,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S-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호모시스테인-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니코틴산)-,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S-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시스테아민-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니코틴산)-,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S-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N-아세틸시스테인-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니코틴산)-,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S-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티오글리콜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니코틴산)-,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S-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3-티오프로피온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니코틴산)-,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S-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4-티오부타노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니코틴산)-,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S-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메르캅토벤조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니코틴산)-,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S-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메르캅토니코틴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니코틴산)-,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S-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글루타티온-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니코틴산)-,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S-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티오에틸아미딘-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니코틴산)-,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S-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4-티오부틸아미딘-디설파이드, 및 S-(2- 또는 6-메르캅토니코틴산)-,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S-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메르캅토아닐린-디설파이드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측쇄는 아미드, 아미딘 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서 중합체 골격에 부착된다.
본원에서, S-(2- 또는 6-메르캅토니코틴산)-은 S-(2-메르캅토니코틴산)- 또는 S-(6-메르캅토니코틴산)-을 나타내고;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는 S-(2-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S-(2-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S-(6-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달 시스템에서 사용된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는 US 2012/0225024호에 개시된 것들이고, 이의 내용은 본원에서 참조로 통합된다.
특이적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는 폴리(아크릴산)-시스테인, 폴리카르보필-시스테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시스테인, 키토산-시스테인,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시스테인, 알기네이트-시스테인, 펙틴-시스테인, 히알루론산-시스테인, (아크릴산과 디비닐 글리콜의 코중합체)-시스테인, 폴리(아크릴산)-시스테아민, 폴리카르보필-시스테아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시스테아민, 키토산-시스테아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시스테아민, 알기네이트-시스테아민, 펙틴-시스테아민, 히알루론산-시스테아민, (아크릴산과 디비닐 글리콜의 코중합체)-시스테아민로부터 선택된 티올화된 중합체 골격에 디설파이드 결합을 통해서 공유 결합된 2-메르캅토니코틴산, 6-메르캅토니코틴산, 2-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2-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6-메르캅토피리독신 측쇄를 지니는 중합체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특이적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는 폴리(아크릴산)-시스테인-2-메르캅토니코틴산 및 키토산-시스테인-6-메르캅토니코틴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이적 구현예에 따르면,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는 폴리(아크릴산)-시스테인-2-메르캅토니코틴산이다. 또 다른 특이적 구현예에 따르면,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는 키토산-시스테인-6-메르캅토니코틴산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점막 접착 특성은 중합체의 분자 중량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음이온성의 경우 뿐만 아니라, 양이온성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경우에, 매우 효율적인 점막 접착 특성이 중간 분자 질량으로, 바람직하게는, 100 kDa 내지 1000 kDa, 바람직하게는 300 kDa 내지 700 kDa의 범위의 분자 질량에 대해서 달성될 수 있다.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합성은 티올화된 중합체 골격을 2-메르캅토니코틴산, 6-메르캅토니코틴산, 2-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2-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6-메르캅토피리독신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제조는 US 2012/0225024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나노섬유 네트워크로 제조된 매트릭스는 전기 방사 기술을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에 적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나노섬유의 네트워크의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전달 시스템에 존재하는 활성 물질의 방출율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비-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및 적어도 하나의 비-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를 포함한다. 용어 "비-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는 티오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삽입물 또는 안과용 필름의 제조를 위한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용도로서,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가 티올화된 중합체 골격에 디설파이드 결합을 통해서 공유 결합되는 2-메르캅토니코틴산, 6-메르캅토니코틴산, 2-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2-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6-메르캅토피리독신 측쇄를 지니는 중합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에 추가로, 부형제 및 애주번트가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을 제형화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형제 및 애주번트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 애주번트이다. 그러한 적합한 부형제 및 애주번트는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확할 것이며;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의 최근 판을 참조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추가로 농조화제, 겔화제, 가소제, 안정화제, 안정화제, 침투 향상제,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채널링제 및 완충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농조화제, 겔화제, 가소제, 안정화제, 안정화제, 침투 향상제, 희석제, 결합제, 활택제 및 완충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농조화제 및 겔화제의 예는 고분자량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중합체(예, 카르보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HPC)),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한다.
가소제의 예는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특히,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경우의, 안정화 및 안정화제의 예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침투 향상제의 예는 환원된 형태(GSH; 0.1-1%)의 글루타티온을 포함한다.
희석제의 예는 당 알코올, 예컨대, 소르비톨, 자일리톨 또는 만니톨을 포함한다.
결합제의 예는 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디사카라이드, 예컨대,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폴리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예컨대, 전분, 셀룰로오스 또는 변성 셀룰로오스, 예컨대,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에테르, 예컨대,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당 알코올, 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 합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포함한다.
붕해제의 예는 가교결합된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변성 전분, 예컨대,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를 포함한다.
활택제의 예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이염기성 인산칼슘, 전분,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및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를 포함한다.
완충제의 예는 인산-완충된 염수 용액을 포함한다.
채널링제의 예는 염화나트륨(NaCl) 및 400 내지 1500 g/mol의 분자 질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고분자량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히알루론산, 글리세롤, 사이클로덱스트린, 환원된 형태의 글루타티온, 소르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폴리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전분,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이염기성 인산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및 염화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에 존재하는 부형제 및 애주번트는 수화 시에 이의 팽윤을 제어할 수 있다. 사실, 시스템이 수화 시에 너무 많은 부피를 갖게 되는 것은 회피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더 이상 눈 사용에 사용성이 아닐 것이다.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에 존재하는 부형제 및 애주번트는 또한, 특히, 건조한 형태로 사용되는 시스템의 경우에, 안과용 전달 시스템의 경도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에 존재하는 부형제 및 애주번트의 선택은 또한 전달 시스템에 존재하는 활성 물질의 방출율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활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활성 물질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의 눈에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또한 약제학적 활성 물질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약제학적 활성 물질은 항-녹내장 약물(특히, 안내압(IOP) 저하제), 소염제, 항감염약, 항알레르기제 및 안구 건조 치료제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활성 물질은 안과용 약물(ophthalmic drug)이다.
일 구현예에서, 항-녹내장 약물은 IOP 저하제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IOP 저하제는 개방각 녹내장의 치료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들이다. IOP 저하제의 예는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콜린자극제, 베타 차단제, 알파 아드레날린성 효능제,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Rho 카나아제 억제제, NO 공여제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IOP 저하제의 조합물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부류의 IOP 저하제의 조합물이 사용된다.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의 예는 라타노프로스트(latanoprost), 바이매토프로스트(bimatoprost), 트라보프로스트(travoprost), 타플루프로스트(tafluprost) 및 라타노프로스텐 부노드(latanoprostene bunod)를 포함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활성 물질은 바이매토프로스트이다. 콜린자극제의 예는 필로카르핀(pilocarpine), 에코티오페이트(echothiophate) 및 카르바콜(carbachol)을 포함한다. 베타 차단제의 예는 티몰롤(timolol) 및 나돌롤(nadolol)을 포함한다. 알파 아드레날린성 효능제의 예는 브리모니딘(brimonidine) 및 아프라클로니딘(apraclonidine)을 포함한다.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의 예는 도르졸아미드(dorzolamide), 브린졸아미드(brinzolamide), 아세탈로즈아미드(acetalozamide) 및 메타졸아미드(methazolamide)를 포함한다. Rho 키나아제 억제제의 예는 네타르수딜(netarsudil)을 포함한다. NO 공여제의 예는 라타노프로스텐 부노드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소염제가 눈 수술 후의 수술-후 치료에서, 또는 황반 부종, 포도막염 또는 안구 건조 질환의 치료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소염제의 예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소염 약물(덱사메타손, 플루오로메톨론(fluorometholone), 리멕솔론(rimexolone), 플루오시놀론(fluocinolone), 플루티카손(fluticasone), 로테프레드놀(loteprednol)) 및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약물(브롬페낙 세스퀴하아드레이트(bromfenac sesquihydrate), 암페낙(amfenac), 네파페낙(nepafenac), 아스피린, 이부프로펜(ibuprofen), 케토롤락(ketorolac), 트로메타민(tromethamine), 디클로페낙(diclofenac),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을 포함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활성 물질은 덱사메타손 또는 이의 염, 예컨대, 덱사메타손 인산나트륨이다.
일 구현예에서, 항감염약(anti-infective)은 눈 수술(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백내장 수술을 포함함) 후의 수술-후 치료에서, 또는 결막염, 각막염, 안검염, 내안구염, 트라코마 또는 어떠한 다른 박테리아 감염증, 진균 감염증 또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항감염약의 예는, 이로 한정되는 적은 아니지만, 매크롤라이드, 아미노사이드, 리파마이신, 항바이러스제 및 항진균 약물(목시플로사신(moxifloxacin), 나타마이신(natamycin), 아지트로마이신(azithromycin), 무피로신(mupirocin),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네틸리미신(netilmicin), 베시플록사신(besifloxacin), 가티플록사신(gatifloxacin), 젠타마이신 설페이트(gentamycin sulfate),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오플록사신(ofloxacin), 설프아세타미드 나트륨(sulfacetamide sodium), 토브라마이신(tobramycin), 바이트라신 징크(bacitracin zinc), 폴리마이신 B 설페이트(Polymyxin B sulfate), 네오마이신(neomycin), 및 네오마이신 설페이트, 아시클로버(acyclovir), 발라시클로버(valacyclovir), 팜시클로버(famciclovir),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포사코나졸(posaconazole), 및 보리코나졸(voriconazole))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항알레르기제는 계절성 알레르기의 문맥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항알레르기제의 예는 H1-항히스타민제 및 비만 세포 안정화제(염산 옥시메타졸린(oxymetazoline hydrochloride), 염산 세티리진(cetirizine hydrochloride))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안구 건조 치료제는 면역억제제(immunosuppressive agent), 예컨대, 시클로스포린(ciclosporin) 또는 타크롤리무스(tacrolimus)를 포함한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또한 안과 병태, 예컨대, 안구 건조 질환의 완화제를 포함하는 다른 활성 물질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한 완화제의 예는 윤활제, 예컨대, 폴리비닐 산(PVA)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전달 시스템의 전체 중량의 0.0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 w/w 내지 20 % w/w;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w/w 내지 10 % w/w의 범위의 양으로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안과 질환 또는 안과 병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 본 발명의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대상체의 눈 수준에서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을 전달하기에 유용하다. 표적되는 눈 조직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막 조질, 결막, 눈꺼풀, 섬유주대, 홍채, 섬모체, 포도막, 맥락막, 망막 또는 황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인간 및 수의학적 사용에 유용하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안과 질환 또는 안과 병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안과 질환 또는 안과 병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눈의 표적 부위에 투여함을 포함하여, 환자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안과 병태를 치료하고/거나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눈의 맹낭(cul-de-sac)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눈의 앞 부분의 질환 뿐만 아니라 눈의 뒷 부분의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안과 질환 또는 안과 병태는 개방각 녹내장, 황반 부종, 포도막염, 안구 건조 질환, 결막염, 각막염, 안검염, 내안구염, 트라코마, 수술-후 및 계절성 알레르기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안과 질환은 안구 건조이다. 일 구현예에서, 안과 질환은 개방각 녹내장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또한 안구 건조증의 완화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안과용 전달 시스템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윤활제를 포함하는 때에, 특히 효과적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단위 용량형이다.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건조한 형태 또는 수화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건조한 형태이다. 즉, 그것은, 존재하는 경우, 제한된 양의 물을 함유한다. 그러한 경우에, 결막낭 내에 또는 결막 표면에 위치되면, 본 발명의 전달 시스템은 동일반응계 내에서 수화되고 수화된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매트릭스는 점막 접착성 하이드로겔을 형성시킨다(즉, 동일반응계 내 겔화 공정).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수화된 형태이다. 즉,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매트릭스는 하이드로겔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안과용 삽입물 또는 안과용 필름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안과용 삽입물, 즉, 크기 및 모양이 특히 안과 적용을 위해서 설계되는, 결막낭 내로 또는 결막 표면에 위치되도록 설계되는 고체 또는 반고체 컨시스턴시 삼차원 장치이다. 일 구현예에서, 안과용 삽입물은 건조한 형태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안과용 삽입물은 수화되고 하이드로겔 펠릿의 형태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전기 방사된 안과용 삽입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삽입물은 활성 물질을 임의로 포함하는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매트릭스의 형태로부터 단독으로 형성된다. 즉, 안과용 삽입물은 어떠한 추가의 층 또는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다.
안과용 삽입물은 동결 건조된 형태일 수 있는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직접적인 압축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때에, 안과용 삽입물은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에 분산된 활성 물질들의 혼합물의 직접적인 압축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안과용 삽입물은 어떠한 모양 및 크기일 수 있으며, 단, 그것은 눈 배치에 적합하고 바람직하게는 로드(rod), 스트립(strip), 실(thread), 도넛(doughnut), 디스크(disc), 계란형 또는 반달(quarter moon)의 모양이다. 일 구현예에서, 안과용 삽입물은 볼록한 한 면 및 오목한 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안과용 삽입물은 그 표면 상에 어떠한 각을 나타내지 않으며, 눈 뿐만 아니라 눈꺼풀에도 자극을 유발시키지 않는 평탄 표면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삽입물의 단면은 원형, 정사각 또는 직사각이다. 바람직하게는, 삽입물은 눈 또는 이의 일부 내로 용이하게 맞는 크기 및 모양이다. 일 구현예에서, 안과용 삽입물은 0.1 mm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2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1.5 mm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서, 안과용 삽입물은 1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5 mm의 범위의 길이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서, 안과용 삽입물은 1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5 mm의 범위의 폭을 갖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은 안과용 필름, 즉, 크기 및 모양이 특히 안과 적용을 위해서 설계되는, 결막낭 내로 또는 결막 표면에 위치되도록 설계되는 고체 또는 반고체 컨시스턴시 이차원 필름이다. 일 구현예에서, 안과용 필름은 건조한 형태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안과용 필름은 수화된 형태이다.
안과용 필름은 정사각형 모양, 원형, 타원체 또는 어떠한 다른 적합한 모양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필름은 0.01 μm 내지 1000 μm, 바람직하게는 0.5 μm 내지 500 μm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안과용 필름이 원형 필름인 경우에, 그것은 2 mm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10 mm의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안과용 필름은 또한 눈의 표면 상에 적합한 배치를 위한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안과용 필름은, 임의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사전 활성화된 티올화된 중합체 용액의 용매 증발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안과용 필름은 또한 인쇄 기술, 예컨대, 잉크젯 인쇄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을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키트는 안과 질환 또는 안과 병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을 위한 설명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키트는 또한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바람직하게는 무균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이 추가로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예시된다.
실시예 1 : 안과용 삽입물
(i) 폴리(아크릴산)-시스테인-2-메르캅토니코틴산의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매트릭스 및 (ii) 활성 물질로서의 바이매토프로스트를 포함하는 안과용 삽입물을 공동-동결 건조된 활성 물질 및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직접적인 압축에 의해서 제조하였다.
[표 1]
바이매토프로스트 사전 활성화된 티올화된 PAA 안과용 삽입물의 조성
Figure pct00001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폴리(아크릴산)-시스테인-2-메르캅토니코틴산을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Iqbal J. et al., Biomaterials, 2012, 33, 1528-1535).
바이매토프로스트를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수용액에 분산시키고, 분산액을 동결 건조시켰다. 1.5 mg, 직경 2 mm의 삽입물을 동결 건조된 분말을 직접적인 압출에 의해서 타정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생성되는 안과용 삽입물은 눈 사용에 적합한 특성(크기, 모양, 안정성, 점착력), 우수한 점막 접착 특성을 나타내며, 잘 관용된다. 바이매토프로스트는 적합한 방출 프로파일로 안과용 삽입물로부터 방출된다.
실시예 2 : 안과용 필름
(i) 키토산-시스테인-6-메르캅토니코틴산의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매트릭스 및 (ii) 활성 물질로서의 덱사메타손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안과용 필름을 용매 증발에 의해서 제조하였다.
[표 2]
덱사메타손 사전 활성화된 티올화된 키토산 안과용 필름의 조성
Figure pct00002
필름의 전체 중량의 중량 백분율로의 양(% w/w).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키토산 시스테인-6-메르캅토니코틴산을 이전에 보고된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필름을 용매 캐스팅(solvent casting)에 의해서 얻었다. 덱사메타손 인산나트륨,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및 글리세롤을 선택된 용매 시스템에 용해시키고, 캐스팅하고, 고온 공기 오븐(40℃-50℃)에서 건조시키고, 이어서, 단일 용량으로 절단하였다.
생성되는 안과용 필름은 눈 사용에 적합한 특성(크기, 모양, 안정성, 점착력), 우수한 점막 접착 특성을 나타내며, 잘 관용된다. 덱사메타손은 적합한 방출 프로파일로 안과용 필름으로부터 방출된다.
실시예 3: 안과용 삽입물의 시험관내 특성화
본 발명의 안과용 삽입물을 이들의 생체 접착 특성 및 수화 시의 팽윤에 관하여 특성화한다.
생체 점착 분석 :
목적: 본 분석은 생물학적 유체의 연속적인 흐름 하의 동물 점막 상의 삽입물의 생체 점착 기간을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삽입물의 점막 접착 특성을 측정하는 것을 겨냥한다.
방법: 삽입물을 동물 점막 부분 상에 침착시키고, 10μl의 생물학적 유체를 적용하여 점막에 대한 삽입물의 점착을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동물 점막 부분을 수평에 45°각도를 갖는 지지 유리 플랫폼(supporting glass platform) 상에 올려놓는다. 생물학적 유체는 유리 플랫폼의 윗쪽에 위치된 저장소와 연동 펌프의 도움으로 유리 플랫폼 상으로 연속적으로 흐른다. 생물학적 유체가 점막에 유착된 삽입물 상에 흐르며, 용리 유체는 유리 플랫폼의 하측 상에서 수거된다. 삽입물이 용해되거나 동물 점막으로부터 탈착되는 시점을 측정한다. 따라서, 동물 점막 상의 삽입물의 점착 기간이 측정된다.
또한, 소정의 시점들에서 수거된 용리 유체를 분석하여 시간에 따른 삽입물로부터 방출된 약물을 정량화한다.
팽윤 및 수화 분석 :
목적: 본 분석은 물을 흡수하고 정의된 치수의 겔을 형성시키는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삽입물의 수화 특성 및 팽윤 거동을 측정하는 것을 겨냥한다.
방법: 물 흡수 및 팽윤 거동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Hornof 등에 의해서 이전에 기재된 방법으로부터 조절되었다(Hornof M. et al.,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2003, 89, 419-428). 물 흡수를 중량 측정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삽입물은 분석 동안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한 폐쇄된 용기 내의 정의된 부피의 모의 누액(simulated lacrimal fluid)으로 수화되고, 32℃ 눈 표면 온도에서 인큐베이션되었다. 삽입물의 중량을 다양한 시점들에서 측정하여 물 흡수 속도를 분석하였다. 삽입물의 크기는 삽입물의 팽윤 경향을 측정하기 위해서 거시적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4: 안과용 삽입물의 생체내 평가
목적 : 본 발명의 안과용 삽입물을 눈 표면에 대한 점착 및 무해성(눈 표면의 악화의 부재, 결막/각막 염증 또는 결막/각막 감염증 없음, 눈 통증 없음) 면에서 생체내 시험한다.
방법 : 본 분석을 래트에 대해서 수행하였다. 동물을 제어된 조건에서 유지시켰다. 어떠한 실험 절차 전에, 눈 표면의 철저한 검사를 모든 래트에 대해서 수행(틈새등(slit lamp), 형광 시험, 각막이 기계적 민감성, 생체내 공초점 현미경)하여, 염증 또는 감염증, 또는 심지어 비-이식된 동물에서의 눈 표면에 대한 손상 또는 상처의 부재를 확인한다.
래트 눈의 하부 결막주머니(conjunctival sac)에 시험된 삽입물을 일방적으로 넣기 위해서 동물을 가스 마취에 의해서 마취시킨다. 삽입물을 동물의 운명을 추적하기 위해서 동물의 눈 상에 7일 동안 그대로 둔다. 삽입물의 적용 마지막에, 가스 마취를 중단하여 동물을 신속하게 각성시킨다. 동물의 자발적인 거동을 관찰한다. 이어서, 눈 표면의 완전성(틈새등, 형광 시험, 결막주머니 내의 삽입물의 존재) 및 각막의 기계적 민감성(폰 프레이 시험(von Frey test)), 자발 통증(눈꺼풀의 갈라진 틈의 폐쇄 지수)의 임상적 평가를 불안해 하는 동물에 대해서 후속 7일 동안 규칙적으로 수행하였다. 7일 째에, 눈 표면의 철저한 검사를 동물의 전신 마취 하에 생체내 공초점 현미경에 의해서 수행하였다. 세균학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이식체를 제거하고 신속하게 동결시킨다.

Claims (12)

  1.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 매트릭스(preactivated thiomer matrix)를 포함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mucoadhesive solid or semisolid ocular delivery system)으로서, 매트릭스가 티올화된 중합체 골격(thiolated polymer backbone)에 디설파이드 결합(thiolated polymer backbone)을 통해서 공유 결합되는 2-메르캅토니코틴산, 6-메르캅토니코틴산, 2-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2-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6-메르캅토피리독신 측쇄를 지니는 중합체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를 포함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안과용 삽입물(ocular insert) 또는 안과용 필름인,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중합체 골격이, 임의로 측쇄로서 유리 티올기를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피롤리돈, 비닐알코올, 비닐이미다졸, 비닐카프로락탐, 디비닐 글리콜, 폴리카르보필, 카르보머, 알릴아민, (트리메틸화된) 키토산, 히알루론산, 펙틴, 알기네이트, (가교결합된) 폴리알릴아민, 폴리리신, 폴리오르니틴, 폴리아미노아미드,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가교결합된)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화합물의 측쇄가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시스테인-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호모시스테인-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시스테아민-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N-아세틸시스테인-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티오글리콜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3-티오프로피온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4-티오부타노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메르캅토벤조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메르캅토니코틴산-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글루타티온-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티오에틸아미딘-디설파이드,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4-티오부틸아미딘-디설파이드, 및 S-(2- 또는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또는 S-(6-메르캅토피리독신)-메르캅토아닐린-디설파이드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측쇄가 아미드, 아미딘 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서 중합체 골격에 결합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트릭스를 형성시키는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가 나노섬유(nanofiber); 바람직하게는 전기 방사(electrospinning)에 의해서 얻은 나노섬유의 형태인,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활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활성 물질이 IOP 저하제, 예컨대,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콜린자극제, 베타 차단제(beta blocker), 알파 아드레날린성 효능제,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Rho 카나아제 억제제, NO 공여제(donor agent) 및 이들의 조합물; 소염제, 예컨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소염 약물 및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약물; 항감염약, 예컨대, 매크롤라이드, 아미노사이드, 리파마이신, 항바이러스제 및 항진균 약물; 항알레르기제, 예컨대, H1-항히스타민제, 비만 세포 안정화제 및 안구 건조 치료제로부터 선택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조화제(thickening agent), 겔화제, 가소제, 안정화제, 안정화제, 침투 향상제,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glidant), 채널링제(channeling agent) 및 완충제(buffering agent)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농조화제 및 겔화제가 고분자량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히알루론산으로부터 선택되고; 가소제가 글리세롤이고; 안정화 및 안정화제가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부터 선택되고; 침투 향상제가 환원된 형태의 글루타티온이고; 희석제가 당 알코올로부터 선택되고; 결합제가 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디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셀룰로오스, 변성 셀룰로오스, 당 알코올 및 합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되고; 붕해제가 가교결합된 중합체 및 변성 전분으로부터 선택되고; 활택제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이염기성 인산칼슘, 전분,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및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로부터 선택되고; 채널링제가 염화나트륨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분자량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히알루론산, 글리세롤, 사이클로덱스트린, 환원된 형태의 글루타티온, 소르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폴리사카라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전분,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이염기성 인산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및 염화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과 질환 또는 안과 병태(condition)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안과 질환 또는 안과 병태가 개방각 녹내장(open angle glaucoma), 황반 부종(macular edema), 포도막염(uveitis), 안구 건조 질환(dry eye disease), 결막염(conjunctivitis), 각막염(keratitis), 안검염(blepharitis), 내안구염(endophthalmitis), 트라코마(trachoma), 수술-후 및 계절성 알레르기(post-surgical and seasonal allergy)로부터 선택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12.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삽입물 또는 안과용 필름의 제조를 위한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의 용도로서,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가 티올화된 중합체 골격에 디설파이드 결합을 통해서 공유 결합되는 2-메르캅토니코틴산, 6-메르캅토니코틴산, 2-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2-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니코틴아미드, 6-메르캅토이소니코틴아미드, 6,6'-디티오니코틴아미드 또는 6-메르캅토피리독신 측쇄를 지니는 중합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KR1020227028455A 2020-02-07 2021-02-05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를 기반으로 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KR20220139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305118.0 2020-02-07
EP20305118 2020-02-07
PCT/EP2021/052796 WO2021156435A1 (en) 2020-02-07 2021-02-05 Mucoadhesive solid or semisolid ocular delivery systems based on preactivated thiom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901A true KR20220139901A (ko) 2022-10-17

Family

ID=6978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455A KR20220139901A (ko) 2020-02-07 2021-02-05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를 기반으로 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56811A1 (ko)
EP (1) EP4099979A1 (ko)
JP (1) JP2023512583A (ko)
KR (1) KR20220139901A (ko)
CN (1) CN115315250A (ko)
AU (1) AU2021216679A1 (ko)
CA (1) CA3168849A1 (ko)
WO (1) WO20211564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105A (ko) 2021-08-03 2024-03-27 바이오어드헤시브 옵탈믹스 녹내장 치료를 위한 점막접착성 안구 전달 시스템
WO2024059952A1 (en) * 2022-09-23 2024-03-28 Madd Ophthalmics Ltd. Mucoadhesive drug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6054B (de) 1998-11-04 2000-02-25 Andreas Bernkop-Schnuerch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mucoadhäsion von polymeren sowi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WO2011039259A2 (de) 2009-09-30 2011-04-07 Thiomatrix Forschungs- Und Beratungs Gmbh Mukoadhäsive polymere mit vitamin b-teilstruktu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56811A1 (en) 2023-02-23
CN115315250A (zh) 2022-11-08
CA3168849A1 (en) 2021-08-12
WO2021156435A1 (en) 2021-08-12
JP2023512583A (ja) 2023-03-27
AU2021216679A1 (en) 2022-08-25
EP4099979A1 (en)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3685A1 (en) Sustained release delivery of active agents to treat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US11951106B2 (en) Method of increasing bioavailability and/or prolonging ophthalmic action of a drug
Torres-Luna et al. Hydrogel-based ocular drug delivery systems for hydrophobic drugs
KR20180108883A (ko) 안내 서방성 약물 전달 시스템 및 안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KR20170052582A (ko) 눈에서 지속적 약물 방출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생체적합성 조성물
Calles et al. Polymers in ophthalmology
US20140025022A1 (en)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s of treating open angle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Moosa et al. A review of topically administered mini-tablets for drug delivery to the anterior segment of the eye
KR20220139901A (ko) 사전 활성화된 티오머를 기반으로 하는 점막 접착성 고체 또는 반고체 안과용 전달 시스템
Shahiwala Applications of polymers in ocular drug delivery
JP6213560B2 (ja) 薬剤送達システムならびに開放隅角緑内障および高眼圧症を治療する方法
JP2024502964A (ja) 薬物伝達用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眼科用薬学的組成物
DK3229780T3 (en) Ophthalmic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CN118019523A (zh) 用于治疗青光眼的黏膜黏附眼部递送系统
Kesarwani et al. Ocular implants: A novel approach to ocular drug delivery
US20240180902A1 (en) Method of increasing bioavailability and/or prolonging ophthalmic action of a drug
Al-Tamimi et al. Review Article Ophthalmic Dosage Forms.
Al-Tamimi et al. Ophthalmic Dosage F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