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648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648A
KR20220139648A KR1020210045873A KR20210045873A KR20220139648A KR 20220139648 A KR20220139648 A KR 20220139648A KR 1020210045873 A KR1020210045873 A KR 1020210045873A KR 20210045873 A KR20210045873 A KR 20210045873A KR 20220139648 A KR20220139648 A KR 20220139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us bar
disposed
housing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5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9648A/ko
Priority to US18/548,626 priority patent/US20240154491A1/en
Priority to CN202280023396.4A priority patent/CN117063377A/zh
Priority to PCT/KR2022/003654 priority patent/WO2022215887A1/ko
Publication of KR2022013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상기 로터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하우징를 향하여 배치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로터와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로터와 스테이터의 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로터가 회전한다. 이러한 스테이터는 전자파 노이즈를 방출할 수 있다. 이때. 방출된 전자파 노이즈는 기기 자체 또는 다른 기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테이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한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상기 로터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하우징를 향하여 배치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파 차단을 위한 커버의 배치 구조를 개선하여 스테이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하여, 모터의 전자파 적합성(EMC: 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버스바 조립체 및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버스바 조립체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버스바 조립체 및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버스바 조립체 및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하우징 및 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상에 커버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샤프트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반경방향이라고 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의 반지름을 갖는 원을 따라가는 방향을 원주방향이라고 부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터는 샤프트(100), 로터(200), 스테이터(300), 버스바 조립체(400), 하우징(500) 및 커버(60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내측이라 함은 하우징(500)에서 모터의 중심인 샤프트(100)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외측이라 함은 샤프트(100)에서 하우징(500)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의 반대 방향을 나타낸다.
샤프트(100)는 로터(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20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샤프트(100)가 회전한다. 샤프트(100)는 차량의 조향장치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200)는 로터 코어와 로터 코어에 배치되는 로터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로터(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코어(310)와, 코일(320)과, 스테이터 코어(310)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320)은 인슐레이터(330)에 감길 수 있다. 인슐레이터(330)는 코일(320)과 스테이터 코어(310) 사이에 배치된다. 코일은 로터 마그넷과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버스바 조립체(400)는 스테이터(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 조립체(400) 스테이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500)은 형상이나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나 고온에서도 잘 견딜 수 있는 금속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커버(600A)는 스테이터(300)에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커버(600A)는 스테이터(300)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버스바 조립체 및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600A)는 버스바 조립체(400)와 하우징(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600A)는 버스바 조립체(40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커버(600A)는 스테이터(300)에서 버스바 조립체(400) 측으로 향하는 전자파 노이즈를 필터링(Filtering) 수 있다.
버스바 조립체(40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스테이터(300)와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 조립체(400)는 버스바(410) 및 버스바 홀더(42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410)는 코일(3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버스바(410)는 버스바 홀더(430)에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410)는 제1 터미널(411)과 제2 터미널(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미널(411)은 코일(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미널(411)은 버스바 홀더(42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코일(330)의 단부는 제1 터미널(411)과 퓨징(Fusing)될 수 있다. 제2 터미널(412)은 제1 터미널(41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미널(412)은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미널(412)은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의 제2 터미널(412)은 3상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터미널(412)은 버스바 홀더(4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된 제2 터미널(412)은 단부가 하우징(5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버스바 홀더(420)는 버스바(410)를 지지할 수 있다. 버스바 홀더(420)는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홈에는 버스바(410)가 배치될 수 있다.버스바 홀더(420)는 절연 재질일 수 있다. 버스바 홀더(420)와 버스바(41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버스바 홀더(420)는 중공을 가지는 도넛 형상일 수 있다. 버스바 홀더(420)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버스바 홀더(420)의 상면은 하우징(500)을 향하여 배치되고, 버스바 홀더(420)의 하면은 스테이터(300)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 홀더(420)의 상면은 하우징(500)과 이격될 수 있다. 버스바 홀더(420)의 상면은 제1 면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 홀더(420)의 하면은 제2 면이라고도 할 수 있다.
커버(600A)는 버스바 홀더(4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600A)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커버(600A)의 축방향 두께는 버스바 홀더(420)의 축방향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커버(600A)는 버스바 홀더(42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그리고, 커버(600A)는 코일(320)과 축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이에, 커버(600A)는 스테이터(300)에서 축방향으로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500)의 상면으로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줄이고, 샤프트(100)의 상단에 배치되는 마그넷(미도시)의 자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기를 흡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600A)는 S45C, SUS, SECC, Permalloy Foi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버스바 조립체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버스바 조립체 및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600A)는 버스바 홀더(42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600A)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버스바 홀더(4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커버(600A)와 버스바 홀더(420)의 상면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제에 의하여 커버(600A)가 결합될 수도 있다.
버스바 홀더(420)의 일 영역은 커버(600A)와 축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한편, 버스바 홀더(420)는 커버(600A)와 축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버스바 홀더(420)과 오버랩되는 커버(600A)의 면적은 버스바 홀더(420)와 축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커버(600A)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 홀더(430)의 제2 터미널(412)이 배치된 영역 부근은 버스바 홀더(42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터미널(412)과 제1 보스(421)의 상단은 커버(600A)의 상면보다 축방향으로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미널(411)의 단부는 커버(600A)는 축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축중심(C)에서 제1 터미널(411)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축중심(C)에서 커버(600A)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제1 터미널(411)의 단부는 커버(600A)의 측면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 홀더(420)는 상면에 배치되는 제1 보스(4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스(421)는 버스바 홀더(420)의 상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보스(421)에는 제2 터미널(41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스(421)는 제2 터미널(412)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터미널(412)은 커버(600A)를 통과할 수 있다. 커버(600A)는 복수의 제1 홀(601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홀(601A)은 제2 터미널(41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홀(601A)은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홀(601A) 중 어느 하나는 커버(600A)의 내측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홀(601A) 중 다른 하나는 커버(600A)의 외측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제1 홀(601A)에는 제2 터미널(412)과 제1 보스(42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미널(412)과 제1 보스(421)의 축방향 길이는 커버(600A)의 축방향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제2 터미널(412)은 축중심(C)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축중심(C)에서 복수의 제2 터미널(412) 중 어느 하나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01
)는 축중심(C)에서 복수의 제2 터미널(412) 중 다른 하나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02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2 터미널(412) 중 어느 하나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커버(600A)보다 축중심(C)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2 터미널(412) 중 다른 하나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커버(600A)보다 축중심(C)에 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버스바 조립체 및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홀더(420)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버스바 스테이터(300)와 커버(600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버스바 홀더(420)에는 버스바(41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버스바(410)는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터미널(412)은 버스바 홀더(420)에서 스테이터(300)의 반대측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제2 터미널(412)은 단부가 하우징(도 1의 4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600A)는 버스바 홀더(4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600A)는 버스바 홀더(420)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될 수 있다. 예컨데, 커버(600A)는 버스바 홀더(420)와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커버(600A)는 버스바 홀더(420)와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또는, 도면에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커버(600A)와 버스바 홀더(420) 사이에는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미도시)는 커버(600A)와 버스바 홀더(4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600A)와 버스바 홀더(42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버스바 홀더(420)는 커버(600A)와 축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1 부분(4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422)은 커버(600A)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부분(422)은 커버(600A)와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422)과 커버(600A) 사이에는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버(600A)는 판상의 디스크(disk) 형상일 수 있다.
커버(600A)는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커버면(A1)과 제2 커버면(A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면(A1)은 스테이터(도 1의 300) 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제1 커버면(A1)은 버스바 홀더(420)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커버면(A2)은 하우징(도 1의 500) 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제2 커버면(A2)은 하우징(500)과 이격된다.
커버(600A)는 축중심(C)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600A)는 축중심(C)을 향하는 내주면과 외측을 향하는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커버(600A)는 내주면은 축중심(C)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커버(600A)의 내주면은 원주방향 위치에 따라 축중심(C)과의 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축중심(C)에서 커버(600A)의 내주면까지의 최단 거리(D1)는 축중심(C)에서 버스바 홀더의 내주면까지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축중심(C)에서 커버(600A)의 내주면까지의 최장 거리(D2)는 축중심(C)에서 버스바 홀더의 내주면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축중심(C)에서 커버(600A)의 외주면까지의 거리(D3)은 축중심(C)에서 버스바 홀더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하우징 및 커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상에 커버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커버를 제외하고는 도 1에서 나타낸 모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11를 참조하면, 커버(600B)는 하우징(5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600B)는 하우징(5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600B)는 하우징(500)을 두고 스테이터(300)와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커버(600B)는 접착제에 의하여 하우징(5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커버(600B)는 하우징(500)과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스테이터(300)와 결합되는 커버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700)는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통 형상일 수 있다. 커버부재(700)는 일면이 버스바 조립체(400)와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700)는 다른 일면이 버스바 조립체(40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700)는 버스바 조립체(400)의 상부과 측부를 감쌀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700)는 단부가 스테이터 코어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재(700)는 단부에 배치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는 스테이터 코어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제2 면과 제3 면(5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은 스테이터(300)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면은 버스바 홀더(420)의 상면, 즉 제1 면과 마주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면(501)은 제2 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제3 면(501)은 하우징(500)의 외부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커버(600B)는 제3 면(5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600B)는 하우징(500)의 외부를 향하여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제3 면(501)에 배치되는 제1 파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510)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커버(600B)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트(510)의 축방향 길이는 커버(600B)의 축방향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파트(510)의 상단은 커버(600B)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파트(510)는 커버(600B)가 반경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있다.
하우징(500)은 제3 면(501)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홀(500h)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터미널(412)은 각각 관통홀(500h)을 통과하여 제3 면(501)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제3 면(501)에 배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하우징(500)과 결합되는 커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00)과 커버부(미도시)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하우징(500)과 커버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배치된 PCB(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PCB(미도시)는 일면이 제3 면(501)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PCB(미도시)와 제3 면(501) 사이에는 커버(600B)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커버(600B)는 PCB(미도시) 측을 향하여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다.
제3 면(501)은 제1 영역(501A)과 제2 영역(502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501A)은 커버(600B)와 축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501B)은 커버(60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501B)은 제1 영역(501A)과 축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501B)의 면적은 제1 영역(501A)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2 영역(501B)에는 커버(60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501B)은 커버(600B)와 축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영역(501B)은 제1 파트(5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트(510)의 내주면은 제2 영역(501B)에 배치된 커버(600B)의 가장자리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1 파트(510)의 내주면은 원주방향 위치에 따라 곡률이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트(510)의 내주면은 곡면과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600B)는 하우징(500)으로부터 벗어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600B)는 축중심(C)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커버(600B)는 반경방향으로 제1 폭(W1)과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클 수 있다.
커버(600B)는 제1 부(610B)와 제2 부(6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610B)는 하우징(500)과 축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610B)는 제2 영역(502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부(610B)는 제1 파트(5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 파트(510)와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1 부(610B)는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측면(602B)과 제2 측면(603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면(602B)의 곡률과 제2 측면(603B)의 곡률은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측면(602B)은 평면일 수 있다. 한편, 제2 측면(603B)은 곡면일 수 있다. 이때, 제1 측면(602B)과 제2 측면(603B)은 제1 파트(510)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파트(510)는 제1 측면(602B)과 접촉되는 제1 내면(5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620B)는 제1 부(610B)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620B)는 제1 부(610B)보다 면적이 작을 수 있다. 제2 부(620B)는 하우징(500)과 축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부(620B)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하우징(500)의 외주면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600B)는 제1 홈부(601B) 및 제2 홈부(604B)를 포함할 수 있다.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부(601B) 및 제2 홈부(604B)는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홈부(601B) 관통홀(500h)을 통과한 제1 보스(521)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홈부(604B)는 제3 면(501)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커버(600B)는 S45C, SUS, SECC, Permalloy Foi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커버를 제외하고는 도 1에서 나타낸 모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7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600C)는 하우징(50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600C)는 하우징(50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600C)는 스테이터(300)의 축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600C)는 버스바 조립체(400)와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커버(600C)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커버(600C)는 하우징(500)과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커버(600C)는 S45C, SUS, SECC, Permalloy Foi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커버는 S45C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 측정값을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1은 비교예,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검출한 결과이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도 1에서 나타낸 구조이고,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도 7에서 나타낸 구조이며,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도 11에서 나타낸 구조다. 이때,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상전류 25A를 인가하고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측정하였다.
커버 재질 1차 측정값 2차 측정값
제3 실시예 S45C 13.4dB 13.8dB
제2 실시예 SUS430 11.4dB 14.1dB
SECC 13.6dB 13.3dB
Permalloy Foil 15.1dB 14.8dB
제1 실시예 SUS430 13dB 11.7dB
SECC 11.8dB 12.6dB
표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와 같이 버스바 홀더의 일면에 커버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커버의 재질이 SECC인 모터가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이 모두 낮게 측정되었다. 커버의 위치와 재질에 따라 전자파 노이즈의 저감 효과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전자파 차단을 위한 커버의 배치 구조를 개선하여 스테이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하여, 모터의 전자파 적합성(EMC: 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을 개선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는 이너 로터형 모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아우터 로터형 모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차량용 또는 가전용 등 다양한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샤프트
200: 로터
300: 스테이터
310: 스테이터 코어
320: 인슐레이터
330: 코일
400: 버스바
500: 하우징
600: 커버

Claims (13)

  1.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상기 로터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하우징를 향하여 배치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면에 결합되는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면과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는 모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버스바 홀더와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결합되는 모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버스바 홀더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모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테이터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면과 결합되는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과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결합되는 모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모터.
  10.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상기 로터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버스바 홀더를 향하여 배치되는 제2 면과 상기 제2면의 반대편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면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모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3 면은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모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과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결합되는 모터.
  13. 제1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S45C, SUS, SECC, Permalloy Foi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모터.
KR1020210045873A 2021-04-08 2021-04-08 모터 KR20220139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873A KR20220139648A (ko) 2021-04-08 2021-04-08 모터
US18/548,626 US20240154491A1 (en) 2021-04-08 2022-03-16 Motor
CN202280023396.4A CN117063377A (zh) 2021-04-08 2022-03-16 马达
PCT/KR2022/003654 WO2022215887A1 (ko) 2021-04-08 2022-03-16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873A KR20220139648A (ko) 2021-04-08 2021-04-08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648A true KR20220139648A (ko) 2022-10-17

Family

ID=8354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873A KR20220139648A (ko) 2021-04-08 2021-04-08 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54491A1 (ko)
KR (1) KR20220139648A (ko)
CN (1) CN117063377A (ko)
WO (1) WO20222158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635B1 (ko) * 2013-05-03 2014-09-1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계자권선형 구동모터의 노이즈 차폐유닛
JP5850263B2 (ja) * 2013-05-17 2016-02-03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JP2017015658A (ja) * 2015-07-06 2017-01-1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回転角検出装置
DE202015009703U1 (de) * 2015-10-14 2019-05-03 Nidec Corporation Bremsmotor
KR102493905B1 (ko) * 2017-11-02 2023-01-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063377A (zh) 2023-11-14
US20240154491A1 (en) 2024-05-09
WO2022215887A1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5312B2 (en) Axial-gap dynamo-electric machine
US7026741B2 (en) Motor with stator formed by assembling divided stator-members into an annular shape, and compressor incorporating the same motor
US5714810A (en) Miniature motor
US11101708B2 (en) Rotor, mot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otor
US11398760B2 (en) Stator, stator assembly, and transducer for converting between electrical energy and mechanical energy
WO2018147244A1 (en) Stator for an electric motor
JPWO2015087567A1 (ja) 機電一体型回転電機
US11101712B2 (en) Motor, end ca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4121254A2 (en) Brushless dc motor with reduced emissions
US6707196B2 (en) Motor with improved motor casing
JP2015039282A (ja) 回転電機
KR20220139648A (ko) 모터
JP6112983B2 (ja) 回転電機
CN109309425B (zh) 马达
JP2002186203A (ja) 電機子およびその電機子を用いたモータ
US20210351657A1 (en) Motor
US20210376689A1 (en) Motor
JP2022080963A (ja) ポンプ装置
JP5227869B2 (ja) 電動機
JP2016063041A (ja) チョークコイル
WO2017183430A1 (ja) ノイズフィルタ付き導電路
CN112020810A (zh) 一种定子
US20230126488A1 (en) Motor
WO2021131199A1 (ja) モータ
CN112003410B (zh) 机壳组件、机壳、分块定子总成组件、定子总成及电机